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약 2022. 10. 22. 21:29

데이비드 딕슨의 구속 언약

창세 전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에 대해서는 종교 개혁 이후 16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인 관심을 가지게된다.

데이비드 딕슨David Dickson (1583-1662)의 논술들은 구속 언약에 대한 관심의 시발점이 된다.

이보다 앞서 16세기 초에 알미니우스Jacob Arminius (1560-1609)는 성부와 성자 사이의 언약에 대하여 명확히 하고 있다.

도르트총회를 중심으로 알미니우스의 후예들인 항론파들의 주장들에 대하여 반박을 하였던 데이비드 딕슨David Dickson (1583-1662)은 항론파들이 알미니우스가 진술한 하나님과 그리스도 사이의 구속 언약에 대하여 익숙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이를 계기로 딕슨은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님 사이의 구속 언약에 대하여 깊은 연구를 하면서 창세 전 구속 언약에 대하여 정리를 하였으며, 여기서 정립한 구속 언약에 관한 그의 논문들은 이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비롯한 여러 고백서들에서 체계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했다.

비록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는 구속 언약에 대한 교리를 명백히 하지는 않았지만, 스코틀랜드 교회는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가 구속 언약과 전적으로 부합되고있음을 믿고있었다.

비슷한 방식으로 개혁주의 회중교회Reformed Congregationalists (1658)와 일부 침례교 신학자들도 개선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채용하면서 여기에 구속 언약을 추가하였다.

17세기 후반에는 이 교리가 개혁신학에 보편적으로 자리메김을 하였으며, 몇몇 개혁주의 신앙고백서들에서는 공식적으로 성문화되었다.

다음은 존 페스코J. V. Fesko의 The Trinity and the Covenant of Redemption 23,4쪽의 일부를 번역 한 것이다.

===================

데이비드 딕슨David Dickson (1583-1662)은 1638년 스코틀랜드 교회의 총회General Assemblyof the Scottish Kirk에서 구속 언약에 관한 교리에 대하여 처음으로 명확하고 상세한 진술을 하게된다.

그는 항론파의 주된 실패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이들이 하나님과 그리스도 사이의 구속 언약Covenant of redemption betwixt God and Christ에 대하여 익숙하지 않다는 사실을 진술한다.

딕슨은 하나님과 그리스도 사이의 구속 언약the covenant of redemption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구원의 언약covenant of salvation (or grace)과 다르다는 것을 설명한다.

딕슨이 구속 언약에 대하여 언급하는 이유는,구속 언약이 은혜 언약의 붕괴에 대한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하여 아무도 (은혜 언약을) 침범할 수 없게끔 보장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딕슨은 연설을 마치면서 구속 언약이 어떻게 은혜 언약을 보장하는지에 대하여 5가지 주제로 설명한다.

첫번째로, 하나님과 그리스도사이의 언약으로서 이는 하나님께서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시는 모든 것의 근거가 된다.
First, there is a covenant between God and Christ, which is the ground of all that God does to redeem fallen man.

두 번째로는, 구속 언약에 있는 구원받을 이들의 시간 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이름과 숫자에 관해서도 계획되어있다.
Second, in the covenant of redemption the elect were designed in terms of their name and number as well as the time in which they would be saved.

특정인들에 대한 선택은 구속 언약 안에서 결정되어있다.
The election of certain individuals was determined in the covenant of redemption.

세번째로, 구속의 값은 그리스도께서 죽음에 잡히신바holden captive of death된 것으로 확립되었다.
Third, the price of redemption was established, how Christ would be ‘holden captive of death, &tc.’

네번째로, 중재자는 자신의 성공이 보장되셨으며, 택함받은 이는 그분께 드려졌으며, 그들의 구원은 그분의 손에 놓여진 것이다.
Fourth, the mediator was ensured of His success and the elect were given to Him, and their salvation was placed in His hand.

다섯번째로, 구속 언약의 열매로서 복음을 통하여 베풀어주신 하나님의 지혜를 고려해 볼 때, 아무도 하나님의 은혜가 부어지는 것을 취하거나 구원의 보장을 탈취할 수는 없다.
Fifth, no one would truly take God’s grace for granted or be robbed of the assurance of salvation given God’s wise dispensation of the gospel, the fruit of the covenant of redemption.


posted by Wonho Kim
:
언약 2015. 8. 27. 06:27
존 머레이의 단일 언약론과 리처드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미처드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은 우리나라의 보수적인 신앙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읽기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면들이 많이 있으며 또한 미들턴 개인의 신학적 특성과 배경을 이해하지 않고는 책을 읽는 내내 혼란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의 몇 가지 대표적인 특징을 서술한다면 다음과 같다.

1)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은 화란 개혁주의의 대표적인 기독교 세계관을 나타내는 알버트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의 연장 선에서 본 "새 하늘과 새 땅"을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2)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은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 (New Perspective on Paul)"을 수용하며 톰 라이트의 신학 위에서 "새 하늘과 새 땅"의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있다.

3)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은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 (New Perspective on Paul)"의 언약적 율법주의를 수용하면서 모세 언약을 은혜 언약으로 보는 단일 언약론(mono-covenantalism) 위에서 성경을 해석하고있다.

4) 모세 언약을 은혜 언약으로 보는 관점은 헤르만 바빙크로부터 시작하여 존 머레이, 노먼 쉐퍼드, 페드럴 비전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 (New Perspective on Paul)"에 바탕을 둔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5) 미들턴은 복음을 율법의 연장선에서 보며 출애굽을 구원의 시작으로 생각하고 시내산 언약에서의 상벌조항의 행위 언약을 부인함으로서 새 언약과 다르지 않게 보고 있다. 이로 인하여 미들턴이 말하는 기독교와 교회론은 다분히 유대주의적 성격을 드러낼 수밖에 없는 것이다.

6) 구속의 주체를 예수님보다는 하나님으로 봄으로서 예수님은 단순히 이스라엘의 완성을 위하여 존재하시는 분으로 묘사되고있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단일 언약론은 이제는 정통 개혁주의 교단에서도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비록하여 화란 개혁주의 기독교 세계관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우리에게 다가오는 단일 언약론은 개혁주의 신앙 고백과 대립 관계에 있을 뿐 만이 아니라 역사적 개혁주의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리처드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리처드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이 오직 은혜 언약만을 주장하는 존 머레이와 같은 단일 언약론을 수용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기에 리처드 미들톤과는 전혀 상관이 없을 것 같은 존 머레이의 단일 언약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리처드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은 알버트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을 이어받는 패러다임으로서 이미 2005년 알버트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 개정판에서 마이클 고힌과 함께 톰 라이트의 새관점이 수용되었으며 리처드 미들톤은 더 나아가 톰 라이트의 새관점의 구도에서 자신의 "새 하늘과 새 땅"을 그려내고 있다.

리처드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이미 단일 언약론의 구도에서 노먼 쉐퍼드로부터 형성된 페드럴 비전에 절대적 영향을 주고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볼 때 페드럴 비전의 단일 언약론의 기초를 마련해준 존 머레이의 단일 언약론을 Gary L. W. Johnson와 Guy Prentiss Waters가 편집하고 Crossway Books에서 출간된
"By Faith Alone: Answering the Challenges to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에서 발췌하여 번역하였다.



