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블리케이션 교리 2016. 1. 16. 22:35


3부: 이 주제가 클라인에게 중요한 5가지 이유들

Part III: Five Reasons Why This Issue Was Important to Kline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왜 클라인은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가 지배적인 통치 원리였다고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그렇게 관심을 가졌어야 했는가?

Why was Kline so concerned to recognize that works w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 of the Mosaic covenant?


여기에는 최소한 다섯가지 이유들이 있다.

There are at least five reasons.


A. 첫 번째 이유: 축복들과 저주들

A. First Reason: The Blessings and the Curses


첫 번째 이유로는, 만약에 사람이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부정하게 되면, 모세 언약의 축복과 저주를 은혜와 약속의 통치의 부분으로서, 단순히 아브라함 언약의 통치적 연속성으로 보게 될 것이라는 것을 클라인이 인지하였던 것이다.

The first reason is that Kline perceived that if one denies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then one will view the blessings and curses of the Mosaic covenant as part of the administration of grace and promise, a mere administrative continuation of the Abrahamic covenant.


이렇게 하게 되면 사람이 은혜 언약을 이해하는 것을 왜곡 시키게 된다.

Doing this will distort one’s understanding of the covenant of grace.


만약에 모세 언약의 조건(이것을 행하면 살리라; 순종에 대한 축복; 불순종에 대한 저주)이 실제로 은혜 언약의 일부라고 한다면, 이 조건은 은혜 언약에서 선한 행위와 복음적 순종의 역할을 바꾸어버릴 것이다.

If the conditionality of the Mosaic covenant (do this and live; blessing for obedience; curse for disobedience) is actually part of the covenant of grace, then that conditionality will change the role of good works or evangelical obedience in the covenant of grace.


선한 행위는 필연적으로 증거 역할 이상을 보여주어야 하며, 은혜 언약에서 축복을 받는 조건이 될 것이다.

Good works will necessarily play more than an evidentiary role and become a condition for receiving the blessings of the covenant of grace.


선한 행위를 은혜 언약에서의 축복을 받는 조건으로 만드는 것은,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된다는 바울 교리의 순수성과 충돌 되는 것이다.

Making good works a condition of receiving the blessings of the covenant of grace is in conflict with the purity of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거부하게 되면, 율법에서의 축복과 저주가, 옛 언약에서 뿐만이 아니라 새 언약에서도, 은혜 언약의 각 시기별로 하나님께서 자신의 구속 받은 백성을 다루는 방법이라고, 논리적으로 해석하게 되는 것이다.

The rejec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leads logically to interpreting the blessings and curses of the law as God’s way of dealing with his redeemed people in every epoch of the covenant of grace, not just in the old covenant, but also in the new.


그(=노먼 쉐퍼드)는 하나님의 언약들이 행위-은혜의 대비보다는 통치 원리의 연속체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는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쉐퍼드는 구속하기 전과 구속한 후의, 특히 그들 모두가 보편적으로 요구와 약속을 가지고있다고 제안하면서, 모든 이러한 언약의 단일성을 주장하고있다.(“Of Works and Grace,”88).

“As he [= Norman Shepherd] develops the thesis that God’s covenants are characterized by a continuum of governmental principle rather than by a works-grace contrast Shepherd affirms the unity of all these covenants, preredemptive and redemptive, specifically proposing that they all have in common both demand and promise”(“Of Works and Grace,”88).


"이러한 경향은 머레이의 영향을 좀 더 직접 받은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의 후계자인 노먼 쉐퍼드의 가르침에서는 구속 전과 구속의 언약은 약속과 요구라는 연속체 안으로 균일해졌다"(“Gospel until the Law,”435 and n9).

“This tendency is displayed in the more immediate sphere of Murray’s influence. In the teaching of his successor, Norman Shepherd, preredemptive and redemptive covenants were flattened into a continuum of promise and demand”(“Gospel until the Law,”435 and n9).


여기에 모세 행위 원리에 대하여 부정함으로서 이러한 약속과 요구라는 연속체로 귀결되게 하는 신학자들의 몇 개의 인용문이 있다.

Here are some quotes from theologians whose denial of the Mosaic works principle leads them to such a continuum of promise and demand:


"순종의 조건에 대한 모세 언약은 아브라함 (언약)과 다른 범주에 있는 것이 아니다.

“The Mosaic covenant in respect of the condition of obedience is not in a different category from the Abrahamic.


