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 해당되는 글 6건
- 2016.01.16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3부
- 2016.01.16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2부
- 2016.01.16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1부
- 2016.01.16 ::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osition)- 서론
- 2014.12.25 :: R. Scott Clark가 말하는 (Mosaic covenant의)Republication의 7가지 핵심 요점들
- 2014.11.29 :: 찰스 핫지에게서 볼 수 있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
3부: 이 주제가 클라인에게 중요한 5가지 이유들
Part III: Five Reasons Why This Issue Was Important to Kline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왜 클라인은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가 지배적인 통치 원리였다고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그렇게 관심을 가졌어야 했는가?
Why was Kline so concerned to recognize that works w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 of the Mosaic covenant?
여기에는 최소한 다섯가지 이유들이 있다.
There are at least five reasons.
A. 첫 번째 이유: 축복들과 저주들
A. First Reason: The Blessings and the Curses
첫 번째 이유로는, 만약에 사람이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부정하게 되면, 모세 언약의 축복과 저주를 은혜와 약속의 통치의 부분으로서, 단순히 아브라함 언약의 통치적 연속성으로 보게 될 것이라는 것을 클라인이 인지하였던 것이다.
The first reason is that Kline perceived that if one denies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then one will view the blessings and curses of the Mosaic covenant as part of the administration of grace and promise, a mere administrative continuation of the Abrahamic covenant.
이렇게 하게 되면 사람이 은혜 언약을 이해하는 것을 왜곡 시키게 된다.
Doing this will distort one’s understanding of the covenant of grace.
만약에 모세 언약의 조건(이것을 행하면 살리라; 순종에 대한 축복; 불순종에 대한 저주)이 실제로 은혜 언약의 일부라고 한다면, 이 조건은 은혜 언약에서 선한 행위와 복음적 순종의 역할을 바꾸어버릴 것이다.
If the conditionality of the Mosaic covenant (do this and live; blessing for obedience; curse for disobedience) is actually part of the covenant of grace, then that conditionality will change the role of good works or evangelical obedience in the covenant of grace.
선한 행위는 필연적으로 증거 역할 이상을 보여주어야 하며, 은혜 언약에서 축복을 받는 조건이 될 것이다.
Good works will necessarily play more than an evidentiary role and become a condition for receiving the blessings of the covenant of grace.
선한 행위를 은혜 언약에서의 축복을 받는 조건으로 만드는 것은,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된다는 바울 교리의 순수성과 충돌 되는 것이다.
Making good works a condition of receiving the blessings of the covenant of grace is in conflict with the purity of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거부하게 되면, 율법에서의 축복과 저주가, 옛 언약에서 뿐만이 아니라 새 언약에서도, 은혜 언약의 각 시기별로 하나님께서 자신의 구속 받은 백성을 다루는 방법이라고, 논리적으로 해석하게 되는 것이다.
The rejec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leads logically to interpreting the blessings and curses of the law as God’s way of dealing with his redeemed people in every epoch of the covenant of grace, not just in the old covenant, but also in the new.
그(=노먼 쉐퍼드)는 하나님의 언약들이 행위-은혜의 대비보다는 통치 원리의 연속체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는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쉐퍼드는 구속하기 전과 구속한 후의, 특히 그들 모두가 보편적으로 요구와 약속을 가지고있다고 제안하면서, 모든 이러한 언약의 단일성을 주장하고있다.(“Of Works and Grace,”88).
“As he [= Norman Shepherd] develops the thesis that God’s covenants are characterized by a continuum of governmental principle rather than by a works-grace contrast Shepherd affirms the unity of all these covenants, preredemptive and redemptive, specifically proposing that they all have in common both demand and promise”(“Of Works and Grace,”88).
"이러한 경향은 머레이의 영향을 좀 더 직접 받은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의 후계자인 노먼 쉐퍼드의 가르침에서는 구속 전과 구속의 언약은 약속과 요구라는 연속체 안으로 균일해졌다"(“Gospel until the Law,”435 and n9).
“This tendency is displayed in the more immediate sphere of Murray’s influence. In the teaching of his successor, Norman Shepherd, preredemptive and redemptive covenants were flattened into a continuum of promise and demand”(“Gospel until the Law,”435 and n9).
여기에 모세 행위 원리에 대하여 부정함으로서 이러한 약속과 요구라는 연속체로 귀결되게 하는 신학자들의 몇 개의 인용문이 있다.
Here are some quotes from theologians whose denial of the Mosaic works principle leads them to such a continuum of promise and demand:
"순종의 조건에 대한 모세 언약은 아브라함 (언약)과 다른 범주에 있는 것이 아니다.
“The Mosaic covenant in respect of the condition of obedience is not in a different category from the Abrahamic.
너무 자주 가정되고 있는 것은, 모세 언약과 관련되어 기술되고 있는 조건은 모세 세대를 완전히 다른 범주, 즉 한편으로는 은혜를 존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요구나 의무를 존중하는 범주로 자리잡게 한다.
It is too frequently assumed that the conditions pr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Mosaic covenant place the Mosaic dispensation in a totally different category as respects grace, on the one hand, and demand or obligation, on the other.
실제로 언약을 지키는 것과 하나님의 목소리에 순종하는 것의 필요에 주된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며, 이것은 모세 언약으로부터 기인된 것이며, 여기에는 아브라함 언약에 요구되는 준수 사항이 포함되어있는 것이다”(John Murray, The Covenant of Grace, 22).
In reality there is nothing that is principally different in the necessity of keeping the covenant and of obedience to God’s voice, which proceeds from the Mosaic covenant, from that which is involved in the keeping required in the Abrahamic”(John Murray, The Covenant of Grace, 22).
"모세 언약에서,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과 행위 언약을 세우시지는 않으셨다.
“In the Mosaic covenant, the Lord did not establish a covenant of works with his people.
그는 아브라함 언약이 세워진 것에 바로 대립 되는 원리를 기초로 하여 언약을 세우시지는 않으셨다 ....
He did not establish a covenant on the basis of a principle that is the very opposite of that on which the Abrahamic covenant is founded ....
아브라함 언약과 마찬가지로, 모세 언약도 약속과 순종이라는 두 부분을 가지고 있다.
Like the Abrahamic covenant, the Mosaic covenant has two parts, promise and obligation.
아브라함 언약에서의 초점은 약속에 있다.
In the Abrahamic covenant, the focus is on promise.
모세 언약에서의 초점은 순종에 있지만, 그렇다고 약속이 배경으로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
In the Mosaic covenant, the focus is on obligation –but promise does not receded into the background ....
이스라엘에게 요구되었던 순종은 공로의 순종이 아니라 믿음의 순종이었다.
The obedience required of Israel is not the obedience of merit, but the obedience of faith.
이는 믿음으로 충만한 것이다.
It is the fullness of faith.
순종은 단순히 주께 대한 충성이다 ....
Obedience is simply faithfulness to the Lord ....
아브라함 언약과 모세 언약은 은혜와 공로, 혹은 믿음과 행위라는 대립된 원리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The Abrahamic and Mosaic covenants do not exhibit opposing principles of grace and merit, or of faith and works.
양쪽 언약에는 약속들이 있으며, 이러한 약속들은 살아있는 적극적인 믿음으로 받게 되는 것이다.
In both covenants there are promises, and these promises are received by a living and active faith.
양쪽 언약에는, 불신과 불순종에 대한 결과들에 관한 경고들이 있다.
In both covenants, there are warnings about the consequences of unbelief and disobedience ....
모세 언약에서 불순종에 위협이 되는 벌칙은 아브라함 언약에서의 조항들과 완전히 같다.
The penalties threatened for disobedience in the Mosaic covenant are fully in line with this provision of the Abrahamic covenant.
불순종에 대한 위협적인 저주는 아브라함 언약이나 모세 언약 모두를 행위 언약으로 바꾸어 놓지는 않는다"(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8-40). 12
Threatened curses for disobedience do not transform either the Abrahamic covenant or the Mosaic covenant into a covenant of works”(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8-40). 12
이것이 바로 가르침에서 실제로 연관된 것들이다.
