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2017. 7. 9. 18:14

문화명령에 대한 메리데스 클라인의 관점

Meredith Kline’s View of the Cultural Mandate
Charles Lee Irons, Ph.D.
10/28/2015

Lecture given at the 2015 Bahnsen Conference
Hosted by Branch of Hope OPC in Torrance, CA
Friday, October 23, 2015

 

역자: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역자 서문

 

메러디스 클라인의 문화명령에 대한 해석은 화란개혁주의와는 다소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고있다.

 

클라스 스킬더를 비롯한 대부분의 화란개혁주의 신학자들은, 다소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문화물의 천국보존을 전제로하여 문화명령을 해석한다.

 

이러한 문화명령에 대한 클라인의 해석은 화란개혁주의 개통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있다.

 

클라인은 이 땅에서의 문화를 메가폴리스Megapolis라는 속성에서, 그리고 새 창조에서의 문화를 메타폴리스Metapolis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메가폴리스와 메타폴리스의 다른 속성으로 인한 문화적 산물의 불연속성을 강조한다.

 

클라인은 타락과 더불어 문화적 산물의 연속성이 파괴되었다고 말하며, 타락 이전의 본래의 문화명령은 타락 이후에 하나님의 저주를 받고 변형되어졌으며 이는  문화명령을 새롭게 하는 “일반은총의 언약”으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한다.

 

메러디스 클라인Meredith G. Kline에 대하여

 

1922년 펜실베니아에서 태어난 메러디스 클라인Meredith G. Kline은 신학자이자 구약학자Old Testament scholar였다.

 

클라인은 개혁주의 전통에서의 언약 신학에 관한 영향력있는 저술가였다.

 

아마도 그는 기원전 2000년 경의 종주-봉신 조약Suzerain-Vassal treaties에 관한 분야에서 중요한 공헌을 한 사람으로 가장 잘 알려져있을 것이다.

 

또한 그는 창세기 1장의 창조 기사의 해석의 틀을 변론한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클라인은 고든대학교에서 B.A를, 1947년에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Philadelphia에서 Th.B., Th.M를, 1956년에는 드롭시대학Dropsie University에서 아시리아학과 이집트학Assyriology and Egyptology으로 Ph.D를 받았다.

 

그는 정통장로교회Orthodox Presbyterian Church 소속 목회자였으며, 오랫동안 다양한 신학교, 즉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Philadelphia 고든-콘웰 신학대학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그리고 켈리포니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에서 구약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연자 Charles Lee Irons


B.A. in Greek,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92)
M.Div., 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 (1996)
Ph.D.,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11)

 

다음은 클라인의 문화명령에 대하여 Charles Lee Irons가  2015 Bahnsen Conference에서 행한 연설의 원고를 연자의 허락을 받아 번역한 것이다.

 

서론

Introduction

 

나는 그리스도와 문화에 대한 메리데스 클라인의 관점을 발표해 달라고 부탁을 받았습니다.

I’ve been asked to present Meredith Kline’s view of Christ and Culture.

 

클라인은 문화명령에 관한 성경신학에 대하여 상당한 양의 논문들을 제공하고있습니다.

Kline gave a great deal of thought to the biblical theology of the cultural mandate.

 

그는 창세기의 처음 아홉장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문화명령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He examined the cultural mandate in the course of his interpretation of the first nine chapters of the Book of Genesis.

일단 시작하기 전에 먼저 클라인의 생애에 관한 약력을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Before I launch into that, however, let me give a brief sketch of Kline’s life.

 

그는 1922년에 태어나서 2007년에 84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He was born in 1922 and died in 2007 at the age of 84.

 

그는 성경의 권위와 무오를 가장 고수하였던 저명한 구약 학자였습니다.

He was a noted conservative Old Testament scholar who had the highest regard for the authority and inerrancy of Scripture.

 

그는, 문서 가설과 같이, 구약의 기원에 관한 고등 비평이론을 거절하였습니다.

He rejected the higher critical theories of the origin of the Old Testament, such as the documentary hypothesis.

클라인은 메사츠세츠에 있는 고든 대학에서 학부 생활을 하였습니다.

Kline did his undergraduate work at Gordon College in Massachusetts.

 

그가 개혁주의 신학에 입문하게 된 곳은 바로 이곳이었습니다.

It was there that he was introduced to Reformed theology.

 

저는 그가 자신의 급우가 칼빈주의의 다섯 가지 요점에 대하여 자신에게 설명해주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읍니다.

He told me the story that a classmate of his explained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to him.

 

그는 이것(칼빈주의의 다섯 가지 요점)에 대하여 이전에 들어본 적이 없었지만, 그들이 그에게 설명하자마자 즉시 칼빈주의가 참이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He had never heard them before, but as soon as they were explained to him he instantly thought Calvinism was true.

 

1944년 대학을 졸업한 후에, 그는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으로 가서 1947년 신학 학사와 석사로 졸업하였습니다.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n 1944, he went on to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 graduating in 1947 with a Bachelor’s and a Master’s of Theology.

1940년대에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 학생으로서 존 머레이와 코넬리우스 반틸에게서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As a student at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the 1940s, he sat at the feet of John Murray and Cornelius Van Til.

 

그는 언약 신학의 몇 가지 중요한 면에서 존 머레이에게 동의하지 않았지만, 반틸에 대하여는 항상 감탄하였으며 그의 생각을 최고로 여겼습니다.

He disagreed with John Murray on some important aspects of covenant theology, but he always admired Van Til and had the highest regard for his thought.

 

그가 반틸을 존경하였다는 것은 자신의 저서 [성경 권위의 구조]를 반틸에게 헌정하였다는 것이 증명해 주고있습니다.

The proof of his admiration for Van Til is that he dedicated his book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 to Van Til.

 

클라인은 반틸의 사람이었습니다.

Kline was a Van Tilian.

 

그는 하나님과 그의 말씀보다도 더 높은 권위는 없다고 믿었습니다.

He believed there is no authority higher than God and his Word.

 

이것은 그가 성경을 언약 문서들로 이해하는 데서 볼 수 있습니다.

This can be seen in his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as covenant documents.


하나님은 위대하신 왕이시며, 영주(領主)이십니다.

God is the Great King, the Suzerain.

 

우리는 하나님의 종이며, 하나님의 언약 대상들입니다.

We are God’s vassals, God’s covenant subjects.

 

성경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언약 문서입니다.

The Scriptures are the covenant document that gov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people.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우리는 우리가 아닌 하나님께서 의미하시는 언약에 복종할 의무와, 그의 언약의 말씀의 조항들에 대하여 순종 할 의무가 있습니다.

As God’s covenant people, we are obligated to submit to the covenant on God’s terms, not ours, and to obey the stipulations of his covenant Word.

클라인은 1948년 정통장로교회에서 복음 사역자로 임명을 받았으며 죽음을 맞이하기까지 정통장로교회에서 목사로서 제대로된 사역을 감당하였습니다.

Kline was ordained to the gospel ministry in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in 1948 and remained a minister in good standing in the OPC until his death.

그는 필라델피아에 있는 드롭시대학에서 아시리아학과 이집트학으로 자신의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56년 학위를 마치기까지 웨스트민스터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습니다.

He did his Ph.D. in Assyriology and Egyptology at Dropsie University in Philadelphia, completing his degree in 1956, while he was already teaching at Westminster.

 

드롭시에서 그는 우가리트어와 같은 고대 셈족 언어에 대하여 능통한 학자인 키루스 고든 밑에서 공부하였습니다.

At Dropsie he studied under Cyrus Gordon, the great scholar of ancient Semitic languages such as Ugaritic.

클라인은 주로 3개 대학, 즉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 대학과 고든 콘웰 신학교와 캘리포니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가르쳤습니다.

Kline taught at three main seminaries: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 Gordon Conwell Theological Seminary, and 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

 

나는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캘리포니아의 웨스트민스터에서 그를 나의 교수로 모실 수 있는 특혜를 누렸습니다.

I had the privilege of having him as my professor at Westminster California from 1992 to 1996.

그의 대작인 [하나님 나라의 서막]은 그가 오랜 강단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수없이 가르쳐왔던 구약의 성경신학 과정을 위한 강의 초록에서부터 시작된 것입니다.

His magnum opus is Kingdom Prologue, which began as a class syllabus for a course on the biblical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that he taught many times throughout his long academic career.

 

마지막 판은 그가 하나님께로 가기 전년도인 2006년에 출간되었습니다.

The final version was published in 2006, one year before he went to be with the Lord.

부제는 [언약적 세계관을 위한 창세기의 토대]입니다.

The subtitle is Genesis Foundations for a Covenantal Worldview.1

(1. 이하 Meredith G. Kline, Kingdom Prologue: Genesis Foundations for a Covenantal Worldview를 “KP”로 표시)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그가 단순히 성경 신학이나 언약 신학만을 한 것이 아니라, 그는 또한 창세기에 근거한 심도 깊은 세계관을 확립하려고하였는데, 이는 그가 (창세기를) 성경 전체와 모든 삶의 기초로 보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means that he’s not just doing biblical theology and covenant theology; he is also trying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worldview based on the book of Genesis, which he saw as foundational for the whole of the Scriptures and for all of life.

 

이것의 핵심 부분은 역사의 전개과정에서 문화명령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A key part of that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mandate in its historical unfolding.

그러므로 문화명령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으로 들어가봅시다.

So let’s dive into Kline’s view of the cultural mandate.

 

저는 역사의 전개를 3단계로 나누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I think it’s helpful to break it down into three modes as history unfolds:

1. 타락 이전에 본래부터 주어진 문화명령

1. The Cultural Mandate as Originally Given Before the Fall

 

2. 타락 후에 변형된 문화명령

2. The Cultural Mandate as Modified After the Fall

 

3.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된 문화명령

3. The Cultural Mandate as Fulfilled by Christ

1. 타락 이전에 본래부터 주어진 문화명령

1. The Cultural Mandate as Originally Given Before the Fall

하나님께서 아담과 이브에게 주신 문화명령의 핵심 본문인 창세기 1장 26-28절을 상기하면서 시작하도록 합시다.

Let’s begin by reminding ourselves of the key text where God gives the cultural mandate to Adam and Eve—Genesis 1:26–28:


26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들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27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28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26 Then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after our likeness. And let them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birds of the heavens and over the livestock and over all the earth and over every creeping thing that creeps on the earth.”
27 So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him;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28 And God blessed them. And God said to them,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fill the earth and subdue it, and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birds of the heavens and over every living thing that moves on the earth.”2
(2 Scripture quotations are from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copyright © 2001 by Crossway
Bibles, a division of Good News Publishers. Us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우리가 살펴볼 수 있는 첫 번째는 문화명령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의 정체성에 뿌리를 두고있다는 것입니다.

The first thing we observe is that the cultural mandate is rooted in man’s identity as the image of God.

 

하나님께서 창조주이신 것과 같이, 비록 창조적인 수준이지만 인간들도 창조자의 유형이라는 것입니다.

Just as God is the creator, so mankind is a creator of sorts, although on a creaturely level.

 

사람이 땅을 채우는 창조적인 행동은, 하나님께서 창조의 각 영역들- 즉 하늘과 바다와 마른 땅을 창조하시고서, 새들과 물고기와 땅의 동물들과 사람 자신을 각 영역에서 번성하고, 채우고, 통치하는 피조물을 창조하신 것과 유사한 방식입니다.

Man’s creaturely activity of filling the earth is an analogue of the way in which God created the various realms of creation—the sky, the sea, the dry land—and then created the creatures to populate, fill, and reign over each realm—the birds, the fish, the land animals and man himself.

 

사람이 땅을 정복하고 창조물의 하위 질서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포함한 피조물에 대하여 왕적 통치권을 행사하시는 것과 유사한 것입니다.

Man’s creaturely activity of subduing the earth and exercising dominion over the lower orders of creation is an analogue of God’s kingly rulership over all creation, including man.

 

그러므로 사람이 문화활동을 하는 이러한 모든 것은 하나님의 창조와 섭리의 일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So all of these cultural activities of man mirror God’s work of creation and providence.

사람의 문화 활동이 하나님의 창조 활동의 창조적인 유비라는 이러한 개념은 창세기 2장 2-3절에서 좀 더 발전되며, 여기서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안식의 규례를 정해주십니다.

This idea that man’s cultural activity is a creaturely analogue of God’s creative activity is further developed in Genesis 2:2–3, where God gives the Sabbath ordinance to man:

2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3  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 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2 On the seventh day God finished his work that he had done, and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 that he had done.

3 So God blessed the seventh day and made it holy, because on it God rested from all his work that he had done in creation.

 

클라인은 이와같은 타락 이전의 안식일의 규례를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으로 연결시키고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Kline sees this pre-Fall Sabbath ordinance as connected to his identity as the image of God.

 

하나님께서 6일간 일하시고 일곱째 날에 쉬신 것과 같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도  6일간의 문화 사역을 진행하고서는 일곱째 날에 쉬어야만 했습니다.

Just as God worked for six days and rested on the seventh, so man as God’s image must go about his cultural labors for six days and rest on the seventh.

 

그러나 사람의 매주 반복되는 안식일은 무한하거나 끝나지 않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But man’s weekly Sabbath cycle was not to be indefinite or never ending.

 

그보다는 이것은 행위 언약의 일부였기에, 매주의 안식일은 종말론적 약속을 담고 있습니다,

Rather, it was part of the covenant of works, and therefore the weekly Sabbath contained an eschatological promise.

 

매주의 안식일은, 아이를 낳고, 땅을 채우면서 정복하는 아담의 문화 활동이, 하나님의 안식일의 쉼에 들어가는 극치인, 극치에 도달한다는, (좀 더 정확히는) 도달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담에게 주어졌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The weekly sign of the Sabbath was a token to Adam that his cultural activity of procreating, filling the earth and subduing it would, or (more accurately) could, come to a consummation, the consummation of entering God’s Sabbath rest.

 

사람은, 하나님께서 창조 활동을 마무리하시고서 일곱째 날에 쉬심과 같이, 사람의 문화활동도 어느 날 마무리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와 그의 모든 자손들과, 창조 자체인 모든 것들이, 하나님 자신의 종말론적 안식의 쉼에 도달되도록 희망을 가졌어야했던 것입니다.

Man had the hope that, just as God’s creation activity came to a conclusion and God rested on the seventh day, so man’s cultural activity could one day be completed and he, together with all his progeny, and all of creation itself, would be ushered into the eschatological Sabbath rest of God himself.

그러나 이러한 영광스러운 결과는 보장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But this glorious outcome was not guaranteed.

 

행위언약은 조건적인 약속이었습니다.

The covenant of works was a conditional promise.

 

오직 사람이 순종하며 검증을 통과했어야지만 종말론적인 상을 받았을 것입니다.

Only if man obeyed and passed the probation, would he receive the eschatological reward.

 

만약에 사람이 불순종했다면, 그는 상을 잃어버릴 것이며 사실상 공로가 상실될 것입니다.

If man disobeyed, he would lose the reward and in fact merit death.

 

이것은 본문 자체에 암시되어 있습니다.

This is implied in the text itself.

 

다른 한편으로, 생명나무는 긍정적 허용의 표지였으며, 종말론적 진보에 관한 제안이었습니다.

On the one hand, the tree of life was a sign of the positive sanction, the offer of eschatological advancement.

 

다른 한편으로, 죽음의 위협이 또 하나의 나무, 즉 선과 악을 알게하는 나무에 부가되었습니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at of death was explicitly attached to the other tree,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핵심은 본래의 문화명령이 타락 이전의 행위언약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는 것입니다.

The point is that the original cultural mandate was an integral part of the pre-Fall covenant of works.

 

이것은 다음의 두 가지를 제시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첫 번째로는, 인류의 언약적 대표로서의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행위 언약이 깨어졌을 때, 문화명령은 아무 일이 없었던 것처럼 변화하지 않고 계속 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That’s important because it suggests two things: first, that when the covenant of works is broken by Adam’s transgression as the covenant or federal head of the human race, the cultural mandate doesn’t continue unchanged as if nothing happened.

 

이는 지속되지만 상당히 변형된 형태로 지속될 것입니다.

It does continue, but in a highly modified form.

 

두 번째로, 타락 전의 문화명령이 언약적이라면, 우리가 예상해야 하는 것은, 타락 후에 문화명령이 일반은총의 형태로 다시 제시될 때에는, 이도 마찬가지로 언약적이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Second, if the pre-Fall cultural mandate is covenantal, then we would expect that, when the cultural mandate is reissued after the Fall in the common grace mode, it would likewise be covenantal.

이제 클라인은 아담의 문화명령의 우선적 과제들을 두 가지 면, 즉 수직적인 면과 수평적인 면으로 세분화합니다.

Now Kline subdivides the primary tasks of Adam’s cultural mandate into two aspects: the vertical dimension and the horizontal.

 

수평적인 면은 사람이 땅을 경작하고 정복하는 자로서, 사람의 왕으로서의 직책과 관련이 있습니다.

The horizontal dimension has to do with man’s kingly office as one who cultivates the earth and subdues it.

 

그러나 제사장으로서의 아담의 역할에 관련되어있는 수직적인 면도 있습니다.

But there is also a vertical dimension that pertains to Adam’s role as a priest.

 

그는 자신의 문화적 수고의 결실들을 취하여서 이를 하나님께 드리거나 봉헌하여야만 했습니다.

He is to take of the fruits of his cultural labors and offer them or consecrate them to God.

 

클라인은 이러한 두 가지 면을 “예식”과 “문화”의 의미로 수용합니다.

These two dimensions Kline covers under the terms “cult” and “culture.”

 

클라인이 의미하는 종교적 의식으로서의 “예식”은 짐 존스나 여호와의 증인들과 같은 종교적 의식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By “cult,” Kline doesn’t mean religious cults like the Jim Jones cult or the Jehovah’s Witnesses.

 

여기서의 “예식”은 바로 특별히 거룩한 장소나 성전에서 하나님께 헌물을 드리는 제사장 직에 초점을 맞춘 “예배”를 의미합니다,를 말합

By “cult,” he just means “worship”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riestly work of offering tribute to God in a special holy place or temple.

클라인에게, 예식과 문화라는 이 두 가지 면들은 타락 전의 상태에서 구별되는 것이었으며, 이들은 최소한 타락 이전에는 신정의 원칙에 의하여 통합된 것이었습니다.

For Kline, these two aspects—cult and culture—are distinguishable in the pre-Fall situation, yet they are integrated by the theocratic principle, at least before the Fall.

 

신정 원칙은 문화가 예식에 종속된다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theocratic principle means that culture is subordinated to cult.

 

클라인은, 이렇게 예식과 문화 사이를 구분하는 것은 타락 이후에 거룩과 일반 사이를 구분하는 공식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Kline argues that this distinction between cult and culture lays the formal groundwork for the post-Fall distinction between the holy and the common.

 

그러나 타락 후의 상황에서는, 문화가 더 이상 예식에 종속되지는 않습니다.

However, in the post-Fall situation, culture is no longer subordinated to cult.

 

우리는 이것을 뒷부분에서 다룰 것입니다.

We’ll get to that later.

 

지금은 일단 타락 이전의 상태에 대하여 계속 살펴보고자합니다.

For now, let’s continue looking at the pre-Fall situation.

타락 이전의 문화명령은 역사 가운데 시행되어왔습니다.

The pre-Fall cultural mandate set in motion a history.

 

물론 이러한 역사는, 아담이 언약적 대표로서 행위언약을 어기고서 그와 이브가 동산으로부터 쫒겨나면서, 타락으로 인하여 짧막하게 끝이났습니다.

Of course, that history was cut short by the Fall, when Adam as the federal head broke the covenant of works and he and Eve were expelled from the garden.

 

성경은 만약에 아담이 죄를 짓지 않고 자신에게 주어진 검증을 통과하였다면 무슨 일이 일어났을 것인지에 대하여는 우리에게 명확하게 말해주지는 않습니다.

The Bible doesn’t explicitly tell us what would have happened if Adam had not sinned and had passed his probation.

 

그러나 충분한 성경의 증거들이, 문화명령의 역사가 어떠했으리라는 것을 우리가 추측 할 수 있도록 허락해주고 있습니다.

But we do have enough biblical evidence allowing us to infer what the history of the cultural mandate would have been.

 

클라인은 이것이 극치 이전의 단계와 극치의 단계의 두 단계로 펼쳐졌으리라고 생각합니다.

Kline thinks it would have unfolded in two stages: a pre-consummation stage and a consummation stage.

 

극치 이전의 단계는 아담과 그의 자손이 아직 영광의 몸을 가지지 못한 중간의 단계입니다.

The pre-consummation stage is an intermediate stage when Adam and his progeny do not yet have glorified bodies.

 

극치의 단계는 육체와 참으로 모든 피조물의 영화로 특징 지워집니다.

The consummation stage is marked by the glorification of the body, indeed, of all creation.

극치 이전의 단계는 창세기 2장15절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시고”로부터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The pre-consummation phase can be inferred from Genesis 2:15, “The LORD God took the man and put him in the garden of Eden to work it and keep it.”

 

이것이 암시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아담으로하여금 동산을 우주적 도시로 발전시키는 것을 원하셨다는 것입니다.

The implication is that God wanted Adam to develop the garden into a universal city.

클라인을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람이 문화관리직을 완수하는 것은 사람이 에덴에서 지배적인 관리자로서의 기능을 하는데서 시작이 되는 것이다.

Kline put it this way: “Fulfillment of man’s cultural stewardship would thus begin with man functioning as princely gardener in Eden.

 

그러나 왕국을 위임관리하는 목표는 최소한의 지엽적인 삶을 유지하는 체계가 아니라 최대한의 지구적 지배력을 갖는 것이다.

But the goal of his kingdom commission was not some minimal, local life support system. It was rather maximal, global mastery.

 

문화명령은 인간의 두뇌와 근력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도전함으로서 처음의 낙원인 처소를 우주적인 도시로 발전되도록 세상을 가치있게 만드는 것이다”(하나님 나라의 서막, 이하KP로 표기 70).

The cultural mandate put all the capacity of human brain and brawn to work in a challenging and rewarding world to develop the original paradise home into a universal city” (KP 70).

아담과 그의 자손은 클라인이 “메가폴리스”라고 부르는 것을 건설하였을 것입니다.

Adam and his progeny would be building what Kline calls “Megapolis.”

 

이는 두 가지 헬라어로 구성되었는데, 메가는 커다란 혹은 거대한을 의미하며, 폴리스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It is based on two Greek words, mega, which means big or great, and polis, which means city.

 

그러므로 메가폴리스는 “거대한 도시”입니다.

So Megapolis is “the Great City.”

 

두 번째 단계는 종말론적 극치의 단계입니다.

The second phase is the eschatological consummation phase.

 

이 단계에 대한 클라인의 용어는 “메타폴리스”입니다.

Kline’s term for this phase was “Metapolis.”

 

메타라는 단어는 저편에 혹은 이후에를 의미하는 헬라어 전치사입니다.

The word meta is a Greek preposition meaning beyond or after.

 

클라인은 극치 이후의 문화를 “메타컬처”라고 말하며, 이 후자의 단어에서 “영화롭게 된 인류의 신성한 문화로서 인간의 문화를 넘어서는 메타컬처" 즉 “메타폴리스”라는 용어를 추론합니다(KP 99).

Kline speaks of post-consummation culture as “metaculture,” and from that latter word he extrapolates the term “Metapolis.” “Glorified mankind is the divine culture, the metaculture beyond human culture” (KP 99).

 

달리 말하면, 이는 하나님의 영광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종말론적 도시에 해당되는, 하나님의 종말론적 우주적 성전으로 성질이 변하거나 변형후의 메가폴리스라는 것입니다.

In other words, it’s Megapolis after it has been metamorphosed or transformed by the glory of God into the eschatological cosmic temple of God, which is also the eschatological City of God.

 

이는 요한계시록 21장에서 분명히 하는 바와 같이, 성전이면서 또한 도시입니다.

It is both a temple and a city—as Revelation 21 makes clear.

그러나 우리는 메타폴리스를 메가폴리스의 자연스러운 발전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However, we should not think of Metapolis as the natural development of Megapolis.

 

“하늘은 인간의 성취물이 아니며, 인간 문화의 결과물도 아니다"(KP 98)라고 클라인은 말합니다.

As Kline said, “Heaven is not a human achievement; it is not the end-product of human culture” (KP 98).

 

달리 말하지면, 메타폴리스는 단순히 완성된 상태로서의 메가폴리스라고 생각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In other words, Metapolis shouldn’t be thought of as if it were simply Megapolis in its completed state.

 

메가폴리스는 현재적일 수 있지만 메타폴리스는 아직 도달 되지 않았습니다.

Megapolis may be in place, but Metapolis has not yet arrived.

메타폴리스가 시작되기 위해서 아직 무엇이 필요하겠습니까?

What would still need to happen to usher in Metapolis?

 

종말론적인 개입하심이라는 특별한 초자연적인 신적 행하심으로서, 다음의 3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야 할 것입니다.

A special supernatural divine act of eschatological intervention, in which three things would occur simultaneously:

 

(1) 인간의 외적인 문화, 즉 건축물, 의상, 예술, 기술 기타 등등의 인간이 만든 문화적 인공물들이 건물의 비계와 같이 사라질 것입니다(KP 99);

(1) mankind’s external culture—man-made cultural artifacts such as buildings, clothing, art, technology and so on—would drop away like scaffolding (KP 99);

 

 

 

(2) 하늘과 땅을 가르는 장막이 제껴짐으로서, 하나님과 그의 천사들이 거하는 하늘이 눈에 보이게끔 땅으로 침투될 것이며, 그리고

(2) the veil that separates heaven and earth would be lifted so that heaven, the dwelling of God and his angels, would visibly permeate earth; and

 

(3) 문화명령의 중심 산물인 인류 자체는 거룩해진 몸으로 거룩해진 피조물을 즐기도록 변형될 것입니다.

(3) mankind itself, the central product of the cultural mandate, would be transformed to enjoy the glorified creation in glorified bodies.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용어를 빌리자면, 아담의 가족이 하나님의 우주적 도시로서의 성전 안으로 함께 형성되어가는 “산돌들"이 될 것입니다.

To borrow the language from the fulfillment in Christ, the family of Adam would be “living stones” formed together into God’s cosmic city-temple.

메가폴리스는, 점진적 발전이 아니라 영화라는 초자연적 행동에 의해서 메타폴리스로 변형될 것입니다.

Megapolis must be transformed into Metapolis, not by a gradual evolution but by a supernatural act of glorification.

 

연속성은 하나님께서 신적인 능력과 영광으로 개입하셔서 단절될 것입니다.

The continuity is broken as God intervenes in divine power and glory.

 

현재의 피조물이 무로부터 존재하게 되었듯이 마찬가지로 새로운 창조도 “현현의 섬광”으로부터 나타날 것입니다.(KP 101).

Just as the present creation came into existence out of nothing, so the new creation will emerge from an “epiphanic flash” (KP 101).

 

이는 계시적인 사건입니다.

It is an apocalyptic event.

 

클라인은 이를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메타폴리스는 단순히 확대된 메가폴리스가 아니라 마지막되신 성령의 손에 종말론적으로 본질의 변화를 거친 메가폴리스다”(KP 100).

Kline puts it this way:
“Metapolis is not just an enlarged Megapolis, but a Megapolis that has undergone eschatological metamorphosis at the hands of the Omega-Spirit” (KP 100).

아마 성경적인 비유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Perhaps a biblical analogy would help.

 

솔로몬의 성전을 봅시다.

Consider Solomon’s temple.

 

성전 자체의 건설은 메가폴리스와 같습니다.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itself is like Megapolis.

 

그러나 이 시점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모든 것은 물리적 구조물입니다.

But at this point all you have is the physical structure.

 

이는 아직 극치의 상태가 아닙니다.

It is not yet consummated.

 

영광의 구름이 덮여서 성전 안에 머물러야만 합니다.

The Glory-Cloud must come and take up residence in the temple.

 

이러한 일이 일어날 때 성전은 하나님의 거처로 변형됩니다.

When that happens, the temple is transformed into the dwelling of God.

 

이것이 하나님께서 메가폴리스를 메타폴리스로 변형시켰을 때의 모습입니다.

That’s a picture of when God transforms Megapolis into Metapolis.

 

이는 “종말론적인 변형"이 될 것입니다.

It will be an “eschatological metamorphosis.”

 

솔로몬의 성전은 유비 이상의 것입니다.

Solomon’s temple is more than an analogy.

 

이는 실질적 유형입니다.

It is actually a type.

 

메타폴리스는 하나님의 도성일 뿐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이 가득하게 비추어진 우주로서의, 하나님의 우주적 성전입니다.

For Metapolis is not only the City of God but the cosmic Temple of God, the cosmos irradiated by and filled with the glory of God.

솔로몬의 성전은, 본래 아담에게 주어졌던 문화명령의 최종적 산물로서 상상되어진, 최종적 성전의 유형과 그림자에 불과할  뿐입니다.

Solomon’s temple was merely the type and shadow of the final temple envisioned from the beginning as the end-product of the cultural mandate as originally given to Adam.

할 수있는 말이 많이 있겠지만, 아담이 범죄하지 않았다면 이것이 문화명령의 역사에 대한 근본적 윤곽입니다.

There is much more that could be said, but that’s a basic outline of the history of the cultural mandate if Adam had not sinned.

이제 문화명령의 두 번째 단계로 가봅시다.

Now we come to the second mode of the cultural mandate.

2. 타락 후의 변형된 문화명령

2. The Cultural Mandate as Modified After the Fall

 

사람은 죄악으로 떨어졌으며 행위언약은 깨어졌습니다.
Man fell into sin and the covenant of works was broken.

 

클라인에 의하면  타락이 문화명령을 심각하게 변화시켰습니다.

For Kline the Fall changes the cultural mandate significantly.

 

여기서 클라인은 타락 후에 문화명령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보기 위해 창세기 3장 16-19절을 살펴보았습니다.

Here Kline turns to Genesis 3:16–19 to see what happened to the cultural mandate after the Fall.

 

그가 보았던 주된 것은, 인간의 죄악으로의 타락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심판과 죽음이라는 죄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살아서 어떤 문화 활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보존하셨다는 것입니다.

The main thing he sees is that in spite of man’s fall into sin and in spite of the consequences of sin—judgment and death—God preserves man alive to continue certain cultural activities.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정의에 의해서 즉각적으로 모든 것을 끝내실 수도 있으셨습니다.

God, in his justice, could have ended everything right there.

 

아담과 이브는 심판으로 파멸되었을 수도 있었으며, 그렇다면 이것이 인류와 역사의 끝이 되었을 것입니다.

Adam and Eve could have been destroyed in judgment, and that would have been the end of the human race and the end of history.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은혜스럽게도, 여자의 후손으로 오시는 중재자를 통한 놀라운 구원의 계획을 세우셨으며, 그럼으로서 그는 즉각적으로 죽음의 저주스러운 처벌을 실행하시지 않으셨고, 대신에 일반은총의 질서를 세우셨습니다.

But in his grace, God had in view the wonderful plan of salvation through the coming Mediator, the Seed of the woman, and therefore, he did not execute the curse sanction of death immediately, but instead set up the order of common grace.

클라인은 창세기 3장에서 일반은총과 일반저주 모두를 보았습니다.

Kline sees both common grace and common curse in Genesis 3.

 

일반은총이 명백한 것은 하나님께서 구원과 관계없는 은혜로 인류로 하여금, 하나님을 따르는 이들과 사단의 자손 모두에게,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일을 계속하도록 허락을 하셨기 때문입니다.

Common grace is evident, since God in his non-saving grace allows the human race, both the godly line and the seed of the serpent, to continue to marry, procreate, and labor.

 

하나님께서는 의로운 이들과 불의한 이들 동일하게 비와 햇볕을 지속적으로 보내실 것입니다.

God will continue to send his rain and sunshine upon the just and the unjust alike.

그러나 일반저주도 분명한 것은 저주가 의로운자들과 불의한 자들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But common curse is also evident, since the curse affects both the just and unjust.

 

아이를 낳을 때 고통을 느끼거나 땅이 가시와 엉겅퀴를 내는 저주는 불신자들 뿐만이 아니라 신자들에게도 동일합니다.

It is not only the ungodly line but also the godly line who will have pain in childbirth and a curse upon the ground that yields thorns and thistles.

 

이것은 창세기 5장에서 하나님의 사람의 계보가 “그리고 죽었더라”라는 반복구로 구두점을 찍는 것으로 볼 때 가장 명백히 나타납니다.

This is most evident in Genesis 5 when the genealogy of the godly line is punctuated with the refrain, “and he died.”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선택받은 자들과 선택받지 못한 자들 모두에게서 경험되어지기에 클라인은 이를 “일반은총와 일반저주”라고 부릅니다.

So Kline calls this, “common grace and common curse,” since both the good and the bad are experienced by both the elect and the non-elect.

클라인은 타락 전과 타락 후의 문화명령 사이에 연속성과 불연속성 모두를 보았습니다.

Kline sees bot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pre-Fall and the post-Fall cultural mandate.

 

타락 후에도 문화명령이 다시 나타나는 것 때문에 연속성이 있습니다.

There is continuity, because the cultural mandate is reissued after the Fall.

 

사람은 아직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땅을 채웁니다.

Man is still to marry and procreate and fill the earth.

 

그러나 문화명령은 클라인이 말하는 “굴절”을 겪게됩니다(KP 157).

But the cultural mandate undergoes what Kline calls “refraction” (KP 157).

 

주된 문화 과업과 기능들은 남아있지만, 명령 자체는 굴절되었거나 변형되었습니다.

The main cultural tasks and functions remain, but the mandate itself
is refracted or modified.

 

우리는 사람이 이제 자신의 문화적 노력들에 대하여 좌절하는 것을 볼 때 이러한 굴절이나 수정을 보게됩니다.

We see this refraction or modification when we observe that man is now frustrated in his cultural efforts.

 

이러한 좌절의 주제는 본문에서 매우 두드러집니다.

This theme of frustration is quite prominent in the text.

 

이는 창세기 3장 16절에서 하나님께서 이브에게 말씀하신 것입니다.

This is what God says to Eve in Genesis 3:16: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네가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 것이며 너는 남편을 원하고 남편은 너를 다스릴 것이니라”

“I will surely multiply your pain in childbearing; in pain you shall bring forth children. Your desire shall be for your husband, and he shall rule over you.”

 

여자는 문화명령의 일부로서 아이들을 낳을 것이지만 커다란 고통 가운데 그러할 것입니다.
The woman will still bear children as part of the cultural mandate, but she will do so with great pain.

 

결혼 관계도 역시 무질서하게 될 것입니다.

The marital relationship will also become disordered.

 

여자의 욕망은 남편의 권위를 빼앗을 것이며, 남자는 강압적인 방법으로 여자를 다스릴 것입니다.

Her desire will be to usurp her husband’s authority, and he will rule over her in an oppressive manner.

 

당연히 기쁨이 되었어야 할 결혼과 출산은 고통과 죄의 왜곡된 영향들로 인하여 손상이 될 것입니다.

Marriage and childbearing, which ought to have been a delight, will be marred by pain and the distorting effects of sin.

창세기 3장 17-19절에서 하나님께서는 아담에게 말씀하십니다.

Here is what God says to Adam in Genesis 3:17–19: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 너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18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네가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
19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 네가 그것에서 취함을 입었음이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

“Cursed is the ground because of you; in pain you shall eat of it all the days of your life;
18 thorns and thistles it shall bring forth for you; and you shall eat the plants of the field.
19By the sweat of your face you shall eat bread, till you return to the ground,
for out of it you were taken; for you are dust, and to dust you shall return.”

아담이 타락 전에 명령을 받은 것과 같이 사람은 계속적으로 노동을 할 것이며, 땅을 개간함으로서 경작을 통하여 농작물이 생산되도록 할 것입니다.

The man will continue to labor and work the ground in order to cultivate it and produce crops, just as Adam was commanded before the Fall.

 

그러나 이제 사람의 수고는 심한 노역이 될 것이며, 땅은 열매를 맺을 것이지만 같은 정도는 아니며, 열매와 함께 가시와 엉겅퀴도 낼 것입니다.

But now his labor will be a hard toil and the earth will produce fruit, but not to the same degree, and with the fruit it will also produce thorns and thistles.

 

그리고 이 모든 것의 끝으로 사람은 자신이 왔던 땅의 먼지로 돌아갈 것입니다.

And at the end of it all, he will return to the dust of the ground from which he
came.

 

죽음은 인간 문화의 궁극적인 훼방과 절망입니다.

Death is the ultimate disruptor and frustrator of human culture.

그러므로 우리는 타락 전 문화명령과의 불연속성의 핵심을 “절망”이라는 의미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So we can summarize the main point of discontinuity with the pre-Fall cultural mandate under the term “frustration.”

 

타락 전에는, 사람이 자신의 문화적 수고들이 좋은 열매를 맺으리라는 종말론적 확신 가운데 일을 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사람은 모든 피조물을 성공적으로 지배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Before the Fall, man could labor in the eschatological confidence that his cultural labors would yield good fruit, that he would succeed in bringing all creation under subjection.

 

사람은 영화롭게될 가치가 있고 종말론적 극치로 인도하는 도시인 메가폴리스를 건설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He would be able to build Megapolis, a city worthy of being glorified and ushered into the eschatological consummation.

 

그러나 타락 후에는 사람의 수고가 허망하게 되었습니다.

But after the Fall, man labors in vain.

 

사람은 죽음의 그림자 밑에서 일을 합니다.

He labors under the shadow of death.

 

사람은 과도하게 수고를 하지만 그의 수고는 오직 가시와 엉겅퀴를 낼 뿐이며, 그 후에는 바로 죽게됩니다.

He toils excessively, but his toil only produces thorns and thistles, and he himself dies soon thereafter.

 

약속된 종말론적 극치는 없습니다.

There is no promise of eschatological consummation.

실제로 타락 후에는 사람의 문화적 수고가 천상의 도시인 메타폴리스에 들어가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들어갈 수도 없습니다.

Indeed, after the Fall, man’s cultural labors will not and cannot enter the heavenly city or Metapolis.