너무 자주 가정되고 있는 것은, 모세 언약과 관련되어 기술되고 있는 조건은 모세 세대를 완전히 다른 범주, 즉 한편으로는 은혜를 존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요구나 의무를 존중하는 범주로 자리잡게 한다.

It is too frequently assumed that the conditions pr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Mosaic covenant place the Mosaic dispensation in a totally different category as respects grace, on the one hand, and demand or obligation, on the other.


실제로 언약을 지키는 것과 하나님의 목소리에 순종하는 것의  필요에 주된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며, 이것은 모세 언약으로부터 기인된 것이며, 여기에는 아브라함 언약에 요구되는 준수 사항이 포함되어있는 것이다”(John Murray, The Covenant of Grace, 22).

In reality there is nothing that is principally different in the necessity of keeping the covenant and of obedience to God’s voice, which proceeds from the Mosaic covenant, from that which is involved in the keeping required in the Abrahamic”(John Murray, The Covenant of Grace, 22).


"모세 언약에서,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과 행위 언약을 세우시지는 않으셨다.

“In the Mosaic covenant, the Lord did not establish a covenant of works with his people.


그는 아브라함 언약이 세워진 것에 바로 대립 되는 원리를 기초로 하여 언약을 세우시지는 않으셨다 ....

He did not establish a covenant on the basis of a principle that is the very opposite of that on which the Abrahamic covenant is founded ....


아브라함 언약과 마찬가지로, 모세 언약도 약속과 순종이라는 두 부분을 가지고 있다.

Like the Abrahamic covenant, the Mosaic covenant has two parts, promise and obligation.


아브라함 언약에서의 초점은 약속에 있다.

In the Abrahamic covenant, the focus is on promise.


모세 언약에서의 초점은 순종에 있지만, 그렇다고 약속이 배경으로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

In the Mosaic covenant, the focus is on obligation –but promise does not receded into the background ....


이스라엘에게 요구되었던 순종은 공로의 순종이 아니라 믿음의 순종이었다.

The obedience required of Israel is not the obedience of merit, but the obedience of faith.


이는 믿음으로 충만한 것이다.

It is the fullness of faith.


순종은 단순히 주께 대한 충성이다 ....

Obedience is simply faithfulness to the Lord ....


아브라함 언약과 모세 언약은 은혜와 공로, 혹은 믿음과 행위라는 대립된 원리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The Abrahamic and Mosaic covenants do not exhibit opposing principles of grace and merit, or of faith and works.


양쪽 언약에는 약속들이 있으며, 이러한 약속들은 살아있는 적극적인 믿음으로 받게 되는 것이다.

In both covenants there are promises, and these promises are received by a living and active faith.


양쪽 언약에는, 불신과 불순종에 대한 결과들에 관한 경고들이 있다.

In both covenants, there are warnings about the consequences of unbelief and disobedience ....


모세 언약에서 불순종에 위협이 되는 벌칙은 아브라함 언약에서의 조항들과 완전히 같다.

The penalties threatened for disobedience in the Mosaic covenant are fully in line with this provision of the Abrahamic covenant.


불순종에 대한 위협적인 저주는 아브라함 언약이나 모세 언약 모두를 행위 언약으로 바꾸어 놓지는 않는다"(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8-40). 12

Threatened curses for disobedience do not transform either the Abrahamic covenant or the Mosaic covenant into a covenant of works”(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8-40). 12


이것이 바로 가르침에서 실제로 연관된 것들이다.

This has very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aching.


어떻게 구약에서의 축복과 저주 구절을 하나님의 새 언약 백성들에게 가르치겠는가?

How should the blessing and curse passages in the Old Testament be preached to the new covenant people of God?


쉐퍼드처럼, 우리는 그들에게, 당신들은 하나님께 순종하여야만 하며, 만약에 당신들이 그렇게하지 못하면 당신들은 저주를 받게 된다고 말해야만 하는가? 나는 그렇게되지 않기를 원한다.

Do we tell them, as Shepherd would, that they must be obedient to God and if they are not, they will be cursed? I would hope not.


이러한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은, 하나님의 새 언약 백성을,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 받은 율법의 굴레 아래로 돌이키는 것이 될 것이다.

To preach that way would be to bring the new covenant people of God back under the bondage of the law that we have been delivered from in Christ.


바울은 우리가 율법의 저주로부터 자유케 되었다고 말한다.

