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에 해당되는 글 2건
- 2023.04.30 :: 그레고리 빌의 요한계시록의 과거사적 관점에 대한 비평
- 2015.02.06 :: 피터 엔즈의 "영감과 성육신:복음주의와 구약의 문제점"에 대한 페리 목사의 비판적 고찰
그레고리 빌의 요한계시록의 과거사적 관점에 대한 비평
번역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요한계시록에 대한 해석은 주로 4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지고있다.
G.K. Beale은 요한계시록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서술하기에 앞서서 많은 이들이 취하고있는 과거사적 관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있다.
과거사적 관점주의자들은 요한계시록의 예언들이 역사 속에서 이미 성취되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다.
다음은 빌의 요한계시록 주석 152-154쪽에서의 과거사적 관점에 대한 빌의 입장을 번역한 것이다
과거사적 관점
The Preterist View
과거사적 관점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The preterist perspective has two forms.
첫번째는 요한계시록을 기원후 70년에 있을 예루살렘의 멸망에 대한 예언이라고 보는 관점인데, 이는 당연히 계시록이 기원후 70년 이전에 기록되었음을 요구한다.
The first sees Revelation as a prophecy of the fall of Jerusalem in 70 A.D., which, of course, requires that the Apocalypse be dated prior to 70.
(과거사적 관점에서) "큰 성 바벨론"은 그리스도인을 압제하는데 있어서 로마를 도와주는 배교한 이스라엘을 나타낸다.
“Babylon the Great” represents apostate Israel, who aids Rome in oppressing Christians.
(이러한 관점에서는) 당연하게 이 책(계시록)의 목적의 일부가, (그리스도인을) 박해하는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배교로 인하여 심판을 받게될 것이라며 기독교인들을 격려하고, 독자로하여금 자신들이 참된 이스라엘이라는 것을 확신시키는 것이다.
Accordingly, part of the purpose of the book is to encourage Christians that their Jewish persecutors will be judged for their apostasy and to assure the readers that they are now the true Israel.
이러한 입장의 문제점들은 이미 앞(계시록의 시기에 관하여 다룬 부분)에서 논의하였으며, 주해를 통하여 좀 더 적절한 관점들을 논의할 것이다.
The problems with this position already have been discussed above (see the section above on the date of the Apocalypse) and will be addressed further at appropriate points throughout the commentary.
과거사적 관점주의자들의 접근방식의 심각한 문제점은 구원과 심판에 관한 계시록의 예언의 대부분을 기원후 70년에 제한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예언들이 그 시기에 절정에 이르면서 성취되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A significant problem with this form of the preterist approach is that it limits most of the book’s prophecies of salvation and judgment to 70 A.D. and asserts that these prophecies reached their climactic fulfillment at that time.
실제로, 다니엘서 2장과 7장의 예언들은, 우선적으로 믿지않는 이스라엘보다는, 악한 민족들의 마지막 심판을 계시적 예언을 통하여 언급하고있음을 보여주고있다.
Indeed, the prophecies of Daniel 2 and 7 alluded to throughout the Apocalypse foresee a last judgment of the evil nations, not primarily of unbelieving Israel.3
흥미롭게도, 이러한 과거사주의자들의 해석은 요한계시록 13장 1절과 다니엘 7장에서의 짐승을 이방 민족인 로마와 동일시하고있는데, 다니엘은 이를 마지막 심판의 대상으로 보고있다는 것이다.
Interestingly, these preterist interpreters identify the beast from Daniel 7 in Rev. 13:1ff. with a pagan nation (Rome), which Daniel then sees as the object of final judgment.
그러고나서 이들은 책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배교한 이스라엘을 다니엘이 예언하고있는 최후 심판에서의 주된 대상과 동일시하고있다.
But then they identify apostate Israel elsewhere in the book as the main object of Daniel’s prophesied final judgment (e.g., see below on 11:15-18).
구약과 신약에서 배교한 이스라엘이 열방과 함께 심판받으리라고 보는 것은 사실이다.
It is true that the OT and NT expect apostate Israel to be judged along with the nations.
요한도 이를 따르고있는 것이다.
John likely follows suit.
다니엘은 이러한 열방이 징벌을 받을 주된 대상이라고 보고있는데도 불구하고, 요한이 믿지않는 이스라엘을 악한 열방 대신에 우선적인 심판의 대상으로 보고있다고한다면, 이는 이상한 것이 될 것이다.
