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캇 맥나이트 2020. 11. 1. 23:06

스콧 맥나이트의 "예수 왕의 복음"과 메튜 베이츠의 "복음적 충성"에 대한 그레그 길버트의 비평

번역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번 그레그 길버트의 강연은 스콧 맥나이트의 "예수 왕의 복음"과 메튜 베이츠의 "복음적 충성"을 염두에 두고서 이들이 주장하는 "왕의 복음"이 무엇이 문제인지를 잘 드러내주고있다.

스콧 맥나이트는 자신의 저서 "예수 왕의 복음"에서 많은 부분에서 그레그 길버트의 “Who is Jesus”에서 제시하는 복음의 의미에 이의를 제기하기도했다.

또한 메튜 베이츠는 자신의 저서 "충성으로 받는 구원"과 "복음적 충성Gospel Allegiance”에서 스콧 맥나이트가 강조하였던 왕의 복음을 근거로 구원을 얻기 위한 조건으로서의 충성을 제시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예수가 왕이 되셨다는 사실 자체가 복음이라고 주장한다.

그레그 길버트는 2020년 4월 "T4G”에서의 강연에서 스콧 맥나이트와 메튜 베이츠가 주장하는 왕의 복음에 대한 비평을 하게된다.

그레그 길버트는 예수 그리스도의 왕되심과 참된 왕의 복음이 무엇인지 왕의 역할을 중심으로 풀어나간다. 

맥나이트와 베이츠의 왕의 복음은 그리스도의 왕되심과 왕으로서의 역할을 분리시키고있다.

길버트는 왕의 복음이 왕되신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과 분리될 수 없음을 서술하고있다.

다음 글은 2020년 4월 "T4G”에서의 강연 내용이 실린 https://www.9marks.org/article/a-t4g-2020-sermon-what-is-and-isnt-the-gospel/에서의 글을 번역한 것이다.

==========================

무엇이 복음이고 무엇이 복음이 아닌가
A T4G 2020 Sermon: What Is and Isn’t the Gospel  
 
그레그 길버트
By Greg Gilbert

Article
04.15.2020

이번 강연에서의 제목은 "무엇이 복음이고 무엇이 복음이 아닌가?"입니다. 저는 T4G의 인도자들이 저에게, 이번 달로 쓴지 10년이 되는 "복음이란 무엇이가?"라는 책 때문에, 이번 강좌를 부탁했으리라 생각해봅니다. 그동안 주님이 "이 작은 검정 책"을 사용하셔서 신자들을 격려하고 심지어는 사람들이 예수를 믿게하는데 어떻게 사용하셨는가를 듣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The title of this talk is “What Is and Isn’t the Gospel?” I have to assume the grand poohbahs of T4G asked me to do this talk because of a book I wrote ten years ago this month, called What is the Gospel? It’s been wonderful through the years to hear the stories of how the Lord has used “that little black book” to encourage believers and even bring people to faith in Jesus.

그러나 믿든지 안 믿는지 간에, 이 책을— 그리고 우리가 책임져야할 사람들에게 선포하는 복음에 대한 정의; 인간의 죄의 문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왕이신 예수의 대속적인 삶과 죽음과 부활을 통한 하나님의 해결책; 그리고 회개와 믿음으로 예수께 반응하도록 하는 우리에 대한 부르심을—폄하하는 사람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But believe it or not, that book—and it’s definition of the gospel as a proclamation of whom we are accountable to; the problem of human sin; God’s solution to that problem in the substitionary life, death, and resurrection of King Jesus; and the call for us to respond to Jesus in repentance and faith—has not been without its detractors.

복음의 핵심
THE BEATING HEART OF THE GOSPEL

저는 지금 제가 10년 전에 쓴 책을 변론하려고 이 시간을 사용할 의도는 없습니다. 대신에 저는 이 시간을 한 가지 특별한 도전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합니다. 이 도전은 성경이 가르치고있는 복음의 핵심이, 우리를 위한 예수의 형벌에 대한 대속적 속죄와, 그를 믿는 것으로 인한 우리의 칭의에 관한 것이라고 이해하는 우리 모두에 대한 것입니다.
Now, I don’t intend to use this time to defend a book I wrote ten years ago. Instead, I want to use this time to engage in a conversation with one particular charge that’s often leveled against all of us who understand the Bible to teach that the beating heart of the gospel is Jesus’s penal substitutionary atonement for us and our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him.

나는 최근에 이러한 도전을 하는 두 권의 책, 스콧 맥나이트의 "예수 왕의 복음"과 메튜 베이츠의 "복음적 충성: 구원을 위해서 예수를 믿는 것이 놓치고 있는 것"을 다시 읽었습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다른 책들 가운데서도 나의 작은 검은 책에 대하여 반응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애 하였습니다. 나는 특히 감사하게도 베이츠의 책에서 거의 끝나갈 무렵에 그가 요점을 정리하는 가운데에서 다음 문장을 마주치게되었습니다:
I was recently re-reading two books that make this charge, Scot McKnight’s The King Jesus Gospel and Matthew Bates’s Gospel Allegiance: What Faith in Jesus Misses for Salvation. These authors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teracting with my little black book, among others. I was especially gratified to run across this sentence in Bates’s book, near the end, when he’s summing things up:

만약에 챈들러, 길버트, 맥아더, 파이퍼, 그리고 스프로울과 같은 개신교 지도자들이 복음의 참된 내용과 경계들을 규정하는데 실수한다면, 개신교인들은 이들과 교제를 끊거나 아니면 파면시켜야하는가? 절대로 그렇지 않다. 이는 매우 부적절한 일일 것이다.
Should Protestants break fellowship with or excommunicate Protestant leaders such as Chandler, Gilbert, MacArthur, Piper, and Sproul if it is true that they have made mistakes about the true content and boundaries of the gospel? Absolutely not. This would be wildly inappropriate.

이것을 읽는 나의 처음 생각은 물론 "와, 나쁘지 않은 사람이군; 나는 이를 받아들이겠어."였습니다. 나는 이러한 문장을 지워버리고 달리 생각하길 원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깨닫게 된 것은 "잠깐, 그는 개신교인들에게 나와 교제를 끊고 나를 추방해야 할 것을 요청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제 마음을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하게도 그는 우리가 추방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었습니다. 베이츠는 나중에 자신들이 이것을 아주 강조할 수는  없겠지만, 매트 챈들러, 존 파이퍼, R. C. 스프로울과 제가 실제로 깊게 낙담해서 구원의 길로 예수를 신뢰하게 될 것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My first thought on reading this, of course, was “Wow. Not bad company; I’ll take it.” I wanted to take that sentence out and frame it. But then I realized, “Wait, did he just ask if Protestant evangelicals should break fellowship with me and excommunicate me?” That wonderfully concentrates the mind! Thankfully, he we shouldn’t be excommunicating. Bates later writes that maybe Matt, John, R. C. and I are actually, deep-down, trusting in Jesus in a saving way even if we can’t articulate it very well.

어떻든 간에, 제가 이 두 가지 책을 제시하게 된 것은, 그들이 자신들 만의 방식으로, 이 분들에게서와 같은 방식으로 우리 복음적 개혁주의 진영도 비난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잠시 동안 이에 대한 전체 윤곽을 그리고자 합니다. 이러한 비난은, 우리가 죄를 위한 예수의 대속적 형벌 속죄와 그리스도만을 믿는 믿음만으로의 칭의에 대한 복음 선포에 집중하면서도, 실제적으로는 복음의 핵심에 있는 것은 무시하면서 또한 승화시킨다는 것입니다.
Anyway, the reason I bring these two books up is because, in their own way, they each make the same charge against those of us in this Reformed evangelical camp, if I can paint in broad strokes for a minute. That charge is that in centering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around Jesus’s penal substitutionary atonement for our sins, and on justification through faith alone in Christ alone, we are ignoring and sublimating what is actually the heart of the gospel.


그렇다면 이것이 무엇인지요? 맥나이트나 베이츠, 그리고 다른 이들은 어떤 때는 미요한 차이로, 어떤 때는 상당한 차이와 불일치를 보여주면서 자신들만의 방식을 만들어 가지만, 그 중심에 있는 명제는, 복음은 예수가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메시아이시며 이스라엘의 왕이라는 선언이라는 것입니다. 맥나이트는 이러한 선언을 "복음은 이스라엘의 이야기의 절정으로서의 예수의 이야기"로서 이러한 이야기에는 왕권 뿐만이 아니라 다른 맥락들도 포함하고 있지만, 확실하게는 왕권이 이 이야기의 핵심에 있습니다. 베이츠는 이를 궁극적이고 단도직입적으로 "복음의 절정은 예수가 그리스도이시며, 왕이시라는 것이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And what’s that? Well, McKnight, Bates, and others make their own cases, with sometimes subtle and sometimes enormous differences and disagreements, but the central proposition seems to be that the gospel is the declaration that Jesus is the long-awaited Messiah or King of Israel. McKnight puts that declaration as “The gospel is the Story of Jesus as the culmination of the Story of Israel,” which involves not just kingship but other threads in the story as well; but kingship is certainly key to that Story. Bates puts it utterly straightforwardly: “The gospel climax is that Jesus is the Christ, the King.”

물론 이러한 도전의 취지는 우리 복음주의자들이— 특히 복음주의 설교자들이— 성경의 거대하고 포괄적인 이야기 맥락에서 예수를 제거하지 말것을 확실히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도 이는 좋은 경고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말하고자합니다. 이는 심지어 많은 복음주의적 가르침, 특히 최소한 우리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연자가 복음주의자들에게 기독교 신앙을 구약으로부터 떼어낼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합법적인 비평으로 자리매김 될 것입니다.
The burden of that charge, of course, is to make sure that we as evangelicals—especially as evangelical preachers—don’t excise Jesus from his place in the grand, sweeping storyline of Scripture. And I have to say, I think that’s a good warning. It may even qualify as a legitimate critique of much evangelical preaching, especially when at least one of our most well-known spokesmen is explicitly calling on evangelicals to “unhitch the Christian faith” from the Old Testament.

사실 우리들 상당 수는, 대속적 속죄와 오직 믿음에 의한 칭의라는 단순한 (실은 사실인) 전제에 의한 복음을 가르치는 것에서 도움을 받는 것이 아니라, 성경의 서사시를 다시 수용하여서 이러한 것들을 전체적인 이야기의 맥락에 적당한 위치에 가져다 놓은 것을 가르치는 것에서 도움을 받고있습니다. 만약에 사람들이 기독교가 냅킨에 쓸 수 있는 서너 문장들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관심을 끌기 위해서 경쟁하고있는 다른 다양한 세계관과 종교들과 비교해서 협소하고 얄팍하게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기독교는, 여러분이 이를 이해를 하게되었을 때에는, 예수를 놀랄만하게 끔찍하게 만들어 버리는, 왕들과 정복들과 실패와 구속의 이야기인 세계의 역사와 미래에 관한 마법에 묶여있는 이야기에 의존하게 될 것입니다.
It’s true: Many of us would be helped in our preaching of the gospel by not just preaching the simple (though true) propositions of substitutionary atonement and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but by re-embracing the epic of the Bible, placing those things in their proper place in the grand storyline. If people think Christianity is about three or four sentences that you can fit on a napkin, it’s going to seem shallow and flimsy compared to the myriad other worldviews and religions that are competing for their attention. Christianity rests on a spell-binding story about the history and future of the world—a story of kings, conquests, failures and redemptions that, when once you understand it, makes Jesus breathtakingly awesome.

"왕의 복음"이라는 것이 있는가?
IS THERE A “KINGSHIP GOSPEL”?

그러나 이번 경우에 제가 "왕의 복음"이나 "충성의 복음"을 만드는 책들에 관해서 이해할 수가 없는 것은, 여기에는 예수의 왕권의 이야기를 개인적인 구원, 용서, 속죄 그리고 칭의의 실상과 분리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자주 있었기 때문입니다. 당혹스러운 것은; 그 메세지가 바로 “구원이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십자가의 말씀과 하나님 나라의 좋은 소식을 가르치세요”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보다는  종종 “복음은 예수가 왕이라는 것이지 자신의 백성을 위해서 구원을 성취하신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But what I don’t understand about books that make this case for a “kingship gospel” or a “royal gospel” is why there’s so often an impulse to take the story of Jesus’s kingship and divorce it from the realities of personal salvation, forgiveness, atonement, and justification. It’s puzzling; because the message isn’t just “Don’t forget that salvation has a history; preach the word of the cross and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It’s often something more like, “The gospel is that Jesus is king and not that he wins salvation for his people.”

예를 들자면, 스콧 맥나이트는 복음을 “예수의 이야기가 이스라엘 이야기의 절정이라는 선언”과 그가 소위 말하는 “구원의 계획"이라고 묘사하지만, 그는 이 둘 사이에 분명한 선을 긋고 있습니다.
Scot McKnight, for instance, describes the gospel as “the declaration of the Story of Jesus as the culmination of the Story of Israel,” and what he calls “the Plan of Salvation.” But then he draws a hard distinction between the two:

이제 세번째로 다루고자하는 커다란 주제는 (개인적) 구원 계획에 관한 것입니다. 구원 계획은 이스라엘/성경 이야기와 예수의 이야기로부터 흘러나옵니다. 이스라엘로부터 예수로 이어지는 성경의 이야기는 구원의 이야기입니다. 만약에 우리가 복음을 붙잡기를 원한다면, 이러한 이야기의 중요성을 감히 축소시키지 않는 것과 같이, 이야기의 구원의 효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Now to our third big idea: the (personal) Plan of Salvation. The Plan of Salvation flows out of the Story of Israel/Bible and the Story of Jesus. The Bible’s Story from Israel to Jesus is the saving Story. Just as we dare not diminish the importance of this Story if we wish to grasp the gospel, so also with the saving effects of the story.

그러나 구원의 계획을 이스라엘의 이야기나 예수의 이야기와 동일시하는 것은 복음을 왜곡시키게 되는 것이며 어떤 때는 이야기 자체까지도 파괴시키게 될 것입니다.
But equating the Plan of Salvation with either the Story of Israel or the Story of Jesus distorts the gospel and at times even ruins the Story.

그는 구원은 복음으로부터 나타나거나 흘러나오지만 “구원의 계획과 복음은 같은 커다란 개념이 아니다”라고 자주 말하곤합니다.
He goes on to say it a few more times. Salvation “emerges from” and “flows from” the gospel, but “the plan of salvation and the gospel are not the same big idea.”

매튜 베이츠는 이를 좀 더  명확하게 말하지만 그 개념은 같은 것입니다:
Again, Matthew Bates says it even more starkly, but the idea is the same:

내 주장은 다르다: 우리들의 믿음에 의한 칭의는 복음의 일부가 아니다. 우리는 칭의와 믿음이 어떻게 각각 분리되어 서로에 관계하며, 복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관계하는 것을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조심스럽게 작업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이것이 복음이다”라고 말하기 시작한다거나 혹은 심지어는 복음의 일부라고 말하기 시작할 때에는, 우리는 성경의 표현을 심각하게 왜곡시키게 되는 것이다.
My claim is different: our justification by faith is not part of the gospel. We need to work cautiously to ferret out exactly how justification and faith separately relate to each other and to the gospel. But when we begin saying that it is the gospel, or even part of the gospel, we seriously distort the Bible’s presentation.

여러분은 여기에서 핵심을 보게됩니다. 만약에 맥나이트나 베이츠와 같은 저자들이 우리에게, 혹은 저에게, 하는 주의사항이나 경고들이 "형제들이여, 오직 그리스도만을 믿은 믿음으로만 얻는 칭의의 진리를 가르치세요, 그러나 그것을 그것의 모든 영광스러운 서술적 내용에 적용하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하십시오" 라는 것이라면 저는 이에 동의하겠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장들은 좀 다른 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들은 "예수는 왕이시다"라는 것이 복음이며, 개인적인 구원, 속죄, 그리고 칭의는 복음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
You see the point here. If the caution and warning to us, even to me, from writers like McKnight and Bates is “Brother, preach the truth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Christ alone, but don’t forget to put it in all its glorious narrative context,” I’m there! But these passages seem to be saying something different. They seem to be saying that “Jesus is king” is the gospel, and that personal salvation, atonement, and justification are not.

예수는 왕이시다—그러나 왕의 역할은 무엇인가?
JESUS IS KING—BUT WHAT DOES THE KING DO?

이러한 것에 대해서 우리는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당연히 우리는 이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해야하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우리가 제시할 수 있는 성경본문은 충분히 있습니다. 그러나 제 생각에는 (이들의 글에는) 수 많은 증거본문들 보다도 더 높은 차원의 잘못이 있는데, 저는 이러한 이유에서 이번 강연의 나머지를 이를 좀 더 구체화하는데 사용하고자합니다. "예수는 왕이시다"는 복음이고, 개인적인 구원, 속죄, 그리고 칭의는 복음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것이며, 이는 이스라엘에서의 왕권이 실질적으로 의미하는 것을 면밀하게 분석하려고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왕의 존재와 그 역할에 대하여 면밀하게 조사하지 않은 것입니다.
What do we say to that? Well, we say it is wrong, and there are plenty of Scripture passages we could unpack to prove it. But I think it’s wrong even on a level higher than a bunch of prooftexts, and that’s what I want to flesh out in the rest of this talk. To say that “Jesus is king” is the gospel, and that personal salvation, atonement, and justification are not the gospel is wrong precisely because it doesn’t grapple with what kingship in Israel actually meant. It doesn’t grapple with who the king is and what he is expected to do.

그러므로 제가 여기서 원하는 것은 여러분이 예수가 왕이시라는 복음을 선언하여야하지만, 왕이 국민을 대신해서 세워졌으며, 국민들이 자신들의 죄로부터 구원을 받도록하기 위해서 대신 죽어야한다는 왕의 역할에 대해서 선언하지 않는다면 복음을 올바르게 선언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자합니다. 
So what I want to do here is show that you should proclaim the gospel that Jesus is king—but you cannot rightly do that without proclaiming what that king does: The king stands in his people’s place, and he suffers and dies in their stead in order to save them from their sins.

제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단순히 부차적인 것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한 왕, 예수가 우연하게 하여야만 했던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백성을 대표하고 자신의 백성을 위해서 고통을 받는 것은 이스라엘에서 왕권이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왕에게 기대되었던 것입니다.
Now hear me out: that’s not just incidental; that’s not just what one king, Jesus, happened to have to done. To represent and to suffer for your people was what the kingship in Israel meant. It’s what the king was expected to do.

십자가 위의 왕?
A KING ON THE CROSS?

