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레틴'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7.08.15 :: 두 나라의 성격과 속성
  2. 2017.08.10 :: 자연법과 모세법
  3. 2015.04.06 ::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차이점
두 왕국 2017. 8. 15. 22:08
두 나라의 성격과 속성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Two Kingdoms

김원호(dent4834@hanmail.net)

그리스도께서 다스리는 나라는 다스림의 성격과 속성에 따라서 두 가지 형태의 나라로 구분 할 수 있다.

그리스도는 창조주이시며 이 세상을 유지 보존하시는 분이시며, 동시에 그리스도는 믿는 자들에 대하여 구속 주이시다.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이 그리스도께 속하여 있지만 그렇다고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이 구속의 대상은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다스리시는 두 나라의 특성은 성과 속의 이원론적 개념과는 다르다.

그리스도께서 다스리시는 두 나라는 성과 속의 이원론적 구분 보다는 육적인 나라와 영적인 나라로 구분 할 수 있다.

나라에 대한 정확히 번역은 왕국Kingdom이며 두 나라 교리는 정확히는 두 왕국 교리라고 할 수 있다.

왕국에 대한 그릇된 오해로 인하여 다만 “나라”라는 용어를 사용할 뿐이다.

하나님 나라Kingdom of God는 구속주로서의 신자들을 중심으로한 하나님 나라와 창조주로서의 모든 피조물을 대상으로한 하나님 나라로 구분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하나님 나라는 구속주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스도가 구속주로 계시는 하나님 나라는 신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영적인 하나님 나라이다.

가장 흔한 오해 가운데 하나는 역사적 이스라엘이 하나님 나라인가에 대한 오해일 것이다.

역사적 이스라엘 백성들 가운데 오실 메시아로서의 그리스도를 믿는 이들은 하나님 나라 백성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스라엘 백성이라고 모두가 하나님 나라 백성은 아니다.

역사적 이스라엘은 참 하나님 나라인 참 이스라엘에 대한 유형학적typological 모형일 뿐이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예수 그리스도와 관계없이 역사적 이스라엘을 하나님 나라로 규정하고 있으며 신약의 교회를 확장된 이스라엘로서의 하나님 나라로 보고있다.

개혁주의에서 보는 하나님 나라의 근거는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통하여 거룩에 참여한 이들 가운데 임한 나라이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를 부정하고있으며, 또한 그리스도의 의를 의의 근거로 보지 않기에, 새관점이 말하는 하나님 나라는 참된 하나님 나라라고 할 수 없다.

최근의 하나님 나라 운동을 하는 이들 가운데에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정의를 모호하게 말하는 이들이 많을 뿐만이 아니라, 새관점과 같이 그리스도의 의와는 관계없는 하나님의 의(언약에 대한 신실하심)를 근거로한 운동을 하는 이들이 많다.

그리스도를 배제한 새관점과 달리, 반드루넨이 말하는 하나님의 두 나라는 창조주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와 구속주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를 말하는 것이다.

두 나라의 성격과 특성에 대한 제대로된 이해는 앞으로 논의하게 될 자연법의 속성과 적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정이다.

역사적 이스라엘에게 적용되었던 율법과 마찬가지로, 율법의 도덕법과 시민법의 성격을 가진 자연법은 모든 인류에게 적용될 법으로서 상당 부분 율법의 역할을 반복하게된다.

자연법은 율법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람의 죄를 고발하며 모든 사람에게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필요성을 제시해주며, 모든 사람으로하여금 하나님의 심판에 대하여 핑계하지 못하게 한다.

하나님의 두 나라 가운데 창조주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에 적용된 자연법을 니해허기 위해서는 반드루넨이 설명하는 두 나라 개념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반 두르넨은 이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투레틴과 러더포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두 나라 개념을 풀어나간다.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자연법과 두 나라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176쪽 이하를 번역한 것이다.

두 나라의 성격과 특성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Two Kingdoms

개혁파 정통주의 사상에서 두 나라 교리에 관하여 좀 더 세밀한 부분들에 대한 고려를 시작하면서, 우선 이 시대에 개혁주의 저자들이, 특히 한 나라를 다른 나라와 구분하는 의미들에 있어서, 어떻게 두 나라의 성격과 속성에 강조점을 둘 수 있었는지를 논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As we now begin a m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in Reformed orthodox thought, it seems helpful first to discuss how Reformed writers of this era articulated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two kingdoms, particularly in terms of one kingdom’s distinction from the other.

특성적인 면에서 볼 때, 투레틴은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과 비슷하게 그리스도의 왕권을 세밀하고 적절하게 논하고있기에 그의 논술은 이 세분화된 부분에서 유용한 역할을 하고있다.
Turretin, in characteristic fashion, offers a nuanced and relevant discussion of Christ’s kingship similar to that of other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and thus his treatment serves as a useful focus for this subsection.

투레틴은, 그리스도의 왕권에 관하여, 두 나라 교리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부수적 강조점의 모양을 확실히 구분지을 수 있게끔, 다음과 같은 논술로 시작한다: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는 그리스도께 속한 두 가지 속성의 나라를 구분하여야 하는데, 하나는 자연적이거나 필연적이며, 다른 하나는 중재적이고 경륜적이다."
Turretin begins his exposition of Christ’s kingship with a crucial distinction that shapes his subsequent articulation of matters pertaining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Before all things we must distinguish the twofold kingdom, belonging to Christ: one natural or essential; the other mediatorial and economical."

이러한 진술 뒤에 따라올 논의에서 분명히 지적하였던 것과 같이, 투레틴은 칼빈이 시민의 나라와 영적인 나라에 대하여 언급한 것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구분해 주고있다.
As clearly indicated in the discussion that follows this statement, Turretin is in effect identifying what Calvin referred to as the civil kingdom and the spiritual kingdom.

투레틴은 한 나라를 다른 나라과 구분하기 위하여 일련의 구분점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Turretin proceeds to make a series of distinctions in order to differentiate one kingdom from the other.

"자연적이거나 필연적인" 나라는 모든 창조물을 포함하는데 반하여 "중재적이고 경륜적인" 나라는 특별히 교회에서 종결이 된다.
The “natural or essential”kingdom is “over all creatures” while the “mediatorial and economical” kingdom is “terminated specially on the church.”

그리스도는 전자에 대해서는 영원한 아들(아버지와 성령에 따르는)로서 소유하시며, 후자에 대해서는 "하나님-사람이라는 독특한 방법"으로 다스리신다. 전자는 "섭리라는 강령 위에 근거를 두며" 후자는 "선택이라는 강령 위에" 근거를 둔다. 그리스도는 전자에 대하여는 "하나님이시고 말씀이시기에" 왕권을 행사하시고 후자에 대하여는 "하나님- 사람이시므로" 왕권을 행사하신다.
Christ possesses the former as the eternal Son (along with the Father and Holy Spirit) and administers the latter “in a peculiar manner as God-man.” The former “is founded on the decree of providence” and the latter “on the decree of election.” Christ exercises kingship over the former “inasmuch as he is God ... and the Logos”and over the latter “inasmuch as he is God-man”

요약하여 말하자면, 투레틴은 설명하기를: “ 이를 ‘그의 중재적이고 경륜적인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는 특별히 중재자에게 귀속되어있기 때문이며, 은혜의 섭리에 따른 그 분의 소유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나라는 자연적으로 그에게 귀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자연적'이라고 부른다.
In a summary statement, Turretin explains: “Hence it is called his ‘mediatorial and economical kingdom’ because it is a dominion peculiar to the Mediator and as it were his own according to the dispensation of grace. The other belongs to him by nature and is on that account called ‘natural.’”

이러한 자료 자체는,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종교개혁 두 나라 교리의 자취에 대해서 뿐만이 아니라, 두 나라 신학이 기독론이라는 좀 더 커다란 질문들에 부합되도록 제대로 정돈된 사상의 전개와 발전을 위해서도, 근원적인 증거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material alone provides substantial evidence not simply for remnants of a Reformation two kingdoms doctrine in Reformed orthodoxy, but for a well thought out and developed theology of the two kingdoms incorporated into larger questions of Christology.

여기서 잠시 머무르면서 투레틴의 주장을 조명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It is worth lingering for a moment and highlighting Turretin’s claims here.

그리스도는 영원하신 하나님으로서,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주체로서, 모든 피조물 위에 있는 하나의 나라를 다스리신다.
Christ rules the one kingdom as eternal God, as the agent of creation and providence, and over all creatures.

그리스도는, 성육신 하신 하나님-사람으로서, 구속의 주체로서, 모든 교회 위에있는 또 하나의 나라를 다스리신다.
Christ rules the other kingdom as the incarnate God-man, as the agent of redemption, and over the church.

후자의 나라는 구속적인데 반하여 전자는 구속적이지는 않다.
The latter kingdom is redemptive, the former is non-redemptive.

후자는 배타적인데 반하여 전자는 포괄적이다.
The latter is exclusive, the former is inclusive.

내가 아는 바로는, 칼빈은 이를 결코 이와같이 조직화하거나, 상세하고 세심하게 분류하지는 않았다.
To my knowledge, Calvin never put things in quite this organized, detailed, and nuanced a way.

그러나 투레틴의 논술은, 이미 3장에서 논의하였던 바와 같이, 칼빈이 강조하였던 개념들을 보다 광범위하게 표현한 것으로서, 이를 발전적이면서도 좀 더 신학적으로 통합된 형태를 취한 것이었다.
But Turretin’s exposition seems very much to express the ideas that Calvin articulated, as discussed in Chapter 3, but in a more developed and theologically integrated fashion.

뒤따르는 논의에서 투레틴이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 가운데 한 가지는, 그리스도가 중재자이시고 구속자가 되시면서, 영적이고 천상의 성격을 나타내는 나라는, 이 땅의 세속적인 성격을 가진 자연적이고 필연적인 나라와는 구별되어야 하는데, 이는 칼빈에게 중요했던 주제를 반복 서술하려는 의도다.
One of the matters that Turretin is intent on emphasizing in his subsequent discussion is the spiritual and heavenly nature of Christ’s mediatorial, redemptive kingdom in distinction from the earthly and mundane nature of the natural, essential kingdom, thereby echoing an important theme for Calvin.

이러한 중재적인 나라의 방식에 관계하여 그가 제기하는 특별한 질문은 이것이 일상적이고 지상적이냐, 아니면 영적이고 천상적이냐이다.
The specific question that he poses “concerns the manner of that [mediatorial] kingdom —whether it should be mundane and earthly, or spiritual and heavenly.”