절망스러운 이야기에 더하여서, 클라인은 타락 후의 형태로서의 문화명령에서 종말론적 희망이 사라져버렸다는 것를 말해주는 한가지 증거를 제시합니다.

In addition to the frustration motif, Kline points to a telling piece of evidence that the cultural mandate in its post-Fall form has been stripped of eschatological hope.

 

클라인은 매주의 안식일 휴식 명령이 타락 이후에는 아담에게 새롭게 제시되지 않고있다는 것을 지적합니다.

Kline points out that the ordinance of the weekly Sabbath rest is not renewed with Adam after the Fall.

 

안식일이 새롭게 제시되지 않았다는 표시는 사람의 문화활동이 더 이상 종말론적 안식일의 약속을 각인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The non-renewal of the Sabbath sign shows that man’s cultural activity is no longer stamped with the eschatological Sabbath promise.

 

사람은 일을 하여야 하지만 손으로 한 수고가 지속적이거나 영구적 중요성을 가지리라는 확신이 없이 일을 하여야만 합니다,

Man must work, but he must work without the confidence that the works of his hands will have lasting, eternal significance.

일반은총의 문화는 어디에도 향하여있지 않습니다.

Common grace culture is not headed anywhere.

 

사실 이는 종료될 것입니다.

It is headed, in fact, for termination.

 

성경은 “이 세상의 외형은 지나감이니라”(고전 7:31), 그리고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이 왔으니”(베전 4:7), 그리고 “세상은 욕망을 쫓아 사라짐이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The Scriptures teach that “The present form of this world is passing away” (1 Cor 7:31), that “The end of all things is at hand” (1 Pet 4:7), and that, “The world is passing away along with its desires” (1 John 2:7).

 

그리고 요한계시록에서 하나님께서는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계 21:5)고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And in the book of Revelation, God says, “Behold, I am making all things
new” (Rev 21:5).

 

이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일반은총의 문화는 메가폴리스를 건설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Another way of putting it is this: common grace culture is not building Megapolis.

 

사람의 도시는 아무리 최선을 다한다고 할지라도 하나님의 도시도 아니고 절대로 그렇게 될 수가 없습니다.

The City of Man, even at its best, is not and never can become the City of God.

확신하건데, 사람의 도시는 합법적이지만 신성하지는 않습니다.

To be sure, the City of Man has legitimacy, but it does not have sanctity.

 

이는 거룩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것입니다.

It is not holy but common.

 

이는 개량되더라도 구속적인 기능을 하지는 않습니다.

It has an ameliorative but not a redemptive function.

 

일반은총은 죄를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Common grace functions as a restraint upon sin.

 

이는 타락한 사회가 하나님의 제어활동으로부터 분리될 만큼이나 사악하게 되지 않도록 지켜줍니다.

It keeps fallen society from becoming as wicked as it would be apart from God’s restraining activity.

클라인에게 또 다른 핵심점은 그가 문화명령의 일반은총 형태를 언약적 의미에서 보고있다는 것입니다.

Another key point for Kline is that he sees the common grace mode of the cultural mandate in covenantal terms.

 

그는 창세기 9장의 홍수 후의 노아언약을 타락 후에 즉시 이루어진 일반은총 상태의 언약적 형태가 재연된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He views the post-flood Noahic Covenant in Genesis 9 as the reiteration in covenantal form of the common grace order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Fall.

이는 제가 이전에 말하였던 점을 계속하는 것입니다.

This picks up the point I made earlier.

 

문화명령은 언약적입니다.

The cultural mandate is covenantal.

 

이는 언약의 일부입니다.

It is part of a covenant.

 

이는 행위 언약의 일부였던 타락 전의 상태에서는 사실이었습니다.

That was true in the pre-Fall context, when it was part of the covenant of works.

 

이는 문화명령이 창세기 9장에서의 일반은총의 언약의 일부로서 , 타락 후의 상태에서 다시 변형되고 굴절된 형태에서도  주제로 거론되고 있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It is just as true in the post-Fall context, when the cultural mandate is re-issued in modified, refracted form as part of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in Genesis 9.

 

우리는 특별히 이것이 언약임을 들었습니다:”내가 내 언약을 너희와 너희 후손과 너희와 함께 한 모든 생물에게 세우리니”(창 9:9)

We’re specifically told it is a covenant: “Behold, I establish my covenant with you and your offspring after you, and with every living creature that is with you” (Gen 9:9).

 

이는 약속된 끝날까지 오랜 세대를 거쳐 지속되는 언약을 의미하는 “영속된 언약”으로 불리웁니다.

It is called an “everlasting covenant” (v 16), meaning a covenant that is perpetual for long ages until the appointed end.

 

그리고 하나님의 언약적 약속은 언약의 표시로 더욱 강화됩니다: “내가 내 무지개를 구름 속에 두었나니 이것이 나와 세상 사이의 언약의 증거니라”(창9:13)

And God’s covenantal commitment is further reinforced with a covenant sign: “I have set my bow in the cloud, and it shall be a sign of the covenant between me and the earth” (Gen 9:13).

 

클라인은 이 언약을 “일반은총의 언약”이라고 부릅니다.

Kline calls this covenant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중요한 것은 일반은총의 언약이 문화명령을 새롭게 한다는 것입니다.
Importantly,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renews the cultural mandate.

 

창세기 9장 1절:

“하나님이 노아와 그 아들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Genesis 9:1:
“And God blessed Noah and his sons and said to them,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fill the earth’.”

 

여기서는 타락 이전의 명령의 언어를 거의 그대로 반복하고있지만 한가지 중요한 차이는 “정복하라”는 단어가 반복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This repeats almost verbatim the language of the pre-Fall mandate but with one important difference—the word “subdue” is not repeated.

 

이는 땅을 정복하는 것이 타락한 사람에게는 더 이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This is because subduing the earth is no longer possible for fallen man.

 

이러한 과업은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에게 옮겨졌습니다.

That task has been transferred to Christ as the second Adam.

 

그는 자신의 죽음과 부활로 원칙적으로 이 땅을 정복하였습니다.

He has in principle subdued the earth by his death and resurrection.

 

이것은 이미 일어난 일입니다.

That’s the already.

 

그리고 그는 모든 것을 자신의 발 아래에 복종시키시고서 새 창조로 인도하는 역사의 마지막에 이것을 최종적으로 정복할 것입니다.

And he will finally subdue it at the end of history when he brings all things into subjection under his feet and ushers in the new creation.

 

이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That’s the not-yet.

창세기 9장 1절에서 “정복”이 반복되지 않는 것은, 일반은총의 언약이 창조 질서의 단순한 재도입이 아니라  일반은총의 형태로의 수정이라는 클라인의 논지를 뒷받침 해주고있습니다(KP 251).

The non-repetition of the word “subdue” in Genesis 9:1 supports Kline’s thesis that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is “not a simple reinstituting of the creation ordinances, but a revision of them in the common grace mode” (KP 251).

일반은총 언약의 또 다른 핵심적 특징은 이것이 우주적이라는 것입니다.

Another key characteristic of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is that it is universal.

 

이는 특별은총 언약이 했던 것과 같이 신자와 불신자, 내부자와 외부자 간의 구분을 하지는 않습니다.

It makes no distinction believers and unbelievers, between insiders and outsiders, as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does.

 

특별은총의 언약은 신자들과 그들의 자녀들과 맺어진 것입니다,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is made with believers and their children.

여기에는 거룩하고 구속적인 은혜 언약에 속한 이들을 표시하는 할례와 세례와 같은 특별한 징표들이 있습니다.

There are special tokens, such as circumcision or baptism, to mark out those who belong to the holy, redemptive covenant of grace.

물론 일반은총의 언약에도 무지개와 같은 표시가 있습니다.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has a sign as well—the rainbow.

 

그러나 이러한 표시는 모두에게 무차별적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But this sign is given to all indiscriminately.

 

이는 다시는 땅을 홍수로 멸하지 않으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의 표시입니다.

It is a sign of God’s promise to never again destroy the earth by a flood.

더 나아가 창세기 9장의 본문은 이 언약이 특별은총의 언약과는 다르게 모든 인류와 맺어졌음을 분명히 밝히고있습니다.

Further, the text of Genesis 9 makes clear that this covenant, unlike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is made with all mankind.

 

본문의 반복된 강조를 들어봅시다.

Listen to the repeated emphasis of the text.

 

언약은

“모든 육체와”(11, 15절)

“땅에 있는 모든 육체와”(17절)

“모든 살아있는 생물과”(10, 12절)

“모든 육체를 가진 모든 생물과”(15절)

“땅에 있는 모든 육체를 가진 모든 생물들과”(16절)

맺어졌습니다,

This covenant is made …
with “all flesh” (vv 11, 15)
with “all flesh that is on the earth” (v 17)
with “every living creature” (vv 10, 12)
with “every living creature of all flesh” (v 15)
with “every living creature of all flesh that is on the earth” (v 16)

 

일반은총의 언약은 약속된 시간까지 심판을 보류하고자하는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is God’s promise to keep judgment in abeyance until the appointed time.

 

하나님께서는 다시는 홍수에서와 같이 땅을 저주하시거나 모든 살아있는 생물들을 멸하시지는 않으실 것입니다(창 8:21)

Never again will God curse the ground or destroy all living creatures as he did in the flood (Gen 8:21).

 

그는 일반은총으로 인하여 땅이 있을 동안 자연의 질서를 보존하실 것입니다.

In his common grace, he will preserve the order of nature, “while the earth remains” (Gen 8:22).

그리고 이 약속은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과 뱀의 자손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입니다.

And this promise applies to all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God’s holy people and the seed of the serpent.

 

이것을 분명히 일반은총의 언약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선택받은 자와 선택받지 못한 자에게 보편적이기 때문입니다,

This is precisely what makes it a covenant of common grace, because it is common to the elect and the non-elect.

 

이는 특별한 구원의 은혜의 언약에 대한 경륜이 아닙니다.

It’s not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special saving grace.

 

3.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된 문화명령

3. The Cultural Mandate as Fulfilled by Christ

 

이와같이 우리는 타락 이전의 본래의 형태로서의 문화명령과 타락 이후에 일반은총 형태로 변형된 문화명령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을 살펴보았습니다.
So we’ve seen Kline’s view of the cultural mandate in its original pre-Fall form and in its modified common grace form after the Fall.

 

이제 우리는 문화명령이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되었다는 것에 대한 클라인의 이해를 다루고자합니다.

Now we come to Kline’s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mandate as fulfilled by Christ.

 

우리는 이를 간단하게 다룰 수도 있습니다.

We can only touch on this briefly.

 

처음 것과 성취된 문화명령 모두의 중요한 점은 이것들의 핵심이 종말론적, 즉 최종적 극치의 하나님 나라와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The key point is that both the original and the fulfilled cultural mandate are eschatological to their core, that is, they have to do with the final consummation of the kingdom of God.

 

본래의 문화명령의 종말론적인 목표는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표면적으로는 달성되지 못하고 연기된 상태로 남아있었습니다.

The eschatological goal of the original cultural mandate was left seemingly unachieved, suspended due to Adam’s sin.

 

그러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가 이를 달성하였습니다.

But Christ as the second Adam achieves it.

 

그는 깨어진 행위언약의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일을 담당하셨습니다.

He undertakes to fulfill the terms of the broken covenant of works.

 

그러므로 문화명령의 일반은총 형태는 분명하게 이러한 점, 즉 종말론이라는 점에서는 처음과 성취된 형태와는 다른 것입니다.

The common grace form of the cultural mandate therefore differs from both the original and the fulfilled form precisely at this point, the point of eschatology.

 

일반은총의 문화에서 종말론적 극치는 없습니다.

There is no eschatological consummation for common grace culture.

 

이는 심판의 날에 끝나도록 운명지어졌습니다,

It is destined to be terminated at the day of judgment.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창조물을 마지막 지점, 즉 메타폴리스까지 가져가려는 자신의 처음의 종말론적인 목표를 포기하지 않으셨습니다
But God has not given up on his original eschatological goal of bringing creation to the omega point, Metapolis.

 

비록 본래의 문화명령의 종말론적인 목표가 타락한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서는 성취되어질 수 없었지만,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되었습니다(KP 156–57).

Although that original eschatological goal of the cultural mandate cannot be attained by the efforts of fallen man, it is attained by Christ as the second Adam (KP 156–57).

 

목표가 바뀐 것이 아니라 성취되는 수단만 바뀌었을 뿐입니다.

The goal has not changed, but the means of attaining has.

 

아담이 실패하였기에, 이는 사람의 문화적 수고로 성취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Because of Adam’s failure, it is not attainable by man’s cultural labors.

 

이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인 순종과, 이에 따른 모든 피조물의 주로서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그의 구속을 통하여서 얻어질 수 있습니다.

It is attained only through the redemption that is in Christ Jesus, by his active and passive obedience, and his consequent exaltation as Lord of all creation.

 

원래의 종말론적 목표가 구속의 계획에 의하여 성취되리라는 것을 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궁극적 목표가 처음부터 계획되었던 “거룩한 하나님 나라-성전”의 창조라는 것입니다.

One way we can see that the original eschatological goal is attained through the plan of redemption is that the ultimate goal of Christ’s redeeming work is the creation of “the holy kingdom-temple” (KP 156) that was envisioned from the beginning.

 

타락 이전의 행위언약 아래서 본래 사람의 번영과 희망이었던 종말론적 목표가 하늘에서 찬양 받으실 위치에 계신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된 것입니다.

That eschatological goal, originally man’s prospect and hope under the pre-Fall covenant of works, is being achieved by Christ from his exalted position in heaven.

 

이제 그는 복음의 선포를 통한 성령 사역에 의해서 하늘로부터 선택한 자를 효과적으로 부르십니다.

From heaven, he now effectually calls the elect, by his Spirit working through the preaching of the gospel.

 

그는 이들을 부르실 뿐만이 아니라 이들을 교회로 이끌어서 이들을 거룩한 성전으로 탈바꿈 시킵니다.

He not only calls them but he brings them into the church and fashions them into a holy temple.

 

교회 세대에서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성령을 통한 사역의 계획은 성전을 세우려는 것입니다.

The ministry of the risen Christ through the Spirit in the church age is a temple-building project.

 

성전은 성장하면서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에서 최종적으로  충만함이 극치에 이를 것입니다.

The temple is growing and will be finally consummated in its fullness in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God.

 

여기서 그리스도께서 손으로 짖지 않으시고 자신의 몸인 교회로서의 성전을 지으시겠다고 말씀하시는 신약성경의 모든 문구를 생각해보기로 합시다.

Just think here of all the New Testament passages where we are told that Christ is building a temple made without hands, the temple which is his own body, the church.

대제사장 앞에서의 그의 공판에서 증인들에 따르면, 예수는 “손으로 지은 이 성전을 내가 헐고 손으로 짓지 아니한 다른 성전을 사흘 동안에 지으리라 하더라”(막 14:58)고 말씀하셨습니다.

According to the witnesses at his trial before the high priest, Jesus said, “I will destroy this temple that is made with hands, and in three days I will build another, not made with hands” (Mark 14:58).

물론 우리는 요한복음으로부터, 우리가 그의 몸으로서의 성전에 관하여 말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Of course, we know from the Gospel of John, that we was speaking about the temple of his body (John 2:21).

그러나 이것은 그 자신의 육체로서의 몸 뿐만이 아니라 그와 연합된 전체 교회를 말하는 것입니다.

But it is not only his own physical body, but the entire church as united to him.

 

그리스도의 교회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워짐을 입었고

예수 그리스도 자신은 모퉁잇돌이 되셨으며, 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 가고 너희도 성령 안에서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가 되기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지어져”(엡 2:20-22; 비교, 고전 3:16; 베전 2:5)가고 있습니다.

We, as the church of Christ, are “built on the foundation of the apostles and prophets, Christ Jesus himself being the cornerstone,

21 in whom the whole structure, being joined together, grows into a holy temple in the Lord. 22 In him you also are being built together into a dwelling place for God by the Spirit” (Eph 2:20–22; cp. 1 Cor 3:16; 1 Pet 2:5).

찬양받으실 그리스도께서 현재 세워가시는 영적인 성전은, 부분적으로는 이 땅에서 부분적으로는 가시적인 교회의 형태로  땅에서 볼 수 있겠겠지만, 보이는 교회는 완전하지도 않고 참된 신자가 아닌 이들도 많이 포함하고있다는 사실로 볼 때 모호하다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The spiritual temple that the exalted Christ is currently building is partially visible on earth in the form of the visible church, but it is obscured by the fact that the visible church is not perfect and contains many who are not true members.

 

역시 거룩한 도시인 최종적 성전은 마지막 날에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니 그 준비한 것이 신부가 남편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더라”(계 21:2; 비교,엡 5:27)

The final temple, which is also the holy city, will be unveiled at the last day:
“And I saw the holy city, new Jerusalem, coming down out of heaven from
God, prepared as a bride adorned for her husband” (Rev 21:2; cp. Eph 5:27).

예식의 범위

The Cultic Boundary


이 거룩한 성전-도시는 그리스도가 취하여 취하여충족시키신 문화명령의 종말론적인 최종적 산물입니다.

This holy temple-city is the eschatological end-product of the cultural mandate as taken up and fulfilled by Christ.

 

이는 “손으로 지어지지 않은” 성전-도시입니다.

It is a temple-city “made without hands.”

 

이는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옵니다.”

It “comes down out of heaven from God.”

 

이와같이, 이는 일반은총의 문화와는 완전히 구별됩니다.

As such, it is totally distinct from common grace culture.

 

하나는 거룩하고; 다른 하나는 일반적입니다.

The one is holy; the other is common.

 

하나는 종말론적이고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에 극치가 될 것이며; 다른 하나는 임시적이며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에 종결될 것입니다.

The one is eschatological and will be consummated when Christ returns; the other is temporary and will be terminated when Christ returns.

 

이것은 클라인의 생각 가운데 가장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에 관계하며, 이것은 그가 “예식적 범주”라고 부르는 것을 우리가 존중하여야한다고 강조하는 것입니다.(KP 179).

This leads to one of the primary practical implications of Kline’s thought, and that is his insistence that we must respect what he calls “the cultic boundary” (KP 179).

 

타락 이전에는 예식과 문화가 하나님의 지배적 주권 하에서 통합되었었습니다.

Before the Fall, cult and culture were integrated under the sovereign lordship of God.

 

문화는 성별되어 있었으며 예식의 일부와 마찬가지로 거룩하게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Culture was to be consecrated and set apart as holy as part of the cult.

아담은 왕이면서 제사장이었으며, 문화에 관련된 그의 왕으로서의 의무는 예식에 관련된 그의 제사장으로서의 의무에 종속되도록 움직여졌습니다.

Adam was both a king and a priest, and his kingly duties with regard to culture were to be conducted in subordination to his priestly duties with regard to the cult.

 

그는 문화를 거룩하게 만들었어야만 했으며, 자신이 문화적으로 수고한 모든 것을 성전으로 가지고 와서 하나님께 성별 되게 드려야만 했습니다.

He was to make culture holy, to bring all of his cultural labors into the temple and consecrate them to God.

 

그러나 타락 이후에는 예식과 문화가 하나님 자신에 의하여 분리되었습니다.
But after the Fall, cult and culture have been separated by God himself.

 

일반은총의 언약은 거룩하지 않은, 즉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서 종말론적인 극치에 묶여있지 않은 문화적 영역을 이루고 있습니다.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establishes a cultural realm that is not holy, that is, not bound for eschatological consummation in the eternal kingdom of God.

 

예식은 거룩한 상태로 남아있지만 문화는 현재 일반적입니다.

Cult remains holy, but culture is now common.

일반적이라는 말은 위험하다거나 혹은 본질적으로 죄악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거룩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Saying it is common does not mean it is unholy or inherently sinful, but it is non-holy.

 

이것이 의미하는 전부는 타락 후의 문화가 종말론적인 새 창조의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도록 운명되어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All that means is that post-Fall culture is not destined to enter into the eschatological new creation, the kingdom of God.

 

타락 후의 문화는 심판 날에 끝이 날 것입니다.

Post-Fall culture will end at the day of judgment.

 

이는 임시적이며 비종말론적입니다.

It is temporary and non-eschatological.

 

그러므로 극치 이전인 현재의 세대에서 우리는 거룩한 것과 일반적인 것 사이의 예식의 경계를 고려해야만 합니다.

Therefore, in this present age, prior to the consummation, we must respect the cultic boundary between the holy and the common.

 

이는 다음의 3가지를 의미합니다.

That means three things.

첫 번째로는, 특별은총 언약의 일원이면서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의 상속자들인 신자로서의 우리는 국가나 시민정부와 같은 일반은총의 영역이나 그 안의 어떠한 기관에게 참된 신앙을 고백하게하거나 이를 추진하려고해서는 안됩니다.

First, it means we as believers, who are members of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and heirs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should not try to get the common grace realm or any institution within it, such as the state or civil government, to confess or promote the true religion.

더군다나 우리는 교회의 문화활동이나 사람의 도시에서의 정치적 논쟁이 하나님의 거룩한 나라의 프로그램의 통합된 부분인 것과 같이 이러한 활동이나 논쟁에 교회를 끌여들여서는 안됩니다.

Nor should we drag the church into the cultural activities and political debates of the City of Man, as if these activities and debates were an integral part of God’s holy kingdom program.

 

우리는 교회의 영성을 예식 범주의 필연적 결과로 인정하여야만 합니다,

We must uphold the spirituality of the church as a corollary of the cultic boundary.

두 번째로,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우리 신자들은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의 일원으로서 일반은총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또한 그렇게 하여야만합니다, 그러나 그렇게 할 때에는 그것이 하나님께서 일반은총 언약의 부분으로 정하신 임시적이고 거룩하지 않은 기능이라는 것을 고려하여야합니다,

Second, it means we as believers, members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can and should be actively engaged in the common grace realm, but doing so in a way that respects its temporary, non-holy function ordained by God as part of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우리는 이세상에서 임시적이고 거룩하지 않으며 구속적이지 않은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불신자들과 실용적으로 협력할 수 있습니다.

We can engage in pragmatic cooperation with unbelievers for the purposes of achieving temporal, non-holy, non-redemptive ends in this world.

 

하나님께서 시민 정부와 같은 일반은총의 사회기관을 정하셨으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타락한 세상에 임하는 일반저주의 가장 극단적인 충격을 경감시키기는 것을 모색하기 위해서 비기독교인들과 함께 일해도됩니다.

Since God has ordained common grace social institutions such as civil government, we as Christians may work together with non-Christians in order to seek to alleviate the most extreme impacts of common curse in this fallen world.

일반저주와 타락의 영향들은 종말까지 전복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Common curse and the effects of the Fall will not be overturned until the eschaton.

 

그러나 현재 이 세대에서는 일반은총으로 이런 것들이 어느 정도는 개선되거나 상쇄될 수 있으며, 그리스도인인 우리는 이러한 한계와 거룩하지 않음과, 비종말론적인 목표들을 모색하기 위해서 불신자들과 협력할 수 있습니다.

But in this present age, by common grace, they can be ameliorated and off-set to some extent, and we as Christians can work together with unbelievers to seek those limited, non-holy, non-eschatological goals.

세 번째로, 예식의 범주는 해석학적 기능을 가지고있습니다.

Third, the cultic boundary has a hermeneutical function.

 

이는 우리가 성경을 사용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며 이로서 일반은총 영역을 감당하도록 해줍니다.

It affects the way we use Scripture and bring it to bear on the common grace realm.

 

예식의 범주가 의미하는 것은 우리로하여금 고대 이스라엘과 이의 국가법과 같은 성경의 예를 일반은총 통치의 모델로 삼으려고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The cultic boundary means we ought not to misapply Scripture by, for example, treating ancient Israel and its civil law as a model for common grace governments.

 

클라인은, 우로는 신정체제의 해석학으로, 좌로는 사회정의 해석학으로, 이러한 잘못된 적용을 본 것입니다.

Kline sees this misapplication in the theonomic hermeneutics on
the right, and in the social justice hermeneutics on the left.

 

양쪽 모두 이스라엘을 이 땅의 국가들의 모델로 보았던 것입니다.

In both, Israel is viewed as a model for the nations of the earth.

 

그러나 이스라엘이라는 국가는 일반은총에 의한 국가기관이 아니었습니다.

But the nation of Israel was not a common grace civil government.

 

이는 새 창조에서의 종말론적인 하나님나라의 유형학적인 예견이나 발현이었습니다.

It was a typological anticipation or intrusion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the new creation.

 

이스라엘은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와 같이 예식과 문화가 제도적으로 통합된 신정체제였습니다.
Israel, like the eschatological kingdom, was a theocracy in which cult and culture were institutionally integrated.

 

이스라엘의 문화는 일반은총 문화의 일부가 아니었습니다.

The culture of Israel was not part of common grace culture.

 

이는 안식일의 표지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예식의 초점으로서의 성전과 함께 하나님께 거룩하게 성별되어진 바와 같이, 예식에서 출발된 문화였다.

It was cultically-oriented culture, marked with the Sabbath sign, and set apart as holy unto God and with the temple as its cultic focal point.

 

그러므로 이스라엘의 신정체제를 지배하는 국가의 법을 이 땅의 일반은총의 나라들의 국가 입법의 모델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한 것입니다(KP 157–59).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to use the civil laws governing the Israelite theocracy as a model for civil legislation of the common grace nations of the earth (KP 157–59).3

 

____________________

3For Kline’s critique of theonomy, see his review article on Theonomy in Christian Ethics by Greg L. Bahnsen,
“Comments on an Old-New Error,” WTJ 41.1 (1978): 172–189. See also my paper, “The Reformed Theocrats: A
Biblical Theological Response,” http://www.upper-register.com/papers/reformed_theocrats.pdf.

 

“중립 없음”에 대한 이의

The “No Neutrality” Objection

 

이제 아마도 당신은 마음 속에서 거부감이 일어날 것입니다.
Now perhaps you’re forming an objection in your mind.

 

아마도 이것은 전통적 반틸의 사람에 대한 거부일 것입니다: “클라인, 당신은 광범위한 영역의 바깥에 중립적인 영역이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 같군요. 당신은 이것을 거룩하거나 불경스러운 것이 아닌 일반적인 것이라고 보고 있군요. 그러나 중립은 없습니다. 모든 이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문화활동을 하거나 아니면 하나님께 반역하고 있답니다” 클라인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Perhaps it is the classic Van Tilian objection: “Kline, you make it sound like there is this vast realm out there that is neutral. You don’t see it as either holy or unholy, but as common. But there is no neutrality. Everyone is either doing cultural activity for God’s glory or in rebellion against God.” How would Kline respond?

 

아마 그는 중립이 없다는 것이 절대적인 사실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He would say it is absolutely true that there is no neutrality.

 

클라인이 열성적인 반틸의 사람이었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Remember, Kline was a committed Van Tilian.

 

이것은 클라인이 삶의 모든 것이 신앙적이라고 인정하는 이유입니다(KP 159–60).

That is why Kline acknowledges that all of life is religious (KP 159–60).

우리는, 신자로서, 일반은총의 형태로 문화명령에 참여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일반은총의 문화를 정하셨고, 우리에게 신자로서 그것에 참여하라고 하신 하나님께 순종하는 가운데 그렇게 합니다.

As believers, we engage in the cultural mandate in its common grace mode, and we do so in obedience to God, who has ordained this common grace culture and who commands us as believers to be involved in it.

 

우리가 하나님께 순종하는 가운데 이렇게 한다는 사실은 “사람의 삶이 신앙적이거나 비신앙적인 분야로 양극화되는 것들을 막아줍니다”(KP 67).

The fact that we do so in obedience to God “prohibits any dichotomizing of man’s life into religious and nonreligious areas” (KP 67).

 

우리 신자들이 하는 모든 것들은, 그것이 우리의 예식과 문화적 활동 모두에 관계되는 것과 같이, 신앙적입니다. 바울 자신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또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고 그를 힘입어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라”(골 3:17)
All that we as believers do, as it relates to both our cultic and our cultural activities, is religious, as Paul himself said: “And whatever you do, in word or deed, do everything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giving thanks to God the Father through him” (Colossians 3:17, quoted by Kline, KP 160).

그러나 이것은 클라인이, 객관적인 것과는 구분되는, 주관적인 문화의 성화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But this is what Kline refers to as the subjective, as distinct from the o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다음은 클라인이 차이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보여줍니다:

This is how Kline explains the distinction:

“긍정적으로는, 하나님의 백성의 전체의 삶은 자신들의 제사장적인 정체성의 전례적 형태로 덮여져야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합니다.

“Positively,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whole life of God’s people is covered by the liturgical model of their priestly identity.

 

그들이 하는 모든 것은 하나님께 드려지는 섬김으로서 행해져야 합니다.

All that they do is done as a service rendered unto God.

세속 도시의 영역에서의 그들의 모든 문화 활동은 하나님의 영광으로 드려져야 하는 것입니다.

All their cultural activity in the sphere of the city of man they are to dedicate to the glory of God.

이러한 문화의 성화는 주관적인 것으로서 이는 성도의 영혼 안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This sanctification of culture is subjective; it transpires within the spirit of the saints.

 

부정적으로는, 문화를 객관적으로 고려해볼 때, 이러한 문화의 주관적인 성화가 일반적인 상태에서 거룩한 상태로 변화되는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합니다.

Negatively, it must be insisted that this su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does not result in a change from common to holy status in culture objectively considered.

 

일반적인 세속 도시는, 발전에 있어서, 문화를 성화시키는 성도의 참여를 통하여 어떠한 형태로나 어느 정도 하나님의 거룩한 도시로 되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The common city of man does not in any fashion or to any degree become the holy kingdom of Go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culture-sanctifying saints in its development.

 

생산품이나, 영향들, 제도적 정황들, 기타등등의 의미들에서 보았을 때 하나님의 사람들의 문화 활동은 일반은총의 활동들입니다.

Viewed in terms of its products, effects, institutional context, etc., the cultural activity of God’s people is common grace activity.

 

그들의 세속도시의 활동은 ‘하나님 나라’의 활동이 아닙니다.

Their city of man activity is not ‘kingdom (of God)’ activity.

 

비록 이것이 그들의 삶에서의 하나님의 통치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이것은 제도나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것이 아닙니다.

Though it is an expression of the reign of God in their lives, it is not a building of the kingdom of God as institution or realm.

 

일반 세속도시는 거룩한 하나님 나라의 영역이 아닐 뿐만이 아니라, 점진적이든 갑자기든, 결코 하나님의 거룩한 도시가 되지는 않습니다,

For the common city of man is not the holy kingdom realm, nor does it ever become the holy city of God, whether gradually or suddenly.

 

그보다는 새창조로서의 천상의 도시에 도달하는 길을 만드는 것을 잘 분별하여 제거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Rather, it must be removed in judgment to make way for the heavenly city as a new creation” (KP 201).

클라인은 문화의 객관적인 성화는 거절하지만 문화의 주관적인 성화에 대해서는 확신하고 있습니다.

Kline rejects the o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but he affirms the su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우리는 문화나 어떠한 문화적 산물들도 그 자체로 거룩하게 만들 수는 없지만, 우리는 문화 활동을 거룩한 동기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We can’t make culture or any cultural product holy in itself, but we can engage in cultural activity with a holy motive.

예를 통하여서 이를 구체화시켜봅시다.

Let’s make this concrete by looking at an example.

 

창세기 4장에서 가인은 첫 번째 도시의 건설에 전념하였으며(창 4:17) 그의 후손들은 방랑하는 유목생활, 음악, 그리고 야금술을 발명하였습니다(20-22절)

In Genesis 4, Cain is credited with building the first city (Gen 4:17) and his descendants invented nomadic pastoralism, music, and metallurgy (vv 20–22).

 

흥미롭게도, 하나님을 경외하는 이들은 이러한 것들을 삼가지는 않았습니다.

Interestingly, the godly line did not refrain from these things.

 

예를 들면, 아벨은 양을 치는 자였습니다(2절).

For example, Abel was a keeper of sheep (v 2).

 

하나님의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거룩한 텐트, 거룩한 음악 도구들, 그리고 거룩한 금속 작품들을 만들지는 않았습니다.

The godly line didn’t create their own holy tents, holy musical instruments, and holy metal works.

 

셋 계열의 사람들은 가인 계열의 사람들과 같은 텐트와 같은 음악 도구들, 그리고 같은 금속 작품들을 사용하였습니다,

The line of Seth used the same tents, the sam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same metal works as the line of Cain.

 

이것들은 모두 일반은총 문화의 일부분이었습니다.

They were all part of common grace culture.

 

그러나 그들은 다른 동기를 가지고 이와 같은 문화적 활동들에 참여하였습니다.

But they engaged in these cultural activities with a different motive.

저는 여러분이 이것을 이해하는 것이 힘들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I know this can be tough to wrap your mind around.

 

우리는 일반은총의 개념이 좀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The concept of common grace makes us a tad uncomfortable.

 

우리는 본능적으로 우리가 그리스도의 주권 아래서 자신만이 문화에 반대하고 있다고 간주된다고 느낍니다.

We instinctively feel we’re supposed to have our own counter culture under the Lordship of Christ.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은 거룩하고 특별하며, 세상과 분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Everything we do is supposed to be holy and special and set apart from the world.

 

그러나 제 생각에는 클라인에게 있어서 일반은총의 나라나 영역은 본래적으로 죄가 되거나 악하지는 않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But I think it might help to recognize that, for Kline, the common grace kingdom or realm is not inherently sinful or evil.

 

이는 거룩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불경스럽지는 않습니다.

It’s not holy, but neither is it unholy.

 

만약에 이것이 불경스럽거나 죄악이라면, 이는 오직 하나님의 축복이 아니라 하나님의 허락으로 존재할 따름입니다.

If it were unholy or sinful, then it would only exist by God’s permission but not by his blessing.

 

그러나 이는 최소한 하나님의 구원과 관계없는 축복인, 축복하심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But it does exist with his blessing, at least his non-saving blessing.

 

이러한 거룩하지 않은 일반은총의 영역은, 처음에는 창세기 3장에서 타락 후에 비공식적으로, 그 다음에는 창세기 9장에서 홍수 이후에 일반은총의 언약 안에서 좀 더 공식적으로, 하나님 자신에 의하여 확립되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하겠습니다.

Let’s not forget that this non-holy,common grace realm was established by God himself, first informally after the Fall in Genesis 3, then more formally in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after the flood in Genesis 9.

 

창세기 9장에서 이는 특별히 언약이라고 불리우게 되었습니다.

In Genesis 9, it is specifically called a covenant.

 

이는 신적인 명령입니다.

It is a divine ordinance.

 

일반은총 영역은 죄가 그러했던 것처럼 간신히 허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The common grace realm does not exist by a bare permission—the way sin does.

 

불륜과 같은 어떤 죄에 대하여 말해봅시다.

Take any sin—like adultery.

 

불륜은 하나님의 교훈적인 뜻을 침해하는 것입니다.

Adultery is a violation of God’s preceptive will.

 

하나님께서는 이를 인정하지도 않으셨으며 이것이 일어나기를 원하지도 않으셨습니다,

He doesn’t approve of it and doesn’t want it to happen.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자신이 작정하신 뜻의 신비에 의하여 이것이 일어나는 것을 허락하셨습니다.

Nevertheless, God in the mystery of his decretive will does allow it to happen.

 

그러나 일반은총의 영역은, 교훈적으로는 금하지만 작정에 의하여 허락하신 것과 같지는 않습니다.

But the common grace realm isn’t like that—preceptively forbidden, but decretively permitted.

 

아닙니다, 일반은총의 영역은 하나님의 긍정적인 규례입니다.

No, the common grace realm is a positive ordinance of God.

 

예식과 문화 사이의 예식적 경계는 하나님 자신이 세우셨으며, 인간의 문화는, 특별은총의 언약에서의 자신의 구원 계획을 펼치는데 배경이 되도록,  선택받은 자와 선택받지 않은 자 모두를 위한 일반 영역으로 분리하셨습니다.

God himself erected the cultic boundary between cult and culture and
set human culture apart as a common realm for both the elect and the non-elect as the backdrop for the unfolding of his plan of salvation in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이것이 바로 창세기 9장에서 공식적으로 언약이 세워졌다고 클라인이 강조한 이유입니다.

That’s why Kline emphasizes that it was established by a formal covenant in Genesis 9.

그래서 저는 클라인이 반틸의 “중립없음”에 대한 이의를 취하고 이를 주제로 삼기를 원했었다고 생각합니다.

So I think Kline would want to take the Van Tilian “no neutrality” objection and turn it on its head.

 

클라인은, 괜찮은 반틸의 사람으로서, 우리가 자신의 자율적인 생각을 성경에 계시된대로 하나님의 주권적 권위에 복종시켜야만 한다는 것을 주장하려는 것입니다.

As a good Van Tilian, Kline would insist that we must submit our autonomous thought to God’s sovereign authority as revealed in Scripture.

 

성경은 창세기 9장에서, 하나님 자신이 이러한 임시적이고, 적법한, 그러나 거룩하지는 않은 일반은총의 문화 영역을 세우셨음을 밝히고있습니다.

Scripture reveals in Genesis 9 that God himself has established this temporary, legitimate but non-holy common grace cultural realm.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생각을 하나님의 언약의 말씀에 복종시켜야만 합니다.

So we must submit our thinking to God’s covenant word.

만약에 누군가가 일반은총의 문화가 하나님을 믿지 않는, 혹은 하나님과 관계없는 중립적인 영역을 세우는 것이라고 말한다면, 반틸의 사람인 클라인은 이에 저항할 것입니다.

As a Van Tilian, Kline would protest if someone said that common grace culture sets up a neutral realm that is somehow godless or unrelated to God.

 

일반은총의 영역은 하나님 자신에 의하여 세워졌기에 중립이 될 수가 없습니다.

The common grace realm can’t be neutral, because it has been established by God himself.

 

이는 주권적 주로서, 혹은 모든 창조물의 종주로서의 그분의 언약적 권위에 근거하여 존재합니다.

It exists on the basis of his covenantal authority as the sovereign Lord or suzerain of all creation.