질문을 가지고 시작해봅시다: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으심에서 우리는 어떠한 직무를 연관시키려는 경향이 있는지요? 제사장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맞습니다. 히브리서는 우리에게, 예수께서 죽으셨을 때 자신의 백성을 구원하시기 위해서 단번에 완전한 마침이 되는 희생의 제사장으로 드려지셨다고 기록하고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수난의 이야기들에서 어떠한 종류의 이미지가 가득하다는 것을 인지하지 않으셨습니까? 이는 제사장의 이미지가 아닙니다; 바로 왕의 이미지입니다. 예수는 로마군인에 의해서 채찍에 맞으시면서 자색옷이 입혀지시고 왕의 홀로서의 갈대가 주어졌습니다. 십자가에 못박히시면서는 가시관이 씌워졌습니다. 예수는 매달려 돌아가시면서 그의 머리 위에는 "유대인의 왕"이라고 기록되었습니다. 
Let’s start with a question: what office do we tend to associate with Jesus’ death on the cross? Priesthood. And that’s right. Hebrews tells us that when he died, Jesus was acting as a priest to make a once-for-all final sacrifice to save his people. But have you ever noticed what kind of imagery suffuses the passion narratives? It’s not priestly imagery; it’s kingly imagery. As he’s scourged by the Romans, Jesus is dressed in a purple robe and given a reed as a scepter. As he’s nailed to the cross, Jesus is coronated with a crown of thorns. As he hung dying, the sign over Jesus’s head read, “King of the Jews.”

그러므로 예수의 죽으심의 이야기는, 좀 아름다우면서도 여전히 뒤틀려진 조롱의 방식으로, 예수는 제사장으로서가 아니라 왕으로 죽으셨다고 우리에게 절규하고 있습니다. 그의 죽으심은 어느 정도는 특별하게, 그리고 일관되게 왕의 사역입니다. 이는 우리가 종종 왕권에 대하여 생각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왕이라는 것은 능력과 통치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는 예수의 통치권과 위엄에 관해 말할 때, 우리는 예수를 왕들의 왕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그의 고난과 겸손에 대하여 말할 때, 제사장적인 언어로 도달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So the story of Jesus’ death is screaming to us that, in some beautifully and yet wrenchingly ironic way, Jesus is dying not just as priest, but as king. His death is somehow particularly and uniquely king-like work. That’s not how we usually think of kingship. Kings are about power and ruling. When we talk about Jesus’ sovereignty and majesty, we call him King of kings. When we talk about his suffering and humiliation, we tend to reach for priestly language.

그러나 여기에 바로 오늘 여러분들이 보고서 기뻐해야 할, 제가 원하는 것이 있습니다: 자신의 백성을 대신하는 예수의 죽으심과 그들을 자신들의 죄로부터의 구원하심은, 그의 왕으로서의 직무와 자연스럽게, 올바르게, 그리고 본질적으로 결합되어있는 것입니다. 사실 이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왕권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예수가 고난받는 구원자이심을 동시에 선언하지 않고서는 예수의 왕되심을 올바르게 선포할 수 없습니다. 성경의 전체적인 맥락은, 하나님의 백성이 단지 왕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도살당하신 왕의 피에 의해서 구원받을 것이라는 복음을 향하여있다는 것이 바로 제가 여러분에게 보여주고자하는 것입니다.
But here’s what I want you to see and rejoice in today: Jesus’s death in his people’s place, his salvation of them from their sins, is naturally, rightly, and inherently tied to his office as king. In fact, you can’t understand kingship without understanding that. You cannot rightly proclaim Jesus as king without proclaiming him also as Suffering Savior. That’s what I want to try to show you—that the whole Bible strains toward the good news that God’s people will be saved not just by a king, but by the blood of a Slaughtered King.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예
A BIBLICAL-THEOLOGICAL CASE

이러한 목적에서 약간의 성경 신학을 하면서, 특별히 왕권, 대표성, 그리고 고난이라는 성경 이야기의 문맥을 따라 몇 가지 주제를 추적해 봅시다. 우리는 이를 네가지 장면에서 볼 것입니다.
To that end, let’s do a bit of biblical theology, tracing a few themes through the storyline of the Bible—particularly Kingship, Representation, and Suffering. We’ll look at this in four acts:

동산에서의 왕
이스라엘에서의 왕
예언서에서의 왕
자신의 아름다움에서의 왕
동산에서의 왕
The King in the Garden
The King in Israel
The King in the Prophets
The King in His Beauty
The King in the Garden

창세기 1장 28절은 하나님의 형상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으로하여금 땅을 지배하고 다스리도록 명령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으로하여금 동물들의 이름을 짓도록 하셨읍니다. 하나님께서는 권위의 구조를 설립하신 것입니다. 이것이 사탄이 뱀의 모습으로 이브에게 온 이유입니다. 사탄은 하나님께서 창조 조직에 세우신 모든 권위의 구조들을 거꾸로 뒤집어서 전복시키길 원합니다.
Genesis 1:28 defines what it means to be the image of God. God commissions Adam to have dominion and subdue the earth. He has him name the animals. God is setting up structures of authority. This is why Satan comes to Eve and as a snake. He wants to upend and overthrow all the structures of authority that God had placed into the fabric of creation.

우리는 이미 왕권이 취하는 모습의 의미와 목적을 볼 수 있는데, 왕의 역할은 하나님을 그의 창조 세계에 올바르게 투영시킴으로서 의 가운데 행동하는 것입니다. 그는 동산을 지켜야만 했습니다. 이것이 아담이 하기로 되어있었던 것이었지만, 그는 이러한 역할에 실패하였던 것이었습니다.
Already we can see the meaning and purpose of kingship taking shape—the role of the king is to act in righteousness by rightly imaging God to His creation. He must protect the Garden. That’s what Adam was supposed to do, and he failed to do it.

우리는 아담이 하나님 아래서 두 가지 직책을 가지고 있었던 것을 알아야만 합니다. 그는 왕이었습니다—여러분은 이를 통치 언어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또 다른 직책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창세기 2장 15절에서는 아담이 동산을 경작하고 지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경작하다는 아바드라는 단어는 정확히 그것이 들리는 그대로를 의미합니다. 아담은 동산의 관리인으로서 동산을 경작하고 동산의 성장과 아름다움이 자라도록 격려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동산을 지켜야만 했는데, 이는 단순히 동산을 현재적으로 지키는 것 이상의 것을 의미합니다. 그보다는 "보호"한다거나 "방어"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어떠한 악한 것이나 불결한 것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확실하게 하여야 했으며, 만약에 이러한 일이 발생할 경우 악이 심판을 받고 쫓겨나도록 확실하게 했어야만 했습니다.
We should note that Adam held two offices under God. He was king—you can see that in the dominion language. But he held another office as well. Genesis 2:15 says that Adam needed to “work” and “keep” the garden. The word “work,” abad, means exactly what it sounds like. Adam was to be the caretaker of the garden, to cultivate it and encourage its growth in maturity and beauty. And he was to “keep” (shamar) the garden, which means more than just keeping it presentable. It means, rather, “guarding” it, “protecting” it, and making sure that nothing evil or unclean ever entered it, and if it did, to make sure that evil was judged and cast out.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두 가지 단어, "일"이라는 아바드와 "지키다"라는 샤마르가 아담 뿐만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성전/성막에서 제사장의 직무를 정확하게 묘사하는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닙니다. 에덴 동산은 그 근본적인 본질에 있어서 하나님이 사람과 함께 하시는 완전한 성전이었습니다. 성막과 성전을 아바드하고 샤마르하였던 제사장과 같이 아담도 성전을 아바드하고 샤마르했던 것입니다. 아담은 에덴에서의 단순한 왕이 아니었습니다; 아담은 제사장이면서 왕이었습니다. 아담에게 제사장직과 왕직은 서로 연합되어 있었습니다.
What’s fascinating is that these two words, abad, “work” and, shamar, “keep,” are the precise job description not only of Adam, but of the priests in Israel’s temple/tabernacle. That’s not just a coincidence. The Garden of Eden was, in its very essence, a perfect temple—the dwelling place of God with man. And like the priests who would abad and shamar the tabernacle and the temple, so Adam was to abad and shamar the temple of the Garden of Eden. He was not only king in Eden; he was priest-king. The offices of priest and king were united in him.

물론 결론은 아담은 에덴에서 제사장-왕으로서 동산을 보호하는 행동을 했어야만 했습니다. 그는 뱀을 처형했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사탄의 반역에 동참하였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그를 여자와 뱀과 함께 동산에서 쫓아내시고 천사로 하여금 입구를 지키게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화염검으로 생명 나무에 이르는 길을 완벽하게 지키(샤마르)셨습니다(창 3:24). 아시겠습니까? 만약에 대리 통치자가 동산을 샤마르하지 못한다면, 높으신 왕이 직접 그렇게 하십니다. 
The upshot, of course, is that, as the priest-king in Eden, Adam should have acted to protect the Garden. He should have executed the snake. But he didn’t. He joined Satan’s rebellion. Thus God cast him out of the garden, along with the woman and the serpent, and placed an angel at the entrance. He would, with a flaming sword, fascinatingly, “guard [shamar] the way to the tree of life” (Genesis 3:24). See? If the vice-regent would not shamar the garden, the High King would do so himself.

창세기 3장의 끝부분에 와서는 상황이 절망적으로 보입니다. 죄가 권세를 잡고, 죽음이 지배하기 시작하였으며, 여러분이 이야기를 미리 알고있지 못했다면, 여러분은 어떠한 희망도 없었을 것을 우려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대변혁에서의 희망의 빗장으로서, 하나님께서는 아담이 실패한 것을 대신 하게될 누군가 다른 이가 오게될 것이라고 약속하신 창세기 3장 15절을 기억할 것입니다.
By end of Genesis 3 the situation looks hopeless. Sin takes hold, death begins to reign, and if you didn’t know the story already, you’d wonder if there is any hope at all. But then you remember Genesis 3:15—a bolt of lightning in the cataclysm—in which God promises that someone else will come who will do what Adam failed to do.

여기서 "왕"이라는 단어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이 "여자의후손"이 아담이 실패한 왕적인 통치를 실행할 것은 분명합니다. 그는 아담이 떨어뜨린 검을 집어들고서, 아담이 동맹한 원수를 죽일 것이며, 아담이 패배한 전쟁에서 승리할 것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아담은 왕이 되기를 실패하였지만, 그는 최종적으로 왕이 되실 것입니다.
The word “king” isn’t used there, but it’s clear that this “seed of the woman” will exercise the kingly dominion that Adam failed to. He’ll pick up the sword that Adam dropped, slay the Enemy that Adam allied with, and win the battle that Adam lost. In other words, he’ll finally be the king that Adam failed to be.

이러한 점에서, 성경 전체의 줄거리는 커다란 질문을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합니다: "누가 창세기 3장 15절에서의 새로운 왕에 대한 약속된 성취가 될 것인가?" 누가 왕이며, 그가 어떻게 아담이 하나님께 대한 반역으로 입힌 손상을 회복시킬 것인가?
From that point, the whole storyline of the Bible begins to revolve around the great question: “Who is going to be the fulfillment of the promise of a new king in Genesis 3:15?” Who is the king, and how does he repair the damage that Adam has done by his rebellion against God?

우리는 이러한 질문이 창세기의 나머지 부분에서 실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4장에서는 가인이 아닌가 의심해 보게 되고, 창세기 5장 29절에서 라멕은 진짜 노아가 아닌가 생각해 보게됩니다. "이름을 노아라 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하리라 하였더라". 창세기 3장 15절의 성취에 대한 희망이 단순히 왕의 오심이 아니라, 죽음과 저주를 바꾸어 놓을 왕이라는 것은 놀랄만한 일입니다. 정확하게는 이러한 관점에서 그가 하실 일은 아직 막연한 것이지만, 이와같은 이야기의 초기 부분에서 제가 여러분이 알기를 원하는 것은, 창세기에서 선언된 복된 소식이 단순한 왕의 오심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복된 소식이란, 왕의 오심이 구원, 즉 저주의 종결과 죄로부터 기인된 죽음과 하나님으로부터의 분리를 회복시키는 구원을 의미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왕이 하는 것입니다.
We can see that question working itself out in the rest of Genesis. In chapter 4, we wonder if it’s Cain, then in Genesis 5:29, Lamech really thinks its Noah. “Out of the ground that the Lord has cursed, this one shall bring us relief from our work and from the painful toil of our hands.” It’s also striking that the hope of a fulfillment of Genesis 3:15 isn’t just the coming of a king, but a king who will reverse death and the curse. Exactly how he’s going to do that is still cloudy at this point, but here’s what I want you to see, even this early in the story: The good news proclaimed in Genesis is not just the coming of the king. The good news is that the arrival of the king will mean salvation—it will mean an end to the curse, and a reversal of the death and separation from God that resulted from sin. That’s what the king does.

창세기의 이어지는 몇몇 장들에서는, 창세기 3장 15절에서의 오실 왕에 대한 약속이 한 사람, 아브라함과 그로부터 기인된 민족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됩니다.
Through the next few chapters of Genesis, that Genesis 3:15 promise of a coming king focuses on one man, Abraham, and the nation that would come from him.

이는 우리를 두 번째 장으로 인도합니다.
That brings us to the second act.

이스라엘에서의 왕
The King in Israel

창세기 12장에서는,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 아브라함에게 집중되는 것이 분명해집니다. 그로부터 후손이 나올 것이며, 이 (창세기 3장 15절에서와 같은 용어인) 자녀가 세상의 족속들에게 저주 대신에 축복을 가져올 것입니다. 그러나 창세기 3장 15절의 성취로서의 약속된 자녀는 아브라함도 아니며, 이삭도 아니며, 야곱도 아닙니다. 사실 창세기의 나머지 부분은 Kill the Carrier라는 거대한 게임과도 같습니다. 루우벤? 아닙니다, 그는 자신의 아버지의 첩과 동침했습니다. 시몬? 아닙니다. 레위? 아닙니다. 그들은 세겜에서 완전히 고약한 일을 저질렀습니다. 혹시 유다는? 아닙니다, 다말과의 불행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요셉; 그가 약속된 왕일 것이다!
In Genesis 12, it’s clear that God’s promise of salvation has localized on Abraham. From him will come the Seed, the Offspring (same word as Gen 3:15) who will bring blessing instead of curse to the families of the world. But the promised seed, the fulfillment of Genesis 3:15, is not Abraham, nor Isaac, nor Jacob. In fact, the rest of Genesis reads like a giant game of Kill the Carrier. Reuben? Nope, sleeps with his father’s concubine. Simeon? Nope. Levi? Nope. They do the whole nasty thing in Shechem. Maybe Judah? Nope, unfortunate incident with Tamar. Oh, it’s Joseph; he’s the promised King!

하지만 그 다음에 우리는 창세기 49장 10절을 보게됩니다. "규가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통치자의 지팡이가 그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기를 실로가 오시기까지 이르리니 그에게 모든 백성이 복종하리로다!" 놀랄 일입니다. 결국은 유다입니다. 그리고 창세기 3장 15절의 약속은 아직 거기에 머물러있으며 감질나게 애를 태우지만 실현되지는 않았습니다.
But we find then Genesis 49:10. “The scepter shall not depart from Judah, nor the ruler’s staff from between his feet, until he comes to whom it belongs!” Shocking; it’s Judah after all. And the promise of Genesis 3:15 still hangs there, tantalizing but unrealized.

모세 오경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도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백성들에게 왕이 올 것이라는 약속을 유지하시고 계십니다. 심지어는 민수기 24장에서 이방인 마술사인 발람은 미래를 가리키며 예언합니다, "내가 그를 보아도 이 때의 일이 아니며 내가 그를 바라보아도 가까운 일이 아니로다 한 별이 야곱에게서 나오며 한 규가 이스라엘에게서 일어나서. . . . 주권자가 야곱에게서 나서 남은 자들을 그 성읍에서 멸절하리로다." 여러분은 창세기의 메아리들을 쉽게 들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
Through the rest of the Pentateuch, God keeps promising his people that the king is coming. In Numbers 24, even this pagan sorcerer Balaam points to the future and says, “I see him, but not now; I behold him, but not near. A star shall come out of Jacob, and a scepter shall rise out of Israel. . . . And one from Jacob shall exercise dominion.” You can easily hear the echoes of Genesis.

그러나 아직은 약속이 다가오기에는 멀었습니다. 사사기의 끝 무렵에서 우리는 계파들의 혼란과 연약함의 한 가운데에서 불길한 반복구를 듣게됩니다: "이스라엘에게는 왕이 없었더라."
But still, the promise is long in coming. By the end of Judges we hear the ominous refrain in the midst of rank chaos and wickedness: “There was no king in Israel.”

마침내 사무엘서에서 왕이 나타납니다. 사무엘 상하의 이야기는 표면적으로는 이스라엘이라는 국가가 어떻게 왕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의 밑바탕과 그 안에는 다른 것이 있는데, 이는 이스라엘에서의 왕위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하나님의 가르치심의 이야기입니다. 다윗에 와서 왕의 역할과 책임이 선명해지기 시작합니다.
In the books of Samuel a king finally arrives. The story of 1 and 2 Samuel, on its face, is the story of how the nation of Israel got a king. But underneath and within that story is another one—the story of God teaching what Kingship in Israel was all about. In Davi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King begin to become clear.

이러한 책임이라는 것들이 무엇이겠습니까? 대표성과 고난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이것이 왕이 하여야할 것이라는 것이 분명해집니다. 그는 자신 안에서 백성을 대표하고있으며 고난을 감당합니다. 이 두 가지에 대하여 생각해봅시다.
What are those responsibilities? They are particularly representation and suffering. As the story plays out, it becomes clear that this is what the king does. He represents the people in himself and he suffers. Let’s think about both.

먼저 대표성입니다. 이는 감을 잡기에 대단히 어려운 개념은 아닙니다. 통치자는 그들 국가의 실제적인 정체성을 대표하고 있다고 흔히들 말합니다. 이는 이스라엘의 왕위에서의 강력한 주제였으며,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문구를 생각해 봅시다. 우리는 이것이 삼위일체의 두 번째 위격이 되신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를 언급하고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또한 잘 알려진바대로 이스라엘 왕을 칭하는 보좌의 명칭이었습니다.
First, representation. This isn’t a terribly hard concept to grasp. Sovereigns are often said to represent the very identity of their nation. This was a strong theme in Israelite kingship, and we can see it in several ways. For instance, think about the phrase “Son of God.” We know it refers to Jesus being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the Son of God. But it was also a well-known throne title for King of Israel.

"나는 그에게 아버지가 되고 그는 내게 아들이 되리니"(삼하 7:14)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너는 내 아들이라"(시 2:7)
하나님께서는  왕에게 말씀하십니다, "그가 내게 부르짖기를, 주는 나의 아버지시요 나의 하나님이시요 나의 구원의 바위시라 하리로다
내가 또 그를 장자로 삼고 세상 왕들에게 지존자가 되게 하며"(시 89:26-27)
그렇다면 대표자로서 이스라엘 왕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떤 이유에서 이와같이 "아들됨"이라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까?
“I will be to him a father, and he will be to me a son” (2 Sam. 7:14).
“The LORD said to me, ‘You are my Son’” (Ps. 2:7).
God says of the king, “He shall cry to me, ‘You are my Father, my God, the Rock of my Salvation, and I will make him the firstborn, the highest of the Kings of the earth’” (Ps. 89:26).
Now, why would this use of “sonship” language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role of Israel’s king as representative? 