그는 "정통주의에서는 그의 나라가 현세적이거나 지상적인 것이 아니라 영적이고 천상적인 것으로 추정하고있다"고 대답한다.
His answer is that “the orthodox infer that his kingdom is not mundane and earthly, but spiritual and celestial.”

그는 이에 반대하는 의견을 유대주의와 동일시하면서, 지상의 것들에서 그리스도의 나라를 찾으려는 것은 "유대주의적 허망함"이라고 말한 칼빈의 의견을 반복하여 말한다.
He identifies the contrary opinion with the Jews, echoing Calvin’s sentiment that finding Christ’s kingdom in earthly things is a “Jewish vanity.”

투레틴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6가지의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근거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특별히 구약의 예언들과 유형들, 그리고 메시아와 그의 나라에 관한 신약성경의 가르침을 가리키고 있다.
Turretin proceeds to offer six biblical and theological reasons in support of this claim, pointing especially to Old Testament prophecies and types and to New Testament teaching about the Messiah and his kingdom.

이 논의에서 그는 왕, 보좌, 왕위, 국민, 통치 형태, 율법, 축복을 언급하면서 "나라에 속하여있는 이와같은 모든 것들은 영적인 것으로서, 현세적이거나 지상적인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고있다.
In this discussion he asserts that “all that pertains to this kingdom is spiritual, not mundane and earthly,” mentioning its king, throne, scepter, subjects, mode of administration, laws, and blessings.

이보다 몇 년 더 일찍, 러더포드와 길레스피 역시 이와같은 핵심 요지들의 많은 부분들을 받아들였다.
A few years earlier, Rutherford and Gillespie also embraced many of these key points.

투레틴과 마찬가지로 러더포드도, 창조주에 의하여 다스림을 받는 (그래서 임시적이고 현세적인) 나라와, 구속주에 의해서 다스림을 받는 (그래서 영적이고 천상적인) 나라를 구분하였다.
Like Turretin, Rutherford distinguished between one kingdom ruled by God as creator (and hence temporal and mundane) and the other kingdom ruled by God as redeemer (and hence spiritual and heavenly).

예를 들어, 이러한 국가와 교회로 이 두 나라가 제도적으로 표현된 것에 관하여 말하자면, 러더포드는 "이 두 가지 권력은, 영적인 것과 임시적인 것, 이 세상의 세속적인 것과 이 세상이 아닌 곳에서의 영적인 것이 같이 다른 것으로서, 한 국민은 궁극적으로 창조주로서의 하나님께 속하여있고 다른 하나는 궁극적으로 구속주로서의 하나님께 속하여있는 것이다."고 말한다.
For example, in speaking about the institutional expression of these two kingdoms in state and church, Rutherford says: “these two powers are so different, as spiritual and temporal, carnal of this world, spiritual not of this world, the one subject as supreme immediately to God creator, the other supreme immediately subject to God the redeemer.”

그러고나서 그는 바로 "그리스도의 나라"와 "군주의 나라"를 대비시키고나서, 전자의 영성으로 인하여, 군주의 나라는 그리스도의 나라의 일부분이 될 수 없다고 결론 내린다.
Shortly thereafter he contrasts “Christ’s kingdom”and “the magistrate’s kingdom” and, precisely because of the spirituality of the former, concludes that the magistrate’s kingdom “is not a part of his [Christ’s] kingdom.”

여기서 러더포드와 투레틴의 용어 사이의 유일한 명백한 차이는, 투레틴이 이 세상 나라를 하나님이신 그리스도께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다스린다고 말하는 것과는 달리, 러더포드는 이 나라가 창조주이신 하나님께서 다스리는 나라라고 단순하게 말한다.
The only evident difference between Rutherford’s and Turretin’s language here is that while Turretin speaks of the temporal kingdom as ruled by Christ as God, with the Father and Spirit, Rutherford simply speaks of this kingdom as ruled by God (the creator).

그러나 이와같은 신학자들에 의하여 표현되는 이러한 신학적 사고들은 본질에 있어서는 동일한 것이다.
But the theological idea expressed by these theologians is substantively identical.

길레스피는 투레틴과 좀 더 비슷한 용어로, 동일한 교리를 확언하기를 “예수 그리스도의 이중적인 나라에 있어서, 한 나라는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로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모든 것을 다스리시며, 또 다른 나라는 중재자이시면서 교회의 머리로서 다스리신다"고 기록하고 있다.
Gillespie affirms the same doctrine, writing, in language more similar to Turretin’s, of “a twofold kingdom of Jesus Christ: one, as he is the eternal Son of God, reigning together with the Father and the Holy Ghost over all things ...; another, as Mediator and Head of the church.”

영적이고 구속적인 그리스도의 나라를 논하는데 있어서, 투레틴은 집행과 운용이 주로, 교회의 소명과 집회, 교회의 보존과 통치, 교회의 보호와 방어, 그리고 교회의 가득한 영광의 네 가지로 구성 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In discussing the spiritual, redemptive kingdom of Christ, Turretin argues that its administration and exercise consist principally in four things: the calling and gathering of the church, the conservation and government of the church, the protection and defense of the church, and the full glorification of the church.

이번 연구에서 특별히 놀랄만한 한 가지는, 교회와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가 긴밀히 연관되어있다는 것이다.
One matter that is particularly striking for the present study is the close association of the church and Christ’s spiritual kingdom.

투레틴은 오직 교회만이 유일하게 하나님 나라가 집행되고 실행되는 장소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그가 교회를, 유일하게 본질적인 천상의 그리스도의 나라가 현실에서 제도적으로 표현되는 곳이라고 보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Turretin mentions only the church as the place where the kingdom is administered and exercised, which suggests that he viewed the church as the only present institutional expression of the essentially heavenly kingdom of Christ.

투레틴이 다른 곳에서 말하는 방식도 이러한 결론을 지지해 준다.
The way Turretin speaks elsewhere bolsters such a conclusion.

예를 들어 그는 "교회는 하늘에 속한 나라이며, 그리스도의 구속적, 중재적 왕권은 교회에서 종결되는 것이다"고 기록하고 있다.
He writes, for example, that “the church is the kingdom of heaven” and that Christ’s redemptive, mediatorial kingship is “terminated specially on the church.”

사실 그는, 중재자로서의 왕권은 그리스도에 속하여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그를 교회의 머리로 지명하셨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인다(시 2:6).
In fact, he adds that the mediatorial kingship belongs to Christ “because he [God] constituted him King over the church (Ps. 2:6).”

길레스피의 언어는 간결하고 분명하다: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는 오직 교회의 왕이시다."
Gillespie’s language is concise and unambiguous: “Christ, as Mediator, is King of the church only.”

이와같은 교회의 구속적이고 영적인 나라로서의 배타적인 정체성은 개혁주의 신학에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Such an exclusive identity of the redemptive, spiritual kingdom with the church was no novelty in Reformed theology.

3장에서 살펴보았던 바와 같이, 칼빈도 이와 같은 교리를 가르쳤으며, 이는 그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견과는 대립 되는 것이다.
As observed in Chapter 3, Calvin taught this same doctrine, contrary to commonly received opinion about him.

하인리히 헤페가 정통파 개혁주의의 일반적인 의견을 정리하면서 “개혁주의 교리에 의하면 그리스도의 왕권이 교회 밖의 (자연의) 영역에 까지 확대되는 것은 옳지 않다. 물론 그리스도께서 여기에 대하여 영향력을 가지고 계시지만 이는 오직 교회에 대한 중재자적 왕권을 행사하실 목적에 한한 경우이다” 고 기록한 것은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It is no surprise, then, that Heinrich Heppe writes, in summarizing the opinion of Reformed orthodoxy generally, that “it is not right, when it is said that according to Reformed doctrine the kingship of Christ also extends over the extra-Church sphere (of nature).
Of course Christ has power over this also, but only for the purpose of exercising his mediating Kingship over the Church."

두 나라 교리의 이러한 면은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의 고백적인 표현에서 볼 수 있다.
This aspect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found confessional expression in the Westminster Standards.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45에서는 우선적으로 교회의 의미로서 그리스도의 왕권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는 일단의 사람들을 세상으로부터 자기자신에게 불러내고, 그들에게 그가 유형적으로 그들을 통치하는 직임자와 법률과 징벌을 주심으로, 그의 선택자들에게 구원의 은총을 수여하며, 그들의 순종을 포상하고 그들이 범죄할 때 교정하며 모든 유혹과 고난에서 그들을 보존하고 지원하며 ....”
WLC 45 speaks primarily of Christ’s kingship in terms of the church: “Christ executeth the office of a king, in calling out of the world a people to himself, and giving them officers, laws, and censures, by which he visibly governs them; in bestowing saving grace upon his elect, rewarding their obedience, and correcting them for their sins, preserving and supporting them under all their temptations and sufferings....”

이러한 점에서 그리스도의 왕권이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선포된다고 말하는데, 이는 헤페가 말하는 바와 같이 구속의 의미에서 행사하시는 것만이 아니라, 오직 자신의 백성을 위하는 것과 원수 갚음을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그들의 모든 적들을 억제하고 정복하며, 나아가 자기자신의 영광과 그들의 유익을 위하여 만물을 능력있게 정리하며, 하나님을 알려고 하지 않고 복음에 불순종하는 나머지에게 원수를 갚아 주심으로서 왕의 직분을 수행하신다.”
At this point it goes on to speak of his kingship over those outside of the church, not in redemptive terms but only, as Heppe says, for the sake of his people or for wreaking vengeance: “restraining and overcoming all their enemies, and powerfully ordering all things for his own glory, and their good; and also in taking vengeance on the rest, who know not God, and obey not the gospel.”

같은 맥락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5.2에서는 "보이는 교회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이다"라고 간단 명료하게 말한다.
Succinctly, but along the same lines, WCF 25.2 states that the visible church “is the kingdom of the Lord Jesus Christ.”

교회를 그리스도의 구속의 나라이면서 영적인 나라로 보는 개혁파 정통주의의 관점이, 교회 자체가 어떠한 외적인 통치체제를 가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Reformed orthodox views of the church as the redemptive kingdom of Christ and of this kingdom as spiritual did not mean that the church itself should have no external government.

