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왕국 2015. 5. 16. 22:31

교회 권력과 구분되는 국가 권력의 5가지 특징점들
Civil Power is distinct from ecclesiastical power in five particulars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Stuart Robinson의 "The Church of God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Gospel"의 p86-87을 번역한 것으로서, 로빈슨은 미국에서의 남북전쟁 상황에서 일반적인 목회자들과는 달리 강대상을 정치 문제를 다루는데 할애 하지를 않았다. 로빈슨의 이러한 행동은 자신의 교회관이 국가의 정치와는 분리가 되어야 한다는 소신에서 나온 것이었지만, 당시의 전쟁이라는 예민하였던 상황하에서는 용납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결국 로빈슨은 이러한 위협을 피하고자 캐나다 토론토로 도망을 갈 수 밖에 없었다. 로빈슨은 남북전쟁이 끝날 때까지 토론토에 머물면서 국가와 교회를 하나님의 두 왕국 개념으로 정리한 장문의 편지를 아브라함 링컨에게 보내면서 국가와 분리된 자신의 교회관을 분명히 전달하였다. 다음의 5가지 구별 점은 이러한 배경에서 간단 명료하게 정리된 것이다.

즉 (5가지는), 근원, 운영의 원칙, 범위와 목적, 중요한 상징들, 그리고 실행의 형태들에 관한 것이다.
viz: the source, the rule for guidance, the scope and aim, the significant symbols , and the mode of exercise thereof.

교회의 권력과 국가의 권력- 후자도 역시 하나님으로 부터 제정된 것이다- 사이의 차이를 다루는데 있어서 대비시키는 점들은 상당히 다양하고 근원적일 수 있기에, 현대에 와서 시저의 압제로부터 오는 마음의 혼동과 시저의 권력을 등에 업은 적그리스도는 항상 교회의 증거를 불명확하게 하거나 모순이 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가 있다.
Touch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ower ecclesiastical and the civil power--which latter is
ordained by God also--the points of contrast are so numerous and so fundamental that nothing but the confusion of mind arising from the oppression of Caesar, and Antichrist backed by the power of Caesar, could ever have caused the obscurity and inconsistency of the Church's testimony in modern times.

왜냐하면 이들은 양쪽 다 권력이 하나님의 권위로부터 왔다는 것과, 양 쪽 모두 인류의 종족들에 관계되어있고, 양쪽 다 최종적인 목적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세워졌다는 것 말고는 공통점이 없기 때문이다.
For they have nothing in common except that both powers are of divine authority, both concern the race of mankind, and both were instituted for the glory of God as a final end .

그 밖의 모든 점-- 그들의 기원, 성격과 당면한 목적, 그리고 권력을 행하는 형태--에 대하여는 이들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여주고있다.
In respect to all else--their origin, nature and immediate end, and in their mode of exercising the power--they differ fundamentally. Thus, they differ--

1.) 국가의 권력은 자연을 지으신 분으로서의 하나님의 권위로부터 온 것인데 반하여, 교회의 권력은 오직 중재자로서의 예수로부터 온 것이다.
1.) In that the civil power derives its authority from God as the Author of nature, while the power ecclesiastical comes alone from Jesus as Mediator.

2.) 국가의 권력은 이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길잡이가 되는 원칙이 자연과 이성의 빛으로서, 이는 자연을 지으신 이가 인간에게 이성을 통하여 나타내신 법이다; 그러나 교회의 권력이 실행하는 길잡이가 되는 원칙은, 교회의 예언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말씀 안에 나타내신 빛이다. 이것은 이미 왕에 의하여 실행이 되는 성숙된 법에 의한 통치 형태이다.
2.) In that the rule for the guidance of civil power in its exercise is the light of nature and reason, the law which the Author of nature reveals through reason to man; but the rule for the guidance of ecclesiastical power in its exercise is that light which, as Prophet of the Church, Jesus Christ has revealed in his word. It is a government under stature laws already enacted by the King.

3.) 국가의 권력은 영역과 목적에 있어서 보이는 것과 당면한 것에 적절히 제한되어있다; 교회 권력의 영역과 목적은 보리지 않는 영적인 것이다.
3.) They differ in that the scope and aim of the civil power are limited properly to things seen and temporal; the scope and aim of ecclesiastical power are things unseen and spiritual.

신앙은 국가의 행위라도 단정 지을 수 없고, 정치는 교회의 행위라고 단정 지을 수 없는 것이다.
Religious is a term not predicable of the acts of the State; political is a term not predicable of the acts of the Church.

그리스도의 나라에 속하여있는 것들은 시저가 충분히 인지할 수 없는 것과 관계된 것이며, 다만 이러한 것들이 사람들의 당면한 세속적인 관심들에 간접적으로 우연하게 영향을 미칠 뿐이다; 그리고 심지어 시저마저도 역시 교회에 의하여 빈틈없이 관찰될 수는 없는 것이다.
The things pertaining to the kingdom of Christ are things concerning which Caesar can have rightfully no cognizance, except indirectly and incidentally as these things palpably affect the temporal and civil concerns of men ; and even then Caesar cannot be too jealously watched by the Church.