This has very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aching.
어떻게 구약에서의 축복과 저주 구절을 하나님의 새 언약 백성들에게 가르치겠는가?
How should the blessing and curse passages in the Old Testament be preached to the new covenant people of God?
쉐퍼드처럼, 우리는 그들에게, 당신들은 하나님께 순종하여야만 하며, 만약에 당신들이 그렇게하지 못하면 당신들은 저주를 받게 된다고 말해야만 하는가? 나는 그렇게되지 않기를 원한다.
Do we tell them, as Shepherd would, that they must be obedient to God and if they are not, they will be cursed? I would hope not.
이러한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은, 하나님의 새 언약 백성을,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 받은 율법의 굴레 아래로 돌이키는 것이 될 것이다.
To preach that way would be to bring the new covenant people of God back under the bondage of the law that we have been delivered from in Christ.
바울은 우리가 율법의 저주로부터 자유케 되었다고 말한다.
Paul says we are free from the curse of the law.
그는 우리가 율법에 대하여 죽었고, 더 이상 굴레나 두려움 아래 있지 않다고 말한다.
He says that we have died to the law, and are no longer under its bondage and fear.
우리는 하나님을 문자의 옛 방식이 아닌 성령의 새로운 방식으로 섬긴다.
We serve God in the new way of the Spirit, not in the old way of the letter.
"이 모든 것의 아이러니는, 모든 곳에서 '은혜'의 연속체를 주장하는 입장은 결국 어느 곳에서나 참된 복음의 은혜가 없이 끝난다는 것이다.
“The irony of all this is that a position that asserts a continuum of ‘grace’ everywhere ends up with no genuine gospel grace anywhere.
행위 원리가 작용되는 곳은 아무 데도 없다고 주장하면서 시작하는 접근 방식은 결국 어느 곳에서나 행위 원리의 유형으로 마치게 된다는 것이다.
An approach that starts out by claiming that a works principle operates nowhere ends up with a kind of works principle everywhere.
이것이 결국 하는 것은 종교개혁으로부터의 후퇴이며, 로마카톨릭으로 회귀하는 것이다"(“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What this amounts to is a retreat from the Reformation and a return to Rome”(“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B. 두 번째 이유: 그리스도의 공로
B. Second Reason: The Merit of Christ
모세 언약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는 것이 클라인에게 중요했었던 두 번째 이유로는, 이렇게 하지 못할 경우에는 성경 신학자로 하여금 다른 언약, 특히 타락 전의 아담 언약과 성부와 성자 사이에, 구속 계약이라고 불리우는 세상 사역 이전의 언약,에서 행위 언약을 인정할 가능성이 적어진다는 것이다,
The second reason it was important to Kline to recognize a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covenant is that failure to do so will make the biblical theologian less likely to recognize a works principle in other covenants, specifically the pre-Fall covenant with Adam and the pre-temporal covenant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ka, the pactum salutis.
"옛 언약에서 행위 언약를 거부하는 것은 신앙적인 관계에서 좀 더 보편적으로 공로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쪽으로 퇴보하는 것이며, 결국에는 처음 아담과의 창조 언약에서의 행위 원리를 거부하게 되는 것이다(“Gospel until the Law,”435).
“Rejec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old covenant tends to degenerate into a more general denial of the possibility of merit in the religious relationship and thus to a rejection of the principle of works in the original creation covenant with Adam”(“Gospel until the Law,”435).
예를 들어서, 다니엘 풀러와 노먼 쉐퍼드는 이러한 다음 단계에서의 율법-복음의 대비에 대한 이들의 부정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언제나 인간에 대하여 행위 원리를 기초로하여 관계한다는 것을 부정함으로서 결국 아담의 행위 언약과 그리스도의 공로를 부정한다.
For example, Daniel Fuller and Norman Shepherd took their denial of the law-gospel contrast to this next step, denying that God ever relates to humans on the basis of a works-principle, thereby denying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and the merit of Christ.
"바로 공로라는 개념은 하나님 우리 아버지가 자신의 자녀들에게 대하는 방식에는 낯선 것이다"(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9).
“The very idea of merit is foreign to the way in which God our Father relates to his children”(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39).
이것은 필연적으로 불가피한 법은 아니다.
This is not a tight law of necessity.
이것은 마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라는 클라인의 특별한 체계적 진술을 거절하는 모든 이가, 필연적으로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이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와 맺은 성부의 행위 언약을 거절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아니다.
It is not as if all who reject Kline’s particular formulation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are necessarily bound to reject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or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Christ as the second Adam.
그러나 그러한 방향으로 가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에 대한 근거는 성경신학적이다.
But there is a tendency in that direction –and the reason for this is biblicaltheological.
바울은 그리스도의 순종을 모세법의 충족이라는 의미로 보고 있다(롬 3: 31; 10: 4; 갈 4: 4)
Paul views the obedience of Christ in terms of the fulfillment of the Mosaic law (Rom 3: 31; 10: 4; Gal 4: 4).
아담으로부터 이스라엘 공동체로, 그리고 이스라엘 공동체로부터 그리스도로 강력한 연결 고리가 있다.
There are strong biblical theological linkages from Adam to corporate Israel, and from corporate Israel to Christ.
후자의 연결은 마태의 복음, 예를 들면 (마 1-4장),에서 강력하게 나타나고있다.
The latter connection is strongly present in Matthew’s Gospel, for example (Matt 1–4).
바울이 행위 원리를 자신의 칭의 교리의 핵심 가정으로 강조하기를 원할 때에, 그는 아담 언약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모세법 안에서 발견되는 행위 원리를 인용한다(레 18: 5)
When Paul wants to articulate the works principle as the key presupposition of his doctrine of justification, he quotes the works principle, not as found in the Adamic covenant, but as found in the Mosaic law (Lev 18: 5).
그러므로,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지 않는 성경 신학자는 좀처럼 이것(행위 원리)을 그 밖의 다른 곳에서 인정 할 수 있을 것 같지않다.
Thus, the biblical theologian who does not recognize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less likely to be able to recognize it anywhere else.
만약에 이론적으로 공로의 개념이 거절된다면, 우리는 역시 그리스도의 순종이 공로적이었다는 개념도 거절하여야만 한다.
If the very idea of merit is rejected in principle, then we must also reject the idea that the obedience of Christ was meritorious.
공로를 부정하는 것은 힘을 지탱해주는 젱가 막대기를 제거하는 것과 같다.
Denying merit is like removing a load-bearing Jenga stick.
이 한 조각을 제거하게 되면 전체 상부 구조는 붕괴되고 마는 것이다.
Remove that one piece and the whole superstructure crumbles.
C. 세 번째 이유: 성육신의 가독성
C. Third Reason: The Legibility of the Incarnation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행위를 제대로 평가하는데 결정적인 것인데, 이는 모세법이 율법의 성취자로서의 그리스도의 행위에 대한 역사적 내용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Grasp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crucial for a proper appreciation of the work of Christ, since the Mosaic law provided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work of Christ, the fulfiller of the law.
이러한 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클라인은, 그리스도께서 "여자에게서 나게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이라고 바울이 말한 칼라디아서 4: 4을 많이 의존하고있다.
To explain this point, Kline relies heavily on Gal 4: 4 where Paul says that Christ was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을 속량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갈 4: 4-5)
But when the fullness of the time had come, God sent forth His Son,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to redeem those who were under the law, that we might receive the adoption as sons (Gal 4: 4-5 NKJV).
클라인은 갈 4: 4에서, 행위 원리가 나타나는- 아담, 이스라엘, 그리스도- 3가지 핵심점 모두를 하나로 묶는 심오한 중요성을 본 것이다,
Kline sees deep significance in Gal 4: 4 since it ties together all three key points where the works principle is present: Adam, Israel, Christ.
