'그레샴 메이첸'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11.08 :: 그레샴 메이첸의 "기독교와 문화"
문화 2015. 11. 8. 09:29

그레샴 메이첸의 "기독교와 문화"


translated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역자의 들어가는 말

그레샴 메이첸(J. Gresham Machen)은 한국 장로교회의 토대가 되었던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TS)를 설립하였던 우리에게는 잘 알려진 인물이다.

메이첸은 100여년의 보수적인 신앙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었던 프린스턴신학교(Princeton Seminary)가 진화론등 현대 문화의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로의 변화를 선언하였던 이사회의 결정에 불복하면서 웨스트민스터신학교(Westminster Seminary in Philadephia1929)를 설립하였다.

1936에는 교단의 자유주의를 반대하면서 미국정통장로교회(Orthodox Presbyterian Church:OPC)를 출범시켰지만 이러한 출범과 더불어 그가 감당하였던 커다란 짐은 그의 건강을 악화 시키면서 바로 이듬해에 55세 라는 나이에 이 땅에서의 생애를 마감했어야만 했다.

그레샴 메이첸은 평생을 독신으로 보냈으며, 그의 어머니와 주고받은 많은 편지를 통해서 당시의 상황들을 잘 전해주고 있다.

메이첸의 생애의 가장 큰 특징이었다면 문화와 자유주의에 대한 투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보수적인 신앙을 지키기 위하여 신학교에서 쫓겨나야만 했으며 또한 교단으로부터 제명 되는 상황을 맞이해야만 했다.

하지만 그의 역경은 오히려 웨스트민스터신학교(WTS)의 설립과 미국 정통장로교회(OPC)의 출범의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그가 직면하였던 가장 커다란 장애물은 바로 문화라는 주제였다.

진화론과 현대 문명의 도전 앞에 많은 교회와 신학교들이 자유주의를 수용하였지만 그는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1937, aged55)까지도 자유주의와의 외로운 싸움을 감당했어야만 했다.

이러한 그의 고난의 생애는 오히려 순교자의 생애였다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이번에 번역한 그의 "기독교와 문화"(1913)는 그가 어떠한 입장으로 문화에 대한 자세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번 번역은, 이어서 번역할 데이비드 엥겔스마의 "Christianizing the world?"의 번역에 앞서서 데이비드 엥겔스마(PRC)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되어 번역을 한 것이다.

현재 한국 기독교의 상황은 100년 전 메이첸이 직면하였던 자유주의의 도전 못지않게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독교의 몰락을 문화와의 접목을 통하여 재건하려는 시도는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바꾸는 위험을 수반 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여야만 할 것이다.

100년전과 달리 문화 칼빈주의라고 할 수 있는 카이퍼의 신칼빈주의가 보편화되고있는 상황에서 문화에 대한 분명한 자세는 기독교의 존립에도 관계되는 일이기에 때문이다.

최근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영문으로 번역 (2013)되는 과정 가운데 카톨릭이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데이비드 엥겔스마는 "Christianizing the world?"에 대한 강연을 통하여 심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신칼빈주의와 톰 라이트의 새관점이 "이 땅에서의 현재적 하나님 나라"라는 주제로, 문화물의 천국보존을 위한 이 땅에서의 문화변혁을 시도하고 있는 입장에서 그레샴 메이첸과 데이비드 엥겔스마의 문화에 대한 글들은 기독교의 이름으로 이 땅의 문화를 변혁시키려는 것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해줄 것이다.

◇ ◇ ◇ ◇

기독교와 문화| 그레샴 메이첸

Christianity & Culture | J. Gresham Machen, 1881-1937 THE PRINCETON THEOLOGICAL REVIEW, Vol. 11, 1913.

교회를 혼란케 하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지식과 경건, 문화와 기독교 간의 문제다.
One of the greatest of the problems that have agitated the Church is the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iety, between culture and Christianity.

이러한 문제는 무엇보다도 먼저 교회에서 두 가지 경향, 즉 과학적이고 학문적인 경향과 소위 말하는 실천적 경향의 출현으로 인하여 나타난 것이다.
This problem has appeared first of all in the presence of two tendencies in the Church—the scientific or academic tendency, and what may be called the practical tendency.

어떤 사람들은 기독교와 그 기반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는 일에 스스로를 우선적으로 헌신케 하고 있다.
Some men have devoted themselves chiefly to the task of forming right conceptions as to Christianity and its foundations.

그들에게는, 아무리 사소할지라도, 무시할 만한 진술이 없다; 그들에 의해서 진리는 그 자체를 위하여 소중히 여김을 받으며, 즉각적으로 실천적 결론에 관련 시키는 일도 없다.
To them no fact, however trivial, has appeared worthy of neglect; by them truth has been cherished for its own sake, without immediate reference to practical consequences.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일부는 복음의 필연적 단순성을 강조한다.
Some, on the other hand, have emphasized the essential simplicity of the gospel.

세상은 비극에 놓여있으며, 우리 자신은 죄인들이며, 사람들은 매일 죄 가운데 멸망해간다.
The world is lying in misery, we ourselves are sinners, men are perishing in sin every day.

복음은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에, 아직 (전파)하지 않았다면 이것을 세상에 전파하도록 하자.
The gospel is the sole means of escape; let us preach it to the world while yet we may.

우리는 헛된 중얼거림이나 쓸데없는 소리를 지껄일 시간이 없을 만큼 필요가 절실한 것이다.
So desperate is the need that we have no time to engage in vain babblings or old wives’fables.

우리가 갈라디아 교회들의 정확한 위치를 논하는 동안에, 사람들은 율법의 저주 아래에서 멸망 되어가며; 우리가 예수의 탄생 날짜를 정하는 동안에 세상은 크리스마스의 메세지 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While we are discuss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churches of Galatia, men are perishing under the curse of the law; while we are settling the date of Jesus’birth, the world is doing without its Christmas message.

이러한 경향들의 양쪽의 대표자들은 자신들을 그리스도인이라고 여기지만, 너무도 흔하게 이들 사이에는 형제라는 감각이 거의 없는 것이다.
The representatives of both of these tendencies regard themselves as Christians, but too often there is little brotherly feeling between them.

학문적 취향을 가진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형제를 적절치 못한 감성주의, 얄팍한 논의, 값싼 행위의 방법등으로 비난한다.
The Christian of academic tastes accuses his brother of undue emotionalism, of shallow argumentation, of cheap methods of work.

다른 한편으로는, 당신의 실천적인 사람은 인간의 절박한 필요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무관심하다고 비난의 소리를 높인다.
On the other hand, your practical man is ever loud in his denunciation of academic indifference to the dire needs of humanity.

학자는 위험스럽게 의심을 퍼뜨리는 사람이며, 그들의 믿음은 행위 없는 믿음을 가졌다고 표현된다.
The scholar is represented either as a dangerous disseminator of doubt, or else as a man whose faith is a faith without works.

이는 오직 먼지 쌓인 책들과, 따스하고 안락한 탐구로 조심스럽게 분리된 곳에서, 매일 비극 가운데 망해가는 사람들을 생각하지 않고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은혜를 연구하는 사람이다.
A man who investigates human sin and the grace of God by the aid solely of dusty volumes, carefully secluded in a warm and comfortable study, without a thought of the men who are perishing in misery every day!

그러나 만약이 이러한 문제가 교회 안에서 다른 양상의 출현으로 이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면, 이는 각 개인의 의식 안에서 더욱 더 주장이 강해질 것이다.
But if the problem appears thus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tendencies in the Church, it becomes yet far more insistent within the 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

만약에 우리가 곰곰이 생각해본다면, 우리는 알기 위한 요구와 구원 받기 위한 요구가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If we are thoughtful, we must see that the desire to know and the desire to be saved are widely different.

