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법 2015. 4. 20. 13:01

존 코튼과 두 왕국
Cotton and the Two Kingdoms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216-220을 번역한 것이다.




존 코튼은, 뉴잉글랜드 신정주의자로서 이해되고 있는 명성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대에 보편적이었던 개혁 주의의 두 왕국 신학을 반영하고 있는 많은 관점들을 지지하였다.
John Cotton, despite his understandable reputation as a New England theocrat, espoused many views reflecting the commonplace Reformed two kingdoms theology of his day.

이번 단락에서 나는 그의 저술들 가운데 이러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는 여러 곳들을 논할 것이다.
In this subsection, I discuss various places in his writings where he adopts this point of view.

이것이 완성된 후에는 그의 별로 알려지지 않은 통치자와 신앙에 대한 관점으로 돌아와서 그가 어떻게 이것들이 그의 두 왕국의 범주에 융화 되어 가는 지를 보여줄 것이다.
When this is accomplished I will turn to his infamous views on the magistrate and religion and reflect upon how they cohere with his two kingdoms categories.

코튼이 초기 개혁주의 전통에서의 두 왕국 가르침을 보여주는 한 가지 방법으로 교회를 그리스도의 나라가 이 땅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된 형태라고 보는 것이다.
One way in which Cotton reflected the two kingdoms teaching of the early Reformed tradition was by identifying the church as the earthly manifestation of the kingdom of Christ.

예를 들어서 하늘 나라의 본질을 논할 때, 그는 "하늘 나라가 여기 있다는 것은, 교회로서의 은혜의 나라와 최상의 하늘에 있는 영광의 나라, 모두를 의미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For example, when discussing the keys of the kingdom of heaven, he writes: “By the kingdom of heaven is here meant both the kingdom of grace, which is the church; and the kingdom of glory, which is in the highest heavens.”

코튼에 따르면, 이러한 교회는 "영적임"몸으로서 이는 세속적인 것에 관련하여 수행할 능력이 있는 국가로 부터 구별되어 존재하는 것이다.
This church, according to Cotton, is a “spiritual” body, and as such it stands in distinction from the state, whose competence concerns “civil” things.

그는, 유일하게 지혜로우신 하나님께서 2가지 종류, 즉 교회와 국가의 통치 형태에 맞도록 지정하셔서,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권력으로, 각각 인간의 내적 그리고 외적인 상태에 상응하도록 하셨다고 설명한다.
He explains that the “only wise God hath fitted and appointed two sorts of Administrations, Ecclesiastical and Civil,” corresponding to the inward and outward conditions of the human person, with each having power suitable to its character.

각각의 통치는 이러한 다른 상태에 대한 혼동이 없이 수행되어야한다.
Each administration must do its business “without confounding those two different states.”

코튼은 이것들을 구분하면서, 교회를 "거룩한 것의 거룩한 연합을 위하여 믿는 자에게 명하신 하나님의 제도"로, 그리고 국가를 "인간적인 것의 시민적 협력을 위하여 하나님에 의하여 사람에게 명하신 인간의 제도"라고 부른다.
Cotton goes on to differentiate them by calling the church “a Divine Order appointed to believers for holy communion of holy things” and the state a “Humane Order appointed by God to man for Civil Fellowship of humane things.”

티모디 홀이 기록한 것과 같이, 코튼과 같은 뉴 잉글랜드 청교도들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를 분명히 구분함으로서 이르 보는 현대의 독자들을 당황스럽게 할 뿐만이 아니라, 이들은 존 칼빈으로부터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와 국가의 관할 구역은 완전히 구별되는 것이라고 배운 듯이 보인다.
As Timothy Hall notes, it may seem baffling to modern readers to see New England Puritans such as Cotton distinguishing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so clearly, but they do seem to have “learned from John Calvin that ‘Christ’s spiritual kingdom and the civil jurisdiction are things completely distinct.’”

코튼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를 4가지의 특별한 차이점으로 구분을 하여 나아가는데, 이는 앞의 장에서 관찰한 바와 같이 투레틴이 20년 후에 제네바에서 하였던 구분과 매우 닮은 것이다.
Cotton proceeds to identify four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that closely resemble the distinctions that Turretin would make a couple of decades later in Geneva, as observed in the previous chapter.

코튼은, 그리스도만이 그 안에서 입법적인 힘을 가지고 있는 교회가 경륜적 힘 만을 가지고 있는데 반하여, 국가는 백성들에 대하여 군주적 힘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First, Cotton asserts that while the church has an economical” power only, with Christ alone possessing legislative power within it, the state has “lordly” power over its subjects.