◇ ◇ ◇ ◇

존 머레이의 단일 언약론
John Murray’s Mono-Covenantalism
by T.DAVID GORDON(professor of religion and Greek, Grove City College, Grove City, Pennsylvania.)

By Faith Alone: Answering the Challenges to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Copyright © 2006 by Gary L. W. Johnson and Guy Prentiss Waters Published by Crossway Books p118~
(다음 글에서 자주 언급되는 Auburnites는 어번에비뉴 장로교회- Auburn Avenue Presbyterian Church-를 중심으로 형성된 페드럴 비전-Federal Vision-의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이며 어떤 이들은 어번 에비뉴 이단들-Auburn Avenue Heresies-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Auburn Avenue 신학인 페드럴 비전은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 절대적 영향을 받았으며 단순한 학문을 넘어서 교단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이단 논란에 휩싸여 있는 상황이다.)

나는 존 머레이의 성경 신학에 관한 논의가 부족한데 대하여 적지 않게 놀랐다.
I am staggered by the lack of discussion of John Murray’s biblical theology.

많은 가족들은 이야기하고 싶지 않은 어두운 비밀을 가지고 있다: 아저씨는 매 감사절마다 취하였으며 아줌마들을 유혹하였으며, 별난 조카는 직업을 가질 수가 없었다, 기타등등
Many families have a dark secret that they prefer not to talk about: the uncle who gets drunk every Thanksgiving and makes passes at the womenfolk, the eccentric nephew who can’t hold a job, etc.


이러한 비밀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좀처럼 논의되지는 않는다.

Such family secrets are well-known but rarely discussed. 

이러한 것이 개혁주의에서는 존 머레이의 성경 신학에 해당되는 것이다.
The Reformed version of this is John Murray’s biblical theology.

성경/이야기 신학과 조직 신학에 관한 모든 논의에 있어서, 오직 Dr. Smith와 Robbins 목사 만이 존 머레이의 특정한 성경 신학에 대한 언급을 하였으며, 그것도 오직 그들이 (적절하게) 머레이가 전가 교리에 있어서 행위 언약을 거부한 결과에 관하여 초점을 맞추고 있을 때 뿐이었다.
For all of the discussion of biblical/narrative theology vs. systematic theology in the essays, only Dr. Smith and Rev. Robbins made reference to the particular biblical theology of John Murray, and that only in passing as they (properly) focused on the consequences of Murray’s rejection of the covenant of works for the doctrine of imputation.

자신들의 전체 구도가 머레이로부터 온 어번(페드럴 비전)의 사람들은, Trouwburst 목사를 제외하고는 이 문제에 대하여 공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And the Auburnites, whose entire paradigm comes from Murray, appear hesitant to state the matter publicly, with the exception of Pastor Trouwburst.

존 머레이는 세대주의를 무척이나 싫어한다.
John Murray despised dispensationalism.

우리 모두도 여기(세대주의)에 동의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존 머레이에 동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We all disagree with it, but few of us with the passion of John Murray.

존 머레이는 자신의 교단 정기 간행물에 종종 세대주의에 반대하는 글을 썼다.
In denominational periodicals of his day, Murray frequently wrote against dispensationalism.

실제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를 떠난 역사적 전천년주의자들 가운데 일부는 머레이가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를 공격하는 것이 때로는 자신들을 공격하는 것 같다고 불평을 하기도 하였다,
Indeed, some of the historic premillenialists who left Westminster Seminary complained that Murray’s attack on dispensational premillenialism occasionally made them feel attacked also.

머레이는 세대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자신의 팜플렛 "은혜의 언약"에서 언약 신학의 재구성안이라고 불리우는 것을 제안한다.
In reaction to dispensationalism, Murray proposed in his pamphlet “Covenant of Grace” what he called a recasting of covenant theology.

이렇게 제안된 재구성안에 관하여는 여러가지 것들이 주목되어야 한다.
Several things should be noted about this proposed recasting.

첫째로, 머레이 자신에게는 그가 언약 신학이 재구성을 제안할 필요가 있을 정도로 충분히 결함이 있다고 여기는 말을 할 정도의 지적인 성실함이 있다.
First, Murray himself had the intellectual candor to say that he considered covenant theology to be sufficiently defective that it needed his proposed “recasting.”

그것은, 머레이의 관점이 언약 신학의 전통 안에 있는 일반적인 관점이라는 어떠한 생각도 머레이 자신과 반하는 것인데, 그는 자신이 대다수의 관점을 재진술하고있는 것이 아니라 대다수의 관점을 재구성하고있다고 생각한다.
That is, any notion that Murray’s view was/is the prevailing view within the covenant theology tradition is contrary to Murray himself, who did not consider himself to be restating the majority view, but recasting the majority view.

머레이는 전통적인 것을 전부 폐기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관점을 재구성이라고 부르는 이유이며, 이것은 모든 면을 버리지 않았음을 강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Murray did not wish to discard the tradition entirely; and that is why he called his view a recasting, which suggests a new way of articulating the view without jettisoning every aspect.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공식적 표현이 이러한 점에서는 전통 안에서의 널리 퍼져있는 관점이 아니고 전통적으로 특징적이었던 면들을 재구성하는 것이라고 솔직하게 언급하고 있다.
Nonetheless, he candidly referred to his own formulations on this point as being not the prevailing view within the tradition, but a recasting of that tradition’s salient features.

두번째로, 머레이가 전통으로부터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은 언약을 성경 신학과 조직 신학을 체계화하는 중요한 원리로 사용하는 효율성이다.
Second, what Murray has retained from the tradition is the value of using covenant as a significant organizing principle of biblical and systematic theology.

분명한 것은, 그가 전통 가운데서도 긍정적이고 유익한 면이 있다고 여기는 언약의 개념들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신학적으로 발전시키는 일을 하였다는 것이다. (비록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언약에 대한 그의 정의는 이전의 전통과는 차이가 있다.)
It is evident that he considered the commitment to the idea of covenant to be a positive, beneficial aspect of the tradition, one that was to be retained and developed theologically (though, arguably, his definition of covenant differed from that of the previous tradition).

세번째로, 머레이가 버린 것은 언약들 간에 있는 종류의 구분들에 대한 개념이다.
Third, what Murray jettisoned was the notion of distinctions of kind between the covenants.

특별히, 그리고 매우 심각하게도, 그는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 간의 전통적인 구분을 거부하고서 모든 언약의 관계를 은혜로 간주하기를 원하였다.
Specifically, and most significantly, he rejected the traditional distinction between covenant of works and covenant of grace, wishing to construe all covenantal relations as gracious.

또한 그는 언약을 계약이나 조약(필수적으로 언약을 그것으로 인하여 성취되는-"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될 것이며 그들은 나의 백성이 될 것이다"- 필수적인 것으로 묘사한다.)이 아닌 관계로 재정의한다.
He also redefined covenant as a relationship, not a contract or treaty (essentially describing covenants in their essence by the goal achieved thereby: “I shall be their God, and they will be my people”).

