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58

CHRISTIANIZING THE WORLD? (3)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의무로서 세상을 기독교화를 추진하는 이들은 이 세상에 하나님 나라의 도래로서의 프로젝트를 설명합니다.

Those who promote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as the duty of the church and of the Christian present the project a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이러한 시류를 탄 기독교 대학들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알리는 드럼을 두드립니다.

The Christian colleges that are on this bandwagon beat the drum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교회와 언약에 대하여는 좀처럼 듣기 힘듭니다.

Not much is heard of church or covenant.


(하나님) 나라를 찾고; 나라를 추구하고; 나라의 삶을 살고; 기타 등등, 나라가 전부입니다.

Kingdom is all: seeking the kingdom; promoting the kingdom; living the life of the kingdom; and the like.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를 도래시키는 것이며,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주된 면이라는 나라에 대한 강조는 아브라함 카이퍼로 거슬러 올라가며, (카이퍼는) 교회의 소명이 우선 자신의 나라의 문화를 기독교화하고, 그 다음에 전체 세계를 기독교화하는 것이라는 생각의 원천이 됩니다.

This emphasis on the kingdom, as though Christianizing the world brings about the kingdom of God and is the chief aspect of the kingdom, goes back to Abraham Kuyper, the source of the notion that the church’s calling is to Christianize the culture first of one’s country and then of the entire world.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계획의 실천요강인, 그의 영향력 있는 칼빈주의 강연에서, 카이퍼는 "삼위 하나님의 전체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영역들과 나라들에 대한 주권" 즉 하나님의 왕권과 나라에 대하여 호소를 합니다. (칼빈주의 강연, 79)

In his influential Lectures on Calvinism, the playbook of the game of Christianizing the world, Kuyper appealed to the “Sovereignty of the Triune God over the whole Cosmos, in all its spheres and kingdoms,” that is, to the kingship and kingdom of God (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9).


Science and Art에 실린 일반은혜의 책에서 카이퍼는 기독교인이 "일반은총이 작용하는... 대단히 인류의 영적인 발달을 진전시키는" 무신론자인 과학자들과 예술가들과 협력할 것을 간청합니다.

In a book on Common Grace in Science and Art, Kuyper pleaded for the Christian’s cooperation with ungodly scientists and artists who by “common grace [have] been active… greatly promoting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human race.”


이러한 맥락에서, 카이퍼는 다음과 같이 "하나님 나라"를 강조합니다: "하나님 나라는 최소한 제도적 교회에만 제한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전체 세계와 삶과 관점을 지배하는 것입니다."("과학에서의 일반은혜" 458,459).

In this context, Kuyper stressed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is not in the least limited to the institutional church but rules our entire world-and-life-view” (“ Common Grace in Science,” 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98, 458, 459).


세상에서의 도피라는 비난에 대하여

The Charge of World-flight


세계를 기독교화 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표현하는 것이며, 나라에 대한 거룩한 모험이라는 자신들의 확신을 고수하는 가운데, 세계를 기독교화 하기 위한 개혁주의 열심당원들은 개신개혁교회(PRC)와 그들의 구성원들이 나라에 대한 소망이 심각하게 결여되어있다는 것과 하나님의 나라를 추구하는 것과 관계된 의무에 대한 심각한 태만을 비난합니다.

In keeping with their conviction that Christianizing the world represent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and is a noble kingdom-venture, the Reformed zealots on behalf of Christianizing the world charge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nd their members with a serious lack of kingdom-vision and with grave dereliction of duty concerning promoting the kingdom of God.


만약에 사실이라면, 심각한 결함입니다!

A serious shortcoming, if true!


이러한 비난은 바로 개신개혁 학교들의 학생들을 혼란스럽게 합니다.

This charge is rightly disturbing to Protestant Reformed students at these colleges.


이러한 비난에서 특히 고통스러운 면은 개신개혁 교회들과 신자들이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라고하는 비성경적이고 수치스러운 죄를 범하고 있다는 비난입니다.

An especially painful aspect of this charge is the accusation that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nd believers are guilty of the unbiblical, shameful evil of “worldflight.”


일반은혜,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우리를 종교개혁 당시의 재세례파의 범주에 넣는 것에 동의합니다.

The common grace, cultural-Calvinists consign us to the ranks of the Anabaptists of the time of the Reformation.


그들은 우리를 문저, 레이든의 요한, 그리고 메노 시몬스와 같은 집단에 속하였다고 매도합니다.

They dismiss us as belonging to the company of Munzer, John of Leyden, and Menno Simons.


(아래의 문구들은 반어법으로 표현된 것이다.)

우리는 참된 칼빈주의자들이 전혀 아닙니다!

We are no genuine Calvinists at all!


우리는 루터나 칼빈, 그리고 명백하게 개혁주의 신앙고백들의 자녀들이나 상속자들이 (비록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세상의 기독교화에 대한 이론과 교리로부터  "세상으로부터의 도피"에 대한 자신들의 비난에 대하여 명백한 증거를 거의 제공하지 못하지만) 아닙니다.

We are no children and heirs of Luther, Calvin, and evidently of the Reformed confessions (although the cultural-Calvinists offer precious little proof for their theory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nd for their charge of “world-flight”from the creeds).


내가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비성경적" 악이라고 기록한 것은 우리 주님께서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금하셨기 때문입니다:"내가 비옵는 것은 그들을 세상에서 데려가시기를 위함이 아니요... 나도 그들을 세상에 보내었고"(요17:15,16)

16  내가 세상에 속하지 아니함 같이 그들도 세상에 속하지 아니하였사옵나이다

I write “unbiblical”evil of world-flight because our Lord forbade world-flight: “I pray not that thou shouldest take them out of the world…I [have] sent them into the world”(John 17: 15, 16).


프로젝트 참여자에 따르면, 개신개혁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를 거절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악이기에, 우리는 우리 자신들로 하여금  역사에 있어서 하나님의 위대하신 두 가지 일 가운데 하 가지를 반대하며 가로막는 죄를 범하게 하는 것이며, 그분의 이 세상에서의 두 가지 주된 목적 가운데 하나는, 일반은총에 힘입은 아름다움의 창조, 고상함, 선함, 균등한 신적 문화, 세계화등입니다.

So serious an evil is the Protestant Reformed refusal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at, according to the proponents of the project, we make ourselves guilty of opposing and obstructing one of the two great works of God in history and, therefore, one of his two main purposes with his world: the creation of beautiful, noble, good, even godly culture, worldwide, by virtue of common grace.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아버지인 아브라함 카이퍼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Listen to the father of the cultural-Calvinists, Abraham Kuyper:


구원을 이루는 특별은혜가 있으며, 또한 일반은혜가 있는데 하나님께서는 이것으로... [세상에] 놓여있는 저주를 늦추시며, 세상이 붕괴되는 과정을 붙드시며, 그렇게 하심으로서 우리의 삶의 자유로운 발전을 통하여 하나님 자신이 창조주로서의 영광을 취하신다 (칼빈주의 강연, 30)

There is a particular grace which works Salvation, and also a common grace by which God…relaxes the curse which rests upon [the world], arrests its process of corruption, and thus allows the untrammeled development of our life in which to glorify Himself as Creator (Lectures on Calvinism, 30).


그의 작품 일반은혜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기록합니다:

In his work on common grace, Kuyper wrote:


"특별은혜를 통한 하나님의 위대하신 일 외에도 일반은혜의 영역에서 전적으로 다른 하나님의 일이 있다."  그 "전적으로 다른 일"은 "세상의 발전을 극대화하여 절정"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일반은혜" 카이퍼, 176)

“There is beside the great work of God in special grace also that totally other work of God in the realm of common grace.” That “totally other work”is to “consummate the world’s development”(“Common Grace,”in Kuyper, ed. Bratt, 176).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것이, 지지자들의 생각에, 얼마나 놀라운 하나님의 일이겠으며, 비록 죄가 아닐지라도, 이러한 일에 자신이 참여하는 것을 거절하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들은 얼마나 한심스러울 정도로 부족한 이들이겠는지를, 헤르만 바빙크는 "우리는 개혁주의 신앙고백을 삶의 모든 분야에 가져옴으로서 능력있고, 영광스러우며, 충분히 이상적으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목표를 향해야합니다"라고 외칠때 암시했읍니다.

How wonderful a work of God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is, in the thinking of its advocates, and therefore how woefully deficient, if not sinful, those Reformed Christians are who decline to involve themselves in this work, Herman Bavinck suggested when he exclaimed, “We have to aim at that mighty, glorious, rich ideal to Christianize the world by bringing in our Reformed confession into all areas of life”(Bavinck’s farewell address to the Kampen seminary students in 1902, in Willem J. de Wit, On the Way to the Living God, Free University Press, 2011, 58).


이것은 동시대의 문화 칼빈주의자들에게, 바빙크가 개혁주의 신앙고백을 삶의 모든 분야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고, 잠시 생각하게도 할 수 있습니다.

It might give the contemporary cultural-Calvinists pause that Bavinck spoke of the necessity of bringing the Reformed confessions into all areas of life.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프로젝트의 동시대의 형태에서 개혁주의 신조는 눈에 띄게 실종되었습니다.

From the contemporary form of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Reformed creeds are noticeably missing.


그러나 세상을 기독교화하는데 열심인 이들은 완전히, 그리고 전체적으로 판단을 잘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But the zealots for Christianizing the world are utterly and wholly mistaken.


그들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그들의 개념에서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with regard to their conception of the kingdom of God.


그들은 일반은혜에 의하여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관계가 있다는 그들의 생각에 있어서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with regard to their notion that Christianizing the world by common grace has anything to do with the kingdom of God and its coming.


그들은 개신개혁교회(PRC)들이 하나님 나라와 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관하여 무관심하고 수동적이라는 잘못 비난하는 실수를 범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in their false accusation that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re indifferent and passive with regard to the kingdom of God and its extension in this world.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What the Kingdom of God is


첫째로는, 세상을 기독교화하고자 하는 지지자들이 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의 개념에 대하여 잘못 판단하고있다는 것입니다.

First, the advocates of a Christianized world are mistaken regarding their conception of God’s kingdom in this world.


기독교에 외적으로 영향을 받은 사회나 국가, 혹은 심지어 대부분이 불신자인 전체 세계는, 일련의 불신자 헐리우드 배우가 마틴 루터의 삶을 연출하는 것이 교회의 개혁이고 혹은 종교개혁의 확대라고 하는 것 이상의 하나님 나라가 아닙니다.

A society, a nation, or even an entire world of mostly unbelievers that has been influenced by Christianity outwardly is no more the kingdom of God than a set of ungodly Hollywood actors dramatizing the life of Martin Luther is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or an extension of the Reformation.


이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나라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삼위 하나님의 통치이시며, 세상에서 하시는  하나님의 위대한 관리입니다.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is the reign of the triune God in Jesus Christ, God’s great servant in the world.


이것은 그리스도인이 희망하였고, "당신의 나라가 임하옵소서" 라는 주기도의 두 번째 간청에서 기도하였던 나라입니다.

This is the kingdom whose coming Christians desire and pray for in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Thy kingdom come.”


이것은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의 나라입니다.

It is the kingdom of God’s “dear Son”(Col. 1: 13).


이 나라는 하나님의 일반은혜에 의하여 오지 않습니다.

This kingdom does not come by a common grace of God.


차라리, 이것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온다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에 의하여 우리를 통치 하신다는 것이다"라고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에 의하여 오는 것입니다.

Rather, it comes by God’s “Word and Spirit,”as the Heidelberg Catechism explains: “Thy kingdom come; that is, rule us so by Thy Word and Spirit”(Q& A 123; emphasis added).


이 나라에서는, 오직 선택된 신자들만이 국민입니다.

Of this kingdom, only those are citizens who are elect believers.


(이 나라의) 국민들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사랑하는 아들의 나라로 옮긴" 이들입니다.(골1:13)

The citizens are those whom God “hath translated…into the kingdom of his dear Son”(Col. 1: 13).


모든 다른 이들은 어둠의 군주의 나라에서, "어둠의 권세"(골1:13) 아래 있습니다.

All other humans remain under “the power of darkness”(Col. 1: 13), in the kingdom of the prince of darkness.


이러한 불신자는 하나님의 나라를 파괴하려는 것 외에는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These unbelieving people have no interest in the kingdom of God, except to will its destruction (Psalm 2; Rev. 13).


하나님 나라의 속성에 관해서는, 하나님 나라는 지상적이 아니고 천상적이며, 세속적이 아니고 영적입니다.

As to its nature, the kingdom of God is heavenly, not earthly; spiritual, not carnal.


이것은 예수께서 자신의 죽으심으로 세우신 의를 기반으로 하는 나라를 확립하는 날에" 이 세상의 것도 아니며" "이 세상으로부터 온 것도 아니다"라고 빌라도에게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설명한 것입니다.(요18:33-37)

This was Jesus’description of the kingdom to Pilate, on the day of Jesus’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n the found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his death: “not of this world”; “not from hence”(John 18: 33–37).


존 칼빈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묘사를 제대로 설명하면서, 이를 "영적이며" "천상적이며," 그리고 "세상으로부터의 분리된 것"이라고 기록했습니다.(요한복음 주석 2권, 209)

Correctly explaining this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God, John Calvin wrote, “spiritual,”“heavenly,”and “separated from the world”(Commentary on John, vol. 2, Eerdmans, 1949, 209).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는 눈으로 볼 수 있게 도래하는 것이 아닙니다. (눅17:21)

Therefore the kingdom does not come with “observation”(Luke 17: 21).


이와는 달리 일반은혜의 나라는, 최소한 이 나라를 꿈꾸는 이들의 상상 속에서, 사회적 관계, 경제적 진보, 그리고 정치적 진전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는 발전으로 오는 것입니다.

The kingdom of common grace, in contrast, comes with observable developments in social relations, economic advancements, and political progress, at least in the imagination of the dreamers of this kingdom.


하나님 나라의 유익들은- 일반은혜 나라의 주된 목표인- 지상적 평화와 세속적 번성이 아니라 "성령 안에 있는 의, 그리고 평강, 그리고 희락"입니다.(롬14:17)

The benefits of the kingdom of God are not earthly peace and carnal prosperity—the main goals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but “righteousness, and peace, and joy in the Holy Ghost”(Rom. 14: 17).


예수께서 빌라도와 나라에 대한 대화에서 나라에 대하여 더욱 강조한 한 가지는, 하나님의 나라가 "진리" 의 토대 위에서 발견된다는 것입니다:"내가 이를 위하여 태어났으며 이를 위하여 세상에 왔나니 곧 진리에 대하여 증언하려 함이로라 무릇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음성을 듣느니라"(요18:37)

One thing more about the kingdom Jesus stressed to Pilate in their discussion of the kingdom: the kingdom of God is founded on “the truth”: “To this end was I born, and for this cause came I into the world, that I should bear witness unto the truth. Every one that is of the truth heareth my voice”(John 18: 37).


이것은 빌라도가 "그러면 네가 왕이냐?"(요18:37)고 묻는 질문에 대한 예수님의 반응이셨으며, 그의 왕권과 나라의 속성에 대한 예수님의 설명입니다.

This was Jesus’response to Pilate’s question, “Art thou a king then?”(John 18: 37) and Jesus’description of the nature of his kingship and kingdom.


진리는 그리스도인, 그리고 특별히 구분되는 개혁주의 신앙고백 안에서 요약되는 성경의 복음입니다.

The truth is the gospel of Scripture as summarized in the Christian and the distinctively Reformed confessions.


로마 카톨릭과 불신자들과 함께 협력하는 일반은혜의 나라, 즉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추진되는 나라의 대부분의 열정적인 옹호자들 조차도, 나라가 진리를 기초로하고있다고 감히 주장하지는 않습니다.

Not even the most enthusiastic defender of the kingdom being promoted by the cultural Calvinists—the kingdom of common grace, in cooperation with Roman Catholics and unbelievers—will dare to contend that that kingdom is based on the truth.


이러한 나라는 진리에 대하여 완전히 침묵하지 않는다면, 오직 타협에 의해서 만 진보가 되고 외형을 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That kingdom can make progress and take form only by the compromising, if not the complete silencing of the truth.


로마 카톨릭과 불신자들은 진리를 거부합니다.

Roman Catholics and unbelievers reject the truth.


그러므로 일반은혜의 나라는 하나님 나라가 아닙니다.

The kingdom of common grace therefore is no kingdom of God.


이것은 나라가 아니며, 그 안의 어떠한 칼빈주의자나, 진실로 신앙을 고백하는 어떠한 그리스도인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나라인 진리의 나라에 대항하는 나라를 반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흥미도 가질 수 없습니다.(나라에 대한 매우 중요한 진리를 좀 더 완전하게 다룬 나의 책 "하나님의 나라" PRC2002를 참조하라)

It is no kingdom in which any Calvinist, indeed any professing Christian, should have any interest, except to oppose it as a rival kingdom to the kingdom of the truth, that is, the kingdom of God in Jesus Christ. (For a more complete treatment of the vitally important truth of the kingdom, see my booklet, “The Kingdom of God,”Evangelism Committee of Southwest PRC, 2002).


마음 안에서의 하나님의 통치

The Reign of God in the Heart


하나님의 나라가 기원과 속성에서 천상적이라는 것은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이나 이 세상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That the kingdom of God is heavenly in origin and in nature does not imply that it is not on the earth and in the world.


그 나라는 이 세상에 있으며, 주된 위치는 선택된 신자의 마음에 있습니다.

The kingdom is in the world, and its primary location is the heart of the elect believer.


그곳에서 그리스도는 자신의 왕좌를 가지고 계시며; 그곳에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은혜와 성령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다스리십니다.

There Christ has his throne; there God reigns in Jesus Christ by his grace and Spirit.


카이퍼와 그의 문화 칼빈주의 제자들은 하나님께서 백성의 마음에서 은혜로 다스리심을 경멸합니다.

Kuyper and his cultural-Calvinist disciples disparage the reign of grace in the hearts of the people of God.


그들은 이것을 강조하는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들을, 마치 이러한 강조로 인하여 우리가 그 나라를 마음으로 제한 시키고 있는 것처럼 비판합니다.

They criticize the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s who emphasize this, as though by this emphasis we restrict the kingdom to the heart.


학자로서의 카이퍼가 ,  카이퍼 자신의 주된 관심으로서, 그가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자신의 계획에 있어서, 개혁주의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통치를 인간의 마음에 대한 영적이고 사적인 통치로 제한시키고있다고 말한 것은 옳은 것입니다.

A scholar of Kuyper is correct when he states as a main concern of Kuyper in his program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y common grace that Reformed people “restrict the reign of Christ to the ‘spiritual,’to the private rule over the human heart”(John Bolt, A Free Church, A Holy Nation: Abraham Kuyper’s American Public Theology, Eerdmans, 2001, 193).


인간의 마음에서의 하나님의 통치는 이 땅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현존에 기반이 됩니다.

The rule of God in the human heart is fundamental to the presence of the kingdom on earth.


마음에서의 이러한 통치를 떠나서는, 기독교 신앙에 합치하는 어떠한 외적인 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전체 프로젝트는 하나님께 추악한 것이며 또한 그의 나라의 도래는 확실히 아닌 것입니다.

Apart from this rule in the heart, whatever outward conformity there may be to Christianity, the entir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obnoxious to God and is certainly not the coming of his kingdom.


하나님께서는 마음을 보십니다!

God looks to the heart!


하나님께서는 마음으로부터 자원하는 봉사를 기뻐하십니다!

God is pleased with willing service from the heart!


사실, 사람의 마음에서의 은혜의 통치를 떠나서는, 남자들이나 여자들이나, 하나님 나라를, 심지어 외적으로도, 찾으려고 하지도 않고, 찾지도 않고, 찾을 수도 없습니다.

In fact, apart from the reign of grace in human hearts, men and women will not, do not, and cannot seek the kingdom of God, even outwardly.


사단의 종들로서, 그들은 하나님 나라의 출현 조차도 미워합니다.

As slaves of Satan, they hate even the appearance of the kingdom of God.


그들은 하나님 나라를 파괴하는데 열심입니다.

They exert themselves to destroy God’s kingdom.


그들은 정열적으로 적그리스도의 나라를 세웁니다.

They energetically build the kingdom of antichrist.


그리고 만약에 그리스도가 사람의 마음을 지배한다면, 그 남자나 여자는 모든 인간의 삶의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 것이고 또 그렇게 해야만 할 것입니다.

And if Christ reigns in one’s heart, that man or woman will and must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of God—in all spheres of human life.


신앙인이 수동적이고 재세례파와 같이 될 것에 대한 문화 칼빈주의자의 염려는 근거가 없는 것입니다.

The fear of the cultural-Calvinists that believers will be passive and Anabaptistic is groundless.


이러한 염려는, 삶의 모든 주제의 근원이 마음에 있다는 것과, 그 마음에 능력이 있으시고, 모든 것을 총괄하시는 주권이 있으신 예수가 계시다는 것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입니다.

The fear does not reckon with the heart as the source of all the issues of life, or with the mighty, all-comprehensive lordship of Jesus in the heart.


마음에서의 그리스도의 통치에 대하여 비난하거나 저평가해서는 안됩니다.

Do not disparage or underestimate the reign of Christ in the heart!


이것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신조에서는 주기도의 두번째  기원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설명을 시작합니다:"즉 당신의 말씀과 성령으로 우리를 통치하심으로서, 우리가 우리 자신을 더욱 더 당신께 복종하도록 하여 주시옵소서." 그 의미는: 우리를 우리의 마음 안에서 다스리라는 것입니다.

With thi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its explanation of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that is, rule us so by Thy Word and Spirit, that we may submit ourselves more and more to Thee.”The meaning is: Rule us in our hearts.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주권

Sovereignty in All Spheres of Life


남자나 여자나, 이 땅에서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께 복종하는 것은,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의 마음 안에서 그리스도가 통치 하시는 것입니다.

Such is the rule of Christ in the heart of the Reformed Christian that he or she submits to Jesus Christ in all spheres of earthly life.


그러므로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모든 영역들에서 (하나님의) 나라의 삶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Thus, the Reformed Christian lives the life of the kingdom in all spheres.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Thus, the kingdom is extended to all spheres.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모두의 왕이시며 주십니다"라는 하나님 나라의 깃발을 올려야 합니다.

Thus, the believer raises the banner of the kingdom of God over every sphere: “Jesus the Christ is king and lord of all.”


그러므로, 하나님의 일반은혜를 완전히 떠나서, 그리고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어떠한 참여가 없어도, 참된 칼빈주의자인,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는, "우리 인간이 존재하는 전 영역에서, 모든 것을 통치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내것이라고 외치지 않으시는 곳이 단 1 입방인치도 없다"는 카이퍼의 유명하고, 흥분된 선언을  완전히 제대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Thus, altogether apart from a common grace of God and without any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 the genuine Calvinist— does full justice to Kuyper’s famous, stirring declaration, “There is not a square inch in the whole domain of our human existence over which Christ, who is Sovereign over all, does not cry: ‘Mine!’” (“ Sphere Sovereignty,” in Kuyper, ed. Bratt, 488).


다음번의 글 내용은 모든 영역들에서 이러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입증하면서 실례를 보여줄 것입니다.

Demonstrating and illustrating this kingdom-life in all the spheres will be the content of the next article.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52

CHRISTIANIZING THE WORLD? (2)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 잡지의 나의 이전 글에서, 나는 많은 개혁주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인,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프로젝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In my previous article in this magazine, I described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a project in which many Reformed people are engaged.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람들은 개혁주의 사람들만이 아닙니다.

It is, however, not only Reformed people who have taken on this project.


미국의 많은 저명한 복음주의자들도 동참하였습니다.

Many prominent evangelicals in the United States have also signed on.


그러나 개신개혁주의 젊은이들은 참여에 대한 요청에 직면하여야 했고, 이러한 요청을 거절하였을 때, 흔히 기독개혁주의 학교에서, 세상을 도피한다는 비난에 직면하여야 했습니다.

But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are confronted with the call to participate, and with the accusation of “world-flight,”if they decline the call, usually at Christian Reformed colleges.


개신개혁주의 젊은이들 쪽에서는- 그리고 참된 개혁주의이거나, 그렇게 되기를 결정한 젊은이들 쪽에서는, 이러한 요청과 비난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여야 하겠습니까?

What should the response to this call and accusation be on the part of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and also on the part of all young people who are and are determined to be truly Reformed?


그들(젊은이들)은 이러한 요청을 거절하여야 합니다.

They must refuse the call.


그들(젊은이들)은,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 인하여 세상을 도피하는 죄로 규정하는 이들의 비난에 대하여 단호히 대응해야 합니다.

They must repudiate the accusation that by refusing to Christianize the world they make themselves guilty of world-flight.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고 시도하는 전체 프로젝트는 비성경적이고, 개혁주의가 아니며, 비논리적이며, 더군다나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The entire project of attempting to Christianize the world is unbiblical, unreformed, illegitimate, and doomed to failure.


이것은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그리고 그의 동시대의 모든 옹호자들의 환상으로부터의 도피입니다.

It is the flight of the fancy of Abraham Kuyper, Herman Bavinck, and all its contemporary advocates.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것은 하나님으로부터 온 소명이 아닙니다.

Christianizing the world is not a calling from God.


성경 어디에도, 명확하게 혹은 선과 필요에 의한 추론에서 건, 하나님께서는 그의 교회 혹은 교회의 구성원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유행을 쫓아서, 세상에 외적으로 영향을 주라고 요청하지는 않습니다.

Nowhere in Scripture, whether explicitly or by good and necessary consequence, does God call his church or the members of the church to influence the world outwardly, after a Christian fashion.


이 세상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소명은 육체적으로 그 안에 있으라는 것이지, 영적으로나 윤리적으로 그 자체가 되라는 것은 아닙니다.(요17:14-16)

The Christian’s calling regarding the world is to be in it, physically, but not of it, spiritually and ethically (John 17: 14–16).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데 있어서, 불신의 세계, 믿지 않는 남녀와 연합함으로서, 그리스도인은 자신을 이 세상의 존재로서의 입장에 있게 합니다.

By joining with the world of ungodly, unbelieving men and women, in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Christian puts himself in the position of being of the world.


그는 이제 거대한 영적 프로젝트, 즉 다름 아닌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프로젝트 안에서, 세상과 하나입니다.

He is now one with the world in a great, spiritual project: nothing less than Christianizing the world.

그는 자신을 세상적 사고에 열어 놓습니다.

He opens himself up to the world’s thinking.


그는 일을 하는 세상의 방식에 참여합니다.

He is party to the world’s way of doing things.


이러한 협력으로 인해서, 그는 자신이 불신자인 남녀들과 함께 하나님의 나라의 모양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자신이 그들과 친밀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In this cooperation, he finds himself fellowshipping with ungodly men and women as together they supposedly build a form of the kingdom of God.


세상의 악마화

Demonizing of the World


성경에서는, 이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은 세상이 기독교화 되는 것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악마화, 즉 하나님 없이 그리스도인를 대적하여 간다는 것에 대하여 분명히 말하고있습니다.

Scripture clearly reveals that God’s plan for the world is not that it becomes Christianized, but that it becomes increasingly demonized, that is, ungodly and antichristian (Matt. 24).


종말 바로 전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그 날에, 어리석은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대학 교수들이 세상의 기독교화를 외치는 바로 그 날에, 세상의 모든 국가들은 짐승, 적그리스도의 나라가 될 것입니다. (계13; 계 17)

Shortly before the end, in the very days in which we are living, in the very days in which foolish Reformed theologians and college professors are clamoring for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all the nations of the world become the kingdom of the beast, Antichrist (Rev. 13; Rev. 17).


내부적으로는, 그들의 마음이 거듭나지 않았기에, 인류의 대다수가 하나님을 대적하며, 그리스도를 대적하며, 교회를 대적하며, 거룩을 대적합니다.

Inwardly, in their unregenerated hearts, the vast majority of the human race are anti-God, anti-Christ, anti-church, and anti-holiness.


그들이 하나님을 미워하는 것은 극도로 증가될 것입니다.

Their hatred of God develops to the extreme.


그들의 사악한 마음을 따라서 그들은 자신들의 외적인 사회적 삶, 자신들의 문화의 틀을 만들어나갈 것입니다.

In accordance with their wicked hearts, they frame their outward, societal life, their culture.


거듭나지 않고, 타락한 마음을 가지 남녀들이 기독교의 외적인 허식 안에서 약간의 기쁨을 가질 수 있다는 생각과, 그리스도로 인하여 영향을 받은 나라를 세우려고 그리스도인과 협력하여 일하려는 생각은 겉으로 보아도 허튼소리입니다.

The idea that men and women with unregenerated, depraved hearts can have some delight even in an outward veneer of Christianity and will work in cooperation with Christians to erect a kingdom influenced by Christ is nonsense on the face of it.


마음이 없다는 것이 삶의 문제의 핵심입니다.

Out of the heart are the issues of life.


거룩하지 않은 마음들은 기독교를 철저하게 미워합니다.

Unholy hearts hate Christianity, root and branch.


하나님을 미워하는 마음들은 하나님을 미워할 나라를 세웁니다.

Hearts that hate God build kingdoms of hatred for God.


국가와 국제적 생활에서 모든 기독교의 외형은 최근 들어 없어졌습니다.

Every semblance of Christianity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fe is effaced in these last days.


현대 이교도들의 문화의 모든 면은 하나님과 그의 거룩하심을 미워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Every aspect of the culture of the modern heathen expresses their hatred of God and of his holiness.


그들의 정책은 사람을 찬양하며, 하나님과 그의 주권으로부터 자유 한 사람을 위하여 통치를 합니다.

Their politics exalts Man and governs on behalf of Man liberated from God and now sovereign.


법원과 의회의 법들은 의도적으로 하나님의 법을 발밑으로 짓밟습니다.

The laws of the courts and congresses deliberately trample God’s laws underfoot.


이렇게 최근 들어 국가에서 반기독교적으로 증가 되고 있는 경멸의 대상이 되는 하나님의 법은 성경에 있는 그의 법 뿐만이 아니라 본성에서의 그의 법도 그렇습니다.

So developed is the anti-Christianity of the nations in the last days that the laws of God that are held in contempt are not only his laws in Scripture, but also his laws in nature.


악마화되어가고 있는 (미국의) 주들은 남성과 여성의 동성 간의 결혼을 합법화 시키고 있습니다.(롬1:24-28)

The demonized State legislates sodomite and lesbian “marriages”(Rom. 1: 24–28).


이들의 교육 체계는 하나님의 위대하신 창조 사역을 경멸하며, 모든 것의 기원을 진화를 통하여 일어나는 이해할 수 없는 우연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Their educational system despises God’s great work of creation, ascribing the origin of all things to blind chance operating through evolution.


그러므로 사람이, 창조와 섭리의 하나님을 대신하여, 모든 것의 목표로서 신격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Thus, Man is deified as the goal of all things, rather than the God of creation and providence.


