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법 2017. 8. 8. 22:19

도덕적 표준으로서의 자연법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자연법은 인간 사회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하나님의 법이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율법이 차지했던 비중만큼이나 자연법은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중요한 법이지만 실상은 현대인의 의식 가운데 거의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져있을 뿐이다.


이스라엘 백성이 율법을 받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은 창조시부터 누구나 예외없이 하나님의 법이 마음판에 새겨져있다.


자연법은 하나님과 관계없이 살려는 모든 이들에게도 예외없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님의 법으로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라면 누구나 자연법에 대한 정리된 인식이 필요하다.


자연법은 타락 이전의 아담으로부터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비록 타락으로 인하여 손상이 되었지만 타락 이후에도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고있으며, 율법을 받은 이스라엘 백성들 뿐만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인간이면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하나님의 법이다.


인간의 마음판에 새겨진 자연법은 하나님의 언약적 행동으로서, 율법을 받은 이스라엘과 마찬가지로, 모든 인류가 하나님의 행위언약 안에 있음을 보여주고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율법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설 수밖에 없었듯이, 모든 인류는 자연법을 통하여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설 수밖에 없다.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자연법을 행위언약의 핵심적인 면으로 보고 있다.


율법과 마찬가지로 자연법도 하나님의 심판을 예비하는 행위 언약의 차원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행위언약으로서의 율법과 마찬가지로, 자연법 또한 행위언약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자연법에 대한 이해는 율법에 대한 이해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율법이 인간들로하여금 죄를 깨닫게하고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역할을 하였듯이, 자연법 또한 사람들의 죄를 드러냄으로서, 사람들로 하여금 죄를 깨닫고 구속자의 필요성을 깨닫게함으로서, 구속자이신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은혜언약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데이비드 반두르넨은 자연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있다.


다음은 데이비드 반드루넨David VanDrunen의 “자연법과 두 왕국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160쪽 이하를 발췌하여 번역한 것이다.


도덕적 표준으로서의 자연법

Natural Law as Moral Standard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자연법을 도덕법과 십계명에 매우 밀접하게 연계시킨다.

Reformed orthodoxy associated natural law very closely with the moral law and the Decalogue.


십계명을 도덕법의 요약(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 41, 대요리문답 98)이라고 말하는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는, 쓰여진 도덕법과 쓰여지지 않은 자연법이 본질에 있어서 동일하다고 분명히 말한다.

The Westminster Standards, which speak of the Decalogue as a summary of the moral law (WSC 41; WLC 98), clearly identify the written moral law and unwritten natural law as to their substance.


이는 아담과 이브가 타락하기 전에 하나님께서 아담과 이브를 어떻게 하셨는지를 나타내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4.2와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92를 비교해 볼 때 분명히 알 수 있다.

This is evident in comparing WCF 4.2 with WLC 92, which concern God’s dealings with Adam and Eve before the fall into sin.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4.2에서는  "이들은 자신의 마음 속에 기록된 법 외에도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다....

WCF 4.2 states: “Besides this law written in their hearts, they received a command, not to ea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다른 한편으로,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92에서는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를 먹지 말라는 특별한 명령외에 무죄 상태에 있던 아담과 그가 대표하는 전 인류에게 계시하신 순종의 규칙은 도덕법이었다"고 말한다.

WLC 92, on the other hand, reads: “The rule of obedience revealed to Adam in the estate of innocence, and to all mankind in him, besides a special command not to ea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was the moral law.”


분명한 것은, 도덕법과 자연법 모두 다 처음 인류의 보편적인 의무를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Evidently, the moral law and natural law both describe the general obligation of the first human beings.


도덕법과 자연법의 이러한 본질적인 동일성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1.1을, 도덕법을 요약한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41-42의 성격에 비추어 비교해 볼 때 확실해진다.

This substantive identity of the moral and natural laws is confirmed by comparison of the language of WCF 21.1 on the light of nature with WSC 41-42 on the summary of the moral law.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서의 이러한 관점은, 개혁파 정통신학의 일반적인 가르침을 단순하게 반영해주는 것으로서, 이는 자연법의 내용을 (십계명에 요약 되어있는 것과 같이) 도덕법과 동일시하는 것이다.