더군다나, 머레이는 아브라함 언약과 모세 언약 사이에 어떠한 구분이 있다는 생각을 거절하며, 모세 언약의 의미가 아브라함 언약과 차이가 있다고 설명할 어떠한 근거도 없다고 말한다.
Additionally, Murray rejected the notion that there was any distinction of kind between the Abrahamic covenant and the Mosaic covenant, saying that there was not “any reason for construing the Mosaic covenant in term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rahamic.”

이것이 가져온 결과는 시나이 언약과 새 언약 사이에 어떠한 차이도 없다는 것으로서, 이것은 Rich Lusk가 "모세 법은 단순히 기독교 형성 이전의 복음"이라고 상기시킨 것과 같다.
This has the logical consequence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Sinai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as Rich Lusk reminds us: “the Mosaic Law was simply the Gospel in pre-Christian form.”

이는 비 어번사람들(페드럴 비전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을 당혹스럽게 하는 일종의 과장된 진술이다(그리고 어떤 이들은 많은 어번 사람들이 당황하기를 바란다).
This is the kind of overstatement that staggers non-Auburnites (and, one hopes, embarrasses many Auburnites).

이보다 더 나은 것은 찰스 핫지의 좀 더 균형잡힌 진술인데, 그는 모세 언약에 대한 복음적인 면과 법적인 면(즉, 단순히 복음적이지 않은) 양쪽을 인식하고있다.
Much better is the more measured statement of Charles Hodge, who recognized both an “evangelical”and a “legal”aspect (i.e., not simply evangelical) to the Mosaic covenant:

의심할 여지없이 모세 언약에 속해있는 이러한 복음적인 속성 외에도, 하나님의 말씀에는 두 가지 다른 면이 나타나고 있다.
Besides this evangelical character which unquestionably belongs to the Mosaic covenant, it is presented in two other aspects in the Word of God.

우선, 그것은 히브리 백성들과의 국가적 언약이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당사자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들이다; 약속은 국가적인 안전과 번영이며; 조건은 국가적으로 모세 법에 대한 백성의 순종이며; 중재자는 모세다. 이러한 면에서 이는 법적인 언약이다. 이는 "이것을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라고 말하는 것이다.
First, it was a national covenant with the Hebrew people. In this view the parties were God and the people of Israel; the promise was national security and prosperity; the condition was the obedience of the people as a nation to the Mosaic Law; and the mediator was Moses. In this aspect it was a legal covenant. It said, “Do this and live.”

존 머레이가 갈라디아서에 관하여 어떠한 글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출판 역사의 단순한 사고는 아닌 것이다.
It is not a mere accident of publishing history that John Murray never wrote anything about the Galatian epistle.

그의 단일 언약론은 3장과 4장에서는 논의할 어떠한 의미도 없었지만 바울은 아브라함(언약)과 시내산 언약을 비교하면서 마지막에는 사라와 하갈을 예로 들면서 "이들은 두 언약들"(머레이보다도 좀 더 자연스럽게 설명될 수 있는)이라고 말한다.
His mono-covenantalism could not have made any sense at all of the arguments in chapters 3 and 4 wherein Paul contrasts the Abrahamic and the Sinai covenants and illustrates them at the end with the figure of Sarah and Hagar, saying “these are two covenants”(one more than Murray could comfortably accommodate).

우리는 여기서 오직 머레이의 침묵에 감사할 뿐이다, 왜냐하면 그가 갈라디아 편지의 중심 부분이나 특히 3:6-22에 대하여 말하려는 어떠한 시도를 하였다면 오직 근본적으로 해석학적 혼란을 야기 시킬 수밖에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We can only be grateful for Murray’s silence here, for anything he might have ventured to say about the central part of the Galatian letter, or specifically 3:6–22, could only have contributed substantially to exegetical confusion.

네번째로 머레이(그리고 그의 추종자들)가 굳게 믿고 있는 것으로서,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과 유지하는 유일한 관계는 구속자로서의 관계라는 것이다(나의 관점에서 이는 관계가 아닌 직무인 것이다).
Fourth, Murray (and his followers) implicitly believe that the only relation God sustains to people is that of Redeemer (which, by my light, is not a relation but an office).

내가 대비적으로 논하려고 하는 것은, 하나님은 그가 이스라엘을 축복하실 때와 마찬가지로 그 나라를 저주 할 때도 분명히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신 것이다.
I would argue, by contrast, that God was just as surely Israel’s God when He cursed the nation as when He blessed it.

시내산에서의 경륜의 의미를 근거로 하여 그분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시겠다는 약속은, 그분으로 하여금 이스라엘이 순종 할 때 축복하시는 것과 같이 불순종 할 때 이스라엘에 대하여 저주하게끔 하신다는 것이다.
His pledge to be Israel’s God, via the terms of the Sinai administration, committed him to curse Israel for disobedience just as much as to bless her for obedience.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신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 대하여 언약적 종주권을 가진 관계를 유지하신다는 것이며, 하나님께서는 다른 나라가 언약에 충성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서 축복하시거나 저주하시지 않으신다는 것이다.
In being Israel’s God, he sustained the relation of covenant suzerain to her; he did not bless or curse any other nation for its covenant fidelity or infidelity.

이러한 의미에서, 그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신 관계로 다른 나라의 하나님이 아니신 것이다.
In this sense, he was not the God of other nations as he was the God of Israel.

"내가 그들의 하나님이 될 것이다"라는 머레이의 (논의도 안되었고 논의 될수도 없는) 가정은 성경적 증거로 볼 때, 은혜로운 구속, 선택, 혹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전적으로 공로가 없이( 보증이 없이라고 말해야하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Murray’s (unargued and unarguable) assumption that “I shall be their God”implies gracious redemption, election, or union with Christ is entirely unmerited (should I say “unwarranted?”) by the biblical evidence.

시내산의 언약이 주어진 첫 번째 세대는 자신들의 상태가 애굽에서의 상태보다도 더욱 악화되었다는 것을 인식한 상태에서, 광야에서 죽었다.
The first generation of those to whom the Sinai covenant was given died in the wilderness, in a situation that they perceived as being worse than their situation in Egypt.

왜? 야훼가 그들의 하나님이 아니시기 때문인가?
Why? Because Yahweh was not their God?

아니다, 야훼는 그들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이고 (즉, 언약의 주이시고), 엄밀하게 말한다면, 그분은 그들에게 시내산 언약의 상벌 조항을 부과하셨기 때문이다.
No, because Yahweh was their God (i.e., covenant Lord); and because, as such, he was committed to imposing the sanctions of the Sinai covenant upon them.

나는 사람이 여기서 언어를 무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해보면서, 이것은 야훼가 (국가에 대해서가 아니고) 이스라엘 족속에게 저주-상벌을 부과하신 "은혜로움"이라고 말해보지만; 만약에 이러한 과정이 수반되어야만 한다면, 나는 분명히 하나님의 은혜에서 어떠한 평안도 취할 수가 없을 것이다.
I suppose one could strain language here, and say that it was “gracious”of Yahweh to impose curse-sanctions upon the Israelites (but not upon the nations); but I certainly would take no comfort in God’s grace, if it entailed such.