 

창세기 9장에서 반복적으로 언급하면서 분명하게 밝히듯이, 하나님은 종주이시며 모든 살아있는 피조물은 하나님과의 이러한 일반은총의 언약 안에서 봉신입니다.

As Genesis 9 makes so clear with its repeated statements, God is the suzerain and all living creatures are the vassals in this common grace covenant with God.

더군다나 모든 죄악된 인간 존재의 문화 활동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든,  혹은 하나님께 반역을 하든, 종교적 동기로 인한 것입니다,

Furthermore, the cultural activity of every sinful human being is religiously motivated—either for God’s glory or in rebellion against God.

 

반립은 실제합니다.

The antithesis is real.

 

일반은총의 장의 한 가운데로 바로 가는 길이 있는데 이것이 반립입니다.

There is a line going right down the middle of the common grace arena, an antithesis.

 

그러나 우리는 성경이 제시하는 선에서,  문화 자체의 객관적인 차원이 아니라, 주관적 차원의 문화를 그려나아가야합니다.

But we should draw the line where the Bible draws it—not at the objective level of culture itself, but at the subjective level.

 

이것은 그리스도인이 농사나 제약, 기타 등등을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It is not as if Christians have a fundamentally different way of doing agriculture or medicine, and so on.

 

대신에 신앙인은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구별된 동기를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Instead, the believer has a different motive for engaging in cultural activity—the glory of God.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How Should We Then Live?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 모두는, 교회에서의 현재적으로 표현되고있는, 종말론적 문화로서의 거룩한 하나님 나라에 우선적으로 우리의 역량을 집중하여 합니다.
First of all, we should focus our primary energies on the holy kingdom of God, the eschatological culture, which finds is present expression in the church.

 

그리고 우리는 그렇게함으로서, 교회의 관심사와 흥미들이 임시적이거나 문화적인 것이 아니라, 종말론적이라는 생각을 갖고서 교회의 영성을 견고히 해 나아가야 합니다.

And as we do so, we should uphold the spirituality of the church—that is, the idea that the church’s concerns and interests are eschatological and not temporal and cultural.

 

일반은총의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께서 기관으로서의 교회에 맡기신 과제 가운데 하나는 아닙니다.

Engaging in common grace cultural activities is not one of the tasks that Christ as Head of the Church has entrusted to the church as an institution.

 

교회의 명령과 사명은 천상적이며, 영적이며, 종말론적입니다.

Her mandate, her mission, is heavenly, spiritual, and soteriological.

 

교회가 나아가라는 명령은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겠습니까?

Where do we find the church’s marching orders?

 

대위임령에서입니다.

In the Great Commission.

 

부활하신 주님께서는 자신의 교회에게 복음을 전파하고, 제자를 삼으라고 명령하셨지, 문화를 변혁시키라고 명령하시지는 않으셨습니다.

The risen Lord commands his church to preach the gospel and make disciples, not to transform the culture.

 

우리는 항상 마이클 호튼이 “미션 크립"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하여 경계를 하여야 합니다.

We must always be on watch against what Michael Horton calls “mission creep.”4

_________________
4 Michael Horton, The Gospel Commission: Recovering God’s Strategy for Making Disciples (Grand Rapids:
Baker, 2011), 7–8, 161, 247–48.

 

우리는 이것을 이 시대에 “선교적 운동"에서 볼 수 있는데, 이(선교적 운동에서)는 교회로서의 교회가 사회정의 구현에 참여하길 원하는 것입니다.

You see this in the contemporary “missional movement,” where churches as churches want to get involved in social justice activism.

(역자 주; 선교적 교회 운동은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를 기반으로 사회 정의 구현을 위한 흩어지는 교회 운동이며 이는 모이는 교회로서의 전통적  교회와 신학적 기반를 달리하고있다.)

 

우리는 노숙자 쉼터라든가, 아이들을 위한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빈곤과 인종 차별에 대한 투쟁등을 하는 “도시를 섬김"이라는 깃발 아래에 많은 종류의 프로그램을 행할 수 있습니다.

We have all kinds of programs that go under the banner of “serving the city,” whether that be homeless shelters, or after school programs for kids, or fighting poverty and racism.

 

동기들은 선합니다.

The motives are good.

 

우리는 복음을 전할 기회를 얻기 위해서 선한 일을 하길 원합니다.

We want to do good works in order to gain a hearing for the gospel.

 

클라인은 이러한 선행을 반대하지는 않았습니다.

Kline was not opposed to these good works.

 

그러나 우리는 개인적인 그리스도인으로서 이러한 일을 행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여야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한다고 그는 말하려고 합니다.

But he would say we have to be careful to make clear that we are doing these things as individual Christians.

 

이러한 활동들은 기관으로서의 교회의 사명의 일부는 아닙니다.

These activities are not part of the mission of the church as an institution.

두 번째로, 우리는 개인적 그리스도인으로서 일반은총 문화에 어느 정도는 참여하여야 하겠지만, 우리가 일반은총 문화를 거룩하게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있어야만 합니다.

But, second, to the extent we do engage common grace culture as individual Christians, we should recognize that we can’t make common grace culture holy.

 

만약에 우리가 일반은총 문화를 객관적으로거룩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면, 이는 더 이상 일반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If we succeeded in making common grace culture objectively holy, it would cease to be common.

 

그러나 우리는 문화의 주관적인 성화에는 참여 할 수 있고, 참여 해야만 합니다.

However, we can and ought to engage in the su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이는 우리의 동기들과 관련되어있습니다.

This has to do with our motives.

 

우리는 모든 것을 기도하면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하여야합니다.

We should do all things prayerfully and to the glory of God.

 

문화의 주관적인 성화에 관해서, 우리는 성경의 계시에 비추어서 하나님에 관하여 해석하였던 것과 같이, 창조와 양심 안에서 계시되는 하나님의 창조 규율에 따라서, 창조의 선함과 아름다움을 도출해내야만 합니다.

As far as the su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goes, we should bring out the goodness and beauty of creation according to God’s creation norms as revealed in creation and conscience as interpreted in the light of Scriptural revelation about God.

 

이것이 신자가 일반은총 문화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구별되는 면입니다.

This is the distinctive aspect of the believer’s involvement in common grace culture.

 

그러나, 우리는 그리스도와 연합한 것과 관련된 단일한 윤리나, 하나님의 구속 사역에서 발견되는 것보다는, 하나님의 일반 계시 가운데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창조 규범을 따르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입니다.

However, the focus ought to be on following God’s creation norms as revealed in God’s general revelation, rather than on the unique ethics associated with our union with Christ and founded on God’s work of redemption.

세 번째로, 우리는 우리의 희망을 일반은총 문화에 두거나, 혹은 일반 은총 문화가 점 점 더 나아져서 더 많은 그리스도인이 생기게하는데 희망을 두어서는 안됩니다.

Third, we shouldn’t put our hope in common grace culture, or in common grace culture getting better and better and more Christian.

 

이는 하나님의 나라가 아닙니다.

It is not the kingdom of God.

 

일반은총 활동은 영원하거나 영속적은 아닙니다.

Common grace activity is not eternal, not lasting.

 

하나님께서는 이를 종말론적 극치의 발판으로 인정하지는 않으셨습니다.

God has not stamped it as bound for eschatological consummation.

 

하나님께서는 이 위에 안식을 승인하시지도 않으셨습니다.

He has not put the sign of the Sabbath upon it.

 

우리의 문화적 수고들과 산물들이 새 창조에 들어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Our cultural labors and products won’t enter the new creation.

 

기독교인 컴퓨터 기술자도 새 창조에서 자신의 코드를 보지는 못할 것입니다.

The Christian computer engineer won’t see his code in the new
creation.

 

기독교인 영화제작자도 새 창조에서 자신의 영화를 보지는 못할 것입니다.

The Christian cinematographer won’t see his films in the new creation.

네 번째로, 비록 일반은총 문화가 종말론적 극치의 기반이 되지는 못한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부분적으로는 그리스도를 증거하는자로서 일반은총 문화활동에 참여하여야만합니다.

Fourth, although common grace culture is not bound for eschatological consummation, we should nevertheless engage in common grace cultural activity as part of our Christian witness.

 

우리가, 창조 안에서 계시되어지는 하나님의 창조 규범과 성경에 비추어 해석되어지는 양심을 따라서, 창조의 선함과 아름다움을 도출해내려는 이들과 같이,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의 문화적 활동을 행할때, 우리는 어둠 가운데 빛과 같이 빛날 것입니다.

When we do our cultural activities as Christians, as those who seek to bring out the goodness and beauty of creation according to God’s creation norms as revealed in creation and conscienc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Scripture, we shine as lights in the darkness.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가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 방법은, 참 창조주 한 분 하나님께 드리는 우리의 구별된 책무라는 관점으로부터, 우리의 가치와 우리의 세계관적 책무를 세상에 전하는 것입니다.

The way we as Christians engage in cultural activity, from the standpoint of our distinctive commitments to the one true creator God, communicates to the world our values and our worldview commitments.

 

이러한 의미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문화적 활동은 영원한 중요성을 갖는 것입니다.

In that sense, our cultural activities as Christians do have eternal significance.

 

마지막으로, 우리는 일반은총 문화의 움직이는 방향성에 대하여 걱정하거나 두려워 할 필요가 없습니다.
Finally, we need not be anxious and fearful about the trajectory of common grace culture.

 

만약에 어느 순간에, 내리막으로 치닫는 것과 같더라도, 우리는 그리스도가 오시기 전에 그것이 결국 소멸되리라고 두려워해서는 안됩니다.

If at the moment, it seems to be on a downward slope, we should not fearfully extrapolate its ultimate demise before the coming of Christ.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일반은총으로 인간의 문화가 타락의 심연으로 침몰될  것과 같은 상황을 막아주시는 분이십니다.

God in his common grace is the one who keeps human culture from sinking to the depths of depravity that it is capable of.

 

문화가 개선될 때도 있을 것이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절대로 하나님의 거룩한 나라가 되지는 않습니다.

There will be times when the culture is getting better, but it will never become the holy kingdom of God.

 

문화가 악화될 때도 있을 것이지만, 아마 심판을 바로 앞둔 최후의 위기 시기를 제외하고는, 전적으로 악마적이 되지는 않습니다.

There will be times when it is getting worse, but it will not become totally demonic, except perhaps at the final crisis point just prior to the day of judgment.

 

우리는 이를 확신할 수 있습니다.

You can count on it.

 

이는 노아와 모든 피조물과 일반은총의 언약으로 맺으신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That is the promise of God in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made with Noah and all creation.

 

아마 당신은 “우리는 죽어가는 문화 한 가운데서 살고있다”라는 말을 들었을 것입니다,
Perhaps you’ve heard the statement, “We live in the midst of a dying culture.”

 

이는 확실히 사실입니다.

That is certainly true.

 

그러나 우리의 문화가 단지 최근에 죽어가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오해입니다.

But it is misleading if we think the culture only began to die recently.

 

실제로, 하나님의 백성은 타락 이후로 항상 죽어가는 문화의 한 가운데서 살아왔습니다.

The reality is, God’s people have been living in the midst of a dying culture ever since the Fall.

 

인간의 문화가 전적으로 악화되지 않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일반은총으로 보존하시기 때문입니다.

The reason human culture has not become totally wicked is because God preserves it in his common grace.

일반은총으로 인하여, 인간 문화는,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흥하기도하였고 쇠하기도하였으나, 더욱 악화되었던 순간들과, 시민의 의가 더욱 개선되었던 순간들과 이 둘이 혼합된 순간들이 있어왔습니다.

Because of common grace, human culture has its ups and downs, moments of greater wickedness, moments of greater civil righteousness, and mixtures of both, at different times and places.

 

일반은총 문화를 객관적으로 거룩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의 과업이 아닙니다.

It is not our task to make common grace culture objectively holy.

결론

Conclusion

 

그리스도와 문화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에 대하여 할 이야기가 많이 있겠지만,  나는 전체적 윤곽을 잘 전달하였다고 생각합니다.
There is much more that could be said about Kline’s view of Christ and culture, but I think I have provided a good overall sketch.

 

그의 사상은 성경에 깊게 뿌리를 내리고있으며, 성경 신학과 언약 신학으로 다듬어졌으며, 종말론에 주도되어있습니다,

His thought was deeply rooted in Scripture, shaped by biblical theology and covenant theology, and driven by eschatology.

궁극적으로, 이것은 우리들의 우선적 질문입니다.

Ultimately, it is a question of our priorities.

 

일반은총 문화 한가운데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우리는 우선적으로 그리스도 복음의 증인이 되는 것입니다.

Our priority as God’s people in the midst of common grace culture is to be witnesses to the gospel of Christ.

 

문화 활동과 구별되는, 복음은 구원에 이르는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롬 1:16)

The gospel, not cultural activity,is the power of God unto salvation (Rom 1:16).

 

복음은 세속 도시의 흥망성쇠와 관계없이, 절대로 실패하지 않습니다.

The gospel will never fail, regardless of the ups and downs of the City of Man.

 

세속도시의 문화는 역사를 통하여 성쇠를 되풀이 할 것입니다.

The culture of the City of Man will ebb and flow throughout history.

 

그러나 복음 전파를 통하여 성도를 모으고 완전하게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은 변함이 없을 것입니다.

But God’s plan of gathering and perfecting the saints through the preaching of the gospel remains unchanging.

 

다가올 세대의 문화를 세우는 것은 복음을 통해서입니다.

It is through the gospel that he is building the culture of the age to come.

© 2015 Charles Lee Irons

 

20170316_181642.jpg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레샴 메이첸의 "기독교와 문화"  (0) 2015.11.08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8:07



CHRISTIANIZING THE WORLD? (6)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번 시리즈의 앞의 글에서, 나는 교리적이고, 교회의, 영적인 칼빈주의자들의 하나님 나라의 삶을, 세상을 기독교화하고자하는 문화 칼빈주의자들과 모든 영역에서 비교해보았습니다.

In the preceding article in this series, I contrasted the kingdom-life of doctrinal, ecclesiastical, and spiritual Calvinists in all the spheres with the cultural-Calvinists’dream of Christianizing the world.


이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 나라의 시민인 우리가 기대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What now is the expectation of us citizens of the kingdom of God in Jesus Christ?


우리가 시민으로 있는 나라와, 우리가 추구하는 나라와, 우리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깃발이 날려야 할 나라에 대하여 우리가 기대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What is our expectation with regard to the kingdom of which we are citizens, the kingdom we promote, the kingdom whose banner flies over all our life in all the spheres?


반정립

Antithesis


역사 가운데 현재의 삶에서, 그리고 사실은 가까운 장래에, 역시 북미에서도, 우리는 미움, 격렬한 저항, 그리고 노골적인 핍박을 예측합니다.

In this life, in history, and in fact in the near future, also in North America, we expect hatred, fierce opposition, and outright persecution.


우리는, 우리가 하나님 나라와 관계된 고백을 타협하지 않는 것과 우리의 구별된 하나님 나라의 삶으로 인해서, 이러한 미움과 핍박을 예상합니다.

We expect this hatred and persecution exactly because of our uncompromising confession concerning the kingdom of God and because of our distinctive kingdom-life.


우리는, 일반은혜 문화 칼빈주의자들이 추구하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세상에 대한 평가와 협력에 대한 분명한 대립을 예상합니다.

We expect the very opposite of the appreciation and cooperation on the part of the world of the ungodly that the common grace cultural-Calvinists are looking for.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프로젝트의 근거는, 불신자들이 우호적으로 동조하리라는 것과, 불신자들이 문화 칼빈주의자들을 친구로 여길것이며, 진실로 선을 창출하는 거대한 프로젝트, 심지어는 모두를 위한 평화와 번영의 신성한 지상의 나라를 위해 꼭 필요한 동료 일꾼으로 여길 것이며, 또한 문화 칼빈주의자들과 함께 일할 것에 대한 확신입니다.

Basic to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the conviction that the ungodly are favorably inclined to the project, that the ungodly regard the cultural-Calvinists as friends, indeed as indispensable fellow workers in the grand project of creating a good, even godly earthly kingdom of peace and prosperity for all, and that the ungodly will not oppose, but work together with the cultural-Calvinists.


그리고 일반은혜의 나라를 세우는 매 단계에 있어서 하나님 나라를 타협함으로서, 문화칼빈주의자들은 불신자들이 실제로 자신들을 인정하고 자신들의 친구가 되어줄 것을 알았습니다.

And by compromising the kingdom of God at every stage of the building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the cultural-Calvinists see to it that the ungodly world does in fact approve of them and befriend them.


참된 칼빈주의자들의 예상은 근본적으로 다르며, 우리의 경험 또한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Radically different is the expectation of genuine Calvinists, and radically different is also our experience.


한편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와 그의 시민과,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나라와 그의 시민 간에는 반정립입니다.

There is antithesis—opposition and hostility—between the kingdom of Jesus Christ and its citizens on the one hand, and the kingdom of Man (with a capital “M”) and its citizens on the other hand.


하나님께서는 이 두  나라 사이에 적대감이 있도록 하셨다: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창 3:15)

God has placed this enmity between the two kingdoms: “I will put enmity between thee and the woman, and between thy seed and her Seed”(Gen. 3: 15).


세상에서의 이 두 커다란 나라는 항상 전쟁 중이었으며, 특히 마지막 때에 그렇습니다.

The two great kingdoms in the world at all times, and especially at the end of time, are at war!


하이델베르크 소교리문답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서, 이러한 일련의 조항들의 주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전투를 인정하고있습니다: "마귀의 일들과, 주를 대적하여 높이 오르는 모든 권세들과, 또한 주의 거룩한 말씀을 대적하는 모든 악한 도모들을 멸하시옵소서"(Q& A 123).

The Heidelberg Catechism recognizes this warfare in its explanation of the theme of this series of article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destroy the works of the devil and all violence which would exalt itself against Thee; and also, all wicked counsels devised against Thy holy Word”(Q& A 123).


이 교리 문단이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강령이라 할지라도, 하나님 나라의 도래의 중요한 면으로서의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프로젝트는, 교리문답의 가르침과 경고를 받아들일 여지가 없습니다.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has no place for this instruction and warning of the Catechism, even though the Catechism is the creed also of the cultural-Calvinists.


예수님께서 경고하시는 것은, 우리가 세상으로서가 아닌, 세상 안에서 사는 것의 결과는, 우리의 하나님 나라의 삶에 호의적이거나 우리가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기보다는, 이 세상이 우리는 미워하는 것입니다."세상이 그들을 미워하였사오니 이는 내가 세상에 속하지 아니함 같이 그들도 세상에 속하지 아니함으로 인함이니이다"(요 17: 14)

Jesus forewarned us that the result of our being in the world, but not of the world, would be that the world would hate us, rather than look favorably on our kingdom-life and pitch in to help us with it: “The world hath hated them, because they are not of the world, even as I am not of the world”(John 17: 14).


역사 안에서의 세속적 승리에 대한 헛된 소망

The Vain Hope of a Carnal Victory within History


우리 영적이고, 교리적이고, 교회적인 칼빈주의자들은 역사 안에서 그리스도의 나라의 세속적 승리를 기대하지 않습니다

We spiritual, doctrinal, and ecclesiastical Calvinists do not expect the carnal triumph of the kingdom of Christ in history.


우리는 세상의 기독교화를 기대하지 않습니다.

We do not expect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우리는 성경이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를 뒷받침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We deny that the Bible holds out this prospect for the project.


과거 백년의 역사를 보거나,그들의 국가나 세계를 기독교화하려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노력은 완전히 실패했습니다.

The history of the past one hundred years or so of the efforts of the cultural Calvinists to Christianize their nations and the world has been utter failure.


아브라함 카이퍼의 화란에서 기독교인은 1898년에 비하여 오늘날 조금도 더 많아지지 않았습니다.

Abraham Kuyper’s Netherlands is not a whit more Christian today than it was in 1898.


북미 기독개혁교회(CRC)의 기독교인도 엳시 1924년보다도 많지 않습니다.

Neither is the North America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more Christian than it was in 1924.


화란과 북미의 현재의 문화는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에 관하여는 어떠한 형태로든 간에 기대할 수 없습니다.

The present cultures of the Netherlands and of North America are not promising with regard to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in any form.


문화에서 공개적인 반기독교는 지독합니다

Open anti-Christianity is virulent in the cultures.


문화는 퇴폐해져가고, 무법의 심연으로 퇴락해가서 하나님의 자연법, 즉 남자와 여자의 법에 대하여 격하게 반응합니다.

The cultures are decadent, and descending into the abyss of the lawlessness that rages against God’s law in nature, that is, the law of male and female.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완고한 프로젝트는 성경, 역사, 그리고 현재의 경험과 싸우고있습니다.

The stubborn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fights Scripture, history, and present experience.


비록 개혁주의 신자들은 역사에서 그리스도의 나라의 세속적 승리를 기대하지 않더라도, 예수그리스도의 나라의 삶을 살고,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를 추구하는 우리는 승리를 얻을 것입니다.

Even though Reformed believers do not expect the carnal victory of the kingdom of Christ within history, we who now live the kingdom-life of Jesus Christ and who promote the kingdom of Jesus Christ will have the victory.


현재 우리의 마음에 세워져 있고, 참 된 교회이며, 우리의 삶의 모든 영역에 확대되어있는 하나님 나라는 승리할 것입니다.

The kingdom that is now established in our hearts, that is the true church, and that extends in our lives to all the spheres will triumph.


이 나라의 승리는 확실합니다.

The victory of this kingdom is certain.


이는 적대적인 짐승의 나라를 파괴할 것입니다.

It will destroy the rival kingdom of the beast.


이는 짐승에게 속해있는 나라의 모든 이들을 벌하여 지옥에 던져 넣을 것입니다.

It will punish and cast into hell all the citizens of the kingdom of the beast.


이는 모든 새로운 창조에서 자체적으로 완전하게 세워질 것입니다.

It will establish itself perfectly over all the new creation.


그 안에서 우리는 왕이신  예수와 함께 모든 것을 영원히 다스릴 것입니다.

In it, we will reign with King Jesus over all things forever.


이 하이델베르크 소교리문답은 우리의 소망이

모델 기도의 두 번째 간청의 설명으로 귀결되게 합니다.

"주의 나라가 완성되어 주께서 만유의 주로서 만유 안에 계시기까지"(요리문답123)

To this the Heidelberg Catechism directs our hope in the conclusion of its explanation of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till the full perfection of Thy kingdom take place, wherein Thou [God triune, in Jesus Christ] shalt be all in all” (Q& A 123).


역사 안에서가 아닙니다!

Not within history!


일반은혜의 나라의 임시적인 승리

The Temporary Victory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우리 시대에 일어나고있는 것과 같이, 역사 안에서, 사단의 외적인 거대한 인간의 나라는, 그 안에서 인간이 모든 것의 모두인 것으로서, 가능한 많이, 자체적으로 최상으로 발전하여나갑니다.

Within history, as is taking place in our day, Satan’s outwardly grand kingdom of Man, in which Man is all in all, as much as possible, develops itself to the fullest.


이 거대한 인간의 나라는 하나님을 대적하며, 그리스도를 대적하고, 교회를 대적합니다.

This grand kingdom of Man is anti-God, anti-Christ, and anti-church.


이것은 법이 없습니다.

It is lawless.


이는, 그리스도를 증거한 것과, 하나임이 하나님이시라는 그들의 고백과,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는 그들의 삶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백성을 핍박합니다.

It will persecute the citizens of the kingdom of God for their witness to Jesus, for their confession that God is God, and for their life of obedience to the law of God.


그리고, 말하기도 힘든 말이지만,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프로젝트의 창시자인 아브라함 카이퍼에 따르면, 신을 믿지 않고, 그리스도인을 대적하고, 법이 없는 나라가 사실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일반은혜 프로젝트가 충만히 발달되었을 것이라고합니다.

And, now, mirabile dictu [wonderful to relate], according to Abraham Kuyper himself, the father of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is godless, antichristian, lawless kingdom will, in fact, be the final, full development of the common grac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일반은혜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은 오직 죄인이 무대에 나타남으로 인하여 재연될 수 있습니다... [일반]은혜는 역사 안에서 죄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로 인도하며...이것이 바벨론[적그리스도의 세상 나라]을 파괴하는 순간...야만스러운 무리나 거칠은 잔인함의 이미지가 아닌 인간의 삶이 할 수 있는 가장 발달된 모습이 보여질 것이다. 이는 가장 정제된 형태이며, 부와 광채가 가장 웅대하게 펼쳐지는 것이며, 삶을 눈부시고 영광스럽게 만들어 모든 것이 가득히 빛날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일반은혜'가 마지막까지 계속 기능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카이퍼의 일반은혜 180, 181)

The closing scene in the drama of common grace can be enacted only through the appearance on stage of the man of sin…[ common] grace leads to the most powerful manifestation of sin in history…At the moment of its destruction Babylon [the world-kingdom of Antichrist—DJE]…will exhibit not the image of a barbarous horde nor the image of coarse bestiality but, on the contrary, a picture of the highest development of which human life is capable. It will display the most refined forms, the most magnificent unfolding of wealth and splendor, the fullest brilliance of all that makes life dazzling and glorious. From this we know that ‘common grace’will continue to function to the end (“Common Grace,”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98, 180, 181).


그러므로, 현재 일반은혜의 나라를 세우고 추진하는 모든 이들은, 사실 고의적으로 사단이 자신의 적그리스도 나라, 즉 요한계시록13장에서 짐승의 나라라고 부르는 나라를 실현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All those, therefore, presently engaged in erecting and promoting the kingdom of common grace are, in fact, deliberately helping Satan to realize his antichristian kingdom, the kingdom that Revelation 13 calls the kingdom of the beast.


나는 그들에 대한 나쁜 소식을 가지고있습니다.

I have bad news for them.


하나님의 진노는 역사를 통틀어 그들의 프로젝트 위에 머무릅니다.

The wrath of God abides on their project throughout history!


그리고 그들의 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완전히 파괴될 것입니다.

And their kingdom will be demolished in the day of Jesus Christ!


다니엘서 2장의 작은 돌은 그 위에 떨어질 것이며 그것을 가루로 부술 것입니다.

The little stone of Daniel 2 will fall upon it and grind it to powder.


헤르만 훅세마 뿐만이 아니라, 모든 하늘과, 거룩한 사도들과, 그리고 선지자들은 일반은혜의 프로젝트가 파괴되는 것에 대하여 기뻐 할 것입니다.

The day comes when not only Herman Hoeksema, but also all heaven, the holy apostles, and the prophets will rejoice over the destruction of the project of common grace.


"하늘과 성도들과 사도들과 선지자들아 그[바벨론, 적그리스도의 나라, 그리고, 카이퍼에 따르면, 일반은혜의 마지막 산물]를 인하여 즐거워하라 하나님이 너희를 신원하시는 심판을 그에게 하셨음이라 하더라"(계 18:20)

“Rejoice over her [Babylon, the kingdom of Antichrist, and, according to Kuyper, the final product of common grace], thou heaven, and ye holy apostles and prophets; for God hath avenged you on her”(Rev. 18: 20).


역사의 종착지

The Goal of History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승리와 완성은 역사 안에서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지만, 역사의 종착지가 될 것이다.

The victory and perfection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will not take place within history, but as the goal of history.


우리 나라의 승리는 영구적일 것입니다.

The victory of our kingdom will be everlasting.


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모든 천사와 함께 올 때에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그 때에 임금이 그 오른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내 아버지께 복 받을 자들이여 나아와 창세로부터 너희를 위하여 예비된 나라를 상속하라(마 25: 31, 34)

When the Son of man shall come in his glory , and all the holy angels with him, then shall he sit upon the throne of his glory… Then shall the King say unto them on his right hand, Come, ye blessed of my Father, inherit the kingdom prepared for you from the foundation of the world (Matt. 25: 31, 34)


이것은, 예수께서 부활하셔서 모두의 주가 되신 것이 확실한 것과 같이 확실하며,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성부가 만유의 주이신 것이 확실한 것과 같이 확실합니다.

This is certain, as certain as it is that Jesus arose to become lord of all, and as certain as it is that the God and Father of Jesus Christ must be all in all.


이것이 우리의 소망입니다.

This is our hope.


이러한 소망을 가지고서,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삶을 신실하게 살아갈 것이며; 하나님 나라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부끄러움이나 두려움이 없이 하나님 나라의 깃발을 날리며, 이러한 하나님 나라와 그곳의 왕을 위하여 경멸과 고통을 인내하며 참을 것입니다.

With this hope, we live the kingdom life faithfully; promote the kingdom actively ; fly the banner of the kingdom without shame or fear; yes, and patiently endure scorn and suffering for the sake of this kingdom and its king.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와 그의 (특별한)은혜의 도래는,  우리가 한 하나님 나라의 일 보다는, "나라이 임하옵시고"라는 우리의 기도의 응답에 기인한 것입니다.

The kingdom of Jesus Christ and his (particular) grace is coming, not so much by our kingdom-work as in answer to our prayer, “Thy kingdom come.”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8:04


CHRISTIANIZING THE WORLD? (5)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지혜가 없이 (허구인)하나님의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불가능한)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것은 재세례파와 같이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뜻하는 것입니다.

Rejection of the (impossibl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y a (fictitious) common grace of God in no wise implies an Anabaptistic flight from the world.


칼빈주의 강연에서의 아브라함 카이퍼보다는 성경에서의 하나님의 부르심에 귀를 기울이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세계 안에 있는 인간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성령에 의하여,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갑니다.

The Reformed Christian who heeds God’s call in Scripture, rather than Abraham Kuyper’s in Lectures on Calvinism, lives a kingdom-life by the grace and Spirit of Jesus Christ in all the spheres of human life in God’s world.


이미 나는 이번 시리즈에서 선택 받은 개혁주의 신자의 마음 안에서 왕이신 그리스도의 통치를 확언하였으며, 하나님 나라가 교회, 가족,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자녀들에 대한 교육의 영역들로 확장되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Already in this series I have affirmed the reign of King Jesus in the heart of the elect, Reformed believer and described the extension of the kingdom into the spheres of the church, the family, and the education of kingdom children.


노동의 영역

The Sphere of Labor


우리가 이 땅에서 왕이신 예수의 깃발을 높이 들어야 할 또 하나의 영역은 노동의 영역이다.

Another sphere of earthly life in which we hold aloft the banner of King Jesus is labor.


칼빈주의 사업가와 금융업자는 자신의 사업을 정직하게 운영하여야 하며; 공평하게, 골고루 후하게 자신의 고용인에게 공급하며; 자신들이 축적한 부를 가지고

디모데전서 6:18의 예수의 사도의 권고인  "선을 행하고.. 선한 사업을 많이 행하고, 나누어주기를 좋아하며, 소통하려고 하라[즉, 필요를 공급해줘라]"는 말에 순종 하여야합니다.

Calvinist businessmen and financiers run their enterprises honestly; provide fairly, even liberally, for their employees; and with their well-gotten wealth “do good…[ and are] rich in good works, ready to distribute, willing to communicate [that is, give to the needy],” in obedience to the charge of the apostle of Christ in 1 Timothy 6: 18.


이것은 이들의 하나님 나라 행동 방식으로서, 이는 어떤 노동조합 때문도 아니며, 제5계명에 대한 불순종과, 고용인이 자신들의 고용주에게 복종하라는 신약의 교훈과, 그들로 하여금 그렇게 하도록 하는 압력들과, 혹은 시민의 부를 재분배하려고 권위를 강탈하는, 칼 막스의 영향을 받은, 시민 정부 때문도 아닙니다.

This is their kingdom-behavior, not because some labor union, in disobedience to the fifth commandment and to the New Testament precept that employees be subject to their employers, forces them to do so, or because a civil government, influenced by Karl Marx, usurps the authority to redistribute the wealth of the citizenry.


그러나 이것은 개혁주의 사업가의 노동의 영역에서의 행동 방식인데, 이는 그들이, 비록 그들 자신들의 창의적이고 힘든 일을 통하여 자신들의 회사를 설립하였을 지라도, 그들은 그 회사의 주가 아닌 것을 알고있기 때문입니다.

But this is the behavior in the sphere of labor of Reformed businessmen because they know that, although they did build their companies by their own creativity and hard work, they are not lords of their companies.


예수 그리스도는 사업과 금융에서의 주이십니다.

Jesus Christ is lord in business and finance .


노동의 영역에 있어서, 개혁주의 근로자는 주를 위하여, 근면하고 신뢰할만하며, 심술궂은 고용주라 할지라도 권위에 복종합니다.(베전2:18-25)

In the sphere of labor, the Reformed workingman is diligent and reliable, submitting to the authority even of a “froward” employer, for God’s sake (1 Pet. 2: 18– 25).


그는 비록 재정적 손실과 고통이 있을지라도, 노동조합의 혁명과 폭동을 거부합니다.

He repudiates the revolution and violence of the labor unions, even though this may mean financial loss and suffering.


이는 왕이신 예수가, 마음과 그로 인한 일터에서의 행동 방식을 포함한 그의 삶의 모두를, 다스리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The explanation is that King Jesus reigns in his heart and therefore over all his life, including his behavior at work.


나는 개혁주의 근로자의 하나님 나라 삶의 문제에 있어서 나 자신의 어버지를 예로 들겠습니다.

I instance the example of my own father in the matter of the kingdom-life of the Reformed workingman.


그는 Grand Rapids의 Keeler Brass 공장에서 40년 이상을 근면하고 신실하게 일했습니다.

He worked diligently and reliably for more than forty years in the Keeler Brass factory in Grand Rapids.


임금은 조합이 없는 공장에서 최상은 아니었습니다.

Wages were not the highest in this non-union plant.


그의 많은 동료 일꾼들은 끊임없이 불평하였으며, 언제나 공장의 소유주에게 비판적이었습니다.

Many of his fellow workers were constantly grumbling, always critical of the owners of the factory.


계속해서 그들은 작업장에 노동조합을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Again and again they tried to get a labor union into the shop.


항상 나의 어버지는 조합 결성을 못하게 하는데 앞장섰습니다.

Every time my father was a leader in keeping the union out.


그가 퇴임할 때에, 비록 그의 동료 일꾼들은 그의 (하나님 나라의 근본적인 진리인) 개혁주의 원칙에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그를 존경하는 이들이 송별회를 열어주었습니다.

At his retirement, his fellow workers, who respected him even though they disagreed with his Reformed principles (which were the basic truths of the kingdom of God), gave him a farewell party.


예상하지 않았는데 회사의 소유주인 Keeler씨가 모임에 나타났습니다.

Unexpectedly, Mr. Keeler, the owner of the company, appeared in the gathering.


나의 아버지는 자신이 준비한 고별사를 이렇게 낭독하였습니다:"내가 일로 인하여 Keeler씨에게 감사하는 것은, 일로 인하여 나는 나의 가족을 부양할 수 있었으며, 개신개혁교회를 지원하였으며, 그리고 나의 아이들을 기독교인 학교에 보내었습니다."

My father began his prepared farewell remarks this way: “I thank Mr. Keeler for work, so that I could support my family, support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 and send my children to the Christian schools.”


이것이 노동의 영역에서 왕이신 예수를 고백하는 것이었습니다.

This was the confession of King Jesus in the sphere of labor.


직업에서 이러한 행동과 이러한 말이 노동의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깃발을 흔들었던 것입니다.

That conduct on the job and that speech flew the banner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in the realm of labor.


행정의 영역

The Sphere of Government


정치와 행정의 영역은 문화 칼빈주의자들이 매우 강조하는 영역입니다.

On the sphere of politics and government the cultural-Calvinists put heavy emphasis.


아브라함 카이퍼가 그러했습니다.

Abraham Kuyper did.


화란을 기독교화하는 그의 프로젝트에서 눈에 띄는 특징은 자신이 국가의 수상으로서의 직책에 활력을 줄 정치적 당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A prominent feature of his project to Christianize the Netherlands was the forming of a political party that would propel him into the office of prime minister of the nation.


이와 같은 특출한 사람에 의한 이러한 청치력의 달성은 오늘날 그의 제자들을 황홀하게 하였습니다.

This achievement of political power by that extraordinary man fascinates his disciples today.


그들은, 흔하지 않은 재능을 가진 칼빈주의자에 의한 이러한 종류의 눈길을 끄는 성취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They are impressed with that kind of showy accomplishment by a uniquely gifted Calvinist.


그들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세상의 기독교화를 선언할 때에, 이러한 지상적 능력과 지상적 영광의 획득은 그들이 진정으로 따르는 것입니다,

This attainment of earthly power and earthly glory is what they are really after, when they proclaim the coming of the kingdom and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그러나 이것은 신약성서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복음의 메세지에 분명히 반대되는 것입니다.

But this is clean contrary to the message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in New Testament Scripture.


예수 그리스도가 자신의 나라로 부르신 이들 가운데는

육체를 따라 난 지혜자가 많지 않으며, 능한 자가 많지 않으며, 아브라함 카이퍼의 사람들이 많지 않습니다,

Not many wise men after the flesh, not many mighty, not many noble, not many Abraham Kuypers, has Jesus Christ called into his kingdom.


차라리, 하나님께서는 어리석은 자, 약한 자, 멸시 받는 자, 없는 자들을 택하십니다, "이는 아무 육체도 하나님 앞에서 자랑하지 못하게 하려 하심이라"(고전1:26-29)

Rather, he has chosen the foolish, the weak, the base, and the nobodies, “that no flesh should glory in his presence”(1 Cor. 1: 26–29).


따라서 하나님 나라는, 대부분에 있어서 매우 일상적이고, 눈에 띄지 않으며, 명료하지 않는 방식으로, 삶의 모든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Accordingly, the kingdom is extended into every sphere of life, for the most part in very ordinary, unnoticed, obscure ways.


여기에선 나팔을 요란하게 불지도 않으며, 천정에서 풍선이 내려오지도 않으며, 행동을 녹화하는 텔레비전 카메라도 없습니다.

There are no trumpets blaring, no balloons dropping from the ceiling, no television cameras recording the action.


이것이 행정의 영역에서의 칼빈주의자들의 하나님 나라의 삶의 참된 특이점입니다.

This is true particularly of the kingdom-life of Calvinists in the sphere of government.