자신들의 여흥을  죄의 수치 가운데서도,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그리고 인터넷으로 영화롭게 하는 것에는: 성적인 문란과 사악함; 이유 없는 폭력; 선정적인 음악; 인간 삶의 목적으로서의 물질적 부와 물리적 쾌감이 있습니다.

Their entertainment glories in the shame of sin, movies, television, videos, and the internet: sexual promiscuity and perversity; gratuitous violence; sensual music; material wealth and physical pleasures as the end of human life.


예수 그리스도가 가르쳐주신 하나님의 뜻보다는, 인간 자신의 욕망이 옳음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Man’s own lusts are the standard of the right and the good, rather than the will of God as taught by Jesus Christ.


세상의 완고해짐

Hardening of the World


세상에서의 이러한 모든 죄의 발달은 하나님의 세상에 대한 진노의 심판 아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그들이 하나님을 알았을 때에... 그를 하나님으로 영화롭게도 아니하였고, 감사치도 아니하였다"는 것입니다.

And all of this development of sin in the world takes place under the wrathful judgment of God on the world, which “when they knew God…glorified him not as God, neither were thankful.”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불결한 상태로 내어버려 두셨으며; 그들을 악한 영향 하에 두셨으며;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타락한 마음 상태로 두었습니다.(롬1:21-32)

God gives them up to uncleanness; God gives them up unto vile affections; God gives them over to a reprobate mind (Rom. 1: 21–32).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꿈은 하나님의 일반은혜에 의하여 세상의 선한 발달을 제시하지만, 성경에서는 세상은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서 사단의 나라로서 발달되리라는 것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Whereas the dream of Christianizing the world proposes the world’s good development by a common grace of God, the Bible teaches that the world develops as the kingdom of Satan under the judgment of God.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지지자들은 이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과 충돌이 되는 프로젝트를 알면서도 하는 것입니다.

The advocate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knowingly work at a project that conflicts with God’s plan for the world.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의 기독교화를 의도하시지는 않으십니다.

God does not intend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그러므로 이들의 프로젝트는 어리석은 것입니다.

Their project, therefore, is foolish.


그러나 문제는 심각합니다.

But matters are worse.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이들은 자신들이 하나님을 대적하게합니다.

The advocate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pit themselves against God.


심판하심의 위엄으로서, 하나님께서는 세상을 고의적인 불경건 안에서 완악하게 하심으로서, 세상은 죄 가운데 발달되어, 사악함의 컵을 채우게 됩니다.

In his awful but just judgment, God is at work hardening the world in its willful ungodliness, so that the world develops in sin, filling the cup of its iniquity.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하나님의 이러한 일에 대항하여,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고 합니다.

The cultural Calvinists oppose this work of God, attempting to Christianize the world.


이들의 프로젝트는 하나님에 대한 저항입니다.

Their project is resistance to God.


서기 2013년에 모두에게 분명히 드러났듯이, 화란에서의 아브라함 카이퍼와 북미에서의 기독개혁교회(CRC)가 우선 자신들의 나라를 기독교화하고 그 다음은 세계를 기독교화 하려는 프로젝트가 완전히 실패하였습니다.

As is evident to all in AD 2013, the project of Abraham Kuyper in the Netherlands and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North America over the past one hundred years to Christianize first their nations and then the world has been a colossal failure.


그러나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프로젝트가 효과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화란에서의 카이퍼의 개혁교회와 기독교개혁교회는 완전히 세계화되었읍니다.

But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has not been without its effect: Both Kuyper’s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and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have become thoroughly worldly.


세상을 기독교화 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일반은혜로 의도되는, 신을 받아들이지 않는 세상과 협력하는 헛된 사업은 실제로 세상을 기독교로 만들지 못합니다.

The vain enterprise of cooperating with the world of the ungodly, purportedly by a common grace of God, in order to Christianize the world does not, in fact, make the world Christian.


그러나 교회와 이에 소속된 학교들은 세계적으로 만들었습니다.

But it does make the church and its schools worldly.


카이퍼의 교회들은 잘못된 교회- "하나님이 없다"(시14:1을 보라)고 가르치는 사역자들이 있는 교회- 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The churches of Kuyper have become part of a false church—a church that has ministers who preach, “No God!”(see Psalm 14: 1).


기독교개혁교회(CRC)에 관하여는, 사악한 세계에 열려있으며, 하나님의 영광스러우신 작품들과 거룩함에 대한 세상의 가장 심각한 공격에 대하여 관대한데 이는, 진화와 성경이 영감으로 쓰여진 것- 특히 창1-11에 관하여- 을 부인하며, 보편적 구원를 내포하는 하나님의 우주적 사랑과, 여성신장운동, 특히 이혼과 재혼을 용인하는 성적인 문란함과, 최소한 한 군데 소속 대학에서는 남녀 동성애라는 성적인 비행을 조장하며, 간통의 전희로서의 춤에 대한 세속적 행위를 승인하는 것입니다.

As for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t is open to the wicked world and tolerant of the world’s most grievous attacks on God’s glorious works and holiness: evolution and the denial of the inspiration of Scriptur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Genesis 1–11; a universal love of God, implying universal salvation; feminism; sexual promiscuity, particularly in the sanction of divorce and remarriage; promotion in at least one of its colleges of the sexual perversity of sodomy and lesbianism; approval of the very worldly behavior of dancing—the foreplay to fornication.


참된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개신개혁 젊은이를 포함하여, 세상을, 특히 이러한 마지막 날에는, 자신들의 적으로 보아야 합니다.

The true church and the Christian, including the Protestant Reformed young person, must view the world as their enemy, especially in these last days.


그들은 이것으로부터 영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며, 그렇게 하여서 이것을 싫어하여야 하며, 그것과 공공의 목적을 만드는 것을 거절하여야 합니다.

From it, they must separate spiritually, so that they hate it and refuse to make common cause with it.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지지자들의 죄는,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을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는 세상과 사단을 신으로 섬기는 세상과 친목을 도모하며 협력한다는 것입니다.(고후4:4)

It is the sin of the proponents of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that they promote the friendship and cooperation of God’s people with the world of the ungodly, the world that has Satan as its god (2 Cor. 4: 4).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의 세상과 밀접하게 일하는 것은, 실제에 있어서의 일로서, 아브라함 카이퍼 자신이 인정한 것과 같이, 적그리스도의 나라를 세우는 것으로서, 개혁주의 젊은이들은 세상에 삼킨 바 되고 파괴될 것입니다.

Working closely with the world of ungodly men and women, in a work that is in reality, as Abraham Kuyper himself acknowledged, the building of the kingdom of Antichrist, Reformed young men and young women are swallowed up by the world and destroyed.


이들은, 선한 법률에 관하여, 기원에 관하여, 합법적인 유흥에 관하여, 지상적 삶의 목표에 관하여, 세상의 사고방식을 받아들입니다.

They adopt the world’s thinking—about good laws, about origins, about legitimate entertainment, about the goal of earthly life.


만약에 교회가 완전히 개혁된다면, 이들은 교회를 떠납니다.

They forsake the church, if the church is at all Reformed.


이들은 교회를 너무 좁으며, 너무 구식이며, 지독히 편협 되었다고 여기게됩니다.

They come to regard the church as too narrow, too old-fashioned, even bigoted.


이들은 불신자들과 결혼합니다.

They marry unbelievers.


이들은 세상의 문화와 세상적 삶의 방식에 유혹 되어 길을 잃어버립니다.

They are seduced by and lost to the world’s culture, the world’s way of life.


이것은 세상의 기독교화라는 거대하고, 매력적인 프로젝트로 자신들의 젊은이들을 세상에 보낸 개혁교회의 젊은이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This is happening to the young people of the Reformed churches that send their youth into the world in the great, glamorous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그리고 이들의 사역자들과 대학의 교수들은 이들의 정신을 비난하면서 답변할 것입니다.

And their ministers and college professors are to blame—and will answer for their souls.


평범하지 않은 진노

Uncommon Wrath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개념과 프로젝트에 치명적인 것은,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세상은 하나님의 은혜의 대상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Fatal to the notion and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the truth that the world of the ungodly is not the object of the grace of God.


그 뿐 아니라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들의 세상은 자신들의 삶을 향상 시키고 이끌어나가는 힘으로서의 하나님의 은혜를 즐거워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Nor does the world of ungodly men and women enjoy a grace of God that is a power improving and directing their lives.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프로젝트의 토대가 되는 일반은혜 이론은 잘못된 교리입니다.

The theory of common grace, which is fundamental to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false doctrine.


은혜는 누군가에 대한 신성한 호의로서, 호의적인 태도를 말합니다.

Grace is divine favor towards someone—a favorable attitude.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의 바깥에 있는 불신자와 우상숭배자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갖지는 않습니다.

God does not have an attitude of favor towards unbelievers and idolaters, who are outside of Jesus Christ.


반대로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악한 행위를 하는 자들을 미워"하십니다.(시5:5)

On the contrary, God “hates all workers of iniquity”(Psalm 5: 5).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문화를 어떤 비구원적 은혜로 움직이지 시지는 않습니다.

God does not drive the culture of the ungodly by some non-saving grace.


그보다는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하지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부터 나타납니다."(롬1:18)
Rather, “the wrath of God is revealed from heaven against all ungodliness and unrighteousness of men, who hold the truth in unrighteousness”(Rom. 1: 18).


이러한 평범하지 않은 진노로, 그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형태로서의 외적인 기독교 사회를 만들도록 영향을 주는 것은 커녕,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상실한 마음대로 내어버려 두심으로서, 합당치 못한 일을 하게 하셨으며, 그들의 나라를 좀 더 완전하고 분명하게 악마의 나라로 드러내셨습니다.

In this uncommon wrath, so far from influencing them to create an outwardly Christian civilization, a form of the kingdom of God, God gives them over to a reprobate mind, to do those things which are not convenient (Rom. 1: 28), thus manifesting their kingdom more fully and clearly as the kingdom of the devil.


세상에 심판이 임박하였습니다.

Judgment is impending over the world!


세상과 하나가 되어 세상의 부도덕함을 기획하고, 실행하며, 발전시킨 모든 이들은 멸망의 날에 하나님의 심판으로 영원히 멸망할 것입니다.

And all those who are one with the world in implementing, exercising, and developing the world’s ungodliness will perish eternally in the divine judgment when it falls.


"큰 성 바벨론"을 건설하는데 바쁜 이들 모두는 멸망과 함께 붕괴될 것이며, 멸망 될 것입니다(계18:2).

All those who have been busy building “Babylon the great”must perish in its fall, and fall it will (Rev. 18: 2).


"거기서 나와라"

“Come Out of Her”


현재 건설하고 있는 세상의 큰 나라에 관한 하나님의 요구하심은 "그것을 기독교화하라! 기독교화하라!"는 것이 아니고, "내 백성아, 거기서 나와 그의 죄에 참여하지 말고 그가 받을 재앙들을 받지 말라"(계18:4)는 것입니다.

The call of God with regard to the great kingdom of the world now abuilding is not, “Christianize it! Christianize it!” but , “Come out of her, my people, that ye be not partakers of her sins, and that ye receive not of her plagues” (Rev. 18: 4).


개신개혁의 젊은이들에 하시는 하나님의 요구하심은 "세상을 기독교화 하라"는 유혹하는 말을 거부하라는 것입니다,

The call of God to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is the opposite of the siren-song, “Christianize the world.”


하나님의 부르심은, "세상과 분리되는 것입니다.하나님에 대한 세상의 반역과 타락으로 너희 자신들을 더럽히지 마세요!세상을 미워하세요! 세상을 대적하세요! 거룩하지 않은 세상 한 가운데에서 거룩하신 하나님의 대행자로서, 세상이 미워하는 것을 기꺼이 참는 것입니다!"

The call of God is, “Separate from the world!

Do not defile yourself with the world’s rebellion against God and filth! Hate the world! Oppose the world! Willingly endure the world’s hatred of you, as representatives of the holy God in the midst of the unholy world!”


이러한 (구원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우리들의 영적인 교회의 아버지와 어머니들이 1924년 기독교개혁교회 (CRC)로부터 축출된 결과를 가져온 일반은혜에 대항하여 맞섰기 때문입니다.

That you might hear this (saving) call, our spiritual and ecclesiastical fathers and mothers took the stand against common grace that resulted in their expulsion from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1924.


그러나 이것은 비개혁주의 관점이며 재세례파의 그리스도임의 삶을 실천하는, 세상에서의 도피에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까?

But does this not amount to the error of world-flight— the unreformed view and practice of the Christian life of the Anabaptists?


전혀 아닙니다!

Not at all!


고의가 아니라면, 이러한 비난은 사실무근입니다.

The charge is groundless, if not malicious.


그리고 이것은 이번 시리즈의 다음 논제가 될 것입니다.

And this will be the content of the next article in this series.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47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

CHRISTIANIZING THE WORLD?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데이비드 엥겔스마 교수)

By Professor David J. Engelsma


These writings originally appeared in Beacon Lights magazine. It was a six part series that ran from March 2013- August 2013.


이것이 교회의 소명입니까?

Is this the calling of the church?


이것이 개혁주의 젊은 남녀의 소명인가요?

Is this the calling of the Reformed young man or woman?


이것이 개혁주의 젊은 이들에 대한 기독교 교육, 특히 개혁주의 젊은 이들의 고등 교육의 목적이란 말입니까?

Is this the purpose of the Christian education of Reformed young people, especially of the higher education of Reformed young people?


만약에 우리가 기독교 개혁교회, 특히 그곳의 고등 학교와 칼빈, 트리니티, 도르트를 포함하는 대학교를 믿어야한다면, 그 대답은 당연히 “예”인 것입니다.

If we are to believe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especially its high schools and colleges, including Calvin, Trinity, and Dordt, the answer is an emphatic yes.


Protestant Reformed의 많은 젊은 이들이 Christian Reformed Church의 사람들과 만남을 갖고 일부 Protestant Reformed의 젊은 이들이 Christian Reformed의 학교에 다니고 있기에 이 세상의 기독교화가 Protestant Reformed 젊은 이들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Since many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are in contact with young people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and since some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attend the Christian Reformed colleges,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becomes an issue for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주 예수께서 우리에게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라는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라고 요구하십니까?

Does the Lord Jesus command us to engage in this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Protestant Reformed에서 이러한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에 대한 불순종을 나타내는 것입니까?

Does the Protestant Reformed refusal to take on this project constitute disobedience to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우리의 이러한 거절이  옛 재세례파의 기독교 생활을 악용하는 이 세상에 관여하지 않는 어리석고 사악함을 증명하는 것입니까?

Do we by this refusal manifest the folly and wickedness of world-flight—the perversion of the Christian life of the old Anabaptists?


Protestant Reformed의 젊은 이들은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데 요구되는 면들에 대한 모든 종류의 열심에 참여하는 것이 결핍됨으로 인해서 죄 의식을 느껴야합니까?

Are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to feel guilty because of their lack of involvement in all kinds of endeavors that claim to be aspects of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아니면 이 전체 기획이 사람의 환상적인 생각에 불과한 것입니까?

Or is the entire project nothing but a fanciful notion of men?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이 프로젝트가 중세의 십자군과 같이 어리석을 뿐만이 아니라 기만하는 것이며 엉뚱한  것입니다.

In this case, the project is not only foolish—a delusion and fantasy—like the crusades of the Middle Ages.


십자군은 예수를 위하여 예루살렘을 정복하는 사명에 있었습니다.

The crusaders were on a mission to conquer Jerusalem for Jesus.


우리 시대의 문화적인 칼빈주의자들은 예수를 위하여 이 세상을 정복하는 사명에 있습니다.

The cultural Calvinists of our day are on a mission to conquer the world for Jesus.


그러나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프로젝트는 "사람들의 계율인 교리를 가르치는" 매우 심각한 죄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입니다.

But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also an instance of the very serious sin of “teaching for doctrines the commandments of men”(Matt. 15: 1–9).


세상을 기독교화 하자는 제창자들은 사람들, 특히 개혁주의 젊은 이들의, 양심에 세상을 기독교화하여야하는 의무가 하나님의 명령인 것 같이 짐을 지워주고있지만, 이는 사실 단순한 인간의 어리석은 꿈에 불과한 것입니다.

For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urden the consciences of people, especially Reformed young people, with the duty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s though this were a commandment of God, when in fact it is merely a fond dream of humans.


Screenshot_2015-10-14-15-56-12.png

프로젝트의 근원

The Source of the Project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현대 십자군의 개혁주의 전통의 근원은 앞 세기의  두 사람의 화란 개혁주의 신학자로서,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입니다.

The source in the Reformed tradition of the modern crusade that tries to Christianize the world is two Dutch Reformed theologians of the previous century, Abraham Kuyper and Herman Bavinck.


이들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화란의 개혁 교회 동료입니다.

They were colleagues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이들은 자신들의 커다란 교단과 전 세계의 다른 많은 개혁 교회에 커다란 영향을 준 사람들입니다.

They were men of great influence, both in their own large denomination and in many other Reformed churches over all the world.


카이퍼와 바빙크는 개혁주의 신앙, 혹은 칼빈주의가, 성경에 대한 기독교 신앙의 순수한 형태로서, 모든 인간의 삶, 모든 창조물과 모든 역사를 통해서 하나님의 주권을 고백하고있다는 것을 보았읍니다.

Kuyper and Bavinck saw that the Reformed faith, or Calvinism, as the pure form of the Christian religion of the Bible, confesses God’s sovereignty over all of human life, indeed over all of creation and all of history.


그들은 칼빈주의가, 개혁주의 신자의 삶의 모두를, 예배와 기도 뿐만이 아니라, 가정 생활, 일과 사업, 교육, 과학, 예술, 그리고 정치에의 참여등 모두들 요구한다고 이해하였읍니다.

They understood also that Calvinism claims all of the life of the Reformed believer, not only worship and devotions, but also family life, work and business, education, science, the arts, and involvement in politics—all.


이러한 당연한 진리들로부터, 그들은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칼빈주의 그리스도인의 소명이라고 추론하게되었습니다.

From these axiomatic truths, they inferred that it is the calling of Calvinistic Christians to “Christianize the world.”


이러한 추론이 근본적인 원칙을 따르지 않은 것은 모두에게 명백한 것입니다.

It should be evident to all that the inference does not follow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s.


하나님께서 모든 피조물과 모든 역사를 주관하신다는 것이, 그분이 자신의 백성들에게 역사를 통하여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할 것이라든지, 교회가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을 요구하신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닙니다.

That God is sovereign over all creation and over all of history does not imply that he wills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by his people in history, and that he calls the church to engage in the project.


그분은 차라리, 그리고 진실로 자신의 교회가 어둡고, 하나님이 없이, 기독교화 되지 않은 세상 한 가운데서 이들과 대조가 되어 빛을 비추기를 의도하고 계십니다.

He may rather, and indeed does purpose that his church shine as light in the midst of and in contrast to a dark, ungodly, and un-christianized world.


아마, 실제로 하늘과 땅의 전체 피조물이 예수님의 재림에 의하여 다시 새롭게 재창조 되는 것이 그분의 목적일 것입니다.(역사 속에서 성도에 의한 것이 아니고, 롬8:19-22)

It may be, and indeed is his purpose that the entire creation of the heaven and the earth be renewed and recreated (not: “Christianized”) by Jesus Christ at his second coming (not: by the saints within history, see Rom. 8: 19–22).


하나님께서는 지옥에 대하여도 주권자이시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지옥을 기독교화 해야 할 교회의 소명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God is also sovereign over hell, but this does not imply the church’s calling to Christianize hell.


마찬가지로, 칼빈주의가 개혁주의 신자에게 전체의 삶을 요구한다는 사실은 개혁주의 신자가 세상을, 혹은 심지어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를 기독교화 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Likewise, the truth that Calvinism claims the entire life of the Reformed believer does not imply that Reformed believers must Christianize the world, or even their own society.


이것은, 모든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모든 삶을 예수 그리스도의 주 되심에 복종 시키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자신의 전체 삶을 살아가도록 은혜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고전 10:31)

What it does imply is that every Reformed Christian is called by grace to bring his or her own entire life under subjection to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and to live his or her entire life to the glory of God (1 Cor. 10: 31).


만약에 나 자신이 이러한 잔인한 의미를 칼빈주의의 근본적인 원칙으로부터 건전한 추론을 기술하도록 강요를 받는다면, 건전한 추론은, 나는 우리가 이 세상에서 우리의 삶 전체를 "기독교화"하라는 부르심을 받았는데, 이는 예배와 기도 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일이나 역할, 우리의 연구들, 과학에서의 우리의 작업, 우리의 예술적인 노력들, 정치와 시민 정부에 대한 우리의 참여등, 모두에서 우리가 부르심을 받은 것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If I were compelled to use the barbarous term to describe the sound inference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alvinism, I would say that the sound inference is that we are called to “Christianize”the whole of our life in the world, not only worship and devotions, but also our work and play, our studies, our work in science, our artistic efforts, our involvement in politics and civil government—all.


전체 세상이 아니라, 전체 세상 안에서의 우리 자신의 삶입니다.

Not the whole world, but our own life in the whole world.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화란 사람은 자신의 동포와 모든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에게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라"는 거대한 과업을 요구합니다.

Nevertheless, the two Dutchmen called their countrymen and all Reformed Christians to this grandiose task: “Christianize the world!”


이들은 많은 강연회와 저술들에서 이러한 요구를 쟁점화하고 있습니다.

They issued the call in many speeches and writings.


특히 아직까지 계속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1898년 미국의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행한 칼빈주의에 대한 카이퍼의 강연들입니다.

Especially influential were and still are Kuyper’s lectures on Calvinism at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United States in 1898.


이 강연은 곧바로 "칼빈주의 강연"이라는 책으로 출간 되었습니다.

The lectures were soon published as a book, Lectures on Calvinism.


수년 간에 걸쳐서, 이 책은 사회와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개혁주의 옹호자의 경전이 되었읍니다.

Over the years, the book has been the bible of the Reformed advocates of the Christianizing of society and the world.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칼빈 신학교에서 하나 이상의 신앙과 신학 과정에서 교과서로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My own copy (Eerdmans, 1953) was the textbook in more than one religion and theology course at Calvin College.


비록 비그리스도인의 활동인 카드 놀이, 극장, 춤에 대한 카이퍼의 금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지라도 이것은 다른 과정들에도 호소력이 있었습니다.("이 세상의 사악한 영향," 73)

It was appealed to in other courses, although not in support of Kuyper’s banning of card-playing, theater, and dance as unchristian activities (“unhallowed influence of this world,”73).


"기독교화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What is Meant by “Christianizing”


카이퍼와 바빙크가 의미하는 이상하고, 비성경적이고, 비교리적인 의미인 "기독교화"는 이 세상이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What Kuyper and Bavinck meant by the odd, non-biblical, non-creedal term “Christianizing,”was not that the world becomes Christian.


세상이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모든 국가에서의 모든 삶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서, 국민의 마음으로부터 하나님을 사랑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법에 복종하여야 할 것을 의미합니다.

That the world becomes Christian would mean that all the life of all the nations would be obedience to the law of God, in love for God from the hearts of the citizens, because they believed in Jesus Christ.


이것은 모든 국가들의 국민들의 대다수가 예수 그리스도께로 돌아와서 구원을 받은 경우에만 해당될 수 있읍니다.

And this could only be the case because a majority of the citizens of all nations had been converted to Jesus Christ and saved.


카이퍼와 바빙크와 그의 동시대의 제자들은 "기독교화"라는 이것을 절대로 마음에 두지는 않았습니다.

“Christianizing”in the program of Kuyper, Bavinck, and their contemporary disciples does not have this in mind whatsoever.


그러나 이것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외적인 행동에 영향을 주도록 하는 기독교의 특정한 영향에 관한 것입니다.

But it refers to a certain influence of Christianity upon people, affecting their outward conduct.


이 세상의 거의 대다수의 사람들은 하나님 없는 불신자들로 남아있을 것입니다.

The vast majority of the people of the world remain ungodly and unbelieving.


그들은 예수가 메시아라는 것을 거부합니다.

They reject Jesus as the Messiah.


그들은 알라든지, 혹은 부처, 혹은 영화 스타들, 혹은 운동 선수들, 혹은 자신들의 돈이든지, 자신들의 우상을 섬깁니다.

They worship their idols, whether Allah, or Buddha, or some movie star, or some athlete, or their money.


그러나 기독교는 그들의 행동, 그리고 심지어는 그들의 사고를 더 나은 것으로 변화 시킵니다.

But Christianity changes their conduct, and perhaps even their thinking, for the better.


카이퍼 자신은 "기독교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말합니다: "그리스도인"["국가를 기독교화"한다는 구절에서]은 이러한 나라에서 거주민의 영적인 상태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아니고, 오직 공적인 의견, 일반적인 마음 가짐, 통치 개념, 도덕 규범, 기독교 신앙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히 드러나는 법률이나 관습들의 사실들에 대한 증거가 될 뿐입니다. (카이퍼의 일반은혜 199)

Kuyper himself described “Christianizing” this way: “Christian”[in the phrase, “Christianizing the nation”] says nothing about the spiritual state of the inhabitants of such a country but only witnesses to the fact that public opinion, the general mind-set, the ruling ideas, the moral norms, the laws and customs there clearly betoken the influence of the Christian faith (“Common Grace,”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98, 199).


바빙크는 "삶의 기독교화"를 기록한 후에 이러한 행동이 "전체 우주와 국가와 지역의 조직적이고 유기적인 개혁"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Bavinck wrote of “Christianizing life,”and then described this activity as “a methodic, organic reformation of the whole cosmos, of nation and country”(“The Catholicity of Christianity and the Church,”Calvin Theological Journal 27 [1992]: 243, 246).


그는 이러한 연결에서 "전체 세계의 정복"을 말합니다.

He spoke in this connection of “the conquest of the entire world”(“Calvin and Common Grace,”a booklet without publisher, place, or date, in my library, 127).


기독교화 된 세상은 여전히 우상과 불신앙과 불의의 어둠에 놓여있지만 이는 외적으로는 좀 더 고상하고 도덕적이며 질서가 있게 된 것이다.

A Christianized world is a world that still lies in the darkness of idolatry, unbelief, and unrighteousness, but that has become outwardly more decent, moral, and orderly.


기독교의 표면적인 것이 세상에 적용이 된 것이며; 이 세상이 "기독교화"되었다는 것입니다.

A veneer of Christianity has been applied to the world; the world has been “Christianized.”


프로젝트의 힘: 일반은혜

The Power of the Project: Common Grace


카이퍼, 바빙크, 그리고 그의 동시대 제자들이, 개혁 교회의 영역에서와 더 넓은 복음주의 기독교의 영역에서,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이 프로젝트의 기반으로 삼는 것은, 하나님께서 신자는 물론 불신자와, 그리스도인은 물론 이방의 모든 인류 가운데 일하시는 일반은혜인 것입니다.

Basic to this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for Kuyper, Bavinck, and their contemporary disciples, both in the sphere of the Reformed churches and in the broader sphere of evangelical Christianity, is a common grace of God working in all humans, godless as well as godly, pagans as well as Christians.


이것은 비록 죄인을 구원하지 않는 저항할 수 없는 은혜는 아닐지라도, 힘 있는 것입니다.

This is a mighty, though not irresistible grace of God that does not save sinners.



카이퍼가 자신의 강연에서 우리에게 충고하는, 일반은혜가 하는 것은:

What common grace does, Kuyper advises us in his Lectures:


하나님께서는 일반은혜로 세상의 생명을 유지 시키시며, 그 위에 놓여있는 저주를 늦추시며, 파멸의 과정을 붙잡으시며, 이렇게 하심으로서 우리의 삶의 자유로운 발전을 허락하심으로서 창조주로서의 자신에게 영광을 돌리게 하신다.(칼빈주의 강연, 30). 이러한 일반은혜로 "세상의 발전이 절정에 이르도록"하며, 궁극적으로 세상이 기독교화 되는 것이 하나님의 목적이다.(카이퍼, 일반은혜, 176)

There is… also a common grace by which God , maintaining the life of the world, relaxes the curse which rests upon it, arrests its process of corruption, and thus allows the untrammeled development of our life in which to glorify Himself as Creator (Lectures on Calvinism, 30). It is the purpose of God with this common grace to “consummate the world’s development,” ultimately in the world’s being Christianized (Kuyper, “Common Grace,” in Bratt, Abraham Kuyper, 176).


카이퍼는 자신의 프로젝트를 위하여 이와 같은 은혜가 매우 많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Kuyper very much needed such a grace for his project.


비교적 소수의 그리스도인 만이 이와 달리 세상보다도 훨씬 적게 자신들의 이웃에 영향을 주리라고 기대 될 수가 없었습니다.

The comparatively few Christians can otherwise not be expected to influence their neighborhoods, much less the world.


그러나 이제 불신자 자신들은, 자신들의 완전한 부패에서 벗어나서 하나님의 저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워지면서, 자신들이 진실로 선한 문화와 사회- 최소한 외적으로는 그리스도께 순응하는 삶의 방법으로-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But now the ungodly themselves, delivered from their total depravity and freed somewhat from God’s curse, can exert themselves to realize a truly good culture and society— a way of life that at least outwardly conforms to Christ.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이 공유하는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 덕분에, 그리스도인은 자신들의 사회와, 자신들의 국가와,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중요한 작업에, 불신자인 이웃과 믿지 않는 지역 사람들과 협력하고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By virtue of this grace of God, which is shared by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Christians may and can cooperate with their ungodly neighbors and unbelieving countrymen in the important work of Christianizing their society, their nation, and finally, the world.


이러한 작업에 있어서, 그리스도인은 자신들만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특별한 은혜의 영향을 추가하였습니다.

In this work, Christians add the influence of the particular grace that is their peculiar possession.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데 이것(일반은혜)이 없이는 이러한 생각은 깨어났을 때 사라지는 꿈과 같이 희미하게 사라질 것이며, 전체 프로젝트는 구멍 난 기구와 같이 붕괴되는 것과 같이 일반은혜는 그만큼 중요한 것입니다.

So important is common grace to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at without it the notion fades away like a hazy dream upon one’s awakening, and the entire project collapses like a pierced balloon.


이것이, 기독교개혁교회(CRC)가 1924년에 헤르만 훅세마에 반대하며 일반은혜 교리를 변론하면서, 죄인을 가두지 못한 이유의 일부입니다.

This is in part the reason that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1924 took no prisoners in its defense of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against Herman Hoeksema.


기독교개혁교회(CRC)는 마음과 영혼으로,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카이퍼의 십자군에 동참하였읍니다.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was committed, heart and soul, to Kuyper’s crusade of Christianizing the world.


이 교단의 정신은, 그 이후에 점진적으로,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보다는, 문화적인 칼빈주의가 되었습니다.

The spirit of that denomination was then, and has increasingly become cultural Calvinism, rather than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m.


성경을 공부하는 많은 학생들이 그렇지는 못했지만, 이러한 이론이 성경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는 이론이라는 것을 인식하였습니다.

Every student of Scripture cannot but notice how this theory turns the Bible on its head.