시저의 나라에 속하여있는 것들은 유기적 기관으로서의 그리스도의 교회가 인식 할 수 없는 것이며, 다만 부수적으로 멀리서 사람들의 영적인 일들에 영향을 미칠 뿐이다; 그리고 심지어는 교회 자신도 자신을 빈틈없이 볼 수는 없는 것이다.
The things pertaining to the kingdom of Caesar are matters of which the Church of Christ as an organic government can have no cognizance, except incidentally and remotely as affecting the spiritual interests of men; and even then the Church cannot watch herself too jealously.

4.) 국가 권력의 중요한 상징은 무력이며, 이것의 통치는 힘의 통치이며, 악을 행하는 자에게 두려운 존재이다; 그러나 교회 권력의 중요한 상징은 구원의 열쇠이다, 이것은 오직 목회적으로 통치를 하며, 이의 직무자의 기능은 이미 외적으로나 내적으로 조직화 되고 갖추어진 완성된 구조로서의 집을 열고 닫으며 돌보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4.) They differ in that the significant symbol of the civil power is the sword; its government is a government of force, a terror to evil doers; but the significant symbol of Church power is the keys, it government only ministerial, the functions of its officers to open and close and have a care of a house already complete as to its structure externally, and internally organized and provided.

5.) 국가의 권력은 하나의 재판관, 통치자. 지배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힘으로 행사 될 수 있지만,집행되어지는 교회의 권력은 오직 연합된 힘으로서 위원회에 의하여 실행되어지는 것이다.
5.) They differ in that civil power may be exercised as a several power by one judge, magistrate, or governor; but all ecclesiastical power pertaining to government is a joint power only, and to be exercised by tribunals.

통치기관의 수장은 판결하는 영적인 능력을 어떠한 형태로든 간에 한 사람에게 부여해서는 안될 뿐만이 아니라, 영적인 체제에서 규칙의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권력으로 권위를 부여해서는 안된다.
The Head of the government has not seen fit to confer spiritual power of jurisdiction in any form upon a single man, nor authorized the exercise of the functions of rule in the spiritual commonwealth as a several power


posted by Wonho Kim
:
두 왕국 2015. 5. 15. 18:00
스투아르트 로빈슨이 말하는 교회의 속성과 권위
Stuart Robinson on the Nature and the Authority of the Church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Stuart Robinson은 19세기 중반 버지니아와 켄터키주에서 구학파 장로교의 목회자이면서 신학자로 자신의 저서 "The Church of God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Gospel"을 통하여 두 왕국 개념을 바탕으로 한 교회론을 정립하였다.

D. G. Hart는 신칼빈주의자와 문화변혁주의자(neo-Calvinists and transformers)들이 Robinson의 "The Church of God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Gospel"을 읽었었더라면 두 왕국 논쟁에 대하여 지금과 같이 두 왕국 교리에 대하여 당황하지(flummoxed)않았을 것이라고 말하며 이들은 찰스 핫지나 사무엘 밀러(Charles Hodge or Samuel Miller) 보다는 찰스 피니나 알버트 반즈같은 신학파 장로교인(New School Presbyterians like Charles Finney and Albert Barnes)들에 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은 자신의 저서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p249-256)을 통하여 Stuart Robinson이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하여 어떻게 말을 하고 있는지 다음과 같이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스투아르트 로빈슨은 1814년 북 아일랜드에서 태어낳으며 어린 나이에 미국으로 이주해왔다.
Stuart Robinson was born in 1814 in northern Ireland and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at an early age.

그는 초기에는 부분적으로, 교회와 국가 사이를 구분하는 미국의 관점을 형성하였던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의 역할에 대하여 연대기를 쓴 윌리암 헨리 푸트에게서 교육을 받았으며, 나중에는 신학 훈련을 받기 위하여 프린스턴 신학교로 가게 되었다.
He received some of his primary education under William Henry Foote, chronicler of the Virginia Presbyterians’ role in forging the distinctively American view of church and state, and later went to Princeton Seminary for theological training.

그는 (핫지나 톤웰과 같이) 구학파 장로교인으로서, 버지니아, 켄터키, 그리고 볼티모어에서 목회를 하였으며, 잠시 동안은 덴빌, 켄터키의 장로교 신학교에서 교수로 있었으며, 오랜 시간을 루이스빌 제2 장로교회에서 목사로 섬겼다.
Identified with the Old School Presbyterians (like Hodge and Thornwell), he served pastorates in Virginia, Kentucky, and Baltimore, was a professor for a brief time at the Presbyterian seminary in Danville, Kentucky, and served for many years as pastor of Second Presbyterian Church in Louisville.

로빈슨은 미국의 교회들이 정책과 애국심이라는 고정된 틀에 갖혀 있었던 남북 전쟁의 시기에 교회 영성 교리에 대하여 유명한 대변자가 되었으며, 그는 "장로교 비평"과 "참된 장로교인"이라는 두 가지 정기 간행물을 통하여 수년 동안 이 교리를 진척 시켰었다.
Robinson became well-known as a champion of the doctrine of the spirituality of the church during a time, the Civil War, when politics and patriotism were fixtures of American church life, and he promoted the doctrine for a number of years through two periodicals, the Presbyterial Critic and the True Presbyterian.

