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2016. 5. 10. 17:54

“칭의, 균형있게 이해하기(박재은, 부흥과 개혁사)”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개혁주의에서 보는 성경의 전체적 구도는 “언약적 구속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원(Salvation)” “구속(Redemption)”을 위한 성경 이야기의 핵심은 “어떻게 죄인이 의인이 될 수 있는가”이다.


“칭의”라는 단어는 구원이라는 그릇에 담겨있는 죄인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가장 귀한 선물일 것이다.


하지만 “칭의"라는 단어는 많은 신앙인들을 잘못 인도하고 있다는 오해를 받게 되면서 기독교계에서 끊임없이 퇴출의 위협을 받고 있다.


더군다나 칭의를 담고 있는 구원이라는 주제까지도 기독교를 협소하게 만든다는 이유로 피하고 싶은 주제로 취급 받는 상황까지 되었다.


칭의와 구원에 관한 주제는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신론 중심의 기독교를 인간 중심의 기독교로 전락시키고 있다는 원망까지 받고 있다.


톰 라이트와 마찬가지로 새관점주의자인 스캇 맥나이트는 복음 자체를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완성 시키는 예수의 이야기Story of Jesus as the fulfillment of Israel’s Story”로 규정함으로서 그동안 개혁주의가 견지해왔던

“창세 전 삼위 하나님의 구원 협약에 근거한 언약적 구속사”로부터의 일탈을 시도한다.


복음에 대한 정의가 바뀌게 되면 예수의 역할도 달라질 수밖에 없으며 우리에게 전가 될 예수의 완전한 순종의 의도 의미가 없어져 버리며 칭의의 근거가 되는 전가교리도 상실될 수밖에 없다.


최근 한동안 출판계를 달구었던 톰 라이트와 존 퍼이퍼의 “칭의 논쟁”은 개혁주의와 새관점이 서로 공존 할 수 없는 서로를 부정하는 논쟁이었던 것을 기억한다.


존 파이퍼는 인간이 전적인 부패와 무능력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고선  어느 누구도 하나님 앞에서 의로울 수 없다고 말하며 오직 그리스도의 완전한 순종의 의를 전가 받아야만 한다고 말하는데 반하여 톰 라이트는 하나님의 은혜로 시작된 하나님 나라가 인간의 행위로 인하여 완성되어야 한다며

인간의 공로를 주장한다.


이는 단지 톰 라이트와 존 파이퍼만의 논쟁이 아니라 개혁주의 영역들과 새관점주의 영역들 전반에 걸쳐서 보편화되고있다.


비록 우리나라에는 영향력이 미미하지만 서구 기독교는 “페더럴 비전(Federal Vision)”의 일탈로 인하여 홍역을 치르고 있는 상황이다.


새관점과 유사한 언약적 율법주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페더럴 비전은 카톨릭과 마찬가지로 성례를 칭의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칭의의 조건이 개인적인 믿음의 고백에서 공동체로의 참여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개혁주의의 칭의가 구원론에 속하여 있다면 새관점에서의 칭의는 교회론에 속하여있는 것이다.


새관점에서는 칭의의 근거로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을 말하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순종의 의를 전가 받는 것을 근거로하는 개혁주의의 주장과 다른 것이다.


새관점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신실하심(the Faithfulness of God)”이라는 것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으신 약속을 신실하게 이행하심이 근거가 되어 하나님의 언약 백성만이 의롭다고 인정을 받을 수 있기에 칭의를 위해서는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의 외적인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율법은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인 역사적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언약 안에 머물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신약의 하나님 나라 백성은 산상수훈을 지킴으로서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종적 칭의는 행함에 의하여 결정되기에 언약 백성에 참여한 것으로 최종적 구원이 보장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페더럴 비전과 동일하게 카톨릭의 반펠라기우스 주의로 돌아간 것이다.


이와 같이 칭의에 관한 주제는 종교개혁 이후 지금까지 줄곧 식지 않는 뜨거운 감자였다.


루터가 종교개혁을 할 수 있었던 원동력 가운데 하나는 그의 수도원 생활 가운데 내면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던 죄에 대한 문제 해결이 결코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가능하다는 극도의 좌절감이 그를 피폐하게 만들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칭의 교리에 대한 뜨거움도 시간이 지나면 식을 것이라는 생각이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알리스터 맥그레스는 자신의 저서 “하나님의 칭의론"에서 칭의 교리는 지난 16세기 이후 서구교회의 균열을 만들고 이 균열을 지속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말하였듯이 교회 분열의 주범으로 지적되었다.


1997년 "The Gift of Salvation"이란 이름으로 카톨릭과 복음주의가 함께하는 신학자들의 모임(Catholic Evangelical Together; ECT)에서도 칭의 교리는 "불필요하게 분열시키는 논쟁"(Needlessly divisive dispute)으로 폐기되어야 것으로 결론이 났었다.


폴 틸리히등 현대신학자들은 이신칭의의 교리를 공룡의 화석 정도로 여기고 지금은 뜨거운 신학적 쟁점의 대열에서 빠져 버려야 할 것으로 여겼다.


칭의는 예수와 바울이라는 주제를 대립 관계로 몰아가는 주범으로 오해되기도 한다.


불트만은, 칭의는 바울 복음의 제한된 표현 양식이며 바울의 칭의론에서는 윤리가 나올 수 없다며 전통적 칭의론에 심각한 비판을 가했었다. (김세윤, 칭의와 성화 17)


이에 대해 김세윤 교수는, 바울이 예수의 가르침을 전혀 몰랐고 알려고 하지도 않았지만 바울의 칭의의 복음이 예수의 하나님 나라 복음과 일치한다는 불트만의 주장은 대단히 역설적이라고 말한다.(김세윤, 칭의와 성화93)

샌더스 (E. P. Sanders)는 예수와 바울을 대립 관계로 보는 오해는, 개혁주의가 바울이 실제로 반응한 문제가 무엇이었는지 잘못 이해하였기 때문에 믿음에 의한 칭의를 통하여 바울이 말하려는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실패했다고 보면서 “바울에 대한 새관점(New Perspective on Paul)"을 제시한다.


슈바이처에 상당히 공감을 하며 슈바이처의 접근과 비슷한 접근을 하고 있는 톰 라이트(N. T. Wright)는, 슈바이처의 법정적 칭의론에 의한 윤리의 결핍에 대한 비판은 케제만의 관계적  칭의론에 대한 개념이 보충될 때  비로소 해결 될 수 있다며, 케제만의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을 칭의의 근거로 내세운다.(톰 라이트, 예수의 도전 119)

톰 라이트는 바울이 주장한 칭의는 율법주의에 대한 것이 아니라 새관점에서 주장하는 언약적 신율주의에 대한 것이라고 말한다.

개혁주의는 칭의에 대한 이해의 차이로 인하여 로마 카톨릭과 결별하였지만 최근에 와서는 개신교 안에서도 페더럴 비전을 비롯하여 새관점학파들을 중심으로 로마카톨릭과 같은 반펠라기우스적 칭의론을 주장하려는 움직임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새관점의 대표적 인물인 톰 라이트는


"복음은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선포하는 것이며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아브라함의 가족이 되게 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되어 그리스도를 믿게 되는 것이다.

칭의라는 것은 이러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하나의 커다란 가족의 일원이 되었다고 말하는 것이다."(Johnson & Waters, by faith alone 43)고 하면서 칭의를 공동체의 일원의 개념과 일치시킨다.


“마지막 날에 하나님께 정당성이 입증될 사람, 즉 미래적 칭의를 약속 받은 사람은 그들의 마음과 삶에 하나님의 율법 즉 토라를 새겨 넣은 사람들이다” (Johnson & Waters, by faith alone 49)라고 말하면서 삶과 미래적 칭의를 연관시킨다.


전통적 개혁주의의 바울 이해가 주로 개인의 죄와 관계된 칭의를 주제로 하고 있다면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서는 (Krister Stendahl의 바울 이해를 수용하여) 주로 공동체적인 죄를 다루고 있기에 개인 구원보다는 당연히 사회 구원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톰 라이트는 바울의 칭의 교리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바울이 전하는 복음에서 칭의는 부차적인 것이며, 칭의란 (죄인이 구원 받는다는) 구원론에 속하여 있는 것이 아니라 (누가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냐는) 교회론에 속한 것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교회에서의 알곡과 가라지의 구별은 믿음에 의한 것이 아니라 행위에 속하여 있는 것이다.


톰 라이트는 유대주의의 언약에 대한 역사적 이해라는 관점에서 바울이 말하는 칭의를 생각해보면 “칭의란 하나님의 진정한 백성의 공동체에 들어가느냐에 대한 것이 아니라 누가 그 공동체에 속하였다고 말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것”이라고 말한다.(N. T. Wright, What Saint Paul Really Said? 120)


톰 라이트에게 종말론이란 “메시아 예수”를 통하여 새로운 세계가 도래하였고, 아브라함 언약이 그 절정에 도달하였기에, 예수를 추종하는 자들은 믿음 안에서 “현재 칭의”를 받고, 성령과 더불어 행함으로써 “미래 칭의”를 확증 하게 된다는 것이다(톰 라이트, 칭의를 말하다,133)


칭의에 대한 주제와 관계된 또 하나의 변화된 환경은 아브라함 카이퍼의 화란개혁주의와 더불어 시작되었다.


이전의 전통적 개혁주의의 중심된 주제가 그리스도의 구원론이었다면 화란개혁주의는 하나님의 주권과 영광이라는 신론이 중심이 된다.


개혁파 구원론에서의 중심 주제였던 칭의는  신론 중심으로 옮겨가면서 최근에 와서는, 그리스도의 순종의 의에서 비롯된 “의"의 개념도,  톰 라이트가 새관점에서 의의 근거로 제시하는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이라는 (케제만이 말하는) “하나님의 의”가, 자연스럽게 신론 중심의 화란개혁주의와 접목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것이다.


바빙크는 루터파와 개혁파의 구별에 관하여 당대에 유행하던 입장을 소개한다. 개혁파는 신학적으로 사고하고, 루터파는 인간론적으로 사고 한다고 첫 마디를 시작한다. “개혁파는 역사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이념 곧 하나님의 작정에까지 추적한다. 루터파는 구원역사에 만족하고서 하나님의 작정에 침투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개혁파에게는 선택론이 교회의 심장이지만, 루터파에게는 이신칭의가 교회의 생사가 달려있는 조항이다. 전자는 하나님의 영광이 처음과 마지막 관심사이지만, 후자에게는 인간의 구원이다. 전자는 이교사상과 우상 숭배를 대항한 투쟁이지만, 후자는 유대교나 행위에 의한 거룩을 투쟁한다.”고 강변한다.(신칼빈주의 운동,유해무)

칭의의 개념은 성화와의 관계로 인해서도 개념의 변화가 생기기도 한다.


김세윤 교수는 전통적인 구원론에서는 칭의 다음에 성화가 단계적으로 이어지므로 윤리 없는 구원이라는 잘못된 가르침으로 치우친다는 것이다(『칭의와 성화』, p. 81).


이에 대하여 박영돈 교수는 “그것은 통상적인 오해일 뿐, 개혁교회의 구원론에서는 칭의와 성화를 그런 식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칼빈에 의하면, 칭의와 성화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단일한 은혜의 두 면이다. 곧 단일하면서도 이중적인 은혜이다(One grace yet two-fold grace)”라고 비평한다.


박영돈 교수는 “구원의 전 과정에서 칭의와 성화는 긴밀하게 영합하여 병행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서 칭의와 성화는 영원히 분리될 수 없는 연합으로 엮어져 있기 때문에, 이 둘을 서로 분리하는 것은 그리스도를 찢어버리려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칼빈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관점에서 칭의와 성화가 긴밀히 연결되어있음을 누누이 강조하였다. 우리는 구원 받은 후 칭의에서 바로 성화의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주님 앞에 설 때까지 칭의의 바탕 위에서 신앙 생활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칭의는 구원의 서정에서의 중심이며 이는 전적으로 행위와 상관없으며, 즉 믿음 이전과 이후의 모든 행위와 상관없다.( 바빙크 개혁교의학 4; 219)


칭의는 창세 전에 삼위 하나님의 구원 협약에 의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택자의 행동과 무관하게 선택 받은 이들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칭의는 개혁주의의 중심교리들인 “오직 은혜”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무능"  “의의전가”등은 물론 성화와 관계성의 혼동으로 인한 “현재적 칭의” “미래적 칭의” “유보적 칭의”등의 많은 용어들이 생겨나고 있다.


“죽산 박형룡은 ‘성화를 칭의와 나눌 수 없이 연결되고 둘이 결코 분리되지 않지만 반드시 구별돼야 하며, 성화를 칭의와 혼동하는 것은 성경을 생각 없이 읽는 사람들이 자주 범하는 과오’라는 칼빈의 입장을 취했다”

김균진의 뿌리가 되는 바르트 신학에 대해 그는 “외형적으로 칼빈의 성화론과 유사해 보이지만 본질적으로 다르다”며 “바르트는 칭의와 성화를 하나로 본 것이며, 칭의 속에서 성화를 보고 성화 속에서 칭의를 보고 있어 사실상 둘을 구별할 수 없다”고 밝혔다.(복음주의조직신학회, 제30차 정기논문발표회-조봉근 박사)


이상과 같이 “칭의(Justification)”라는 주제는 개혁주의 신학의 가장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으면서도 지난 500년 동안 가장 많은 도전을 받아왔고 지금도 여전히 식지 않는 뜨거운 감자인 것이다.


그렇다고 기독교에서 “칭의"라는 주제를 배제한다거나 아니면 새관점과 같이 칭의의 개념 자체를 바꾼다고해서 서로 화합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분열의 양상만 짙어질 뿐이다.


가장 올바른 해결책이라면 “칭의"의 성경적 개념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인식하는 가운데 그동안 논의되어왔던 “칭의"에 대한 여러가지 개념들이 어떠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알아보는 가운데 “칭의"에 대한 제대로 된 개념을 신앙의 기반으로 삼을 때 개혁주의 신앙에 더욱 견고히 설 수 있게 될 것이다.


부흥과 개혁사에서 출간된 박재은 박사의 “칭의, 균형있게 이해하기"는 이러한 혼란을 잠재우기라도 하듯 결코 길지 않은 글로서 깔끔하고 간결하게 정리를 해 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책 전체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박재은 박사의 “칭의, 균형있게 이해하기"는 총 3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에서는 주로 과거의 대표적 논쟁들을 정리하였으며 상황적 접근보다는 원론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첫 번째로는 칭의에 행위적인 요소가 가미됨으로 인해서 인간의 역할이 강조되고 하나님의 주권이 약화된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칭의론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로는 이러한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것으로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대신에 인간의 역할을 약화시킨 반율법주의 칭의론을 다루고있다.


칭의에 있어서 인간이 할 일이 아무 것도 없으며 오직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완전한 형태의 “무상" 선물을 강조하는 무상칭의론자들의 반율법주의 칭의론으로서, 특히 존 이튼(John Eaton)의 반율법주의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바울에 대한 새관점"과 유사한 성격의 신율법주의(neonomism) 칭의론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율법의 성격에 준하는 “새로운 법"으로 보는 것이며 대표적인 인물로는 리처드 백스터(Richard Baxter)를 예로 들고 있다.


네 번째로는 존 브라인(John Brine)을 예로 들면서 18세기에 영국에서 유행한 반율법주의와 신학적 맥을 같이하며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대신에 인간의 역할을 약화시킨 하이퍼 칼빈주의의 칭의론의 핵심 사상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지막으로는 영원으로부터의 칭의를 다루면서 게할더스 보스나 아브라함 카이퍼의 경우와 반율법주의자들이나 타락 전 예정론을 주장하는 이들이 받는 오해들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여기서는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 사이의 불균형을 초래한 “죄인을 의롭게 하시려는 하나님의 영원 작정"과 “칭의 자체"에 대한 혼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2장의 제목은 “현대의 균형 잃은 칭의론"이다.


첫 번째로는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이라는 두 기둥에 대한 이해다.

존 스토트과 에버렛 헤리슨 사이의 논쟁을 통하여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을 칭의와 성화라는 관점에서 풀어나간다.


이와 함께 개혁주의권에서 지지를 받는 “순종과 헌신이라는 믿음의 열매를 맺는 주재권 구원”과 세대주의권에서 지지를 받는 “믿기만 하면 의롭게 되고 영생을 얻는다는 사실을 믿는 무상 은혜”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하며 주제권 구원이 행위 구원론으로 오해 받아서는 안되는 점들을 설명한다.


이는 최근 논쟁이 되고 있는 김세윤 교수의 “칭의와 성화”와 “유보적 칭의론”이 어떠한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부분이다.


두 번째로는 신율법주의와 유사하며 또한 새관점과 거의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 페더럴 비전의 칭의론에 대하여 설명한다.


믿음과 행위를 칭의의 조건이나 근거로 삼는 페더럴 비전에 대하여는 1) 언약에 대한 이해  2)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에 대한 거부  3) 믿음과 순종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로는 현재 바울 신학에 관하여 뜨거운 감자라고 할 수 있는 “바울에 대한 새관점”에 관하여 논하고 있다.


“바울에 대한 새관점”을 다루고 있는 이 부분은 이 책의 가장 뜨거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곳에서는 언약적 신율주의, 율법의 행위, 이신칭의, 그리스도의 의의전가, 미래 칭의와 삶의 방식등으로 지면의 열기를 가득하게 채워 넣고 있다.


3장에서는 첫 번째로 1장과 2장에서의 논란을 잠재우기 위하여 원론적으로 고려해보아야 할 능동적/수동적 칭의를 관점의 차이, 믿음의 위치, 논리적 우선순위라는 3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두 번째로는 헤르만 바빙크가 능동적/수동적 칭의를 어떠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세 번째로는 네덜란드 개혁신학자 헤르만 비치우스의 칭의론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그가 능동적/수동적 칭의에 대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절충을 하면서 지혜롭게 풀어 나아가고 있는지 보여줌으로서 모든 논쟁을 잠재우는 비치우스의 지혜를 이 책의  결론적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 책의 칭의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설명들은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칭의에 대한 생각의 위치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 주며 개혁주의 칭의 교리가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 지를 생각하게 해준다


이제 우리에게는 “칭의에 대한 개념이 다른 교회를 같은 교회 공동체로 인정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주어진다.


제임스 패커는 전 생애에 걸쳐 개신교와 카톨릭과의 연합을 주도하고 대화를 시도해보았지만 결과적으로 열매 맺은 것은 거의 없었다.


카톨릭과 개신교가 타협할 수 없었던 교리의 한 가운데에는 “칭의” 교리가 있었다.


새관점과 유사하게 아르미니우스적인 구원론을 가지고 있는 페더럴 비전의 이단성을 염려하는 한 가운데에도 마찬가지로 “칭의" 교리가 있다.


현재 톰 라이트의 “바울에 대한 새관점"과 페더럴 비전은 성례에 대한 해석의 차이가 있지만 언약적 율법주의 구도에서는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번 책에서 보여준 칭의에 대한 커다란 시작 차이에도 불구하고 페더럴 비전과는 달리 톰 라이트의 새관점이 별로 이단성의 논쟁이 없이 자연스럽게 개혁주의 안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상황에서 칭의에 대한 좀 더 올바른 이해는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해줄 것이다.


posted by Wonho Kim
:
스캇 맥나이트 2016. 4. 13. 16:32

스캇 맥나이트의 “예수 왕의 복음(KING JESUS GOSPEL)”

에 대한 마이클 호튼의 비평



번역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번역출처

https://www.whitehorseinn.org/blog/entry/book-review/2011/10/13/are-you-a-soterian





당신은 구원주의자이십니까?

Are You a Soterian?


Posted Author information by Michael Horton Creation date on Thursday, 13 October 2011 Category info in Book Reviews


Reflections on The King Jesus Gospel: The Original Good News Revisited, by Scot McKnight (Zondervan, 2011)


우리들 대다수는 교회에서 자랐으며, 교회에서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우리가 어떻게 “구원을 받을 것인가”를 설명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Many of us were raised in churches where the presentation of the gospel meant explaining how you "get saved."


“만약에 당신이 오늘 죽는다면, 그리고 예수님께서, ‘왜 내가 너를 천국에 들여 보내야 하느냐?’ 하고 물어보신다면, 너는 무엇을 대답하겠는가?”

"If you were to die tonight, and Jesus asked, 'Why should I let you into heaven?', what would you answer?"


만약에 당신이 복음을 전한다면, 이것은 당신이 누군가에게, 당신은 죄인이며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되었지만, 하나님께서 우리의 죄를 위하여 자신의 아들을 죽게 하셨으므로, 그분을 주로 그리고 구세주로 받아들임으로서 자신들이 죽었을 때 천국에 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을 의미했다.

If you shared the gospel, that meant that you told someone that they were sinful and separated from God, but that God sent his Son to die for our sins and by accepting him as Lord and Savior they could know that they would go to heaven when they die.


목표는 가능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결단하게 하는 것이었다.

The goal was to get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make a decision.


이것이 복음을 전한다는 것이 의미했었던 것이다.

That's what it meant to present the gospel.


이것이 바로 무디가 “나는 복음을 동전에 쓸 수 있다”고 말했던 이유다.

That's why D. L. Moody said, "I can write the gospel on a dime."


좀 더 최근에는, 저명한 복음 전도자가 “당신에게 필요한 유일한 신학은 엘리베이터에서 불신자에게 말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More recently, a noted evangelist said, "The only theology you need is whatever you can say to an unbeliever in an elevator."


내가 청년이었을 때에는 내가 불신자에게 구원의 계획을 제공하는 소책자를 나눠주었었다.

In my youth I passed out a tract to non-Christians that offered the Plan of Salvation.


마지막 장에는 서명란이 있어서 독자가 서명에 대한 구원을 보증해주는 예수에 싸인을 할 수 있었다.

The last page had a contract that the reader could sign with Jesus, guaranteeing salvation to the signatory.


많은 다른 그리스도인들과 마찬가지로, 개혁주의 사람들도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근방식에 대하여 움찔하곤한다.

Like many other Christians, Reformed people typically wince at this approach.


우리는 다양한 이유들로 인하여 그렇게 한다.

We do so for a variety of reasons.


이러한 이유들의 많은 부분이 스캇 맥나이트의 관심들과 일치한다.

Many of those reasons coincide with Scot McKnight's concerns.


그러나 내가 염려하는 것은 과연 그가 우리가 필요로하는 곳으로 인도하느냐이다.

However, I wonder if he quite gets us to where we need to be.


그러므로 나는 그의 논쟁들을 요약하면서 시작하고자한다.

So let me begin by summarizing his arguments.


복음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 gospel?


예수 왕의 복음에 따르면,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가 메시아와 주이시며, 이스라엘 이야기의 해답이시다.

According to The King Jesus Gospel, it is the announcement that Jesus Christ, Messiah and Lord, is the resolution to the Story of Israel.


이 책의 150페이지의 분량이 이를 풀어낸 것이다.

Unpacking that is the burden of these 150 pages.


우선 저자는 자신이 바로 고치려는 도안의 윤곽을 그리고있다.

First the author sketches a portrait of what he's trying to correct.


“줄여서 바로 결단을 내리게하려는 복음주의는- 이 단어는 적절한 것이다- 복음의 구도를 포기한 반면에, 제자에 목표를 둔 복음주의는 예수와 사도의 전체 복음을 전하는 일에 있어서는 느슨하다”(18)

"Evangelism that focuses on decision short circuits and—yes, the word is appropriate—aborts the design of the gospel, while evangelism that aims at disciples slows down to offer the full gospel of Jesus and the apostles" (18).


근본적으로 일부를 잘라낸 복음은 “복음 문화”가 아닌 “구원 문화”를 만들어낸다.(맥나이트)

Basically, the truncated gospel creates a "salvation culture," not a "gospel culture."


가장 순수한 어원적인 의미에서의 “복음전도자”보다도, 우선되는 근원적인 사람들은 “구원주의자”로서 이들은 복음이 일반적인 복음주의 소책자에서 발견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맥나이트)

More than "evangelicals" in the purest etymological sense, purveyors of the first are "soterians" or "salvationists" who think that the gospel is what you find in the average evangelistic tract.


그러나 “복음 문화”는 신자들이 성경/이스라엘의 이야기 자체에 담겨있는 예수의 이야기에 빠져들 때 생기게 되는 것이다. (맥나이트)

However, a "gospel culture" arises when believers are immersed in the Story of Jesus, which itself is embedded in the Story of the Bible/Israel.



“예수가 메시아이시며, 다윗의 자손이라는 사실에 관한 좋은 소식이 무엇이냐?”고 이메일로 저자가 받은 정직한 질문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이, “구원주의자들”은 심지어 자신들의 복음을 위해서 구약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맥나이트)

The "soterians" don't even need the Old Testament for their gospel, as illustrated in the honest question the author received by email: "What is good news about the fact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descendant of David?'" (24).


복음주의자들이 사람들을 (전례적 전통에서) “구성원”에서 “결신자”로 움직인 것은 잘한 일이다. 이것은 중요한다. (맥나이트)

Evangelicals are good at moving people from "The Members" (in liturgical traditions) to "The Decided." That's important.


양쪽 모두 다 “구원 문화”에 속하여있지만, 여기서의 주된 의문점은 사람이 어떻게 구원을 받느냐이다. (맥나이트)

Yet both belong to a "salvation culture," where the chief question is how one is saved.


오직 “복음 문화”만이 모든 이들을 “제자”의 길로 가게할 수 있는 것이다(30).

Only a "Gospel culture" moves all the way to "The Discipled" (30).


그러면 누가 이러한 “구원주의자”란 말인가? 이들이 로타리 사람들과 같은가?

So who are these "soterians"? Are they like Rotarians?


혹은 혹시 낯선 은하계에서 온 외계인이란 말인가?

Or perhaps aliens from a strange galaxy?


처음에는 그가 마음에 가지고 있는 “개혁주의” 뒤에서의 “불안감”에 대한 전형적인 중압감을 표현하는 것 같았다.

At first it seems that he has in mind the typical high-pressure presentations that puts the "restless" back in "Reformed."


그러나 그도 역시 마음에는 “신칼빈주의”운동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However, it turns out that he also has in mind the "New Calvinist" movement.


“미국에 있는 신칼빈주의 사람들은- 그리고 파이퍼는 복음주의자들 가운데 칼빈주의 사고를 다시 세우는데 앞장서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이다- 복음을 ‘믿음에 의한 칭의’라는 짧은 공식으로 정의한다”(25)

"The Calvinist crowd in the USA—and Piper is the leading influencer in the resurgence of Calvinist thinking among evangelicals—has defined the gospel in the short formula, 'justification by faith'" (25).


(맥나이트는) 그레그 길버트의 복음이란 무엇인가를 비평하는데 있어서도 역시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얘기를 한다.

Ample space is also taken up with a critique of Greg Gilbert's What is the Gospel?


“...예수의 복음은 우리에게, 죄를 씻어내서 하늘이 임하기까지 우리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한 가지 결정 사항 이상의, 더 많은 것을 원한다” (18)

"...the gospel of Jesus wants more from us than a singular decision to get the sins wiped away so we can be safe and secure until heaven comes" (18).


3장의 “구원의 이야기”는 흥미로운 모형을 형성하고 있다.

Chapter Three, "Story to Salvation," builds an intriguing model.

피라미드의 3층 구조와 같이, 이스라엘 이야기/성경의 이야기는 기저층이다.

Like three levels of a pyramid, the Story of Israel/Story of Bible is the ground floor.


여기서부터 예수의 이야기가 나오고 나서,  구원의 계획은 최종적으로 설득의 방법으로 나아가게 된다.

From this emerges the Story of Jesus, then the Plan of Salvation, leading finally to the Method of Persuasion.


그러므로 우리는 이스라엘/성경의 이야기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So we have to start with the Story of Israel/Bible.


이것은 아직 분명한 복음은 아니다.

This isn't yet the gospel specifically.


그러나 더 넓은 이야기 안에는 예수의 이야기가 있다.

However, within that broader narrative is the Story of Jesus.


이것이 복음이다.

This is the gospel.(맥나이트)


이것이 우리가 신약에서 4개의 복음서를 갖지 않고, 4개의 다른 복음주의자들로부터 한 개의 복음을 갖는 진짜 이유이다.(맥나이트)

That's why we don't really have four gospels in the New Testament, but one gospel from four different evangelists.


분명히, 그들은 자신들이 복음을 선포하였으며, 거기에는 “예수가 우리의 죄를 위하여 죽으셨다”는 것 이상의 많은 것이 있었다고 생각했다.(맥나이트)

Evidently, they thought that they were proclaiming the gospel and there's a lot more there than "Jesus died for your sins."


그러나 “예수가 당신의 죄를 위해서 돌아가셨다”는 것도 분명하게 있다.

But "Jesus died for your sins" is obviously there.


이것이 복음이 아니라는 것은 옳다.(맥나이트)

It's just that this isn't the gospel.


신약의 주된 핵심은 예수가 “예수의 이야기가 이스라엘 이야기를 완성 시켜서 구원한다”의 이유라는 것이다 (37).

The main point of the New Testament is that Jesus is because "the Jesus Story completes the Israel Story, it saves" (37).


전형적인 복음주의 접근 방식은 피라미드의 위를 아래로 엎으며, 설득의 방법이 모든 것의 근거가되며, 사람들로 하여금 결단하게끔 한다.

Typical evangelistic approaches turn the pyramid upside down: the Method of Persuasion is the ground of everything: getting people to make a decision.


어떻게? (사영리와 같이)구원의 계획을 제시함으로써.

How? By presenting the Plan of Salvation (like the Four Spiritual Laws).


만약에 이것이 어디에나 있게 된다면, 예수의 실제적 이야기(즉 복음)는 배경으로 있게 되고 심지어 이것은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심히 어두운 과거로 남겨놓게 된다.(맥나이트)

If it's anywhere, the actual Story of Jesus (i.e., the gospel) is in the background and even that has usually left the Story of Israel in the deep-dark past.


근본적으로 복음은 다음과 같다: “아담이 동산에서 했어야만 했던 것- 즉 하나님을 위해서 이 세상을 구속적으로 다스리라는 것-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준 사명이다. 아담과 같이, 이스라엘도 실패했으며, 왕들도 마찬가지로 실패했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아들을 보내셔서 아담과 이스라엘과 왕들이 하지 않은 (분명히 할 수가 없었다) 것을 하도록 하셨으며 모든 이들을 그들의 죄와 조직적 악과 사탄(그리고 적)으로부터 구하도록 하셨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아들은 메시아로서 그리고 주로서 다스리시는 이시다”(35)

Basically, the gospel is this: "What Adam was to do in the Garden—that is, to govern this world redemptively on God's behalf—is the mission God gives to Israel. Like Adam, Israel failed, and so did its kings. God sent his Son to do what Adam and Israel and the kings did not (and evidently could not) do and to rescue everyone from their sins and systemic evil and Satan (the adversary). Hence, the Son is the one who rules as Messiah and Lord" (35).


이것은 물론 극치도 포함한다(36). (그는 148-153에 충분하고 광범위한 요약을 해 놓았다).

It also includes the consummation (36). (He offers a rich, extended summary on 148-153).


비록 복음 자체가 예수의 이야기라고 하더라도,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없이는 복음이 있을 수 없고 “만약에 우리가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무시한다면, 복음은 왜곡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왜곡된 경우가 바로 구원 문화에서 일어난 경우이다”(36)

Although the gospel itself is the Story of Jesus, without the Story of Israel there is no gospel and "if we ignore that story, the gospel gets distorted, and that is just what has happened in salvation cultures" (36).


“구원의 계획”은 복음에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이는 복음이 아니다. (맥나이트)

The "Plan of Salvation" is rooted in the gospel, but it isn't the gospel.


이것을 개혁주의의 의미로 해석을 한다면, 맥나이트는 여기서 historia salutis(구속의 역사)에 대한 ordo salutis(구원의 서정, 여기서 지금 개인들에게 적용되는 구원)의 관계를 가지고 씨름하고있다.

To put it in terms of Reformed interpretation, McKnight is wrestling here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ordo salutis (salvation applied to individuals here and now) to the historia salutis (the history of redemption).


실은, 그는 전자(구원의 서정,ordo salutis)의 근거를 후자(구원의 역사, historia salutis)에 두기를 원하며, 그 반대는 아니다.(호튼)

Properly, he wants to ground the former in the latter, not vice versa.


“구원의 계획”은 칭의로 귀결되지만, 전적인 제자도의 삶으로 귀결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당신에게는 전체 복음이 필요한 것이다 (40).

The "Plan of Salvation" leads to justification, but not to the whole life of discipleship; for that you need the whole gospel (40).


“구원의 계획과 설득의 방법에 많은 비중을 두어왔기에, 이들은 이스라엘의 이야기와 예수의 이야기를 분쇄하고있고 또 분쇄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복음 자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43)

"The Plan of Salvation and the Method of Persuasion have been given so much weight they are crushing and have crushed the Story of Israel and the Story of Jesus. This has massive implications for the gospel itself" (43).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구약의 이야기를 거의 전적으로 무시하는 것보다 이것을 증명해 보이는 것은 없다. 오늘날 그렇게도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구약을 모르는 단 한 가지 이유는 그들의 ‘복음’이 구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Nothing proves this more than the near total ignorance of many Christians today of the Old Testament Story. One reason why so many Christians today don't know the Old Testament is because their 'gospel' doesn't even need it!" (44).


4장의 바울의 메시지에 와서, 저자는 고린도전서 15장의 사도의 “고전적 요약”에 초점을 맞추는데, 그(맥나이트)는 (고린도전서 15장이) 그(바울)가 사도의 복음의 전통으로부터 받은 것이라고 말한다.

Turning in chapter 4 to Paul's gospel message, the author focuses on the apostle's "classic summary" in 1 Corinthians 15, which he said he received from apostolic gospel tradition.


복음은  예수의 이야기(그리스도의 죽으심, 묻히심, 그리고 부활하심, 그리고 부활 후에 나타나심)

이며, 이스라엘에 근거를 두고 있다 (“...성경에 따르면”)(맥나이트)

The gospel is the Jesus Story (Christ's death, burial, and resurrection and post-resurrection appearance), grounded in the Story of Israel ("...according to the scriptures").


“많은 이들에게 우리의 구원의 문화를 떠받쳐주고 있었는 ‘사영리’ 대신에 초기의 복음은 4가지 ‘사건’이나 ‘시기’에 관련되어있었다”(49).

"Instead of our 'four spiritual laws,' which for many holds up our salvation culture, the earliest gospel concerned four 'events' or 'chapters' " (49).


“종합하여 정리해보면: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있어서의 핵심적 사건들에 관한 좋은 소식을 선포하는 것이다. 바울에게 있어서 복음은 하나님의 구원의 소식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말하고, 선포하고, 선언하고, 크게 외치는 것이었다” (50).

"To put this together: the gospel is to announce good news about key events in the life of Jesus Christ. The gospel for Paul was to tell, announce, declare, and shout aloud the Story of Jesus Christ as the saving news of God" (50).


물론, 바울의 복음은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원은 복음으로부터 흘러나온다.” 그는 “우리의 죄를 위하여” 죽으셨다(51).

Of course, Paul's gospel unpacks thee implications. "Salvation flows from the gospel." He died "for our sins" (51).


“예수는 우리와 함께(동일감), 우리를 대신하여(대표와 대속), 그리고 우리를 위하여(하나님의 생명과의 결합) 돌아가셨다”(51)

"Jesus died with us (identification), instead of us (representation and substitution), and for us (incorporation into the life of God)" (51).


동일하게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십자가만이 아니라 묻히심과 부활이다 (54). (나는 그의 승천과 다시 오심을 추가하고자 한다!)

It's not just the cross, but the burial and resurrection, that receive equal attention (54). (I would add, his ascension and return!)


고린도전서 15장에 있는 모든 것의 목표는 최종적으로, 그리스도와 연합된 가운데, “인간들이 정확하게 하나님께서 자신의 창조를 위해서 의도하신 것들을 행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이 되시고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전체 이야기는 하나님에 관한 것이 될 것이다” (56-57).

The goal of it all in 1 Cor 15 is that finally, in union with Christ, "humans will be doing exactly what God intended for his creation. God will be God and we will be God's people—and the whole Story will be about God" (56-57).


그러면 무엇이 잘못되었단 말인가?

So where did things go wrong?


“어떻게 구원이 복음을 장악했는가?”, 5장에서 물어보고있다.

"How Did Salvation Take Over the Gospel?", asks chapter 5.


2개의 서문의 저자들(톰 라이트와 달라스 윌라드)과 같이, 종교개혁은 맥나이트에게 있어서 “복음 문화”의 영광스러운 날로부터 “구원의 문화”로의 전환점이다.

Like the authors of his two forewords (N. T. Wright and Dallas Willard), the Reformation is for McKnight the turning point from the glory days of a "gospel culture" to a "salvation culture."

신조의 이른 시기는 고린도전서 15장에 대한 추론들만 있었다.

The early era of the creeds were extrapolations of 1 Corinthians 15.


“사실, 신조를 부인하는 것은 복음 자체를 부인하는 것에 상응하는데 이는 신조가 찾고자 하는 것이 성경의 복음 가운데 이미 있는 것을 끌어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65).

"In fact, denial of the creeds is tantamount to denying the gospel itself because what the creeds seek to do is bring out what is already in the Bible's gospel" (65).


바울에서부터 니케아 공의회까지 우리는 복음 문화를 본다.

From Paul to Nicea we see a gospel culture.


그는 이것이 온통 파란 하늘만은 아니었음을 알고 있다: 콘스탄티누스, 십자군, 등등.. 그러나 이것은 복음 문화였었다.

He acknowledges that it wasn't all blue skies: Constantine, the crusades, etc.. But it was a gospel culture (70).


어거스틴이 시작한 일이었지만, 종교개혁은 초점을 예수의 이야기로부터 구원으로 이동 시키기 시작하였다(맥나이트는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과 제네바 신앙고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70-73)

Augustine got the ball rolling, but the Reformation began to shift the focus from the Jesus Story to salvation (McKnight focuses on the Augsburg and Geneva confessions) (70-73).


“복음을 단순한 몇 가지 항목으로 피상적이고 빈약하게 축소시키는 글을 읽을 때, 종교개혁이 없었다면 이런 글들이 결코 나올 수 없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p71-112쪽)

"When I read today's thin and superficial reductions of the gospel to simple points, I know that that could never have happened apart from the Reformation" (71-112쪽).


이것들은 개혁주의자들이 의도했던 것이 아니다.(맥나이트)

Not that the Reformers would have done this.


“사실 루터나 칼뱅을 읽어보게 되면 두 사람 다 심오한 복음의 문화와 심오한 구원의 문화 모두를 이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는 구원주의자들이나 구원의 문화를 그들이나 종교개혁의 탓으로 돌리고 싶지 않다.” “그러나 이야기로부터 구원론으로 전환되었던 문제의 근원은 여기에 있었다” (73).

"In fact, no one can read either Luther or Calvin and not observe that they operated with both a profound gospel culture and a profound salvation culture. I have no desire to blame them or the Reformation for the soterians or a 'salvation culture.'" But the seeds were there for a shift "from the story to soteriology" (73).


또한 복음주의의 힘이었던 웨슬리의 경험 중심과 회심적 충동 모두는 사라져버렸다 (74-75).

All that was left was the experiential focus of Wesley and the conversionistic impulse that is also a strength of evangelicalism (74-75).


“구원을 엄청나게 강조하는 복음 문화를 떠나서 우리는 이제 사람들로 하여금 당신들이 올바른 경험을 하고 있다고 말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75).(그는 여기의 문맥에서 달라스 윌라드를 그려내고 있는데 그는 정작 개인적 경험에 대한 이야기에

"From the enhancement of a gospel culture with a profound emphasis on salvation we have now arrived at the ability for a person to be able to say he or she has had the right experience" (75). (It's interesting that he draws in this context on Dallas Willard, who hardly focuses on the Story over personal experience!)


맥나이트는 “복음서 안의 복음”을 논한 후에(6장) 예수를 따르는 복음에 초점을 맞춘다(7장).

After discussing "the Gospel in the Gospels" (ch. 6), McKnight focuses on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ch. 7).


내가 기억하기에 이것의 상당 부분은, 그가 크리스차니티 투데이지에 실은, 예수(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바울(그리고 구원)에 대항 시키려는 경향에 대하여 탐구한 글들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Much of this I recall from an insightful article he wrote for Christianity Today exploring the tendency to pit Jesus (and the kingdom) against Paul (and salvation).


맥나이트는, 두 인물의 메세지를 왜곡 시키는 근시안적인 논쟁으로부터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예수의 이야기로서의 복음이 이들 모두를 조화로운 하나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Taking a step back from myopic debates that distort the message of both figures, McKnight thinks that the gospel as the Story of Jesus brings them together in a harmonious whole.


“복음주의, 이는 무엇인가? ‘복음화’시키는 것이나 ‘복음’은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완성 시키는 구원의 이야기로서의 예수의 이야기를 말하는 것이다” (112).

"Evangelism, what is it? To 'evangelize' or to 'gospel' is to tell the Story of Jesus as a saving story that completes Israel's Story" (112).


이는 하나님 나라와 개인적 구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맥나이트)

This encompasses the kingdom and personal salvation.


9장은 “오늘날의 복음 전도”를 탐구하는데, 이는 사도행전에서 행하여졌던 방법과는 일반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Chapter 9 explores "Gospeling Today," which is usually different from how it was done in Acts.


“이 차이는 한 가지 점으로 축소 시킬 수 있다: 사도행전의 복음 전도는, 메시아이시며 주이신 예수의 구원의 중요성을 분명히 하여야 했기에, 듣는 이들로 하여금 예수를 메시아와 주로 고백하도록  설교를 하였지만, 우리들의 복음 전도는 죄인들로 하여금 자신의 죄를 인정하라고 설득하고서 예수를 구세주로 받아들이라는 방식으로 모색을 한다. 우리는 여기서 무엇이 잘못된 선택인 지를 지적하려는 것이 아니다. 후자는 전자 안에서 실행될 수 있지만, 많은 구원주의자들이 복음주의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개인적인) 구세주로서의 예수에만 매달리려고 하며, 예수를 메시아나 주로만 따르려고한다… 사도행전 책에서의 사도들의 복음 전도는 설교들로 귀착되는 담대한 선포이었던 것에 반하여 오늘날 대부분의 복음주의는 교활한 설득인 것이다” (133-134).