이러한 점에서 개혁주의 전통은 전형적인 루터주의의 두 나라 신학과는 구별되는데, 교회의 영적인 특성이 외부인 통치 체제에 우선한다고 보는 루터주의의 두 나라 신학에서는 교회의 외적인 체제의 일들을 국가에 우선하여 다루어야한다고 주장했었다.
In this matter the Reformed tradition differed from typical Lutheran two kingdoms theology, which, in seeing the church’s spiritual character as precluding an external government, was content to hand external administrative matters of the church over to the state.

개혁주의의 본거지에 좀 더 가까운, 스위스의 의사이면서 하이델베르그 대학 교수인 토마스 에라스투스는 자주 이와 비슷한 관점에 연관된다.
Closer to home for the Reformed, Swiss physician and University of Heidelberg professor Thomas Erastus (1524-83) is often associated with similar views.

에라스투스는 교회의 추방할 권리를 부인함으로서, 에라스티안이란 의미가  국가가 교회를 다스려야 한다는 뜻을 연상하게 되었다.
Erastus denied the right of the church to excommunicate and the term “Erastian” came to connote the idea that the state should control the church.

칼빈은, 3장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영적이더라도 외적으로 조직화된 복음적 기관과 법규의 필요성에 대해서 확고히 했을 뿐만이 아니라, 그 후에도 개혁주의 신학과 예배 의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이러한 것들이 요구되었다.
Not only did Calvin affirm the necessity of a spiritual yet externally organized ecclesiastical government and discipline, as discussed in Chapter 3, but later Reformed theology and practice also typically called for such.

이것은 사실 투레틴이나 러더포드, 길레스피에게도 주요한 관심사였다.
This was in fact a major concern of Turretin, Rutherford, and Gillespie.

만약에 개혁주의 두 나라 교리가 무엇인가를 의미한다면, 이것은 교회의 외적인 체제나 규율이 국가 행정관에 맡겨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If the Reformed two kingdoms doctrine meant anything it meant that the external government and discipline of the church was not left to the civil magistrate.


투레틴과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지도자들이 강조하고있는 두 나라 사이를 분명하게 구분하는 것은, 그리스도가 시민의 나라( 좀 더 명확히 말하자면, 특히 지상의 나라들을 말한다)를 다스리는지 혹은, 어떻게 다스리는지에 관한 중요하지만 어려운 질문을 제기된다.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that Turretin and other Reformed orthodox luminaries articulated raises the important yet difficult question of just how, or even whether, Christ rules the civil kingdom (or, more concretely, particular earthly kingdoms).

투레틴은 자신이 하는 것을 분명하게하면서,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조건들을 부여하고있다.
Turretin makes clear that he does, yet makes several qualifications in explaining how.

이를 “부여된 조건들”이라고 부르기에는 망설여지지만, 의미를 보증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One hesitates to call them “qualifications,” but they seem important enough to warrant the term.

우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투레틴은 그리스도가, 세상 나라를,  성육신하신 중재자가 아닌 로고스로서,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로서, 그리고 구속자가 아닌 창조주이면서 유지자로서 다스리고 계신다는 것을 아주 분명히 하고있다.
First, as seen above, Turretin makes quite clear that Christ rules over the temporal kingdom not as the incarnate mediator but as the Logos, the eternal Son of God, and hence as creator and sustainer but not as redeemer.

그는 추가적인 논의를 통하여, 그리스도께서 분명히 구분되는 능력들로 통치하시는 서로 다른 방식들을 특화시킴으로서, 우리에게 질문에 대하여 정성을 들여 답하고있다.
Later in his discussion he elaborates on the question before us by specifying the different ways in which Christ reigns in these distinct capacities.

비록 그리스도께서 항상 세상적이 아닌 영적인 방법으로 통치를 하시더라도 “그는 진실로 경건한 이와 악한 이에 대하여 다르게 통치 하신다: 전자에 대해서는 머리로서, 성령의 따스하고 건강한 영향력으로, 후자에 대해서는 주권자로서 그 자신의 능력 있는 덕으로 통치 하신다”고 투레틴은 설명한다.
Though Christ reigns always in a “spiritual”and not an “earthly” way, Turretin explains: “Indeed he reigns differently in the pious and the wicked: in the former by the sweet and healthful influence of the Spirit, as head; in the latter, by his own powerful virtue as Lord.”

여기서 투레틴이 하는 설명은, 그가 이전에 제시한 두 나라 사이의 구분이, 바로 경건한 이들과 악한 이들 사이의 엄격한 구분이 아니라는 점에서,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소지가 있을 수 있다.
Turretin’s exposition here might be suspected of harboring some confusion, insofar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that he previously set forth is not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the “pious”and the “wicked.”

경건한 이들은 영적인 나라에서 뿐만이 아니라 시민으로서도 살아가고 있다(그리고 일부 악한 사람들도 교회에서 외적인 일원으로서의 신분을 유지하기도 한다).
The pious live in the civil as well as the spiritual kingdom (and some wicked people hold external membership in the church).

이와 같은 것이 영역에 있어서 약간의 혼동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여기서 말하는 투레틴의 의견들은 그가 이전에 언급들, 즉 창조자이시면서 유지자로서, 그리스도는 모든 것에 대한 주권적 주로서 현세적인 나라를 다스리시면서 또한 성육신 하신 구속자이시면서, 보호하시는 구원자로서, 영적인 나라를 통치하신다는 이전의 언급들을 논리적으로 확장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Despite what thus may be a brief confusion of categories, Turretin’s sentiments here seem a logical extension of his earlier comments: as creator and sustainer, Christ rules the temporal kingdom as the sovereign lord of all; as incarnate redeemer, Christ rules the spiritual kingdom as a tender savior.

그러므로 투레틴의 결론을 따르자면: "이와 같은 정치적인 통치자는 그리스도의 나라를 증진 시키기 위하여 적절하게 공식적으로 헌신하지는 않는다."
Hence would seem to follow Turretin’s conclusion elsewhere: “The political magistrate as such does not serve properly and formally in promoting the kingdom of Christ.”

길레스피도 투레틴과 같은 방식으로 자주 말하곤 하였다.
Gillespie frequently speaks in the same way as Turretin.

러더포드의 용어는 투레틴과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비슷하며, 이들의 본질적인 신학적 주장들은 같은 것이다.
Rutherford’s language is similar though not identical to Turretin’s, and their substantive theological claims are the same.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러더포드는 현세적 나라를 “창조주 하나님” 께 귀속시키고 영적인 나라를 “구속자이시며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께 귀속 시킨다.
As noted above, Rutherford put the temporal kingdom under “God the creator” and spiritual kingdom under “Christ the Redeemer and Head of the Church.”

전자에 대하여 좀 더 언급하면서, 그는 이것는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의 일부분이 아니며, 솔직하게 말해서 시민의 관료는 “교회의 중재자나 머리로서 귀속될 수 없다”고 말한다.
In speaking further about the former, he writes that it is “not a part” of Christ’s spiritual kingdom and thus states bluntly that the civil magistrate “is not subordinate to Christ as mediator and head of the church.”

비슷한 맥락에서, 그는 후에 “관료로서의 통치자”는 “그리스도의 대사”가 아니며 대신에 “질서의 하나님, 그리고 창조자이신 하나님의 대리인”이라고 말한다.
Along similar lines, he says later that “magistrates as magistrates” are not “the ambassadors of Christ” but “the deputy of God as the God of order, and as the creator.”

그 후에 그는 “통치자로서의 관료는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의 대리인이나 대리자도 아니며, 이와같이 통치 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중재적 나라의 대리 역할을 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추가하여 언급한다.
Still later he adds that “the magistrate as a magistrate is not the vicar nor deputy of Jesus Christ as mediator”and that “the magistrate as such is not a vicar of Christ’s mediatory kingdom.”

이러한 주장에는 섬세한 부분과 단서 조건들이 있는데, 이 중에 몇 가지는 다음에 논의하기로 하자.
There are nuances and qualifications to these claims, some of which will be discussed below.

이러한 증거에 비추어 볼때, 나는 투레틴과 러더포드가 이러한 본문들에 대해서, 비록 어느 정도는 다른 각도에서 보고 있지만, 같은 교리를 가르치고 있다는 주장을 해본다.
In light of this evidence, I suggest that Turretin and Rutherford teach the same doctrine in these passages, though from somewhat different angles.

그리스도가 이 현세적 나라를 다스리시는가에 대한 질문에 투레틴은 그렇다라고 대답하는데, 이는 그리스도가 성부 성령과 함께 영원하신 하나님으로서, 그리고 창조하시고 유지하시는 분이라는 조건에서 대답하는 것이고; 러더포드는 같은 질문에 대하여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는데 이는 창조주 하나님께서 이러한 나라를 다스린다는 조건에서 대답하는 것이다.
Turretin answers Yes to the question whether Christ rules the temporal kingdom, but with qualifications (i.e., that he does so only as eternal God, with the Father and Holy Spirit, as creator/sustainer); Rutherford answer No to the same question, but with qualifications (i.e., that God the creator does rule this kingdom).

이러한 각각의 조건을 서로 비교해 볼 때, 같은 결과가 나온다
When the qualifications of each are compared to the other’s, the effect is the same.

이것을 가능한 좀 더 세밀히 살펴볼 때, 이들은 모두 하나님의 아들이 현세적 세상을 삼위 하나님의 영원하신 일원으로서 통치 하신다고 말하지만, 성육신 하신 중재자이면서 구속자로서의 역량에서 다스리시지는 않으신다고 가르친다.
To put it as precisely as possible, they both teach that the Son of God rules the temporal kingdom as an eternal member of the Divine Trinity but does not rule it in his capacity as the incarnate mediator /redeemer.

이러한 신학적 구분은 이 책에서 서술 될 이야기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This theological distinction is crucial for the story being narrated in this book.

3장에서는 칼빈의 소위 말하는 극단적 칼빈주의의 기독론에서는,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그리스도의 신적인 작업을, 성육신 하신 이후에도 하나님-사람의 중재자로서의 구속 사역과 구분하는 신학적 범주를 제공해준다고 기록하였다.
Chapter 3 noted that Calvin’s so-called extra Calvinisticum Christology gave him theological categories for distinguishing Christ’s divine work of creation and providence from his work of redemption as God-man and mediator, even after the incarnation.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도 역시 그리스도의 계속되는, 즉 창조하시고 유지하시는 분과 구속자로서의 구별된 정체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특별히 두 나라 교리에 묶어서, 이와같은 사상을 앞서 관찰한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also recognized Christ’s continuing distinct identities as creator/sustainer and as redeemer and developed this idea in the ways observed above, tying it specifically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이들은 자연법의 근거를 행위 언약에 두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연법을) 구속보다는 창조의 영역에 두고 있으므로, 이들은 세속의 나라의 기반을 구속보다는 창조의 영역에 두려고 한다.
As they grounded natural law in the covenant of works, and hence in creation rather than in redemption, so they also grounded the civil kingdom in creation rather than in redemption.


posted by Wonho Kim
:
자연법 2017. 8. 10. 12:49

자연법과 모세법

Natural Law and the Mosaic Law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창조시에 사람의 마음 한가운데 새겨진 하나님의 법인 자연법은 이스라엘의 공동체에서는 모세법으로 구체적으로 표현되고있다.


