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법 2015. 5. 2. 17:50
존 코튼과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

John Cotton and the Reformed Natural Law Tradition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229-233를 번역한 것이며 이 부분은 초기 뉴잉글랜드 신정체제에서 존 코튼이 개혁주의 안에 있었으면서도 개혁주의의 두왕국과 자연법을 사회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문제를 보였는지, 그리고 존 코튼이 겪을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을 통하여 존 코튼을 이해하는 맥락에서 서술 된 것이다.)

존 코튼에게는 자연법의 주제를 다룬 자료가 충분하지 않기에 여기서 다루는 주제는 좀 짧을 것이다.
There is less extant material from John Cotton pertaining to the issue of natural law, and thus treatment of the issue here may be briefer.

약간의 명백한 반대적 증거에도 불구하고, 코튼의 많은 저술에서는, 모세의 재판법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그가 다수의 전통적 개혁주의와 광범위한 기독교인의 시각에서의 자연법에 대하여 제시하고있다.
Despite some apparent evidence to the contrary, a number of things in Cotton’s writings suggest that he held many traditional Reformed and broader Christian views on natural law, including its relation to the Mosaic judicial law.

(코튼은) 비록 자신의 많은 개혁주의 동료들보다도 자연법의 역할에 대하여 자신감을 덜 보이는 것이 분명하지만, 코튼은 이 주제에 관해서는 전반적으로 자신의 전통 가운데 머물러있었다.
Though surely less sanguine about the role of natural law than many of his Reformed contemporaries, Cotton on the whole remained within his own tradition on this issue.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은 성서를 철저히 지키는 이들로 알려져있으며 이들은 도덕이나 정치적 판단에 있어서 비성서적인 자료들에 대하여는 가능한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The New England Puritans are often viewed as biblicists whose interest in any non-Scriptural sources for moral and political guidance was minimal.

그들에게 성경이 중요하다는 것은 명백하지만, 최근에 다수의 학자들의 저술들은 자연법이, 영국의 일반법과 같은 다른 비성경적 자료들과같이, 초기 뉴잉글랜드의 윤리학과 법학의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While the importance of Scripture for them is obvious, a number of scholars writing in recent years have recognized that natural law, along with other non-biblical sources such as the English common law, played a role in early New England ethics and jurisprudence.

이러한 학자들의 몇 사람은 그 증거로 코튼을 예로 들고 있으며 실제로 그는 상당수의 내용들을 자연법에 의지하고있다.
Some of these scholars call upon Cotton for evidence, and indeed he drew upon the idea of natural law in a number of contexts.

현재의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코튼이 시민법의 기준이 되는 표준으로서 자연법에 호소한다는 것이다.
Most significantly for the present study, Cotton appealed to natural law as a normative standard for civil law.

이것의 몇 가지 예들이 앞의 단락에서 통치자의 신앙적 책임에 대한 논의에서 나타난다.
Some examples of this appeared in the previous subsection under discussion of the magistrate’s religious responsibilities.

코튼은 직접적으로 "자연의 빛"을 인용하면서 간접적으로는 자신의 입장을 변론하기 위하여 “profane Authors”와 “the Consent of all Nations”에 호소하기도 한다.
Cotton cited the “light of nature” directly and also indirectly through appeals to “profane Authors” and “the Consent of all Nations” in defending his position.

전통적으로 내려온, 시민법과는 전혀 다른 면에 있어서, 그는 전통적 유산은 "자연스럽게" 다른 세대로 내려가야 하며 장남에게는 두 배가 할당되어야 한다는 것을 "자연의 법"을 통해서 명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On a very different aspect of civil law, the law of inheritance, he also pointed explicitly to the “law of nature” as indicating that inheritances should “naturally” descend to the next of kin and that a double portion should be assigned to the eldest son.

세 번째 주제에 관하여, 제스퍼 로젠마이어는 코튼이 고리대금업에 대항하면서 광범위하게 다양한 자료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이성과 일반 정의와 평등에 대한 사고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전 작가와 동시대의 법적인 관례를 추가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In regard to a third issue, Jesper Rosenmeier argues that Cotton made use of a wide variety of sources to argue against usury, including reason and notions of common justice and equity, in addition to classical authors and contemporary legal practice.