자 그럼 출애굽기 4장 22-23절을 살펴봅시다: “너는 바로에게 이르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이스라엘은 내 아들 내 장자라 내가 네게 이르기를 내 아들을 보내 주어 나를 섬기게 하라 하여도 네가 보내 주기를 거절하니 내가 네 아들 네 장자를 죽이리라 하셨다 하라 하시니라” 왕이 하나님의 “아들”이고 “장자”인 이유는 이스라엘이 먼저 하나님의 “아들”이었고 “장자”였기 때문입니다. 아시겠습니까? 이스라엘의 정체성은 왕 안에서 취하여지고 요약 되어졌습니다. 그들은 왕과 연합되어 있었습니다. 왕은 이스라엘을 대표합니다.
Well, consider Exodus 4:22–23: “Then you shall say to Pharaoh, ‘Thus says the Lord, Israel is my firstborn son, and I say to you, ‘Let my son go that he may serve me.’” The reason the king was the “son” and “firstborn” of God was that Israel first was the “son” and “firstborn” of God. Do you see? The identity of Israel was taken up and summed up in the King. They were united to him. He represented them.

대표한다는 것은 왕이 국민을 위해서 행동하는 중요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져 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왕이 한 것은 국민이 한 것입니다. 왕이 한 것은 국민에게 결과로 나타납니다. 역대상 21장 3, 7절을 봅시다. 요압은 다윗에게 인구조사를 하지 말기를 간청합니다. 요압은 다윗에게 요청하기를: “내 주께서 어찌하여 이 일을 명령하시나이까? 어찌하여 이스라엘이 범죄하게 하시나이까?” 그러나 왕의 말은 요압을 제압하였습니다….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것에 화가 나셨으며, 이스라엘을 치셨습니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아시지않습니까? 왕은 행동하였고, 왕은 범죄하였으며, 그 결과로 국민이 고통을 받았습니다. 시편 89편도 봅시다:
That representation meant that the king was understood in important ways to act for the nation. What he did, they did. What he did had ramifications for them. Consider 1 Chronicles 21:3, 7. Joab is pleading with David not to take a census of the people. He asks him: “‘Why then should my lord require this? Why should it be a cause of guilt for Israel?’” But the king’s word prevailed against Joab. . . . But God was displeased with this thing, and he struck Israel.” Did you notice what happened? The king acted, the king sinned, and the nation suffered the consequences. Consider also Psalm 89:

주께서 주의 기름 부음 받은 자에게 노하사 물리치셔서 버리셨으며 
주의 종의 언약을 미워하사 그의 관을 땅에 던져 욕되게 하셨으며
But now you have cast off and rejected;
you are full of wrath against your anointed.
You have renounced the covenant with your servant;
you have defiled his crown in the dust.

그의 모든 울타리를 파괴하시며 그 요새를 무너뜨리셨으므로 
길로 지나가는 자들에게 다 탈취를 당하며 그의 이웃에게 욕을 당하나이다 
You have breached all his walls;
you have laid his strongholds in ruins.
All who pass by plunder him;
he has become the scorn of his neighbors.

주께서 그의 대적들의 오른손을 높이시고 그들의 모든 원수들은 기쁘게 하셨으나 
그의 칼날은 둔하게 하사 그가 전장에서 더 이상 버티지 못하게 하셨으며
You have exalted the right hand of his foes;
you have made all his enemies rejoice.
You have also turned back the edge of his sword,
and you have not made him stand in battle.

왕에게 일어난 일이 국민에게 일어났으며, 국민에게 일어난 일이 왕에게 일어났습니다. 그들은 서로가 분리될 수 없게 연합되어 있습니다. 왕은 국민을 대표하며, 그들의 자리에 서 있습니다.
What happens to the king happens to the people, and what happens to the people happens to the king. They are inseparably united to one another. He represents them; he stands in their place.

대표성 이외에도 다윗의 삶은 고난 받는 것이 왕의 신분의 또 다른 주된 주제임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왕이 된다는 것은 고난을 받는 것입니다. 이는 바로 이야기 속에 담겨있습니다ㅡ다윗의 삶은 궁전에서의 안락한 삶이 아니라 고난의 삶입니다. 그는 광야에서 살았으며, 그는 적의 포로가 되었으며, 심지어는 왕위에 올랐을 때 그는 쉽지 않은 시간을 보내었습니다. 그의 통치는 가족의 반란과 시민 전쟁, 그리고 죄의 결과 등으로 파괴되었습니다. 사실 하나님께서는 다윗 언약에서 왕에게 고난을 약속하셨습니다: “저가 만일 죄를 범하면 내가 사람 막대기와 인생 채찍으로 징계하려니와”(삼하 7:14). 시편을 보십시오. 시편의 많은 부분이 다윗이 괴로움과 고통ㅡ어떤 때는 개인으로서, 그러나 어떤 때는(특히 2권에서) 국민의 소리로ㅡ 부르짖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권이 끝나갈 무렵인 시편 89편에서는 왕의,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국민 자체의, 부끄러움과 절망을 보여주고 있을 뿐입니다.
Besides representation, David’s life teaches that suffering is another major theme of kingship. To be king is to suffer. It’s right there in the story—David’s life is not one of royal ease; it’s one of suffering. He lives in the wilderness, he’s captured by enemies; even when he takes the throne, he doesn’t have an easy time. His reign is wracked by family strife, civil war, and consequences for sin. In fact, God promises suffering for the king in the Davidic Covenant: “When he commits iniquity, I will discipline him with the rod of men, with the stripes of the sons of men” (2 Sam 7:14). Read the Psalms. Many of them show David crying out in distress and pain—sometimes as an individual, but sometimes (especially in Book 2) as the voice of the nation. By end of Book 3, Psalm 89 reveals nothing but shame and despair for the king and therefore for the nation itself.

이제 정리를 해봅시다. 왕위가 발전되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습니까? 동산에서 아담은 왕으로서 하나님을  피조물에 올바르게 형상화하면서 의롭게 지배하는 행동을 하여야만 했습니다. 왕인 아담은 실패하였지만 또 다른 왕이 약속되었습니다. 이 약속은 이스라엘의 왕인 다윗과의 언약에서 구체화되면서, 다윗 왕은 이스라엘에서의 왕권의 진정한 속성은 자신 안에  국민을 대표하고 고난을 받는 것임을 알게 된 것입니다.
So let’s take stock. Can see picture of kingship developing? In the Garden, Adam the king must act in righteous dominion by imaging God correctly to creation. King Adam fails, but another is promised. That promise crystallizes in a covenant with David, King of Israel, who learns that the very nature of kingship in Israel is to represent the people in himself and to suffer.

그러나 이것이 어떻게 구원의 결과를 가져오는지 아직은 분명하지가 않습니다. 이것들은 의미에 있어서 전혀 다른 것이며, 서로 연결되어있지 않은 파편들입니다. 왕은 대표를 해야하며, 왕은 고난을 받아야합니다. 그러나 무엇이 이러한 것들을 서로 연관되게 할 수 있겠습니까?
It’s still not clear, though, how this is going to result in salvation. These are disparate, unconnected shards of meaning. The king would represent and the king would suffer. But what do those things have to do with each other?

확실한 것은, 이스라엘은, 한 존재가 다른 존재를 위해서 고난을 받고, 죽음으로서 다른 존재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 대리적 고난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희생 제도의 전체적 교훈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제사장의 영역이었으며, 왕의 영역은 아니었습니다. 사실 왕이 제사장의 의무를 실행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웃시아 왕이 이러한 일을 시도하였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를 나병으로 치셨으며, 그는 도시 바깥의 나환자 촌에서 죽었습니다. 이것이 다윗 왕조가 가장 난점 가운데 한 가지였습니다.
Sure, Israel had an understanding of vicarious suffering—one thing suffering for another, dying so that another wouldn’t have to. That’s the whole lesson of the sacrificial system. But that was the realm of the priests, not the king. In fact, it was forbidden for the king to do the duties of the priest. When King Uzziah tried, God struck him with leprosy and he died outside the city in a village of lepers. That’s one of the lowest points of Davidic Dynasty.

그렇다면 왜 이러한 왕권의 의미의 분리된 조각들이 나실인의 파편과 같이 놓여 있겠습니까? 이것들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이것들을 함께 모아 놓는다면 무엇이 되겠습니까? 그렇게 한다면 선지자들이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에 대하여 좀 더 드러낸 것과 같이 좀 더 선명해질 것입니다.
So why these disparate pieces of the meaning of kingship, lying there like the shards of Narsil? What do they mean? What do they become when you put them together? That would become a bit clearer as prophets revealed more of God’s plan and purpose.

예언서에서의 왕
The King in the Prophets

다윗의 생애가 끝나갈 무렵, 그는 창세기 3장 15절의 성취가 아니었음이 분명해졌습니다. 그는 약속된 왕의 희미한 모습이었지만,  그는 왕의 홀이 주어지는 이가 아니었습니다. 결국, 다윗의 가족은 그를 대항하여 반역을 하였으며, 그의 아들 아도니아는 그의 죽어가는 부친이 침대에서 아름다운 여인의 따스함으로 보호 받고 있는 동안 왕좌를 찬탈하려고 하였습니다. 이것은 분명 능력의 그림은 아닙니다.
By end of David’s life, it was clear he wasn’t the fulfillment of Genesis 3:15. He was a blurry picture of the promised king, but he wasn’t him to whom the scepter belongs. In the end, David’s family was in rebellion against him, and Adonijah his son tried to usurp the throne while his dying father was kept warm in bed by a beautiful woman. This isn’t exactly a picture of strength.

상황은 더 나아지지가 않았습니다. 솔로몬의 통치는 잠시동안은 영광스러웠지만 그의 죄로 인하여 붕괴되었습니다. 그의 아들 르호보암은 재앙이었으며, 그의 통치의 결과는 다윗의 왕좌를 두 개의 다른 왕국으로 분열시키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북왕국은 앗시리아의 침략을 받아 유배를 당하고, 다시는 소식이 들리지 않았으며, 남왕국은 바벨론에 두 번이나 침략을 당하였습니다.
The situation didn’t get better. Solomon’s reign was glorious for a time but collapsed because of his sin. His son Rehoboam was a disaster, the result of his reign being the splitting of the throne of David into two different kingdoms. Ultimately, the northern kingdom was invaded by Assyria and carried away into exile, never to be heard from again, and the southern kingdom was invaded twice by Babylon.

그러나 양쪽 모두의 왕국에서 이러한 모든 과정을 통해서, 하나님께서는 이들 모두에게 일련의 선지자들을 보내시면서 국민들에게 회개를 요구하시면서 동시에 미래를 가리키면서, 창세기 3장 15절의 약속을 지키실 것이라는 하나님의 의도를 재확인 시켜주었습니다. 수 세기에 걸쳐서 선지자들은 이러한 왕권과,연합, 대표성, 그리고 고난의 줄기들을 끄집어내서, 이러한 것들로부터, 그들을 위해서 고난을 받고 그들을 구원함으로서 자기 백성들을 대표할 놀랄만한 왕의 모습을 엮어내기 시작하였습니다.
Through all this, though, in both kingdoms, God sent a series of prophets both to call the nation to repentance and to point them to a future, reaffirming God’s intention to keep the promise of Genesis 3:15. Through the centuries, prophets picked up these threads of kingship, union, representation, and suffering and began to weave them together into a breathtaking picture of a king who would represent his people by suffering for them, and so save them.

이와같은 것을 몇 군데에서 살펴보겠습니다.
Let me show you this in a few places.

먼저 이사야서를 보겠습니다. 이사야 예언의 처음 부분을 우리는 왕의 책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하나님께서는, 심지어 웃시아의 끔찍스러운 죽음에도 불구하고, 창세기 3장, 민수기 24장, 사무엘하 7장, 시편 2편 등에 쌓여있는 약속들을 지키시겠다는 자신의 결정을 재확인시켜주십니다. 우리는 이사야서의 두 번째 부분을 고난받는 종의 책이라고 부릅니다. 그 안에는 백성들의 죄악의 희생물로서 자신의 백성을 대신하여서 고난을 받으시는 주의 고난받는 종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이사야서 53장에서 두드러지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들이 이사야서를 읽으시면서 더욱 놀라게되는 것은, 이 약속된 왕과 고난받는 종이 한 사람이면서 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제 이 파편 조각들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 보이지 않습니까? 우리는 이제서야 어떻게 국민에 대한 왕의 대표성과 왕의 고난이 하나로 합쳐지는지를 보기 시작합니다. 창세기 3장 15절은, 단순히 고난받는 왕이 아니라, 국민의 대표자로서 그들을 위해서 그들을 대신해서 고난받는 왕에 의해서 성취될 것입니다.
First, look at Isaiah. The first part of Isaiah’s prophecy we might call The Book of the King. In it, God reaffirms his determination, even in the wake of Uzziah’s awful death, to keep the now-piled-up promises of Genesis 3, Numbers 24, 2 Samuel 7, and Psalm 2. The second part of Isaiah we might call the Book of the Suffering Servant. It in, this suffering Servant of the Lord suffers in the place of his people as a sacrifice for their sins. We see this preeminently in Isaiah 53. But the shocker is that as you read Isaiah, you realize that this Promised King and this Suffering Servant are one and the same person. Do you see the shards coming together? We can now begin to see how the king’s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nd the king’s suffering fit together. Genesis 3:15 would be fulfilled by a king who would not just suffer, but would suffer as the representative of his people—for them, in their place.

두번째로는, 스가랴서를 봅시다. 스가랴는 분리되어있는 두 가지의 직책인 제사장과 왕에게 초점을 맞추고있습니다. 에덴에서의 타락 이후에, 이러한 직책들은 언제나 분리되어왔습니다. 왕은 통치를 하지만 제사장은 속죄를 위한 희생을 실행합니다. 그러므로 스가랴는 나와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백성을 제사장과 왕이라는 두 가지 직책을 통해서 구원하실 것이라는 놀랍지도 않은 말을 하게됩니다. 그러고나서 우리는 3장에서 그 때의 대제사장인 여호수아를 소개하는 환상을 보게되며; 그 다음에는 4장에서 통치지인 스룹바벨을 소개하는 또 다른 환상을 보게됩니다.
Second, look at Zechariah. Zechariah focuses on both priest and king—two separate offices. Since the Fall in Eden, these offices had always been separated. The king rules, while the priest performs the sacrifices of atonement. So Zechariah comes along and says—unsurprisingly—that God is going to save his people through those two offices of priest and king. Then in chapter 3 we find a vision that introduces Joshua the high priest of the time; then another vision in chapter 4 that introduces Zerubbabel the governor.

그러고나서는 놀라운 일이 일어나게됩니다.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사로잡힌 자 가운데 바벨론에서부터 돌아온. . . .  은과 금을 받아 면류관을 만들어 대제사장 여호수아의 머리에 씌우고(슥 6:9-11)
But then something astonishing happens. “And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me: ‘Take from the exiles who have arrived from Babylon. . . . Take from them silver and gold, and make crowns, and set it on the head of Joshua the high priest” (Zechariah 6:9–11).

잠깐, 무엇이라고요? 우리는 즉각 두 가지 문제에 마음이 사로잡히게 됩니다. 첫번째로는, 그들은 다수의 왕관을 만들어야 할 것을 생각하였었습니다. 그러나 누군가의 머리에 씌우질 단 하나의 왕관을 말하고 있습니다. 누구의 머리라고요? 통치자인 스룹바벨이 아니라 대제사장인 여호수아의 머리입니다. 놀라운 일입니다! 이는 놀라운 일이어서 사람들은 스가랴가 이름을 잘못 선택하였으며 스룹바벨에게 왕관이 씌워져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바로 핵심이 이것입니다. 이와같이 활성화된 비유는 어느날엔가는 왕위와 제사장직이 함께 나타날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두 개의 왕관은 하나로 합쳐지게됩니다. 이스라엘은 더 이상, 속죄하고 희생을 실행할 제사장과 통치하고 대표하며 고난을 당할 왕을 갖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보다는 다시 하나로 합쳐진 제사장-왕이 백성을 대표할 것이며, 자신을 그들을 위한 희생 제물로 드릴 것입니다.
Wait, what? Our mind is immediately caught by two problems. First, they are supposed to make crowns—plural. But then it says to set it—singular, one crown—on somebody’s head. And who’s head? Not Zerubbabel the governor, but Joshua’s, the high priest’s head. This is shocking! It’s so shocking that people have asserted that Zechariah got the name wrong and Zerubbabel should have been the one crowned. But that’s whole point! This enacted parable shows that one day, kingship and priesthood would merged together. The two crowns are forged into one. No longer will Israel have a priest who would atone and perform sacrifices and a king who would rule and represent and suffer. Rather, once again, a single, united priest-king would represent the people, and offer himself as a sacrifice for them.

스가랴서의 후반부에서는 이를 적용시킵니다. 여기서는 국민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왕을 거부하며, 그를 찌르고 못박으며, 그의 죽으심으로 어떻게 구원이 흘러 나올 것인지 말해주고있습니다. 왜 왕은 자신의 백성들을 위해서 고통을 받으셔야만 했는지요? 이는 이것이 왕이 해야할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사랑 가운데, 자신들의 백성들이 스스로 감당했어야만 했던 진노를 제거하기 위해서 자신의 백성의 자리에 서 있는 것입니다.
The second half of the book of Zechariah drives this home. It tells how the people reject their king, pierce him and run him through, and salvation will flow from his death. Why does this happen? Why does the king have to be stricken for his people? Because that’s what the King does. In love he stands in the place of his people to absorb the wrath that should have been theirs.

아름다움에서의 왕
The King in His Beauty

물론 이 모든 것은 천사가 마리아에게 “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그가 큰 자가 되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어질 것이요 주 하나님께서 그 조상 다윗의 왕위를 그에게 주시리니 영원히 야곱의 집을 왕으로 다스리실 것이며 그 나라가 무궁하리라”(눅 1:31-33) 라고 말할 때 궁극적인 최종 목적지에 이르게되며 성취됩니다.
Of course, all this comes to its ultimate end, goal, and fulfillment when the angel says to Mary, “Behold, you will conceive in your womb and bear a son, and you shall call his name Jesus. He will be great and will be called the Son of the Most High. And the Lord God will give to him the throne of his father David, and he will reign over the house of Jacob forever, and of his kingdom there will be no end” (Lk. 1:31–33).

모든 복음은 “이 분이 바로 그 왕이시다”라고 외칩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해해야할 것은, 그리고 예수 자신이 이해하시는 것은, 왕관을 쓰고 왕이 된다는 것은, 또한 죽어야만하는 고난받는 종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All the gospels scream, “This is the King!” But now we understand—and Jesus himself understood—that to take the crown, to be the King, was also to be the suffering servant who would have to die.

제가 생각하기에 성경 전체를 통해서 가장 특별하고 가슴 아픈 순간 가운데 한 가지는 예수의 세례입니다. 하늘로부터 들려온 말씀을 기억하십니까?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 이러한 말씀에는 의미들이 함축되어 있으며, 이는 우리로 하여금 이 모든 것이 어떻게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는지를 볼 수 있게끔 도와줍니다.
I think one of the most extraordinary and poignant moments in entire Bible is the baptism of Jesus. Remember what the voice from heaven says? “This is my beloved Son, in whom I am well pleased.” That statement is packed with meaning, and it helps us see how all this came to its fulfillment in Jesus.