그리스도인이 선을 위하여 세상에 영향을 주어야 하는 것은 성경에서의 주요한 충고가 아닙니다.

It is not a prominent admonition in the Bible that Christians must influence the world for good.


그러나 참된 교회와 하나님의 거룩한 자녀는, 세상이 자신들에게 줄 영향에 대하여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자신들을 보호해야 하는 것이 성경의 거의 모든 곳에서 의 경고입니다.

But it is a warning on almost every page of Holy Scripture that the true Church and the holy child of God must be vigilant in guarding against the world’s influencing them (James 1: 27; James 4: 4; Rom. 12: 2; Gal. 1: 4).


예수 그리스도가 계시지 않는 하나님의 나라

The Kingdom of God without Jesus Christ


회의론자가 세상을 기독교화 하자는 이러한 황당한 캠페인에 대한 성경적 증거를 요구할 때, 문화 기독교에 열광하는 이들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말하는 성경의 본문에 호소합니다.

When the skeptic requests biblical proof for this quixotic campaign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enthusiasts for cultural Christianity appeal to the biblical texts that speak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그러므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과 하나님의 나라는 동일시됩니다.

Thus, a Christianized world is identified with the kingdom of God.


기독교화에 헌신하는 이들이 즐겨 사용하는 함의는, 이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이들, 주로 개신개혁교회(PRC)들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이 없으며, 진실로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찾는 것도 추구하는 것도 실패했다는 것입니다.

The implication, which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are happy to draw, is that those—chiefly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who reject the project are without a kingdom-vision, indeed fail to seek and promote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중상모략입니다!

A slander!


다음 회에서 나는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생각과 프로젝트를 비평하려고 합니다.

I intend to subject the notion and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o criticism in my next installment.


그러나 독자들로 하여금 일반은혜의 나라가 어떠한 모양이나 형태든지 간에 성경에서 계시 된 하나님의 나라는 아니라는 것을 주의 깊게 관찰하도록 해야 합니다.

But let the readers observe carefully that the kingdom of common grace is not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e Bible in any shape or form.


이것은, 최선을 다한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기독교 신앙의 어떤 면에 외적으로 순응 된 나라로서, 거듭난 마음에서 우러난 하나님에 대한 어떠한 사랑과 열심이 없는 것입니다.

It is a kingdom, at best, of merely external conformity to some aspects of the Christian religion, without any love of and zeal for God in regenerated hearts.


이는 국민들의 나라로서, 그들 대부분이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미워하며- 그 결과 참된 교회와 진실 된 신자들은- 우상을 숭배하고 불신앙 가운데 완고하게 살아가게 됩니다.

It is a kingdom of citizens most of whom hate God and his Christ—and therefore the true church and genuine believers—worshipping idols and living impenitently in unbelief.


이러한 나라에서 가장 저주스러운 것은, 십자가에 달리시고 일어나신 주 예수께서 그 가운데 왕으로 통치 하시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What is most damning about this kingdom is that the crucified and risen Lord Jesus does not reign in it as king.


적그리스도를 양산하는 일반은혜

Common Grace Produces Antichrist


나는 일반은혜의 나라, 즉 카이퍼, 바빙크, 그리고 현대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개념이 형성된, 기독교화된 세상에서의 국민의 한 사람이 아닙니다.

I for one am not a citizen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that is, of a Christianized world as conceived by Kuyper, Bavinck, and the modern cultural Calvinists.


나는 나의 영혼 구원의 위험으로 인하여, 이러한 나라를 세우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물론, 시민권도 포기합니다.

I renounce citizenship in this kingdom, as well a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of building it, on peril of my soul’s salvation.


일반은혜의 나라의 이상함에 더할 것은, 카이퍼 자신에 따르면, 그것의 마지막 형태와 발전 안에서, 일반은혜에 의하여 기독교화 된 세상 나라의 건축은 적그리스도의 나라가 된다는 것을 증명 할 것입니다.

For adding to the peculiarity of the common grace kingdom is that in its final form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Kuyper himself, the architect of the kingdom of a world Christianized by common grace will prove to be the kingdom of Antichrist.


일반은혜라는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은 오직 죄인이 무대에 출연함으로서 연출 될 수 있으며...일반은혜는...죄에 대하여 역사상 가장 강력한 증거가 되며...바빌론은...부와 광채를 가장 웅장하게 드러내는, 가장 정교한 형태를 보여 줄 것이며,삶을 눈부시고 영광스럽게 만드는 모든 것의 가득한 찬란함일 것입니다.이것으로부터 우리는 "일반은혜"가 끝까지 기능을 계속하리라는 것을 알게 된다. 오직 일반은혜가 인간의 삶 가운데서 유래하는 모든 힘의 완전한 출연을 자극했을  때 "죄 가운데 있는 인간"은 이러한 힘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평평한 지형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일반은혜" 아브라함 카이퍼,180,181)

The closing scene in the drama of common grace can be enacted only through the appearance on stage of the man of sin…Common grace…leads to the most powerful manifestation of sin in history…Babylon…will display the most refined forms, the most magnificent unfolding of wealth and splendor, the fullest brilliance of all that makes life dazzling and glorious. From this we know that “common grace”will continue to function to the end. Only when common grace has spurred the full emergence of all the powers inherent in human life will “the man of sin”find the level terrain needed to expand this power (“Common Grace,”in Bratt,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180, 181).


사람들은 이러한 것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열정을 수그러뜨리리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One would think that this would dampen the enthusiasm of the cultural Calvinists for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그들은 실제에 있어서는, 의심스러운 프로젝트인, 세상의 적그리스도화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in reality, working at the Anti- christianizing of the world—a dubious project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43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

CHRISTIANIZING THE WORLD?

 

번역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데이비드 엥겔스마 교수)

By Professor David J. Engelsma

 

These writings originally appeared in Beacon Lights magazine. It was a six part series that ran from March 2013- August 2013.


 

역자 서론

 

데이비드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는 그가 2013. 3-2013. 8까지 개신개혁교회(PRC) 젊은이들의 잡지인 Beacon Lights magazine에 6회에 걸쳐서 연재한 것이다.

 

연재 내용은 주로 카이퍼의 일반은혜를 근거로 하는 기독개혁교회(CRC)의 세상과 문화를 변화시키고자하는 운동에 이의를 제기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 PRC의 분리와 탄생

 

북미의 개신개혁교회(Protestant Reformed church:PRC)가 1924년 기독개혁교회(Christian Reformed Church:CRC)로부터 분리되었던 주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수용 여부였다.

 

PRC는 1924년 카이퍼의 일반은혜 이론이 북미기독개혁교회(The Christian Reformed Churches in North America)에서 논쟁의 중심이 되었을 때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에 반대하는 헤르만 훅세마(Herman Hoeksema)를 중심으로 분리된 교단이다.

 

데이비드 엥겔스마(David. J. Engelsma)는 개신개혁교회(Protestant Reformed church)에 소속된 목회자로서 이번 글을 통하여 화란개혁주의에 속하여 있는 기독개혁교회(Christian Reformed Church)가 추구하는 "세상을 기독교화하자"라는 주제가 과연 성경적 근거가 있는지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엥겔스마는 이번의 강좌를 통하여 드러난 문제들의 근원이 1924년 CRC가 카이퍼의 일반은혜 교리를

수용하여 확대 발전시킨 것에 있음을 지적하면서 PRC가 CRC에 대하여 얼마나 뿌리 깊은 불신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고있다.

 

● 시대적 요구

 

아브라함 카이퍼 번역협회(Abraham Kuyper Translation Society)에서는 Lexham Press를 통하여 조만간 8가지 핵심 주제로 정리된 아브라함 카이퍼의 저서를 총 12권의 양장본으로 발행한다. 이 가운데는 이전에 영어로 접할 수 없었던 것들이 포함되어있다.

 

엥겔스마는  카이퍼 저서들의 번역 작업에 카톨릭 재단이 관여 되어있음에 대하여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

(엥겔스마의 강연 "Kuyper's commom grace, christianizing culture"중에서)

 

기독교가 사회의 변방으로 소외되고 급격한 교인 수의 감소로 인하여 기독교가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기독교의 사회 참여에 부응하기 위한 대안으로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새로운 조명을 받고 있다.

 

이미 카이퍼의 일반은혜는 CRC와 칼빈신학교를 중심으로한 화란개혁주의의 문화변혁 운동에 많은 원동력을 제공해 주고있지만 1924년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으로 인하여 분리를 맛보았던 PRC의 저항에 다시 한번 더 직면하게 되었다.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는 PRC의 저항이 어느 정도 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카이퍼의 일반은혜

 

엥겔스마는 이번 글의 주제를 카이퍼의 일반은혜와 연계시키고 있다.

 

비록 제목은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이지만 CRC와 칼빈신학교를 중심으로 한 이러한 운동의 근거를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두고 있다.

 

신학 이론을 비평하는 일반적인 신학자들의 접근 방식과 달리 엥겔스마는 강연 내용을 정리한 관계로 인하여 단순하게 성경적 근거와 경험적 근거를 통하여 일반은혜의 문제점을 지적해 나간다.

 

엥겔스마는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칼빈주의와는 관계없는 개념이라고말한다.

 

급기야는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이 세상 짐승의 나라를 세우는 운동의 근거를 제공 한다고 하면서까지 상당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세상을 기독교화하자는 프로젝트인 카이퍼의 일반은혜 프로젝트가 붕괴될 때 하늘의 성도들이 기뻐할 것이라고 말한다.

 

● 문화칼빈주의:

 

아브라함 카이퍼의 신칼빈주의가 전통적 칼빈주의와 구별되는 가장 큰 점은 문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신칼빈주의자들은 소위 말하는 문화명령(창 1:28, 혹은 창조명령, 지배명령, 통치명령으로 불리우기도한다)을 대위임령만큼, 혹은 대위임령보다도 중요한 명령으로 여기고있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주된 사명감과 관심은, 전도와 선교의 근거로 삼는 대위임령(마28:16-20)보다는 소위 말하는 문화명령(창 1:28)의 실행에 있다.

 

문화명령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과정에서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준다면, 기독교세계관운동은 문화변혁운동의 근거와 방법론을 제시해준다.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는 문화칼빈주의라고 할 수 있는 카이퍼의 신칼빈주의의 이론적 근거보다는 실천적 배경에 중점을 둔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 기독교세계관 운동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에서는 기독교세계관 운동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실제 내용에 있어서는 신칼빈주의 기독교세계관 운동에 대한 비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을 잘 보여주는 알버트 월터스(Albert Wolters)의 저서 “창조 타락 구속(Creation Regained)”에서는 문화변혁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와 이론을 제시해주고있다.

 

알버트 월터스(Albert Wolters)는 자신의 저서 “창조 타락 구속(Creation Regained)”에서 미셔널 처치 운동을 하는 마이클 고힌과 함께 2005년 개정판을 내면서 이들이 공통적으로 톰 라이트의 새관점 사상을 수용하고있음을 밝히고있다.

 

현 시대에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이 흘러가는 방향은 전통적 칼빈주의의 궤도를 벗어나 톰 라이트의 새관점 신학에 합류하는 경향을 보이고있다.

 

그 중의 한 예로서 리처드 미들턴(Richard Middleton)의 “새 하늘과 새 땅"이 화란개혁주의 기독교세계관의 이름으로 톰 라이트의 새관점 틀에서 저술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그동안 개혁신학의 뼈대를 이루고 있었던 언약 신학의 틀에서 행위 언약의 개념이 상실되어가고있는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개혁주의 언약 신학은 처음 아담과 마지막 아담을 행위 언약의 구조 안에서 대비시키면서 율법과 복음, 율법과 은혜라는 대비 구조로 전개되고있다.

 

문화 명령으로 해석되는 창 1:28은, 종말론적 축복과 영원한 생명이라는 안식에 이르기까지, 아담에게 주어졌던 능동적 순종의 요구이었다.

 

마지막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즉 그리스도의 율법의 요구에 대한 완전한 순종은, 아담에게 요구되었던 능동적 순종(창 1:28)에 대한 충족이었으며, 이는 그리스도의 고난의 수동적 순종과 함께 신자에게 전가된 것이다.

 

율법은 아담에게 요구되었던 창 1:28의 능동적 순종의 요구가 재연(Republication)된 것이기에 행위 언얏의 범주에 속하여있으며, 동시에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교사로서의 은혜의 속성을 가지고있다.

 

문화변혁주의자들의 범주에 속하여있는 신칼빈주의자들과 새관점주의자들은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 언약 속성을 철저히 배격하고있다.

 

행위 언약 개념은 언약 신학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구조물이지만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의 신학도 신칼빈주의나 새관점과 마찬가지로 행위 언약의 개념을 배제하고있다.

 

선교적 교회, 즉 미셔널 처치는 행위 언약 개념을 배제하고 오직 은혜 언약만을 주장하는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서 출발되었다.

 

행위 언약 개념이 배제된 신학, 즉 신칼빈주의, 신정통주의, 톰 라이트의 새관점들은 문화라는 이름 아래 하나로 융합될 수밖에 없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칼빈 신학교의 마이클 고힌은 칼 바르트의 하나님 선교 개념의 미셔널 처치 운동과,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 그리고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자연스럽게 융합하면서 자신의 신학을 문화변혁 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보편화시키고있다.

 

엥겔스마의 이번 비평은 마이클 고힌의 기독교세계관 운동에 적용해 볼 때 비교적 정확하게 윤곽을 그려볼 수 있다.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엥겔스마의 염려에 덧붙인다면, 이제는 카이퍼의 신칼빈주의가 문화와 접목된 칼빈주의의  변질을 넘어서, 종교개혁 신앙고백을 부정하는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과의 접목되고있다는 염려와 더불어, 이러한 접목의 틀을 제공한 카이퍼의 이론적 근거의 문제점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 이원론적 사고:

 

엥겔스마의 전개 논리는 표면적으로는 톰 라이트나 신칼빈주의에서 한결같이 비난하는 이원론적 사고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의 논리에는 사단과의 영적 전쟁이라는 개념이 깔려있다.

 

요한계시록에서 말하고 있는 음녀 바벨론의 세계를 건설하는데 있어서 그리스도인의 영적 분별력을 촉구하고 있다.

 

신칼빈주의 기독교세계관에서 결핍되어있는 사단의 세력과의 영적 전투 개념이 아직 그에게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고있으며, 이를 단순히 이원론적 사고로 치부하는 것은 오히려 신칼빈주의의 영적 분별력의 결핍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 두왕국

 

엥겔스마의 비판은 단지 화란 개혁주의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신칼빈주의가 톰 라이트의 새관점과 이머징 미셔널 처치와 손을 잡고 움직이는 One Kingdom개념에 반대하는 Escondido중심의 신학자들이 제시하고있는 "자연법과 두 나라(Natural Law and Two Kingdom)"개념 조차도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을 수용하고있다는 면에서 엥겔스마는 "두 나라(Two Kingdom)" 개념에 대한 비판도 서슴치 않는다.(엥겔스마의 일반은혜 강연회에서)

(개인적으로는 엥겔스마보다는 오히려 자연법과 두 왕국 개념을 주장하는 David VanDrunen과 John Fesko가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화란개혁주의가 일반화된 현재의 상황과 또한 신칼빈주의에 대한 비평에 앞장서고 있는 웨스트민스터신학교(WSCal)중심의 Escondido신학마져도, 카이퍼의 일반은혜를 수용하고있다고 비평하는 엥겔스마의 뿌리 깊은 일반은혜 개념에 대한 부정적 관점은 분명 많은 신학자들을 당혹케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 전적 부패교리의 상실

 

칼빈주의의 5대 강령 가운데 첫 번째는 인간의 전적 부패(Total Depravity), 즉 전적인 무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전적인 부패는 아담의 죄가 전가된 것에 근거를 두고있지만 아담의 역사성을 부인하는 이들이 인간의 전적인 부패를 수용하기는 쉽지가 않다.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에서는 인간의 전적 부패, 즉 전적인 무능력에 대한 언급을 찾아보기 힘들며 엥겔스마는 카이퍼의 일반은혜를 비판하는 강연에서 카이퍼가 인간의 전적 부패를 부정하고있음을 지적한다.

 

J. Glenn Friesen은 카이퍼와 도예베르트의 사상의 뿌리가 카톨릭 철학자 Franz von Baader(1765-1841)의 기독교 신지학(Christian Theosophy)에 있음을 밝힘으로서 카이퍼의 문화에 관한 사상과 개념들이 과연 개혁주의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의문을 제시한다

 

J. Glenn Friesen이 밝힌대로(여기참조) 카이퍼의 사상의 뿌리가 카톨릭 철학자 Franz von Baader의 신지학(Theosophy)에 있다면 이는 인간의 철학에 의하여 시작된 논리로서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무능의 개념을 찾아보기는 힘들 것이다.

 

인간이 선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은 어디까지나 자연법의 차원 안에 한정되어있으며 구속을 위한 특별법에까지 연결되지 않지만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은 구속과 관계된 하나님의 특별법의 영역으로까지 연계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에서의 비판은 카이퍼의 일반은혜를 근거로 하는 인간의 성취 능력과 방향이 구속의 영역에까지 연결되는 것에 대한 비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극단적 칼빈주의(hypercalvinism)

 

PRC 소속인 엥겔스마의 CRC에 대한 비판과 공격으로 인하여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엥겔스마를 극단적 칼빈주의자(hypercalvinist)라고 비난한다.

 

엥겔스마가 속하여 있는 PRC는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거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일반은혜 개념을 수용한 CRC와 대립관계를 유지하게되면서 엥겔스마 이전 부터 CRC 입장에서는 PRC의 사람들을 극단적 칼빈주의자(hypercalvinist)라고 비난하여왔었다.

 

원래의 극단적 칼빈주의는 알미니우스의 오류에 대한 반동으로 나온 것이지만 John Murray는 극단적 칼빈주의를 가리켜 알미니우스적인 태도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태도를 악(evil)으로 규정하고 있다.(최홍석, 존 머리를 통해 본 기독교 복음선포 53)

 

CRC입장에서 볼 때 엥겔스마는 세상과 문화에 대하여 배타적 입장을 취하고 있기에 극단적칼빈주의자로 보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엥겔스마의 입장에서 본다면 엥겔스마를 극단적 칼빈주의자(hypercalvinist)라고 칭하는 것은 옳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첫 번째로, 엥겔스마는 카이퍼의 일반은총 개념이 칼빈의 5대 강령 중의 첫번째인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무능력함을 부인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John Murray는 극단적 칼빈주의를 알미니우스와 마찬가지로 잘못되었다고 말하지만 존 머레이의 신학에는 항상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무능력,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가 밑바탕에 깔려있다.

 

John Murray 입장에서 본다면 일차적으로 인간의 전적부패를 부정하는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문제가 있다고 말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두 번째로 엥겔스마의 비판은 구원론에 대한 것이 아니다.

 

극단적 칼빈주의(hypercalvinism)논쟁은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이라는 구원에 관한 것이다.

 

엥겔스마가 문화칼빈주의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구원론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신론과 인간론에 대한 것이다.

 

문화라는 주제는 "하나님의 의"라는 신론을 바탕으로한  문화 명령을 위한 인간의 책임으로, 이미 구원론이라는 주제를 떠난 상태에서 논하고 있는 것이다.

 

엥겔스마는 일반은혜 반론은, 이를 다시 구원론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관점의 변화를 촉구하는 것이다.

 

엥겔스마의 주장은, 극단적칼빈주의의 입장을 보여주기보다는, 일반은혜를 근거로하여 이 세상을 기독교화함으로서 이 세상과 자신을 구원하는 능력이 인간 안에 내재하여있다는 암묵적인 자기의를 비판하고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존 머레이도 인간이 드러내는 가장 큰 악을 "자기의 (self-righteousness)라고 말하고있다.

 

엥겔스마의 문화에 대한 예민함은, 인간의 책임을 외면하는 극단적 칼빈주의와 같은 복음 전도의 회피보다는, 문화변혁 운동을 통하여 구원을 선행하는 자기의에 대한 경계가 앞선 것이다.

 

또한 회중적 교회 중심의 하나님 나라 개념을 가지고 있는 엥겔스마 입장에서는, 극단적 칼빈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복음 전도의 폐쇄성이 아니라,  우주적 교회론의 하나님 나라 개념을 가지고 있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대한 교회론의 붕괴에 대한 우려가 밑바탕에 깔려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엥겔스마의 논리는, 극단적이기보다는 카이퍼가 인정하지 않는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전적인 무능력에 대한 칼빈주의의 기본 교리에 충실한 것이며,  동시에 삶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서 하나님의 주권 못지않게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 에큐메니컬 운동

 

엥겔스마는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이 에큐메니컬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주는 것에 대하여 우려를 표명한다.

 

그는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강연에서 카이퍼의 일반은혜의 번역사업에 카톨릭 제단이 관여된 것에 대하여 우려를 표명한다.

 

카이퍼의 일반은혜 이론은 타교단과의 장벽은 물론 교회의 일반 사회에 대한 장벽을 넘어서는 것이며, 더 나아가 모든 우주 만물이 하나님의 영역임을 선포하며, 만물의 구속을 말하는 우주적 교회론의 근거를 제공해주고있다.

 

기독교 2000년 동안에 교회의 분열은 구원론에 관한 것이었고,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 인간의 책임에 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한 것이었다면, 하나님의 은혜와 영광이라는 신론 중심의 신학은 이제까지의 교단의 분열을 아우르기에 충분한 새로운 도전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많은 함정이 도사리고있다.

 

톰 라이트에 의하면, 어거스틴 이후의 기독교의 분열은 개인적 회심에 의한 구원론 중심에서 출발한 신학이, 개인적 회심에서 출발된 루터의 구원론적 신학에 의하여 종교개혁이 이루어졌으며, 종교개혁 이후의 끊임없는 교회의 분열의 배경에는 구원론 중심의 신학이 자리를 잡고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신론 중심의 새관점의 정당화되고있는 가운데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는 구원의 최종 종착지로서의 우주적 교회론을 향하고있다.

 

에큐메니칼을 추구하는 WCC의 교회론인 미셔널 처치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는 문화를 통한 사회변혁이라는 카이퍼의 문화에 대한 관점과 맥락을 같이하고있다.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과 알버트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으로 대변되는 신칼빈주의 기독교세계관, 그리고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를 기초로 한 이머징 미셔널 처치의 대연합(great convergency)은 에큐메니컬의 성취는 물론 기독교의 사회 문화와의 접목을 추진하여 "세상을 기독교화(christianizing world)"하는데  하나가 되고있다.

 

엥겔스마는 비록 신칼빈주의의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언급이 없고 이머징미셔널 처치의 사화변혁 운동에 대하여 언급을 하지 않고있지만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christianizing world)"한다는 것에 대한 비평은 이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의 초창기 선교사들은?

 

100여년 전의 한국에 파송되었던 선교사들의 의식구조 가운데는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이 없었다.

그들의 선교활동은 이미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 이전에 시작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들 선교사들은 하나같이 문화 활동에 참여하였고 그로 인하여 이조500년의 뿌리 깊었던 유교적 문화를 기독교적 문화는데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신칼빈주의의 문화명령의 개념과 문화변혁, 문화물의 천국보존 개념들이 아니라 오직 마28:19-20의 대위임령에 의한 것이었다.

 

100여년 전의 평양 대부흥도 문화 활동과는 거리가 멀었었다.

 

사람의 인위적인 변혁운동이 아닌 오직 성령 사역의 열매로 인한 회개 운동이었다.

 

지금 한국 교회의 부흥을 위해 필요한 것은 소위 말하는 문화명령의 실행이 아니라 올바른  교리를 기초로 한 참된 복음의 회복과 이로 인한 성령의 역사와 열매로서의 회개가 시작될 때만 가능한 것이다.

posted by Wonho Kim
:
문화 2015. 11. 8. 09:29

그레샴 메이첸의 "기독교와 문화"


translated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역자의 들어가는 말

그레샴 메이첸(J. Gresham Machen)은 한국 장로교회의 토대가 되었던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TS)를 설립하였던 우리에게는 잘 알려진 인물이다.

메이첸은 100여년의 보수적인 신앙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었던 프린스턴신학교(Princeton Seminary)가 진화론등 현대 문화의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로의 변화를 선언하였던 이사회의 결정에 불복하면서 웨스트민스터신학교(Westminster Seminary in Philadephia1929)를 설립하였다.

1936에는 교단의 자유주의를 반대하면서 미국정통장로교회(Orthodox Presbyterian Church:OPC)를 출범시켰지만 이러한 출범과 더불어 그가 감당하였던 커다란 짐은 그의 건강을 악화 시키면서 바로 이듬해에 55세 라는 나이에 이 땅에서의 생애를 마감했어야만 했다.

그레샴 메이첸은 평생을 독신으로 보냈으며, 그의 어머니와 주고받은 많은 편지를 통해서 당시의 상황들을 잘 전해주고 있다.

메이첸의 생애의 가장 큰 특징이었다면 문화와 자유주의에 대한 투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보수적인 신앙을 지키기 위하여 신학교에서 쫓겨나야만 했으며 또한 교단으로부터 제명 되는 상황을 맞이해야만 했다.

하지만 그의 역경은 오히려 웨스트민스터신학교(WTS)의 설립과 미국 정통장로교회(OPC)의 출범의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그가 직면하였던 가장 커다란 장애물은 바로 문화라는 주제였다.

진화론과 현대 문명의 도전 앞에 많은 교회와 신학교들이 자유주의를 수용하였지만 그는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1937, aged55)까지도 자유주의와의 외로운 싸움을 감당했어야만 했다.

이러한 그의 고난의 생애는 오히려 순교자의 생애였다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이번에 번역한 그의 "기독교와 문화"(1913)는 그가 어떠한 입장으로 문화에 대한 자세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번 번역은, 이어서 번역할 데이비드 엥겔스마의 "Christianizing the world?"의 번역에 앞서서 데이비드 엥겔스마(PRC)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되어 번역을 한 것이다.

현재 한국 기독교의 상황은 100년 전 메이첸이 직면하였던 자유주의의 도전 못지않게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독교의 몰락을 문화와의 접목을 통하여 재건하려는 시도는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바꾸는 위험을 수반 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여야만 할 것이다.

100년전과 달리 문화 칼빈주의라고 할 수 있는 카이퍼의 신칼빈주의가 보편화되고있는 상황에서 문화에 대한 분명한 자세는 기독교의 존립에도 관계되는 일이기에 때문이다.

최근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영문으로 번역 (2013)되는 과정 가운데 카톨릭이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데이비드 엥겔스마는 "Christianizing the world?"에 대한 강연을 통하여 심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신칼빈주의와 톰 라이트의 새관점이 "이 땅에서의 현재적 하나님 나라"라는 주제로, 문화물의 천국보존을 위한 이 땅에서의 문화변혁을 시도하고 있는 입장에서 그레샴 메이첸과 데이비드 엥겔스마의 문화에 대한 글들은 기독교의 이름으로 이 땅의 문화를 변혁시키려는 것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해줄 것이다.

◇ ◇ ◇ ◇

기독교와 문화| 그레샴 메이첸

Christianity & Culture | J. Gresham Machen, 1881-1937 THE PRINCETON THEOLOGICAL REVIEW, Vol. 11, 1913.

교회를 혼란케 하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지식과 경건, 문화와 기독교 간의 문제다.
One of the greatest of the problems that have agitated the Church is the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iety, between culture and Christianity.

이러한 문제는 무엇보다도 먼저 교회에서 두 가지 경향, 즉 과학적이고 학문적인 경향과 소위 말하는 실천적 경향의 출현으로 인하여 나타난 것이다.
This problem has appeared first of all in the presence of two tendencies in the Church—the scientific or academic tendency, and what may be called the practical tendency.

어떤 사람들은 기독교와 그 기반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는 일에 스스로를 우선적으로 헌신케 하고 있다.
Some men have devoted themselves chiefly to the task of forming right conceptions as to Christianity and its foundations.

그들에게는, 아무리 사소할지라도, 무시할 만한 진술이 없다; 그들에 의해서 진리는 그 자체를 위하여 소중히 여김을 받으며, 즉각적으로 실천적 결론에 관련 시키는 일도 없다.
To them no fact, however trivial, has appeared worthy of neglect; by them truth has been cherished for its own sake, without immediate reference to practical consequences.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일부는 복음의 필연적 단순성을 강조한다.
Some, on the other hand, have emphasized the essential simplicity of the gospel.

세상은 비극에 놓여있으며, 우리 자신은 죄인들이며, 사람들은 매일 죄 가운데 멸망해간다.
The world is lying in misery, we ourselves are sinners, men are perishing in sin every day.

복음은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에, 아직 (전파)하지 않았다면 이것을 세상에 전파하도록 하자.
The gospel is the sole means of escape; let us preach it to the world while yet we may.

우리는 헛된 중얼거림이나 쓸데없는 소리를 지껄일 시간이 없을 만큼 필요가 절실한 것이다.
So desperate is the need that we have no time to engage in vain babblings or old wives’fables.

우리가 갈라디아 교회들의 정확한 위치를 논하는 동안에, 사람들은 율법의 저주 아래에서 멸망 되어가며; 우리가 예수의 탄생 날짜를 정하는 동안에 세상은 크리스마스의 메세지 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While we are discuss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churches of Galatia, men are perishing under the curse of the law; while we are settling the date of Jesus’birth, the world is doing without its Christmas message.

이러한 경향들의 양쪽의 대표자들은 자신들을 그리스도인이라고 여기지만, 너무도 흔하게 이들 사이에는 형제라는 감각이 거의 없는 것이다.
The representatives of both of these tendencies regard themselves as Christians, but too often there is little brotherly feeling between them.

학문적 취향을 가진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형제를 적절치 못한 감성주의, 얄팍한 논의, 값싼 행위의 방법등으로 비난한다.
The Christian of academic tastes accuses his brother of undue emotionalism, of shallow argumentation, of cheap methods of work.

다른 한편으로는, 당신의 실천적인 사람은 인간의 절박한 필요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무관심하다고 비난의 소리를 높인다.
On the other hand, your practical man is ever loud in his denunciation of academic indifference to the dire needs of humanity.

학자는 위험스럽게 의심을 퍼뜨리는 사람이며, 그들의 믿음은 행위 없는 믿음을 가졌다고 표현된다.
The scholar is represented either as a dangerous disseminator of doubt, or else as a man whose faith is a faith without works.

이는 오직 먼지 쌓인 책들과, 따스하고 안락한 탐구로 조심스럽게 분리된 곳에서, 매일 비극 가운데 망해가는 사람들을 생각하지 않고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은혜를 연구하는 사람이다.
A man who investigates human sin and the grace of God by the aid solely of dusty volumes, carefully secluded in a warm and comfortable study, without a thought of the men who are perishing in misery every day!