이러한 예는 코튼이 광범위한 기독교 전통과 더불어서 자연법을 인용하는데 편안함을 느끼고 있으며 그는 이 (자연법)을 최소한 시민법의 기준이 되는 표준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Such examples indicate that Cotton, with the broader Christian tradition, felt comfortable citing natural law and that he viewed it as at least one normative standard for civil law.

그러나 코튼이 모세 재판법을 보는 관점과 이것의 자연법과의 관계에 관하여는 몇 가지 매우 어려운 문제들이 제기된다.
Some very difficult questions arise, however, regarding Cotton’s view of the Mosaic judicial law and its relation to natural law.

최소한 최근의 한 저자는 (자연법이 아닌) 모세의 재판법과 같은 것이 마땅히 현대 시민법의 표준이 되어야한다는 자신의 확신의 선례로서 코튼을 제시하고있다.
At least one recent writer has appealed to Cotton as precedent for his own conviction that the Mosaic judicial law as such (and not natural law) ought to be the standard for contemporary civil law.

모세법을 이렇게 보는 것은, 앞의 장에서 길게 논의한 바와 같이, 분명히 역사적 개혁주의의, 혹은 더 넓게는 그리스도인의, 입장이 아니며, 단지 한 사람이 이것이 코튼의 입장이라는 그럴듯한 사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며, 로젠마이어 같은 경우는, 코튼이 이 주제에 관하여는 칼빈으로부터 벗어났다고 주장한다.
Such a view of the Mosaic law is clearly not the historic Reformed — or broader Christian — position, as argued at length in previous chapters, but one can make a plausible case for this being Cotton’s position, and Rosenmeier, for one, claims that Cotton diverged from Calvin on this issue.

그러나 아래에서 볼 것이지만, 로젠마이어는 나타나는 모든 것에 대하여 설명을 하진 않았으며, 조지 하스킨의 결론을 정확하게 보인다.
But as will be seen below, Rosenmeier does not account for all of the evidence, and George Haskins’ conclusions seem accurate.

그는 초기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이, 비록 다양한 인물들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강조점이 있음을 보고 있지만, 개혁주의의 합의 안에 잘 자리를 잡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존 윈드롭과 같은 중요한 인물은 이러한 합의 안에 좀 더 한 가운데 있으며 코튼은 그 가장자리에 있음을 보고 있는데 이는 그가(코튼이) 모세의 재판법을 상당히 넓게 보면서 이를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He places the early New England Puritans well within the Reformed consensus though he sees different emphases among the various figures, finding an important figure such as John Winthrop more in the center of this consensus and Cotton on one fringe of it, due to the great extent of the Mosaic judicial law that he viewed as universally binding.

아마 코튼이 모세의 재판법과 자연법의 관계에 대한 초기 개혁주의의 생각의 주요 흐름 안에 속하여있다는 가장 큰 증거는 그가 전자(모세의 재판법)의 지속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표준 개혁 주의 평가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Perhaps the best evidence that Cotton falls within the mainstream of early Reformed thought on the relation of Mosaic judicial law and natural law is his utilization of the standard Reformed test for the continuing applicability of the former.

요컨데 그의 개혁주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그(코튼)는 도덕적 평등을 반영하고있는 모세의 재판법의 보편적 특성을 논하고 있는 것인데, 이 도덕적 평등의 뜻은 칼빈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에게는 자연법과 궁극적으로 동등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는 "자연적 사법은 도덕적 평등으로 모든 이들에게 구속력이 있다"고 기록하고있다.
In short, like his Reformed contemporaries, he argued for the universal character of those aspects of Mosaic judicial law that reflect “moral equity,” terminology used by Calvin and the Reformed orthodox as a virtual equivalent of natural law. He wrote, for example, that “Natural Judicials bind all; of moral equity.”

그는 윌리암스와의 논쟁에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체제가 모세법 가운데 "도덕적이고 영구한 평등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모든 재판법"에도 묶여있다는 것을 부인한다.
In his debate with Williams, furthermore, he denied that a Christian commonwealth was bound to “all the judicial Laws of Moses” rather than “only [to] those of Moral, and perpetual equity.”

그리스도는 "도덕적 평등을 나타내는 모세의 재판법"을 폐지한 것은 절대아니다.
Christ never abolished “the Judicial Laws of Moses, which were of Moral equity.”