Paul says we are free from the curse of the law.


그는 우리가 율법에 대하여 죽었고, 더 이상 굴레나 두려움 아래 있지 않다고 말한다.

He says that we have died to the law, and are no longer under its bondage and fear.


우리는 하나님을 문자의 옛 방식이 아닌 성령의 새로운 방식으로 섬긴다.

We serve God in the new way of the Spirit, not in the old way of the letter.


"이 모든 것의 아이러니는, 모든 곳에서 '은혜'의 연속체를 주장하는 입장은 결국 어느 곳에서나 참된 복음의 은혜가 없이 끝난다는 것이다.

“The irony of all this is that a position that asserts a continuum of ‘grace’ everywhere ends up with no genuine gospel grace anywhere.


행위 원리가 작용되는 곳은 아무 데도 없다고 주장하면서 시작하는 접근 방식은 결국 어느 곳에서나 행위 원리의 유형으로 마치게 된다는 것이다.

An approach that starts out by claiming that a works principle operates nowhere ends up with a kind of works principle everywhere.


이것이 결국 하는 것은 종교개혁으로부터의 후퇴이며, 로마카톨릭으로 회귀하는 것이다"(“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What this amounts to is a retreat from the Reformation and a return to Rome”(“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B. 두 번째 이유: 그리스도의 공로

B. Second Reason: The Merit of Christ


모세 언약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는 것이 클라인에게 중요했었던 두 번째 이유로는, 이렇게 하지 못할 경우에는 성경 신학자로 하여금 다른 언약, 특히 타락 전의 아담 언약과 성부와 성자 사이에, 구속 계약이라고 불리우는 세상 사역 이전의 언약,에서 행위 언약을 인정할 가능성이 적어진다는 것이다,

The second reason it was important to Kline to recognize a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covenant is that failure to do so will make the biblical theologian less likely to recognize a works principle in other covenants, specifically the pre-Fall covenant with Adam and the pre-temporal covenant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ka, the pactum salutis.


"옛 언약에서 행위 언약를 거부하는 것은 신앙적인 관계에서 좀 더 보편적으로 공로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쪽으로 퇴보하는 것이며, 결국에는 처음 아담과의 창조 언약에서의 행위 원리를 거부하게 되는 것이다(“Gospel until the Law,”435).

“Rejec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old covenant tends to degenerate into a more general denial of the possibility of merit in the religious relationship and thus to a rejection of the principle of works in the original creation covenant with Adam”(“Gospel until the Law,”435).


예를 들어서, 다니엘 풀러와 노먼 쉐퍼드는 이러한 다음 단계에서의 율법-복음의 대비에 대한 이들의 부정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언제나 인간에 대하여 행위 원리를 기초로하여 관계한다는 것을 부정함으로서 결국 아담의 행위 언약과 그리스도의 공로를 부정한다.

For example, Daniel Fuller and Norman Shepherd took their denial of the law-gospel contrast to this next step, denying that God ever relates to humans on the basis of a works-principle, thereby denying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and the merit of Christ.


"바로 공로라는 개념은 하나님 우리 아버지가 자신의 자녀들에게 대하는 방식에는 낯선 것이다"(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9).

“The very idea of merit is foreign to the way in which God our Father relates to his children”(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9).


이것은 필연적으로 불가피한 법은 아니다.

This is not a tight law of necessity.


이것은 마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라는 클라인의 특별한 체계적 진술을 거절하는 모든 이가, 필연적으로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이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와 맺은 성부의 행위 언약을 거절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아니다.

It is not as if all who reject Kline’s particular formula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are necessarily bound to reject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or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Christ as the second Adam.


그러나 그러한 방향으로 가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에 대한 근거는 성경신학적이다.

But there is a tendency in that direction –and the reason for this is biblicaltheological.


바울은 그리스도의 순종을 모세법의 충족이라는 의미로 보고 있다(롬 3: 31; 10: 4; 갈 4: 4)

Paul views the obedience of Christ in terms of the fulfillment of the Mosaic law (Rom 3: 31; 10: 4; Gal 4: 4).


아담으로부터 이스라엘 공동체로, 그리고 이스라엘 공동체로부터 그리스도로 강력한 연결 고리가 있다.

There are strong biblical theological linkages from Adam to corporate Israel, and from corporate Israel to Christ.