우리는 이러한 말씀에서 세 가지 것을 듣게됩니다.
We are told three things about Jesus in that statement:

첫 번째는 “나의 사랑하는 아들입니다.” 이는 성부 하나님의 선포로서, 예수는 그의 매우 사랑하시는 아들이시며, 사도 요한이 설명한 바와같이, 하나님의 독생자이신 아들이시며,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태초부터 진실로 하나님이셨던 분이십니다.
First, “my beloved Son.” This is God the Father’s announcement that Jesus is his dearly-loved Son, the one who, as the apostle John puts it, is God’s one-and-only begotten Son, the one who was with God and who in fact was God from the very beginning.

두 번째로는, 하나님께서 선언하신 것과 같은 구절에서, 예수는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메시아로서, 이스라엘의 왕이셨다고 다시 말씀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백성들을 애굽에서 부르실 때 이스라엘을 “나의 아들”이라고 처음 부르셨습니다. 그러나 나중에는 이러한 호칭이 하나님 앞에서 전체 백성의 대표자로서의 왕에게 주어졌습니다. 여기서 예수께 이러한 호칭이 주어진 것이며; 예수는 왕과 대표자의 직무를 담당하게 된 것입니다.
Second, with this same phrase God declared, again, that Jesus was the long-awaited Messiah, the King of Israel. God first called Israel “my Son” when he brought the nation out of Egypt. But later the title was given to the king, the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nation before God. Jesus is here given that title; he steps into the office of King and Representative.

마지막으로는 “나의 사랑하는 아들이다,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입니다. 이는 평범한 말씀인 것 같지만, 이는 예수가 담당하여야 할 또 다른 직책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 말은 이사야서 42장 1절을 반영하고 있는데, 여기서 하나님께서는 "내가 붙드는 나의 종, 내 마음에 기뻐하는 자 곧 내가 택한 사람을 보라" 고 말씀하십니다. 나의 종은, 사람들에 의해서 경멸 당하고 거절될 종과 같은 종으로서, 자기 사람들을 대신해서 고난을 받을 사람입니다. 여기에 그는 고난받는 종이 있었습니다.
Finally, “my beloved Son, with whom I am well-pleased.” This seems like a plain statement, but it points to another office that Jesus was stepping into. These words reflect Isaiah 42:1, where God says, “Behold my servant, whom I uphold, my chosen (or beloved) one, in whom my soul delights.” My servant—the same servant who would be despised and rejected by men, who would suffer in the place of his people. Here was the suffering servant.

예수는 자신의 세례와 하늘로부터의 이와같은 말씀으로 인해서, 하나님께서 처음부터 그로하여금 성취하도록 의도하신 직무로서의 역할에 완전히 발을 들여놓게 됩니다. 여러분은 하늘로부터의 이러한 말씀으로 인해서 예수님이 세 가지 왕관을 쓰셨다고 말해도 좋습니다, 즉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하늘의 왕관과,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왕으로서의 이스라엘의 왕관과, 자신의 백성을 위해서 그들을 대신하여 고난을 받으심으로 자신의 백성을 구원하시는 고난받는 종으로서의 가시관을 쓰신 것입니다. 이는 그가 많은 죄인들과 함께 세례를 받는 것이 옳았던 이유이며, 이는 그가 죄인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그들의 대표자로서, 그들의 왕으로서, 심지어는 그들의 대변인으로서의 직책을 담당하셨기 때문입니다.
With his baptism and with these words from heaven, Jesus steps fully into the roles—the offices—that God intended him to fill since the very beginning. You might say that with these words from heaven, Jesus takes on the triple crown—the crown of heaven as God’s Son, the crown of Israel as the long-awaited king, and the crown of thorns as the suffering servant who would save his people by suffering for them, in their place. That’s why it was right for him to be baptized with a bunch of sinners—not because he was a sinner, but because he was taking on the office of being their representative, their king, even their champion.

여러분은 그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아십니까? 이는 놀라운 일입니다! 이러한 사역에 들어서면서, 예수는 즉시 일어나셔서, 자신의 검을 취하시고, 자신의 왕적인 뒤꿈치를 상하게하겠지만, 예수가 그 머리를 부숴뜨리실, 자신의 백성의 철천지 원수를 상대하시기 위해서 광야로 들어가셨습니다.
Do you know what happens next? It’s amazing! Having stepped into these offices, Jesus immediately rises, takes up his sword, and heads into the wilderness to take on his people’s mortal enemy—the one who would bruise his royal heel, but whose head he would crush.

십자가 주변에는 왕의 이미지 뿐입니다. 자색 가운, 가시관, 머리 위의 표식은 예수가 제사장이 아닌 왕으로 죽으신 것을 보여줍니다. 예 그렇습니다, 오시는 왕은 왕국이 시작되었음을 알리시지만, 그는 또한 자신의 백성의 죄를 담당하시고, 그들이 왕국에서 자신과 함께 살도록 그들을 변화 시키십니다. 이제 아시겠습니까? 예수는 단순한 왕이 아니십니다; 그는 고난받는 왕이십니다. 그는 단순히 위대하신 왕 예수가 아니십니다, 그는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부활하신 왕 예수이십니다.
All that kingly imagery around the cross. The purple robe, the crown of thorns, the sign above his head—Jesus died as King, not just as Priest. Yes, the coming king would inaugurate a kingdom, but he would also bear his people’s sins and qualify them to live with him in that kingdom. Do you see? Jesus is not just the king; he is the suffering King. He is not just King Jesus the Great, but King Jesus the Crucified and Resurrected.

세 가지 결론적 고찰들
THREE CONCLUDING OBSERVATIONS

첫 번째로, 여러분들은 제가 왜 지금 단순한 왕권만의 복음이 불충분하다고 말하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기를 원합니다. 이것이 불충분한 이유는 이는 이스라엘 왕의 본연의 역할과 책임을 공정하게 다루질 않습니다. 왕이 된다는 것은 대표자로서 자신의 백성을 대신하여 고난을 받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바로 이것이 예수가 하신 일입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예수가 왕이심을 가르쳐야합니다. 그의 통치와 능력과 권위를 선언해야합니다. 새 하늘과 새 땅과, 예수 자신이 세우신 공의와 정의의 나라에 관하여 말해야합니다.
First, I hope you can see now why I say that a gospel of mere kingship is insufficient. It is insufficient because it doesn’t do justice to the very 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King of Israel. To be King was to represent and suffer in the place of your people. That’s what Jesus does. So by all means preach Jesus as King. Declare his dominion and power and authority. Talk about the new heavens and new earth, the kingdom of justice and righteousness that he himself is establishing.

그러나 기억하셔야 할 것은 복음은 왕의 오심으로 모든 것이 멈추는 것이 아닙니다; 복음은 고난받으시고, 죽으시고, 부활하시고, 구원하시는 왕의 오심입니다.
But remember that the good news is not the coming of the King, full stop; it is the coming of the King to suffer, to die, to rise, and to save.

두번째로는, 제가 원하는 것은, 왜 십자가가 복음의 한 가운데 서 있는지; 왜 바울이 자신의 메세지를 “십자의 도”라고 언급하는지; 왜 복음에서 예수의 왕권에 대한 가장 명백한 증거가 십자가에서의 죽으실 때 그가 머리를 숙이셨음인지, 지금 여러분이 알 수 있기를 원합니다. 이것은 왕권이 의미하는 것으로서, 왕이 된다는 것은 고난받고, 죽으시고, 부활하시고, 구원하시는 것입니다. 복음주의자들이 이렇게 종종 왕국과 십자가로 몸부림치는 것을 보는 것은 이상한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이 둘을 서로 다른 이야기로 다루는 것과 다를 바가 없으며, 우리가 십자가가 어떻게 왕국의 이야기에 적합할수 있는지 감을 잡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떻게 해서든지 십자가와 왕국 사이에 틈을 만들어 놓고서, 십자가는 이쪽으로, 왕국은 저쪽으로, 그리고 누구나 할 것 없이 벌어진 틈의 한 쪽이나 다른 쪽에 모여 앉게 하고서는 서로를 의심하면서 조롱하게 합니다.
Second, I hope you can see now why the cross stands at the center of the gospel; why Paul refers to his message as “the word of the Cross”; why the most unambiguous testimony to Jesus’s kingship in the gospels is a sign hanging over his head as he dies on the cross. This is what kingship means—to be king is to suffer, to die, to rise, and to save. It’s strange to see evangelicals struggle so often with kingdom and cross. It’s almost like we treat the two of them as different stories, and we can’t figure out how the cross fits into this story of the kingdom. So we manage to create a rift between the cross and the kingdom, with cross over here and kingdom over there and everyone crouching on one side or the other of the chasm, sneering suspiciously at each other.

그러나 성경은 우리를 이와같은 분열의 상태로 놔두질 않습니다. 십자가와 왕국은 신학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데 이는 왕국에 이르는 유일한 길이 십자가를 통해서이기 때문입니다.
But the Bible doesn’t leave us with that kind of division. The cross and the kingdom are theologically inseparable because the only way into the kingdom is through the cross.

이것이 우리가 이 모두를 함께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왕국에 속하는 것과 왕국의 축복을 받는 유일한 길은 왕의 보혈을 통하는것입니다.
That’s how we must put all this together. The only way to be included in the kingdom, to receive the blessings of the kingdom, is through the blood of the king.

그러므로 형제들이여, 여러분에게 잠시 간곡히 부탁 드리고자합니다. 만약에 여러분이 하나님 나라의 좋은 소식에 대한 설교를 하거나 글을 쓰면서 십자가에 관하여 말하는 것을 소홀히 하다면, 여러분은 좋은 소식에 대하여 전혀 가르치지 않는 것이 됩니다. 여러분은 단지 사람들에게 그들이 죄인이기 때문에 들어갈 권리가 없는 놀라운 것을 보여주었을 뿐입니다. 예수 자신과 사도들이 가르쳤던 것은 단순히 왕국의 도래만이 아니라, 왕국의 도래이면서 사람들이 들어올 수 있는 길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So brothers, let me exhort you a moment. If you preach a sermon or write a chapter on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but neglect to talk about the cross, you’ve not preached good news at all. You’ve just shown people a wonderful thing that they have no right to be a part of because they are sinners. What Jesus himself and the apostles preached was not just the coming of the kingdom; it was the coming of the kingdom and the way people could enter it.

그러므로 당연히 왕국에 대해서 가르치십시오. 예수의 악에 대한 정복에 대해서 전하십시오. 그의 도래할 통치에 대하여 글을 쓰십시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것이 그 자체로 모두 영광스러운 좋은 소식인 척은 하지 마십시오. 그렇지 않습니다. 예수가 완전한 의로서 세상을 통치할 것이라는 사실은 저에게는 좋은 소식이 아닙니다; 저는 의롭지 못하기 때문에 이는 끔찍한 소식입니다! 저는 그 분이 오셔서 부수려고 하는 원수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가오는 왕국은 오직 오시는 왕이 죄를 용서하시고 백성을 의롭게 하실 구원자이시며, 자신의 죽으심으로 십자가에서 죽음을 물리치셨고 다가올 세대의 생명으로 부활하셨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에만 좋은 소식이 됩니다. 
So by all means, preach about the kingdom. Talk about Jesus’ conquest of evil. Write about his coming reign. But don’t pretend that all those things are glorious good news all by themselves. They’re not. The bare fact that Jesus is going to rule the world with perfect righteousness is not good news to me; it’s terrifying news, because I am not righteous! I’m one of the enemies he’s coming to crush! The coming kingdom becomes good news only when I’m told that the coming king is also a savior who forgives sin and makes people righteous—and he does that through his death-destroying death on the cross and resurrection to the Life of the Ages.

세번째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는 여러분이 이러한 고통을 당하시고 죽으시고 부활하신 왕을 마음으로 즐거워하고 경배하고자하는 충동을 새롭게 느낄 수 있게되기를 희망합니다.
Third, and finally, I hope you can feel anew an impulse in your heart to rejoice, to worship this Suffering, Dying, Rising King.

면류관 벗어서 주 앞에 드리세 
저 천사 기쁜 노래가 온 땅에 퍼지네 
내 혼아 깨어서 주 찬송하여라 
온 백성 죄를 속하신 만왕의 왕일세
Crown Him with many crowns,
The lamb upon the throne:
Hark! How the heav’nly anthem drowns
All Music but its own!
Awake, my soul, and sing
Of Him who died for thee,
And hail him as thy matchless King
Through all eternity.


posted by Wonho Kim
:
스캇 맥나이트 2016. 4. 13. 16:32

스캇 맥나이트의 “예수 왕의 복음(KING JESUS GOSPEL)”

에 대한 마이클 호튼의 비평



번역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번역출처

https://www.whitehorseinn.org/blog/entry/book-review/2011/10/13/are-you-a-soterian





당신은 구원주의자이십니까?

Are You a Soterian?


Posted Author information by Michael Horton Creation date on Thursday, 13 October 2011 Category info in Book Reviews


Reflections on The King Jesus Gospel: The Original Good News Revisited, by Scot McKnight (Zondervan, 2011)


우리들 대다수는 교회에서 자랐으며, 교회에서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우리가 어떻게 “구원을 받을 것인가”를 설명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Many of us were raised in churches where the presentation of the gospel meant explaining how you "get saved."


“만약에 당신이 오늘 죽는다면, 그리고 예수님께서, ‘왜 내가 너를 천국에 들여 보내야 하느냐?’ 하고 물어보신다면, 너는 무엇을 대답하겠는가?”

"If you were to die tonight, and Jesus asked, 'Why should I let you into heaven?', what would you answer?"


만약에 당신이 복음을 전한다면, 이것은 당신이 누군가에게, 당신은 죄인이며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되었지만, 하나님께서 우리의 죄를 위하여 자신의 아들을 죽게 하셨으므로, 그분을 주로 그리고 구세주로 받아들임으로서 자신들이 죽었을 때 천국에 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을 의미했다.

If you shared the gospel, that meant that you told someone that they were sinful and separated from God, but that God sent his Son to die for our sins and by accepting him as Lord and Savior they could know that they would go to heaven when they die.


목표는 가능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결단하게 하는 것이었다.

The goal was to get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make a decision.


이것이 복음을 전한다는 것이 의미했었던 것이다.

That's what it meant to present the gospel.


이것이 바로 무디가 “나는 복음을 동전에 쓸 수 있다”고 말했던 이유다.

That's why D. L. Moody said, "I can write the gospel on a dime."


좀 더 최근에는, 저명한 복음 전도자가 “당신에게 필요한 유일한 신학은 엘리베이터에서 불신자에게 말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More recently, a noted evangelist said, "The only theology you need is whatever you can say to an unbeliever in an elevator."


내가 청년이었을 때에는 내가 불신자에게 구원의 계획을 제공하는 소책자를 나눠주었었다.

In my youth I passed out a tract to non-Christians that offered the Plan of Salvation.


마지막 장에는 서명란이 있어서 독자가 서명에 대한 구원을 보증해주는 예수에 싸인을 할 수 있었다.

The last page had a contract that the reader could sign with Jesus, guaranteeing salvation to the signatory.


많은 다른 그리스도인들과 마찬가지로, 개혁주의 사람들도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근방식에 대하여 움찔하곤한다.

Like many other Christians, Reformed people typically wince at this approach.


우리는 다양한 이유들로 인하여 그렇게 한다.

We do so for a variety of reasons.


이러한 이유들의 많은 부분이 스캇 맥나이트의 관심들과 일치한다.

Many of those reasons coincide with Scot McKnight's concerns.


그러나 내가 염려하는 것은 과연 그가 우리가 필요로하는 곳으로 인도하느냐이다.

However, I wonder if he quite gets us to where we need to be.


그러므로 나는 그의 논쟁들을 요약하면서 시작하고자한다.

So let me begin by summarizing his arguments.


복음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 gospel?


예수 왕의 복음에 따르면,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가 메시아와 주이시며, 이스라엘 이야기의 해답이시다.

According to The King Jesus Gospel, it is the announcement that Jesus Christ, Messiah and Lord, is the resolution to the Story of Israel.


이 책의 150페이지의 분량이 이를 풀어낸 것이다.

Unpacking that is the burden of these 150 pages.


우선 저자는 자신이 바로 고치려는 도안의 윤곽을 그리고있다.

First the author sketches a portrait of what he's trying to correct.


“줄여서 바로 결단을 내리게하려는 복음주의는- 이 단어는 적절한 것이다- 복음의 구도를 포기한 반면에, 제자에 목표를 둔 복음주의는 예수와 사도의 전체 복음을 전하는 일에 있어서는 느슨하다”(18)

"Evangelism that focuses on decision short circuits and—yes, the word is appropriate—aborts the design of the gospel, while evangelism that aims at disciples slows down to offer the full gospel of Jesus and the apostles" (18).


근본적으로 일부를 잘라낸 복음은 “복음 문화”가 아닌 “구원 문화”를 만들어낸다.(맥나이트)

Basically, the truncated gospel creates a "salvation culture," not a "gospel culture."


가장 순수한 어원적인 의미에서의 “복음전도자”보다도, 우선되는 근원적인 사람들은 “구원주의자”로서 이들은 복음이 일반적인 복음주의 소책자에서 발견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맥나이트)

More than "evangelicals" in the purest etymological sense, purveyors of the first are "soterians" or "salvationists" who think that the gospel is what you find in the average evangelistic tract.


그러나 “복음 문화”는 신자들이 성경/이스라엘의 이야기 자체에 담겨있는 예수의 이야기에 빠져들 때 생기게 되는 것이다. (맥나이트)

However, a "gospel culture" arises when believers are immersed in the Story of Jesus, which itself is embedded in the Story of the Bible/Israel.



“예수가 메시아이시며, 다윗의 자손이라는 사실에 관한 좋은 소식이 무엇이냐?”고 이메일로 저자가 받은 정직한 질문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이, “구원주의자들”은 심지어 자신들의 복음을 위해서 구약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맥나이트)

The "soterians" don't even need the Old Testament for their gospel, as illustrated in the honest question the author received by email: "What is good news about the fact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descendant of David?'" (24).


복음주의자들이 사람들을 (전례적 전통에서) “구성원”에서 “결신자”로 움직인 것은 잘한 일이다. 이것은 중요한다. (맥나이트)

Evangelicals are good at moving people from "The Members" (in liturgical traditions) to "The Decided." That's important.


양쪽 모두 다 “구원 문화”에 속하여있지만, 여기서의 주된 의문점은 사람이 어떻게 구원을 받느냐이다. (맥나이트)

Yet both belong to a "salvation culture," where the chief question is how one is saved.


오직 “복음 문화”만이 모든 이들을 “제자”의 길로 가게할 수 있는 것이다(30).

Only a "Gospel culture" moves all the way to "The Discipled" (30).


그러면 누가 이러한 “구원주의자”란 말인가? 이들이 로타리 사람들과 같은가?

So who are these "soterians"? Are they like Rotarians?


혹은 혹시 낯선 은하계에서 온 외계인이란 말인가?

Or perhaps aliens from a strange galaxy?


처음에는 그가 마음에 가지고 있는 “개혁주의” 뒤에서의 “불안감”에 대한 전형적인 중압감을 표현하는 것 같았다.

At first it seems that he has in mind the typical high-pressure presentations that puts the "restless" back in "Reformed."


그러나 그도 역시 마음에는 “신칼빈주의”운동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However, it turns out that he also has in mind the "New Calvinist" movement.