다른 한편으로는, 그 사회 체제에서만 특별하면서, 동시에 특별한 교회이면서, 그 외에는 이 세상에 어느 곳에도 없으면서, 하늘 아래의 모든 사람들과는 동떨어진 이스라엘만의 구약의 재판법은 현대 시민법으로 강요 되어서는 안된다.
On the other hand, those Old Testament judicial laws that were “peculiar to that state” and concerned Israel “as they were a peculiar church & none besides them in the world & sequestered from all people under heaven” were not to be enforced in contemporary civil law.

이 모든 것들은 일반적으로 개혁 주의가 생각하고 있는 것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All of this reflects common Reformed conviction.

그러나 전통적인 개혁주의의 범주 안의 표준에 의해서 판단될 경우, 코튼의 관점은 최소한 2가지 면에서 좀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다.
Judged by the standard of traditional Reformed categories, however, Cotton’s views do appear somewhat deficient in at least two respects.

첫째로, 비록 코튼은 (도덕법과 의식법을 따르는) 재판법의 범주에서 작업을 했다고 할지라도, 이것은 그가 특정의 재판법을 아무런 부가 설명이 없이 도덕법이나 의식법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First, though Cotton obviously works with the category of judicial law (along with moral and ceremonial law), it seems that he viewed particular judicial laws as being either moral or ceremonial, without remainder.

달리 표현하자면, 그는 도덕법인 재판법에 대하여는 지속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그리고 의식법(이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사역에 의하여 완성되었음을 가리킨다.)인 재판법에 대하여는 폐지할 것에 대하여 논하고 있는데, 이는 마치 이들을 구분할 다른 영역이 없는 듯이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he argued for the continuing applicability of judicial laws that are moral and the expiration of judicial laws that are ceremonial (i.e., that pointed to and found their fulfillment in Christ and his work), as if there were no other category in which to place them.

비록 코튼 이전의 칼빈과 같은 인물이나 코튼 이후의 투레틴과 같은 인물은 이것을 의식적으로 명확히 강조하지는 않았지만, 이들은 모세의 재판법이 엄격하게 도덕법만도 아니고 엄격하게 의식법만도 아니며, 단순히 자신들의 유럽 사회와 같은 특별한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을 뿐이다.
Though figures such as Calvin before Cotton and Turretin shortly after him perhaps did not articulate this with conscious clarity, they seemed to recognize that certain Mosaic judicial laws were neither strictly moral nor strictly ceremonial, but were simply not appropriate for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their contemporary European societies.

두번째로는, 코튼에게서는 그의 많은 개혁주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모세의 재판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하는 일반적인 확신을 찾을 수가 없다.
Second, one does not find Cotton making the general affirmation that the Mosaic judicial law has expired, as do so many of his Reformed cohorts.

다른 이들은 일반적으로 재판법의 폐기를 말하고나서 이차적으로 도덕적 평등에 관계되는 부분에서 시대에 적용 가능성을 말하는 반면에, 코튼은 우선 재판법을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난 후에야 그 안에서 예외적으로 폐기되어야 할 면을 찾으려고 한다.
While others spoke generally of the abrogation of the judicial law and secondarily of its contemporary applicability when moral equity so indicates, Cotton seemed intent on finding the judicial law primarily of universal application and its expired aspects the exception.

이러한 움직임의 일부분은 의심할 여지 없이 그(코튼)가 윌리암스를 반박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였다는 문맥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Part of the dynamics here undoubtedly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 need to refute Williams.

코튼은 구약 이스라엘의 사회제도를 뉴잉글랜드의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보았는데, 특히 참된 신앙을 보호하는 일을 하였던 이스라엘 왕들의 역할에서 그러하였다.
Cotton saw the social arrangement of Old Testament Israel as key justification for the New England way, particularly in the role that Israel’s kings played in protecting true religion.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코튼은 구약의 율법에서의 유형학에 대한 매우 높은 장벽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모세법이 그리스도를 가리키면서 그리스도 안에서 다 성취되었기에 더 이상 그리스도인에게 적용할 수 없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ontext, Cotton set a very high bar for seeing typology in the Old Testament law, that is, for seeing aspects of the Mosaic law as inapplicable to Christians because they pointed to and were fulfilled by Christ.