그리스도인은 국가 권력을 하나님께서 규정하신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단순히 통치자에게 복종하고, 자신의 세금을 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롬13:1-7)

It consists of simply submitting to the rulers and paying one’s taxes, because the Christian recognizes the civil powers as ordained of God (Rom. 13: 1–7).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이와같은 단순하고 일상적인 행동을 조롱합니다.

At such simple, ordinary behavior the cultural-Calvinists jeer.


그들은 영향력 있는 정치적 정당을 원합니다.

They want influential political parties.


그들은 높은 관직에 있는 뛰어난 남성들과 여성들을 원합니다.

They want illustrious men and women in high office.


명확한 입장과 매력적인 혁신을 많은 이들이 옹호하며 일부는 그렇게 하기도 합니다.

Many advocate, and some take part in high-profile, glamorous revolution.


남아프리카를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혁명을 선동하는 것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이들에 의해서, 일반은혜의 나라의 삶에 대한 영광스러운 표현이라고, 호평을 받습니다.

Traipsing off to South Africa to stir up revolution is acclaimed by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s a glorious expression of the life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자신을 혁명주의자로 구분하는 것은, 특히 흑인과 여성들을 위한 경우에는, 일반은혜 나라에서의 명예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Distinguishing oneself as a revolutionary, especially on behalf of blacks or women, is a badge of honor in the common grace kingdom.


하나님 나라에서, 왕이신 예수가 국가 권위에 대한 혁명을 금지한 것은 문화 칼빈주의자들에게는 관심사가 아닙니다.(롬13:1-7; 디3:1; 베전 2:13-17)

That in the kingdom of God, King Jesus forbids revolution against the civil authorities is of no concern to the cultural-Calvinists (Rom. 13: 1–7; Titus 3: 1; 1 Pet. 2: 13–17).


성경에서는, 복종하면서 세금을 내는 모든 세대와 모든 국가들 가운데, 거의 대다수의 그리스도들의, 행정의 영역에서 단순하고 일상적인 행동들에 대하여, 명예의 상징을 수여합니다.

Scripture bestows its badge of honor upon the simple, ordinary conduct in the sphere of government of the vast majority of Christians in all ages and among all nations of submitting and paying taxes.


마틴 루터는, 하나님 나라의 특징적 삶을,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방식으로,  비천하고 하찮은 일상의 행동을 다음과 같이 확증하고 있습니다: 신실한 종인 소녀가, 비록 당나귀의 등에서 잠을 청한다고 하더라도, 자신들이 피 흘리는 순교자를 만들어내면서도, 죽을 때까지 밤 낮으로 노래를 하는 모든 사제와 수도사보다도, 좀 더 선을 행하고, 좀 더 성취하고, 그리고 훨씬 더 믿을 만합니다.(인용구:하단과 같음)

In his inimitable way, Martin Luther affirmed the ordinary behavior of the lowly and no-account as the characteristic life of the kingdom of God: A faithful servant girl does more good, accomplishes more, and is far more dependable—even if she only takes a sack from the back of an ass—than all the priests and monks who sing themselves to death day and night while making bloody martyrs of themselves (quoted in William H. Lazareth, Luther on the Christian Home: An Application of the Social Ethics of the Reformation, Philadelphia: Muhlenberg Press, 1960, 159).


여가의 영역

The Sphere of Leisure


성경에서는 인간의 삶의 중요한 영역들 가운데 여가의 영역에 대해서는 좀처럼 인정하지 않습니다.

The Bible hardly recognizes a sphere of leisure among the important spheres of human life.


그러나 서구의 국가들 사이에서는 여가가 매우 중요해졌기에 구별된 그리스도인의 행동에 대한 어떠한 처방이 고려되어야만 합니다.

But so prominent has leisure become among the nations of the West that any treatment of distinctively Christian behavior must take account of it.


성경에서는 여가를 격려하지는 않습니다.

Scripture does not encourage leisure.


성경에서는 인간들에게, 우리 모두에게 있어서의 삶의 짧은 시간에 일을 할 것을 요구합니다.

Scripture calls humans to work in the short time of the life of all of us.


두 가지 진리가, 우리가 여가를 즐기는 것을 절약할, 결정적 지배 요소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Two truths ought to govern our sparing enjoyment of leisure.


첫 번째로, 우리의 지상적 직업에 관하여서, 우리는 엿새 동안 일을 해야 하고 그리고 하나님이 쉬신 하루를 쉬어야 합니다.

First, regarding our earthly vocation, we are called to work six days and to rest one day the rest of God.


이것은 율법의 네 번째 계명의 참 뜻입니다:"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일곱 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출 20:9-10)

This is the force of the fourth commandment of the law: “six days shalt thou labor, and do all thy work: but the seventh day is the Sabbath of the LORD thy God”(Ex. 20: 9–10).


안식일의 휴식은 북미의 여가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The rest of the Sabbath is not the same as North American leisure.


이것은 영적인 수고를 포함하며, 그렇게 하여야만 하는 휴식입니다.

It is a rest involving, indeed requiring, spiritual labor.


우리는 근면하게 하나님의 교회에 출석하여야 합니다.

Diligently we attend the church of God.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면서 듣는 일을 하여야 합니다.

We work at preaching and hearing the word of God.


안식일을 기억하는 것은, 잠자거나,NFL Sunday를 시청하면서 우리 자신을 즐겁게 하면서 보내는 것이 아니며, 좋은 책을 읽고, 우리 가족들을 하나님 말씀으로 가르치며, 하나님의 것들을 묵상하면서 보내는 것입니다.

The remainder of the Sabbath is spent, not in “sacking out,”or in amusing ourselves by watching NFL Sunday, but in good reading, instructing our families in the word of God, and meditating on the things of God.


이것은 일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휴식은 단순한 레저가 줄 수 없는 영혼의 평안을 제공합니다.

This is work. But this rest affords peace to the soul that mere leisure cannot give.


두 번째로는, 우리가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일하는 것에  관해서는, 우리는 일하는데 마땅히 열심이어야 합니다. "때가 아직 낮이매 밤이 오리니 그 때는 아무도 일할 수 없느니라"(요9:4)

Second, with regard to our work in and on behalf of the kingdom of God, we ought to be diligent in working “while it is day: the night cometh, when no man can work”(John 9: 4).


우리의 주된 소명은 일하는 것입니다.

Our main calling is to work.


여가는, 우리 삶의 조그마한 부분에서, 우리의 일에 도움이 되어야하며,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Leisure, in the small place it has in our lives, must serve our working and not become an end in itself.


그러므로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여가가 제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The Reformed Christian therefore must keep leisure in its place.


남자와 여자의 매일의 의무가 허락되는 한에서, 개혁주의 남자와 여자는 하나님 나라를 진척 시키는 활동을 찾아서 이를 수용하여야 합니다: 남자에게는, 교회 회의와 학교 위원회의 일원으로; 남녀 모두에게는, 가난하든지, 아프든지, 혹은 곤궁하든지, 빈곤한 이를 도우며; 하나님의 말씀을 부지런히 탐구하여 하나님 나라의 삶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As much as the everyday duties of his or her life permit, the Reformed man or woman ought to seek or accept activities that promote the kingdom of God: for men, membership in the consistory and school boards; for both men and women, help of the needy, whether poor, or sick, or otherwise distressed; involvement in various projects of church and school; and diligent study of the word of God, so as to develop in the life of the kingdom.


우리의 여가를 지배하려고 밀치고 들어오는 오락에 관해서, 하나님 나라의 제일 우선 되는 원칙인 하나님 나라의 시민으로서 맞지 않는: 춤; 관능을 자극하거나  폭력을 즐기는 영화들; 도박등과 같은 오락을 거절하여야 합니다.

With regard to the entertainments that jostle to dominate our leisure, the very first rule of the kingdom of God is that we refuse those entertainments that are unfitting for a citizen of the kingdom of God: the dance; movies that entice with sensuality or amuse with violence; gambling.


Dancing


일반은혜 이론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기 보다는, 추종자를 세계적으로 만들려는 경향은, 일반은혜 지지자들이 세상 기관의 가장 나쁜 것들과 부정한 생산물들에 대한 비난과 거절을 할 수 없다는 데서 명백히 드러납니다.

The tendency of the theory of common grace to make its adherents worldly, rather than to Christianize the world, is evident in the inability of the proponents of common grace to condemn and repudiate even the worst of the world’s organizations and most corrupt productions.


반면에 한 때 기독개혁교회와 소속 대학들이 세상적이라고 비난하였던 춤을 (이것은 우상숭배의 전주곡으로서), 이제는 그들이 받아들이면서, 그것을 예술 형태라고 칭찬을 하면서, 그것을 행합니다.

Whereas once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and its colleges condemned dancing as worldly (which it is— a prelude to fornication), now they embrace it, extol it as an art form, and practice it.


그들은 그것을 구속 시킵니다.

They have “redeemed” it.


그러나 그 "구속된" 형태는 구속되지 않은 원래의 형태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But its “redeemed” form differs in no respect from its unredeemed form.


이것은, 자극적인 음악에 맞추어, 결혼하지 않은 여성과 뺨에 키스를 하는 남성의 호색적인 움직임으로 존속됩니다.

It remains lascivious movements of males cheek to jowl (and not only these body parts) with females to whom they are not married, to the accompaniment of arousing music.


춤의 구속을 말하는 것은 구속의 영광스러운 기독교적 개념을 손상 시키는 것입니다.

To speak of the redemption of dancing is to demean the glorious Christian concept of redemption.


대학생들 가운데 춤을 장려하는 것은 욕망의 불꽃에 가스를 붓는 것입니다.

To encourage dancing among college students is to pour gas on the flame of lust.


영화 관람

Movie Attendance


내가 이 논문을 쓰고 있을 때, The Calvin Spark의 2012 겨울 주제가 나의 우편함에 도착했습니다.

As I write this article, the Winter 2012 issue of The Calvin Spark arrives in my mailbox.


이는 미시간 그랜드 레피즈에 있는 칼빈 신학교 교우들의 잡지입니다.

This is the magazine for the alumni of Calvin College in Grand Rapids, Michigan.


잡지에서 눈에 띄는 것은-대학 교수인 William Romanowski의 책에 대한 호의적인 서평인-헐리우드를 개혁하자는 전면 제목입니다.

Prominent in the magazine is a full-page, favorable review of a book by a professor at the college—William Romanowski—titled "Reforming Hollywood" (15).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의 첫 번째 반응은 믿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The first reaction of a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 is incredulity.


이 세상에 헐리우드를 개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저자 말고 누가 있겠습니까?

Is there another human in the world besides the author who thinks that reforming Hollywood is a possibility?


정말로, 저자 자신은 실제 그렇게 생각하는 것입니까?

Indeed, does the author himself really think so?


두 번째 반응은 좀 더 근본적입니다:

The second reaction is more substantial:


기독교는 도덕적으로 더러운 곳을 개혁하려는 생각이나 글을 쓰지는 않는데 이곳이 바로, 외설, 폭력, 그리고 영화가 완전히 부도덕하며,  음란하며, 그렇지 않다면 도덕 관념이 없는 남녀 배우들이며, 그리고 적그리스도 제작자들이 있는 헐리우드입니다.

Christianity does not think or write of reforming the moral cesspool that is the Hollywood of the filth, violence, and sheer ungodliness of the movies, of the immoral, if not amoral actors and actresses, and of the antichristian producers.


기독교는 헐리우드라고 불리우는 땅으로 지옥이 열려서 이것이 완전히 파괴되기를 기도합니다.

Christianity thinks and writes of as well as prays for the utter destruction of that opening of hell into the earth called Hollywood.


칼빈(신학교) 교수의 책인 the Calvin Spark 의 서평에서, 저자가 The Graduate 영화를, "예술적 장점은 물론이고 도덕적이고 신앙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James Wall의 추천에 만족하면서 동의하는 것에 주목하십쇼.

In the review of the Calvin professor’s book, the Calvin Spark notes approvingly the author’s evident agreement with the liberal James Wall’s commendation of the movie The Graduate as having “moral and religious significance, as well as artistic merit.”


내가 확실히 기억하고 있는 것은 (Dustin Hoffman과 Anne Bancroft 가 불행하게도 내 기억에 박혀있습니다), 일반 신문에 이 영화가 소개되고 예술적으로 광고 되는데 있어서, 이 영화를 간음과 음란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진실로 현대인의 삶에 바람직한 방식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I distinctly recall (the names Dustin Hoffman and Anne Bancroft unfortunately stick in my memory) that the reviews and graphic advertisement of this movie in the public press promoted the movie as featuring fornication and adultery as an acceptable, indeed desirable way of life for moderns.


나는 칼빈신학교의 문화 칼빈주의를 후원하는 성도들이 (칼빈신학교가) 헐리우드나 그곳의 영화를 옹호하는 것을 꾸짖을 것을 촉구합니다.

I let the patron saint of the cultural-Calvinists at Calvin College rebuke their advocacy of Hollywood and its movies.


아브라함 카이퍼는 자신의 "칼빈주의 강연"에서 극장에 가는 것에 반대하는 글을 기록하였습니다.

In his "Lectures on Calvinism", Abraham Kuyper wrote this against theater-going.


회심하지 않는 세상과 긴밀하게 관계하는 모든 것이 칼빈주의에 의하여 합법화될 수 없는 것은, 극장과 같은 것에 대하여 명백한 거부를 표시함으로서 이 세상의 너무 사악한 영향에 대한 경계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Not every intimate intercourse with the unconverted world is deemed lawful by Calvinism, for it placed a barrier against the too unhallowed influence of this world by putting a distinct “veto”upon…theatres…


이것은 우리의 선조들을 범죄하게 한 것으로서...대중을 흥겹게 하기 위하여, 남녀 배우들에게 당연히 요구되었던 도덕적 희생이었습니다.

That which offended our ancestors was…the moral sacrifice which as a rule was demanded of actors and actresses for the amusement of the public.


극장의 단원[오늘날은 남녀 배우들의 무리]은... 도덕적으로 좀 낮은 수준[오늘날에는 말도 안되게 절제 되어있는]에 있습니다...

A theatrical troop [today, the set of actors and actresses—DJE]…stood, morally, rather low [today, ridiculous understatement—DJE].


이러한 낮은 도덕 수준은, 부분적으로, 끊임없이 다른 사람의  성격을 표현해야한다는 사실로부터 온 결과로서, 이는 궁극적으로 당신의 개인적 성격을 형성하는데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며; 또 부분적으로는 우리의 현대 극장들이...여성의 존재를 무대에 소개하면서,너무 자주 여성이 하나님께서 그녀에게 맡기신 가장 성스러운 보물과, 그녀의 흠 없는 이름과, 나무랄게 없는 행동을 위태롭게 하는 정도에 따라서, 극장의 번영이 측정 되기 때문입니다.

This low moral standard resulted partly from the fact that the constant and everchanging presentation of the character of another person finally hampers the moulding of your personal character; and partly because our modern Theaters…have introduced the presence of women on the stage, the prosperity of the Theater being too often gauged by the measure in which a woman jeopardizes the most sacred treasures God entrusts to her, her stainless name, and irreproachable conduct…


세상을 다 인수한다고 하더라도 남게 되는 실제 사실은, 극장의 번영은 흔하게 배우의 도덕적 타락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The actual fact remains that, taking all the world over, the prosperity of a Theater ofte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moral degradation of the actors.


그러므로 너무 자주... 극장의 번영은 남성들의 인격과 여성들의 순결의 대가를 치르고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Too often therefore…the prosperity of Theaters is purchased at the cost of manly character, and of female purity.


이와같은 도덕적 희생을 치루고서 귀와 눈의 쾌락을 구매하는 것은, 인격이 어떠한 사람이었던 간에 하나님을 위하여 영광을 드려야 할 칼빈주의자들이면 (이를) 비난 할 수밖에 없습니다(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3-75).

And the purchase of delight for the ear and the eye at the price of such a moral hecatomb, the Calvinist, who honored whatever was human in man for the sake of God, could not but condemn (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3-75).


카이퍼는 극장에 가는 것이 "참된 칼빈주의자라면 자신의 진정을 위험스러운 환희에 희생시키는 것과 자주 흠 없는 기쁨으로부터 멀어진다는 주에 대한 두려움이 없이는 건널 수 없는 루비콘"(75, 76)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Kuyper concluded that attending the movies is a “Rubicon which no true Calvinist could cross without sacrificing his earnestness to dangerous mirth, and the fear of the Lord to often far from spotless pleasures”(75, 76).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오래 전부터 이 루비콘을 건넜습니다.

The cultural-Calvinists have long since crossed this Rubicon.


그리고 카이퍼 자신의 하나님의 일반은혜 교리와 이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그의 소명은 책임을 져야합니다.

And Kuyper himself with his doctrine of a common grace of God and his call to Christianize the world by this common grace is to blame.


교회의 신학자들의 충고와 공식적인 교회의 강령으로 인하여 (1924년에 일반은혜 이론을 채택한 기독개혁교회의 결정에서와 같이) 현재의 이 세상에 유사한 괴물이 교회 안에서 고삐가 풀리면서, 이 괴물이 교회의 구성원들의 모든 삶을 삼키기까지, 흔히 젊은 이들 가운데서 시작하여, 멈춤이 없을 것입니다.

Once the monster of conformity to this present world is unleashed in the church, on the advice of the church’s theologians and by official church decree (as was the decision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its adoption of the theory of common grace in 1924), there is no stopping the monster until it has devoured all the life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beginning usually with the young people.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8:01

CHRISTIANIZING THE WORLD? (4)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북미에서의 개혁주의와 복음주의 분야에서의 개혁운동을  연속적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이번 회에서 나는 참된 칼빈주의를 대신하는 나라를 소개하겠읍니다.

In this installment in the series examining the crusade in Reformed and evangelical circles in North America to Christianize the world, I present the kingdom alternative of genuine Calvinism.


세상 문화에 영향을 주고자 하는 일반은혜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것이 지상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야 할 그리스도인의 소명을 거절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Rejection of the project of common grace to influence the culture of the world does not imply rejection of the calling of the Christian to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of God in all spheres of earthly life.


비록 아브라함 카이퍼와 기독개혁교회(CRC)의 일반은혜 이론을 거절한다고 할지라도, 개신개혁의 그리스도인은  "우리 인간이 존재하는 전 영역에서, 모든 것을 통치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내것이라고 외치지 않으시는 곳이 단 1 입방인치도 없다"는 카이퍼의 그리스도를 위한 흥분된 주장을 명예롭게 하는 방식으로 삶을 살아가야하고 또한 반드시 그렇게 살아야만 합니다.

The Protestant Reformed Christian, although rejecting Abraham Kuyper’s and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s theory of common grace, lives and must live in such a way as to honor Kuyper’s stirring claim on behalf of Christ, “There is not a square inch in the whole domain of our human existence over which Christ, who is Sovereign over all, does not cry: ‘Mine!’” (“ Sphere Sovereignty,” 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88, 488).


우리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영적 뿐만이 아니라 지상적인, 정부에서의, 교육, 과학, 그리고 노동, 기도와 교회에서도,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In every sphere of our life, earthly as well as spiritual, in government, education, science, and labor, as well as in prayer and at church, we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삶의 모든 영역에서, 우리의 행동과 말은 예수 그리스도가 왕이심을 증거해야 합니다.

In every sphere of life, our behavior and speech witness that Jesus the Christ is king.


그러므로 우리가 어떠한 삶의 영역에 들어가든지,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는 왕이시다"는 깃발을 들어야 합니다.

Thus, over whatever sphere of life we enter, we raise the banner, “Jesus Christ is king.”


예수의 나라

The Kingdom of Jesus


그러나, 우리에게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으로서, 우리가 위하여 깃발을 드는 그리스도는, 십자가에 달리셨고, 죽음으로부터 일어나셨으며, 그리고 현재는 하늘에서 하나님의 우편에 앉아 계신 분이십니다.

However—and this to us is of fundamental importance—the Christ on whose behalf we raise the banner is the man who was crucified, raised from the dead, and now sits at the right hand of God in heaven.


카이퍼와 그의 제자들에게 그리스도는, 모든 것을 통치 하시며, 그들이 높인다고 생각하는 왕권을 가지신 분으로서, 단지 삼위의 제2위격일 뿐이며,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를 위하여 자신을 내어 주신 사람으로서의 예수가 아닙니다.

For Kuyper and his disciples, the Christ who is sovereign over all and whose kingship they suppose they honor is only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not the man Jesus who loved us and gave himself for us.


만약에 삼위의 두 번째 위격의 나라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두 번째 위격만이 아닌) 삼위 하나님의 절대적 능력의 나라일 것입니다.

If there were a kingdom of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it would be the kingdom of the absolute power of God triune (not alone of the second person).


이러한 삼위 하나님의 나라는, 그것을 이 땅에서 확장하려는 교회의 어떠한 모든 노력들을 떠나서, 완벽하게 존재합니다.

This kingdom of the triune God exists in perfection apart from any and all efforts of the church on earth to extend it.


이러한 나라는 오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입니다.

This kingdom does not come, but is.


이것은 일반은혜, 혹은 이러한 것들을 위해, 특별은혜에 의하여 추진되는 것은 아닙니다.

It certainly is not promoted by common grace, or for that matter, by particular grace.


이것은 그의 창조에 관한 하나님의 신격을 위한 실체입니다.

It is a reality by virtue of the Godhead of God with regard to his creation.


개신개혁주의 그리스도인과 아브라함 카이퍼가 심사숙고했던 시기까지의 모든 세대를 거친 모든 그리스도인의 마음을 가진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의 나라이며: 그 안에 우리가 그의 피로 인하여 구속을 받고 죄 사함을 얻은"(골1:13-14) 나라입니다.

The kingdom that has the heart of Protestant Reformed Christians, as also of all Christians throughout all ages until the time of the speculations of Abraham Kuyper, is the “kingdom of [God’s] dear Son: in whom we have redemption through his blood, even the forgiveness of sins”(Col. 1: 13–14).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삼위의 두번째 위격을 계속적으로 명예롭게 하면서, 명백하게 첫 번째와 세 번째 위격을 배제할 수 있읍니다.

The cultural-Calvinists may go on honoring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evidently to the exclusion of the first and third persons.


개신개혁의 칼빈주의자들은 십자가에 달리셨고, 일어나신 것을 높이며, 그리고 주 예수를 찬양하며, 그 안에서 삼위 하나님을 높입니다.

Protestant Reformed Calvinists honor the crucified, risen, and exalted Lord Jesus and in him, the triune God.


이것을 이해하여야만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주권과 나라는 예수의 주권과 나라입니다.

Let this be understood: for us, the sovereignty and kingdom of Christ are the sovereignty and kingdom of Jesus.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123에서의 개혁주의 신앙고백과 같이, 이러한 예수가 그의 말씀과 성령으로 우리의 마음을 다스리십니다.

This Jesus reigns in our hearts by his word and Spirit, as the Reformed faith confesse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Question and Answer 123.


우리의 마음을 다스리심으로, 예수 그리스도는 또한 우리가 속해있는 삶의 모든 영역들에서 다스리십니다.

Reigning in our hearts, Jesus Christ reigns also in all the spheres of life into which we enter.


그러므로 나라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며, 그럼으로서 나라의 깃발은 모든 영역 위에 휘날립니다.

Thus the kingdom extends to every sphere, and thus the banner of the kingdom flies over every sphere.


교회의 영역

The Sphere of the Church


참된 교회로서의 제도적 영역은 첫째되는 최고의 영역입니다.

First and foremost is the sphere of the institute of the true church.


하나님 나라의 시민은 참된 교회의 살아있는 일원으로서, 삼위 하나님을 영적으로 진리 안에서, 매 안식일마다 열심으로 예배를 드립니다.

The citizen of the kingdom of God will be a lively member of a true church, worshiping the triune God in spirit and in truth diligently every Sabbath.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 이러한 면은,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말로 지지하는 많은 이들에 의하여, 최소화되거나 심지어는 무시되기까지 합니다.

This aspect of living the life of the kingdom in all the spheres is minimized and even ignored by many of the vocal advocate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그들은 이것을 강조하지 않을 뿐더러, 그들은 (하나님) 나라에 관한 자신들의 논문에서 이러한 것에 대하여 전혀 말을 하지 않습니다.

Not only do they not stress this, but also they usually say nothing about this at all in their treatises on the kingdom.


그들이 자신들의 입장에서 이렇게 주의하는 것은 이해가 됩니다: 만약에 당신이 무신론자들, 무슬림들, 불신자들, 그리고 로마 카톨릭신자들과  (하나님) 나라를 만들어간다면, 당신은 교회의 일원에 관한 어떠한 것도 말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This caution on their part is understandable: If you are creating a kingdom with atheists, Muslims, unbelievers, and Roman Catholics, you had best say nothing about church membership.


교회의 일원임을 최소화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변명할 것이 못됩니다.

But minimizing or ignoring church membership is inexcusable.


교회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총체적 다스림은 하이델베르크 신조"당신의 교회를 보존하시고 확장하심"(문답123)에서의 주 기도의 두 번째  기원에 대한 두 번째 설명입니다.

The reign of Jesus Christ in and over the church is the second explanation of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by the Heidelberg Catechism: “preserve and increase Thy church”(Q& A 123).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제도적 형태입니다.

The church is the institutional form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보이는 교회는...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이다"(25.2)라고 분명히 합니다.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declares: “The visible church…is the kingdom of the Lord Jesus”(25.2).


벨직 신앙고백에서는 교회에 대하여 다룰 때 "이것으로부터 명백한 것은, 그리스도가 영원한 왕이다"라고 같은 것을 가르치고있습니다.

The Belgic Confession teaches the same when in its treatment of the church it states, “which is evident from this, that Christ is an eternal King”(Art. 27).


그리스도는 교회의 왕이시며, 교회는 그의 나라이다.

Christ is king of the church, and the church is his kingdom.


신약교회는,구약 이스라엘의 실체로서(베전2:9), 하나님의 거룩한 국가입니다.

The New Testament church is God’s “holy nation”—the reality of Old Testament Israel (1 Pet. 2: 9).


이것은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사람들이 마음 속 깊이 새겨 넣어야 할 근본적인 진리인 것입니다,

This is a basic truth that the proponents of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have a hard time keeping in mind.


그들은 우선 자신들의 나라를 기독교화하고 그 다음 세계를 기독교화 하려는 꿈을 꾸면서, 그들은 변함없이 자신들의 나라를 하나님의 나라와 동일시하고 있습니다.

As they dream their dreams of Christianizing first their own nation and then the world, they invariable identify their own nation with the kingdom of God.


카이퍼는 화란이 하나님의 거룩한 국가이며, 이스라엘이라는 나라의 신약에서의 실체라고 생각했습니다.

Kuyper thought that the Netherlands was God’s holy nation, the New Testament reality of the nation of Israel.


조나단 에드워즈도 미국, 특히 미국의 뉴잉글랜드 지역에 관하여 같은 상상을 했습니다.

Jonathan Edwards supposed the same regarding America, especially the New England part of America.


오늘날 많은 복음주의자들은, 미국을 다시 한번 기독교 국가로 만들어야 한다는 소명에 대하여 가르치는데 있어서, 자신들이 미국이 한 때 기독교인의 거룩한 국가였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any evangelicals today, in their preaching of the call to make America once again a Christian nation, show that they think that the United States was once a Christian, holy nation.


화란은 절대로 거룩한 나라가 아니었습니다.

The Netherlands was never a holy nation.


미국도 마찬가지로 아니었습니다.

Neither was the United States.


지상의 국가는, 얼마나 기독교화되는가에 관계없이, 하나님의 거룩한 국가가 될 수 없습니다.

No earthly nation, regardless how Christianized it might become, can be God’s holy nation.


이 세상에서의 참된 교회가 하나님의 나라이며 하나님의 거룩한 국가인데, 이는 구약에서의 이스라엘의 (대체가 아닌) 신약에서의 실체입니다.

The true church in the world is the kingdom and holy nation of God, the New Testament reality (not: replacement) of Israel in the Old Testament.


이것은 교리적이고, 교회론적이며, 영적인 칼빈주의자들인 우리가 참된 교회를 높이 여기는 이유이며, 그 안의 일원인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이유입니다.

This is a reason that we doctrinal, ecclesiastical, and spiritual Calvinists so highly regard the true church and prize membership in her.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이며, 하나님의 신약에서의 시온입니다.

She is God’s kingdom, God’s New Testament Zion.


주의 날에 교회에서는 어떤 사람이든지 하나님을 공적으로 예배하는 주된 문화 활동이 있을 것입니다.

In the church on the Lord’s Day occurs the chief cultural activity of any human: the public worship of God.


거기에 더하여, 교회는 신자에게 인간의 삶의 모든 다른 영역들에서도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갈 방향과 영적 에너지를 공급해 줍니다.

In addition, the church gives the believer the directions and spiritual energy to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in all the other spheres of human life.

하나님 나라의 동력은 기독교 대학이 아니며, 나라를 세우려는 이들에게 좀 나약한 일반은혜의 힘으로 무장 시키려는 생각을 하는 기독교 대학은 더욱더 아닙니다.

The dynamo of the kingdom of God is not the Christian college, and certainly not the Christian college that thinks to equip the kingdom-builders with some feeble power of a common grace.


(하나님) 나라의 동력은 참된 교회이며, 교회가 하나님 나라의 백성들을 무장 시키는 힘은 능력 있는 부활의 은혜이며, 주 예수의 성령입니다.

The dynamo of the kingdom is the true church, and the power with which she equips the citizens of the kingdom is the mighty, resurrection grace and Spirit of the Lord Jesus.


가족의 영역

The Sphere of the Family


왕이신 예수를 섬기고 그의 깃발을 날리는 대부분의 (하나님) 나라 백성들이 속하여있는 인간의 삶의 두 번째 영역은 결혼과 가족입니다.

The second sphere of human life in which most citizens of the kingdom submit to King Jesus and fly his banner is marriage and the family.


이 영역이 모든 사회적 삶과 지상의 국가의 복지를 위하여 근본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은 일반 상식으로 알 수 있습니다.

Common sense realizes the fundamental importance of this sphere for all of societal life and for the welfare of an earthly nation.


서구의 정치 지도자는 눈이 멀었으며, 실제로 결혼과 가정을 적극적으로 파괴하는 일을 하는데, 이는 그들의 불신앙 때문에 타락한 이해력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어두움에 때문일 뿐만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심판하시는  진노로 그들의 눈을 멀게하였기 때문입니다.

That the political leaders of the West are unseeing, indeed actively at work to destroy marriage and the home, is due not only to the natural darkness of their depraved understanding because of unbelief, but also to God’s blinding of them in his judicial wrath.


미국에서는 사회에서의 인간 생활의 근본 구조에 관하여 일반 상식이 비상식이 되었습니다.

Common sense has become senseless in the United States with regard to the basic structure of human life in society.


성경에서는 가정의 영역을 중요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 영역에서의 생활에 대한 왕이신 예수의 뜻에 관하여 완전한 교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Scripture insists on the importance of the sphere of the family, and gives thorough instruction concerning the will of King Jesus for life in this sphere.


창조주는 한 남자와 한 여자를 삶에서의 한 육체로 긴밀하게 연합하여 결혼하도록 하셨으며, 자녀를 낳는 결실을 통하여 결혼을 축복하셨으며, 결혼한 부부인 그들의 부모가 (자녀들을) 기르도록 하셨습니다.

The Creator married one man and one woman in an intimate union of one flesh for life, and blessed the marriage with fruitfulness in bringing forth children, whom the married couple, their parents, must rear (Gen. 1, 2).


왕이신 예수는 자신의 나라에 이러한 규례를 규정하셨으며, 결혼과 가정에서의 우리의 삶에 관하여 에베소서 5,6장과 고린도전서7장, 그리고 성경의 많은 다른 곳에서 자신의 뜻을 정하셨습니다.

King Jesus took this ordinance over into his kingdom and made his will concerning our life in marriage and the family known in Ephesians 5 and 6, 1 Corinthians 7, and many other places in Scripture.


종교개혁은, 로마카톨릭이 수도원주의와 성직자는- 비록 혼자 사는 삶이 결혼보다는 더 높고 더 영적인 상태이지만- 로마 카톨릭은 성적인 난잡함에 대한 관용에 대하여 일체 말하지 않으면서, 결혼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강령으로 낮아진 이 영역을 명예롭고 중요한 위치로 복귀시켰습니다,

The Reformation restored this sphere to its place of honor and importance after Rome had degraded it by monasticism and by the decree that the clergy may not marry, as though single life were a higher, more spiritual state than marriage, to say nothing of the tolerance by Rome of sexual promiscuity.


오늘날에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우리의 미국 사회를 기독교화하는 것에 관하여 많은 이야기를 합니다.

There is much talk today by the cultural-Calvinists about Christianizing our American society.


이와 동일한 사람들과 그들의 교회들이 자신들의 교회 안에서 만연해있는 이혼과 재혼에 대하여는 관용을 베풉니다.

These same people and their churches tolerate rampant divorce and remarriage in their own churches.


심지어는 기독개혁교회(CRC)의 교단 신문과 그들에게 소속된 대학에서는 공개적으로 남색을 추진하기도 합니다.

There is even open promotion of sodomy in the denominational paper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and in their flagship college.


그들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무관심은 그들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관하여 진지하지가 않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Their unconcern for marriage and the family is proof that they are not serious about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그들은 그랜드 레피즈나 미국의 문화에 영향을 주는 것에 관하여 진지하지가 않습니다.

They are not serious about influencing the culture of Grand Rapids and the United States.


결혼과 가족은 북미에서는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입니다.

Marriage and the family are the urgent social issues in North America.


나라를 혼란케 하고 파괴 시키는 거대한 악은 이혼, 재혼, 그리고 완악함을 포함한 성적인 난잡함입니다.

The great evils disrupting and destroying the country are divorce, remarriage, and sexual promiscuity, including perversity.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전혀 말을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문화에 대하여 참된 관심을 갖는다면, 이러한 악들에 대하여 침묵 할 수 만은 없는 것이다.

Genuine concern for the culture, to say nothing of the kingdom of God, could not possibly remain quiet about these evils.


신실하게 아내와 함께 살아가는 남자, 남편에게 한 자신의 맹세를 지키는 아내, 자신들의 자녀를 하나님을 경외하면서 함께 키우는 부모, 자신들의 부모를 명예롭게 하며 신앙의 교훈에 순종하는 아이들과 젊은이- 이들이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The man who lives faithfully with his wife, the wife who keeps her vow to her husband, the parents who together raise their children in the fear of the Lord, the children and young people who honor their parents and heed their godly instruction—these are living the life of the kingdom.


이러한 것들이 주 예수의 왕권을 가족이라는 근본적으로 중요한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것이다.

These are extending the kingship of the Lord Jesus into the fundamentally important sphere of the family.


이것들이 왕이신 예수의 깃발을 모든 이들이 보도록 가정 위에 날리는 것이다.

These are flying the banner of King Jesus over the home for all to see.


이러한 것들이 또한 어떠한 지상의 나라에서든지 유익한 시민들인 것이다.

These are also the beneficial citizens of any earthly nation.


교육의 영역

The Sphere of Education


인간의 삶에서 세 번째로 중요한 영역은, 성경과 본성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듯이, 어린 아이들의 교육입니다.

A third significant sphere of human life is the education of children, as both Scripture and nature teach us.


하나님 나라의 시민은 교육의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에 복종을 합니다.

Citizens of the kingdom of God submit to the reign of Jesus Christ in the sphere of education.


이와 같이 하나님 나라는 교육의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Thus the kingdom extends into the sphere of education.


교육의 영역에서도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나의 것'이라고 말하지 않는 곳은 한 입방인치도 없다"라는 깃발을 올립니다.

Over the sphere of education, we raise the banner, “Not once square inch about which Jesus Christ does not say, ‘Mine!’”


우리는 우리의 자녀들에게, 우리 자신이 왕이신 예수께 복종하는 삶의 예를 보여주며, 아이들을 훈계함으로서, 집에서 하나님을 경외하도록 키울 수 있는 것입니다.

We give our children a godly upbringing at home, including the example of our own lives of submission to King Jesus, and including discipline of the children.


우리는 아이들이, 참된 개혁교회의 견고한 교리문답 안에서 성경의 역사와 교리에 관한 완전한 가르침을 받도록 함으로서, 이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We see to it that the children receive thorough instruction in the history and doctrines of the Bible in the solid catechism program of a true, Reformed church.


여기에 더하여, 같은 마음을 가진 개혁주의 신앙인들과 함께, 우리는 우리의 아이들에게 좋은 기독교 학교를 제공하면서, 그곳에서 훈련 받은 유능한 칼빈주의자 선생님들이, 아이들이 21세기 미국에서 왕이신 예수님께 복종하면서 능력 있는 삶과 일을 준비하도록 해주어야합니다.

In addition, with likeminded Reformed believers we provide for our children good Christian schools in which trained, competent Calvinist teachers prepare the children to live and work ably in 21st century America as subjects of King Jesus.


부모들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부모들이 시간과 능력이 결핍 되어있기에, 이곳의 선생님들이 아이들에게 지식의 모든 분야를 하나님의 말씀에 비추어 가르쳐야 합니다.

On behalf of the parents, these teachers instruct the children in all the branches of knowledge in light of the word of God, as most parents lack both time and ability to do.


이러한 기독교 교육을 통하여 아이들의 마음이 왕이신 예수께 복종 되어지는 것입니다.

By this Christian education is brought into subjection to King Jesus the mind of the children.


여기서, 특별한 방법으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우리의 열심은 모두에게 드러납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이 이러한 학교를 후원해야 합니다.

Here, in a special way, our zeal for the kingdom is evident to all: We pay for these schools ourselves!


즉 다른 납세자들인 국가는 우리의 학교들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The state, that is, the other tax-paying citizens, do not support our schools.


우리가 주립학교에 기금을 대면서 동시에 우리의 학교들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가 시정하지 않는 명백한 불공정이면서, 분명하게 국가의 다른 국민들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닙니다.

We support our schools in addition to funding the state schools—an obvious injustice that the government does not redress and that apparently does not trouble the other citizens of the country.