그가 이러한 교리를 지지하는 것과, 경계 지역에서의 상황들과는 달리, 강대상을 남과 북의 정치적 근거에 대하여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거절함으로 인하여 그는 심각한 사회적 압력을 받음으로서 1862년 캐나다로 전쟁이 끝날 때까지 도망을 갈 수 밖에 없었다.
His advocacy of this doctrine and, from the distinctive border-state context, his refusal to use his pulpit to promote either the Northern or Southern political cause brought him under serious social pressure that compelled him to flee to Canada in 1862 until the end of the war.

1860년대 후반에는, 영성 교리가 남부 장로교회와 함께 (로빈슨을 포함하여) 켄터키 대부분의 구 학파 장로 교회의 재 편성의 변수가 되었으며, (남부장로교회는) 이 교리를 북부의 구학파 장로 교회를 대항하기 위하여 수용하였다(남부 주의 구학파 교회들은 1861년 북부 주의 구학파 교회와 나뉘어져서 분리된 교파를 형성하였다).
In the late 1860s, the spirituality doctrine was also the moving cause in the realigning of most of the Kentucky Old School Presbyterian churches (including Robinson’s) with the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which had embraced this doctrine over against the Old School Presbyterians of the North (the Old School churches in the Southern states had broken with those of the Northern states in 1861 to form a separate denomination).

로빈슨이 자신의 대부분의 저술들을 통하여 보여주는 우선적 관심은 건전한 교회론을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Of primary concern for Robinson in much of his writings was developing a sound ecclesiology.

그의 대부분의 주요 작품이 가리키는 제목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의 교회는 복음과 사상과 구성과 기능에서 기인하는 필연적인 요소이다.
The very title of his most significant work indicates this: The Church of God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Gospel, and the Idea, Structure, and Functions Thereof.

그는 이 책에서 "이 땅에서 신성하게 이루어진 교회는 하나님의 나타나신 계획의 근본적 실체이다"라는 진리에 대하여 언급하고있으며 1부에서는 교회론의 어떠한 종류가 역사적으로 신학의 어떠한 종류와 서로 상응하는 지를 보여주고 있다.
He refers in this work to “the truth that a divinely constituted Church on earth is a fundamental fact of the revealed counsels of God” and devotes Part I to showing how certain sorts of ecclesiology have corresponded historically to certain sorts of theologies.

몇 년 후부터는 그는 자신의 다른 책의 부록에서 언급하기를 "역사적으로 교회가 교리와 예식에 있어서 가장 순수하였던 곳에서는 교회와 국가의 두 가지 힘에 대한 구별된 의식이 발달되어있었다"고 로빈슨은 주장한다.
In an appendix to another one of his books from several years later, Robinson claimed that where historically the church has been purest in doctrine and practice, it has developed consciousnes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powers, that of church and state.

The Church of God의 전반에 걸쳐서 로반슨은 자신의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으로 이러한 구분에 대하여 탐구를 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관점은 두 왕국 교리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는것이다.
Through the rest of The Church of God Robinson does much to explore this distinction from his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a perspective that involves much debt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2부에서 로빈슨은 성경의 역사를 통하여 나타나는 연속적인 언약을 조사를 하면서 두 왕국에 대한 확신을 전면에 나타내기 시작한다.
In Part II, Robinson’s two kingdoms convictions begin to come to the fore as he examines the successive covenants revealed through biblical history.

그는 이러한 모든 언약의 밑 바탕에는 하나님께서 인류의 한 부분을 나머지와 분리를 시키고서, 그리스도가 왕으로 오셨을 때 이 세상 전체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머리가 되실 것을 요구하시지 않으시고 오직 이 세상이 아닌 나라 위에 머리가 되신다는 것을 주장한다.
He claims that underlying all of these covenants is the idea that God separates a portion of the human race from the rest of it, so that when Jesus Christ, the King, comes, he does not lay claim to direct headship over the world at large, but over a kingdom not of this world.

하나님께서는 모든 계시와 예식과 약속과 언약을 만드셨는데 이는 이 세상 사람들이나 국가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교회에 대하여 교회나 이러한 류의 것과 함께 하신 것이며, 이러한 계시들은 창조주로서 피조물인 사람들에게 나타난 것이 아니며, 예언자이시고 왕이신 메시아께서 자신의 특별한 사람들을 위하여 자신의 교회에 나타내신 것이다.
God has made every revelation, ordinance, promise, and covenant not to “men as men, or as constituting nations, but to and with the Church, as such,” and these revelations come “not from God as Creator to men as creatures, but from Messiah as Prophet and King over his Church to his own peculiar people.

더욱이 모든 언약들은 "본질적으로 영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All of the covenants, furthermore, have “primarily a spiritual” significance.

그러므로 로빈슨은 여기서 이미 역사적 개혁주의 구분에 따라서 창조주로서 모든 사람 위에 행사하시는 하나님의 통치와 구속적이고 영적인 목적들을 위한 자신의 교회 위에 행사하시는 영적인 통치를 구별하고 있다.
Thus Robinson already expresses here the historic Reformed distinction between God’s rule over all people as Creator and his spiritual rule over his church for redemptive, spiritual purposes.

제3부에서는 이것이 개혁주의 두 왕국 전통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 더욱 명확히 드러난다.
In Part III, this debt to the Reformed two kingdoms tradition becomes even more evident.