머레이는 이러한 재구성안의 네 가지 모두를 취하면서 효과적이었고 그러한 단일 언약의 성경 신학을 제안했다.
Taking all four of these recastings together, Murray proposed a biblical theology that was and is effectively mono-covenantal.

나는 여기에서, 내가 머레이의 재구성이 언약 신학 안에서 역행하는 움직임이 될 것이라고 여기는 근거들을 입증할 만한 시간이 없다.
I don’t have time here to demonstrate the grounds on which I consider Murray’s recasting to be a retrograde movement within covenant theology.

차라리 내가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나는 그의 관점이 마땅히 심각하게 고려되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개혁주의 전통 안에서의 머레이의 위업 때문이고, 또한 대부분의 문제들에 있어서의 그의 다른 정통주의 관점 때문이다.
Rather, I would like to indicate that I think his view ought to be given due and serious consideration because of Murray’s stature within the Reformed tradition, and because of his otherwise orthodox views on most matters.

이러한 이유에서, 비록 내 생각에 그의 관점이 성경적이지 않고 그것 때문에 성경을 이해하는 우리의 노력에 혼란이 온다고 할지라도, 그리고 내 생각에 그가 정통에서 잘못된 것을 유지하고 올바른 것을 버린다고 할지라도, 내 생각에는 우리가 그의 관점을 몇 세대에 걸쳐서라도 논의하여야한다고 생각한다.
For this reason, while I think his view is unbiblical, and therefore confuses our effort to understand the Bible, and while I think he has retained the wrong thing and jettisoned the right thing from the tradition, I think we should discuss his views for a few generations.

그래서 얄궃게도 나도 기꺼이 언약 신학을 재구성해(혹은 최소한 다듬어)보려고 하는데, 나는 머레이가 거절하는 것을 유지시켜보고 또한 그가 유지하려는 것(하나님의 강령과 혼동되려는 경향이 있는 언약에 대한 비역사적 이해)을 거절함으로서 그렇게 해보려고 한다.
So, ironically, I would be willing to recast (or at least refine) the covenant theology also, but I would do so by retaining what Murray rejected and by rejecting what he retained (an ahistorical understanding of covenant that tends to confuse it with God’s decree).

나는 또한 우리가 언제나 우리의 전통에 관하여 열린 마음을 유지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며, 머레이의 능력과 위치에 있는 개인이 우리의 전통에 대하여 재구성할 것을 제시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도전에 대하여 최소한 한 두 세대는 심각하게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I also think we should always be open-minded about our tradition, and when an individual of Murray’s ability and stature suggests a recasting of our tradition, we should consider that challenge seriously for at least a generation or two.

그러나 이것에 관하여 말하는 것이 공정한 게임인지에 대하여는 왜 고려해보지 않는가?
But why don’t we consider it fair game to talk about this?

우리는 모두 머레이가 역사적 언약 신학을 재구성하기를 희망한다는 것을 알아야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그가 그렇게 한다는 것을 공적으로 알 수는 없는 것인가?
Why do we all know that Murray desired to recast the historic covenant theology, but we never publicly acknowledge that he did so?

더군다나, 어번 신학(Federal Vision)에 대한 실질적 구별점은 성경 신학과 조직 신학 사이에서 추정되는 차이가 아니라 역사적 언약 신학과 이것에 대한 머레이의 재구성안 사이의 차이임이 명백하게 분명해졌는데도 왜 논문들은 이 문제를 다루지 않고 있는가?
Further, since it is so patently obvious (to me, anyway) that the real distinctive of Auburn theology is not some alleged difference betwe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but the distinction between historic covenant theology and Murray’s recasting thereof, why didn’t the essays address this matter?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머레이가 제안한 언약 신학에 대한 재구성안을 논의 할 협의회이며, 여기에서는 내가 앞에서 언급한 4가지 문제(그리고 내가 놓친 것이 있다면 다른 것들도 포함하여)에 대하여 양쪽 진영에서 신중하게 평가하여 찬성과 반대를 하여야 할 것이다.
What we need is a conference addressing Murray’s proposed recasting of covenant theology, with pros and cons weighing in on both sides of the four matters I mentioned above (and others, if I’ve missed them).

머레이의 단일 언약론은 언약 신학의 이전 부분에서는 없었던 새롭고 함축적인 것이며, 연속성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다.
The effect of Murray’s mono-covenantalism is a new, implicit hermeneutic that was not formerly part of covenant theology: a presumption of continuity.

세대주의는 불연속성의 가정을 제시하고있으며 머레이는 자신이 세대주의를 접했을 때 (스크틀랜드의 바람직한 원만함보다는) 위험을 보았기 때문에, 그는 명확하게 연속성의 해석을 제안하였는데, 이것은 내가 앞에서 언급한 다른 종류들보다도 역사적 언약 신학과 더욱 커다란 차이를 보여주고있는 것이다.
Since dispensationalism proposed a presumption of discontinuity, and since Murray saw red (rather than the desirable Scottish blue) when he encountered dispensationalism, he implicitly proposed a hermeneutic of continuity, which is an even greater difference with the historic covenant theology than the other specifics I mentioned above.

예를 들면, 게할더스 보스는 성경 신학을 다음과 같은 학문 분야로 표현하고 있다, 즉 성경을 역사적으로 그리고 연대기적으로 연구를 하는 것으로서, 항상 두 가지 원칙, 즉 (우리가 연속성이라고 부르는) 유기체적인 원칙과 (우리가 불연속성이라고 부르는 특징을 보여주는 불편한 방법으로서의) 주기성의 원칙을 관찰하는 것이다,
Geerhardus Vos, for instance, expressly described biblical theology as the discipline that studied the Scriptures historically and chronologically, observing always two principles: the organic principle (what we would call continuity) and the principle of periodicity (an awkward way of defining what we call discontinuity).

그는 역시 이러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연속성과 다양성으로 언급한다: "성경 신학을 제대로 정의 한다면 역사적 연속성과 다양성에 있어서 초자연적인 계시의 유기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것 이상의 것이 아니다"
He also referred to these terms as continuity and multiformity: “Biblical Theology, rightly defined, is nothing else than the exhibition of the organic progress of supernatural revelation in its historic continuity and multiformity”(emphasis in original). 10

이것은 분명히 초기의 성경 신학, 예를 들어 오웬이나 에드워즈에게서 보아왔던 것이다.
This is precisely what one observes in earlier biblical theologies by, e.g., Owen or Edwards.