첫 번째 구절인, "여자에게서 나게하시고"는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의 우주적 역할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first phrase,“born of a woman,”alludes to his universal role as the second Adam.
그 다음 구절인,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은 참된 이스라엘로서의 그의 특별한 역사를 시사하는 것이다.
The next phrase, “born under the law,”alludes to his particular historical as the true Israel.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일치하는 점"(Kp 352)이 있다
But there is “congruence”(KP 352) between the two.
모세 경륜에서 아담의 행위 언약이 재현된 것은, 참되고 순종하는 이스라엘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두 번째 아담으로서, 시험을 통과하시고 자신이 대표하는 이들을 위하여 영원한 상을 얻으신, 그의 좀더 근본적인 정체성을 가리키게끔, 그리스도의 성육신이라는 맥락이 형성되도록 분명하게 의도된 것이다.
The recapitul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in the Mosaic economy is intended precisely to set the context for Christ’s incarnation so that his identity as the true, obedient Israel might be understood as pointing to his more fundamental identity as the second Adam who passes the probation and earns the eternal reward for those whom he represents.
"그리스도가 참된 이스라엘-종으로서 가정되는 검증자로서의 기능은,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의 정체성의 의미에서 좀 더 근본적으로 그에게 나타난다(롬 5: 14; 고전 15: 45-47). [주: 갈 4: 4에서 '율법 아래에서 나셨고'는 그리스도를 토라 언약 아래에서의 두 번째 이스라엘로 확인하는 것이다. '여자에게서 나셨고'는 그의 인간성을 드러냄으로서 그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신분을 제시하는 것이다.]...이는 그분이 토라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의 탄생으로 나타나신 바와 같이(갈 4: 4), 그리스도는 삼위안에서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의 한 분으로 이 땅에 오신 것이다"(GOM 237 and 240 n33).
“The function of probationer that Christ assumed as the true Israel -Servant was more basically his in terms of his identity as second Adam (Rom 5: 14; 1 Cor 15: 45–47). [Note: In Gal 4: 4, ‘born under the law’ identifies Christ as the second Israel, under the Torah covenant. ‘Born of a woman’ brings out his humanity and so suggests his second Adam status.] ... As advertised by his birth under the Torah covenant of works (Gal 4: 4), Christ came to earth as one under the intratrinitarian covenant of works”(GOM 237 and 240 n33).
하나님 나라의 서막에서, 클라인은 다른 논쟁을 하면서 "유형적 하나님 나라의 디자인"라는 제목 하에 이러한 점을 정리하고있다.
In Kingdom Prologue, Kline has another passage where he make this point under the heading “The Design of the Typal Kingdom.”
이것은 내가 항상 좋아하는 클라인 인용문이다:
This is my favorite Kline quote of all time:
"목적의 다양성은, 옛 언약 체제와 그것의 유형적인 하나님 나라를 구속 역사의 과정 속으로 집어넣는 것을 설명하면서, 알게 될 수 있는 것이다.
“A variety of purposes can be discovered to explain the insertion of the old covenant order and its typal kingdom into the course of redemptive history.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아들의 강림하심과 그분의 이 땅에서의 사역을 위하여 적절한 역사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Of central importance was the creation of the proper historical setting for the advent of the Son of God and his earthly mission (cf. Rom 9: 5).
그의 성부와의 행위 언약의 의미와 일치하도록 그는, 대표하는 검증 과정을 겪으시고, 그의 순종 하심과 승리를 이루심으로 인하여,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에게 구원의 영원한 나라를 언약적으로 수여할 법적인 근거를 이루시기 위하여, 두번째 아담으로 오셔야만 했었다.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hi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ather he was to come as the second Adam in order to undergo a representative probation and by his obedient and triumphant accomplishment thereof to establish the legal ground for God’s covenanted bestowal of the eternal kingdom of salvation on his people.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첫 번째 아담과의 언약에서와 같이,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 되는 언약의 체제 안에 나타나신 것은, 필요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것이었다.
It was therefore expedient, if not necessary, that Christ appear within a covenant order which, like the covenant with the first Adam,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cf. Gal 4: 4).
바로 이것이 옛 언약에서의 유형적 나라였다.
The typal kingdom of the old covenant was precisely that.
타락한 세상의 한계 안에서, 그리고 구속 과정에 특화된 변경과 함께, 옛 신정 국가는 처음의 언약 체제의 재현이었다.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fallen world and with modifications peculiar to the redemptive process, the old theocratic kingdom was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covenantal order.
신정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행위 언약의 보호 관찰 아래서, 다시 한 번 더 낙원-성소 안에 놓여진 인류였었다.
Israel as the theocratic nation was mankind stationed once again in a paradise-sanctuary, under probation in a covenant of works.
이러한 입장의 맥락에서, 성육신 사건은 이해될 수 있었으며; 이를 떠나서는 사람의 아들의 나타나심과 사역은 좀처럼 명확하게 나타날 수 없는 것이다.
In the context of that situation, the Incarnation event was legible; apart from it the meaning of the appearing and ministry of the Son of Man would hardly have been perspicuous.
참된 이스라엘로서, 율법 아래에 나신 것과, 그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우주적으로 관계된 역할 사이의 일치함으로 인하여, 모든 세대의 선택 받은 이들을 위하여 행위 언약에서 검증적 임무를 수행하시는 그분의 사역의 중요성은 분명하게 표현되었으며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KP 352)
Because of the congruence between Jesus’ particular historical identity as the true Israel, born under the law, and his universally relevant role as the second Adam, the significance of his mission as the accomplishing of a probationary assignment in a works covenant in behalf of the elect of all ages was lucidly expressed and readily readable”(KP 352).
역으로, 모세법에서의 행위 원리를 부정하게되면, 자신의 백성으로 천국을 얻기 하기 위하여,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을 공로적으로 충족시키시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보기 힘들게 만들 것이다.
Conversely, deny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will make it harder to see Christ’s work as a meritorious fulfilling of the law in our place in order to earn heaven for his people.
D. 네 번째 이유: 율법은 복음의 기초가 된다.
D. Fourth Reason: Law Foundational to Gospel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게되면 행위 원리가 복음의 유대적 기초를 이루는 기반이라는 것을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Recogniz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enables one to see more clearly that the works principle is the bedrock judicial foundation of the gospel.
클라인은 이것을 매우 산뜻하게 표현한다: "하늘은 반드시 (공로로) 얻어져야만한다"(KP 107)
As Kline put it so crispy: “Heaven must be earned”(KP 107).
이것은 하나님께서 복음 안에서 폐기한 원리가 아니다.
That is not a principle that God does away with in the gospel.
그보다는 복음을 통하여 더욱 명확하게 유지를 하신다.
Rather, he upholds it precisely through the gospel.
이와같이 율법은 복음의 기초를 이룬다; 복음 -은혜는 율법 언약 안에 명확하게 제시되어있는 하나님의 의의 요구를 중히 여긴다.
“Law is thus foundational to gospel; gospel -grace honors the demands of divine justice as definitively expressed in law covenant.
로마서 3: 31에서 바울은 이 점을 분명히 한다:'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In Rom 3: 31 Paul makes this point forcefully: ‘Do we then make the law of none effect through faith? God forbid; nay we establish the law.’
사도는 여기에서 모세법의 표준되는 성격보다는, 은혜의 원리인 복음과 대비되는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 언약으로서의 율법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The apostle is not concerned here with the normative nature of the Mosaic laws but with the law as a covenant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works in contrast to the gospel with its principle of grace.
그리고 비록 우리가 행위가 아닌 믿음을 통한 은혜로 의롭게 된다고 그가 논하고있지만, 그는 복음의 체제에 기초를 이루고있는 행위 원리의 지속적인 유용성에 대하여 매우 강하게 주장하고있다.
And even though he is arguing that we are justified not by works but by grace through faith, he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이것은 많은 사람을 의인이 되게하는 한 사람의 순종에 의한 것이다.