그는 교회의 모든 힘의 근원은 "중재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시며, 그는 이러한 힘을, 자신의 이름으로 목회적으로 집행하는 "직분을 맡은 일원"에 의하여 집행되도록 위임하셨다고 주장하고 있다.
He affirms that the source of all power in the church is “Jesus Christ, the Mediator,” who delegates this power to the church as such, to be administered by “office-bearing members” who are to rule “ministerially” in his name.

앞에서 기술한 하나님의 법과 영적인 관심을 모두 드러내면서, 로빈슨은, 그리스도가 모든 교회의 능력의 근원이 되신다 것과 그의 나라는 이 세상의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교회의 능력은 예식의 형태에 제한되며, 그것의 목적에 제한된다고 설명한다.
Reflecting both the jure divino and spirituality concerns described above, Robinson explains that in light of Christ being the source of all church power and his kingdom being “not of this world,” the power of the church is “limited in the mode of its exercise” and “limited as to its end.”

예식의 형태는 "전적으로 목회적이며" 그것의 목적은 "전적으로 영적인 것"으로서 후자가 의미하는 것은 자신의 백성의 교화를 위한 것이며, 하나님의 사역을 위한 것으로서; 교회의 화평과 조화를 위함이며, 교회의 확장을 위함이며, 여호와의 영광을 위한 것이다.
The mode of its exercise is “wholly ministerial” and its end is “wholly spiritual,” the latter of which means that it is “for the edification of his people, and for the Lord’s business; for the peace and harmony of the Church, for the extension of the Church, and for Jehovah’s glory.”

이러한 작업을 완성하기 위하여 그는 몇 가지 관련된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중요한 고찰들을 더하고 있다.
Toward the end of this work he adds important considerations that unpack some of the implications.

여기서 그가 설명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의 일들은 목회를 위하여 수단과 방법으로 고안된 인간의 계략을 배제하는 특성이 있는 것과 같이, 마찬가지로 이러한 일들에 대한 다스림을 위하여 신성하게 지명된 대리인들은 나라 자체를 위한 하나의 커다란 목적보다도 어떠한 다른 목적을 위하여 이렇게 위임 된 것과 능력을 사용하겠다는 생각을 배제하여야 한다.
There he explains that “as the affairs of the spiritual kingdom of Christ are of such a nature as to preclude any human devices in the way of means and instrumentalities for administration, so also the divinely appointed agencies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se affairs preclude the idea of the use of these agencies and the power accompanying them for any other purposes than the one great purpose of the kingdom itself.”

이러한 목적은 바로 이 세상을 복음화 시켜서 선택 받은 자를 모으는 것이다.
That purpose is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and the gathering of the elect.

그러므로 그는 "교회를 단순히 인간이 고안한 개혁을 추진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능력으로 보거나, 혹은 설교가 잘못된 공적인 의견이나, 사회나 국가의 일들에 대한 잘못된 도덕적 관점을 수정하는 일에 사용이 된다거나, 교회의 법정을 세속의 악에 직접 관여하여 이를 개선 시키거나, 국가가 잘못한 일에 대하여 정부를 책망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개념으로 보는 너무 일반화된 개념들을 거절하고 있다.
Thus he rejects “the too common conception of the Church as power to be used directly for the promotion of mere humanly devised reforms” or the use of preaching “as an instrumentality to rectify wrong public opinion, wrong moral views of social and civil affairs; or the conception of the courts of the Church as agencies through which to reach directly and reform civil evils and to arraign the State on national wrong-doing.”

이 모든 것은 교회 자체의 근본적인 속성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All of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Church itself.”

이러한 나라는 "사람을 오직 중재자이신 예수와의 관계에서 깊이 생각하고" 그리고 "시저의 나라의 모든 분쟁과 파당은 무시한다"
This kingdom “contemplates men only in relation to Jesus the Mediator” and “ignores all strifes and parties of the kingdom of Caesar.”

여기서 일반적으로 하나님의 법에 의한 장로주의와 특별히 교회의 영성의 원칙들이 분명해지는 것은, 교회가 시저의 나라와 구분된 그리스도의 나라라는 것과, 전자(그리스도의 나라)가 초기 두 왕국 신학과 유사한 특성 즉 권위의 목회적 성격과 이것의 영적인 목적이 유사하다고 확인함으로 확실해진다.
Here the principles of jure divino Presbyterianism in general and the spirituality of the church in particular are spelled out by distinguishing the church as the kingdom of Christ from the kingdom of Caesar and by assigning to the former characteristics familiar from earlier two kingdoms theology, such as the ministerial nature of its authority and its spiritual ends.

The Church of God 의 3부에서 가장 눈에 띄는 면은 그가 고전적인 개혁주의 두 왕국 영역을 활용하여 국가와 교회의 권력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다섯 가지로 나열하는데 있다는 것이다.
The most striking aspect of Part III of The Church of God for present purposes, however, is his utilization of classic Reformed two kingdoms categories in laying out five ways in which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powers “differ fundamentally.”

첫 번째는, 하나는 창조자로서의 하나님으로부터 온 권위에서 유래되었으며, 다른 하나는 오직 중재자로서의 예수로부터 유래되었다.
First, the one “derives its authority from God as the Author of nature” and the other only “from Jesus as Mediator.”