모세법은 법의 성격에 따라서 도덕법(moral law), 의식법(ceremonial law), 시민법(civil law)으로 분류되며 이 가운데 도덕법이 자연법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모세법이 가지고있는 자연법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자연법이 어떠한 형태로 오늘날 이 시대에 적용되고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적용되었던 모세법의 중요성 못지않게 이 시대의 모든 이들에게 자연법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연법에 대한 객관적 고찰이 필요하다.


율법이 이스라엘의 내면의 죄를 드러내어 고발하였듯이 자연법도 모든 이들의 내면의 죄를 고발하고있다.


모세법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이끌어냄으로서 그들로하여금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였듯이, 자연법 또한 모든 이들을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이끌어냄으로서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한다.


반두르넨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반영되어있는 자연법을 체계적인 잘 정리해 줌으로서 자연법을 이 시대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할 지에 대한 답을 제공해준다.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166쪽 이하를  번역하여 정리한 것이다.


자연법과 모세법

Natural Law and the Mosaic Law



자연법과 모세법의 관계에 관해서는, 이미 앞의 장의 중세와 개혁주의 전통 안에서의 광범위한 합의 사항들에 관계하여 서술한 바 있다.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natural law and Mosaic law, the previous chapters have also described a broad consensus among medieval and Reformation traditions.


이곳에서는 모세법을 도덕법, 의식법, 시민법으로 분류하는데 합의하고서, 도덕법을 자연법과 동일하게 보았으며 (또한 이를 영속적인 의무로 보았으며), 자연법을 시민법이 지속적으로 적용가능한 것인지에 대하여 점검해보는 기준으로 삼았다.

This consensus classifies the Mosaic laws into moral, ceremonial, and civil, identifying the moral law with the natural law (and hence deeming it of perpetual obligation) and making natural law the test for the continuing applicability of the civil law.


여기서는, 자연법과 시민법에 관계된 질문들에 대해서, 개혁파 정통주의 신앙고백들과 신학자들이 합의한 이와같은 입장을 유지 발전시켜야 할지를 알아보고자한다.

As with the related question of natural law and civil law, the Reformed orthodox confessions and theologians examined here upheld and developed this consensus position.


첫 번째로,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모세법을 도덕법, 의식법, 시민법(혹은 법정적)으로 삼분 되어있다고 보는 것이 표준이라는 신학적 원칙을 지속적으로 고수해왔다.

First, Reformed orthodoxy continued to affirm the threefold division of the Mosaic law into moral, ceremonial, and civil (or judicial) as a standard theological axiom.


예를들어서 투레틴은 말하기를: "모세에게 주어진 율법은 흔히들 3가지 종류로 분류한다; 도덕법(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도덕과 영속적인 의무를 다룬다); 의식법(구약 성경 안에서 지켜져야 할 거룩한 것들에 대한 의식과 규례에 관한 것); 그리고 시민법으로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시민 정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Turretin, for example, writes: “The law given by Moses is usually distinguished into three species: moral (treating of morals or of perpetual duties towards God and our neighbor); ceremonial (of the ceremonies or rites about the sacred things to be observed under the Old Testament); and civil, constituting the civil government of the Israelite people.”


도덕법은 본질에 있어서 자연법과 동일하기에, 앞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영속적인 의무 사항으로 여겨지는데 반하여, 의식법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으로 말미암아서 폐지되었다고 보아왔으며, 시민법은 계속적인 적용을 위해서 좀 더 세밀한 분석이 필요했다.

While the moral law was substantively identified with the natural law and thus considered of perpetual obligation, as considered above, and the ceremonial law was viewed as abrogated through Christ’s redemptive work, the civil law’s continuing applicability required a more nuanced analysis.


종교 개혁과 중세의 전통에서와 같이, 개혁파 정통주의의 근본적 접근 방식에서는, 시민법이 그리스도의 오심과 더불어 폐지 되었다고 보고 있지만, 이와 동시에 모세의 시민법이 자연법을 반영하고 있는 한에는, 모세의 시민법이 각 시대의 시민법과 연관 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The basic approach of Reformed orthodoxy, like that of the Reformation and medieval traditions, was to proclaim the civil law generally abrogated following the coming of Christ, but also to acknowledge a relevance of the Mosaic civil law for contemporary civil law insofar as the former reflected the law of nature.


물론 이러한 관점은, 자연법이 각 시대의 시민법의 표준이라는 생각과 매우 일치하는 것이다.

This perspective, of course, corresponds closely to the idea that natural law is the standard for contemporary civil law.


알투시우스는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 가운데서 첫 번째로 이러한 접근 방식에 도움이 되는 예를 제공해준다.

Althusius provides a helpful first example of this approach among Reformed orthodox thinkers.


그는 환경이 비슷하다면, 시민법은 유대인들의 정책으로부터 떠나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He says that in similar circumstances civil law should not depart from the polity of the Jews.


그러나 중요한 점은 그가 이를 상황들에 적합화시킨다는 것이다.

But his qualification regarding circumstances is crucial.


나중에는 말하기를: "법정적 시민법은, 상황과 사람과 장소와 시간의 환경에 따라서,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정책 가운데 인간 사회를 성숙시키기 위하여, 두 돌판의 율법이나 혹은 보통 자연법을 준수하고 지키도록, 주지 되고 지시를 받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법률에서 도덕적인 것은 영속적인 것인데 반하여; 법정적인 것은 환경이 바뀜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것이다.”

Later he writes: “The forensic [civil] law was the means by which the Jews were informed and instructed to observe and obey both tables, or the common [natural] law, for the cultivation of human society among them in their polit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ings, persons, place, and time.... What is moral in such a law is perpetual; what is judicial can be changed by the change of circumstances.”



알투시우스는 설명하기를, 도덕적 평등의 원칙을 자연법에 연관시킨 후에, 통치자는 모든 일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일반(자연)법과 조화를 이루는, 구약의 법정적 율법을 따를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그(통치자)는 절대로, 일반(자연)법과 다른 유대인의 정책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진, 적절한 모세법에 따를 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Then, after associating moral equity with the natural law, Althusius explains that the magistrate “is required to conform to everything therein [the Old Testament judicial law] that is in harmony with common [natural] law. But he is by no means required to conform in those things in which the proper law of Moses, in order to be accommodated to the polity of the Jews, differs from the common [natural] law.”


좀 다른, 그리고 좀 더 강력한, 시각에서, 그는 "통치자가 자신의 체제에 모세법을 적절하게 강제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아주 심각한 죄를 짓게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유대의 율법이 적절하게 발효되는 특별한 상황과 고려사항들로 인하여, 자신의 체제에는 전혀 효력이 없기 때문이다"고 말한다.

From a somewhat different, and more forceful, angle, he concludes: “The magistrate who makes the proper law of Moses compulsory in his commonwealth sins grievously. For those particular circumstances and considerations because of which the Jewish proper law was promulgated should bear no weight in his commonwealth.”


17세기 중엽까지만 해도 이러한 사상들은 매우 명확한 형태로 나타났었다.

These thoughts had taken on very precise form by the middle of the seventeenth century.


투레틴의 논의는 개념적 명확성에 있어서 매우 놀랄만한 일이다.

Turretin’s discussion is striking for its conceptual clarity.


투레틴의 주장은, 구약의 법정적 율법이 모든 면에서 폐지되었다고 생각하는 이들과, 아직 효력이 있다고 믿는 이들 사이에서의 개혁파 정통주의의 중립적 입장을 취하고있다.

Turretin claims the middle ground for Reformed orthodoxy between those who think that the Old Testament judicial law was abrogated in every sense and those who believe it is still in force.


전문가들이 요약한 바에 의하면, 그(Turretin)는 유대인의 특별한 환경에서 볼 수 있는 시민법의 요소와 자연법에서 발견되는 요소 사이의 차이를 구분 하였으며, 후자(자연법의 요소들)가 아닌 전자(시민법의 요소들)는 폐지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With an artist’s precision, he distinguishes between those elements of the civil law that were founded upon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the Jews and those that were founded upon the natural law, and he argued that the former, but not the latter, were abrogated.


그는 "법정적인 시민법은 공식적으로 양면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유대인에게 적용되는 것(그러므로 폐지되었으며)이고, 또 하나는 실체에 있어서 자연법에 합치되는 범위 안에서 발견되는 것이다(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아직 남아있는 것이다)"고 기록하고 있다.

He writes: “The forensic [civil] law may be viewed either formally, as it was enacted for the Jews (and so is abrogated); or materially, inasmuch as it agrees with the natural law and is founded on it (and thus it still remains).


“그러므로 동시대의 통치자들은 시민법의 모양을 갖추는데 있어서 분별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시민법이 자연법으로부터 유래되는 한도 안에서였다: 법정적 율법이 다른 어떠한 법들보다도 긍정적인 면에서 보다는 부정적인 면에서 우수했는데, 이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 특정한 환경에서 결정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것이 인간의 법(단순히 인간으로서)보다 좋았던 이유는, 이것이 단지 자연법의 근거 위에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 근원이 하나님이시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로마법이 모세법을 선호했던 것은, 이들이 단순히 인간에 의하여 법규화 되었기에 좋아했기 때문이 아니라, 자연적이고 일반적인 권리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좀 더 이와같은 장소와 시간과 사람들에게 적합화 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erefore, contemporary magistrates have discretion in shaping civil law, so long as it is derived from natural law: The forensic law is better than other laws, not affirmatively, but negatively because it was determined to certain circumstances which do not now exist. Then again it is better than human laws (simply as human), but not inasmuch as they are founded upon the natural law, whose source is God. Therefore, when the Roman laws are preferred to the Mosaic, they are not preferred simply as enacted by men, but as derived from natural and common right they can be more suitable to places, times and persons.”