"The difference can be narrowed to this single point: the gospeling of Acts, because it declares the saving significance of Jesus, Messiah and Lord, summons listeners to confess Jesus as Messiah and Lord, while our gospeling seeks to persuade sinners to admit their sin and find Jesus as the Savior. We are not creating a false alternative here. The latter can be done within the former, but much of the soterian approach to evangelism today fastens on Jesus as (personal) Savior and doges Jesus as Messiah and Lord...the gospeling of the apostles in the book of Acts is bold declaration that leads to a summons while much of evangelism today is crafty persuasion" (133-134).


“그러나 우리가 예수의 이야기를 이스라엘의 이야기에 비추어 읽는다면, 우리는 예수가 이스라엘이 왕과 주에 대한 간절한 필요를 충족시키실 이스라엘의 메시아로 오셨음을 알 수 있다. 복음에 있어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예수가 메시아이며 주시라는 것이다; 이것은 통치자, 왕, 주에 대한 근본적인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 시대의 유대인에게 갈급한 필요는 메시아-왕 그리고 메시아-왕의 땅에서의 메시아-왕의 백성이었다” (137).

"However, if we read the Story of Jesus in the light of the Story of Israel, we can see that Jesus came as Israel's Messiah to satisfy her most pressing need for a King and a Lord. "Remember that the fundamental solution in the gospel is that Jesus is Messiah and Lord; this means that there was a fundamental need for a ruler, a king, and a lord. The pressing need of the Jews of Jesus's day was for the Messiah-King and the Messiah-King's people in the Messiah-King's land" (137).


마지막으로, 저자는 이러한 복음 드라마-예수 이야기-가 제자도에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며, 이것이 어떻게 “복음 문화”를 창출해내는 지를 구체화 시키고 있다,

Finally, the author fleshes out what this gospel drama—the Jesus Story—means for discipleship, how it creates a "Gospel culture."


첫 째로, 우리는 이야기의 백성이 되어야 한다 (153-154).

First, we must become People of the Story (153-154).


책의 시작부에서 출발하여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예수의 이야기로 길을 찾아가는 것과 같이 네 자신을 이스라엘의 이야기에서 발견해라.

Start with the beginning of the book and find yourself in the Story of Israel as it winds its way to the Story of Jesus.


이를 도와주는 교회 달력을 따라가라.

Following the church calendar helps with this.


두 번째로, 우리는 또한 교회 이야기의 백성이 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Second, we also need to become People of the Church's Story.


“아담으로부터 시작하여 당신의 교회에서 가장 최근에 세례를 받은 우리들의 이야기까지 알아야겠다는 결정을 해라” (156)

"Make a decision to know our story from Adam to the newest baptized Christian in your church" (156).


신조들과 신앙고백서들을 읽도록 해라 (156).

Read the creeds and confessions (156).


이 모든 것들은 신자들로하여금, 개인주의, 소비지상주의, 민족주의, 도덕적 상대주의, 과학적 자연신학, 뉴 에이지, 포스트모던 부족 중심주의, 요법을 통한 구원과 반대되는 이야기들을 발전시키는것을 도와줄 것이다.

All of this will help believers to develop counter stories to individualism, consumerism, nationalism, moral relativism, scientific naturalism, New Age, postmodern tribalism, salvation by therapy (157).


세 번째, 이야기를 수용해라.

Third, embrace the Story.


저자는 “복음”이라고 정의하는 신약에서의 진술들을 요약한 특별히 유용한 부록을 첨부한다.

The author attaches an especially useful appendix with summary statements in the New Testament defining "the Gospel."


두 번째 부록인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첫 번째 변증록은 별 의미가 없다.

A second appendix, taken from Justin Martyr's First Apology, makes less sense.


이러한 고전의 인용 가운데에는, 가르침, 기도, 성례에 초점을 맞춘 초기 기독교 예배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초대 교부들의 설명이 있다.

In that classic citation, the early church father explains what happened in early Christian worship, focusing on preaching, prayer and sacrament.


논의들을 평가한다

Evaluating The Arguments


예수 왕의 복음에 관해서는 감탄할 만한 것들이 많이 있다.

There are many things to admire about The King Jesus Gospel.


하지만 사람들을 구성원에서 결단자로 움직이려는 복음주의자들의 열심에 대하여 긍정적인 지지를 하고 있지만, “복음”은 “개인적인 구원”으로 축소되었으며 그 결과로 우리의 모든 계획들이 “결단”을 얻어내는 쪽으로 굽어졌다(고 맥나이트는 말한다) (26)

While affirming evangelicalism's zeal in moving people from members to deciders, "the gospel" has been reduced to "personal salvation" and the result is that all of our strategies are bent on getting "decisions" (26).


개혁주의 사람들도 같은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

Reformed folks share the same concern.


그리스도는 구원자이시며 동시에 주이시다: 당신은 다른 쪽이 없이 한 쪽 만을 수용할 수는 없다.

Christ is both Savior and Lord: you can't embrace one without the other.


그리고 우리는 그를 구세주나 주님으로 만들어서는 안된다; 그는 우리가 그를 받아들이든지 말든지 관계없이 구세주이시며 주님이시다.

And we don't make him Savior and Lord; he is Savior and Lord whether we embrace him or not.


우리의 교회들에서 복음주의의 목표는 제자들을 만드는 것이지 회심자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The goal of evangelism in our churches is to make disciples, not just converts.


이것이 바로 우리가,  눈에 띠는 회심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그리스도께 맞추는 이유이며, 성도의 교제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시련의 삶을 이겨나가야 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강조하는 이유다.

That's why we don't focus on a striking conversion experience, but on Christ, and emphasize the Christian life as a constant living out of our baptism, in the communion of saints.


평생에 걸친 제자도는 개인적인 일이 아니라 단체 경기인 것이다.

Lifelong discipleship is not an individualistic affair, but a team sport.


더군다나 우리는 구원의 서정(구속의 적용)-저자가 “구원의 계획”이라고 부르는-이 구속의 역사(구속사)-이스라엘의 이야기에서 나오는 예수의 이야기-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강조한다.

Furthermore, we emphasize that the ordo salutis (application of redemption)—what the author calls "the Plan of Salvation"—arises out of the history of redemption (historia salutis)—the Story of Jesus, which emerges in the Story of Israel.


(내가 나의 조직 신학 책인 그리스도인의 신앙에서 진술하고자 하는 목적은, 드라마-교리-송영-제자도의 항목들로 이러한 좌표들을 재구성하려는 것이다)

(My stated goal in my systematic theology, The Christian Faith, is to reintegrate these coordinates by the rubric of drama-doctrine-doxology-discipleship.)


예언서들은, 예수가  바로 이것의 해결책이시라며, 예수의 주장에 길을 닦아 놓는다고 저자는 말한다.(137)

The prophets pave the way for Jesus's claim that he is this solution, the author argues (137).


맞다! 존 칼빈의 주석에서부터 돈 카슨에 이르기까지 강조하고있는 것은 전체 성경은 약속(이스라엘 이야기)으로부터 성취(예수의 이야기)까지 하나의 펼쳐지는 이야기로 읽혀져야 한다는 것이다.

Indeed! Commentaries from John Calvin to Don Carson emphasize that the whole Bible is to be read as one unfolding story from promise (Story of Israel) to fulfillment (Story of Jesus).


개혁주의 해석들은 보통, 시대적인 가르침이나 복음주의에서 구약을 위치 시키는데 있어서, 대부분 모방할만한 교훈적인 예를 따르는 (혹은 외면을 하는) 애석함을 보여주고 있다.

Reformed exegetes regularly lament the place of the Old Testament in contemporary preaching and evangelism, turning to it mostly for edifying examples to imitate (or to shun).


심지어 맥나이트가 예수의 유혹이 아담과 이스라엘의 유혹의 재현이라고 제시하는 해석들도 개혁주의 주석들 (물론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로)에서는 표준인 것이다(154).

Even the exegesis that McKnight offers concerning Jesus' temptation as the recapitulation of Adam's and Israel's (154) is standard in Reformed commentaries (as well as others).


이야기로부터 교리를 추상화(맥나이트가 구원의 계획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하는 것은 구약 뿐만이 아니라 성령과 교회를 제거하려는 경향이 있다.

The abstraction of doctrine (like what McKnight calls the Plan of Salvation) from the Story tends to push out not only the Old Testament but the Holy Spirit and the church.


우리에게 실제로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하여 내가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은, 구원의 계획을 복음(특히 이것이 칭의나 거듭남을  포함하고 있는 지에 대한)이 아닌 어떤 다른 곳으로 밀어 넣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러한 생각들로 인하여 대다수 복음주의가 의미하는 측면들에 대하여 의문을 갖게 되는 것이다,

I can't help be feel that what we really need is not to put the Plan of Salvation somewhere else other than the gospel (especially if that includes justification and the new birth), but question aspects of what many evangelicals mean by the very idea.


“이것을 좀 더 진지하게 다루어본다면, 오늘날 우리 대부분에게 필요한 것으로서, 특히 구원의 계획이 본능적인 감각으로 다가오지 않는 세대들에 있어서는, 구원의 계획의 내용에 맞추어진 복음이 가르쳐져야 한다”는 저자의 서술에 대하여 진심으로 동의한다고 할 수 있다.

I can only add a hearty amen when the author writes, "To make this more serious, what we are in most need of today, especially with a generation for whom the Plan of Salvation doesn't make instinctive sense, is more gospel preaching that sets the context for the Plan of Salvation " (40).


성경이 “구원을 얻는다”(성경은 명백하게 이러한 의미로 말하지 않는다)는 것에 관하여 언급할 때에는, 책의 한쪽 끝에서부터 다른 쪽 끝으로까지, 구속의 역사를 얽히게 하고 전환 시킴으로서, 죄인을 구원하시는 삼위일체 하나님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When the Bible talks about "getting saved" (which it never does in precisely those terms), the focus is on the Triune God saving sinners through the twists and turns of redemptive history, from one end of the book to the other.


전형적으로, 성경이 나를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의 거대한 이야기 속으로 몰아갈 때, 많은 복음주의적 표현들은 이러한 거대한 이야기를 “나 그리고 그리스도와 나의 개인적 관계”로 축소 시킨다.

Typically, where the Bible sweeps me into its grand story of redemption in Christ, many evangelistic presentations reduce that grand story to "me and my personal relationship with Jesus."


우리는 복음을, 창세기 3장 15절로부터 요한계시록 마지막까지 펼쳐지는 거대한 드라마로 나타나는, 선포-약속-라고 말하고 있다.

We talk about the gospel as an announcement—a promise—that is revealed as a grand drama that unfolds from Genesis 3:15 to the close of Revelation.


복음은 그리스도에게, 적절하게, 결단을 내리고서, 계약을 맺으라는 제안이 아니다.

The gospel isn't an offer to appropriate, decide, or contract for with Jesus.


이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이 성취 되었음을 알리는-선포하는 것이다.

It's an announcement—a declaration—of God's saving accomplishment in Jesus Christ.


구약에서 약속된 대로, 복음은 신약에서 성취된 것이다.

Promised in the Old Testament, the gospel is fulfilled in the New.


회개하고 믿으라는 요구는 복음이 아니며, 복음에 대한 적절한 반응이다.

The call to repent and believe is not the gospel, but the proper response to the gospel.


사실, 복음은 무엇인가를 하라는-심지어는 믿으라는 요구가 아니다.

In fact, the gospel is not a call to do anything—even to believe.

복음 자체는 단순히 우리가 그로 인하여 믿어야만 할 것을 선포하는 것이다.

The gospel itself is simply an announcement that we are therefore called to believe.


고맙게도 맥나이트는, 복음이 이야기이며, 알리는 것이며, 선포하는 것이며, “구원을 얻으려고” 우리가 따라야 할 일련의 “단계들”이 아니라는 점을 여러 곳에서 지적하고 있다.

McKnight helpfully makes the point in several places that the gospel is a story, an announcement, a declaration, and not a series of "steps" for us to follow to "get saved."


그러나 그는 바로 이곳에서 헷갈리고있다.

But here's where he gets confusing.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직 자신이 구원의 계획이라고 부르는 것과 설득의 방법이라고 부르는 것이 복음에 중요하게 관계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In spite of this point, he still thinks that what he calls the Plan of Salvation and Method of Persuasion are importantly related to the gospel.


이러한 문구들은 개혁주의 귓가에는 좀 낯선 것이다.

These phrases are a bit unfamiliar to Reformed ears.


우리가 일반적으로 복음 자체를 통한 성령의 구속 사역을 말하는데 있어서, 대부분의 복음주의자들은 우리가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과 현실화, 혹은 예수를 우리의 구세주와 주로 만드는 것에 대하여 말한다.

Where we typically talk about the Spirit's application of redemption through the gospel itself, most evangelicals speak of our appropriating, actualizing, or making Jesus our Savior and Lord.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일괄적으로 주실 수도 있으시겠지만, 우리의 거듭남은, 최소한 우리의 결단은, 우리가 하는 것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God offers us the package, but our new birth depends on something we do, at least our decision.


맥나이트는 “사람이 구원을 얻기 위하여 하여야만 하는 것”에 관하여 말할 때 아직 이러한 방식을 따르는 듯하며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을 하게 함”으로서 구원을 적합화시킨다.

McKnight still seems to follow this way of speaking about "...what that person must do in order to get saved" (38) and appropriating salvation by "making a personal commitment to Jesus Christ" (28).


그가 이것을 복음과 구분하기를 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No wonder, then, he wants to distinguish this from the gospel.


바빙크로부터 벌콥에 이르기까지, 개혁주의 신학자들은,복음을 개인적인 결단이나 극단적인 경험으로 축소시키려고 위협하는 경건주의와 부흥주의의 지나침에 대하여 슬퍼하였다

From Bavinck to Berkhof, Reformed theologians have lamented the excesses of a pietism and revivalism that threaten to reduce the gospel to a personal decision or crisis experience.


그러므로 얼마나 종교개혁이, 예수를 주로 받아들이는 제자들보다는 예수를 구세주로 알게 하는 단순한 결신자(회심자)를 만드는 목표를 가지고서 복음을 “사영리”로 축소시키는 비극과 함께 다시 한번 더 제대로 안착 될 수 있겠는가?

So how exactly does the Reformation get saddled once again with a tragic narrowing of the gospel to the "four spiritual laws" with the goal of making mere deciders (converts) who know Jesus as Savior rather than disciples who embrace him as Lord?


맥나이트는 종교개혁 이전의 “복음 문화”(콘스탄티누스, 십자군,등등.)에 결함들이 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McKnight acknowledges that there were some flaws in the pre-Reformation "Gospel Culture" (Constantine, the crusades, etc.).


그는 또한 개혁주의자들이 “구원 문화”가 내포하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하여 동의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있다.

He also acknowledges that the Reformers wouldn't agree with everything that "salvation culture" implies.


톰 라이트와 상당히 유사하게도 아직 그는, 만약에 우리가 그가 그렇게 했던 것처럼, “원래의 복음을 찾기 위하여 성경으로” 돌아간다면, 우리도 올바르게 될 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24).

Yet, much like N. T. Wright, he seems to think that he if we would just go "back to the Bible to find the original gospel" as he has, we'd get it right (24).


해석의 역사는 “복음 문화”와 “구원 문화”의 영역으로 범위가 축소된다.

The history of exegesis is reduced to the categories of "gospel culture" and "salvation culture."


또한 라이트 교수의 저작과 같이, 예수 왕의 복음에서도 종교개혁에 관한 주장들을 진지하게 다루어보지도 않고 쓸어 담아 버린다.

Also as in Professor Wright's work, The King Jesus Gospel offers sweeping assertions about the Reformation without serious engagement.


나는 그가 개혁주의자들의 주석들이나 개혁주의 성경신학의 역사를 어느 정도 깊이 있게 탐구해보았다고 생각할 수가 없다.

I can't imagine that he has explored the commentaries of the Reformers or the history of Reformed biblical theology in any depth.


다른 관심들을 갖는다고  해가 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허상을 가지고는 아무도 더 많이 쌓을 수가 없는 것이다.

No harm done for having different interests, but one shouldn't then pile with one more straw-man portrait.


심지어 저자가 “애매한 칭찬과 더불어 비난을 할” 때에도 그는 최소한 루터주의와 개혁주의 분야들의 목표를 간과하고 있다: (맥나이트는 말하기를) “개혁주의가 3가지 방향-루터주의, 개혁주의, 그리고 재세례파- 모두에서 한 유일한 공헌은, 복음의 중심을 인간의 반응과 개인적인 책임 그리고 이러한 책임에 대하여 말하는 복음의 발달 쪽으로 이동 시켰다는 것이다”(71).

Even when he "damns with faint praise," the author misses the goal of at least Lutheran and Reformed branches: "The singular contribution of the Reformation, in all three directions—Lutheran, Reformed, and Anabaptist—was that the gravity of the gospel was shifted toward human response and personal responsi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gospel as speaking into that responsibility" (71).


(맥나이트가) 이렇게 말하는 것은 경건주의에 대한 종교개혁의 관심을 혼동한 것이며, 이것은 완전히 다른 어항의 물고기인 것이다.

This confuses the Reformation's interest with pietism, which was a completely different kettle of fish.


전자는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죄인들의 구원을 이루기 위하여 무엇을 하셨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며, “인간의 반응”과 내가 “구원을 얻기 위하여” 무엇을 할 것 인가에 대한 것은 아니다.

The former focused on what the Triune God has done to accomplish salvation for sinners, not on "human response" and what I'm supposed to do to "get saved."


비록 대체로 존경을 하고있다고 하더라도, 맥나이트는 “구원주의자들”의 예들로서 특히 존 파이퍼와 그레그 길버트를 겨냥해서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Though largely respectful, McKnight takes aim especially at John Piper and Greg Gilbert as examples of "soterists."


나는 이러한 형제들에 대하여 추정하여 말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다만 예외로는 저자의 비평의 일부 진술들이 마치 “A를 보여주는” 것과 같이 띄우는 것이 보여지는데 대하여는 말을 할 것이다.

I won't presume to speak for these brothers, except to say that the author's critique appears to lift a few statements as "Exhibit A."


예를 들자면, 파이퍼가 복음이 “믿음에 의한 칭의다”라고 말할 때, 그는 간결하게 요약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Piper says that the gospel is "justification by faith," he is speaking short-hand.


개혁주의자들은 종종 똑같은 일을 하였지만, 그들이 이렇게 하였던 것이 저자가 결단에 근거한 “구원주의”라고 서술하는 것에 근접한 것은 아니다.

The Reformers often did the same, yet they didn't even come close to the author's description of decision-oriented "soterism."


경건치 못한 이들에 대한 칭의는 구원의 역사(이스라엘/예수 이야기)에서 신자에게 그리스도의 전가된 의를 적용하는 것 만큼이나 중요한 사건이다.

The justification of the ungodly is as much an event in the history of salvation (Story of Israel/Jesus) as it is the application of Christ's imputed righteousness to believers.


우리는 우선 단순하게 “구원의 계획” 복음주의에 관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We simply don't talk about "Plan of Salvation" evangelism in the first place.


복음주의를 실천한다는 것은, 루터주의와 개혁주의가 세상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삶, 죽음, 그리고 부활을 선포하면서 접근하고, 집중하면서 복음에 관여하는 방식과는 다른 방식이다.

That is a different way of doing evangelism than the Lutheran and Reformed approach, centering as it does on the gospel as the announcement of Christ'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for the salvation of the world.


이러한 복음을 믿는 이들은 세례를 받았고 교회에 참여를 하였으며, 사도들의 가르침과 성찬과 공동 기도에 규칙적으로 함께 참여를 하였다(행 2:32)

Those who believed this gospel were baptized and joined the church, regularly meeting together for the apostles teaching, the Supper, and common prayer (Ac 2:32).


저자가 예수와 바울을 다루는데 있어서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예수의 이야기를 하는데 있어서 예수의 죽으심, 묻히심, 그리고 부활하심을 가지고 정말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강조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The great thing about the author's treatment of Jesus and Paul is that the Story of Jesus indeed encompasses the kingdom emphasis along with Christ's death, burial, and resurrection.


그러나 그가 하나님 나라를 위하여 털어놓는 복음 자체를 정의하는데 있어서는 (칭의와 같은) 혜택들에 대해서 같은 공간을 허락하는 것 같지가 않다.

However, he doesn't seem to allow the same space for the benefits (like justification) in the definition of the gospel itself that he opens up for the kingdom.


칭의가 없이는, 그리스도의 메시아적 통치와 하나님 나라는 필연적으로 좋은 소식인 것은 아니다.

Without justification, Christ's messianic reign and kingdom are not necessarily good news.


이러한 점에서, 나는 예수의 이야기로서의 복음과 구원의 계획 (만약에 예를 들어 후자가 칭의와 거듭남을 의미한다면)으로서의 복음 사이에서의 선택을 강요하는 것에 대하여 염려가 된다.

In this light, I worry about forcing a choice between the gospel as the Story of Jesus and the Plan of Salvation (if the latter means justification and new birth, for example).


하나는 구원의 선포라고 특정하기에는 여전히 너무 광범위하고 후자는 너무 협소하다- (맥나이트가 이것을 사영리와 유사한 종류로 서술하는 방식을 이해했다면) 정말로 어느 정도는 왜곡된 것이다.

The one is still too broad to specify the saving announcement and the latter is too narrow—indeed, somewhat distorting (understood the way McKnight describes it, as akin to the Four Spiritual Laws).


맥나이트는 고린도전서 15장을 가지고 큰 작업을 하였지만, 바울은 여기에 분명하게 복음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가지고,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의 유익들(용서, 칭의, 부활)을 포함시키고있다.

McKnight does a great job with 1 Corinthians 15, but there Paul clearly includes the benefits of Christ's saving work (forgiveness, justification, resurrection) with Christ's Story as the gospel.


사실 (그가 우리를 어떻게 구원하시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야기는 이 구절에서 그의 이야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In fact, our story (how he saves us) is bound up with his story in that passage.


만약에 고린도전서 15장이 복음의 요약이라고한다면 (나는 그렇다고 동의한다),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에 관한 상세한 부분들은 복음인 반면에, 그것들이 중요한 만큼, 우리에 대한 유익들이 복음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독단적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If 1 Corinthians 15 is a summary of the gospel (and I agree that it is), then wouldn't it be arbitrary to say that the details about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are the gospel while the benefits for us, as important as they are, are not the gospel?


이곳과 다른 곳에, 그리스도의 사역(삶, 죽음, 그리고 역사에서 다시 살아나심)을 구성하는 너무도 많은 문구들이 있으며, 그것들이 우리에게 미친 효과는 복음과 분리될 수 없는 측면들이다.

There are just too many passages, here and elsewhere, that make Christ's work (living, dying and rising again in history) and its effects for us inseparable aspects of the gospel.


“예수는 우리가 범죄한 것 때문에 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롬 4:25)

"He was crucified for our sins and raised for our justification" (Rom 4:25).


그리스도의 극적인 이야기와 우리를 위하여 이것의 중요성을 해석한 교리는 같은 복음의 분리 될 수 없는 측면들이다.

The dramatic story of Christ and the doctrine that interprets its significance for us are inseparable aspects of the same gospel.


전형적으로, 개혁주의와 루터주의 신학들은 (고린도전서 15:2-5과 로마서 4:25절과 같은) “좁은 의미에서의 복음”과 성령의 은사, 몸의 부활, 그리고 우리가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모든 다른 유익들을 포함하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 시키신 약속 모두를 망라하는 “더 넓은 의미에서의 복음”에 관하여 말하고 있다.

Typically, Reformed and Lutheran theologies speak about "the gospel in the narrow sense" (something like 1 Cor 15:2-5 and Rom 4:25) and "...in the broader sense," encompassing all of the promises that God fulfilled in Christ, including the gift of the Holy Spirit,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nd all of the other benefits of our union with Christ.


그러므로 우리는 이미 다음과 같은 점들을 구성하는 영역들을 가지고 있었다: 약속과 성취, 구원의 역사와 구원의 서정, 그리고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에서의 복음.

So we already have the categories that make these points: promise and fulfillment, historia salutis and ordo salutis, and the gospel in the narrower and broader senses.


최소한 나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명확함으로 인하여 환원주의로 갈 수는 없는 것이다.

To me, at least, these distinctions are less capable of reductionism.


신약에서의 복음은 (복음을 받아들이라는 요구인) “회심과 믿음”도 아니며 “예수가 이스라엘 이야기의 해결이시다”도 아니다.

The gospel in the New Testament is neither "Repent and believe" (that's the call to embrace the gospel) nor "Jesus is the Solution to Israel's Story."


심지어는 예수가 주시며, 메시아-왕이라는 것도 아니다.

It's not even that Jesus is Lord, the Messiah-King.


칭의의 소식들이 제외된 이러한 선포는 이스라엘과 예수의 이야기와 동떨어진 칭의의 소식만큼이나 모호한 것이다.

This announcement is as ambiguous without the news of justification as is the news of justification apart from the Story of Israel and Jesus.


예수의 주권은 칭의와 은혜는 물론 심판과 진노를 포함한다.

Jesus' lordship entails judgment and wrath as well as justification and grace.


그러므로 둘러보아야 할 환원주의는 충분히 있다.

So there is plenty of reductionism to go around.


나는 맥나이트가 대부분 옳다고 믿지만, 그의 복음에 대한 정의는 한 가지 의미에서는 너무 일반적(예수의 이야기)이고 또 다른 의미에서는 너무 환원적(“메시아-왕-주” 대 “의롭게 하는 대제사장”)이라는 것이다.

McKnight is mostly right, I believe, but I'm concerned that his definition of the gospel is too general in one sense ("The Story of Jesus") and too reductive in another ("Messiah-King-Lord" vs. "Justifying High Priest").


이스라엘 이야기의 지평 안에서 해석된 “선지자, 제사장, 그리고 왕)이라는 통합된 주해 안에 머무르는 것이 무엇이 잘못이란 말인가?

What's wrong with staying with the integrating rubric of "Prophet, Priest, and King," interpreted within the horizon of Israel's story?


그의 속죄 사역의 유일한 면으로서 만이 아니라 권능과 나라, 그의 도덕적 통치의 변론, 그리고 아담이 대표자로서 실패한 것을 재현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형벌적 대속론은?

Penal substitution not as the only aspect of his atoning work but as the sine qua non of his victory of the powers and principalities, vindication of his moral government, and recapitulation of Adam's failed headship?


왜 잘못된 선택이란 말인가?

Why the false choices?


복음을 이스라엘-이야기를-해결한-예수의-이야기로 환원시키는 것의 또 다른 위험은, 이러한 방식이 이방인들에게 복음이 좋은 소식이라는 이유를 적절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Another danger in reducing the gospel to the Jesus-Story-as-Solution-to-the-Israel-Story is that it fails to account adequately for why the gospel is good news to Gentiles.


저자는 “자, 이것이 지나치게 단순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앞과 뒤의 선지서, 그리고 대선지서, 소선지서의 어떠한 부분을 읽든지 간에 이들은 이스라엘 이야기의 문제가 이스라엘과 유다의 문제들의 해결이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137)라고 말한다.

"Now this might seem simplistic," the author says, "but any reading of the Prophets, former or latter and major and minor, will show that the problem for the Story of Israel was a resolution to Israel's and Judah's problems" (137).


사실 이것은 커다란 부분이지만, 사도들은 “교회의 신비”를 전 세계 문제에 대한 대답으로서 이스라엘의 메시아에 대한 예언적 약속에 근거를 두고 있지 않는가?

Indeed, that's a big part of it, but don't the apostles ground the "mystery of the church" in the prophetic promise of Israel's Messiah as the answer to the whole world's problems?


열방들로부터 시온에 이르기까지 남은자의 놀라운 예언들은 어떠한가?

What about all those wonderful prophecies of a remnant from the nations streaming to Zion?


이스라엘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예수의 이야기를 제공해준다: 충분히 사실이다- 그리고 사실일 뿐만이 아니라 맥나이트가 제시한대로 매우 중요한 것이다.

The Story of Israel sets us up for the Story of Jesus: true enough—and not only true, but just as crucial as McKnight suggests.


그러나 그는 복음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예수가 메시아이시면서 주”라고 말한다.

However, he says, that what is central to the gospel "is that Jesus is Messiah and Lord."


이것은 “예수 시대의 유대인에게 메시아-왕의 땅에서 메시아-왕과 메시아-왕의 백성이라는 간절한 필요”였다

This was "the pressing need of the Jews of Jesus' day: the Messiah-King and the Messiah-King's people in the Messiah-King's land."


이것은 우리의 영역들에서 흔하게 형성되는 유익한 점들이다.

This is a salutary point, frequently made in our circles.


그러나 톰 라이트와 같이, 맥나이트는, 이것이 마치 근본적으로 선지자들과 예수가 마음에 품고 있었던 것처럼,  예수 시대의 유대인이 기대하였던 것에 너무 많은 신뢰를 주는 것 같다.

However, like N. T. Wright, McKnight seems to give too much credit to what the Jews of Jesus' day were expecting, as if it were basically what the prophets and Jesus had in mind.


분명히 그렇지는 않다, 예수는 규칙적으로 종교 지도자들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제자들에게 까지도 놓치고 있는 점을 꾸짖으시며, 자신이 나라를 이전의 영광으로 회복 시키시며 시내산 언약을 새롭게 하시려고 오셨다는 것을 생각하게 하셨다.

Clearly it wasn't, since Jesus regularly upbraids not only the religious leaders but his own disciples for missing the point, thinking that he was coming to restore the nation to its former glory, renewing the Sinai covenant.


만약에 이방인들이 자신들이 약속의 언약에서 외인들이며, 하나님의 원수이며, “정결치 못하며,” 이미 심판 아래 있다고 한다면, “최종적으로 이스라엘이 이 땅에 주변 상황들을 정리하실 왕을 가졌다”는 소식이 무슨 상관이 있다는 말인가?

If Gentiles are in themselves strangers to the covenants of promise, God's enemies, "unclean," and already under judgment, of what relevance is the news, "Finally, Israel has a King who will bring things around in the land!"?


나는 우리 이방인들이 이스라엘의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어가야 한다는 것에 동의한다; 우리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유대의 셔츠 자락 (tail?)에서 언약에 들어간 것이다.

I agree that we Gentiles have to be immersed in the Story of Israel; we get in the covenant on Jewish shirt-tales, as it were.


우리는 하루의 마지막에 포도원에 들어온 일꾼들로서 신참인 것이다.

We're the workers in the vineyard who came at the end of the day, the Johnny-come-latelies.


그러나 유대인의 청중들에게 하였던 것들과는 달리, 사도행전에서 이방인들에게 한 복음 설교들과 서신서들에서의 복음에 대한 기술들은 단순히 이스라엘의 역사를 반복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그리스도 자신의 심판으로 죽으심과 의롭게 하시는 부활로서 심판, 죄와 죽음으로부터 세상을 구원하시는 그리스도를 선포한다.

However, unlike those to Jewish audiences, the gospel sermons to Gentiles in Acts and descriptions of the gospel in the epistles don't merely rehearse the history of Israel; they proclaim Christ as the Savior of the world, from judgdment, sin and death, by Christ's own death-judgment and resurrection-justification.


그들의 회개의 내용은 우상숭배이다.

The context of their repentance is idolatry.


톰 라이트는 어딘가에서, 이스라엘이 예수의 출현으로 직면하게 된 비극적인 문제는 이스라엘 역시 “아담 안에” 있음이 발견된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Somewhere N. T. Wright has written that the tragic problem that confronts Israel at Jesus' advent is that Israel too is found to be "in Adam."


이것은 분명히 옳다.

That's exactly right.


“아담 안”에 있다는 것은 곤경을 보편화 시킨다.

Being "in Adam" universalizes the plight.


우리는 감히 이스라엘을 묵과하지는 않지만, 바울의 대조는 “아담 안”에 있는 것과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을 대비 시킨다.

We dare not skip over Israel, but the Pauline contrast is being "in Adam" versus being "in Christ."


분명히 메시아-왕의 통치는 예언들의 핵심이지만, 그가 이러한 통치를 실행하는 방식은 그의 제사장직과 불가분하게 연관되어있다.

Surely the reign of the Messiah-King is key in the prophets, but the way in which he exercises this reign is inextricably linked to his priesthood.


율법을 충족 시키시고, 그들의 죄를 감당하시고, 그들에게 자신의 의를 옷 입히시고, 자신의 영을 그들에게 주시고, 그리고 모든 것들을 새롭게 되돌리심으로서, 이러한 메시아는 진실로 아담과 이스라엘이 실패를 한 것을 완성하실 것이다.

By fulfilling the law, bearing their sins, clothing them in his righteousness, giving them his Spirit, and returning to make all things new, this Messiah will indeed accomplish what Adam and Israel have failed to do.


나는 그가 “그러므로 그가 에덴의 동쪽에서 우리를 자신의 동산에서 제사장-왕들이 되라는 똑같은 임무를 가지고 세상으로 보내신 것이다”라고 덧붙일 때 그가 의미하는 것에 대하여 저자를 좀 더 압박해보고자 한다.

I would want to press the author a bit more on what he means when he adds, "So he sends us east of Eden into the world with the same task" of being priest-kings in his garden" (138).


그렇다면 우리의 임무가 그리스도의 임무와 같다는 것인가?

So is our mission the same as Christ's?


우리가 아담과 이스라엘을 재현하며, 저주를 감당하며, 그리고 우리의 부활로 모든 만물의 회복을 보장하란 말인가?

Are we recapitulating Adam and Israel, bearing the curse, and by our resurrection securing the restoration of all things?


예수가 우리를 위하여 이러한 모든 것을 하신 진정한 “마지막 아담”인가, 아니면 우리가 어떻게 그의 구속 사역을 완성할 것인가를 가르쳐주는 모델이신가?

Is Jesus really the "Last Adam," who does all of this for us, or the model for how we are to complete his redeeming work?


나는 이러한 진술에 대한 매우 많은 것들을 읽을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점들에 대하여 좀 더 듣는 것도 흥미가 있을 것이다.

I may be reading too much into that statement, but it would be interesting to hear more about that point.


예수 왕의 복음을 통하여 톰 라이트를 분명하게 반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맥나이트는 “복음과 제국”에 있어서는 확신이 덜하다: 즉 “예수가 주시다”라고 말하는 주된 것은 특별히 시저와 그의 제국에 대하여 도전하는 것이다.

In spite of clear echoes of N. T. Wright throughout The King Jesus Gospel, McKnight is less confident in the "gospel and empire" thesis: namely, that the main thing in saying "Jesus is Lord" is to specifically challenge Caesar and his empire.


“마음에 새겨 넣어야 할 것은 예수가 주시라는 복음 선포는 시저가 (주가) 아니라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아무도 부인하지 못하리라는 것이다. 여기서의 문제는 특히 로마서 13장에서 정해진 권력에 관한 바울의 언급에 비추어볼 때,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복음화에 있어서 이러한 반제국적 주제가 얼마나 의식적이고, 공공연하고, 의도적이었는가 하는 것이다”(142-144)

"Let's keep in mind that no one would ever deny that an implication of the gospel declaration that Jesus is Lord is that Caesar is not. The issue here is how conscious, overt, and intentional this anti-imperial theme is to the gospeling of the first Christians," especially in light of Paul's remarks about ordained powers in Romans 13 (142-144).


마지막으로 나는 마지막 장인 “복음 문화를 창조한다”를 기다렸다.

Finally, I was looking forward to the last chapter: "Creating a Gospel Culture."


결국, 서술된 주거 환경을 긴밀하게 담아내며 역사 속에서 개개인 신자들을 이스라엘과 삼위일체 하나님의 목적에 연결시키는 복음이, 개개인의 결정들을 근거로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종류의 공동체를 만들어낼 것이라는데 전심으로 동의한다.

After all, I wholeheartedly agree that a gospel that takes its narrative habitat seriously and connects individual believers to Israel and the Triune God's purposes for history will create a very different kind of community than one that's based on individual decisions.


그러나 나는 내가 기대하였던 것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However, I didn't find what I was expecting.


나를 당혹케 하였던 것은 거기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결핍된 것이다.

It wasn't what was there, but what was missing, that puzzled me.


분명히 우리는 이야기와 모든 것의 백성 될 필요가 있으며, 성경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야 되겠지만, 이에 대한 그의 구체적인 제안들은 모두 다 근본적으로 개개인의 신자에 관한 것이다.

Sure, we need to become People of the Story and all, reading the Bible cover to cover, but all of his concrete suggestions for this were basically about the individual believer.


(그의 구체적인 제안들 가운데에는) 성례, 교회의 구성원과 제자도에 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특히 이러한 일상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이것으로 하나님께서 “복음 문화를 창조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부록에 비추어 볼 때 이상한 것이다.

Nothing about the sacraments, church membership and discipline—especially odd in light of the Justin Martyr appendix that focused on these ordinary means by which God "creates a gospel culture."


맥나이트는 “달라스 윌라드가 수 십년간 논하였듯이, 하나님께서는 비젼, 우리의 의향, 그리고 하나님께서 제공하시는 수단-영적인 훈련-들을 통해서 우리를 변화 시키신다”고 말한다 (159).

McKnight says, "As Dallas Willard has argued for decades, God transforms us through a vision, our intention, and the means God provides—the spiritual disciplines" (159).


이것으로는 좀처럼 “구원주의”를 선택하는 것보다 좀 덜 개인주의적이며 좀 더 통합적인 복음 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This seems hardly capable of creating a less individualistic and more integrated gospel culture than its "soterian" alternative.


나는 예수 왕의 복음의 비평과 같이 논의와 풍자 설정과 한쪽으로의 잘못된 선택들에 대하여 끝까지 들어 줄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I would encourage likely critics of The King Jesus Gospel to hear out the argument, setting caricatures and false choices to one side.


이 책에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을 상기시켜야만 할 많은 것들이 있다.

There is a lot in this book that should resonate with Reformed Christians.


맥나이트가 실제로는 더 나은 다른 이들의 관점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얼마나 부정확하든지 간에, 그는 교회 생활에서 풍성하게 역할을 하고있는 시대적 그리스도인의 심각한 취약점에 대하여 반발하는 것이다.

Whatever inaccuracies in his description of the views of others who deserve better, Scot McKnight is reacting against a serious weakness of contemporary evangelism that plays out in church life abundantly.


나의 이 책의 열광적인 독자들에게, 갖추어진 하나의 환원주의 체계를 다른 것으로 변화 시키지 말 것을 주의 시키고자 한다.

To enthusiastic readers of the book, I'd caution against exchanging one set of reductionism for another.


심지어는 “이야기-사람”과 “교리-사람”; “하나님 나라”와 “개인적 구원”; “예수는 주시다”와 “예수는 구세주시다” 는 극단적 진영들로 양극화 시키지는 말자.

Let's not polarize into even more extreme camps of "story-people" and "doctrine-people"; "kingdom" and "personal salvation"; "Jesus is Lord" and "Jesus is Savior."


우리는 모두 복음적 구원주의자가 될 수 있으며, 우리를 우리의 죄에서 구원하신 유일하신 분을 선포하는 예수의 이야기로서의 복음을 즐거워하자.

We can all be evangelical soterians, rejoicing in the gospel as the Story of Jesus that proclaims the only one who saves us from our sins.


나의 염려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몇 가지 기억할 만한 중요한 대화들의 커다란 출발인 것이다.

Despite my concerns, this is a great starter for some remarkably important conversations.





posted by Wonho Kim
:
스캇 맥나이트 2016. 3. 12. 15:49
스캇 맥나이트가 말하는 복음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하나님 나라의 비밀”의 저자인 스캇 맥나이트가 말하는 복음은 개혁주의적 관점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저서 “하나님 나라의 비밀”에서는 이제까지 우리가 미쳐 생각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다양한 이야기들을 제시해주고 있다.

교회보다도 넓은 영역의 하나님 나라 개념을 말하여왔던 헤르만 리델보스나 조지 앨든 레드의 “하나님 나라”개념에 익숙해져있던 개혁주의 신자들에게 맥나이트는 “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통하여  교회와 하나님 나라가 동일하다고 말하면서 하나님 나라의 사역이 곧 교회의 사역이 되어야 한다고 논리적으로 설득한다.

맥나이트의 설득력 있는 논리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리가 쉽게 마음에 와 닿지 않는 것은 그의 신학이 톰 라이트가 주장하고 있는 “바울에 관한 새관점”을 기초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맥나이트가 언급하고있는 교회의 개념도 우리가 이제껏 생각하고 있던 전통적인 교회의 개념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줄 수 밖에 없다.

교회 구성원의 자격은 우리가 전통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종교개혁적  신앙고백을 하는 이들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오직 믿음”과 “이신칭의”라는 전통적인 틀 안에서 개혁주의 교리를 인정하고 신앙 고백을 하는 이들이 세례를 통하여 교회의 구성원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맥나이트가 말하는 교회 구성원은 이미 구약의 이스라엘까지 포함하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이들로서 회개와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조건으로 하나님의 명령에 순응하는 이들이다.

맥나이트는 구약의 이스라엘과 신약의 교회는 동일한 하나님 나라이며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과 신약의 교회의 구성원은 동일한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논리는 단지 맥나이트의 주장에서만이 아니라 톰 라이트를 비롯한 새관점주의자들에게서도 동일하게 볼 수 있다.

맥나이트는 새관점의 대표적 개척자인 제임스 던에게서 학위를 받았으며 지금은 톰 라이트와 더불어 새관점의 사상을 정립하고 전파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이와같은 신학적 차이로 인하여 맥나이트가 말하는 하나님 나라는 개혁주의와 많은 차이를 보여 줄 수밖에 없다.