두 번째는, 인도의 원칙의 하나는 "자연의 창조자"에 의하여 나타난 "자연과 이성의 빛"이며, 다른 하나는 "교회의 예언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자신의 말씀을 통하여 나타낸 빛"이다.
Second, the rule of guidance for the one is “the light of nature and reason” as revealed by “the Author of nature” and for the other is “that light which, as Prophet of the Church, Jesus Christ has revealed in his word.”

세 번째로, 로빈슨은 "범위와 목적"으로 관심을 돌린다. 국가의 권력은 "보이는 일시적인 것"이며 "정치적인" 것인 반면에, 교회의 능력은 "보이지 않는 영적인 것"이며 "신앙적인 것"이다.
Third, Robinson turns to their “scope and aim.” Those of the civil power are “things seen and temporal,” things “political,” while those of the ecclesiastical power are “things unseen and spiritual,” or “religious.”

간접적이고 부수적인 것을 제외하고는, "그리스도의 나라에 속하는 것들은 시저가 제대로 인식할 구 없는 것에 관한 것들이고" 그리고 "시저의 나라에 속하여있는 것들은 그리스도의 교회가 유기적인 기관으로서 인식 할 수 없는 것들이다."
Except indirectly and incidentally, “the things pertaining to the kingdom of Christ are things concerning which Caesar can have rightfully no cognizance” and “the things pertaining to the kingdom of Caesar are matters of which the Church of Christ as an organic government can have no cognizance.”

네 번째로는, "국가 권력의 중요한 상징은 무력"이며 "이것의 집행은 힘의 집행"인 반면 "교회 권력의 중요한 상징은 구원이며, 이것의 집행은 오직 목회적이다.
Fourth, they differ in that “the significant symbol of the civil power is the sword” and “its government is a government of force” while “the significant symbol of Church power is the keys, its government only ministerial.”

마지막으로, 두 가지 권력의 차이는 "국가의 권력이 재판을 하거나 통치를 하는 한 사람, 혹은 지배자에 의하여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행되는데 반하여, 통치에 관련된 모든 교회의 권력은 하나로 연결되는 힘인데 이는 그리스도가 재판을 하는데 있어서 "영적인 권력을 한 사람에게 여러가지 형태로"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Finally, the two powers differ “in that civil power may be exercised as a several power by one judge, magistrate, or governor; but all ecclesiastical power pertaining to government is a joint power only,” since Christ has not conferred “spiritual power of jurisdiction in any form upon a single man.”

비록 로빈슨은 이 다섯 가지 구분에 대하여 분명한 입장을 나타내고 있지만, 바로 이어서 덧붙인 여섯 번째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Though Robinson specifically identifies these five distinctions, there seems also to be a sixth that he adds shortly thereafter.

그는 다음과 같은 설명을 덧붙인다. 하나의 권력은 "하나님께서 명하신 것으로서... 크게는 반역한 인류를 향하신 조물주의 자비와 오래 참으심 가운데서, 반역 한 후에 뒤 이은 악마적인 성격의 결과로 나오는 외적인 일들을 통제하시고" 구속의 계획이 완성될 수 있도록 기반을 갖추기 위한 것이다.
There he explains that the one power is “ordained of God ... in the mercy and forebearance of the Author of nature toward the apostate race at large, to hold in check the outworking of that devilish nature consequent upon the apostasy” and to furnish a platform upon which the scheme of redemption could be accomplished.

또 하나의 권력은 "그의 이름을 부르는 이 땅의 가족들을 구성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그 마음에는 그의 은혜로 인하여 사단과 그의 후손에 대한 미움을 갖게 하시며, 제사장의 나라로서, 선택 받은 나라이며, 이 땅의 나라들과 같지 않으며, 그들 가운데 여호와는 신이시며 그들은 그의 백성이다."
The other power “is designed to constitute of the families of earth that call upon his name, and into the hearts of which his grace has put enmity toward Satan and his seed, a nation of priests, a peculiar nation, not reckoned among the nations, of whom Jehovah is the God and they are his people.”

로빈슨은 자신의 많은 다른 저술들에서도 비슷한 구분들을 하고 있다.
Robinson made similar distinctions in many other places in his writings.

예를 들어서, 캐나다의 망명 생활 가운데 아브라함 링컨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앞의 장에서 언급한 바 있는,16세기의 스콧 엔드류 멜빌을 인용하면서, 대통령에게 하나님의 두 왕국을 생각하도록 하였는데, 하나는 "신성한 권위"로서 무력의 힘에 의하여 복종을 강요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재자이신 그리스도에 의하여 임명된 것으로서 이는 구원의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in a letter sent to Abraham Lincoln from his Canadian exile he quotes the sixteenth-century Scot Andrew Melville, mentioned in the previous chapter, in order to remind the president of “God’s two kingdoms,” one of “divine authority” to coerce obedience by the power of the sword and the other “ordained of Christ the Mediator” which possesses the “power of the keys.”

하나는 자연을 지으신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으로서 사람들이 현재의 삶에 속하는 관심을 통해서 만 인식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교회라는 영적인 기관으로서" 중재자이시며 근원이 되시는 그리스도로부터 온 것으로서, 인간의 영원에 대한 관심에 의해서 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The one “is derived from God the Author of Nature and has cognizance only of the interests that pertain to the present life of men” and the other, the “spiritual government of the Church,”“is derived from Christ the mediator as its source and can take cognizance only of men’s eternal interests.”