진실로, 권위있는 종교 개혁의 첫 세대에서는 의심할 여지 없이 불연속성을 강조하였을 것이다: 그들이 로마 카톨릭과 다른 점은 분명히 통치(단어의 어원적 원래의 의미는 사제에 의한 지혜와 다스림이다)에 관한 성직자의 성격에 관한 것과 예식에서의 사제적/희생적 성격에 관한 것이다.
Indeed, the first generation of the magisterial Reformers would have undoubtedly emphasized discontinuity: their differences with Rome were precisely over the hierarchical nature of its government (in the etymologically original sense of the word, to wit, rule by priests), and the priestly/sacrificial nature of its liturgy.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개혁주의자들은 로마 카톨릭이 시내산 경륜의 레위기적인 면과의 연속성을 너무 많이 유지하고 있었다고 믿고있었다.
In each case, the Reformers believed that Rome retained too much continuity with the levitical aspects of the Sinai administration.

후에는, 재세례파와 자유 사상가들과 논쟁하는데 있어서, 권위적인 종교 개혁가들은 다양한 성경의 언약들 사이에서의 연속성을 논쟁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되었다.
Later, in debates with Anabaptists and Libertines, the magisterial Reformers also found it polemically necessary to discuss continuities between the various biblical covenants.

어번 에비뉴(Federal Vision) 논문 전체를 살펴볼 때 어번주의는 필연적으로 머레이 방식의 산물이라는 많은 증거를 보게된다.
Throughout the Auburn Avenue essays, one finds several evidences that Auburnism is essentially an outworking of Murrayism.

첫째로, 언약 신학이 세대주의가 나타나기 이전의 여러 세기 동안에 존재하였었다는 것이 역사적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어번 사람들 가운데 세대주의에 대한 언급이 없이 언약 신학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First, few of the Auburnites can describe what covenant theology is without reference to dispensationalism, despite the historical reality that covenant theology was here for several centuries before dispensationalism appeared.

언약 신학은 단순히, 혹은 본래적으로 세대주의에 대한 반작용이었던 것도 아닐 뿐만이 아니라 이것이 무엇이 아닌가 식으로 그 자체를 부정에 의해서 설명할 필요도 없다.
Covenant theology is not merely or primarily a reaction to dispensationalism, nor does it need to define itself negatively by what it is not.

두번째로, 어떠한 언약을 언급하고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이 언약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것은 머레이의 단일언약론의 결정적인 증거다.
Second, referencing the covenant without explaining which covenant one is referring to is a dead giveaway to Murray’s mono-covenantalism.

세번째로, 연속성의 가정을 표현하는 경우들도 (특히 Leithart의 성경의 축제에 대한 논의나 Barach의 자료의 거의 대부분의 문장을 주목하라) 같은 것을 보려주고있다.
Third, the sometimes expressed presumption of continuity (noted especially in, e.g., Leithart’s discussion of biblical feasts, and in almost every sentence of Barach’s material) demonstrates the same.

머레이의 추종자들이 혼동하는 (다음의) 것들은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
It is thus not at all surprising that Murray’s followers confuse:

• 행위와 믿음 (노만 쉐퍼드), 그 이후로 모세 언약은 믿음이 아니라 행위로 특징 지워졌고 (갈3:12), 추측에 의하여 시내산 언약은 새 언약과 종류에 있어서 차이가 없게 되었다.
• works and faith (Norman Shepherd), since the Mosaic covenant was not primarily characterized by faith but by works (Gal. 3:12), and, presumptively, the Sinai covenant was not different in kind from the new covenant;

•그리스도의 순종이 우리 자신의 개인적 순종으로 전가됨(쉐퍼드 등), 그 이후로 언약 신학(생명/행위/창조의 아담 언약)의 기초적 가정이 거절되었다.
• the imputation of the obedience of Christ with our own personal obedience (Shepherd, et al.), since the basic premise of federal/covenant theology (the Adamic covenant of life/works/creation) has been rejected;

•다른 나라의 시민법과 모세의 시민법 (Greg Bahn-sen), 그 이후로 신정체제의 이스라엘과 신정 체제가 아닌 다른 나라들과의 연속성에 대한 가정이 있게 되었다.
• the Mosaic civil law with the civil laws of other nations (Greg Bahn-sen), since again there is a presumption of continuity between theocratic Israel and other, non-theocratic states;

• 처음의 시내산에서의 식사(유월절, 가족들에 의해서 지켜질 수 있는 것)와 처음의 새로운 언약의 식사(주의 만찬, 바울에 의하여 가족의 식사와 분명하게 구별되었던 것), 그리고 이러한 유아성찬으로서 Steven Wilkins, Robert Rayburn, Peter Leithart등이 옹호하고있다.
• the primary Sinai meal (Passover, which was observed by families) with the primary new covenant meal (the Lord’s Supper, which is expressly distinguished by Paul from family meals), and so paedocommunion, championed by Steven Wilkins, Robert Rayburn, Peter Leithart, et al.

어떠하든 간에, 머레이 이전에 언약 신학은 연속성의 해석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또한 불연속성의 해석도 사용하지 않았다.
At any rate, pre-Murray covenant theology did not employ a hermeneutic of continuity; nor did it employ a hermeneutic of discontinuity.

다만 언약이 흠이 없다는 해석만 수용하였을 뿐이다.
It employed a hermeneutic of covenantal integrity.

이것은, 규례들과, 성직자들과, 성례들과, 특정 언약의 법들이 특정 언약과 잘 융화되며, 특정 언약이 다른 언약들과 많은 다양성과 유사성을 공유했다는 것을 기대했다는 것이다.
That is, it expected the ordinances, officers, sacraments, and laws of a particular covenant to be well-integrated into that particular covenant, sharing as man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s the particular covenant did with other covenants.

게다가 또 나는, 개혁 교회의 터전에서부터 머레이의 관점을 옹호하는 이들을 우리 가운데서 제외시키기를 원하지 않는데, 여기에 있어서 나는 의도적으로, 나와 동일한 관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머레이의 사람들이 떠나야한다고 느끼는 이들로부터 나 자신을 구분하고있는 것이다.
Again, I do not wish us to remove advocates of Murray’s view from Reformed church courts; in this I deliberately distinguish myself from those whose views are identical to mine, but who feel the Murrayans must go.

그러나 나는 우리가 자신이 솔직히 역사적 언약 신학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하여 솔직하기를 원하며, 그리고 머레이 교수가 언약 신학을 재구성하려는 것에 관하여는 마치 우리가 술에 취한 아저씨에 대하여 공개적으로 논의하지 못하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을 그만두기를 바란다.
But I do wish us to be candid about his own candid disagreement with the historic covenant theology, and I wish us to stop regarding Professor Murray’s recasting of covenant theology as we do the drunk uncle, as something we cannot discuss openly.

그리고 더 나아가서, 한 두 세대의 논의를 거친 후에, 만약 그의 관점들이 일관된 언약주의에 진정으로 치명적이라는 것을 발견하게된다면 머레이사상을 제거할 수 있는 권한을 유지하기를 원한다.
And further, I’d like to retain the right, after a generation or two of discussion, to remove Murrayism if we discover that his views are genuinely fatal to consistent federalism.