후자의 연결은 마태의 복음, 예를 들면 (마 1-4장),에서 강력하게 나타나고있다.

The latter connection is strongly present in Matthew’s Gospel, for example (Matt 1–4).


바울이 행위 원리를 자신의 칭의 교리의 핵심 가정으로 강조하기를 원할 때에, 그는 아담 언약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모세법 안에서 발견되는 행위 원리를 인용한다(레 18: 5)

When Paul wants to articulate the works principle as the key presupposition of his doctrine of justification, he quotes the works principle, not as found in the Adamic covenant, but as found in the Mosaic law (Lev 18: 5).


그러므로,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지 않는 성경 신학자는 좀처럼 이것(행위 원리)을 그 밖의 다른 곳에서 인정 할 수 있을 것 같지않다.

Thus, the biblical theologian who does not recognize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less likely to be able to recognize it anywhere else.


만약에 이론적으로 공로의 개념이 거절된다면, 우리는 역시 그리스도의 순종이 공로적이었다는 개념도 거절하여야만 한다.

If the very idea of merit is rejected in principle, then we must also reject the idea that the obedience of Christ was meritorious.


공로를 부정하는 것은 힘을 지탱해주는 젱가 막대기를 제거하는 것과 같다.

Denying merit is like removing a load-bearing Jenga stick.


이 한 조각을 제거하게 되면 전체 상부 구조는 붕괴되고 마는 것이다.

Remove that one piece and the whole superstructure crumbles.


C. 세 번째 이유: 성육신의 가독성

C. Third Reason: The Legibility of the Incarnation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행위를 제대로 평가하는데 결정적인 것인데, 이는 모세법이 율법의 성취자로서의 그리스도의 행위에 대한 역사적 내용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Grasp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crucial for a proper appreciation of the work of Christ, since the Mosaic law provided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work of Christ, the fulfiller of the law.


이러한 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클라인은, 그리스도께서 "여자에게서 나게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이라고 바울이 말한  칼라디아서 4: 4을 많이 의존하고있다.

To explain this point, Kline relies heavily on Gal 4: 4 where Paul says that Christ was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을 속량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갈 4: 4-5)

But when the fullness of the time had come, God sent forth His Son,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to redeem those who were under the law, that we might receive the adoption as sons (Gal 4: 4-5 NKJV).


클라인은 갈 4: 4에서, 행위 원리가 나타나는- 아담, 이스라엘, 그리스도- 3가지 핵심점 모두를 하나로 묶는 심오한 중요성을 본 것이다,

Kline sees deep significance in Gal 4: 4 since it ties together all three key points where the works principle is present: Adam, Israel, Christ.


첫 번째 구절인, "여자에게서 나게하시고"는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의 우주적 역할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first phrase,“born of a woman,”alludes to his universal role as the second Adam.


그 다음 구절인,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은 참된 이스라엘로서의 그의 특별한 역사를 시사하는 것이다.

The next phrase, “born under the law,”alludes to his particular historical as the true Israel.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일치하는 점"(Kp 352)이 있다

But there is “congruence”(KP 352) between the two.


모세 경륜에서 아담의 행위 언약이 재현된 것은, 참되고 순종하는 이스라엘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두 번째 아담으로서, 시험을 통과하시고 자신이 대표하는 이들을 위하여 영원한 상을 얻으신, 그의 좀더 근본적인 정체성을 가리키게끔, 그리스도의 성육신이라는 맥락이 형성되도록 분명하게 의도된 것이다.

The recapitul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in the Mosaic economy is intended precisely to set the context for Christ’s incarnation so that his identity as the true, obedient Israel might be understood as pointing to his more fundamental identity as the second Adam who passes the probation and earns the eternal reward for those whom he represents.


"그리스도가 참된 이스라엘-종으로서 가정되는 검증자로서의 기능은,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의 정체성의 의미에서 좀 더 근본적으로 그에게 나타난다(롬 5: 14; 고전 15: 45-47). [주: 갈 4: 4에서 '율법 아래에서 나셨고'는 그리스도를 토라 언약 아래에서의 두 번째 이스라엘로 확인하는 것이다. '여자에게서 나셨고'는 그의 인간성을 드러냄으로서 그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신분을 제시하는 것이다.]...이는 그분이 토라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의 탄생으로 나타나신 바와 같이(갈 4: 4), 그리스도는 삼위안에서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의 한 분으로 이 땅에 오신 것이다"(GOM 237 and 240 n33).