“미국에 있는 신칼빈주의 사람들은- 그리고 파이퍼는 복음주의자들 가운데 칼빈주의 사고를 다시 세우는데 앞장서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이다- 복음을 ‘믿음에 의한 칭의’라는 짧은 공식으로 정의한다”(25)

"The Calvinist crowd in the USA—and Piper is the leading influencer in the resurgence of Calvinist thinking among evangelicals—has defined the gospel in the short formula, 'justification by faith'" (25).


(맥나이트는) 그레그 길버트의 복음이란 무엇인가를 비평하는데 있어서도 역시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얘기를 한다.

Ample space is also taken up with a critique of Greg Gilbert's What is the Gospel?


“...예수의 복음은 우리에게, 죄를 씻어내서 하늘이 임하기까지 우리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한 가지 결정 사항 이상의, 더 많은 것을 원한다” (18)

"...the gospel of Jesus wants more from us than a singular decision to get the sins wiped away so we can be safe and secure until heaven comes" (18).


3장의 “구원의 이야기”는 흥미로운 모형을 형성하고 있다.

Chapter Three, "Story to Salvation," builds an intriguing model.

피라미드의 3층 구조와 같이, 이스라엘 이야기/성경의 이야기는 기저층이다.

Like three levels of a pyramid, the Story of Israel/Story of Bible is the ground floor.


여기서부터 예수의 이야기가 나오고 나서,  구원의 계획은 최종적으로 설득의 방법으로 나아가게 된다.

From this emerges the Story of Jesus, then the Plan of Salvation, leading finally to the Method of Persuasion.


그러므로 우리는 이스라엘/성경의 이야기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So we have to start with the Story of Israel/Bible.


이것은 아직 분명한 복음은 아니다.

This isn't yet the gospel specifically.


그러나 더 넓은 이야기 안에는 예수의 이야기가 있다.

However, within that broader narrative is the Story of Jesus.


이것이 복음이다.

This is the gospel.(맥나이트)


이것이 우리가 신약에서 4개의 복음서를 갖지 않고, 4개의 다른 복음주의자들로부터 한 개의 복음을 갖는 진짜 이유이다.(맥나이트)

That's why we don't really have four gospels in the New Testament, but one gospel from four different evangelists.


분명히, 그들은 자신들이 복음을 선포하였으며, 거기에는 “예수가 우리의 죄를 위하여 죽으셨다”는 것 이상의 많은 것이 있었다고 생각했다.(맥나이트)

Evidently, they thought that they were proclaiming the gospel and there's a lot more there than "Jesus died for your sins."


그러나 “예수가 당신의 죄를 위해서 돌아가셨다”는 것도 분명하게 있다.

But "Jesus died for your sins" is obviously there.


이것이 복음이 아니라는 것은 옳다.(맥나이트)

It's just that this isn't the gospel.


신약의 주된 핵심은 예수가 “예수의 이야기가 이스라엘 이야기를 완성 시켜서 구원한다”의 이유라는 것이다 (37).

The main point of the New Testament is that Jesus is because "the Jesus Story completes the Israel Story, it saves" (37).


전형적인 복음주의 접근 방식은 피라미드의 위를 아래로 엎으며, 설득의 방법이 모든 것의 근거가되며, 사람들로 하여금 결단하게끔 한다.

Typical evangelistic approaches turn the pyramid upside down: the Method of Persuasion is the ground of everything: getting people to make a decision.


어떻게? (사영리와 같이)구원의 계획을 제시함으로써.

How? By presenting the Plan of Salvation (like the Four Spiritual Laws).


만약에 이것이 어디에나 있게 된다면, 예수의 실제적 이야기(즉 복음)는 배경으로 있게 되고 심지어 이것은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심히 어두운 과거로 남겨놓게 된다.(맥나이트)

If it's anywhere, the actual Story of Jesus (i.e., the gospel) is in the background and even that has usually left the Story of Israel in the deep-dark past.


근본적으로 복음은 다음과 같다: “아담이 동산에서 했어야만 했던 것- 즉 하나님을 위해서 이 세상을 구속적으로 다스리라는 것-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준 사명이다. 아담과 같이, 이스라엘도 실패했으며, 왕들도 마찬가지로 실패했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아들을 보내셔서 아담과 이스라엘과 왕들이 하지 않은 (분명히 할 수가 없었다) 것을 하도록 하셨으며 모든 이들을 그들의 죄와 조직적 악과 사탄(그리고 적)으로부터 구하도록 하셨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아들은 메시아로서 그리고 주로서 다스리시는 이시다”(35)

Basically, the gospel is this: "What Adam was to do in the Garden—that is, to govern this world redemptively on God's behalf—is the mission God gives to Israel. Like Adam, Israel failed, and so did its kings. God sent his Son to do what Adam and Israel and the kings did not (and evidently could not) do and to rescue everyone from their sins and systemic evil and Satan (the adversary). Hence, the Son is the one who rules as Messiah and Lord" (35).


이것은 물론 극치도 포함한다(36). (그는 148-153에 충분하고 광범위한 요약을 해 놓았다).

It also includes the consummation (36). (He offers a rich, extended summary on 148-153).


비록 복음 자체가 예수의 이야기라고 하더라도,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없이는 복음이 있을 수 없고 “만약에 우리가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무시한다면, 복음은 왜곡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왜곡된 경우가 바로 구원 문화에서 일어난 경우이다”(36)

Although the gospel itself is the Story of Jesus, without the Story of Israel there is no gospel and "if we ignore that story, the gospel gets distorted, and that is just what has happened in salvation cultures" (36).


“구원의 계획”은 복음에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이는 복음이 아니다. (맥나이트)

The "Plan of Salvation" is rooted in the gospel, but it isn't the gospel.


이것을 개혁주의의 의미로 해석을 한다면, 맥나이트는 여기서 historia salutis(구속의 역사)에 대한 ordo salutis(구원의 서정, 여기서 지금 개인들에게 적용되는 구원)의 관계를 가지고 씨름하고있다.

To put it in terms of Reformed interpretation, McKnight is wrestling here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ordo salutis (salvation applied to individuals here and now) to the historia salutis (the history of redemption).


실은, 그는 전자(구원의 서정,ordo salutis)의 근거를 후자(구원의 역사, historia salutis)에 두기를 원하며, 그 반대는 아니다.(호튼)

Properly, he wants to ground the former in the latter, not vice versa.


“구원의 계획”은 칭의로 귀결되지만, 전적인 제자도의 삶으로 귀결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당신에게는 전체 복음이 필요한 것이다 (40).

The "Plan of Salvation" leads to justification, but not to the whole life of discipleship; for that you need the whole gospel (40).


“구원의 계획과 설득의 방법에 많은 비중을 두어왔기에, 이들은 이스라엘의 이야기와 예수의 이야기를 분쇄하고있고 또 분쇄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복음 자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43)

"The Plan of Salvation and the Method of Persuasion have been given so much weight they are crushing and have crushed the Story of Israel and the Story of Jesus. This has massive implications for the gospel itself" (43).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구약의 이야기를 거의 전적으로 무시하는 것보다 이것을 증명해 보이는 것은 없다. 오늘날 그렇게도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구약을 모르는 단 한 가지 이유는 그들의 ‘복음’이 구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Nothing proves this more than the near total ignorance of many Christians today of the Old Testament Story. One reason why so many Christians today don't know the Old Testament is because their 'gospel' doesn't even need it!" (44).


4장의 바울의 메시지에 와서, 저자는 고린도전서 15장의 사도의 “고전적 요약”에 초점을 맞추는데, 그(맥나이트)는 (고린도전서 15장이) 그(바울)가 사도의 복음의 전통으로부터 받은 것이라고 말한다.

Turning in chapter 4 to Paul's gospel message, the author focuses on the apostle's "classic summary" in 1 Corinthians 15, which he said he received from apostolic gospel tradition.


복음은  예수의 이야기(그리스도의 죽으심, 묻히심, 그리고 부활하심, 그리고 부활 후에 나타나심)

이며, 이스라엘에 근거를 두고 있다 (“...성경에 따르면”)(맥나이트)

The gospel is the Jesus Story (Christ's death, burial, and resurrection and post-resurrection appearance), grounded in the Story of Israel ("...according to the scriptures").


“많은 이들에게 우리의 구원의 문화를 떠받쳐주고 있었는 ‘사영리’ 대신에 초기의 복음은 4가지 ‘사건’이나 ‘시기’에 관련되어있었다”(49).

"Instead of our 'four spiritual laws,' which for many holds up our salvation culture, the earliest gospel concerned four 'events' or 'chapters' " (49).


“종합하여 정리해보면: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있어서의 핵심적 사건들에 관한 좋은 소식을 선포하는 것이다. 바울에게 있어서 복음은 하나님의 구원의 소식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말하고, 선포하고, 선언하고, 크게 외치는 것이었다” (50).

"To put this together: the gospel is to announce good news about key events in the life of Jesus Christ. The gospel for Paul was to tell, announce, declare, and shout aloud the Story of Jesus Christ as the saving news of God" (50).


물론, 바울의 복음은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원은 복음으로부터 흘러나온다.” 그는 “우리의 죄를 위하여” 죽으셨다(51).

Of course, Paul's gospel unpacks thee implications. "Salvation flows from the gospel." He died "for our sins" (51).


“예수는 우리와 함께(동일감), 우리를 대신하여(대표와 대속), 그리고 우리를 위하여(하나님의 생명과의 결합) 돌아가셨다”(51)

"Jesus died with us (identification), instead of us (representation and substitution), and for us (incorporation into the life of God)" (51).


동일하게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십자가만이 아니라 묻히심과 부활이다 (54). (나는 그의 승천과 다시 오심을 추가하고자 한다!)

It's not just the cross, but the burial and resurrection, that receive equal attention (54). (I would add, his ascension and return!)


고린도전서 15장에 있는 모든 것의 목표는 최종적으로, 그리스도와 연합된 가운데, “인간들이 정확하게 하나님께서 자신의 창조를 위해서 의도하신 것들을 행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이 되시고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전체 이야기는 하나님에 관한 것이 될 것이다” (56-57).

The goal of it all in 1 Cor 15 is that finally, in union with Christ, "humans will be doing exactly what God intended for his creation. God will be God and we will be God's people—and the whole Story will be about God" (56-57).


그러면 무엇이 잘못되었단 말인가?

So where did things go wrong?


“어떻게 구원이 복음을 장악했는가?”, 5장에서 물어보고있다.

"How Did Salvation Take Over the Gospel?", asks chapter 5.


2개의 서문의 저자들(톰 라이트와 달라스 윌라드)과 같이, 종교개혁은 맥나이트에게 있어서 “복음 문화”의 영광스러운 날로부터 “구원의 문화”로의 전환점이다.

Like the authors of his two forewords (N. T. Wright and Dallas Willard), the Reformation is for McKnight the turning point from the glory days of a "gospel culture" to a "salvation culture."

신조의 이른 시기는 고린도전서 15장에 대한 추론들만 있었다.

The early era of the creeds were extrapolations of 1 Corinthians 15.


“사실, 신조를 부인하는 것은 복음 자체를 부인하는 것에 상응하는데 이는 신조가 찾고자 하는 것이 성경의 복음 가운데 이미 있는 것을 끌어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65).

"In fact, denial of the creeds is tantamount to denying the gospel itself because what the creeds seek to do is bring out what is already in the Bible's gospel" (65).


바울에서부터 니케아 공의회까지 우리는 복음 문화를 본다.

From Paul to Nicea we see a gospel culture.


그는 이것이 온통 파란 하늘만은 아니었음을 알고 있다: 콘스탄티누스, 십자군, 등등.. 그러나 이것은 복음 문화였었다.

He acknowledges that it wasn't all blue skies: Constantine, the crusades, etc.. But it was a gospel culture (70).


어거스틴이 시작한 일이었지만, 종교개혁은 초점을 예수의 이야기로부터 구원으로 이동 시키기 시작하였다(맥나이트는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과 제네바 신앙고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70-73)

Augustine got the ball rolling, but the Reformation began to shift the focus from the Jesus Story to salvation (McKnight focuses on the Augsburg and Geneva confessions) (70-73).


“복음을 단순한 몇 가지 항목으로 피상적이고 빈약하게 축소시키는 글을 읽을 때, 종교개혁이 없었다면 이런 글들이 결코 나올 수 없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p71-112쪽)

"When I read today's thin and superficial reductions of the gospel to simple points, I know that that could never have happened apart from the Reformation" (71-112쪽).


이것들은 개혁주의자들이 의도했던 것이 아니다.(맥나이트)

Not that the Reformers would have done this.


“사실 루터나 칼뱅을 읽어보게 되면 두 사람 다 심오한 복음의 문화와 심오한 구원의 문화 모두를 이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는 구원주의자들이나 구원의 문화를 그들이나 종교개혁의 탓으로 돌리고 싶지 않다.” “그러나 이야기로부터 구원론으로 전환되었던 문제의 근원은 여기에 있었다” (73).

"In fact, no one can read either Luther or Calvin and not observe that they operated with both a profound gospel culture and a profound salvation culture. I have no desire to blame them or the Reformation for the soterians or a 'salvation culture.'" But the seeds were there for a shift "from the story to soteriology" (73).


또한 복음주의의 힘이었던 웨슬리의 경험 중심과 회심적 충동 모두는 사라져버렸다 (74-75).

All that was left was the experiential focus of Wesley and the conversionistic impulse that is also a strength of evangelicalism (74-75).


“구원을 엄청나게 강조하는 복음 문화를 떠나서 우리는 이제 사람들로 하여금 당신들이 올바른 경험을 하고 있다고 말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75).(그는 여기의 문맥에서 달라스 윌라드를 그려내고 있는데 그는 정작 개인적 경험에 대한 이야기에

"From the enhancement of a gospel culture with a profound emphasis on salvation we have now arrived at the ability for a person to be able to say he or she has had the right experience" (75). (It's interesting that he draws in this context on Dallas Willard, who hardly focuses on the Story over personal experience!)


맥나이트는 “복음서 안의 복음”을 논한 후에(6장) 예수를 따르는 복음에 초점을 맞춘다(7장).

After discussing "the Gospel in the Gospels" (ch. 6), McKnight focuses on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ch. 7).


내가 기억하기에 이것의 상당 부분은, 그가 크리스차니티 투데이지에 실은, 예수(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바울(그리고 구원)에 대항 시키려는 경향에 대하여 탐구한 글들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Much of this I recall from an insightful article he wrote for Christianity Today exploring the tendency to pit Jesus (and the kingdom) against Paul (and salvation).


맥나이트는, 두 인물의 메세지를 왜곡 시키는 근시안적인 논쟁으로부터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예수의 이야기로서의 복음이 이들 모두를 조화로운 하나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Taking a step back from myopic debates that distort the message of both figures, McKnight thinks that the gospel as the Story of Jesus brings them together in a harmonious whole.


“복음주의, 이는 무엇인가? ‘복음화’시키는 것이나 ‘복음’은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완성 시키는 구원의 이야기로서의 예수의 이야기를 말하는 것이다” (112).

"Evangelism, what is it? To 'evangelize' or to 'gospel' is to tell the Story of Jesus as a saving story that completes Israel's Story" (112).


이는 하나님 나라와 개인적 구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맥나이트)

This encompasses the kingdom and personal salvation.


9장은 “오늘날의 복음 전도”를 탐구하는데, 이는 사도행전에서 행하여졌던 방법과는 일반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Chapter 9 explores "Gospeling Today," which is usually different from how it was done in Acts.


“이 차이는 한 가지 점으로 축소 시킬 수 있다: 사도행전의 복음 전도는, 메시아이시며 주이신 예수의 구원의 중요성을 분명히 하여야 했기에, 듣는 이들로 하여금 예수를 메시아와 주로 고백하도록  설교를 하였지만, 우리들의 복음 전도는 죄인들로 하여금 자신의 죄를 인정하라고 설득하고서 예수를 구세주로 받아들이라는 방식으로 모색을 한다. 우리는 여기서 무엇이 잘못된 선택인 지를 지적하려는 것이 아니다. 후자는 전자 안에서 실행될 수 있지만, 많은 구원주의자들이 복음주의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개인적인) 구세주로서의 예수에만 매달리려고 하며, 예수를 메시아나 주로만 따르려고한다… 사도행전 책에서의 사도들의 복음 전도는 설교들로 귀착되는 담대한 선포이었던 것에 반하여 오늘날 대부분의 복음주의는 교활한 설득인 것이다” (133-134).

"The difference can be narrowed to this single point: the gospeling of Acts, because it declares the saving significance of Jesus, Messiah and Lord, summons listeners to confess Jesus as Messiah and Lord, while our gospeling seeks to persuade sinners to admit their sin and find Jesus as the Savior. We are not creating a false alternative here. The latter can be done within the former, but much of the soterian approach to evangelism today fastens on Jesus as (personal) Savior and doges Jesus as Messiah and Lord...the gospeling of the apostles in the book of Acts is bold declaration that leads to a summons while much of evangelism today is crafty persuasion" (133-134).


“그러나 우리가 예수의 이야기를 이스라엘의 이야기에 비추어 읽는다면, 우리는 예수가 이스라엘이 왕과 주에 대한 간절한 필요를 충족시키실 이스라엘의 메시아로 오셨음을 알 수 있다. 복음에 있어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예수가 메시아이며 주시라는 것이다; 이것은 통치자, 왕, 주에 대한 근본적인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 시대의 유대인에게 갈급한 필요는 메시아-왕 그리고 메시아-왕의 땅에서의 메시아-왕의 백성이었다” (137).

"However, if we read the Story of Jesus in the light of the Story of Israel, we can see that Jesus came as Israel's Messiah to satisfy her most pressing need for a King and a Lord. "Remember that the fundamental solution in the gospel is that Jesus is Messiah and Lord; this means that there was a fundamental need for a ruler, a king, and a lord. The pressing need of the Jews of Jesus's day was for the Messiah-King and the Messiah-King's people in the Messiah-King's land" (137).


마지막으로, 저자는 이러한 복음 드라마-예수 이야기-가 제자도에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며, 이것이 어떻게 “복음 문화”를 창출해내는 지를 구체화 시키고 있다,

Finally, the author fleshes out what this gospel drama—the Jesus Story—means for discipleship, how it creates a "Gospel culture."


첫 째로, 우리는 이야기의 백성이 되어야 한다 (153-154).

First, we must become People of the Story (153-154).


책의 시작부에서 출발하여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예수의 이야기로 길을 찾아가는 것과 같이 네 자신을 이스라엘의 이야기에서 발견해라.

Start with the beginning of the book and find yourself in the Story of Israel as it winds its way to the Story of Jesus.


이를 도와주는 교회 달력을 따라가라.

Following the church calendar helps with this.


두 번째로, 우리는 또한 교회 이야기의 백성이 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Second, we also need to become People of the Church's Story.


“아담으로부터 시작하여 당신의 교회에서 가장 최근에 세례를 받은 우리들의 이야기까지 알아야겠다는 결정을 해라” (156)

"Make a decision to know our story from Adam to the newest baptized Christian in your church" (156).


신조들과 신앙고백서들을 읽도록 해라 (156).

Read the creeds and confessions (156).


이 모든 것들은 신자들로하여금, 개인주의, 소비지상주의, 민족주의, 도덕적 상대주의, 과학적 자연신학, 뉴 에이지, 포스트모던 부족 중심주의, 요법을 통한 구원과 반대되는 이야기들을 발전시키는것을 도와줄 것이다.