그의 관점에 대한 나의 최근의 인내는, 적지 않게, 그의 출판된 두가지 책(아담의 죄의 전가와 로마서 주석)들에 기인하고 있는데, 여기서 머레이는 역사적 언약의 입장을 변론하고있다는 것이다.
My current tolerance of his view is due, in no small measure, to the fact that in two of his published works (The Imputation of Adam’s Sin and the Romans Commentary), Murray defends the historic federal position.

그러므로, 나는 그의 행위 언약에 관한 침묵이 단순한 의미일 가능성에 대하여 열려있기를 원한다 (만약에 그것이 이 이상이라면, 한 두 세대 안에 우리는 그의 관점을 받아들일 수 없음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게 될 것이 분명하다).
Thus, I want to leave open the possibility that his reticence regarding covenant of works may be merely semantic (if it is more than this, it may genuinely be that within a generation or two we’ll simply find it necessary to declare his views unacceptable).

어떻든간에, 나는 어번 신학자들이나 그들을 얕보는 이들이나 다 마찬가지로 머레이의 성경 신학과 그것의 해석학적 결과물들에 대하여 논하고있지 않다는 사실이(앞에서 언급한 Smith, Robbins, and Trouwburst등의 약간의 단평들을 제외하고는) 궁극적으로 주목할만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At any rate, I find it utterly remarkable that neither the Auburn theologians nor their detractors discussed Murray’s biblical theology and its hermeneutic consequences (with the aforementioned exception of a few paragraphs from Smith, Robbins, and Trouwburst).

머레이의 언약신학의 재구성안 자체가 개혁주의 영역의 논의에서 공개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것은; 내 생각에는, 그의 재구성이 역사적 개혁주의 전통으로부터 여러 다른 중요한 분파들- 쉐퍼드와 밴슨의 관점들, 유아 성찬, 그리고 현재의 어번 신학-을 파생시켰기 때문이다.
Murray’s “recasting”of covenant theology per se remains unopened to discussion in Reformed circles; yet, in my judgment, his recasting has generated several other important divergences from the historic Reformed tradition: the views of Shepherd and Bahnsen, paedocommunion, and now Auburn theology.

머레이 자신은 이러한 잘못들의 어느 것도 인정하지 않았으며, 그는 역사적 언약 신학에 대하여 알고 있었기에 자신의 언약 신학 재구성을 이러한 각각의 결과들에 대하여 적용하지 않았던 것이다.
Murray himself embraced none of these errors; his knowledge of historic covenant theology prevented him from ever taking his recasting of covenant theology to these particular consequences.

그러나 그의 동료들은 항상 같은 정통주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에, 그리고 그의 분명한 단일 언약론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었기에, 그들은 머레이 자신이 인정하지 않았을 잘못들을 조장하였던 것이다.
But his followers have not always had the same orthodox instincts; and, following the lead of his implicit mono-covenantalism, they foster errors that Murray himself would not have approved.

내가 특별히 놀란 것은 추정되는 페드럴 신학자들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모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페드럴 신학자들은 역사적 언약 신학을 부정한다는 것이고 (아담 경륜의 행위/견습기간의/법적 성격), 그리고 그들은 언약이 무엇인지 혹은 성경이 한개 이상의 것들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성경적 이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I am especially surprised that the opponents of the alleged federal theologians did not call attention to the following two ironies: the federal theologians deny the historic federal theology (the works/probationary/legal character of the Adamic administration), and they don’t appear to have a biblical understanding of what a covenant is or whether the Bible contains more than one.

단순히 지적인 완전함의 문제에 있어서, 그들의 관점은 페드럴 비전이 아닌 것으로 불려져야 할 것이다,
Simply as a matter of intellectual integrity, their view should be called the Non-Federal Vision.

그리고 그들이 우리에게 언약적인 관점으로부터 신학을 할 필요하다고 제시할 때에는, 우리는 그들도 똑같이 그리하여야할 것을 요구하여야하며, 그리고 성경이 언약의 다양성을 기록 할 뿐만이 아니라 그것들을 다원적으로 말하고있다는 것을 솔직히 알려야할 것이다.
And when they suggest that we need to do theology from a covenantal perspective, we should demand that they do the same, and candidly acknowledge that the Bible not only records a multiplicity of covenants but also speaks of them in the plural.


posted by Wonho Kim
:
언약 2015. 2. 20. 12:50

은혜 언약의 성경적 근거는 무엇인가?

Is there a biblical basis for the Covenant of Grace?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 (WSCal)의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저술된 " The Law is not of Faith"는 종교개혁 이후에 개혁주의 신학의 중요한 교리로 정립되었다가 현대에 와서는 신학자들의 관심에서 사라지고있는  " Republication doctrine"과 모세법에서의 "행위 언약 (covenant of works)"의 개념을 이 시대의 신학계에,  다시 중요한 교리로 부각 시키고 있다.

하지만 종교개혁과 더불어 중요한 교리로 자리를 잡았던 행위 언약(covenant of works)의 교리가 계몽주의, 조나단 에드워즈의 후예들에 의하여 형성되었던 뉴잉글랜드 신학, 그리고 칼 바르트의  영향을 받은 화란자유대학의 베르까우워(G. C. berkouwer)와 신정통주의자들의 영향으로 현대에 와서는 언약 신학에서 "행위 언약"의 개념이 상실된 "단일한 은혜 언약"의 개념이 보편화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은 어느 시대보다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이에 대한 도움이 되는 글을 monergism.com에서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번역 정리하였다.



비록 "은혜 언약(Covenant of Grace)"이라는 말은 성경적 용어가 아니지만 개념에 있어서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이름을 위하여 백성들을 구원하시겠다는 언약적 약속에 통일성을 가지고 긴밀히 연관되어있기에 거의 확실하게 성경적이라고 할 수 있다.


Although the term “Covenant of Grace” is not a biblical designation, the concept, emphasizing the unity and coherence of God's covenanted promise to redeem a people for the sake of his name, is most certainly biblical.


하나의 통일된 은혜 언약(one unified Covenant of Grace)의 존재는 하나님께서 창세기 3장15절을 통하여 약속하신 첫번째 복음 (God's first gospel), 즉 여자의 씨에서 나실 구속자를 보내실 약속의 성격에 나타나 있다.


The existence of one unified Covenant of Grace is indicated by the nature of God's first gospel-promise in Genesis 3:15, which promises a coming Redeemer that will be born of the woman's seed.


성경의 나머지 부분들은 이러한 (처음의) 약속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좀 더 명확하고 특별하게 길이 열리도록 전개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들과 맺으시는 연속적인 각각의 언약들은 처음에 약속하신 언약(original covenant promise)을 충족 시키기 위한 또 다른 단계들이다.


The rest of the bible unfolds and makes ever more clear and specific the way in which this promise will come to fruition; and each successive covenant that God makes with his people is another step taken toward the fulfillment of that original covenant promise.


그러므로 역사 속의 언약들은 타락 후에 아담과 맺으신 첫번째 언약을 교체하거나 무효화하지 않고 오히려 첫번째 언약을 세우고 보존하는 것이다.


The covenants in history, therefore, do not replace or abrogate the first covenant made with Adam after the Fall, but build upon and preserve it.