“The function of probationer that Christ assumed as the true Israel -Servant was more basically his in terms of his identity as second Adam (Rom 5: 14; 1 Cor 15: 45–47). [Note: In Gal 4: 4, ‘born under the law’ identifies Christ as the second Israel, under the Torah covenant. ‘Born of a woman’ brings out his humanity and so suggests his second Adam status.] ... As advertised by his birth under the Torah covenant of works (Gal 4: 4), Christ came to earth as one under the intratrinitarian covenant of works”(GOM 237 and 240 n33).


하나님 나라의 서막에서, 클라인은 다른 논쟁을 하면서 "유형적 하나님 나라의 디자인"라는 제목 하에 이러한 점을 정리하고있다.

In Kingdom Prologue, Kline has another passage where he make this point under the heading “The Design of the Typal Kingdom.”


이것은 내가 항상 좋아하는 클라인 인용문이다:

This is my favorite Kline quote of all time:


"목적의 다양성은, 옛 언약 체제와 그것의 유형적인 하나님 나라를 구속 역사의 과정 속으로 집어넣는 것을 설명하면서, 알게 될 수 있는 것이다.

“A variety of purposes can be discovered to explain the insertion of the old covenant order and its typal kingdom into the course of redemptive history.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아들의 강림하심과 그분의 이 땅에서의 사역을 위하여 적절한 역사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Of central importance was the creation of the proper historical setting for the advent of the Son of God and his earthly mission (cf. Rom 9: 5).


그의 성부와의 행위 언약의 의미와 일치하도록 그는, 대표하는 검증 과정을 겪으시고, 그의 순종 하심과 승리를 이루심으로 인하여,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에게 구원의 영원한 나라를 언약적으로 수여할 법적인 근거를 이루시기 위하여, 두번째 아담으로 오셔야만 했었다.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hi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ather he was to come as the second Adam in order to undergo a representative probation and by his obedient and triumphant accomplishment thereof to establish the legal ground for God’s covenanted bestowal of the eternal kingdom of salvation on his people.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첫 번째 아담과의 언약에서와 같이,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 되는 언약의 체제 안에 나타나신 것은, 필요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것이었다.

It was therefore expedient, if not necessary, that Christ appear within a covenant order which, like the covenant with the first Adam,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cf. Gal 4: 4).


바로 이것이 옛 언약에서의 유형적 나라였다.

The typal kingdom of the old covenant was precisely that.


타락한 세상의 한계 안에서, 그리고 구속 과정에 특화된 변경과 함께, 옛 신정 국가는 처음의 언약 체제의 재현이었다.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fallen world and with modifications peculiar to the redemptive process, the old theocratic kingdom was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covenantal order.


신정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행위 언약의 보호 관찰 아래서, 다시 한 번 더 낙원-성소 안에 놓여진 인류였었다.

Israel as the theocratic nation was mankind stationed once again in a paradise-sanctuary, under probation in a covenant of works.


이러한 입장의 맥락에서, 성육신 사건은 이해될 수 있었으며; 이를 떠나서는 사람의 아들의 나타나심과 사역은 좀처럼 명확하게 나타날 수 없는 것이다.

In the context of that situation, the Incarnation event was legible; apart from it the meaning of the appearing and ministry of the Son of Man would hardly have been perspicuous.


참된 이스라엘로서, 율법 아래에 나신 것과, 그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우주적으로 관계된 역할 사이의 일치함으로 인하여, 모든 세대의 선택 받은 이들을 위하여 행위 언약에서 검증적 임무를 수행하시는 그분의 사역의 중요성은 분명하게 표현되었으며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KP 352)

Because of the congruence between Jesus’ particular historical identity as the true Israel, born under the law, and his universally relevant role as the second Adam, the significance of his mission as the accomplishing of a probationary assignment in a works covenant in behalf of the elect of all ages was lucidly expressed and readily readable”(KP 352).


역으로,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부정하게되면, 자신의 백성으로 천국을 얻기 하기 위하여,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을 공로적으로 충족시키시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보기 힘들게 만들 것이다.

Conversely, deny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will make it harder to see Christ’s work as a meritorious fulfilling of the law in our place in order to earn heaven for his people.


D. 네 번째 이유: 율법은 복음의 기초가 된다.

D. Fourth Reason: Law Foundational to Gospel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게되면 행위 원리가 복음의 유대적 기초를 이루는 기반이라는 것을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Recogniz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enables one to see more clearly that the works principle is the bedrock judicial foundation of the gospel.