Nevertheless, it would be strange if John saw unbelieving Israel as the primary object of judgment instead of the evil nations, since Daniel viewed these nations as the main object of punishment.
그러므로, 일관되게 이러한 관점을 선택을 하는 이들이 직면하게되는 가장 어려운 문제점들은, 계시록을 통틀어서 최후의 심판이라고 예언되어지는 것들이 기원후 70년에 비유적으로 성취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Therefore,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facing consistent proponents of this alternative is that what appear to be prophecies of final judgment throughout the book are seen as figuratively fulfilled in 70 A.D.
밀접하게 관계되는 문제는 이러한 과거사적 해석자들이 요한계시록의 최후의 심판을 이스라엘로 제한시킨다는 것이지만, 다니엘 2장과 7장은 우주적 심판을 예고하고있다는 것이다.
A closely related problem is that these preterist interpreters understand the prophecies of final judgment in Revelation to be limited to Israel, whereas Daniel 2 and 7 anticipate a universal judgment.
요한의 묘사들은, 자신의 다니엘 암시를 포함하여, 다니엘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가장 잘 해석되어진다는 것이다.
John’s depictions, including his allusions to Daniel, are best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s Daniel.
결과적으로, 이러한 과거사적 관점주의자들에 의존하게되는 증거의 짐들은, 이스라엘과 함께 이방 나라들을 다니엘의 최후의 심판의 우선적 대상으로 바꾸는 해석학적 근거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최후의 심판을 우주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주로 이스라엘로 제한시킨다는 것이다.
Consequently, the burden of proof rests on these preterists to provide an exegetical rationale both for exchanging a pagan nation with Israel as the primary object of Daniel’s final judgment and for limiting the last judgment mainly to Israel and not applying it universally.
중요한 것은, 요한계시록에서 "모든 족속과 백성과 방언과 나라의 일부"라는 구절이 구속받은, 그리고 구속받지 않은 무리들 모두에게 사용되어지고 있다는 것이다(5:9; 7:9; 10:11; 11:9; 13:7; 17:15).
Significantly, the phrase “some from every tribe, people, tongue, and nation” is used in Revelation of both redeemed and unredeemed groups (5:9; 7:9; 10:11; 11:9; 13:7; 17:15).
이러한 반복 구절은 다니엘 3-7장을 암시하고 있으며, 다니엘에서도 또한 반복되고있는데, (과거사적 관점은) 이에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probably not coincidental that this repeated phrase alludes to Daniel 3–7, where it is also repeated.
여기서 언급되어지는 백성은 바벨론 사람들이나 페르시아 제국, 혹은 끝날의 신성한 나라의 주제로서의 온 지면의 백성들이다.
There it refers to peoples throughout the earth as subjects of the Babylonian or Persian empires or of the end-time divine kingdom (see below on 5:9).
분명한 것은 다니엘 7장 14절에서의 공식은 전 세계를 통틀어 인자에게 속하여있는 모든 백성들을 언급하고있다는 것이다.
Clearly the formula in Dan. 7:14 (Theod.) refers to all peoples throughout the world as subjects of the Son of man.
요한계시록에서도 마찬가지의 우주적 뉘앙스가 설득력이 있으며, 13장 7-8장에 강조되어있듯이, 이는 "땅에 거하는 모든 이들"과 동일한 것이다.
The same universal nuance is probable in Revelation and is underscored in 13:7-8, where it is equated with “all who dwell on the earth.”
요한계시록에서 이러한 분명한 우주적 공식들과 이와 유사한 표현들이 1세기의 이스라엘, 혹은 다른 그룹들에게 제한된다는 주장은 설득력있게 증명되어졌던 적이 없다.
The contention that these apparently universal formulas and like phraseology in Revelation are limited either to Israel or to other groups in the first century has not been persuasively demonstrated.
과거사적 해석의 두번째 형태는 요한계시록이 기원후 5세기에 성도들을 핍박한 "큰 성 바벨론"인 로마제국의 멸망에 대한 예언이라는 것이다.
The second form of preterist interpretation holds that Revelation is a prophecy of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Babylon the Great,” the persecutor of the saints, in the fifth century A.D.