학자는 분명히 공평한 관찰자로서의 태도- 예수가 죄의 짐으로부터 구원하신 유일하신 분임을 견지하는 경건한 그리스도인에게는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태도-를 당연히 여겨야만 한다.
The scholar must apparently assume the attitude of an impartial observer—an attitude which seems absolutely impossible to the pious Christian laying hold upon Jesus as the only Saviour from the load of sin.

만약에 이러한 두 가지 활동- 한편으로는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며, 다른 편으로는 단순한 믿음을 실천하고 가르치는 -이 우리의 삶의 한 장소에 주어진다면, 이들의 적절한 관계에 대한 질문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If these two activities—on the one ha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on the other the exercise and inculcation of simple faith—are both to be given a place in our lives, the question of their proper relationship cannot be ignored.


1 An address on “The Scientific Preparation of the Minister”, delivered September 20, 1912, at the opening of the one hundred and first session of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and in substance (previously) at a meeting of the Presbyterian Ministers’Association of Philadelphia, May 20, 1912. Originally published in The Princeton Theological Review, Vol. 11, 1913, this article is now in the public domain (original pagination has been kept intact for purposes of reference).

우리들은 이것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기에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더욱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
The problem is made for us the more difficult of solution because we are unprepared for it.

학교와 대학 교육에서의 우리들의 전체 시스템은 신앙과 문화를 가능한 분리 시키도록 구성되어있으며,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무시하고 있다.
Our whole system of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is so constituted as to keep religion and culture as far apart as possible and ignore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우리는 한 주의 5,6일을 지식을 습득하는 일에 보낸다.
On five or six days in the week, we were engaged i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이러한 활동들에서 신앙에 대한 연구는 사라졌습니다.
From this activity the study of religion was banished.

우리는 자연과학을 연구하면서 이것이 자연신학이나 계시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We studied natural science without considering its bearing or lack of bearing upon natural theology or upon revelation.

우리는 신약을 열어보지도 않고 헬라어를 연구합니다.
We studied Greek without opening the New Testament.

우리는 예수의 가르침으로 인하여 도달된 거대한 역사의 움직임을 조심스럽게 피하면서 역사를 연구합니다.
We studied history with careful avoidance of that greatest of historical movements which was ushered in by the preaching of Jesus.

철학에 있어서는, 신앙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은 전적으로 숨길 수는 없지만, 이는 가능한 뒷 배경으로 가리워집니다,
In philosophy, the vital importance of the study for religion could not entirely be concealed, but it was kept as far as possible in the background.

다른 한편, 주일에는 거의 지적인 실행이 필요하지 않은 신앙적 교훈을 얻게 됩니다.
On Sundays, on the other hand, we had religious instruction that called for little exercise of the intellect.

주일학교 수업을 수학이나 라틴어 수업과 같이 신중하게 준비하는 것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Careful preparation for Sunday-school lessons as for lessons in mathematics or Latin was unknown.
신앙은 세속적 연구를 위한 지식을 떠나서, 감정과 의지에만 관계되어있는 것 같다.
Religion seemed to be something that had to do only with the emotions and the will, leaving the intellect to secular studies.

이와 같은 훈련 뒤에, 우리는 신앙과 문화가 영혼의 두 가지의 전적으로 분리된 영역에 속하여있으며, 이들의 결합은 양쪽 모두를 파괴 시키게 된다고 여기게 되는 것은 어찌 된 일인가?
What wonder that after such training we came to regard religion and culture as belonging to two entirely separate compartments of the soul, and their union as involving the destruction of both?

신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우리는 갑자기 전혀 다른 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Upon entering the Seminary, we are suddenly introduced to an entirely different procedure.

신앙은 더 이상 격리 보호가 되지 않으며; 이전에 자연과학과 역사를 위하여 남겨 놓았던 것과 같은 방법의 탐구들이 (신앙에 대한 탐구에도) 적용된다.
Religion is suddenly removed from its seclusion; the same methods of study are applied to it as were formerly reserved for natural science and for history.

우리는 성경을 더 이상 단지 도덕적이고 영적인 향상 뿐만이 아니라 또한 알기 위하여 연구하지 않는다.
We study the Bible no longer solely with the desire of moral and spiritual improvement, but also in order to know.

아마 첫 번째 인상은 무한한 상실감일 것이다.
Perhaps the first impression is one of infinite loss.
과학정신은 단순한 믿음을 대체할듯하며, 생명이 없는 절대적인 사실들에 대한 단순한 이해는 신념을 실천하는 것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The scientific spirit seems to be replacing simple faith, the mere apprehension of dead facts to be replacing the practice of principles.

이 어려움은 아마 기독교의 진리만큼이나 우리를 새로운 의문에 직면하게끔 하지는 않는 것 같다.
The difficulty is perhaps not so much that we are brought face to face with new doubts as to the truth of Christianity.

그보다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은 방법과 정신의 대립에 있다.
Rather is it the conflict of method, of spirit that troubles us.

과학적 정신은 단순한 믿음의 옛 정신과 상반되는 것 같다.
The scientific spirit seems to be incompatible with the old spirit of simple faith.

요약하자면, 우리는 지식과 경건, 달리 표현하자면, 문화와 기독교 사이의 관계의 문제를, 거의 전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In short, almost entirely unprepared, we are brought face to face with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iety, or, otherwise expressed, between culture and Christianity.

이러한 문제는 3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로 귀착될 것이다.
This problem may be settled in one of three ways.
첫 번째로는, 기독교가 문화에 종속될 것이다.
In the first place, Christianity may be subordinated to culture.

이러한 해법은 실제로, 비록 어느 정도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지만, 오늘날 교회의 대부분의 영향력 있는 부분에서 선호하는 것이다.
That solution really, though to some extent unconsciously, is being favored by a very large and influential portion of the Church today.

기독교에서 초자연적인 것을 제거하는 것은- 오늘날 놀라울 정도로 보편화되어있는 것처럼- 실제로 기독교를 단순히 자연 발생적인 것으로 만든다.
For the elimination of the supernatural in Christianity—so tremendously common today—really makes Christianity merely natural.

기독교는 인간의 산물이 되며, 인간 문화의 단순한 부분에 지나지 않게 된다.
Christianity becomes a human product, a mere part of human culture.

그러나 이러한 것은, 하나님의 직접적인 계시를 근거로 하는 이전의 기독교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But as such it is something entirely different from the old Christianity that was based upon a direct revelation from God.

이와 같이 권위를 드러내는 것을 빼앗긴 복음은 더 이상 복음이 아니며; 서명 동의하지 않는 말 없는 수 백만을 가로막는 것이다.
Deprived thus of its note of authority, the gospel is no gospel any longer; it is a check for untold millions—but without the signature at the bottom.

이렇게 기독교를 문화에 종속 시킴으로서, 우리는 실제로 기독교를 파괴하는 것이며, 그럼으로서 이전의 명칭이 계속 사용되는 것들은 가짜인 것이다.
So in subordinating Christianity to culture we have really destroyed Christianity, and what continues to bear the old name is a counterfeit.

두 번째 해법은 극단적으로 반대로 가는 것이다.
The second solution goes to the opposite extreme.

이것은 신앙에 분명한 영역을 주고자 하는 노력으로서 문화를 파괴할 것을 모색한다.
In its effort to give religion a clear field, it seeks to destroy culture.

이러한 해법은 첫 번째보다는 낳다.
This solution is better than the first.