이러한 양육의 결과는, 우리의 아들들과 딸들이 미국의 - 국가의 최고의 시민으로서: 유능하고, 책임감이 있으며, 열심히 일하고, 법률을 준수하며, 세금을 납부하는-훌륭한 시민들이 된다는 것입니다.

The result of this rearing is that our sons and daughters become good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the best citizens of the nation: capable, responsible, hard-working, law-abiding, and tax-paying.


그러나 우리가 우리의 아이들을 양육하는 동기는 우선적으로 미국과 세계에 영향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But our motive in our rearing of our children is not primarily to influence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차라리 우리의 동기는 하나님 나라입니다.

Rather, our motive is the kingdom of God.


우리의 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하나님 나라의 시민입니다.

Our children are from birth citizens of the kingdom.


이들은 왕이신 예수께 속하였으며, 그러므로 진리 안에서 하나님 나라의 방식으로 교육 받아야 합니다:"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하나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눅18:16)

They belong to King Jesus, and therefore must be educated in the truths and ways of the kingdom of God: “Suffer little [infant] children to come unto me…for of such [infant children] is the kingdom of God”(Luke 18: 16).


마음, 교회, 가족, 그리고 교육은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들이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역들을 소진 시키지는 않습니다.

Heart, church, family, and education do not exhaust the important spheres in which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s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몇몇의 다른 영역들은 다음 회에서 다루도록하겠습니다.

Some of the other spheres we will consider in the next installment.


아무도 당신들을,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서 하나님 나라를 무시한다고 하거나, 인간이 삶의 모든 영역에서 구별된 삶을 살아감으로서 곤경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설득하지 못하도록 하십시오.

Let no one persuade you that by rejecting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you neglect the kingdom of God or come short in living its distinctive life in all the spheres of human life.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58

CHRISTIANIZING THE WORLD? (3)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의무로서 세상을 기독교화를 추진하는 이들은 이 세상에 하나님 나라의 도래로서의 프로젝트를 설명합니다.

Those who promote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as the duty of the church and of the Christian present the project a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이러한 시류를 탄 기독교 대학들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알리는 드럼을 두드립니다.

The Christian colleges that are on this bandwagon beat the drum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교회와 언약에 대하여는 좀처럼 듣기 힘듭니다.

Not much is heard of church or covenant.


(하나님) 나라를 찾고; 나라를 추구하고; 나라의 삶을 살고; 기타 등등, 나라가 전부입니다.

Kingdom is all: seeking the kingdom; promoting the kingdom; living the life of the kingdom; and the like.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를 도래시키는 것이며,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주된 면이라는 나라에 대한 강조는 아브라함 카이퍼로 거슬러 올라가며, (카이퍼는) 교회의 소명이 우선 자신의 나라의 문화를 기독교화하고, 그 다음에 전체 세계를 기독교화하는 것이라는 생각의 원천이 됩니다.

This emphasis on the kingdom, as though Christianizing the world brings about the kingdom of God and is the chief aspect of the kingdom, goes back to Abraham Kuyper, the source of the notion that the church’s calling is to Christianize the culture first of one’s country and then of the entire world.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계획의 실천요강인, 그의 영향력 있는 칼빈주의 강연에서, 카이퍼는 "삼위 하나님의 전체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영역들과 나라들에 대한 주권" 즉 하나님의 왕권과 나라에 대하여 호소를 합니다. (칼빈주의 강연, 79)

In his influential Lectures on Calvinism, the playbook of the game of Christianizing the world, Kuyper appealed to the “Sovereignty of the Triune God over the whole Cosmos, in all its spheres and kingdoms,” that is, to the kingship and kingdom of God (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9).


Science and Art에 실린 일반은혜의 책에서 카이퍼는 기독교인이 "일반은총이 작용하는... 대단히 인류의 영적인 발달을 진전시키는" 무신론자인 과학자들과 예술가들과 협력할 것을 간청합니다.

In a book on Common Grace in Science and Art, Kuyper pleaded for the Christian’s cooperation with ungodly scientists and artists who by “common grace [have] been active… greatly promoting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human race.”


이러한 맥락에서, 카이퍼는 다음과 같이 "하나님 나라"를 강조합니다: "하나님 나라는 최소한 제도적 교회에만 제한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전체 세계와 삶과 관점을 지배하는 것입니다."("과학에서의 일반은혜" 458,459).

In this context, Kuyper stressed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is not in the least limited to the institutional church but rules our entire world-and-life-view” (“ Common Grace in Science,” 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98, 458, 459).


세상에서의 도피라는 비난에 대하여

The Charge of World-flight


세계를 기독교화 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표현하는 것이며, 나라에 대한 거룩한 모험이라는 자신들의 확신을 고수하는 가운데, 세계를 기독교화 하기 위한 개혁주의 열심당원들은 개신개혁교회(PRC)와 그들의 구성원들이 나라에 대한 소망이 심각하게 결여되어있다는 것과 하나님의 나라를 추구하는 것과 관계된 의무에 대한 심각한 태만을 비난합니다.

In keeping with their conviction that Christianizing the world represent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and is a noble kingdom-venture, the Reformed zealots on behalf of Christianizing the world charge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nd their members with a serious lack of kingdom-vision and with grave dereliction of duty concerning promoting the kingdom of God.


만약에 사실이라면, 심각한 결함입니다!

A serious shortcoming, if true!


이러한 비난은 바로 개신개혁 학교들의 학생들을 혼란스럽게 합니다.

This charge is rightly disturbing to Protestant Reformed students at these colleges.


이러한 비난에서 특히 고통스러운 면은 개신개혁 교회들과 신자들이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라고하는 비성경적이고 수치스러운 죄를 범하고 있다는 비난입니다.

An especially painful aspect of this charge is the accusation that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nd believers are guilty of the unbiblical, shameful evil of “worldflight.”


일반은혜,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우리를 종교개혁 당시의 재세례파의 범주에 넣는 것에 동의합니다.

The common grace, cultural-Calvinists consign us to the ranks of the Anabaptists of the time of the Reformation.


그들은 우리를 문저, 레이든의 요한, 그리고 메노 시몬스와 같은 집단에 속하였다고 매도합니다.

They dismiss us as belonging to the company of Munzer, John of Leyden, and Menno Simons.


(아래의 문구들은 반어법으로 표현된 것이다.)

우리는 참된 칼빈주의자들이 전혀 아닙니다!

We are no genuine Calvinists at all!


우리는 루터나 칼빈, 그리고 명백하게 개혁주의 신앙고백들의 자녀들이나 상속자들이 (비록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세상의 기독교화에 대한 이론과 교리로부터  "세상으로부터의 도피"에 대한 자신들의 비난에 대하여 명백한 증거를 거의 제공하지 못하지만) 아닙니다.

We are no children and heirs of Luther, Calvin, and evidently of the Reformed confessions (although the cultural-Calvinists offer precious little proof for their theory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nd for their charge of “world-flight”from the creeds).


내가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비성경적" 악이라고 기록한 것은 우리 주님께서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금하셨기 때문입니다:"내가 비옵는 것은 그들을 세상에서 데려가시기를 위함이 아니요... 나도 그들을 세상에 보내었고"(요17:15,16)

16  내가 세상에 속하지 아니함 같이 그들도 세상에 속하지 아니하였사옵나이다

I write “unbiblical”evil of world-flight because our Lord forbade world-flight: “I pray not that thou shouldest take them out of the world…I [have] sent them into the world”(John 17: 15, 16).


프로젝트 참여자에 따르면, 개신개혁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를 거절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악이기에, 우리는 우리 자신들로 하여금  역사에 있어서 하나님의 위대하신 두 가지 일 가운데 하 가지를 반대하며 가로막는 죄를 범하게 하는 것이며, 그분의 이 세상에서의 두 가지 주된 목적 가운데 하나는, 일반은총에 힘입은 아름다움의 창조, 고상함, 선함, 균등한 신적 문화, 세계화등입니다.

So serious an evil is the Protestant Reformed refusal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at, according to the proponents of the project, we make ourselves guilty of opposing and obstructing one of the two great works of God in history and, therefore, one of his two main purposes with his world: the creation of beautiful, noble, good, even godly culture, worldwide, by virtue of common grace.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아버지인 아브라함 카이퍼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Listen to the father of the cultural-Calvinists, Abraham Kuyper:


구원을 이루는 특별은혜가 있으며, 또한 일반은혜가 있는데 하나님께서는 이것으로... [세상에] 놓여있는 저주를 늦추시며, 세상이 붕괴되는 과정을 붙드시며, 그렇게 하심으로서 우리의 삶의 자유로운 발전을 통하여 하나님 자신이 창조주로서의 영광을 취하신다 (칼빈주의 강연, 30)

There is a particular grace which works Salvation, and also a common grace by which God…relaxes the curse which rests upon [the world], arrests its process of corruption, and thus allows the untrammeled development of our life in which to glorify Himself as Creator (Lectures on Calvinism, 30).


그의 작품 일반은혜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기록합니다:

In his work on common grace, Kuyper wrote:


"특별은혜를 통한 하나님의 위대하신 일 외에도 일반은혜의 영역에서 전적으로 다른 하나님의 일이 있다."  그 "전적으로 다른 일"은 "세상의 발전을 극대화하여 절정"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일반은혜" 카이퍼, 176)

“There is beside the great work of God in special grace also that totally other work of God in the realm of common grace.” That “totally other work”is to “consummate the world’s development”(“Common Grace,”in Kuyper, ed. Bratt, 176).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것이, 지지자들의 생각에, 얼마나 놀라운 하나님의 일이겠으며, 비록 죄가 아닐지라도, 이러한 일에 자신이 참여하는 것을 거절하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들은 얼마나 한심스러울 정도로 부족한 이들이겠는지를, 헤르만 바빙크는 "우리는 개혁주의 신앙고백을 삶의 모든 분야에 가져옴으로서 능력있고, 영광스러우며, 충분히 이상적으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목표를 향해야합니다"라고 외칠때 암시했읍니다.

How wonderful a work of God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is, in the thinking of its advocates, and therefore how woefully deficient, if not sinful, those Reformed Christians are who decline to involve themselves in this work, Herman Bavinck suggested when he exclaimed, “We have to aim at that mighty, glorious, rich ideal to Christianize the world by bringing in our Reformed confession into all areas of life”(Bavinck’s farewell address to the Kampen seminary students in 1902, in Willem J. de Wit, On the Way to the Living God, Free University Press, 2011, 58).


이것은 동시대의 문화 칼빈주의자들에게, 바빙크가 개혁주의 신앙고백을 삶의 모든 분야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고, 잠시 생각하게도 할 수 있습니다.

It might give the contemporary cultural-Calvinists pause that Bavinck spoke of the necessity of bringing the Reformed confessions into all areas of life.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프로젝트의 동시대의 형태에서 개혁주의 신조는 눈에 띄게 실종되었습니다.

From the contemporary form of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Reformed creeds are noticeably missing.


그러나 세상을 기독교화하는데 열심인 이들은 완전히, 그리고 전체적으로 판단을 잘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But the zealots for Christianizing the world are utterly and wholly mistaken.


그들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그들의 개념에서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with regard to their conception of the kingdom of God.


그들은 일반은혜에 의하여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관계가 있다는 그들의 생각에 있어서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with regard to their notion that Christianizing the world by common grace has anything to do with the kingdom of God and its coming.


그들은 개신개혁교회(PRC)들이 하나님 나라와 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관하여 무관심하고 수동적이라는 잘못 비난하는 실수를 범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mistaken in their false accusation that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are indifferent and passive with regard to the kingdom of God and its extension in this world.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What the Kingdom of God is


첫째로는, 세상을 기독교화하고자 하는 지지자들이 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의 개념에 대하여 잘못 판단하고있다는 것입니다.

First, the advocates of a Christianized world are mistaken regarding their conception of God’s kingdom in this world.


기독교에 외적으로 영향을 받은 사회나 국가, 혹은 심지어 대부분이 불신자인 전체 세계는, 일련의 불신자 헐리우드 배우가 마틴 루터의 삶을 연출하는 것이 교회의 개혁이고 혹은 종교개혁의 확대라고 하는 것 이상의 하나님 나라가 아닙니다.

A society, a nation, or even an entire world of mostly unbelievers that has been influenced by Christianity outwardly is no more the kingdom of God than a set of ungodly Hollywood actors dramatizing the life of Martin Luther is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or an extension of the Reformation.


이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나라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삼위 하나님의 통치이시며, 세상에서 하시는  하나님의 위대한 관리입니다.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is the reign of the triune God in Jesus Christ, God’s great servant in the world.


이것은 그리스도인이 희망하였고, "당신의 나라가 임하옵소서" 라는 주기도의 두 번째 간청에서 기도하였던 나라입니다.

This is the kingdom whose coming Christians desire and pray for in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Thy kingdom come.”


이것은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의 나라입니다.

It is the kingdom of God’s “dear Son”(Col. 1: 13).


이 나라는 하나님의 일반은혜에 의하여 오지 않습니다.

This kingdom does not come by a common grace of God.


차라리, 이것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온다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에 의하여 우리를 통치 하신다는 것이다"라고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에 의하여 오는 것입니다.

Rather, it comes by God’s “Word and Spirit,”as the Heidelberg Catechism explains: “Thy kingdom come; that is, rule us so by Thy Word and Spirit”(Q& A 123; emphasis added).


이 나라에서는, 오직 선택된 신자들만이 국민입니다.

Of this kingdom, only those are citizens who are elect believers.


(이 나라의) 국민들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사랑하는 아들의 나라로 옮긴" 이들입니다.(골1:13)

The citizens are those whom God “hath translated…into the kingdom of his dear Son”(Col. 1: 13).


모든 다른 이들은 어둠의 군주의 나라에서, "어둠의 권세"(골1:13) 아래 있습니다.

All other humans remain under “the power of darkness”(Col. 1: 13), in the kingdom of the prince of darkness.


이러한 불신자는 하나님의 나라를 파괴하려는 것 외에는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These unbelieving people have no interest in the kingdom of God, except to will its destruction (Psalm 2; Rev. 13).


하나님 나라의 속성에 관해서는, 하나님 나라는 지상적이 아니고 천상적이며, 세속적이 아니고 영적입니다.

As to its nature, the kingdom of God is heavenly, not earthly; spiritual, not carnal.


이것은 예수께서 자신의 죽으심으로 세우신 의를 기반으로 하는 나라를 확립하는 날에" 이 세상의 것도 아니며" "이 세상으로부터 온 것도 아니다"라고 빌라도에게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설명한 것입니다.(요18:33-37)

This was Jesus’description of the kingdom to Pilate, on the day of Jesus’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n the found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his death: “not of this world”; “not from hence”(John 18: 33–37).


존 칼빈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묘사를 제대로 설명하면서, 이를 "영적이며" "천상적이며," 그리고 "세상으로부터의 분리된 것"이라고 기록했습니다.(요한복음 주석 2권, 209)

Correctly explaining this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God, John Calvin wrote, “spiritual,”“heavenly,”and “separated from the world”(Commentary on John, vol. 2, Eerdmans, 1949, 209).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는 눈으로 볼 수 있게 도래하는 것이 아닙니다. (눅17:21)

Therefore the kingdom does not come with “observation”(Luke 17: 21).


이와는 달리 일반은혜의 나라는, 최소한 이 나라를 꿈꾸는 이들의 상상 속에서, 사회적 관계, 경제적 진보, 그리고 정치적 진전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는 발전으로 오는 것입니다.

The kingdom of common grace, in contrast, comes with observable developments in social relations, economic advancements, and political progress, at least in the imagination of the dreamers of this kingdom.


하나님 나라의 유익들은- 일반은혜 나라의 주된 목표인- 지상적 평화와 세속적 번성이 아니라 "성령 안에 있는 의, 그리고 평강, 그리고 희락"입니다.(롬14:17)

The benefits of the kingdom of God are not earthly peace and carnal prosperity—the main goals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but “righteousness, and peace, and joy in the Holy Ghost”(Rom. 14: 17).


예수께서 빌라도와 나라에 대한 대화에서 나라에 대하여 더욱 강조한 한 가지는, 하나님의 나라가 "진리" 의 토대 위에서 발견된다는 것입니다:"내가 이를 위하여 태어났으며 이를 위하여 세상에 왔나니 곧 진리에 대하여 증언하려 함이로라 무릇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음성을 듣느니라"(요18:37)

One thing more about the kingdom Jesus stressed to Pilate in their discussion of the kingdom: the kingdom of God is founded on “the truth”: “To this end was I born, and for this cause came I into the world, that I should bear witness unto the truth. Every one that is of the truth heareth my voice”(John 18: 37).


이것은 빌라도가 "그러면 네가 왕이냐?"(요18:37)고 묻는 질문에 대한 예수님의 반응이셨으며, 그의 왕권과 나라의 속성에 대한 예수님의 설명입니다.

This was Jesus’response to Pilate’s question, “Art thou a king then?”(John 18: 37) and Jesus’description of the nature of his kingship and kingdom.


진리는 그리스도인, 그리고 특별히 구분되는 개혁주의 신앙고백 안에서 요약되는 성경의 복음입니다.

The truth is the gospel of Scripture as summarized in the Christian and the distinctively Reformed confessions.


로마 카톨릭과 불신자들과 함께 협력하는 일반은혜의 나라, 즉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추진되는 나라의 대부분의 열정적인 옹호자들 조차도, 나라가 진리를 기초로하고있다고 감히 주장하지는 않습니다.

Not even the most enthusiastic defender of the kingdom being promoted by the cultural Calvinists—the kingdom of common grace, in cooperation with Roman Catholics and unbelievers—will dare to contend that that kingdom is based on the truth.


이러한 나라는 진리에 대하여 완전히 침묵하지 않는다면, 오직 타협에 의해서 만 진보가 되고 외형을 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That kingdom can make progress and take form only by the compromising, if not the complete silencing of the truth.


로마 카톨릭과 불신자들은 진리를 거부합니다.

Roman Catholics and unbelievers reject the truth.


그러므로 일반은혜의 나라는 하나님 나라가 아닙니다.

The kingdom of common grace therefore is no kingdom of God.


이것은 나라가 아니며, 그 안의 어떠한 칼빈주의자나, 진실로 신앙을 고백하는 어떠한 그리스도인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나라인 진리의 나라에 대항하는 나라를 반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흥미도 가질 수 없습니다.(나라에 대한 매우 중요한 진리를 좀 더 완전하게 다룬 나의 책 "하나님의 나라" PRC2002를 참조하라)

It is no kingdom in which any Calvinist, indeed any professing Christian, should have any interest, except to oppose it as a rival kingdom to the kingdom of the truth, that is, the kingdom of God in Jesus Christ. (For a more complete treatment of the vitally important truth of the kingdom, see my booklet, “The Kingdom of God,”Evangelism Committee of Southwest PRC, 2002).


마음 안에서의 하나님의 통치

The Reign of God in the Heart


하나님의 나라가 기원과 속성에서 천상적이라는 것은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이나 이 세상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That the kingdom of God is heavenly in origin and in nature does not imply that it is not on the earth and in the world.


그 나라는 이 세상에 있으며, 주된 위치는 선택된 신자의 마음에 있습니다.

The kingdom is in the world, and its primary location is the heart of the elect believer.


그곳에서 그리스도는 자신의 왕좌를 가지고 계시며; 그곳에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은혜와 성령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다스리십니다.

There Christ has his throne; there God reigns in Jesus Christ by his grace and Spirit.


카이퍼와 그의 문화 칼빈주의 제자들은 하나님께서 백성의 마음에서 은혜로 다스리심을 경멸합니다.

Kuyper and his cultural-Calvinist disciples disparage the reign of grace in the hearts of the people of God.


그들은 이것을 강조하는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들을, 마치 이러한 강조로 인하여 우리가 그 나라를 마음으로 제한 시키고 있는 것처럼 비판합니다.

They criticize the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s who emphasize this, as though by this emphasis we restrict the kingdom to the heart.


학자로서의 카이퍼가 ,  카이퍼 자신의 주된 관심으로서, 그가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자신의 계획에 있어서, 개혁주의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통치를 인간의 마음에 대한 영적이고 사적인 통치로 제한시키고있다고 말한 것은 옳은 것입니다.

A scholar of Kuyper is correct when he states as a main concern of Kuyper in his program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y common grace that Reformed people “restrict the reign of Christ to the ‘spiritual,’to the private rule over the human heart”(John Bolt, A Free Church, A Holy Nation: Abraham Kuyper’s American Public Theology, Eerdmans, 2001, 193).


인간의 마음에서의 하나님의 통치는 이 땅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현존에 기반이 됩니다.

The rule of God in the human heart is fundamental to the presence of the kingdom on earth.


마음에서의 이러한 통치를 떠나서는, 기독교 신앙에 합치하는 어떠한 외적인 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전체 프로젝트는 하나님께 추악한 것이며 또한 그의 나라의 도래는 확실히 아닌 것입니다.

Apart from this rule in the heart, whatever outward conformity there may be to Christianity, the entir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obnoxious to God and is certainly not the coming of his kingdom.


하나님께서는 마음을 보십니다!

God looks to the heart!


하나님께서는 마음으로부터 자원하는 봉사를 기뻐하십니다!

God is pleased with willing service from the heart!


사실, 사람의 마음에서의 은혜의 통치를 떠나서는, 남자들이나 여자들이나, 하나님 나라를, 심지어 외적으로도, 찾으려고 하지도 않고, 찾지도 않고, 찾을 수도 없습니다.

In fact, apart from the reign of grace in human hearts, men and women will not, do not, and cannot seek the kingdom of God, even outwardly.


사단의 종들로서, 그들은 하나님 나라의 출현 조차도 미워합니다.

As slaves of Satan, they hate even the appearance of the kingdom of God.


그들은 하나님 나라를 파괴하는데 열심입니다.

They exert themselves to destroy God’s kingdom.


그들은 정열적으로 적그리스도의 나라를 세웁니다.

They energetically build the kingdom of antichrist.


그리고 만약에 그리스도가 사람의 마음을 지배한다면, 그 남자나 여자는 모든 인간의 삶의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 것이고 또 그렇게 해야만 할 것입니다.

And if Christ reigns in one’s heart, that man or woman will and must live the life of the kingdom of God—in all spheres of human life.


신앙인이 수동적이고 재세례파와 같이 될 것에 대한 문화 칼빈주의자의 염려는 근거가 없는 것입니다.

The fear of the cultural-Calvinists that believers will be passive and Anabaptistic is groundless.


이러한 염려는, 삶의 모든 주제의 근원이 마음에 있다는 것과, 그 마음에 능력이 있으시고, 모든 것을 총괄하시는 주권이 있으신 예수가 계시다는 것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입니다.

The fear does not reckon with the heart as the source of all the issues of life, or with the mighty, all-comprehensive lordship of Jesus in the heart.


마음에서의 그리스도의 통치에 대하여 비난하거나 저평가해서는 안됩니다.

Do not disparage or underestimate the reign of Christ in the heart!


이것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신조에서는 주기도의 두번째  기원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설명을 시작합니다:"즉 당신의 말씀과 성령으로 우리를 통치하심으로서, 우리가 우리 자신을 더욱 더 당신께 복종하도록 하여 주시옵소서." 그 의미는: 우리를 우리의 마음 안에서 다스리라는 것입니다.

With thi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its explanation of the second petition of the model prayer: “that is, rule us so by Thy Word and Spirit, that we may submit ourselves more and more to Thee.”The meaning is: Rule us in our hearts.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주권

Sovereignty in All Spheres of Life


남자나 여자나, 이 땅에서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께 복종하는 것은,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의 마음 안에서 그리스도가 통치 하시는 것입니다.

Such is the rule of Christ in the heart of the Reformed Christian that he or she submits to Jesus Christ in all spheres of earthly life.


그러므로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모든 영역들에서 (하나님의) 나라의 삶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Thus, the Reformed Christian lives the life of the kingdom in all spheres.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Thus, the kingdom is extended to all spheres.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모두의 왕이시며 주십니다"라는 하나님 나라의 깃발을 올려야 합니다.

Thus, the believer raises the banner of the kingdom of God over every sphere: “Jesus the Christ is king and lord of all.”


그러므로, 하나님의 일반은혜를 완전히 떠나서, 그리고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어떠한 참여가 없어도, 참된 칼빈주의자인,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는, "우리 인간이 존재하는 전 영역에서, 모든 것을 통치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내것이라고 외치지 않으시는 곳이 단 1 입방인치도 없다"는 카이퍼의 유명하고, 흥분된 선언을  완전히 제대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Thus, altogether apart from a common grace of God and without any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 the genuine Calvinist— does full justice to Kuyper’s famous, stirring declaration, “There is not a square inch in the whole domain of our human existence over which Christ, who is Sovereign over all, does not cry: ‘Mine!’” (“ Sphere Sovereignty,” in Kuyper, ed. Bratt, 488).


다음번의 글 내용은 모든 영역들에서 이러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입증하면서 실례를 보여줄 것입니다.

Demonstrating and illustrating this kingdom-life in all the spheres will be the content of the next article.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52

CHRISTIANIZING THE WORLD? (2)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 잡지의 나의 이전 글에서, 나는 많은 개혁주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인,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프로젝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In my previous article in this magazine, I described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a project in which many Reformed people are engaged.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람들은 개혁주의 사람들만이 아닙니다.

It is, however, not only Reformed people who have taken on this project.


미국의 많은 저명한 복음주의자들도 동참하였습니다.

Many prominent evangelicals in the United States have also signed on.


그러나 개신개혁주의 젊은이들은 참여에 대한 요청에 직면하여야 했고, 이러한 요청을 거절하였을 때, 흔히 기독개혁주의 학교에서, 세상을 도피한다는 비난에 직면하여야 했습니다.

But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are confronted with the call to participate, and with the accusation of “world-flight,”if they decline the call, usually at Christian Reformed colleges.


개신개혁주의 젊은이들 쪽에서는- 그리고 참된 개혁주의이거나, 그렇게 되기를 결정한 젊은이들 쪽에서는, 이러한 요청과 비난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여야 하겠습니까?

What should the response to this call and accusation be on the part of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and also on the part of all young people who are and are determined to be truly Reformed?


그들(젊은이들)은 이러한 요청을 거절하여야 합니다.

They must refuse the call.


그들(젊은이들)은,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 인하여 세상을 도피하는 죄로 규정하는 이들의 비난에 대하여 단호히 대응해야 합니다.

They must repudiate the accusation that by refusing to Christianize the world they make themselves guilty of world-flight.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고 시도하는 전체 프로젝트는 비성경적이고, 개혁주의가 아니며, 비논리적이며, 더군다나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The entire project of attempting to Christianize the world is unbiblical, unreformed, illegitimate, and doomed to failure.


이것은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그리고 그의 동시대의 모든 옹호자들의 환상으로부터의 도피입니다.

It is the flight of the fancy of Abraham Kuyper, Herman Bavinck, and all its contemporary advocates.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것은 하나님으로부터 온 소명이 아닙니다.

Christianizing the world is not a calling from God.


성경 어디에도, 명확하게 혹은 선과 필요에 의한 추론에서 건, 하나님께서는 그의 교회 혹은 교회의 구성원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유행을 쫓아서, 세상에 외적으로 영향을 주라고 요청하지는 않습니다.

Nowhere in Scripture, whether explicitly or by good and necessary consequence, does God call his church or the members of the church to influence the world outwardly, after a Christian fashion.


이 세상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소명은 육체적으로 그 안에 있으라는 것이지, 영적으로나 윤리적으로 그 자체가 되라는 것은 아닙니다.(요17:14-16)

The Christian’s calling regarding the world is to be in it, physically, but not of it, spiritually and ethically (John 17: 14–16).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데 있어서, 불신의 세계, 믿지 않는 남녀와 연합함으로서, 그리스도인은 자신을 이 세상의 존재로서의 입장에 있게 합니다.

By joining with the world of ungodly, unbelieving men and women, in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Christian puts himself in the position of being of the world.


그는 이제 거대한 영적 프로젝트, 즉 다름 아닌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프로젝트 안에서, 세상과 하나입니다.

He is now one with the world in a great, spiritual project: nothing less than Christianizing the world.

그는 자신을 세상적 사고에 열어 놓습니다.

He opens himself up to the world’s thinking.


그는 일을 하는 세상의 방식에 참여합니다.

He is party to the world’s way of doing things.


이러한 협력으로 인해서, 그는 자신이 불신자인 남녀들과 함께 하나님의 나라의 모양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자신이 그들과 친밀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In this cooperation, he finds himself fellowshipping with ungodly men and women as together they supposedly build a form of the kingdom of God.


세상의 악마화

Demonizing of the World


성경에서는, 이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은 세상이 기독교화 되는 것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악마화, 즉 하나님 없이 그리스도인를 대적하여 간다는 것에 대하여 분명히 말하고있습니다.

Scripture clearly reveals that God’s plan for the world is not that it becomes Christianized, but that it becomes increasingly demonized, that is, ungodly and antichristian (Matt. 24).


종말 바로 전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그 날에, 어리석은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대학 교수들이 세상의 기독교화를 외치는 바로 그 날에, 세상의 모든 국가들은 짐승, 적그리스도의 나라가 될 것입니다. (계13; 계 17)

Shortly before the end, in the very days in which we are living, in the very days in which foolish Reformed theologians and college professors are clamoring for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all the nations of the world become the kingdom of the beast, Antichrist (Rev. 13; Rev. 17).


내부적으로는, 그들의 마음이 거듭나지 않았기에, 인류의 대다수가 하나님을 대적하며, 그리스도를 대적하며, 교회를 대적하며, 거룩을 대적합니다.

Inwardly, in their unregenerated hearts, the vast majority of the human race are anti-God, anti-Christ, anti-church, and anti-holiness.


그들이 하나님을 미워하는 것은 극도로 증가될 것입니다.

Their hatred of God develops to the extreme.


그들의 사악한 마음을 따라서 그들은 자신들의 외적인 사회적 삶, 자신들의 문화의 틀을 만들어나갈 것입니다.

In accordance with their wicked hearts, they frame their outward, societal life, their culture.


거듭나지 않고, 타락한 마음을 가지 남녀들이 기독교의 외적인 허식 안에서 약간의 기쁨을 가질 수 있다는 생각과, 그리스도로 인하여 영향을 받은 나라를 세우려고 그리스도인과 협력하여 일하려는 생각은 겉으로 보아도 허튼소리입니다.

The idea that men and women with unregenerated, depraved hearts can have some delight even in an outward veneer of Christianity and will work in cooperation with Christians to erect a kingdom influenced by Christ is nonsense on the face of it.


마음이 없다는 것이 삶의 문제의 핵심입니다.

Out of the heart are the issues of life.


거룩하지 않은 마음들은 기독교를 철저하게 미워합니다.

Unholy hearts hate Christianity, root and branch.


하나님을 미워하는 마음들은 하나님을 미워할 나라를 세웁니다.

Hearts that hate God build kingdoms of hatred for God.


국가와 국제적 생활에서 모든 기독교의 외형은 최근 들어 없어졌습니다.

Every semblance of Christianity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fe is effaced in these last days.


현대 이교도들의 문화의 모든 면은 하나님과 그의 거룩하심을 미워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Every aspect of the culture of the modern heathen expresses their hatred of God and of his holiness.


그들의 정책은 사람을 찬양하며, 하나님과 그의 주권으로부터 자유 한 사람을 위하여 통치를 합니다.

Their politics exalts Man and governs on behalf of Man liberated from God and now sovereign.


법원과 의회의 법들은 의도적으로 하나님의 법을 발밑으로 짓밟습니다.

The laws of the courts and congresses deliberately trample God’s laws underfoot.


이렇게 최근 들어 국가에서 반기독교적으로 증가 되고 있는 경멸의 대상이 되는 하나님의 법은 성경에 있는 그의 법 뿐만이 아니라 본성에서의 그의 법도 그렇습니다.

So developed is the anti-Christianity of the nations in the last days that the laws of God that are held in contempt are not only his laws in Scripture, but also his laws in nature.


악마화되어가고 있는 (미국의) 주들은 남성과 여성의 동성 간의 결혼을 합법화 시키고 있습니다.(롬1:24-28)

The demonized State legislates sodomite and lesbian “marriages”(Rom. 1: 24–28).


이들의 교육 체계는 하나님의 위대하신 창조 사역을 경멸하며, 모든 것의 기원을 진화를 통하여 일어나는 이해할 수 없는 우연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Their educational system despises God’s great work of creation, ascribing the origin of all things to blind chance operating through evolution.


그러므로 사람이, 창조와 섭리의 하나님을 대신하여, 모든 것의 목표로서 신격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Thus, Man is deified as the goal of all things, rather than the God of creation and providence.


자신들의 여흥을  죄의 수치 가운데서도,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그리고 인터넷으로 영화롭게 하는 것에는: 성적인 문란과 사악함; 이유 없는 폭력; 선정적인 음악; 인간 삶의 목적으로서의 물질적 부와 물리적 쾌감이 있습니다.

Their entertainment glories in the shame of sin, movies, television, videos, and the internet: sexual promiscuity and perversity; gratuitous violence; sensual music; material wealth and physical pleasures as the end of human life.


예수 그리스도가 가르쳐주신 하나님의 뜻보다는, 인간 자신의 욕망이 옳음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Man’s own lusts are the standard of the right and the good, rather than the will of God as taught by Jesus Christ.


세상의 완고해짐

Hardening of the World


세상에서의 이러한 모든 죄의 발달은 하나님의 세상에 대한 진노의 심판 아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그들이 하나님을 알았을 때에... 그를 하나님으로 영화롭게도 아니하였고, 감사치도 아니하였다"는 것입니다.

And all of this development of sin in the world takes place under the wrathful judgment of God on the world, which “when they knew God…glorified him not as God, neither were thankful.”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불결한 상태로 내어버려 두셨으며; 그들을 악한 영향 하에 두셨으며;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타락한 마음 상태로 두었습니다.(롬1:21-32)

God gives them up to uncleanness; God gives them up unto vile affections; God gives them over to a reprobate mind (Rom. 1: 21–32).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꿈은 하나님의 일반은혜에 의하여 세상의 선한 발달을 제시하지만, 성경에서는 세상은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서 사단의 나라로서 발달되리라는 것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Whereas the dream of Christianizing the world proposes the world’s good development by a common grace of God, the Bible teaches that the world develops as the kingdom of Satan under the judgment of God.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지지자들은 이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과 충돌이 되는 프로젝트를 알면서도 하는 것입니다.

The advocate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knowingly work at a project that conflicts with God’s plan for the world.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의 기독교화를 의도하시지는 않으십니다.

God does not intend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그러므로 이들의 프로젝트는 어리석은 것입니다.

Their project, therefore, is foolish.


그러나 문제는 심각합니다.

But matters are worse.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이들은 자신들이 하나님을 대적하게합니다.

The advocate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pit themselves against God.


심판하심의 위엄으로서, 하나님께서는 세상을 고의적인 불경건 안에서 완악하게 하심으로서, 세상은 죄 가운데 발달되어, 사악함의 컵을 채우게 됩니다.

In his awful but just judgment, God is at work hardening the world in its willful ungodliness, so that the world develops in sin, filling the cup of its iniquity.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하나님의 이러한 일에 대항하여,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고 합니다.

The cultural Calvinists oppose this work of God, attempting to Christianize the world.


이들의 프로젝트는 하나님에 대한 저항입니다.

Their project is resistance to God.


서기 2013년에 모두에게 분명히 드러났듯이, 화란에서의 아브라함 카이퍼와 북미에서의 기독개혁교회(CRC)가 우선 자신들의 나라를 기독교화하고 그 다음은 세계를 기독교화 하려는 프로젝트가 완전히 실패하였습니다.

As is evident to all in AD 2013, the project of Abraham Kuyper in the Netherlands and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North America over the past one hundred years to Christianize first their nations and then the world has been a colossal failure.


그러나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프로젝트가 효과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화란에서의 카이퍼의 개혁교회와 기독교개혁교회는 완전히 세계화되었읍니다.

But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has not been without its effect: Both Kuyper’s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and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have become thoroughly worldly.


세상을 기독교화 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일반은혜로 의도되는, 신을 받아들이지 않는 세상과 협력하는 헛된 사업은 실제로 세상을 기독교로 만들지 못합니다.

The vain enterprise of cooperating with the world of the ungodly, purportedly by a common grace of God, in order to Christianize the world does not, in fact, make the world Christian.


그러나 교회와 이에 소속된 학교들은 세계적으로 만들었습니다.

But it does make the church and its schools worldly.


카이퍼의 교회들은 잘못된 교회- "하나님이 없다"(시14:1을 보라)고 가르치는 사역자들이 있는 교회- 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The churches of Kuyper have become part of a false church—a church that has ministers who preach, “No God!”(see Psalm 14: 1).


기독교개혁교회(CRC)에 관하여는, 사악한 세계에 열려있으며, 하나님의 영광스러우신 작품들과 거룩함에 대한 세상의 가장 심각한 공격에 대하여 관대한데 이는, 진화와 성경이 영감으로 쓰여진 것- 특히 창1-11에 관하여- 을 부인하며, 보편적 구원를 내포하는 하나님의 우주적 사랑과, 여성신장운동, 특히 이혼과 재혼을 용인하는 성적인 문란함과, 최소한 한 군데 소속 대학에서는 남녀 동성애라는 성적인 비행을 조장하며, 간통의 전희로서의 춤에 대한 세속적 행위를 승인하는 것입니다.

As for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t is open to the wicked world and tolerant of the world’s most grievous attacks on God’s glorious works and holiness: evolution and the denial of the inspiration of Scriptur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Genesis 1–11; a universal love of God, implying universal salvation; feminism; sexual promiscuity, particularly in the sanction of divorce and remarriage; promotion in at least one of its colleges of the sexual perversity of sodomy and lesbianism; approval of the very worldly behavior of dancing—the foreplay to fornication.


참된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개신개혁 젊은이를 포함하여, 세상을, 특히 이러한 마지막 날에는, 자신들의 적으로 보아야 합니다.

The true church and the Christian, including the Protestant Reformed young person, must view the world as their enemy, especially in these last days.