이 책(요한계시록)의 목적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자신들을 박해자들이 분명하게 심판받을 것이기 때문에 견디어낼 것을 격려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book is to encourage Christians to endure because their persecutors assuredly will be judged.
더군다나 그리스도인은, 소아시아를 침략한 우상을 섬기는 로마의 체제와 어떠한 형태로든 동일시함으로서 자신의 증거를 타협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도록 노력해야한다는 것이다.
Furthermore, Christians are exhorted not to compromise their witness by identifying in any way with the idolatrous Roman system, which has made inroads into Asia Minor.
이러한 (두번째 형태의) 과거사적 접근 형태는, 이른 시기라는 필요성이 없고, 로마가 예루살렘 보다는 "바벨론"과 좀 더 동일시 될 수 있기 때문에, 기원후 70년이라는 선택보다는 좀 더 설득력이 있다.
This version of the preterist approach is more viable than the 70 A.D. alternative because it does not necessitate the early date and because Rome is a more probable identification of “Babylon” than Jerusalem.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기원후 5세기 동안에 로마 제국의 멸망으로 이미 충족된, 최후의 심판이라는 많은 분명한 예언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But this version does encounter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many of the apparent prophecies of final judgment as being already fulfilled in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during the fifth century A.D.
어떤 해석자들은 요한의 전세계적인 파괴에 대한 요한의 (일부의) 예언들이, 비유가 아니라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져야한다며, 과거사주의자들의 형태를 고수하는데, 이렇게되면 그가(요한이) 단순히 실수를 한 것이 되기 때문에 절대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Some interpreters hold to a form of preterism in which (some of) John’s prophecies of worldwide destruction are to be understood literally, not figuratively, but never came to pass because he was merely mistaken.
'해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터 엔즈의 "영감과 성육신:복음주의와 구약의 문제점"에 대한 페리 목사의 비판적 고찰 (0) | 2015.02.06 |
---|
피터 엔즈의 "영감과 성육신:복음주의와 구약의 문제점"에 대한 페리 목사의 비판적 고찰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 의 구약학 교수인 피터 엔즈(Peter Enns)가 2005년 출간한 "영감과 성육신:복음주의와 구약의 문제점(Inspiration and Incarnation: Evangelicals and the Problem of the Old Testament)"(published by Baker Academic, 2005. Paperback, 197 pages, list price $17.99)에 대하여 비판한 Brenton C. Ferry목사의 글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1) 피터 엔즈는, 현대 신학자들의 관점에서, 영감설에 대한 복음주의적 교리에 대한 믿음을 유지(to maintain belief in the evangelical doctrine of inspiration)하게 하기 위하여 이 책을 저술하였다.(p 13, 15)
2)피터 엔즈는 이러한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접근하여 풀어나간다.
a. 만약에 구약이 고대 근동의 저술과 같은 것이라면 성경이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이 될 수 있을 것인가?(pp. 23-70)
b. 구약에 서로 충돌되는 다양한 신학적 관점들이 포함되어 있다면 성경이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이 될 수 있는가?(pp. 71-112)
c. 구약이 전후 문맥에 관계없이 신약에 종종 인용되고 있다면 성경이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이 될 수 있는가?(pp. 113-66)
피터 엔즈는 이러한 요소들이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이 아닌 사람의 말로 보이게 한다고 주장한다.
피터 엔즈는, 자유주의자들은 성경의 인간성으로 인하여 성경 영감설을 부인하지만, 복음주의자들은 성경의 인간적인 면의 난제를 뛰어넘어 영감 교리(doctrine of inspiration)를 강화하는데, 이는 지적임 속임수(intellectual dishonesty)를 쓰는 것이라고 말한다.(p.107).
피터 엔즈는 이러한 무조건적인 가현적인 추정(implicit docetic assumption)을 "성육신적 유비(the incarnational analogy)"로 수정하는데 이러한 관점은 신적인 저작권(divine authorship)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성경의 문화적이고, 인간적인 면을 수용할 수 있다고하는데, 이는 마치 그리스도께서 완전한 하나님이시면서 완전한 사람이신 것과 같이 성경도 그러하다는 것이다.
