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 도덕 2015. 2. 3. 22:39

뉴잉글랜드 신학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의 글은 “The Law is Not of Faith. Essay on Works and Grace in the Mosaic Covenant. P&R Publishing. 2009”에서 D. G. Hart의 글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1. 19세기 전반의 프린스턴을 둘러싼 미국의 신학적 상황


역사적 기독교를 혁명적인 미국의 정책과 조화를 이루려는 노력은 특이한 국가적 신학을 낳게 되었는데 이는 초기의 개신교의 정통과 심각하게 멀어진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미국 신학(American theology)의 4가지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The Law is not of Faith.47)


1) 미국의 개신교도들은 이전의 신학자들보다도 은혜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인간의 의지의 역할(agency to human will)을 더욱 많이 인정하였다.


2) 이들은 성경의 무오성을 확신하고 있지만 성경을 해석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방법과는 달리 개인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해(personally appropriated understanding)를 하는 것이 유일하게 신뢰할만한 방법(the only reliable means of interpretation)이라고 주장하였다.


3) 미국의 신학자들은 하나님의 섭리(providence)에 대한 확신은 계속 유지를 하고 있었으나 초기의 개혁주의자들에 비하여 하나님의 방식을 알고서 여기에 순응하는 인간의 능력(abilities to know and adapt to the ways of God)을 더욱 신뢰하고 있었다.


4) 이들은 교회를 " 이전 세대의 성도들의 유산(inheritance from saints of former generations)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교회의 구성원들에 의하여 만들어진다"고 보았다.


마크 놀에 의하면 개신교의 미국화(Americanization of Protestantism)는 기독교 신앙(Christian faith)에 상당한  손상을 가하게 되었다.

마크 놀은 "복음화와 도덕 개혁의 커다란 변화에 있어서 미국 개신교인들이 국가를 변화시켰다면, 국가 역시 기독교 복음을 국가에 맞는 고유한 형태로 변화를 시켰다"고 말한다.


2. John Witherspoon의 특징적 주장들


미국 신학의 주요 특징들은 John Witherspoon에 의하여 구체적인 형태를 갖추기 시작한다.


John Witherspoon은 1768년 뉴저지 대학의 학장이 되면서 그동안 뉴저지 대학에서 에드워즈가 의존하였던 이상적인 철학(the idealist philosophy)을 Scottish Common Sense Realism으로 대체 시킨다.(72)


이들의 철학적 전통은 덕에 대하여 이전과 다른 학설을 제시할 뿐만이 아니라, 뉴잉글랜드 신학이 본래부터 추상적이며 지나치게 형이상학적이라고 보면서, 사색을 거부하는 흐름(antispeculative streak)을 조성한다.


그러나 1812년 장로교단에서 자체적인 교육기관인 프린스턴 신학교를 세우면서 비로소 교수들에게 요구되던 뉴잉글랜드 신학에 대한 서명에서 벗어나는 첫 걸음을 시작 할 수 있었다.


Mark A. Noll은 John Witherspoon의 가르침에는 계몽주의 인식론뿐만이 아니라 칼빈주의의 중요한 형태와 타협하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윤리 체계(a new system of ethics)가 있다고 말한다.(46)


1) John Witherspoon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어거스틴의 부정을 무시한다.

처음의 죄가 자연적 미덕을 이해하고 가꾸어 나갈 수 있는 능력에 해를 끼쳤다는 것을 부인한다.


2) John Witherspoon은 과학의 성취를 하나님의 영광의 광채로 보기보다는 인간의 경험적 탐구의 승리라고 말한다.

그는 하나님을 이 세상에서 계속적으로 활동하시는 창조자로 보기보다는 물질과 도덕적 질서를 시작하신 분으로 보고 있다.


3) John Witherspoon은 계몽주의와 개혁주의의 대립관계를 말한다.

John Witherspoon과 뉴저지대학에서의 그의 후계자인 Samuel Stanhope Smith는 다음과 같은 근본적 의문을 제기한다.

" 인식과 행동에 있어서의 인간의 자율성을 요구하는 계몽주의에서의 과학은 개혁주의자들과 언제까지 아무 문제없이  같이 있을 수 있는가?"


3. 뉴잉글랜드 신학에 대한 드종(Peter Y. De Jong)의 비판



프린스턴 신학과 뉴잉글랜드 신학의 차이가 나은 커다란 결과 중의 하나는 개혁주의 전통에서의 언약 신학의 심각한 분열이다.(73)


드종(Peter Y. De Jong)은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을 "뉴잉글랜드 신학에서의 언약의 개념 (The Covenant Idea in New England Theology)"이라는 주제로 작성하였으며 이는 1945년에 출간이 되었다.