그들은 이것으로부터 영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며, 그렇게 하여서 이것을 싫어하여야 하며, 그것과 공공의 목적을 만드는 것을 거절하여야 합니다.

From it, they must separate spiritually, so that they hate it and refuse to make common cause with it.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 지지자들의 죄는,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을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는 세상과 사단을 신으로 섬기는 세상과 친목을 도모하며 협력한다는 것입니다.(고후4:4)

It is the sin of the proponents of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that they promote the friendship and cooperation of God’s people with the world of the ungodly, the world that has Satan as its god (2 Cor. 4: 4).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의 세상과 밀접하게 일하는 것은, 실제에 있어서의 일로서, 아브라함 카이퍼 자신이 인정한 것과 같이, 적그리스도의 나라를 세우는 것으로서, 개혁주의 젊은이들은 세상에 삼킨 바 되고 파괴될 것입니다.

Working closely with the world of ungodly men and women, in a work that is in reality, as Abraham Kuyper himself acknowledged, the building of the kingdom of Antichrist, Reformed young men and young women are swallowed up by the world and destroyed.


이들은, 선한 법률에 관하여, 기원에 관하여, 합법적인 유흥에 관하여, 지상적 삶의 목표에 관하여, 세상의 사고방식을 받아들입니다.

They adopt the world’s thinking—about good laws, about origins, about legitimate entertainment, about the goal of earthly life.


만약에 교회가 완전히 개혁된다면, 이들은 교회를 떠납니다.

They forsake the church, if the church is at all Reformed.


이들은 교회를 너무 좁으며, 너무 구식이며, 지독히 편협 되었다고 여기게됩니다.

They come to regard the church as too narrow, too old-fashioned, even bigoted.


이들은 불신자들과 결혼합니다.

They marry unbelievers.


이들은 세상의 문화와 세상적 삶의 방식에 유혹 되어 길을 잃어버립니다.

They are seduced by and lost to the world’s culture, the world’s way of life.


이것은 세상의 기독교화라는 거대하고, 매력적인 프로젝트로 자신들의 젊은이들을 세상에 보낸 개혁교회의 젊은이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This is happening to the young people of the Reformed churches that send their youth into the world in the great, glamorous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그리고 이들의 사역자들과 대학의 교수들은 이들의 정신을 비난하면서 답변할 것입니다.

And their ministers and college professors are to blame—and will answer for their souls.


평범하지 않은 진노

Uncommon Wrath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하는 개념과 프로젝트에 치명적인 것은,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세상은 하나님의 은혜의 대상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Fatal to the notion and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the truth that the world of the ungodly is not the object of the grace of God.


그 뿐 아니라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들의 세상은 자신들의 삶을 향상 시키고 이끌어나가는 힘으로서의 하나님의 은혜를 즐거워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Nor does the world of ungodly men and women enjoy a grace of God that is a power improving and directing their lives.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 프로젝트의 토대가 되는 일반은혜 이론은 잘못된 교리입니다.

The theory of common grace, which is fundamental to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false doctrine.


은혜는 누군가에 대한 신성한 호의로서, 호의적인 태도를 말합니다.

Grace is divine favor towards someone—a favorable attitude.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의 바깥에 있는 불신자와 우상숭배자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갖지는 않습니다.

God does not have an attitude of favor towards unbelievers and idolaters, who are outside of Jesus Christ.


반대로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악한 행위를 하는 자들을 미워"하십니다.(시5:5)

On the contrary, God “hates all workers of iniquity”(Psalm 5: 5).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문화를 어떤 비구원적 은혜로 움직이지 시지는 않습니다.

God does not drive the culture of the ungodly by some non-saving grace.


그보다는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하지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부터 나타납니다."(롬1:18)
Rather, “the wrath of God is revealed from heaven against all ungodliness and unrighteousness of men, who hold the truth in unrighteousness”(Rom. 1: 18).


이러한 평범하지 않은 진노로, 그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형태로서의 외적인 기독교 사회를 만들도록 영향을 주는 것은 커녕,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상실한 마음대로 내어버려 두심으로서, 합당치 못한 일을 하게 하셨으며, 그들의 나라를 좀 더 완전하고 분명하게 악마의 나라로 드러내셨습니다.

In this uncommon wrath, so far from influencing them to create an outwardly Christian civilization, a form of the kingdom of God, God gives them over to a reprobate mind, to do those things which are not convenient (Rom. 1: 28), thus manifesting their kingdom more fully and clearly as the kingdom of the devil.


세상에 심판이 임박하였습니다.

Judgment is impending over the world!


세상과 하나가 되어 세상의 부도덕함을 기획하고, 실행하며, 발전시킨 모든 이들은 멸망의 날에 하나님의 심판으로 영원히 멸망할 것입니다.

And all those who are one with the world in implementing, exercising, and developing the world’s ungodliness will perish eternally in the divine judgment when it falls.


"큰 성 바벨론"을 건설하는데 바쁜 이들 모두는 멸망과 함께 붕괴될 것이며, 멸망 될 것입니다(계18:2).

All those who have been busy building “Babylon the great”must perish in its fall, and fall it will (Rev. 18: 2).


"거기서 나와라"

“Come Out of Her”


현재 건설하고 있는 세상의 큰 나라에 관한 하나님의 요구하심은 "그것을 기독교화하라! 기독교화하라!"는 것이 아니고, "내 백성아, 거기서 나와 그의 죄에 참여하지 말고 그가 받을 재앙들을 받지 말라"(계18:4)는 것입니다.

The call of God with regard to the great kingdom of the world now abuilding is not, “Christianize it! Christianize it!” but , “Come out of her, my people, that ye be not partakers of her sins, and that ye receive not of her plagues” (Rev. 18: 4).


개신개혁의 젊은이들에 하시는 하나님의 요구하심은 "세상을 기독교화 하라"는 유혹하는 말을 거부하라는 것입니다,

The call of God to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is the opposite of the siren-song, “Christianize the world.”


하나님의 부르심은, "세상과 분리되는 것입니다.하나님에 대한 세상의 반역과 타락으로 너희 자신들을 더럽히지 마세요!세상을 미워하세요! 세상을 대적하세요! 거룩하지 않은 세상 한 가운데에서 거룩하신 하나님의 대행자로서, 세상이 미워하는 것을 기꺼이 참는 것입니다!"

The call of God is, “Separate from the world!

Do not defile yourself with the world’s rebellion against God and filth! Hate the world! Oppose the world! Willingly endure the world’s hatred of you, as representatives of the holy God in the midst of the unholy world!”


이러한 (구원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우리들의 영적인 교회의 아버지와 어머니들이 1924년 기독교개혁교회 (CRC)로부터 축출된 결과를 가져온 일반은혜에 대항하여 맞섰기 때문입니다.

That you might hear this (saving) call, our spiritual and ecclesiastical fathers and mothers took the stand against common grace that resulted in their expulsion from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1924.


그러나 이것은 비개혁주의 관점이며 재세례파의 그리스도임의 삶을 실천하는, 세상에서의 도피에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까?

But does this not amount to the error of world-flight— the unreformed view and practice of the Christian life of the Anabaptists?


전혀 아닙니다!

Not at all!


고의가 아니라면, 이러한 비난은 사실무근입니다.

The charge is groundless, if not malicious.


그리고 이것은 이번 시리즈의 다음 논제가 될 것입니다.

And this will be the content of the next article in this series.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47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

CHRISTIANIZING THE WORLD?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데이비드 엥겔스마 교수)

By Professor David J. Engelsma


These writings originally appeared in Beacon Lights magazine. It was a six part series that ran from March 2013- August 2013.


이것이 교회의 소명입니까?

Is this the calling of the church?


이것이 개혁주의 젊은 남녀의 소명인가요?

Is this the calling of the Reformed young man or woman?


이것이 개혁주의 젊은 이들에 대한 기독교 교육, 특히 개혁주의 젊은 이들의 고등 교육의 목적이란 말입니까?

Is this the purpose of the Christian education of Reformed young people, especially of the higher education of Reformed young people?


만약에 우리가 기독교 개혁교회, 특히 그곳의 고등 학교와 칼빈, 트리니티, 도르트를 포함하는 대학교를 믿어야한다면, 그 대답은 당연히 “예”인 것입니다.

If we are to believe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especially its high schools and colleges, including Calvin, Trinity, and Dordt, the answer is an emphatic yes.


Protestant Reformed의 많은 젊은 이들이 Christian Reformed Church의 사람들과 만남을 갖고 일부 Protestant Reformed의 젊은 이들이 Christian Reformed의 학교에 다니고 있기에 이 세상의 기독교화가 Protestant Reformed 젊은 이들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Since many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are in contact with young people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and since some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attend the Christian Reformed colleges,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becomes an issue for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주 예수께서 우리에게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라는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라고 요구하십니까?

Does the Lord Jesus command us to engage in this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Protestant Reformed에서 이러한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에 대한 불순종을 나타내는 것입니까?

Does the Protestant Reformed refusal to take on this project constitute disobedience to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우리의 이러한 거절이  옛 재세례파의 기독교 생활을 악용하는 이 세상에 관여하지 않는 어리석고 사악함을 증명하는 것입니까?

Do we by this refusal manifest the folly and wickedness of world-flight—the perversion of the Christian life of the old Anabaptists?


Protestant Reformed의 젊은 이들은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데 요구되는 면들에 대한 모든 종류의 열심에 참여하는 것이 결핍됨으로 인해서 죄 의식을 느껴야합니까?

Are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to feel guilty because of their lack of involvement in all kinds of endeavors that claim to be aspects of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아니면 이 전체 기획이 사람의 환상적인 생각에 불과한 것입니까?

Or is the entire project nothing but a fanciful notion of men?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이 프로젝트가 중세의 십자군과 같이 어리석을 뿐만이 아니라 기만하는 것이며 엉뚱한  것입니다.

In this case, the project is not only foolish—a delusion and fantasy—like the crusades of the Middle Ages.


십자군은 예수를 위하여 예루살렘을 정복하는 사명에 있었습니다.

The crusaders were on a mission to conquer Jerusalem for Jesus.


우리 시대의 문화적인 칼빈주의자들은 예수를 위하여 이 세상을 정복하는 사명에 있습니다.

The cultural Calvinists of our day are on a mission to conquer the world for Jesus.


그러나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프로젝트는 "사람들의 계율인 교리를 가르치는" 매우 심각한 죄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입니다.

But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also an instance of the very serious sin of “teaching for doctrines the commandments of men”(Matt. 15: 1–9).


세상을 기독교화 하자는 제창자들은 사람들, 특히 개혁주의 젊은 이들의, 양심에 세상을 기독교화하여야하는 의무가 하나님의 명령인 것 같이 짐을 지워주고있지만, 이는 사실 단순한 인간의 어리석은 꿈에 불과한 것입니다.

For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urden the consciences of people, especially Reformed young people, with the duty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s though this were a commandment of God, when in fact it is merely a fond dream of humans.


Screenshot_2015-10-14-15-56-12.png

프로젝트의 근원

The Source of the Project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현대 십자군의 개혁주의 전통의 근원은 앞 세기의  두 사람의 화란 개혁주의 신학자로서,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입니다.

The source in the Reformed tradition of the modern crusade that tries to Christianize the world is two Dutch Reformed theologians of the previous century, Abraham Kuyper and Herman Bavinck.


이들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화란의 개혁 교회 동료입니다.

They were colleagues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이들은 자신들의 커다란 교단과 전 세계의 다른 많은 개혁 교회에 커다란 영향을 준 사람들입니다.

They were men of great influence, both in their own large denomination and in many other Reformed churches over all the world.


카이퍼와 바빙크는 개혁주의 신앙, 혹은 칼빈주의가, 성경에 대한 기독교 신앙의 순수한 형태로서, 모든 인간의 삶, 모든 창조물과 모든 역사를 통해서 하나님의 주권을 고백하고있다는 것을 보았읍니다.

Kuyper and Bavinck saw that the Reformed faith, or Calvinism, as the pure form of the Christian religion of the Bible, confesses God’s sovereignty over all of human life, indeed over all of creation and all of history.


그들은 칼빈주의가, 개혁주의 신자의 삶의 모두를, 예배와 기도 뿐만이 아니라, 가정 생활, 일과 사업, 교육, 과학, 예술, 그리고 정치에의 참여등 모두들 요구한다고 이해하였읍니다.

They understood also that Calvinism claims all of the life of the Reformed believer, not only worship and devotions, but also family life, work and business, education, science, the arts, and involvement in politics—all.


이러한 당연한 진리들로부터, 그들은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칼빈주의 그리스도인의 소명이라고 추론하게되었습니다.

From these axiomatic truths, they inferred that it is the calling of Calvinistic Christians to “Christianize the world.”


이러한 추론이 근본적인 원칙을 따르지 않은 것은 모두에게 명백한 것입니다.

It should be evident to all that the inference does not follow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s.


하나님께서 모든 피조물과 모든 역사를 주관하신다는 것이, 그분이 자신의 백성들에게 역사를 통하여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할 것이라든지, 교회가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을 요구하신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닙니다.

That God is sovereign over all creation and over all of history does not imply that he wills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by his people in history, and that he calls the church to engage in the project.


그분은 차라리, 그리고 진실로 자신의 교회가 어둡고, 하나님이 없이, 기독교화 되지 않은 세상 한 가운데서 이들과 대조가 되어 빛을 비추기를 의도하고 계십니다.

He may rather, and indeed does purpose that his church shine as light in the midst of and in contrast to a dark, ungodly, and un-christianized world.


아마, 실제로 하늘과 땅의 전체 피조물이 예수님의 재림에 의하여 다시 새롭게 재창조 되는 것이 그분의 목적일 것입니다.(역사 속에서 성도에 의한 것이 아니고, 롬8:19-22)

It may be, and indeed is his purpose that the entire creation of the heaven and the earth be renewed and recreated (not: “Christianized”) by Jesus Christ at his second coming (not: by the saints within history, see Rom. 8: 19–22).


하나님께서는 지옥에 대하여도 주권자이시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지옥을 기독교화 해야 할 교회의 소명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God is also sovereign over hell, but this does not imply the church’s calling to Christianize hell.


마찬가지로, 칼빈주의가 개혁주의 신자에게 전체의 삶을 요구한다는 사실은 개혁주의 신자가 세상을, 혹은 심지어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를 기독교화 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Likewise, the truth that Calvinism claims the entire life of the Reformed believer does not imply that Reformed believers must Christianize the world, or even their own society.


이것은, 모든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모든 삶을 예수 그리스도의 주 되심에 복종 시키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자신의 전체 삶을 살아가도록 은혜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고전 10:31)

What it does imply is that every Reformed Christian is called by grace to bring his or her own entire life under subjection to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and to live his or her entire life to the glory of God (1 Cor. 10: 31).


만약에 나 자신이 이러한 잔인한 의미를 칼빈주의의 근본적인 원칙으로부터 건전한 추론을 기술하도록 강요를 받는다면, 건전한 추론은, 나는 우리가 이 세상에서 우리의 삶 전체를 "기독교화"하라는 부르심을 받았는데, 이는 예배와 기도 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일이나 역할, 우리의 연구들, 과학에서의 우리의 작업, 우리의 예술적인 노력들, 정치와 시민 정부에 대한 우리의 참여등, 모두에서 우리가 부르심을 받은 것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If I were compelled to use the barbarous term to describe the sound inference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alvinism, I would say that the sound inference is that we are called to “Christianize”the whole of our life in the world, not only worship and devotions, but also our work and play, our studies, our work in science, our artistic efforts, our involvement in politics and civil government—all.


전체 세상이 아니라, 전체 세상 안에서의 우리 자신의 삶입니다.

Not the whole world, but our own life in the whole world.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화란 사람은 자신의 동포와 모든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에게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라"는 거대한 과업을 요구합니다.

Nevertheless, the two Dutchmen called their countrymen and all Reformed Christians to this grandiose task: “Christianize the world!”


이들은 많은 강연회와 저술들에서 이러한 요구를 쟁점화하고 있습니다.

They issued the call in many speeches and writings.


특히 아직까지 계속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1898년 미국의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행한 칼빈주의에 대한 카이퍼의 강연들입니다.

Especially influential were and still are Kuyper’s lectures on Calvinism at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United States in 1898.


이 강연은 곧바로 "칼빈주의 강연"이라는 책으로 출간 되었습니다.

The lectures were soon published as a book, Lectures on Calvinism.


수년 간에 걸쳐서, 이 책은 사회와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개혁주의 옹호자의 경전이 되었읍니다.

Over the years, the book has been the bible of the Reformed advocates of the Christianizing of society and the world.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칼빈 신학교에서 하나 이상의 신앙과 신학 과정에서 교과서로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My own copy (Eerdmans, 1953) was the textbook in more than one religion and theology course at Calvin College.


비록 비그리스도인의 활동인 카드 놀이, 극장, 춤에 대한 카이퍼의 금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지라도 이것은 다른 과정들에도 호소력이 있었습니다.("이 세상의 사악한 영향," 73)

It was appealed to in other courses, although not in support of Kuyper’s banning of card-playing, theater, and dance as unchristian activities (“unhallowed influence of this world,”73).


"기독교화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What is Meant by “Christianizing”


카이퍼와 바빙크가 의미하는 이상하고, 비성경적이고, 비교리적인 의미인 "기독교화"는 이 세상이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What Kuyper and Bavinck meant by the odd, non-biblical, non-creedal term “Christianizing,”was not that the world becomes Christian.


세상이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모든 국가에서의 모든 삶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서, 국민의 마음으로부터 하나님을 사랑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법에 복종하여야 할 것을 의미합니다.

That the world becomes Christian would mean that all the life of all the nations would be obedience to the law of God, in love for God from the hearts of the citizens, because they believed in Jesus Christ.


이것은 모든 국가들의 국민들의 대다수가 예수 그리스도께로 돌아와서 구원을 받은 경우에만 해당될 수 있읍니다.

And this could only be the case because a majority of the citizens of all nations had been converted to Jesus Christ and saved.


카이퍼와 바빙크와 그의 동시대의 제자들은 "기독교화"라는 이것을 절대로 마음에 두지는 않았습니다.

“Christianizing”in the program of Kuyper, Bavinck, and their contemporary disciples does not have this in mind whatsoever.


그러나 이것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외적인 행동에 영향을 주도록 하는 기독교의 특정한 영향에 관한 것입니다.

But it refers to a certain influence of Christianity upon people, affecting their outward conduct.


이 세상의 거의 대다수의 사람들은 하나님 없는 불신자들로 남아있을 것입니다.

The vast majority of the people of the world remain ungodly and unbelieving.


그들은 예수가 메시아라는 것을 거부합니다.

They reject Jesus as the Messiah.


그들은 알라든지, 혹은 부처, 혹은 영화 스타들, 혹은 운동 선수들, 혹은 자신들의 돈이든지, 자신들의 우상을 섬깁니다.

They worship their idols, whether Allah, or Buddha, or some movie star, or some athlete, or their money.


그러나 기독교는 그들의 행동, 그리고 심지어는 그들의 사고를 더 나은 것으로 변화 시킵니다.

But Christianity changes their conduct, and perhaps even their thinking, for the better.


카이퍼 자신은 "기독교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말합니다: "그리스도인"["국가를 기독교화"한다는 구절에서]은 이러한 나라에서 거주민의 영적인 상태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아니고, 오직 공적인 의견, 일반적인 마음 가짐, 통치 개념, 도덕 규범, 기독교 신앙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히 드러나는 법률이나 관습들의 사실들에 대한 증거가 될 뿐입니다. (카이퍼의 일반은혜 199)

Kuyper himself described “Christianizing” this way: “Christian”[in the phrase, “Christianizing the nation”] says nothing about the spiritual state of the inhabitants of such a country but only witnesses to the fact that public opinion, the general mind-set, the ruling ideas, the moral norms, the laws and customs there clearly betoken the influence of the Christian faith (“Common Grace,”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98, 199).


바빙크는 "삶의 기독교화"를 기록한 후에 이러한 행동이 "전체 우주와 국가와 지역의 조직적이고 유기적인 개혁"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Bavinck wrote of “Christianizing life,”and then described this activity as “a methodic, organic reformation of the whole cosmos, of nation and country”(“The Catholicity of Christianity and the Church,”Calvin Theological Journal 27 [1992]: 243, 246).


그는 이러한 연결에서 "전체 세계의 정복"을 말합니다.

He spoke in this connection of “the conquest of the entire world”(“Calvin and Common Grace,”a booklet without publisher, place, or date, in my library, 127).


기독교화 된 세상은 여전히 우상과 불신앙과 불의의 어둠에 놓여있지만 이는 외적으로는 좀 더 고상하고 도덕적이며 질서가 있게 된 것이다.

A Christianized world is a world that still lies in the darkness of idolatry, unbelief, and unrighteousness, but that has become outwardly more decent, moral, and orderly.


기독교의 표면적인 것이 세상에 적용이 된 것이며; 이 세상이 "기독교화"되었다는 것입니다.

A veneer of Christianity has been applied to the world; the world has been “Christianized.”


프로젝트의 힘: 일반은혜

The Power of the Project: Common Grace


카이퍼, 바빙크, 그리고 그의 동시대 제자들이, 개혁 교회의 영역에서와 더 넓은 복음주의 기독교의 영역에서,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이 프로젝트의 기반으로 삼는 것은, 하나님께서 신자는 물론 불신자와, 그리스도인은 물론 이방의 모든 인류 가운데 일하시는 일반은혜인 것입니다.

Basic to this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for Kuyper, Bavinck, and their contemporary disciples, both in the sphere of the Reformed churches and in the broader sphere of evangelical Christianity, is a common grace of God working in all humans, godless as well as godly, pagans as well as Christians.


이것은 비록 죄인을 구원하지 않는 저항할 수 없는 은혜는 아닐지라도, 힘 있는 것입니다.

This is a mighty, though not irresistible grace of God that does not save sinners.



카이퍼가 자신의 강연에서 우리에게 충고하는, 일반은혜가 하는 것은:

What common grace does, Kuyper advises us in his Lectures:


하나님께서는 일반은혜로 세상의 생명을 유지 시키시며, 그 위에 놓여있는 저주를 늦추시며, 파멸의 과정을 붙잡으시며, 이렇게 하심으로서 우리의 삶의 자유로운 발전을 허락하심으로서 창조주로서의 자신에게 영광을 돌리게 하신다.(칼빈주의 강연, 30). 이러한 일반은혜로 "세상의 발전이 절정에 이르도록"하며, 궁극적으로 세상이 기독교화 되는 것이 하나님의 목적이다.(카이퍼, 일반은혜, 176)

There is… also a common grace by which God , maintaining the life of the world, relaxes the curse which rests upon it, arrests its process of corruption, and thus allows the untrammeled development of our life in which to glorify Himself as Creator (Lectures on Calvinism, 30). It is the purpose of God with this common grace to “consummate the world’s development,” ultimately in the world’s being Christianized (Kuyper, “Common Grace,” in Bratt, Abraham Kuyper, 176).


카이퍼는 자신의 프로젝트를 위하여 이와 같은 은혜가 매우 많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Kuyper very much needed such a grace for his project.


비교적 소수의 그리스도인 만이 이와 달리 세상보다도 훨씬 적게 자신들의 이웃에 영향을 주리라고 기대 될 수가 없었습니다.

The comparatively few Christians can otherwise not be expected to influence their neighborhoods, much less the world.


그러나 이제 불신자 자신들은, 자신들의 완전한 부패에서 벗어나서 하나님의 저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워지면서, 자신들이 진실로 선한 문화와 사회- 최소한 외적으로는 그리스도께 순응하는 삶의 방법으로-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But now the ungodly themselves, delivered from their total depravity and freed somewhat from God’s curse, can exert themselves to realize a truly good culture and society— a way of life that at least outwardly conforms to Christ.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이 공유하는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 덕분에, 그리스도인은 자신들의 사회와, 자신들의 국가와,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중요한 작업에, 불신자인 이웃과 믿지 않는 지역 사람들과 협력하고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By virtue of this grace of God, which is shared by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Christians may and can cooperate with their ungodly neighbors and unbelieving countrymen in the important work of Christianizing their society, their nation, and finally, the world.


이러한 작업에 있어서, 그리스도인은 자신들만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특별한 은혜의 영향을 추가하였습니다.

In this work, Christians add the influence of the particular grace that is their peculiar possession.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데 이것(일반은혜)이 없이는 이러한 생각은 깨어났을 때 사라지는 꿈과 같이 희미하게 사라질 것이며, 전체 프로젝트는 구멍 난 기구와 같이 붕괴되는 것과 같이 일반은혜는 그만큼 중요한 것입니다.

So important is common grace to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at without it the notion fades away like a hazy dream upon one’s awakening, and the entire project collapses like a pierced balloon.


이것이, 기독교개혁교회(CRC)가 1924년에 헤르만 훅세마에 반대하며 일반은혜 교리를 변론하면서, 죄인을 가두지 못한 이유의 일부입니다.

This is in part the reason that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1924 took no prisoners in its defense of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against Herman Hoeksema.


기독교개혁교회(CRC)는 마음과 영혼으로,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카이퍼의 십자군에 동참하였읍니다.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was committed, heart and soul, to Kuyper’s crusade of Christianizing the world.


이 교단의 정신은, 그 이후에 점진적으로,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보다는, 문화적인 칼빈주의가 되었습니다.

The spirit of that denomination was then, and has increasingly become cultural Calvinism, rather than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m.


성경을 공부하는 많은 학생들이 그렇지는 못했지만, 이러한 이론이 성경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는 이론이라는 것을 인식하였습니다.

Every student of Scripture cannot but notice how this theory turns the Bible on its head.


그리스도인이 선을 위하여 세상에 영향을 주어야 하는 것은 성경에서의 주요한 충고가 아닙니다.

It is not a prominent admonition in the Bible that Christians must influence the world for good.


그러나 참된 교회와 하나님의 거룩한 자녀는, 세상이 자신들에게 줄 영향에 대하여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자신들을 보호해야 하는 것이 성경의 거의 모든 곳에서 의 경고입니다.

But it is a warning on almost every page of Holy Scripture that the true Church and the holy child of God must be vigilant in guarding against the world’s influencing them (James 1: 27; James 4: 4; Rom. 12: 2; Gal. 1: 4).


예수 그리스도가 계시지 않는 하나님의 나라

The Kingdom of God without Jesus Christ


회의론자가 세상을 기독교화 하자는 이러한 황당한 캠페인에 대한 성경적 증거를 요구할 때, 문화 기독교에 열광하는 이들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말하는 성경의 본문에 호소합니다.

When the skeptic requests biblical proof for this quixotic campaign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enthusiasts for cultural Christianity appeal to the biblical texts that speak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그러므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과 하나님의 나라는 동일시됩니다.

Thus, a Christianized world is identified with the kingdom of God.


기독교화에 헌신하는 이들이 즐겨 사용하는 함의는, 이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이들, 주로 개신개혁교회(PRC)들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이 없으며, 진실로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찾는 것도 추구하는 것도 실패했다는 것입니다.

The implication, which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are happy to draw, is that those—chiefly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who reject the project are without a kingdom-vision, indeed fail to seek and promote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중상모략입니다!

A slander!


다음 회에서 나는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생각과 프로젝트를 비평하려고 합니다.

I intend to subject the notion and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o criticism in my next installment.


그러나 독자들로 하여금 일반은혜의 나라가 어떠한 모양이나 형태든지 간에 성경에서 계시 된 하나님의 나라는 아니라는 것을 주의 깊게 관찰하도록 해야 합니다.

But let the readers observe carefully that the kingdom of common grace is not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e Bible in any shape or form.


이것은, 최선을 다한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기독교 신앙의 어떤 면에 외적으로 순응 된 나라로서, 거듭난 마음에서 우러난 하나님에 대한 어떠한 사랑과 열심이 없는 것입니다.

It is a kingdom, at best, of merely external conformity to some aspects of the Christian religion, without any love of and zeal for God in regenerated hearts.


이는 국민들의 나라로서, 그들 대부분이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미워하며- 그 결과 참된 교회와 진실 된 신자들은- 우상을 숭배하고 불신앙 가운데 완고하게 살아가게 됩니다.

It is a kingdom of citizens most of whom hate God and his Christ—and therefore the true church and genuine believers—worshipping idols and living impenitently in unbelief.


이러한 나라에서 가장 저주스러운 것은, 십자가에 달리시고 일어나신 주 예수께서 그 가운데 왕으로 통치 하시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What is most damning about this kingdom is that the crucified and risen Lord Jesus does not reign in it as king.


적그리스도를 양산하는 일반은혜

Common Grace Produces Antichrist


나는 일반은혜의 나라, 즉 카이퍼, 바빙크, 그리고 현대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개념이 형성된, 기독교화된 세상에서의 국민의 한 사람이 아닙니다.

I for one am not a citizen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that is, of a Christianized world as conceived by Kuyper, Bavinck, and the modern cultural Calvinists.


나는 나의 영혼 구원의 위험으로 인하여, 이러한 나라를 세우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물론, 시민권도 포기합니다.

I renounce citizenship in this kingdom, as well a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of building it, on peril of my soul’s salvation.


일반은혜의 나라의 이상함에 더할 것은, 카이퍼 자신에 따르면, 그것의 마지막 형태와 발전 안에서, 일반은혜에 의하여 기독교화 된 세상 나라의 건축은 적그리스도의 나라가 된다는 것을 증명 할 것입니다.

For adding to the peculiarity of the common grace kingdom is that in its final form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Kuyper himself, the architect of the kingdom of a world Christianized by common grace will prove to be the kingdom of Antichrist.


일반은혜라는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은 오직 죄인이 무대에 출연함으로서 연출 될 수 있으며...일반은혜는...죄에 대하여 역사상 가장 강력한 증거가 되며...바빌론은...부와 광채를 가장 웅장하게 드러내는, 가장 정교한 형태를 보여 줄 것이며,삶을 눈부시고 영광스럽게 만드는 모든 것의 가득한 찬란함일 것입니다.이것으로부터 우리는 "일반은혜"가 끝까지 기능을 계속하리라는 것을 알게 된다. 오직 일반은혜가 인간의 삶 가운데서 유래하는 모든 힘의 완전한 출연을 자극했을  때 "죄 가운데 있는 인간"은 이러한 힘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평평한 지형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일반은혜" 아브라함 카이퍼,180,181)

The closing scene in the drama of common grace can be enacted only through the appearance on stage of the man of sin…Common grace…leads to the most powerful manifestation of sin in history…Babylon…will display the most refined forms, the most magnificent unfolding of wealth and splendor, the fullest brilliance of all that makes life dazzling and glorious. From this we know that “common grace”will continue to function to the end. Only when common grace has spurred the full emergence of all the powers inherent in human life will “the man of sin”find the level terrain needed to expand this power (“Common Grace,”in Bratt,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180, 181).


사람들은 이러한 것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열정을 수그러뜨리리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One would think that this would dampen the enthusiasm of the cultural Calvinists for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그들은 실제에 있어서는, 의심스러운 프로젝트인, 세상의 적그리스도화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in reality, working at the Anti- christianizing of the world—a dubious project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12. 13. 17:43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

CHRISTIANIZING THE WORLD?

 

번역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데이비드 엥겔스마 교수)

By Professor David J. Engelsma

 

These writings originally appeared in Beacon Lights magazine. It was a six part series that ran from March 2013- August 2013.


 

역자 서론

 

데이비드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는 그가 2013. 3-2013. 8까지 개신개혁교회(PRC) 젊은이들의 잡지인 Beacon Lights magazine에 6회에 걸쳐서 연재한 것이다.

 

연재 내용은 주로 카이퍼의 일반은혜를 근거로 하는 기독개혁교회(CRC)의 세상과 문화를 변화시키고자하는 운동에 이의를 제기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 PRC의 분리와 탄생

 

북미의 개신개혁교회(Protestant Reformed church:PRC)가 1924년 기독개혁교회(Christian Reformed Church:CRC)로부터 분리되었던 주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수용 여부였다.

 

PRC는 1924년 카이퍼의 일반은혜 이론이 북미기독개혁교회(The Christian Reformed Churches in North America)에서 논쟁의 중심이 되었을 때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에 반대하는 헤르만 훅세마(Herman Hoeksema)를 중심으로 분리된 교단이다.

 

데이비드 엥겔스마(David. J. Engelsma)는 개신개혁교회(Protestant Reformed church)에 소속된 목회자로서 이번 글을 통하여 화란개혁주의에 속하여 있는 기독개혁교회(Christian Reformed Church)가 추구하는 "세상을 기독교화하자"라는 주제가 과연 성경적 근거가 있는지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엥겔스마는 이번의 강좌를 통하여 드러난 문제들의 근원이 1924년 CRC가 카이퍼의 일반은혜 교리를

수용하여 확대 발전시킨 것에 있음을 지적하면서 PRC가 CRC에 대하여 얼마나 뿌리 깊은 불신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고있다.

 

● 시대적 요구

 

아브라함 카이퍼 번역협회(Abraham Kuyper Translation Society)에서는 Lexham Press를 통하여 조만간 8가지 핵심 주제로 정리된 아브라함 카이퍼의 저서를 총 12권의 양장본으로 발행한다. 이 가운데는 이전에 영어로 접할 수 없었던 것들이 포함되어있다.

 

엥겔스마는  카이퍼 저서들의 번역 작업에 카톨릭 재단이 관여 되어있음에 대하여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

(엥겔스마의 강연 "Kuyper's commom grace, christianizing culture"중에서)

 

기독교가 사회의 변방으로 소외되고 급격한 교인 수의 감소로 인하여 기독교가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기독교의 사회 참여에 부응하기 위한 대안으로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새로운 조명을 받고 있다.

 

이미 카이퍼의 일반은혜는 CRC와 칼빈신학교를 중심으로한 화란개혁주의의 문화변혁 운동에 많은 원동력을 제공해 주고있지만 1924년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으로 인하여 분리를 맛보았던 PRC의 저항에 다시 한번 더 직면하게 되었다.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는 PRC의 저항이 어느 정도 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카이퍼의 일반은혜

 

엥겔스마는 이번 글의 주제를 카이퍼의 일반은혜와 연계시키고 있다.

 

비록 제목은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이지만 CRC와 칼빈신학교를 중심으로 한 이러한 운동의 근거를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두고 있다.

 

신학 이론을 비평하는 일반적인 신학자들의 접근 방식과 달리 엥겔스마는 강연 내용을 정리한 관계로 인하여 단순하게 성경적 근거와 경험적 근거를 통하여 일반은혜의 문제점을 지적해 나간다.

 

엥겔스마는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칼빈주의와는 관계없는 개념이라고말한다.

 

급기야는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이 세상 짐승의 나라를 세우는 운동의 근거를 제공 한다고 하면서까지 상당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세상을 기독교화하자는 프로젝트인 카이퍼의 일반은혜 프로젝트가 붕괴될 때 하늘의 성도들이 기뻐할 것이라고 말한다.

 

● 문화칼빈주의:

 

아브라함 카이퍼의 신칼빈주의가 전통적 칼빈주의와 구별되는 가장 큰 점은 문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신칼빈주의자들은 소위 말하는 문화명령(창 1:28, 혹은 창조명령, 지배명령, 통치명령으로 불리우기도한다)을 대위임령만큼, 혹은 대위임령보다도 중요한 명령으로 여기고있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주된 사명감과 관심은, 전도와 선교의 근거로 삼는 대위임령(마28:16-20)보다는 소위 말하는 문화명령(창 1:28)의 실행에 있다.

 

문화명령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과정에서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준다면, 기독교세계관운동은 문화변혁운동의 근거와 방법론을 제시해준다.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는 문화칼빈주의라고 할 수 있는 카이퍼의 신칼빈주의의 이론적 근거보다는 실천적 배경에 중점을 둔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 기독교세계관 운동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에서는 기독교세계관 운동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실제 내용에 있어서는 신칼빈주의 기독교세계관 운동에 대한 비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을 잘 보여주는 알버트 월터스(Albert Wolters)의 저서 “창조 타락 구속(Creation Regained)”에서는 문화변혁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와 이론을 제시해주고있다.

 

알버트 월터스(Albert Wolters)는 자신의 저서 “창조 타락 구속(Creation Regained)”에서 미셔널 처치 운동을 하는 마이클 고힌과 함께 2005년 개정판을 내면서 이들이 공통적으로 톰 라이트의 새관점 사상을 수용하고있음을 밝히고있다.

 

현 시대에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이 흘러가는 방향은 전통적 칼빈주의의 궤도를 벗어나 톰 라이트의 새관점 신학에 합류하는 경향을 보이고있다.

 

그 중의 한 예로서 리처드 미들턴(Richard Middleton)의 “새 하늘과 새 땅"이 화란개혁주의 기독교세계관의 이름으로 톰 라이트의 새관점 틀에서 저술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그동안 개혁신학의 뼈대를 이루고 있었던 언약 신학의 틀에서 행위 언약의 개념이 상실되어가고있는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개혁주의 언약 신학은 처음 아담과 마지막 아담을 행위 언약의 구조 안에서 대비시키면서 율법과 복음, 율법과 은혜라는 대비 구조로 전개되고있다.

 

문화 명령으로 해석되는 창 1:28은, 종말론적 축복과 영원한 생명이라는 안식에 이르기까지, 아담에게 주어졌던 능동적 순종의 요구이었다.

 

마지막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즉 그리스도의 율법의 요구에 대한 완전한 순종은, 아담에게 요구되었던 능동적 순종(창 1:28)에 대한 충족이었으며, 이는 그리스도의 고난의 수동적 순종과 함께 신자에게 전가된 것이다.

 

율법은 아담에게 요구되었던 창 1:28의 능동적 순종의 요구가 재연(Republication)된 것이기에 행위 언얏의 범주에 속하여있으며, 동시에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교사로서의 은혜의 속성을 가지고있다.

 

문화변혁주의자들의 범주에 속하여있는 신칼빈주의자들과 새관점주의자들은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 언약 속성을 철저히 배격하고있다.

 

행위 언약 개념은 언약 신학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구조물이지만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의 신학도 신칼빈주의나 새관점과 마찬가지로 행위 언약의 개념을 배제하고있다.