맥나이트의 신학적 입장은 새관점을 주장하는 톰 라이트와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겠지만 새관점에 대한 선입관을 가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맥나이트의 주장들은 결국 다른 복음으로 귀착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맥나이트의 신학적 특성들을 잘 정리한 Gabe Rogers목사의 글을 통하여 맥나이트의 신학세계를 살펴보고자한다.

              ◇          ◇          ◇
스캇 맥나이트가 말하는 복음과 성경이 말하는 복음- 가베 로저스
The Gospel of Scot McKnight and the Gospel of the Scriptures Contrasted
출처 http://www.faithnh.com/sermons/sermon/2013-03-24/jesus-the-soterian:-a-critique-of-scot-mcknights-gospel

By Gabe Rogers

서론: 스캇 맥나이트는 잘 알려진 신약 학자로서, 최근에 이곳 뉴헴프셔주의 콩코드에 위치한 센터포인트 교회에서 특별 연자로 초청된 인물이다.
Introduction: Scot McKnight is a well-known New Testament scholar who recently was the featured special guest speaker at Centerpoint Church here in Concord, NH.

복음주의 그리스도인들이 알아야 할 것은, 맥나이트는 복음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다른 관점을 공개적으로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결론적으로 다른 복음이다.
Evangelical Christians need to be aware that McKnight is openly proposing a radically different view of the Gospel, which in the end is a different gospel.

미국 복음주의가 제자도에 대하여 거의 강조하지 않는 값싼 “그리스도에 대한 결단”의 경향이 있다는 것에 대한 그의 비판은 비록 슬프게도 정확한 것이지만, 복음주의가 역사적으로나 보편적으로 “복음을 잘못 취하고 있다”는 그의 주장은 너무 멀리 나간 것이다.
While his critique of American evangelicalism's tendency toward cheap "decisions for Christ" along with little emphasis on discipleship is sadly accurate, he goes too far when he insists that evangelicals have both historically and currently “got the Gospel wrong.”1

더군다나, 그는 자신이 복음에 관하여 제안한 것이 논쟁이 되게 하려는 의도였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주장한다.
Moreover, he openly asserts that he intends to be controversial in what he is proposing regarding the Gospel.2 

이 글의 목적은, 맥나이트가 제시하는 복음이, 개신교 복음주의자들이 믿어왔고, 소중히 여겼으며, 찬양했고, 선포하면서 땅 끝까지 가지고 나갔던 복음과는 몇 가지 심각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some of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ospel that McKnight is proposing and the Gospel that Protestant Evangelicals have believed, cherished, sung, proclaimed, and taken to the ends of the earth.

10가지 차이점들
Ten Contrasts

차이점 #1: 복음의 관심이 다르다.
Contrast #1: A Different Gospel Concern

맥나이트는 복음이 본래, 혹은 주로 개인의 구원에 관계된 것이 아니라고 단호하게 주장한다.
McKnight adamantly asserts that the Gospel is not primarily or chiefly concerned with personal salvation. 

그렇다, 맥나이트는 개인적 구원이 복음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우리는 복음을 어떤 의미에서의 “구원의 계획”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Yes, personal salvation flows out of the Gospel according to McKnight, but we must not think of the Gospel in any sense as the "Plan of Salvation." 3

반면에, 성경적 복음은 원래 그리고 압도적으로 (개개인의 사람들로서의) 죄인들의 구원에 관계되어있다.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is primarily and overwhelmingly concerned with the salvation of sinners (individual people). 

차이점 #2: 복음의 내용이 다르다
Contrast #2: Different Gospel Content

맥나이트는 “신약의 ‘복음’이 구원의 계획으로 함축될 수 없다"고 열정적으로 주장한다.
McKnight passionately asserts “that the ‘gospel’ of the New Testament cannot be reduced to the Plan of Salvation.”4

반면에, 성경적 복음은, 비록 풍성하고 다양한 면이 있지만, 동시에 경이롭고 아름답게 함축될 수 있다.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though rich and multifaceted, is at the same time marvelously and beautifully reducible.

바울은 복음을 이렇게 제시한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죄를 위하여 죽으셨다"(고전 15:3).
The Gospel according to Paul is this: “Christ died for our sins” (1 Cor. 15:3).

사실, 바울은 복음을,”십자가의 도" 그리고 좀 더 정확히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라는 구절로 축소 시켰다
In fact, Paul reduces the Gospel to the phrase, “the word of the cross” and even more pointedly, “Christ crucified” (1 Cor. 1:18, 23)!

차이점 #3: 복음의 중심이 다르다.
Contrast #3: A Different Gospel Center

맥나이트에 의하여 제시된 복음은, 초점이 그리스도의 죽으심에서 예수의 삶의 사건들로 빗나가버렸으며, 십자가에서의 죽으심은 다른 사건들 가운데 한 가지가 되어버린 것이다.
The gospel proposed by McKnight shifts the focus away from the death of Jesus to the “events in Jesus’ life,” among which the crucifixion is one event among others.5

반면에, 성경적 복음은, 진실로 성경이 증거하는 전체로서, 우리의 관심을 그리스도께서 대신하여, 속죄로 죽으신 것에 향하도록 우리의 관심을 고정 시킨다(히 12:2). 복음은 “십자가의 도”다(고전 1: 18. 1:13; 2:2)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indeed the entirety of the Scriptural witness, directs and fixes our attention on the substitutionary, atoning death of Christ (Heb. 12:2). The Gospel is “the word of the cross” (1 Cor. 1:18, see also 1:23; 2:2).

차이점 #4: 다른 속죄
Contrast #4: A Different Atonement

맥나이트는 그리스도의 형벌적 대속 교리(십자가 상에서  우리의 죄로 인하여 형벌, 즉 죄와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정당하고 의로우신 진노를 예수께서 감당하셨다는 진리)를 해체시키면서 더럽히고 있다.
McKnight dismisses and denigrates the doctrine of Christ’s penal substitutionary atonement (the truth that on the cross Jesus was receiving the penalty for our sins, namely, the just and righteous wrath of God towards sin and sinners).6

이에 반하여, 성경적 복음은 이러한 영광스러운 진리가 중심에 자리 잡도록 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이 직접 죄와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의로우신 분개하심과 진노하심의 형벌을 감당하셨다(이것이 형벌적 대속 교리이다). 특별히 이사야 53:3-11; 로마서 3:25-26을 보라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gives the central place to this glorious truth: Jesus Christ bore in Himself the penalty of the righteous indignation and wrath of God towards sin and sinners (this is the doctrine of penal substitutionary atonement). See especially Isaiah 53:3-11; Romans 3:25-26.

차이점 #5: 다른 의
Contrast #5: A Different Righteousness

맥나이트는 그리스도의 의가 그리스도를 믿는 이들에게 하나님에 의하여 전가/보증이 되었다는 가르침을 부정하며 이를 매우 많이 싫어한다.
McKnight denies and very much dislikes the teaching that Christ’s righteousness is imputed/credited by God to those who have faith in Christ.7

이에 반하여, 성경적 복음은 믿는 죄인들이 용서를 받고 깨끗하여 졌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이 보시기에 “의롭다고" (의로 밝혀지도록) 허락되었다. 성경적인 복음은 신자가 하나님 앞에 서게 되는 이러한 의를 그리스도의 의와 다를 바가 없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빌 3:9).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leaves the believing sinner not only forgiven and cleansed, but “justified” (declared righteous) in God’s sight. The biblical Gospel presents this righteousness in which the believer stands before God as none other than the righteousness of Christ (Phil 3:9).

차이점 #6: 죄에 대한 다른 정의
Contrast #6: A Different Definition of Sin

맥나이트는 죄를 “제한된” 범죄행위로 여긴다.
McKnight considers sin a “finite" offense.8

이에 반하여, 성서와 성경적 복음에서는 죄를 하나님의 무한하신 거룩하심과 선하심에 대한 개인적인 무례와 공격으로 표현한다(시 51:4).
In contrast, the Scriptures and the biblical Gospel present sin as a personal affront and assault upon the infinite holiness and goodness of God (Ps. 51:4).

성경적 복음에서는 우리의 죄를 상당히 심각한 문제로 보고 있는데, 이는 우리의 죄와 사악함이 매우 심각하고 무한한 범죄이기 때문이다.
The biblical Gospel presents our sin as such a profound problem because our sin and sinfulness is such a profound, infinite offense.

오직 무한히 거룩하시고 귀중하신 하나님의 아들만이 하나님에 대한 헤아릴 수 없는 반역의 죄에 대한 형벌을 갚으실 수 있으시다.
Only the infinitely holy and valuable Son of God could pay the penalty for sin of inestimable offense against God.

차이점 #7; 다른 지옥
Contrast #7: A Different Hell

맥나이트는 “예수가 지옥을 믿으시기 때문에" 지옥을 믿는다고 주장하지만, 개개인이 육체적으로, 그리고 의식을 가지고 하나님의 영원하시고 정당한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역사적 복음주의 신앙을 부정하며 축소시킨다.
McKnight, while asserting that he believes in hell “because Jesus believed in hell,” denies and belittles the historic evangelical belief that individuals will physically and consciously receive the just judgment of God eternally.

 그는 대신에 영혼 절멸설의 형태를 주장하며 추천한다.
He instead professes and commends a form of annihilationism.9

이에 반하여, 성경에서는 지옥이 하나님의 영원하시고 의로우신 심판을 육체적으로, 그리고 의식적으로 받게 될 장소라는 것을 분명하게 가르친다(마 25:46; 계 20:10-15).
In contrast, the Scriptures clearly teach that hell is a place where sinners will physically and consciously receive the just judgment of God forever (Mat. 25:46; Rev. 20:10-15).

차이점 #8: 다른 복음
Contrast #8: A Different Evangelism

맥나이트는, 성경적 복음주의는 단지 다른 이들에게 어떻게 “예수의 이야기"가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완성시켰는지를 말해주는 것이라고 제안 한다.
McKnight proposes that biblical evangelism is merely telling others of how the “Story of Jesus” completes the “Story of Israel.”

그는 죄인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심판과 진노의 빛에서 믿고 회개하도록  급하게 경고하는 가르침과 복음주의를 멸시한다.
He mocks preaching and evangelism that urgently warns sinners to believe and repent in light of the judgment and wrath of God.

그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접근법은 단지 인위적인 수사법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According to him such an approach is nothing more than manipulative rhetoric.

더욱 낙담 되는 것은, 맥나이트는, 복음은 누가 “안에 있는지" 혹은 누가 “밖에 있는지"(구원 받았는지 혹은 아닌지?)와는 관계없는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한다.
More disconcerting, McKnight insists repeatedly that the Gospel is not concerned with who is “in” or who is “out” (saved or unsaved?).10

이에 반하여, 복음에 대한 성경적 가르침은, 예수와 사도들과 열심 있는 이들을 포함한 제자들이 보여준 것과 같이, 하나님의 심판을 특별히 경고하고 있다.
In contrast, biblical preaching of the Gospel, as modeled by Jesus, the apostles, and disciples includes fervent, compassionate warning of the judgment of God.

성경적 복음주의는 죄인으로 하여금 자신들이 하나님의 의로우신 심판으로부터 구함을 받아야 하는  긴박한 필요성을  강권하며 제시하고 있다.
Biblical evangelism has a sense of urgency and presents the sinner with his or her urgent need to be saved from the just judgment of God.

더군다나, 성경적인 복음은 누가 “안에" 있고 누가 “밖에" 있는지에 관하여 매우 많이 관련되어있다(마 7:13-14)
Further, the biblical Gospel is very much concerned with who is “in” and who is “out” (Mat. 7:13-14).

차이점 #9: 다른 성경 공부 방법
Contrast #9: A Different Bible Study Method

맥나이트는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예수의 이야기로 완성된다"는) “원래의 복음"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논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말한 것에 의존을 하는데 이는 고린도전서 15장을 통하여 알 수 있다.
McKnight rests his argument for a new definition of the “original gospel” (“The Story of Israel is completed in the Story of Jesus”) upon what he says is found in 1 Corinthians 15.

비교하기 위하여 고린도전서 15장을 읽어보자.
In contrast, read 1 Corinthians 15.

고린도전서15장을 읽으면 신약 성경 학자가, 바울의 주된 논의가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예수의 이야기에서 완성된다"는 주장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 놀랄 수밖에 없다.
Read 1 Corinthians 15 and be amazed that a New Testament scholar can insist that Paul’s main argument is “that the Story of Israel is completed in the Story of Jesus.”

사실 고린도전서15장은, 복음이 우선적으로 구원에 관한 것이 아니며 복음은 축소될 수 없다는 그의 주장에 반하는 가장 강력한 성경적 논의인 것이다.
In fact, 1 Corinthians is the strongest biblical argument against his proposal that the Gospel is not primarily about salvation and that the Gospel "cannot be reduced."

주: 바울의 복음은 몇 가지 문장들로 “알려지게” 할 수 있다(고전 15:1). 바울의 복음은 우선적으로 사람들을 그들의 죄들로부터 구하는 것이다(고전 15:2). 그리고 바울 복음의 중심은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으심이다(고전 15:3)!
Note: Paul’s Gospel can be “made known” in a few sentences (1 Cor. 15:1). Paul’s Gospel primarily saves people from their sins (1 Cor. 15:2). And Paul’s Gospel centers on the substitutionary death of Christ (1 Cor. 15:3)!

차이점 #10: 성경에 대한 다른 관점
Contrast #10: A Different Bible View

맥나이트의 복음에 대한 표현은 매우 복잡하고, 난해하며, 명확함이 부족하여서, 독자로 하여금, “복음이 무엇인가?” 그리고 “그리스도인이 무엇인가?” 라는 대부분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하여 성경이 어떤 명확한 답을 말해주고 있는가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도록 한다.
McKnight’s presentation of the Gospel is so convoluted, esoteric, and wanting of clarity that readers are left to wonder if the Bible speaks with any clarity to the most basic questions, “What is the Gospel?” and “What is a Christian?”11

이에 반하여, 성경은, 단순하지는 않더라도, 놀라울 정도로 분명하며, 오직 학자, 혹은 목사만이 아니라 성령이 내주하는 모든 신자가 이해할 수 있으며 읽을 수도 있다.
In contrast, the Scriptures, while not simple, are wonderfully clear and able to be comprehended by not only the scholar, or pastor, but by every believer who is indwelled by the Holy Spirit and able to read.

성경은 조심스럽게 그리고 경외하면서 읽게 되면, 구원의 좋은 소식인 복음을 분명하게 드러내 준다.
When read carefully and reverently, the Scriptures clearly present the Gospel which is the good news of salvation.

맥나이트의 책을 읽음으로서 복음을 다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우리는 바울이 디모데에게 하였던 충고를 따라야만 한다:
Far from re-thinking the Gospel by reading McKnight’s books, we should follow Paul’s advice to Timothy:

“그러나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너는 네가 누구에게서 배운 것을 알며 또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하느니라.”(디모데후서 3:14-15)
"You, however, continue in the things you have learned and become convinced of, knowing from whom you have learned them, and that from childhood you have known the sacred writings which are able to give you the wisdom that leads to salvation through faith which is in Christ Jesus." (2Timothy 3:14-15)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다른 복음을 받아들였을 때 생기는 (최소한) 열 가지 실제적 결과들
What’s at Stake? Ten (at least) Practical Consequences of Embracing this Different Gospel

1. 성경의 명확함에 대한 신뢰의 상실.
1. Loss of confidence in the clarity of the Bible.

2. 복음에 관계된 명확성의 상실.
2. Loss of clarity concerning the Gospel.

3. 복음의 필수적 진리들을 요약한 복음주의를 향한 긍정적 관점의 상실.
3. Loss of positive view towards evangelism that summarizes the essential truths of the Gospel.

4. 복음을 나누고자 하는 확신의 상실.
4. Loss of confidence in sharing the Gospel.

5. 복음의 소유권에 “중점을 두는 것”의 상실 (진짜 그것을 받아들이는 학자들에 의하여 더 잘 이해가 된다).
5. Loss of “lay” ownership of the Gospel (it’s better understood by scholars who really “get it”).

6. 복음의 중심에 있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의 상실.
6. Loss of the center of the Gospel as “Christ crucified.”

7.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의 의미와 중요성의 상실.
7. Loss of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hrist crucified.”

8. 지옥을 경고하는 가르침과 복음주의의 상실.
8. Loss of preaching and evangelism that warns of hell.

9. 성도와 불신자, 교회와 공동체간의 구분의 상실.
9. Loss of distinction between saints and unbelievers, the church and the community.

10. “성도에게 주시는 단번에 모두를 구원하는” 복음의 상실
10. Loss of the Gospel “once for all delivered to the saints” (Jude 1:3).

요약: 결론적으로는, 분별력이 있는 독자들이나 청취자들은 맥나이트가 말하지 않는 것이 그가 말하는 것을 조사하는 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Summary: In the end, discerning readers and listeners will notice that what McKnight does not say is as important as examining what he does say.

독자들이나 청취자들은 (그가 최소한 자신의 두 가지 책들 안에서 자신의 목적이 복음과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규정하는 것이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기에)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맥나이트가 제시하는) 성경적인 가르침에 관하여 허망함을 볼 것이다.
Readers and listeners will look in vain (at least in his two books in which he expressly says his aim is to define the Gospel and What it Means to be a Christian!) for the biblical teaching concerning the significance of the cross of Christ.

복음을 성경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단순하게 여기 저기에서 성경적인 단어들과 구절들을 담아내는 것이 아니다.
A biblical presentation of the Gospel does not merely contain biblical words and phrases here and there.

만약에 우리가 성경적인 복음과 그것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우리는 (우리 자신의 생각이 아닌) 성경이 강조하는 진리들과  비율과 비중에 있어서 성경 자체에 의한 동일한 진리들을 소중하게 여기고 고백하여야만 한다.
If we are to understand the Biblical Gospel and its meaning we must cherish and profess the truths the Bible emphasizes (not our own ideas) and in the proportion and weight given those same truths by Scripture itself.

맥나이트는 자신이 답한 것 이상의 질문을 제시하며,  성경에 이미 분명하게 제시되어있으며 복음주의 세대들에 의하여 가르쳐지고 믿은 바된 복음보다는 자신만이 소유한  형태의 복음을  제안한다.
McKnight raises more questions than he answers and proposes his own version of the “Gospel,” rather than the Gospel clearly put forward in Scripture -the Gospel that has been preached and believed by generations of evangelicals. The Gospel, most importantly, “by which [we] are saved” (1 Cor. 15:2).

Endnotes는 출처 http://www.faithnh.com/sermons/sermon/2013-03-24/jesus-the-soterian:-a-critique-of-scot-mcknights-gospel
를 참조





posted by Wonho Kim
: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2016. 1. 16. 22:35


3부: 이 주제가 클라인에게 중요한 5가지 이유들

Part III: Five Reasons Why This Issue Was Important to Kline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왜 클라인은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가 지배적인 통치 원리였다고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그렇게 관심을 가졌어야 했는가?

Why was Kline so concerned to recognize that works w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 of the Mosaic covenant?


여기에는 최소한 다섯가지 이유들이 있다.

There are at least five reasons.


A. 첫 번째 이유: 축복들과 저주들

A. First Reason: The Blessings and the Curses


첫 번째 이유로는, 만약에 사람이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부정하게 되면, 모세 언약의 축복과 저주를 은혜와 약속의 통치의 부분으로서, 단순히 아브라함 언약의 통치적 연속성으로 보게 될 것이라는 것을 클라인이 인지하였던 것이다.

The first reason is that Kline perceived that if one denies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then one will view the blessings and curses of the Mosaic covenant as part of the administration of grace and promise, a mere administrative continuation of the Abrahamic covenant.


이렇게 하게 되면 사람이 은혜 언약을 이해하는 것을 왜곡 시키게 된다.

Doing this will distort one’s understanding of the covenant of grace.


만약에 모세 언약의 조건(이것을 행하면 살리라; 순종에 대한 축복; 불순종에 대한 저주)이 실제로 은혜 언약의 일부라고 한다면, 이 조건은 은혜 언약에서 선한 행위와 복음적 순종의 역할을 바꾸어버릴 것이다.

If the conditionality of the Mosaic covenant (do this and live; blessing for obedience; curse for disobedience) is actually part of the covenant of grace, then that conditionality will change the role of good works or evangelical obedience in the covenant of grace.


선한 행위는 필연적으로 증거 역할 이상을 보여주어야 하며, 은혜 언약에서 축복을 받는 조건이 될 것이다.

Good works will necessarily play more than an evidentiary role and become a condition for receiving the blessings of the covenant of grace.


선한 행위를 은혜 언약에서의 축복을 받는 조건으로 만드는 것은,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된다는 바울 교리의 순수성과 충돌 되는 것이다.

Making good works a condition of receiving the blessings of the covenant of grace is in conflict with the purity of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거부하게 되면, 율법에서의 축복과 저주가, 옛 언약에서 뿐만이 아니라 새 언약에서도, 은혜 언약의 각 시기별로 하나님께서 자신의 구속 받은 백성을 다루는 방법이라고, 논리적으로 해석하게 되는 것이다.

The rejec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leads logically to interpreting the blessings and curses of the law as God’s way of dealing with his redeemed people in every epoch of the covenant of grace, not just in the old covenant, but also in the new.


그(=노먼 쉐퍼드)는 하나님의 언약들이 행위-은혜의 대비보다는 통치 원리의 연속체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는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쉐퍼드는 구속하기 전과 구속한 후의, 특히 그들 모두가 보편적으로 요구와 약속을 가지고있다고 제안하면서, 모든 이러한 언약의 단일성을 주장하고있다.(“Of Works and Grace,”88).

“As he [= Norman Shepherd] develops the thesis that God’s covenants are characterized by a continuum of governmental principle rather than by a works-grace contrast Shepherd affirms the unity of all these covenants, preredemptive and redemptive, specifically proposing that they all have in common both demand and promise”(“Of Works and Grace,”88).


"이러한 경향은 머레이의 영향을 좀 더 직접 받은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의 후계자인 노먼 쉐퍼드의 가르침에서는 구속 전과 구속의 언약은 약속과 요구라는 연속체 안으로 균일해졌다"(“Gospel until the Law,”435 and n9).

“This tendency is displayed in the more immediate sphere of Murray’s influence. In the teaching of his successor, Norman Shepherd, preredemptive and redemptive covenants were flattened into a continuum of promise and demand”(“Gospel until the Law,”435 and n9).


여기에 모세 행위 원리에 대하여 부정함으로서 이러한 약속과 요구라는 연속체로 귀결되게 하는 신학자들의 몇 개의 인용문이 있다.

Here are some quotes from theologians whose denial of the Mosaic works principle leads them to such a continuum of promise and demand:


"순종의 조건에 대한 모세 언약은 아브라함 (언약)과 다른 범주에 있는 것이 아니다.

“The Mosaic covenant in respect of the condition of obedience is not in a different category from the Abrahamic.


너무 자주 가정되고 있는 것은, 모세 언약과 관련되어 기술되고 있는 조건은 모세 세대를 완전히 다른 범주, 즉 한편으로는 은혜를 존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요구나 의무를 존중하는 범주로 자리잡게 한다.

It is too frequently assumed that the conditions pr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Mosaic covenant place the Mosaic dispensation in a totally different category as respects grace, on the one hand, and demand or obligation, on the other.


실제로 언약을 지키는 것과 하나님의 목소리에 순종하는 것의  필요에 주된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며, 이것은 모세 언약으로부터 기인된 것이며, 여기에는 아브라함 언약에 요구되는 준수 사항이 포함되어있는 것이다”(John Murray, The Covenant of Grace, 22).

In reality there is nothing that is principally different in the necessity of keeping the covenant and of obedience to God’s voice, which proceeds from the Mosaic covenant, from that which is involved in the keeping required in the Abrahamic”(John Murray, The Covenant of Grace, 22).


"모세 언약에서,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과 행위 언약을 세우시지는 않으셨다.

“In the Mosaic covenant, the Lord did not establish a covenant of works with his people.


그는 아브라함 언약이 세워진 것에 바로 대립 되는 원리를 기초로 하여 언약을 세우시지는 않으셨다 ....

He did not establish a covenant on the basis of a principle that is the very opposite of that on which the Abrahamic covenant is founded ....


아브라함 언약과 마찬가지로, 모세 언약도 약속과 순종이라는 두 부분을 가지고 있다.

Like the Abrahamic covenant, the Mosaic covenant has two parts, promise and obligation.


아브라함 언약에서의 초점은 약속에 있다.

In the Abrahamic covenant, the focus is on promise.


모세 언약에서의 초점은 순종에 있지만, 그렇다고 약속이 배경으로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

In the Mosaic covenant, the focus is on obligation –but promise does not receded into the background ....


이스라엘에게 요구되었던 순종은 공로의 순종이 아니라 믿음의 순종이었다.

The obedience required of Israel is not the obedience of merit, but the obedience of faith.


이는 믿음으로 충만한 것이다.

It is the fullness of faith.


순종은 단순히 주께 대한 충성이다 ....

Obedience is simply faithfulness to the Lord ....


아브라함 언약과 모세 언약은 은혜와 공로, 혹은 믿음과 행위라는 대립된 원리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The Abrahamic and Mosaic covenants do not exhibit opposing principles of grace and merit, or of faith and works.


양쪽 언약에는 약속들이 있으며, 이러한 약속들은 살아있는 적극적인 믿음으로 받게 되는 것이다.

In both covenants there are promises, and these promises are received by a living and active faith.


양쪽 언약에는, 불신과 불순종에 대한 결과들에 관한 경고들이 있다.

In both covenants, there are warnings about the consequences of unbelief and disobedience ....


모세 언약에서 불순종에 위협이 되는 벌칙은 아브라함 언약에서의 조항들과 완전히 같다.

The penalties threatened for disobedience in the Mosaic covenant are fully in line with this provision of the Abrahamic covenant.


불순종에 대한 위협적인 저주는 아브라함 언약이나 모세 언약 모두를 행위 언약으로 바꾸어 놓지는 않는다"(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8-40). 12

Threatened curses for disobedience do not transform either the Abrahamic covenant or the Mosaic covenant into a covenant of works”(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8-40). 12


이것이 바로 가르침에서 실제로 연관된 것들이다.

This has very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aching.


어떻게 구약에서의 축복과 저주 구절을 하나님의 새 언약 백성들에게 가르치겠는가?

How should the blessing and curse passages in the Old Testament be preached to the new covenant people of God?


쉐퍼드처럼, 우리는 그들에게, 당신들은 하나님께 순종하여야만 하며, 만약에 당신들이 그렇게하지 못하면 당신들은 저주를 받게 된다고 말해야만 하는가? 나는 그렇게되지 않기를 원한다.

Do we tell them, as Shepherd would, that they must be obedient to God and if they are not, they will be cursed? I would hope not.


이러한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은, 하나님의 새 언약 백성을,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 받은 율법의 굴레 아래로 돌이키는 것이 될 것이다.

To preach that way would be to bring the new covenant people of God back under the bondage of the law that we have been delivered from in Christ.


바울은 우리가 율법의 저주로부터 자유케 되었다고 말한다.

Paul says we are free from the curse of the law.


그는 우리가 율법에 대하여 죽었고, 더 이상 굴레나 두려움 아래 있지 않다고 말한다.

He says that we have died to the law, and are no longer under its bondage and fear.


우리는 하나님을 문자의 옛 방식이 아닌 성령의 새로운 방식으로 섬긴다.

We serve God in the new way of the Spirit, not in the old way of the letter.


"이 모든 것의 아이러니는, 모든 곳에서 '은혜'의 연속체를 주장하는 입장은 결국 어느 곳에서나 참된 복음의 은혜가 없이 끝난다는 것이다.

“The irony of all this is that a position that asserts a continuum of ‘grace’ everywhere ends up with no genuine gospel grace anywhere.


행위 원리가 작용되는 곳은 아무 데도 없다고 주장하면서 시작하는 접근 방식은 결국 어느 곳에서나 행위 원리의 유형으로 마치게 된다는 것이다.

An approach that starts out by claiming that a works principle operates nowhere ends up with a kind of works principle everywhere.


이것이 결국 하는 것은 종교개혁으로부터의 후퇴이며, 로마카톨릭으로 회귀하는 것이다"(“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What this amounts to is a retreat from the Reformation and a return to Rome”(“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B. 두 번째 이유: 그리스도의 공로

B. Second Reason: The Merit of Christ


모세 언약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는 것이 클라인에게 중요했었던 두 번째 이유로는, 이렇게 하지 못할 경우에는 성경 신학자로 하여금 다른 언약, 특히 타락 전의 아담 언약과 성부와 성자 사이에, 구속 계약이라고 불리우는 세상 사역 이전의 언약,에서 행위 언약을 인정할 가능성이 적어진다는 것이다,

The second reason it was important to Kline to recognize a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covenant is that failure to do so will make the biblical theologian less likely to recognize a works principle in other covenants, specifically the pre-Fall covenant with Adam and the pre-temporal covenant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ka, the pactum salutis.


"옛 언약에서 행위 언약를 거부하는 것은 신앙적인 관계에서 좀 더 보편적으로 공로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쪽으로 퇴보하는 것이며, 결국에는 처음 아담과의 창조 언약에서의 행위 원리를 거부하게 되는 것이다(“Gospel until the Law,”435).

“Rejec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old covenant tends to degenerate into a more general denial of the possibility of merit in the religious relationship and thus to a rejection of the principle of works in the original creation covenant with Adam”(“Gospel until the Law,”435).


예를 들어서, 다니엘 풀러와 노먼 쉐퍼드는 이러한 다음 단계에서의 율법-복음의 대비에 대한 이들의 부정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언제나 인간에 대하여 행위 원리를 기초로하여 관계한다는 것을 부정함으로서 결국 아담의 행위 언약과 그리스도의 공로를 부정한다.

For example, Daniel Fuller and Norman Shepherd took their denial of the law-gospel contrast to this next step, denying that God ever relates to humans on the basis of a works-principle, thereby denying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and the merit of Christ.


"바로 공로라는 개념은 하나님 우리 아버지가 자신의 자녀들에게 대하는 방식에는 낯선 것이다"(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9).

“The very idea of merit is foreign to the way in which God our Father relates to his children”(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9).


이것은 필연적으로 불가피한 법은 아니다.

This is not a tight law of necessity.


이것은 마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라는 클라인의 특별한 체계적 진술을 거절하는 모든 이가, 필연적으로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이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와 맺은 성부의 행위 언약을 거절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아니다.

It is not as if all who reject Kline’s particular formula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are necessarily bound to reject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or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Christ as the second Adam.


그러나 그러한 방향으로 가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에 대한 근거는 성경신학적이다.

But there is a tendency in that direction –and the reason for this is biblicaltheological.


바울은 그리스도의 순종을 모세법의 충족이라는 의미로 보고 있다(롬 3: 31; 10: 4; 갈 4: 4)

Paul views the obedience of Christ in terms of the fulfillment of the Mosaic law (Rom 3: 31; 10: 4; Gal 4: 4).


아담으로부터 이스라엘 공동체로, 그리고 이스라엘 공동체로부터 그리스도로 강력한 연결 고리가 있다.

There are strong biblical theological linkages from Adam to corporate Israel, and from corporate Israel to Christ.


후자의 연결은 마태의 복음, 예를 들면 (마 1-4장),에서 강력하게 나타나고있다.

The latter connection is strongly present in Matthew’s Gospel, for example (Matt 1–4).


바울이 행위 원리를 자신의 칭의 교리의 핵심 가정으로 강조하기를 원할 때에, 그는 아담 언약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모세법 안에서 발견되는 행위 원리를 인용한다(레 18: 5)

When Paul wants to articulate the works principle as the key presupposition of his doctrine of justification, he quotes the works principle, not as found in the Adamic covenant, but as found in the Mosaic law (Lev 18: 5).


그러므로,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지 않는 성경 신학자는 좀처럼 이것(행위 원리)을 그 밖의 다른 곳에서 인정 할 수 있을 것 같지않다.

Thus, the biblical theologian who does not recognize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less likely to be able to recognize it anywhere else.


만약에 이론적으로 공로의 개념이 거절된다면, 우리는 역시 그리스도의 순종이 공로적이었다는 개념도 거절하여야만 한다.

If the very idea of merit is rejected in principle, then we must also reject the idea that the obedience of Christ was meritorious.


공로를 부정하는 것은 힘을 지탱해주는 젱가 막대기를 제거하는 것과 같다.

Denying merit is like removing a load-bearing Jenga stick.


이 한 조각을 제거하게 되면 전체 상부 구조는 붕괴되고 마는 것이다.

Remove that one piece and the whole superstructure crumbles.


C. 세 번째 이유: 성육신의 가독성

C. Third Reason: The Legibility of the Incarnation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행위를 제대로 평가하는데 결정적인 것인데, 이는 모세법이 율법의 성취자로서의 그리스도의 행위에 대한 역사적 내용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Grasp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crucial for a proper appreciation of the work of Christ, since the Mosaic law provided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work of Christ, the fulfiller of the law.


이러한 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클라인은, 그리스도께서 "여자에게서 나게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이라고 바울이 말한  칼라디아서 4: 4을 많이 의존하고있다.

To explain this point, Kline relies heavily on Gal 4: 4 where Paul says that Christ was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을 속량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갈 4: 4-5)

But when the fullness of the time had come, God sent forth His Son,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to redeem those who were under the law, that we might receive the adoption as sons (Gal 4: 4-5 NKJV).


클라인은 갈 4: 4에서, 행위 원리가 나타나는- 아담, 이스라엘, 그리스도- 3가지 핵심점 모두를 하나로 묶는 심오한 중요성을 본 것이다,

Kline sees deep significance in Gal 4: 4 since it ties together all three key points where the works principle is present: Adam, Israel, Christ.


첫 번째 구절인, "여자에게서 나게하시고"는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의 우주적 역할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first phrase,“born of a woman,”alludes to his universal role as the second Adam.


그 다음 구절인,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은 참된 이스라엘로서의 그의 특별한 역사를 시사하는 것이다.

The next phrase, “born under the law,”alludes to his particular historical as the true Israel.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일치하는 점"(Kp 352)이 있다

But there is “congruence”(KP 352) between the two.


모세 경륜에서 아담의 행위 언약이 재현된 것은, 참되고 순종하는 이스라엘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두 번째 아담으로서, 시험을 통과하시고 자신이 대표하는 이들을 위하여 영원한 상을 얻으신, 그의 좀더 근본적인 정체성을 가리키게끔, 그리스도의 성육신이라는 맥락이 형성되도록 분명하게 의도된 것이다.

The recapitul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in the Mosaic economy is intended precisely to set the context for Christ’s incarnation so that his identity as the true, obedient Israel might be understood as pointing to his more fundamental identity as the second Adam who passes the probation and earns the eternal reward for those whom he represents.


"그리스도가 참된 이스라엘-종으로서 가정되는 검증자로서의 기능은,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의 정체성의 의미에서 좀 더 근본적으로 그에게 나타난다(롬 5: 14; 고전 15: 45-47). [주: 갈 4: 4에서 '율법 아래에서 나셨고'는 그리스도를 토라 언약 아래에서의 두 번째 이스라엘로 확인하는 것이다. '여자에게서 나셨고'는 그의 인간성을 드러냄으로서 그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신분을 제시하는 것이다.]...이는 그분이 토라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의 탄생으로 나타나신 바와 같이(갈 4: 4), 그리스도는 삼위안에서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의 한 분으로 이 땅에 오신 것이다"(GOM 237 and 240 n33).

“The function of probationer that Christ assumed as the true Israel -Servant was more basically his in terms of his identity as second Adam (Rom 5: 14; 1 Cor 15: 45–47). [Note: In Gal 4: 4, ‘born under the law’ identifies Christ as the second Israel, under the Torah covenant. ‘Born of a woman’ brings out his humanity and so suggests his second Adam status.] ... As advertised by his birth under the Torah covenant of works (Gal 4: 4), Christ came to earth as one under the intratrinitarian covenant of works”(GOM 237 and 240 n33).


하나님 나라의 서막에서, 클라인은 다른 논쟁을 하면서 "유형적 하나님 나라의 디자인"라는 제목 하에 이러한 점을 정리하고있다.

In Kingdom Prologue, Kline has another passage where he make this point under the heading “The Design of the Typal Kingdom.”


이것은 내가 항상 좋아하는 클라인 인용문이다:

This is my favorite Kline quote of all time:


"목적의 다양성은, 옛 언약 체제와 그것의 유형적인 하나님 나라를 구속 역사의 과정 속으로 집어넣는 것을 설명하면서, 알게 될 수 있는 것이다.

“A variety of purposes can be discovered to explain the insertion of the old covenant order and its typal kingdom into the course of redemptive history.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아들의 강림하심과 그분의 이 땅에서의 사역을 위하여 적절한 역사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Of central importance was the creation of the proper historical setting for the advent of the Son of God and his earthly mission (cf. Rom 9: 5).


그의 성부와의 행위 언약의 의미와 일치하도록 그는, 대표하는 검증 과정을 겪으시고, 그의 순종 하심과 승리를 이루심으로 인하여,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에게 구원의 영원한 나라를 언약적으로 수여할 법적인 근거를 이루시기 위하여, 두번째 아담으로 오셔야만 했었다.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hi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ather he was to come as the second Adam in order to undergo a representative probation and by his obedient and triumphant accomplishment thereof to establish the legal ground for God’s covenanted bestowal of the eternal kingdom of salvation on his people.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첫 번째 아담과의 언약에서와 같이,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 되는 언약의 체제 안에 나타나신 것은, 필요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것이었다.

It was therefore expedient, if not necessary, that Christ appear within a covenant order which, like the covenant with the first Adam,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cf. Gal 4: 4).


바로 이것이 옛 언약에서의 유형적 나라였다.

The typal kingdom of the old covenant was precisely that.


타락한 세상의 한계 안에서, 그리고 구속 과정에 특화된 변경과 함께, 옛 신정 국가는 처음의 언약 체제의 재현이었다.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fallen world and with modifications peculiar to the redemptive process, the old theocratic kingdom was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covenantal order.


신정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행위 언약의 보호 관찰 아래서, 다시 한 번 더 낙원-성소 안에 놓여진 인류였었다.

Israel as the theocratic nation was mankind stationed once again in a paradise-sanctuary, under probation in a covenant of works.


이러한 입장의 맥락에서, 성육신 사건은 이해될 수 있었으며; 이를 떠나서는 사람의 아들의 나타나심과 사역은 좀처럼 명확하게 나타날 수 없는 것이다.

In the context of that situation, the Incarnation event was legible; apart from it the meaning of the appearing and ministry of the Son of Man would hardly have been perspicuous.


참된 이스라엘로서, 율법 아래에 나신 것과, 그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우주적으로 관계된 역할 사이의 일치함으로 인하여, 모든 세대의 선택 받은 이들을 위하여 행위 언약에서 검증적 임무를 수행하시는 그분의 사역의 중요성은 분명하게 표현되었으며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KP 352)

Because of the congruence between Jesus’ particular historical identity as the true Israel, born under the law, and his universally relevant role as the second Adam, the significance of his mission as the accomplishing of a probationary assignment in a works covenant in behalf of the elect of all ages was lucidly expressed and readily readable”(KP 352).


역으로,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부정하게되면, 자신의 백성으로 천국을 얻기 하기 위하여,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을 공로적으로 충족시키시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보기 힘들게 만들 것이다.

Conversely, deny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will make it harder to see Christ’s work as a meritorious fulfilling of the law in our place in order to earn heaven for his people.


D. 네 번째 이유: 율법은 복음의 기초가 된다.

D. Fourth Reason: Law Foundational to Gospel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게되면 행위 원리가 복음의 유대적 기초를 이루는 기반이라는 것을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Recogniz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enables one to see more clearly that the works principle is the bedrock judicial foundation of the gospel.


클라인은 이것을 매우 산뜻하게 표현한다: "하늘은 반드시 (공로로) 얻어져야만한다"(KP 107)

As Kline put it so crispy: “Heaven must be earned”(KP 107).



이것은 하나님께서 복음 안에서 폐기한 원리가 아니다.

That is not a principle that God does away with in the gospel.


그보다는 복음을 통하여 더욱 명확하게 유지를 하신다.

Rather, he upholds it precisely through the gospel.


이와같이 율법은 복음의 기초를 이룬다; 복음 -은혜는 율법 언약 안에 명확하게 제시되어있는 하나님의 의의 요구를 중히 여긴다.

“Law is thus foundational to gospel; gospel -grace honors the demands of divine justice as definitively expressed in law covenant.


로마서 3: 31에서 바울은 이 점을 분명히 한다:'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In Rom 3: 31 Paul makes this point forcefully: ‘Do we then make the law of none effect through faith? God forbid; nay we establish the law.’


사도는 여기에서 모세법의 표준되는 성격보다는, 은혜의 원리인 복음과 대비되는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 언약으로서의 율법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The apostle is not concerned here with the normative nature of the Mosaic laws but with the law as a covenant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works in contrast to the gospel with its principle of grace.


그리고 비록 우리가 행위가 아닌 믿음을 통한 은혜로 의롭게 된다고 그가 논하고있지만, 그는 복음의 체제에 기초를 이루고있는 행위 원리의 지속적인 유용성에 대하여 매우 강하게 주장하고있다.

And even though he is arguing that we are justified not by works but by grace through faith, he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이것은 많은 사람을 의인이 되게하는 한 사람의 순종에 의한 것이다.

It is by the obedience of the one that the many are made righteous (Rom 5: 19)”(GOM 237).


은혜는 그의 의에도 불구하고 우리로하여금 하늘에 들어가도록 하나님께서 기준을 낮추신 것이 아니다.

Grace is not that God lowers the standard to let us in to heaven despite his justice.


은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의 정당한 요구를 충족 시키실 대리자를 제공해주시는 것이다.

Grace is that God provides a substitute who satisfies the just demands of the law in our place.


이것이 바로 바울이, 우리가 복음을 통하여 "(모세) 율법을  세운다"고 말하는 이유인 것이다(롬 3: 31)

That is why Paul says we “establish the (Mosaic) law” through the gospel (Rom 3: 31).


그는 자신이 모세법을 근본적으로 행위 원리의 의미에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이다.