이는 얄팍한 낙관주의나 인간성의 신성화에 빠지는 대신에, 세상의 심각한 악을 인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과장된 해결책으로부터도 위축되지 않는다.
Instead of indulging in a shallow optimism or deification of humanity, it recognizes the profound evil of the world, and does not shrink from the most heroic remedy.

세상은 자체적으로 구원의 방법을 강구할 수 없을 정도로 악하다.
The world is so evil that it cannot possibly produce the means for its own salvation.

구원은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오는 전적으로 새로운 삶의 선물이 되어야 한다.
Salvation must be the gift of an entirely new life, coming directly from God.

그러므로, 논의하려는 것은, 이 세상의 문화가 최소한 기독교에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argued, the culture of this world must be a matter at least of indifference to the Christian.

극단적인 형태로서의 이러한 해법은 좀처럼 반론이 요구되지 않는다.
Now in its extreme form this solution hardly requires refutation.

만약에 기독교가 실제로, 우리가 진리를 이해하는 유일한 수단인 이성을 거절한다고 하면, 우리는 당연히 기독교를 수정하거나 버려야만 할 것이다.
If Christianity is really found to contradict that reason which is our only means of apprehending truth, then of course we must either modify or abandon Christianity.

그러므로 우리는 지식을 습득하는 데서 완전히 자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We cannot therefore be entirely independent of the achievements of the intellect.

더군다나 우리는 복음을 전파하기 위하여 인쇄술, 철도, 우리의 통신등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것들을 생산하는 인간의 마음의 이러한 활동이 악하다고 비난하는 모순이 없이 이를 이용할 수는 없는 것이다.
Furthermore, we cannot without inconsistency employ the printing-press, the railroad, the telegraph in the propagation of our gospel, and at the same time denounce as evil those activities of the human mind that produced these things.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생산된 것은 단순히 실천적인 창조적 재능의 한 부분으로 나타난 것일 뿐만이 아니라, 그 뒤에는 단순히 알고자 하는 욕망에 의하여 촉발된 순수 과학에 대한 탐구가 작용하고 있다.
And in the production of these things not merely practical inventive genius had a part, but also, back of that, the investigations of pure science animated simply by the desire to know.

그러므로 이러한 극단적 형태에서는 모든 지적인 활동을 삼가야 하기에 이와 같은 두 번째 해법은 우리들 가운데 아무도 채택되지는 않을 것이다.
In its extreme form, therefore, involving the abandonment of all intellectual activity, this second solution would be adopted by none of us.

그러나 오늘날 교회에서의 매우 많은 경건한 사람들이 본질적으로, 그리고 영적으로 이러한 해법을 채택하고 있다.
But very many pious men in the Church today are adopting this solution in essence and in spirit.

그들은 그리스도인이 인간의 문화에서 한 몫을 하여야 한다는 데는 동의한다.
They admit that the Christian must have a part in human culture.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활동을 필요악- 복음이 성취되는 더 높은 목적을 위하는 것으로서, 엄격하게 제한된 의무라는 의미에서 실행될 필요가 있는 위험하고 무가치한 일- 으로 간주한다
But they regard such activity as a necessary evil—a dangerous and unworthy task necessary to be gone through with under a stern sense of duty in order that thereby the higher ends of the gospel may be attained.

이러한 사람들은 열정을 가지고- 이러한 열정을 그들은 복음에 충성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려 한다-어떠한 모습으로도 예술이나 과학에 절대로 참여할 수 없다.
Such men can never engage in the arts and sciences with anything like enthusiasm—such enthusiasm they would regard as disloyalty to the gospel.

이러한 입장은 실제로 비논리적이며 또한 비성경적이다.
Such a position is really both illogical and unbiblical.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어떤 마음의 능력을 주셨으며, 우리 안에 지울 수 없는 확신, 즉 이러한 능력이 실행되어야만 한다는 확신을 심어주셨다.
God has given us certain powers of mind, and has implanted within us the ineradicable conviction that these powers were intended to be exercised.

성경에도 역시 열정이 결여되어있지 않으며, 아름다움에 대한 예리한 감상이 결여되어있지 않은 시를 포함하고 있다.
The Bible, too, contains poetry that exhibits no lack of enthusiasm, no lack of a keen appreciation of beauty.

문제의 두 번째 해법을 가지고는 만족하며 안심할 수가 없다.
With this second solution of the problem we cannot rest content.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움을 알고 사랑하려는 욕망은 완전하게 잠재울 수 없는 것이며, 우리는 이러한 욕망을 끝까지 악하다고 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Despite all we can do, the desire to know and the love of beauty cannot be entirely stifled, and we cannot permanently regard these desires as evil.

그렇다면 대립 관계에 있는 기독교와 문화는 오직 싸우려는 힘에 의하여 어느 한쪽이 파괴되면서 정착되어야만 하는가?
Are then Christianity and culture in a conflict that is to be settled only by the destruction of one or the other of the contending forces?

다행에도 세 번째 해법은 가능한데, 즉 봉헌하는 것이다.
A third solution, fortunately, is possible—namely consecration.

예술이나 과학을 파괴하거나 혹은 이들에 무관심하기보다는, 이들을 최상의 인간성으로 모든 열심을 가지고 계발하면서, 동시에 이를 우리 하나님을 위하여 봉헌하도록 하는 것이다.
Instead of destroying the arts and sciences or being indifferent to them, let us cultivate them with all the enthusiasm of the veriest humanist, but at the same time consecrate them to the service of our God.

지식을 쌓음으로서, 혹은 아름다운 것을 감상함으로서 오는 기쁨을 억제하기보다는, 이러한 기쁨을 하늘의 아버지의 선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Instead of stifling the pleasures afforded by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by the appreciation of what is beautiful, let us accept these pleasures as the gifts of a heavenly Father.

(하나님) 나라와 세상 사이의 구분을 제거하거나, 혹은 다른 한편으로 세상으로부터 일종의 현대의 지적인 수도원주의로 위축되는 대신에, 기쁘게, 열정적으로 세상을 하나님께 복종하도록 나아가는 것이다.
Instead of obliterat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Kingdom and the world, or on the other hand withdrawing from the world into a sort of modernized intellectual monasticism, let us go forth joyfully, enthusiastically to make the world subject to God.

문제에 대한 이와 같은 해결책에는 분명히 명백한 유익들이 있다.
Certain obvious advantages are connected with such a solution of the problem.

첫째로는 논리적 유익이다.
In the first place, a logical advantage.

사람은 오직 자신이 참되다고 여기는 것을 믿을 수 있다.
A man can believe only what he holds to be true.

우리는 기독교가 참되다고 여기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인 것이다.
We are Christians because we hold Christianity to be true.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기독교가 거짓이라고 여긴다.
But other men hold Christianity to be false.

누가 옳단 말인가?
Who is right?

이러한 질문은 오직 양쪽으로부터 제시된 논리를 조사하고 비교하여야만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question can be settled only by an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the reasons adduced on both sides.

사실은 우리에게 있는 신앙의 근거의 한 가지는 우리가 공유할 수 없는 내적인 경험- 죄를 자각하며, 회심하고, 하나님과의 교제를 지속하는 것으로 시작된 대단한 경험-으로서 이러한 경험은 다른 이들이 소유하지 않은 것이기에 우리는 이를 근거로 하여 직접적으로 논쟁의 기초를 삼지는 못한다.
It is true, one of the grounds for our belief is an inward experience that we cannot share—the great experience begun by conviction of sin and conversion and continued by communion with God—an experience which other men do not possess, and upon which, therefore, we cannot directly base an argument.