그 밖에도 코튼은 이러한 구분에 대하여 좀 더 길게 풀어서 설명을 하면서, 교회의 경륜적 능력은 "목회적"이고 "관리적"이라고 규정한 후에, 교회의 법정은, 국가가 많은 재량을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무관한 것에 대하여 명령할 권한이 없으며, 그리스도가 ( 성서에서) 명령하고 위임한 것에 한정하여 요구를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Elsewhere Cotton unpacks this distinction at greater length, defining the economical power of the church also as “ministerial” and “stewardly,” meaning that church courts, in contrast to the wide discretion possessed by the state, have no authority to command things that are indifferent but are confined to enjoining those things for which Christ (in Scripture) has given “injunctions” and “commission.”

교회 권위를 성서에서 볼 수 있는 섬김에 제한하는 것은 신자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유에 관한 고전적인 개혁주의 사고를 근거로 하고 있는데, 이는 앞의 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자체가 두 왕국 교리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이다.
This limitation of church authority to ministering the things found in Scripture was grounded in classic Reformed notions of the Christian liberty of believers in regard to spiritual things, which was itself grounded in the two kingdoms doctrine, as also considered in previous chapters.

국가와 교회의 권위에 대한 코튼의 두 번째 구분은, 같은 사람이 이러한 두 권위에 대상이 되는 차별화된 방법과 관계가 있다.
Cotton’s second difference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concerns the distinct ways in which the same people are subjects under these two authorities.

국가의 대상은 "본성적으로 이성적이고 사회적인 피조물로서, 국가의 질서를 지킬 능력이 있다."
The subject of the state is “Man by Nature being a Reasonable and Sociable Creature, capable of Civil Order.”

다른 한편으로, 교회의 대상은, "은혜에 의하여 이 세상으로부터 그리스도와 교제하도록 부름을 받은 사람이다."
The subject of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is “Man by Grace called out of the world to fellowship with Jesus Christ.”

코튼에게 이것은, 모든 사람이 국가의 대상이 되는데 반하여 오직 그리스도인 만이 교회의 대상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for Cotton, that all people are subjects of the state but only Christians are subjects of the church

신자는 내적인 사람으로서 교회에 종속되는데 반하여 외적인 사람으로서는 보통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국가의 권력에 종속된다.
Believers are subject to the church in their “inward man” while in their “outward man” they are “subject to the Civil Power in common with other men.”

두번째 구분이 두 권위에 종속되는 사람에 관한 것이라면 세번째 구분은 특이한 방법들로서 이들 모두에 효력이 있으시며  저자가 되신 하나님에 관한 것이다.
While this second difference concerns the people who are subject to the two authorities, the third difference concerns God who is “the efficient and author of them both,” yet in distinct ways.

하나님은 이 세상의 창조자로서 그리고 통치자로서 국가의 통치를 제정하신 분이시지만 또한 그리스도 안에서 그 분의 백성과 언약을 통해서 교회 통치를 제정하신 분이시다
God is author of the civil administration “as the Creator and Governor of the world” but is author of the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as in Covenant with his People in Christ.”

코튼이 이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하는 것으로 인하여 연상되는 러더포드나 투레틴과 같은 인물들은 앞의 장에서 논한 것과 같이 그리스도의 창조주로서 그리고 구속주로서의 이중적 왕권을 연상시킨다.
Cotton further explains this distinction with words reminiscent of figures such as Rutherford and Turretin concerning Christ’s twofold kingship over creation and redemption, as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그는 그리스도의 존재를 말하면서 그가 이 세상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가장 중요하신 말씀이시면서 지혜이신 면에서는 국가 체제와 통치의 능력이시며 원천이시라고 말하고, 또한 그가 새 언약의 중재자이시며, 교회의 머리되신분으로서는 교회의 체제를 세우신 분이라고 말한다.
He speaks of Christ being “the Efficient and Fountain of Civil Order & Administrations” insofar as he is “the Essential Word and Wisdom of God creating and governing the World” and speaks of him establishing the ecclesiastical order insofar as he is “Mediator of the New Covenant, & Head of the Church.”

그러므로 코튼에게는,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과 같이, 아들 (예수 그리스도)이 하나님이시면서 창조주로서 국가를 다스리시고, 하나님이시면서 아들이신 구속자로서는 교회를 다스리신다.
Thus, for Cotton as for other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the Son rules the state as God and creator and rules the church as God-Man and redeemer.