하나는, 링컨의 정부가 속하여있는 나라로서, 모든 국가들에 일반적인 자연과 이성의 빛에 인도되는 원칙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기독교인이건 이교도이건, 혹은 계시를 받았건 안 받았던 간에 사실인 것이다.
The one, to which Lincoln’s government belongs, “has for its rule of guidance the light of nature and reason common to all nations,” which is true “whether among Christian or Heathen people” and “whether enlightened by revelation or not.”

또 하나는, "영적인 기관"으로서, 위대하신 창조자와 통치자를 계시하는 책을 통하여 긍정적인 법규에 의해서만 인도를 받아야 할 원칙을 가지고 있다.
The other, the “spiritual government,” instead “has for its only rule of guidance the positive statute law in the revealed statute book of its great founder and Ruler.”

The Church of God의 두 번째 구분과 동일한 이 마지막 구분은 물론 현재의 연구에 특별히 관련되어 있으며, 로빈슨은 이를 다른 곳에서도 여전히 강조하고 있다.
This last distinction, the same as the second distinction in The Church of God, is of course of special interest for the present study, and Robinson emphasizes it in still other places.

예를 들어서, 그는 "자연법보다는 그리스도의 계시된 의지가 땅에서의 최상의 법- 신앙과 예식의 정치적 원칙-이라고하는 것은 비성서적 전제라고 비난한다.
For example, he condemns as an “unscriptural proposition” that the “revealed will of Christ, rather than the law of nature, is the supreme law of the land — a political rule of faith and practice.”

로빈슨에게 있어서 두 왕국 사이의 이러한 구분은 신학적 호사가 아니라 기독교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It is worth noting that for Robinson these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kingdoms are not theological luxuries but vital to the health of Christianity.

그는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The Church of God에서의 다섯가지 구분들은 "부차적인 것도 아니고 임의에 의한 것도 아니며, 교회 자체의 성격과 복음과의 관련성과 관계된 근본적인 진리들이 분출되어 나온 것들이다."
The five distinctions in The Church of God, he writes, “are neither accidental nor arbitrary, but spring out of those fundamental truths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Church itself, and of its relations to the gospel.”

만약에 두 왕국 교리를 복음과 연관 시키는 것이 과장되어 보인다면, 앞의 장에서 칼빈과 개혁파 정통주의가 같은 연관을 시켰다는 것을 회상해 볼 수 있으며, 특별히 두 왕국 교리를 기독교인의 자유에 대한 생각과 밀접하게 연관을 시킴으로서, 칼빈은 이를 칭의 교리의 부록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If connecting the two kingdoms doctrine to the gospel seems exaggerated, one may recall from previous chapters that Calvin and the Reformed orthodox made the same connection, particularly through their close associat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with the idea of Christian liberty, which Calvin called an “appendix” to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두 왕국 교리를 복음과 이렇게 연관 시키면서, 로빈슨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 즉 "세속과 영적" 체제 사이의 자신의 구분들은 본질적인 것이며 이는 "교회 통치로서의 장로주의"로 특징을 이루고있다.
Alongside this connect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with the gospel, Robinson also asserted that his distinctions between the “secular and spiritual” orders were essential and distinctive to “Presbyterianism as a Church Government.”

이들은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장로교 구성원들의 정서를 파악하고 있었으며, 이에 앞서서, 스코틀랜드 선조들과 순교자들이 장로교인이라는 확신 가운데, 그는 이러한 생각들을 애써서 전체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They captured the sentiment of the Presbyterian member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and, before them, the Presbyterian convictions of the Scottish fathers and martyrs, whose ideas he was striving to carry through to their full application.

장로교 선조들의 전통을 주장하는 가운데, 로빈슨은 단도직입적으로 단호하게 교회와 국가의 관심사를 혼동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이는 그들의 참된 원칙들을 악독하게 붕괴 시키는 것이라고 말한다.
Yet in claiming the heritage of his Presbyterian ancestors, Robinson forthrightly and adamantly rejected their confusing of the concerns of church and state as a poisonous corruption of their true principles.

이러한 주제는 이미 여러 장에 걸쳐서 중요한 관심사였기에, 여기에 대한 로빈슨의 관점은 고려 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
Since this topic has been of significant concern over the past several chapters, Robinson’s views on the matter are worth some consideration.

로빈슨에게 있어서, 교회는 모든 정치적인 것의 밖에 있어야 했으며, 국가는 모든 영적인 것 밖에 있어야 했다.
For Robinson, the church was to stay out of all things “political” and the state out of all things “spiritual.”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교회의 영적인 특성이 의미하는 것은 "시저의 나라에 속하여있는 것"들을 "이해할 수 없으며" "시저의 나라의 모든 분열과 파당을 무시"하여야만 한다.
As seen above, the spiritual nature of the church meant that it could have “no cognizance” of the “things pertaining to the kingdom of Caesar” and should “ignore all strifes and parties of the kingdom of Caesar.”