그러나 우리의 입장이 옳다면 우리는 최소한 마땅히 다른 이에게 그의 논리가 결론이 나지 않는 것임을 보여줄 수 있어야만 한다.
But if our position is correct, we ought at least to be able to show the other man that his reasons may be inconclusive.

그리고 이것은 질문의 양쪽 측면에 대한 조심스러운 탐구가 수반 되어야만 한다.
And that involves careful study of both sides of the question.

더군다나, 기독교의 싸움터는 세상이다.
Furthermore, the field of Christianity is the world.

기독교인은, 어떠한 인간의 행동이 기독교에 반대하거나 혹은 기독교에 전혀 연관되지 않는 한에는, 만족 할 수 없는 것이다.
The Christian cannot be satisfied so long as any human activity is either opposed to Christianity or out of all connection with Christianity.

기독교는 단순히 모든 국가들 뿐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의 생각에 까지도 침투되어야만 한다.
Christianity must pervade not merely all nations, but also all of human thought.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인간이 진지하게 열심을 내는 어떠한 분야든지 무관심할 수는 없는 것이다.
The Christian, therefore, cannot be indifferent to any branch of earnest human endeavor.

이는 모두 복음에 어느 정도는 관계되어야만 한다.
It must all be brought into some relation to the gospel.

이러한 것은 모두, 잘못된 것으로 증명되기 위해서, 혹은 하나님 나라를 진전 시키는데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서, 연구되어져야만 한다.
It must be studied either in order to be demonstrated as false, or else in order to be made useful in advancing the Kingdom of God.

(하나님) 나라는 광범위하게 뿐만이 아니라 집약적으로 진전이 되어야만 한다.
The Kingdom must be advanced not merely extensively, but also intensively.

교회는 그리스도를 위해서 모든 사람 뿐만이 아니라 사람의 모든 것을 정복할 것을 모색하여야만 한다.
The Church must seek to conquer not merely every man for Christ, but also the whole of man.

우리는 우리 자신이 낙담해 있을 때, 모든 무릎이 복종하며 예수는 주시라고 모든 혀가 고백하는 때를 생각하면서, 우리 자신을 격려하는데 익숙해있다.
We are accustomed to encourage ourselves in our discouragements by the thought of the time when every knee shall bow and every tongue confess that Jesus is Lord.

영감의 부족함이 없는 것은 같은 거대한 극치의 다른 측면이다.
No less inspiring is the other aspect of that same great consummation.

그때는 또한 의심이 사라지며, 모든 부딪힘이 제거되며, 모든 과학은 하나의 거대한 확신으로 귀결되며, 모든 예술은 하나의 거대한 목적에 드려지게 되며, 모든 인간의 생각은 예수의 깨끗케하고, 고상하게 하는 영향으로 인하여 정결케되며, 모든 사고는 그리스도의 순종에 복종하며 드려지게 된다.
That will also be a time when doubts have disappeared, when every contradiction has been removed, when all of science converges to one great conviction, when all of art is devoted to one great end, when all of human thinking is permeated by the refining, ennobling influence of Jesus, when every thought has been brought into subjection to the obedience of Christ.

만약에 우리들 가운데 현실적인 사람들 일부에게 이러한 우리들의 해법의 유익이 막연하게 느껴진다면, 우리는 교회 안에서 단순히 지적이고 예술적인 활동들의 다수의 유익을 지적할 수 있다.
If to some of our practical men, these advantages of our solution of the problem seem to be intangible, we can point to the merely numerical advantage of intellectual and artistic activity within the Church.

우리 모두가 동의하는 것은 최소한 교회의 한 가지 커다란 기능은 개개인을 회심 시키는 것이다.
We are all agreed that at least one great function of the Church is the conversion of individual men.

선교에 대한 움직임은 우리 시대의 커다란 신앙적 움직임이다.
The missionary movement is the great religious movement of our day.

그리고서 사람들 각자가 예수께 이끌려야 한다는 것은 완전히 사실이다.
Now it is perfectly true that men must be brought to Christ one by one.

복음의 전도에는 수고를 줄이는 장치가 없다. 이는 모두 손길이 가야 하는 것이다.
There are no laborsaving devices in evangelism. It is all hand-work.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복음을 받아들이기에 잘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커다란 실수가 될 것이다.
And yet it would be a great mistake to suppose that all men are equally well prepared to receive the gospel.

사실 결정적인 것은 하나님의 거듭나게 하시는 능력이다.
It is true that the decisive thing is the regenerative power of God.

이러한 것은 모든 부족한 준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이것이 없이는 최상의 준비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That can overcome all lack of preparation, and the absence of that makes even the best preparation useless.

그러나 사실은 하나님께서 종종 인간의 마음의 이전의 특정한 상황과 연결 시키셔서 이러한 능력을 발휘하기도 하시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한에는,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아서, 복음을 받아들이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의 몫이 되어야한다.
But as a matter of fact God usually exerts that power in connection with certain prior conditions of the human mind, and it should be ours to create, so far as we can, with the help of God, thos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reception of the gospel.

복음을 받아들이는데 가장 커다란 장애물들은 잘못된 개념들이다.
False ideas are the greatest obstacles to the reception of the gospel.

만약에 우리에게 저항할 수 없는 논리의 힘으로, 기독교가 단순히 해롭지 않은 망상 이상의 것이 아니라고 여겨지지 않도록 국가와 세계의 모든 종합적인 사고가 통제되는 것을 허용을 한다면, 우리는 개혁주의자로서 모든 열심을 다하여 가르침으로서, 아직은 여기 저기서 방황하는 이들에게는 승리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다.
We may preach with all the fervor of a reformer and yet succeed only in winning a straggler here and there, if we permit the whole collective thought of the nation or of the world to be controlled by ideas which, by the resistless force of logic, prevent Christianity from being regarded as anything more than a harmless delusion.

이와 같은 환경이라면,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장애물을 근원적으로 파괴하는 것을 원하실 것이다.
Under such circumstances, what God desires us to do is to destroy the obstacle at its root.

많은 이들이, 대중적인 주창자들이 가르치는 방식으로 공격함으로서, 신학교에서와 같은 싸움을 하려는 잘못을 범하려고 한다.
Many would have the seminaries combat error by attacking it as it is taught by its popular exponents.

대신에 그들은 대학의 테두리 바깥에 있는 알려지지 않은 많은 독일 이름으로 자신들의 학생들을 혼란케 하고있다.
Instead of that they confuse their students with a lot of German names unknown outside the walls of the universities.

이러한 과정의 방식은, 널리 퍼져있는 개념에 대하여, 단순히 심오한 믿음을 근거로 하는 것이다.
That method of procedure is based simply upon a profound belief in the pervasiveness of ideas.

오늘날 학계의 견해에서의 문제는 앞 날에 군대를 움직여서 제국들을 허물려는 것이다.
What is today matter of academic speculation begins tomorrow to move armies and pull down empires.

그 다음 단계에서는, 싸우기에는 너무 멀리 가버리는 것으로서; 멈췄어야 할 때는 아직 냉정하게 논쟁할만한 문제로 남아있을 때였던 것이다.
In that second stage, it has gone too far to be combatted; the time to stop it was when it was still a matter of impassionate debate.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기독교를 논리적 불합리 이상의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세상의 생각을 만들어가는 시도하여야만 할 것이다.
So as Christians we should try to mold the thought of the world in such a way as to make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something more than a logical absurdity.

생각 있는 사람들은, 왜 우리의 위대한 이스턴 대학의 학생들이 더 이상 목회를 하지도 않거니와, 기독교에 대하여 어떠한 매우 생기 있는 관심을 보여주지도 않는가에 대하여 의아해 할 것이다.
Thoughtful men are wondering why the students of our great Eastern universities no longer enter the ministry or display any very vital interest in Christianity.


