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58

CHRISTIANIZING THE WORLD? (3)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의무로서 세상을 기독교화를 추진하는 이들은 이 세상에 하나님 나라의 도래로서의 프로젝트를 설명합니다.

Those who promote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as the duty of the church and of the Christian present the project a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이러한 시류를 탄 기독교 대학들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알리는 드럼을 두드립니다.

The Christian colleges that are on this bandwagon beat the drum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교회와 언약에 대하여는 좀처럼 듣기 힘듭니다.

Not much is heard of church or covenant.


(하나님) 나라를 찾고; 나라를 추구하고; 나라의 삶을 살고; 기타 등등, 나라가 전부입니다.

Kingdom is all: seeking the kingdom; promoting the kingdom; living the life of the kingdom; and the like.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를 도래시키는 것이며,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주된 면이라는 나라에 대한 강조는 아브라함 카이퍼로 거슬러 올라가며, (카이퍼는) 교회의 소명이 우선 자신의 나라의 문화를 기독교화하고, 그 다음에 전체 세계를 기독교화하는 것이라는 생각의 원천이 됩니다.

This emphasis on the kingdom, as though Christianizing the world brings about the kingdom of God and is the chief aspect of the kingdom, goes back to Abraham Kuyper, the source of the notion that the church’s calling is to Christianize the culture first of one’s country and then of the entire world.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계획의 실천요강인, 그의 영향력 있는 칼빈주의 강연에서, 카이퍼는 "삼위 하나님의 전체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영역들과 나라들에 대한 주권" 즉 하나님의 왕권과 나라에 대하여 호소를 합니다. (칼빈주의 강연, 79)

In his influential Lectures on Calvinism, the playbook of the game of Christianizing the world, Kuyper appealed to the “Sovereignty of the Triune God over the whole Cosmos, in all its spheres and kingdoms,” that is, to the kingship and kingdom of God (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9).


Science and Art에 실린 일반은혜의 책에서 카이퍼는 기독교인이 "일반은총이 작용하는... 대단히 인류의 영적인 발달을 진전시키는" 무신론자인 과학자들과 예술가들과 협력할 것을 간청합니다.

In a book on Common Grace in Science and Art, Kuyper pleaded for the Christian’s cooperation with ungodly scientists and artists who by “common grace [have] been active… greatly promoting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human race.”


이러한 맥락에서, 카이퍼는 다음과 같이 "하나님 나라"를 강조합니다: "하나님 나라는 최소한 제도적 교회에만 제한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전체 세계와 삶과 관점을 지배하는 것입니다."("과학에서의 일반은혜" 458,459).

In this context, Kuyper stressed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is not in the least limited to the institutional church but rules our entire world-and-life-view” (“ Common Grace in Science,” 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98, 458, 459).


세상에서의 도피라는 비난에 대하여

The Charge of World-flight


세계를 기독교화 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표현하는 것이며, 나라에 대한 거룩한 모험이라는 자신들의 확신을 고수하는 가운데, 세계를 기독교화 하기 위한 개혁주의 열심당원들은 개신개혁교회(PRC)와 그들의 구성원들이 나라에 대한 소망이 심각하게 결여되어있다는 것과 하나님의 나라를 추구하는 것과 관계된 의무에 대한 심각한 태만을 비난합니다.

In keeping with their conviction that Christianizing the world represent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and is a noble kingdom-venture, the Reformed zealots on behalf of Christianizing the world charge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nd their members with a serious lack of kingdom-vision and with grave dereliction of duty concerning promoting the kingdom of God.


만약에 사실이라면, 심각한 결함입니다!

A serious shortcoming, if true!


이러한 비난은 바로 개신개혁 학교들의 학생들을 혼란스럽게 합니다.

This charge is rightly disturbing to Protestant Reformed students at these colleges.


이러한 비난에서 특히 고통스러운 면은 개신개혁 교회들과 신자들이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라고하는 비성경적이고 수치스러운 죄를 범하고 있다는 비난입니다.