그러나 만약이 이러한 문제가 교회 안에서 다른 양상의 출현으로 이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면, 이는 각 개인의 의식 안에서 더욱 더 주장이 강해질 것이다.
But if the problem appears thus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tendencies in the Church, it becomes yet far more insistent within the 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

만약에 우리가 곰곰이 생각해본다면, 우리는 알기 위한 요구와 구원 받기 위한 요구가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If we are thoughtful, we must see that the desire to know and the desire to be saved are widely different.

학자는 분명히 공평한 관찰자로서의 태도- 예수가 죄의 짐으로부터 구원하신 유일하신 분임을 견지하는 경건한 그리스도인에게는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태도-를 당연히 여겨야만 한다.
The scholar must apparently assume the attitude of an impartial observer—an attitude which seems absolutely impossible to the pious Christian laying hold upon Jesus as the only Saviour from the load of sin.

만약에 이러한 두 가지 활동- 한편으로는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며, 다른 편으로는 단순한 믿음을 실천하고 가르치는 -이 우리의 삶의 한 장소에 주어진다면, 이들의 적절한 관계에 대한 질문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If these two activities—on the one ha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on the other the exercise and inculcation of simple faith—are both to be given a place in our lives, the question of their proper relationship cannot be ignored.


1 An address on “The Scientific Preparation of the Minister”, delivered September 20, 1912, at the opening of the one hundred and first session of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and in substance (previously) at a meeting of the Presbyterian Ministers’Association of Philadelphia, May 20, 1912. Originally published in The Princeton Theological Review, Vol. 11, 1913, this article is now in the public domain (original pagination has been kept intact for purposes of reference).

우리들은 이것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기에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더욱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
The problem is made for us the more difficult of solution because we are unprepared for it.

학교와 대학 교육에서의 우리들의 전체 시스템은 신앙과 문화를 가능한 분리 시키도록 구성되어있으며,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무시하고 있다.
Our whole system of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is so constituted as to keep religion and culture as far apart as possible and ignore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우리는 한 주의 5,6일을 지식을 습득하는 일에 보낸다.
On five or six days in the week, we were engaged i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이러한 활동들에서 신앙에 대한 연구는 사라졌습니다.
From this activity the study of religion was banished.

우리는 자연과학을 연구하면서 이것이 자연신학이나 계시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We studied natural science without considering its bearing or lack of bearing upon natural theology or upon revelation.

우리는 신약을 열어보지도 않고 헬라어를 연구합니다.
We studied Greek without opening the New Testament.

우리는 예수의 가르침으로 인하여 도달된 거대한 역사의 움직임을 조심스럽게 피하면서 역사를 연구합니다.
We studied history with careful avoidance of that greatest of historical movements which was ushered in by the preaching of Jesus.

철학에 있어서는, 신앙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은 전적으로 숨길 수는 없지만, 이는 가능한 뒷 배경으로 가리워집니다,
In philosophy, the vital importance of the study for religion could not entirely be concealed, but it was kept as far as possible in the background.

다른 한편, 주일에는 거의 지적인 실행이 필요하지 않은 신앙적 교훈을 얻게 됩니다.
On Sundays, on the other hand, we had religious instruction that called for little exercise of the intellect.

주일학교 수업을 수학이나 라틴어 수업과 같이 신중하게 준비하는 것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Careful preparation for Sunday-school lessons as for lessons in mathematics or Latin was unknown.
신앙은 세속적 연구를 위한 지식을 떠나서, 감정과 의지에만 관계되어있는 것 같다.
Religion seemed to be something that had to do only with the emotions and the will, leaving the intellect to secular studies.

이와 같은 훈련 뒤에, 우리는 신앙과 문화가 영혼의 두 가지의 전적으로 분리된 영역에 속하여있으며, 이들의 결합은 양쪽 모두를 파괴 시키게 된다고 여기게 되는 것은 어찌 된 일인가?
What wonder that after such training we came to regard religion and culture as belonging to two entirely separate compartments of the soul, and their union as involving the destruction of both?

신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우리는 갑자기 전혀 다른 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Upon entering the Seminary, we are suddenly introduced to an entirely different procedure.

신앙은 더 이상 격리 보호가 되지 않으며; 이전에 자연과학과 역사를 위하여 남겨 놓았던 것과 같은 방법의 탐구들이 (신앙에 대한 탐구에도) 적용된다.
Religion is suddenly removed from its seclusion; the same methods of study are applied to it as were formerly reserved for natural science and for history.

우리는 성경을 더 이상 단지 도덕적이고 영적인 향상 뿐만이 아니라 또한 알기 위하여 연구하지 않는다.
We study the Bible no longer solely with the desire of moral and spiritual improvement, but also in order to know.

아마 첫 번째 인상은 무한한 상실감일 것이다.
Perhaps the first impression is one of infinite loss.
과학정신은 단순한 믿음을 대체할듯하며, 생명이 없는 절대적인 사실들에 대한 단순한 이해는 신념을 실천하는 것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The scientific spirit seems to be replacing simple faith, the mere apprehension of dead facts to be replacing the practice of principles.

이 어려움은 아마 기독교의 진리만큼이나 우리를 새로운 의문에 직면하게끔 하지는 않는 것 같다.
The difficulty is perhaps not so much that we are brought face to face with new doubts as to the truth of Christianity.

그보다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은 방법과 정신의 대립에 있다.
Rather is it the conflict of method, of spirit that troubles us.

과학적 정신은 단순한 믿음의 옛 정신과 상반되는 것 같다.
The scientific spirit seems to be incompatible with the old spirit of simple faith.

요약하자면, 우리는 지식과 경건, 달리 표현하자면, 문화와 기독교 사이의 관계의 문제를, 거의 전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In short, almost entirely unprepared, we are brought face to face with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iety, or, otherwise expressed, between culture and Christianity.

이러한 문제는 3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로 귀착될 것이다.
This problem may be settled in one of three ways.
첫 번째로는, 기독교가 문화에 종속될 것이다.
In the first place, Christianity may be subordinated to culture.

이러한 해법은 실제로, 비록 어느 정도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지만, 오늘날 교회의 대부분의 영향력 있는 부분에서 선호하는 것이다.
That solution really, though to some extent unconsciously, is being favored by a very large and influential portion of the Church today.

기독교에서 초자연적인 것을 제거하는 것은- 오늘날 놀라울 정도로 보편화되어있는 것처럼- 실제로 기독교를 단순히 자연 발생적인 것으로 만든다.
For the elimination of the supernatural in Christianity—so tremendously common today—really makes Christianity merely natural.

기독교는 인간의 산물이 되며, 인간 문화의 단순한 부분에 지나지 않게 된다.
Christianity becomes a human product, a mere part of human culture.

그러나 이러한 것은, 하나님의 직접적인 계시를 근거로 하는 이전의 기독교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But as such it is something entirely different from the old Christianity that was based upon a direct revelation from God.

이와 같이 권위를 드러내는 것을 빼앗긴 복음은 더 이상 복음이 아니며; 서명 동의하지 않는 말 없는 수 백만을 가로막는 것이다.
Deprived thus of its note of authority, the gospel is no gospel any longer; it is a check for untold millions—but without the signature at the bottom.

이렇게 기독교를 문화에 종속 시킴으로서, 우리는 실제로 기독교를 파괴하는 것이며, 그럼으로서 이전의 명칭이 계속 사용되는 것들은 가짜인 것이다.
So in subordinating Christianity to culture we have really destroyed Christianity, and what continues to bear the old name is a counterfeit.

두 번째 해법은 극단적으로 반대로 가는 것이다.
The second solution goes to the opposite extreme.

이것은 신앙에 분명한 영역을 주고자 하는 노력으로서 문화를 파괴할 것을 모색한다.
In its effort to give religion a clear field, it seeks to destroy culture.

이러한 해법은 첫 번째보다는 낳다.
This solution is better than the first.

이는 얄팍한 낙관주의나 인간성의 신성화에 빠지는 대신에, 세상의 심각한 악을 인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과장된 해결책으로부터도 위축되지 않는다.
Instead of indulging in a shallow optimism or deification of humanity, it recognizes the profound evil of the world, and does not shrink from the most heroic remedy.

세상은 자체적으로 구원의 방법을 강구할 수 없을 정도로 악하다.
The world is so evil that it cannot possibly produce the means for its own salvation.

구원은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오는 전적으로 새로운 삶의 선물이 되어야 한다.
Salvation must be the gift of an entirely new life, coming directly from God.

그러므로, 논의하려는 것은, 이 세상의 문화가 최소한 기독교에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argued, the culture of this world must be a matter at least of indifference to the Christian.

극단적인 형태로서의 이러한 해법은 좀처럼 반론이 요구되지 않는다.
Now in its extreme form this solution hardly requires refutation.

만약에 기독교가 실제로, 우리가 진리를 이해하는 유일한 수단인 이성을 거절한다고 하면, 우리는 당연히 기독교를 수정하거나 버려야만 할 것이다.
If Christianity is really found to contradict that reason which is our only means of apprehending truth, then of course we must either modify or abandon Christianity.

그러므로 우리는 지식을 습득하는 데서 완전히 자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We cannot therefore be entirely independent of the achievements of the intellect.

더군다나 우리는 복음을 전파하기 위하여 인쇄술, 철도, 우리의 통신등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것들을 생산하는 인간의 마음의 이러한 활동이 악하다고 비난하는 모순이 없이 이를 이용할 수는 없는 것이다.
Furthermore, we cannot without inconsistency employ the printing-press, the railroad, the telegraph in the propagation of our gospel, and at the same time denounce as evil those activities of the human mind that produced these things.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생산된 것은 단순히 실천적인 창조적 재능의 한 부분으로 나타난 것일 뿐만이 아니라, 그 뒤에는 단순히 알고자 하는 욕망에 의하여 촉발된 순수 과학에 대한 탐구가 작용하고 있다.
And in the production of these things not merely practical inventive genius had a part, but also, back of that, the investigations of pure science animated simply by the desire to know.

그러므로 이러한 극단적 형태에서는 모든 지적인 활동을 삼가야 하기에 이와 같은 두 번째 해법은 우리들 가운데 아무도 채택되지는 않을 것이다.
In its extreme form, therefore, involving the abandonment of all intellectual activity, this second solution would be adopted by none of us.

그러나 오늘날 교회에서의 매우 많은 경건한 사람들이 본질적으로, 그리고 영적으로 이러한 해법을 채택하고 있다.
But very many pious men in the Church today are adopting this solution in essence and in spirit.

그들은 그리스도인이 인간의 문화에서 한 몫을 하여야 한다는 데는 동의한다.
They admit that the Christian must have a part in human culture.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활동을 필요악- 복음이 성취되는 더 높은 목적을 위하는 것으로서, 엄격하게 제한된 의무라는 의미에서 실행될 필요가 있는 위험하고 무가치한 일- 으로 간주한다
But they regard such activity as a necessary evil—a dangerous and unworthy task necessary to be gone through with under a stern sense of duty in order that thereby the higher ends of the gospel may be attained.

이러한 사람들은 열정을 가지고- 이러한 열정을 그들은 복음에 충성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려 한다-어떠한 모습으로도 예술이나 과학에 절대로 참여할 수 없다.
Such men can never engage in the arts and sciences with anything like enthusiasm—such enthusiasm they would regard as disloyalty to the gospel.

이러한 입장은 실제로 비논리적이며 또한 비성경적이다.
Such a position is really both illogical and unbiblical.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어떤 마음의 능력을 주셨으며, 우리 안에 지울 수 없는 확신, 즉 이러한 능력이 실행되어야만 한다는 확신을 심어주셨다.
God has given us certain powers of mind, and has implanted within us the ineradicable conviction that these powers were intended to be exercised.

성경에도 역시 열정이 결여되어있지 않으며, 아름다움에 대한 예리한 감상이 결여되어있지 않은 시를 포함하고 있다.
The Bible, too, contains poetry that exhibits no lack of enthusiasm, no lack of a keen appreciation of beauty.

문제의 두 번째 해법을 가지고는 만족하며 안심할 수가 없다.
With this second solution of the problem we cannot rest content.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움을 알고 사랑하려는 욕망은 완전하게 잠재울 수 없는 것이며, 우리는 이러한 욕망을 끝까지 악하다고 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Despite all we can do, the desire to know and the love of beauty cannot be entirely stifled, and we cannot permanently regard these desires as evil.

그렇다면 대립 관계에 있는 기독교와 문화는 오직 싸우려는 힘에 의하여 어느 한쪽이 파괴되면서 정착되어야만 하는가?
Are then Christianity and culture in a conflict that is to be settled only by the destruction of one or the other of the contending forces?

다행에도 세 번째 해법은 가능한데, 즉 봉헌하는 것이다.
A third solution, fortunately, is possible—namely consecration.

예술이나 과학을 파괴하거나 혹은 이들에 무관심하기보다는, 이들을 최상의 인간성으로 모든 열심을 가지고 계발하면서, 동시에 이를 우리 하나님을 위하여 봉헌하도록 하는 것이다.
Instead of destroying the arts and sciences or being indifferent to them, let us cultivate them with all the enthusiasm of the veriest humanist, but at the same time consecrate them to the service of our God.

지식을 쌓음으로서, 혹은 아름다운 것을 감상함으로서 오는 기쁨을 억제하기보다는, 이러한 기쁨을 하늘의 아버지의 선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Instead of stifling the pleasures afforded by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by the appreciation of what is beautiful, let us accept these pleasures as the gifts of a heavenly Father.

(하나님) 나라와 세상 사이의 구분을 제거하거나, 혹은 다른 한편으로 세상으로부터 일종의 현대의 지적인 수도원주의로 위축되는 대신에, 기쁘게, 열정적으로 세상을 하나님께 복종하도록 나아가는 것이다.
Instead of obliterat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Kingdom and the world, or on the other hand withdrawing from the world into a sort of modernized intellectual monasticism, let us go forth joyfully, enthusiastically to make the world subject to God.

문제에 대한 이와 같은 해결책에는 분명히 명백한 유익들이 있다.
Certain obvious advantages are connected with such a solution of the problem.

첫째로는 논리적 유익이다.
In the first place, a logical advantage.

사람은 오직 자신이 참되다고 여기는 것을 믿을 수 있다.
A man can believe only what he holds to be true.

우리는 기독교가 참되다고 여기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인 것이다.
We are Christians because we hold Christianity to be true.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기독교가 거짓이라고 여긴다.
But other men hold Christianity to be false.

누가 옳단 말인가?
Who is right?

이러한 질문은 오직 양쪽으로부터 제시된 논리를 조사하고 비교하여야만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question can be settled only by an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the reasons adduced on both sides.

사실은 우리에게 있는 신앙의 근거의 한 가지는 우리가 공유할 수 없는 내적인 경험- 죄를 자각하며, 회심하고, 하나님과의 교제를 지속하는 것으로 시작된 대단한 경험-으로서 이러한 경험은 다른 이들이 소유하지 않은 것이기에 우리는 이를 근거로 하여 직접적으로 논쟁의 기초를 삼지는 못한다.
It is true, one of the grounds for our belief is an inward experience that we cannot share—the great experience begun by conviction of sin and conversion and continued by communion with God—an experience which other men do not possess, and upon which, therefore, we cannot directly base an argument.

그러나 우리의 입장이 옳다면 우리는 최소한 마땅히 다른 이에게 그의 논리가 결론이 나지 않는 것임을 보여줄 수 있어야만 한다.
But if our position is correct, we ought at least to be able to show the other man that his reasons may be inconclusive.

그리고 이것은 질문의 양쪽 측면에 대한 조심스러운 탐구가 수반 되어야만 한다.
And that involves careful study of both sides of the question.

더군다나, 기독교의 싸움터는 세상이다.
Furthermore, the field of Christianity is the world.

기독교인은, 어떠한 인간의 행동이 기독교에 반대하거나 혹은 기독교에 전혀 연관되지 않는 한에는, 만족 할 수 없는 것이다.
The Christian cannot be satisfied so long as any human activity is either opposed to Christianity or out of all connection with Christianity.

기독교는 단순히 모든 국가들 뿐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의 생각에 까지도 침투되어야만 한다.
Christianity must pervade not merely all nations, but also all of human thought.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인간이 진지하게 열심을 내는 어떠한 분야든지 무관심할 수는 없는 것이다.
The Christian, therefore, cannot be indifferent to any branch of earnest human endeavor.

이는 모두 복음에 어느 정도는 관계되어야만 한다.
It must all be brought into some relation to the gospel.

이러한 것은 모두, 잘못된 것으로 증명되기 위해서, 혹은 하나님 나라를 진전 시키는데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서, 연구되어져야만 한다.
It must be studied either in order to be demonstrated as false, or else in order to be made useful in advancing the Kingdom of God.

(하나님) 나라는 광범위하게 뿐만이 아니라 집약적으로 진전이 되어야만 한다.
The Kingdom must be advanced not merely extensively, but also intensively.

교회는 그리스도를 위해서 모든 사람 뿐만이 아니라 사람의 모든 것을 정복할 것을 모색하여야만 한다.
The Church must seek to conquer not merely every man for Christ, but also the whole of man.

우리는 우리 자신이 낙담해 있을 때, 모든 무릎이 복종하며 예수는 주시라고 모든 혀가 고백하는 때를 생각하면서, 우리 자신을 격려하는데 익숙해있다.
We are accustomed to encourage ourselves in our discouragements by the thought of the time when every knee shall bow and every tongue confess that Jesus is Lord.

영감의 부족함이 없는 것은 같은 거대한 극치의 다른 측면이다.
No less inspiring is the other aspect of that same great consummation.

그때는 또한 의심이 사라지며, 모든 부딪힘이 제거되며, 모든 과학은 하나의 거대한 확신으로 귀결되며, 모든 예술은 하나의 거대한 목적에 드려지게 되며, 모든 인간의 생각은 예수의 깨끗케하고, 고상하게 하는 영향으로 인하여 정결케되며, 모든 사고는 그리스도의 순종에 복종하며 드려지게 된다.
That will also be a time when doubts have disappeared, when every contradiction has been removed, when all of science converges to one great conviction, when all of art is devoted to one great end, when all of human thinking is permeated by the refining, ennobling influence of Jesus, when every thought has been brought into subjection to the obedience of Christ.

만약에 우리들 가운데 현실적인 사람들 일부에게 이러한 우리들의 해법의 유익이 막연하게 느껴진다면, 우리는 교회 안에서 단순히 지적이고 예술적인 활동들의 다수의 유익을 지적할 수 있다.
If to some of our practical men, these advantages of our solution of the problem seem to be intangible, we can point to the merely numerical advantage of intellectual and artistic activity within the Church.

우리 모두가 동의하는 것은 최소한 교회의 한 가지 커다란 기능은 개개인을 회심 시키는 것이다.
We are all agreed that at least one great function of the Church is the conversion of individual men.

선교에 대한 움직임은 우리 시대의 커다란 신앙적 움직임이다.
The missionary movement is the great religious movement of our day.

그리고서 사람들 각자가 예수께 이끌려야 한다는 것은 완전히 사실이다.
Now it is perfectly true that men must be brought to Christ one by one.

복음의 전도에는 수고를 줄이는 장치가 없다. 이는 모두 손길이 가야 하는 것이다.
There are no laborsaving devices in evangelism. It is all hand-work.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복음을 받아들이기에 잘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커다란 실수가 될 것이다.
And yet it would be a great mistake to suppose that all men are equally well prepared to receive the gospel.

사실 결정적인 것은 하나님의 거듭나게 하시는 능력이다.
It is true that the decisive thing is the regenerative power of God.

이러한 것은 모든 부족한 준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이것이 없이는 최상의 준비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That can overcome all lack of preparation, and the absence of that makes even the best preparation useless.

그러나 사실은 하나님께서 종종 인간의 마음의 이전의 특정한 상황과 연결 시키셔서 이러한 능력을 발휘하기도 하시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한에는,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아서, 복음을 받아들이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의 몫이 되어야한다.
But as a matter of fact God usually exerts that power in connection with certain prior conditions of the human mind, and it should be ours to create, so far as we can, with the help of God, thos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reception of the gospel.

복음을 받아들이는데 가장 커다란 장애물들은 잘못된 개념들이다.
False ideas are the greatest obstacles to the reception of the gospel.

만약에 우리에게 저항할 수 없는 논리의 힘으로, 기독교가 단순히 해롭지 않은 망상 이상의 것이 아니라고 여겨지지 않도록 국가와 세계의 모든 종합적인 사고가 통제되는 것을 허용을 한다면, 우리는 개혁주의자로서 모든 열심을 다하여 가르침으로서, 아직은 여기 저기서 방황하는 이들에게는 승리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다.
We may preach with all the fervor of a reformer and yet succeed only in winning a straggler here and there, if we permit the whole collective thought of the nation or of the world to be controlled by ideas which, by the resistless force of logic, prevent Christianity from being regarded as anything more than a harmless delusion.

이와 같은 환경이라면,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장애물을 근원적으로 파괴하는 것을 원하실 것이다.
Under such circumstances, what God desires us to do is to destroy the obstacle at its root.

많은 이들이, 대중적인 주창자들이 가르치는 방식으로 공격함으로서, 신학교에서와 같은 싸움을 하려는 잘못을 범하려고 한다.
Many would have the seminaries combat error by attacking it as it is taught by its popular exponents.

대신에 그들은 대학의 테두리 바깥에 있는 알려지지 않은 많은 독일 이름으로 자신들의 학생들을 혼란케 하고있다.
Instead of that they confuse their students with a lot of German names unknown outside the walls of the universities.

이러한 과정의 방식은, 널리 퍼져있는 개념에 대하여, 단순히 심오한 믿음을 근거로 하는 것이다.
That method of procedure is based simply upon a profound belief in the pervasiveness of ideas.

오늘날 학계의 견해에서의 문제는 앞 날에 군대를 움직여서 제국들을 허물려는 것이다.
What is today matter of academic speculation begins tomorrow to move armies and pull down empires.

그 다음 단계에서는, 싸우기에는 너무 멀리 가버리는 것으로서; 멈췄어야 할 때는 아직 냉정하게 논쟁할만한 문제로 남아있을 때였던 것이다.
In that second stage, it has gone too far to be combatted; the time to stop it was when it was still a matter of impassionate debate.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기독교를 논리적 불합리 이상의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세상의 생각을 만들어가는 시도하여야만 할 것이다.
So as Christians we should try to mold the thought of the world in such a way as to make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something more than a logical absurdity.

생각 있는 사람들은, 왜 우리의 위대한 이스턴 대학의 학생들이 더 이상 목회를 하지도 않거니와, 기독교에 대하여 어떠한 매우 생기 있는 관심을 보여주지도 않는가에 대하여 의아해 할 것이다.
Thoughtful men are wondering why the students of our great Eastern universities no longer enter the ministry or display any very vital interest in Christianity.


다른 직업들의 매력이 증가한다는- 하여튼 불합리한 설명으로서 다른 직업들은 사람이 좀처럼 삶을 영위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람이 넘쳐 나기에- 것과 같이 완전히 부적합한 다양한 설명들이 제기되기도 한다.
Various totally inadequate explanations are proposed, such as the increasing attractiveness of other professions—an absurd explanation, by the way, since other professions are becoming so over-crowded that a man can barely make a living in them.

이것에 상응되는 실제적 어려움은-그 시대의 생각으로서, 대학에서 가장 강하게 느끼도록 만드는 것으로서, 이들로부터 불가피하게 사람들의 집단들으로 퍼져나가겠지만- 기독교를 완전히 반대하는 것이며, 혹은 거의 마찬가지로 나쁜 것으로서, 최소한 기독교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는 것이다.
The real difficulty amounts to this—that the thought of the day, as it makes itself most strongly felt in the universities, but from them spreads inevitably to the masses of the people, is profoundly opposed to Christianity, or at least—what is nearly as bad—it is out of all connection with Christianity.

교회는 이것과 싸움을 하거나, 혹은 적응 되거나 할 수가 없는데 이는 교회가 단순히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Church is unable either to combat it or to assimilate it, because the Church simply does not understand it.

이와 같은 환경에서, 거듭나는 강력한 경험을 겪은 이들이, 세상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인의 경험에서 받아 들여지는 절대적으로 관계가 있는 일련의 사실들을 무시하지 않는 것보다도 이들에게 더욱 압박을 주는 의무는 무엇이겠으며, 이들이 실수하지 않고 진리의 도구로 삼기 위하여 자신들이 세상의 사고를 갖추도록 하는 것보다도 더 압박을 주는 의무가 무엇이겠는가?
Under such circumstances, what more pressing duty than for those who have received the mighty experience of regeneration, who. therefore, do not, like the world, neglect that whole series of vitally relevant facts which is embraced in Christian experience—what more pressing duty than for these men to make themselves masters of the thought of the world in order to make it an instrument of truth instead of error?

교회는 개개인이 세상을 잊도록 도와주는데 몰두할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The Church has no right to be so absorbed in helping the individual that she forgets the world.

우리들의 문제 해법에는 두 가지 결함이 있다.
There are two objections to our solution of the problem.

첫 번째로, 만약에 당신이 문화와 기독교를 긴밀하게 결합시킨다면 기독교가 문화를 파괴하지 않겠는가?
If you bring culture and Christianity thus into close union—in the first place, will not Christianity destroy culture?

예술과 과학은 번성하기 위하여 독립해야만 하지 않겠는가?
Must not art and science be independent in order to flourish?

우리는 이것이 모두 그것들이 의존하는 속성에 달려 있다고 답할 것이다.
We answer that it all depends upon the nature of their dependence.

어떤 외부적인 권위나 혹은 심지어 어떤 인간의 권위에 종속되는 것은 예술과 과학에 치명적이다.
Subjection to any external authority or even to any human authority would be fatal to art and science.

그러나 하나님께 종속되는 것은 전혀 다르다.
But subjection to God is entirely different.

사실 인간의 능력들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은 이것들을 파괴 시키는 것이 아니라 높이는 것이라고 밝혀졌다.
Dedication of human powers to God is found, as a matter of fact, not to destroy but to heighten them.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힘들을 주셨다.
God gave those powers.

그분은 이것들이 어리석게 자신의 선물을 파괴하지 않는다는 것을 충분히 잘 이해하신다.
He understands them well enough not bunglingly to destroy His own gifts.

두 번째로는, 문화가 기독교를 파괴하지 않겠는가?
In the second place, will not culture destroy Christianity?

만약에 당신이 당신의 관심를 성경에 제한 시키고, 세상적 사고로 인한 모험으로 파멸에 이끌려가도록 하지 않는다면, 부지런한 그리스도인에게 이것이 쉽지 않다고 말할 수는 없지 않겠는가?
Is it not far easier to be an earnest Christian if you confine your attention to the Bible and do not risk being led astray by the thought of the world?

우리는 물론 이것이 더 쉽다고 말한다.
We answer, of course it is easier.

지적인 수도원에 당신을 가두어 넣거나, 거듭나지 않은 사람들의 생각으로부터 당신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한다면, 당연히 이는, 마치 전쟁터보다는 편안한 피한지에서 좋은 군인이 되는 것이 더 쉬운 것과 같이, 그리스도인에게 훨씬 쉽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Shut yourself up in an intellectual monastery, do not disturb yourself with the thoughts of unregenerate men, and of course you will find it easier to be a Christian, just as it is easier to be a good soldier in comfortable winter quarters than it is on the field of battle.

당신은 당신 자신의 영혼을 구하겠지만 주의 적군은 전쟁터를 소유한 상태로 있을 것이다.
You save your own soul—but the Lord’s enemies remain in possession of the field.

그러나 누가 이러한 볼품없고, 저항하는 인간의 생각의 집합체를 복음에 복종하게 되기까지 변혁시킬수있으며, 누가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겠는가?
But by whom is this task of transforming the unwieldy, resisting mass of human thought until it becomes subservient to the gospel—by whom is this task to be accomplished?

의심의 여지없이 어느 정도는 신학교들과 대학교들에 있는 교수들이 해야 한다.
To some extent, no doubt, by professors in theological seminaries and universities.

그렇다고 일반적인 복음 사역자라고 자신의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But the ordinary minister of the gospel cannot shirk his responsibility.

조사보고하는 것이 몇몇의 전문가- 그들의 작업은 자신들 말고는 아무도 관심이 없는- 들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수행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커다란 실수다.
It is a great mistake to suppose that investigation can successfully be carried on by a few specialists whose work is of interest to nobody but themselves.

많은 생각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필요한 것이다.
Many men of many minds are needed.

우리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특히 우리 미국의 교회들에서, 신학의 문제들에 대하여 좀 더 일반적인 관심을 갖는 것이다,
What we need first of all, especially in our American churches, is a more general interest in the problems of theological science.

이러한 것이 없이는, 전문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작업을 수행하게 끔 용기를 주는 격려하는 분위기가 없는 것이다.
Without that, the specialist is without the stimulating atmosphere which nerves him to do his work.

삶에서의 위치가 무엇이든 간에, 학자는 거듭난 사람이어야 하며, 그는 자신의 신앙적 경험의 강도나 깊이에 있어서 어느 누구에게도 굴복 되어서는 안된다.
But no matter what his station in life, the scholar must be a regenerated man—he must yield to no one in the intensity and depth of his religious experience.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는 이러한 자질이 없는 우수한 학자들이 넘쳐 나고 있다.
We are well supplied in the world with excellent scholars who are without that qualification.

그들은 세부적으로, 성경 철학에서, 해석학에서, 성경 신학에서, 그리고 다른 연구 분야에서 유용한 일들을 하고있다.
They are doing useful work in detail, in Biblical philology, in exegesis, in Biblical theology, and in other branches of study.

그러나 그들은 중대한 과제를 수행하지 않으며, 현대의 사상을 기독교에 동화 시키지 않는데, 이는 그들에게 기독교의 필수적 요소인 영적인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But they are not accomplishing the great task, they are not assimilating modern thought to Christianity, because they are without that experience of God’s power in the soul which is of the essence of Christianity.

그들은 비교하는데 있어서 오직 한쪽 측면 만을 가지고 있다.
They have only one side for the comparison.

그들은 현대 사상을 알고 있지만 기독교는 그들에게 실제로 생소한 것이다.
Modern thought they know, but Christianity is really foreign to them.

참된 그리스도인 학자의 역할로서, 중요한 내면의 경험이 세상의 사상과 어떤 종류의 연결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은 정당한 것이다.
It is just that great inward experience which it is the function of the true Christian scholar to bring into some sort of connection with the thought of the world.

지난 30년 동안에 기독교 교회에는 엄청난 결함이 있어왔다.
During the last thirty years there has been a tremendous defection from the Christian Church.

이것은 심지어 표면적인 것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났다.
It is evidenced even by things that lie on the surface.

예를 들면, 교회 출석자와 안식일의 준수와 목회 후보자들의 수적인 감소인 것이다.
For example, by the decline in church attendance and in Sabbath observance and in the number of candidates for the ministry.

사실은, 특별한 설명들이 종종 이러한 낙담적인 경향을 보여준다.
Special explanations, it is true, are sometimes given for these discouraging tendencies.

그러나 왜 우리는 스스로를 속여야만 하며, 얄팍한 설명으로 스스로의 위안을 삼으려고 하는가?
But why should we deceive ourselves, why comfort ourselves by palliative explanations?