He can say that because he understands the Mosaic law fundamentally in terms of the works principle (Lev 18: 5).


비록 우리가 율법에 순종하는 우리 자신의 공로를 행하지 않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복음의 체제의 기반으로서 행위 원리의 지속적인 유용성을 강조하여 주장하고 있다."

Although we are righteous not by our own works done in obedience to the law, but by faith in Christ, Paul nevertheless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그리스도가 율법 아래에서 나셨고 이를 완전하게 충족 시키셨기 때문에,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율법을 옹호하는 것이다.

Because Christ was born under the law and perfectly fulfilled it, faith in Christ actually upholds the law.


E. 다섯 번째 이유: 율법의 교사적 기능

E. Fifth Reason: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는 것이 클라인에게 중요하였던 다섯 번째 이유는, 이것이 없이 우리는 율법의 교사적 역할에 대한 종교개혁적 강조의 해석학적 기반을 지키는 것이 약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fifth reason it was important to Kline to recognize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that without it we have a less secure exegetical basis for the Reformational emphasis on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모세법을 순수한 은혜의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은 율법의 교사적 역할, 즉 우리에게 우리의 무능력을 보여주며 우리의 죄를 깨닫게 해주는 율법의 기능을 실제로 제거해버리는 것이다.

Defining the Mosaic law in purely gracious terms effectively annuls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that is, the law’s function of showing us our inability and convicting us of our guilt.


처음의 에덴에서의 검증에서 아담 안에서 (아담과) 함께 타락한 모든 인류의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행위 언약의 검증 아래에 있었던 비극적인 이스라엘의 역사는 그들 모두의 죄악되고 희망이 없는 상태를 확인 시켜주는 역할을 하였다.

“By exhibiting dramatically the situation of all mankind, fallen in and with Adam in the original probation in Eden, the tragic history of Israel under its covenant-of-works probation served to convict all of their sinful, hopeless estate.


그러므로 율법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함으로서 그들로 하여금 믿음으로 의롭게 되도록 한다(GHHM 128-29).

The Law thus drove men to Christ that they might be justified by faith”(GHHM 128-29).


예수의 사역의 검증적인 면에 주의를 환기 시키는 것에 더하여서, 이스라엘 국가를 지배했던 행위 원리는 이스라엘의 교사의 역할을 했으며, 죄인인 것과 하나님의 의의 요구를 만족시키기에는 전적으로 무능하다는 것을 확인 시켜줌으로서, 아브라함 언약의 기저부에 깔려있는 복음적 약속을 제공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 죄인들을 인도했다(KP 353).

“In addition to calling attention to the probationary aspect of Jesus’mission, the works principle that governed the Israelite kingdom acted as the schoolmaster for Israel, convicting of sin and total inability to satisfy the Lord’s righteous demands and thereby driving the sinner to the grace of God offered in the underlying gospel promises of the Abrahamic Covenant”(KP 353).


모세법은 생명을 얻기위한 법적인 근거로서 순종을 요구하였는가(레 18: 5), 아니면 율법에 대한 단순한 유대인의 오해였는가?

Did the Mosaic law demand obedience as the legal basis of obtaining life (Lev 18: 5), or is that only a Jewish misunderstanding of the law?


만약에 후자라면, 모세법-언약이 이스라엘을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교사"였다는 바울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가 없을 것이다.

If the latter, one cannot make sense of the teaching of Paul that the Mosaic law-covenant was Israel’s “pedagogue unto Christ”(Gal 3: 24).


사람들은, 이러한 교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모세 언약이 아니라 우주적으로 결속 시키는, 역사를 초월하는 도덕법이라고 주장함으로서, 이를 무시하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One could try to get around this by claiming that it is not the Mosaic covenant but the universally binding, trans-historical “moral law” that has this pedagogical function.


그러나 바울은, 그가 본문에서 "율법"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규정함으로서, 이미 이러한 움직임을 차단 시켰다: 이는 아브라함 약속 430년 후에 온 특별한 언약이다(갈 3: 17); 이는 불순종에는 저주의 위협(신 27: 26을 인용한 갈 3: 10)을, 그리고 율법을 행하는 자에게는 생명의 약속(레 18: 5을 인용한 갈 3: 12)이 수반되는 율법의 역사적 표현이다; 이는 "아버지께서 정하신 날까지" 소수의 어린아이(이스라엘)에게 주어진 임시적 보호자이다

But Paul has already blocked that move by defining what he means by “the law”(ὁ νόμος) in the context: it is the specific covenant that came 430 years after the Abrahamic promise (Gal 3: 17); it is the historical expression of the law accompanied by the threat of a curse to the disobedient (Gal 3: 10 quoting Deut 27: 26) and a promise of life to the doers of the law (Gal 3: 12 quoting Lev 18: 5); it is the temporary guardian set over the minor children (Israel)“until the date set by the father”2).


물론, 성령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그것을 지킬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게 끔 율법을 사용하시는 것과 같이, 심지어 이방인에게도, 이러한 교사적 기능의 보편적 적용을 한다고 하더라도, 처음 언급된 것은 역사적인 모세 언약에 대한 것과 그것의 구속사에서의 교사적 역할에 대한 것이다,

Of course, there is universal application of this pedagogical function, even for Gentiles, as the Spirit uses the law to convince us of our inability to keep it, but the original reference is to the historical Mosaic covenant and its pedagogical role in redemptive history.


클라인은 자신의 모세 언약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부당한 비평을 받아왔다.

Kline gets unfairly criticized for his understanding of the Mosaic covenant.


그의 동기는 혁신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율법에 대한 바울의 가르침을 주의 깊게 들음으로서 율법의 교사적 역할에 관계된 종교개혁의 이해에 대한 더 나은 해석학적, 성경신학적 뒷받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His motive was not to be an innovator but to listen carefully to Paul’s teaching on the law and thereby provide better exegetical and biblical-theological support for the Reformation insight concerning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_____________

12 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How the Covenant Illuminates Salvation and Evangelism (Phillipsburg, N.J.: P& R, 2000).


(출처)

www.upper-register.com © 2015 Charles Lee Irons


posted by Wonho Kim
: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2016. 1. 16. 22:30


2부: 5가지 그릇된 설명들에 대한 응답

Part II: Responding to Five Misrepresentations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제까지는, 구속의 역사에서의 동일한 기간에 어떻게 행위와 은혜가 서로 공존하는지를 개념화하기 위한 두 겹의 비유에 초점을 맞추어, 모세 경륜에 대한 클라인의 성경 신학적 분석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였다.

Thus far, I have given an overview of Kline’s biblical-theological analysis of the Mosaic economy, focusing particularly on his two-layer metaphor for conceptualizing how both works and grace coexisted in that unique period of redemptive history.


클라인은 이것의 근거를, 갈3:15-19에서의 바울의 가르침과 아브라함 언약에 대한 성경 신학적 함의에 두었다.

Kline based this on the teaching of Paul in Gal 3: 15-19 and on the biblical-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Abrahamic covenant.


그는 구속 역사의 전체 구조를 하나의 약속과 성취로 보았다.

He saw the whole structure of redemptive history as one of promise and fulfillment.


아브라함 언약은 약속이며, 엄밀한 의미에서 이는 전체 구속 역사의 기초가 된다.

The Abrahamic covenant is the promise, and as such it is the foundation of the entire structure of redemptive history.


그러나 구속 역사는 두 단계, 혹은 두 가지 성취 - 첫 단계는 땅에서의 성취( 유형적 나라)이고 두 번째 단계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취(종말론적 나라)이다.

But redemptive history unfolds in two stages, or two fulfillments –a first-level fulfillment in the land (the typal kingdom) and the second-level fulfillment in Christ (the eschatological kingdom).


(그런데, 클라인의 두 "층"을 그의 두 "레벨"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비록 별개의 개념적 계획들이지만, 이들은 동등한데, 이는 아브라함 약속의 첫 번째 레벨의 성취가 모세 경륜의 꼭대기 층이기 때문이다.)

(By the way, do not confuse Kline’s two“layers”with his two“levels.”They are closely connected but not the same. Although distinct conceptual schemes, they are coordinated, since the first-level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promise is the top layer of the Mosaic economy.)


430년 뒤의 모세 언약의 추가로 인하여 무효가 되지 않는, 취소될 수 없고 불변의 실체인 아브라함 언약은 모세 경륜을 두 개의 층으로 만드는 것이다.

The uncancellable, abiding reality of the Abrahamic covenant, which (as Paul says in Gal 3: 17) is not annulled by the addition of the Mosaic law 430 years later, is what creates the two layers of the Mosaic economy.


아래 층은 은혜에 의한 유산의 원리에 지배를 받았다.

The bottom layer was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grace.


위 층은 행위에 의한 상속의 원리에 지배를 받았다.

The top layer was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works.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충돌이 없는데, 이는 상반되는 원리가 다른 유산들 - 아래 층은 하늘의 유산(새 하늘과 새 땅, 종말론적인 나라)과 관련되어있는 반면에, 위 층은 땅에서 국가적 이스라엘(유형적 나라)의 유산과 관련되었다-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But there was no conflict between the two, because these contrary principles applied to different inheritances –the bottom layer pertained to the inheritance of heaven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the eschatological kingdom), while the top layer pertained to national Israel’s inheritance of the land (the typal kingdom).


우리는 모세 경륜에서의 두 층들을 더욱 깊이 탐구할 수 있지만, 지금 나는 클라인에 대한 5가지 일반적인 잘못된 설명에 대하여 응답하고자 한다.

We could explore the two layers of the Mosaic economy in greater depth, but now I want to move on by responding to five common misrepresentations of Kline.


A. 클라인에 대한 첫 번째 잘못된 설명

A. First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모세 언약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성경적 해석이 아닌 고대 근동의 조약에 근거를 두고 있다.

“Kline based hi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on the Ancient Near Eastern treaties, not on biblical exegesis.”


사실이 아니다.  클라인이 고대 근동의 조약 형식(특히 히타이트 종주권 조약들)이 시내산 언약의 구조를 조명해줄 수 있는 유용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았던 것은 사실이다.

Not true. It is true that Kline saw in the Ancient Near Eastern treaty format (especially the Hittite suzerainty treaties) a useful parallel that sheds light on the structure of the Sinai covenant. 6


그러나 그는 이러한 유사성을 출애굽에서의 시내산 언약(그리고 신명기와 여호수아에서의 부차적인 갱신)과 관련된 핵심적 구절들을 조명하는 것으로 보았던 반면에, 그는 모든 것을 이러한 성경 밖의 자료에 연결시키지는 않았다.

But while he saw this parallel as illuminating key passages concerning the Sinai covenant in Exodus (and its subsequent renewals in Deuteronomy and Joshua), he did not hang everything on this extra-biblical data.


그의 설명은 매우 해석학적이다.

His appeal is strongly exegetical.


모세 언약에 대한 초기의 논술인 "In By Oath Consigned" (pp. 22-25)에서, 클라인은 자신의 밑칠을 갈 3: 15-19 에서의 아브라함 언약과 모세 언약 사이의 관계에 대한 바울의 성경 신학적 분석에 의존하고있다.

In By Oath Consigned (pp. 22-25), in an early treatment of the Mosaic covenant, Kline makes his primary appeal to Paul’s biblical the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rahamic covenant and the Mosaic covenant in Gal 3: 15-19.


매우 중요한 갈 3: 15-19 구절에 더하여서, 클라인은 반복적으로 레위기 18: 5에서 명확히 밝히고 있는 "이것을 하면 살리라"는 원리에 호소하며, 우리에게 바울이 이러한 원리를 "은혜-믿음"의 원리와 정반대로 보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다.(갈 3: 12; 롬 10: 5-6)

In addition to the all-important Gal 3: 15-19 passage, Kline repeatedly appeals to the “do this and live”principle enunciated in Lev 18: 5, and reminds us that Paul sees this principle as the opposite of the “grace-faith”principle (Gal 3: 12; Rom 10: 5-6).


여기에 몇 개의 대표적인 인용문들이 있다:

Here are a few representative quotes:


구약에서 언약이라고 불리우는 시내산 통치에서, 바울은 이 자체에서 보증된 약속에 의한 유산의 원리와 매우 상반된 나라의 유산에 대한 체제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유산이 율법에 의한 것이 아니면, 이는 더 이상 약속에 의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율법은 믿음에서 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들을 행하는 자는 이들로 말미암아 살리라'(갈 3:18a, RSV, 그리고 12절은 ARV; 레18:5과 비교하라)"(BOC 22)

“The Sinaitic administration, called ‘covenant’ in the Old Testament, Paul interpreted as in itself a dispensation of the kingdom inheritance quite opposite in principle to inheritance by guaranteed promise: ‘For if the inheritance is by law, it is no longer by promise’ and ‘the law is not of faith; but, He that doeth them shall live in them’(Gal. 3: 18a, RSV, and v. 12, ARV; cf. Lev. 18: 5)”(BOC 22).


바울이 실재로 모세의 규례를 이와같은 의미들로 접근한 것은, 그가 인용한 레 18: 5에서 표현된,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는 상속의 원리에 의하여 더욱 지지를 받는다. 그는 갈라디아서 3장에서 이 구절이, 모세 언약 자체가, 율법이 믿음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님을 증명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12절; 18절과 비교). 비슷하게 로마서10:5에서도 그는 '율법으로부터 나온 의'를 묘사하는 모세의 표현을 사용함으로서  '믿음으로부터 나온 의'(6절)와 대립 될 수 밖에 없음을 주장을 하고 있다.(KP321)

“That Paul did indeed assess the Mosaic order in such terms is further supported by his citation of Leviticus 18: 5 as an expression of the do-and-live principle of inheritance. In Galatians 3 he points to that verse as evidence from within the Mosaic Covenant itself that ‘the law’was ‘not of faith’(v. 12; cf. v. 18). Similarly in Romans 10: 5 he uses that Mosaic formulation as a description of ‘the righteousness which is of the law,’asserting this to be antithetical to ‘the righteousness which is of faith’(v. 6)”(KP 321).


"바울의 레위기 18:5에의 호소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롬 10:5; 갈3:12), 토라 언약에서 운영되는 공로적 행위의 법적인 원리는  은혜의 복음적 원리와 상반되는 것이다"(GOM 239 n32).

“As Paul’s appeal to Lev 18: 5 shows (Rom 10: 5; Gal 3: 12), 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was operating in the Torah covenant opposite to the gospel principle of grace”(GOM 239 n32).


그가 단순히 표면적인 증거 본문에만 관여했었다는 생각이 우려된다면, 클라인이 깊이 있게 쓴 14쪽의 해석학적 논문인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에 실린  “The Gospel until the Law: Rom 5: 13-14 and the Old Covenant,”를 참고해보라.

Lest you think he was just engaging in superficial proof-texting, consider that Kline wrote an indepth, 14-page exegetical paper“The Gospel until the Law: Rom 5: 13-14 and the Old Covenant,”published in 1991 in the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이 논문은 바울의 유명한 로마서 5: 14-14의 삽입어구에 제시된 발언에 대한 해석학적 분석이었다.

This paper was an exegetical analysis of Paul’s famous parenthetical remark in Rom 5: 13-14.


그(클라인)는 바울이, 아담부터 모세까지의 기간을 매우 중요하게 선택하여서, 이 기간이 행위 원리에 의하여 다스려졌던 모세의 시기와는 대비되는, 은혜와 약속의 원리에 의하여 다스려졌던 기간이었음을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He saw the fact that Paul selected the period from Adam until Moses as high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at period was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grace and promise, in contrast with the Mosaic epoch, which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이 논문은 클라인의 더 큰 성경 신학적, 조직 언약적 논술들을 알 수 있게 하는, 바울의 핵심 본문에 대한 해석의 좋은 예인 것이다.

This paper is a fine example of exegesis of a key Pauline text driving Kline’s larger biblical-theological and systematic-covenantal formulations.


또한 그의 해석학은 바울 본문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Nor was his exegesis limited to Pauline texts.


그는 또한 스가랴에 대한 상세한 주석인 "Glory in Our Midst"에서와 같이, 핵심적인 구약의 본문들을  해석하는데 많은 수고를 하였다.

He also spent a good deal of his exegetical effort in key Old Testament texts, such as his detailed commentary on Zechariah in Glory in Our Midst.


그가 한 해석에는, 모세 언약의 성격과 관계된 주석들과 이것이 어떻게 아브라함 약속으로부터 포로기까지, 포로기 이후의 성전의 재건과 남은 자에 관계된 더 넓은 개요에 적합한 지를 다루고 있다.

The exegesis that he does there is sprinkled throughout with comments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Mosaic covenant and how it fits into the broader schema of redemptive history from the Abrahamic promise to the exile to the post-exilic restoration of the temple and the remnant.


클라인이 자신의 모세 언약 개념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우들에 적용하고 있는 또 다른 결정적인 구약의 구절은 예레미아의 유명한 "새 언약" 예언이었다.

Another crucial Old Testament passage that Kline employed on multiple occasions to support his conception of the Mosaic covenant was Jeremiah’s famous “new covenant”prophecy.


예레미아는, 오는 날에 세워질 새 언약에 대하여 언급하면서(레 31: 31-34), 이것과 시내산에서 세워진 언약 사이의 대조를 예리하게 이끌어낸다(즉, 유형학적 나라와 관련된 층을).

“Jeremiah, speaking of the new covenant to be made in the coming days (Jer 31: 31-34), drew a sharp contrast between it and the covenant made at Sinai (i.e., the stratum of it concerned with the typological kingdom).


그는 옛 언약이 깨어질 수 있음을 언급하였으며, 이스라엘에 의하여 실제로 깨어졌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것(시내산 언약)이 유업에 대한 행위 원리에 의하여 특징되었다는 것이다(GHHM 97).

He described the Old Covenant as breakable and in fact as having been broken by Israel, which means that it was informed by the works principle of inheritance”(GHHM 97).


나는 단지 클라인의 해석에 대한 맛을 보여주었을 뿐이다.

I have only given a taste of Kline’s exegesis.


더 많은 것이 있지만, 클라인이 자신의 관점을 성경 본문의 해석과 성경 신학적 관계성보다는 고대 근동의 유사물 위에 세웠다는 비난을 물리치기에는 이것으로 충분하다.

There is much more, but this is enough to refute the charge that Kline built hi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on Ancient Near Eastern parallels rather than exegesis and biblical-theological engagement with the biblical text.


만약에 고대 근동의 유사물이 존재할 수 없다거나, 혹은 궁극적으로 제한된 가치로만 따로 떼어 놓는다고 하더라도, 클라인은 율법-복음의 대비에 대한 의견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다.

Even if the ANE parallels never existed, or were ultimately set aside as of limited value, Kline would not budge on the law-gospel contrast.


모세법의 성격에 대한 바울의 영감있는 권위적인 가르침과 율법-복음의 대비가 유지된다면, 바울에 대한 신뢰는 궁극적으로 클라인의 성경 신학이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를 역사적으로 펼쳐나가는 언약적 구조와 관계되도록 이끌어 나아갈 것이다.

Paul’s inspired and authoritative teaching on the nature of the Mosaic law and the law-gospel contrast would remain, and fidelity to Paul is ultimately what is driving Kline’s biblical theology as it relates to the covenantal structure of the historical unfolding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God.


B. 클라인에 대한 두 번째 잘못된 설명

B. Second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모세 언약이 아담의 행위 언약에 대한 재연이었다고 가르쳤다."

“Kline taught that the Mosaic covenant was a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꼭 그렇지만은 않다.

Not quite.


클라인은, 성경신학자로서 역사 가운데 성경적으로 계시되는 커다란 유형을 보면서, 이스라엘을 에덴에서의 아담의 재현으로 보았던 것이다.

Kline, as a biblical theologian looking at the big patterns of biblical revelation in history, saw Israel as a recapitulation of Adam in the garden.


아담과 이스라엘은, 동산에서든지 땅에서든지, 모두 하나님의 거룩한 성전의 관리인들이었다.

Both Adam and Israel were custodians of God’s holy temple, whether in the garden or in the land.


양쪽 다 순종을 조건으로 하는 축복과 불순종에 대한 위협적 저주가 계획된 검증적 행위 아래 있있다.

Both were under probationary works arrangements in which blessing was conditioned on obedience and curse was threatened for disobedience.


"신정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낙원-신성함에 다시 한번 더 머물면서 행위 언약을 검증하는 인류이었다"(KP 352).

“Israel as the theocratic nation was mankind stationed once again in a paradise-sanctuary, under probation in a covenant of works”(KP 352).


양쪽 다 언약의 조항에 대한 순종과 하나님의 거룩한 영역의 신성한 유지에 실패하였다.

Both failed to obey the stipulations of the covenant and maintain the sanctity of God’s holy realm.


양쪽 다 언약의 주께 신실하지 못하였으며, 다른 신에게 충성을 넘겨주었던 것이다.

Both were unfaithful to the Lord of the covenant and yielded fealty to other lords.


양쪽 다 의식(하나님을 예배함)을 보존하는 최고의 의무에 실패하였으며, 그분을 배반하였다.

Both failed in the prime duty of preserving the cult (the worship of God) and rebelled against him.


그리고 결국에는 하나님께서 그들 모두를 추방하셨다.

And in the end God sent them both into exile.


그러나 클라인은, 모세 경륜이 단순히 처음 아담 언약의 재연이 될 수 없다는 인식을 하였는데, 이는 타락 후의 상태에서 하나님의 커다란 구원 계획의 부분으로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Yet Kline recognized that the Mosaic economy could not be a simple republication of the original Adamic covenant because it was introduced into a post-Fall situation and as part of God’s larger redemptive program.


"우리의 현재의 논제에서 특별히 중요한 것은, 모세 경륜에는 전체적으로 창조적 질서의 재현이 있었다는 것인데 (타락한 환경의 한계 안에서, 그리고 구속 과정에서 오는 조정과 함께), 이에는 거룩한 낙원의 나라로서, 그리고 검증적 행위의 계획으로서의 처음의 에덴의 질서가 포함된 것이다"(KP 20, emphasis added).

“It is especially significant for our present thesis that in the Mosaic economy there was a reproduction of the creational order as a whole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fallen situation and with the adjustments resulting from the redemptive process), including specifically the nature of the original Edenic order as a holy paradise-kingdom and as a probationary works arrangement”(KP 20, emphasis added).


모세 경륜은, 처음의 아담의 방식에 대한 세상 역사의 무대에서의 교사적 재연이었지만, 이는 "타락한 상황의 한계 안에" 맞게 끔 조정된 것이며, "구속의 과정으로부터 생겨난 것들로 인하여 조정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The Mosaic economy was a pedagogical re-enactment on the stage of world history of the original Adamic arrangement, but modified to fit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fallen situation”and characterized by “adjustments resulting from the redemptive process.”


그렇다면 이러한 제한들과 조정들은 무엇이란 말인가?

What were some of those limitations and adjustments?


주된 것으로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는, 이스라엘이 땅에서 유하는 동안에 유형학적 단계에서 역사적으로 운용되었던 것과 같이,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지도 않고, 조그마한 불순종에 대하여 저주로 위협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The main one is that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as it operated historically on the typological level of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did not require perfect obedience or threaten a curse for the smallest disobedience.


차라리 이는 클라인이 말하는 "유형학적 가독성"에 따라서 운용되었었다.

Rather, it operated according to what Kline calls “typological legibility.”


"이스라엘 나라의 경우에 있어서 유형학적인 목적은 의와 번영이 극치의 나라에서 서로 결합하게 된다는 것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상징적 메세지가 읽혀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지속적이고 집단적인 배교에서는 약속된 유업을 소유하는 것이 허락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사람들의 불가피한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면으로는, 유형학적 전개방식의 교사적인 점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 모세 언약에서의 축복과 저주를 행하는데 있어서, 하나님께서는 상징적 적합성이나 유형학적 가독성의 표준을 적용하셨다"(KP 239-40).

“The typological objective in the case of the Israelite kingdom was to teach that righteousness and prosperity will be conjoined in the consummated kingdom. For the purpose of keeping that symbolic message readable, persistent wholesale apostasy could not be allowed to accompany possession of the promised inheritance. But, on the other hand, the pedagogical point of the typological arrangement could be satisfactorily made, in a positive fashion, in spite of the inevitable imperfections of the people individually and as a nation. In meting out the blessings and curses of the Mosaic Covenant, the Lord applied the standard of symbolical appropriateness or typological legibility”(KP 239-40).


"여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유형학적인 나라가 모세 언약 아래에서 시작된 이상, 이스라엘이 이를 유지 시키기 위해서 국가적인 규모에 적용되는 행위의 원리에 의하여 다스려졌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국가적 검증을 판단하는 표준으로는 유형학적 가독성, 즉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거룩하신 나라의 복락을 즐긴다는 것은 의와 밀접하게 연계되어있다는 것을 합리적으로 읽어낼 수 있도록 말씀이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거룩함이 없이 우리는 하나님을 볼 수가 없다"(KP 323)

“What we have found then is that once the typological kingdom was inaugurated under the Mosaic Covenant, Israel’s retention of it was governed by a principle of works applied on a national scale. The standard of judgment in this national probation was one of typological legibility, that is, the message must remain reasonably readable that enjoyment of the felicity of God’s holy kingdom goes hand in hand with righteousness. Without holiness we do not see God”(KP 323).


이는 처음의 아담 언약의 재현이었지만 "국가적 규모에 적용되었으며", 여기서 이스라엘이 땅에 머무르기 위해서는 완전한 순종보다는 "적절한 정도의 국가적 충실함"이 요구되었다.

It was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Adamic covenant but “applied on a national scale,”wherein the requirement was not perfect obedience but an “appropriate measure of national fidelity”if Israel was to retain the land.


"이스라엘 사람들이 공동체적으로 약속된 땅에서 신정 국가로서의 지속적인 소유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그들이 적절한 정도로 그들의 천상의 왕에 대한 국가적 충성을 유지하였던 것이었다"(KP 322).

“The Israelite people corporately could maintain their continuing tenure as the theocratic kingdom in the promised land only as they maintained the appropriate measure of national fidelity to their heavenly King”(KP 322).


모세 언약 내에 새겨져 있는 행위 원리는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의 공동체적 삶"을 지배하고 있다.

The works principle enshrined in the Mosaic covenant governed “the corporate life of Israel” as a nation:


"국가적으로 선택받은 수혜자로서의 이스라엘의 공동체적 삶을 지배하는 것과 가나안에서의 유형학적인 나라로서의 이스라엘의 수명을 통제하는 것은 법정적 원리였다"(“Gospel until the Law,”435).

“It was the judicial principle that governed the corporate life of Israel as recipient of the national election and controlled Israel’s tenure in the typological kingdom of Canaan”(“Gospel until the Law,”435).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클라인은 모세 언약이 아담의 행위 언약의 재연이었다고 가르치지는 않았다.

For this reason, it is evident that Kline did not teach that the Mosaic covenant was a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이러한 진술에는 진리의 일면도 있겠지만 오히려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There is a grain of truth in that statement, but it is misleading.


오히려 그(클라인)가 모세 경륜을 아담의 검증의 유형학적인 재연으로 보고있다고 말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할 것이다.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he viewed the Mosaic economy (the top layer thereof) as a typological recapitulation of Adam’s probation.


만약에 당신이 클라인이 어떻게 모세 언약 자체- 모세 경륜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시내산에서 세우신 실제적 언약-를 특징 지우는지 결론 내리길 원한다면, 그는 이것(모세 언약)은 "다양한 행위들의"(KP 5)언약이며 "행위 원리에 의하여 숙지되어진 검증적 계획"(KP 345) 혹은 "행위 언약"(KP 352)이라고 말할 것이다.

If you want nail Kline down about how he would characterize the Mosaic covenant itself –not just the Mosaic economy but the actual covenant that God established with Israel at Mount Sinai–he would say it wa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KP 5) or “a probationary arrangement informed by the works principle”(KP 345) or“a covenant of works”(KP 352).


그러나 그는 이것을 "행위 언약의 재연"이라고 부르지 않을 것이다,

But he would not call it “a republication of the covenant of works.”


C. 클라인에 대한 세 번째 잘못된 설명들

C. Third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가 오직 유형학적인 차원에서만 적용된다고 보았으며, 율법에서의 가정적 행위 원리의 존재를 부인하였다."

“Kline saw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operating only at the typological level and denied the presence of a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in the law.”


만약에 이전의 잘못된 설명이나 잘못된 이해가, 클라인이 모세 언약을 하나의 단순한 아담의 행위 언약의 재연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라면, 이번에는 이러한 주제에 대하여는 분명히 하고 있지만, 그 다음은 반대 방향으로 가서, 클라인이  율법에, 비록 가정적이라 할지라도 율법을 완벽하게 지키는 이들에게 진실로 영원한 생명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데 실패를 하였다며 비난하고있다.

If the previous misrepresentation or misunderstanding is that Kline viewed the Mosaic covenant as a simple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this one gets that issue straight but then go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aults Kline for failing to recognize that the law contained a genuine albeit hypothetical offer of eternal life to those who keep the law perfectly.


이러한 가상적 행위 원리는 레위기18:5에 분명하게 나타나있다: "너는 나의 모든 규례와 모든 법도를 지킬 것이며, 너는 이것들을 행할 것이라, 사람이 이것들을 행하면 그로 말미암아 살리라"

This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is enunciated in Lev 18: 5: “And you shall keep all my ordinances and all my judgments, and you shall do these things which, if a person does them, he shall live by them”(New English Translation of the Septuagint).


레위기 18:5에 대한 그의 인용과 암시로 판단해보면(예, 롬 2:13; 7: 10; 10: 5; 갈 3: 12) 바울이 생명의 약속을 이 땅에서의 장수가 아닌 영원한 종말론적 삶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Judging from his quotations and allusions to Lev 18: 5 (e.g., Rom 2: 13; 7: 10; 10: 5; Gal 3: 12), it would appear that Paul interpreted the offer of“life”not as long life in the land but as eternal, eschatological life.


이러한 약속을 "가정적"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타락 이후에 아무도 율법이 요구하는 모든 것을 실질적으로 행하거나 완벽하게 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offer is called“hypothetical”because no one after the Fall actually does or can perfectly do all that the law demands.


"이것을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 (종말론적으로)"는 진실된 약속이겠지만 이는 단지 공집합일 뿐이다.

“Do this and you will live (eschatologically)”may be a genuine offer but it is an empty set.


종말론적 행위 원리는 그리스도 외에는 어느 누구에 의해서도 충족될 수가 없다.

The eschatological works principle was never fulfilled by anyone but Christ.


이제 분명히 해야 할 것은, 클라인을 비평하는 모든 사람이 레위기 18:5에 요약된 바와 같이 율법에서의 가정적 행위 원리를 지지하는데 관계되어있는 것은 아니다.

Now, just to be clear, not all critics of Kline are concerned to uphold a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in the law as summarized in Lev 18: 5.


사실 클라인을 비평하는 대부분(특히 풀러-쉐퍼드-페드럴비전의 변형의 사람들)이 그렇지 않다.

In fact, most of Kline’s critics (especially those of the Fuller-Shepherd-Federal-Vision variety) are not.


이러한 그룹은 어디서나 -모세 경륜에서 뿐만이 아니라 창조주의 첫 번째 아담과의 행위 언약, 그리고 성부의 두 번째 아담과의 행위 언약(구속 언약)에서-행위 원리를 부인한다

That group denies the works principle everywhere–not just in the Mosaic economy, but also in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and in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second Adam (the pactum salutis).


그러나, 언약신학과 칭의에 대하여 좀 더 전통적인 관점(말하지만, 그들은 아담의 행위 언약을 부인하지 않으며, 그리스도의 의의전가를 확신하고 있다)을 유지하는 이들로서 클라인을 비판하는 이들이 일부 있는데, 이들이 염려하는 것은, 클라인이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를 유형학적 차원으로 제한한다는 것이다.

However, there are some critics of Kline who hold more conventional views of covenant theology and justification (meaning, they don’t deny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and they affirm the imputed righteousness of Christ), who are worried about the way in which Kline seems to limit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to the typological level.


이는, 그들이 그(클라인)의 "유형학적 가독성"의 개념, 즉 국가적 이스라엘에게 완벽한 순종이 아닌 "적절한 정도의 국가적 충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개념으로 인하여 당혹스러워하는 걱이다.

That is, they are troubled by his concept of “typological legibility” wherein national Israel is required to maintain an “appropriate measure of national fidelity,” but not perfect obedience.


그들이 염려하는 것은, 행위 원리에 대한 이러한 유형학적 견해가 신적인 의의 영원한 표준을 희석 시키거나, 혹은 심지어 부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They worry that this typological version of the works principle waters down or possibly even denies the eternal standard of divine justice.


도덕법은 절대적이고, 완벽한 순종을 요구한다.

The moral law requires absolute, perfect obedience.


이러한 비평가들이 즉시 지적하는 것은, 레위기 18:5의 원리를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는 절대적 의미에서 취하는 것이 다음 두 가지 이유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첫째, 교사로서의 율법의 기능을 위하여 필요하다(율법이 만약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율법은 우리에게 우리의 죄를 보여주거나 우리를 그리스도께 인도할 수 없다); 두 번째, 이는 궁극적 기독론적 목적과 율법의 중요성에 결정적인 것이다 (만약 그리스도가 자신의 순종으로 율법을 완벽하게 충족시키셨다면, 율법은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는 것이 틀림이 없다).

Such critics rightly point out that it is crucially important to take the Lev 18: 5 principle in an absolute sense as requiring perfect obedience, for two reasons: first, it is necessary for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the law can’t show us our guilt and drive us to Christ unless it demands perfect obedience); second, it is crucial for the ultimately Christological aim and significance of the law (if Christ perfectly fulfills the law by his obedience, then the law must require perfect obedience).


이러한 비평가들에 대한 응답으로, 나는 클라인이 그들의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논하고자 한다.

In response to these critics, I want to argue that Kline shares their concerns.


내가 논하려고 하는 것은, 사실은, 그(클라인)가 모세법에서 행위 원리의 가정적인 면에 대하여 확신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I would argue, in fact, that he does affirm the hypothetical aspect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여기 한 가지 인용한 것을 보면, 그가 명쾌하게 가정적 행위 원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Here is one quote where he explicitly uses the language of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그는 행위 원리를 단순하게 가정적이라고 보길 원하지 않는데, 이를보면 그가 거기서 가정적 행위 원리를 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e does not want to see the works principle as merely hypothetical, but that implies that he does see a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there.


"실비아로 이어지는 머레이의 입장은, 유형학적 단계의 중요성을 최소화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옛 언약을 다른 은혜의 통치와 연속되게 끔 축소 시켰기 때문에, 율법의 원리를 떠난 그의 제안은 단지 행위에 의한 구원 말고는 다른 길이 없다는 가정적 제안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Gospel until the Law,”434-35, emphasis added).

“Because the Murray position followed by Silva so minimizes the significance of the typological stratum as virtually to reduce the old covenant to the one level of its continuity with other administrations of grace, his suggestion leaves the law principle functioning merely as a hypothetical proposal of salvation by works and in no other way”(“Gospel until the Law,”434-35, emphasis added).


그가 이것을 강조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 바벨론 유수와 서기 70년에 댓가를 치르는 일이 역사적으로 실제로 적용되었던 이상, 우리가 율법의 행위 원리가 단지 가정적인 것 만은 아니라는 것을 확실히 인식하도록 하기 원하였기 때문이다.(“Gospel until the Law,”435, emphasis added).

It is true that he does not emphasize it, but that is because he wants to make sure we recognize that “the law’s principle of works was not just something hypothetical,”since it was actually applied historically in the Babylonian exile and in AD 70“with a vengeance”(“Gospel until the Law,”435, emphasis added).


하나님의 유형적 나라에 대한 종식과 이스라엘의 국가로서의 선택의 상실은 "분명히 율법의 조항과 구속력이 단순히 가정적 표현이라는 개념과 상반된다"(같은 글).

God’s termination of the typal kingdom and Israel’s loss of national election“emphatically contradict the notion that the law’s stipulations and sanctions were mere hypothetical formulations”(ibid.).


비록 클라인이, 행위적인 면을 단순한 가정적 원리로 감소시키려거나, 위에 가로 놓여있는 유형학적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들에 대하여 반박하고있지만, 그는 유형학적 측면에  당연히 내포되어있는 가정적 행위 원리가 있음을 인식하고있다.

Although Kline is arguing against those who would reduce the works aspect to a mere hypothetical principle and fail to acknowledge its historical operation at the overlying typological layer, he does recognize that there is a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as well imbedded in the typological layer.


클라인이 이것을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역시, 바울 자신이 자주 율법에서의 유형학적 행위 원리를 무시하면서, 이를 지나서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는 행위 원리로서의 궁극적인 종말론적 중요성을 보고 있음을 기록하고있으며, 특히 레위기 18: 5을 다음과 같이 사용하고있다:

Not only does Kline recognize this, but he also notes that Paul himself often bypasses the typological works principle in the law and sees right past it to its ultimate eschatological significance as a works principle requiring perfect obedience, particularly in his use of Lev 18: 5:


"실제로 주목할 만한 것은, 바울 자신도 모세 경륜을 한 가지의 차원- 그러나 은혜의 차원이 아니라 유형학적인 행위의 차원으로 축소시키는 것처럼 자주 충분히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에 사도 자신이 오늘날 그렇게 무방비로 표현을 했다면, 그는 세대주의 경향의 사람들로부터 고소를 당하는 위험에 처했을 것이다"(“Gospel until the Law,”435). “What is truly remarkable is that Paul sounds often enough as though he too were reducing the Mosaic economy to one level –not, however, to the grace level but to the typological works level. If the apostle expressed himself so unguardedly today he would risk being accused of dispensationalist leanings”(“Gospel until the Law,”435).


다음 인용에서는 더욱 분명해진다:

Even clearer is this quote:


바울의 레위기 18:5에 대한 호소가 보여주고 있듯이(롬 10: 5; 갈 3: 12) 공로적 행위의 법적인 원리는 은혜의 복음 원리와는 반대로 토라에서 작용하고 있었다(GOM 239 n32).

“As Paul’s appeal to Lev 18: 5 shows (Rom 10: 5; Gal 3: 12), 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was operating in the Torah covenant opposite to the gospel principle of grace”(GOM 239 n32).


클라인에 의하면, 바울이 레위기 18: 5을 사용하는 것은 모세법이 어느 정도는 " 공로적 행위의 법적인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는 것이라는 사실에 주목해보라.

Note well, according to Kline, Paul’s use of Lev 18: 5 demonstrates that the Mosaic law contains in some way“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이것은 "법적인 원리"이다.

It is a “legal principle.”


달리 말하자면, 율법은, 비록 타락한 인간이 절대로 지킬 수는  없지만, 그것을 지키는 이에게는 생명을 가정적으로 제공해준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 law contains a hypothetical offer of life to those who keep it, although fallen humans can never keep it.


그러나 이것이 유형학적 가독성이라는 클라인의 개념과 어떻게 관계가 있다는 말인가?

But how does this relate to Kline’s notion of typological legibility?


나는 율법의 가정적 행위원리와 율법의 유형학적 행위 원리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I would argue that the law’s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and the law’s typological works principle go hand in hand.


나는 클라인이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에서 “intrusion"를 다루는데 있어서 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범주를 제공해 주리라고 믿는다.

I believe Kline gives us the conceptual categories to explain this in his treatment of “intrusion”in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


클라인은, 종말론적 실체의 원리와 능력이 역사의 한 가운데 투영됨으로서(이것이 intrusion의 개념이다), 그 안에 종말론적 핵을 내포하고 있는 외부의 껍질이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Kline argues that the principles and powers of the eschatological reality are projected into the midst of history( this is the concept of “intrusion”), creating an outer shell that contains within it an eschatological core.


마치 번개불이 땅을 통과하여 fulgurite(실리카가 녹음으로서 만들어지는 움푹 파인 유리)를 만들듯이, 종말론적 침투는 내부의 핵을 포함한 외부의 껍질을 만들어낸다.

Just as a bolt of lightning can penetrate the earth and form a fulgurite7 (a hollow glass tube formed by melting the silica), so the eschatological intrusion creates an outer shell with an inner core.

외부의 껍질은 종말론적 실체를 고대하는 형태이지만, 종말론적 실체는 어느 정도는 껍질 내부에 포함되어있다.

The outer shell is the type that looks forward to the eschatological reality, but the eschatological reality is to some extent contained within the shell.


통치의 전 과정을 거치는, 신약에서 좀 더 완전하지만 이미 구약에서 시작된, 구속 언약은 성령의 오심이며, 능력의 침투이며, 원리이며, 지연된 시기로 들어오는 극치의 실체이다.

“The Covenant of Redemption all along the line of its administration, more profoundly in the New Testament but already in the Old Testament, is a coming of the Spirit, an intrusion of the power, principles, and reality of the consummation into the period of delay.


무엇보다도 먼저는 구약의 시기에 침투해 들어오는데, 침투는 하나님의 역사의 섭리에 의한 세대, 혹은, 좀 더 특별하게는, 구속 언약의 신적인 통치에 의해서, 충족되고 종식되는 나중 세대를 위해서 준비되는 세대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Breaking through first of all in the Old Testament period, the Intrusion finds itself in an age which is by the divine disposition of history, or, more specifically, by the divine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Redemption, an age of preparation for a later age of fulfillment and finality.


그러므로, 이것은, 한때 제시되었지만 아직 베일에 가리워있는, 궁극적 영광의, 지상적 형태 한가운데 나타나는 것이다.

Its appearing, therefore, is amid earthly forms which at once suggest, yet veil, the ultimate glory.


애매하게 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이러한 침투라는 임시적 껍질 안에 영원한 핵이 있다는 사실이다.

Not to be obscured is the fact that within this temporary shell of the Intrusion there is a permanent core.


상황들의 반복은, 천상의 실체의 실제적 투영인 실현된 종말론을 지상적으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The pattern of things earthly embodies realized eschatology, an actual projection of the heavenly reality.


이것이 바로, 늦추어진 시간 속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자체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극치인 것이다.

It is the consummation which, intruding into the time of delay, anticipates itself ....