러더포드는 이러한 생각들을 다음과 같이 반복하여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법정적 개념으로서의 법정적 율법 전체가, 유대인의 체제에 관계되는 한에는, 이 전체에 대한 도덕적 공평이 폐지되지는 않았지만, 폐지되었다고 여긴다."

Rutherford echoes these sentiments: “But we conceive, the whole bulk of the judicial law, as judicial, as it concerned the republic of the Jews only, is abolished, though the moral equity of all those be not abolished.”


어떠한 형벌이 공정한 법으로서 오늘날에까지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러더포드가 결정하는 기준은, 이것들이 “도덕적이고 영속적인가”에 달린 것이다.

In determining which punishments set forth in the judicial law are binding today, Rutherford’s criterion is therefore whether they are “moral and perpetual.”


동시에 주목할 만한 것은, 이러한 주제에 관한 그(그리고 그의 동시대의 개혁주의자들)의 관점이 복잡하다는 것인데, 이유는 그들이 "특정한 유대법에 있어서 도덕적이고 영속적인 요소를 분별해 낼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It is worth noting, at the same time, that his views on this topic (and those of his Reformed contemporaries) are “complex,”for they demanded “discerning the moral and permanent element in particular judicial laws.”


혹시 동시대의 독자들에게는 놀랍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러더포드는 "국가적으로 언약을 맺는 일이나 참된 종교를 방어하기 위한 통치자의 의무들과 관련된 구약의 율법은 아직도 그리스도인에게도 적용된다"고 말한다.

For Rutherford, perhaps surprisingly to contemporary readers, “the Old Testament laws concerning national covenanting and the magistrate’s duty to defend true religion were still binding on Christians.”


그와 동시대의 많은 개혁주의자들도 비슷한 확신을 하고 있었다.

Many of his Reformed contemporaries held similar convictions.


나는 이러한 논점에 대해서는 이어질 두 왕국 논의에서 좀 더 다룰 것이다.

I will deal with this issue further in the discuss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below.


자연법과 모세의 시민법의 관계에 대한 개혁파 정통주의의 접근방식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9.4에 고백적으로 표현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The Reformed orthodox approach to the relation of natural law and Mosaic civil law found confessional expression in WCF 19.4.


이 부분에서 말하려는 것은, 구약의 이스라엘이, “육적인 것에 대한 정책으로서, 하나님께서 여러가지의 법정적 법을 주셨는데, 이는 백성의 상태와 더불어 끝이 났지만, 요구되는 일반적인 평등 이상의 어떠한 다른 법도 다시 의무로 지워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This section states that to Old Testament Israel, “as a body politic, he [God] gave sundry judicial laws, which expired together with the state of that people; not obliging any other now, further than the general equity thereof may require.”


비록 여기서 사용된 용어가 명확하지 않더라도, 의도와 목적들을 종합해  볼 때,  "보편적 형평법"이 의미하는 바는 분명히 자연법에 대한 것이다.

Though the language here is not explicit, almost certainly the terminology of “general equity”is, for all intents and purposes, a reference to natural law.



이러한 것이 자연법을 표준으로 만듬으로서, 모세의 시민법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도 계속적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게하는 것이다.

This makes natural law the standard for the Mosaic civil law’s continuing applicability in the WCF.


나는 이러한 주장을 변론하기 위하여 두 가지 노선의 논의를 제안한다.

I suggest two lines of argument in defense of this claim.


두 노선 다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가 의견의 일치를 본 문서이므로 이 문서를 만든 신학자들(그들 가운데는 러더포드 자신이 눈에 띄는 일원이었으며)은 가능한 한 그 시대의 개혁주의 교회와 신학자들이 소중히 여길 수 있는 일반적이고 널리 수용되고 있는 관점을 찾았었다”는 사실 주위를 맴돌았다.

Both revolve around the fact that the Westminster Standards were consensus documents and therefore that the theologians who constructed them (of whom Rutherford himself was a prominent member) sought to enshrine, as far as possible, common and broadly-held views of Reformed churches and theologians of the day.


논의의 첫 번째 노선으로는, 알투시우스와 투레틴, 러더포드에 관계되어 앞의 단락에서 탐구 되었던 것으로서,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에서, 자연법이 모세 시민법을 현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척도가 되고 있다고 폭넓게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The first line of argument then, is the simple reminder that, as the previous paragraphs explored with regard to Althusius, Turretin, and Rutherford, Reformed orthodox theology widely affirmed that indeed natural law was the criterion for whether and how Mosaic civil laws ought to be applied in the present.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를 작성한 사람들은 새로운 과정에 대하여 실패한 시도를 했던 것은 아니었다.

The framers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surely were not attempting to strike out on a new course.


두 번째 논점으로는,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이 자연법의 개념과 평등의 개념을 언제나 매우 긴밀하게 연관시켰다는 것이다.

The second line of argument is that Reformed orthodox writers regularly associated the ideas of natural law and equity very closely.



최근에 웨스트민스터 19.4에 관한 일련의 논문들에서는 "보편적 형평법"의 의미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해석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A couple of articles in recent years on WCF 19.4 have provided generally helpful treatment of the meaning of “general equity.”


이들은 모두 다, 율법이라는 문자 뒤에 놓여있는 공평과 정의를 가리키고 있는, 평등 개념의 철학적이고 법정적인 배경에 관하여, 좋은 논의를 하고 있다.

Both contain good discussion of the philosophical and juridical background of the idea of equity as denoting the fairness or justice lying behind the letter of the law.


이들 논문 가운데 하나는, 영국의 법률 역사의 배경에 대항하였던 "보편적  형평법"에 대한 해석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One of these articles also presents helpful material on the interpretation of general equity against the background of English legal history.


여기서는, 영국의 법률 체계가 일반법을 적용하는 법정과 평등에 의한 법정으로 나뉘어져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후자의 경우는, 일반 법정에서 자신들의 처방에 대한 좁은 한계로 인하여, 공평한 결과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에, 정의에 대한 문제 해결책을 제공해주고 있음을 올바르게 지적해주고 있다.

It rightly points out that the English legal system was divided between courts of common law and courts of equity, the latter providing recourse to justice in cases where the common law courts, with their more narrow range of remedies, could not provide a fair outcome.


"보편적 형평법"이라는 말은 영국과 미국의 법조계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일치되는 기술적인 용어다.

“General equity,”then, is “a terminus technicu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in English and American jurisprudence.”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19.4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여기서의 두 논문이 상세하게 언급하고있지 않는 한 가지 문제는, 자연법과 보편적 형평법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One matter that these two articles do not address in great detail, however, is the relation of natural law and general equity in the interpretation of WCF 19.4.


칼빈에 의하여 형성된 사상의 맥락에서 본다면,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종종 평등과 자연법을 궁극적인 동의어로 여기고있다.

Following the line of thought indicated by Calvin, the Reformed orthodox often treated equity and natural law as virtual synonyms.


예를 들면 알투시우스는 "자연적이고 신성한 변치 않는 평등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시민법은 어떠한 형태로든 있을 수가 없다. 만약에 자연법과 하나님의 법의 판단으로부터 완전히 떠나 있다면...., 이는 더 이상 법이라고 부를 수 없으며.... 이름 값을 전혀 할 수가 없으며, 자연적이고 신성한 평등에 대항하는 어느 누구도 속박 할 수가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

Althusius, for example, writes: “There is no civil law, nor can there be any, in which something of natural and divine immutable equity has not been mixed. If it departs entirely from the judgment of natural and divine law ..., it is not to be called law.... It is entirely unworthy of this name, and can obligate no one against natural and divine equity.”


그는 뒤를 이어: "통치자는 국가를 다스리는데 있어서 도덕적 평등과 일반 자연법이 그 안에 적절하게 표현 되도록 모세법에 속박될 의무가 있다.”고 말한다.

His subsequent words are even more to the point: “The magistrate is obligat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monwealth to the proper law of Moses so far as moral equity or common [natural] law are expressed therein.”


투레틴은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짤막한 기록을 하고나서, 몇 년 후에는 이러한 생각들을 확실하게 연결시키기 시작한다.

Some years later, writing shortly after the Westminster Assembly, Turretin continues to associate these ideas tightly.


그는 평등이야말로 모든 법의 목적과 원칙과 결과일 뿐만 아니라 법률의 정신이라고 말한 후에, "역시 자연법이 (가장 공평하기에 다른 모든 법들의 원천으로서) 가장 위엄이 있다."고 말한다

After commenting that equity is the mind of the law as well as the aim, rule, and end of all law, he notes that “the law of nature (the fountain of all other laws, because it is the most equitable) is also the most majestic.”


이러한 증거에 비추어볼때, 나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9.4에 대한 가장 좋은 해석은 이번 장에서 공부한 개혁파 정통주의 학자들의 일반적인 정서들과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In light of this evidence, I suggest that the most plausible reading of WCF 19.4 concurs with the general sentiments of the Reformed orthodox writers being studied in this chapter.


비록 모세법의 시민법이나 재판법은 그리스도의 오심으로 폐지되었지만, 이것이 자연법을 드러내는 한에서는 지속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다.

The civil or judicial law of Moses has been abrogated with the coming of Christ, yet has continuing applicability insofar as it reflects the natural law.


개혁파 정통주의에 있어서는, 과거의 종교개혁과 중세의 전통에서와 같이, 국가의 통치자가 모세의 시민법을 동시대의 사회에 했던 것과 같이 강요할 수는 없을 것이다.

For Reformed orthodoxy, as for the Reformation and medieval traditions of the past, civil magistrates ought not impose the Mosaic civil law as such upon contemporary societies.


아직 때로는 이들이 모세의 시민법을 시행하려고도 하는데, 이는 이것들이 모세법이기 때문이 아니라, 현재의 환경에서도 자연법을 특별하게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이 있기 때문이다.

Yet at times they will implement Mosaic civil laws, not because they are Mosaic laws but because they are particular applications of the natural law still appropriate under present circumstances.



posted by Wonho Kim
:
자연법 2015. 4. 6. 23:22

국가와 교회 권위의 특징들
The Distinctions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182-189를 번역한 것이다. civil의 용어를 번역하는데 있어서 필요에 따라 국가 혹은 시민이라는 용어를 번갈아 사용하였지만 같은 뜻으로 번역하였다.)