바울이 단호히 말한 바와 같이, 시내산에서 맺어진 언약(the Covenant made on Mount Sinai)이 아브라함과의 약속(Abrahamic Promise)을 폐지 할 수 없는 것과 같이(갈3:15-24) 어떻게 나중의 언약(later covenant)이 아담과 맺은 처음의 복음의 약속(the first gospel promise made to Adam)을 폐지 할 수 있단 말인가?


If, as Paul so adamantly argued, the Covenant made on Mount Sinai could not abrogate the Abrahamic Promise (Gal. 3:15-24), then how could any later covenant abrogate the first gospel promise made to Adam?

비록 어떤 이들은 창세기 3장 15절에 약속된 복음을 언약으로 칭하는데 주저할 수도 있지만, 희생적 보혈을 흘림을 근거로하는, 약속된 은혜에 부합된 주권적 통치(a sovereignly administered bond of promised grace)의 특성을 고려해본다면, 언약이라는 용어는 분명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lthough someone might balk at the gospel promise of Genesis 3:15's being called a covenant, its nature as a sovereignly administered bond of promised grace, ratified over the shedding of sacrificial blood (Gen. 3:21), is clearly cast in covenantal terms.


더군다나 "언약 (covenant)"이라는 용어가 성경에 처음 나타나는 노아의 때에 하나님께서 노아에게 "내가 제정한다 (I will establish)"거나 "확증한다 (conform)"(새긴다거나 시작한다는 뜻이 아니고), "너와 함께하는 내 언약 (my covenant with you)"등을 말씀하시는데 이는 노아가 이미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오실 때 이미 언약을 분명히 알고 있었고 이는 바로 아담에게 하신 약속 그 자체인 것이다.


Furthermore, the first time the term “covenant” appears in the bible, in the days of Noah, God tells Noah, “I will establish,” or “confirm” (not “cut,” or “inaugurate”), “my covenant with you”; which indicates the Noah was aware of a covenant already in force when God came to him, which could be nothing other than the promise given to Adam.


우리는 하나님께서 사람들에게 여러 차례에 걸쳐서 즉 노아, 아브라함, 시나이(Sinaitic), 다윗, 그리고 이 모든 언약을 충족 시켜준 새 언약(New Covenant) 등을 포함하여, 인간에게 새겨 넣은 특별한 역사적 언약들을 최소화 하지 않도록 조심 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 모든 하나님의 통일된 구속의 계획이 약속된 그리스도께서 마지막으로 오셔서 이 모든 것을 완벽하게 열매 맺으실 때까지 이들의 유기적인 연결과 통일성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We must take care not to minimize the specific, historical covenants that God cut with men at different times, including the Noahic, Abrahamic, Sinaitic, Davidic, and the New Covenant which brings all others to fulfillment; but neither must we miss the organic connection and unity between them all, as they unfold God's unified plan of redemption one step at a time, until the promised Christ finally comes and brings them all to perfect fruition.



Monergism Copyright © 2008

posted by Wonho Kim
:
언약 2014. 12. 14. 12:42


칼빈의 모세 언약에서의 구원론2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The Law is not of Faith: by John Fesko p30- 요약 정리)


1. 모세 언약의 위치와 기능(by John Calvin)


구약에서의 구원론에 관하여 칼빈의 설명을 고려해 볼 때 칼빈이 모세 언약의 위치와 기능에 관하여 신학적으로 어떻게 정리하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칼빈은 모세 언약을 경륜(dispensation)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분리된 언약으로 이해하고있다.(Institute 2.11.4)


1). 율법 언약(foedus legale)


모세의 사역(ministries of Moses)으로서 “옳은 것에 참여하고 악한 것은 금하며, 의를 지키는 일에는 상을 주며 범법한 일에 대하여는 벌을 준다"는  두 가지 대립 관계를 통하여 법적인 기능을 설명하고있다.(Institute 2.11.7)


2).복음 언약(foedus evangelicum)


모세의 율법에서도 그리스도의 사역(ministries of Christ)을 찾아 볼 수 있다.

칼빈은 율법에  대한  모세의 경영(administration)은   "영원한 생명은 순종을 조건으로한다"는 행위 원칙에 의하여 운영이 된다고 말한다.


칼빈은  “ 하나님께서 약속하셨듯이 영원한 구원이라는 상급은 율법에 대한 완전한 순종을 요구한다는 말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순종을 요구하는 율법에서의  문제의 핵심은 인간의 죄성(man’s sinfulness) 이다. 칼빈은 “ 의(righteousness)라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댓가없이(죄인들에게) 전가시켜주셔서 거듭나게하지 않고서는 절망만을 가르쳐 줄 뿐이다”(Institute 2.7.2)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칼빈은 모세 언약의 성격이 “이스라엘의 순종을 조건으로 영생을 약속”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아직 죄로 인하여 이 언약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지만 그리스도만이 이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율법 언약(foedus legale)복음 언약(foedus evangelicum)은 대립 관계이면서 동시에 전자는 순종으로, 후자는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인하여 구원의 약속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약에서 신약으로 넘어가는 변화의 형태에는 영적인 언약 (spirituale foedus)이 있음을 말한다.


2. 모세 언약에 영적인 언약 (spirituale foedus)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세가지 이유


첫째, 칼빈은 구약의 이스라엘이 영적인 언약 (spirituale foedus)에 참여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Insttitute 2.10.15)

두번째, 이스라엘은 아직 어린상태의 교회( underage church)이다.

바울은 역시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며 상속자라고 고백한다. 이는 그들이 교사의 책임 아래에 있어야 할 만큼 어리기 때문이다. 이를 비유하자면, 의라는 해가 떠오르기까지 더 큰 빛을 비추어 드러내거나 명확히 이해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말씀을 비추는 한계를 정하셔서 그들이 아직 (말씀에 대하여) 막연하고 어두운 상태에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은 표현하기를 (이스라엘 백성이) 말씀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린 아이”와 같이 연약하다고 말한다.그러므로 이러한 어린 아이는 그리스도가 빛을 비추어 믿는 자의 지식이 장성하기까지  아이들의 교육법칙대로 말씀과 약간의 외부적 관찰로 훈련을 받아야한다고 말한다.(Institute2.11.5)

세번째, 이스라엘이 어린 상태이고 단순한 의미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율법의 의식(the ceremonies of the law)은 언약에서의 비본질적인 성격이어야하며, 부가적이고 부수적이며, 본질의 부차적인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Institute 2. 11. 4)

또한 우리는 칼빈이 아브라함 언약과 모세 언약의 관계를 설명할 때 형태(form)와 본질(substance)로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형태(form)와 본질(substance)



형태(form)


모세 언약이 형태로 설명이 되어질 때는 율법 언약(법적인 계약-foedus legale)의 개념으로 운영(administration)되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칼빈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리워진 형태로 언약을 주실 때는 장래의 은혜와 영원한 행복을 이 땅에서의 이익(benefits)으로 표현하시며, 영적인 죽음의 심각성을 육적인 징벌로 표현하시려는 하나님의 의도”가 있으시다고 말한다..(Institute 2. 11. 3)




본질(substance)


모세언약은  영적인 언약 (spirituale foedus)의 한 부분으로 설명되어질 때 그 본질을 볼 수 있다.