All of this will help believers to develop counter stories to individualism, consumerism, nationalism, moral relativism, scientific naturalism, New Age, postmodern tribalism, salvation by therapy (157).


세 번째, 이야기를 수용해라.

Third, embrace the Story.


저자는 “복음”이라고 정의하는 신약에서의 진술들을 요약한 특별히 유용한 부록을 첨부한다.

The author attaches an especially useful appendix with summary statements in the New Testament defining "the Gospel."


두 번째 부록인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첫 번째 변증록은 별 의미가 없다.

A second appendix, taken from Justin Martyr's First Apology, makes less sense.


이러한 고전의 인용 가운데에는, 가르침, 기도, 성례에 초점을 맞춘 초기 기독교 예배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초대 교부들의 설명이 있다.

In that classic citation, the early church father explains what happened in early Christian worship, focusing on preaching, prayer and sacrament.


논의들을 평가한다

Evaluating The Arguments


예수 왕의 복음에 관해서는 감탄할 만한 것들이 많이 있다.

There are many things to admire about The King Jesus Gospel.


하지만 사람들을 구성원에서 결단자로 움직이려는 복음주의자들의 열심에 대하여 긍정적인 지지를 하고 있지만, “복음”은 “개인적인 구원”으로 축소되었으며 그 결과로 우리의 모든 계획들이 “결단”을 얻어내는 쪽으로 굽어졌다(고 맥나이트는 말한다) (26)

While affirming evangelicalism's zeal in moving people from members to deciders, "the gospel" has been reduced to "personal salvation" and the result is that all of our strategies are bent on getting "decisions" (26).


개혁주의 사람들도 같은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

Reformed folks share the same concern.


그리스도는 구원자이시며 동시에 주이시다: 당신은 다른 쪽이 없이 한 쪽 만을 수용할 수는 없다.

Christ is both Savior and Lord: you can't embrace one without the other.


그리고 우리는 그를 구세주나 주님으로 만들어서는 안된다; 그는 우리가 그를 받아들이든지 말든지 관계없이 구세주이시며 주님이시다.

And we don't make him Savior and Lord; he is Savior and Lord whether we embrace him or not.


우리의 교회들에서 복음주의의 목표는 제자들을 만드는 것이지 회심자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The goal of evangelism in our churches is to make disciples, not just converts.


이것이 바로 우리가,  눈에 띠는 회심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그리스도께 맞추는 이유이며, 성도의 교제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시련의 삶을 이겨나가야 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강조하는 이유다.

That's why we don't focus on a striking conversion experience, but on Christ, and emphasize the Christian life as a constant living out of our baptism, in the communion of saints.


평생에 걸친 제자도는 개인적인 일이 아니라 단체 경기인 것이다.

Lifelong discipleship is not an individualistic affair, but a team sport.


더군다나 우리는 구원의 서정(구속의 적용)-저자가 “구원의 계획”이라고 부르는-이 구속의 역사(구속사)-이스라엘의 이야기에서 나오는 예수의 이야기-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강조한다.

Furthermore, we emphasize that the ordo salutis (application of redemption)—what the author calls "the Plan of Salvation"—arises out of the history of redemption (historia salutis)—the Story of Jesus, which emerges in the Story of Israel.


(내가 나의 조직 신학 책인 그리스도인의 신앙에서 진술하고자 하는 목적은, 드라마-교리-송영-제자도의 항목들로 이러한 좌표들을 재구성하려는 것이다)

(My stated goal in my systematic theology, The Christian Faith, is to reintegrate these coordinates by the rubric of drama-doctrine-doxology-discipleship.)


예언서들은, 예수가  바로 이것의 해결책이시라며, 예수의 주장에 길을 닦아 놓는다고 저자는 말한다.(137)

The prophets pave the way for Jesus's claim that he is this solution, the author argues (137).


맞다! 존 칼빈의 주석에서부터 돈 카슨에 이르기까지 강조하고있는 것은 전체 성경은 약속(이스라엘 이야기)으로부터 성취(예수의 이야기)까지 하나의 펼쳐지는 이야기로 읽혀져야 한다는 것이다.

Indeed! Commentaries from John Calvin to Don Carson emphasize that the whole Bible is to be read as one unfolding story from promise (Story of Israel) to fulfillment (Story of Jesus).


개혁주의 해석들은 보통, 시대적인 가르침이나 복음주의에서 구약을 위치 시키는데 있어서, 대부분 모방할만한 교훈적인 예를 따르는 (혹은 외면을 하는) 애석함을 보여주고 있다.

Reformed exegetes regularly lament the place of the Old Testament in contemporary preaching and evangelism, turning to it mostly for edifying examples to imitate (or to shun).


심지어 맥나이트가 예수의 유혹이 아담과 이스라엘의 유혹의 재현이라고 제시하는 해석들도 개혁주의 주석들 (물론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로)에서는 표준인 것이다(154).

Even the exegesis that McKnight offers concerning Jesus' temptation as the recapitulation of Adam's and Israel's (154) is standard in Reformed commentaries (as well as others).


이야기로부터 교리를 추상화(맥나이트가 구원의 계획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하는 것은 구약 뿐만이 아니라 성령과 교회를 제거하려는 경향이 있다.

The abstraction of doctrine (like what McKnight calls the Plan of Salvation) from the Story tends to push out not only the Old Testament but the Holy Spirit and the church.


우리에게 실제로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하여 내가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은, 구원의 계획을 복음(특히 이것이 칭의나 거듭남을  포함하고 있는 지에 대한)이 아닌 어떤 다른 곳으로 밀어 넣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러한 생각들로 인하여 대다수 복음주의가 의미하는 측면들에 대하여 의문을 갖게 되는 것이다,

I can't help be feel that what we really need is not to put the Plan of Salvation somewhere else other than the gospel (especially if that includes justification and the new birth), but question aspects of what many evangelicals mean by the very idea.


“이것을 좀 더 진지하게 다루어본다면, 오늘날 우리 대부분에게 필요한 것으로서, 특히 구원의 계획이 본능적인 감각으로 다가오지 않는 세대들에 있어서는, 구원의 계획의 내용에 맞추어진 복음이 가르쳐져야 한다”는 저자의 서술에 대하여 진심으로 동의한다고 할 수 있다.

I can only add a hearty amen when the author writes, "To make this more serious, what we are in most need of today, especially with a generation for whom the Plan of Salvation doesn't make instinctive sense, is more gospel preaching that sets the context for the Plan of Salvation " (40).


성경이 “구원을 얻는다”(성경은 명백하게 이러한 의미로 말하지 않는다)는 것에 관하여 언급할 때에는, 책의 한쪽 끝에서부터 다른 쪽 끝으로까지, 구속의 역사를 얽히게 하고 전환 시킴으로서, 죄인을 구원하시는 삼위일체 하나님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When the Bible talks about "getting saved" (which it never does in precisely those terms), the focus is on the Triune God saving sinners through the twists and turns of redemptive history, from one end of the book to the other.


전형적으로, 성경이 나를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의 거대한 이야기 속으로 몰아갈 때, 많은 복음주의적 표현들은 이러한 거대한 이야기를 “나 그리고 그리스도와 나의 개인적 관계”로 축소 시킨다.

Typically, where the Bible sweeps me into its grand story of redemption in Christ, many evangelistic presentations reduce that grand story to "me and my personal relationship with Jesus."


우리는 복음을, 창세기 3장 15절로부터 요한계시록 마지막까지 펼쳐지는 거대한 드라마로 나타나는, 선포-약속-라고 말하고 있다.

We talk about the gospel as an announcement—a promise—that is revealed as a grand drama that unfolds from Genesis 3:15 to the close of Revelation.


복음은 그리스도에게, 적절하게, 결단을 내리고서, 계약을 맺으라는 제안이 아니다.

The gospel isn't an offer to appropriate, decide, or contract for with Jesus.


이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이 성취 되었음을 알리는-선포하는 것이다.

It's an announcement—a declaration—of God's saving accomplishment in Jesus Christ.


구약에서 약속된 대로, 복음은 신약에서 성취된 것이다.

Promised in the Old Testament, the gospel is fulfilled in the New.


회개하고 믿으라는 요구는 복음이 아니며, 복음에 대한 적절한 반응이다.

The call to repent and believe is not the gospel, but the proper response to the gospel.


사실, 복음은 무엇인가를 하라는-심지어는 믿으라는 요구가 아니다.

In fact, the gospel is not a call to do anything—even to believe.

복음 자체는 단순히 우리가 그로 인하여 믿어야만 할 것을 선포하는 것이다.

The gospel itself is simply an announcement that we are therefore called to believe.


고맙게도 맥나이트는, 복음이 이야기이며, 알리는 것이며, 선포하는 것이며, “구원을 얻으려고” 우리가 따라야 할 일련의 “단계들”이 아니라는 점을 여러 곳에서 지적하고 있다.

McKnight helpfully makes the point in several places that the gospel is a story, an announcement, a declaration, and not a series of "steps" for us to follow to "get saved."


그러나 그는 바로 이곳에서 헷갈리고있다.

But here's where he gets confusing.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직 자신이 구원의 계획이라고 부르는 것과 설득의 방법이라고 부르는 것이 복음에 중요하게 관계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In spite of this point, he still thinks that what he calls the Plan of Salvation and Method of Persuasion are importantly related to the gospel.


이러한 문구들은 개혁주의 귓가에는 좀 낯선 것이다.

These phrases are a bit unfamiliar to Reformed ears.


우리가 일반적으로 복음 자체를 통한 성령의 구속 사역을 말하는데 있어서, 대부분의 복음주의자들은 우리가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과 현실화, 혹은 예수를 우리의 구세주와 주로 만드는 것에 대하여 말한다.

Where we typically talk about the Spirit's application of redemption through the gospel itself, most evangelicals speak of our appropriating, actualizing, or making Jesus our Savior and Lord.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일괄적으로 주실 수도 있으시겠지만, 우리의 거듭남은, 최소한 우리의 결단은, 우리가 하는 것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God offers us the package, but our new birth depends on something we do, at least our decision.


맥나이트는 “사람이 구원을 얻기 위하여 하여야만 하는 것”에 관하여 말할 때 아직 이러한 방식을 따르는 듯하며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을 하게 함”으로서 구원을 적합화시킨다.

McKnight still seems to follow this way of speaking about "...what that person must do in order to get saved" (38) and appropriating salvation by "making a personal commitment to Jesus Christ" (28).


그가 이것을 복음과 구분하기를 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No wonder, then, he wants to distinguish this from the gospel.


바빙크로부터 벌콥에 이르기까지, 개혁주의 신학자들은,복음을 개인적인 결단이나 극단적인 경험으로 축소시키려고 위협하는 경건주의와 부흥주의의 지나침에 대하여 슬퍼하였다

From Bavinck to Berkhof, Reformed theologians have lamented the excesses of a pietism and revivalism that threaten to reduce the gospel to a personal decision or crisis experience.


그러므로 얼마나 종교개혁이, 예수를 주로 받아들이는 제자들보다는 예수를 구세주로 알게 하는 단순한 결신자(회심자)를 만드는 목표를 가지고서 복음을 “사영리”로 축소시키는 비극과 함께 다시 한번 더 제대로 안착 될 수 있겠는가?

So how exactly does the Reformation get saddled once again with a tragic narrowing of the gospel to the "four spiritual laws" with the goal of making mere deciders (converts) who know Jesus as Savior rather than disciples who embrace him as Lord?


맥나이트는 종교개혁 이전의 “복음 문화”(콘스탄티누스, 십자군,등등.)에 결함들이 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McKnight acknowledges that there were some flaws in the pre-Reformation "Gospel Culture" (Constantine, the crusades, etc.).


그는 또한 개혁주의자들이 “구원 문화”가 내포하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하여 동의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있다.

He also acknowledges that the Reformers wouldn't agree with everything that "salvation culture" implies.


톰 라이트와 상당히 유사하게도 아직 그는, 만약에 우리가 그가 그렇게 했던 것처럼, “원래의 복음을 찾기 위하여 성경으로” 돌아간다면, 우리도 올바르게 될 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24).

Yet, much like N. T. Wright, he seems to think that he if we would just go "back to the Bible to find the original gospel" as he has, we'd get it right (24).


해석의 역사는 “복음 문화”와 “구원 문화”의 영역으로 범위가 축소된다.

The history of exegesis is reduced to the categories of "gospel culture" and "salvation culture."


또한 라이트 교수의 저작과 같이, 예수 왕의 복음에서도 종교개혁에 관한 주장들을 진지하게 다루어보지도 않고 쓸어 담아 버린다.

Also as in Professor Wright's work, The King Jesus Gospel offers sweeping assertions about the Reformation without serious engagement.


나는 그가 개혁주의자들의 주석들이나 개혁주의 성경신학의 역사를 어느 정도 깊이 있게 탐구해보았다고 생각할 수가 없다.

I can't imagine that he has explored the commentaries of the Reformers or the history of Reformed biblical theology in any depth.


다른 관심들을 갖는다고  해가 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허상을 가지고는 아무도 더 많이 쌓을 수가 없는 것이다.

No harm done for having different interests, but one shouldn't then pile with one more straw-man portrait.


심지어 저자가 “애매한 칭찬과 더불어 비난을 할” 때에도 그는 최소한 루터주의와 개혁주의 분야들의 목표를 간과하고 있다: (맥나이트는 말하기를) “개혁주의가 3가지 방향-루터주의, 개혁주의, 그리고 재세례파- 모두에서 한 유일한 공헌은, 복음의 중심을 인간의 반응과 개인적인 책임 그리고 이러한 책임에 대하여 말하는 복음의 발달 쪽으로 이동 시켰다는 것이다”(71).

Even when he "damns with faint praise," the author misses the goal of at least Lutheran and Reformed branches: "The singular contribution of the Reformation, in all three directions—Lutheran, Reformed, and Anabaptist—was that the gravity of the gospel was shifted toward human response and personal responsi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gospel as speaking into that responsibility" (71).


(맥나이트가) 이렇게 말하는 것은 경건주의에 대한 종교개혁의 관심을 혼동한 것이며, 이것은 완전히 다른 어항의 물고기인 것이다.

This confuses the Reformation's interest with pietism, which was a completely different kettle of fish.


전자는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죄인들의 구원을 이루기 위하여 무엇을 하셨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며, “인간의 반응”과 내가 “구원을 얻기 위하여” 무엇을 할 것 인가에 대한 것은 아니다.

The former focused on what the Triune God has done to accomplish salvation for sinners, not on "human response" and what I'm supposed to do to "get saved."


비록 대체로 존경을 하고있다고 하더라도, 맥나이트는 “구원주의자들”의 예들로서 특히 존 파이퍼와 그레그 길버트를 겨냥해서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Though largely respectful, McKnight takes aim especially at John Piper and Greg Gilbert as examples of "soterists."


나는 이러한 형제들에 대하여 추정하여 말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다만 예외로는 저자의 비평의 일부 진술들이 마치 “A를 보여주는” 것과 같이 띄우는 것이 보여지는데 대하여는 말을 할 것이다.

I won't presume to speak for these brothers, except to say that the author's critique appears to lift a few statements as "Exhibit A."


예를 들자면, 파이퍼가 복음이 “믿음에 의한 칭의다”라고 말할 때, 그는 간결하게 요약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Piper says that the gospel is "justification by faith," he is speaking short-hand.


개혁주의자들은 종종 똑같은 일을 하였지만, 그들이 이렇게 하였던 것이 저자가 결단에 근거한 “구원주의”라고 서술하는 것에 근접한 것은 아니다.

The Reformers often did the same, yet they didn't even come close to the author's description of decision-oriented "soterism."


경건치 못한 이들에 대한 칭의는 구원의 역사(이스라엘/예수 이야기)에서 신자에게 그리스도의 전가된 의를 적용하는 것 만큼이나 중요한 사건이다.

The justification of the ungodly is as much an event in the history of salvation (Story of Israel/Jesus) as it is the application of Christ's imputed righteousness to believers.


우리는 우선 단순하게 “구원의 계획” 복음주의에 관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We simply don't talk about "Plan of Salvation" evangelism in the first place.


복음주의를 실천한다는 것은, 루터주의와 개혁주의가 세상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삶, 죽음, 그리고 부활을 선포하면서 접근하고, 집중하면서 복음에 관여하는 방식과는 다른 방식이다.

That is a different way of doing evangelism than the Lutheran and Reformed approach, centering as it does on the gospel as the announcement of Christ'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for the salvation of the world.


이러한 복음을 믿는 이들은 세례를 받았고 교회에 참여를 하였으며, 사도들의 가르침과 성찬과 공동 기도에 규칙적으로 함께 참여를 하였다(행 2:32)

Those who believed this gospel were baptized and joined the church, regularly meeting together for the apostles teaching, the Supper, and common prayer (Ac 2:32).


저자가 예수와 바울을 다루는데 있어서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예수의 이야기를 하는데 있어서 예수의 죽으심, 묻히심, 그리고 부활하심을 가지고 정말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강조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The great thing about the author's treatment of Jesus and Paul is that the Story of Jesus indeed encompasses the kingdom emphasis along with Christ's death, burial, and resurrection.


그러나 그가 하나님 나라를 위하여 털어놓는 복음 자체를 정의하는데 있어서는 (칭의와 같은) 혜택들에 대해서 같은 공간을 허락하는 것 같지가 않다.

However, he doesn't seem to allow the same space for the benefits (like justification) in the definition of the gospel itself that he opens up for the kingdom.


칭의가 없이는, 그리스도의 메시아적 통치와 하나님 나라는 필연적으로 좋은 소식인 것은 아니다.

Without justification, Christ's messianic reign and kingdom are not necessarily good news.


이러한 점에서, 나는 예수의 이야기로서의 복음과 구원의 계획 (만약에 예를 들어 후자가 칭의와 거듭남을 의미한다면)으로서의 복음 사이에서의 선택을 강요하는 것에 대하여 염려가 된다.

In this light, I worry about forcing a choice between the gospel as the Story of Jesus and the Plan of Salvation (if the latter means justification and new birth, for example).


하나는 구원의 선포라고 특정하기에는 여전히 너무 광범위하고 후자는 너무 협소하다- (맥나이트가 이것을 사영리와 유사한 종류로 서술하는 방식을 이해했다면) 정말로 어느 정도는 왜곡된 것이다.

The one is still too broad to specify the saving announcement and the latter is too narrow—indeed, somewhat distorting (understood the way McKnight describes it, as akin to the Four Spiritual Laws).


맥나이트는 고린도전서 15장을 가지고 큰 작업을 하였지만, 바울은 여기에 분명하게 복음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가지고,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의 유익들(용서, 칭의, 부활)을 포함시키고있다.

McKnight does a great job with 1 Corinthians 15, but there Paul clearly includes the benefits of Christ's saving work (forgiveness, justification, resurrection) with Christ's Story as the gospel.


사실 (그가 우리를 어떻게 구원하시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야기는 이 구절에서 그의 이야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In fact, our story (how he saves us) is bound up with his story in that passage.