때에 맞추어 적절하게, 교회와 국가의 견고한 관계에 관하여 관심을 기울이면서,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규례 아래에서 고찰 해보기로 한다.
At this point attention appropriately turns to the concrete relationship of church and state, considered especially under the rubric of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앞의 단락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많은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두 왕국이 현재의 제도에서는 교회와 국가의 형태로 표현되었다고 믿고 있다.
As considered in the previous subsection, many prominent Reformed orthodox writers believed that the two kingdoms find present institutional expression in church and state.

비록 칼빈은 자신도 사회와 문화의 폭넓은 영역을 시민 국가의 한계 안에 포함 시키고 있지만,(앞에서 정리한 두 왕국 개념과 맥락을 같이하는) 비슷한 기록을 하고 있다.
Calvin wrote similarly, though he also saw a broad range of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as falling within the purview of the civil kingdom.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시민 국가가 넓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지만, 이들이 강조하고 있는 것들은 결국 국가로 몫이 될 수 밖에 없다.
The Reformed orthodox did not deny that the civil kingdom has a broader scope, but their emphasis certainly fell upon the state.

이번 단락에서는, 교회와 국가의 특징들을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어떻게 두 왕국 사이의 신학적 특징들을 적용하며 강조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In this subsection, I discuss how Reformed orthodoxy articulated distinctions between the institutions of church and state as an application of the theological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일반적으로 교회와 국가를 구별하는데 있어서, 투레틴은 "교회와 정치 질서에 대한 의무들이 혼돈되어서는 안되며 각각은 정당한 영역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경고하면서 일반적인 개혁파 정통주의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In regard to the distinc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generally, Turretin expresses common Reformed orthodox sentiment in warning that “the duties of the ecclesiastical and political order be not confounded, but the due parts be left to each.”

이러한 관계를 이해하는 근거로는, 교회와 국가라는 두 왕국을, 이 기관들이 각각 보여주는 분명히 다른 영적인 것과 세속적인 성격과 연계 시키는 것이다.
Foundational for understanding this concern is the associ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the two kingdoms and therefore with the starkly different natures —spiritual and carnal —that these institutions respectively exhibit.

러더포드는 행정장관과 교회에 대한 언급을 하면서 "전자는 세속적이며, 이 세상 나라에 속하여있는데 반하여 후자는 영적이며 그리스도의 다른 나라이며, 이 세상의 것이 아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Speaking of the magistrate and church, Rutherford writes: “The former is carnal, and of the kingdom of this world; the latter spiritual and of Christ’s other kingdom, that is not of this world.”

이러한 러더포드의 특징적인 관심은 "장로교회가 시민의 일에 간섭하는 것은 욕먹을 일이다. 이들이 공적인 추문에 간섭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나라를 범하는 것이다."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Hence Rutherford’s characteristic concern: “That presbyteries meddle with civil business, is a slander. They meddle with public scandals that offendeth in Christ’s kingdom.”

투레틴은 이러한 일반적 관심들을, 교회와 정부의 권위가 어떻게 다른지 특별히 7가지 방식으로 확인하여 설명하고있다.
Turretin unpacks these general concerns more specifically by identifying seven ways in which ecclesiastical and civil authorities differ.

여기서 고려하는 다른 저자들도 이러한 점들 대부분에 비슷한 논평을 하고 있으며, 나는 투레틴의 조직적인 해법에 맞추어서 이들을 비교할 것이다.
The other writers under consideration here offer similar sentiments on most of these points, and I will compare them along the way as we consider Turretin’s organized treatment.

첫째로, 투레틴은 교회와 국가의 권위가 기원에서 부터 다르다고 말한다.
First, Turretin asserts that ecclesiastical and civil authorities differ as to origin.

간단히 말하면, 국가의 권위는 창조자이신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되었고 교회의 권위는 중재자이신 그리스도로부터 시작되었다.
In short, civil authority originates in God the Creator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n Christ the Mediator.

그의 언어는 앞에서 고찰하였던 것을 연상시키며 교회와 국가를 영적인 나라와 시민의 국가 즉 "정치적 힘은 창조자이시고 이 세상 최고의 통치자이신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것이지만; 교회의 힘은 교회의 머리되시고 주되시며 통치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제정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관료는 그리스도의 나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적절하게 공식적인 역할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방 관료에게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신의 관료에게 자신의 이름을 부여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성직자는 그리스도에 의하여 자신의 나라를 세우고 자신의 이름으로 행하라고 보냄받은 것이다."라는 긴밀한 연관성을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
His language here is reminiscent of that observed above and serves further to demonstrate the intimate associ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the spiritual and civil kingdoms: “Political power was instituted by God, the Creator, and supreme ruler of the world; but ecclesiastical power was instituted by Jesus Christ, the supreme head of the church and its Lord and governor. The political magistrate as such does not serve properly and formally in promoting the kingdom of Christ, nor does he discharge his office in his name, as appears in the heathen magistrate; but ministers are sent by Christ for the establishing of his kingdom and act in his name"

러더포드도 비슷한 말을 하고 있다: "두 가지의 힘은 영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 만큼 다르다. 이는 이 세상의 세속적인 힘과 이 세상의 것이 아닌 영적인 것의 차이와 같고, 양쪽 다 모두 하나는 창조자이신 하나님께, 다른 하나는 구속자이시고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께 종속되어있다."
Rutherford speaks similarly: “Two powers so different as spiritual and temporal: 2. As power carnal of this world, and spiritual not of this world: And 3. Both immediately subject, the one to God the creator, the other to Christ the Redeemer and Head of the Church.”

길레스피는 그리스도의 "이중적 나라"에 관하여 기록한다. "그는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이므로 "관료는 그의 대리자이며 그의 직무를 그리스도 안에서 유지"하고 있지만, 그는 역시 "중재자이시며 교회의 머리"로서 관료는 이러한 능력 안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대리자로서 자신의 직책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다."
Gillespie writes, concerning Christ’s “twofold kingdom,”that “as he is the eternal Son of God”so “the magistrate is his vicegerent, and holds his office of and under him,”but that he is also “Mediator and Head of the church,”in which capacity “the magistrate doth not hold his office of and under Christ as his vicegerent.”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교회의 정책이 시민의 정책과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하는데 있어서 이와 같은 입장을 표명하고있다.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expressed this same position in defining the church’s “policy”and its difference from “civil policy.”

여기서는 "이러한 교회의 능력은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중재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온 권위"(1.2)임을 분명히 하며, 후에는 "이러한 교회의 능력이 하나님과 중재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즉각적으로 흘러나오는 것이다"라고 덧붙이고 있다.
It affirms that “this power ecclesiastical is an authority granted by God the Father, through the Mediator Jesus Christ”(1.2) and later adds that “this ecclesiastical power flows immediately from God, and the Mediator Jesus Christ”(1.5).

두번째로 투레틴은 국가와 교회의 힘이 그들의 대상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을 설명하고있다.
Second, Turretin explains that civil and ecclesiastical powers differ in regard to their subject.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어떠한 종류의 사람이 이와 같은 각각의 영역에서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지에 관하여 다른 기준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different criteria exist for what sort of people can exercise authority in these respective realms.

그가 언급한 첫번째는 교회와 국가에 대한 정체성에 대해서는 필연적으로 두 왕국으로 귀결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치적인 힘은 언약에 대하여 이방인이나 외인의 손에 있을 수 있지만 교회에서는 그렇지 않다"
The first thing he mentions seems a logical consequence of his identific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the two kingdoms: “Political power can be in the hands of heathen and strangers to the covenant, but not ecclesiastical.”

흥미스럽게도, 그는 교회의 영적인 상태가 종종 관료가 그리스도인이 아닐 때 더 좋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 시키고 있다.
Interestingly, he acknowledges that the spiritual state of the church may sometimes be better when the magistrate is not a Christian.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자료들도, 기독교인의 믿음이 정치적 권위를 유지하기 위한 요구 사항이 아니라는데 동의하며, William of Ockham이 오래 전에 교황의 요구 조건에 반대하며 강조한 입장이기도 하다.
Other Reformed orthodox sources agree that Christian faith is not a requirement for holding political authority, a position emphasized by William of Ockham against papal pretensions many years before.

투래틴이 언급한 두 번째 것은 논리적으로 명확하지 않다:"전자는 여성에 의하여 실행될 수가 있지만 후자는 아니다."
The second thing that Turretin mentions is not as obvious logically: “The former can be exercised by women; the latter not.”

그는 여기에 대하여 설명하거나 변론 하지 않는다(존 녹스에게도 변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아마 두 왕국의 구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여자가 교회의 직책을 가지려는 것에 대한 성경적 금지에서 근거하는 것이며, 정치적 직책에 관하여는 상관없는 금지 사항인 것이다.
He offers no explanation or defense of this (and no apology to John Knox), but it probably rests not in the two kingdoms distinction itself but in biblical prohibitions of women holding ecclesiastical office, prohibitions lacking in regard to political office.

세번째로 투레틴이 구분하고자 하는 국가와 교회의 힘의 차이는 형태에 관한 것이다: "정치적 힘은 통제되며... 그리고 절대적이며..., 이는 지배력과 통치력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회는 성직으로서... 경륜적이며... 그리고 헌신적이며..., 이는 소위 말하는 통치나 지배 없이 오직 봉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The third difference that Turretin identifies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power regards their form: “Political power is controlling ... and absolute ..., which implies dominion and sway. But ecclesiastical is ministerial ... and economical ... and serving ..., which consists in service alone without any sway and dominion properly so called.”

투레틴이 계속 설명을 하면서 결정적인 것은, 관료의 "법을 만드는 힘"으로서 이로서, 그는 필요에 따라서 법을 만들고, 개선 시키고, 변경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Crucial here, as Turretin goes on to explain, is the magistrate’s “lawmaking power,”by which he can make, improve, and change laws as necessary.

그러나 성직자는 교회에서 그러한 힘을 가지지 않는다:"이들은 그리스도의 법을 선포할 수 있으며 또 그렇게 하여야 하며 특정한 경우에는 이를 적용 시켜야 한다. 이들은 좋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회법을 만들 수 있지만...; 그러나 이들은 소위 말하는 적절한 법을 만들 수 없다. 오직 그리스도만이 법을 만드실 수 있으시며, 그의 법은 성직자에 의하여 바뀔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변경 될 수도 없다."
But ministers in the church have no such power: “They can and ought to promulgate the laws of Christ and to apply them to certain cases. They can make canons for the preservation of good order ...; but they can make no laws properly so called. Christ alone is the legislator, whose laws can neither be changed nor remodeled by ministers.”