사실을 직시해보자.
Let us face the facts.

교회 출석의 감소와 안식일 준수를 게을리하는 것은 단순히 표면적으로 기독교의 역량의 감소를 가리키는 것이다.
The falling off in church attendance, the neglect of Sabbath observance—these things are simply surface indications of a decline in the power of Christianity.

기독교는 30년 전에 발휘하였던 것보다도 오늘날 시민화된 사회에서 훨씬 능력이 적은 직접적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
Christianity is exerting a far less powerful direct influence in the civilized world today than it was exerting thirty years ago.

이러한 상당한 결함의 원인이 무엇이란 말인가?
What is the cause of this tremendous defection?

나의 입장에서는, 주저하지 않고 이것이 주로 지적인 영역에 있다고 말할 것이다.
For my part, I have little hesitation in saying that it lies chiefly in the intellectual sphere.

사람들은 기독교가 참된지 더 이상 확신할 수 없기에 기독교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Men do not accept Christianity because they can no longer be convinced that Christianity is true.

일리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사실인가?
It may be useful, but is it true?

물론 다른 설명들도 있다.
Other explanations, of course, are given.

교회의 현대적 결점 뒤에는 시대의 실질적인 물질주의가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The modern defection from the Church is explained by the practical materialism of the age.

사람들은 돈을 버는데 너무 많이 몰두해있기에 영적인 것들을 위한 시간이 없는 것이다.
Men are so much engrossed in making money that they have no time for spiritual things.

이러한 설명은 어떤 분야에서는 유용하다.
That explanation has a certain range of validity.

그러나 이러한 분야는 제한되어있다.
But its range is limited.

이는 아마도 서구의 붐비는 도회지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곳에서는 사람들이 갑작스러운 무한한 부의 가능성을 향해 중독되어있다.
It applies perhaps to the boom towns of the West, where men are intoxicated by sudden possibilities of boundless wealth.

그러나 기독교의 결함은 그것보다도 훨씬 넓다.
But the defection from Christianity is far broader than that.

이것은 미국보다도 훨씬 더 안정되어있는 유럽의 국가들에서도 느낄 수 있다.
It is felt in the settled countries of Europe even more strongly than in America.

이것은 부자들 사이에서 만큼이나 강하게 가난한 이들 사이에서도 느낄 수 있다.
It is felt among the poor just as strongly as among the rich.

마지막으로 이것은 무엇보다도 강하게 대학들에서 느낄 수 있는데, 이것만이 결함의 진정한 원인이 지적인데 있다는 것 이상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Finally it is felt most strongly of all in the universities, and that is only one indication more that the true cause of the defection is intellectual.

매우 광범위하게, 우리의 위대한 이스턴 대학의 학생들이- 그리고 아직 유럽의 더 많은 대학들에서도- 그리스도인이 아니다.
To a very large extent, the students of our great Eastern universities—and still more the universities of Europe—are not Christians.

그리고 그들은 흔히들 자주 학생들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이 아니다.
And they are not Christians often just because they are students.

이 시대의 사상은, 대학에서 가장 강하게 느끼도록 만들듯이, 명백하게 기독교와 대립 되거나, 혹은 최소한 기독교와 관계가 없는 것이다.
The thought of the day, as it makes itself most strongly felt in the universities, is profoundly opposed to Christianity, or at least it is out of connection with Christianity.

오늘날 기독교 신앙의 주된 장애물은 지적인 영역에 뫃여있다.
The chief obstacle to the Christian religion today lies in the sphere of the intellect.

이러한 주장은 두 가지의 잘못된 개념으로부터 보호되어야만 한다.
That assertion must be guarded against two misconceptions.

첫 번째로는,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적인 어려움으로 인해서 의식적으로 기독교를 거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irst place, I do not mean that most men reject Christianity consciously on account of intellectual difficulties.

이와는 반대로, 기독교에 대한 거부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가 단순한 무관심에 기인한다.
On the contrary, rejection of Christianity is due in the vast majority of cases simply to indifference.

오직 일부의 사람들만이 주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관심을 가져준다.
Only a few men have given the subject real attention.

복음을 거부하는 거의 대부분은 단순히 그들이 거의 아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The vast majority of those who reject the gospel do so simply because they know nothing about it.

그러면 무엇 때문에 이러한 무관심이 생기는가?
But whence comes this indifference?

이것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지적인 분위기로 인한 것이다.
It is due to the intellectual atmosphere in which men are living.

현대 세계는 복음을 무시하는 사상들에 지배를 받고 있다.
The modern world is dominated by ideas which ignore the gospel.

현대 문화가 전부 다같이 복음에 대립되는 것은 아니다.
Modern culture is not altogether opposed to the gospel.

그러나 이것(현대문화)은 (복음과) 전혀 관계가 없다.
But it is out of all connection with it.

이것은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하는 것 뿐만이 아니다.
It not only prevents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이는 기독교를 듣는 것 조차도 못하게 한다.
It prevents Christianity even from getting a hearing.

두 번째로는, 나는 지적인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서 사람을 기독교인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In the second place, I do not mean that the removal of intellectual objections will make a man a Christian.

단순한 논의로서 회심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No conversion was ever wrought simply by argument.

또한 마음의 변화도 필요하다.
A change of heart is also necessary.

그리고 이것은 하나님의 능력이 바로 실행되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And that can be wrought only by the immediate exercise of the power of God.

그러나 지적인 수고가 부족함으로 인해서, 이것은 흔히 불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것과 같은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But because intellectual labor is insufficient it does not follow as is so often assumed, that it is unnecessary.

사실 하나님께서는 즉각적으로 자신의 거듭나게 하는 능력을 발휘하셔서 모든 지적인 장애물들을 넘어서실 수도 있으시다.
God may, it is true, overcome all intellectual obstacles by an immediate exercise of His regenerative power.

이따금씩 그렇게도 하신다.
Sometimes He does.

그러나 매우 드물게 그렇게 하신다.
But He does so very seldom.

흔히는 인간 마음의 특정한 상태와 연계 시켜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신다.
Usually He exerts His power in connection with certain conditions of the human mind.

그분은 좀처럼, 복음을 받아들이는 것을 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개념들에 완전히 지배를 받는 마음과 욕망을 가진 사람들이, 전혀 아무 준비 없이 (하나님) 나라에 들어오도록 하시지는 않으신다.
Usually He does not bring into the Kingdom, entirely without preparation, those whose mind and fancy are completely dominated by ideas which make the acceptance of the gospel logically impossible.

현대 문화는 상당한 힘이다.
Modern culture is a tremendous force.

이는 사회의 모든 층에 영향을 미친다.
It affects all classes of society.

이는 배운 사람 뿐만이 아니라 무지한 사람에게도 영향을 준다.
It affects the ignorant as well as the learned.

이에 관하여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What is to be done about it?

우선 교회가 단순히 충돌을 회피할 수도 있다.
In the first place the Church may simply withdraw from the conflict.

단순하게 현대 사상의 거대한 흐름에 무관심하거나, 단지 시대의 조류에 역행 하는 일을 할 수도 있다.
She may simply allow the mighty stream of modern thought to flow by unheeded and do her work merely in the back-eddies of the current.

세상에는 아직도 현대 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은 일부 사람들이 있다.
There are still some men in the world who have been unaffected by modern culture.

그들은 지적인 수고 없이도 아직 그리스도를 위하여 승리한 상태일 수도 있다.
They may still be won for Christ without intellectual labor.

그리고 그들은 틀림없이 이겼다.
And they must be won.

이것은 유용하고 필요한 일이다.
It is useful, it is necessary work.

만약에 교회가 이것 만으로 만족해 한다면, 성직자들에 대한 과학적 교육은 포기해야만 한다.
If the Church is satisfied with that alone, let her give up the scientific education of her ministry.

교회는 자신의 메세지의 진실성에 대하여 책임을 지도록 하여야 하며, 이것이 현대의 산업과 사회 상황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겸손하게 배워야만 한다.
Let her assume the truth of her message and learn simply how it may be applied in detail to modern industrial and social conditions.

교회로 하여금 힘든 헬라어나 히브리어 공부는 포기하도록 하여야 한다.
Let her give up the laborious study of Greek and Hebrew.

세상 사람들에 대한 역사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그만두어야만 한다.
Let her abandon the scientific study of history to the men of the world.

과학적인 관심이 점증하는 시대에 교회는 좀 덜 과학적이 되어야 한다.
In a day of increased scientific interest, let the Church go on becoming less scientific.

전문화가 진행되고, 철학과 역사에 대한 관심이 새로워지고, 과학적 방법이 좀 더 논리적이 되는 시대에, 교회는 적대자들을 위한 성경을 포기해야만 한다.
In a day of increased specialization, of renewed interest in philology and in history, of more rigorous scientific method, let the Church go on abandoning her Bible to her enemies.

그들은, 만약에 교회가 하지 않는다면, 그것(성경)을 과학적으로 연구해서, 자신들의 결론을 내릴 것이다.
They will study it scientifically, rest assured, if the Church does not.

교회는 자신의 복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사회학을 전부 히브리인이나, 실제적 전문가로 대신하게 하여야 한다.
Let her substitute sociology altogether for Hebrew, practical expertness for the proof of her gospel.

교회는 자신의 사역에 대한 준비를 줄이도록 하여야 하며, 좀 더 미성숙한 실질적 행동으로 인하여 방해 받는 것을 허용하여야 한다.
Let her shorten the preparation of her ministry, let her permit it to be interrupted yet more and more by premature practical activity.

이렇게 함으로서 교회는 여기 저기에서 낙오자들에 대하여 승리할 것이다.
By doing so she will win a straggler here and there.

그러나 교회의 승리는 일시적일 뿐이다.
But her winnings will be but temporary.

현대 문화의 커다란 흐름은 빠르든 늦든 간에 교회의 보잘것 없는 소용돌이를 집어삼킬 것이다.
The great current of modern culture will sooner or later engulf her puny eddy.

하나님께서는 어느 정도는 구해주실 것이지만 깊이는 없는 것이다.
God will save her somehow—out of the depths.

그러나 수세기의 수고는 사라져버릴 것이다.
But the labor of centuries will have been swept away.

교회가 이것에서 손을 때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하나님은 인정하신다.
God grant that the Church may not resign herself to that.

하나님께서는 교회가 자신의 문제를 똑바로 과감하게 직시해야 한다고 인정하신다.
God grant she may face her problem squarely and bravely.

문제는 쉽지만은 않다.
That problem is not easy.

이는 자신의 신앙의 분명한 기본에 관계되는 것이다.
It involves the very basis of her faith.

기독교는, 그리스도가 죽음에서 살아나셨다는 역사적 사실을 선언하는 것이다.
Christianity is the proclamation of an historical fact—that Jesus Christ rose from the dead.

현대 사상은 이러한 선언을 받아들일 만한 여지가 없다.
Modern thought has no place for that proclamation.

이(현대 사상)는 사람들이 복음을 듣는 것 조차도 막고 있다.
It prevents men even from listening to the message.

그렇다고 오늘날의 문화를 전적으로 거부할 수 있는 것 만은 아니다.
Yet the culture of today cannot simply be rejected as a whole.

이는 1세기의 이교도 문화와 같은 것이 아니다.
It is not like the pagan culture of the first century.

이는 전적으로 비기독교적인 것도 아니다.
It is not wholly nonChristian.

많은 부분이 직접적으로 성경으로부터 유래되었다.
Much of it has been derived directly from the Bible.

그 안에는 중요한 움직임들이 있는데, 헛점이 될 수도 있지만, 이는 복음을 변론 하는데 잘 사용될 수도 있다.
There are significant movements in it, going to waste, which might well be used for the defence of the gospel.

그 입장은 복잡하다.
The situation is complex.

전체를 통틀어 쉽게 재단하는 것은 적절하지가 않다.
Easy wholesale measures are not in place.

분별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Discrimination, investigation is necessary.

어떤 현대 사상은 잘못이 증명되어야만 한다.
Some of modern thought must be refuted.

나머지는 종속시켜야만 한다.
The rest must be made subservient.

그러나 그 가운데 무시할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But nothing in it can be ignored.

우리와 함께하지 않는 이는 우리를 대적하는 자이다.
He that is not with us is against us.

현대 문명은 거대한 힘이다.
Modern culture is a mighty force.

이는 복음에 종속되든지, 그렇지 않으면 복음에 치명적인 적인 것이다.
It is either subservient to the gospel or else it is the deadliest enemy of the gospel.

이를 종속 시키기 위해서는, 신앙적인 정서로는 불충분하고, 지적인 수고가 또한 필요하다.
For making it subservient, religious emotion is not enough, intellectual labor is also necessary.

그러고 이러한 수고는 무시되고 있다.
And that labor is being neglected.

교회는 좀 더 쉬운 일에 의지했다.
The Church has turned to easier tasks.

그래서 지금 교회는 자신의 게으름의 열매를 거두고 있다.
And now she is reaping the fruits of her indolence.
이제 교회는 자신의 생명을 위하여 싸워야만 한다.
Now she must battle for her life.

상황은 절망적이다.
The situation is desperate.

이는 우리를 실망시킬 수도있다.
It might discourage us.

그러나 우리가 참된 그리스도인이라면 그렇지 않다.
But not if we are truly Christians.

우리가 부활하신 주와 생명력 있는 교제의 삶을 산다면 그렇지 않다.
Not if we are living in vital communion with the risen Lord.

만약에 우리가 실제로 우리의 복음의 진리에 대하여 확신하고 있다면, 우리는 이를 대적들의 세계 앞에서 선포할 수 있고, 우리의 과업의 심한 어려움과 우리의 동료가 거의 없어도 고무가 될 수가 있으며, 하나님께서 우리를 쉬운 세대에 있게 하시지 않으시고 의심과 혼란과 전쟁의 때에 있게 하신 것도 기뻐할 수 있다.
If we are really convinced of the truth of our message, then we can proclaim it before a world of enemies, then the very difficulty of our task, the very scarcity of our allies becomes an inspiration, then we can even rejoice that God did not place us in an easy age, but in a time of doubt and perplexity and battle.

또한 우리는 다른 군사들을 싸움에 부르시기로 작정하신 것에 대하여도 두려워하지 않으리라는 것이다.
Then, too, we shall not be afraid to call forth other soldiers into the conflict.

우리의 신학교들을 단순한 신앙적 정서의 중심으로 만드는 대신에, 우리는 이를 신앙의 전초기지로 만들어야만 하며, 이곳에서 그리스도인 선생들의 경험에 의한 어느 정도의 도움을 받아,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싸움을 싸우는 것에 대한 가르침을 받으며, 상대의 실제 힘을 제대로 평가하게되며, 지적인 분투의 고된 학습을 통하여 어린아이의 생각없는 신앙을 장성한 사람들의 해박한 확신으로 대체시켜야만한다.
Instead of making our theological seminaries merely centres of religious emotion, we shall make them battle-grounds of the faith, where, helped a little by the experience of Christian teachers, men are taught to fight their own battle, where they come to appreciate the real strength of the adversary and in the hard school of intellectual struggle learn to substitute for the unthinking faith of childhood the profound convictions of full-grown men.

여기서 영적 능력을 상실할 두려움을 갖지 않도록하자.
Let us not fear in this a loss of spiritual power.

오늘날 교회는 사고의 결핍으로 붕괴되는 것이지 그것이 과도해서가 아니다.
The Church is perishing today through the lack of thinking, not through an excess of it.

교회는 물질적 향상의 영역에서 승리를 쟁취하고있는 것이다.
She is winning victories in the sphere of material betterment.

이러한 승리는 영광스러운 것이다.
Such victories are glorious.

하나님께서는 이들을 헐뜯는 냉혹한 죄로부터 우리를 구해주신다.
God save us from the heartless crime of disparaging them.


이들은 사람들의 비극을 경감 시키고있다.
They are relieving the misery of men.

그러나 이들이 홀로 선다면, 이들이 일시적 일 수 있다는 것이 걱정이 괸다.
But if they stand alone, I fear they are but temporary.

보이는 것은 일시적이고;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한 것이다.
The things which are seen are temporal; the things which are not seen are eternal.

만약에 하나님이 제외된다면 자선이 무엇이 되겠는가?
What will become of philanthropy if God be lost?

삶의 표면 밑에는 영적인 세계가 놓여있다.
Beneath the surface of life lies a world of spirit.

철학자들은 이를 탐구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Philosophers have attempted to explore it.

기독교는 이러한 기이함을 단순한 영혼으로 나타내고 있다.
Christianity has revealed its wonders to the simple soul.

여기에 교회의 능력의 원천이 놓여있다.
There lie the springs of the Church’s power.

그러나 이러한 영적인 영역은 논쟁이 없이 진입할 수는 없다.
But that spiritual realm cannot be entered without controversy.

그리고 현재 교회는 이러한 논쟁으로부터 위축되어있다.
And now the Church is shrinking from the conflict.

현대 사상의 흐름에 의한 영적인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교회는 논쟁이 없는 것에서 스스로의 위안을 삼고 있다.
Driven from the spiritual realm by the current of modern thought, she is consoling herself with things about which there is no dispute.

만약에 교회가 가난한 이를 위하여 좋은 집을 공급하는 것을 좋아한다면, 교회는 반대가 없는 것에 대하여 두려워해야 한다.
If she favors better housing for the poor, she need fear no contradiction.

교회는 자신에 대한 전적인 격려를 필요로 한다.
She will need all her courage.

교회는 충분히 대적을 갖고 있다는 것을 하나님은 알고 계신다.
she will have enemies enough, God knows.

그러나 그들은 논쟁하면서 교회와 싸우려 하지 않는다.
But they will not fight her with argument.

이론에 의하면, 20세기는 사회적 향상을 위하여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
The twentieth century, in theory, is agreed on social betterment.

그러나 죄, 그리고 죽음, 그리고 구원, 그리고 삶, 그리고 하나님- 이러한 것에 대해서는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But sin, and death, and salvation, and life, and God—about these things there is debate.

당신이 선택한다면 논쟁을 피할 수도 있다,
You can avoid the debate if you choose.

당신은 오직 흐름에 떠내려 가기만 하면 된다.
You need only drift with the current.

당신의 신학교 과정 동안의 매 주일에 설교를하고, 당신의 시간의 힘든 마지막을 연구하고 생각하는데 헌신하며, 당신이 대학에서 공부하였던 것과 같이 공부하고- 그러면 이러한 의문들이 더 이상 당신을 괴롭히지는 않을 것이다.
Preach every Sunday during your Seminary course, devote the fag ends of your time to study and to thought, study about as you studied in college—and these questions will probably never trouble you.

중요한 의문들은 쉽게 피할 수 도 있다.
The great questions may easily be avoided.

많은 설교자들은 이것들을 피하고 있다.
Many preachers are avoiding them.

그리고 많은 설교자들은 공기 만을 진동 시킬 뿐이다.
And many preachers are preaching to the air.

교회는 또 다른 타입의 사람들을 기다리기도한다.
The Church is waiting for men of another type.

자신의 싸움을 싸울 사람과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사람 말이다.
Men to fight her battles and solve her problems.

이들을 찾으려는 희망은 신학교 생활에서 하나의 커다란 활력이다.
The hope of finding them is the one great inspiration of a Seminary’s life.

그들은 모두 뛰어난 학식을 소유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They need not all be men of conspicuous attainments.

그러나 그들은 모두 생각이 있는 사람이어야만 한다.
But they must all be men of thought.

그들은 모두 영적이고 지적인 게으름과 열심히 싸워야 한다.
They must fight hard against spiritual and intellectual indolence.

그들의 사고는 좁은 범위로 한정될 수도있다.
Their thinking may be confined to narrow limits.

그러나 이는 자신의 것이 되어야만 한다.
But it must be their own.

그들에게 신학은 과업 이상의 무엇인가가 되어야 한다.
To them theology must be something more than a task.

이는 탐구하여야 할 일이다.
It must be a matter of inquiry.

이는 성공적으로 기억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진정한 확신으로 귀결되어야만 한다.
It must lead not to successful memorizing, but to genuine convictions.

교회는 세상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당황해 하고있다.
The Church is puzzled by the world’s indifference.
교회는 자신의 메세지를 시대의 유행들에 맞추어서 극복하려고 하고있다.
She is trying to overcome it by adapting her message to the fashions of the day.

그러나 대신에 대립이 있기 전에, 교회가 묵상 할 수 있는 은밀한 장소로 내려간다면, 복음의 분명한 빛으로 교회가 단순히 현재의 질문에 대답할 것을 모색하지 않고, 무엇보다도 먼저, 영적 세계의 영원한 문제에 대하여,
그 다음은 아마도, 하나님의 은혜에 의하여, 그분의 선하신 성령을 통하여, 하나님의 선하신 시간에, 교회가 한 번 더 능력으로 관심사를 제시한다면, 의심의 세대는 믿음의 시기의 여명에 의하여 이끌림 바 될 수도 있다.
But if, instead, before the conflict, she would descend into the secret place of meditation, if by the clear light of the gospel she would seek an answer not merely to the questions of the hour but, first of all, to the eternal problems of the spiritual world, then perhaps, by God’s grace, through His good Spirit, in His good time, she might issue forth once more with power, and an age of doubt might be followed by the dawn of an era of faith.

그레샴 메이첸, 프린스턴.
J. Gresham Machen, Princeton.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명령에 대한 메러디스 클라인의 관점  (0) 2017.07.09
posted by Wonho Kim
:

존 페스코가 말하는 바울에 관한 새관점: 칼빈과 톰 라이트- 6부


요약과 결론들

Summary and Conclusions


칭의에 대한 라이트와 칼빈의 분석을 비교해서 대조해본 결과 우리는 이 두 신학자 간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In our comparison and contrast of the analyses of N. T. Wright and Calvin on justification we see great divergence between the two theologians.  


새관점에서는, 바울이 전체적으로 어떻게 유대인과 이방인이 1세기 교회에서 공존할 수 있느냐하는, 구원론과 사회론의 문제를 다루고있다고 말한다.

The new perspective argues that Paul largely deals with matters of ecclesiology and sociology, how Jews and Gentiles can co-exist in the first-century church.  


(새관점에서) 칭의는 자신의 의를 드러내시는, 언약에 대하여 신실하신 하나님께서, 세대의 마지막에 자신의 백성을 옳다고 하시는 것이라고 한다.

Justification is a declaration that God, who is faithful to His covenant promises, which is a display of His righteousness, makes at the consummation of the age to vindicate His people.


다른 한편 개혁주의에서는, 바울이 전체적으로 구원론을 다루고있는데, 이(구원론)는 교회론과 종말론과 서로 연결되어있는 것이다.

The Reformation,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Paul largely deals with matters of soteriology, which are intermeshed with ecclesiology and eschatology.  


결과적으로 칭의는 하나님께서 사람을 예수 그리스도의 전가된 의를 근거로하여 의롭다고 분명히하시는 때를 말한다.

Consequently, justification is when God declares a person as righteous based upon the imputed righteousness of Jesus Christ.  


어쩌하던 간에, 이 글은 칭의가 라이트와 칼빈에 있어서 전혀 다른 축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If anything, this essay has demonstrated that justification rotates on entirely different axes for Wright and Calvin.  


트루만은 말하기를,"솔직히 말해서"

“To put it bluntly,” writes Trueman,

내가 보기에는 소위 바울에 관한 새관점의 옹호자들에 의해서 공식화되는 칭의 교리에 대한 최근의 재조명은 종교개혁의 강령과 교리의 궤도 안에서 서려고하는 개신교를 근본적으로 거절하는 것 밖에는 안되며, 또한 최소한도로 돌아가서 궁극적으로 어거스틴으로부터 시작해서 칭의에 대한 전체 서구 전통을 거절하는 것이다.

it seems to me that the current revision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formulated by the advocates of the so-called New Perspective on Paul is nothing less than a fundamental repudiation not just of that Protestantism which seeks to stand within the creedal and doctrinal trajectories of the Reformation but also of virtually the entire Western tradition on justification from at least as far back as Augustine.[57]


과학의 역사로부터 언어를 빌려온다면, 새관점주의자들은 우리들에게, 우주가 구원론이 아니라 교회론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보는데 있어서, 자신들의 망원경을 통해서 보라고 설득하고있다.

To borrow language from the history of science, the proponents of the new perspective are beckoning us to look through their telescopes to see that the universe does not revolve around soteriology but rather ecclesiology.  


우리는 코페르니쿠스 혁명이 진행 중인 교회 역사의 기반 위에 있기에, 바울에 관한 옛 관점을 지지하는 이들이 망원경을 통해서 진리를 보는 것을 거절하였기 때문에 곧 얼굴이 붉어질 것이란 말인가?

Are we at a nexus in church history where a Copernican revolution is underway and the advocates of the old perspective on Paul will soon wear the red faces of chagrin because they have refused to peer into the telescope and see the truth?  


분명히 말하지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아니오'이다

Quiet frankly,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No.


우리가 실제로 새관점의 망원경을 들여다보았을 때 우리는 그것이 우주를 향하여있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그들 자신이 만든 별자리 투영기를 향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hen we actually peer into the telescope of the new perspective we have found that it is not aimed at cosmos but instead a planetarium of their own making.


새관점의 경우에 있어서, 우리는 그것이 자신들의 반복적인 왜곡된 주문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의 일차적 자료가 결핍되었다는 것을 알게되기까지, 매우 불안해보였으며, 그리고 그것은 불완전한 정경 위에 세워진 것이었다.

The case for the new perspective sounds quite ominous until we see that it lacks any reference to Reformation primary sources despite their repeated mantra of distortion, and that it is built upon an incomplete canon.


그러므로, 혁명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서, 새관점은 루터나 칼빈을 뜨겁게 흉내내는 평화로운 반항자들의   단순한 조그마한 연대인 것이다.
So, far from a revolution, the new perspective is simply a small band of peaceful protestors burning effigies of Luther and Calvin.  


그러나 이것은 바울에 관한 새관점이 신학적으로 해롭지 않은 움직임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This does not mean, however, that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s a harmless theological movement.  


반대로 새관점은 교회에 매우 치명적이다.

On the contrary, the new perspective is quite lethal to the church.  


무엇이 이러한 사상의 학파들을 치명적으로 만들고 있는가?

What makes this school of thought lethal?


이것이 너무 과장되게 꾸며지지 않았는가?

Is this not overstated rhetoric?  


아주 간단히 말한다면, 이것은 과장이 아니다.

Quite simply stated, no, it is not an exaggeration.


새관점을 치명적으로 만드는 것은 이것이 복음주의 신학의 한 변형으로 표현되고있다는 것이다.
What makes the new perspective lethal is that it is presented as a variant of evangelical theology.  


아직 새관점주의자들은 어거스틴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복음주의 칭의 이해를 거절하고있다.

Yet, the proponents of the new perspective reject the very evangelical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that goes as far back as Augustine.  


새관점주의자들은 칭의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거절 할 뿐만이 아니라 이들은 정경에 대한 역사적 복음주의 이해를 거절하고있다.

Not only do new perspective advocates reject the historic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but they also reject the historic evangelical understanding of canon.[58]  


예를 들면, 로마서에 대한 던의 주석은 Word Biblical Commentary 시리즈에 속하여 있는데, 이 시리즈는 아마 "성경의 권위를 신적인 계시로 굳게 여기고 있는 것이다."

Yet, Dunn’s commentary on Romans, for example, is included in the Word Biblical Commentary series that is supposedly “firmly committed to the authority of Scripture as divine revelation.”


신적 계시에 굳게 연계시키기보다는, 새관점의 해석은 많은 점에서 평범한 해석을 보여주고있다.
Rather than a firm commitment to divine revelation, the exegesis of the new perspective reflects the interpretation of mediocrity on many points.  


쉐렌 키에르케고르는 "범인의 성경 해석은 해석을 계속하면서 그리스도의 말씀을 그 자체로 죽은 의미에서  빠져나올 때까지 해석하며, 그리고 나서 모든 난제들을 제거한 후에, 이것은 안정이되며, 그리고 확신을 가지고서 그리스도의 말씀에 호소하게된다"고 관찰하였었다.

Søren Kierkegaard once observed that the “biblical interpretation of mediocrity goes on interpreting and interpreting Christ’s words until it gets out of them its own spiritless meaning—and then, after having removed all difficulties, it is tranquilized, and appeals confidently to Christ’s word!”[59]  


바울에 호소하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ame may be said of appeals to Paul.  


라이트는 확신을 가지고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 호소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만들어가지만, 그는 에베소서를 간단하게 무시해버린다.

Wright confidently appeals to Romans and Galatians to make his case, but he conveniently ignores Ephesians.  


그러나 이것이 가장 위협적인 위협은 아니다.

This, however, is not the most menacing threat.


새관점이 교회에 가장 해를 입히는 것은 용어의 사용이다.
What makes the new perspective most harmful to the church is its use of terminology.  


새관점주의자들은 성경, 죄, 칭의, 행위, 믿음, 그리고 복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에게 전혀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있다.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use terms such as Scripture, sin, justification, works, faith, and gospel, but have given them entirely different meanings.  


비록 약80년 전에 쓰여졌지만 그레샴 메이첸의 말은 아직 바로 이러한 주제에 적용된다.

J. Gresham Machen’s words, though written some eighty years ago, still apply to this very issue.


메이첸이 기록하기를, 의심의 여지없이 "끔찍한 위기"가 교회에서 나타났다.

“A terrible crisis,” writes Machen, unquestionably has arisen in the Church.


복음주의 교회의 사역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복음을 거절하는 이들의 숙주가 발견되었다.

In the ministry of evangelical churches are to be found hosts of those who reject the gospel of Christ.


전통적인 용어를 애매하게 사용하면서, 의견의 차이를 마치 자신들이 오직 성경의 해석에 관해서만 차이가 있는 것처럼 나타내면서, 이들은 바로 믿음의 기초에 대하여 적대적인데도 교회로의 진입이 보장되고 있는 것이다.

By the equivocal use of traditional phrases, by the representation of differences of opinion as though they were only difference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entrance into the Church was secured for those who are hostile to the very foundations of the faith.[60]


이것은 바로 정통주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는 새관점을 해가 없는 것 같이 만들며, 어느 정도 개혁주의 범주의 생각 안에 있는 것 같이 하여 라이트가 종교개혁에 적이 아닌 것같이 만든다.
It is this use of orthodox nomenclature that makes the new perspective seemingly harmless and has some within Reformed circles thinking that Wright is no foe of the Reformation.  


예를 들면, 라이트의 책 "What Saint Paul Really Said"에 대한 최근의 서평에서, George Grant는 라이트가 "증거에 비중을 두고서, 그리고 오직 역사적이고 성경적인 정통주의만이 믿음에 대한 사도의 공헌에 관한 날카로운 질문에 충분히 대답을 하였다고 말하면서.... 라이트가 보수적인 신학적 해석에 새로운 영향력을 더하면서 법정적 정확함과 함께 신약의 자료를 심사숙고하고있다"고 말하고있다.