This perspective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simply reflected the common teaching of Reformed orthodox theology, which equated the content of the natural law with the moral law (as summarized in the Decalogue).


자연법과 도덕법을 좀 더 기술적으로 논한다면, 전자(자연법)는 일반 계시에 의하여 문서화 되지 않고 알려진 것인데 반하여 후자(도덕법)는 특별한 계시에 의하여 기록되면서 알려진 것이다.

More technical discussions distinguished the natural and moral laws insofar as the former was unwritten and known through general revelation and the latter was written and known through special revelation.


투레틴은 이에 대하여, “이들(자연법과 도덕법)은 본질이나 원리가 다른 것이 아니라, 제공되는 방식이 다른 것"이라고 말한다.

In Turretin’s words, they differ not in substance or principles, but in “mode of delivery.”


자연법과 사랑

Natural law and Love


솔직하게,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사랑의 계명을 도덕법을 요약한 십계명을 요약한 것으로 보고있다는 것이다.(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 42,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102, 122)

Confessionally, Reformed orthodoxy viewed the love commands as a summary of the summary (the Decalogue) of the moral law (WSC 42; WLC 102, 122).


개혁파 정통주의의 일반적인 가르침에 의하면, 근본적으로 기초가 되는 도덕적 표준으로서의 자연법의 이러한 기능이, 창조 시에 이미 실제 했었고, 죄로의 타락 후에도, 심지어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떠나서도, 모든 사람들을 묶어주는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function of natural law as the fundamental, basic moral standard was true already in creation and continues to bind all people after the fall into sin, even apart from Christ’s work of redemption, according to the common teaching of Reformed orthodoxy.


자연법은 광범위한 개혁주의 교리 체계에 긴밀하게 영향을 미치고있다.

natural law had become intimately incorporated into the broader Reformed system of doctrine.


첫째로는,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자연법을,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관점에서, 창조시에 인간의 마음에 새겨진 것이라고 가르친다.

First, Reformed orthodoxy taught that the natural law was implanted on the human heart at creation, as an aspect of the image of God.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4.2와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17에서는 하나님께서 남자와 여자를 이성적이며, 불멸의 영혼을 가졌으며, 자신의 형상을 따르도록 창조하셨다고 기록한다.

WCF 4.2 and WLC 17 describe God creating man male and female, with reasonable and immortal souls, and after his own image.


그들은 인간이 "마음에 새겨진 하나님의 법과 이를 충족 시킬 힘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they speak of human beings as “having the law of God written in their hearts, and power to fulfil it.”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자연법을 행위언약의 핵심적인 면으로 보고 있다.

Many Reformed theologians viewed natural law as an essential aspect of the covenant of works.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의 표준 형태로 자리잡고있는, 행위언약 교리에서는, 하나님께서는 창조시에 아담에게 영원히 지속되는 상을 약속하셨는데, 이는 검증의 기간 동안에, 완전한 순종을 조건으로 주어지는 것으로서, 불순종시에는 영원한 형벌을 경고하고있다고 가르친다.

The doctrine of the covenant of works, which became a standard feature of Reformed orthodox theology, teaches that God, at creation, promised Adam a reward of everlasting, eschatological life on condition of his perfect obedience during a probationary period (and threatened everlasting punishment upon disobedience).


이 행위언약의 개념은, 개혁주의 신학 내에 있는 주된 구성 원칙으로서, 광범위한 언약신학을 묶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기독교 전통들과 비교하는데 있어서 개혁주의 사상을 구분짓게하는 중요한 형태로서의 역할을 하고있다.

the covenant of works idea served to anchor the broader covenant theology that was a major organizing principle within Reformed theology and that became a significant distinctive feature of Reformed thought in comparison to other Christian traditions.