드종은 자신의 논문에서 뉴잉글랜드 신학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뉴디비니티(New Divinity)로 소개되는 뉴잉글랜드의 신학적 변형(theological modifications)은 너무나 많은 언약적 개념을 내다버렸다.


2) 에드워즈는 좀 순진하게 인간의 책임을 "자연적이고 도덕적인 능력과 무능력 사이의 구별(distinction between natural and moral ability and inability)"에 기초하여 정립하였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재앙이 되어버린 것이다.


3) 에드워즈는 이러한 구별을 "죄와 거룩은 오직 개인의 행동의 의미에서 생각되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발전시킨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이들, 특히 유아들은, 하나님 앞에서 죄가 있다거나 타락해 있다고 여기면 안된다"고 말한다.


4) 뉴잉글랜드 신학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 가운데 하나는 속죄 교리(doctrine of the atonement)다.

칼빈주의자들에게 있어서 남을 대신하는 속죄(vicarious atonement)는 의의전가(imputation), 대표성 (representation), 대속(substitution), 법적 충족(legal satisfaction)의 개념들과 서로 얽혀서 신학적 구조물(theological superstructure)의 기초가 되어있다.

그러나 에드워즈 이후에는 강조점이 "하나님에 대한 사람의 도덕적 관계(man's moral relation to God)"로 추락해버렸고 "속죄 통치설(the governmental theory of atonement)"에 대한 길을 열어주게 된 것이다.


5) 언약에 대한 개념은 신학의 법정적 형태에 직접 관련되어있기에 뉴잉글랜드 신학과 같은 변화는 언약에 대한 전통적 이론을 없애 버릴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에드워즈 사람들의 경직된 논리는 "언약신학의 전체 구조(the whole structure of Covenant Theology)"를 제거해버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4. Earl A. Pope가 본 에드워즈와 그의 후예들의 신학


에드워즈의 사람들에 의하여 형성된 신학을 뉴잉글랜드 신학(New England Theology)이라고 한다.

앞에서 언급한 뉴잉글랜드 신학에 대한 드종(De Jong)의 결론을 뒷받침하는 Earl A. Pope의 "뉴잉글랜드 신학과 장로교회의 분열(The New England Theology and the Disrup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을 통하여 Earl A. Pope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서 에드워즈와 그의 후예들의  뉴잉글랜드 신학이 1837년에 북미 장로교의 신학파(new school)와 구학파(old school)로의 분열을 촉진시킨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Earl A. Pope는 에드워즈와 그의 신학을 이어받은 사람들이 어떻게  언약신학이 뒷받침이 되지 않는 칼빈주의를 유지하려고 노력을 하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p74)


5. Earl A. Pope가 말하는 에드워즈의 특징들


1) 에드워즈는 "아담이 인류를 법적으로 대표한다"라는 생각을 인정하지 않는다(set aside).

에드워즈는 이러한 아담의 대표 개념을 전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여기며 뉴잉글랜드 신학에서 이러한 대표성의 원리를 제거해버린다.


2) 에드워즈는 사람이 선천적으로 부패한 존재라는 전제가 없이는 죄의 전가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에드워즈의 이러한 개념은 언약 신학 (Federal Theology) 자체를 붕괴시켜 버리는 것이다.


3) 에드워즈의 "인종 간의 신비한 연합 (mystical unity of the  race)" 개념은 언약 신학 (Federal Theology) 에 대한 중대한 반향(repercussions)이다.

- 사람은 다른 사람의 죄된 행동(sinful act)이 아닌 오직 자신의 행동으로 인하여 저주를 받는다.


4) 각 사람 안에 작용하는 죄의 원리는 아담을 괴롭혔던 죄의 원리와 동일하다.

-Earl A. Pope는 에드워즈의 이러한 생각의 방식이 언약 신학 (Federal Theology)에 대하여 재앙적 결과를 가져왔다고말한다.


6. Earl A. Pope의 결론


1) 새학파 (new school)와 구학파 (old school)의 대립은 의의전가(imputation)나 전적인 무능력(total inability), 속죄(atonement)교리에 대한 수정 (revision)에서 시작되었다.


2) 이러한 수정은 첫번째로 에드워즈에게서 시작되었으며 그 후로는 Hopkins, Bellamy, Dwight, Taylor등에 의하여 부차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


3) 프린스턴은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범주 안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데 반하여 (에드워즈 후예들의 신학인) New Divinity는 조직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경로를 바꾸었으며 이는 칼빈주의에 대하여 재앙적인 영향을 미쳤다.



'윤리, 도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린스턴 신학과 도덕 통치론  (0) 2015.02.03
프린스턴 신학과 도덕법  (0) 2015.02.02
찰스 핫지와 도덕법  (0) 2015.02.02
아키발드 알렉산더와 도덕법  (0) 2015.02.01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