For example, in a recent review of Wright’s book What Saint Paul Really Said, George Grant states that Wright “weighs the evidence and finds that only historic biblical orthodoxy has sufficiently answered the thorny questions of the apostle’s contribution to the faith…. Mr. Wright pores over the New Testament data with forensic precision to add new weight to a conservative theological interpretation.”[61]


더글라스 윌슨(그는 새관점에 동조하는 페더럴비전주의자이다-역자 주)도 마찬가지로, "라이트의 공동체적 칭의에 대한 강조는 중요하고 필요한 반면에, 그가 강조하는 방법이 문제의 원인이 되고있다. 그러나 그의 테이프 강좌에서, 나는 그가 자신이 개별적 칭의에 관한 개신교 교리를 부정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을 분명히 들었다. 그의 전체적 접근은 놓아 두더라도 이것은 일관성이 있는 것이다."고 말한다. (윌슨의 관점이 맞다는 것이 아니라 새관점주의자인 윌슨이 자연스럽게 정통주의의 칭의 개념을 자신들의 새관점에서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면서 생기는 혼란의 문제점을 제기하고있는 것이다.-역자)
Similarly, Douglas Wilson writes that “while Wright’s emphasis on corporate justification is important and necessary, the way he stresses it is a cause for concern.  But in a taped lecture of his, I heard him explicitly say that he was not denying the Protestant doctrine of individual justification.  Given his overall approach, this is consistent.”[62]


그렇다면, 물어보아야 할 것은, 라이트가 의미하는 칭의가 전가된 의를 뜻하는가, 아니면 종말론적 정의를 의미하는 것인가?(실제의 내용에 있어서는 전혀 다른 정의의 칭의를 구분하지 않고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있다는 것이다.-역자)

Yet, one must ask, Does Wright mean justification in the sense of imputed righteousness or as eschatological definition?  


만약에 전자라면, 그는 일관성이 없는 것이고; 만약에 후자라면, 이것은 명백하게 메이첸이 말한 바와 같이- 자유주의를 숨기는 정통주의의 명칭- 위험한 것이다,

If it is the former, then he is inconsistent; if it is the latter, then this is precisely the danger of which Machen speaks—orthodox nomenclature that veils liberalism.


이것이 후자로 나타난 것은 윌슨이 라이트를 "뛰어난 해석가"로 부르면서, 그는 "본문이 '표준' 해석들과 충돌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It appears that it is the latter because Wilson calls Wright “an outstanding exegete,” who “does not shy away from showing how the text conflicts with ‘standard’ interpretations.”[63]  


훈련 받은 신학자나 신약학자들은 명칭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하여 쉽게 분별을 할 것이지만, 그렌트의 서평이나 윌슨의 일반적인 칭송을 읽는 평신도들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The trained theologian or New Testament scholar will readily identify this shift in nomenclature, but the person in the pew who reads Grant’s review or Wilson ’s general approbation may not.


마찬가지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필라델피아)의 구약학 교수인 피터 엔즈는 최근 라이트가 설교한 두권에 대하여 긍정적인 서평을 하였다.
Likewise, Peter Enns, professor of Old Testament at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 Philadelphia ) recently positively reviewed two volumes of sermons by Wright.


엔즈는, "나는 이러한 책들을, 성경적 그리스도를 좀 더 알기를 원하고 이러한 예수의 도전을 주위의 사람들에게 전해주길 원하는 사람 모두에게, 아무 주저함이 없이 권한다"고 말한다.

Enns writes, “I recommend these volumes without reservation to all who wish to know better the biblical Christ and bring the challenge of this Christ to those around them.”[64]  


하지만 만약에 복음, 죄, 칭의, 그리고 믿음에 대한 라이트의 관점이 자신의 가르침을 증거하고 있다면, 우리는 라이트의 예수가 진정으로 "성경적 예수"인지 의심해보아야한다.

Yet, if Wright’s views on gospel, sin, justification, and faith stand behind his preaching, then we must wonder if Wright’s Jesus truly is “the biblical Christ.”


새관점주의자들은 우리에게 옛관점을 버려야 할 아무런 근거도 제시해주지 못하고있다.
The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give us no reason to abandon the old perspective.  


그들의 사례에는 일차적인 자료들이 결핍 되어 있으며, 성경 자체와 충돌이 되는 근원적인 가정들을 가지고 있다.

Their case lacks evidence from primary sources and has fundamental presuppositions that conflict with Scripture itself.  


새관점의 원천으로부터 마시는 이들은 매우 분별력을 가지고 마셔야 하는데 이는 정통주의 명칭 뒤에 자유주의가 숨어있기 때문이며, 자유주의의 심장은 불신앙이다.

Those who drink at the fountain of the new perspective must drink with great discernment because hiding behind orthodox nomenclature lies liberalism, and the heart of liberalism is unbelief.  


끝으로, 결국 해 아래 새것이 없다는 전도자의 말이 옳은 것 같다.

In the end, it looks like Qohelet was right after all—there is nothing new under the sun.


___________

[57] Trueman, “Martin Luther,” p. 1.

[58] These are not the only questionable areas in the theology of new perspective advocates.  Wright, for example, does not come out and say he believes in the virgin birth of Christ but that it is a possibility and that the New Testament authors believed it: “What if we find that, very early within the movement that grew up around [Christ], there arose two independent sources claiming that he had been conceived without a human father?  Faced with all of this, a belief in this God, and this Jesus, may compel us to hold open the possibility that this account of his conception might just be true” (Wright, Who Was Jesus?, p. 83).  He also states, “One of the best possible answers is that [Matthew and Luke] very firmly believed it to be true” (Wright, Who Was Jesus?, p. 84).

[59] Søren Kierkegaard, Attack Upon ‘Christendom,’ trans. Walter Lowrie (1944; Princeton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8), p. 57.

[60] J. Gresham Machen, Christianity and Liberalism (1923; Grand Rapids : Eerdmans, 1999), p. 177.

[61] George Grant, “Books: Revisiting the Apostle,” World Magazine, 1 Nov 1997 .

[62] Douglas Wilson, “N. T. Wright and All That,” Credenda Agenda 13/3 (2002), p. 10.

[63] Wilson , loc. cit.

[64] Peter Enns, “Book Review of N. T. Wright’s Crown of Fire and Following Jesus,”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8/2 (1996), p. 328.




posted by Wonho Kim
:

존 페스코가 말하는 바울에 관한 새관점: 칼빈과 톰 라이트- 5부


특별한 해석학적 고찰들

Specific Exegetical Observations


앞서 라이트와 칼빈의 관점을 해설하면서 우리는 두 신학자 사이에 몇 가지 다른 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In our previous exposition of the views of Wright and Calvin, we were able to detect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logians.  


우리는 비교되는 3가지 주요 분야를  끄집어냄으로서 작업해야 할 주요 골격에 도달하게 된다: (1) '하나님의 의'라는 문구의 해석; (2) 칭의의 속성; 그리고 (3) '율법의 행위'라는 문구의 의미.

We brought out three major areas of comparison to give us a framework in which to work: (1) the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the righteousness of God;’ (2) the nature of justification; and (3) and the meaning of the phrase ‘the works of the law.’  


이제 우리는, 각각의 주제를 완전히 분해하여 논평하기를 원하지 않고, 다른 이들이 이것을 이미 하였기에, 우리는 칼빈의 해석학적 방법을 라이트의 것과 비교하면서 몇가지 관찰을 할 수 있을 것이다.

Now, while we do not want to enter a full-fledged dissection and refutation of each issue, as others have done this elsewhere, we can make some observations about Calvin’s exegetical method in contrast to that of Wright.[34]


"하나님의 의"라는 문구의 주제에 관해서, 우리는 바울이 하나님이 소유하신 도덕적 속성을 옮겨 받는 것, 즉 라이트가 말하는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과 공유하는 무엇, 즉 칼빈이 말하는 법정적 칭의를 의미하는지 물어보아야한다.
Regarding the issue of the phrase ‘the righteousness of God,’ we must ask whether Paul means to convey a moral quality that God possesses, i.e., Wright’s covenant faithfulness of God, or whether it is something that God imparts to His people, i.e. Calvin’s forensic righteousness.  


물론 이러한 문구는 로마서1장 17절에서 볼 수 있고, 신약의 해석에 있어서 가장 논쟁이 되는 문구인 것이다.

This phrase, of course, is found in Romans 1.17 and is one of the most debated phrases in New Testament exegesis.[35]  


이 문구에 대하여 상세히 해석하는데 들어갈 수 없기에, 우리는 라이트가 침묵하는 곳에서 칼빈이 바울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While we can not enter into a detailed exegesis of this phrase we should note that Calvin echoes Paul where Wright is silent.  


라이트는 '하나님의 의'가 하나님께 속한 배타적인 영역이라고 전한다.

Wright conveys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exclusively a category that belongs to God.  


반면에 칼빈은, 이것이 하나님께 속하여있는 영역일 뿐만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신자와 교통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

Calvin, on the other hand, notes that it is not only a category that belongs to God but that it is also something that God communicates to the believer.  


칼빈이 로마서3.26을 해석한 것을 보자.

Note Calvin’s comments on Romans 3.26:


이것은 그가 그리스도가 오셨을 때 나타난 의로 정의한 것으로서, 이것은 그가 1장에서 가르친 것과 같이 복음에 나타난 것이다.
This is a definition of that righteousness which he said had been revealed when Christ was given, and which, as he has taught us in the first chapter, is made known in the Gospel.


그는 이것이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고 확신한다.

He affirms that it consists of two parts.  


첫번째는 하나님께서 의로우신 것은, 실제로 많은 것 중에 한 가지로서가 아니라, 본인 자신 안에 스스로 모든 의의 충만함을 가지고 계신 분이시기 때문이다.

The first is that God is just, not indeed as one among many, but as one who contains in Himself alone all the fullness of righteousness.  


그는 충만하고 완전한 찬양을 받으시는데 이는 그에게 마땅한 것이고 오직 하나님만이 홀로 의롭다는 이름과 영예를 얻으셨으나 인류 모두는 불의로 저주를 받는 것이다.

He receives the full and complete praise which is His due only as He alone obtains the name and honor of being just, while the whole human race is condemned of unrighteousness.  


다른 부분은 의의 소통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결코 자신의 풍성하심을 자신 안에만 가두어 놓으신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이것들을 인류에게 부어 넣으신다는 것이다.

The other part refers to the communication of righteousness, for God does not by any means shut His riches within Himself, but pours them forth upon mankind.  


그러므로 하나님의 의는, 그가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으로 의롭다고 하시는 한에서 우리 가운데 빛나시는데, 이는 만약에 믿음에 의한 즐거움이 없다면 그리스도는 우리의 의를 위하여 헛되이 내어주신 것이다,

The righteousness of God, therefore, shines in us in so far as He justifies us by faith in Christ, for Christ was given in vain for our righteousness, if there were no enjoyment of Him by faith.  


이것으로부터 이어지는 것은, 하늘로부터 치료책이 그들에게 제공될 때까지는, 그들 안에서 모든 사람이 불의하고 상실되었다는 것이다,

It follows from this that in themselves all men are unrighteous and lost, until a remedy from heaven was offered to them.[36]


그러므로, '하나님의 의'라는 문구가 배타적인 하나님의 도덕적 속성, 즉 그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이라는 것은 바울이 하나님의 의에 대하여 진술하는데 있어서 고려되지 않고있다는 것이다. 그는 의로우시며 의롭게 하시는 분일 뿐만이 아니라 이러한 의는 믿음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이다.
So, then, to argue that the phrase ‘the righteousness of God’ is exclusively a moral quality of God, i.e. His covenant faithfulness, does not take into account Paul’s statement that with the righteousness of God (dikaiosu,nh qeou/, dikaiosune theou) He is not only the just and the justifier (di,kaion kai. dikaiou/nta, dikaion kai dikaiounta) but that this righteouness is communicated through faith.


그러나 이것은 우리들로 하여금 칼빈과 라이트 사이의 두번째 주제, 즉 칭의의 속성으로 인도한다.

This brings us, however, to the second issue between Calvin and Wright, namely the nature of justification.


중요한 것은 라이트가 로마서3장 26절이 하나님께서 의로우시며 의롭게 하시는 분이시라는 것을 언급하고있다는데 동의한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한다.
It is important that we note that Wright would agree that Romans 3.26 does state that God is both the just and the justifier.  


그러나 칼빈과 라이트가 동의하지 않는 부분은 신자와 관계된 칭의의 속성에 관해서다.

Where Calvin and Wright, however, would disagree is on the nature of the jus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believer.  


우리는 라이트가, 칭의는 사람이 하나님의 언약 백성에 속하여있음을 하나님께서 분명히 하는 것과, 이것이 시대의 종말에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궁극적인 종말론적 인정과 우선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는 것을 이미 살펴보았다.

We have already seen that Wright believes that justification is God’s declaration that a person is part of His covenant people and that this is primarily tied in with the ultimate eschatological vindication of the people of God at the consummation of the age.  


다른 한편으로, 칼빈은 칭의가 그리스도의 의가 믿음을 통하여 신자에게 실질적으로 전가된다고 믿고있다.

Calvin, on the other hand believes that justification is the actual imput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Christ to the believer through faith.


양쪽 신학자를 피상적으로 보게 된다면 우리에게 주의를 요구하는 여러가지 요소들이 나타나게 된다, 말하자면 칭의와 연관된 더 큰 교리적 주제들이다.
In the cursory exposition of the views of both theologians several factors emerge that demand our attention—namely the greater doctrinal issues that are connected with justification.  


성경의 교리들이 유기체적 전체의 일부라는 것을 관찰한 사람은 워필드였다; 맞다, 이들은 각자 논의 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 이들은 서로에게서 분리 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It was B. B. Warfield who observed that the doctrines of the Bible are part of an organic whole; yes, they can be discussed individually but ultimately they can not be divorced from one another.[37]  


이것은 라이트와 칼빈의 입장 사이에서 두드러진 대비를 보여주는 것이다.

This is something that is a marked contrast between the positions of Wright and Calvin.


예를 들어, 그들 각자의 칭의에 대한 정의를 비교해보면; 우선, 라이트는 칭의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의하고있다:
For example, let us compare their respective definitions of justification; first, Wright defines justification in the following manner:


"1세기에서의 '칭의'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나님과의 관계를 확립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 아니다. 이는, 미래와 현재에 있어서, 실제로 누가 자기 백성의 일원인가에 대한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정의인 것이다."

“‘Justification’ in the first century was not about how someone might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God. It was about God’s eschatological definition, both future and present, of who was, in fact, a member of his people.”[38]


다른 한편, 칼빈은 이것을 하나님께서 우리를 기쁘시게 의로운 사람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정의한다.

Calvin, on the other hand, defines it as the acceptance with which God receives us into his favor as righteous men.  


그리고 우리는 이것이 죄사함과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로 구성되어있다고 말한다.

And we say that it consists in the remission of sins and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39]  


두 사람 사이의 차이는 명백하다.
The divergence between the two men is evident.  


라이트의 정의는 신분에 관한 말로서, 누가 언약에 속하여있느냐, 혹은 달리 말하면, 라이트는 종말론으로부터 말하고있는 것이다.

Wright’s definition speaks of identity—who belongs to the covenant—or in other words, Wright speaks from ecclesiology.  


다른 한편, 칼빈은 죄, 의의 필요를 말하고있으며, 달리 말하면, 칼빈은 구원론으로부터 말하고있는 것이다.

Calvin, on the other hand, speaks about sin, the need for righteousness—or in other words, Calvin speaks from soteriology.


둘 사이에 결정적인 차이를 만드는 것은 라이트가 궁극적으로 구원론에 속하는 모든 논의를, 다른 교리적 고려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 시키면서, 무시한다는 것이다,

What makes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at Wright virtually by-passes all discussions that pertain to soteriology effectively divorcing it from other doctrinal considerations.  


이와는 달리, 칼빈은, 둘이 서로 연결되어있는 것으로 알려진, 구원론과 교회론을 연결시키고있다.

Calvin, on the other hand, makes the connection between soteriology and ecclesiology knowing that the two are interconnected.  


우리는 각각의 저자들의 여러가지 예들을 통하여 이러한 점들을 볼 수 있다.

We can see this point by several examples from each writer.


예를 들어서, 그리스도의 사역에 있어서, 톰 라이트는, 예수가 구원론의 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오시지는 않았다고 말한다.
For example, when it comes to the ministry of Christ, argues Wright, Jesus did not come to deal primarily with issues of soteriology.


차라리, 그리스도는 교회론적이고 종말론적인 문제들, 즉 어떻게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최종적 인정을 받을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있다는 것이다.

Rather, Christ presents ecclesiological and eschatological issues—namely, how to bring about the final vindication of God’s covenant people.  


라이트는,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우선적 목적은 이스라엘로 하여금 회개를 촉구하는 것인데, 이는 가벼운 각자의 죄들보다는 언약의 하나님이신 창조주에 대한 커다란 국가적 반역에 대한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Wright contends that Christ’s “first aim, therefore, was to summon Israel to ‘repent’—not so much of petty individual sins, but of the great national rebellion, against the creator, the covenant God.”[40]  


라이트에 따르면, 1세기 유대교에서는 궁극적인 칭의나 하나님의 백성으로 인정받거나 승리를 가져오는 것에 관한 3가지 주요 선택을 제공하는데: (1) 쿰란 공통체로의 분리, (2) 헤롯과 같이 로마에 정치적으로 합의를 하거나, 그리고 (3) 열심당의 군사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Wright, first century Judaism offered three main options for bringing about the ultimate justification, or vindication and victory, of the people of God: (1) the separatism of the Qumran community, (2) political compromise like Herod’s with Roman, and (3) the militaristic approach of the zealots.[41]  


이러한 선택들은 모두 하나님의 언약의 약속된 나라를 가져오는 것에 관한 그럴듯한 해석들이다.

These options were all specious interpretations of bringing about the promised kingdom of God ’s covenant.  


라이트는 다음과 같이 논한다

Wright argues that


그렇다면, 문제는 신앙이 아니라 종말론이며, 도덕성이 아니라 나라의 도래이다. 그리고 나라의 도래는 예수님께서 알리신 것과 같이, 그의 시대의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은 비망록으로 도전하게된다: 너의 전통에 근거한 너의 해석을 포기하라, 그것은 너를 파멸로 몰아갈 것이다. 대신에 전통과 매우 다른 해석을 수용하라, 그것은 비록 상실되는 방법인 것 같아 보일지라도, 사실 참된 승리의 길이다. 내가 제안하건대, 이것이 상징적 행동들로 채워질 때는 예수와 바리세인들 간의 열띤 논쟁을 유발할 것이며, 예수의 삶에 대항하는 음모를 낳게 될 것이다.
what mattered, then, was not religion but eschatology, not morality but the coming of the kingdom.  And the coming of the kingdom, as Jesus announced it, put before his contemporaries a challenge, an agenda: give up your interpretation of your tradition, which is driving you toward ruin.  Embrace instead a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 one which, though it looks like the way of loss, is in fact the way to true victory.  It was a challenge, I suggest, which when backed up by symbolic actions generated the heated exchanges between Jesus and the Pharisees and resulted in plots against Jesus’ life.[42]


라이트는, 예수와 바리세인 간의 충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를 계속하면서, (예수와 바리세인 간의) 의견의 불일치는 그(예수)가 반율주의자이거나 혹은  그들(바리세인)이 행위에 의한 칭의를 믿은 것과는 달리 그 (예수)가 믿음에 의한 칭의를 믿은 것 때문이 아니고, 이스라엘에 대한 그의 나라의 비망록이 요구하였던 것은, 이스라엘이 자신의 황당한 피해망상의 자기 방어로부터 떠나서 조상의 법전들에 의해서 다시 강해져서, 세상의 빛과 땅에서의 소금이 되라는 소명을 대신 수용하라는 것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Wright continues to elaborate the conflict between Jesus and the Pharisees and argues that the disagreement came about not because he was an antinomian or because he believed in justification by faith while they believed in justification by works but because his kingdom-agenda for Israel demanded that Israel leave off her frantic paranoid self-defense, reinforced as it now was by the ancestral codes, and embrace instead the vocation to be the light of the world, the salt of the earth.[43]


자 이제 어떻게 라이트가 죄와 구원론을 무시하는지, 그리고 오직 교회론과 종말론만을 언급하는지 알아보도록하자.
Now, notice how Wright by-passes discussion of sin and soteriology and makes reference only to ecclesiology and eschatology.  


(톰 라이트가 말하는) 회개는 단순히 언약과 종말론에 관계된 전통의 잘못된 해석을 버리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Repentance simply constitutes abandonment of mis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 as it relates to covenant and eschatology.  


(여기에는) 개인적인 도덕성, 죄, 그리고 구원론의 개념들이 결여되어있는데, 이는 칭의, 교회론, 그리고 종말론과 분리가 불가능하게 연결되어있다.

Absent are the concepts of personal morality, sin, and soteriology, which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justification, ecclesiology, and eschatology.


다른 한편, 칼빈으로 돌아와서 보면, 라이트의 분석과는 대조적으로 칭의를 전체적으로, 그리고 유기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hen we turn to Calvin, on the other hand, we see a full-orbed and organic treatment of justification in contrast to Wright’s analysis.  


예를 들면, 칼빈은 칭의가 다른 많은 교리들과 서로 얽혀있다고 말한다.

For example, Calvin argues that justification is intermeshed with a host of other doctrines.  


그는 "그리스도는 동시에 성화 되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의롭다고 하시지 않으신다. 이러한 유익들은 영속적이고 분리시킬 수 없는 연합으로 연결되므로, 그가 자신의 지혜를 비추시는 이들을, 그가 구속하시며; 그가 구속하시는 이들을, 그가 의롭다고 하시며; 그가 의롭다고 하시는 이들을, 그가 깨끗하게 하신다."고 기록한다.

He writes that “Christ justifies no one whom he does not at the same time sanctify. These benefits are joined together by an everlasting and indissoluble bond, so that those whom he illumines by his wisdom, he redeems; those whom he redeems, he justifies; those whom he justifies, he sanctifies.”[44]  


비슷한 맥락에서 칼빈은 칭의의 여정을 펼치는데 이는 그가, 하나님께서는 우선 자신의 순수하고 값 없이 주시는 선으로 죄인을 감히 포용하신다고 말할 때, 그 (죄인)에게서는 비참한 상태 외에는 찾을 수 있는 것이 없기에 즉시 자비를 베푸실 수 밖에 없으시며, 이는 사람이 궁극적으로 헛되며 선한 행실이 없기 때문에; 그는 자신 안에서 사람을 유익하게할 근거를 찾으시는 것이라고 말한다.

Along similar lines Calvin lays out the order of justification when he says that God first deigns to embrace the sinner with his pure and freely given goodness, finding nothing in him except his miserable condition to prompt Him to mercy, since he sees man utterly void and bare of good works; and so he seeks in himself the reason to benefit man.  


그 다음에 하나님께서는 죄인을 자신의 선하신 인식으로 어루만지시며, 그 자신의 행위에 대한 절망으로 인하여, 그의 구원을 전부 하나님의 자비에 근거하게 하신다.

Then God touches the sinner with a sense of his goodness in order that he, despairing of his own works, may ground the whole of his salvation in God’s mercy.  


이것은 믿음의 경험으로서, 이것을 통하여 죄인이 자신의 구원을 소유하게 되는데, 이때는 복음의 가르침을 통하여 자신이 하나님과 화목케 되었다는 것을 알게되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의 의로서 중재를 하시고 죄를 용서하심으로서 그가 의롭게 된다는 것이다.

This is the experience of faith through which the sinner comes into possession of his salvation when from the teaching of the gospel he acknowledges that he has been reconciled to God: that with Christ’s righteousness interceding and forgiveness of sins accomplished he is justified.[45]


칼빈이 칭의를 라이트와 전혀 다른 축으로서 순환시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hat we notice that Calvin’s treatment of justification rotates on an entirely different axis than that of Wright.  


칼빈이 구원론, 거듭남, 믿음, 범죄, 회개, 그리고 성화의 문제를 어떻게 칭의와 연계시키는지 관찰해보라.

Notice how Calvin connects matters of soteriology, regeneration, faith, guilt, repentance, and sanctification, to justification.


더군다나 칼빈은 개별적인 신앙인을 강조하는데 반하여 라이트는 그렇지 않다.

Moreover, Calvin emphasizes the individual believer whereas Wright does not.  


그렇다면 칼빈은 공동체를 희생하면서까지 개인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단 말인가?

Does Calvin, however, over-emphasize the individual at the expense of the corporate body?


첫 번째로, 칼빈은 자신의 칭의 교리에서 공동체를 희생하면서까지 개인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First, Calvin does not emphasize the individual at the expense of the corporate body in his doctrine of justification.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칼빈은 전체로서의 교리가 유기적임을 인식하고있다.

As previously stated, Calvin recognizes that doctrine as a whole is organic.  


모든 이들이 하여야 할 것은, 칼빈이 보이지 않는 교회를, 예를 들면,  칭의를 받은 사람들인 "하나님의 선택된 모두"로 정의 하면서 만든 연결들을 보아야 하는 것이다,

All one must do is see the connections Calvin makes, for example, with his definition of the invisible church as “all God’s elect,” which are those  who receive justification.[46]


이러한 개념은 우리가,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근본적으로 개인적인 세대로부터 떠나서, 회상을 해 볼 때, 좀 더 실례를 들어볼 수 있는데, 칼빈은 공동체적 단결에 의하여 특징되어지는 시대에 살았던 것이다.
This idea can be further illustrated when we recall that far from the radically individualistic age in which we now live, Calvin lived in a time that was marked by corporate solidarity.  


공동체적 단결은 강령과 고백과 교리문답에 의하여 유지되었었다.

Corporate solidarity was maintained by creeds, confessions, and catechisms.  


예를 들어, 칼빈은 제네바의 모든 거주민에게 일반적 고백에 대한 서명을 요구하는 실천을 확립하였었다.

Calvin, for example, established the practice of requiring all the inhabitants of Geneva to subscribe to a common confession.  


이것은 도시의 공동체적 연합을 유지하기 위하여 행하여진 것이다.

This was done to maintain the corporate unity of the city.[47]


예를 들어, (제네바)시에서의 교리문답인, 칼빈의 신앙 교훈은 세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있다: "세례는 . .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 가운데 일원이 되기를 원한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밝히는 표시로서, 우리가, 모든 믿는 이들과 함께, 하나의 신앙으로서, 한 분이신 하나님을 섬기고 영화롭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Calvin’s Instruction in Faith, the city’s catechism, for example, states the following regarding baptism: “Baptism . . is a mark by which we publicly declare that we wish to be numbered among the people of God, to the end that we, together with all believers, may serve and honor, with one same religion, one God.”[48]  


칼빈은 개인이 세례를 통하여 공동체의 지체가 된다는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Calvin stresses the idea that the individual is baptized into a corporate body.  


그러므로 우리는 칼빈이 교회의 공동체적 성격의 중요성과 그것의 칭의와의 연계를 간과하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So, we see that Calvin does not miss the importance of the corporate nature of the church and its connection with justification.


두 번째는, 칼빈이 개인적 구원의 개념을 강조하는 실수를 범하였는가?
Second, is Calvin in error for emphasizing the concept of individual salvation?  


예를 들면, 라이트는 "로마에 보내는 바울 서신이 어떻게 사람이 구원을 얻는다거나, 어떻게 그들이 개인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수립하는가에 대하여 아무 생각 없이  진술한 것이 아니라 창조자 하나님의 언약 목적들을 설명하고자 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Wright argues, for example, that Paul’s epistle to the Romans is not “a detached statement of how people get saved, how they enter a relationship with God as individuals, but as an exposition of the covenant purposes of the creator God.”[49]  


그래도 칼빈은 "어떻게 사람이 하나님과 화평을 이룰 것이가?" 라는 성경의 주요 주제 가운데 한 가지를 단순히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Yet, Calvin simply echoes one of the major themes in Scripture—how a person has peace with God.


예를 들어서, 칼빈은 바울과 실라에게 "내가 어떻게 하여야 구원을 얻으리이까"(행16:30)라고 소리를 지른 빌립보 간수에 대하여 "그는 그의 사역자들의 문하생으로서 자신을 표현하며 진실로 겸손하였다"고 설명하고있다.
For example, Calvin comments on the cry of the Philippian jailer who cried out to Paul and Silas, “What must I do to be saved” (Acts 16.30) that “he was truly humbled to present himself as a pupil to His ministers.”[50]  


여기서 칼빈의 설명은 분명히 선을 벗어나진 않았다.

Here Calvin’s comment is certainly not out of line.  


빌립보 간수는 개인으로서 어떻게 구원을 받을 수 있는지를 물어보았다.

The Philippian jailer asked the question of how he, an individual, could be saved.


우리는 이러한 점에서 라이트와 새관점 옹호자들이, 종교 개혁의 바울에 관한 (포스트)모더니스트의 해석에 공헌했는지-이것은 상당히 시대착오적인 것이다- 를 의심해 보아야한다.
We have to wonder at this point if Wright, and the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are attributing a (post)modernist reading of Paul to the Reformation, which is highly anachronistic.[51]  


예를 들면, 칼빈이 "사람의 죽음은 사람이 자아를 상실하는 자신의 근원에서 벗어나서 살려고 발버둥 친다는 사실에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생명은 자아를 둘러싼 것으로부터  벗어나 하나님께로 나아갈 때 생기며, 이것에 의하여 자신의 자아를 얻게되는 것이다"와 같은 루돌프 불트만의 말을 하겠는가?

Would Calvin, for example, say with Rudolf Bultmann that “man’s death has its cause in the fact that man in his striving to live out of his own resources loses his self,” but on the other hand, “life arises out of surrendering one’s self to God, thereby gaining one’s self”?[52]  


칼빈이 하이데거 실존주의자들의 칭의에 대한 바울 해석을 인정한다는 것은 상상하기가 힘들다.

It is hard to imagine Calvin affirming a Heideggerian exisistentialist reading of Paul on justification.


이러한 주제들을 열심히 하다보면, 우리는 세번째이면서 마지막 주제, 즉 "율법의 행위"에 관한 문구의 의미를 살펴보게된다.
With these issues addressed, this leads us to examine the third and final issue, namely the meaning of the phrase ‘the works of the Law.’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라이트와 새관점주의자들은, '율법의 행위'의 문구가 율법주의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주장을 한다.
As previously noted, Wright and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argue that the phrase ‘the works of the Law’ has nothing to do with legalism.  


차라리, 이러한 문구는 할례와 같은 유대인의 문화적 상징, 혹은 경계 표지라고 언급한다.

Rather, this phrase refers to the Jewish cultural badges or boundary markers, such as circumcision.  


우리는 칼빈이 이러한 핵심 문구를 오해하였는지 물어보아야 한다.

We must ask whether Calvin has misunderstood this key phrase.  


이 의문에 대한 답은 '아니다'이다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No.  