It is by the obedience of the one that the many are made righteous (Rom 5: 19)”(GOM 237).
은혜는 그의 의에도 불구하고 우리로하여금 하늘에 들어가도록 하나님께서 기준을 낮추신 것이 아니다.
Grace is not that God lowers the standard to let us in to heaven despite his justice.
은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의 정당한 요구를 충족 시키실 대리자를 제공해주시는 것이다.
Grace is that God provides a substitute who satisfies the just demands of the law in our place.
이것이 바로 바울이, 우리가 복음을 통하여 "(모세) 율법을 세운다"고 말하는 이유인 것이다(롬 3: 31)
That is why Paul says we “establish the (Mosaic) law” through the gospel (Rom 3: 31).
그는 자신이 모세법을 근본적으로 행위 원리의 의미에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이다.
He can say that because he understands the Mosaic law fundamentally in terms of the works principle (Lev 18: 5).
비록 우리가 율법에 순종하는 우리 자신의 공로를 행하지 않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복음의 체제의 기반으로서 행위 원리의 지속적인 유용성을 강조하여 주장하고 있다."
Although we are righteous not by our own works done in obedience to the law, but by faith in Christ, Paul nevertheless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그리스도가 율법 아래에서 나셨고 이를 완전하게 충족 시키셨기 때문에,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율법을 옹호하는 것이다.
Because Christ was born under the law and perfectly fulfilled it, faith in Christ actually upholds the law.
E. 다섯 번째 이유: 율법의 교사적 기능
E. Fifth Reason: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모세 경륜에서 행위 원리를 인정하는 것이 클라인에게 중요하였던 다섯 번째 이유는, 이것이 없이 우리는 율법의 교사적 역할에 대한 종교개혁적 강조의 해석학적 기반을 지키는 것이 약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fifth reason it was important to Kline to recognize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is that without it we have a less secure exegetical basis for the Reformational emphasis on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모세법을 순수한 은혜의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은 율법의 교사적 역할, 즉 우리에게 우리의 무능력을 보여주며 우리의 죄를 깨닫게 해주는 율법의 기능을 실제로 제거해버리는 것이다.
Defining the Mosaic law in purely gracious terms effectively annuls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that is, the law’s function of showing us our inability and convicting us of our guilt.
처음의 에덴에서의 검증에서 아담 안에서 (아담과) 함께 타락한 모든 인류의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행위 언약의 검증 아래에 있었던 비극적인 이스라엘의 역사는 그들 모두의 죄악되고 희망이 없는 상태를 확인 시켜주는 역할을 하였다.
“By exhibiting dramatically the situation of all mankind, fallen in and with Adam in the original probation in Eden, the tragic history of Israel under its covenant-of-works probation served to convict all of their sinful, hopeless estate.
그러므로 율법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함으로서 그들로 하여금 믿음으로 의롭게 되도록 한다(GHHM 128-29).
The Law thus drove men to Christ that they might be justified by faith”(GHHM 128-29).
예수의 사역의 검증적인 면에 주의를 환기 시키는 것에 더하여서, 이스라엘 국가를 지배했던 행위 원리는 이스라엘의 교사의 역할을 했으며, 죄인인 것과 하나님의 의의 요구를 만족시키기에는 전적으로 무능하다는 것을 확인 시켜줌으로서, 아브라함 언약의 기저부에 깔려있는 복음적 약속을 제공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 죄인들을 인도했다(KP 353).
“In addition to calling attention to the probationary aspect of Jesus’mission, the works principle that governed the Israelite kingdom acted as the schoolmaster for Israel, convicting of sin and total inability to satisfy the Lord’s righteous demands and thereby driving the sinner to the grace of God offered in the underlying gospel promises of the Abrahamic Covenant”(KP 353).
모세법은 생명을 얻기위한 법적인 근거로서 순종을 요구하였는가(레 18: 5), 아니면 율법에 대한 단순한 유대인의 오해였는가?
Did the Mosaic law demand obedience as the legal basis of obtaining life (Lev 18: 5), or is that only a Jewish misunderstanding of the law?
만약에 후자라면, 모세법-언약이 이스라엘을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교사"였다는 바울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가 없을 것이다.
If the latter, one cannot make sense of the teaching of Paul that the Mosaic law-covenant was Israel’s “pedagogue unto Christ”(Gal 3: 24).
사람들은, 이러한 교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모세 언약이 아니라 우주적으로 결속 시키는, 역사를 초월하는 도덕법이라고 주장함으로서, 이를 무시하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One could try to get around this by claiming that it is not the Mosaic covenant but the universally binding, trans-historical “moral law” that has this pedagogical function.
그러나 바울은, 그가 본문에서 "율법"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규정함으로서, 이미 이러한 움직임을 차단 시켰다: 이는 아브라함 약속 430년 후에 온 특별한 언약이다(갈 3: 17); 이는 불순종에는 저주의 위협(신 27: 26을 인용한 갈 3: 10)을, 그리고 율법을 행하는 자에게는 생명의 약속(레 18: 5을 인용한 갈 3: 12)이 수반되는 율법의 역사적 표현이다; 이는 "아버지께서 정하신 날까지" 소수의 어린아이(이스라엘)에게 주어진 임시적 보호자이다
But Paul has already blocked that move by defining what he means by “the law”(ὁ νόμος) in the context: it is the specific covenant that came 430 years after the Abrahamic promise (Gal 3: 17); it is the historical expression of the law accompanied by the threat of a curse to the disobedient (Gal 3: 10 quoting Deut 27: 26) and a promise of life to the doers of the law (Gal 3: 12 quoting Lev 18: 5); it is the temporary guardian set over the minor children (Israel)“until the date set by the father”2).
물론, 성령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그것을 지킬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게 끔 율법을 사용하시는 것과 같이, 심지어 이방인에게도, 이러한 교사적 기능의 보편적 적용을 한다고 하더라도, 처음 언급된 것은 역사적인 모세 언약에 대한 것과 그것의 구속사에서의 교사적 역할에 대한 것이다,
Of course, there is universal application of this pedagogical function, even for Gentiles, as the Spirit uses the law to convince us of our inability to keep it, but the original reference is to the historical Mosaic covenant and its pedagogical role in redemptive history.
클라인은 자신의 모세 언약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부당한 비평을 받아왔다.
Kline gets unfairly criticized for his understanding of the Mosaic covenant.
그의 동기는 혁신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율법에 대한 바울의 가르침을 주의 깊게 들음으로서 율법의 교사적 역할에 관계된 종교개혁의 이해에 대한 더 나은 해석학적, 성경신학적 뒷받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His motive was not to be an innovator but to listen carefully to Paul’s teaching on the law and thereby provide better exegetical and biblical-theological support for the Reformation insight concerning the pedagogical use of the law.
_____________
12 Norman Shepherd, The Call of Grace: How the Covenant Illuminates Salvation and Evangelism (Phillipsburg, N.J.: P& R, 2000).
(출처)
www.upper-register.com © 2015 Charles Lee Irons'리퍼블리케이션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2부 (0) | 2016.01.16 |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1부 (0) | 2016.01.16 |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osition)- 서론 (0) | 2016.01.16 |
R. Scott Clark가 말하는 (Mosaic covenant의)Republication의 7가지 핵심 요점들 (0) | 2014.12.25 |
찰스 핫지에게서 볼 수 있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 (0) | 2014.11.29 |
2부: 5가지 그릇된 설명들에 대한 응답
Part II: Responding to Five Misrepresentations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제까지는, 구속의 역사에서의 동일한 기간에 어떻게 행위와 은혜가 서로 공존하는지를 개념화하기 위한 두 겹의 비유에 초점을 맞추어, 모세 경륜에 대한 클라인의 성경 신학적 분석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였다.
Thus far, I have given an overview of Kline’s biblical-theological analysis of the Mosaic economy, focusing particularly on his two-layer metaphor for conceptualizing how both works and grace coexisted in that unique period of redemptive history.