An especially painful aspect of this charge is the accusation that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nd believers are guilty of the unbiblical, shameful evil of “worldflight.”


일반은혜,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우리를 종교개혁 당시의 재세례파의 범주에 넣는 것에 동의합니다.

The common grace, cultural-Calvinists consign us to the ranks of the Anabaptists of the time of the Reformation.


그들은 우리를 문저, 레이든의 요한, 그리고 메노 시몬스와 같은 집단에 속하였다고 매도합니다.

They dismiss us as belonging to the company of Munzer, John of Leyden, and Menno Simons.


(아래의 문구들은 반어법으로 표현된 것이다.)

우리는 참된 칼빈주의자들이 전혀 아닙니다!

We are no genuine Calvinists at all!


우리는 루터나 칼빈, 그리고 명백하게 개혁주의 신앙고백들의 자녀들이나 상속자들이 (비록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세상의 기독교화에 대한 이론과 교리로부터  "세상으로부터의 도피"에 대한 자신들의 비난에 대하여 명백한 증거를 거의 제공하지 못하지만) 아닙니다.

We are no children and heirs of Luther, Calvin, and evidently of the Reformed confessions (although the cultural-Calvinists offer precious little proof for their theory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nd for their charge of “world-flight”from the creeds).


내가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비성경적" 악이라고 기록한 것은 우리 주님께서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금하셨기 때문입니다:"내가 비옵는 것은 그들을 세상에서 데려가시기를 위함이 아니요... 나도 그들을 세상에 보내었고"(요17:15,16)

16  내가 세상에 속하지 아니함 같이 그들도 세상에 속하지 아니하였사옵나이다

I write “unbiblical”evil of world-flight because our Lord forbade world-flight: “I pray not that thou shouldest take them out of the world…I [have] sent them into the world”(John 17: 15, 16).


프로젝트 참여자에 따르면, 개신개혁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를 거절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악이기에, 우리는 우리 자신들로 하여금  역사에 있어서 하나님의 위대하신 두 가지 일 가운데 하 가지를 반대하며 가로막는 죄를 범하게 하는 것이며, 그분의 이 세상에서의 두 가지 주된 목적 가운데 하나는, 일반은총에 힘입은 아름다움의 창조, 고상함, 선함, 균등한 신적 문화, 세계화등입니다.

So serious an evil is the Protestant Reformed refusal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at, according to the proponents of the project, we make ourselves guilty of opposing and obstructing one of the two great works of God in history and, therefore, one of his two main purposes with his world: the creation of beautiful, noble, good, even godly culture, worldwide, by virtue of common grace.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아버지인 아브라함 카이퍼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Listen to the father of the cultural-Calvinists, Abraham Kuyper:


구원을 이루는 특별은혜가 있으며, 또한 일반은혜가 있는데 하나님께서는 이것으로... [세상에] 놓여있는 저주를 늦추시며, 세상이 붕괴되는 과정을 붙드시며, 그렇게 하심으로서 우리의 삶의 자유로운 발전을 통하여 하나님 자신이 창조주로서의 영광을 취하신다 (칼빈주의 강연, 30)

There is a particular grace which works Salvation, and also a common grace by which God…relaxes the curse which rests upon [the world], arrests its process of corruption, and thus allows the untrammeled development of our life in which to glorify Himself as Creator (Lectures on Calvinism, 30).


그의 작품 일반은혜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기록합니다:

In his work on common grace, Kuyper wrote:


"특별은혜를 통한 하나님의 위대하신 일 외에도 일반은혜의 영역에서 전적으로 다른 하나님의 일이 있다."  그 "전적으로 다른 일"은 "세상의 발전을 극대화하여 절정"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일반은혜" 카이퍼, 176)

“There is beside the great work of God in special grace also that totally other work of God in the realm of common grace.” That “totally other work”is to “consummate the world’s development”(“Common Grace,”in Kuyper, ed. Bratt, 176).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것이, 지지자들의 생각에, 얼마나 놀라운 하나님의 일이겠으며, 비록 죄가 아닐지라도, 이러한 일에 자신이 참여하는 것을 거절하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들은 얼마나 한심스러울 정도로 부족한 이들이겠는지를, 헤르만 바빙크는 "우리는 개혁주의 신앙고백을 삶의 모든 분야에 가져옴으로서 능력있고, 영광스러우며, 충분히 이상적으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목표를 향해야합니다"라고 외칠때 암시했읍니다.