이것은 초기 개혁주의 전통에서 상당히 실질적으로 중요한 신학적 주장였으며, 3장에서 보았던 바와 같이 이미 칼빈에게서도 명확했던 주장이었다.
This was a theological claim of considerable practical significance in the early Reformed tradition, a claim already evident in Calvin, as seen in Chapter 3.

이것은 역시 다음 장에서 논의될 어떤 미국 장로교 논쟁에서 매우 중요한 생각이었음을 증명할 것이다.
It would also prove to be a crucial idea for certain American Presbyterian debates to be considered in the next chapter.

국가의 관료는 교회의 성직자가 단순히 가질 수 없는 사법적 분별권을 가지고있다.
Civil magistrates have a legislative discretion that officers of the church simply do not have.

후자(성직자)는 오직 성경의 그리스도에 의하여 이미 주어진 법을 선포하고 적용하여야 한다. 이를 넘어서는 더 나아갈 수 없는 것이다.
The latter may only enunciate and apply laws that are already given, by Christ in Scripture. Beyond this they may not go.

후에 투레틴은 이러한 같은 점을 국가와 교회의 힘으로 비교하면서 통치와 사역의 의미로 구분하였다.
Later Turretin makes this same point by contrasting the power of state and church in terms of “dominion”and “ministry.”

러더포드는, 이러한 주제가 매우 중요했던 스코틀랜드 장로교인으로서 이야기하면서, 같은 의견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기를 원한다. 우리는 국가로서의 왕과 의회에 필수적인 법률을 만드는데 있어서 중재하는 행동이 바로 왕과 의회와 공의회에 일치된다; 그리스도는 목사로 하여금 왕 밑에서 도덕적으로 하나님의 법정에 양심을 순종 시키는 법을 만들도록 하지 않았고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손으로 만드시지도 않았다"
Rutherford, speaking as a Scottish Presbyterian for whom such issues were of great importance, expresses the same sentiment: “But we desire to know, what mediate acts of law-giving which is essential to kings and parliaments in civil things, does agree to kings, parliaments, and synods; Christ has not made pastors under-kings to create any laws morally obliging the conscience to obedience in the court of God, which God has not made to their hand.”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견고한 형태로 이러한 생각을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 왕과 왕자와 관료는 국민을 지배하는, 국민 위에 군림하는 주나 통치자로 불려지는 것이 적절하지만, 그리스도는 교회를 영적으로 통치 하시는 주나 주제로만 불려지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그 안에서 직책을 얻은 모든 외인들은 그 안에서 지배력을 쟁취해서도 안되며, 주라고 불려져도 안되고 오직 목회자, 제자들, 종들로 불려져야만 한다.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sought to express this idea in concrete polity by asserting that “It is proper to kings, princes, and magistrates to be called lords and dominators over their subjects, whom they govern civilly, but it is proper to Christ only to be called Lord and Master in the spiritual government of the kirk; and all others that bear office therein ought not to usurp dominion therein, nor be called lords, but only ministers, disciples, and servants”(1.8).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20.2에서는 이러한 점에 대하여 직접 말하고 있으며, 이는 다음에 논의될 것이다.
WCF 20.2 also speaks directly to this point, as will be discussed below.

네번째로, 투레틴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가 그 결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Fourth, Turretin says that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differ as to their end.

다시 여기서의 그의 논술은 놀랍지않게 그의 두 왕국에 대한 신학을 따르며 이러한 왕국을 국가와 교회의 영역과 연계시키고 있다.
Again, his comments here follow unsurprisingly from his theology of the two kingdoms and his association of these kingdoms with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realms.

이와같은 국가의 관료의 궁극적 목적은, 국가의 관료로서의 능력에 있어서, "창조자로서, 인류를 보존하시는 분으로서, 이 세상의 통치자로서의 하나님의 영광이다."
The supreme end of the civil magistrate “as such,”that is, in his capacity as civil magistrate, is “the glory of God, the Creator, conservator of the human race, and the ruler of the world.”

관료의 부차적인 목적은 "공공의 평화와 평온함, 국가의 외적이며 임시적인 선"에 있다.
The magistrate’s subordinate end is “the public peace and tranquility, the external and temporal good of the state.”

관료로서 그는 (비록 그가 그리스도인으로서 그렇게 할지라도) 그리스도의 나라를 전진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As a magistrate,”he ought not “advance the kingdom of Christ”(though he should “as a Christian”).

다른 한편으로는, 교회 사역의 궁극적인 목적은 "창조자의 영광 뿐만이 아니라 중재자로서, 그리고 왕이시고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영광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end of the church’s ministry is “not only the glory of the Creator, but also the glory of Christ, the Mediator, and the King and head of the church.”

이의 부차적인 목적은 "교회의 평화와 안정이며, 그리스도의 중재적인 나라의 보존과 번영이다."
Its subordinate end is “the peace and safety of the church, the preservation and propagation of the mediatorial kingdom of Christ.”

다시, 투레틴의 개혁주의 동료들은 비슷한 생각들을 전달하고있다.
Again, Turretin’s Reformed cohorts conveyed similar ideas.

알수시우스는 "영역에서의 교회연합을 (세속과 구분하는 의미에서) 그리스도의 왕국을 공적으로 조직화하고 보존하는 의미에서의 과정으로서 그 분의 의지에 따라 설립되고 보증되며 전달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Althusius speaks of the “ecclesiastical communion of the realm”(in distinction from the “secular”) as “the process by which those means that pertain to the public organizing and conserving of the kingdom of Christ ... are established, undertaken, and communicated according to his will.”

후에 그는 세속과 구분되는 교회의 기능을 "하나님의 나라가... 사회에 소개되고 추진되며, 보살피며, 보존되는 수단이다"고 설명한다.
Later he explains that ecclesiastical, in distinction from secular, functions are “the means whereby the kingdom of God ... is introduced, promoted, cared for, and conserved in the commonwealth.”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의 나라가 아닌 자신의 나라를, 관료를 통해서가 아니라, 말씀의 사역자를 통해서 다스리신다.
God “administers his kingdom, which is not of this world, through his ministers of the Word,”not through magistrates.

러더포드는 국가의 관료에 대하여 "관료는 자신들을 그리스도의 대사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질서의 하나님, 창조자로서의 하나님의 대리인이 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Rutherford, in speaking about civil magistrates “as magistrates,”makes them not “ambassadors of Christ”but “deput[ies] of God as the God of order, and as the creator.”

다섯번째로 투레텐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를 대상에 관계하여 구분한다.
Fifth, Turretin differentiated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n regard to object.

여기서 그는 영혼의 외적인 문제와 내적인 문제를 분별하는 사법권과 관계하여 칼빈의 의견을 반복하고 있다.
Here he again echoes opinions of Calvin concerning their distinctive jurisdictions on external matters and internal matters of the soul.

투레틴은 기록하기를: "국가의 권력이 상대하는 대상으로서의 행함과 사람은, 동물적인 삶과 공공의 동료의식이나 외적인 사람과 관련되어있는 만큼이지만; 교권은 거룩한 것을 대상으로 하며 사람과 행함을 앞의 공식적으로 반복을 해보면,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외적인 구원으로 하나님과 연합하거나, 연합 될 수 있도록 임명을 받는 범위 안에서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
Turretin writes: “Civil power has for its object things, actions and persons which and inasmuch as they pertain to the animal life and public companionship or the external man; but ecclesiastical power has for its object sacred things, persons and actions as such, under this formal reduplication, inasmuch as they are both ordained and can be ordained to union with God in Christ and to eternal salvation.”

알수시우스가 교회와 국가의 권위와 책임을 분류하는데 있어서도, 그는 다양한 상황에서도 비슷한 관점을 적용하고있다.
In Althusius’s detailed taxonomy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in church and state, he reflects such views in a variety of contexts.

예를 들자면, "교회의 상황과 기능들에 대한 돌봄과 관리는 세속의 관료에 속하여있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장로들의 교회공동체에 속하여있는 것"이라 주장한 후에 이러한 교회의 다스림은 "영혼의 잘됨에 대한 필요한 상황"에 관한 것이라고 기록한다.
For example, after asserting that “the care and administration of ecclesiastical things and functions belong not to the secular magistrate, but to the collegium of these presbyters,”he writes that this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concerns “things necessary for the welfare of the soul.”

이와는 달리, 세속의 체재는 "몸, 음식, 옷, 그리고 이러한 삶에 속하여있는 다른 것들"에 관한 것이다.
“The secular order,”in distinction, concerns “the body, food, clothing, and other things that pertain to this life.”

후에 그는, 영혼의 잘됨과 영생에 관련된 종교와 경건을 교회 공동체에 맡기는 것과, 육체와 여기서의 삶의 용도에 관련된 정의를 세속의 공동체에 맡기는 것에 대한, 비슷한 구별을 하고 있다.
Later he makes a similar distinction, entrusting “religion and piety, which pertain to the welfare and eternal life of the soul,”to the ecclesiastical communion and “justice, which concerns the use of the body and of this life,”to the secular communion.

교회의 체제에서는 경건하고, 학식이 있으며, 지혜로우며, 선한 사람을 배출하는데 반하여, 정치적이며 세속적인 체제에서는 강하고, 군사적이며, 용감한 사람을 배출하므로 그의 주장은 이해할만하다.
Hence his claim is understandable that while the ecclesiastical order produces pious, learned, wise, and good people, the political or secular order produces strong, militant, and brave people.

비슷하게 러더포드도, 국가와 교회에게 각각 "모든 국가적 상황"과 "영적인 일"에 대하여 책임을 부여한다.
Similarly, Rutherford assigns to state and church, respectively, responsibility for “all civil things”and “soul matters.”

이와 같은 종류의 구분이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도 나타난다. 여기서 스코틀랜드 교회는 다음과 같이 확고히한다:"관료는 국민에게 외적인 평화와 평온을 위하여 외적인 상황들을 요구한다; 성직자는 오직 양심에 의할 때만 외적인 상황에 관여할 수 있다.... 관료는 오직 외적인 상황에 관여할 수 있으며 사람들 앞에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영적인 통치자는 내적인 영향력과 외적인 행동 양쪽 모두를 양심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여 판단한다."
This same sort of distinction was captured in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where the Scottish church affirmed: “The magistrate commands external things for external peace and quietness amongst the subjects; the minister handles external things only for conscience cause.... The magistrate handles external things only, and actions done before men; but the spiritual ruler judges both inward affections and external actions, in respect of conscience, by the word of God”(1.11-12).