마음에 새겨진 자연법과 함께 인간의 창조가 시작되었다는 것 자체가 하나님의 언약적 행동이라는 생각은,   초기 기독교인의 자연법에 대한 개념이 상당히 발전되어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idea that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with the natural law written on their hearts was itself a covenantal act of God represents a significant development of earlier Christian natural law thought.


이러한 맥락에서 생각해 볼 때, 자연법에 대한 인간의 인식은,  하나님과의 관계성 가운데 결정되고 확립되었다는 맥락에서가 아니고는, 절대로 생겨날 수 없는 것이다.

Human perception of the natural law never occurred except in the context of a determined, established relationship with God, according to this line of thought.


동시에 이러한 개념은, 개혁파 정통주의 기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견고하게 발전된 것도 아니고, 심지어는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서 조차도 이 주제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모호함을 보여주고 있다.

At the same time, this idea was apparently not developed with rigorous consistency in the era of Reformed orthodoxy, and even the Westminster Standards reflect some ambiguity on the subject.


행위언약은, 타락 이후에 은혜언약 안에서의 하나님의 구속의 행위와 구별되거나 무관한, 창조 행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covenant of works was understood as an act of creation distinct from and independent of God’s work of redemption in the “covenant of grace” after the fall into sin.


그러므로, 자연법이 행위언약에서 유래된 이상,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이를 하나님의 구속 행위보다는 창조 행위로 보고있다.

Insofar as natural law originated in the covenant of works, therefore,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grounded it in God’s creating work rather than in his redeeming work.


개혁주의 신학자들에 의하면, 심지어 타락 이후에도, 자연법은 구속보다는, 창조 행위의 근거로 지속되고있으며, 또한 창조를 유지하는 섭리의 근거가 되고있다는 것이다.

Even after the fall into sin, natural law continued to be grounded in the work of creation (and the providential sustaining of creation) rather than in redemption, according to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자연법은, 그 자체로는 이 세상을 넘어서는 생명을 얻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이 세상에서의 도덕적 삶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natural law serves to sustain moral life in the world without itself offering a means for attaining to a life beyond this world.


중세신학은 죄가 자연법에 대한 인간의 지식에 미치는 영향들을 인식하고 있었는데, 개혁주의신학에서는 이 점을 더욱 강조하고있다.

medieval theology recognized the effects of sin upon human knowledge of the natural law, and Reformation theology made this point with greater emphasis.


개혁파 정통주의 역시 이러한 죄의 끔찍한 결과들을 알고 있었는데, 예를 들어 말하자면, 하나는 자연법의 원칙에서 특별한 결론을 끌어내는데 있어서의 죄인들의 능력이 손상되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아담의 타락 전과 후의 본능 자체가 다르다는 점이다.

Reformed orthodoxy also acknowledged these dire consequences of sin, speaking, for example, both of the hampered ability of sinners to draw specific conclusions from natural law principles and of the difference in nature itself before and after Adam’s fall.


그러나 죄가 다양한 방법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자연법에 순종하지 못하게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통주의 시대 동안에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신앙고백서들은 자연법이 타락 후의 세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끔 하였다.

But despite the various ways in which sin hinders people from obeying the natural law, Reformed theologians and confessions in the age of orthodoxy granted natural law a significant role in the postlapsarian world.


하나같이 이들은 자연법을, 모든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지속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표준이라고 말한다.

For one thing, they speak of natural law as an enduring and universal moral standard binding all people.


투레틴은 다시금 이 점에 관하여 개혁주의에서는 어떻게 생각하고있는지 도움이 될만한 예를  제공해준다.

Turretin again provides a helpful example of Reformed thinking on this point.


그는 말하기를, 죄에도 불구하고, 자연법을 본유적(그리고 역시 습득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인식의 근거는, 어느 누구도 자연법의 힘을 느낄 수 없는 사람이 없다는 많은 증거들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Viewing knowledge of the natural law as innate (and also acquired), he explains that, despite sin, there are so many evidences and remains of natural law that no person can fail to feel its force.


이러한 주장들의 변론을 위해서, 투레틴은 로마서 1장19절과 2장14,5절과 같은 표준이 되는 근거 본문들을 제시한다.