How wonderful a work of God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is, in the thinking of its advocates, and therefore how woefully deficient, if not sinful, those Reformed Christians are who decline to involve themselves in this work, Herman Bavinck suggested when he exclaimed, “We have to aim at that mighty, glorious, rich ideal to Christianize the world by bringing in our Reformed confession into all areas of life”(Bavinck’s farewell address to the Kampen seminary students in 1902, in Willem J. de Wit, On the Way to the Living God, Free University Press, 2011, 58).


이것은 동시대의 문화 칼빈주의자들에게, 바빙크가 개혁주의 신앙고백을 삶의 모든 분야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고, 잠시 생각하게도 할 수 있습니다.

It might give the contemporary cultural-Calvinists pause that Bavinck spoke of the necessity of bringing the Reformed confessions into all areas of life.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프로젝트의 동시대의 형태에서 개혁주의 신조는 눈에 띄게 실종되었습니다.

From the contemporary form of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Reformed creeds are noticeably missing.


그러나 세상을 기독교화하는데 열심인 이들은 완전히, 그리고 전체적으로 판단을 잘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But the zealots for Christianizing the world are utterly and wholly mistaken.


그들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그들의 개념에서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with regard to their conception of the kingdom of God.


그들은 일반은혜에 의하여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관계가 있다는 그들의 생각에 있어서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with regard to their notion that Christianizing the world by common grace has anything to do with the kingdom of God and its coming.


그들은 개신개혁교회(PRC)들이 하나님 나라와 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관하여 무관심하고 수동적이라는 잘못 비난하는 실수를 범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in their false accusation that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re indifferent and passive with regard to the kingdom of God and its extension in this world.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What the Kingdom of God is


첫째로는, 세상을 기독교화하고자 하는 지지자들이 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의 개념에 대하여 잘못 판단하고있다는 것입니다.

First, the advocates of a Christianized world are mistaken regarding their conception of God’s kingdom in this world.


기독교에 외적으로 영향을 받은 사회나 국가, 혹은 심지어 대부분이 불신자인 전체 세계는, 일련의 불신자 헐리우드 배우가 마틴 루터의 삶을 연출하는 것이 교회의 개혁이고 혹은 종교개혁의 확대라고 하는 것 이상의 하나님 나라가 아닙니다.

A society, a nation, or even an entire world of mostly unbelievers that has been influenced by Christianity outwardly is no more the kingdom of God than a set of ungodly Hollywood actors dramatizing the life of Martin Luther is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or an extension of the Reformation.


이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나라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삼위 하나님의 통치이시며, 세상에서 하시는  하나님의 위대한 관리입니다.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is the reign of the triune God in Jesus Christ, God’s great servant in the world.


이것은 그리스도인이 희망하였고, "당신의 나라가 임하옵소서" 라는 주기도의 두 번째 간청에서 기도하였던 나라입니다.

This is the kingdom whose coming Christians desire and pray for in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Thy kingdom come.”


이것은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의 나라입니다.

It is the kingdom of God’s “dear Son”(Col. 1: 13).


이 나라는 하나님의 일반은혜에 의하여 오지 않습니다.

This kingdom does not come by a common grace of God.


차라리, 이것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온다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에 의하여 우리를 통치 하신다는 것이다"라고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에 의하여 오는 것입니다.

Rather, it comes by God’s “Word and Spirit,”as the Heidelberg Catechism explains: “Thy kingdom come; that is, rule us so by Thy Word and Spirit”(Q& A 123; emphasis added).


이 나라에서는, 오직 선택된 신자들만이 국민입니다.

Of this kingdom, only those are citizens who are elect believers.