아마 그는 앞의 장에서 스콧 사무엘 러더포드를 인용한 진술 즉 “장로회가 국가의 일에 간섭하는 것은 일종의 중상이다”는 진술을 기억하고 있는 듯하다.
He had in mind, perhaps, statements like the one quoted in the previous chapter from the Scot Samuel Rutherford: “That presbyteries meddle with civil business, is a slander.”

다른 방향에서 볼 때 로빈슨의 입장은 주목할 만하였는데 이는 미국의 표준으로 볼 때도 그러하였다.
From the other direction, Robinson advocated remarkable positions, even by American standards.

예를 들자면, 그는 국가 기관이 교회로 하여금 금식일을 지키도록 요구할 권리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면서, 그는 자신이 목회를하고 있는 교회에게는 이러한 것을 절대로 인정할 수 없다는 말을 하였다.
For example, he questioned the authority of the civil government to call upon churches to observe fast-days and stated that the church which he pastored had never acknowledged them.

좀 더 심각하게는, 그는 하나님이 모든 능력의 근원이시고 예수 그리스도가 국가의 통치자이심을 인정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미국의 헌법을 수정하여야 한다는 요구에 대하여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More significantly, he strongly opposed calls to amend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by including acknowledgement of God as the source of all power and Jesus Christ as governor of the nations.

이는 그가 소위 말하는, 대부분의 국민이 헌법에 맹세를 할 때 스스로 위증을 하는 것이기에 "정치적으로 불합리하며, 정의롭지 못하며, 적절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반쪽만의 강령을 받아들이기에 신학적으로 불합리하고 위험"한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여기에 이단적 교리가 포함되는 것이다.
This was not only because of what he called “the political absurdity injustice and inexpediency” of making a constitution that would require most of the population to perjure themselves when swearing to it and the “theological absurdity and danger of accepting a half creed.” More importantly, it involved “heretical doctrines.”

그는, 국가가 복음의 진리를 입증하기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가 중재자이시고, 국가의 왕이시며, 사람들에게 자신의 뜻을 나타내셨다는 것을, 교리에 대한 교회의 기능과 같이, 정치적 헌법으로 기능을 하게 끔 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He denies that it is “a function of the State in its political constitution, as of the Church in her creed, to testify the Gospel truth, that Jesus Christ the mediator, is King of nations, and has revealed his will to men.”

그는 성경이 "믿음과 예식의 정치적 규칙"이라는 것에 동의하지 않으며 "기독교 정부"를 세우는 것이 국가의 의무라는 생각도 거절한다.
He also denies that Scripture is “a political rule of faith and practice” and rejects the notion that it is the state’s duty to establish a “Christian government.”

그는 링컨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비록 좀 더 간결하긴 하지만, 비슷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말을 하고 있다; “자연적 신앙으로서의 진리로 하나님을 인식한다는 것은, 이러한 지식이 예수 그리스도의 지극히 높으신 신성과 성경이 영적인 것과 국가 정부의 기반이 되는 권위에 대한 계시로서의 교리를 인정하는 것 이상으로 넘어서면 안된다.
In his letter to President Lincoln he spoke in similar ways, but perhaps more precisely, by saying that, though it was proper for civil government to “recognize a God — a truth of natural religion,” it ought not go beyond this to acknowledge also “the revealed doctrine of the supreme divinity of Jesus Christ, the inspiration of the scriptures, and their authority as the foundation of civil government.”

달리 표현하자면, 자연에 계시 된 하나님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은 받아들일 만 하지만 그리스도와 성경의 권위는 국가 통치자의 능력을 넘어선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In other words, to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God as revealed in nature was acceptable but acknowledging the authority of Christ and the Scriptures was beyond the competence of the civil magistrate.

반면에 로빈슨은, 많은 이교도 국가들이 자신들의 체제의 목적으로 종교를 사용하였다는 역사적 사실에 관하여 그의 개혁 주의 선조들과는 다른 흥미 있는 시도를 하였다.
Elsewhere Robinson made an interesting departure from many of his Reformed predecessors in regard to the historical fact that many pagan nations used religion for state purposes.

이 책의 앞에서 살펴보았던 많은 인물들은 이것을 일종의 자연법 원칙을 나타내는 증거로 보아왔던 것에 반하여, 로빈슨은 국가가 종교의 옷을 입는 것은 기독교보다는 이교도에 근원을 두고 있다는 증거로 보았다( 그리고 이것은 콘스탄틴 시대에 교회로 스며들었다).
Whereas many of the figures examined earlier in this book saw this evidence as testimony to some sort of natural law principle, Robinson saw it as evidence that the state’s garbing itself in religion was of pagan rather than Christian origin (and had crept into the church in the days of Constantine).

왜 개혁주의에 속한 이들이, 장로교 정책에 근본적으로 내재되어있는 두 왕국 간의 분명한 구분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대규모로 이교도의 사상을 수용하는 일이 일어났는가?
What happened then, that Reformed people, despite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inherent in their Presbyterian polity, had so largely embraced these pagan ideas?

왜 그리스도의 나라의 영적인 독립을 회복 시키는 방향으로 이끌어야 할, 개혁주의에서 보는 교회에 대한 교리와 체제의 관점이 이러한 논리적 결과들이 해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가?
Why had the Reformation’s “views of the doctrine and order of the church,” which should “have led to a restoration of the spiritual independence of Christ’s kingdom,” not been “permitted to work out their logical results?”