클라인은 이것의 근거를, 갈3:15-19에서의 바울의 가르침과 아브라함 언약에 대한 성경 신학적 함의에 두었다.
Kline based this on the teaching of Paul in Gal 3: 15-19 and on the biblical-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Abrahamic covenant.
그는 구속 역사의 전체 구조를 하나의 약속과 성취로 보았다.
He saw the whole structure of redemptive history as one of promise and fulfillment.
아브라함 언약은 약속이며, 엄밀한 의미에서 이는 전체 구속 역사의 기초가 된다.
The Abrahamic covenant is the promise, and as such it is the foundation of the entire structure of redemptive history.
그러나 구속 역사는 두 단계, 혹은 두 가지 성취 - 첫 단계는 땅에서의 성취( 유형적 나라)이고 두 번째 단계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취(종말론적 나라)이다.
But redemptive history unfolds in two stages, or two fulfillments –a first-level fulfillment in the land (the typal kingdom) and the second-level fulfillment in Christ (the eschatological kingdom).
(그런데, 클라인의 두 "층"을 그의 두 "레벨"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비록 별개의 개념적 계획들이지만, 이들은 동등한데, 이는 아브라함 약속의 첫 번째 레벨의 성취가 모세 경륜의 꼭대기 층이기 때문이다.)
(By the way, do not confuse Kline’s two“layers”with his two“levels.”They are closely connected but not the same. Although distinct conceptual schemes, they are coordinated, since the first-level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promise is the top layer of the Mosaic economy.)
430년 뒤의 모세 언약의 추가로 인하여 무효가 되지 않는, 취소될 수 없고 불변의 실체인 아브라함 언약은 모세 경륜을 두 개의 층으로 만드는 것이다.
The uncancellable, abiding reality of the Abrahamic covenant, which (as Paul says in Gal 3: 17) is not annulled by the addition of the Mosaic law 430 years later, is what creates the two layers of the Mosaic economy.
아래 층은 은혜에 의한 유산의 원리에 지배를 받았다.
The bottom layer was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grace.
위 층은 행위에 의한 상속의 원리에 지배를 받았다.
The top layer was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works.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충돌이 없는데, 이는 상반되는 원리가 다른 유산들 - 아래 층은 하늘의 유산(새 하늘과 새 땅, 종말론적인 나라)과 관련되어있는 반면에, 위 층은 땅에서 국가적 이스라엘(유형적 나라)의 유산과 관련되었다-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But there was no conflict between the two, because these contrary principles applied to different inheritances –the bottom layer pertained to the inheritance of heaven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the eschatological kingdom), while the top layer pertained to national Israel’s inheritance of the land (the typal kingdom).
우리는 모세 경륜에서의 두 층들을 더욱 깊이 탐구할 수 있지만, 지금 나는 클라인에 대한 5가지 일반적인 잘못된 설명에 대하여 응답하고자 한다.
We could explore the two layers of the Mosaic economy in greater depth, but now I want to move on by responding to five common misrepresentations of Kline.
A. 클라인에 대한 첫 번째 잘못된 설명
A. First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모세 언약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성경적 해석이 아닌 고대 근동의 조약에 근거를 두고 있다.
“Kline based hi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on the Ancient Near Eastern treaties, not on biblical exegesis.”
사실이 아니다. 클라인이 고대 근동의 조약 형식(특히 히타이트 종주권 조약들)이 시내산 언약의 구조를 조명해줄 수 있는 유용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았던 것은 사실이다.
Not true. It is true that Kline saw in the Ancient Near Eastern treaty format (especially the Hittite suzerainty treaties) a useful parallel that sheds light on the structure of the Sinai covenant. 6
그러나 그는 이러한 유사성을 출애굽에서의 시내산 언약(그리고 신명기와 여호수아에서의 부차적인 갱신)과 관련된 핵심적 구절들을 조명하는 것으로 보았던 반면에, 그는 모든 것을 이러한 성경 밖의 자료에 연결시키지는 않았다.
But while he saw this parallel as illuminating key passages concerning the Sinai covenant in Exodus (and its subsequent renewals in Deuteronomy and Joshua), he did not hang everything on this extra-biblical data.
그의 설명은 매우 해석학적이다.
His appeal is strongly exegetical.
모세 언약에 대한 초기의 논술인 "In By Oath Consigned" (pp. 22-25)에서, 클라인은 자신의 밑칠을 갈 3: 15-19 에서의 아브라함 언약과 모세 언약 사이의 관계에 대한 바울의 성경 신학적 분석에 의존하고있다.
In By Oath Consigned (pp. 22-25), in an early treatment of the Mosaic covenant, Kline makes his primary appeal to Paul’s biblical the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rahamic covenant and the Mosaic covenant in Gal 3: 15-19.
매우 중요한 갈 3: 15-19 구절에 더하여서, 클라인은 반복적으로 레위기 18: 5에서 명확히 밝히고 있는 "이것을 하면 살리라"는 원리에 호소하며, 우리에게 바울이 이러한 원리를 "은혜-믿음"의 원리와 정반대로 보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다.(갈 3: 12; 롬 10: 5-6)
In addition to the all-important Gal 3: 15-19 passage, Kline repeatedly appeals to the “do this and live”principle enunciated in Lev 18: 5, and reminds us that Paul sees this principle as the opposite of the “grace-faith”principle (Gal 3: 12; Rom 10: 5-6).
여기에 몇 개의 대표적인 인용문들이 있다:
Here are a few representative quotes:
구약에서 언약이라고 불리우는 시내산 통치에서, 바울은 이 자체에서 보증된 약속에 의한 유산의 원리와 매우 상반된 나라의 유산에 대한 체제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유산이 율법에 의한 것이 아니면, 이는 더 이상 약속에 의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율법은 믿음에서 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들을 행하는 자는 이들로 말미암아 살리라'(갈 3:18a, RSV, 그리고 12절은 ARV; 레18:5과 비교하라)"(BOC 22)
“The Sinaitic administration, called ‘covenant’ in the Old Testament, Paul interpreted as in itself a dispensation of the kingdom inheritance quite opposite in principle to inheritance by guaranteed promise: ‘For if the inheritance is by law, it is no longer by promise’ and ‘the law is not of faith; but, He that doeth them shall live in them’(Gal. 3: 18a, RSV, and v. 12, ARV; cf. Lev. 18: 5)”(BOC 22).
바울이 실재로 모세의 규례를 이와같은 의미들로 접근한 것은, 그가 인용한 레 18: 5에서 표현된,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는 상속의 원리에 의하여 더욱 지지를 받는다. 그는 갈라디아서 3장에서 이 구절이, 모세 언약 자체가, 율법이 믿음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님을 증명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12절; 18절과 비교). 비슷하게 로마서10:5에서도 그는 '율법으로부터 나온 의'를 묘사하는 모세의 표현을 사용함으로서 '믿음으로부터 나온 의'(6절)와 대립 될 수 밖에 없음을 주장을 하고 있다.(KP321)
“That Paul did indeed assess the Mosaic order in such terms is further supported by his citation of Leviticus 18: 5 as an expression of the do-and-live principle of inheritance. In Galatians 3 he points to that verse as evidence from within the Mosaic Covenant itself that ‘the law’was ‘not of faith’(v. 12; cf. v. 18). Similarly in Romans 10: 5 he uses that Mosaic formulation as a description of ‘the righteousness which is of the law,’asserting this to be antithetical to ‘the righteousness which is of faith’(v. 6)”(KP 321).
"바울의 레위기 18:5에의 호소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롬 10:5; 갈3:12), 토라 언약에서 운영되는 공로적 행위의 법적인 원리는 은혜의 복음적 원리와 상반되는 것이다"(GOM 239 n32).