이러한 침투는 핵심에서는 종말론을 실현한 것이며, 동시에 상징적 외관(성례적인 면은 그것의 예외로서)에서는 아직 실현되지 않은 종말론의 유형적 그림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This Intrusion has realized eschatology as its core, while its symbolic surface (the sacramental aspect thereof excepted) forms a typical picture of eschatology not yet realized.


핵과 껍질의 참된 성격을 이해하는 것과, 그리고 핵이 항상 껍질 안에 존재해있다는 것을 좀 더 이해하는 것은, 많은 부분이 구약을 적절하게 이해하는데 달려있다”(SBA 156, 158).

In the recognition of the true character of core and shell and in the further recognition that the core is always present within the shell lies the proper understanding of much in the Old Testament”(SBA 156, 158).


모세법은 타락 후의 상태에 침투해 들어온 종말론적 행위 원리였었다.

The Mosaic law was an intrusion of the eschatological works principle into a post-fall situation.


이러한 원리가 이스라엘의 역사 속으로 번개불과 같이 들어왔을 때, 이것은 외부의 껍질(이 땅에 관계되는 유형학적 행위 원리에 지배를 받는 유형적 나라)을 형성시켰지만, 그 껍질 안에 담겨있는 것은 실현된 종말론(가정적인 행위 원리는 오직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부의 두 번째 아담과의 행위 언약, 즉 구속 계약의  의미를 따라서 충족된다)이라는 핵이었다.

When that principle entered like a lightning bolt into the history of Israel, it created an external shell (the typal kingdom governed by the typological works principle pertaining to the land) but contained within the shell was a core of realized eschatology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fulfilled only by Christ according to the terms of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second Adam, aka, the pactum salutis).


하나님께서 행위 원리를 유형학적 차원에서 재현시키신 핵심적 이유는, 율법의 종결자로서, 율법의 저주를 감당하셨고,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의 긍정적 요구들을 지키셨으며, 그럼으로서 자기 백성에게 천국을 얻게하신,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역사적인 맥락을 제공해주시기 위함이었다.

The very reason why God reenacted the works principle on the typological level was to provide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incarnation of Christ, the telosof the law, who endured the law’s curse and kept the law’s positive requirements in our place, thus earning heaven for his people.


"참된 이스라엘로서,율법 아래에 나셨고,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보편적으로 관계되는 역할로서의 예수의 특별한 역사적 정체성 사이의 동일함으로 인하여, 모든 세대의 선택된 자들을 위하여 행위 언약 안에서 검증적 책임을 완수하는 중대한 임무는 명백하게 표현된 것이고 쉽게 읽어낼 수 있는 것이다"(KP352).

“Because of the congruence between Jesus’ particular historical identity as the true Israel, born under the law, and his universally relevant role as the second Adam, the significance of his mission as the accomplishing of a probationary assignment in a works covenant in behalf of the elect of all ages was lucidly expressed and readily readable”(KP 352).


클라인은 구원 계약을 "천상의 [즉 하늘의] 행위 언약"이라고 부른다.

Kline calls the pactum salutis the “supernal [i.e., heavenly] works covenant.”


이것은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과 이스라엘이 땅에서 유지되는 것을 지배하는 유형적 행위 언약을 확립하는 것에 대한 최종적 원형이다.

It is the ultimate archetype for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ypological covenant of works governing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토라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 나심으로 알려지신 바와 같이(갈4:4), 그리스도께서는 이 땅에 삼위일체 안에 내재된 행위 언약 아래의 한 분으로 오셨다. 이는 그가 천상의 행위 언약의 검증을 충족 시킴으로 인하여 은혜 언약의 중재자가 되셨으며, 이 언약 안에서 그의 백성은 믿음으로 영원한 영광의 나라를 그들의 주와 같이 상속 받는 자가 되었다(히 9:14; 롬 8: 17)"(GOM 237)

“As a dvertised by his birth under the Torah covenant of works (Gal 4: 4), Christ came to earth as one under the intratrinitarian covenant of works. It was by fulfilling the probation of that supernal works covenant that he became the mediator of the Covenant of Grace, the covenant in which his people become by faith joint-heirs with their Lord of the eternal kingdom of glory (Heb 9: 14; Rom 8: 17)”(GOM 237).


바울 신학에 있어서, 그들이 약속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의 정체성으로 인하여, 조약과 허용이라는 언약 율법의 요구가 사람에게서 응하고 충족될 수 있었다"(BOC 23).

“In the theology of Paul the demands of covenant law both as stipulations and sanctions are met and satisfied for men in their faith identification with the Christ of promise”(BOC 23).


"그러므로 율법은 복음의 기초를 이룬다; 복음의 은혜는 율법 언약에 분명하게 명시된 바와 같이, 하나님의 의의 요구를 지킨다"(GOM 237)

“Law is thus foundational to gospel; gospel-grace honors the demands of divine justice as definitively expressed in law covenant”(GOM 237).


만약에 클라인이 모세 언약 안에 내재되어있는 가정적 행위 원리를 인식하지 못하였다면, 그는 그리스도를 완전하게 율법을 충족 시키신 분, 즉 " 모든 세대의 선택 받은 이들를 위하여 행위 언약 안에서 검증적 임무를 완성하신 분"이라는  말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If Kline did not recognize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imbedded in the Mosaic law, he would not be able to speak of Christ as perfectly fulfilling the law, “accomplishing a probationary assignment in a works covenant in behalf of the elect of all ages.”


그러나 알아야 할 것은, 이런 그리스도가 이루신 이러한 행위 언약은, 정확히 말하자면, 모세 언약이 아니고 "구원 계약"이다.

But note that he would say that this works covenant that Christ fulfills is not properly the Mosaic covenant but the pactum salutis.


모세 언약은, 타락 후의 역사적 상황 속으로, 실제적 행위 원리가 종말론적으로 침투해 들어옴으로서, 하나님의 의를 만족 시키시고, 또한 실제적 행위 원리를 충족시킴으로서, 우리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께서  순종하심과 죽으심을 통하여 이루신 것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게 끔, 유형학적인 상황을 만든 것이다.

The Mosaic covenant is the eschatological intrusion of the actual works principle into a post-Fall historical situation, thus creating the typological context tha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read”the accomplishment of Jesus Christ in his obedience and death as the satisfaction of divine justice and the fulfilling of the actual works principle.


클라인의 좀 더 전통적인 일부 비평에 대한 우려와는 반대로, 클라인은 레위기 18:5의 가정적 행위 원리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Contrary to the worries of some of Kline’s more traditional critics, Kline does not deny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of Lev 18: 5.


그의 생각의 이러한 면을 놓치기 쉬운 것이 당연한 이유는, 그가, 땅에서의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의 역사적 경험들에 관계되는, 행위 원리의 유형학적 기능을 설명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Granted, it is easy to miss this aspect of his thought because he spends so much time expounding the typological operation of the works principle as it pertained to national Israel’s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land.


그러나 이것은 그가, 바울이 레위기 18:5을 사용할 때 그가 유형학적 "껍데기"를 우회하여 바로 그 안에 담겨있는 종말론적 핵으로 들어갔다고, 인식함으로서, 그의 생각이 명백하게 드러난다.

But it is there in his thought, as evidenced by his recognition that when Paul employed Lev 18: 5 he bypassed the typological “shell”and penetrated right to the eschatological “core”c ontained within.


클라인은, 바울이 종말론적 침투의 개념 때문에 이렇게 한 것은 옳은 것이라고 이해한다.

Kline understands that Paul is right to do this because of the concept of eschatological intrusion.


레위기 18: 5의 원리(가정적 행위 원리)의 종말론적 실체는 하늘로부터 시내산에 내려와서, 역사의 한 가운데 개입함으로서, 모세 경륜의 상층에 놓여있는 행위 원리의 유형학적 표현으로서의 "껍질" 안에 참된 종말론적 "핵"을 심겨 넣은 것이다.

The eschatological reality of the Lev 18: 5 principle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came down out of heaven at Sinai, intruding into the midst of history and thereby imbedding a genuine eschatological “core”within the “shell”of the typological expression of the works principle at the top layer of the Mosaic economy.


이 모든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없이는 성육신에 필요한 합치로서의, 모세법과 구원 계약 사이에 "합치"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All this is vitally important, because without it there would be no “congruence”(KP 352) between the Mosaic law and pactum salutis, a congruence that is necessary for the incarnation.


오직 이 방법으로 만이, 모세법 아래서의 그리스도의 검증과 순종이, 구원 계약 아래서의 검증과 순종으로 즉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Only in this way can Christ’s probation and obedience under the one (the Mosaic law) be readily perceived as his probation and obedience under the other (the pactum salutis).


D. 클라인에 대한 네 번째 잘못된 설명

D. Fourth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모세 언약이 어떠한 의미에서든지 은혜 언약의 통치였다는 것을 부인할 정도로, 모세 언약의 행위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불연속성은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연속성은 축소하거나 부인하였다."

“Kline so emphasized the works aspect of the Mosaic covenant that he denied that it was in any sense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He overemphasized the discontinuity and downplayed or denied the continuity.”


사실이 아니다.

Not true.


클라인의 언약 개념의 논쟁적 내용이 그로 하여금 모세 언약의 행위적인 면을 강조하게 끔 한 것은 사실이다.

It is true that the polemical context of Kline’s covenant thought pushed him to emphasize the works aspect of the Mosaic covenant.


그가 존 머레이의 언약신학의 "재구성"에 대하여 응답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그(존 머레이)는 언약의 성경적인 개념을 "은혜와 약속의 주권적 통치"로 규정하였다.

He was responding to John Murray’s “recasting”of covenant theology in which he defined the biblical concept of covenant as “a sovereign administration of grace and promise.”8


물론, 이것은 모세 언약을 보장된 은혜의 언약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었으며, 이 언약의 약속들과 조건들은 원리에 있어서는, 우리가 아브라함 언약이나 새 언약에서 보았던 바와 같이, 은혜의 맥락 안에서, 순종의 요구와 다를 바 없이 이해되어야 했다.

This, of course, meant that the Mosaic covenant had to be seen as a covenant of guaranteed grace, and the promises and conditions of that covenant had to be understood as no different in principle from the demand for obedience, within the context of grace, that we see in the Abrahamic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클라인이 걱정을 하였던 것은, 이러한 언약 신학의 수정은, 모든 언약을 단일한 성격으로 적합화 시킴으로서, 율법- 복음의 대조를 붕괴 시키며, (노먼 쉐퍼드와 페드럴 비전에서 사실로 증명된 바과 같이) 칭의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파급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Kline was concerned that this recasting of covenant theology, by making all covenants fit into a single mold, would destroy the law-gospel contrast and have ripple effects on one’s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as proved true with Norman Shepherd and the Federal Vision).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클라인은 모든 언약들을 단일한 성격으로 끼워 맞추려고 하지 않았으며, 일부 언약은 행위의 종류이며, 다른 언약들은 은혜의 종류라고 주장하려고 했던 것이다.

For this reason, Kline will not make all covenants fit into a single mold and will insist that some covenants are of the works variety and others of the grace variety.


다른 한편으로, 언약 신학에서 율법-복음의 구별을 지지하는 것을 주장하는데 있어서, 클라인은 다른 방식의 반발에 너무 조심함으로서, 한편으로는 모세 언약과 아브라함 언약과의 연속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새 언약과의 연속성을 완전히 붕괴 시키게 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ile insisting on upholding the law-gospel distinction in covenant theology, Kline was too careful to react the other way and completely rupture the continuity of the Mosaic covenant with the Abrahamic covenant on the one side and with the new covenant on the other side.


이것이 내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으로서- (그 내용은) 클라인이 율법-복음의 구분을 너무 심하게 함으로서, 그가 다양한 통치에서의 은혜 언약의 연속성을 부인하거나 축소하였다는 것이다.

That is what I want to address here–the perception that Kline took the law-gospel distinction so far that he denied or downplayed the continuity of the covenant of grace under its various administrations.


이것은, 클라인이, 모세 언약이 아담의 행위 언약의 재연이었다고 가르쳤다고 주장하는 두 번째 잘못된 해석과 관련이 있다.

This relates to the second misrepresentation in which it is claimed that Kline taught that the Mosaic covenant was a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만약에 모세 언약이 단순한 아담의 행위 언약의 재연이었다면, 어떻게 모세의 행위 언약이 처음부터 약속된 아브라함 언약과 연결될 수 있는 지를 알아낸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어려울 것이다.

If the Mosaic covenant were a simple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it would be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see how the Mosaic covenant of works could be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Abrahamic covenant of promise.


그러나 클라인은, 모세 언약이, 분명히 은혜 언약에서 가장 중요한 구속적 계획을 진행 시킬 목적으로, 타락한 상황 가운데로 행위 원리가 침입한 것으로 인식하였었다.

But Kline recognized that the Mosaic covenant was an intrusion of the works principle into the midst of a fallen situation precisely for the purpose of advancing the overarching redemptive program of the covenant of grace.


유형학적이고 가정적인 행위 원리의 도래가 내재하는 아브라함 약속의 효력을 상실 시키지는 못했다.

The introduction of the typological and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did not annul the underlying Abrahamic promise.


여기서 우리는 클라인 자신이 이 점을 거듭하여 강조하는 것과 같이 갈라디아서 3: 17을 인용하여야만 한다:"하나님께서 미리 정하신 언약을 사백삼십 년 후에 생긴 율법이 폐기하지 못하고 그 약속을 헛되게 하지 못하리라"

Here we must cite Gal 3: 17 as Kline himself does again and again to underscore the point: “The law, which came 430 years afterward, does not annul a covenant previously ratified by God, so as to make the promise void”(ESV).


참으로, 율법은 아브라함 약속을 무효화 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제에 있어서는 아브라함 약속을 성취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단계인 것이다.

Indeed, the law not only does not annul the Abrahamic promise, it is actually a crucial step in the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promise.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윗 층에 행위 원리를 자리 잡게 하신 것은, 기초적인 아브라함 약속을 성취하기 위하여, 율법의 행위 원리를 충족 시킬 자손의 도래를 위한 언약적 구도를 분명하게 마련하시기 위한 것이다.

For God put the works principle in place at the top layer precisely to provide the covenantal setting for the arrival of the Seed who fulfills the law’s works principle in order to fulfill the underlying Abrahamic promise.


바울이 두 절 뒤에 말한 바와 같이:"그런즉 율법은 무엇이냐 범법하므로 더하여진 것이라 약속하신 자손이 오시기까지 있을 것이라"(갈 3:19)

As Paul says two verses later: “Why, then, was the law given at all? It was added because of transgressions until the Seed to whom the promise referred had come”(Gal 3: 19 NIV).


여기에 클라인이 연속성 - 모세 언약과 그보다 앞선 아브라함 언약과의 연속성과 모세 언약과 그 뒤에 이어지는 새 언약과의 연속성 모두-를 인식하고있다는 몇가지 핵심적인 인용문들이 있다

Here are some key quotes where Kline recognizes the continuities –both the continuity between the Mosaic covenant and the prior Abrahamic covenant and the continuity between the Mosaic covenant and the subsequent new covenant.


그러면 모세 규례 전후로 이어지는 은혜 언약의 통치와의 연속성에 대하여 클라인이 일반적으로 진술한 것으로 시작하도록 하자

Let us begin with a general statement by Kline of the Mosaic order’s continuity with previous and subsequent administrations of the covenant of grace:


"전통적 언약주의는, 옛 모세 규례(기초 단계로서-즉, 그리스도 안에서의 개인적 구원 계획으로서)는 이전과 이후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은혜 언약의 통치와의 연속성에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Gospel until the Law,”434)

“Classic covenantalism recognizes that the old Mosaic order (at its foundation level –that is, as a program of individual salvation in Christ) was in continuity with previous and subsequent administrations of the overarching covenant of grace”(“Gospel until the Law,”434, emphasis added).


모세 경륜의 위층을 지배하는 모세 언약은 그 자체로 은혜 언약의 통치가 아니며, 이는 하나님의 "가장 중요한 은혜 언약"의 부분으로서 위층에 더하여진 것이다.

The Mosaic covenant governing the top layer of the Mosaic economy is not itself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but it is added at the top layer as part of God’s “overarching covenant of grace.”


다음으로, 우리는, 아브라함 언약에서 모세 언약의 체제로의 연속성을 확실히 하고 있는 클라인의 특별한

인용으로 넘어가자.

We move, next, to a quote by Kline affirming specifically the continuity from the Abraham covenant to the Mosaic covenant order:


"옛(모세) 언약 체제는, 비록 아브라함의 약속의 언약과 연속된다고 할지라도, 그리고 심지어는 하나님 나라의 약속의 초기 성취일지라도, 이 자체는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 것이다. (Kp 320)

“The old (Mosaic) covenant order, though in continuity with the Abrahamic covenant of promise and even an initial fulfillment of its kingdom promises, was nevertheless itself governed by a principle of works”(KP 320, emphasis added).


나는 이미 앞에서 클라인의 두 겹의 케이크를 설명하였기에, 이것으로 인해서 놀라서는 안된다.

I already explained Kline’s two-layer cake above, so this should not come as a surprise here.


모세 경륜의 아래 층은 은혜 언약인 것이다.

The bottom layer of the Mosaic economy is the covenant of grace.


"바울은 모세 언약이 좀 더 일찍 아브라함에게 준 약속된 계획을 무효화시키지 않았다고 단언하고있다(갈 3: 17).

“Paul affirmed that the Mosaic Covenant did not annul the promise arrangement given earlier to Abraham (Gal 3: 17).


이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옛 언약의 체계는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레위기 18: 5과 율법의 다른 곳에서 선언된 행위 원리는 오직 이들 가운데 하나, 즉 두 번째 층에만 적용되는 것이다.

The explanation for this is that the old covenant order was composed of two strata and the works principle enunciated in Leviticus 18: 5, and elsewhere in the law, applied only to one of these, a secondary stratum.


여기에는 구원이라는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개인적으로 얻는 것과 관계된 기초 층이 있으며, 이 근본적인 층은, 교회와 맺으신 하나님의 은혜 언약의 통치에 선행하거나 이어지는 모든 것과 관계되며, 은혜의 원리로 알려진 것이다(예로서 롬 4: 16을 비교하라).

There was a foundational stratum having to do with the personal attainment of the eternal kingdom of salvation and this underlying stratum, continuous with all preceding and succeeding administrations of the Lord’s Covenant of Grace with the church, was informed by the principle of grace (cf., e.g., Rom 4: 16).


약속된 아브라함 언약이 이러한 근본적인 단계에서 모세의 체제와 연속되어지는 것으로 발견된 것으로 인하여, 뒤의 것으로 폐기되지는 않는다.

Because the Abrahamic covenant of promise found continuity in the Mosaic order at this underlying level, it was not abrogated by the latter.


모세 체계에서의 행위 원리는, 기초적인 층 위에 놓여있는 두 번째 층으로 제시되었던, 모형적인 지상의 나라의 유형학적인 측면에 한정되었던 것이다"(KP 321)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order was confined to the typological sphere of the provisional earthly kingdom which was superimposed as a secondary overlay on the foundational stratum”(KP 321, emphasis added).


"이것은, 모세 경륜 안에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수용을 지배하는 은혜의 원리가 있는 기초적인 층이 동시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바울의] 이해로서, 이는 그로 하여금 모세 언약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것을 무효화하지 않았다는 확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었다(“Of Works and Grace,”86).

“It was [Paul’s] recognition of the simultaneous presence, within the Mosaic economy, of the underlying stratum with its principle of grace controlling the reception of the eternal kingdom that made it possible for him to affirm that the Mosaic Covenant had not annulled God’s promise to Abraham”(“Of Works and Grace,”86, emphasis added).


아브라함으로부터 모세까지의 연속성을 살펴보는 것을  마치고서, 이제 모세에서 새 언약으로의 연속성에 대한 클라인의 몇 가지 인용을 보고자 한다:

Having looked at the continuity from Abraham to Moses, here are some Kline quotes on the continuity from Moses to the new covenant:


"우리는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에는 연속성 뿐만이 아니라  현저한 차이점도  있다는 결론을 내려야만 한다. 영원한 구원과 하늘의 상속과 관련해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주권적 구원 은혜라는 연속성이 있다. 그러나 옛 언약에는 은혜-약속의 믿음 원리와는 정반대로 시작된 원리가 있는 두 번째, 유형학적인 영역이 포함되어있다는 차이점이 있다”(“Of Works and Grace,”87).

“We must conclude that between the old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there is contrast as well as continuum. There is a continuum of sovereign soteric grace in Christ with respect to eternal salvation and the inheritance of heaven. But there is a contrast in that the old covenant involved a secondary, typological sphere in which a principle was introduced quite the opposite of the grace-promise faith principle”(“Of Works and Grace,”87, emphasis added).


"새 언약은, 옛 것의 지속적인 유효성을 확인한다는 의미에서, 옛 언약의 갱신이 아니다. 만약에 우리가 새 언약을 옛 것의 갱신이라고 말하려고한다면, 이는 은혜 언약의 두 가지 통치로서 그들의 연속성이 표현되어야 하거나, 혹은 더욱 특별하게는, 새 언약이 옛 언약의 기초를 이루는, 근본적인 층인 그리스도 안에서 궁극적인 천상의 소망의 길로서의 복음-은혜의 기초층과의 연속성으로 표현되어야 한다.(KP 345)

“The new covenant is not a renewal of an older covenant in the sense of confirming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old. If we speak of the new covenant as a renewal of the old it must be to express their continuity as two administrations of the Covenant of Grace or, more specifically, the continuity of the new covenant with the underlying, foundational stratum of the old covenant, the substratum of gospel-grace as the way to the ultimate heavenly hope in Christ”(KP 345, emphasis added).


"무엇보다도 중요한 은혜 언약은...여러가지 메시아 오심 이전의 (노아, 아브라함, 모세 언약을 포함하는) 통치에서 전개되어야 하며,  새 언약에서 완전히 절정에 도달 되어 표현되어야 한다.(GHHM 75)

“The overarching Covenant of Grace ... was to unfold in several premessianic administrations (including the Noahic, Abrahamic, and Mosaic covenants) and have its full, culminating expression in the New Covenant”(GHHM 75, emphasis added).


마지막 인용문을 다시 읽어보자.

Read that last quote again.


클라인은, 은혜언약이 모세 언약을 포함하여 여러 통치들에서 나타나며, 이 중요한 은혜 언약은 새 언약에서 절정에 이른다고 말한다.

Kline says that the covenant of grace unfolded in several administrations, including the Mosaic covenant, and that this overarching covenant of grace reached its culmination in the new covenant.


"그들과 같이 아브라함 언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옛 언약과 새 언약 모두 다... 은혜 언약의 통치이다. 이러한 모든 언약 체계들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과 하늘의 상속을 위한 개인적 선택이라는 목적과 계획이다"(GHHM 96).

“Carrying forward the Abrahamic Covenant as they do, both the Old and New Covenants are ... administrations of the Covenant of Grace. Foundational to both these covenantal orders is the purpose and program of individual election in Christ unto salvation and the heavenly inheritance”(GHHM 96).


"율법 언약은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였으며, 장차 복음의 목적과 계획에 맞도록 고안되어있었다.(GHHM 128-29)

“The Law covenant was a sub-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designed to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GHHM 128-29, emphasis added).


또 한 가지 알아야만 할 것은, 위의 3개는 클라인이 생을 마감한 2007년 이전의 마지막 책인 "하나님 나라의 도래"(P&R개혁주의신학사)에서의 인용문으로서, 이 책은 "하나님 나라의 서막"(P&R개혁주의 신학사)과 함께 수 십년 간 성경 신학과 언약 신학을 가르치며 다듬어진 그의 가장 성숙된 생각들을 표현한 것이다.

It should also be pointed out that the three quotes above are from Kline’s last book before he died in 2007, "God, Heaven and Har Magedon" (published in 2006), which, along with Kingdom Prologue, represents his most mature thought honed over decades of teaching biblical theology and covenant theology.


게다가, 클라인은 (시내산에서 시작된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의 언약인) 모세 언약 자체가 은혜 언약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Again, Kline is not saying that the Mosaic covenant itself (the covenant between God and Israel that was inaugurated at Sinai) was a covenant of grace.


이(모세 언약)는 (은혜 언약이)아니다.

It was not.


이는 변형된 행위 언약이다.

It wa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


그러나 그는, 하나님께서 세우신 이러한 모세 행위 언약은 은혜 언약을 향하도록 고안된 것이므로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였던 것이라고 말한다.

But he is saying that God’s establishment of this Mosaic covenant of works was designed to advance the covenant of grace and that therefore it was a sub-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다른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말하였던 바와 같이, 이(모세언약)는 그 자체로 끝나도록 의도 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율법) 아래서 나셨고 그것을 충족시키심으로, 은혜 언약의 극치를 가져오게 하시는 오실 자손을 바라보도록 의도되었던 "부차적인 언약"이었던 것이다.

As other Reformed theologians have said, it was a “subservient covenant”9 intended not to be an end in itself but to look ahead to the coming Seed who would be born under it and fulfill it and thereby bring about the consumm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E. 클라인에 대한 다섯 번째 잘못된 설명

E. Fifth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이 땅에서 땅과 하나님의 축복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다고 가르쳤으며, 이는 죄인이 하나님께 어떠한 것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다는 어거스틴주의나 개혁주의의 기본 원칙에 위배된다."

“Kline taught that Israel as a nation merited the land and God’s blessings in the land, thus contradicting baseline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which says that sinners can never merit anything with God.”


사실이 아니다!

Not true!


행위 언약의 일종으로서의  모세 언약은 반드시 순종에 대한 대가로서의 상을 제안하는데, 이것은 이스라엘에게 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 the Mosaic covenant necessarily offered a reward on the ground of obedience, which means the Israelites were required to merit a reward.


그러므로 공로는 모세 경륜에서 원칙적으로 가능했던 것이다.

Hence merit was possible in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그러나 모세 경륜에서 공로의 원리를 인정하는데 있어서, 클라인은 이것이 오직 땅에서 이스라엘의 존속에만 적용되어야 하고, 이스라엘이 처음 땅을 받는 것에 적용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But while recognizing the principle of merit in the Mosaic economy, Kline thought that it applied only to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not to her initial reception of the land.


다음 인용들을 생각해보자:

Consider these quotes:


"만약에 이스라엘이 가나안을 보유한 근거가 그들의 언약에 대한 순종이었다면, 처음에 그들이 유형학적인 나라를 받도록 선택되었던 것은 단언컨대 그들의 어떠한 공로에 근거한 것도 아니었다"(신 9: 5, 6을 참조)(KP 323).

“If the ground of Israel’s tenure in Canaan was their covenant obedience, their election to receive the typological kingdom in the first place was emphatically not based on any merit of theirs (cf. Deut 9: 5, 6)”(KP 323).


"이스라엘의 땅으로의 회복은, 그들이 출애굽 후에 처음으로 받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은혜의 선물이었다"(GOM 39)

“Israel’s restoration to the land, like their original reception of it after the exodus, was a gift of grace”(GOM 39).


그들이 땅을 은혜의 선물로 얻은 것 뿐만이 아니라,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을 행위 원리 아래에서의 그리스도의 검증적 형태로 지명 하신 것도 그 자체로 은혜로운 특권이었다.

Not only did they obtain the land as a gift of grace, but God’s appointment of national Israel to be a type of Christ’s probation under the works principle was itself a privilege of grace.


"국가적인 택함으로 인하여 그들의 것이 된, 구약의 언약 체계는 최고의 역사적 특권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그리고 아브라함에게 부여되었던 하나님 나라와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유형학적인 나라의 축복을 분배하는데 있어서 모두 행위 원리는 유용하였던 반면, 전체적인 진행 방식은, 임시적으로 혹은 영구적으로 축복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는 진노의 자식들인, 아담의 타락한 자손들에게 은혜로운 선물이었던 것이다"(GHHM 128).

“The Old Covenant order, theirs by national election, was one of highest historical privilege. And while a works principle was operative both in the grant of the kingdom to Abraham and in the meting out of typological kingdom blessings to the nation of Israel, the arrangement as a whole was a gracious favor to fallen sons of Adam, children of wrath deserving no blessings, temporal or eternal”(GHHM 128, emphasis added).


우선 하나님께서 유형학적인 나라를 세우신 것이 은례로운 행하심이었을 뿐만이 아니라, 이는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셨다는 그의 은혜를 강조하고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 분명하였다.

Not only was it an act of grace for God to set up the typological kingdom in the first place, it was precisely in order to highlight and manifest his grace that God did so.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의 존재는 대립 되었던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될 하나님의 은혜의 계획을 돕기 위한 것이었다:

The presence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was not contrary to but actually subserved God’s plan of grace to be fulfilled in Christ:


"율법 언약은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였으며, 장차 올 복음의 목적과 계획에 맞도록 고안되었던 것이다"(GHHM 128).

“The Law covenant was a sub-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designed to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GHHM 128).


어떻게 율법이 "장차 올 복음의 목적과 계획"에 역할을 하겠는가?

How did the law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


클라인은 바울 자신이 갈 3: 21-24에서 답한 것을 반복하고있다.

Kline echoes Paul’s own answer in Gal 3: 21-24:


"에덴에서의 처음 검증에서 아담 안에서 그와 함께 타락했던 모든 인류의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행위 검증의 언약 아래에 있었던 이스라엘의 비극적 역사는 그들 모두의 죄악되고 희망이 없는 상태를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율법은 그들이 믿음으로 의롭게 되도록 사람들을  그리스도께로 이끌어내었다"(GHHM 128-9).

“By exhibiting dramatically the situation of all mankind, fallen in and with Adam in the original probation in Eden, the tragic history of Israel under its covenant-of-works probation served to convict all of their sinful, hopeless estate. The Law thus drove men to Christ that they might be justified by faith”(GHHM 128-29).


그러므로, 죄인들은 당연히 하나님께 어떠한 것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다는 어거스틴주의와 개혁파 정통주의의 기본에 위배되기보다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클라인의 이해는, 어거스틴주의와 개혁파 정통주의를 강력하게 지지하며, 자기 백성을 위하여 홀로 영원한 나라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그리스도께 모든 영광을 드리고있다.

Thus, rather than contradicting baseline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which says that sinners can never merit anything with God, Kline’s understanding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strongly supports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and gives all the glory to Christ who alone merited the eternal kingdom for his people.


(1) 공로의 원리

(1) A Principle of Merit


그러나 이제는, 그들이 땅을 받은 후에, 공로가 원리적으로 가능하다는 생각으로 돌아가보자.

But now let’s go back to this notion that merit was possible in principle, after they received the land.


혹시 이스라엘이 처음에 땅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다고 클라인이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할 수도 있겠지만, 계속해서 이스라엘의 땅에서의 존속을 지배하는 공로의 원리에 대한 생각에 관하여 의문을 가질 수 있다.

One may grant that Kline did not think Israel merited the land in the first place, but then continue to have questions about the notion that a principle of merit governed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여기에 그가 이것에 대하여 말한 두 개의 인용문이 있다:

Here are two quotes by Kline where he says this:


"바울이 레위기 18:5에 호소했다는 것은, 공로적 행위의 법적인 원리가 토라 언약에서 은혜의 복음 원리에 대립적으로 작용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GOM 239 n32).

“As Paul’s appeal to Lev 18: 5 shows (Rom 10: 5; Gal 3: 12), 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was operating in the Torah covenant opposite to the gospel principle of grace”(GOM 239 n32).


"모세 체제의 유형학적 층인 두 번째 단계에서, (이스라엘이)  하나님 나라의 축복을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그리스도의 공로적 성취를 근거로 하는 주권적 은혜에 의하여 보장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이스라엘이 율법에 순종하는 행위에 의하여 공로로 얻은 것이었다"(KP 322)

“At the level of the secondary, typological stratum of the Mosaic order, continuance in the election to kingdom blessings was not guaranteed by sovereign grace on the basis of Christ’s meritorious accomplishments. It was rather something to be merited by the Israelites’works of obedience to the law”(KP 322).


이것이 어거스틴주의나 개혁파 정통주의를 침해하는 것입니까?

Does this violate baseline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아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원리"를 인정하는 것이 누구든지 타락 후에 실제로 이를 충족시켜야 한다거나 혹은 그것을 충족 시킬 수 있다고 주장 하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다.

No, and the reason is that recognizing a “principle” is not the same thing as affirming that anyone after the Fall actually fulfilled it or could fulfill it.


이스라엘은, (땅에서의 장수, 비옥함, 등등) 모세 언약의 임시적 축복의 법적인 근거로 하나님에 대한 순종이 요구되었으나 이스라엘은 실제로 전혀 순종 하지 않았다.

Israel was required to obey God as the legal ground of the temporal blessings of the Mosaic covenant (long life in the land, fertility, etc.), but Israel never did obey in any real sense.


그리고 그들이 어느 정도 (순종)했던 것은,  그들의 언약의 수장들이, 그리스도의 유형으로서, 잠시 나마 율법을 준수했고 또한 하나님의 백성을 의로 인도했던 대표로서의 순종을 통해서 뿐이었다. (예, 다윗, 혹은 히스기야, 혹은 요시아)

And to the degree that they did, it was only through the representative obedience of their covenant heads who, as types of Christ, kept the law and led God’s people in righteousness, for a time (e.g., a David, or a Hezekiah, or a Josiah).


시간이 가면 갈수록, 이스라엘 백성은 반역과 죄로 인하여 땅을 잃을 위험에 처하게되었지만, 그래도 "나의 종 다윗을 위하여" 하나님께서 자비를 베푸신 것이다.(열상 11: 13, 32,34; 열하 19: 34; 20: 6; 사 37: 35).

Time and time again, the Israelites were in danger of losing the land because of their rebellion and sin, and yet God had mercy “for the sake of my servant David”(1 Kings 11: 13, 32,34; 2 Kings 19: 34; 20: 6; Isaiah 37: 35).


행위 원리는 이스라엘에 의하여 충족될 수 없었는데, 이는 이스라엘이 요구되었던 순종에 결코 순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he works principle was never fulfilled by Israel, because Israel never did yield the obedience required.


대신에, 행위 원리는 오직 이스라엘을 저주로 이끌 뿐이었다.

Instead, the works principle led only to Israel’s condemnation:


"옛 언약은 은혜-믿음에 상반되는 법률이었으며, 타락 후의 세상에서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죄악 된 이스라엘이 필수적인 공로적 순종을 유지하는데 실패함으로서 (이 옛 언약은) 저주의 통치라는 것이 밝혀졌다는 것이다"(KP 109).

“The old covenant was law, the opposite of grace -faith, and in the postlapsarian world that meant it would turn out to be an administration of condemnation as a consequence of sinful Israel’s failure to maintain the necessary meritorious obedience”(KP 109).


그러므로 땅에서의 임시적 축복은 원칙적으로 이스라엘의 순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공로에 의한"(KP 322) 것이었지만, 사실 우리는 이스라엘이 "필요한 공로적 순종을 유지하는데" 실패하였다는 것을 알고 있다.

Thus, temporal blessing in the land was something “to be merited”(KP 322) by Israel’s obedience in principle, but as a matter of fact we know that Israel failed “to maintain the necessary meritorious obedience.”


공로의 원리는 거기(이스라엘)에 있었지만, 이는 이스라엘에 의하여 결코 충족될 수 없었던 것이다.

The principle of merit was there, but it was never fulfilled by Israel.


(2) 그러나 어떻게 죄인이, 비록 가능성이라고 할지라도, 하나님으로부터 무엇 인가를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단 말인가?

(2) But How Could Sinners Merit Anything from God, Even Potentially?


그러므로 우리는 클라인이, 이스라엘이 처음에 공로가 아닌 은혜로 땅을 받은 것에 대하여 확실히 하고 있다는 것을 보았다.

So we have seen that Kline affirmed that Israel received the land initially by grace not merit.


우리는 클라인이, 이스라엘에 의하여 절대로 충족될 수 없는 공로의 원리에 대하여 확실히 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We have seen that Kline affirmed a principle of merit that was never fulfilled by Israel.


이것은 모두 옳고 맞는 말이며, 이것은 클라인이 어거스틴주의나 개혁파 정통주의의 기준선을 범하지 않았음을 보는데 확실히 도움이 된다.

That is all well and good, and it certainly helps to see that Kline does not violate baseline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아직 당신은, 그가 이스라엘이 무엇인가를 받을 만한 바로 그 가능성을 인정하기까지 한다는 생각에,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것이다.

Yet you might still be troubled by the idea that he even granted the very possibility of Israel meriting anything.


이스라엘 민족은 타락한 죄인으로서,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고통을 당하고 있다.

The Israelites were fallen sinners, laboring under the guilt of Adam’s sin.


어떻게 땅에서 그들이, 어떠한 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다는 것이 가능하단 말인가?

How on earth could they possibly merit any reward?


그들의 순종이 불완전하지 않지 않은가?

Wouldn’t their obedience be imperfect?


진실로, 이스라엘이 드리는 어떠한 순종도, 그들 안에서의 행하시고 그들로 순종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결과였다고 할 수 있는 경우들이지 않은가?

Indeed, wouldn’t it be the case that any obedience that the Israelites offered would have been the result of God’s grace working in them and causing them to be obedient?


그들 이스라엘 민족이 자신들의 순종으로 받은 어떠한 상도, 완전한 공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은혜에 의하여 주어졌던 것이지 않은가?

Wouldn’t any rewards they the Israelites have received for their obedience have been given according to grace, not according to strict merit?


참으로 그렇다.

Indeed.


이 모든 것은 사실이다.

All of that is true.


사실, 이것은 모세 경륜을 지배하는 행위 언약의 종류에 모두 다 완전하게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In fact, it is all perfectly consistent with the sort of covenant of works that governed the Mosaic economy.


우리가 두 번째 잘못된 해석을 다룰 때 보았던 것과 같이, 이것은 실제적 행위 원리가 아니라 유형학적 행위 원리이며, 유형학적 층에서 작동하며, 유형학적 해석의 근거 위에서, 사람이 율법에 순종하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함으로서, 홀로 율법을 지킬 수 있으신 메시아의 도래를 준비하는 교사적 목적으로 주어진 것이다.

As we saw when dealing with the second misrepresentation, it was not the actual works principle but a typological works principle, operating at the typological layer, on the basis of typological legibility, given for pedagogical purposes to establish man’s inability to obey the law and to prepare for the advent of the Messiah who alone keeps the law.


그러므로, 상위층을 지배하고 있는 유형학적 행위 원리 아래에 있었던 국가적 이스라엘의 순종은, 아담이 할 수 있었던, 혹은 그리스도가 그리하였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서의 공로적인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Therefore, the obedience of national Israel under the typological covenant of works governing the top layer would not have been meritorious in the same way that Adam’s could have been or that Christ’s was.


그보다는, 이스라엘이 행하였던 어떠한 순종이든지 오직 유비적인 의미에서만 "공로"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Rather, any obedience that Israel did have would have been reckoned as having “merit”only in an analogical sense.


이것은 "옛 언약에 의하여 재연된 유형학적 단계와 관련된 유비적인 종류의 가치로서 하나님으로부터 허용되었을 것이다"(KP 325).

It would have been “accorded by God an analogous kind of value with respect to the typological stage represented by the old covenant”(KP 325).


우리가 앞의 인용문으로 돌아가서, 유형학적인 나라를 받아들이는 자체가 은혜의 선물임을 기억한다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makes sense when we go back to a quote earlier and remember that the very reception of the typological kingdom was a gift of grace.


"이러한 예정함은 전체적으로 타락한 아담의 자손에게 은혜로운 선물이었다"(GHHM 128)

“The arrangement as a whole was a gracious favor to fallen sons of Adam”(GHHM 128).


모든 것이


이스라엘이 우선적으로 하나님의 지명을 받은 상태에서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 되는 이러한 거대한 유형적 나라에 참여하게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된 것은 은혜의 선물이었으며, 이러한 모든 것은 이를 충족 시키실 메시아의 도래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It was a gift of grace that Israel was even put in this position in the first place of being appointed by God to participate in this great typal kingdom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all for the purpose of setting the stage for the coming of the Messiah who will fulfill it.


클라인이 그 의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공로"는 순종과 상급 사이의 존재론적인 동등함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As Kline uses the term, “merit” does not imply ontological equality between the obedience and the reward.


클라인에게 있어서 공로는, 하나님께서 순종에 대한 근거로 상급을 주시는, 행위 언약의 종류가 있을 때는 언제나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For Kline “merit” can arise whenever there i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 in which God offers a reward on the ground of obedience.


공로는 "단순한 의"의 문제이다(KP 107).

Merit is a matter of “simple justice”(KP 107).


그렇다면, 이스라엘의 잠재적 공로를 주장하는 것은, 단지 그들이 "적절한 정도의 국가적 충성"(KP 322)을 유지한다면 그들이 땅에서의 존속이라는 상을 받을 만하다고 주장하는 것이며, 이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편에서 언약을 지키실 의무가 있으시기 때문이다.

Affirming the potential merit of Israel, then, is only affirming that if they had maintained “the appropriate measure of national fidelity”(KP 322) they would have merited the reward of continuance in the land, since God would have been obligated to keep his side of the covenant.


이것은 "공로"에 대한 특이한 정의일 수도 있겠지만, 클라인이 "공로"를 이러한 방식으로 정의한 이유는 그가 아담-이스라엘-그리스도 이야기의 형태가 이러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This may be an idiosyncratic definition of “merit,”but Kline defines “merit” this way because he feels the shape of the Adam-Israel-Christ narrative is pushing in that direction.


그는 이것이 정확히 세 가지 행위 언약의 종류-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 두 번째 아담과의 성부의 행위 언약, 그리고 아담의 재현으로서의 이스라엘과 맺으신 야훼의 행위 언약-에 관련된 "공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He uses it precisely in order to be able to use the term “merit” in reference to the three covenants of the works variety–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second Adam, and Yahweh’s covenant of works with Israel as a recapitulation of Adam.