(이 나라의) 국민들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사랑하는 아들의 나라로 옮긴" 이들입니다.(골1:13)

The citizens are those whom God “hath translated…into the kingdom of his dear Son”(Col. 1: 13).


모든 다른 이들은 어둠의 군주의 나라에서, "어둠의 권세"(골1:13) 아래 있습니다.

All other humans remain under “the power of darkness”(Col. 1: 13), in the kingdom of the prince of darkness.


이러한 불신자는 하나님의 나라를 파괴하려는 것 외에는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These unbelieving people have no interest in the kingdom of God, except to will its destruction (Psalm 2; Rev. 13).


하나님 나라의 속성에 관해서는, 하나님 나라는 지상적이 아니고 천상적이며, 세속적이 아니고 영적입니다.

As to its nature, the kingdom of God is heavenly, not earthly; spiritual, not carnal.


이것은 예수께서 자신의 죽으심으로 세우신 의를 기반으로 하는 나라를 확립하는 날에" 이 세상의 것도 아니며" "이 세상으로부터 온 것도 아니다"라고 빌라도에게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설명한 것입니다.(요18:33-37)

This was Jesus’description of the kingdom to Pilate, on the day of Jesus’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n the found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his death: “not of this world”; “not from hence”(John 18: 33–37).


존 칼빈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묘사를 제대로 설명하면서, 이를 "영적이며" "천상적이며," 그리고 "세상으로부터의 분리된 것"이라고 기록했습니다.(요한복음 주석 2권, 209)

Correctly explaining this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God, John Calvin wrote, “spiritual,”“heavenly,”and “separated from the world”(Commentary on John, vol. 2, Eerdmans, 1949, 209).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는 눈으로 볼 수 있게 도래하는 것이 아닙니다. (눅17:21)

Therefore the kingdom does not come with “observation”(Luke 17: 21).


이와는 달리 일반은혜의 나라는, 최소한 이 나라를 꿈꾸는 이들의 상상 속에서, 사회적 관계, 경제적 진보, 그리고 정치적 진전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는 발전으로 오는 것입니다.

The kingdom of common grace, in contrast, comes with observable developments in social relations, economic advancements, and political progress, at least in the imagination of the dreamers of this kingdom.


하나님 나라의 유익들은- 일반은혜 나라의 주된 목표인- 지상적 평화와 세속적 번성이 아니라 "성령 안에 있는 의, 그리고 평강, 그리고 희락"입니다.(롬14:17)

The benefits of the kingdom of God are not earthly peace and carnal prosperity—the main goals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but “righteousness, and peace, and joy in the Holy Ghost”(Rom. 14: 17).


예수께서 빌라도와 나라에 대한 대화에서 나라에 대하여 더욱 강조한 한 가지는, 하나님의 나라가 "진리" 의 토대 위에서 발견된다는 것입니다:"내가 이를 위하여 태어났으며 이를 위하여 세상에 왔나니 곧 진리에 대하여 증언하려 함이로라 무릇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음성을 듣느니라"(요18:37)

One thing more about the kingdom Jesus stressed to Pilate in their discussion of the kingdom: the kingdom of God is founded on “the truth”: “To this end was I born, and for this cause came I into the world, that I should bear witness unto the truth. Every one that is of the truth heareth my voice”(John 18: 37).


이것은 빌라도가 "그러면 네가 왕이냐?"(요18:37)고 묻는 질문에 대한 예수님의 반응이셨으며, 그의 왕권과 나라의 속성에 대한 예수님의 설명입니다.

This was Jesus’response to Pilate’s question, “Art thou a king then?”(John 18: 37) and Jesus’description of the nature of his kingship and kingdom.


진리는 그리스도인, 그리고 특별히 구분되는 개혁주의 신앙고백 안에서 요약되는 성경의 복음입니다.

The truth is the gospel of Scripture as summarized in the Christian and the distinctively Reformed confessions.