클라인은 이것을 매우 산뜻하게 표현한다: "하늘은 반드시 (공로로) 얻어져야만한다"(KP 107)

As Kline put it so crispy: “Heaven must be earned”(KP 107).



이것은 하나님께서 복음 안에서 폐기한 원리가 아니다.

That is not a principle that God does away with in the gospel.


그보다는 복음을 통하여 더욱 명확하게 유지를 하신다.

Rather, he upholds it precisely through the gospel.


이와같이 율법은 복음의 기초를 이룬다; 복음 -은혜는 율법 언약 안에 명확하게 제시되어있는 하나님의 의의 요구를 중히 여긴다.

“Law is thus foundational to gospel; gospel -grace honors the demands of divine justice as definitively expressed in law covenant.


로마서 3: 31에서 바울은 이 점을 분명히 한다:'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In Rom 3: 31 Paul makes this point forcefully: ‘Do we then make the law of none effect through faith? God forbid; nay we establish the law.’


사도는 여기에서 모세법의 표준되는 성격보다는, 은혜의 원리인 복음과 대비되는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 언약으로서의 율법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The apostle is not concerned here with the normative nature of the Mosaic laws but with the law as a covenant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works in contrast to the gospel with its principle of grace.


그리고 비록 우리가 행위가 아닌 믿음을 통한 은혜로 의롭게 된다고 그가 논하고있지만, 그는 복음의 체제에 기초를 이루고있는 행위 원리의 지속적인 유용성에 대하여 매우 강하게 주장하고있다.

And even though he is arguing that we are justified not by works but by grace through faith, he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이것은 많은 사람을 의인이 되게하는 한 사람의 순종에 의한 것이다.

It is by the obedience of the one that the many are made righteous (Rom 5: 19)”(GOM 237).


은혜는 그의 의에도 불구하고 우리로하여금 하늘에 들어가도록 하나님께서 기준을 낮추신 것이 아니다.

Grace is not that God lowers the standard to let us in to heaven despite his justice.


은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의 정당한 요구를 충족 시키실 대리자를 제공해주시는 것이다.

Grace is that God provides a substitute who satisfies the just demands of the law in our place.


이것이 바로 바울이, 우리가 복음을 통하여 "(모세) 율법을  세운다"고 말하는 이유인 것이다(롬 3: 31)

That is why Paul says we “establish the (Mosaic) law” through the gospel (Rom 3: 31).


그는 자신이 모세법을 근본적으로 행위 원리의 의미에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이다.

He can say that because he understands the Mosaic law fundamentally in terms of the works principle (Lev 18: 5).


비록 우리가 율법에 순종하는 우리 자신의 공로를 행하지 않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복음의 체제의 기반으로서 행위 원리의 지속적인 유용성을 강조하여 주장하고 있다."

Although we are righteous not by our own works done in obedience to the law, but by faith in Christ, Paul nevertheless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그리스도가 율법 아래에서 나셨고 이를 완전하게 충족 시키셨기 때문에,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율법을 옹호하는 것이다.

Because Christ was born under the law and perfectly fulfilled it, faith in Christ actually upholds the law.


E. 다섯 번째 이유: 율법의 교사적 기능

E. Fifth Reason: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는 것이 클라인에게 중요하였던 다섯 번째 이유는, 이것이 없이 우리는 율법의 교사적 역할에 대한 종교개혁적 강조의 해석학적 기반을 지키는 것이 약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fifth reason it was important to Kline to recognize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that without it we have a less secure exegetical basis for the Reformational emphasis on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모세법을 순수한 은혜의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은 율법의 교사적 역할, 즉 우리에게 우리의 무능력을 보여주며 우리의 죄를 깨닫게 해주는 율법의 기능을 실제로 제거해버리는 것이다.

Defining the Mosaic law in purely gracious terms effectively annuls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that is, the law’s function of showing us our inability and convicting us of our guilt.


처음의 에덴에서의 검증에서 아담 안에서 (아담과) 함께 타락한 모든 인류의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행위 언약의 검증 아래에 있었던 비극적인 이스라엘의 역사는 그들 모두의 죄악되고 희망이 없는 상태를 확인 시켜주는 역할을 하였다.