다른 직업들의 매력이 증가한다는- 하여튼 불합리한 설명으로서 다른 직업들은 사람이 좀처럼 삶을 영위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람이 넘쳐 나기에- 것과 같이 완전히 부적합한 다양한 설명들이 제기되기도 한다.
Various totally inadequate explanations are proposed, such as the increasing attractiveness of other professions—an absurd explanation, by the way, since other professions are becoming so over-crowded that a man can barely make a living in them.

이것에 상응되는 실제적 어려움은-그 시대의 생각으로서, 대학에서 가장 강하게 느끼도록 만드는 것으로서, 이들로부터 불가피하게 사람들의 집단들으로 퍼져나가겠지만- 기독교를 완전히 반대하는 것이며, 혹은 거의 마찬가지로 나쁜 것으로서, 최소한 기독교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는 것이다.
The real difficulty amounts to this—that the thought of the day, as it makes itself most strongly felt in the universities, but from them spreads inevitably to the masses of the people, is profoundly opposed to Christianity, or at least—what is nearly as bad—it is out of all connection with Christianity.

교회는 이것과 싸움을 하거나, 혹은 적응 되거나 할 수가 없는데 이는 교회가 단순히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Church is unable either to combat it or to assimilate it, because the Church simply does not understand it.

이와 같은 환경에서, 거듭나는 강력한 경험을 겪은 이들이, 세상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인의 경험에서 받아 들여지는 절대적으로 관계가 있는 일련의 사실들을 무시하지 않는 것보다도 이들에게 더욱 압박을 주는 의무는 무엇이겠으며, 이들이 실수하지 않고 진리의 도구로 삼기 위하여 자신들이 세상의 사고를 갖추도록 하는 것보다도 더 압박을 주는 의무가 무엇이겠는가?
Under such circumstances, what more pressing duty than for those who have received the mighty experience of regeneration, who. therefore, do not, like the world, neglect that whole series of vitally relevant facts which is embraced in Christian experience—what more pressing duty than for these men to make themselves masters of the thought of the world in order to make it an instrument of truth instead of error?

교회는 개개인이 세상을 잊도록 도와주는데 몰두할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The Church has no right to be so absorbed in helping the individual that she forgets the world.

우리들의 문제 해법에는 두 가지 결함이 있다.
There are two objections to our solution of the problem.

첫 번째로, 만약에 당신이 문화와 기독교를 긴밀하게 결합시킨다면 기독교가 문화를 파괴하지 않겠는가?
If you bring culture and Christianity thus into close union—in the first place, will not Christianity destroy culture?

예술과 과학은 번성하기 위하여 독립해야만 하지 않겠는가?
Must not art and science be independent in order to flourish?

우리는 이것이 모두 그것들이 의존하는 속성에 달려 있다고 답할 것이다.
We answer that it all depends upon the nature of their dependence.

어떤 외부적인 권위나 혹은 심지어 어떤 인간의 권위에 종속되는 것은 예술과 과학에 치명적이다.
Subjection to any external authority or even to any human authority would be fatal to art and science.

그러나 하나님께 종속되는 것은 전혀 다르다.
But subjection to God is entirely different.

사실 인간의 능력들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은 이것들을 파괴 시키는 것이 아니라 높이는 것이라고 밝혀졌다.
Dedication of human powers to God is found, as a matter of fact, not to destroy but to heighten them.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힘들을 주셨다.
God gave those powers.

그분은 이것들이 어리석게 자신의 선물을 파괴하지 않는다는 것을 충분히 잘 이해하신다.
He understands them well enough not bunglingly to destroy His own gifts.

두 번째로는, 문화가 기독교를 파괴하지 않겠는가?
In the second place, will not culture destroy Christianity?

만약에 당신이 당신의 관심를 성경에 제한 시키고, 세상적 사고로 인한 모험으로 파멸에 이끌려가도록 하지 않는다면, 부지런한 그리스도인에게 이것이 쉽지 않다고 말할 수는 없지 않겠는가?
Is it not far easier to be an earnest Christian if you confine your attention to the Bible and do not risk being led astray by the thought of the world?

우리는 물론 이것이 더 쉽다고 말한다.
We answer, of course it is easier.

지적인 수도원에 당신을 가두어 넣거나, 거듭나지 않은 사람들의 생각으로부터 당신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한다면, 당연히 이는, 마치 전쟁터보다는 편안한 피한지에서 좋은 군인이 되는 것이 더 쉬운 것과 같이, 그리스도인에게 훨씬 쉽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Shut yourself up in an intellectual monastery, do not disturb yourself with the thoughts of unregenerate men, and of course you will find it easier to be a Christian, just as it is easier to be a good soldier in comfortable winter quarters than it is on the field of battle.

당신은 당신 자신의 영혼을 구하겠지만 주의 적군은 전쟁터를 소유한 상태로 있을 것이다.
You save your own soul—but the Lord’s enemies remain in possession of the field.

그러나 누가 이러한 볼품없고, 저항하는 인간의 생각의 집합체를 복음에 복종하게 되기까지 변혁시킬수있으며, 누가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겠는가?
But by whom is this task of transforming the unwieldy, resisting mass of human thought until it becomes subservient to the gospel—by whom is this task to be accomplished?

의심의 여지없이 어느 정도는 신학교들과 대학교들에 있는 교수들이 해야 한다.
To some extent, no doubt, by professors in theological seminaries and universities.

그렇다고 일반적인 복음 사역자라고 자신의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But the ordinary minister of the gospel cannot shirk his responsibility.

조사보고하는 것이 몇몇의 전문가- 그들의 작업은 자신들 말고는 아무도 관심이 없는- 들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수행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커다란 실수다.
It is a great mistake to suppose that investigation can successfully be carried on by a few specialists whose work is of interest to nobody but themselves.

많은 생각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필요한 것이다.
Many men of many minds are needed.

우리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특히 우리 미국의 교회들에서, 신학의 문제들에 대하여 좀 더 일반적인 관심을 갖는 것이다,
What we need first of all, especially in our American churches, is a more general interest in the problems of theological science.

이러한 것이 없이는, 전문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작업을 수행하게 끔 용기를 주는 격려하는 분위기가 없는 것이다.
Without that, the specialist is without the stimulating atmosphere which nerves him to do his work.

삶에서의 위치가 무엇이든 간에, 학자는 거듭난 사람이어야 하며, 그는 자신의 신앙적 경험의 강도나 깊이에 있어서 어느 누구에게도 굴복 되어서는 안된다.
But no matter what his station in life, the scholar must be a regenerated man—he must yield to no one in the intensity and depth of his religious experience.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는 이러한 자질이 없는 우수한 학자들이 넘쳐 나고 있다.
We are well supplied in the world with excellent scholars who are without that qualification.

그들은 세부적으로, 성경 철학에서, 해석학에서, 성경 신학에서, 그리고 다른 연구 분야에서 유용한 일들을 하고있다.
They are doing useful work in detail, in Biblical philology, in exegesis, in Biblical theology, and in other branches of study.

그러나 그들은 중대한 과제를 수행하지 않으며, 현대의 사상을 기독교에 동화 시키지 않는데, 이는 그들에게 기독교의 필수적 요소인 영적인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But they are not accomplishing the great task, they are not assimilating modern thought to Christianity, because they are without that experience of God’s power in the soul which is of the essence of Christianity.

그들은 비교하는데 있어서 오직 한쪽 측면 만을 가지고 있다.
They have only one side for the comparison.

그들은 현대 사상을 알고 있지만 기독교는 그들에게 실제로 생소한 것이다.
Modern thought they know, but Christianity is really foreign to them.