이 모든 것에서 코튼은 구약과 신약이 연속적이라고 추정하고서 모세의 재판법은 오직 제한된 환경에서만 폐기되었음을 수용한다.
In all of this Cotton assumed continuity between Old and New Testaments and accepted that Mosaic judicial laws had expired only in limited circumstances.

코튼의 작품으로부터 얻은 두 가지 예를 보게 되면, 그가 앞의 단락에서 일반적으로 결론을 내린 이러한 주제들이 개혁주의의 합의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 지를 알아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증거가 될 것이다.
Two examples from Cotton’s work that offer perhaps the best evidence that he stands outside of the Reformed consensus on these issues may serve to test the general conclusions drawn in the preceding paragraphs.

첫번째 예로는 메사추세츠 법을 본보기로 볼 수 있는데 그(코튼)는 비록 그(모세의 판결법) 자체를 법규화하지는 않았지만 식민지에 영향을 주게 끔 한 것을 볼 수 있다.
The first example is the model for Massachusetts law that he drew up which, though never itself enacted, became influential in the colony.

이 비교적 짧은 문서에서만 제안된 법을 뒷받침해주기 위해서 모세법으로부터 인용한 풍부한 본문을 포함하고 있을 뿐이며, 대부분은 결과적으로 성서에서 벗어난 규칙들을 인용하고 있었다.
This relatively brief document contains copious citation of texts from the Mosaic law to support the laws that it proposes and many sections virtually copy rules right out of Scripture.

이러한 상황 가운데 의식법이나 유형적 법이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다는 (코튼) 자신의 원칙에 어긋나는 놀랄 만한 예들이 있었으며, 국가의 상황에 적용된 것 가운데는 교회의 비난을 받아야만 했던 예들도 있었다.
In the midst of this, there are striking examples of violation of his own principle that ceremonial or typological laws are no longer applicable and examples of ecclesiastical censures applied to the civil context.

이러한 모든 것들은 코튼이 다른 곳에서 표현 한 것과 같이 아무런 섬세한 적합화의 과정이 없이 모세법을 뉴잉글랜드에 있는 그대로 바로 적용 시켜 버린 것이다.
All of this points to a quite straightforward thrusting of Mosaic law onto New England without even some of the nuanced qualifications that Cotton expresses elsewhere.

그러나 여기에서 조차도 서로를 상쇄 시키는 (모순되는) 증거들이 있다.
But even here there is countervailing evidence.

문서의 어떤 긴 부분은 모세법을 전혀 인용하지 않았으며 사실 구약의 이스라엘과는 관계없이 뉴잉글랜드의 특별한 관심사에 적합한 것이었다.
Some lengthy sections of the document do not cite Mosaic law at all and in fact pertain to things of particular concern to New England and irrelevant to Old Testament Israel.

예를 들어서 코튼은 수산물 거래를 보호하는 법이나 모든 사람이 교회 집회소에서 1마일 이내에 살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제안하였다.
For example, Cotton proposes laws protecting the fishing trade and requiring every person to live within a mile from the church meeting-place.

코튼은 역시 몇 개의 조항들을 합법화하기 위하여 자연법에 호소를 하였다.
Cotton also appeals to natural law to help to justify a couple of provisions.

다른 법들은 배심원 선출 규정과 같은 영국의 일반법 전통과 같은 일들을 다루고 있다.
Other laws deal with matters peculiar to the English common law tradition, such as the regulation of jury selection.

인디안에게 식민지 사람들을 공격하는데 사용 될만한 상품을 파는 것을 금지하는 것과 같은 몇 가지 법들은 단순히 일반적 통찰을 반영하고 있다.
And some laws, like the prohibition of selling to the Indians goods that might be used against the colonists, simply seem to reflect common sense.

이러한 문서에 대하여 교리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어렵지만 여러 증거들을 취합하여 살펴볼 때 이것은 다양한 자료들- 물론 그 중에는 모세법이 가장 두드러지지만-의 법들을 취합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make dogmatic conclusions about this document, but I suggest, based upon all of the evidence taken together, that this is an eclectic collection of laws derived from various sources, Mosaic law of course being particularly prominent.

그 조항들은 인간 사회의 보편적인 것들로부터 뉴잉글랜드 식민지의 필요라는 매우 특별한 것까지 광범위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The provisions deal with a variety of issues from those universal to human society to those quite particular to the needs of colonial New England.