 

선교적 교회, 즉 미셔널 처치는 행위 언약 개념을 배제하고 오직 은혜 언약만을 주장하는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서 출발되었다.

 

행위 언약 개념이 배제된 신학, 즉 신칼빈주의, 신정통주의, 톰 라이트의 새관점들은 문화라는 이름 아래 하나로 융합될 수밖에 없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칼빈 신학교의 마이클 고힌은 칼 바르트의 하나님 선교 개념의 미셔널 처치 운동과,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 그리고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자연스럽게 융합하면서 자신의 신학을 문화변혁 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보편화시키고있다.

 

엥겔스마의 이번 비평은 마이클 고힌의 기독교세계관 운동에 적용해 볼 때 비교적 정확하게 윤곽을 그려볼 수 있다.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엥겔스마의 염려에 덧붙인다면, 이제는 카이퍼의 신칼빈주의가 문화와 접목된 칼빈주의의  변질을 넘어서, 종교개혁 신앙고백을 부정하는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과의 접목되고있다는 염려와 더불어, 이러한 접목의 틀을 제공한 카이퍼의 이론적 근거의 문제점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 이원론적 사고:

 

엥겔스마의 전개 논리는 표면적으로는 톰 라이트나 신칼빈주의에서 한결같이 비난하는 이원론적 사고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의 논리에는 사단과의 영적 전쟁이라는 개념이 깔려있다.

 

요한계시록에서 말하고 있는 음녀 바벨론의 세계를 건설하는데 있어서 그리스도인의 영적 분별력을 촉구하고 있다.

 

신칼빈주의 기독교세계관에서 결핍되어있는 사단의 세력과의 영적 전투 개념이 아직 그에게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고있으며, 이를 단순히 이원론적 사고로 치부하는 것은 오히려 신칼빈주의의 영적 분별력의 결핍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 두왕국

 

엥겔스마의 비판은 단지 화란 개혁주의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신칼빈주의가 톰 라이트의 새관점과 이머징 미셔널 처치와 손을 잡고 움직이는 One Kingdom개념에 반대하는 Escondido중심의 신학자들이 제시하고있는 "자연법과 두 나라(Natural Law and Two Kingdom)"개념 조차도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을 수용하고있다는 면에서 엥겔스마는 "두 나라(Two Kingdom)" 개념에 대한 비판도 서슴치 않는다.(엥겔스마의 일반은혜 강연회에서)

(개인적으로는 엥겔스마보다는 오히려 자연법과 두 왕국 개념을 주장하는 David VanDrunen과 John Fesko가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화란개혁주의가 일반화된 현재의 상황과 또한 신칼빈주의에 대한 비평에 앞장서고 있는 웨스트민스터신학교(WSCal)중심의 Escondido신학마져도, 카이퍼의 일반은혜를 수용하고있다고 비평하는 엥겔스마의 뿌리 깊은 일반은혜 개념에 대한 부정적 관점은 분명 많은 신학자들을 당혹케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 전적 부패교리의 상실

 

칼빈주의의 5대 강령 가운데 첫 번째는 인간의 전적 부패(Total Depravity), 즉 전적인 무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전적인 부패는 아담의 죄가 전가된 것에 근거를 두고있지만 아담의 역사성을 부인하는 이들이 인간의 전적인 부패를 수용하기는 쉽지가 않다.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에서는 인간의 전적 부패, 즉 전적인 무능력에 대한 언급을 찾아보기 힘들며 엥겔스마는 카이퍼의 일반은혜를 비판하는 강연에서 카이퍼가 인간의 전적 부패를 부정하고있음을 지적한다.

 

J. Glenn Friesen은 카이퍼와 도예베르트의 사상의 뿌리가 카톨릭 철학자 Franz von Baader(1765-1841)의 기독교 신지학(Christian Theosophy)에 있음을 밝힘으로서 카이퍼의 문화에 관한 사상과 개념들이 과연 개혁주의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의문을 제시한다

 

J. Glenn Friesen이 밝힌대로(여기참조) 카이퍼의 사상의 뿌리가 카톨릭 철학자 Franz von Baader의 신지학(Theosophy)에 있다면 이는 인간의 철학에 의하여 시작된 논리로서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무능의 개념을 찾아보기는 힘들 것이다.

 

인간이 선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은 어디까지나 자연법의 차원 안에 한정되어있으며 구속을 위한 특별법에까지 연결되지 않지만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은 구속과 관계된 하나님의 특별법의 영역으로까지 연계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Christianizing world?)"에서의 비판은 카이퍼의 일반은혜를 근거로 하는 인간의 성취 능력과 방향이 구속의 영역에까지 연결되는 것에 대한 비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극단적 칼빈주의(hypercalvinism)

 

PRC 소속인 엥겔스마의 CRC에 대한 비판과 공격으로 인하여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엥겔스마를 극단적 칼빈주의자(hypercalvinist)라고 비난한다.

 

엥겔스마가 속하여 있는 PRC는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거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일반은혜 개념을 수용한 CRC와 대립관계를 유지하게되면서 엥겔스마 이전 부터 CRC 입장에서는 PRC의 사람들을 극단적 칼빈주의자(hypercalvinist)라고 비난하여왔었다.

 

원래의 극단적 칼빈주의는 알미니우스의 오류에 대한 반동으로 나온 것이지만 John Murray는 극단적 칼빈주의를 가리켜 알미니우스적인 태도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태도를 악(evil)으로 규정하고 있다.(최홍석, 존 머리를 통해 본 기독교 복음선포 53)

 

CRC입장에서 볼 때 엥겔스마는 세상과 문화에 대하여 배타적 입장을 취하고 있기에 극단적칼빈주의자로 보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엥겔스마의 입장에서 본다면 엥겔스마를 극단적 칼빈주의자(hypercalvinist)라고 칭하는 것은 옳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첫 번째로, 엥겔스마는 카이퍼의 일반은총 개념이 칼빈의 5대 강령 중의 첫번째인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무능력함을 부인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John Murray는 극단적 칼빈주의를 알미니우스와 마찬가지로 잘못되었다고 말하지만 존 머레이의 신학에는 항상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무능력,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가 밑바탕에 깔려있다.

 

John Murray 입장에서 본다면 일차적으로 인간의 전적부패를 부정하는 카이퍼의 일반은혜가 문제가 있다고 말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두 번째로 엥겔스마의 비판은 구원론에 대한 것이 아니다.

 

극단적 칼빈주의(hypercalvinism)논쟁은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이라는 구원에 관한 것이다.

 

엥겔스마가 문화칼빈주의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구원론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신론과 인간론에 대한 것이다.

 

문화라는 주제는 "하나님의 의"라는 신론을 바탕으로한  문화 명령을 위한 인간의 책임으로, 이미 구원론이라는 주제를 떠난 상태에서 논하고 있는 것이다.

 

엥겔스마는 일반은혜 반론은, 이를 다시 구원론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관점의 변화를 촉구하는 것이다.

 

엥겔스마의 주장은, 극단적칼빈주의의 입장을 보여주기보다는, 일반은혜를 근거로하여 이 세상을 기독교화함으로서 이 세상과 자신을 구원하는 능력이 인간 안에 내재하여있다는 암묵적인 자기의를 비판하고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존 머레이도 인간이 드러내는 가장 큰 악을 "자기의 (self-righteousness)라고 말하고있다.

 

엥겔스마의 문화에 대한 예민함은, 인간의 책임을 외면하는 극단적 칼빈주의와 같은 복음 전도의 회피보다는, 문화변혁 운동을 통하여 구원을 선행하는 자기의에 대한 경계가 앞선 것이다.

 

또한 회중적 교회 중심의 하나님 나라 개념을 가지고 있는 엥겔스마 입장에서는, 극단적 칼빈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복음 전도의 폐쇄성이 아니라,  우주적 교회론의 하나님 나라 개념을 가지고 있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대한 교회론의 붕괴에 대한 우려가 밑바탕에 깔려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엥겔스마의 논리는, 극단적이기보다는 카이퍼가 인정하지 않는 인간의 전적인 부패와 전적인 무능력에 대한 칼빈주의의 기본 교리에 충실한 것이며,  동시에 삶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서 하나님의 주권 못지않게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 에큐메니컬 운동

 

엥겔스마는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이 에큐메니컬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주는 것에 대하여 우려를 표명한다.

 

그는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강연에서 카이퍼의 일반은혜의 번역사업에 카톨릭 제단이 관여된 것에 대하여 우려를 표명한다.

 

카이퍼의 일반은혜 이론은 타교단과의 장벽은 물론 교회의 일반 사회에 대한 장벽을 넘어서는 것이며, 더 나아가 모든 우주 만물이 하나님의 영역임을 선포하며, 만물의 구속을 말하는 우주적 교회론의 근거를 제공해주고있다.

 

기독교 2000년 동안에 교회의 분열은 구원론에 관한 것이었고,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 인간의 책임에 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한 것이었다면, 하나님의 은혜와 영광이라는 신론 중심의 신학은 이제까지의 교단의 분열을 아우르기에 충분한 새로운 도전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많은 함정이 도사리고있다.

 

톰 라이트에 의하면, 어거스틴 이후의 기독교의 분열은 개인적 회심에 의한 구원론 중심에서 출발한 신학이, 개인적 회심에서 출발된 루터의 구원론적 신학에 의하여 종교개혁이 이루어졌으며, 종교개혁 이후의 끊임없는 교회의 분열의 배경에는 구원론 중심의 신학이 자리를 잡고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신론 중심의 새관점의 정당화되고있는 가운데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는 구원의 최종 종착지로서의 우주적 교회론을 향하고있다.

 

에큐메니칼을 추구하는 WCC의 교회론인 미셔널 처치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는 문화를 통한 사회변혁이라는 카이퍼의 문화에 대한 관점과 맥락을 같이하고있다.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과 알버트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으로 대변되는 신칼빈주의 기독교세계관, 그리고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를 기초로 한 이머징 미셔널 처치의 대연합(great convergency)은 에큐메니컬의 성취는 물론 기독교의 사회 문화와의 접목을 추진하여 "세상을 기독교화(christianizing world)"하는데  하나가 되고있다.

 

엥겔스마는 비록 신칼빈주의의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언급이 없고 이머징미셔널 처치의 사화변혁 운동에 대하여 언급을 하지 않고있지만 엥겔스마의 "세상을 기독교화(christianizing world)"한다는 것에 대한 비평은 이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의 초창기 선교사들은?

 

100여년 전의 한국에 파송되었던 선교사들의 의식구조 가운데는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이 없었다.

그들의 선교활동은 이미 카이퍼의 일반은혜 개념 이전에 시작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들 선교사들은 하나같이 문화 활동에 참여하였고 그로 인하여 이조500년의 뿌리 깊었던 유교적 문화를 기독교적 문화는데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신칼빈주의의 문화명령의 개념과 문화변혁, 문화물의 천국보존 개념들이 아니라 오직 마28:19-20의 대위임령에 의한 것이었다.

 

100여년 전의 평양 대부흥도 문화 활동과는 거리가 멀었었다.

 

사람의 인위적인 변혁운동이 아닌 오직 성령 사역의 열매로 인한 회개 운동이었다.

 

지금 한국 교회의 부흥을 위해 필요한 것은 소위 말하는 문화명령의 실행이 아니라 올바른  교리를 기초로 한 참된 복음의 회복과 이로 인한 성령의 역사와 열매로서의 회개가 시작될 때만 가능한 것이다.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6. 14. 15:24
코르넬리스 프롱크 목사가 말하는 카이퍼의 신칼빈주의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Cornelis Pronk목사님이 Neo-calvinism에 관하여 정리한 글 중에서 카이퍼의 핵심적 신학 사상을 중심으로 일부분을 번역한 것이다.

기존의 신칼빈주의에 대한 대부분의 글들이 카이퍼의 후예들에 관한 것이라면 프롱크 목사님의 다음의 글은 주로 카이퍼 자신의 신학 체계속에 담겨있는 신칼빈주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들은 카이퍼의 기본 사상의 핵심적 개념들인 일반 은총과 반정립, 유기체적 교회론과 문화 명령, 하나님의 예정들이 서로가 어떻게 연관되어 하나의 신칼빈주의의 신학 체계를 형성하여 가고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

카이퍼가 1897년 뉴 저지주에 있는 프린스턴 대학에서의 강연을 모은 칼빈주의라는 그의 책을 보게 되면, 그는 칼빈주의라는 용어를 4가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는 칼빈주의를 다음과 같이 보고 있다:
In his book Calvinism, which is a collection of lectures on that subject delivered at Princeton University, N.J. in 1897, Kuyper mentions four uses of the word Calvinism. According to him Calvinism may be viewed as:

1. 반대자들에 의하여 개혁주의자들에게 대하여 주어진 분파적인 명칭
1. a sectarian name given to the Reformed by their opponents.

2.예정 교리와 그와 관계된 진리들에 동의하는 이들에 의하여 사용된 고백적인 명칭
2. a confessional name used by those who subscribe to the dogma of Predestination and other related truths.

3. 칼빈주의자인 침례교인이나 감리교인과 같이 칼빈주의자로 분류되길 원하는 교회들에 의하여 사용되었던 교파적인 명칭
3. a denominational name used by churches which want to be identified as Calvinist, such as Calvinistic Baptists and Methodists.

4. 역사적으로나 철학적, 혹은 정치적 의미로서의 과학적 명칭
4. a scientific name, either in a historical, philosophical or political sense.

카이퍼는 말하기를: 역사적으로 칼빈주의라는 명칭은, 루터주의나 재세례파나 소시니언이 아닌 한에는, 개혁의 움직임이 나아가는 분야를 가리키고 있다.
Says Kuyper: Historically, the name of Calvinism indicates the channel in which the reformation moved, so far as it was neither Lutheran, nor Anabaptist nor Socinian.

철학적인 의미에서 말한다면, (칼빈주의는) 칼빈의 주도적인 기획의 영향을 받아서, 삶의 여러 영역에서 지배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들의 조직을 통해서 이해 하려는 것이다.
In the philosophical sense, we understand by it that system of conceptions which,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ster-mind of Calvin, raised itself to dominance in the several spheres of life.

그리고 정치적인 명칭으로는, 칼빈주의는 제도적인 정치력에 있어서 국가의 자유를 보장해주는 정치적 운동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처음에는 화란에서 있었고, 그다음에는 영국에서, 그리고 18세기 말엽 이후의 미국에서 있었다.
And as a political name, Calvinism indicates that political movement which has guaranteed the liberty of nations in constitutional statesmanship; first in Holland, then in England, and since the close of the 18th century in U.S.A.

카이퍼가 이해하고 있는 칼빈주의의 개념은, 소위 말하는 독립적인 일반적 성향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고유의 모체의 원칙으로부터, 우리의 삶과 우리의 사고 모두에서 독립적인 형태로 발전하는 것으로서의 과학적인 의미를 말하는 것이다.
It is in this scientific sense that Kuyper understands the concept of Calvinism , namely as "an independent general tendency which, from a mother-principle of its own, has developed an independent form both for our life and for our thought among the nations of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카이퍼에게 있어서 칼빈주의의 범위는 그 당시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었던 것보다도 훨씬 넓은 것이었다.
For Kuyper the domain of Calvinism was much broader than what most people in his time understood by it.

개혁주의 범위 안에 있었던 그의 동료들은 칼빈주의를 근본적으로 교회론적이고 고백적인 운동으로 보았던 것이다.
His contemporaries in Reformed circles saw Calvinism as basically an ecclesiastical and confessional movement.

그들에게 개혁적 혹은 칼빈주의적 이라는 것은 인간이 부패 하였다는 것과 구원을 위해서는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존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믿는 것을 의미하였다.
Reformed or Calvinistic for them meant believing in the depravity of man and his absolute dependence on God for salvation.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이들은 은혜의 교리, 혹은 칼빈주의 5대 강령을 부정하는 알미니안이나 현대주의자들에 대항하여 이를 강조하였다.
In other words, they stressed the doctrines of grace or the so-called Five Points of Calvinism in opposition to Arminians and Modernists who denied these doctrines.

카이퍼는 자신의 동료 개혁주의 신자들에게 칼빈주의가 이것보다 훨씬 더 크다고 확신 시키는 것을 자신의 삶에 있어서의 사명으로 생각하였던 것이다.
Kuyper saw it as his mission in life to convince his fellow Reformed believers that Calvinism was much more than that.

그는 이것이 우리를 이해시키고 현실감을 가지게 할 수 있는, 세상과 삶에 대하여 모든 것을 망라하는 관점이라고 주장한다.
It was an all-encompassing world-and-life view, he insisted,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and make sense of reality.

그는 말하기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우리의 과업은 칼빈주의의 원리들로 세상을 품어서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시키어, 모든 창조 질서가 속하여있는 그리스도께 구속되도록 주장하여야 할 것이라고 한다.
Our task as Christians, he said, is to bring the principles of Calvinism to bear upon the world so as to influence and change it, redeeming and claiming it for Christ to whom the whole created order belongs.

카이퍼에 의하면, 칼빈주의의 핵심적 개념은 모든 영역에 있어서 전체 피조계를 관할하는 하나님의 주권이다.
The key-concept of Calvinism, according to Kuyper, is the sovereignty of God over the whole cosmos in all its spheres.

이러한 하나님의 주권은 국가와 사회와 교회에서의 인간의 3중 주권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This Divine sovereignty is reflected in a three-fold human sovereignty, namely in the State, in Society and in the Church.

카이퍼의 칼빈주의의 개념은 신칼빈주의라고 불리어지는데 이는 반대자들에 의해서 뿐만이 아니라 카이퍼와 그의 동료들 자신들로부터도 불리어지는 것이다.
Now it is this concept of Calvinism that has come to be referred to as Neo-calvinism, not only by its opponents, but by Kuyper and his followers themselves.

비록 카이퍼는 자신의 생각들의 대부분이 칼빈에게 함축적으로 표현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원래의 고전적 칼빈주의나 개혁주의 신앙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새로운 사상들이나 가르침 들인 것이다.
It is neo or new in that it represents ideas and teachings which are not found in the original, classic Calvinism or the Reformed Faith, although Kuyper claimed that many of his ideas were seminally present in Calvin.

그는, 이 근원들이 칼빈의 사상에 있으며 이것들은 단지 실행되고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The seeds are there in Calvin's thought, he says, they only need to be worked out and applied.

실은 칼빈이 모든 것에서의 하나님의 주권을 가르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Now it is true that Calvin taught the sovereignty of God in all things.

그(칼빈)도 역시 하나님의 주권이 구원에만 제한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교리가 삶의 모든 것, 즉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포함하여, 가족의 역할, 사회에서의 그리스도인의 소명, 과학의 영역, 기타 등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He also knew that God's sovereignty is not limited to salvation but that there are implications of this doctrine for all of life, including Church-State relations, the role of the family, the Christian's calling in society, the place of science, etc.,etc.

하지만 칼빈 사상의 깊은 뜻들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카이퍼는 일부 중요한 부분에서는 원래의 것과는 동떨어진 것들로 구성된 칼빈주의 체계로 귀결 시켜버린다.
Yet in the process of working out the implications of Calvin's thought, Kuyper ended up with a system of Calvinism that in some important areas constituted a departure from its original version.

카이퍼는 화란에서 칼빈주의의 원리들을 사회의 모든 영역에 적용을 시킨 영향력으로 인하여 자주 칭찬을 받곤 한다. 이 칭찬은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이다.
Kuyper has often been praised for the impact he has made on the Netherlands by applying Calvinistic principles to society in all its spheres. This praise is well-deserved.

반정립이라는 단어는 대립을 뜻하는 anti와 명제, 혹은 이론과 진술을 뜻하는 thesis로 이루어졌다.
The word antithesis is made up of anti, meaning against, and thesis which means proposition, theory or statement.

그렇다면 반정립은, 예를 들자면, 신앙이나 철학의 영역에서 대적자들이 믿음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Antithesis, then, means taking position against beliefs held by one's opponents e.g., in the area of religion and philosophy.

카이퍼에 의하면 교회와 세상 사이에는 근본적인 반정립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According to Kuyper there exists a basic "antithesis"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이를 표현하자면, 구속 받은 이들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원칙으로 살아가고 다른 이들은 하나님이 미워하는 반대의 원칙으로 살아간다
The redeemed live out of one principle-love for God-and all others live out of the opposite principle, enmity of God, however this might be expressed.

교회와 세상 사이에 이러한 간격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이 두 진영 사이에는 협력이 전혀 있을 수 없다고 결론을 지을 수도 있다.
One might conclude from this that with such a gap existing between church and world there could be no cooperation at all between the two camps.

그러나 카이퍼는 일반은총이라는 새로운 교리를 만듦으로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발견하게된다.
But Kuyper found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by constructing a new doctrine, namely that of common grace.


나는 이것(일반은총)이 진짜 새로운 것이라고 말할 수 없는데, 이는 칼빈과 개혁주의 신앙고백들에 이미 존재하였던 요소들이지만,사실 카이퍼가 이 교리에 대하여 자신의 도장을 찍은 것이다.
I shouldn't say it was new, really, because we find elements of it already in Calvin and the Reformed confessions, but it is a fact that Kuyper put his own stamp on this doctrine.

그렇다면 카이퍼가 규정하고 있는 일반 은총이란 무엇이란 말인가?
What, then, is common grace as defined by Kuyper?

이것은 하나님께 선택 받은 자에게만 주어지는 특별한 구원의 은총에 더 하여서,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들에게도 주시는 은혜가 있다는 것이다.
It is the idea that in addition to special or saving grace which is given only to God's elect, there is also a grace which God bestows on all men.

특별 은총은 사람들의 마음을 거듭나게 하는 것인 반면에 일반 은총은 (1) 일반적으로 인류 안에 있는 죄로 인한 파괴적인 과정들을 억제하는 것이고 (2) 비록 거듭나지는 않았지만, 사람들로 하여금 우주에 있는 잠재적인 능력들을 개발하도록 하여서 타락 전에 사람에게 주어진 문화 명령을 완성시키는 일에 긍정적으로 공헌하도록 하는 것이다.
Whereas special grace regenerates men's hearts, common grace (1) restrains the destructive process of sin within mankind in general and (2) enables men, though not born again, to develop the latent forces of the universe and thus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fulfillment of the cultural mandate given to man before the Fall.

모든 사람이 자신들 안에 남아있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인하여 이러한 일반 은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은 삶의 환경을 향상 시키며, 빈곤과 싸우며 모두를 위한 사회 정의를 추구하기 위하여 믿지 않는 이들과 함께 일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Because all men share in this common grace by virtue of the image of God left in them, Christians can and should work together with unbelievers towards improving living conditions, fighting poverty and promoting social justice for all.

이 외에도 카이퍼는 일반 은총이 우리들로 하여금 세상의 선하고 아름다운 모든 것을 인식하고 감사하도록 하여서 하나님의 선물을 감사함으로 즐거워하도록 허락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Besides, Kuyper argued, common grace enables us to recognize and appreciate all that is good and beautiful in the world and allows us to enjoy God's gifts with thanksgiving.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예술과 과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서 문화의 발전에 관여하여야한다.
Therefore Christian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the arts and sciences and thus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카이퍼는 이러한 방식, 즉 주일을 평일과 분리 시키며,신학적 의미들에 있어서의 육적인 것으로부터 영적인 것을 분리시키며, 은혜로부터 자연을 분리시키는 "경건주의적 이원론"을 제거하도록, 개혁주의 공동체에 도전을 가하고있다.
In this way Kuyper challenged the Reformed community to "purge themselves of their 'pietistic dualisms,' their separation of Sunday from the workweek, of the spiritual from the physical-in theological terms, of nature from grace" (James Bratt).

카이퍼의 일반 은총 이론은 그의 전체 작품과 사상의 핵심이 되고있다.
Kuyper's doctrine of common grace has been called the linchpin of his entire work and thought.

카이퍼는 이를 반정립 이론과 기술적으로 결합시켜서, 교회와 세상의 차이를 보존하려는 이들을 설득시켰을 뿐만이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최소한 문화의 어떤 면에 대하여 좋게 생각하는 개혁주의 영역 안에 있는 지식인들도 만족시키고있다.
By skillfully combining it with the doctrine of the antithesis, he reassured those who were concerned to preserve the difference between church and world, while on the other hand he also satisfied intellectuals within the Reformed camp who appreciated at least some aspects of culture.

그러므로 일반 은총은 이중적 목적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Common grace thus served a dual purpose.

이(일반 은총 교리)는 전적 부패의 교리를 회심 하지 않은 이들 가운데 있는 선의 존재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동시에 이 세상 가운데 아직 존재하는 어떠한 선이든지, 이는 인간의 노력의 결과물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의 열매임을 주장함으로서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고 있다.
It reconciled the doctrine of total depravity with the presence of good among the unconverted, while at the same time emphasizing God's sovereignty by insisting that whatever good there still is in the world is not the result of human effort but the fruit of divine grace.

통치 체제나 법으로서의 기관에서 일반 은총이 보여주었던 것과 같이, 예술과 과학도 단순한 은혜의 산물이 아니라, 은혜의 수단으로서 하나님께서 죄를 억제하시고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원래부터 의도하셨던 데로 창조물을 발전시키는 수단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But not only that, common grace also showed that such institutions as the government and the law, the arts and sciences were not just products of grace but means of grace- instruments whereby God restrained sin and enabled man to develop creation as He had originally intended.

그러나 만약에 일반 은총이 카이퍼 사상의 핵심이라고 한다면, 이는 바로 자신의 체계의 취약점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But if common grace was the linchpin of Kuyper's thought, it also proved to be the Achilles heel of his system.

많은 개혁주의 사람들이 카이퍼와 그의 사상을 따르고 있지만, 역시 많은 이들이 그의 관점에 동의하지 못하고 있다.
For while many Reformed people followed Kuyper and his ideas enthusiastically, there were also many who disagreed with his views.

특히 분리 교회들에서 신칼빈주의에 반대하는 이들이 많이 있었다.
Especially in the Secession churches there was much opposition to Neo-Calvinism.

린드붐이나 텐 후어 같은 이들은 매우 중요한 분야의 일부분에서 카이퍼의 가르침들이 성경과 개혁주의 신앙고백에 상반된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Men like Lindeboom and Ten Hoor were convinced that in some very important areas Kuyper's teachings were contrary to Scripture and the Reformed confessions.

나는 이에 대하여 상세한 기술을 할 수는 없지만, 관심 있는 세 분야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고자 한다.
I cannot go into detail here, but I will mention three areas of concern.

첫째로는 교회에 대한 카이퍼의 교리이고, 두번째로는 교회의 우선되는 과업에 대한 그의 관점이고, 세번째로는 문화와 그것의 잠재적 구속에 대한 낙관적인 관점이다.
First there was Kuyper's doctrine of the church.Second, there was his view of the primary task of the church. And, third, his optimistic view of culture and the potential for redeeming it.

카이퍼는 기관으로서의 교회와 유기적 조직체로서의 교회를 구분하여야한다고 믿고 있다.
Kuyper believed that a distinction should be made between the church as institute and the church as organism.

기관으로서의 교회는 세가지 직무에 대한 위임을 받았는데 이는 가르치는 일과 성례를 집행하는 것과 제자 훈련을 시키는 것에 대한 소명을 말한다.
As institute the church has been entrusted with the three offices and is called to preach and administer the sacraments and exercise discipline.

유기적 조직체 혹은 성도들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사회적 활동에 관여하여서 문화 명령을 수행하는 것이다.
As organism or body of believers she is to be involved in social activities and thus carry out the cultural mandate.

이러한 식으로 구분하는 것은 별 문제가 없지만 카이퍼가 사용하였던 방법은 분리 교회 신자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다.
As such there was nothing wrong with this distinction, but the way Kuyper used it alarmed the Seceders.

카이퍼가 말하는 참된 교회는 기관으로서의 교회가 아니라 유기적 조직체로서의 교회를 말하는 것 같다.
Kuyper seemed to say that the real church is not the church as institute but the church as organism.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기관으로서의 교회는 교회의 전부가 아니며, 참되고 필연적인 교회도 아니며, 교회 자체도 아니며, 다만 교회를 통하여 설립된 기관이며, 말씀이 그 가운데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한 교회이다."
This is how he put it: "The church as institute is not all of the church, nor the real or essential church, not the church itself, but an institute established through the church and for the church in order that the Word can be effective in its midst."

달리 표현한다면, 기관으로서의 교회는 유기적 조직체로서의 교회를 섬기기 위하여 존재하며, 성도들로 하여금 이 세상에서 자신들의 과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church as institute exists to serve the church as organism, equipping the saints for their task in the world.

그렇다면 이러한 일이 무엇이란 말인가? 카이퍼에게는 이것이 무엇보다도 사회에 관여를 하여서, 세상을 그리스도를 위하여 회복 시키며, 문화 명령을 수행하는 것이다.
And what is that task? For Kuyper it is primarily one of social involvement, redeeming the world for Christ, obeying the cultural mandate.

그러므로 신칼빈주의는 이전의 칼빈주의나 개혁주의 신학에서 근본적으로 이탈되었음을 보여주고있다.
Thus neo-Calvinism marks a radical departure from the older Calvinism or Reformed theology.

카이퍼 시대 이전까지는 개혁주의는 교회를 구원에 관련된 기관으로, 성령이 역사하시는 장소로, 죄인이 구원받고 성도가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세상에서 살수 있도록 무장하는 것은 물론 믿음으로 양육되도록하는 터전으로 보았다.
Until Kuyper's time the Reformed viewed the church as a salvation-institute, the work-shop of the Holy Spirit, where sinners are saved and believers nurtured in the faith as well as equipped for living in this world as Christians.

그러나 카이퍼의 계획 안에 의하면, 선택 받은 이들이 이미 거듭난 상태로 이 세상에 태어났기 때문에 탄생할
때부터 이미 은혜의 상태 안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But in Kuyper's scheme the elect enter this world already regenerated and thus may be presumed to be in a state of grace from birth.

사실 유아는 이러한 가정에 의하여 세례를 받는 것이다.
In fact, infants are to be baptized on the ground of this presumption.

결과적으로 교회의 우선 되는 과제는 거듭난 이들을 양육하며 이들이 세상에서 살아가도록 준비를 해주는 것이다.
Consequently, the church's primary task is to nurture the regenerate and prepare them for life in the world.

카이퍼 이전에 개혁주의에서는, 교회가 이 사회에서 할 일이 있었다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았지만, 죄인의 구원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Prior to Kuyper the Reformed, while not denying that the church has a task in society, put the emphasis on the salvation of sinners.

그러므로 전통적인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에서는, 회개에 관한 성경의 주요 주제들을 다루는데 있어서, 신자의 매일의 회개 뿐만이 아니라 교회생활에서의 회심하지 않았던 부분과 거듭남, 칭의, 성화 그리도 기타 등등의 회개에 대한 처음의 행위에 대하여도 가르친다.
Preaching for the Old School Calvinists, therefore dealt with the great Biblical themes of repentance-and then not just daily repentance of believers, but also the initial act of repentance on the part of the unconverted in the churchfaith, the new birth, justification, sanctification and so on.

그러나 카이퍼에 와서는 강조점의 이동이 일어났다.
But with Kuyper a shift in emphasis took place.

말씀을 통하여 죄인의 마음에서 성령이 일하시는 것보다는, 사회와 문화의 회복을 위하여 그리스도인이 하여야 하는 일이 중요한 것으로 바뀐 것이다.
Not what the Holy Spirit works in sinners' hearts through the Word, but what Christians should do to redeem society and culture-that became the important thing.

이는 우리들을 문화 명령으로 이끌어오는 것이다.
This brings us to the cultural mandate.

카이퍼는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타락 전에 주신 직무가 아직 오늘날의 그리스도인의 직무라고 믿고 있다.
Kuyper believed that the task God gave Adam before the fall is still the task of Christians today.

사실 그(카이퍼)는 오직 그리스도인만이 진실로 이러한 직무를 적절히 수행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그들이 하나님의 영에 의하여 거듭났고 아담의 타락으로 인하여 상실된 원래의 관계가 회복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In fact, he says it is really only Christians who are able to carry out this task properly because they have been regenerated by the Spirit of God and restored into the original relationship which was lost through Adam's fall.

그럼 이러한 직무가 무엇이란 말인가?
What was that task?

창세기 1장 28절을 읽어보자,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축복하시고, 기타 등등.
Let us read Gen.1:28, "And God blessed them, etc.

카이퍼는 이 구절이 하나님의 사람에 대한 진정한 목적을 요약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목적은 죄인들의 구원이 아니라, 우주의 구속을 말하는 것이다. 구원은 단지 이러한 목적의 수단일 뿐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시는 진정한 목적은 우리가 아담과 이브에게 주어진 이러한 처음의 명령, 혹은 문화 명령을 수행하게 하려는 것이다(라고 카이퍼는 말한다.)
This verse, Kuyper says, sums up God's real purpose for man. That purpose, ultimately, is not the salvation of sinners, but the redemption of the cosmos. Salvation is but the means to that end. God's real purpose in saving us is that we will carry out that original command or cultural mandate first given to Adam and Eve.

카이퍼와 그의 제자들에게는 이러한 명령이 너무도 중요했기에 이것은 대위임령을 앞서는 것과 같이 보인다.
So important is this mandate for Kuyper and his disciples that it seems to take precedence over the Great Commission.

카이퍼는 그리스도가 구속의 중재자이실 뿐만이 아니라 창조의 중재자라고 믿고 있다.
Kuyper believed that Christ is not only the Mediator of redemption but also Mediator of Creation.

이것은 그리스도가 잃어버린 죄인 뿐만이 아니라 상실된 세계와 우주를 위하여 죽으셨다는 것을 의미한다.
That means Christ died not only for lost sinners but also for a lost world or cosmos.

이를 달리 표현한다면, 카이퍼의 관점으로는, 예정이 선택 받은 자의 구원에만 관계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창조 세계의 회복과도 관계된다는 것이다
To put it still differently, in Kuyper's view, predestination does not just concern the salvation of the elect but also the restoration of the entire creation.

예정에 있어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관심을 창조 세계 전체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하나님의 뜻이 역사 전체를 관할 함으로서 하나님 자신의 손으로 만드신 작품을 통하여 하나님 자신이 영광을 받으시려는 목적을 향하게 된다
God in predestination focusses His attention on the whole creation so that the decree encompasses all of history and is directed to the end that He will receive the glory from all the works of His hands.

이러한 방식으로 카이퍼가 생각한 것은, 사람들의 관심이 특정한 혹은 특별한 은총의 일에만 제한되어서는 안되고, (사람들의 관심이) 일반 은총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완전하게 다른 일에까지도 확장되어야한다는 것이다.
In this way, Kuyper felt, one's attention is not restricted to the work of particular or special grace, but it also extends to that completely different work of God in the realm of common grace.

그렇다면 그리스도인은 이 세상에서 방대한 양의 직무를 담당하여야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문화 명령을 수행하여야 하며, 창조적 잠재력을 충분히 발전시켜야하는 것이다.
The Christian, then, has a formidable task in this world.
He is to carry out his cultural mandate and fully develop the creation's potential.

실제로 이 분야에서의 신자의 활동은 하나님 나라의 오심을 준비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명령이 완성되기까지 그리스도는 다시 오시지 않으신다는 것이다.
In fact the believer's activity in this area is absolutely necessary as a preparation for the coming of God's Kingdom. Christ will not return until this mandate is completed.

카이퍼는 말하기를, 우리에게 있어서 확실한 것은 그리스도의 재림은, 군사에서 승리한 교회로의 변화를 가져올 뿐만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 자연과 세상에 숨겨 놓으신 모든 것이 마지막이 도래하기 전에 빛 가운데 나타나야 한다고 말한다.
For us, Kuyper says, it is certain that the Parousia must bring us not only a change from the militant to the triumphant church...but also that everything that God has hidden in nature and the world must be brought to light before the end can be ushered in.

분명히 카이퍼는 여기서 너무 멀리 나아간 것이다, 그리고 그의 많은 동료들도 그렇게 했고 또 그렇게 하고 있다.
Surely Kuyper went too far here. And so did and do many of his followers.

그리 오래되지 않은 몇 해 전에, 토론토에 있는 전신이 AACS였던 ICS의 대변인 가운데 한 사람인 B. Zijlstra는 기록하기를 "교회는 필연적으로 태초에 인류에게 주어진 원래의 과업을 다시 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회복된 인간성"이고, 그의 관점은 마태복음28장의 선교적 명령이 근본적으로 창세기 1장28절의 문화 명령을 다시 표현하거나 아니면 다시 진술한 것이라고 보고있는 것이다.
Not many years ago, B. Zijlstra, one of the spokesmen for the Toronto based ICS., formerly AACS, wrote that the church is essentially "redeemed humanity restored to its original task assigned to mankind at the beginning," and that in his view the missionary mandate of Matt. 28 is basically a republication or restatement of the cultural mandate of Gen. 28.

그러나 이것이 성경적인 기독교란 말인가? 절대로 아니다. 그리스도의 재림이 우리의 문화적 노력으로 이루어진 과정에 의존한다는 생각은, 좋게 표현해서, 말도 안되는 생각이다.
But is this Biblical Christianity? Hardly. The very notion that Christ's second coming is contingent on the progress we make with our cultural endeavours is preposterous, to put it mildly.

만약에 우리 주님이 재림 하실 때가 우리의 활동과 관계가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신약 성경에 강조되어있는 선교적 사역과 관계 되는 것이다.
If the timing of our Lord's second coming has anything to do with our activity it is our involvement in missionary work that is emphasized in the NT.

예수님 자신이 마태복음 24장 14절에서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 그제야 끝이 오리라" 와 같이 말씀하신다.
As Jesus Himself states in Matthew 24:14, "This gospel of the kingdom shall be preached in all the world for a witness unto all nations; and then shall the end come."

그러나 창세기 1장 28절은 어떠한가?
But what about Gen.1:28?

오늘날 우리에게 이것을 말씀 하시지 않는가?
Does it have nothing to say to us today?

그렇다. 여기서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주어진 명확한 과업이나 선교를 말씀하시고 계시다는 것을 부인할 수가 없다.
Yes it does. It cannot be denied that here God speaks of a definite task or mission given to man.