참된 그리스도인 학자의 역할로서, 중요한 내면의 경험이 세상의 사상과 어떤 종류의 연결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은 정당한 것이다.
It is just that great inward experience which it is the function of the true Christian scholar to bring into some sort of connection with the thought of the world.

지난 30년 동안에 기독교 교회에는 엄청난 결함이 있어왔다.
During the last thirty years there has been a tremendous defection from the Christian Church.

이것은 심지어 표면적인 것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났다.
It is evidenced even by things that lie on the surface.

예를 들면, 교회 출석자와 안식일의 준수와 목회 후보자들의 수적인 감소인 것이다.
For example, by the decline in church attendance and in Sabbath observance and in the number of candidates for the ministry.

사실은, 특별한 설명들이 종종 이러한 낙담적인 경향을 보여준다.
Special explanations, it is true, are sometimes given for these discouraging tendencies.

그러나 왜 우리는 스스로를 속여야만 하며, 얄팍한 설명으로 스스로의 위안을 삼으려고 하는가?
But why should we deceive ourselves, why comfort ourselves by palliative explanations?

사실을 직시해보자.
Let us face the facts.

교회 출석의 감소와 안식일 준수를 게을리하는 것은 단순히 표면적으로 기독교의 역량의 감소를 가리키는 것이다.
The falling off in church attendance, the neglect of Sabbath observance—these things are simply surface indications of a decline in the power of Christianity.

기독교는 30년 전에 발휘하였던 것보다도 오늘날 시민화된 사회에서 훨씬 능력이 적은 직접적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
Christianity is exerting a far less powerful direct influence in the civilized world today than it was exerting thirty years ago.

이러한 상당한 결함의 원인이 무엇이란 말인가?
What is the cause of this tremendous defection?

나의 입장에서는, 주저하지 않고 이것이 주로 지적인 영역에 있다고 말할 것이다.
For my part, I have little hesitation in saying that it lies chiefly in the intellectual sphere.

사람들은 기독교가 참된지 더 이상 확신할 수 없기에 기독교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Men do not accept Christianity because they can no longer be convinced that Christianity is true.

일리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사실인가?
It may be useful, but is it true?

물론 다른 설명들도 있다.
Other explanations, of course, are given.

교회의 현대적 결점 뒤에는 시대의 실질적인 물질주의가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The modern defection from the Church is explained by the practical materialism of the age.

사람들은 돈을 버는데 너무 많이 몰두해있기에 영적인 것들을 위한 시간이 없는 것이다.
Men are so much engrossed in making money that they have no time for spiritual things.

이러한 설명은 어떤 분야에서는 유용하다.
That explanation has a certain range of validity.

그러나 이러한 분야는 제한되어있다.
But its range is limited.

이는 아마도 서구의 붐비는 도회지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곳에서는 사람들이 갑작스러운 무한한 부의 가능성을 향해 중독되어있다.
It applies perhaps to the boom towns of the West, where men are intoxicated by sudden possibilities of boundless wealth.

그러나 기독교의 결함은 그것보다도 훨씬 넓다.
But the defection from Christianity is far broader than that.

이것은 미국보다도 훨씬 더 안정되어있는 유럽의 국가들에서도 느낄 수 있다.
It is felt in the settled countries of Europe even more strongly than in America.

이것은 부자들 사이에서 만큼이나 강하게 가난한 이들 사이에서도 느낄 수 있다.
It is felt among the poor just as strongly as among the rich.

마지막으로 이것은 무엇보다도 강하게 대학들에서 느낄 수 있는데, 이것만이 결함의 진정한 원인이 지적인데 있다는 것 이상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Finally it is felt most strongly of all in the universities, and that is only one indication more that the true cause of the defection is intellectual.

매우 광범위하게, 우리의 위대한 이스턴 대학의 학생들이- 그리고 아직 유럽의 더 많은 대학들에서도- 그리스도인이 아니다.
To a very large extent, the students of our great Eastern universities—and still more the universities of Europe—are not Christians.

그리고 그들은 흔히들 자주 학생들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이 아니다.
And they are not Christians often just because they are students.

이 시대의 사상은, 대학에서 가장 강하게 느끼도록 만들듯이, 명백하게 기독교와 대립 되거나, 혹은 최소한 기독교와 관계가 없는 것이다.
The thought of the day, as it makes itself most strongly felt in the universities, is profoundly opposed to Christianity, or at least it is out of connection with Christianity.

오늘날 기독교 신앙의 주된 장애물은 지적인 영역에 뫃여있다.
The chief obstacle to the Christian religion today lies in the sphere of the intellect.

이러한 주장은 두 가지의 잘못된 개념으로부터 보호되어야만 한다.
That assertion must be guarded against two misconceptions.

첫 번째로는,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적인 어려움으로 인해서 의식적으로 기독교를 거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irst place, I do not mean that most men reject Christianity consciously on account of intellectual difficulties.

이와는 반대로, 기독교에 대한 거부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가 단순한 무관심에 기인한다.
On the contrary, rejection of Christianity is due in the vast majority of cases simply to indifference.

오직 일부의 사람들만이 주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관심을 가져준다.
Only a few men have given the subject real attention.

복음을 거부하는 거의 대부분은 단순히 그들이 거의 아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The vast majority of those who reject the gospel do so simply because they know nothing about it.

그러면 무엇 때문에 이러한 무관심이 생기는가?
But whence comes this indifference?

이것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지적인 분위기로 인한 것이다.
It is due to the intellectual atmosphere in which men are living.

현대 세계는 복음을 무시하는 사상들에 지배를 받고 있다.
The modern world is dominated by ideas which ignore the gospel.

현대 문화가 전부 다같이 복음에 대립되는 것은 아니다.
Modern culture is not altogether opposed to the gospel.

그러나 이것(현대문화)은 (복음과) 전혀 관계가 없다.
But it is out of all connection with it.

이것은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하는 것 뿐만이 아니다.
It not only prevents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이는 기독교를 듣는 것 조차도 못하게 한다.
It prevents Christianity even from getting a hearing.

두 번째로는, 나는 지적인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서 사람을 기독교인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In the second place, I do not mean that the removal of intellectual objections will make a man a Christian.

단순한 논의로서 회심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No conversion was ever wrought simply by argument.

또한 마음의 변화도 필요하다.
A change of heart is also necessary.

그리고 이것은 하나님의 능력이 바로 실행되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And that can be wrought only by the immediate exercise of the power of God.

그러나 지적인 수고가 부족함으로 인해서, 이것은 흔히 불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것과 같은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But because intellectual labor is insufficient it does not follow as is so often assumed, that it is unnecessary.

사실 하나님께서는 즉각적으로 자신의 거듭나게 하는 능력을 발휘하셔서 모든 지적인 장애물들을 넘어서실 수도 있으시다.
God may, it is true, overcome all intellectual obstacles by an immediate exercise of His regenerative power.

이따금씩 그렇게도 하신다.
Sometimes He does.

그러나 매우 드물게 그렇게 하신다.
But He does so very seldom.

흔히는 인간 마음의 특정한 상태와 연계 시켜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신다.
Usually He exerts His power in connection with certain conditions of the human mind.

그분은 좀처럼, 복음을 받아들이는 것을 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개념들에 완전히 지배를 받는 마음과 욕망을 가진 사람들이, 전혀 아무 준비 없이 (하나님) 나라에 들어오도록 하시지는 않으신다.
Usually He does not bring into the Kingdom, entirely without preparation, those whose mind and fancy are completely dominated by ideas which make the acceptance of the gospel logically impossible.

현대 문화는 상당한 힘이다.
Modern culture is a tremendous force.