“As Paul’s appeal to Lev 18: 5 shows (Rom 10: 5; Gal 3: 12), 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was operating in the Torah covenant opposite to the gospel principle of grace”(GOM 239 n32).
그가 단순히 표면적인 증거 본문에만 관여했었다는 생각이 우려된다면, 클라인이 깊이 있게 쓴 14쪽의 해석학적 논문인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에 실린 “The Gospel until the Law: Rom 5: 13-14 and the Old Covenant,”를 참고해보라.
Lest you think he was just engaging in superficial proof-texting, consider that Kline wrote an indepth, 14-page exegetical paper“The Gospel until the Law: Rom 5: 13-14 and the Old Covenant,”published in 1991 in the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이 논문은 바울의 유명한 로마서 5: 14-14의 삽입어구에 제시된 발언에 대한 해석학적 분석이었다.
This paper was an exegetical analysis of Paul’s famous parenthetical remark in Rom 5: 13-14.
그(클라인)는 바울이, 아담부터 모세까지의 기간을 매우 중요하게 선택하여서, 이 기간이 행위 원리에 의하여 다스려졌던 모세의 시기와는 대비되는, 은혜와 약속의 원리에 의하여 다스려졌던 기간이었음을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He saw the fact that Paul selected the period from Adam until Moses as high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at period was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grace and promise, in contrast with the Mosaic epoch, which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이 논문은 클라인의 더 큰 성경 신학적, 조직 언약적 논술들을 알 수 있게 하는, 바울의 핵심 본문에 대한 해석의 좋은 예인 것이다.
This paper is a fine example of exegesis of a key Pauline text driving Kline’s larger biblical-theological and systematic-covenantal formulations.
또한 그의 해석학은 바울 본문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Nor was his exegesis limited to Pauline texts.
그는 또한 스가랴에 대한 상세한 주석인 "Glory in Our Midst"에서와 같이, 핵심적인 구약의 본문들을 해석하는데 많은 수고를 하였다.
He also spent a good deal of his exegetical effort in key Old Testament texts, such as his detailed commentary on Zechariah in Glory in Our Midst.
그가 한 해석에는, 모세 언약의 성격과 관계된 주석들과 이것이 어떻게 아브라함 약속으로부터 포로기까지, 포로기 이후의 성전의 재건과 남은 자에 관계된 더 넓은 개요에 적합한 지를 다루고 있다.
The exegesis that he does there is sprinkled throughout with comments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Mosaic covenant and how it fits into the broader schema of redemptive history from the Abrahamic promise to the exile to the post-exilic restoration of the temple and the remnant.
클라인이 자신의 모세 언약 개념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우들에 적용하고 있는 또 다른 결정적인 구약의 구절은 예레미아의 유명한 "새 언약" 예언이었다.
Another crucial Old Testament passage that Kline employed on multiple occasions to support his conception of the Mosaic covenant was Jeremiah’s famous “new covenant”prophecy.
예레미아는, 오는 날에 세워질 새 언약에 대하여 언급하면서(레 31: 31-34), 이것과 시내산에서 세워진 언약 사이의 대조를 예리하게 이끌어낸다(즉, 유형학적 나라와 관련된 층을).
“Jeremiah, speaking of the new covenant to be made in the coming days (Jer 31: 31-34), drew a sharp contrast between it and the covenant made at Sinai (i.e., the stratum of it concerned with the typological kingdom).
그는 옛 언약이 깨어질 수 있음을 언급하였으며, 이스라엘에 의하여 실제로 깨어졌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것(시내산 언약)이 유업에 대한 행위 원리에 의하여 특징되었다는 것이다(GHHM 97).
He described the Old Covenant as breakable and in fact as having been broken by Israel, which means that it was informed by the works principle of inheritance”(GHHM 97).
나는 단지 클라인의 해석에 대한 맛을 보여주었을 뿐이다.
I have only given a taste of Kline’s exegesis.
더 많은 것이 있지만, 클라인이 자신의 관점을 성경 본문의 해석과 성경 신학적 관계성보다는 고대 근동의 유사물 위에 세웠다는 비난을 물리치기에는 이것으로 충분하다.
There is much more, but this is enough to refute the charge that Kline built hi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on Ancient Near Eastern parallels rather than exegesis and biblical-theological engagement with the biblical text.
만약에 고대 근동의 유사물이 존재할 수 없다거나, 혹은 궁극적으로 제한된 가치로만 따로 떼어 놓는다고 하더라도, 클라인은 율법-복음의 대비에 대한 의견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다.
Even if the ANE parallels never existed, or were ultimately set aside as of limited value, Kline would not budge on the law-gospel contrast.
모세법의 성격에 대한 바울의 영감있는 권위적인 가르침과 율법-복음의 대비가 유지된다면, 바울에 대한 신뢰는 궁극적으로 클라인의 성경 신학이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를 역사적으로 펼쳐나가는 언약적 구조와 관계되도록 이끌어 나아갈 것이다.
Paul’s inspired and authoritative teaching on the nature of the Mosaic law and the law-gospel contrast would remain, and fidelity to Paul is ultimately what is driving Kline’s biblical theology as it relates to the covenantal structure of the historical unfolding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God.
B. 클라인에 대한 두 번째 잘못된 설명
B. Second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모세 언약이 아담의 행위 언약에 대한 재연이었다고 가르쳤다."
“Kline taught that the Mosaic covenant was a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꼭 그렇지만은 않다.
Not quite.
클라인은, 성경신학자로서 역사 가운데 성경적으로 계시되는 커다란 유형을 보면서, 이스라엘을 에덴에서의 아담의 재현으로 보았던 것이다.
Kline, as a biblical theologian looking at the big patterns of biblical revelation in history, saw Israel as a recapitulation of Adam in the garden.
아담과 이스라엘은, 동산에서든지 땅에서든지, 모두 하나님의 거룩한 성전의 관리인들이었다.
Both Adam and Israel were custodians of God’s holy temple, whether in the garden or in the land.
양쪽 다 순종을 조건으로 하는 축복과 불순종에 대한 위협적 저주가 계획된 검증적 행위 아래 있있다.
Both were under probationary works arrangements in which blessing was conditioned on obedience and curse was threatened for disobedience.
"신정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낙원-신성함에 다시 한번 더 머물면서 행위 언약을 검증하는 인류이었다"(KP 352).
“Israel as the theocratic nation was mankind stationed once again in a paradise-sanctuary, under probation in a covenant of works”(KP 352).
양쪽 다 언약의 조항에 대한 순종과 하나님의 거룩한 영역의 신성한 유지에 실패하였다.
Both failed to obey the stipulations of the covenant and maintain the sanctity of God’s holy realm.
양쪽 다 언약의 주께 신실하지 못하였으며, 다른 신에게 충성을 넘겨주었던 것이다.
Both were unfaithful to the Lord of the covenant and yielded fealty to other lords.
양쪽 다 의식(하나님을 예배함)을 보존하는 최고의 의무에 실패하였으며, 그분을 배반하였다.
Both failed in the prime duty of preserving the cult (the worship of God) and rebelled against him.
그리고 결국에는 하나님께서 그들 모두를 추방하셨다.
And in the end God sent them both into exile.
그러나 클라인은, 모세 경륜이 단순히 처음 아담 언약의 재연이 될 수 없다는 인식을 하였는데, 이는 타락 후의 상태에서 하나님의 커다란 구원 계획의 부분으로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Yet Kline recognized that the Mosaic economy could not be a simple republication of the original Adamic covenant because it was introduced into a post-Fall situation and as part of God’s larger redemptive program.
"우리의 현재의 논제에서 특별히 중요한 것은, 모세 경륜에는 전체적으로 창조적 질서의 재현이 있었다는 것인데 (타락한 환경의 한계 안에서, 그리고 구속 과정에서 오는 조정과 함께), 이에는 거룩한 낙원의 나라로서, 그리고 검증적 행위의 계획으로서의 처음의 에덴의 질서가 포함된 것이다"(KP 20, emphasis added).