(3) 모세 경륜에서 "공로"를 말하는 것에 대한 성경 신학적 논리 근거

(3) The Biblical Theological Rationale for Speaking of “Merit” in the Mosaic Economy


클라인이 모세 경륜과 관련된 잠재적 공로를 말하는 성경 신학적 논리 근거는, 그가 아담과 그리스도, 그리고 아담과 이스라엘 사이의 평행 관계로 인하여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음을 느꼈다는 것이다.

Kline’s biblical -theological rationale for speaking of potential merit in reference to the Mosaic economy is that he feels compelled to do so because of the parallels between Adam and Christ, and between Adam and Israel.


클라인이 "공로"를 현실적이거나 혹은 잠재적 현실@로 보는 곳은 세 군데가 있다: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 두 번째 아담과의 성부의 행위 언약 (구원 계약), 그리고 아담의 재현으로서의 이스라엘과 맺으신 야훼의 행위 언약 (모세 언약).

There are three places where Kline sees “merit” as present or potentially present: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second Adam (the pactum salutis), and Yahweh’s covenant of works with Israel as a recapitulation of Adam (the Mosaic covenant).


분명히, 아담과 이스라엘은 자신들 각각의 언약 아래에서 하나님께 순종하여 제공되는 상을 얻으리라 가정되었지만, 그렇게 하는데에는 실패하였다.

Obviously, Adam and Israel were supposed to obey God under their respective covenants and earn the offered reward, but failed to do so.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우리는 실제적인 상급을 얻는 순종을 볼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오직 그리스도만으로 공로가 실제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Only with Christ do we see obedience actually earning the reward, that is, only with Christ does merit actually accrue.


일부는 세 가지 모두(심지어 그리스도)에서 공로의 개념을 거부한다.

Some reject the concept of merit for all three (even Christ).


다른 이들은 그리스도의 신성으로 인하여(이것은 그의 순종을 상급과 존재론적으로 동일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그리스도)의 공로를 수용하지만, 아담과 이스라엘은 단순한 피조물들이기에 이들(아담과 이스라엘)이 어떠한 공로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한다.

Others accept the merit of Christ, because of his deity (which makes his obedience ontologically equal to the reward), but deny that Adam and Israel could have merited anything because they were mere creatures.


다른 이들은, 아담의 순종이, 바로 결과가 드러났듯시, 공로적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에는 동의하고있지만, 이스라엘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들이 궁극적으로 어떠한 것도 받을 만한 능력이 없는 죄인이었기에, 이(이스라엘이 공로적이었을 것이라는 생각)를 거절한다.

Others are on board with the notion that Adam’s obedience, had it been forthcoming, would have been meritorious, but reject it for Israel since they were sinners utterly incapable of meriting anything.


우리는 첫 번째 그룹(그리스도를 포함하여 모든 경우에 공로를 거절하는 이들)은 정도를 벗어난 것으로 무시할 수 있는데, 이는 그들이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도 논리적으로 부정하기 때문이다.

We can set aside the first group (those that reject merit in all cases including Christ) as outside the pale, since they would also logically deny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클라인은 이러한 그룹에 대하여 인내하지 못했다:

Kline has no patience with this group:


"만약에 그리스도의 순종이 공로적 가치를 가지고있지 않다면, 복음의 기초는 사라지게 된다. 만약에 예수의 수동적 순종이 공로를 가지고있지 않다면, 우리의 죄에 대한 충족은 생길 수 없다. 만약에 예수의 적극적 순종이 공로를 가지고있지 않다면, 우리에게 전가될 의의 충족이란 있을 수가 없다. 그렇게되면 우리가 믿음만으로 받게될 은혜의 선물인 칭의-영광이란 있을 수가 없다”(“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If the obedience of Jesus has no meritorious value, the foundation of the gospel is gone. If Jesus’ passive obedience has no merit, there has been no satisfaction made for our sins. If Jesus’active obedience has no merit, there is no righteous accomplishment to be imputed to us. There is then no justification-glorification for us to receive as a gift of grace by faith alone”(“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10


두 번째 (오직 그리스도의 공로만을 수용하는) 그룹에 관해서는, 클라인은 공로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중세의 존재론적 체계를 믿지 않는다.

With regard to the second group (who accept only the merit of Christ), Kline does not buy into the medieval ontological scheme for measuring merit.


(나는 이것에 관하여 클라인에게 헌정한 나의 논문 "공로를 재정의 함"에서 장문의 설명을 하였었다.)

(I have addressed this at length in my paper, “Redefining Merit” in the Kline Festschrift. 11)


그는 또한, 그리스도의 공로는 받아들이면서 아담의 공로에 대한 잠재적 능력을 거절하는 것에는 불일치가 수반된다는 점을 지적하려 했는데, 이는 바울이, 아담은 언약의 수장, 혹은 대표로서의 그의 역할에서 그리스도의 유형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롬 5: 14):

He would also point out the inconsistency involved in rejecting the potential for Adamic merit while accepting the merit of Christ, since Paul says that Adam in his role as a federal head or representative was a type of Christ (Rom 5: 14):


"두 아담 사이에 평행선이 존재한다고 성경이 말한다면, 이는 만약에 첫 번째 아담이 아무 것도 얻을 수가 없었다면, 두 번째 아담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라는 결론이 요구된다" (“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The parallel which Scripture tells us exists between the two Adams would require the conclusion that if the first Adam could not earn anything, neither could the second”(“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그러나 세 번째 그룹, 즉 아담-그리스도의 평행 관계는 수용하지만  타락 후인 모세 경륜에서 공로의 개념이 적용 가능한지에 대하여는 의문을 표한다

But what about the third group –those who accept the Adam-Christ parallel but question whether the concept of merit is applicable in the Mosaic economy, which was post-Fall?


이 경우에 있어서, 클라인은, 땅에서의 이스라엘은 행위 언약 아래에 있던 동산에서의 아담의 범죄를 재현하는 것이라는, 아담-이스라엘 평행 관계에 다시 호소하려고 한다.

In this case, Kline would appeal again to the Adam-Israel parallel in which Israel in the land is a recapitulation of Adam’s probation in the garden under a covenant of works.


만약에 이스라엘이 행위 언약 아래 있었던 아담의 재현이라면, 이스라엘이 아담과 같이, 언약 안에서 제공되는 상- 이스라엘의 경우는 땅에서의 존속과 땅에서의 신성한 축복이라는 상-을 얻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설득력이 있다.

If Israel is a recapitulation of Adam under a covenant of works, then it stands to reason that Israel, like Adam, would have had the possibility of earning the reward offered in that covenant –in Israel’s case, the reward of continuance in the land and divine blessing in the land.


물론 이스라엘의 “공로”는 유형학적인 공로일 것인데, 이는 국가적 충실함과 유형학적 가독성이라는 기준에 따라서 측정되는 불완전한 순종일 것이기 때문이다.

Of course, the “merit” of Israel would have been typological merit, since it would have been imperfect obedience meas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national fidelity and typological legibility.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언약의 의미를 명예롭게 하며, 그들의 순종을 근거로 하여 상을 수여하는,

하나님께 대한 단순한 의의 문제였을 것이다.

Nevertheless, it would have been a matter of simple justice for God to honor the terms of the covenant and grant the reward on the ground of their obedience.


이것이 바로 클라인이, 이스라엘과 관련된 공로를 언급하는데 있어서의 성경 신학적 근거인 것이다.

This, then, is Kline’s biblical-theological rationale for speaking of merit in connection with Israel.


실상 그는 후방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추론하고 있다.

In effect, he reasons backwards and forwards.


그는 그리스도로부터 아담으로, 역으로 추론하기 시작한다: 우리가 알고 있기로는, 그리스도는 그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 상을 공로로 얻었다(구원 계약), 그리고 아담은 그리스도의 유형으로서 모두 다 언약의 대표이기에, 우리는 아담이 그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 상를 공로로 얻을 만했을 것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He begins by reasoning backwards, from Christ to Adam: we know that Christ merited the reward under his covenant of works (the pactum salutis), and since Adam was a type of Christ in that they were both federal heads, we can conclude that Adam would have merited the reward under his covenant of works.


그러고 나서 그는 아담으로부터 이스라엘로, 전방으로 추론을 한다: 만약에 이스라엘이 아담의 재연이라면, 모두 다 행위 언약의 유형 아래에 있기에, 이스라엘도 역시 그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 상을 공로로 얻을 기회를 가지고 있었음에 틀림이 없다.

Then, he reasons forwards, from Adam to Israel: if Israel is a recapitulation of Adam, both being under covenants of the works variety, then Israel must have had the opportunity of meriting a reward under her covenant of works as well.


(4) 모세 경륜에서 "공로"를 말하는 해석학적 근거

(4) The Exegetical Rationale for Speaking of “Merit” in the Mosaic Economy


우리는 클라인이 성경 신학적 논의를 하는데 있어서 (아담으로부터 이스라엘로, 그리스도로), 공로를 존재론적인 의미가 아닌 단순한 의의 의미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을 보아왔다.

We have seen Kline’s biblical-theological argument (based on the pattern from Adam to Israel to Christ) for defining merit not in ontological terms, but in terms of simple justice.


행위 언약의 유형이 존재할 경우에는, 하나님께서는 언약의 조항에 순종 하는 것을 근거로 하여 상을 제공하시는 것이다.

When there i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 God is offering a reward on the ground of obedience to the stipulations of the covenant.


행위가 이러한 문맥에서 상의 근거로 작용할 때, 행위는 공로적이라고 정의되는 것이다.

When works operate in that context as the ground of the reward, the works are meritorious, by definition.


행위에 상을 주시지 않는다면 하나님은 불의 하실 것이다.

God would be unjust not reward the works.


공로는 하나님의 의라는 맥락에서 생겨난 것이다.

The merit arises in the context of God’s justice.


이제 당신은 클라인이 그럴듯한 성경 신학적 관계의 커다란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만약에 클라인이 틀렸다면 어쩌겠는가?

Now you might be thinking, Kline is making big-picture biblical-theological connections that seem plausible, but what if Kline is wrong?


만약에 우리가 본문에서 계속하여 좀 더 명확한 것을 얻을 수 있다면 참 좋을 것이다.

It would be nice if we could have something more explicit to go on in the text.


모세 언약과 연관되어있는 공로의 개념을 뒷받침해주는 어떠한 해석학적 증거는 있는가?

Is there any exegetical evidence that would support the notion of merit in connection with the Mosaic covenant?


이러한 점에서, 나는 클라인이 자신의 논의를 단순히 성경-신학적 패턴이 아닌, 해석학에 의지하고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At this point, I want to show that Kline did not rest his argument simply on the biblical-theological patterns, but on exegesis.


바울 자신은 공로적 행위의 원리가 모세법에서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을 로마서 4: 4에서 지적하고 있다.

It was Paul himself who made the point that a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was operative under the Mosaic law in Romans 4: 4.


돌아가서 본문을 살펴보자.

Let’s back up and look at the context.


바울은 로마서 3장 끝 부분과 4장 시작 부에서 이것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 여기서 그는 아브라함이 하나님 앞에서 자랑할 만한 어떠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Paul makes this quite clear at the end of Romans 3 and the beginning of chapter 4, when he denies that Abraham had any ground of boasting before God:


27  그런즉 자랑할 데가 어디냐 있을 수가 없느니라 무슨 법으로냐 행위로냐 아니라 오직 믿음의 법으로니라
28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

1  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인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
2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써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면 자랑할 것이 있으려니와 하나님 앞에서는 없느니라
3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 바 되었느니라
4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이 은혜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보수로 여겨지거니와
5  일을 아니할지라도 경건하지 아니한 자를 의롭다 하시는 이를 믿는 자에게는 그의 믿음을 의로 여기시나니

27 Then what becomes of our boasting? It is excluded. By what kind of law? By a law of works? No, but by the law of faith. 28 For we hold that one is justified by faith apart from works of the law .... What then shall we say was gained by Abraham, our forefather according to the flesh? 2 For if Abraham was justified by works, he has something to boast about, but not before God. 3 For what does the Scripture say?“Abraham believed God, and it was counted to him as righteousness.”4 Now to the one who works, his wages are not counted as a gift but as his due. 5 And to the one who does not work but believes in him who justifies the ungodly, his faith is counted as righteousness (Rom 3: 27-28; 4: 1-5 ESV).


본문에서 바울은, 그리스도를 믿지 않고는 아무도 (율법에 순종하는) 율법의 행위로는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여겨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In the context, Paul is proving that no one is counted righteous before God by means of the works of the law (obeying the law) but rather by faith in Christ.


그러고 나서 그는 "자랑"이라는 핵심적 의미를 사용하여 행위와 믿음 간의 대비를 탐구하여 나간다.

He then explores the contrast between works and faith by using the key term “boasting”(3: 27; 4: 2).


만약에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행위로 의롭다고 여겨질 수 있다면, 우리는 자랑할 만한 근거들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If we could be counted righteous before God by works, then we would have grounds for boasting.


그러나 아무도 행위로는 의롭지 못하기에 (이는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죄에 대한 보편적인 묶임으로 인해서 실제로는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 타락 후에는 아무도 자랑할 만한 근거를 가지고 있지 못하게 된 것이다.

But since no one is righteous by works (not because it is impossible in theory, but because it is impossible in practice, due to universal bondage to sin), no one after the Fall has any grounds for boasting.


그러고서 바울은 아브라함의 예를 든다.

Paul then appeals to the example of Abraham.


아브라함의 경우는 어떠한가?

What about Abraham?


그는 자랑할 만한 근거를 가지고 있었는가?

Did he have grounds for boasting?


아니다, 그는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 의로여겨졌던 것이다.

No, for he was counted righteous by faith, not by works.


자랑할 만한 근거를 얻기 위함이었다면, 그는 하나님께 완전하게 순종했어야만 했을 것이다.

In order to have grounds for boasting, he would have had to be perfectly obedient to God.


바울이 정한 원칙은 다음과 같다: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ὁ μισθός)이 은혜(κατὰ χάριν)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보수(κατὰ ὀφείλημα)로 여겨지거니와"(롬4:4)

It is here that Paul lays down an axiom: “To the one who works, his wages (ὁ μισθός) are not counted as a gift (κατὰ χάριν) but as his due (κατὰ ὀφείλημα)”(Rom 4: 4).


그밖에 공로의 의미가 무엇이 있겠는가?

What else is that but a definition of merit?


공로는 은혜에 따른 것이 아니라, 빚진 것에 따라서 임금이 주어지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다.

Merit is when wages are bestowed, not according to grace, but according to what is owed.


그러나 여기서의 핵심은: 공로에 대한 정의는 분명하게, 죄인들이 하나님 앞에서 율법의 행위로 의로워질 수 있는 지에 대한 질문과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는 상황 속에서, 내려진 것이다.

But here’s the point: it is a definition of merit given in the context of dealing explicitly with the question whether sinners can be righteous before God by works of the law.


문맥상에서, "일하는 자(ὁ ἐργαζομένος)"는 "율법의 행위(ἔργα)를 행하는 자"를 의미한다.

In context, “to the one who works”(ὁ ἐργαζομένος) means “to the one who does the works (ἔργα) of the law.”


바울은, 모세법이 행위를 요구했으며, 은혜가 아닌 빚진 것에 따르는 이러한 행위들를 근거로 하여 상을 제공했다고, 가정적으로 이해를 하였다.

Paul understood that, hypothetically, the Mosaic law demanded works and offered a reward on the basis of those works, not according to grace but according to what is owed.


그러므로, 그는 공로가 모세법 아래에서 원칙적으로 가능했었다고 이해하고있다.

Ergo, he understood that merit was possible in principle under the Mosaic law.


요약하면, 모세 경륜에서의 잠재적 공로 개념은 단순히 (아담-이스라엘-그리스도 이야기의 구조를 보는) 큰 그림의 사고에 의존하지는 않는다.

In sum, the notion of potential merit in the Mosaic economy does not rest merely on big-picture thinking (seeing the Adam-Israel-Christ narrative structure).


바울 자신은 모세법에서 공로적 행위라는 법적인 원리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Paul himself explicitly recognized 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in the Mosaic law: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이 은혜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보수로 여겨지거니와"(롬 4: 4)

“To the one who works, his wages are not counted as a gift but as his due”(Rom 4: 4).


확실한 것은, 이것은 그리스도 말고는 결코 실제로 실행되지 않았던 공로의 원리였다.

To be sure, it was a principle of merit that was never truly actualized except by Christ.


바울은,"한 분 외에는 아무도 의롭지 못한데" 이는 "율법의 행위로는 어떠한 인간도 그 분이 보시기에 의로울 수 없기"(롬 3: 9,20) 때문이며,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 내게 대하여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 "(롬 7:10)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As Paul makes clear,“none is righteous, no, not one,”for “by the works of the law no human being will be justified in his sight”(Rom 3: 9, 20 ESV), and “the very commandment that was intended to bring lifeactually brought death”(Rom 7: 10 NIV).


아직은 이것 중에 아무 것도 그곳에 원칙이 있다는 사실을 도려내지는 않는다.

Yet none of this undercuts the fact that the principle was there.


만약에 우리의 신학이 바울에 충실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역시 이것을 인식하여야만한다.

If our theology is to be faithful to Paul, then we ought to recognize it as well.


나는 클라인에 대한 다섯가지 일반적인 잘못된 설명에 대한 답변을 마쳤다.

I have finished answering five common misrepresentations of Kline’s view.


나는 다른 것들도 역시 있겠지만, 현재 부풀려져 있는 것들은 이 다섯 가지라고 확신한다.

I’m sure there are others too, but these are five that seem to be in the air at the moment.


다음 번에는, 나는 "왜 클라인이 이 주제에 관하여 그렇게 염려하는가?"에 대하여 묻기를 원한다.

Next, I want to ask, “Why was Kline so concerned about this issue?”


분명한 것은, 그가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라는 주제가, 성경 신학과 심지어는 교회 생활의 삶에 실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많은 주제들을 낳게 하는 중요한 신학적 주제라고 보고 있었다는 것이다,

It is clear that he saw the issue of works in the Mosaic economy as an important theological issue that had bearing on many issues in biblical theology and even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life of the church.


나는 이것이 클라인에게 중요한 다섯 가지 이유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I will spell out five reasons it was important to Kline.


___________

6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treaty_format.pdf

7 http:// en.wikipedia.org/ wiki/ Fulgurite

8 John Murray, The Covenant of Grace: A Biblico-Theological Study (London: Tyndale: 1954), 5, 29. http:// www.the-highway.com/ Covenant_Murray.html

9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subservient_cov.pdf

10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ct_under_attack.html 11“Redefining Merit: An Examination of Medieval Presuppositions in Covenant Theology,”in Creator, Redeemer, Consummator: A Festschrift for Meredith G. Kline (ed. Howard Griffith and John R. Muether; Jackson, MS: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and Greenville, SC: Reformed Academic Press, 2000), 253-269.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redefining_merit.pdf

posted by Wonho Kim
: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2016. 1. 16. 22:24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 찰스 리 아이언

Kline on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An Exposition


Charles Lee Irons, Ph.D.

4/ 25/ 2015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 논문은 모세 언약의 주제에 관한 메리데스 클라인의 개관과 해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and exposition of Meredith G. Kline’s thought on the subject of the Mosaic covenant.


이것은 다음과 같이 3부로 구성되어있다:

It is structured in three parts:


1부: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의 개관

Part I: An Overview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2부: 클라인의 관점에 대한 5가지 오해에 대한 응답들

Part II: Responses to Five Misrepresentations of Kline’s View


3부: 왜 이 주제가 클라인에게 중요했었는지에 대한 5가지 이유들

Part III: Five Reasons Why This Issue Was Important to Kline


이것은 원래 내가 2015년 3월 22일부터 2015년 4월3일까지 블로그 게시글의 시리즈였었는데, 이 게시글들 모두를 이 문서에 합쳐 넣은 것이다.

This was originally a series of blog posts that I began on March 22, 2015 and completed on April 3, 2015.1 I have combined all of the posts into this document.


그것들은 약간 교정하여 다시 만든 것이다.

They are reproduced here with slight edits.


이 논문의 인용들은 클라인의 다음의 책들과 논문들에서 가져왔으며, 책들은 다음과 같은 약어를 사용하여 인용하였다.

The quotes in this paper are drawn from the following books and articles by Kline, and the books are cited using the abbreviations noted here:


By Oath Consigned (= BOC)

Glory in Our Midst (= GOM)

God, Heaven and Har Magedon (= GHHM)

Kingdom Prologue (= KP)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 (= SBA)

“Of Works and Grace”(1983) 2–Kline’s critical review of a book by Daniel Fuller “The Gospel until the Law: Rom 5: 13-14 and the Old Covenant”(1991) 3 “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1994) 4


이 논문의 배경으로 한 가지 중요한 것은, 모세 경륜에 있어서의 행위 원리의 주제에 관하여 클라인이 핵심적으로 인용한 것들을  대부분 포함시켜서 함축해 놓은 17페이지의 문서다.

An important piece of background to this paper is a 17-page document that I compiled containing most of the key quotes by Kline on the topic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5


이글은 이러한 인용들을 기초로하여서,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을 나열하고서 설명하려는 나의 시도다.

This paper is my attempt to provide an exposition and explanation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based on those quotes.


나는 독자들에게 관련 자료들 내려받아서 그것을 먼저 읽을 것을 권하고자 한다.

I would encourage the reader to download that companion document and read it first.

( 여기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역자)


클라인 자신의 언어로 듣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o hear Kline in his own words.



1부: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의 개관

Part I: An Overview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A. 클라인의 관점에 대한 간력한 진술

A. Brief Statement of Kline’s View


모세 경륜에 있어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은 무엇인가?

What is Kline’s view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Kingdom Prologue로부터의 다음의 단락은 이를 매우 명료하게  진술해주고 있다.

This paragraph from Kingdom Prologue provides an excellent brief statement:


"모세 경륜은,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련이 있는 근원적인 수준에서는 은혜의 통치이면서, 동시에 임시적이고 유형학적인 나라의 수준에서는 공로의 원리에 근거하였다.

“The Mosaic economy, while an administration of grace on its fundamental level of concern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was at the same time on its temporary, typological kingdom level informed by the principle of works.

그러므로, 예를 들자면, 사도 바울은 로마서 10:4과 갈라디아서 3:10에서 율법의 옛 명령을 은혜와 믿음의 복음의 명령과 비교하면서, 옛 언약을 하나의 속박, 저주, 그리고 죽음으로 규정하고 있다(고후3:6-9; 갈4:24-36).

Thus, for example, the apostle Paul in Romans 10: 4ff. and Galatians 3: 10ff. (cf. Rom 9: 32) contrasts the old order of the law with the gospel order of grace and faith, identifying the old covenant as one of bondage, condemnation, and death (cf. 2 Cor 3: 6-9; Gal 4: 24-26).


옛 언약은 율법으로서, 은혜-믿음과 대립되는 것이며, 타락 후의 세상에서 이것은, 필요한 공로적 순종을 유지해야 하는데 있어서 죄악된 이스라엘이 실패한 결과에서와 같이, 저주의 통치로 드러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old covenant was law, the opposite of grace-faith, and in the postlapsarian world that meant it would turn out to be an administration of condemnation as a consequence of sinful Israel’s failure to maintain the necessary meritorious obedience.


옛 유형학적 나라가 그리스도 안에서 주권적 은혜로 보호되었다면,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국가적인 선택을 잃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Had the old typological kingdom been secured by sovereign grace in Christ, Israel would not have lost her national election.


이스라엘의 타락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제한적인 통치 원리로서 은혜가 아닌 공로가 요구된다.(KP109)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Israel’s fall demands works, not grace, 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KP 109).


클라인에게있어서, 모세 경륜은 두 층의 케익과 같다.

For Kline, the Mosaic economy is like a two-layer cake.


이것은 (1)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되는 기저층과 (2) 땅에서의 이스라엘의 존속과 관계되는 꼭대기 상층으로 구성되어있다.

It has (1) a foundational layer that has to do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and (2) a superimposed top layer that has to do with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기저층은 은혜의 지배를 받으며, 상층은 공로의 지배를 받는다.

The foundational layer is governed by grace; the top layer is governed by works.


기저층은 창3:15에서 약속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은혜 언약에 의한 통치이며, 아브라함 언약으로 공식적으로 확립되었으며, 그리스도 안에서 새 언약으로 성취되었다.

The foundational layer is an administration of the one covenant of grace that begins as a promise in Gen 3: 15, is formally established in the Abrahamic covenant, and is fulfilled in the new covenant in Christ.


상부층은 유형학적인 나라와 관계가 있으며,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땅에서 성전 한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을 즐거워하였다.

The superimposed layer has to do with the typological kingdom that national Israel enjoyed with God dwelling in her midst in the temple in the land.


기저부는 개인적인 이스라엘 사람의 구원과 관계가 있었다.

The underlying level has to do with the salvation of the individual Israelite.


상부층은 국가로서, 협력체로서의 이스라엘과 관계가 있었다.

The superimposed layer has to do with Israel as a corporate whole, as a nation.


클라인의 생각에, 상부층이 행위 원리에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핵심적인 것 중의 하나는, 이스라엘이 모세법을 지키는 것에서 실패함으로서 땅에서 추방되었으며, 또한 자신의 국가적 선택을 상실하였다는 것, 즉 상부층을 상실하였다는 사실이다.

One of the key things , in Kline’s mind, that proves that the superimposed layer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is the fact that Israel failed to keep the Mosaic law, was exiled from the land, and lost her national election –i.e., lost the top layer.


(아담의 실패와 타락과 같이) 이스라엘의 실패와 타락을 설명하는 유일한 방법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이 (아담과 같이) 행위 언약 아래에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더 보면:

The only way to explain the failure and fall of Israel (like the failure and fall of Adam) is to recognize that Israel as a nation was under a covenant of works (like Adam). Again:


"옛 유형학적 나라가 그리스도 안에서 주권적 은혜로 보호되었다면,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국가적인 선택을 잃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스라엘의 타락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제한적인 통치 원리로서 은혜가 아닌 공로가 요구된다."

“Had the old typological kingdom been secured by sovereign grace in Christ, Israel would not have lost her national election.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Israel’s fall demands works, not grace, 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principle”(KP 109).


당신은 이것을 인정하여야만 하며, 이것은 매우 좋은 논의인 것이다!

You have to admit, that is a pretty good argument!


그리스도 안에서의 영원한 생명과 구원은 상실될 수 없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한 완전한 성취인, 그의 공로로 보증이 되었기 때문이다.

Eternal life and salvation in Christ can never be lost, because it is guaranteed by Christ’s perfect fulfillment of the law, his merit.


천국은 택함 받은 이들을 위하여 이루어졌으며, 이는 빼앗길 수 없으며, 그리스도 안에서 안전하며, 그리고 취소될 수 없는 것이다.

Heaven has been earned for the elect as a non-forfeitable possession, secured in Christ, and irrevocable.


구원은 우리의 순종을 요구하지 않는다.

Salvation is not conditional on our obedience.


그러나 이스라엘의 땅의 소유는 빼앗길 수 있으며 취소될 수 있다.

Israel’s possession of the land, however, was forfeitable and revocable.


이것은 이스라엘의 순종을 요구한다.

It was conditional on Israel’s obedience.


그러므로 통제하는 통치 원리는 은혜가 아닌 행위임이 틀림없다.

Therefore,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 must have been works, not grace.


B. 두 겹의 케이크

B. The Two-Layer Cake


클라인이 모세 경륜을 두 겹의 케이크로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Kline viewed the Mosaic economy as a two-layer cake.


하부 층(그는 이를 "기저부"라고 부른다)은 은혜의 통치로서 선택 받은 이스라엘 사람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가 있다.

The underlying layer (what he called “the substratum”) is an administration of grace having to do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elect Israelites.


상부 층은 그가 "유형적 나라"라고 부르는 것이다.

The overlying layer is what he called “the typal kingdom.”


유형적 나라는 이스라엘의 땅으로서, 영토는 하나님께 거룩하게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신정 국가로 기능을 하며, 하나님께서 머무시고 왕으로서 자기 백성들을 다스리시는 중앙의 성전에 집중되어있다.

The typal kingdom is the land of Israel, a territory completely set apart as holy unto God, functioning as a theocracy, focused on the central temple where God dwells and reigns as King over his people.


이것은 새 하늘과 새 땅이라는 종말론적 나라의 묘사이며 유형이다.

It is a picture or type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새 하늘과 새 땅이 모든 악으로부터 벗어나서, "그 안에 의가 거하는" 새로운 피조물(베후3:13)이듯이, 이스라엘이라는 유형적 나라는 가나안 사람들과 우상 숭배자들을 제거되었어야만했다.

Just as the new heavens and new earth will be free from all evil, a new creation “in which righteousness dwells”(2 Pet 3: 13), so the typal kingdom of Israel was to be rid of Canaanites and idolaters.


종말론적인 나라가 깨끗케하는 심판으로 도래를 알리게 될 것인 것과같이, 유형적 나라는, 여호수아의 정복과 땅에서의 우상숭배하는 거민들을 파괴하는데 헌심함으로서, 도래를 알려 주었었다.

Just as the eschatological kingdom will be ushered in by purifying judgment, so the typal kingdom was ushered in by Joshua’s conquest and the devoting of the idolatrous inhabitants of the land to destruction.


당신은 혹시 클라인이 이러한 두 겹의 비유를 어디에서 가져왔는지 궁금해 할 수도 있다.

You might be wondering where Kline got this two-layer metaphor.


첫째는 클라인 자신이 만든 순수한 가시적 비유인 것 같다.

At first it looks like a neat visual metaphor that Kline just made up.


그는 매우 가시적이고 시적인 사색가였기에 이것은 그럴듯한 이론이다.

He was a very visual and poetic thinker, so it is a plausible theory.


그러나 클라인의 두 겹의 케이크 이론에는 해석학적인 근거와 성경신학적인 근거가 있다.

However, there is both an exegetical basis and a biblical-theological basis for Kline’s two-layer cake.


(1) 해석학적인 근거

(1) Its Exegetical Basis


클라인은 두 겹의 비유를 바울의 갈3:15-19에서 가져왔으며, 거기서 바울은 아브라함 언약이 모세법의 도래로 인하여 취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약속을 율법을 지키는 것에 의존하게 끔 만듬으로서 모세법이 아브라함 언약의 의미를 바꾸지도 않았음을 말하고있다.

Kline got the two-layer metaphor from Paul in Gal 3: 15-19, where he teaches that the Abrahamic covenant was not annulled by the coming of the Mosaic law, nor did the Mosaic law change the terms of the Abrahamic covenant by making the promise dependent on law-keeping.


그보다는, 율법이 아브라함 언약에서 약속된 씨가 오기까지 더하여지거나 덧붙여진(19절)것이다.

Rather, the law was “added”or “superimposed”(v 19) until the coming of the Seed promised in the Abrahamic covenant.


여기에 그 구절이 있다.

Here is the paragraph:


15  형제들아 내가 사람의 예대로 말하노니 사람의 언약이라도 정한 후에는 아무도 폐하거나 더하거나 하지 못하느니라 16  이 약속들은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말씀하신 것인데 여럿을 가리켜 그 자손들이라 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한 사람을 가리켜 네 자손이라 하셨으니 곧 그리스도라 17  내가 이것을 말하노니 하나님께서 미리 정하신 언약을 사백삼십 년 후에 생긴 율법이 폐기하지 못하고 그 약속을 헛되게 하지 못하리라 18  만일 그 유업이 율법에서 난 것이면 약속에서 난 것이 아니리라 그러나 하나님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아브라함에게 주신 것이라 19  그런즉 율법은 무엇이냐 범법하므로 더하여진 것이라 천사들을 통하여 한 중보자의 손으로 베푸신 것인데 약속하신 자손이 오시기까지 있을 것이라

15 To give a human example, brothers: even with a man-made covenant, no one annuls it or adds to it (ἐπιδιατάσσεται) once it has been ratified. 16 Now the promises were made to Abraham and to his offspring. It does not say, “And to offsprings,”referring to many, but referring to one,“And to your offspring,”who is Christ. 17 This is what I mean: the law, which came 430 years afterward, does not annul a covenant previously ratified by God, so as to make the promise void. 18 For if the inheritance comes by the law, it no longer comes by promise; but God gave it to Abraham by a promise. 19 Why then the law? It was added (προσετέθη) because of transgressions, until the offspring should come to whom the promise had been made. (ESV)


18절이 중요하다:" 만일 그 유업이 율법에서 난 것이면 약속에서 난 것이 아니리라 그러나 하나님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아브라함에게 주신 것이라" 이 구절에서는 바울에게 있어서 "율법"과 "약속"이 서로 상반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있다.

Verse 18 is critical: “For if the inheritance comes by the law, it no longer comes by promise; but God gave it to Abraham by a promise.”This verse makes clear that for Paul “the law”and “the promise”are opposed to one another.


하나는 행위에 의한 유업이며, 다른 하나는 은혜에 의한 것이다.

In the one, the inheritance is by works; in the other, it is by grace.


그리고 아직은 아무튼 두가지 원리가, 비록 모세 시대에 공존하였었지만, 궁극적으로 충돌되는 것은 아니다.

And yet somehow the two principles, though coexisting in the Mosaic era, are not ultimately in conflict.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How can this be?


알아야 할 핵심은 두개의 다른 헬라어가 "더 하다(add to)"와 "덧붙이다(add)"와 같이 영어로 비슷하게 번역되었다는 것이다.

The key is to note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Greek verbs translated similarly in English as “add to”and “add.”


ESV에서 "더 하다(add to)"로 번역된 첫 번째 동사,ἐπιδιατάσσομαι (v 15)는, 언약(혹은 의도)에 후에 추가되어 더하여진 기술적인 의미이며 이는 언약(혹은 의도)의 의미를 바꾸어 버린다.

The first verb, ἐπιδιατάσσομαι (v 15), rendered by the ESV as “add to,”is a technical term for adding a later codicil to a covenant (or will) that changes the terms of the covenant (or will).


NASB의 번역, "그것에 조건을 더한다",가 좀 더 정확하다.

The NASB’s rendering, “adds conditions to it,”is more precise.


두 번째 동사, προστίθημι (v 19)는 ESV에서 "더하다 (add)"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다른 느낌을 가지고 있다.

The second verb, προστίθημι (v 19), rendered by the ESV as “add,”has a different nuance.


이 문맥에서 이는 임시적이고 제거 가능한 웃덮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율법이 밑바탕의 아브라함 언약을 제거하거나 변형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더하여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In this context it has the sense of a temporary, removable overlay, since it is clear that the law was “added”in such a way that it did not annul or modify the underlying Abrahamic covenant.


이것은 "씨가 반드시 올 때까지"라는 관점의 한계에서 주어진 것이다.

It was given with a terminus in view,“until the Seed should come.”


혹은, 바울이 몇 구절 뒤에 설명하려는 바와같이, 율법은 "아버지께서 정하신 날까지" 이스라엘의 미성년기의 안내자 혹은 교사였다.

Or, as Paul will explain a few verses later, the law was a guardian or pedagogue for Israel in her minority “until the date set by the father”(Gal 3: 24; 4: 2).


시간이 다 채워졌을 때,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아들을 보내셔서, 여자에게서 나게 하셨으며, 율법 아래 나게 하셨으며, 그럼으로서 그들과 항상 함께 있었던 아브라함과의 약속이 성취될 수가 있었으며, 그럼으로서 하나님의 백성이 종들로서가 아니라 아들들로서 유업을 이어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갈4:1-7)

In the fullness of time, God sent forth his Son,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so that the Abrahamic promise, which was there all along, might be brought to fulfillment and the people of God might take up the inheritance no longer as slaves but as sons (Gal 4: 1-7).


이렇게 율법에 의한 유업의 원리와 은혜에 의한 유업의 원리가, 율법이 약속을 취소시키거나 무효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모세 시대에 공존하였는데, 이는 율법이 아브라함 언약의 의미를 변경시키는 부록으로서가 아니라 임시적 덧입힘으로 더하여졌기 때문이다.

So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law and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grace coexisted in the Mosaic era, without the law canceling or annulling the promise, because the law was “added”as a temporary overlay but not as a codicil that modified the terms of the Abrahamic covenant.


클라인은 자신의 저술들에서 반복적으로 이 핵심 구절(갈3:15-19)을 말하고 있다.예를 들어서:

Kline appeals to this key passage (Gal 3: 15-19) again and again in his writings. For example:


"고전적 언약 이해에 있어서, 430년 후에 온 율법이 약속을 무효화 시키지 않은 것은 (갈3:17)- 옛 언약이 실제로 영향력 있는 행위 원리를 창출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고, 행위와 믿음이 모세 경륜에서 두 가지 다른 수준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Gospel until the Law,”436)

“On the classic covenantal understanding, the law that came 430 years later did not disannul the promise (Gal 3: 17) –not because the old covenant did not really introduce an operative works principle, but because works and faith were operating on two different levels in the Mosaic economy”(“Gospel until the Law,”436).


(2) 성경-신학적 근거

(2) Its Biblical-Theological Basis


클라인은 두 겹의 비유를 바울의 갈 3: 15-19로부터 이끌어내었을 뿐만이 아니라, 그는 더 나아가 아브라함 언약 자체를 성경-신학적으로 자신이 분석한 비유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Not only did Kline derive the two-layer metaphor from Paul in Gal 3: 15-19, but he further developed the metaphor by his biblical-theological analysis of the Abrahamic covenant itself.


아브라함 언약은 씨와 땅에 관련된 하나님의 약속이었다.

The Abrahamic covenant was God’s promise concerning the seed and the land.


모든 이들이 이것을 알고있다.

Everyone knows that.


그러나 가장 실수하는 것은 (특히 세대주의자들) 아브라함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은 두 단계로 성취되었다는 것이다.

However, what most miss (especially dispensationalists) is that God’s promise to Abraham was fulfilled in two stages.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민족(씨)의 형성과 이 민족을 약속의 땅으로 데리고 옴으로서 역사 가운데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The first-level fulfillment was unfolded historically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 (the seed) and the bringing of the nation into the promised land.


아브라함 약속의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실제적으로 긴 과정으로서, 출애굽으로부터 시작하여, 가나안의 정복으로 이어지고, 많은 세대들에 걸쳐서 가나안 족속을 하나님의 거룩한 영역으로부터 쫓아내며, 성전이 완성되었을때인 솔로몬에서 절정에 이른다.

This first-level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promise is actually a long process that begins with the exodus, continues in the conquest of Canaan, takes many generations to drive out the Canaanites from God’s holy realm, and culminates under Solomon when the temple is finished.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께서 거룩한 땅에서, 그의 백성 가운데, 그의 거룩하신 성전에서, 다윗의 기름부음 받은  아들인 그가 지명하신 혈족의 왕을 통하여 그의 권위가 실행되어짐으로서, 최종적으로 도달 되는 것이다.

The kingdom of God finally arrived when God was dwelling in the midst of his people, in his holy temple, in the holy land, and exercising his authority through his appointed vassal king, the anointed son of David.


그러나 이러한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참된 성취가 아니었다.

But this first-level fulfillment was not the true fulfillment.


이것은 앞서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종말론적 완성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유형적인 나라"일 뿐이었다.

It was only a “typal kingdom”pointing ahead to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in Christ.


그리스도는 약속이 언급하고 있는 참된 "씨"이며(갈3:16), 그리스도께 속하여있는 모두는 종합적인 의미에서 아브라함의 자녀인 것이다(갈 3:29).

Christ is really “the Seed”that the promise referred to (Gal 3: 16), and all who belong to Christ are Abraham’s offspring in the collective sense (Gal 3: 29).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즉 하나님께서 거룩한 나라로서 그 안에 거하실 땅은, 어떤 이 지상의 실제적 유산이 아니라 새 하늘과 새 땅인 것이다(히브리서11장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다).

And the land that God promised Abraham, with God dwelling in it as a holy kingdom, was not some earthly real estate but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as Hebrews 11 makes clear).


그리고 이미, 첫 번째 단계가 성취되는 시간 모두에서, 경건한 개인적인 이스라엘 세대들은 유형과 그림자를 통해서, 특히 희생 제도 안에서, 오는 씨를 볼 수가 있었고, 그럼으로서 그들은 구함을 받았고, 용서를 받았으며, 그리고 오실 메시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다.

And yet, all during the time of the first-level fulfillment, generations of godly individual Israelites were able to see in and through the types and shadows, especially in the sacrificial system, the coming Seed and his atoning sacrifice, so that they were saved, forgiven, and justified by faith in the Messiah to come.


"모세 경륜은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되는 근본적인 단계에 있어서는 은혜의 통치였었다"(KP 109).

“The Mosaic economy [was] an administration of grace on its fundamental level of concern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KP 109).


바울은, 모세법 경륜 안에서의 행위 원리를 인식하고서, 이것 (모세법)이 몇 세기 앞서서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주어진 은혜의 약속들을 폐기하는 것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장할 수 있었는데(갈3:17), 이는 분명히 행위 원리가 가나안에 있는 유형학적 나라에만 적용되는 것이었고, 이는 아브라함에게 은혜의 선물로 약속하신 영원한 나라-도성의 유업과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아브라함과 그의 모든 씨와, 유대인과 이방인이 받을 것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었다.(KP 237)

“Paul, perceiv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economy, was able to insist that this did not entail an abrogation of the promises of grace given to Abraham, Isaac, and Jacob centuries earlier (Gal 3: 17), precisely because the works principle applied only to the typological kingdom in Canaan and not to the inheritance of the eternal kingdom-city promised to Abraham as a gift of grace and at last to be received by Abraham and all his seed, Jew and Gentile, through faith in Christ Jesus” (KP 237).


하나님께서는, 개인적으로 선택된 이스라엘 사람이 구해지는 수단이 되는 행위 원리로, 모세법을 주시지 않으셨다.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with its works principle to be the means by which the individual elect Israelite would be saved.


개인적 구원은, 모세 시대를 포함하여, 약속을 통하여, 즉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시고"(창 15: 6)라는 아브라함 자신의 구원론적 경험의 패러다임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아브라함의 은혜의 언약을 통하여, 항상 집행되었었다.

Personal salvation was always administered, in every epoch of redemptive history, including the Mosaic epoch, through the promise, that is, through the Abrahamic covenant of grace, founded as it was on the paradigm of Abraham’s own soteriological experience, “Abraham believed God and it was counted to him as righteousness” (Gen 15: 6).