이는 사회의 모든 층에 영향을 미친다.
It affects all classes of society.

이는 배운 사람 뿐만이 아니라 무지한 사람에게도 영향을 준다.
It affects the ignorant as well as the learned.

이에 관하여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What is to be done about it?

우선 교회가 단순히 충돌을 회피할 수도 있다.
In the first place the Church may simply withdraw from the conflict.

단순하게 현대 사상의 거대한 흐름에 무관심하거나, 단지 시대의 조류에 역행 하는 일을 할 수도 있다.
She may simply allow the mighty stream of modern thought to flow by unheeded and do her work merely in the back-eddies of the current.

세상에는 아직도 현대 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은 일부 사람들이 있다.
There are still some men in the world who have been unaffected by modern culture.

그들은 지적인 수고 없이도 아직 그리스도를 위하여 승리한 상태일 수도 있다.
They may still be won for Christ without intellectual labor.

그리고 그들은 틀림없이 이겼다.
And they must be won.

이것은 유용하고 필요한 일이다.
It is useful, it is necessary work.

만약에 교회가 이것 만으로 만족해 한다면, 성직자들에 대한 과학적 교육은 포기해야만 한다.
If the Church is satisfied with that alone, let her give up the scientific education of her ministry.

교회는 자신의 메세지의 진실성에 대하여 책임을 지도록 하여야 하며, 이것이 현대의 산업과 사회 상황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겸손하게 배워야만 한다.
Let her assume the truth of her message and learn simply how it may be applied in detail to modern industrial and social conditions.

교회로 하여금 힘든 헬라어나 히브리어 공부는 포기하도록 하여야 한다.
Let her give up the laborious study of Greek and Hebrew.

세상 사람들에 대한 역사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그만두어야만 한다.
Let her abandon the scientific study of history to the men of the world.

과학적인 관심이 점증하는 시대에 교회는 좀 덜 과학적이 되어야 한다.
In a day of increased scientific interest, let the Church go on becoming less scientific.

전문화가 진행되고, 철학과 역사에 대한 관심이 새로워지고, 과학적 방법이 좀 더 논리적이 되는 시대에, 교회는 적대자들을 위한 성경을 포기해야만 한다.
In a day of increased specialization, of renewed interest in philology and in history, of more rigorous scientific method, let the Church go on abandoning her Bible to her enemies.

그들은, 만약에 교회가 하지 않는다면, 그것(성경)을 과학적으로 연구해서, 자신들의 결론을 내릴 것이다.
They will study it scientifically, rest assured, if the Church does not.

교회는 자신의 복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사회학을 전부 히브리인이나, 실제적 전문가로 대신하게 하여야 한다.
Let her substitute sociology altogether for Hebrew, practical expertness for the proof of her gospel.

교회는 자신의 사역에 대한 준비를 줄이도록 하여야 하며, 좀 더 미성숙한 실질적 행동으로 인하여 방해 받는 것을 허용하여야 한다.
Let her shorten the preparation of her ministry, let her permit it to be interrupted yet more and more by premature practical activity.

이렇게 함으로서 교회는 여기 저기에서 낙오자들에 대하여 승리할 것이다.
By doing so she will win a straggler here and there.

그러나 교회의 승리는 일시적일 뿐이다.
But her winnings will be but temporary.

현대 문화의 커다란 흐름은 빠르든 늦든 간에 교회의 보잘것 없는 소용돌이를 집어삼킬 것이다.
The great current of modern culture will sooner or later engulf her puny eddy.

하나님께서는 어느 정도는 구해주실 것이지만 깊이는 없는 것이다.
God will save her somehow—out of the depths.

그러나 수세기의 수고는 사라져버릴 것이다.
But the labor of centuries will have been swept away.

교회가 이것에서 손을 때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하나님은 인정하신다.
God grant that the Church may not resign herself to that.

하나님께서는 교회가 자신의 문제를 똑바로 과감하게 직시해야 한다고 인정하신다.
God grant she may face her problem squarely and bravely.

문제는 쉽지만은 않다.
That problem is not easy.

이는 자신의 신앙의 분명한 기본에 관계되는 것이다.
It involves the very basis of her faith.

기독교는, 그리스도가 죽음에서 살아나셨다는 역사적 사실을 선언하는 것이다.
Christianity is the proclamation of an historical fact—that Jesus Christ rose from the dead.

현대 사상은 이러한 선언을 받아들일 만한 여지가 없다.
Modern thought has no place for that proclamation.

이(현대 사상)는 사람들이 복음을 듣는 것 조차도 막고 있다.
It prevents men even from listening to the message.

그렇다고 오늘날의 문화를 전적으로 거부할 수 있는 것 만은 아니다.
Yet the culture of today cannot simply be rejected as a whole.

이는 1세기의 이교도 문화와 같은 것이 아니다.
It is not like the pagan culture of the first century.

이는 전적으로 비기독교적인 것도 아니다.
It is not wholly nonChristian.

많은 부분이 직접적으로 성경으로부터 유래되었다.
Much of it has been derived directly from the Bible.

그 안에는 중요한 움직임들이 있는데, 헛점이 될 수도 있지만, 이는 복음을 변론 하는데 잘 사용될 수도 있다.
There are significant movements in it, going to waste, which might well be used for the defence of the gospel.

그 입장은 복잡하다.
The situation is complex.

전체를 통틀어 쉽게 재단하는 것은 적절하지가 않다.
Easy wholesale measures are not in place.

분별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Discrimination, investigation is necessary.

어떤 현대 사상은 잘못이 증명되어야만 한다.
Some of modern thought must be refuted.

나머지는 종속시켜야만 한다.
The rest must be made subservient.

그러나 그 가운데 무시할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But nothing in it can be ignored.

우리와 함께하지 않는 이는 우리를 대적하는 자이다.
He that is not with us is against us.

현대 문명은 거대한 힘이다.
Modern culture is a mighty force.

이는 복음에 종속되든지, 그렇지 않으면 복음에 치명적인 적인 것이다.
It is either subservient to the gospel or else it is the deadliest enemy of the gospel.

이를 종속 시키기 위해서는, 신앙적인 정서로는 불충분하고, 지적인 수고가 또한 필요하다.
For making it subservient, religious emotion is not enough, intellectual labor is also necessary.

그러고 이러한 수고는 무시되고 있다.
And that labor is being neglected.

교회는 좀 더 쉬운 일에 의지했다.
The Church has turned to easier tasks.

그래서 지금 교회는 자신의 게으름의 열매를 거두고 있다.
And now she is reaping the fruits of her indolence.
이제 교회는 자신의 생명을 위하여 싸워야만 한다.
Now she must battle for her life.

상황은 절망적이다.
The situation is desperate.

이는 우리를 실망시킬 수도있다.
It might discourage us.

그러나 우리가 참된 그리스도인이라면 그렇지 않다.
But not if we are truly Christians.

우리가 부활하신 주와 생명력 있는 교제의 삶을 산다면 그렇지 않다.
Not if we are living in vital communion with the risen Lord.

만약에 우리가 실제로 우리의 복음의 진리에 대하여 확신하고 있다면, 우리는 이를 대적들의 세계 앞에서 선포할 수 있고, 우리의 과업의 심한 어려움과 우리의 동료가 거의 없어도 고무가 될 수가 있으며, 하나님께서 우리를 쉬운 세대에 있게 하시지 않으시고 의심과 혼란과 전쟁의 때에 있게 하신 것도 기뻐할 수 있다.
If we are really convinced of the truth of our message, then we can proclaim it before a world of enemies, then the very difficulty of our task, the very scarcity of our allies becomes an inspiration, then we can even rejoice that God did not place us in an easy age, but in a time of doubt and perplexity and battle.