“It is especially significant for our present thesis that in the Mosaic economy there was a reproduction of the creational order as a whole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fallen situation and with the adjustments resulting from the redemptive process), including specifically the nature of the original Edenic order as a holy paradise-kingdom and as a probationary works arrangement”(KP 20, emphasis added).
모세 경륜은, 처음의 아담의 방식에 대한 세상 역사의 무대에서의 교사적 재연이었지만, 이는 "타락한 상황의 한계 안에" 맞게 끔 조정된 것이며, "구속의 과정으로부터 생겨난 것들로 인하여 조정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The Mosaic economy was a pedagogical re-enactment on the stage of world history of the original Adamic arrangement, but modified to fit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fallen situation”and characterized by “adjustments resulting from the redemptive process.”
그렇다면 이러한 제한들과 조정들은 무엇이란 말인가?
What were some of those limitations and adjustments?
주된 것으로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는, 이스라엘이 땅에서 유하는 동안에 유형학적 단계에서 역사적으로 운용되었던 것과 같이,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지도 않고, 조그마한 불순종에 대하여 저주로 위협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The main one is that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as it operated historically on the typological level of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did not require perfect obedience or threaten a curse for the smallest disobedience.
차라리 이는 클라인이 말하는 "유형학적 가독성"에 따라서 운용되었었다.
Rather, it operated according to what Kline calls “typological legibility.”
"이스라엘 나라의 경우에 있어서 유형학적인 목적은 의와 번영이 극치의 나라에서 서로 결합하게 된다는 것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상징적 메세지가 읽혀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지속적이고 집단적인 배교에서는 약속된 유업을 소유하는 것이 허락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사람들의 불가피한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면으로는, 유형학적 전개방식의 교사적인 점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 모세 언약에서의 축복과 저주를 행하는데 있어서, 하나님께서는 상징적 적합성이나 유형학적 가독성의 표준을 적용하셨다"(KP 239-40).
“The typological objective in the case of the Israelite kingdom was to teach that righteousness and prosperity will be conjoined in the consummated kingdom. For the purpose of keeping that symbolic message readable, persistent wholesale apostasy could not be allowed to accompany possession of the promised inheritance. But, on the other hand, the pedagogical point of the typological arrangement could be satisfactorily made, in a positive fashion, in spite of the inevitable imperfections of the people individually and as a nation. In meting out the blessings and curses of the Mosaic Covenant, the Lord applied the standard of symbolical appropriateness or typological legibility”(KP 239-40).
"여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유형학적인 나라가 모세 언약 아래에서 시작된 이상, 이스라엘이 이를 유지 시키기 위해서 국가적인 규모에 적용되는 행위의 원리에 의하여 다스려졌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국가적 검증을 판단하는 표준으로는 유형학적 가독성, 즉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거룩하신 나라의 복락을 즐긴다는 것은 의와 밀접하게 연계되어있다는 것을 합리적으로 읽어낼 수 있도록 말씀이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거룩함이 없이 우리는 하나님을 볼 수가 없다"(KP 323)
“What we have found then is that once the typological kingdom was inaugurated under the Mosaic Covenant, Israel’s retention of it was governed by a principle of works applied on a national scale. The standard of judgment in this national probation was one of typological legibility, that is, the message must remain reasonably readable that enjoyment of the felicity of God’s holy kingdom goes hand in hand with righteousness. Without holiness we do not see God”(KP 323).
이는 처음의 아담 언약의 재현이었지만 "국가적 규모에 적용되었으며", 여기서 이스라엘이 땅에 머무르기 위해서는 완전한 순종보다는 "적절한 정도의 국가적 충실함"이 요구되었다.
It was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Adamic covenant but “applied on a national scale,”wherein the requirement was not perfect obedience but an “appropriate measure of national fidelity”if Israel was to retain the land.
"이스라엘 사람들이 공동체적으로 약속된 땅에서 신정 국가로서의 지속적인 소유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그들이 적절한 정도로 그들의 천상의 왕에 대한 국가적 충성을 유지하였던 것이었다"(KP 322).
“The Israelite people corporately could maintain their continuing tenure as the theocratic kingdom in the promised land only as they maintained the appropriate measure of national fidelity to their heavenly King”(KP 322).
모세 언약 내에 새겨져 있는 행위 원리는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의 공동체적 삶"을 지배하고 있다.
The works principle enshrined in the Mosaic covenant governed “the corporate life of Israel” as a nation:
"국가적으로 선택받은 수혜자로서의 이스라엘의 공동체적 삶을 지배하는 것과 가나안에서의 유형학적인 나라로서의 이스라엘의 수명을 통제하는 것은 법정적 원리였다"(“Gospel until the Law,”435).
“It was the judicial principle that governed the corporate life of Israel as recipient of the national election and controlled Israel’s tenure in the typological kingdom of Canaan”(“Gospel until the Law,”435).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클라인은 모세 언약이 아담의 행위 언약의 재연이었다고 가르치지는 않았다.
For this reason, it is evident that Kline did not teach that the Mosaic covenant was a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이러한 진술에는 진리의 일면도 있겠지만 오히려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There is a grain of truth in that statement, but it is misleading.
오히려 그(클라인)가 모세 경륜을 아담의 검증의 유형학적인 재연으로 보고있다고 말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할 것이다.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he viewed the Mosaic economy (the top layer thereof) as a typological recapitulation of Adam’s probation.
만약에 당신이 클라인이 어떻게 모세 언약 자체- 모세 경륜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시내산에서 세우신 실제적 언약-를 특징 지우는지 결론 내리길 원한다면, 그는 이것(모세 언약)은 "다양한 행위들의"(KP 5)언약이며 "행위 원리에 의하여 숙지되어진 검증적 계획"(KP 345) 혹은 "행위 언약"(KP 352)이라고 말할 것이다.
If you want nail Kline down about how he would characterize the Mosaic covenant itself –not just the Mosaic economy but the actual covenant that God established with Israel at Mount Sinai–he would say it wa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KP 5) or “a probationary arrangement informed by the works principle”(KP 345) or“a covenant of works”(KP 352).
그러나 그는 이것을 "행위 언약의 재연"이라고 부르지 않을 것이다,
But he would not call it “a republication of the covenant of works.”
C. 클라인에 대한 세 번째 잘못된 설명들
C. Third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가 오직 유형학적인 차원에서만 적용된다고 보았으며, 율법에서의 가정적 행위 원리의 존재를 부인하였다."
“Kline saw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operating only at the typological level and denied the presence of a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in the law.”
만약에 이전의 잘못된 설명이나 잘못된 이해가, 클라인이 모세 언약을 하나의 단순한 아담의 행위 언약의 재연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라면, 이번에는 이러한 주제에 대하여는 분명히 하고 있지만, 그 다음은 반대 방향으로 가서, 클라인이 율법에, 비록 가정적이라 할지라도 율법을 완벽하게 지키는 이들에게 진실로 영원한 생명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데 실패를 하였다며 비난하고있다.
If the previous misrepresentation or misunderstanding is that Kline viewed the Mosaic covenant as a simple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this one gets that issue straight but then go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aults Kline for failing to recognize that the law contained a genuine albeit hypothetical offer of eternal life to those who keep the law perfectly.
이러한 가상적 행위 원리는 레위기18:5에 분명하게 나타나있다: "너는 나의 모든 규례와 모든 법도를 지킬 것이며, 너는 이것들을 행할 것이라, 사람이 이것들을 행하면 그로 말미암아 살리라"
This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is enunciated in Lev 18: 5: “And you shall keep all my ordinances and all my judgments, and you shall do these things which, if a person does them, he shall live by them”(New English Translation of the Septuagint).
레위기 18:5에 대한 그의 인용과 암시로 판단해보면(예, 롬 2:13; 7: 10; 10: 5; 갈 3: 12) 바울이 생명의 약속을 이 땅에서의 장수가 아닌 영원한 종말론적 삶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Judging from his quotations and allusions to Lev 18: 5 (e.g., Rom 2: 13; 7: 10; 10: 5; Gal 3: 12), it would appear that Paul interpreted the offer of“life”not as long life in the land but as eternal, eschatological life.