아브라함 약속의 두 단계 성취(첫 번째 단계는 땅에서의 유형학적 성취이며, 그리고 두 번째는 그리스도와 종말에 반대 모양으로의 성취이다)에서 발견된다는 클라인의 분석은,

구약에서 개인적으로 믿는 이들이, 유형을 통하여 앞서서 반대 모양을 봄으로서, 믿음으로 구원 받는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혼합되어있는 것은, 두 겹의 케이크의 개념을 더욱 지지해주고 있는 것이다.

Kline’s analysis of the Abrahamic promise as finding fulfillment in two stages (the first -level typological fulfillment in the land, and the second-level antitypical fulfillment in Christ and the eschaton), combined with a recognition that individual Old Testament believers were saved by faith as they looked ahead to the antitype through the type,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the concept of the two-layer cake.


다음으로 나는 다음의 질문에 답할 것이다: 만약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모세법과 그것의 행위 원리를 개인이 구원을 받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는 수단으로 주시지 않으셨다면, 왜 하나님께서는 모세법을 주셨고 이것을 두 번째 유형학적 단계로 세우셨는가?

Next, I’ll answer the question: If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and its works principle to Israel to be a means for individuals to be saved and attain eternal life, why did God give the Mosaic law and establish this second typological layer?


C. 왜 하나님께서는 모세법을 주셨는가?

C. Why did God Give the Mosaic Law?


하나님께서는 행위 원리로서의 모세법을 이스라엘에게 그들의 구원의 수단이 되도록 주시지 않으셨다.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with its works principle to the Israelites to be a means of their salvation.


그러나 만약에 이것이 구원의 수단이 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며, 왜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유형학적인 나라가 행위 원리에 의하여 인지 되도록 세우셨는가?

But if it wasn’t intended to be a means of salvation, why did God set up this typological kingdom informed by the principle of works?


비록 이것이 구원의 수단이 되도록 주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이것은 구원의 계획을 진전시키기 위하여 주어졌던 것이다.

Even though it was not given to be a means of salvation, it was given in order to advance the plan of salvation.


이것은 두 가지 방식, 율법의 교사로서의 기능과 율법의 기독론적 기능에서 그러하다.

It does so in two ways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and the Christological function of the law.


첫 째로, 이것은 이스라엘(그리고 넓게는 모든 인류)에게 그들의 필요를 보여주고서 그들을 그리스도께로 몰아가는 것(율법의 교사로서의 기능)이다:

First, it shows Israel (and by extension all humanity) their need and drives them to Christ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율법 언약은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로서 복음의 목적과 계획으로 나아가도록 설계되어있다. 아담이 에덴의 처음 검증에서 범죄하였을 때 타락한 모든 인류의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줌으로서, 이러한 행위 언약의 검증 아래 있는 이스라엘의 비극적 역사가 그들 모두의 죄악되고 희망이 없는 상태를 확신시키는 일을 한다. 그러므로 율법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하여 그들이 믿음으로 의롭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이들이 불순종으로 인하여 입을 다뭄으로서 하나님께서 모두에게 자비를 베푸시도록 한다.(롬 11: 28-36)(GHHM 128-29)

“The Law covenant was a sub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designed to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 By exhibiting dramatically the situation of all mankind, fallen in and with Adam in the original probation in Eden, the tragic history of Israel under its covenant-of-works probation served to convict all of their sinful, hopeless estate. The Law thus drove men to Christ that they might be justified by faith. All were shut up in disobedience that God might have mercy on all (Rom 11: 28-36)”(GHHM 128-29).


두 번째로, 이는 역사적 상황을 성육신에 향하게끔 한다(율법의 기독론적 기능):

Second, it sets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incarnation (the Christological function of the law):


아버지와 맺으신 행위 언약의 의미들에 따라서, 그는 대표적인 검증을 겪어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두 번째 아담으로 오셨고, 그의 순종하심과 승리하심으로 인하여 자신의 백성이 영원한 구원의 나라를 수여 받을 하나님의 언약의 법적인 근거를 확립하셨다. 그러므로 이는, 필요하지 않을지라도, 그리스도께서, 첫 번째 아담에서의 언약과 같이, 행위 원리의 지배를 받는  언약의 체계 안에 오신 것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hi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ather he was to come as the second Adam in order to undergo a representative probation and by his obedient and triumphant accomplishment thereof to establish the legal ground for God’s covenanted bestowal of the eternal kingdom of salvation on his people. It was therefore expedient, if not necessary, that Christ appear within a covenant order which, like the covenant with the first Adam,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cf. Gal 4: 4)”(KP 352).


율법의 교사적이고 기독론적인 기능 모두의 결과로 인하여, 행위 원리가 복음의 기초임이 분명해졌으며,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것이 아닌, 그리스도의 완벽한 순종으로 인하여 구원을 받은 것이다.

As a result of both the pedagogical and Christological functions of the law, it becomes clear that the works principle is the foundation of the gospel, since we are saved by perfect obedience–not ours, but Christ’s.


"그러므로 율법은 복음의 기초가 된다; 복음-은혜는 율법 언약에 명백하게 표현된 것과 같이 하나님의 칭의의 요구를 명예롭게 한다. 롬 3:31에서 바울은 이러한 점을 분명히 하고있다: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비록 그는 우리가 행위가 아니라 믿음에 의한 은혜로 의롭게 되는 것을 논한다 할지라도, [바울은] 복음의 체계에서 행위 원리가 기초가 되는 것에 대한 계속적인 유용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것은 한 사람의 순종함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의롭게 된 것이다.(롬 5:19)(GOM 237).

“Law is thus foundational to gospel; gospel -grace honors the demands of divine justice as definitively expressed in law covenant. In Rom 3: 31 Paul makes this point forcefully: ‘Do we then make the law of none effect through faith? God forbid; nay we establish the law.’... Even though he is arguing that we are justified not by works but by grace through faith, [Paul]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It is by the obedience of the one that the many are made righteous (Rom 5: 19)”(GOM 237).


이는 그것보다도 더욱 분명히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모두, 두 번째 아담의 율법을 충족 시킨 행위에 의한, 값없는 은혜의 복음에 관한 것이다.

It doesn’t get much clearer than that! It is all about the gospel of free grace, through the lawfulfilling work of the second Adam.


모세 경륜 안에서 행위 원리를 이해하게 되면, 의와 자비에 대한 요구들을 충분히 충족시킨 그의 순종하는 아들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이루신 놀라운 구원을 감사하게 되는 새로운 조망이 열리게 된다.

Understand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opens up new vistas in our appreciation of the wonderful salvation that God had accomplished for us through his obedient Son in whom the demands of justice and mercy are fully met.


이것이 클라인의 핵심이었고, 그리고 이것이 그를 귀하게 만들었던 이해인 것이다.

That was Kline’s heartbeat, and that is what made this understanding precious to him.


클라인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이해는 이쯤에서 마치고자 한다.

So much for my brief overview of Kline’s understanding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두 겹의 비유가 핵심이며, 윗 층에는 "유형적 나라"의 개념이 있다.

The key is the twolayer metaphor and the concept of “the typal kingdom”at the top layer.


만약에 당신이 클라인의 두 겹 사이의 구별을 파악하지 못한다면, 클라인이 모세 언약에 관하여 말한 어떠한 것에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If you don’t grasp Kline’s distinction between the two layers, then nothing Kline says about the Mosaic covenant will make sense.


다음에서 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에 대한 클라인의 이해에 대하여 비평하는 이들 가운데서의 일부 일반적인 오해를 이야기 할 것이다.

Next, I want to address some common misrepresentations on the part of those who are critical of Kline’s understanding of works in the Mosaic economy.

_______

1 http:// upper-register.typepad.com/ blog2 http:// www.meredithkline.com/ klines-works/ articles-and-essays/ of-works-and-grace 3 http:// www.etsjets.org/ files/ JETS-PDFs/ 34/ 34-4/ 34-4-pp433-446_JETS.pdf4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ct_under_attack.html 5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works-principle-mosaic-economy.pdf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pdf


posted by Wonho Kim
: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2016. 1. 16. 21:54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xposition)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3부로 구성된  Charles Lee Irons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xposition)은 2013년에 출간된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 A Critique of the Klinean Doctrine of Republication, by Andrew M. Elam, Robert C. Van Kooten, and Randall A. Bergquist)의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 쓰여진 것이다.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서의 공로에 대한 소책자"(Booklet on Merit in the Doctrine of Republication)라는 이름으로 2013년에 정통장로교회의 북서장로회 (Presbytery of the Northwest of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OPC) 에서 republication이라는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총회(General Assembly)에 제출하기 위하여 발간된 책이었다.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의 저자 중에 두 사람은 이 글의 저자인 Charles Lee Irons과 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 (WSC)에서 같이 Kline 밑에서 공부를 하였던 학급 동료들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클라인의 언약 신학에 대한 특정한 논술이 OPC가 고백하는 신앙고백의 표준을 벗어났다고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를 통하여 주장하고 있다.


Charles Lee Irons이 이 글을 쓰게 된 첫 번째 동기는 Merit and Moses의 저자들의 클라인에 대한 잘못된 관점에서의 비난과 잘못된 해석이 심각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의 저자들은 클라인의 언약 신학이 정통교리 시스템에 재앙적인 변형(catastrophic alterations)을 초래하면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의 언약 신학에 대한 심각한 손실을 초래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MM 65).


이들은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republication doctrine)가 어거스틴주의나 개혁주의의 기초에 도전하는 것이며 "타락한 죄인이 하나님으로부터 공로를 취할 수 있다"고까지 주장하면서(MM39)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왜곡이 정도를 벗어난 심각한 지경에 까지 되었다고 주장한다.


심지어는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가 "그리스도의 공로적 순종의 단일한 영광을 손상"시킨다는 주장까지도 한다.(MM 116)


Charles Lee Irons은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 대한 이러한 왜곡된 비난에 대하여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Charles Lee Irons 이 글을 쓰게 된 두 번째 이유로는 Merit and Moses가 출간되고 OPC내에서 리퍼블리케이션 연구 위원회가 형성이 되면서 이들이 중심이 되어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 대한 비난의 견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가운데는 개혁주의에서 존경 받는 몇몇 교수들이 포함되어있는데, 예를 들면 Robert Strimple(WSC), Cornelis Venema, 그리고 Richard Gaffin등이 있다. OPC 목사인 William Shishko는 서문을 썼으며, antinomianism의 저자인 미국장로교회(PCA)의 Mark Jones도 이 책을 추천을 하였다.


Charles Lee Irons은 이들이 말하는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가 정통으로부터 파멸적으로 이탈 되었다"(Kline’s republication doctrine is a “catastrophic” departure from orthodoxy)는 주장에 대하여 이러한 주장들이 얼마나 왜곡된 것인지 이번 글을 통하여 분명히 집고 넘어가려고 한다.


이번 글을 번역하고자 한 역자의 동기는 최근의 현대 신학이 모세 언약에서 행위 언약의 개념을 배제 시키려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비롯하여, 최근 이단 논란에 휩싸인 페더럴 비젼(Federal Vision) 뿐만이 아니라, 이들과 자연스럽게 합류하고있는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에서도 모세 언약에서 행위 언약의 개념이 사라지고있다는 것이다.


2005년에 개정된 알버트 월터스(Albert Wolters)의 "창조 타락 구속"(Creation Regained)에서는 미셔널 처치 운동을 하는 칼빈신학교의 마이클 고힌(Michael Goheen)과 함께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정식으로 수용하면서 이에 적합하도록 개정판을 내었으며, 그의 제자였던 리처드 미들턴(Richard Middleton)은 더 나아가 자신의 저서 "새 하늘과 새 땅"을 톰 라이트의 새관점 위에 기술함으로서 신칼빈주의를 새관점에 접목시킨 새관점의 “기독교 세계관"이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게된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로부터 시작된 신칼빈주의가 결국에는 톰 라이트의 새관점과 손을 잡을 수밖에 없게 된 핵심적인 이유 가운데 하나는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 언약을 배제시킨 오직 은혜 언약만을 인정하는 단일 언약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오직 은혜 언약 만을 주장하는 것이 심각할 정도로 위험한 이유는,행위 언약의 개념이 없이는 그리스도의 공로의 개념이 상실될 수 밖에 없으며, 공로 개념이 상실된 가운데서는 그리스도의 순종 개념이 없는"의의 전가"를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오직 믿음"만을 외쳤던 루터의 종교개혁을 무력화 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고, 다시 카톨릭으로 돌아가는 것을 넘어서, 유대교를 언약적 율법주의로 재해석하며, 기독교와 유대교의 연합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모세 언약 가운데 담겨진 행위 언약 개념을 지키고 보존하는 것은 바로 개혁주의를 견고히 하는 가장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으며, 만약 이러한 행위 언약의 개념이 상실하게 되면 결국 종교개혁은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게되는 것이다.


Charles Lee Irons의 이번 글을 통하여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 언약 개념이 얼마나 양보할 수 없는 개혁주의의 핵심 교리인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자 하며, 그 전에 잠깐 새관점의 언약 개념을 간단히 정리해 봄으로서,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앞으로 전개될 클라인의 개혁주의 언약 개념과 비교해보고, 새관점의 언약 개념이 얼마나 개혁주의에서 떠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서 말하는 언약 사상


1. 톰 라이트가 말하는 언약의 의미와 목적


새관점에서의 언약은, 처음부터 전 세계를 아우르는 한 가족을 부르는 것으로서, 하나님은 그 가족을 통하여 세상을 구원하려는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시려는 것이라고 말한다(톰 라이트 칭의를 말하다. 15).


여기서 톰라이트가 말하는 언약은 아브라함 언약을 지칭하는 것이며, 모세 언약을 아브라함 언약이 이 땅에서 실현된 것으로 보고 있다.


톰 라이트가 말하는 세상의 구원은 이미 출애굽과 모세 언약을 통하여 이 땅에서 실현된 것이며, 율법으로서의 모세 언약은 이 땅에 실현된 하나님의 부르심, 즉 가족으로의 부르심에 부응하는 머무름에 대한 요구 조건인 것이다.


이러한 부르심에 요구되는 것은 믿음이 아니라 행함이며, 이미 출애굽과 더불어 공동체적으로 이루어진 구원에 머무르기 위한 조건으로 행함을 요구하는 율법이 주어졌다는 것이다.


이는 믿음을 통한 개인적 구원을 말하는 개혁주의 사상과는 전혀 다른 것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통한 지상 사역 이전에 이미 이 땅에서 구원이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의미와 역할을 축소, 내지는 왜곡 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2. 행위를 요구하는 새관점의 은혜 언약


새관점에서 말하는 율법은, 아브라함과의  약속의 결과로서, 이미 출애굽을 통하여 이 땅에 실현된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에 머무르기 위하여 주어진 규범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관점에서 말하는 율법의 요구는 이 땅에서 아브라함에게 약속된 구원의 은혜에 머무르기 위함이며, 이를 실행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회개와 성전 제사를 통하여서 다시 언약 공동체 안에 들어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구조는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끊임없는 행위를 요구하는 것이기에 진정한 의미의 은혜 언약이라고 말 할 수 없다.


새관점은 칼빈주의의 핵심 사상인 인간의 전적인 무능력과 부패를 인정하지 않는 대신에 인간의 능력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로마 카톨릭의 반펠라기우스적 사고에 가까운 개념이다.


김세윤 교수도 자신의 저서 “칭의와 성화”(16)에서 “새관점에서는 율법의 은혜만을 강조하지만 새관점이 구원론과 언약의 조건성에 있어서 반펠라기우스적 성향을 가지고있다”고 말하고있다.


3. 또 하나의 율법- 예수님의 행동 방식


새관점에서는 옛 언약 즉 모세 언약을 통하여 이 땅에 존재하였던 성전이 새 언약에서는 예수님의 행동으로 실제로 제공된 것으로 보고 있다(톰 라이트, 예수의 도전 162)


예수님 자체를 성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행동 방식을 성전과 연계 시킴으로서 예수님의 행동 방식을 새 언약의 새로운 율법 즉, 새로운 윤리 규정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행함을 요구하는 새관점주의자들에게 예수님은 믿음의 대상이기보다는 따름의 대상이 되기에, 그들이 말하는 새 언약은 또 다른 율법인 예수님의 행동을 따르는 신앙방식이 요구하게되는 것이다.


새관점의 이러한 사고는, 여자에게서 나셨고 율법 아래에 나심으로서(갈 4: 4) 두 번째 아담으로 오셔서 율법의 요구를 충족시키셨던 예수님의 성육신의 의미를 무력화시키는 개념인 것이다.


4. 언약의 공동체성


새관점에서 말하는 언약은 개인적 차원이 아니라 공동체적인 차원에서 하나님 중심의 언약을 설명하고있기에 개인이 수행하여야할 행위 언약에 대한 개념을 축소시키고있다.


새관점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조건은 하나님과의 관계성 회복보다는 공동체와의 관계성 회복이라는 성격을 띄고 있다.


이는 중세 로마 카톨릭이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고 말하였던 것과 같은 맥락으로서, 이를 적용할 경우 구원의 조건은 믿음이 아니라 공동체에 머무르는 행위가 요구되는 것이다.


새 언약에서의 공동체성은, 행위가 아닌 믿음의 고백을 근거로 하는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에 참여 됨을  통하여, 이 땅에 이미 실현되어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가시적 교회의 일원이 전부 다 구원을 받는 것은 아니다. 가시적 교회 안에 섞여 있는 알곡과 가라지는 개별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앞에서 그리스도의 믿음을 통한 구원의 은혜에 참여 되는 것이다.


5. 새관점의 단일 언약론


이번 Charles Lee Irons의 글에서 언급하는 언약에는 새관점에 대한 것보다는 존 머레이(John Murrey)와 그의 후계자인 노먼 쉐퍼드(Norman Shepherd), 그리고 그의 제자들이 중심이 된 페더럴 비젼(Federal Vision)의 언약론에 대한 많은 언급이 있다.


이들의 언약론의 공통적 특징은 모세 언약에서 행위 언약이 배제된 오직 은혜만의 단일 언약을 주장하고 있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서도 마찬가지로 행위 언약 개념을 배제한 언약적 율법주의로서의 단일 언약론을 주장하고있다(박동근, 칭의의 복음, 16).


하지만 새관점에서 말하는 단일 언약 개념은 존 머레이가 말하는 단일 언약 개념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존 머레이는 “언약의 요구”라는 관점에서 볼 때 모세 언약과 새 언약 사이에 연속성이 있다고 보았다.


존 머레이의 이러한 이해는 처음부터 어원적인 구분(terminological distinction)과 방법론적인 접근(methodological commitment)으로 인하여 생긴 결과물이었다(Bryan D. Estelle. The Law is not of Faith. 16).


이와는 달리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역사적 예수 연구”라는 방법을 통하여 1세기 제2성전 유대교에서 유대인이지켰던 율법이 율법주의 개념이 아닌 은혜에 머물기 위한 수단이었다는 전혀 다른 해석을 함으로서 존 머레이가 보았던 율법에 대한 관점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톰 라이트는 개혁주의에서  율법에 대하여 생각하는 시내산 율법의 조건적 언약을 인정하지 않으며, 동시에 참된 이스라엘, 즉 메시아이신 예수에 의하여 충족되어진 율법을 근거로 한 은혜 언약도 인정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 두 가지를 언약적 율법주의라는 은혜 개념의 율법주의로 묶어 버림으로서 존 머레이가 주장하는 단일언약론과 같지만 다른 성격의 단일 언약론의 개념을 취하고 있다.

이제 Charles Lee Irons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xposition)을 통하여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의 진정성을 살펴봄으로서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비롯한 신칼빈주의 기독교 세계관의 언약 개념이 전통적 개혁주의와 얼마나 다른 지를 살펴보고자한다.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8:07



CHRISTIANIZING THE WORLD? (6)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번 시리즈의 앞의 글에서, 나는 교리적이고, 교회의, 영적인 칼빈주의자들의 하나님 나라의 삶을, 세상을 기독교화하고자하는 문화 칼빈주의자들과 모든 영역에서 비교해보았습니다.

In the preceding article in this series, I contrasted the kingdom-life of doctrinal, ecclesiastical, and spiritual Calvinists in all the spheres with the cultural-Calvinists’dream of Christianizing the world.


이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 나라의 시민인 우리가 기대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What now is the expectation of us citizens of the kingdom of God in Jesus Christ?


우리가 시민으로 있는 나라와, 우리가 추구하는 나라와, 우리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깃발이 날려야 할 나라에 대하여 우리가 기대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What is our expectation with regard to the kingdom of which we are citizens, the kingdom we promote, the kingdom whose banner flies over all our life in all the spheres?


반정립

Antithesis


역사 가운데 현재의 삶에서, 그리고 사실은 가까운 장래에, 역시 북미에서도, 우리는 미움, 격렬한 저항, 그리고 노골적인 핍박을 예측합니다.

In this life, in history, and in fact in the near future, also in North America, we expect hatred, fierce opposition, and outright persecution.


우리는, 우리가 하나님 나라와 관계된 고백을 타협하지 않는 것과 우리의 구별된 하나님 나라의 삶으로 인해서, 이러한 미움과 핍박을 예상합니다.

We expect this hatred and persecution exactly because of our uncompromising confession concerning the kingdom of God and because of our distinctive kingdom-life.


우리는, 일반은혜 문화 칼빈주의자들이 추구하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세상에 대한 평가와 협력에 대한 분명한 대립을 예상합니다.

We expect the very opposite of the appreciation and cooperation on the part of the world of the ungodly that the common grace cultural-Calvinists are looking for.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프로젝트의 근거는, 불신자들이 우호적으로 동조하리라는 것과, 불신자들이 문화 칼빈주의자들을 친구로 여길것이며, 진실로 선을 창출하는 거대한 프로젝트, 심지어는 모두를 위한 평화와 번영의 신성한 지상의 나라를 위해 꼭 필요한 동료 일꾼으로 여길 것이며, 또한 문화 칼빈주의자들과 함께 일할 것에 대한 확신입니다.

Basic to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the conviction that the ungodly are favorably inclined to the project, that the ungodly regard the cultural-Calvinists as friends, indeed as indispensable fellow workers in the grand project of creating a good, even godly earthly kingdom of peace and prosperity for all, and that the ungodly will not oppose, but work together with the cultural-Calvinists.


그리고 일반은혜의 나라를 세우는 매 단계에 있어서 하나님 나라를 타협함으로서, 문화칼빈주의자들은 불신자들이 실제로 자신들을 인정하고 자신들의 친구가 되어줄 것을 알았습니다.

And by compromising the kingdom of God at every stage of the building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the cultural-Calvinists see to it that the ungodly world does in fact approve of them and befriend them.


참된 칼빈주의자들의 예상은 근본적으로 다르며, 우리의 경험 또한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Radically different is the expectation of genuine Calvinists, and radically different is also our experience.


한편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와 그의 시민과,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나라와 그의 시민 간에는 반정립입니다.

There is antithesis—opposition and hostility—between the kingdom of Jesus Christ and its citizens on the one hand, and the kingdom of Man (with a capital “M”) and its citizens on the other hand.


하나님께서는 이 두  나라 사이에 적대감이 있도록 하셨다: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창 3:15)

God has placed this enmity between the two kingdoms: “I will put enmity between thee and the woman, and between thy seed and her Seed”(Gen. 3: 15).


세상에서의 이 두 커다란 나라는 항상 전쟁 중이었으며, 특히 마지막 때에 그렇습니다.

The two great kingdoms in the world at all times, and especially at the end of time, are at war!


하이델베르크 소교리문답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서, 이러한 일련의 조항들의 주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전투를 인정하고있습니다: "마귀의 일들과, 주를 대적하여 높이 오르는 모든 권세들과, 또한 주의 거룩한 말씀을 대적하는 모든 악한 도모들을 멸하시옵소서"(Q& A 123).

The Heidelberg Catechism recognizes this warfare in its explanation of the theme of this series of article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destroy the works of the devil and all violence which would exalt itself against Thee; and also, all wicked counsels devised against Thy holy Word”(Q& A 123).


이 교리 문단이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강령이라 할지라도, 하나님 나라의 도래의 중요한 면으로서의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프로젝트는, 교리문답의 가르침과 경고를 받아들일 여지가 없습니다.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has no place for this instruction and warning of the Catechism, even though the Catechism is the creed also of the cultural-Calvinists.


예수님께서 경고하시는 것은, 우리가 세상으로서가 아닌, 세상 안에서 사는 것의 결과는, 우리의 하나님 나라의 삶에 호의적이거나 우리가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기보다는, 이 세상이 우리는 미워하는 것입니다."세상이 그들을 미워하였사오니 이는 내가 세상에 속하지 아니함 같이 그들도 세상에 속하지 아니함으로 인함이니이다"(요 17: 14)

Jesus forewarned us that the result of our being in the world, but not of the world, would be that the world would hate us, rather than look favorably on our kingdom-life and pitch in to help us with it: “The world hath hated them, because they are not of the world, even as I am not of the world”(John 17: 14).


역사 안에서의 세속적 승리에 대한 헛된 소망

The Vain Hope of a Carnal Victory within History


우리 영적이고, 교리적이고, 교회적인 칼빈주의자들은 역사 안에서 그리스도의 나라의 세속적 승리를 기대하지 않습니다

We spiritual, doctrinal, and ecclesiastical Calvinists do not expect the carnal triumph of the kingdom of Christ in history.


우리는 세상의 기독교화를 기대하지 않습니다.

We do not expect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우리는 성경이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를 뒷받침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We deny that the Bible holds out this prospect for the project.


과거 백년의 역사를 보거나,그들의 국가나 세계를 기독교화하려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노력은 완전히 실패했습니다.

The history of the past one hundred years or so of the efforts of the cultural Calvinists to Christianize their nations and the world has been utter failure.


아브라함 카이퍼의 화란에서 기독교인은 1898년에 비하여 오늘날 조금도 더 많아지지 않았습니다.

Abraham Kuyper’s Netherlands is not a whit more Christian today than it was in 1898.


북미 기독개혁교회(CRC)의 기독교인도 엳시 1924년보다도 많지 않습니다.

Neither is the North America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more Christian than it was in 1924.


화란과 북미의 현재의 문화는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에 관하여는 어떠한 형태로든 간에 기대할 수 없습니다.

The present cultures of the Netherlands and of North America are not promising with regard to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in any form.


문화에서 공개적인 반기독교는 지독합니다

Open anti-Christianity is virulent in the cultures.


문화는 퇴폐해져가고, 무법의 심연으로 퇴락해가서 하나님의 자연법, 즉 남자와 여자의 법에 대하여 격하게 반응합니다.

The cultures are decadent, and descending into the abyss of the lawlessness that rages against God’s law in nature, that is, the law of male and female.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완고한 프로젝트는 성경, 역사, 그리고 현재의 경험과 싸우고있습니다.

The stubborn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fights Scripture, history, and present experience.


비록 개혁주의 신자들은 역사에서 그리스도의 나라의 세속적 승리를 기대하지 않더라도, 예수그리스도의 나라의 삶을 살고,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를 추구하는 우리는 승리를 얻을 것입니다.

Even though Reformed believers do not expect the carnal victory of the kingdom of Christ within history, we who now live the kingdom-life of Jesus Christ and who promote the kingdom of Jesus Christ will have the victory.


현재 우리의 마음에 세워져 있고, 참 된 교회이며, 우리의 삶의 모든 영역에 확대되어있는 하나님 나라는 승리할 것입니다.

The kingdom that is now established in our hearts, that is the true church, and that extends in our lives to all the spheres will triumph.


이 나라의 승리는 확실합니다.

The victory of this kingdom is certain.


이는 적대적인 짐승의 나라를 파괴할 것입니다.

It will destroy the rival kingdom of the beast.


이는 짐승에게 속해있는 나라의 모든 이들을 벌하여 지옥에 던져 넣을 것입니다.

It will punish and cast into hell all the citizens of the kingdom of the beast.


이는 모든 새로운 창조에서 자체적으로 완전하게 세워질 것입니다.

It will establish itself perfectly over all the new creation.


그 안에서 우리는 왕이신  예수와 함께 모든 것을 영원히 다스릴 것입니다.

In it, we will reign with King Jesus over all things forever.


이 하이델베르크 소교리문답은 우리의 소망이

모델 기도의 두 번째 간청의 설명으로 귀결되게 합니다.

"주의 나라가 완성되어 주께서 만유의 주로서 만유 안에 계시기까지"(요리문답123)

To this the Heidelberg Catechism directs our hope in the conclusion of its explanation of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till the full perfection of Thy kingdom take place, wherein Thou [God triune, in Jesus Christ] shalt be all in all” (Q& A 123).


역사 안에서가 아닙니다!

Not within history!


일반은혜의 나라의 임시적인 승리

The Temporary Victory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우리 시대에 일어나고있는 것과 같이, 역사 안에서, 사단의 외적인 거대한 인간의 나라는, 그 안에서 인간이 모든 것의 모두인 것으로서, 가능한 많이, 자체적으로 최상으로 발전하여나갑니다.

Within history, as is taking place in our day, Satan’s outwardly grand kingdom of Man, in which Man is all in all, as much as possible, develops itself to the fullest.


이 거대한 인간의 나라는 하나님을 대적하며, 그리스도를 대적하고, 교회를 대적합니다.

This grand kingdom of Man is anti-God, anti-Christ, and anti-church.


이것은 법이 없습니다.

It is lawless.


이는, 그리스도를 증거한 것과, 하나임이 하나님이시라는 그들의 고백과,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는 그들의 삶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백성을 핍박합니다.

It will persecute the citizens of the kingdom of God for their witness to Jesus, for their confession that God is God, and for their life of obedience to the law of God.


그리고, 말하기도 힘든 말이지만,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프로젝트의 창시자인 아브라함 카이퍼에 따르면, 신을 믿지 않고, 그리스도인을 대적하고, 법이 없는 나라가 사실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일반은혜 프로젝트가 충만히 발달되었을 것이라고합니다.

And, now, mirabile dictu [wonderful to relate], according to Abraham Kuyper himself, the father of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is godless, antichristian, lawless kingdom will, in fact, be the final, full development of the common grac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일반은혜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은 오직 죄인이 무대에 나타남으로 인하여 재연될 수 있습니다... [일반]은혜는 역사 안에서 죄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로 인도하며...이것이 바벨론[적그리스도의 세상 나라]을 파괴하는 순간...야만스러운 무리나 거칠은 잔인함의 이미지가 아닌 인간의 삶이 할 수 있는 가장 발달된 모습이 보여질 것이다. 이는 가장 정제된 형태이며, 부와 광채가 가장 웅대하게 펼쳐지는 것이며, 삶을 눈부시고 영광스럽게 만들어 모든 것이 가득히 빛날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일반은혜'가 마지막까지 계속 기능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카이퍼의 일반은혜 180, 181)

The closing scene in the drama of common grace can be enacted only through the appearance on stage of the man of sin…[ common] grace leads to the most powerful manifestation of sin in history…At the moment of its destruction Babylon [the world-kingdom of Antichrist—DJE]…will exhibit not the image of a barbarous horde nor the image of coarse bestiality but, on the contrary, a picture of the highest development of which human life is capable. It will display the most refined forms, the most magnificent unfolding of wealth and splendor, the fullest brilliance of all that makes life dazzling and glorious. From this we know that ‘common grace’will continue to function to the end (“Common Grace,”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98, 180, 181).


그러므로, 현재 일반은혜의 나라를 세우고 추진하는 모든 이들은, 사실 고의적으로 사단이 자신의 적그리스도 나라, 즉 요한계시록13장에서 짐승의 나라라고 부르는 나라를 실현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All those, therefore, presently engaged in erecting and promoting the kingdom of common grace are, in fact, deliberately helping Satan to realize his antichristian kingdom, the kingdom that Revelation 13 calls the kingdom of the beast.


나는 그들에 대한 나쁜 소식을 가지고있습니다.

I have bad news for them.


하나님의 진노는 역사를 통틀어 그들의 프로젝트 위에 머무릅니다.

The wrath of God abides on their project throughout history!


그리고 그들의 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완전히 파괴될 것입니다.

And their kingdom will be demolished in the day of Jesus Christ!


다니엘서 2장의 작은 돌은 그 위에 떨어질 것이며 그것을 가루로 부술 것입니다.

The little stone of Daniel 2 will fall upon it and grind it to powder.


헤르만 훅세마 뿐만이 아니라, 모든 하늘과, 거룩한 사도들과, 그리고 선지자들은 일반은혜의 프로젝트가 파괴되는 것에 대하여 기뻐 할 것입니다.

The day comes when not only Herman Hoeksema, but also all heaven, the holy apostles, and the prophets will rejoice over the destruction of the project of common grace.


"하늘과 성도들과 사도들과 선지자들아 그[바벨론, 적그리스도의 나라, 그리고, 카이퍼에 따르면, 일반은혜의 마지막 산물]를 인하여 즐거워하라 하나님이 너희를 신원하시는 심판을 그에게 하셨음이라 하더라"(계 18:20)

“Rejoice over her [Babylon, the kingdom of Antichrist, and, according to Kuyper, the final product of common grace], thou heaven, and ye holy apostles and prophets; for God hath avenged you on her”(Rev. 18: 20).


역사의 종착지

The Goal of History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승리와 완성은 역사 안에서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지만, 역사의 종착지가 될 것이다.

The victory and perfection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will not take place within history, but as the goal of history.


우리 나라의 승리는 영구적일 것입니다.

The victory of our kingdom will be everlasting.


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모든 천사와 함께 올 때에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그 때에 임금이 그 오른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내 아버지께 복 받을 자들이여 나아와 창세로부터 너희를 위하여 예비된 나라를 상속하라(마 25: 31, 34)

When the Son of man shall come in his glory , and all the holy angels with him, then shall he sit upon the throne of his glory… Then shall the King say unto them on his right hand, Come, ye blessed of my Father, inherit the kingdom prepared for you from the foundation of the world (Matt. 25: 31, 34)


이것은, 예수께서 부활하셔서 모두의 주가 되신 것이 확실한 것과 같이 확실하며,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성부가 만유의 주이신 것이 확실한 것과 같이 확실합니다.

This is certain, as certain as it is that Jesus arose to become lord of all, and as certain as it is that the God and Father of Jesus Christ must be all in all.


이것이 우리의 소망입니다.

This is our hope.


이러한 소망을 가지고서,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삶을 신실하게 살아갈 것이며; 하나님 나라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부끄러움이나 두려움이 없이 하나님 나라의 깃발을 날리며, 이러한 하나님 나라와 그곳의 왕을 위하여 경멸과 고통을 인내하며 참을 것입니다.

With this hope, we live the kingdom life faithfully; promote the kingdom actively ; fly the banner of the kingdom without shame or fear; yes, and patiently endure scorn and suffering for the sake of this kingdom and its king.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와 그의 (특별한)은혜의 도래는,  우리가 한 하나님 나라의 일 보다는, "나라이 임하옵시고"라는 우리의 기도의 응답에 기인한 것입니다.

The kingdom of Jesus Christ and his (particular) grace is coming, not so much by our kingdom-work as in answer to our prayer, “Thy kingdom come.”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8:04


CHRISTIANIZING THE WORLD? (5)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지혜가 없이 (허구인)하나님의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불가능한)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것은 재세례파와 같이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뜻하는 것입니다.

Rejection of the (impossibl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y a (fictitious) common grace of God in no wise implies an Anabaptistic flight from the world.


칼빈주의 강연에서의 아브라함 카이퍼보다는 성경에서의 하나님의 부르심에 귀를 기울이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세계 안에 있는 인간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성령에 의하여,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갑니다.

The Reformed Christian who heeds God’s call in Scripture, rather than Abraham Kuyper’s in Lectures on Calvinism, lives a kingdom-life by the grace and Spirit of Jesus Christ in all the spheres of human life in God’s world.


이미 나는 이번 시리즈에서 선택 받은 개혁주의 신자의 마음 안에서 왕이신 그리스도의 통치를 확언하였으며, 하나님 나라가 교회, 가족,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자녀들에 대한 교육의 영역들로 확장되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Already in this series I have affirmed the reign of King Jesus in the heart of the elect, Reformed believer and described the extension of the kingdom into the spheres of the church, the family, and the education of kingdom children.


노동의 영역

The Sphere of Labor


우리가 이 땅에서 왕이신 예수의 깃발을 높이 들어야 할 또 하나의 영역은 노동의 영역이다.

Another sphere of earthly life in which we hold aloft the banner of King Jesus is labor.


칼빈주의 사업가와 금융업자는 자신의 사업을 정직하게 운영하여야 하며; 공평하게, 골고루 후하게 자신의 고용인에게 공급하며; 자신들이 축적한 부를 가지고

디모데전서 6:18의 예수의 사도의 권고인  "선을 행하고.. 선한 사업을 많이 행하고, 나누어주기를 좋아하며, 소통하려고 하라[즉, 필요를 공급해줘라]"는 말에 순종 하여야합니다.

Calvinist businessmen and financiers run their enterprises honestly; provide fairly, even liberally, for their employees; and with their well-gotten wealth “do good…[ and are] rich in good works, ready to distribute, willing to communicate [that is, give to the needy],” in obedience to the charge of the apostle of Christ in 1 Timothy 6: 18.


이것은 이들의 하나님 나라 행동 방식으로서, 이는 어떤 노동조합 때문도 아니며, 제5계명에 대한 불순종과, 고용인이 자신들의 고용주에게 복종하라는 신약의 교훈과, 그들로 하여금 그렇게 하도록 하는 압력들과, 혹은 시민의 부를 재분배하려고 권위를 강탈하는, 칼 막스의 영향을 받은, 시민 정부 때문도 아닙니다.

This is their kingdom-behavior, not because some labor union, in disobedience to the fifth commandment and to the New Testament precept that employees be subject to their employers, forces them to do so, or because a civil government, influenced by Karl Marx, usurps the authority to redistribute the wealth of the citizenry.


그러나 이것은 개혁주의 사업가의 노동의 영역에서의 행동 방식인데, 이는 그들이, 비록 그들 자신들의 창의적이고 힘든 일을 통하여 자신들의 회사를 설립하였을 지라도, 그들은 그 회사의 주가 아닌 것을 알고있기 때문입니다.

But this is the behavior in the sphere of labor of Reformed businessmen because they know that, although they did build their companies by their own creativity and hard work, they are not lords of their companies.


예수 그리스도는 사업과 금융에서의 주이십니다.

Jesus Christ is lord in business and finance .


노동의 영역에 있어서, 개혁주의 근로자는 주를 위하여, 근면하고 신뢰할만하며, 심술궂은 고용주라 할지라도 권위에 복종합니다.(베전2:18-25)

In the sphere of labor, the Reformed workingman is diligent and reliable, submitting to the authority even of a “froward” employer, for God’s sake (1 Pet. 2: 18– 25).


그는 비록 재정적 손실과 고통이 있을지라도, 노동조합의 혁명과 폭동을 거부합니다.

He repudiates the revolution and violence of the labor unions, even though this may mean financial loss and suffering.


이는 왕이신 예수가, 마음과 그로 인한 일터에서의 행동 방식을 포함한 그의 삶의 모두를, 다스리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The explanation is that King Jesus reigns in his heart and therefore over all his life, including his behavior at work.


나는 개혁주의 근로자의 하나님 나라 삶의 문제에 있어서 나 자신의 어버지를 예로 들겠습니다.

I instance the example of my own father in the matter of the kingdom-life of the Reformed workingman.


그는 Grand Rapids의 Keeler Brass 공장에서 40년 이상을 근면하고 신실하게 일했습니다.

He worked diligently and reliably for more than forty years in the Keeler Brass factory in Grand Rapids.


임금은 조합이 없는 공장에서 최상은 아니었습니다.

Wages were not the highest in this non-union plant.


그의 많은 동료 일꾼들은 끊임없이 불평하였으며, 언제나 공장의 소유주에게 비판적이었습니다.

Many of his fellow workers were constantly grumbling, always critical of the owners of the factory.


계속해서 그들은 작업장에 노동조합을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Again and again they tried to get a labor union into the shop.


항상 나의 어버지는 조합 결성을 못하게 하는데 앞장섰습니다.

Every time my father was a leader in keeping the union out.


그가 퇴임할 때에, 비록 그의 동료 일꾼들은 그의 (하나님 나라의 근본적인 진리인) 개혁주의 원칙에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그를 존경하는 이들이 송별회를 열어주었습니다.

At his retirement, his fellow workers, who respected him even though they disagreed with his Reformed principles (which were the basic truths of the kingdom of God), gave him a farewell party.


예상하지 않았는데 회사의 소유주인 Keeler씨가 모임에 나타났습니다.

Unexpectedly, Mr. Keeler, the owner of the company, appeared in the gathering.


나의 아버지는 자신이 준비한 고별사를 이렇게 낭독하였습니다:"내가 일로 인하여 Keeler씨에게 감사하는 것은, 일로 인하여 나는 나의 가족을 부양할 수 있었으며, 개신개혁교회를 지원하였으며, 그리고 나의 아이들을 기독교인 학교에 보내었습니다."

My father began his prepared farewell remarks this way: “I thank Mr. Keeler for work, so that I could support my family, support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 and send my children to the Christian schools.”


이것이 노동의 영역에서 왕이신 예수를 고백하는 것이었습니다.

This was the confession of King Jesus in the sphere of labor.


직업에서 이러한 행동과 이러한 말이 노동의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깃발을 흔들었던 것입니다.

That conduct on the job and that speech flew the banner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in the realm of labor.


행정의 영역

The Sphere of Government


정치와 행정의 영역은 문화 칼빈주의자들이 매우 강조하는 영역입니다.

On the sphere of politics and government the cultural-Calvinists put heavy emphasis.


아브라함 카이퍼가 그러했습니다.

Abraham Kuyper did.


화란을 기독교화하는 그의 프로젝트에서 눈에 띄는 특징은 자신이 국가의 수상으로서의 직책에 활력을 줄 정치적 당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A prominent feature of his project to Christianize the Netherlands was the forming of a political party that would propel him into the office of prime minister of the nation.