“By exhibiting dramatically the situation of all mankind, fallen in and with Adam in the original probation in Eden, the tragic history of Israel under its covenant-of-works probation served to convict all of their sinful, hopeless estate.


그러므로 율법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함으로서 그들로 하여금 믿음으로 의롭게 되도록 한다(GHHM 128-29).

The Law thus drove men to Christ that they might be justified by faith”(GHHM 128-29).


예수의 사역의 검증적인 면에 주의를 환기 시키는 것에 더하여서, 이스라엘 국가를 지배했던 행위 원리는 이스라엘의 교사의 역할을 했으며, 죄인인 것과 하나님의 의의 요구를 만족시키기에는 전적으로 무능하다는 것을 확인 시켜줌으로서, 아브라함 언약의 기저부에 깔려있는 복음적 약속을 제공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 죄인들을 인도했다(KP 353).

“In addition to calling attention to the probationary aspect of Jesus’mission, the works principle that governed the Israelite kingdom acted as the schoolmaster for Israel, convicting of sin and total inability to satisfy the Lord’s righteous demands and thereby driving the sinner to the grace of God offered in the underlying gospel promises of the Abrahamic Covenant”(KP 353).


모세법은 생명을 얻기위한 법적인 근거로서 순종을 요구하였는가(레 18: 5), 아니면 율법에 대한 단순한 유대인의 오해였는가?

Did the Mosaic law demand obedience as the legal basis of obtaining life (Lev 18: 5), or is that only a Jewish misunderstanding of the law?


만약에 후자라면, 모세법-언약이 이스라엘을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교사"였다는 바울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가 없을 것이다.

If the latter, one cannot make sense of the teaching of Paul that the Mosaic law-covenant was Israel’s “pedagogue unto Christ”(Gal 3: 24).


사람들은, 이러한 교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모세 언약이 아니라 우주적으로 결속 시키는, 역사를 초월하는 도덕법이라고 주장함으로서, 이를 무시하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One could try to get around this by claiming that it is not the Mosaic covenant but the universally binding, trans-historical “moral law” that has this pedagogical function.


그러나 바울은, 그가 본문에서 "율법"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규정함으로서, 이미 이러한 움직임을 차단 시켰다: 이는 아브라함 약속 430년 후에 온 특별한 언약이다(갈 3: 17); 이는 불순종에는 저주의 위협(신 27: 26을 인용한 갈 3: 10)을, 그리고 율법을 행하는 자에게는 생명의 약속(레 18: 5을 인용한 갈 3: 12)이 수반되는 율법의 역사적 표현이다; 이는 "아버지께서 정하신 날까지" 소수의 어린아이(이스라엘)에게 주어진 임시적 보호자이다

But Paul has already blocked that move by defining what he means by “the law”(ὁ νόμος) in the context: it is the specific covenant that came 430 years after the Abrahamic promise (Gal 3: 17); it is the historical expression of the law accompanied by the threat of a curse to the disobedient (Gal 3: 10 quoting Deut 27: 26) and a promise of life to the doers of the law (Gal 3: 12 quoting Lev 18: 5); it is the temporary guardian set over the minor children (Israel)“until the date set by the father”2).


물론, 성령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그것을 지킬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게 끔 율법을 사용하시는 것과 같이, 심지어 이방인에게도, 이러한 교사적 기능의 보편적 적용을 한다고 하더라도, 처음 언급된 것은 역사적인 모세 언약에 대한 것과 그것의 구속사에서의 교사적 역할에 대한 것이다,

Of course, there is universal application of this pedagogical function, even for Gentiles, as the Spirit uses the law to convince us of our inability to keep it, but the original reference is to the historical Mosaic covenant and its pedagogical role in redemptive history.


클라인은 자신의 모세 언약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부당한 비평을 받아왔다.

Kline gets unfairly criticized for his understanding of the Mosaic covenant.


그의 동기는 혁신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율법에 대한 바울의 가르침을 주의 깊게 들음으로서 율법의 교사적 역할에 관계된 종교개혁의 이해에 대한 더 나은 해석학적, 성경신학적 뒷받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His motive was not to be an innovator but to listen carefully to Paul’s teaching on the law and thereby provide better exegetical and biblical-theological support for the Reformation insight concerning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_____________

12 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How the Covenant Illuminates Salvation and Evangelism (Phillipsburg, N.J.: P& R, 2000).


(출처)

www.upper-register.com © 2015 Charles Lee Irons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