로마 카톨릭과 불신자들과 함께 협력하는 일반은혜의 나라, 즉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추진되는 나라의 대부분의 열정적인 옹호자들 조차도, 나라가 진리를 기초로하고있다고 감히 주장하지는 않습니다.

Not even the most enthusiastic defender of the kingdom being promoted by the cultural Calvinists—the kingdom of common grace, in cooperation with Roman Catholics and unbelievers—will dare to contend that that kingdom is based on the truth.


이러한 나라는 진리에 대하여 완전히 침묵하지 않는다면, 오직 타협에 의해서 만 진보가 되고 외형을 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That kingdom can make progress and take form only by the compromising, if not the complete silencing of the truth.


로마 카톨릭과 불신자들은 진리를 거부합니다.

Roman Catholics and unbelievers reject the truth.


그러므로 일반은혜의 나라는 하나님 나라가 아닙니다.

The kingdom of common grace therefore is no kingdom of God.


이것은 나라가 아니며, 그 안의 어떠한 칼빈주의자나, 진실로 신앙을 고백하는 어떠한 그리스도인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나라인 진리의 나라에 대항하는 나라를 반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흥미도 가질 수 없습니다.(나라에 대한 매우 중요한 진리를 좀 더 완전하게 다룬 나의 책 "하나님의 나라" PRC2002를 참조하라)

It is no kingdom in which any Calvinist, indeed any professing Christian, should have any interest, except to oppose it as a rival kingdom to the kingdom of the truth, that is, the kingdom of God in Jesus Christ. (For a more complete treatment of the vitally important truth of the kingdom, see my booklet, “The Kingdom of God,”Evangelism Committee of Southwest PRC, 2002).


마음 안에서의 하나님의 통치

The Reign of God in the Heart


하나님의 나라가 기원과 속성에서 천상적이라는 것은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이나 이 세상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That the kingdom of God is heavenly in origin and in nature does not imply that it is not on the earth and in the world.


그 나라는 이 세상에 있으며, 주된 위치는 선택된 신자의 마음에 있습니다.

The kingdom is in the world, and its primary location is the heart of the elect believer.


그곳에서 그리스도는 자신의 왕좌를 가지고 계시며; 그곳에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은혜와 성령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다스리십니다.

There Christ has his throne; there God reigns in Jesus Christ by his grace and Spirit.


카이퍼와 그의 문화 칼빈주의 제자들은 하나님께서 백성의 마음에서 은혜로 다스리심을 경멸합니다.

Kuyper and his cultural-Calvinist disciples disparage the reign of grace in the hearts of the people of God.


그들은 이것을 강조하는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들을, 마치 이러한 강조로 인하여 우리가 그 나라를 마음으로 제한 시키고 있는 것처럼 비판합니다.

They criticize the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s who emphasize this, as though by this emphasis we restrict the kingdom to the heart.


학자로서의 카이퍼가 ,  카이퍼 자신의 주된 관심으로서, 그가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자신의 계획에 있어서, 개혁주의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통치를 인간의 마음에 대한 영적이고 사적인 통치로 제한시키고있다고 말한 것은 옳은 것입니다.

A scholar of Kuyper is correct when he states as a main concern of Kuyper in his program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y common grace that Reformed people “restrict the reign of Christ to the ‘spiritual,’to the private rule over the human heart”(John Bolt, A Free Church, A Holy Nation: Abraham Kuyper’s American Public Theology, Eerdmans, 2001, 193).


인간의 마음에서의 하나님의 통치는 이 땅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현존에 기반이 됩니다.

The rule of God in the human heart is fundamental to the presence of the kingdom on earth.


마음에서의 이러한 통치를 떠나서는, 기독교 신앙에 합치하는 어떠한 외적인 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전체 프로젝트는 하나님께 추악한 것이며 또한 그의 나라의 도래는 확실히 아닌 것입니다.

Apart from this rule in the heart, whatever outward conformity there may be to Christianity, the entir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obnoxious to God and is certainly not the coming of his kingdom.


하나님께서는 마음을 보십니다!

God looks to the heart!