그러나 소위 말하는 문화명령이 아담에게 주어졌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동일하게 강력하다는 말인가? 분명히 아니다.
But is this socalled cultural mandate still in force in the same way as it was for Adam? Clearly it is not.

문화 명령의 개념에는 법적인 함축적 의미가 담겨있다.
The very notion of a cultural mandate has a legalistic connotation.

이것(문화 명령)은 은혜의 맥락이나 은혜 언약에 속하여있지 않다는 의미이다.
It is a term that does not belong in the context of grace and the covenant of grace.

하나님께서 이러한 명령-당신이 이렇게 부르기를 원한다면-을 주셨을 때는 아직 타락이 일어나지 않은 상황이다.
When God gave this mandate, if you want to call it that, the fall had not yet taken place.

그러나 아담이 범죄 하였을 때 그는 더 이상 이 명령을 수행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
When Adam sinned, however, he was no longer in a position to carry out this command.

태초에 사람에게 부여된 과업을 아담에게로부터 책임을 넘겨 받아서 충족시키신 분은 두번째 아담이신 그리스도이시다.
It was Christ, the second Adam, who took over this responsibility from the first Adam and fulfilled the task assigned to man at the beginning.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처음의 명령을 폐지하시지 않으셨다. 다만, 이를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이 직접 이 요구를 감당하신 것이다.
No, God did not abrogate His original demand. Rather, in Christ He Himself met that demand.

우리를 위하여 자신이 순종하심으로서 율법을 지키신 것이다.
By His obedience He has kept the law for us.

그의 구원 사역의 결과는 우리의 행위와 행동의 성격이 근본적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The result of His saving work is that the character of our work and activity has fundamentally changed.

문화적이든 아니면 그 밖의 것이든 간에, 선한 행위들은 신자들에 의하여 감사함으로 행해져야 하고 두려움에서 하면 안되는 것이다.
Good works, cultural or otherwise, are now performed by the believer out of gratitude and never out of fear.

그러므로 우리의 활동이나, 혹은 이것들의 결핍이, 그리스도의 재림을 재촉하거나 늦출 수 있다는 어떠한 생각도 완전히 거부되어야 할 것이다.
Any notion, therefore, that our activities, or the lack of them, could either hasten or delay the return of Christ is to be firmly rejected.

이 때문이든 아니면 다른 이유에서든 간에 문화 명령이라는 의미는 삼가야 할 것이다.
For this and other reasons the term cultural mandate should be avoided.

W.H. Velema는 "의미에 있어서는 이것이 그리스도의 사역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도 아니고 우리를 모두 다 처음의 출발선으로 돌려놓는 것도 아니다... 우리의 일은 그리스도가 이 세상 역사의 결정적인 전환을 가져온 것을 뒤 따라서 행해져야 할 것이다."
As dr. W.H. Velema says, "as a term it does not show a relation to the work of Christ and puts us all the way back to the starting line... Our work takes place after Christ has brought about a decisive turn in world history."

사도들이 믿는 이들에게 선한 행위를 하라고 권면 할 경우에 이들은 항상 명령법을 직설법에 연결 시키곤 하였다.
When the apostles urge believers to perform good works they always join the imperative to the indicative.

달리 표현하자면, 행위에 대한 명령은 항상 그리스도의 완성된 사역을 근거로 하여 논해져야한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command to work is always issued on the basis of Christ's finished work.

우리의 영적인 활동들 모두는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을 근거로 하는 것이다.
All our spiritual activities are grounded in His saving activity.

신칼빈주의자들은, 문화에 대한 강조로 인하여, 선교적 헌신에 있어서, 신자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범주와 맥락에서 자신들의 일을 하여야한다는 사실에 대한 관점을 상실하는 경향이 있다.
Neo-Calvinists, with their emphasis on cultural, rather than missionary endeavour tend to lose sight of the fact that believers do their work in the sphere and context of Christ's soteriological work.

복음의 참된 사역의 과정을 못하게 하는 것은 비극적 오류인 것이다.
This is a tragic error which has hindered the progress of the real work of the Gospel.

최근에는 J. Douma 나 W.H. Velema 같은 신학자들이 카이퍼와 그의 추종자들이 문화 명령을 위하여 제시한 해석학적 근거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했다.
Recently, theologians like J. Douma and W.H. Velema have questioned the exegetical basis which Kuyper and his followers have adduced for the cultural mandate.

예를 들어서 Douma는 창세기1:28; 2:15, 3:23과 시편8이 진실로 신칼빈주의자들이 믿는 것과같이 모든 것을 망라하는 명령을 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의구심을 갖는다.
Douma, e.g., wonders if such passages as Gen.1:28; 2:15, 3:23 and Psalm 8 really constitute such an all-encompassing mandate as Neo--Calvinists believe.

창세기 1:28과 2:15이 동산을 가꾸고 보존 할 뿐만이 아니라 땅을 정복하도록 위임한 것이 사실이지만, 이것은 창조물의 생명이 충만한 잠재력에 이르도록 하라는 명령으로 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True, Gen. 1:28 and 2:15 assign man the task of subduing the earth as well as dressing and keeping the garden, but does this have to be seen as a mandate to bring the life of creation to its full potential?

Douma는 히브리어인 abad가 단순히 땅을 경작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Douma points out that the Hebrew verb abad means simply to cultivate a field.

이러한 노동은 사람이 먹기 위하여 요구되는 것이다.
This labour is required of man if he is to eat (Gen.1:29; 2:5; 3:17ff.).

이러한 구절들은 일하는 것과 먹는 것이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죄는 일을 더욱 힘들게 만들었다는 것을 우리에게 말하여준다고 생각된다.
What these verses seem to tell us is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working and eating and that sin has made work difficult.

Douma는 넓은 의미에서 여기서의 경작한다는 뜻에 담겨있는 뜻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지만, 그는 이 구절을 근거 이상으로 읽는 것에 대하여 주의를 주고있다.
Douma does not deny that there may be implications here for culture in a broader sense, but he cautions against reading more into these verses than is warranted.

Culture가 하나님께서 자신의 창조에 씨의 형태로 주신 것을 드러낸다는 의미에서 특별한 명령 이상의 결과물이라고 그는 보고있다.
Culture in the sense of the unfolding of what God has put in His creation in seed form, in his view, is more a matter of consequence than a specific mandate.

하나님께서 사람을 자신의 형상으로 창조하셨고 번성하라고 독촉을 하셨기 때문에, 인류는 땅에 충만할 것이고 그 과정 중에 문화가 발전할 것이기에, 이것은 먹고 마시는 것 이상이어서 사람이 아직까지도 많은 좋은 것들을 즐긴다고 볼 수 있다.
Because God has created man in His image and with the urge to reproduce himself the human race will populate the earth and in the process a culture will develop that will go beyond eating and drinking so that man may still enjoy many good things.

Venema는 Douma에게 동의하면서 그리스도인에게 특별한 문화 프로그램을 끝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생각은 거부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이 우선 윤곽이 그려져야 하는데, 이에 대하여 신약성서에서 전혀 증거를 찾을 수가 없는데도 홀로 "명령"으로 규정되고 있는 것이다.
Velema agrees with Douma and rejects the idea that Christians are under obligation to finish off a specific cultural program, for in that case such a program would first have to be drawn up, but for this we find no evidence at all in the NT, let alone that it prescribes a "mandate."

그는 이와같이 문화와 사회에 개입하여야한다는 선입관에 반대하면서 이것은 그리스도인의 삶의 "순례자" 특성을 잃어버리는 것이라고 경고를 한다.
He warns against such a preoccupation with culture and social involvement that the Christian life loses its "pilgrim" character.

우리는 원래 이 땅에서 영원한 이방인이고 순례자인 것이다.
We are first and foremost strangers and pilgrims on earth.

순례자가 된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교회에 필수적인 것이다.
Being a pilgrim is essential for the church of Christ.

신약의 신자들은 자신들이 과정 중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The congregation of the NT knows that she is 'on the way.'

성도는 여기가 고향이 아니다.
She is not at home here.

성도는 자신의 옛날의 환경에서 이탈 되었고 지금은 사람이 아니고 그리스도가 세울 나라가 장래에 나타날 것을 고대하고 있는 것이다.
She has been loosed from her old environment and now looks for the future revelation of the Kingdom which Christ will establish, not man.

Velema는 명령 대신에 그리스도인의 이 세상에서의 소명이나 부르심을 말하는 것을 선호한다.
Velema prefers to speak of the Christian's vocation or calling in the world instead of a mandate.

이 소명이 무엇이란 말인가? 이것은 이 죄악된 붕괴되는 세상에서 소금과 빛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And what is this vocation? it is to live in this sinful and corrupt world as salt and light.

소금이 맛을 낼 뿐만이 아니라 고기나 다른 음식들의 부패를 감지하는 것과 같이,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인은 복음의 증인으로서 그리고 거룩한 행보로서 주변의 세상에 영향을 줄 것을 모색하여야 한다.
Just as salt checks decay in meat and other foods, as well as giving it flavour, so Christians should by their Gospel witness and holy walk seek to influence the world around them.

달리 말하자면, 그들(그리스도인들)의 세상에서의 존재와 활동은 죄의 파괴적인 영향들이 경감되거나 소멸되도록 도와야 하며, 사회에서의 삶이 복음을 선포하는 일에 관용적이거나 전도적이 되도록 만들어야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ir presence and activity in the world should help to alleviate and offset the baneful effects of sin and make life in society tolerable and conducive to the work of proclaiming the Gospel.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서 하는 모든 것은 선교적이며 종말론적 초점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Everything we do as Christians should have a missionary and eschatological focus.

심지어 우리가 이와 같은 문화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조차도, 그리스도의 도래할 나라의 관점으로부터 행하여져야하는 것이다.
Even our cultural involvement such as it is, should take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 coming kingdom.

이것은 신약에서의 분명한 가르침이다.
This is the clear teaching of the NT.

바울이 빌립보서에 기록한 바와같이 "모든 일을 원망과 시비가 없이 하라 이는 너희가 흠이 없고 순전하여 어그러지고 거스르는 세대 가운데서 하나님의 흠 없는 자녀로 세상에서 그들 가운데 빛들로 나타내며 생명의 말씀을 밝혀 나의 달음질이 헛되지 아니하고 수고도 헛되지 아니함으로 그리스도의 날에 내가 자랑할 것이 있게 하려 함이라(2:14-16)"
As Paul writes to the Philippians," Do all things without murmuring and disputings: That ye may be blameless and harmless, the sons of God, without rebuke, in the midst of a crooked and perverse nation, among whom ye shine as lights in the world, holding forth the word of life; that I may rejoice in the day of Christ, that I have not run in vain, neither laboured in vain." (2:14-16). Cf.,I Thess. 3:13; 5:23; 2 Pet. 3:14.

세상에 대하여 이러한 종류의 영향을 주도록 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우리의 소명이지만, 우리는 성공이라는 비현실적인 희망을 받아들여서는 안되는 것이다,
While it is our calling as Christians to try to have this kind of impact on the world, we should not entertain unrealistic hopes of success.

우리는 분명히 하나님의 나라가, 문화적이든 혹은 선교적이든 간에, 우리의 노력들을 통해서 올 것을 기대해서는 안된다.
We should certainly not expect the Kingdom of God to come through our efforts, be they cultural or missionary.

눈에 보이는 결과라는 방식으로 우리가 찾을 수 있는 최상의 것은 주님께서 영광 가운데 우리로 하여금 다가올 나라의 몇 가지 징조를 세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시는 것이다.
The most we can look for in the way of visible results is that the Lord will graciously enable us to erect a few signs of the coming Kingdom.

이 나라는 근본적이고 종말론적으로 현실적이지만, 충만함과 눈에 보이는 징후가 관계되는 한에서는, 이는 아직 미래의 실제인 것이다.
That Kingdom is basically and eschatological reality, i.e., as far as its fullness and visible manifestation is concerned, it is still a future reality.

이 세대 동안에 이는 근본적으로 내면적이고, 영적이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다.
During this dispensation it is basically inward, spiritual and invisible.

천상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다고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The kingdom of heaven, Jesus said, is within you.

이제 그리스도는 자신의 백성의 마음에서 통치를 하시며 그는 자신의 교회의 왕이시며 이와 같이 인식 되어지신다.
Christ now rules in the hearts of His people and He is King in His Church and acknowledged as such.

그렇다, 그리스도는 당연히 이 세상의 왕이시지만, 그가 다시 오실 때까지는 사단이 불법적으로 왕자로서 이 세상을 계속 다스릴 것이고, 이 세대가 지속될 때까지는 요한1서 5장19절에 요약되어있는 바와 같이 "온 세상은 악한 자 안에 처한 것"(혹은 악한 자인 사단에게)이기에, 문제는 그리스도인이 이 세상에서 해야 할 과업이 있느냐 없느냐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과업이 무엇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그것의 성경적 기초와 이를 위한 근거가 무엇이냐는 것이다.
True, Christ is also King of the world, but until His return Satan continues to rule, be it illegally, as prince of the world, and as long as this dispensation will last "the whole world lieth in wickedness" (or in the wicked one, Satan.) I John 5:19 Summing up, the question is not whether Christians have a task in this world or not, but what this task consists of and what is the Scriptural basis and warrant for it.

우리가 알아본 바와 같이, 카이퍼는 그 기초를 일반 은총의 교리에 두고 있다.
Kuyper, as we saw, found the basis in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이 교리는, 혹은 최소한 그가 공식화하고 있는 방식에 있어서는, 일련의 문제에 노출되어있다.
This doctrine, or at least the way he formulated it, is open to serious question.

만약에 그가 의미하는 일반 은총이 단순히 교회가 항상 이해하고 있었던, 즉 하나님의 은혜가 모든 사람 가운데 임함으로 해서, 그가 의인이나 불의한 자나 모두에게 해를 비추시고 비를 내리시는 것이라면, 나는 아무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If he had only meant by common grace what the church has always understood by it, namely God's gracious disposition toward all men, so that He lets his sun shine and his rain fall on the just and the unjust, I would have no problem with it.

다시 말하면, 만약에 일반 은총이 하나님께서 자신의 복음이 전체 세계에 전파되어서 자신의 은혜를 모두에게 제공하시는 것을 의미한다면, 우리는 진심으로 동의 할 것이다,
Again, if common grace for him meant that God wants His Gospel to be preached to the whole world and offers his grace to all, we would heartily agree.

그러나 이 교리에 대한 카이퍼의 해석은 이것 이상의 많은 것을 포함하고 있다.
But Kuyper's version of this doctrine includes much more than that.

그에게 있어서 일반은총은 우선 우주와 문화의 회복에 향하여있는 은혜인 것이다.
For him common grace is primarily a grace directed to the redemption of the cosmos and culture.

그는 이(일반 은총) 교리를 예정이라는 신적인 강령에 근원을 두고서, 하나님의 피조계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을 두 가지 방식으로 규정하는데, 선택받은 이는 (특별 은총에 의하여) 구속의 중재자이신 그리스도에 의하여 구원을 받으며, 문화에 대한 잠재력을 가지고있는 우주는 (일반 은총으로) 창조의 중재자이신 그리스도에 의하여 회복이 되는 것이다.
By rooting this doctrine in the divine decree of predestination he was able to construct a system whereby God's plan for His creation is realized along a double track: the elect are brought to salvation by Christ as Mediator of redemption (particular grace) and the cosmos with all its potential for culture is redeemed by Christ as Mediator of creation (common grace).

이러한 개념은 문화와 세상에 대하여 필연적으로 낙관적 관점으로 귀결 될 수밖에 없다.
Such a conception had to lead to an essentially optimistic view of culture and the world.

카이퍼 자신이 죄와 그것으로 인한 인류와 우주의 무서운 결과들에 대한 시야를 잃어버렸다는 것은 아니다.
Not that Kuyper himself lost sight of sin and its awful consequences for the human race and the cosmos.

그는 반정립과 이에 따른 일반 은총과 특별 은총의 근본적 차이를 굳게 믿고 있었다.
He deeply believed in the antithesis and thus in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common and particular grace.

그러나 그의 제자들에 대하여도 똑같이 말 할 수는 없다.
The same cannot be said of his disciples, however.

만약에 일부가 그의 일반 은총이 특별 은총이나 구원의 은혜에 대하여 위협이 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문제를 제기했다면, 다른 많은 이들은 그것이 기독교인들을 이 세상으로부터 분리 시키는 너무 경직된 관점에서 해방시켜주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서 이를 기뻐하기만 하였던 것이다.
If some had problems with his theory of common grace because they saw in it a threat to particular or saving grace, many others were only to happy with it because it offered an escape from what they considered a too rigid view of the Christian's separation from the world.

이렇게 함으로서 일반 은총은 세속에 대하여 문이 열리게 된 것이다.
Thus common grace opened the door to worldliness.

신칼빈주의는 오래된, 전통적 칼빈주의와 다른가?
Is Neo-Calvinism different from the old, classic Calvinism?

여러 방면에서 그렇다.
Yes, in many ways.

이러한 주제에 대하여 완전하게 연구를 한 화란의 위대한 학자인 W. Aalders는 카이퍼와 신칼빈주의 전체 운동에 대하여 "거대한 탈선"이라고 거침없이 말한다.
W. Aalders, a great scholar in the Netherlands who has studied this issue thoroughly does not hesitate to refer to Kuyper and the whole Neo-Calvinist movement as De Grote Ontsporing, The Great Derailment.

그는 카이퍼가 문화와 사회 참여에 대하여 편협되게 강조함으로 인하여 소위 그가 말하는 은혜 교리의 외형화- 특히 칭의와 거듭남에서-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고 보고있다.
In his view, Kuyper with his lopsided emphasis on culture and social involvement has contributed greatly to what he calls the externalization of the doctrines of grace, especially justification and regeneration.

그는 말하기를, 신칼빈주의 계통에서는 칭의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루터나 칼빈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살았던 모두에게서 하였던 경험을 더 이상 할 수 없었으며, 이를 기독교 철학이 되게 끔 하였다는 것이다.
In Neo-Calvinistic circles, he says, justification is not denied, but no longer experienced as it was by Luther, Calvin and all who live by God's Word rather than by human, be it Christian philosophy.

살아있는 말씀이 성령과 연합되면서 죄인을 그리스도와 그의 나라의 영적인 실체로 인도하는 내면에서 일어나는 칭의에 대하여 신칼빈주의자들은 어떻게 알고있단 말인가?
What do NeoCalvinists still know of justification as an inner occurrence wherein the living Word in union with the Spirit introduces a sinner into the spiritual reality of Christ and His Realm?

사색적이고 추상적이며 철학적인 사고는 말씀의 주권적이고 영적인 내면의 역사를 제거하며 그것을 머리만의 지적인 개념으로 바꾸어 버린다.
Speculative, abstract, philosophical thinking has eliminated the sovereign, spiritual, inward working of the Word, turning it into a cerebral, intellectual concept.
천천히 성장하는 씨앗으로서의 거듭남의 추상적이고 유기체적인 개념은 말씀과 성령에 의한 거듭남과 칭의를 대신하게 되었다.
An abstract, organic idea of regeneration as a slowly maturing seed has taken the place of regeneration and justification by Word and Spirit.

이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의 왕 되심에 대한 카이퍼의 열심은 영적인 가치에 대한 세속화의 과정을 가속시키게 된 것이다.
Kuyper's zeal for the kingship of Christ in the world had to lead to an acceleration of the process of the secularization of spiritual values.

점차 증가 되는 세상과의 접촉과 세상의 영에 대한 노출로 인하여, 개혁주의 신앙은 점점 더 외형화되거나 손상되어가게된 것이다.
Through ever-increasing contact with the world and exposure to spirit of the world, the Reformed faith became more and more externalized or hollowed out.

카이퍼와 가장 가까웠던 친구들 가운데 일부는 개혁주의 계통에서 점증하는 이와같은 경향으로 인하여 불안해하였다.
Some of Kuyper's closest friends were alarmed by this growing trend in Reformed circles.

신칼빈주의자인 J. C. Aalders는 1916년 성직자 회의에서 자신의 동료들에게 다음과 같이 경고한다: 우리 개혁주의자들은 세상의 문화와 점진적으로 접촉을 하게되면서 인본주의에 의한 영향으로 인하여 커다란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J.C. Aalders, himself a Neo-Calvinist warned his colleagues at a ministers' conference in 1916 in these words: Our Reformed people, having gradu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world of culture are in great danger of being influenced by humanism.

신비주의나 재세례주의를 극복하였던 것과 같은 정도로 하나님의 백성은 자신들의 이 땅에서의 소명을 인식하여야한다.
To the degree that mysticism and anabaptism have been overcome, God's people have recognized their earthly calling.

그러나 우리는 시대의 정신에 의하여 오염될 위험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But now we face the danger of contamination by the spirit of the age.

우리들이 고백하고 실천하는 일반 은총의 교리는, 이 세상과 동일시되는 위험과 동시에 이 세상에 열려있는 것이다.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confessed and put into practice by our people, opens with the world at the same time the danger of conformity to the world.

우리는 영적인 양식에 있어서의 특정한 불균형에서 탈피하지는 않는다.
We have not escaped a certain imbalance in our spiritual food.

개인의 마음과 영혼의 필요들에 대하여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Not enough attention is given to the needs of the individual heart and soul.

외적인 순종은 구원에 충분하지는 않다.
Outward obedience is not sufficient to salvation.

약 10년정도 전에, 헤르만 바빙크는 Ralph와 Ebenezer Erskine의 설교들을 화란에로 번역을 하면서 서문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여기에는 우리들 가운데 많이 부족한 중요한 요소들이 있다.
About a decade earlier, H. Bavinck had written in an introduction to a Dutch translation of sermons by Ralph and Ebenezer Erskine: Here we have an important element which is largely lacking among us.

우리는 이러한 영적인 영혼의 지식을 놓치고 있다.
We miss this spiritual soul-knowledge.

우리는 더 이상 죄와 은혜, 범죄와 용서, 거듭남과 회심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것 같다.
It seems we no longer know what sin and grace, guilt and forgiveness, regeneration and conversion are.

우리는 이것을 이론으로는 알고 있지만 이것을 더 이상 삶의 두려운 실체로서는 모르는 것 같다.
We know these things in theory, but we no longer know them in the awful reality of life.

바빙크는 자신의 생애 끝 무렵에 신칼빈주의 운동의 특정한 면들에 대하여 매우 환멸을 느끼게 되었는데 이는 (신칼빈주의의) 상당한 부분이,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세속적이고, 피상적이며, 교만한 결과를 낳았기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있다.
It is well-known that Bavinck became very disillusioned with certain aspects of the NeoCalvinist movement towards the end of his life, because so much of it seemed to result, be it ever so unintentionally, in worldliness, superficiality and pride.

신칼빈주의가 궁극적으로 인도하는 것 혹은 최소한 공헌하는 것은, 카이퍼가 그렇게 많이 세운 (화란)개혁주의 교회들과, 적게는 NACRC의 자매 교회 가운데서 볼 수 있는 배교들이다.
What Neo-Calvinism has ultimately led to or at least contributed to, can be seen in the apostasy taking place at present in the very churches Kuyper did so much to establish, the Gereformeerde Kerken and to a lesser extent in their sister churches in North America,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하나님께서 우리를 도우셔서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해주시고, 우리를 사도들에 의하여 성도들에게 한번 전하여지고, 개혁주의자들과 청교도 계승자들에 의하여 다시 발견되고 제시된, 신앙을 지키기를 바랍니다.
May God help us avoid making the same mistakes and may He preserve us in the faith once delivered to the saints by the apostles and rediscovered and set forth by the Reformers and their successors the Puritans.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신칼빈주의가 아니고 옛 칼빈주의나 참된 개혁주의 신앙인데 이는 이것이 성경적이며, 고백적이며, 경험한바 되었기 때문이다.
What we need is not Neo but Old Calvinism or the true Reformed Faith because it is Scriptural, confessional and experiential.


posted by Wonho Kim
:
화란개혁주의/카이퍼 2015. 5. 28. 13:21

카이퍼의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Kuyper on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카이퍼로부터 시작된 화란개혁주의의 특징적 개념 가운데 하나는 일반계시와 특별계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카이퍼의 일반계시와 특별계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화란 개혁주의 신학의 한 가운데서 화란 개혁주의 신학을 우리 나라에 잘 소개한 인물인 고재수(N.H. Gootjes) 교수는 자신의 저서 "그리스도와 교회와 문화”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있다.

1. (일반계시는) 양심을 통하여 (자신의) 죄를 깨닫게 해 주는 것이다.


고재수 교수는 일반계시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양심은 하나님을 아는 역할보다 앞서서 죄를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인간이 하나님 앞에서 죄인으로 심판을 받기에 합당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나님께서 사람들로 하여금 죄를 깨닫게 하기 위하여 로마서 1장에서와 같이 죄의 결과를 경험하게 됨으로서 하나님의 계시가 드러나기도 하는데 이를 일반계시라고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참된 일반계시는 순종과 불순종의 관계에서 해석이 되어져야 하기에 인간이 순종 할 수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통하여 불순종이 드러날 때 참된 계시로서의 일반계시의 역할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카이퍼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일반계시의 역할을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하나님과의 소통의 기능으로까지 영역을 확장한다.

카이퍼가 말하는 참된 신학은 구원론을 넘어서 하나님의 주권을 나타내는 신론이 중심이 되어야 했기에 일반계시는 죄를 깨닫고 구원에 이르는 것을 넘어서 하나님의 주권의 영역으로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2. 하나님께서는 선한 것을 주심으로서(일반은총) 자신이 선하다는 것을 계시(일반계시)하신다.


(사도행전 14:12-17)

"바나바는 쓰스라 하고 바울은 그 중에 말하는 자이므로 허메라 하더라 성밖 쓰스신당의 제사장이 소와 화관들을 가지고 대문 앞에 와서 무리와 함께 제사하고자 하니 두 사도 바나바와 바울이 듣고 옷을 찢고 무리 가운데 뛰어 들어가서 소리질러 가로되 여러분이여 어찌하여 이러한 일을 하느냐 우리도 너희와 같은 성정을 가진 사람이라 너희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은 이 헛된 일을 버리고 천지와 바다와 그 가운데 만유를 지으시고 살아 계신 하나님께로 돌아 오라 함이라 하나님이 지나간 세대에는 모든 족속으로 자기의 길들을 다니게 묵인하셨으나 그러나 자기를 증거하지 아니하신 것이 아니니 곧 너희에게 하늘로서 비를 내리시며 결실기를 주시는 선한 일을 하사 음식과 기쁨으로 너희 마음에 만족케 하셨느니라 하고"와 같이 하나님의 보편적 선하심을 누구나 알 수 있다.


3. 일반은혜는 원래 죄와 연결되어야 한다.(p89-)


(마태복음 5:45)

"이같이 한 즉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아들이 되리니 이는 하나님이 그 해를 악인과 선인에게 비취게 하시며 비를 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에게 내리우심이니라"
고재수 교수는 이 성경 구절이 일반은혜에 대한 구절이 아니고 일반계시에 대한 구절이라고 말한다.


4. 일반계시는 부분적인 순종으로 인도한다.(p90-)


세상의 보존을 위하여 요구되는 부분적인 순종을 위한 방편으로 일반계시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본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뜻을 나타내시는 일반계시와 구별된 특별한 방법으로는 특별계시를 말할 수 있다.


카이퍼로부터 시작된 화란 개혁주의는 칼 바르트로부터 시작된 신정통주의와는 다른 관점에서 출발되었지만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의 신학을 수용한 화란 자유대학의 베르카우어를 기점으로 화란 개혁주의가 자연스럽게 신정통주의와 접목 되기 시작하였다.


칼 바르트의 대표적인 신학 개념 중의 하나인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는 하나님의 계시의 보편화와 일반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바르트가 말하는 특별 계시와 카이퍼가 말하는 특별 계시는 교회 바깥의 영역에 대한 공통적인 관점으로 말미암아 자연스럽게 하나로 접목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에서의 교회론은 성육신적 교회, 혹은 보냄받은 교회로서의 미셔널 처치이며 교회가 아닌 이 세상을 하나님 나라의 최종 종착지로 보고있다.


카이퍼의 일반 계시 또한 이 세상의 모든 영역, 즉 교회를 비롯하여 정치, 경제등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영역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선포하기에, 교회를 넘어 이 세상에 대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한다는 면에서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와 맥락을 같이 하고있다.


계시는 특성상 하나님 나라와 연계하여 생각할 수밖에 없다.


하나님 나라의 범주에는 구속의 영역과 통치의 영역이 구분되어야만 한다.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을 통치하시지만 그렇다고 모든 영역이 구속받는 것은 아니다.


구속의 영역을 포함한 이 세상 모든 영역은 하나님의 통치의 영역으로서의 하나님 나라이지만 구속받은 영역으로서의 하나님 나라와는 구분하여 하나님의 두 나라(Two Kingdom:2-K)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는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을 하나님의 통치와 구속의 영역(One Kingdom:1-K)으로 보는 관점과는 구분되어야한다.


일반계시를 1-K 개념에서 해석하느냐, 아니면 2-K 개념에서 해석하느냐는 매우 다른 결과를 가져오며, 현재 하나님 나라 운동이 왜곡되고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있다.


전통적인 개혁주의에서 생각하고있던 하나님 나라와는 달리 현세적 하나님 나라 운동을 하며 하나님 나라에 대한 혼란을 야기하는 현대신학은 바로 1-K 개념에서의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고있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1-K 개념에 가장 앞장서고있는 대표적인 신학은 톰 라이트의 새관점이다.


여기에 이머징 처치를 비롯하여 미셔널 처치가 합류하고있으며, 칼 바르트는 물론 몰트만을 비롯하여 판넨베르크의 보편사적 신학등이 참여하고있다.


카이퍼의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개념에서의 핵심적 논점은 카이퍼가 1-K개념을 지향하느냐, 혹은 2-K 개념을 지향하느냐이다.


카이퍼는 기독교가 세상과 분리되는 것에 대한 염려에서 출발하여 반혁명당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화란의 총리를 역임하면서 화란의 정치를 하나님 나라의 확장과 연계시켰을 뿐만 아니라, 영역주권론과 일반은총론을 새롭게 정립함으로서 삶의 모든 영역에 대한 하나님의 특별계시로서의 말씀을 적용함으로서 1-K 개념을 지향 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특별계시를 일반계시의 영역과 연계시킨 칼 바르트의 작업과 유사성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흔히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만을 특별 계시라고 말하지만 바르트의 특별 계시는 이와는 좀 다른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화란 자유대학의 총장을 역임한 베르카우어가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의를 화란 개혁주의에 접목시키는 것에 충격을 받은 박형룡 박사는 칼 바르트의 특별 계시를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 (박형룡 박사와 개혁 신학 p481-484)


• 바르트에게 특별 계시는 성경과 일치하지 않으며 성경은 단지 증거에 불과하다.
• 바르트에게 특별 계시는 항상 말씀하시는 하나님일 뿐 책 속에 객관화 될 수 없다.
• 바르트에게 계시는 하나님의 자유로운 행동이기에 성경조차도 구체적인 역사성을 가지지 못한다.
• 계시가 역사와 단절된 것은 영원한 것이 위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와 역사의 지평을 꿰뚫었기에 역사와 단절될 수밖에 없다.
• 하나님의 원계시인 예수 그리스도만을 강조 하다 보니 일반계시도 부인하게 되고 성경의 무오성도 부인하게 된다.
• 계시는 성경과 동일시 될 수 없으며 성경은 계시의 증거 혹은 표시다.
• 계시는 항상 위로부터 수직적으로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실존적으로 임한다고 말한다.


바르트의 이러한 계시관은 행동주의적이다.


바르트의 특별 계시에 대한 이와 같은 관점은 경험을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 적합한 것이었으며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개념에서 출발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교회 형태인 이머징미셔널 처치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있다.

최근에 화란 개혁주의 기독교 세계관을 대변하는 알버트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의 개정판이 화란 개혁주의와 이머징 미셔널 처치, 그리고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을 모두 수용하면서 개정된 것은 이들이 공통적으로 1-K 개념을 추구하고있으며 이의 밑바탕에는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서로 혼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하나님의 통치영역에서 구속영역을 구분하며 하나님의 두 나라(2-K) 개념을 고수하는 에스콘디도Escondido신학의 한 가운데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 교수인 데이비드 반두르넨David Vandrunen은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s"(p279-280)을 통하여 카이퍼가 어떻게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경계를 없애고 서로를 혼합하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있다:

인간이 본성적으로 접할 수 있는 도덕적 지식에 대한 카이퍼의 특별한 관점을 탐구하기 전에, 우선 그의 일반계시와 특별 계시에 관한 신학을 좀 더 넓게 탐구해보는 것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efore examining in particular Kuyper’s views on the moral knowledge accessible to human beings in nature, it may be helpful first to survey his theology of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 more broadly.

카이퍼는 자연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일반계시와 성경을 통하여 알 수 있는 특별 계시를 구분하는 전통적 개혁주의를 고수하고 있다.
Kuyper made a traditional Reformed distinction between the general revelation that comes in nature and the special revelation coming in Scripture.
이러한 전통적 구조 안에 있는 한에는, 그의 계시 신학은 구별된 특징들을 나타내고 있었다.
Yet within this traditional framework his theology of revelation bears distinctive marks.

카이퍼는 그의 개혁주의 신학의 선배들과 같이,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죄로 인하여 타락하기 전부터 이미 자연을 통하여 자신을 계시 하셨다고 믿고 있었다.
Kuyper believed, with his Reformed theological predecessors, that God revealed himself to human beings in nature already before the fall into sin.

그러나 그는 타락 전에는 하나님께서 오직 일반계시를 통해서만 소통하셨다는 예상치 못하였던 주장을 하고있다.
But he makes the unexpected assertion that God communicated only through general revelation in the pre-lapsarian state.

말하자면, 하나님께서는 내면의 언어로 말씀하셨고, 아담은 이를 직접적인 통찰력을 통해서 즉각적인 방식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God spoke, as it were, by an inner word, and Adam received it in an immediate fashion through direct insight.

카이퍼는 이를 "자연의 원칙"이라고 불렀고 이것이 하나님께서 인간 존재와 교통 하는 "정상적인" 방식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Kuyper calls this the “natural principium” and describes it as the “normal” way in which God communicates with human beings.

그러나 타락 후에는, 죄가 이러한 내면의 본성을 손상시켰기에, 비록 하나님께서 일반계시를 계속 주시더라도 이것은 더 이상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에 관하여 어떠한 새롭고, 순수하고, 충분한 지식을 제공해 줄 수 없다는 것이다.
After the fall, however, sin damaged this inner instinct, and though God continues to give general revelation, it is no longer able to provide people with any new, pure, or sufficient knowledge about God.

죄는 의지 뿐만이 아니라 지성에 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Sin affects not only the will, but also the intellect.

죄로 인한 황폐함에 대한 반응으로, 하나님께서는 특별계시를 제시하셨는데, 카이퍼는 이를 "특별 원칙" 그리고 하나님께서 교통하시는 "비정상적인" 수단들이라고 불렀다.
In response to the ravages of sin, God introduced special revelation, what Kuyper called the “special principium” and the “abnormal” means of God’s communication.

카이퍼에게 특별 계시는, 치료를 위하여 도움이 되는 차원에서, 타락 후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For Kuyper, special revel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after the fall, both as remedial and auxiliary.

그러나 이것(특별 계시)은, 영원한 축복과 영광스러운 상태였던, 죄가 도래하기 전에 일반계시가 가지고 있었던 것과 같은 목표를 향하여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그 안에서 하나님께서는 다시 자신의 백성과 직접적인 소통이라는 자연적이고, 정상적인 방법으로 소통을 하시려 한다는 것이다.
But it works toward the same goal that general revelation had before the advent of sin, that of eternal blessedness and the glorified state, in which God will again communicate to his people by the natural, normal way of direct communication.

그러므로 특별 계시는, 타락과 그리스도의 재림 사이의, 죄가 세상에 나타난 때에만 있는 것이다.
Special revelation, therefore, is only for the time in which sin is present in the world, between the fall and Christ’s second coming.

여기에 맞추어, 종교적 구원론적, 혹은 구원의 성격은 "비정상적"으로서, 타락 후와 극치 전의 기간에만 속해있는 것이다.
Corresponding to this, religion’s soteriological, or salvific, character is “abnormal,” pertaining only to the era after the fall and before the consummation.

구원은 타락 전에는 불필요한 것이며, 그리스도가 다시 오신 후에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Salvation was not necessary before the fall and will not be necessary after Christ returns.

구원은 중요하지만 더 넓은 하나님의 영광은 더욱 중요한 것이다,
Salvation is important, but the broader glory of God much greater.

타락 후의 세상에서의 삶은 일반계시로 알 수 있는 부분과 특별 계시로 알 수 있는 부분으로 나뉘어지지 않았다.
In the post-lapsarian world, life is not divided into compartments known by general revelation and those known by special revelation.

차라리 카이퍼는 일반계시와 특별 계시로부터 유래된 "각각의 물은 서로 섞인다"는 것을 근거로 하는 하나만의 지식이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Rather, Kuyper asserts that there is one knowledge, drawn from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 sources “whose waters have mingled themselves.”

이러한 생각으로부터 다양한 결과물들이 생겨나는 것이다.
From this idea flow several consequences.

특별 계시는 구원의 문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계시를 통하여 알려진 일들에 까지 확장되는 것이다.
Special revelation is not limited to matters of salvation, but extends to those matters made known in general revelation.

게다가, 자연적 지식은 오직 특별 계시의 도움을 받아야만 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Further, natural knowledge becomes of service only with the help of special revelation.

그러나 다른 방향에서 보면, "특별 신학"은 자체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항상 "쌍둥이 자매"인 "자연 신학"과 연결되어 고려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In the other direction, however, “special theology” is never sufficient to itself, but must always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natural theology,” its “twin sister.”

이러한 이유로 카이퍼는 두 가지 원칙을 떠나서 어떠한 "이원론"으로 부터도 자유 하려는 모색을 하고 있다.
Hence Kuyper seeks to free theology from any “dualism” breaching the two principia.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