엔즈는 이 책의 세 주요 부분에서 독자로 하여금 성경의 인간성을 어느 정도는 수용하도록 유도한다. 그는 창세기의 첫 장이 신화적 역사(mythical history)의 예라고 말한다. (pp. 39-41, 49-50, 53, 55-56)
"하나님은 신화적 영역을 선택하셨고 아브라함은 -그 밖의 사람들도 모두 - 이 영역 안에서 생각을 하였다. 그러나 하나님은 단순히 아브라함을 자신의 신화적 영역 안에 놔두시지 않으셨다. 그것보다 하나님께서는 고대의 신화를 변화시켜서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하나님의 맞추어지는 실체가 되도록하였다."
“[God] adopted the mythic categories within which Abraham – and everyone else – thought. But God did not simply leave Abraham in his mythic world. Rather, God transformed the ancient myths so that Israel’s story would come to focus on its God, the real one” (pp. 53-54).
엔즈는 신화에 대하여 정의하기를 "신화는 고대의 궁극적 기원에 관한 의문이나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와 같은 의문을 강조하기 위하여, 현대화 되기 전에 과학 이전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p. 50)라고 말한다.
엔즈는 신화와 역사의 구분은 "현대의 발명인 것 같다고 말한다. 이는-명확한 언급이 없이- 역사적인 것은 신화보다는, 언어의 현대적 감각에서, 더욱 실제적이고, 더욱 가치 있는 것이며, 더욱 하나님께서 하신 것과 같은 것이다."고 가정한다. 이는 창세기의 어떤 부분은 필연적으로 실제적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역사성이 상당히 부정되고 있는 것이다.
He says the distinction between myth and history “seems to be a modern invention. It presupposes- without stating explicitly – that what is historical, in a modern sense of the word, is more real, of more value, more like something God would do, than myth” (p. 49). This is another way of saying that some things in Genesis (and beyond?) are not necessarily factually true. How much historicity is being denied?
더군다나 엔즈는 구약이, 주변의 고대 근동 문화(surrounding ancient Near Eastern culture)가운데 다른 신들의 존재를 추측하게 하는 다신론를 수용(parts of the Old Testament accommodate polytheism)하고 있다고 말한다. (pp. 97-102) " 구속의 과정에서 ..... 주위 국가들의 신들은 실제로 취급되었다. 하나님께서는 이 신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기 보다는 하나님 앞에 설 수 없다는 것을 선언하심으로 하나님의 절대적 우월성을 보여주신 것이다."(p102)
엔즈는 사도들이 구약성서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성경으로부터 의미를 얻어오는 해석방식(exegetically-getting meaning from Scripture)이 아니라, 의미를 성경에 부여하는 자의적인 방식(eisegetically-reading meaning into Scripture) 으로 해석하여 그리스도를 보통 방식의 해석법으로 구약에 대입시켰다고 말한다.
" 사도들은 구약을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읽어서 예수가 주시라고 결론 내린 것이 아니라, 이미 자신들이 사실이라고 알고 있는 것, 즉 하나님의 아들의 역사적인 죽으심과 부활하심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하여 성경을 새로운 방식으로 다시 읽은 것이다."(p. 152).
이 책에서는, 판단적인 의심(judgmental suspicion)이나 극단적인 파워플레이(polarization and power plays)보다는 온유한 토론(temperate discussion)을 원하면서 결론을 맺는다. 하지만 Brenton C. Ferry목사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하여 심각한 이의를 제기한다.
1) 엔즈가 성경이 인간적으로 보인다고 하는 말은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처럼 보이지 않는다(not look divine)는 말이다.
2) 창세기가 부분적으로는 신화적이라는 말은 창세기가 실제의 역사적 서술이 아니라는 말이다.
3) 엔즈가 서로 상충되는 신학(conflicting theologies)에 대하여 말을 할 때 그는 성경이 자체적으로 모순(the Bible contradicts itself)된다는 것이다.
엔즈의 책은 성경의 영감(inspiration of Scripture)에 대한 전통적인 선견(conservative preconceptions)을 점진적으로 와해시키는 역할을 하고있다. 하지만 이 책이 자유주의로 기우는 경향은 보이지 않는데 자유주의는 성육신 자체를 신화로 믿고 있기 때문이다.
from "New Horizons in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October 2005."
'해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레고리 빌의 요한계시록의 과거사적 관점에 대한 비평 (0) | 2023.04.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