만약에 고린도전서 15장이 복음의 요약이라고한다면 (나는 그렇다고 동의한다),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에 관한 상세한 부분들은 복음인 반면에, 그것들이 중요한 만큼, 우리에 대한 유익들이 복음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독단적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If 1 Corinthians 15 is a summary of the gospel (and I agree that it is), then wouldn't it be arbitrary to say that the details about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are the gospel while the benefits for us, as important as they are, are not the gospel?


이곳과 다른 곳에, 그리스도의 사역(삶, 죽음, 그리고 역사에서 다시 살아나심)을 구성하는 너무도 많은 문구들이 있으며, 그것들이 우리에게 미친 효과는 복음과 분리될 수 없는 측면들이다.

There are just too many passages, here and elsewhere, that make Christ's work (living, dying and rising again in history) and its effects for us inseparable aspects of the gospel.


“예수는 우리가 범죄한 것 때문에 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롬 4:25)

"He was crucified for our sins and raised for our justification" (Rom 4:25).


그리스도의 극적인 이야기와 우리를 위하여 이것의 중요성을 해석한 교리는 같은 복음의 분리 될 수 없는 측면들이다.

The dramatic story of Christ and the doctrine that interprets its significance for us are inseparable aspects of the same gospel.


전형적으로, 개혁주의와 루터주의 신학들은 (고린도전서 15:2-5과 로마서 4:25절과 같은) “좁은 의미에서의 복음”과 성령의 은사, 몸의 부활, 그리고 우리가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모든 다른 유익들을 포함하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 시키신 약속 모두를 망라하는 “더 넓은 의미에서의 복음”에 관하여 말하고 있다.

Typically, Reformed and Lutheran theologies speak about "the gospel in the narrow sense" (something like 1 Cor 15:2-5 and Rom 4:25) and "...in the broader sense," encompassing all of the promises that God fulfilled in Christ, including the gift of the Holy Spirit,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nd all of the other benefits of our union with Christ.


그러므로 우리는 이미 다음과 같은 점들을 구성하는 영역들을 가지고 있었다: 약속과 성취, 구원의 역사와 구원의 서정, 그리고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에서의 복음.

So we already have the categories that make these points: promise and fulfillment, historia salutis and ordo salutis, and the gospel in the narrower and broader senses.


최소한 나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명확함으로 인하여 환원주의로 갈 수는 없는 것이다.

To me, at least, these distinctions are less capable of reductionism.


신약에서의 복음은 (복음을 받아들이라는 요구인) “회심과 믿음”도 아니며 “예수가 이스라엘 이야기의 해결이시다”도 아니다.

The gospel in the New Testament is neither "Repent and believe" (that's the call to embrace the gospel) nor "Jesus is the Solution to Israel's Story."


심지어는 예수가 주시며, 메시아-왕이라는 것도 아니다.

It's not even that Jesus is Lord, the Messiah-King.


칭의의 소식들이 제외된 이러한 선포는 이스라엘과 예수의 이야기와 동떨어진 칭의의 소식만큼이나 모호한 것이다.

This announcement is as ambiguous without the news of justification as is the news of justification apart from the Story of Israel and Jesus.


예수의 주권은 칭의와 은혜는 물론 심판과 진노를 포함한다.

Jesus' lordship entails judgment and wrath as well as justification and grace.


그러므로 둘러보아야 할 환원주의는 충분히 있다.

So there is plenty of reductionism to go around.


나는 맥나이트가 대부분 옳다고 믿지만, 그의 복음에 대한 정의는 한 가지 의미에서는 너무 일반적(예수의 이야기)이고 또 다른 의미에서는 너무 환원적(“메시아-왕-주” 대 “의롭게 하는 대제사장”)이라는 것이다.

McKnight is mostly right, I believe, but I'm concerned that his definition of the gospel is too general in one sense ("The Story of Jesus") and too reductive in another ("Messiah-King-Lord" vs. "Justifying High Priest").


이스라엘 이야기의 지평 안에서 해석된 “선지자, 제사장, 그리고 왕)이라는 통합된 주해 안에 머무르는 것이 무엇이 잘못이란 말인가?

What's wrong with staying with the integrating rubric of "Prophet, Priest, and King," interpreted within the horizon of Israel's story?


그의 속죄 사역의 유일한 면으로서 만이 아니라 권능과 나라, 그의 도덕적 통치의 변론, 그리고 아담이 대표자로서 실패한 것을 재현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형벌적 대속론은?

Penal substitution not as the only aspect of his atoning work but as the sine qua non of his victory of the powers and principalities, vindication of his moral government, and recapitulation of Adam's failed headship?


왜 잘못된 선택이란 말인가?

Why the false choices?


복음을 이스라엘-이야기를-해결한-예수의-이야기로 환원시키는 것의 또 다른 위험은, 이러한 방식이 이방인들에게 복음이 좋은 소식이라는 이유를 적절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Another danger in reducing the gospel to the Jesus-Story-as-Solution-to-the-Israel-Story is that it fails to account adequately for why the gospel is good news to Gentiles.


저자는 “자, 이것이 지나치게 단순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앞과 뒤의 선지서, 그리고 대선지서, 소선지서의 어떠한 부분을 읽든지 간에 이들은 이스라엘 이야기의 문제가 이스라엘과 유다의 문제들의 해결이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137)라고 말한다.

"Now this might seem simplistic," the author says, "but any reading of the Prophets, former or latter and major and minor, will show that the problem for the Story of Israel was a resolution to Israel's and Judah's problems" (137).


사실 이것은 커다란 부분이지만, 사도들은 “교회의 신비”를 전 세계 문제에 대한 대답으로서 이스라엘의 메시아에 대한 예언적 약속에 근거를 두고 있지 않는가?

Indeed, that's a big part of it, but don't the apostles ground the "mystery of the church" in the prophetic promise of Israel's Messiah as the answer to the whole world's problems?


열방들로부터 시온에 이르기까지 남은자의 놀라운 예언들은 어떠한가?

What about all those wonderful prophecies of a remnant from the nations streaming to Zion?


이스라엘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예수의 이야기를 제공해준다: 충분히 사실이다- 그리고 사실일 뿐만이 아니라 맥나이트가 제시한대로 매우 중요한 것이다.

The Story of Israel sets us up for the Story of Jesus: true enough—and not only true, but just as crucial as McKnight suggests.


그러나 그는 복음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예수가 메시아이시면서 주”라고 말한다.

However, he says, that what is central to the gospel "is that Jesus is Messiah and Lord."


이것은 “예수 시대의 유대인에게 메시아-왕의 땅에서 메시아-왕과 메시아-왕의 백성이라는 간절한 필요”였다

This was "the pressing need of the Jews of Jesus' day: the Messiah-King and the Messiah-King's people in the Messiah-King's land."


이것은 우리의 영역들에서 흔하게 형성되는 유익한 점들이다.

This is a salutary point, frequently made in our circles.


그러나 톰 라이트와 같이, 맥나이트는, 이것이 마치 근본적으로 선지자들과 예수가 마음에 품고 있었던 것처럼,  예수 시대의 유대인이 기대하였던 것에 너무 많은 신뢰를 주는 것 같다.

However, like N. T. Wright, McKnight seems to give too much credit to what the Jews of Jesus' day were expecting, as if it were basically what the prophets and Jesus had in mind.


분명히 그렇지는 않다, 예수는 규칙적으로 종교 지도자들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제자들에게 까지도 놓치고 있는 점을 꾸짖으시며, 자신이 나라를 이전의 영광으로 회복 시키시며 시내산 언약을 새롭게 하시려고 오셨다는 것을 생각하게 하셨다.

Clearly it wasn't, since Jesus regularly upbraids not only the religious leaders but his own disciples for missing the point, thinking that he was coming to restore the nation to its former glory, renewing the Sinai covenant.


만약에 이방인들이 자신들이 약속의 언약에서 외인들이며, 하나님의 원수이며, “정결치 못하며,” 이미 심판 아래 있다고 한다면, “최종적으로 이스라엘이 이 땅에 주변 상황들을 정리하실 왕을 가졌다”는 소식이 무슨 상관이 있다는 말인가?

If Gentiles are in themselves strangers to the covenants of promise, God's enemies, "unclean," and already under judgment, of what relevance is the news, "Finally, Israel has a King who will bring things around in the land!"?


나는 우리 이방인들이 이스라엘의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어가야 한다는 것에 동의한다; 우리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유대의 셔츠 자락 (tail?)에서 언약에 들어간 것이다.

I agree that we Gentiles have to be immersed in the Story of Israel; we get in the covenant on Jewish shirt-tales, as it were.


우리는 하루의 마지막에 포도원에 들어온 일꾼들로서 신참인 것이다.

We're the workers in the vineyard who came at the end of the day, the Johnny-come-latelies.


그러나 유대인의 청중들에게 하였던 것들과는 달리, 사도행전에서 이방인들에게 한 복음 설교들과 서신서들에서의 복음에 대한 기술들은 단순히 이스라엘의 역사를 반복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그리스도 자신의 심판으로 죽으심과 의롭게 하시는 부활로서 심판, 죄와 죽음으로부터 세상을 구원하시는 그리스도를 선포한다.

However, unlike those to Jewish audiences, the gospel sermons to Gentiles in Acts and descriptions of the gospel in the epistles don't merely rehearse the history of Israel; they proclaim Christ as the Savior of the world, from judgdment, sin and death, by Christ's own death-judgment and resurrection-justification.


그들의 회개의 내용은 우상숭배이다.

The context of their repentance is idolatry.


톰 라이트는 어딘가에서, 이스라엘이 예수의 출현으로 직면하게 된 비극적인 문제는 이스라엘 역시 “아담 안에” 있음이 발견된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Somewhere N. T. Wright has written that the tragic problem that confronts Israel at Jesus' advent is that Israel too is found to be "in Adam."


이것은 분명히 옳다.

That's exactly right.


“아담 안”에 있다는 것은 곤경을 보편화 시킨다.

Being "in Adam" universalizes the plight.


우리는 감히 이스라엘을 묵과하지는 않지만, 바울의 대조는 “아담 안”에 있는 것과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을 대비 시킨다.

We dare not skip over Israel, but the Pauline contrast is being "in Adam" versus being "in Christ."


분명히 메시아-왕의 통치는 예언들의 핵심이지만, 그가 이러한 통치를 실행하는 방식은 그의 제사장직과 불가분하게 연관되어있다.

Surely the reign of the Messiah-King is key in the prophets, but the way in which he exercises this reign is inextricably linked to his priesthood.


율법을 충족 시키시고, 그들의 죄를 감당하시고, 그들에게 자신의 의를 옷 입히시고, 자신의 영을 그들에게 주시고, 그리고 모든 것들을 새롭게 되돌리심으로서, 이러한 메시아는 진실로 아담과 이스라엘이 실패를 한 것을 완성하실 것이다.

By fulfilling the law, bearing their sins, clothing them in his righteousness, giving them his Spirit, and returning to make all things new, this Messiah will indeed accomplish what Adam and Israel have failed to do.


나는 그가 “그러므로 그가 에덴의 동쪽에서 우리를 자신의 동산에서 제사장-왕들이 되라는 똑같은 임무를 가지고 세상으로 보내신 것이다”라고 덧붙일 때 그가 의미하는 것에 대하여 저자를 좀 더 압박해보고자 한다.

I would want to press the author a bit more on what he means when he adds, "So he sends us east of Eden into the world with the same task" of being priest-kings in his garden" (138).


그렇다면 우리의 임무가 그리스도의 임무와 같다는 것인가?

So is our mission the same as Christ's?


우리가 아담과 이스라엘을 재현하며, 저주를 감당하며, 그리고 우리의 부활로 모든 만물의 회복을 보장하란 말인가?

Are we recapitulating Adam and Israel, bearing the curse, and by our resurrection securing the restoration of all things?


예수가 우리를 위하여 이러한 모든 것을 하신 진정한 “마지막 아담”인가, 아니면 우리가 어떻게 그의 구속 사역을 완성할 것인가를 가르쳐주는 모델이신가?

Is Jesus really the "Last Adam," who does all of this for us, or the model for how we are to complete his redeeming work?


나는 이러한 진술에 대한 매우 많은 것들을 읽을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점들에 대하여 좀 더 듣는 것도 흥미가 있을 것이다.

I may be reading too much into that statement, but it would be interesting to hear more about that point.


예수 왕의 복음을 통하여 톰 라이트를 분명하게 반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맥나이트는 “복음과 제국”에 있어서는 확신이 덜하다: 즉 “예수가 주시다”라고 말하는 주된 것은 특별히 시저와 그의 제국에 대하여 도전하는 것이다.

In spite of clear echoes of N. T. Wright throughout The King Jesus Gospel, McKnight is less confident in the "gospel and empire" thesis: namely, that the main thing in saying "Jesus is Lord" is to specifically challenge Caesar and his empire.


“마음에 새겨 넣어야 할 것은 예수가 주시라는 복음 선포는 시저가 (주가) 아니라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아무도 부인하지 못하리라는 것이다. 여기서의 문제는 특히 로마서 13장에서 정해진 권력에 관한 바울의 언급에 비추어볼 때,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복음화에 있어서 이러한 반제국적 주제가 얼마나 의식적이고, 공공연하고, 의도적이었는가 하는 것이다”(142-144)

"Let's keep in mind that no one would ever deny that an implication of the gospel declaration that Jesus is Lord is that Caesar is not. The issue here is how conscious, overt, and intentional this anti-imperial theme is to the gospeling of the first Christians," especially in light of Paul's remarks about ordained powers in Romans 13 (142-144).


마지막으로 나는 마지막 장인 “복음 문화를 창조한다”를 기다렸다.

Finally, I was looking forward to the last chapter: "Creating a Gospel Culture."


결국, 서술된 주거 환경을 긴밀하게 담아내며 역사 속에서 개개인 신자들을 이스라엘과 삼위일체 하나님의 목적에 연결시키는 복음이, 개개인의 결정들을 근거로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종류의 공동체를 만들어낼 것이라는데 전심으로 동의한다.

After all, I wholeheartedly agree that a gospel that takes its narrative habitat seriously and connects individual believers to Israel and the Triune God's purposes for history will create a very different kind of community than one that's based on individual decisions.


그러나 나는 내가 기대하였던 것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However, I didn't find what I was expecting.


나를 당혹케 하였던 것은 거기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결핍된 것이다.

It wasn't what was there, but what was missing, that puzzled me.


분명히 우리는 이야기와 모든 것의 백성 될 필요가 있으며, 성경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야 되겠지만, 이에 대한 그의 구체적인 제안들은 모두 다 근본적으로 개개인의 신자에 관한 것이다.

Sure, we need to become People of the Story and all, reading the Bible cover to cover, but all of his concrete suggestions for this were basically about the individual believer.


(그의 구체적인 제안들 가운데에는) 성례, 교회의 구성원과 제자도에 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특히 이러한 일상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이것으로 하나님께서 “복음 문화를 창조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부록에 비추어 볼 때 이상한 것이다.

Nothing about the sacraments, church membership and discipline—especially odd in light of the Justin Martyr appendix that focused on these ordinary means by which God "creates a gospel culture."


맥나이트는 “달라스 윌라드가 수 십년간 논하였듯이, 하나님께서는 비젼, 우리의 의향, 그리고 하나님께서 제공하시는 수단-영적인 훈련-들을 통해서 우리를 변화 시키신다”고 말한다 (159).

McKnight says, "As Dallas Willard has argued for decades, God transforms us through a vision, our intention, and the means God provides—the spiritual disciplines" (159).


이것으로는 좀처럼 “구원주의”를 선택하는 것보다 좀 덜 개인주의적이며 좀 더 통합적인 복음 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This seems hardly capable of creating a less individualistic and more integrated gospel culture than its "soterian" alternative.


나는 예수 왕의 복음의 비평과 같이 논의와 풍자 설정과 한쪽으로의 잘못된 선택들에 대하여 끝까지 들어 줄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I would encourage likely critics of The King Jesus Gospel to hear out the argument, setting caricatures and false choices to one side.


이 책에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을 상기시켜야만 할 많은 것들이 있다.

There is a lot in this book that should resonate with Reformed Christians.


맥나이트가 실제로는 더 나은 다른 이들의 관점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얼마나 부정확하든지 간에, 그는 교회 생활에서 풍성하게 역할을 하고있는 시대적 그리스도인의 심각한 취약점에 대하여 반발하는 것이다.

Whatever inaccuracies in his description of the views of others who deserve better, Scot McKnight is reacting against a serious weakness of contemporary evangelism that plays out in church life abundantly.


나의 이 책의 열광적인 독자들에게, 갖추어진 하나의 환원주의 체계를 다른 것으로 변화 시키지 말 것을 주의 시키고자 한다.

To enthusiastic readers of the book, I'd caution against exchanging one set of reductionism for another.


심지어는 “이야기-사람”과 “교리-사람”; “하나님 나라”와 “개인적 구원”; “예수는 주시다”와 “예수는 구세주시다” 는 극단적 진영들로 양극화 시키지는 말자.

Let's not polarize into even more extreme camps of "story-people" and "doctrine-people"; "kingdom" and "personal salvation"; "Jesus is Lord" and "Jesus is Savior."


우리는 모두 복음적 구원주의자가 될 수 있으며, 우리를 우리의 죄에서 구원하신 유일하신 분을 선포하는 예수의 이야기로서의 복음을 즐거워하자.

We can all be evangelical soterians, rejoicing in the gospel as the Story of Jesus that proclaims the only one who saves us from our sins.


나의 염려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몇 가지 기억할 만한 중요한 대화들의 커다란 출발인 것이다.

Despite my concerns, this is a great starter for some remarkably important conversations.





posted by Wonho Kim
:
스캇 맥나이트 2016. 3. 12. 15:49
스캇 맥나이트가 말하는 복음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하나님 나라의 비밀”의 저자인 스캇 맥나이트가 말하는 복음은 개혁주의적 관점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저서 “하나님 나라의 비밀”에서는 이제까지 우리가 미쳐 생각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다양한 이야기들을 제시해주고 있다.

교회보다도 넓은 영역의 하나님 나라 개념을 말하여왔던 헤르만 리델보스나 조지 앨든 레드의 “하나님 나라”개념에 익숙해져있던 개혁주의 신자들에게 맥나이트는 “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통하여  교회와 하나님 나라가 동일하다고 말하면서 하나님 나라의 사역이 곧 교회의 사역이 되어야 한다고 논리적으로 설득한다.

맥나이트의 설득력 있는 논리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리가 쉽게 마음에 와 닿지 않는 것은 그의 신학이 톰 라이트가 주장하고 있는 “바울에 관한 새관점”을 기초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맥나이트가 언급하고있는 교회의 개념도 우리가 이제껏 생각하고 있던 전통적인 교회의 개념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줄 수 밖에 없다.

교회 구성원의 자격은 우리가 전통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종교개혁적  신앙고백을 하는 이들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오직 믿음”과 “이신칭의”라는 전통적인 틀 안에서 개혁주의 교리를 인정하고 신앙 고백을 하는 이들이 세례를 통하여 교회의 구성원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맥나이트가 말하는 교회 구성원은 이미 구약의 이스라엘까지 포함하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이들로서 회개와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조건으로 하나님의 명령에 순응하는 이들이다.