코튼이 분류한 국가와 교회 통치의 네 번째 구분은 각각의 목적에 관계된 것들이다.
The fourth difference between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s that Cotton identifies concerns their respective ends.

비록 양쪽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이지만, 그것들의 부차적인 목적은 다르다.
Though the ultimate end of both is the glory of God, their penultimate ends differ.

국가 통치의 목적은 "외형적 체면을 위한 인간 사회의 보존, 정의 그리고 평화"인 반면에 교회 통치의 목적은 "보존, 의식 고양, 그리고 영혼들의 구원, 죄의 용서, 죄를 대적하는 능력, 하나님과의 화평등"이다.
The end of civil administration is the “Preservations of Humane Societies in outward Honor, Justice and Peace” while the end of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is the “Conservation, Edification, and Salvation of Souls, Pardon of Sins, Power against Sin, Peace with God, &c.”


그러므로 이 두가지 통치의 대상도 다르다, 세속의 권력은 "육체"와 "이 생의 것들"이며 교회의 권력은 "사람의 영혼과 양심, 교리와 하나님을 예배함, 성도의 교통"이다.

Hence, the objects of these two administrations also differ, the civil power having concern for “bodies” and “the things of this life” and the ecclesiastical power for “the Souls and Consciences of men, the Doctrine and Worship of God, the Communion of the Saints.”


이러한 근본적 구별에 더하여, 코튼은 그 밖에도 다른 핵심적 구분을 하고 있는데, 이도 역시 일반적인 개혁 주의의 생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교회와 국가에 속하여있는 다른 도구들이라는 것이다.

In addition to these basic distinctions, Cotton elsewhere notes another key distinction that also reflects common Reformed notions, that of the different weapons belonging to church and state.


코튼은 "무력"을 그것이 "육체적 삶과 죽음"을 다루는 한에서 국가의 권위와 연관 시킨다.

Cotton associates the “sword” with the civil authority, insofar as it deals with “bodily life and death.”


그는 교회가 무력을 사용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고서 대신에 "천국의 열쇠"로 "설교와 성례, 교회의 치리와 같은 예식을 그리스도가 교회에서 제정하셨음"을 인식시키고 있다.

He prohibits the church from wielding the sword, however, and instead recognizes the “keys of the kingdom of heaven” as the “ordinances which Christ hath instituted, to be administered in his church,” namely preaching, sacraments, and ecclesiastical censures.


이렇게 구분을 한 후에, 코튼은 두 가지 체제와 집행에 있어서 지켜져야 할 "결합된 조화"를 호소하고 있다.

Having made such distinctions, Cotton appeals for a “joint harmony” to be kept between the two orders and administrations.


그는 양 극단에 대하여 경고하고있다.

He warns against two extremes.


첫째로는 잘못된 적용으로서, "영적인 권력"을 국가 통치자에게, 혹은 "국가의 권력"을 교회의 성직자에게 적용하는 것으로서, "그는(성직자는) 오직 영적인 일에만 관여하도록 부르심을 받은 것"이며 "세속적인 얽힘으로 인하여 혼란스럽게 되서는 안되는 것이다."

The first is “confounding” them, such as by giving “Spiritual Power” to the civil magistrate (an error which he identifies as Erastian) or by giving “Civil Power” to the officers of the church, “who are called to attend only to Spiritual matters” and ought not “be distracted from them by Secular entanglements.”


여기서 그는 교회 성직자와 교회의 일원을 구분하고 있으며, 후자는 이 생에서 모든 "세상적인 국가적 사업을 수행"하는 일에 고용되었을 수 있는데 반하여 전자에게는 국가의 권력이 주어져서는 안된다.

Here he also distinguishes between church officers and church members, the latter of whom may be employed in the things of this life “to carry on all worldly and civil business” but the former of whom ought not to have civil power.


두 번째 극단은 국가와 교회의 체제를 서로 대립 되는 반대 편에 놓는 것이다.

The second extreme is that of setting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orders “in opposition as contraries.”


대신에, 그는 이들이 서로가 서로를 도우며 각자의 역량 안에서 서로가 서로에게 종속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Instead, he calls for them to provide mutual help for each other and to be subject to each other in their respective competencies.


그러므로 국가의 통치자는, 교회가 자신들이 국가 권위를 실행하는데 방해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영적인 일에 있어서는 교회의 권위를 존중해 주어야 한다.

Thus, civil magistrates must be submissive to church authority in spiritual things even while the church ought not to interfere with their exercise of civil authority.