내가 간단히 요약하자면, 투레틴은 자신이 이러한 일을 논하면서, 국가의 권력은 "거룩한 교회의 상황"에 특별히 관여하고 있는데 이러한 판단은 알수시우스와 러더포드하고도 공유되는 것이다.
I note briefly that Turretin, in his discussion of this matter, goes on to mention that civil power has a certain concern for “sacred and ecclesiastical things,”a judgment shared by Althusius and Rutherford.

이번 장 뒤에서 나는 그들이 이것으로 무엇을 의미하며, 그들이 만든 제한적 조건과, 어떻게 이것이 그들의 광범위한 논의에 적합한지 논의할 것이다.
Later in this chapter I discuss what they meant by this, the qualifications they made, and how it fit into their broader discussions.

투레틴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를 구분하는 6번째로 결과에 관계하여 간단히 다룬다.
Turretin treats briefly his sixth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that concerning effects.

그는 말하기를, 관료는 상황을 정치적으로 그리고 정치적 목적을 위해 대처하는데 있어서 항상 일관성있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이 가운데는 정치나 시민의 법, 시민에 대한 형법과 벌금 그리고 이로 인한 평화와 평온등을 포함한다.
The magistrate, he says, in dealing with things politically and for political ends, has “homogeneous effects,”among which he includes “political and civil laws, civil punishments and fines and by these means civil peace and tranquility.”

그는 계속하여 말하기를, 다른 한편으로는, 영적인 방법과 영적인 목적을 위하여 영적인 대상으로 가득 채워진 교회의 권력은 역시 영적인 결과를 가져오는데, 그는 이러한 영적인 결과가 무엇인지는 세분화하고 있지 않다.
On the other hand, he goes on, “the ecclesiastical power as it is occupied with a spiritual object in a spiritual manner and for a spiritual end, also has spiritual effects,”though he does not specify what these spiritual effects are.

"국가의 평화와 평온"에 관해서는 "일반 평화와 안정"이 관료들의 "유일한 과제"가 되어야 한다는 칼빈이 강조하였던 것에 관하여 3장에서 논의하였던 자료에 비추어 볼 때 주목할 만하다.
The reference to “civil peace and tranquility”is noteworthy in light of the material discussed in Chapter 3 regarding Calvin’s strong statements on “common peace and safety”being the magistrate’s “only study.”

알수시우스 역시 이와같은 관심사에 칼빈을 닮았다.
Althusius also resembled Calvin in such concerns.

국가의 관료들이 국가의 기능에 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할 "세속의 다스림"에 대하여 논의를 할 때 알수시우스가 이러한 일에 대하여 특별히 강조하는 것은 "선한 질서" "정의, 평화, 평온, 그리고 기강을 보존"하며 "건강치 못함"과 같은 "국가적 혼란"에 대처하는 동안 "화합"을 지켜내는 것이다.
When discussing the “secular administration”by which civil magistrates attend to civil functions, Althusius puts special emphasis upon matters such as “good order,”“conserving justice, peace, tranquility, and discipline,”and the preservation of “concord,”while treating “civil disturbances”as a “sickness.”

투레틴이 국가와 교회의 권위에 관하여 마지막으로 구분하는 것은 형태에 관한 것이다.
Turretin’s seventh and final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s that of mode.

이 두 권위 사이의 외적인 그리고 내적인 일에 관한 차이를 반복하여 구분한 후에, 그는 이 둘이 통치하기 위한 구별되는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들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구별되는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After reiter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uthorities in terms of external and internal matters, he explains that these two therefore have distinctive standards governing them and distinctive weapons for accomplishing their purposes.

그는 기록하기를: "후자 (교회의 권력) 는 자연의 이성이나, 시민법과 국가를 지배하는 인간의 지위 등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에 의하여 기록된 정경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이는 정치적으로나 세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천국의 열쇠와 성령의 검과 다른 비슷한 수단에 의하여 영적이고 신비적인 방법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세속적이지 않으며... 성례를 집행하며, 이는 감추어진 것이며, 어떠한 지상적인 그리고 시민의 이권을 위한 것이 아니며, 그리스도와의 신비적 연합을 위하며 그의 영적인 유익을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을 개선 시키며, 그의 나라를 세우면서 죄인의 구원을 위한 것 말고는 어떠한 다른 목적을 위한 것도 아니다."
He writes: “The latter [ecclesiastical power] is not regulated by natural reason, civil laws and human statutes, by which states are governed; but by the word of God alone and the canon of the Scriptures dictated by the Holy Spirit. It is not exercised in a political and worldly, but in a spiritual and mystical manner by the keys of the kingdom of heaven and by the sword of the Spirit and other similar weapons; not carnal.... It administers the sacraments, which are seals, not of any earthly and civil privilege, but of mystical union with Christ and of his spiritual benefits. Nor does it regard any other end than the edification of the body of Christ, the establishment of his kingdom and the salvation of sinners.”

여기서 다수의 중요한 문제가 제기되며, 이중 몇가지는 아래에서 다시 고려해볼 것이다.
A number of important matters are raised here, some of which we will consider again below.

국가는 자연적 이성과 시민법을 고려하게 되지만, 교회는 오직 성경 만을 고려하게 된다.
The state looks to natural reason and civil laws, the church looks to Scripture alone.

국가는 검과 같은 세속적 무기를 취하게되지만 교회는 왕국의 열쇠로서의 영적이고 신비적인 무기를 취하게된다.
The state takes up carnal weapons, such as the sword, while the church has spiritual and mystical weapons, the keys of the kingdom.

이것들은 실행되었을 때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These are certainly differences with far-reaching implications if put into practice.

다시 한번 말하면,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집단에서도 비슷한 생각들이 나오고있다.
Once again, similar ideas emanated from other Reformed orthodox circles.

예를 들어,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교권은 성경에 기초하고 있다고 가르친다.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for example, teaches that the ecclesiastical power is grounded (only) in Scripture (1.2, 7).

더군다나 여기서는 "국가의 권력은 칼의 힘이라고 불려지고, 다른 것은 열쇠의 힘이라고 불려진다; 그리고 " 국가의 관료는 칼이나 다른 외적인 수단에 의해서 순종을 요구하거나 취하는데 반하여 성직자는 영적인 검과 영적인 수단으로 그렇게 한다"고 진술하고 있다.
Furthermore, it states: “The civil power is called the power of the sword, and the other the power of the keys”(1.9); and “The civil magistrate craves and gets obedience by the sword and other external means, but the ministry by the spiritual sword and spiritual means”(1.13).

다른 각도에서 보면, "관료는 설교를 하거나 성례 만이 아니라 교회를 추방하는 일을 실행해서도 안되며, 또한 어떻게 행하여져야 하는지 어떠한 규칙도 규정하여서는 안되며.... 성직자는 국가의 사법권을 실행하여서는 안된다."
From a different angle, “The magistrate neither ought to preach, minister the sacraments, nor execute the censures of the kirk, nor yet prescribe any rule how it should be done.... The ministers exercise not the civil jurisdiction”(1.14).

길레스피는 자연법에 의한 통치를 국가에는 연관시키지만 교회에는 그렇지 않다: "정부와 권위는 자연과 국가의 법을 기반으로 할 수 있지만...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에 종속되거나 그 아래에서 관리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관료나 국가 정부는 자연이나 국가의 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Gillespie associates the rule of natural law with the state but not the church: “Government and authority which hath a foundation in the law of nature and nations ... cannot be held of, and under, and managed for Christ, as he is Mediator. But magistracy or civil government hath a foundation in the law of nature and nations.”

러더포드는 역시 성서를 교회의 표준으로 가리키면서 말하기를, 예를 들자면, 성서 안에서 교회는 교회 정치를 위한 "완전한 근거"를 가진다.
Rutherford too points to Scripture as the church’s standard, saying, for example, that in Scripture the church has a “perfect platform”for church government.

국가의 권위에 관하여는, 그는 관료가 "그리스도의 나라나 이를 근거로하는 기관에서의 일에 관한 권력"이라는 것을 부인하며 "관료로서의 관료는 칼에 의해서 죄를 벌하지만... 그러나 죄를 사하거나, 이 땅이나 하늘에서 묶거나 푸는 것도 아니며, 어떠한 영적인 힘을 행사하는 것도 아니며, 사람들의 양심을 다루는 것도 아니다"고 설명한다.
In regard to civil authority, he denies the magistrate “power in matters of Christ’s kingdom or the government thereof”and explains that “magistrates as magistrates do punish sins with the sword ... but not forgive sin, nor bind and loose in earth or heaven, nor exercise any spiritual power, nor deal with the consciences of men.”

관료의 나라의 가장 핵심은 칼을 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그의 직책은 그리스도의 나라의 한 부분이 아니며 또한 교회의 머리가 될 수 없다.
The very essence of the magistrate’s kingdom is bearing the sword, and hence his office is not a part of the kingdom of Christ nor can he be head of the church.

이번 단락에서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한편으론 국가 권위와, 다른 한편으론 교회의 권위 사이의 다양한 성격과, 기능, 그리고 목적의 상호 차이에 관하여 정리를 하였다.
As this subsection has laid out in considerable detail, Reformed orthodox writers made numerous, interrelated distinctions between the character, functions, and goals of civil authority on the one hand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on the other.

이러한 차이점을 드러내면서, 이들 저자들은 두 왕국의 차이점과 이들 두 왕국 특히 교회와 국가의 정체성이 실제로 얼마나 중요한지를 증명해 주었다.
In expositing such distinctions, these writers demonstrat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ir two kingdoms distinction and of their identification of these two kingdoms particularly with church and state.

이 자료를 3장에서 관련된 논의와 비교하는 것은 칼빈과 그의 신학적 후계자들이 이 두 제도들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Comparison of this material with the related discussion in Chapter 3 should manifest the great concurrence between Calvin and his theological heirs in articul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institutions.

투레틴은 자신의 7가지 특징을 열거하고 나서 바로 이번 단락에 마지막에 적합한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려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교회의 권력은 영적이며 정치와는 많이 다르기에, 이는 공식적으로나 특별하게 국가나 세속이 아니며, 체제자체부터 이것과 구별되는 것이다."
Immediately following the enumeration of his seven distinctions, Turretin offers a conclusion that seems a fitting finale to this subsection: “Therefore, since this ecclesiastical power is spiritual and differs in so many ways from the political, it follows that it is not formally and specifically civil and secular, but distinct from it in species.”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