맥나이트는 구약의 이스라엘과 신약의 교회는 동일한 하나님 나라이며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과 신약의 교회의 구성원은 동일한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논리는 단지 맥나이트의 주장에서만이 아니라 톰 라이트를 비롯한 새관점주의자들에게서도 동일하게 볼 수 있다.

맥나이트는 새관점의 대표적 개척자인 제임스 던에게서 학위를 받았으며 지금은 톰 라이트와 더불어 새관점의 사상을 정립하고 전파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이와같은 신학적 차이로 인하여 맥나이트가 말하는 하나님 나라는 개혁주의와 많은 차이를 보여 줄 수밖에 없다.

맥나이트의 신학적 입장은 새관점을 주장하는 톰 라이트와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겠지만 새관점에 대한 선입관을 가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맥나이트의 주장들은 결국 다른 복음으로 귀착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맥나이트의 신학적 특성들을 잘 정리한 Gabe Rogers목사의 글을 통하여 맥나이트의 신학세계를 살펴보고자한다.

              ◇          ◇          ◇
스캇 맥나이트가 말하는 복음과 성경이 말하는 복음- 가베 로저스
The Gospel of Scot McKnight and the Gospel of the Scriptures Contrasted
출처 http://www.faithnh.com/sermons/sermon/2013-03-24/jesus-the-soterian:-a-critique-of-scot-mcknights-gospel

By Gabe Rogers

서론: 스캇 맥나이트는 잘 알려진 신약 학자로서, 최근에 이곳 뉴헴프셔주의 콩코드에 위치한 센터포인트 교회에서 특별 연자로 초청된 인물이다.
Introduction: Scot McKnight is a well-known New Testament scholar who recently was the featured special guest speaker at Centerpoint Church here in Concord, NH.

복음주의 그리스도인들이 알아야 할 것은, 맥나이트는 복음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다른 관점을 공개적으로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결론적으로 다른 복음이다.
Evangelical Christians need to be aware that McKnight is openly proposing a radically different view of the Gospel, which in the end is a different gospel.

미국 복음주의가 제자도에 대하여 거의 강조하지 않는 값싼 “그리스도에 대한 결단”의 경향이 있다는 것에 대한 그의 비판은 비록 슬프게도 정확한 것이지만, 복음주의가 역사적으로나 보편적으로 “복음을 잘못 취하고 있다”는 그의 주장은 너무 멀리 나간 것이다.
While his critique of American evangelicalism's tendency toward cheap "decisions for Christ" along with little emphasis on discipleship is sadly accurate, he goes too far when he insists that evangelicals have both historically and currently “got the Gospel wrong.”1

더군다나, 그는 자신이 복음에 관하여 제안한 것이 논쟁이 되게 하려는 의도였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주장한다.
Moreover, he openly asserts that he intends to be controversial in what he is proposing regarding the Gospel.2 

이 글의 목적은, 맥나이트가 제시하는 복음이, 개신교 복음주의자들이 믿어왔고, 소중히 여겼으며, 찬양했고, 선포하면서 땅 끝까지 가지고 나갔던 복음과는 몇 가지 심각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some of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ospel that McKnight is proposing and the Gospel that Protestant Evangelicals have believed, cherished, sung, proclaimed, and taken to the ends of the earth.

10가지 차이점들
Ten Contrasts

차이점 #1: 복음의 관심이 다르다.
Contrast #1: A Different Gospel Concern

맥나이트는 복음이 본래, 혹은 주로 개인의 구원에 관계된 것이 아니라고 단호하게 주장한다.
McKnight adamantly asserts that the Gospel is not primarily or chiefly concerned with personal salvation. 

그렇다, 맥나이트는 개인적 구원이 복음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우리는 복음을 어떤 의미에서의 “구원의 계획”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Yes, personal salvation flows out of the Gospel according to McKnight, but we must not think of the Gospel in any sense as the "Plan of Salvation." 3

반면에, 성경적 복음은 원래 그리고 압도적으로 (개개인의 사람들로서의) 죄인들의 구원에 관계되어있다.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is primarily and overwhelmingly concerned with the salvation of sinners (individual people). 

차이점 #2: 복음의 내용이 다르다
Contrast #2: Different Gospel Content

맥나이트는 “신약의 ‘복음’이 구원의 계획으로 함축될 수 없다"고 열정적으로 주장한다.
McKnight passionately asserts “that the ‘gospel’ of the New Testament cannot be reduced to the Plan of Salvation.”4

반면에, 성경적 복음은, 비록 풍성하고 다양한 면이 있지만, 동시에 경이롭고 아름답게 함축될 수 있다.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though rich and multifaceted, is at the same time marvelously and beautifully reducible.

바울은 복음을 이렇게 제시한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죄를 위하여 죽으셨다"(고전 15:3).
The Gospel according to Paul is this: “Christ died for our sins” (1 Cor. 15:3).

사실, 바울은 복음을,”십자가의 도" 그리고 좀 더 정확히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라는 구절로 축소 시켰다
In fact, Paul reduces the Gospel to the phrase, “the word of the cross” and even more pointedly, “Christ crucified” (1 Cor. 1:18, 23)!

차이점 #3: 복음의 중심이 다르다.
Contrast #3: A Different Gospel Center

맥나이트에 의하여 제시된 복음은, 초점이 그리스도의 죽으심에서 예수의 삶의 사건들로 빗나가버렸으며, 십자가에서의 죽으심은 다른 사건들 가운데 한 가지가 되어버린 것이다.
The gospel proposed by McKnight shifts the focus away from the death of Jesus to the “events in Jesus’ life,” among which the crucifixion is one event among others.5

반면에, 성경적 복음은, 진실로 성경이 증거하는 전체로서, 우리의 관심을 그리스도께서 대신하여, 속죄로 죽으신 것에 향하도록 우리의 관심을 고정 시킨다(히 12:2). 복음은 “십자가의 도”다(고전 1: 18. 1:13; 2:2)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indeed the entirety of the Scriptural witness, directs and fixes our attention on the substitutionary, atoning death of Christ (Heb. 12:2). The Gospel is “the word of the cross” (1 Cor. 1:18, see also 1:23; 2:2).

차이점 #4: 다른 속죄
Contrast #4: A Different Atonement

맥나이트는 그리스도의 형벌적 대속 교리(십자가 상에서  우리의 죄로 인하여 형벌, 즉 죄와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정당하고 의로우신 진노를 예수께서 감당하셨다는 진리)를 해체시키면서 더럽히고 있다.
McKnight dismisses and denigrates the doctrine of Christ’s penal substitutionary atonement (the truth that on the cross Jesus was receiving the penalty for our sins, namely, the just and righteous wrath of God towards sin and sinners).6

이에 반하여, 성경적 복음은 이러한 영광스러운 진리가 중심에 자리 잡도록 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이 직접 죄와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의로우신 분개하심과 진노하심의 형벌을 감당하셨다(이것이 형벌적 대속 교리이다). 특별히 이사야 53:3-11; 로마서 3:25-26을 보라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gives the central place to this glorious truth: Jesus Christ bore in Himself the penalty of the righteous indignation and wrath of God towards sin and sinners (this is the doctrine of penal substitutionary atonement). See especially Isaiah 53:3-11; Romans 3:25-26.

차이점 #5: 다른 의
Contrast #5: A Different Righteousness

맥나이트는 그리스도의 의가 그리스도를 믿는 이들에게 하나님에 의하여 전가/보증이 되었다는 가르침을 부정하며 이를 매우 많이 싫어한다.
McKnight denies and very much dislikes the teaching that Christ’s righteousness is imputed/credited by God to those who have faith in Christ.7

이에 반하여, 성경적 복음은 믿는 죄인들이 용서를 받고 깨끗하여 졌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이 보시기에 “의롭다고" (의로 밝혀지도록) 허락되었다. 성경적인 복음은 신자가 하나님 앞에 서게 되는 이러한 의를 그리스도의 의와 다를 바가 없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빌 3:9).
In contrast, the biblical Gospel leaves the believing sinner not only forgiven and cleansed, but “justified” (declared righteous) in God’s sight. The biblical Gospel presents this righteousness in which the believer stands before God as none other than the righteousness of Christ (Phil 3:9).

차이점 #6: 죄에 대한 다른 정의
Contrast #6: A Different Definition of Sin

맥나이트는 죄를 “제한된” 범죄행위로 여긴다.
McKnight considers sin a “finite" offense.8

이에 반하여, 성서와 성경적 복음에서는 죄를 하나님의 무한하신 거룩하심과 선하심에 대한 개인적인 무례와 공격으로 표현한다(시 51:4).
In contrast, the Scriptures and the biblical Gospel present sin as a personal affront and assault upon the infinite holiness and goodness of God (Ps. 51:4).

성경적 복음에서는 우리의 죄를 상당히 심각한 문제로 보고 있는데, 이는 우리의 죄와 사악함이 매우 심각하고 무한한 범죄이기 때문이다.
The biblical Gospel presents our sin as such a profound problem because our sin and sinfulness is such a profound, infinite offense.

오직 무한히 거룩하시고 귀중하신 하나님의 아들만이 하나님에 대한 헤아릴 수 없는 반역의 죄에 대한 형벌을 갚으실 수 있으시다.
Only the infinitely holy and valuable Son of God could pay the penalty for sin of inestimable offense against God.

차이점 #7; 다른 지옥
Contrast #7: A Different Hell

맥나이트는 “예수가 지옥을 믿으시기 때문에" 지옥을 믿는다고 주장하지만, 개개인이 육체적으로, 그리고 의식을 가지고 하나님의 영원하시고 정당한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역사적 복음주의 신앙을 부정하며 축소시킨다.
McKnight, while asserting that he believes in hell “because Jesus believed in hell,” denies and belittles the historic evangelical belief that individuals will physically and consciously receive the just judgment of God eternally.

 그는 대신에 영혼 절멸설의 형태를 주장하며 추천한다.
He instead professes and commends a form of annihilationism.9

이에 반하여, 성경에서는 지옥이 하나님의 영원하시고 의로우신 심판을 육체적으로, 그리고 의식적으로 받게 될 장소라는 것을 분명하게 가르친다(마 25:46; 계 20:10-15).
In contrast, the Scriptures clearly teach that hell is a place where sinners will physically and consciously receive the just judgment of God forever (Mat. 25:46; Rev. 20:10-15).

차이점 #8: 다른 복음
Contrast #8: A Different Evangelism

맥나이트는, 성경적 복음주의는 단지 다른 이들에게 어떻게 “예수의 이야기"가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완성시켰는지를 말해주는 것이라고 제안 한다.
McKnight proposes that biblical evangelism is merely telling others of how the “Story of Jesus” completes the “Story of Israel.”

그는 죄인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심판과 진노의 빛에서 믿고 회개하도록  급하게 경고하는 가르침과 복음주의를 멸시한다.
He mocks preaching and evangelism that urgently warns sinners to believe and repent in light of the judgment and wrath of God.

그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접근법은 단지 인위적인 수사법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According to him such an approach is nothing more than manipulative rhetoric.

더욱 낙담 되는 것은, 맥나이트는, 복음은 누가 “안에 있는지" 혹은 누가 “밖에 있는지"(구원 받았는지 혹은 아닌지?)와는 관계없는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한다.
More disconcerting, McKnight insists repeatedly that the Gospel is not concerned with who is “in” or who is “out” (saved or unsaved?).10

이에 반하여, 복음에 대한 성경적 가르침은, 예수와 사도들과 열심 있는 이들을 포함한 제자들이 보여준 것과 같이, 하나님의 심판을 특별히 경고하고 있다.
In contrast, biblical preaching of the Gospel, as modeled by Jesus, the apostles, and disciples includes fervent, compassionate warning of the judgment of God.

성경적 복음주의는 죄인으로 하여금 자신들이 하나님의 의로우신 심판으로부터 구함을 받아야 하는  긴박한 필요성을  강권하며 제시하고 있다.
Biblical evangelism has a sense of urgency and presents the sinner with his or her urgent need to be saved from the just judgment of God.

더군다나, 성경적인 복음은 누가 “안에" 있고 누가 “밖에" 있는지에 관하여 매우 많이 관련되어있다(마 7:13-14)
Further, the biblical Gospel is very much concerned with who is “in” and who is “out” (Mat. 7:13-14).

차이점 #9: 다른 성경 공부 방법
Contrast #9: A Different Bible Study Method

맥나이트는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예수의 이야기로 완성된다"는) “원래의 복음"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논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말한 것에 의존을 하는데 이는 고린도전서 15장을 통하여 알 수 있다.
McKnight rests his argument for a new definition of the “original gospel” (“The Story of Israel is completed in the Story of Jesus”) upon what he says is found in 1 Corinthians 15.

비교하기 위하여 고린도전서 15장을 읽어보자.
In contrast, read 1 Corinthians 15.

고린도전서15장을 읽으면 신약 성경 학자가, 바울의 주된 논의가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예수의 이야기에서 완성된다"는 주장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 놀랄 수밖에 없다.
Read 1 Corinthians 15 and be amazed that a New Testament scholar can insist that Paul’s main argument is “that the Story of Israel is completed in the Story of Jesus.”

사실 고린도전서15장은, 복음이 우선적으로 구원에 관한 것이 아니며 복음은 축소될 수 없다는 그의 주장에 반하는 가장 강력한 성경적 논의인 것이다.
In fact, 1 Corinthians is the strongest biblical argument against his proposal that the Gospel is not primarily about salvation and that the Gospel "cannot be reduced."

주: 바울의 복음은 몇 가지 문장들로 “알려지게” 할 수 있다(고전 15:1). 바울의 복음은 우선적으로 사람들을 그들의 죄들로부터 구하는 것이다(고전 15:2). 그리고 바울 복음의 중심은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으심이다(고전 15:3)!
Note: Paul’s Gospel can be “made known” in a few sentences (1 Cor. 15:1). Paul’s Gospel primarily saves people from their sins (1 Cor. 15:2). And Paul’s Gospel centers on the substitutionary death of Christ (1 Cor. 15:3)!

차이점 #10: 성경에 대한 다른 관점
Contrast #10: A Different Bible View

맥나이트의 복음에 대한 표현은 매우 복잡하고, 난해하며, 명확함이 부족하여서, 독자로 하여금, “복음이 무엇인가?” 그리고 “그리스도인이 무엇인가?” 라는 대부분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하여 성경이 어떤 명확한 답을 말해주고 있는가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도록 한다.
McKnight’s presentation of the Gospel is so convoluted, esoteric, and wanting of clarity that readers are left to wonder if the Bible speaks with any clarity to the most basic questions, “What is the Gospel?” and “What is a Christian?”11

이에 반하여, 성경은, 단순하지는 않더라도, 놀라울 정도로 분명하며, 오직 학자, 혹은 목사만이 아니라 성령이 내주하는 모든 신자가 이해할 수 있으며 읽을 수도 있다.
In contrast, the Scriptures, while not simple, are wonderfully clear and able to be comprehended by not only the scholar, or pastor, but by every believer who is indwelled by the Holy Spirit and able to read.

성경은 조심스럽게 그리고 경외하면서 읽게 되면, 구원의 좋은 소식인 복음을 분명하게 드러내 준다.
When read carefully and reverently, the Scriptures clearly present the Gospel which is the good news of salvation.

맥나이트의 책을 읽음으로서 복음을 다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우리는 바울이 디모데에게 하였던 충고를 따라야만 한다:
Far from re-thinking the Gospel by reading McKnight’s books, we should follow Paul’s advice to Timothy:

“그러나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너는 네가 누구에게서 배운 것을 알며 또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하느니라.”(디모데후서 3:14-15)
"You, however, continue in the things you have learned and become convinced of, knowing from whom you have learned them, and that from childhood you have known the sacred writings which are able to give you the wisdom that leads to salvation through faith which is in Christ Jesus." (2Timothy 3:14-15)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다른 복음을 받아들였을 때 생기는 (최소한) 열 가지 실제적 결과들
What’s at Stake? Ten (at least) Practical Consequences of Embracing this Different Gospel

1. 성경의 명확함에 대한 신뢰의 상실.
1. Loss of confidence in the clarity of the Bible.

2. 복음에 관계된 명확성의 상실.
2. Loss of clarity concerning the Gospel.

3. 복음의 필수적 진리들을 요약한 복음주의를 향한 긍정적 관점의 상실.
3. Loss of positive view towards evangelism that summarizes the essential truths of the Gospel.

4. 복음을 나누고자 하는 확신의 상실.
4. Loss of confidence in sharing the Gospel.

5. 복음의 소유권에 “중점을 두는 것”의 상실 (진짜 그것을 받아들이는 학자들에 의하여 더 잘 이해가 된다).
5. Loss of “lay” ownership of the Gospel (it’s better understood by scholars who really “get it”).

6. 복음의 중심에 있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의 상실.
6. Loss of the center of the Gospel as “Christ crucified.”

7.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의 의미와 중요성의 상실.
7. Loss of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hrist crucified.”

8. 지옥을 경고하는 가르침과 복음주의의 상실.
8. Loss of preaching and evangelism that warns of hell.

9. 성도와 불신자, 교회와 공동체간의 구분의 상실.
9. Loss of distinction between saints and unbelievers, the church and the community.

10. “성도에게 주시는 단번에 모두를 구원하는” 복음의 상실
10. Loss of the Gospel “once for all delivered to the saints” (Jude 1:3).

요약: 결론적으로는, 분별력이 있는 독자들이나 청취자들은 맥나이트가 말하지 않는 것이 그가 말하는 것을 조사하는 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Summary: In the end, discerning readers and listeners will notice that what McKnight does not say is as important as examining what he does say.

독자들이나 청취자들은 (그가 최소한 자신의 두 가지 책들 안에서 자신의 목적이 복음과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규정하는 것이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기에)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맥나이트가 제시하는) 성경적인 가르침에 관하여 허망함을 볼 것이다.
Readers and listeners will look in vain (at least in his two books in which he expressly says his aim is to define the Gospel and What it Means to be a Christian!) for the biblical teaching concerning the significance of the cross of Christ.

복음을 성경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단순하게 여기 저기에서 성경적인 단어들과 구절들을 담아내는 것이 아니다.
A biblical presentation of the Gospel does not merely contain biblical words and phrases here and there.

만약에 우리가 성경적인 복음과 그것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우리는 (우리 자신의 생각이 아닌) 성경이 강조하는 진리들과  비율과 비중에 있어서 성경 자체에 의한 동일한 진리들을 소중하게 여기고 고백하여야만 한다.
If we are to understand the Biblical Gospel and its meaning we must cherish and profess the truths the Bible emphasizes (not our own ideas) and in the proportion and weight given those same truths by Scripture itself.

맥나이트는 자신이 답한 것 이상의 질문을 제시하며,  성경에 이미 분명하게 제시되어있으며 복음주의 세대들에 의하여 가르쳐지고 믿은 바된 복음보다는 자신만이 소유한  형태의 복음을  제안한다.
McKnight raises more questions than he answers and proposes his own version of the “Gospel,” rather than the Gospel clearly put forward in Scripture -the Gospel that has been preached and believed by generations of evangelicals. The Gospel, most importantly, “by which [we] are saved” (1 Cor. 15:2).

Endnotes는 출처 http://www.faithnh.com/sermons/sermon/2013-03-24/jesus-the-soterian:-a-critique-of-scot-mcknights-gospel
를 참조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