칼빈은 자신의 갈라디아서 주석을 통하여 모세 언약을 설명하는데 형태(form)와 본질(substance)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있다.


칼빈은 신약과 구약에서의 복음의 성격을 언급하면서 “우리가 선조(ancient fathers)와 구분되는 것은 본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경륜(accidents)에 있다.”라고 말한다.


칼빈은 구약의 선조(OT Saints)도 영적인 언약 (spirituale foedus)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만 그들의 자유가 아직 드러나지 않았으며 율법이라는 덮게와 멍애에 감추어져있을 뿐이라고 말한다.


칼빈은 자신의 갈라디아서 주석과 기독교 강요를 통하여 “구약의 선조들(OT Saints)은 은혜로 구원을 받은 것이지 행위로 구원을 받은 것이 아님”을 강조 하고있다. 다만 신약과 구약의 성도의 차이는 복음의 약속(promise of gospel)에 대한 것이 아니라 외적인 지배형태의 다양성(the diversity in the outward government)”일 뿐이라고 말한다.

“율법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가 오시기까지 외적인 질서(outward order)를 유지하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칼빈은 구약 경영의 본질(substance)은 그리스도의 복음(the gospel of Christ)이며 형태(form)는 율법의 특성일 분이라고 분명히 말한다.


칼빈은 모세 언약의 성격에 대하여 회중들에게 설명을 할 때 다음과 같은 분명한 입장을 취한다.


“ 모세 언약은 순종에 의하여 구원을 받는 행위 원칙으로 특징 지워지지만 동시에 자신의 순종으로 영원한 생명에 이를 수 없다는 죄인들의 무능을 보여줌으로서 죄인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하고 있다”


4. 칼빈이 이해하는 모세 언약의 위치와 기능


  1. 구원은 (구약시대나 신약시대의 구분 없이) 언제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faith in christ)을 통한 은혜로 말미암는다.


  1. 구약과 신약에 관계없이 모든 하나님의 백성은 선조(patriachs)로 부터 시작된 같은 영적 언약(spirituale foedus)에 참여한다.


  1. 구약에서의 영적 언약(spirituale foedus)은 신약에서와는 다른 외적인 경영(different outward administration)으로 이루어지는데 칼빈은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형태와 본질의 구분(the form- substance distinction)”이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1. 영적 언약(spirituale foedus)의 외적인 경영(outward administration)은 그리스도의 그림자와 상징(shadows and types of Christ)으로 표현될 수 있다.


  1. 율법에 대한 모세의 경영은 그리스도의 사역 형태인 복음 언약(foedus evangelicum)과는 구별되는 (법적 개념으로서의) 율법 언약(foedus legale)이다.


  1. 율법 언약(foedus legale)은 행위 원칙에 의한 것으로서 그리스도 외에는 아무도 율법의 요구를 수행 할 수 없다.


이상은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 갈라디아서에 대한 주석과 설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posted by Wonho Kim
:
언약 2014. 12. 11. 17:50


칼빈의 모세 언약에서의 구원론1.

(The Law is not of Faith: by John Fesko p28- 요약 정리)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칼빈의 기독교 강요(Calvin’s Institute)를 통하여 칼빈의 율법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여 본 결과 존 칼빈은 율법을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서 한 가지 윤곽을 그려내고 있다는 것이다.


첫째로 율법은 모세를 통하여 하나님으로부터 직접받은 종교의 한 형태(form of religion)를 가지고있다.

이는 모세 오경을 통하여 드러난 모세 언약(Mosaic covenant-Calvin’s Institutes, 2.7.1)을 의미한다.


둘째로 율법은 도덕법(moral law-Calvin’s Institutes, 2.8)으로 나타나며 이는 십계명과 그리스도의 요약을 통하여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시민법이나 법정적, 혹은 의식법(civil, judicial, ceremonial statutes -Calvin’s Institutes, 4.20.14-16)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율법의 기능에 대한 칼빈의 이해를 연구할 때는 칼빈이 도덕법(moral law)을 언급하고있는지 혹은 모세 언약(Mosaic covenant)을 언급하고 있는지를 조심스럽게 구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마음에 두고서 다음과 같은 칼빈의 구약에서의 구원관을  살펴볼 수 있다.


칼빈의 구약에서의 구원관


구원은 어느 시대에서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은혜로 주어지는 것이며 이는 구약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선조(patriarchs)들과 맺어진 모든 언약은 본질(sustance)과 실제(reality)에 있어서 신약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나인 것이다.  다만 경륜의 형태(mode of dispensation)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Institute 2.10.2)


아브라함과 맺은 약속(Abrahamic foedus)은 본질(substantia et re)에 있어서는 우리의 것(신약)과 다를 바가 없다.


칼빈은 (구약과 신약을 연결하기 위하여) 구원에 있어서 신약과 구약을 묶어주는 단일 언약의  용어로서 영적 언약(spirituale foedus)의 의미를 적용하고있다.(institute 2.10.7)


구약에서 신약으로의 변화는 언약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언약에 대한 경영의 형태에 대한 것이다.


칼빈은 구약에서의 영적 언약(spirituale foedus)의 형태는 그림자와 의식(ceremonies)에 감추어져 있는데 이는 모든 시대에 구원의 근거가 되시는 그리스도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구약의 성도는 단순한 믿음을 요구(requiring simple instruction)하는 미성숙한 교회(underage church)의 상태이기 때문이다.(institute 2.6.2; 2.11.4-5)


이에 대하여 칼빈은 (기독교 강요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구약에서는 (신약에서와 마찬가지의) 같은 교회(same church)가 존재하지만 다만 어린 상태일 뿐이다.그러므로 이들을 후견인의 보호 아래 있게 함으로서 영적인 약속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약속에 의하여 다만 어느 정도 그림자로만  비추어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그 후손들에게 영원에 대한 희망을 주기 위하여 가나안 땅을 약속으로 주신 것이다. 가나안 땅이 이들에게 궁극적 목적이 되어서는 안되며 연단과 확신을 통하여 아직 그들에게 나타나지 않은 참된 유산을  깊이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속지 말고서 좀 더 높은 약속이 주어졌다는 것을 인식하고서 가나안 땅이 하나님의 최상의 목적지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아브라함에게는 약속의 땅이 주어졌을 때 그 곳에 주저앉는 어리석음이 허락된 것이 아니고 마음이 더 큰 약속을 주시는 하나님께로 향하여야 하는 것이다.(institute 2.11.2)


영적인 약속들( spiritual promises) 혹은 그리스도의 복음은 선조들에게 하신 처음의 언약들에서도 나타나지만 하나님의 경영의 형태(the mode of administration)는 지상적(earthly)이고 한시적인(temporal) 것이었다.

그러나 이 땅에서의 소유는 선조(patriarchs)들이 하늘에서 그들을 위하여 준비된 미래의 유산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거울인 것이다.(institute 2.11.1)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