우리는 어떻게 칼빈이 이러한 문구를 잘못해석하지 않았다는 결정을 할 수 있는가?

How can we determine that Calvin has not misinterpreted this phrase?  


그 답은 두 가지 면에서 그러하다.

The answer comes on two fronts.


첫 째로, '율법의 행위'는 은혜에 의한 구원 개념과 나란히 놓여있는 유일한 구절은 아니다.
First, ‘works of the law’ (e;rgwn no,mou, ergon nomou) is not the only phrase juxtaposed with the idea of salvation by grace.


예를 들어서, 로마서9:11에 대한 칼빈의 분석에서 그는 하나님께서는 행위의 공로를 고려하지 않으셨다고 분석하는데, 이는 야곱이나 에서나 하나님의 측량에 비중이 있는 어떠한 공로도 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For example, in Calvin’s analysis of Romans 9.11 he argues that God does not consider the merit of works because neither Jacob nor Esau had performed any works that God could weigh in the scales.  


그는 바울이 하나님의 목적을 행하는 것을 반대하는데 이는 하나님 홀로 자신의 선하신 기쁨에 속하여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He argues that Paul “sets in opposition to works the purpose of God, which is contained in His own good pleasure alone.”  


그는 에서보다 야곱이 선택되었던 것은 "형제가 태어나기 전이었고 선과 악을 행하기 전이었다"고 덧붙인다.

He adds that Jacob was chosen over Esau “before the brothers were born and had done either good or evil.”[53]  


이제 중요한 것은 우리는 칼빈이 여기서 어거스틴-펠라기우스 논쟁을 가져다 사용한 것이 아니고; 차리리, 그는 단순하게 행위를 '선과 악' 모두로 정의하는 바울을 반복하고있음을 알아야한다.

Now it is important that we note that Calvin does not import the Augustine-Pelagius debate here; rather, he simply echoes Paul who defines works as either ‘good or evil.’  


이러한 이해는 라이트가 제시한 것과 같이 심히 미묘한 차이가 있는 정의가 아니다.

This understanding is not the highly nuanced definition that is set forth by Wright.


로마서 9.11은 바울이 일반적인 행위와 하나님의 은혜 사이에 대립 관계를 설정한 유일한 곳은 아니다.

Romans 9.11 is not the only place that Paul sets up the antithesis between works in general and the grace of God.


칼빈은 에베소서 2장 8-9절을 해석하면서, 바울이 "의는 하나님 한 분의 자비로부터 우리에게 오는 것이며, 이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복음에 의하여 우리에게 제공되는 것이며, 행위의 공로 없이 오직 믿음으로 수용되는 것이라는, 로마와 갈라디아에 보내는 서신에서의 긴 논쟁의 본질을 수용하는 것"이라고 기록한다.
Commenting on Ephesians 2.8-9 Calvin writes that Paul “embraces the substance of his long argument in the Epistle to the Romans and to the Galatians, that righteousness comes to us from the mercy of God alone, is offered to us in Christ and by the Gospel, and is received by faith alone, without the merit of works.”  


그는 계속해서 기록하기를, 효과적인 분석으로는 궁극적으로 새관점에서 행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 의미에 대한 로마 카톨릭의 이해에는 결함이 있다는 것이다.

He goes on to write, in a telling analysis that virtually parallels the new perspective understanding of the term works,  that the Roman Catholic understanding of the term is defective.  


칼빈은 로마카톨릭이, 그리고 우리는 라이트와 새관점의 사람들을 추가할 수 있겠지만, 우리에게, 바울이 우리가 행위 없이 의로워진다고 말하는 것은 바로 의식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기록하고있다.

Calvin writes that the Roman Catholics, and we might add Wright and those of the new perspective, tell us that Paul is speaking about ceremonies when he tells us we are justified without works.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가 행위의 한 가지 종류만을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의 전체를 거부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행위를 부정하는 것과, 사람 전체와 그가 가진 모든 것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이다.

But it is quite certain that he is not dealing with one sort of works, but rejects the whole righteousness of man, which consists in works—nay, the whole man, and everything that he has of his own.  


우리는 하나님과 사람, 은혜와 행위 간의 대조에 대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We must observe the contrast between God and man, between grace and works.  


논쟁이 오직 의식에만 관계된다면, 왜 하나님은 사람과 대비되셔야만 하는가?

Why should God be contrasted with man, if the controversy only concerned ceremonies?[54]


바울에 관한 새관점은 그렇게 새로운 것이 아니며, 라이트와 같은 옹호자들은  '율법의 행위'라는 문구의 의미를 축소시키려는 사람으로서, 이 경우에 있어서는 행위'가 공로로서의 일반적 행위밖에 않되지만, 처음으로 해석된 것은 아니다.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s not quite so new; advocates such as Wright are not the first exegetes who have tried to narrow the meaning of the phrase ‘the works of the law,’ or in this case the term ‘works,’ to something less than general actions of merit.[55]  


칼빈은 행위라는 의미가 할례를 포함하는 의식만을 언급하고있다는 것을 배제한다.

Calvin rules out that the term works refers only to ceremonies, which would include circumcision.  


더군다나, 중요한 것은 우리는, 칼빈이 자신의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 성경의 유비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Moreover, it is important that we see that Calvin is using the analogia Scripturae to arrive at his conclusions.  


그는 에베소서 2장 8-9절이 바울이 로마서와 갈라디아서를 통하여 논하고자하는 것의 정수라고 말한다.

He argues that Ephesians 2.8-9 is a distillation of what Paul argues throughout Romans and Galatians.  


칼빈은, 일반적으로 라이트가 이의를 제기하는 것과 같이, 어거스틴-펠라기우스 논쟁을 바울에 왜곡시켜  대입시키지는 않았다.

Calvin has not, as is commonly charged by Wright, eisegeted the Augustine-Pelagius debate into Paul.  


그러나 알아야 할 흥미로운 것은, 라이트를 포함하여 새관점 지지자들은, 이러한 핵심 본문에 대한 칼빈의 해석에 동의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What is of interesting note, however, is that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including Wright, would not agree with Calvin’s exegesis of this key passage.


새관점 지지자들은 대부분 칼빈의 결론들에 대하여 동의를 하려고 하지 않는데, 이는 그(칼빈)가 본문을 잘못 해석하였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에베소서에 대한 바울의 저작권을 거절하고있기 때문이다.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would most likely disagree with Calvin’s conclusions, not because he has misinterpreted the passage, but because they reject the Pauline authorship of Ephesians.  


비록 라이트는 에베소서에 대한 바울의 저작권을 명확하게 부인하지는 않지만, 그는 에베소서 2장 8-9절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는다.

Though Wright does not explicitly deny Pauline authorship of Ephesians, he makes no reference to Ephesians 2.8-9.  


예를 들면, 던은 에베소서에 대한 바울의 저작권을 믿지 않는다.

Dunn, for example, does not believe in the Pauline authorship of Ephesians.[56]


논의를 위해서, 바울이 에베소서를 기록하지 않았다고 가정을 해보자.
For the sake of argument, let us assume that Paul did not write Ephesians.  


그렇다고 할지라도, 칭의 교리를 전부 살펴보고 노출 시켜보면, 본문을 이와같이 해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Even so, a thorough examination and exposition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should exegete this passage.  


이러한 본문과 그것에 대한 칼빈의 해석을 무시하고 개혁주의 전통이 곡해하였다고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최소 한도로 말하더라도, 결함이 있는 학문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To ignore this passage and Calvin’s exegesis of it, and then accuse the Reformed tradition of eisegesis is once again defective scholarship, to say the least.


우리가 이제 칼빈과 라이트 사이의 이와 같은 비평적 주제를 살펴보았으므로, 이제 우리의 결과를 요약해서 몇 가지 중요한 결론들을 산출해보고자 한다.
Now that we have surveyed these critical issues between Calvin and Wright, we may now summarize our results and draw some important conclusions.


________

[34] See Richard B. Gaffin, “Paul the Theologian,”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62/1 (2000), pp. 121-41; Thomas R. Schreiner, The Law and Its Fulfillment: A Pauline Theology of Law (Grand Rapids: Baker Books, 1993); Peter Stuhlmacher, Revisiting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A Challenge to the New Perspective (Downers Grove: Inter Varsity Press, 2001); Stephen Westerholm, Israel’s Law and the Church’s Faith (Eugene: Wipf & Stock, 1998).

[35] Thomas R. Schreiner, Romans, Baker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Baker Books, 1998), p. 63.

[36] Calvin, Romans, pp. 77-78.

[37] B. B. Warfield, “The Task and Method of Systematic Theology,” in The Works of B. B. Warfield, vol. 9, eds. Ethelbert D. Warfield, et al. (1932; Grand Rapids : Baker Books, 1981), pp. 94-95.

[38] Wright, Paul, p. 119.

[39] Calvin, Institutes, 3.9.2, p. 727.

[40] Wright, Who Was Jesus?, p. 101.

[41] Wright, Challenge of Jesus, p. 37.

[42] Wright, Challenge of Jesus, p. 58.

[43] Wright, Challenge of Jesus, p. 58.

[44] Calvin, Institutes, 3.16.1, p. 798.

[45] Calvin, Institutes, 3.11.16, p. 746.

[46] Calvin, Institutes, 4.1.2, p. 1013.

[47] François Wendel, Calvin: Origins and Development of His Religious Thought, trans. Philip Mairet (1950; Grand Rapids : Baker Books, 1997), p. 51.

[48] John Calvin, Instruction in Faith (1537), trans. and ed., Paul T. Fuhrmann (1977; Louisville : Westminster / John Knox, 1992), §28, p. 67.

[49] Wright, Paul, p. 131.

[50] John Calvin, The Acts of the Apostles: Acts 14-28, trans. John W. Fraser, Calvin’s New Testament Commentaries, eds. David W. Torrance and T. F. Torrance (Grand Rapids: Eerdmans, 1966), p. 86.

[51] Mark A. Seifrid, “The Pauline Gospel in a Postmodern Age,” in The Challenge of Postmodernity: An Evangelical Engagement, ed. David S. Dockery (Wheaton: Victor Books, 1995), p. 191.

[52] Rudolf Bultmann,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Complete in One Volume, trans. Kendrick Grobel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1-55), vol. 1, p. 270.

[53] Calvin, Romans, p. 201.

[54] John Calvin, Galatians, Ephesians, Philippians, & Colossians, trans. T. H. L. Parker, Calvin’s New Testament Commentaries, vol. 11, eds. David W. Torrance and T. F. Torrance (Grand Rapids: Eerdmans, 1965), pp. 144-45.

[55] Seifrid remarks that “Sanders’ ‘covenantal nomism’ is at root quite similar to the medieval understanding of facienti quod in se est Deus non denegat gratiam, particularly in the via moderna” (Seifrid, “Pauline Gospel,” p. 202).  Cf. McGrath, Iustitia Dei, pp. 70-91.

[56] James D. G. Dunn, “Works of the Law and the Curse of the Law (Galatians 3.10-14),” in New Testament Studies, 31 (1985), pp. 523-42; idem, Paul and the Law, p. 230; idem, Theology of Paul the Apostle (Grand Rapids: Eerdmans, 1998), p. 13, n. 13: “There is roughly even split among critical commentators on Colossians and 2 Thessalonians (I regard the latter as written by Paul and the former probably written by Timothy before Paul’s death…), while the majority regard Ephesians and the Pastorals as definitely post-Pauline (I side with the majority).”  Cf. Silva, “The Law and Christianity,” pp. 351-52.  For general coverage of the debate over Pauline authorship of Ephesians cf. Andrew T. Lincoln, Ephesians,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42 (Dallas: Word Books, 1990), pp. lix-lxiii; and Peter T. O’Brien, The Letter to the Ephesians, Pillar New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Eerdmans, 1999), pp. 37-45.  In addition to issues of canon, Dunn also rejects the doctrine of inerrancy (see Roger Nicole,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Scripture: J. D. G. Dunn versus B. B. Warfield,” Churchman 97/3, 98/1, 98/3 [1983], also in Standing Forth: Collected Writings of Roger Nicole [Fearn: Christian Focus, 2002], pp. 159-222).


posted by Wonho Kim
:

존 페스코가 말하는 바울에 관한 새관점: 칼빈과 톰 라이트


4부  라이트의 주장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Wright’s Claims


훈련 받지 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라이트와 칼빈 사이에는 칭의 교리에 대한 상당한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ven to the untrained eye, one can notice that there is a great degree of divergence between Wright and Calvi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더군다나 칼빈이 카톨릭에서의 ‘당연함과 일치의 공로’에 대한 논쟁을 언급하고 있다는 사실은, 최소한 칼빈을 포함하여 개혁주의자들이 바울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이방인의 개념을 들여왔다는 라이트의 주장에 어느 정도 신뢰를 부여해주는 것으로 보이기도한다.

Moreover, the fact that Calvin does mention the debate with Catholicism over condign and congruent merit appears to lend some credence to Wright’s claim that the reformers, at least Calvin, imported foreign ideas into their exegesis of Paul.  


1세기를 염두에 두고 바울을 해석하기보다는 그들(종교개혁자들)은 자신들의 16세기 주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어거스틴-펠라기우스를 자신들의 해석의 지식으로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Rather than exegete Paul with the first-century context in mind they had their own sixteenth-century issues by way of the Augustine-Pelagius debate informing their exegesis.  


하지만 바울에 대한 칼빈의 해석을 좀 더 깊이 파고들거나 라이트의 주장을 조심스럽게 분석해보면, 라이트의 비평이 틀렸다는 것이 나타날 것이다.

A careful analysis of Wright’s claims as well as delving more deeply into Calvin’s treatment of Paul, however, will reveal that Wright’s critique is incorrect.  


더군다나 이것은 칭의에 대한 라이트 자신의 해석의 결함들을 보여줄 것이다.

Moreover, it will reveal the shortcomings of Wright’s own interpretation of Paul on justification.  


우리는 몇몇 일반적 관찰을 통해서 라이트의 주장을 분석할 것이며, 그 다음에 칼빈의 바울 해석의 특징들을 깊이 파고들 것이다.

We will begin the analysis of Wright’s claims with some general observations and then delve into the specifics of Calvin’s exegesis of Paul.


라이트의 방법론에서의 결함들
Deficiencies in Wright’s methodology


우리가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종교개혁 해석에 대한 비판적 논평을 살펴보게 될때, 일차적 자료로서의 일부 참고 문헌에 심각한 결함이 있음을 보게 된다.
When we survey Wright’s critical statements of the Reformation interpretation of Paul there is a striking absence of any reference to primary sources.  


예를 들면 그의 "바울이 실제로 무엇을 말했는가"에서, 우리는 라이트가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칭의 교리에 대한 탐구를 그대로 인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맥그래스가 말하기를:

For example, in his What Saint Paul Really Said, we find Wright approvingly cite Alister McGrath in his survey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McGrath writes:


칭의 교리는 그 성경적 기원과는 상당히 무관하게 의미가 발전되었으며, 사람이 하나님과의 관계가 확립되는 수단으로서 관여하게 된 것이다. 교회는 칭의를 곡해시키면서 사람이 하나님과 화목케하는 논의에 포함시키기를 선택하면서, 이로 인하여 신약 성서에 심각하게 결함이 있는 개념을 강조하게된 것이다. '칭의 교리'는 바울의 기원과는 매우 무관한 교리 신학 안에서의 의미를 낳게 된 것이다.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as come to develop a meaning quite independent of its biblical origins, and concerns the means by which man’s relationship to God is established.  The church has chosen to subsume its discussion of the reconciliation of man to God under the aegis of justification, thereby giving the concept an emphasis quite absent from the New Testamen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as come to bear a meaning within dogmatic theology which is quite independent of its Pauline origins.[24]



맥그래스가 옳은지는 핵심이 아니다; 그(맥그래스)는 자신의 진술을 명백하게 일차적 자료에 근거를 두고있지만, 라이트는 그렇지 않다.
Whether McGrath is correct is beside the point; he has based his statement upon primary source evidence, whereas Wright has not.  


라이트는 어디에서 바울에 관한 전통적 해석이 잘못되었는지, 혹은 어디에서 개혁주의자가 어거스틴-펠라기우스 논쟁을 본문에 곡해하였는지를 증명하는 어떠한 일차적 근원 자료도 언급하고있지 않다.

Wright does not cite any primary source material to demonstrate where the traditional exegesis of Paul is wrong or where the reformers have eisegeted the Augustine-Pelagius debate into the text.[25]  


이것은 새관점 지지자들 가운데 드문 경우가 아니다.

This is not uncommon among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예를 들어서, 마틴 루터에 대한 던의 비평의 경우를 보면, 그는 루터가 자신의 회심에서의 근심으로 자신이 로마서 7장의 해석을 곡해 하였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일차적 근원에 대하여 언급을 하지 않는다.
In Dunn’s critique of Martin Luther, for example, he does not cite primary sources to substantiate the claim that Luther eisegeted his own conversion anxieties into his interpretation of Romans 7.


이러한 책망을 입증하기 위하여, 던은 루터의 저작들을 직접 인용하지 않고, 대신에 Roland Bainton의 루터의 생애를 인용하고 있다.

To substantiate this charge, Dunn cites Roland Bainton’s biography of Luther, not Luther’s writings directly.[26]  


이것은, 최소 한도로 말하자면, 결함이 있는 방법론이다.

This, to say the least, is defective methodology.  


입장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는 것은 분명히 책임 있는 학문의 영역 안에 있어야 하지만, 증거를 떠난 비판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To disagree with a position is certainly within the realm of responsible scholarship, but to critique apart from evidence is unacceptable.  


라이트는 일차적 자료와 그것의 역사적 환경을 살펴보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왜곡에 대한 주장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이것들은 어떠한 실제적 토대로부터 떠나서 공중에 매달려있는 것이다.

Because Wright does not examine primary sources and their historical setting, his claims of distortion lack cogency; they are suspended in mid-air apart from any factual foundation.


예를 들어, 칼빈이 로마서를 해석한 것의 역사적 문맥을 보게되면, 우리는 그가 단순히 성경을 곡해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Let us turn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Calvin’s exegetical work on Romans, for example, so that we may see that he was not simply eisegeting Scripture.


칼빈이 로마서의 주석을 기록했을 때의 16세기 환경을 조사해보면, 라이트의 주장을 누그러뜨리는 고려해야 할 많은 요소들이 있다.
When we survey the sixteenth-century milieu in which Calvin wrote his commentary on Romans, there are many factors to consider that mitigate Wright’s claims.  


David Steinmetz에 따르면 16세기에는 로마서 주석을 발간한 루터교, 개혁주의, 카톨릭, 근본주의 신학자들이 70인이 넘었다고한다.

David Steinmetz notes that in the sixteenth century there were over seventy Lutheran, Reformed, Catholic, and Radical theologians who published commentaries on Romans.  


여기에 더하여 한줌의 중세 작품은 물론 오리겐으로부터 암브로시에스터에 이르기까지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교부 저자들의 주석이 있었다.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partial or complete commentaries by Patristic authors from Origen to Ambrosiaster as well as a handful of medieval works.  


칼빈이 모든 유용한 로마서 주석을 참조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작업은 이러한 작품의 내용들과 상호 관련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While Calvin did not consult all of the available commentaries on Romans, his work certainly reflects interaction with this body of literature.[27]


예를 들면, 칼빈은 로마서4장에서 아브라함을 분석하면서 비느하스와 동정녀 마리아를 언급을 하는데, 이는 그가 "자신이 저자가 아니라는 해석학적 전통과 자신이 모든 다른 면에 있어서 격렬하게 경쟁적으로 고백적인 충실들을 표현하는 해석자들과 공유하는 해석학적 전통"을 반복하여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울 자신은 비느하스뿐만 아니라 동정녀 마리아도 언급하고있지않다.
For example, Calvin mentions Phinehas (Rom. 4.6) and the Virgin Mary (Rom. 4.20) in his analysis of Abraham in Romans 4 because he is repeating “exegetical traditions of which he is not the author and which he shares with interpreters who represent in all other respects fiercely competing confessional loyalties.  Paul himself mentions neither Phinehas nor the Virgin Mary.”[28]  


달리 말하면, 칼빈은 해석을 위하여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 간의 유명한 신학적 논쟁보다도 오래된 1500년 정도 뒤로 돌아가야만하는 해석학적 논쟁에 참여하고있었다.

In other words, Calvin was participating in an exegetical discussion that went back some fifteen-hundred years to exegetes that ante-dated the famous theological debate between Augustine and Pelgaius.  


칼빈은 바울에 있어서 단순하게 어거스틴-펠라기우스 논쟁을 곡해한 것이 아니다.

Calvin was not simply eisegeting the Augustine-Pelagius debate into Paul.  


이것만이 라이트가 자신의 분석에 있어서 분해하는데 실패한 유일한 역사적-상황적 주제는 아니다.

This is not the only historical-contextual issue that Wright fails to factor in his analysis.


새관점 지지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의 상당 부분을 1세기 유대교 문헌 위에 구축하고 있다.
The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make a large part of their case on the literature of first-century Judaism.  


신학적 환경의 특성을 보여주는 1세기 유대교의 문헌들과 함께, 새관점 옹호자들은 이러한 문헌이 전통적으로 유지되었던 것과는 전혀 다른 그림을 보여주고있다고 주장한다.

With the documents of first-century Judaism illuminating the nature of the theological milieu, new perspective advocates argue that this literature reveals a totally different picture than is traditionally held.  


바울 시대의 유대인들은 어리석은 율법주의자들이 아니라 은혜를 옹호하는 이들이었으며; 그들은 단지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호하기 위하였다는 것이다.

The Jews of Paul’s day were not crass legalists but were advocates of grace; they were simply out to protect their cultural identity.  


예를 들면, 샌더스는 타나이트 문헌, 사해사본, 외경, 그리고 위경을 조사하여서 자신의 결론에 도달하는데 이는 톰 라이트가 일반적으로 동의하는 결론들이다.

Sanders, for example, surveys the Tannaitic literature, the Dead Sea Scrolls, Apocrypha, and Pseudepigrapha to reach his conclusions—conclusions with which Wright generally agrees.[29]


그렇다, 사실은 칼빈을 포함하여 개혁주의자들은 이러한 방대한 문헌의 실체를 조사하지 않았다; 실은 이들은 사해 사본이 수백년간 발견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어떠한 문헌도 찾아볼 수가 없었다.
Yes, it is true that the reformers, Calvin included, did not survey this vast body of literature; indeed, they could not have explored some of the literature seeing that the Dead Sea Scrolls would not be discovered for hundreds of years.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개혁주의자들이 1세기 유대주의의 흐름을 무시하였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Nevertheles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reformers were nescient of the rhythms of first-century Judaism.  


새관점 옹호자들은 개혁주의자들이 신구약 중간기의 유대교 문헌인 외경에 친숙해있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The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 reformers were familiar with the writings of the apocrypha—the writings of inter-testamental Judaism.  


예를 들면, 칼빈은 외경이 다양한 로마 카톨릭 교리를 뒷받침하는데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 관여하고 있었다.

For example, Calvin interacted with the apocrypha in response to its use in support of various Roman Catholic doctrines.  


예를 들면, 칼빈은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For example, Calvin writes:


그는 죽은 이를 위하여 예루살렘에 제물을 보냈을 때 유다의 경건이 칭송을 받은 것은 무엇보다도 그가 마지막 부활에 대한 견고한 희망을 가지고있었다는 것이다.
The piety of Judas is praised for no other distinction than that he had a firm hope of the final resurrection. When he sent an offering for the dead to Jerusalem.


그 당시의 역사 기록자가 유대의 행동을 구속의 가치에서가 아니라, 그것을 그들이 나라와 지역을 위하여 죽은 남아있던 신자들의 영원한 삶을 공유하기 위하여 한 것으로 여긴 것이다.

Nor did the writer of that history set down Judas’ act to the price of redemption, but regarded it as done in order that they might share in eternal life with the remaining believers who had died for country and religion.  


이러한 행동은 미신이나 잘못 판단한 열심이 없이 나온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율법의 희생을 우리에게까지 확장하려는 이들이 어리석다는 것으로서, 그리스도의 강림으로 인하여 이를 우리가 알았을 때는 무엇이 사용되기를 멈추어야하겠는가?

This deed was not without superstition and wrongheaded zeal, but utterly foolish are those who extend the sacrifice of the law even down to us, when we know that by the advent of Christ what was then in use ceased.[30]


칼빈은 1세기 유대교가, 최소한 이것이 외경을 통해서 온 것과 같이, 미신적 의식을 포함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Calvin recognizes that first century Judaism, at least as it comes through the apocrypha, contained superstitious practices.  


그래서, 외경으로부터의, "하나님 우리의 주시여, 우리가 당신께 자비를 구하는 기도를 드릴 수 있는 것은, 우리의 조상이나 혹은 우리의 왕의 어떤 의로운 행동으로부터 기인한 것이 아닙니다"와 같은 말에 관하여 칼빈은 "그것들은 매우 진실되고 거룩한 말들"이라고 기록하고있다.

Yet, regarding the following words from the apocrypha, “For it is not because of any righteous deeds of our ancestors or our kings that we bring before you our prayer for mercy, O Lord our God” (Bar. 2.18; NRSV), Calvin can write that they are “very true and holy words.”[31]  


그러므로 칼빈은, 최소한 잠재적으로 1세기 유대교에서 새관점주의자들이 아마 '은혜의 지지자들'이라고 부를만한 정통주의 신학의 맥락이 있었음을 인식하고있었다.

Calvin, therefore, recognized, at least implicitly, that there were strands of orthodox theology in first century Judaism, what the new perspective advocates would perhaps call ‘proponents of grace.’  


그렇다고 이러한 맥락만이 칼빈이 친숙했던 것들은 아니었다.

Yet, these strands were not the only ones with which Calvin was familiar.  


그는 감히 말하자면 속성이 '펠라기우스적'이라고 할 수 있는 맥락에 대하여도 잘 알고있었다.

He was also familiar with those strands that were, dare one say, ‘Pelagian,’ in nature.


우리는 외경에서 다음과 같은 것도 읽는다: "만약에 당신이 선택한다면, 당신은 명령들을 지킬 수 있고, 충성스럽게 행동하는 것은 당신 자신이 선택할 일이다. 그는 당신 앞에 불과 물을 갖다 놓았으며, 당신이 선택하려는 것 아무 것에나 당신의 손을 뻗어라.  각 사람 앞에는 생명과 죽음이 놓여있으며 선택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나 주어질 것이다.
We read the following in from the apocrypha: “If you choose, you can keep the commandments, and to act faithfully is a matter of your own choice.He has placed before you fire and water; stretch out your hand for whichever you choose. Before each person are life and death, and whichever one chooses will be given” (Sir. 15.14-17, NRSV; Vg. 14-18).  


이러한 문구에 대하여 칼빈은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To this passage Calvin responds:


사람이 창조시에 생명과 죽음을 취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받았다고하자. 우리가, 그가 이러한 능력을 상실했다는 반대편에 답변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나는 "하나님께서 사람을 제대로 만드셨지만, 그는 자신을 위하여 많은 대책들을 고안하였다"고 분명히 밝힌 솔로몬에 부딪히려는 의도는 분명히 아니다.

그러나 사람이 자신의 타락으로, 자신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소유 모두를 파선 시킨 원인을 제공했기에, 원래의 창조에 공헌 되었던 모든 것이 필연적으로 그의 붕괴되고 타락한 성품에 바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나는 나의 대적 뿐만이 아니라 Ecclesiasticus 자신에게도, 그가 누구이든 간에, 대답하겠는데: 만약 당신이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 스스로가 구원을 얻으려는 능력을 찾도록 한다면, 우리는 당신의 권위가 최소 한도에서 의심 없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항하는 어떠한 편견도 증가시킬  정도로 높게 평가하지는 않을 것이다.
Granted that man received at his creation the capacity to obtain life or death.  What if we reply on the other side that he has lost this capacity?  

Surely it is not my intention to contradict Solomon who declares ‘that God made man upright, but he has sought out many devices for himself.’  But because man, in his degeneration, caused the shipwreck both of himself and of all his possessions, whatever is attributed to the original creation does not necessarily apply forthwith to his corrupt and degenerate nature.  Therefore I am answering not only my opponents but also Ecclesiasticus himself, whoever he may be: If you wish to teach man to seek in himself the capacity to acquire salvation, we do not esteem your authority so highly that it may in the slightest degree raise any prejudice against the undoubted Word of God.[32]


칼빈이 외경에서의 이러한 문구를 거절하는 이유는, Ecclesiasticus나 Sirach가 경정이 아닐 뿐만아니라 로마서 3장과 같은 성경의 증거에 반대되기 때문이다.
Calvin rejects this passage from the apocrypha not only because Ecclesiasticus, or Sirach, is not canonical but also because it contradicts the witness of Scripture, such as Romans 3.  


흥미로운 것은 외경으로부터의 이러한 문구는 새관점에서 다루어지지 않고있지만, 펠라기우스나 에라스무스 모두의 주의를 끌지 못했던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is passage from the apocrypha goes untreated by the advocates of the new perspective, yet it does not pass by the attention of either Pelgaius or Erasmus.[33]  


그러므로, 16세기의 해석학은 1세기의 유대 문헌에 대한 지식이 없었지만, 이것의 맥락을 전적으로 몰랐던 것은 아니다.

So, while sixteenth-century exegetes were not as knowledgeable of first century Jewish literature, they were not totally unaware of its rhythms.  


이와는 반대로, 로마카톨릭교회와 종교개혁자간의 정경에 관한 다른 이론으로 인하여, 16세기 신학 논쟁은 외경이라고 불리우는 1세기 유대교의 문헌에 바로 연계되었다.

On the contrary, because of the different theories of canon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Reformation, sixteenth-century theological debate had a taproot straight into the literature of first century Judaism, namely the apocrypha.  


이제 우리가 이러한 일반적이고 상황적인 주제를 다루었으므로, 우리는 특별한 해석학적이고 신학적인 문제들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되었다.

Now that we have covered these general historical-contextual issues, we can turn our attention to specific exegetical and theological matters.

_______

[24] Wright, Paul, p. 115.  Cf. Alister McGrath, Iustitia Dei: A History of the Christian doctrine of Justification, vol. 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p. 2.

[25] See, e.g., one of Wright’s most academic works, which we might think would be the most annotated (N. T. Wright, Jesus and the Victory of God [ Minneapolis : Fortress Press, 1996], pp. 14, 123-24, 280, and 380).  In these places he invokes the names of Luther, Calvin, Melanchthon, and “the reformers” but has only one primary source reference to Melancthon’s Loci Communes.  In one reference to Luther he only cites a secondary source, Oliver O’Donovan, Resurrection and Moral Order: An Outline for Evangelical Ethics (Leicester: Inter Varsity Press, 1986).