코튼은 자신의 개혁주의 선배인 Franciscus Junius를 인용하면서 "그리스도인으로서" 통치자는 "그리스도의 거룩한 무리의 거룩한 양"이지만 "통치자로서" 그는 "공공의 질서의 보존자"임을 보여주고 있다.

Cotton quotes his Reformed forebear Franciscus Junius to show that “as a Christian” the magistrate is a “holy sheep of Christ’s holy flock” but that “as a Magistrate” he is a “preserver of public order.”


이 모든 일에 있어서 코튼은 일반적인 16-17세기의 개혁주의 두 왕국 의견을 제시한다.

In all of these matters, Cotton sets forth common sixteenth- and seventeenth-century Reformed two kingdoms sentiments.


그러나 이것은 코튼이 항상 완전히 명확하다는 것은 아니며, 심지어 그가 이러한 범주에서 사용하는 것들도 마찬가지다.

Yet it is not as if Cotton is always perfectly clear even in his use of these categories.


예를 들어서, 그가 로저 윌리암스와 주고 받은 대화에서 발견된 해석하기 어려운 구절 가운데, 코튼은 "교회와 국가는 아직 구별되는 나라들로서, 하나는 이 세상의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하늘의 것"이라고 확인하면서 "세속의 임시적인 이스라엘"이 오늘날 세워져야 한다는 것을 부인하고 있다.

For instance, in a difficult passage to interpret found in his exchanges with Roger Williams, Cotton affirms that “Church and Commonwealth are still distinct Kingdoms, the one of this world, the other of Heaven,” and denies that “a Civil and temporal Israel” is to be established today.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리스도가, 교회에서 뿐만이 아니라  이 땅의 모든 나라의 통치에서도 (중재자로서) 영원한 나라를 즐거워한다"고 주장한다.

Nevertheless, he also asserts that “Christ hath enjoyed (even as Mediator) an everlasting Kingdom, not only in the Church, but in the Government of all the Kingdoms of the earth.”


이러한 주장이 위에서 논의한 국가와 교회의 권위 사이의 세 번째와 네 번째의 근본적인 구분과 대립 되는 것과 같아 보이지만, 그는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변론 하는 진술을 한다. "이 땅의 나라들은 우리 주의 나라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자기들의 법을 하나님의 말씀의 법에 복종 시킬 때 그렇게 된다."

He defends this assertion, which seems to contradict the third of his four basic distinctions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discussed above, by stating that “the Kingdoms of the earth are then said to be the Kingdoms of our Lord, when they submit their laws to the laws of his word.”


비록 코튼은 여기서 성서 본문을 인용하고있지 않지만, 그는 "세상 나라가 우리 주와 그의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어"를 말하고 있는 요한 계시록 11장 15절을 언급하는 것 같다.

Though Cotton does not cite a Scripture text here, it is likely that he is referring to Revelation 11:15, which speaks of the kingdoms of the world becoming the kingdom of the Lord and of his Christ.


요한 계시록 11장 15절의 이러한 말씀은, 그리스도의 재림과 함께 역사의 마지막에 하나님 자신이 행하실 것을 가리키는 일곱 째 나팔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This declaration in Revelation 11:15, however, occurs in the context of the seventh trumpet, seemingly pointing to God’s own action at the end of history with the return of Christ.


그러므로 코튼은 다른 곳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영적인 나라는 구속의 중재자이신 그리스도에 의하여 다스림 받고 세속의 국가는 창조주로서의 그리스도로 인하여 다스림 받음으로서, 이는 역사 속에서, 심지어 그 자신의 시대에서도, 세속의 나라를 하나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중재자이신 그리스도의 지배를 받는 나라로 변화를 시키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인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세속의 나라에서의 인간의 행동을 성서의 법에 복종 시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Cotton, therefore, while elsewhere claiming that the spiritual kingdom is ruled by Christ as mediator of redemption and that the civil kingdom is ruled by him as creator, has apparently moved into history — even into his own day — the transfer of civil kingdoms into a single, overarching kingdom ruled by Christ as mediator, accomplished not by the divine act of Christ’s return but by the human act of civil states submitting their laws to Scripture.


이 분야에서의 코튼의 생각의 틀을 좀 더 폭 넓게 그리기 위하여, 나는 그의 국가의 통치자와 그들의 종교적 책무에 대한 그의 관점과, 완전히 무효화 시키지는 못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국가와 교회의 권위에 대한 구분을 상대화 시키는 그의 관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order to trace the contours of Cotton’s thought more broadly in this area, I now turn to consider his view of civil magistrates and their religious responsibilities, a view that relativizes, though does not completely nullify, the distinctions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described above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