In defending these claims, Turretin appeals to standard proof-texts such as Rom 1:19 and 2:14-15.


그밖에도 그는 자연법에 담겨있는 도덕적 표준의 변치않는 특성에 대하여 상당한 분량의 변론을 한다.

Elsewhere he defends at some length the immutable character of the moral standard set forth in the natural law.


분명한 증거들이,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가 자연법의 본질적 내용이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도덕적인 삶의 규칙 안에 지속적으로 묶어놓는 역할을 하고있다는 것을, 입증해주고 있다.

Clear evidence demonstrates that the Westminster Standards saw the substantive content of the natural law as continuing to bind all people as the rule for moral living.


예를 들어, 표준문서에서는 (본질적으로 자연법과 동일한) 도덕법을 인간 행동의 영원한 표준으로 묘사하고 있으며(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9.2;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93), 이를 십계명의 교훈으로 요약하여 이해한다(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98;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41).

For example, the Standards describe the moral law (substantively identical to the natural law) as the permanent standard for human conduct (WCF 19.2; WLC 93), summarily comprehended in the precepts of the Decalogue (WLC 98; WSC 4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1.1 “본성의 빛은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을 보여 주는데, 하나님은 만물에 대한 주권과 통치권을 가지시고, 선하시며 만물에 대해 선을 행하신다. 그러므로, 사람은 마음과 목숨과 힘을 다해 그를 경외하고, 사랑하며, 찬양하고, 기도하며, 의지하고, 섬겨야 한다”

WCF 21.1: “The light of nature showeth that there is a God, who hath lordship and sovereignty over all, is good, and doth good unto all, and is therefore to be feared, loved, praised, called upon, trusted in, and served, with all the heart, and with all the soul, and with all the might.”


비록 웨스트민스터 21장의 요지는, 경배와 안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 장을 여는 이러한 용어들은, 자연의 계시를 통하여 알게 된 인간의 하나님에 대한 빚으로서의 도덕적 의무에 대하여 이들이 어떠한 이해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Though the burden of WCF 21 is to focus upon worship and Sabbath, these opening words of the chapter are striking for their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moral duty owed by human beings to God as known by natural revelation.


개혁파 정통주의에 의하면, 이러한 지속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기준으로서의 자연법은,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심판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할 보편적인 의무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As this continuing and universal moral standard, the natural law also serves to secure the universal liability of all people to the divine judgment, according to Reformed orthodoxy.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 따르면 하나님은 의로우시고 정의로우시지만(신앙고백 2.1; 대요리 7; 소요리 4), 성경의 계시를 접하였는지에 관계없이, 모든 믿지 않는 이들을 벌하시는 분(신앙고백 33.2; 대요리 89)이시다.

According to the Westminster Standards, God is righteous and just (WCF 2.1; WLC 7; WSC 4), but also condemns all unbelievers to hell (WCF 33.2; WLC 89), whether or not they have had access to biblical revelation.


이러한 가르침이 제기하는 하나님의 정의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서문에서  답을 주고있다: "비록 본성의 빛과, 창조와 섭리의 일들이 사람들로 하여금 핑계할 수 없을 만큼 하나님의 선과 지혜와 능력을 잘 나타내고 있으나...."(1.1)

Questions about God’s justice that such teaching raises are answered in the opening words of the WCF: “Although the light of nature, and the works of creation and providence do so far manifest the goodness, wisdom, and power of God, as to leave men unexcusable....”(1.1)


그러므로,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에 따르면, 자연법을 포함하는, 본성의 빛은, 어떻게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복음에 한번도 노출되지 않은 이들을 저주하시는데 있어서 정의로우실 수 있는 지를 설명해주고 있다.

According to Reformed orthodox theology, therefore, the light of nature, which includes the natural law, explains how God can be just in condemning even those never exposed to the Christian gospel.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법과 모세법  (0) 2017.08.10
존 코튼과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  (0) 2015.05.02
신앙과 국가의 통치  (0) 2015.04.26
존 코튼과 두 왕국  (0) 2015.04.20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2015.04.17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