또한 우리는 다른 군사들을 싸움에 부르시기로 작정하신 것에 대하여도 두려워하지 않으리라는 것이다.
Then, too, we shall not be afraid to call forth other soldiers into the conflict.

우리의 신학교들을 단순한 신앙적 정서의 중심으로 만드는 대신에, 우리는 이를 신앙의 전초기지로 만들어야만 하며, 이곳에서 그리스도인 선생들의 경험에 의한 어느 정도의 도움을 받아,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싸움을 싸우는 것에 대한 가르침을 받으며, 상대의 실제 힘을 제대로 평가하게되며, 지적인 분투의 고된 학습을 통하여 어린아이의 생각없는 신앙을 장성한 사람들의 해박한 확신으로 대체시켜야만한다.
Instead of making our theological seminaries merely centres of religious emotion, we shall make them battle-grounds of the faith, where, helped a little by the experience of Christian teachers, men are taught to fight their own battle, where they come to appreciate the real strength of the adversary and in the hard school of intellectual struggle learn to substitute for the unthinking faith of childhood the profound convictions of full-grown men.

여기서 영적 능력을 상실할 두려움을 갖지 않도록하자.
Let us not fear in this a loss of spiritual power.

오늘날 교회는 사고의 결핍으로 붕괴되는 것이지 그것이 과도해서가 아니다.
The Church is perishing today through the lack of thinking, not through an excess of it.

교회는 물질적 향상의 영역에서 승리를 쟁취하고있는 것이다.
She is winning victories in the sphere of material betterment.

이러한 승리는 영광스러운 것이다.
Such victories are glorious.

하나님께서는 이들을 헐뜯는 냉혹한 죄로부터 우리를 구해주신다.
God save us from the heartless crime of disparaging them.


이들은 사람들의 비극을 경감 시키고있다.
They are relieving the misery of men.

그러나 이들이 홀로 선다면, 이들이 일시적 일 수 있다는 것이 걱정이 괸다.
But if they stand alone, I fear they are but temporary.

보이는 것은 일시적이고;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한 것이다.
The things which are seen are temporal; the things which are not seen are eternal.

만약에 하나님이 제외된다면 자선이 무엇이 되겠는가?
What will become of philanthropy if God be lost?

삶의 표면 밑에는 영적인 세계가 놓여있다.
Beneath the surface of life lies a world of spirit.

철학자들은 이를 탐구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Philosophers have attempted to explore it.

기독교는 이러한 기이함을 단순한 영혼으로 나타내고 있다.
Christianity has revealed its wonders to the simple soul.

여기에 교회의 능력의 원천이 놓여있다.
There lie the springs of the Church’s power.

그러나 이러한 영적인 영역은 논쟁이 없이 진입할 수는 없다.
But that spiritual realm cannot be entered without controversy.

그리고 현재 교회는 이러한 논쟁으로부터 위축되어있다.
And now the Church is shrinking from the conflict.

현대 사상의 흐름에 의한 영적인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교회는 논쟁이 없는 것에서 스스로의 위안을 삼고 있다.
Driven from the spiritual realm by the current of modern thought, she is consoling herself with things about which there is no dispute.

만약에 교회가 가난한 이를 위하여 좋은 집을 공급하는 것을 좋아한다면, 교회는 반대가 없는 것에 대하여 두려워해야 한다.
If she favors better housing for the poor, she need fear no contradiction.

교회는 자신에 대한 전적인 격려를 필요로 한다.
She will need all her courage.

교회는 충분히 대적을 갖고 있다는 것을 하나님은 알고 계신다.
she will have enemies enough, God knows.

그러나 그들은 논쟁하면서 교회와 싸우려 하지 않는다.
But they will not fight her with argument.

이론에 의하면, 20세기는 사회적 향상을 위하여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
The twentieth century, in theory, is agreed on social betterment.

그러나 죄, 그리고 죽음, 그리고 구원, 그리고 삶, 그리고 하나님- 이러한 것에 대해서는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But sin, and death, and salvation, and life, and God—about these things there is debate.

당신이 선택한다면 논쟁을 피할 수도 있다,
You can avoid the debate if you choose.

당신은 오직 흐름에 떠내려 가기만 하면 된다.
You need only drift with the current.

당신의 신학교 과정 동안의 매 주일에 설교를하고, 당신의 시간의 힘든 마지막을 연구하고 생각하는데 헌신하며, 당신이 대학에서 공부하였던 것과 같이 공부하고- 그러면 이러한 의문들이 더 이상 당신을 괴롭히지는 않을 것이다.
Preach every Sunday during your Seminary course, devote the fag ends of your time to study and to thought, study about as you studied in college—and these questions will probably never trouble you.

중요한 의문들은 쉽게 피할 수 도 있다.
The great questions may easily be avoided.

많은 설교자들은 이것들을 피하고 있다.
Many preachers are avoiding them.

그리고 많은 설교자들은 공기 만을 진동 시킬 뿐이다.
And many preachers are preaching to the air.

교회는 또 다른 타입의 사람들을 기다리기도한다.
The Church is waiting for men of another type.

자신의 싸움을 싸울 사람과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사람 말이다.
Men to fight her battles and solve her problems.

이들을 찾으려는 희망은 신학교 생활에서 하나의 커다란 활력이다.
The hope of finding them is the one great inspiration of a Seminary’s life.

그들은 모두 뛰어난 학식을 소유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They need not all be men of conspicuous attainments.

그러나 그들은 모두 생각이 있는 사람이어야만 한다.
But they must all be men of thought.

그들은 모두 영적이고 지적인 게으름과 열심히 싸워야 한다.
They must fight hard against spiritual and intellectual indolence.

그들의 사고는 좁은 범위로 한정될 수도있다.
Their thinking may be confined to narrow limits.

그러나 이는 자신의 것이 되어야만 한다.
But it must be their own.

그들에게 신학은 과업 이상의 무엇인가가 되어야 한다.
To them theology must be something more than a task.

이는 탐구하여야 할 일이다.
It must be a matter of inquiry.

이는 성공적으로 기억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진정한 확신으로 귀결되어야만 한다.
It must lead not to successful memorizing, but to genuine convictions.

교회는 세상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당황해 하고있다.
The Church is puzzled by the world’s indifference.
교회는 자신의 메세지를 시대의 유행들에 맞추어서 극복하려고 하고있다.
She is trying to overcome it by adapting her message to the fashions of the day.

그러나 대신에 대립이 있기 전에, 교회가 묵상 할 수 있는 은밀한 장소로 내려간다면, 복음의 분명한 빛으로 교회가 단순히 현재의 질문에 대답할 것을 모색하지 않고, 무엇보다도 먼저, 영적 세계의 영원한 문제에 대하여,
그 다음은 아마도, 하나님의 은혜에 의하여, 그분의 선하신 성령을 통하여, 하나님의 선하신 시간에, 교회가 한 번 더 능력으로 관심사를 제시한다면, 의심의 세대는 믿음의 시기의 여명에 의하여 이끌림 바 될 수도 있다.
But if, instead, before the conflict, she would descend into the secret place of meditation, if by the clear light of the gospel she would seek an answer not merely to the questions of the hour but, first of all, to the eternal problems of the spiritual world, then perhaps, by God’s grace, through His good Spirit, in His good time, she might issue forth once more with power, and an age of doubt might be followed by the dawn of an era of faith.

그레샴 메이첸, 프린스턴.
J. Gresham Machen, Princeton.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명령에 대한 메러디스 클라인의 관점  (0) 2017.07.09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