[26] Carl R. Trueman, “The Portrait of Martin Luther in Contemporary New Testament Scholarship: Some Casual Observations,” Lecture delivered at Tyndale Fellowship in Christian Doctrine, 2001; cf. James D. G. Dunn and Alan M. Suggate, The Justice of God: A Fresh Look at the Old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Grand Rapids: Eerdmans, 1994), p. 6; Roland Bainton,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Nashville: Abingdon, 1950).  The same criticism can be said about Sanders’ own knowledge of historical theology (see Moisés Silva, “The Law and Christianity: Dunn’s New Synthesis,”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3/2 (1991), p. 348.

[27] David Steinmetz, “Calvin and Abraham: The Interpretation of Romans 4 in the Sixteenth Century,” Church History 57 (1988), pp. 443-55; also in idem, Calvin in Contex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p. 65.

[28] Steinmetz, “Calvin and Abraham,” p. 66; cf. Calvin, Romans, pp. 86, 98.

[29] Sanders,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passim; Wright, Paul, pp. 18-20.

[30] Calvin, Institutes, 3.5.8, p. 679.

[31] Calvin, Institutes, 3.20.8, p. 860.

[32] Calvin, Institutes, 2.5.18, p. 338.  In addition to contradicting Scripture, Sirach contradicts itself; cf. Sir. 33.12 (Donald E. Gowan, “Wisdom,” in Justification and Variegated Nomism: A Fresh Appraisal of Paul and Second Temple Judaism , eds. D. A. Carson, Peter T. O’Brien, and Mark and Seifrid, vol. 1, The Complexities of Second Temple Judaism (Grand Rapids: Baker Books, 2002), p. 216.  


posted by Wonho Kim
:

칼빈이 말하는 칭의

Calvin on Justification


하나님의 의
The righteousness of God


톰 라이트와 칼빈을 제대로 비교하기 위해서, 우리가 라이트의 이해를 탐구하였던 것과 같은 주제를 따라서 칼빈의 칭의 교리를 계속 탐구해보도록 하자.
To see a good comparison between N. T. Wright and Calvin let us proceed to examine Calvin’s doctrine of justification along the same issues that we examined Wright’s understanding.[19]  


이러한 탐구는 두 신학자들 간에 비교하고 대조하는 일을 편리하게 할 것이다.

This examination will facilitate the task of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the two theologians.  


그러므로 우선 '하나님의 의'라는 문구에 대한 칼빈의 이해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보기로 하자.

Let us therefore turn our attention, first, to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phrase, the righteousness of God.  


우리가 이 잘 알려진 문구를 볼 수 있는 로마서 1장17절에 대하여 칼빈은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In Calvin’s treatment of Romans 1.17 where we find this well-known phrase he writes:


하나님의 의에 대하여 내가 이해하는 바로는, 이것은 하나님의 법정에서 인정되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것이 사람의 의견에 있어서 의로 계산되고 여겨지는 것으로서, 이것이 비록 단순히 사소한 것일지라도,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의'라고 언급되는 것이다.
By the righteousness of God I understand that which is approved at His tribunal, as on the other hand that which is reckoned and counted as righteousness in the opinion of men, even though it is a mere triviality,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righteousness of men’.


그러나 바울은, 성령이 도처에서 앞으로 올 그리스도의 나라에서 하나님의 의가 말하여지리라는 많은 예언들을, 의심하지 않고 언급하고있다.

Paul, however, is without doubt alluding to the many prophecies in which the Spirit is throughout setting forth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future kingdom of Christ .  


일부 주석가들은 이 의미를 '하나님에 의하여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라고 설명한다.

Some commentators explain the meaning to be ‘what is given to us by God.’  


나는 분명히 그 단어가 이러한 뜻을 가지고 있다는데 동의하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복음으로 우리를 의롭다고 하시며, 이로서 우리를 구원하기 때문이다.

I certainly grant that the words will bear this meaning, because God justifies us by His Gospel, and thus saves us.  


그리고, 비록 나는 질문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을 지라도, 아직은 전자의 뜻이 나에게는 좀 더 적합한 것 같다.

And yet the former sense seems to me more suitable, although I would not spend much time on the question.  


일부 학자들이 이러한 의가 값없는 죄사함 뿐 아니라, 또한 부분적으로는 거듭남의 은혜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더욱 중요한 것이다.

It is of more importance that some scholars think that this righteousness consists not only in the free remission of sins, but in part also the grace of regeneration.


그러나 나는, 하나님께서 값 없이 우리를 자신에게 화목케 하셨기 때문에 우리가 생명으로 회복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는 후에 우리가 적절한 곳에서 더욱 길게 살펴보게 될 것이다.

I hold, however, that we are restored to life because God freely reconciles us to Himself, as we shall later show at greater length in the proper place.[20]


이제 우리에게는 이러한 중요한 문구에 대하여 칼빈이 말하는 것을 주목하는 일 뿐만이 아니라 이를 라이트 자신의 분석과 비교해보는 것도 중요하다.
Now, it is important that we note not only what Calvin says about this important phrase but also the contrast with Wright’s own analysis.  


라이트가 '하나님의 의'를 주관적이고 소유의 격, 즉 하나님께 속하여있는 속성으로 이해하는 것과는 달리, 칼빈은 이것을 객관적이거나 혹은 기원의 속격으로 이해한다.

Unlike Wright, who reads the ‘righteousness of God’ as a subjective or possessive genitive, i.e., a quality that belongs to God, Calvin reads it as either an objective or genitive of origin.  


달리 말하자면, 하나님의 의는 사람에게 주어진 어떠한 것이라는 말이다.

In other words, the righteousness of God is something that is given to man.  


칼빈은 하나님의 의가 죄 사함과 거듭남의 은혜를 가져온다고 말한다.

Calvin notes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brings the remission of sins and the grace of regeneration.  


라이트에서와 마찬가지로, 칼빈의 칭의 이해에는 중요한 것들이 내포되어있다.

This, just as with Wrigh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alvin’s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칼빈이 칭의를 정의할 때, 그는 이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의로운 사람으로 기쁘시게 받으시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것이 죄사함과 그리스도의 의가 전가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한다"라고 기록하고있다.
When Calvin defines justification he writes that it is “the acceptance with which God receives us into his favor as righteous men.  And we say that it consists in the remission of sins and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21]  


우리는 칼빈이 칭의를 정의할 때 죄 사함의 주제를 반복하고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We see in Calvin’s definition of justification the repeated theme of the remission of sins.  


그리고 또한 칼빈이 거듭남의 은혜를 가져오는 하나님의 의를 설명할 때, 그는 은혜를 얻는 수단으로서 전가를 조건으로 말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We also see that when Calvin explained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brings the grace of regeneration that he specifies the means of obtaining that grace—namely, imputation.  


전가라는 개념은 라이트가 거부하고있는 개념이다.

The idea of imputation is a concept that Wright rejects.


라이트와는 대조적으로 칼빈은, 만약에 하나님께서 무죄 판결과 용서로  우리를 의롭게 하지 않으신다면, 바울이 언급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셔서 세상을 자신에게 화목케하시고, 그것들에 대항하는 반역을 전가시키지 않으신다'는 의미가 무엇이겠는가?

In contradistinction to Wright, Calvin argues that if God does not justify us by acquittal and pardon, what does Paul’s statement mean: ‘God was in Christ, reconciling the world to himself, not imputing men’s trespasses against them’?  


'우리를 위하여 우리가 그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도록  죄를 짓지 않으신 그를 죄 가운데 놓으셨다.'

‘For our sake he made him to be sin who had done no sin so that we might be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m.’


첫째로 내가 결론 내린 것은, 그들이 하나님과 화목한 의로 여김을 받았다는 것이다.

First, I conclude that they are accounted righteous who are reconciled to God.  


칭의가 고발와 대립이 된다는 다른 문장에서와 같이, 하나님의 용서에는 의롭다고 하시는 것의 의미가 포함된다.

Included is the means: that God justifies by pardoning, just as in another passage justification is contrasted with accusation.  


이러한 대립이 분명히 보여주는 것은, 이러한 표현이 법적인 용법으로부터 나왔다는 것이다.

This antithesis clearly shows that the expression was taken from legal usage.  


건전한 사고를 가지고 있으면서 히브리어에 적절하게 능숙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문구가 이러한 근원에서 나왔고 그것으로부터 그것의 경향과 함의를 도출해 낸다는 사실을 무시하지는 않는다.

Anyone moderately versed in the Hebrew language, provided he has a sober brain, is not ignorant of the fact that the phrase arose from this source, and drew from it its tendency and implication.


'범죄 함이 사함을 받은 자는 복이 있다'고 말한 다윗의 말을 기술함으로서, 바울은 행함이 없는 의를 말하고 있다.

Where Paul says that righteousness without works is described by David in these words, ‘Blessed are they whose transgressions are forgiven.’[22]


우리는 라이트와 칼빈간의 차이를 다시 한번 주목해야 한다.
Once again we should notice the distinctions between Wright and Calvin.  


라이트는, 하나님께서는 칭의에 대한 법정적 판결을 하신다- 말하자면, 하나님께서 종말론적으로 누가 자신의 언약 백성에 속하였는지를 명확히 하신다는 것이다.

For Wright, God does make a forensic declaration in justification—namely, God eschatologically defines who belongs to His covenant people.  


라이트는 이것이 죄의 용서를 포함하고 있다고는 말하지만, 이것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해서는 명확히 규명하고 있지는 않다.  

Wright says that this includes the forgiveness of sins, but he does not specify the way in which this is accomplished.  


이와는 대조적으로, 칼빈은 칭의는 하나님께서 죄인을 깨끗하고 의롭다고 명확히 밝히는 법정에서의 선언이라고 말한다.

By contrast, Calvin argues that justification is a forensic declaration where God declares a sinner pure and righteous.  


그는 자신의 논의를, 고린도후서 5장 19-21절을 논하면서, 법정에서의 범죄함과 무죄함의 판결의 선언 사이에 존재하는 것과 병행되는 것을 근거로한다.

He bases his argument on 2 Corinthians 5.19-21 and the parallel that exists between the declaration of a guilty or innocent verdict in a court room.


칼빈과 라이트 사이의 대조는 분명하다.

The contrast between Calvin and Wright is evident.  


이는 다른 주제를 탐구하도록 만든다.

This leaves one other issue to be explored.  


말하지만, 칼빈이 "율법의 행함"이라는 문구를 어떻게 이해를 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Namely, what understanding does Calvin give to the phrase ‘the works of the law?’



율법의 행위
The works of the law


칼빈은 로마서 3장27-28절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사람이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 구원을 얻는다거나 공로에 의지할 수 있다는 것의 가능성을 배제한다.
In Calvin’s treatment of Romans 3.27-28 he excludes the possibility that man can in anyway earn or merit salvation.  


라이트와는 대조적으로, 칼빈은 필연적이고 일치적인 공로에 대한 논쟁이었던 그의 시대에 유행하였던 논쟁을 제안한다.

In contrast to Wright, yes, Calvin does invoke a debate that was current in his day—the debate over condign and congruent merit.  


물론 이것은 칼빈이 거절하는 구분점이다.

This is, of course, a distinction that Calvin rejects.  


그는 단지 이 주제를 간단히 언급하고서 직접 분석에 들어간다.

He only briefly mentions this issue and then moves forward in his analysis.  


만약에 율법이 우리 모두를 죽음에서 구한다면, 그것(율법)에서 나오는 것이 무슨 영광이 있겠느냐고 칼빈은 말한다.

Calvin writes that if the law delivers us all over to death, what glory shall we get out of it?  


그것(율법)은 오히려 우리에게서 모든 영광을 빼앗고서 우리를 수치스럽게 하지 않는가?

Does it not rather deprive us of all glorying, and cover us with shame?  


그(칼빈)는, 우리의 죄가 율법의 판단에 의하여 노출되었는데, 이는 우리 모두가 그것을 지키는 것을 멈추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He showed then that our sin is laid open by the judgment of the law, because we have all ceased to observe it.  


그는 여기서, 만약에 의가 행위의 율법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우리의 자랑은 배제되지 않을 것이지만; 오직 믿음에 의한 것이라면, 우리 자신에 대하여 주장할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으며, 믿음은 모두 하나님으로부터 받는 것이기에, 오직 원함의 겸손한 고백을 제외하고는 아무 것도 나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있다.

He means here that if righteousness consisted in the law of works, our boasting would not be excluded; but since it is by faith alone, there is nothing that we can claim for ourselves, for faith receive all from God, and brings nothing except a humble confession of want.  


믿음과 행함 사이의 이러한 대비가 조심스럽게 인식되어야 할 것은, 행함이 어떠한 더함도 없이 보편적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contrast between faith and works should be carefully noticed, for works are mentioned here universally without any addition.  


그러므로 그는 의식의 준수, 특히 외적인 행함 만이 아니라, 상상 할 수 있는 행함의 공로 모두를 포함하여 아니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He is therefore speaking not of ceremonial observances alone, nor specifically of external works, but includes all the merits of works which can possibly be imagined.[23]


이제 이 점에 관하여는 라이트와 칼빈 간의 대조가 다시 명백히 드러난다.
Now, the contrast between Wright and Calvin on this point is again evident.  


라이트는 율법의 행함이 할례나 안식일의 준수와 같은 문화적 경계를 만드는 것들을 언급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는데 반하여 칼빈은 이것이 인간의 노력에 대한 전반적인 언급이라고 믿고 있다.

Wright believes that the works of the law refer to those cultural boundary markers such as circumcision and Sabbath observance whereas Calvin believes that it is a general reference to human effort.  


이제 우리가 칼빈과 라이트에 대하여 시작하면서, 두 입장 사이의 대조를 기록하는 동안, 우리는 차이를 분석하고서 바울에 대한 종교 개혁의 해석에 대한 라이트의 주장이 과연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Now that we have set forth both Calvin and Wright on these points, while noting the contrasts between the two positions, we can analyze the differences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weight to Wright’s claims regarding the Reformation reading of Paul.

_______

[19] For a general survey of Calvin’s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it specifically relates to faith, see Barbara Pitkin, What Pure Eyes Could See: Calvin’s Doctrine of Faith in Its Exegetical Contex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pp. 41-69.

[20] John Calvin, Romans and Thessalonians, trans. Ross Mackenzie, Calvin’s New Testament Comentaries, vol. 8, eds., David W. Torrance and T. F. Torrance (1960; Grand Rapids: Eerdmans, 1995), p. 28.

[21]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ans. Ford Lewis Battles, ed. John T. McNeill,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vols. 20-21, ed. John Baillie, et al.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0), 3.11.2, p. 727.

[22] Calvin, Institutes, 3.11.11, pp. 738-39.

[23] Calvin, Romans, pp. 78-79.




posted by Wonho Kim
:



톰 라이트가 말하는 칭의

N. T. Wright on Justification


하나님의 의
The righteousness of God


우리는 톰 라이트의 저술로부터 새관점을 접했을 때, 자신이 (새관점에) 친숙한 유형이라는 것을 발견 할 수 없을 것이다.
When we come to the new perspective from the pen of N. T. Wright, one does not find himself on familiar terrain.  


이것은 라이트가 칭의를 공식적으로 인정할 어떠한 것도 취하지있지 않다는 사실 때문이다.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right does not take anything for granted in his formulation of justification.  


그는 " '믿음에 의한 칭의'의 일반적인 관점은, 비록 전적으로 왜곡된 것은 아니지만, 바울의 교리의 풍부함과 명료함에 타당하지 않으며, 실제로는 여러가지 점들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말한다.

He writes that the “popular view of ‘justification by faith,’ though not entirely misleading, does not do justice to the richness and precision of Paul’s doctrine, and indeed distorts  it at various points.”[8]  


우리는 라이트가 말하는 하나님의 의에 대한 개념을 탐구함으로서 그의 칭의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는 것을 시작 할 수 있을 것이다.

We can begin the survey of Wright’s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by an examination of his concept of the righteousness of God.  


'하나님의 의'라는 문구를 읽을  때, 라이트는 이것이 주격이나 소유격으로 읽혀져야한다고 말한다.

When one reads the phrase the ‘righteousness of God’ (dikaiosu,nh qeou/, dikaiosune theou) Wright argues that it must be read as a subjective or possessive genitive.[9]  


이를 달리 표현하면, 하나님의 의는 그 분이 그리스도인 신자에게 전가해 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속하여있는 속성이라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righteousness of God is not something that He imputes to the Christian believer but rather it is a quality that belongs to God.


라이트는 로마서 3장을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이 논하고있다:

In Wright’s analysis of Romans 3, he argues:


"하나님은, 언약의 하나님으로서 약속을 하시고 그것을 지키시는 스스로가 의로우신 분이시다.
"God is himself righteous, as the covenant God who has made promises and kept them.  


법률-법정 비유의 의미로 본다면, 그는 자신의 말에 진실하시며, 공평하셨으며 (바울이 하나님께서 유대인이나 이방인에게 동일하게 손길을 주신다고 즉시 계속하여 말하는 방법을 주시하면), 그는 죄를 다루셨다.

In terms of the law-court metaphor, he has been true to his word, he has been impartial (note the way in which Paul goes on at once to speak of God’s even-handed dealing with Jew and Gentile alike), and he has dealt with sin.  


그는 또한 그것으로 인하여 무능한 자를 의롭게 하셨으며: 그는 '믿음을 가진 이를 의롭게 하시는 분'이시다.

He has also thereby vindicated the helpless: he is the ‘justifier of the one who has faith.’  


그가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이라고 이해하는, 법률-법정 비유의 의미로 볼 수 있는, 하나님 자신의 의라는 이러한 주제는 이러한 필연적인 문구의 핵심이다.

This theme of God’s own righteousness, understood as his covenant faithfulness, and seen in terms of the law-court metaphor, is the key to this vital passage.”[10]


하나님의 의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라이트의 칭의 개념에서 중요한 것이다.
Now, this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ness of God is significant to Wright’s concept of justification.


칭의
Justification


우리가 칭의 교리를 다루고자 하면, 라이트는 그것이 로마에 보내는 바울 서신의 중심 주제가 아니라고 반박한다.
When we come to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Wright contends that it is not the central theme of Paul’s epistle to the Romans.  


그는 "로마서를 이러한 방법으로 읽는 것은 수 백년 동안 원문에 대하여 조직적으로 폭력을 가한 것이었으며, 이제 원문에 다시 귀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라고 확신한다.

He believes that “this way of reading Romans has systematically done violence to the text for hundreds of years, and that it is time for the text to be heard again.”[11]  


라이트는, 칭의에 대한 개념은 어거스틴-펠라기우스 논쟁의 시각에서 읽혀지면 안되고, 1세기 유대교의 상황에서 읽혀져야한다고 주장한다.

Wright contends that the idea of justification must not be read in the light of the Augustine-Pelagius debate but instead in the context of first-century Judaism.[12]  


물론 사도가 기록한 것은 1세기의 맥락에 있는 것이다.

It is this first-century context, after all, out of which the apostle writes.  


라이트는, 1세기에서의 칭의는 누군가가 어떻게 하나님과 관계를 확립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Wright argues that justification in the first century was not about how someone might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God.  


그것은 사실 누가, 미래와 현재에 있어서,하나님의 백성의 일원인가에 대한 하나님의 종말론적 정의라는 것이다.

It was about God’s eschatological definition, both future and present, of who was, in fact, a member of his people.  


샌더스의 개념은, 이것은 '들어가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며, 진실로 '안에 머무름'에 관한 것이며, '누가 안에 있다고 어떻게 말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것이다.

In Sanders’ terms, it was not so much about ‘getting in,’ or indeed about ‘staying in,’ as about ‘how you could tell who was in.’  


표준적인 기독교 신학 용어로는, 그것은 교회론 이상의 구원론에 관한 것이 아니며; 교회 이상의 구원에 관한 것이 아니다.

In standard Christian theological language, it wasn’t so much about soteriology as about ecclesiology; not so much about salvation as about the church.[13]


물론 이것은, 톰 라이트에 따르면, 칭의가 하나님의 의, 혹은 더욱 특별히 예수 그리스도의 의가 신자들 각자에 전가 되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This, of course, means that justification is not, according to Wright, about imputing the righteousness of God, or more specifically Jesus Christ, to the individual believer.  


사실, 개혁주의 전통에 대한 언급을 하면서, 라이트는 확실히 전가된 의의 개념을 거부한다.

In fact, with allusions to the Reformed tradition, Wright essentially rejects the concept of imputed righteousness.  


라이트는 "만약에 우리가 과거에 많이 그렇게 해왔던 것과 같은 '법률-법정 비유의 생각'을 떠난다면, 이것은 냉정한 사업의 한 단면으로서의 법 집행과, 논리적이며 올바르지만 좀처럼 우리가 예배하고 싶지 않은 하나님에 의하여 실행되는, 거의 생각의 기교라는  인상을 심어줄 것이다.”고 말한다.

Wright states that “if we leave the notion of ‘righteousness as a law-court metaphor only, as so many have done in the past, this gives the impression of a legal transaction, a cold piece of business, almost a trick of thought performed by a God who is logical and correct but hardly one we would want to worship.”[14]


(톰 라이트는 말하기를) 전가보다는, 칭의가 하나님의 의나 그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으로서, 자신에게 속하여있는 사람을 옳다고 인정하며 인치는 것이다.
Rather than imputation, justification is about the righteousness of God, or His covenant faithfulness, to vindicate and mark those people who belong to Him.  


이러한 맥락에서 라이트는 단언하기를:

Along these lines Wright contends:


그러나 생각해봐라, 바울이 (로마서 2: 25-29에서) 말하기를- 일부 참된 유대인들이 존재한다고 생각해본다면 누구에게서 새 언약이 시작 되겠는가?
But supposing, says Paul in [Romans] 2.25-29—supposing there exist some true Jews, in whom the new covenant has been inaugurated?  


예레미야와 에스겔에서 약속한 새 언약이 실제로 누군가에게 실현될 것인지 생각해봐라.

Supposing there are some in whom the new covenant promises of Jeremiah and Ezekiel are coming true?


그들이 유대인이든 아니든, 그들이 할례를 받았든 안받았든, 그들은 하나님에 의해서 그의 참된 언약 백성으로 간주될 것이다.

Whether they are racially Jews or not, whether they are circumcised or not, they will be regarded by God as his true covenant people.  


이것이 칭의의 교리이며, 그렇지 않다면 핵심은 변할 것이다: 하나님께서 그의 참된 백성을 옳다고 할 그 때, 큰 날이 올 것이다.

This is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or rather its first key move: there will come a time, a great day, on which God will vindicate his true people.[15]


그러고 나서, 비슷한 맥락에서, 라이트는 "칭의는 로마서 3장 24-26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이 참된 언약의 가족의 일원들로 밝혀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물론 그들의 죄가 사 하여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이 언약의 목적이다"라며 반박한다.
Again, along similar lines, Wright contends that “‘justification,’ as seen in [Romans] 3.24-26, means that those who believe in Jesus Christ are declared to be members of the true covenant family; which of course means that their sins are forgiven, since that was the purpose of the covenant.”


그는 계속하여 "복음은 '믿음에 의한 칭의'가 아니라 예수에 관한 소식이기에, 하나님의 의, 즉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을 나타내는 것이다"고 결론 내린다.

He goes on to conclude that “the gospel—not ‘justification by faith,’ but the message about Jesus—thus reveals the righteousness, that is, the covenant faithfulness, of God.”[16]  


이것은, 누구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칭의에 관한 전통적 개혁주의의 해석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This, as one can see, is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eformation reading of Paul on the subject of justification.


라이트는 자신이 다양한 관점들에 대한 전통적 해석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는데, 특히 율법의 행위와 관계된 칭의와, 로마 카톨릭과 개혁주의 간의 논쟁에 관하여 더욱 그러하다.

Wright is clear to point out his disapprobation for the traditional reading at various points, especially as justification relates to the works of the law and the debate between Roman Catholicism and the reformers.


율법의 행위

The works of the law


상세한 부분까지는 아니지만, 라이트는 자신이 "율법의 행위"라는 문구의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던을 따르고 있다.
Though not in every detail, Wright follows Dunn in his analysis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phrase, ‘the works of the law.’  


라이트는, 바울이 어리석은 율법주의를 언급하고 있다고 믿지 않으며, 그 대신에 유대인들이 할례나 안식일의 준수와 같은 문화를 만드는 것에 대하여 언급하고있다고 믿고있다.

Wright does not believe that Paul refers to crass legalism but instead to the cultural markers of the Jews—circumcision and Sabbath observance.


라이트는 갈라디아의 삶의 환경을 조사하는 가운데서, 그는 바울의 강론의 문제가 이방인 회심자가 할례를 받아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것이었다고 기록하고있다.

In Wright’s examination of the sitz im leben in Galatia , he writes that the problem Paul addresses is whether his ex-pagan converts be circumcised or not?  


이제는 이러한 질문이 결코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 혹은 루터나 에라스무스가 직면했던 문제와는 전혀 관계없다(는 것이다).

Now this question is by no means obviously to do with the questions faced by Augustine and Pelagius, or by Luther and Erasmus.  


누구든지 해석에 있어서, 특히 1세기 상황 안에서, 이것은 분명히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의 백성- 즉 그들이 유대 민족이라는 표식으로 규정될 것인지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규정될 것인지-을 규정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관계되는 것이 분명하다(는 것이다).

On anyone’s reading, but especially within its first-century context, it has to do quite obviously with the question of how you define the people of God: are they to be defined by the badges of Jewish race, or in some other way?  


할례는 '도덕적' 주제가 아니며; 이는 도덕적 노력이나 선한 행실로 구원을 얻는 것과는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Circumcision is not a ‘moral’ issue; it does not have to do with moral effort, or earning salvation by good deeds.  


더군다나 우리는 그것을 단순히 종교적인 의식으로만 취급할 수는 없는 것이며, 그것은 모든 종교적 의식을 내적인 펠라기우스적 선행으로 지명해버리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는 갈라디아에 펠라기우스를 주된 대적으로 가만히 가지고 들어오게 된다(는 것이다).

Nor can we simply treat it as a religious ritual, then designate all religious ritual as crypto-Pelagian good works, and so smuggle Pelagius into Galatia as the arch-opponent after all.[17]

라이트의 주장은, 율법의 행위가 바울이 그들이 구원을 얻으려고 한 유대 백성들의 시도로 취급했던 것이 아니라고 한, 던의 확신과 평행을 이루고있다.

Wright’s contention parallels Dunn’s belief that the works of the law were not the attempt of the Jewish people with whom Paul dealt to earn their salvation.  


다시 말하면 라이트의 분석은, 개신교의 해석이 어거스틴-펠라기우스 논쟁을 바울의 저술에 도입하였다는 주장으로 가득하다.

Once again, Wright’s analysis is replete with the allegation that Protestant exegetes have imported the Augustine-Pelagius debate into Paul’s writings.  


더군다나 라이트의 주장은, 바울을 이러한 이방의 주제에 오염시킴으로서, 개신교와 카톨릭 양쪽 다 칭의 교리를 연합보다는 논쟁의 무기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Moreover, by contaminating Paul with these alien issues, argues Wright, both Protestants and Catholics have use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a weapon of polemics rather than ecumenism.  


라이트는 갈라디아서에서 처음으로 바울이 가지고 있는 칭의를 크게 노출시킨 것이라고 말한다.

Wright states that Galatians offers the first great exposition of justification in Paul.  


그 장(갈라디아서)에서 주제의 핵심은, 앉아서 함께 먹도록 허락된 그리스도인이 누구냐에 대한 질문이라는 것이다.

In that chapter, the nub of the issue was the question, who are Christians allowed to sit down and eat with?  


바울에게 있어서, 유대 그리스도인이 이방 그리스도인과 함께 먹는 것이 허락 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이었다(는 것이다).

For Paul, that was the question of whether Jewish Christians were allowed to eat with Gentile Christians.


종교 개혁과 반 개혁 전통 양쪽의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칭의 교리를 논쟁의 중심으로 다루면서, 그리고 이것이 사람들로 하여금 구원을 얻게 하는 체계를 기술한 것이라는 가정에 의하여, 자신들과 교회를 상당히 학대를 하였었다(는 것이다).

Many Christians, both in the Reformation and the counter-Reformation traditions, have done themselves and the church a great disservice by treating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central to their debates, and by supposing that it described the system by which people attained salvation.  


그들은 이 교리를 대적하는 쪽으로 돌아섰다(는 것이다).

They have turned the doctrine into its opposite.  


칭의는 예수를 믿는 이들 모두가, 그들의 문화적, 인종적 차이가 어떠하든 간에, 같은 테이블에 속하여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는데, 상당히 많은 교파적 분파들과, 그리고 한 교파에서의 실제적인 분파들에서도 교리보다는 문화로 결론지어지는 것을 직면하여야 할 것이다(고 말한다).

Justification declares that all who believe in Jesus Christ belong at the same table, no matter what their cultural or racial differences and, let’s face it, a good many denominational distinctions, and indeed distinctions within a single denomination, boil down more to culture than to doctrine.  


잘 생각해보면, 예수를 믿는 것이 무엇이든 간에, 칭의 자체에 세부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감사함으로 교제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는 것이다).

Because what matters is believing in Jesus, detailed agreement on justification itself, properly conceived, isn’t the thing which should determine eucharistic fellowship.[18]


그러면, 칭의에 대한 라이트의 관점을 요약해보도록 하자.
So, then, let us move to summarize Wright’s views on justification.


(톰 라이트의 칭의) 요약
Summary


라이트에 의하면 바울에 관한 종교 개혁의 해석은 필연적으로 적절한 기회를 놓친 것이나 다름없다.
The Reformation reading of Paul has essentially missed the proverbial boat, according to Wright.  


(라이트에 의하면) 종교 개혁으로 되돌아가는 개신교의 해석은 어거스틴-펠라기우스 논쟁을 갈라디아와 로마의 환경에 도입한 것이다.

Protestant exegetes going back to the Reformation have imported the Augustine-Pelagius debate into the sitz in leben in Galatia and Rome .  


바울은, 행함의 의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에 대하여 설명하기보다는, 의, 혹은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 그리고 그의 언약 백성의 정체성을 입증하는 칭의 교리를 말하는 것이다(라고 라이트는 말한다).

Rather than expounding works righteousness vs. faith in Christ, Paul sets forth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which demonstrates the righteousness, or covenant faithfulness of God, and the identity of His covenant people.  


자 이제 다음 단계인 존 칼빈의 칭의 교리를 탐구하며 둘러보기로 하자.

Now, let us proceed to the next stage of our investigation and survey the writings of John Calvi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__________
[8] Wright, Paul, p. 113.

[9] Wright, Paul, p. 101; also see idem, Covenant, p. 216.

[10] Wright, Paul, p. 105.

[11] Wright, Paul, p. 117.

[12] Wright repeats this charge multiple times, see Paul, pp. 19, 32, 35, 116, 120, 124, 129.

[13] Wright, Paul, p. 119.

[14] Wright, Paul, p. 110.

[15] Wright, Paul, p. 127.

[16] Wright, Paul, p. 129; see also idem, Covenant, pp. 148, 214.

[17] Wright, Paul, pp. 120-21; see also idem, Covenant, p. 240.

[18] Wright, Paul, pp. 158-59.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