약간의 예외는 있지만, 그 가운데는 위에서 윤곽을 그린 재판법과 자연법에 관계된 코튼의 신학적 입장에 근본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은 없다.
With a few exceptions, nothing in them is fundamentally inconsistent with Cotton’s theoretical position regarding judicial and natural law outlined above.

두 번째 검증 사례로는 코튼이 윌리암스에게 몇 가지 비판을 하는데 있어서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 안에 있었다는 것이다."보아라 하나님께서는 신약에서 분명하게 국가 통치자들에게 권위를 주셨다. 그러고는 그들에게 국가의 정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분명한 의의 법이나 규칙을 주시지는 않으셨다 그러므로 그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완전한 성서로부터 타락된) 법칙이 없이 행하거나 통치 하게 하셨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그들은 자신들의 의의 법칙을 모세의 율법이나 구약에 자세하게 설명된 예언자들에게서 가져오도록하였다."
The second test case for the claim that Cotton was within the Reformed natural law tradition comes from some comments that he makes to Williams: “Seeing he [God] hath expressly authorized civil Magistracy in the New-Testament, and hath given no express Laws or Rules of Righteousness for them to walk by in Administration of civil Justice, therefore either he leaveth them to act and rule without a Rule (which derogateth from the perfection of Scripture:) or else they must fetch their rules of Righteousness from the Law of Moses and from the Prophets, who have expounded him in the Old-Testament.”

통속적으로 말하자면, 코튼은 신약에서 국가의 법에 대하여 침묵하고 있기에 이것은 (신약에서 의도하는 국가 법은) 모세의 법일 수 있거나 아니면 아무 것도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To put it colloquially, Cotton seems to say that since the New Testament is silent on civil law, it is Moses or nothing.

모세법을 시민법의 표준으로 세우기를 거부하는 것은 어떠한 성경적 표준으로부터도 떠나는 것이며 성서의 완전함(즉 충분성)과 타협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나서, 그는 오직 성경이라는 교리가 시민법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By suggesting that refusal to make Moses the standard for civil law leaves no biblical standard and hence compromises the perfection of Scripture (i.e., its sufficiency), he implies that the doctrine of sola scriptura applies to the matter of civil law.

분명히 이것은 16세기와 17세기의 개혁주의의 관점은 아니었다.
Clearly this was not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Reformed view.

만약 여기에서 코튼의 말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면, 그는 개혁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If Cotton’s words here are taken at face-value, then he expresses a position out of Reformed bounds.

그러나 공정하게 말하자면 이러한 서술은 그가 저술한 다른 모든 것의 맥락 가운데 읽혀져야 하고, 이러한 제안은 그가 모세법이나 혹은 아무것도 아닌 것 바로 다음에 도덕적 평등에 관한 통상적인 적합화를 추가하였음을 반복한 사실을 통하여 좀 더 보강이 되었어야 하는 것이다.
But fairness suggests that this statement be read in the context of all else that he writes, and this suggestion is bolstered by the fact that when he repeats a short while later that it is Moses or nothing he then adds the usual qualifier about moral equity.

결론적으로, 코튼의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과의 관계는 그가 개혁주의 두 왕국 전통에 관계 한 것과 비슷하다.
In conclusion, Cotton’s relation to the Reformed natural law tradition is similar to his relation to the Reformed two kingdoms tradition.

그는 분명히 그의 시대에 일반적인 개혁주의의 영역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자신의 전집의 많은 부분에서 활용을 하고있었다.
He is clearly influenced by the common Reformed categories of his day and utilizes them in many places in his corpus.

뉴잉글랜드 사회에서 신앙적인 순수성이 강화되도록 하려는 그의 열심으로 인해서 그는 주제들에 대하여 일관성 있게 제대로 표현을 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하여 그는 자신의 생애 동안에 사회적 논쟁과의 변론에서 지속적인 긴장 관계를 가져왔던 것이다.
Yet his zeal to defend the New England way with its civil enforcement of religious purity produced a less than fully consistent presentation of the issues and resulted in lingering tensions in his discussions of the social controversies of his day.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법과 모세법  (0) 2017.08.10
도덕적 표준으로서의 자연법  (0) 2017.08.08
신앙과 국가의 통치  (0) 2015.04.26
존 코튼과 두 왕국  (0) 2015.04.20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2015.04.17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