그는 칼빈이 법률가로서 받은 훈련이 일관성이 없는 것을 비난하였는데, 이는 그를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의 생각”들로 이끌었기 때문이다.
He blamed Calvin’s inconsistency on his training as a lawyer, which had imbued him “with the ideas of the Justinian code.”

Scots에 관하여, 그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그들은 위기의 시기를 살았으며, 사람들이 생각하기를 교회는, 국가 권력과의 충돌은 말할 것도 없이, 이들의 도움이 없이는 존재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던 것 같다.”
In regard to the Scots, he notes that they lived in “a time of peril, and it seemed to human vision impossible that the Church could exist without the aid of, much les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civil power.”

그들은,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나라가 이 세상의 것이 아니며 주께서 그들 앞에 길을 여실 때까지 국가가 그들의 평화를 지키게 끔 하셨다는 의미를 "깊이 파고들지 않았다."
They “did not penetrate fully” the meaning of Jesus’ declaration that his kingdom was not of this world and bought “their peace with the State till the Lord might open the way before them.”

그 밖에도 그는 스코틀랜드 교회를 본래의 모습에서 이탈되도록 속이는 국가 권력의 꼬임과 속임수에 대하여 말하고 있으며 왜 "이론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실패할 수 밖에 없는지"에 관하여 다음의 네 가지 이유로 규명하고 있다: 종교개혁은 영적인 혁명일 뿐만이 아니라 정치적 혁명이며, 교회는 국가의 권력의 보호를 받을 수 밖에 없었기에 자신들의 생각을 발전시키도록 허락되어있지 않았으며, 국가 권력은 어떠한 발전도 용납하지 않는 (교회에 대한) 질투가 있으며, 국가가 종교를 관리할 권한이 있다는 (테오도시우스주의나 유스티니아누스와 같은) 법적인 개념이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이다.
Elsewhere he spoke of the “seductions and arts of the civil power” that cheated the Scottish church out of what was hers and he identified four reasons why “there was a general failure to actualize the theory”: the Reformation was a political as well as spiritual revolution, the church was not permitted to develop their ideas since it was compelled to take shelter under the civil power, the jealousy of the civil powers squelched any attempt that was made to develop them, and the widespread legal notion (of the Theodosian and Justinian codes) that the state had the right to employ religion.

이유야 어떠하던 간에, 로빈슨은 이론과 실천이 얼마나 심각하게 변질되고 있었는지에 대하여 좀 더 명확하게 밝히지를 않았다.
Whatever the reasons, Robinson could not have been more clear about how serious this degene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was.

그는 "이러한 잘못이 어떠한 형태이던, 혹은 어느 정도이던 간에 교회의 노예화와 믿음의 붕괴는 해결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다.
He believed that “any form, or any degree of this error ... must inevitably work out the slavery of the church and the corruption of the faith.”

그 밖에도 그는 "이러한 구분에 대한 어느 정도의 혼동은 그 정도에 맞추어 위험하거나 붕괴를 초래할 수 밖에 없기에 이러한 혼동과 붕괴는 반드시 궁극적으로 해결되어야만 한다"고 덧붙인다.
Elsewhere he added that “any degree of confusion in respect of this distinction is proportionably dangerous and corrupting” and that it “must ultimately work out only confusion and corruption.”

교회가 국가의 일에 대하여 바깥에 머물러야한다는 것은 개개의 그리스도인이 자신들의 사생활에 있어서 시민적 역량을 사회에서 사용하면 안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로빈슨의 주장은 주목할 만하다.
It is worth noting that Robinson’s insistence that the church stay out of civil affairs did not mean that individual Christians, in their private, civil capacities should be socially uninvolved.

로빈슨 자신은 사업가이고 또한 복음의 사역자로서의 그의 역량에 있지는 않지만, 정치 지망자들에게 충고를 하였다.
Robinson himself was an entrepreneur and advised political candidates, though not in his capacity as a minister of the gospel.

그의 개혁주의 선임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세속적린 직업과 소명을 높이 평가하였다.
Like his Reformed predecessors, he too had a high view of secular occupations and callings.

그리고 나서, 스투아르트 로빈슨은 전통적 개혁주의 두 왕국 교리에 대한 조직적이거나 특별한 저술들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결론을 내리는 것과 개혁주의 선배들이 붕괴되도록 허락한 일관성 없는 실행들을 정리하도록 설명하는 시도를 하였다.
Stuart Robinson, then, attempted to set forth in both systematic and occasional writings a traditional Reformed two kingdoms doctrine, brought to its proper practical conclusions and purged of the inconsistent practices that his Reformed predecessors had allowed to corrupt it.

나는 그의 이러한 시도를, 그의 동시대의 두 구학파 장로교인인 핫지와 톤웰이, 이러한 종류의 주제들을 논쟁할 때에 각각 주장한 견고한 복음주의적 논쟁을 탐구한 후에 평가를 좀 하려고 한다.
I will offer some evaluation of his attempt after exploring how two of his Old School Presbyterian contemporaries, Hodge and Thornwell, addressed these sorts of issues in concrete ecclesiastical controversies, at times in debate with each other.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