하나님께서는 마음으로부터 자원하는 봉사를 기뻐하십니다!

God is pleased with willing service from the heart!


사실, 사람의 마음에서의 은혜의 통치를 떠나서는, 남자들이나 여자들이나, 하나님 나라를, 심지어 외적으로도, 찾으려고 하지도 않고, 찾지도 않고, 찾을 수도 없습니다.

In fact, apart from the reign of grace in human hearts, men and women will not, do not, and cannot seek the kingdom of God, even outwardly.


사단의 종들로서, 그들은 하나님 나라의 출현 조차도 미워합니다.

As slaves of Satan, they hate even the appearance of the kingdom of God.


그들은 하나님 나라를 파괴하는데 열심입니다.

They exert themselves to destroy God’s kingdom.


그들은 정열적으로 적그리스도의 나라를 세웁니다.

They energetically build the kingdom of antichrist.


그리고 만약에 그리스도가 사람의 마음을 지배한다면, 그 남자나 여자는 모든 인간의 삶의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 것이고 또 그렇게 해야만 할 것입니다.

And if Christ reigns in one’s heart, that man or woman will and must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of God—in all spheres of human life.


신앙인이 수동적이고 재세례파와 같이 될 것에 대한 문화 칼빈주의자의 염려는 근거가 없는 것입니다.

The fear of the cultural-Calvinists that believers will be passive and Anabaptistic is groundless.


이러한 염려는, 삶의 모든 주제의 근원이 마음에 있다는 것과, 그 마음에 능력이 있으시고, 모든 것을 총괄하시는 주권이 있으신 예수가 계시다는 것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입니다.

The fear does not reckon with the heart as the source of all the issues of life, or with the mighty, all-comprehensive lordship of Jesus in the heart.


마음에서의 그리스도의 통치에 대하여 비난하거나 저평가해서는 안됩니다.

Do not disparage or underestimate the reign of Christ in the heart!


이것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신조에서는 주기도의 두번째  기원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설명을 시작합니다:"즉 당신의 말씀과 성령으로 우리를 통치하심으로서, 우리가 우리 자신을 더욱 더 당신께 복종하도록 하여 주시옵소서." 그 의미는: 우리를 우리의 마음 안에서 다스리라는 것입니다.

With thi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its explanation of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that is, rule us so by Thy Word and Spirit, that we may submit ourselves more and more to Thee.”The meaning is: Rule us in our hearts.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주권

Sovereignty in All Spheres of Life


남자나 여자나, 이 땅에서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께 복종하는 것은,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의 마음 안에서 그리스도가 통치 하시는 것입니다.

Such is the rule of Christ in the heart of the Reformed Christian that he or she submits to Jesus Christ in all spheres of earthly life.


그러므로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모든 영역들에서 (하나님의) 나라의 삶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Thus, the Reformed Christian lives the life of the kingdom in all spheres.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Thus, the kingdom is extended to all spheres.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모두의 왕이시며 주십니다"라는 하나님 나라의 깃발을 올려야 합니다.

Thus, the believer raises the banner of the kingdom of God over every sphere: “Jesus the Christ is king and lord of all.”


그러므로, 하나님의 일반은혜를 완전히 떠나서, 그리고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어떠한 참여가 없어도, 참된 칼빈주의자인,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는, "우리 인간이 존재하는 전 영역에서, 모든 것을 통치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내것이라고 외치지 않으시는 곳이 단 1 입방인치도 없다"는 카이퍼의 유명하고, 흥분된 선언을  완전히 제대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Thus, altogether apart from a common grace of God and without any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 the genuine Calvinist— does full justice to Kuyper’s famous, stirring declaration, “There is not a square inch in the whole domain of our human existence over which Christ, who is Sovereign over all, does not cry: ‘Mine!’” (“ Sphere Sovereignty,” in Kuyper, ed. Bratt, 488).


다음번의 글 내용은 모든 영역들에서 이러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입증하면서 실례를 보여줄 것입니다.

Demonstrating and illustrating this kingdom-life in all the spheres will be the content of the next article.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