이와 같은 특출한 사람에 의한 이러한 청치력의 달성은 오늘날 그의 제자들을 황홀하게 하였습니다.

This achievement of political power by that extraordinary man fascinates his disciples today.


그들은, 흔하지 않은 재능을 가진 칼빈주의자에 의한 이러한 종류의 눈길을 끄는 성취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They are impressed with that kind of showy accomplishment by a uniquely gifted Calvinist.


그들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세상의 기독교화를 선언할 때에, 이러한 지상적 능력과 지상적 영광의 획득은 그들이 진정으로 따르는 것입니다,

This attainment of earthly power and earthly glory is what they are really after, when they proclaim the coming of the kingdom and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그러나 이것은 신약성서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복음의 메세지에 분명히 반대되는 것입니다.

But this is clean contrary to the message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in New Testament Scripture.


예수 그리스도가 자신의 나라로 부르신 이들 가운데는

육체를 따라 난 지혜자가 많지 않으며, 능한 자가 많지 않으며, 아브라함 카이퍼의 사람들이 많지 않습니다,

Not many wise men after the flesh, not many mighty, not many noble, not many Abraham Kuypers, has Jesus Christ called into his kingdom.


차라리, 하나님께서는 어리석은 자, 약한 자, 멸시 받는 자, 없는 자들을 택하십니다, "이는 아무 육체도 하나님 앞에서 자랑하지 못하게 하려 하심이라"(고전1:26-29)

Rather, he has chosen the foolish, the weak, the base, and the nobodies, “that no flesh should glory in his presence”(1 Cor. 1: 26–29).


따라서 하나님 나라는, 대부분에 있어서 매우 일상적이고, 눈에 띄지 않으며, 명료하지 않는 방식으로, 삶의 모든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Accordingly, the kingdom is extended into every sphere of life, for the most part in very ordinary, unnoticed, obscure ways.


여기에선 나팔을 요란하게 불지도 않으며, 천정에서 풍선이 내려오지도 않으며, 행동을 녹화하는 텔레비전 카메라도 없습니다.

There are no trumpets blaring, no balloons dropping from the ceiling, no television cameras recording the action.


이것이 행정의 영역에서의 칼빈주의자들의 하나님 나라의 삶의 참된 특이점입니다.

This is true particularly of the kingdom-life of Calvinists in the sphere of government.


그리스도인은 국가 권력을 하나님께서 규정하신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단순히 통치자에게 복종하고, 자신의 세금을 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롬13:1-7)

It consists of simply submitting to the rulers and paying one’s taxes, because the Christian recognizes the civil powers as ordained of God (Rom. 13: 1–7).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이와같은 단순하고 일상적인 행동을 조롱합니다.

At such simple, ordinary behavior the cultural-Calvinists jeer.


그들은 영향력 있는 정치적 정당을 원합니다.

They want influential political parties.


그들은 높은 관직에 있는 뛰어난 남성들과 여성들을 원합니다.

They want illustrious men and women in high office.


명확한 입장과 매력적인 혁신을 많은 이들이 옹호하며 일부는 그렇게 하기도 합니다.

Many advocate, and some take part in high-profile, glamorous revolution.


남아프리카를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혁명을 선동하는 것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이들에 의해서, 일반은혜의 나라의 삶에 대한 영광스러운 표현이라고, 호평을 받습니다.

Traipsing off to South Africa to stir up revolution is acclaimed by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s a glorious expression of the life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자신을 혁명주의자로 구분하는 것은, 특히 흑인과 여성들을 위한 경우에는, 일반은혜 나라에서의 명예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Distinguishing oneself as a revolutionary, especially on behalf of blacks or women, is a badge of honor in the common grace kingdom.


하나님 나라에서, 왕이신 예수가 국가 권위에 대한 혁명을 금지한 것은 문화 칼빈주의자들에게는 관심사가 아닙니다.(롬13:1-7; 디3:1; 베전 2:13-17)

That in the kingdom of God, King Jesus forbids revolution against the civil authorities is of no concern to the cultural-Calvinists (Rom. 13: 1–7; Titus 3: 1; 1 Pet. 2: 13–17).


성경에서는, 복종하면서 세금을 내는 모든 세대와 모든 국가들 가운데, 거의 대다수의 그리스도들의, 행정의 영역에서 단순하고 일상적인 행동들에 대하여, 명예의 상징을 수여합니다.

Scripture bestows its badge of honor upon the simple, ordinary conduct in the sphere of government of the vast majority of Christians in all ages and among all nations of submitting and paying taxes.


마틴 루터는, 하나님 나라의 특징적 삶을,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방식으로,  비천하고 하찮은 일상의 행동을 다음과 같이 확증하고 있습니다: 신실한 종인 소녀가, 비록 당나귀의 등에서 잠을 청한다고 하더라도, 자신들이 피 흘리는 순교자를 만들어내면서도, 죽을 때까지 밤 낮으로 노래를 하는 모든 사제와 수도사보다도, 좀 더 선을 행하고, 좀 더 성취하고, 그리고 훨씬 더 믿을 만합니다.(인용구:하단과 같음)

In his inimitable way, Martin Luther affirmed the ordinary behavior of the lowly and no-account as the characteristic life of the kingdom of God: A faithful servant girl does more good, accomplishes more, and is far more dependable—even if she only takes a sack from the back of an ass—than all the priests and monks who sing themselves to death day and night while making bloody martyrs of themselves (quoted in William H. Lazareth, Luther on the Christian Home: An Application of the Social Ethics of the Reformation, Philadelphia: Muhlenberg Press, 1960, 159).


여가의 영역

The Sphere of Leisure


성경에서는 인간의 삶의 중요한 영역들 가운데 여가의 영역에 대해서는 좀처럼 인정하지 않습니다.

The Bible hardly recognizes a sphere of leisure among the important spheres of human life.


그러나 서구의 국가들 사이에서는 여가가 매우 중요해졌기에 구별된 그리스도인의 행동에 대한 어떠한 처방이 고려되어야만 합니다.

But so prominent has leisure become among the nations of the West that any treatment of distinctively Christian behavior must take account of it.


성경에서는 여가를 격려하지는 않습니다.

Scripture does not encourage leisure.


성경에서는 인간들에게, 우리 모두에게 있어서의 삶의 짧은 시간에 일을 할 것을 요구합니다.

Scripture calls humans to work in the short time of the life of all of us.


두 가지 진리가, 우리가 여가를 즐기는 것을 절약할, 결정적 지배 요소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Two truths ought to govern our sparing enjoyment of leisure.


첫 번째로, 우리의 지상적 직업에 관하여서, 우리는 엿새 동안 일을 해야 하고 그리고 하나님이 쉬신 하루를 쉬어야 합니다.

First, regarding our earthly vocation, we are called to work six days and to rest one day the rest of God.


이것은 율법의 네 번째 계명의 참 뜻입니다:"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일곱 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출 20:9-10)

This is the force of the fourth commandment of the law: “six days shalt thou labor, and do all thy work: but the seventh day is the Sabbath of the LORD thy God”(Ex. 20: 9–10).


안식일의 휴식은 북미의 여가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The rest of the Sabbath is not the same as North American leisure.


이것은 영적인 수고를 포함하며, 그렇게 하여야만 하는 휴식입니다.

It is a rest involving, indeed requiring, spiritual labor.


우리는 근면하게 하나님의 교회에 출석하여야 합니다.

Diligently we attend the church of God.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면서 듣는 일을 하여야 합니다.

We work at preaching and hearing the word of God.


안식일을 기억하는 것은, 잠자거나,NFL Sunday를 시청하면서 우리 자신을 즐겁게 하면서 보내는 것이 아니며, 좋은 책을 읽고, 우리 가족들을 하나님 말씀으로 가르치며, 하나님의 것들을 묵상하면서 보내는 것입니다.

The remainder of the Sabbath is spent, not in “sacking out,”or in amusing ourselves by watching NFL Sunday, but in good reading, instructing our families in the word of God, and meditating on the things of God.


이것은 일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휴식은 단순한 레저가 줄 수 없는 영혼의 평안을 제공합니다.

This is work. But this rest affords peace to the soul that mere leisure cannot give.


두 번째로는, 우리가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일하는 것에  관해서는, 우리는 일하는데 마땅히 열심이어야 합니다. "때가 아직 낮이매 밤이 오리니 그 때는 아무도 일할 수 없느니라"(요9:4)

Second, with regard to our work in and on behalf of the kingdom of God, we ought to be diligent in working “while it is day: the night cometh, when no man can work”(John 9: 4).


우리의 주된 소명은 일하는 것입니다.

Our main calling is to work.


여가는, 우리 삶의 조그마한 부분에서, 우리의 일에 도움이 되어야하며,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Leisure, in the small place it has in our lives, must serve our working and not become an end in itself.


그러므로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여가가 제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The Reformed Christian therefore must keep leisure in its place.


남자와 여자의 매일의 의무가 허락되는 한에서, 개혁주의 남자와 여자는 하나님 나라를 진척 시키는 활동을 찾아서 이를 수용하여야 합니다: 남자에게는, 교회 회의와 학교 위원회의 일원으로; 남녀 모두에게는, 가난하든지, 아프든지, 혹은 곤궁하든지, 빈곤한 이를 도우며; 하나님의 말씀을 부지런히 탐구하여 하나님 나라의 삶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As much as the everyday duties of his or her life permit, the Reformed man or woman ought to seek or accept activities that promote the kingdom of God: for men, membership in the consistory and school boards; for both men and women, help of the needy, whether poor, or sick, or otherwise distressed; involvement in various projects of church and school; and diligent study of the word of God, so as to develop in the life of the kingdom.


우리의 여가를 지배하려고 밀치고 들어오는 오락에 관해서, 하나님 나라의 제일 우선 되는 원칙인 하나님 나라의 시민으로서 맞지 않는: 춤; 관능을 자극하거나  폭력을 즐기는 영화들; 도박등과 같은 오락을 거절하여야 합니다.

With regard to the entertainments that jostle to dominate our leisure, the very first rule of the kingdom of God is that we refuse those entertainments that are unfitting for a citizen of the kingdom of God: the dance; movies that entice with sensuality or amuse with violence; gambling.


Dancing


일반은혜 이론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기 보다는, 추종자를 세계적으로 만들려는 경향은, 일반은혜 지지자들이 세상 기관의 가장 나쁜 것들과 부정한 생산물들에 대한 비난과 거절을 할 수 없다는 데서 명백히 드러납니다.

The tendency of the theory of common grace to make its adherents worldly, rather than to Christianize the world, is evident in the inability of the proponents of common grace to condemn and repudiate even the worst of the world’s organizations and most corrupt productions.


반면에 한 때 기독개혁교회와 소속 대학들이 세상적이라고 비난하였던 춤을 (이것은 우상숭배의 전주곡으로서), 이제는 그들이 받아들이면서, 그것을 예술 형태라고 칭찬을 하면서, 그것을 행합니다.

Whereas once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and its colleges condemned dancing as worldly (which it is— a prelude to fornication), now they embrace it, extol it as an art form, and practice it.


그들은 그것을 구속 시킵니다.

They have “redeemed” it.


그러나 그 "구속된" 형태는 구속되지 않은 원래의 형태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But its “redeemed” form differs in no respect from its unredeemed form.


이것은, 자극적인 음악에 맞추어, 결혼하지 않은 여성과 뺨에 키스를 하는 남성의 호색적인 움직임으로 존속됩니다.

It remains lascivious movements of males cheek to jowl (and not only these body parts) with females to whom they are not married, to the accompaniment of arousing music.


춤의 구속을 말하는 것은 구속의 영광스러운 기독교적 개념을 손상 시키는 것입니다.

To speak of the redemption of dancing is to demean the glorious Christian concept of redemption.


대학생들 가운데 춤을 장려하는 것은 욕망의 불꽃에 가스를 붓는 것입니다.

To encourage dancing among college students is to pour gas on the flame of lust.


영화 관람

Movie Attendance


내가 이 논문을 쓰고 있을 때, The Calvin Spark의 2012 겨울 주제가 나의 우편함에 도착했습니다.

As I write this article, the Winter 2012 issue of The Calvin Spark arrives in my mailbox.


이는 미시간 그랜드 레피즈에 있는 칼빈 신학교 교우들의 잡지입니다.

This is the magazine for the alumni of Calvin College in Grand Rapids, Michigan.


잡지에서 눈에 띄는 것은-대학 교수인 William Romanowski의 책에 대한 호의적인 서평인-헐리우드를 개혁하자는 전면 제목입니다.

Prominent in the magazine is a full-page, favorable review of a book by a professor at the college—William Romanowski—titled "Reforming Hollywood" (15).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의 첫 번째 반응은 믿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The first reaction of a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 is incredulity.


이 세상에 헐리우드를 개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저자 말고 누가 있겠습니까?

Is there another human in the world besides the author who thinks that reforming Hollywood is a possibility?


정말로, 저자 자신은 실제 그렇게 생각하는 것입니까?

Indeed, does the author himself really think so?


두 번째 반응은 좀 더 근본적입니다:

The second reaction is more substantial:


기독교는 도덕적으로 더러운 곳을 개혁하려는 생각이나 글을 쓰지는 않는데 이곳이 바로, 외설, 폭력, 그리고 영화가 완전히 부도덕하며,  음란하며, 그렇지 않다면 도덕 관념이 없는 남녀 배우들이며, 그리고 적그리스도 제작자들이 있는 헐리우드입니다.

Christianity does not think or write of reforming the moral cesspool that is the Hollywood of the filth, violence, and sheer ungodliness of the movies, of the immoral, if not amoral actors and actresses, and of the antichristian producers.


기독교는 헐리우드라고 불리우는 땅으로 지옥이 열려서 이것이 완전히 파괴되기를 기도합니다.

Christianity thinks and writes of as well as prays for the utter destruction of that opening of hell into the earth called Hollywood.


칼빈(신학교) 교수의 책인 the Calvin Spark 의 서평에서, 저자가 The Graduate 영화를, "예술적 장점은 물론이고 도덕적이고 신앙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James Wall의 추천에 만족하면서 동의하는 것에 주목하십쇼.

In the review of the Calvin professor’s book, the Calvin Spark notes approvingly the author’s evident agreement with the liberal James Wall’s commendation of the movie The Graduate as having “moral and religious significance, as well as artistic merit.”


내가 확실히 기억하고 있는 것은 (Dustin Hoffman과 Anne Bancroft 가 불행하게도 내 기억에 박혀있습니다), 일반 신문에 이 영화가 소개되고 예술적으로 광고 되는데 있어서, 이 영화를 간음과 음란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진실로 현대인의 삶에 바람직한 방식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I distinctly recall (the names Dustin Hoffman and Anne Bancroft unfortunately stick in my memory) that the reviews and graphic advertisement of this movie in the public press promoted the movie as featuring fornication and adultery as an acceptable, indeed desirable way of life for moderns.


나는 칼빈신학교의 문화 칼빈주의를 후원하는 성도들이 (칼빈신학교가) 헐리우드나 그곳의 영화를 옹호하는 것을 꾸짖을 것을 촉구합니다.

I let the patron saint of the cultural-Calvinists at Calvin College rebuke their advocacy of Hollywood and its movies.


아브라함 카이퍼는 자신의 "칼빈주의 강연"에서 극장에 가는 것에 반대하는 글을 기록하였습니다.

In his "Lectures on Calvinism", Abraham Kuyper wrote this against theater-going.


회심하지 않는 세상과 긴밀하게 관계하는 모든 것이 칼빈주의에 의하여 합법화될 수 없는 것은, 극장과 같은 것에 대하여 명백한 거부를 표시함으로서 이 세상의 너무 사악한 영향에 대한 경계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Not every intimate intercourse with the unconverted world is deemed lawful by Calvinism, for it placed a barrier against the too unhallowed influence of this world by putting a distinct “veto”upon…theatres…


이것은 우리의 선조들을 범죄하게 한 것으로서...대중을 흥겹게 하기 위하여, 남녀 배우들에게 당연히 요구되었던 도덕적 희생이었습니다.

That which offended our ancestors was…the moral sacrifice which as a rule was demanded of actors and actresses for the amusement of the public.


극장의 단원[오늘날은 남녀 배우들의 무리]은... 도덕적으로 좀 낮은 수준[오늘날에는 말도 안되게 절제 되어있는]에 있습니다...

A theatrical troop [today, the set of actors and actresses—DJE]…stood, morally, rather low [today, ridiculous understatement—DJE].


이러한 낮은 도덕 수준은, 부분적으로, 끊임없이 다른 사람의  성격을 표현해야한다는 사실로부터 온 결과로서, 이는 궁극적으로 당신의 개인적 성격을 형성하는데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며; 또 부분적으로는 우리의 현대 극장들이...여성의 존재를 무대에 소개하면서,너무 자주 여성이 하나님께서 그녀에게 맡기신 가장 성스러운 보물과, 그녀의 흠 없는 이름과, 나무랄게 없는 행동을 위태롭게 하는 정도에 따라서, 극장의 번영이 측정 되기 때문입니다.

This low moral standard resulted partly from the fact that the constant and everchanging presentation of the character of another person finally hampers the moulding of your personal character; and partly because our modern Theaters…have introduced the presence of women on the stage, the prosperity of the Theater being too often gauged by the measure in which a woman jeopardizes the most sacred treasures God entrusts to her, her stainless name, and irreproachable conduct…


세상을 다 인수한다고 하더라도 남게 되는 실제 사실은, 극장의 번영은 흔하게 배우의 도덕적 타락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The actual fact remains that, taking all the world over, the prosperity of a Theater ofte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moral degradation of the actors.


그러므로 너무 자주... 극장의 번영은 남성들의 인격과 여성들의 순결의 대가를 치르고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Too often therefore…the prosperity of Theaters is purchased at the cost of manly character, and of female purity.


이와같은 도덕적 희생을 치루고서 귀와 눈의 쾌락을 구매하는 것은, 인격이 어떠한 사람이었던 간에 하나님을 위하여 영광을 드려야 할 칼빈주의자들이면 (이를) 비난 할 수밖에 없습니다(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3-75).

And the purchase of delight for the ear and the eye at the price of such a moral hecatomb, the Calvinist, who honored whatever was human in man for the sake of God, could not but condemn (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3-75).


카이퍼는 극장에 가는 것이 "참된 칼빈주의자라면 자신의 진정을 위험스러운 환희에 희생시키는 것과 자주 흠 없는 기쁨으로부터 멀어진다는 주에 대한 두려움이 없이는 건널 수 없는 루비콘"(75, 76)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Kuyper concluded that attending the movies is a “Rubicon which no true Calvinist could cross without sacrificing his earnestness to dangerous mirth, and the fear of the Lord to often far from spotless pleasures”(75, 76).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오래 전부터 이 루비콘을 건넜습니다.

The cultural-Calvinists have long since crossed this Rubicon.


그리고 카이퍼 자신의 하나님의 일반은혜 교리와 이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그의 소명은 책임을 져야합니다.

And Kuyper himself with his doctrine of a common grace of God and his call to Christianize the world by this common grace is to blame.


교회의 신학자들의 충고와 공식적인 교회의 강령으로 인하여 (1924년에 일반은혜 이론을 채택한 기독개혁교회의 결정에서와 같이) 현재의 이 세상에 유사한 괴물이 교회 안에서 고삐가 풀리면서, 이 괴물이 교회의 구성원들의 모든 삶을 삼키기까지, 흔히 젊은 이들 가운데서 시작하여, 멈춤이 없을 것입니다.

Once the monster of conformity to this present world is unleashed in the church, on the advice of the church’s theologians and by official church decree (as was the decision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its adoption of the theory of common grace in 1924), there is no stopping the monster until it has devoured all the life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beginning usually with the young people.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8:01

CHRISTIANIZING THE WORLD? (4)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북미에서의 개혁주의와 복음주의 분야에서의 개혁운동을  연속적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이번 회에서 나는 참된 칼빈주의를 대신하는 나라를 소개하겠읍니다.

In this installment in the series examining the crusade in Reformed and evangelical circles in North America to Christianize the world, I present the kingdom alternative of genuine Calvinism.


세상 문화에 영향을 주고자 하는 일반은혜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것이 지상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야 할 그리스도인의 소명을 거절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Rejection of the project of common grace to influence the culture of the world does not imply rejection of the calling of the Christian to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of God in all spheres of earthly life.


비록 아브라함 카이퍼와 기독개혁교회(CRC)의 일반은혜 이론을 거절한다고 할지라도, 개신개혁의 그리스도인은  "우리 인간이 존재하는 전 영역에서, 모든 것을 통치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내것이라고 외치지 않으시는 곳이 단 1 입방인치도 없다"는 카이퍼의 그리스도를 위한 흥분된 주장을 명예롭게 하는 방식으로 삶을 살아가야하고 또한 반드시 그렇게 살아야만 합니다.

The Protestant Reformed Christian, although rejecting Abraham Kuyper’s and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s theory of common grace, lives and must live in such a way as to honor Kuyper’s stirring claim on behalf of Christ, “There is not a square inch in the whole domain of our human existence over which Christ, who is Sovereign over all, does not cry: ‘Mine!’” (“ Sphere Sovereignty,” 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88, 488).


우리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영적 뿐만이 아니라 지상적인, 정부에서의, 교육, 과학, 그리고 노동, 기도와 교회에서도,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In every sphere of our life, earthly as well as spiritual, in government, education, science, and labor, as well as in prayer and at church, we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삶의 모든 영역에서, 우리의 행동과 말은 예수 그리스도가 왕이심을 증거해야 합니다.

In every sphere of life, our behavior and speech witness that Jesus the Christ is king.


그러므로 우리가 어떠한 삶의 영역에 들어가든지,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는 왕이시다"는 깃발을 들어야 합니다.

Thus, over whatever sphere of life we enter, we raise the banner, “Jesus Christ is king.”


예수의 나라

The Kingdom of Jesus


그러나, 우리에게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으로서, 우리가 위하여 깃발을 드는 그리스도는, 십자가에 달리셨고, 죽음으로부터 일어나셨으며, 그리고 현재는 하늘에서 하나님의 우편에 앉아 계신 분이십니다.

However—and this to us is of fundamental importance—the Christ on whose behalf we raise the banner is the man who was crucified, raised from the dead, and now sits at the right hand of God in heaven.


카이퍼와 그의 제자들에게 그리스도는, 모든 것을 통치 하시며, 그들이 높인다고 생각하는 왕권을 가지신 분으로서, 단지 삼위의 제2위격일 뿐이며,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를 위하여 자신을 내어 주신 사람으로서의 예수가 아닙니다.

For Kuyper and his disciples, the Christ who is sovereign over all and whose kingship they suppose they honor is only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not the man Jesus who loved us and gave himself for us.


만약에 삼위의 두 번째 위격의 나라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두 번째 위격만이 아닌) 삼위 하나님의 절대적 능력의 나라일 것입니다.

If there were a kingdom of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it would be the kingdom of the absolute power of God triune (not alone of the second person).


이러한 삼위 하나님의 나라는, 그것을 이 땅에서 확장하려는 교회의 어떠한 모든 노력들을 떠나서, 완벽하게 존재합니다.

This kingdom of the triune God exists in perfection apart from any and all efforts of the church on earth to extend it.


이러한 나라는 오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입니다.

This kingdom does not come, but is.


이것은 일반은혜, 혹은 이러한 것들을 위해, 특별은혜에 의하여 추진되는 것은 아닙니다.

It certainly is not promoted by common grace, or for that matter, by particular grace.


이것은 그의 창조에 관한 하나님의 신격을 위한 실체입니다.

It is a reality by virtue of the Godhead of God with regard to his creation.


개신개혁주의 그리스도인과 아브라함 카이퍼가 심사숙고했던 시기까지의 모든 세대를 거친 모든 그리스도인의 마음을 가진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의 나라이며: 그 안에 우리가 그의 피로 인하여 구속을 받고 죄 사함을 얻은"(골1:13-14) 나라입니다.

The kingdom that has the heart of Protestant Reformed Christians, as also of all Christians throughout all ages until the time of the speculations of Abraham Kuyper, is the “kingdom of [God’s] dear Son: in whom we have redemption through his blood, even the forgiveness of sins”(Col. 1: 13–14).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삼위의 두번째 위격을 계속적으로 명예롭게 하면서, 명백하게 첫 번째와 세 번째 위격을 배제할 수 있읍니다.

The cultural-Calvinists may go on honoring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evidently to the exclusion of the first and third persons.


개신개혁의 칼빈주의자들은 십자가에 달리셨고, 일어나신 것을 높이며, 그리고 주 예수를 찬양하며, 그 안에서 삼위 하나님을 높입니다.

Protestant Reformed Calvinists honor the crucified, risen, and exalted Lord Jesus and in him, the triune God.


이것을 이해하여야만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주권과 나라는 예수의 주권과 나라입니다.

Let this be understood: for us, the sovereignty and kingdom of Christ are the sovereignty and kingdom of Jesus.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123에서의 개혁주의 신앙고백과 같이, 이러한 예수가 그의 말씀과 성령으로 우리의 마음을 다스리십니다.

This Jesus reigns in our hearts by his word and Spirit, as the Reformed faith confesse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Question and Answer 123.


우리의 마음을 다스리심으로, 예수 그리스도는 또한 우리가 속해있는 삶의 모든 영역들에서 다스리십니다.

Reigning in our hearts, Jesus Christ reigns also in all the spheres of life into which we enter.


그러므로 나라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며, 그럼으로서 나라의 깃발은 모든 영역 위에 휘날립니다.

Thus the kingdom extends to every sphere, and thus the banner of the kingdom flies over every sphere.


교회의 영역

The Sphere of the Church


참된 교회로서의 제도적 영역은 첫째되는 최고의 영역입니다.

First and foremost is the sphere of the institute of the true church.


하나님 나라의 시민은 참된 교회의 살아있는 일원으로서, 삼위 하나님을 영적으로 진리 안에서, 매 안식일마다 열심으로 예배를 드립니다.

The citizen of the kingdom of God will be a lively member of a true church, worshiping the triune God in spirit and in truth diligently every Sabbath.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 이러한 면은,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말로 지지하는 많은 이들에 의하여, 최소화되거나 심지어는 무시되기까지 합니다.

This aspect of living the life of the kingdom in all the spheres is minimized and even ignored by many of the vocal advocate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그들은 이것을 강조하지 않을 뿐더러, 그들은 (하나님) 나라에 관한 자신들의 논문에서 이러한 것에 대하여 전혀 말을 하지 않습니다.

Not only do they not stress this, but also they usually say nothing about this at all in their treatises on the kingdom.


그들이 자신들의 입장에서 이렇게 주의하는 것은 이해가 됩니다: 만약에 당신이 무신론자들, 무슬림들, 불신자들, 그리고 로마 카톨릭신자들과  (하나님) 나라를 만들어간다면, 당신은 교회의 일원에 관한 어떠한 것도 말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This caution on their part is understandable: If you are creating a kingdom with atheists, Muslims, unbelievers, and Roman Catholics, you had best say nothing about church membership.


교회의 일원임을 최소화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변명할 것이 못됩니다.

But minimizing or ignoring church membership is inexcusable.


교회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총체적 다스림은 하이델베르크 신조"당신의 교회를 보존하시고 확장하심"(문답123)에서의 주 기도의 두 번째  기원에 대한 두 번째 설명입니다.

The reign of Jesus Christ in and over the church is the second explanation of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by the Heidelberg Catechism: “preserve and increase Thy church”(Q& A 123).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제도적 형태입니다.

The church is the institutional form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보이는 교회는...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이다"(25.2)라고 분명히 합니다.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declares: “The visible church…is the kingdom of the Lord Jesus”(25.2).


벨직 신앙고백에서는 교회에 대하여 다룰 때 "이것으로부터 명백한 것은, 그리스도가 영원한 왕이다"라고 같은 것을 가르치고있습니다.

The Belgic Confession teaches the same when in its treatment of the church it states, “which is evident from this, that Christ is an eternal King”(Art. 27).


그리스도는 교회의 왕이시며, 교회는 그의 나라이다.

Christ is king of the church, and the church is his kingdom.


신약교회는,구약 이스라엘의 실체로서(베전2:9), 하나님의 거룩한 국가입니다.

The New Testament church is God’s “holy nation”—the reality of Old Testament Israel (1 Pet. 2: 9).


이것은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사람들이 마음 속 깊이 새겨 넣어야 할 근본적인 진리인 것입니다,

This is a basic truth that the proponents of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have a hard time keeping in mind.


그들은 우선 자신들의 나라를 기독교화하고 그 다음 세계를 기독교화 하려는 꿈을 꾸면서, 그들은 변함없이 자신들의 나라를 하나님의 나라와 동일시하고 있습니다.

As they dream their dreams of Christianizing first their own nation and then the world, they invariable identify their own nation with the kingdom of God.


카이퍼는 화란이 하나님의 거룩한 국가이며, 이스라엘이라는 나라의 신약에서의 실체라고 생각했습니다.

Kuyper thought that the Netherlands was God’s holy nation, the New Testament reality of the nation of Israel.


조나단 에드워즈도 미국, 특히 미국의 뉴잉글랜드 지역에 관하여 같은 상상을 했습니다.

Jonathan Edwards supposed the same regarding America, especially the New England part of America.


오늘날 많은 복음주의자들은, 미국을 다시 한번 기독교 국가로 만들어야 한다는 소명에 대하여 가르치는데 있어서, 자신들이 미국이 한 때 기독교인의 거룩한 국가였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any evangelicals today, in their preaching of the call to make America once again a Christian nation, show that they think that the United States was once a Christian, holy nation.


화란은 절대로 거룩한 나라가 아니었습니다.

The Netherlands was never a holy nation.


미국도 마찬가지로 아니었습니다.

Neither was the United States.


지상의 국가는, 얼마나 기독교화되는가에 관계없이, 하나님의 거룩한 국가가 될 수 없습니다.

No earthly nation, regardless how Christianized it might become, can be God’s holy nation.


이 세상에서의 참된 교회가 하나님의 나라이며 하나님의 거룩한 국가인데, 이는 구약에서의 이스라엘의 (대체가 아닌) 신약에서의 실체입니다.

The true church in the world is the kingdom and holy nation of God, the New Testament reality (not: replacement) of Israel in the Old Testament.


이것은 교리적이고, 교회론적이며, 영적인 칼빈주의자들인 우리가 참된 교회를 높이 여기는 이유이며, 그 안의 일원인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이유입니다.

This is a reason that we doctrinal, ecclesiastical, and spiritual Calvinists so highly regard the true church and prize membership in her.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이며, 하나님의 신약에서의 시온입니다.

She is God’s kingdom, God’s New Testament Zion.


주의 날에 교회에서는 어떤 사람이든지 하나님을 공적으로 예배하는 주된 문화 활동이 있을 것입니다.

In the church on the Lord’s Day occurs the chief cultural activity of any human: the public worship of God.


거기에 더하여, 교회는 신자에게 인간의 삶의 모든 다른 영역들에서도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갈 방향과 영적 에너지를 공급해 줍니다.

In addition, the church gives the believer the directions and spiritual energy to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in all the other spheres of human life.

하나님 나라의 동력은 기독교 대학이 아니며, 나라를 세우려는 이들에게 좀 나약한 일반은혜의 힘으로 무장 시키려는 생각을 하는 기독교 대학은 더욱더 아닙니다.

The dynamo of the kingdom of God is not the Christian college, and certainly not the Christian college that thinks to equip the kingdom-builders with some feeble power of a common grace.


(하나님) 나라의 동력은 참된 교회이며, 교회가 하나님 나라의 백성들을 무장 시키는 힘은 능력 있는 부활의 은혜이며, 주 예수의 성령입니다.

The dynamo of the kingdom is the true church, and the power with which she equips the citizens of the kingdom is the mighty, resurrection grace and Spirit of the Lord Jesus.


가족의 영역

The Sphere of the Family


왕이신 예수를 섬기고 그의 깃발을 날리는 대부분의 (하나님) 나라 백성들이 속하여있는 인간의 삶의 두 번째 영역은 결혼과 가족입니다.

The second sphere of human life in which most citizens of the kingdom submit to King Jesus and fly his banner is marriage and the family.


이 영역이 모든 사회적 삶과 지상의 국가의 복지를 위하여 근본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은 일반 상식으로 알 수 있습니다.

Common sense realizes the fundamental importance of this sphere for all of societal life and for the welfare of an earthly nation.


서구의 정치 지도자는 눈이 멀었으며, 실제로 결혼과 가정을 적극적으로 파괴하는 일을 하는데, 이는 그들의 불신앙 때문에 타락한 이해력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어두움에 때문일 뿐만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심판하시는  진노로 그들의 눈을 멀게하였기 때문입니다.

That the political leaders of the West are unseeing, indeed actively at work to destroy marriage and the home, is due not only to the natural darkness of their depraved understanding because of unbelief, but also to God’s blinding of them in his judicial wrath.


미국에서는 사회에서의 인간 생활의 근본 구조에 관하여 일반 상식이 비상식이 되었습니다.

Common sense has become senseless in the United States with regard to the basic structure of human life in society.


성경에서는 가정의 영역을 중요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 영역에서의 생활에 대한 왕이신 예수의 뜻에 관하여 완전한 교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Scripture insists on the importance of the sphere of the family, and gives thorough instruction concerning the will of King Jesus for life in this sphere.


창조주는 한 남자와 한 여자를 삶에서의 한 육체로 긴밀하게 연합하여 결혼하도록 하셨으며, 자녀를 낳는 결실을 통하여 결혼을 축복하셨으며, 결혼한 부부인 그들의 부모가 (자녀들을) 기르도록 하셨습니다.

The Creator married one man and one woman in an intimate union of one flesh for life, and blessed the marriage with fruitfulness in bringing forth children, whom the married couple, their parents, must rear (Gen. 1, 2).


왕이신 예수는 자신의 나라에 이러한 규례를 규정하셨으며, 결혼과 가정에서의 우리의 삶에 관하여 에베소서 5,6장과 고린도전서7장, 그리고 성경의 많은 다른 곳에서 자신의 뜻을 정하셨습니다.

King Jesus took this ordinance over into his kingdom and made his will concerning our life in marriage and the family known in Ephesians 5 and 6, 1 Corinthians 7, and many other places in Scripture.


종교개혁은, 로마카톨릭이 수도원주의와 성직자는- 비록 혼자 사는 삶이 결혼보다는 더 높고 더 영적인 상태이지만- 로마 카톨릭은 성적인 난잡함에 대한 관용에 대하여 일체 말하지 않으면서, 결혼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강령으로 낮아진 이 영역을 명예롭고 중요한 위치로 복귀시켰습니다,

The Reformation restored this sphere to its place of honor and importance after Rome had degraded it by monasticism and by the decree that the clergy may not marry, as though single life were a higher, more spiritual state than marriage, to say nothing of the tolerance by Rome of sexual promiscuity.


오늘날에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우리의 미국 사회를 기독교화하는 것에 관하여 많은 이야기를 합니다.

There is much talk today by the cultural-Calvinists about Christianizing our American society.


이와 동일한 사람들과 그들의 교회들이 자신들의 교회 안에서 만연해있는 이혼과 재혼에 대하여는 관용을 베풉니다.

These same people and their churches tolerate rampant divorce and remarriage in their own churches.


심지어는 기독개혁교회(CRC)의 교단 신문과 그들에게 소속된 대학에서는 공개적으로 남색을 추진하기도 합니다.

There is even open promotion of sodomy in the denominational paper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and in their flagship college.


그들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무관심은 그들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관하여 진지하지가 않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Their unconcern for marriage and the family is proof that they are not serious about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그들은 그랜드 레피즈나 미국의 문화에 영향을 주는 것에 관하여 진지하지가 않습니다.

They are not serious about influencing the culture of Grand Rapids and the United States.


결혼과 가족은 북미에서는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입니다.

Marriage and the family are the urgent social issues in North America.


나라를 혼란케 하고 파괴 시키는 거대한 악은 이혼, 재혼, 그리고 완악함을 포함한 성적인 난잡함입니다.

The great evils disrupting and destroying the country are divorce, remarriage, and sexual promiscuity, including perversity.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전혀 말을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문화에 대하여 참된 관심을 갖는다면, 이러한 악들에 대하여 침묵 할 수 만은 없는 것이다.

Genuine concern for the culture, to say nothing of the kingdom of God, could not possibly remain quiet about these evils.


신실하게 아내와 함께 살아가는 남자, 남편에게 한 자신의 맹세를 지키는 아내, 자신들의 자녀를 하나님을 경외하면서 함께 키우는 부모, 자신들의 부모를 명예롭게 하며 신앙의 교훈에 순종하는 아이들과 젊은이- 이들이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The man who lives faithfully with his wife, the wife who keeps her vow to her husband, the parents who together raise their children in the fear of the Lord, the children and young people who honor their parents and heed their godly instruction—these are living the life of the kingdom.


이러한 것들이 주 예수의 왕권을 가족이라는 근본적으로 중요한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것이다.

These are extending the kingship of the Lord Jesus into the fundamentally important sphere of the family.


이것들이 왕이신 예수의 깃발을 모든 이들이 보도록 가정 위에 날리는 것이다.

These are flying the banner of King Jesus over the home for all to see.


이러한 것들이 또한 어떠한 지상의 나라에서든지 유익한 시민들인 것이다.

These are also the beneficial citizens of any earthly nation.


교육의 영역

The Sphere of Education


인간의 삶에서 세 번째로 중요한 영역은, 성경과 본성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듯이, 어린 아이들의 교육입니다.

A third significant sphere of human life is the education of children, as both Scripture and nature teach us.


하나님 나라의 시민은 교육의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에 복종을 합니다.

Citizens of the kingdom of God submit to the reign of Jesus Christ in the sphere of education.


이와 같이 하나님 나라는 교육의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Thus the kingdom extends into the sphere of education.


교육의 영역에서도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나의 것'이라고 말하지 않는 곳은 한 입방인치도 없다"라는 깃발을 올립니다.

Over the sphere of education, we raise the banner, “Not once square inch about which Jesus Christ does not say, ‘Mine!’”


우리는 우리의 자녀들에게, 우리 자신이 왕이신 예수께 복종하는 삶의 예를 보여주며, 아이들을 훈계함으로서, 집에서 하나님을 경외하도록 키울 수 있는 것입니다.

We give our children a godly upbringing at home, including the example of our own lives of submission to King Jesus, and including discipline of the children.


우리는 아이들이, 참된 개혁교회의 견고한 교리문답 안에서 성경의 역사와 교리에 관한 완전한 가르침을 받도록 함으로서, 이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We see to it that the children receive thorough instruction in the history and doctrines of the Bible in the solid catechism program of a true, Reformed church.


여기에 더하여, 같은 마음을 가진 개혁주의 신앙인들과 함께, 우리는 우리의 아이들에게 좋은 기독교 학교를 제공하면서, 그곳에서 훈련 받은 유능한 칼빈주의자 선생님들이, 아이들이 21세기 미국에서 왕이신 예수님께 복종하면서 능력 있는 삶과 일을 준비하도록 해주어야합니다.

In addition, with likeminded Reformed believers we provide for our children good Christian schools in which trained, competent Calvinist teachers prepare the children to live and work ably in 21st century America as subjects of King Jesus.


부모들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부모들이 시간과 능력이 결핍 되어있기에, 이곳의 선생님들이 아이들에게 지식의 모든 분야를 하나님의 말씀에 비추어 가르쳐야 합니다.

On behalf of the parents, these teachers instruct the children in all the branches of knowledge in light of the word of God, as most parents lack both time and ability to do.


이러한 기독교 교육을 통하여 아이들의 마음이 왕이신 예수께 복종 되어지는 것입니다.

By this Christian education is brought into subjection to King Jesus the mind of the children.


여기서, 특별한 방법으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우리의 열심은 모두에게 드러납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이 이러한 학교를 후원해야 합니다.

Here, in a special way, our zeal for the kingdom is evident to all: We pay for these schools ourselves!


즉 다른 납세자들인 국가는 우리의 학교들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The state, that is, the other tax-paying citizens, do not support our schools.


우리가 주립학교에 기금을 대면서 동시에 우리의 학교들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가 시정하지 않는 명백한 불공정이면서, 분명하게 국가의 다른 국민들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닙니다.

We support our schools in addition to funding the state schools—an obvious injustice that the government does not redress and that apparently does not trouble the other citizens of the country.


이러한 양육의 결과는, 우리의 아들들과 딸들이 미국의 - 국가의 최고의 시민으로서: 유능하고, 책임감이 있으며, 열심히 일하고, 법률을 준수하며, 세금을 납부하는-훌륭한 시민들이 된다는 것입니다.

The result of this rearing is that our sons and daughters become good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the best citizens of the nation: capable, responsible, hard-working, law-abiding, and tax-paying.


그러나 우리가 우리의 아이들을 양육하는 동기는 우선적으로 미국과 세계에 영향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But our motive in our rearing of our children is not primarily to influence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차라리 우리의 동기는 하나님 나라입니다.

Rather, our motive is the kingdom of God.


우리의 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하나님 나라의 시민입니다.

Our children are from birth citizens of the kingdom.


이들은 왕이신 예수께 속하였으며, 그러므로 진리 안에서 하나님 나라의 방식으로 교육 받아야 합니다:"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하나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눅18:16)

They belong to King Jesus, and therefore must be educated in the truths and ways of the kingdom of God: “Suffer little [infant] children to come unto me…for of such [infant children] is the kingdom of God”(Luke 18: 16).


마음, 교회, 가족, 그리고 교육은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들이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역들을 소진 시키지는 않습니다.

Heart, church, family, and education do not exhaust the important spheres in which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s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몇몇의 다른 영역들은 다음 회에서 다루도록하겠습니다.

Some of the other spheres we will consider in the next installment.


아무도 당신들을,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서 하나님 나라를 무시한다고 하거나, 인간이 삶의 모든 영역에서 구별된 삶을 살아감으로서 곤경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설득하지 못하도록 하십시오.

Let no one persuade you that by rejecting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you neglect the kingdom of God or come short in living its distinctive life in all the spheres of human life.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