이러한 약속을 "가정적"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타락 이후에 아무도 율법이 요구하는 모든 것을 실질적으로 행하거나 완벽하게 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offer is called“hypothetical”because no one after the Fall actually does or can perfectly do all that the law demands.
"이것을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 (종말론적으로)"는 진실된 약속이겠지만 이는 단지 공집합일 뿐이다.
“Do this and you will live (eschatologically)”may be a genuine offer but it is an empty set.
종말론적 행위 원리는 그리스도 외에는 어느 누구에 의해서도 충족될 수가 없다.
The eschatological works principle was never fulfilled by anyone but Christ.
이제 분명히 해야 할 것은, 클라인을 비평하는 모든 사람이 레위기 18:5에 요약된 바와 같이 율법에서의 가정적 행위 원리를 지지하는데 관계되어있는 것은 아니다.
Now, just to be clear, not all critics of Kline are concerned to uphold a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in the law as summarized in Lev 18: 5.
사실 클라인을 비평하는 대부분(특히 풀러-쉐퍼드-페드럴비전의 변형의 사람들)이 그렇지 않다.
In fact, most of Kline’s critics (especially those of the Fuller-Shepherd-Federal-Vision variety) are not.
이러한 그룹은 어디서나 -모세 경륜에서 뿐만이 아니라 창조주의 첫 번째 아담과의 행위 언약, 그리고 성부의 두 번째 아담과의 행위 언약(구속 언약)에서-행위 원리를 부인한다
That group denies the works principle everywhere–not just in the Mosaic economy, but also in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and in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second Adam (the pactum salutis).
그러나, 언약신학과 칭의에 대하여 좀 더 전통적인 관점(말하지만, 그들은 아담의 행위 언약을 부인하지 않으며, 그리스도의 의의전가를 확신하고 있다)을 유지하는 이들로서 클라인을 비판하는 이들이 일부 있는데, 이들이 염려하는 것은, 클라인이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를 유형학적 차원으로 제한한다는 것이다.
However, there are some critics of Kline who hold more conventional views of covenant theology and justification (meaning, they don’t deny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and they affirm the imputed righteousness of Christ), who are worried about the way in which Kline seems to limit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to the typological level.
이는, 그들이 그(클라인)의 "유형학적 가독성"의 개념, 즉 국가적 이스라엘에게 완벽한 순종이 아닌 "적절한 정도의 국가적 충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개념으로 인하여 당혹스러워하는 걱이다.
That is, they are troubled by his concept of “typological legibility” wherein national Israel is required to maintain an “appropriate measure of national fidelity,” but not perfect obedience.
그들이 염려하는 것은, 행위 원리에 대한 이러한 유형학적 견해가 신적인 의의 영원한 표준을 희석 시키거나, 혹은 심지어 부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They worry that this typological version of the works principle waters down or possibly even denies the eternal standard of divine justice.
도덕법은 절대적이고, 완벽한 순종을 요구한다.
The moral law requires absolute, perfect obedience.
이러한 비평가들이 즉시 지적하는 것은, 레위기 18:5의 원리를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는 절대적 의미에서 취하는 것이 다음 두 가지 이유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첫째, 교사로서의 율법의 기능을 위하여 필요하다(율법이 만약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율법은 우리에게 우리의 죄를 보여주거나 우리를 그리스도께 인도할 수 없다); 두 번째, 이는 궁극적 기독론적 목적과 율법의 중요성에 결정적인 것이다 (만약 그리스도가 자신의 순종으로 율법을 완벽하게 충족시키셨다면, 율법은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는 것이 틀림이 없다).
Such critics rightly point out that it is crucially important to take the Lev 18: 5 principle in an absolute sense as requiring perfect obedience, for two reasons: first, it is necessary for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the law can’t show us our guilt and drive us to Christ unless it demands perfect obedience); second, it is crucial for the ultimately Christological aim and significance of the law (if Christ perfectly fulfills the law by his obedience, then the law must require perfect obedience).
이러한 비평가들에 대한 응답으로, 나는 클라인이 그들의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논하고자 한다.
In response to these critics, I want to argue that Kline shares their concerns.
내가 논하려고 하는 것은, 사실은, 그(클라인)가 모세법에서 행위 원리의 가정적인 면에 대하여 확신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I would argue, in fact, that he does affirm the hypothetical aspect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여기 한 가지 인용한 것을 보면, 그가 명쾌하게 가정적 행위 원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Here is one quote where he explicitly uses the language of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그는 행위 원리를 단순하게 가정적이라고 보길 원하지 않는데, 이를보면 그가 거기서 가정적 행위 원리를 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e does not want to see the works principle as merely hypothetical, but that implies that he does see a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there.
"실비아로 이어지는 머레이의 입장은, 유형학적 단계의 중요성을 최소화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옛 언약을 다른 은혜의 통치와 연속되게 끔 축소 시켰기 때문에, 율법의 원리를 떠난 그의 제안은 단지 행위에 의한 구원 말고는 다른 길이 없다는 가정적 제안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Gospel until the Law,”434-35, emphasis added).
“Because the Murray position followed by Silva so minimizes the significance of the typological stratum as virtually to reduce the old covenant to the one level of its continuity with other administrations of grace, his suggestion leaves the law principle functioning merely as a hypothetical proposal of salvation by works and in no other way”(“Gospel until the Law,”434-35, emphasis added).
그가 이것을 강조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 바벨론 유수와 서기 70년에 댓가를 치르는 일이 역사적으로 실제로 적용되었던 이상, 우리가 율법의 행위 원리가 단지 가정적인 것 만은 아니라는 것을 확실히 인식하도록 하기 원하였기 때문이다.(“Gospel until the Law,”435, emphasis added).
It is true that he does not emphasize it, but that is because he wants to make sure we recognize that “the law’s principle of works was not just something hypothetical,”since it was actually applied historically in the Babylonian exile and in AD 70“with a vengeance”(“Gospel until the Law,”435, emphasis added).
하나님의 유형적 나라에 대한 종식과 이스라엘의 국가로서의 선택의 상실은 "분명히 율법의 조항과 구속력이 단순히 가정적 표현이라는 개념과 상반된다"(같은 글).
God’s termination of the typal kingdom and Israel’s loss of national election“emphatically contradict the notion that the law’s stipulations and sanctions were mere hypothetical formulations”(ibid.).
비록 클라인이, 행위적인 면을 단순한 가정적 원리로 감소시키려거나, 위에 가로 놓여있는 유형학적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들에 대하여 반박하고있지만, 그는 유형학적 측면에 당연히 내포되어있는 가정적 행위 원리가 있음을 인식하고있다.
Although Kline is arguing against those who would reduce the works aspect to a mere hypothetical principle and fail to acknowledge its historical operation at the overlying typological layer, he does recognize that there is a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as well imbedded in the typological layer.
클라인이 이것을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역시, 바울 자신이 자주 율법에서의 유형학적 행위 원리를 무시하면서, 이를 지나서 완벽한 순종을 요구하는 행위 원리로서의 궁극적인 종말론적 중요성을 보고 있음을 기록하고있으며, 특히 레위기 18: 5을 다음과 같이 사용하고있다:
Not only does Kline recognize this, but he also notes that Paul himself often bypasses the typological works principle in the law and sees right past it to its ultimate eschatological significance as a works principle requiring perfect obedience, particularly in his use of Lev 18: 5:
"실제로 주목할 만한 것은, 바울 자신도 모세 경륜을 한 가지의 차원- 그러나 은혜의 차원이 아니라 유형학적인 행위의 차원으로 축소시키는 것처럼 자주 충분히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에 사도 자신이 오늘날 그렇게 무방비로 표현을 했다면, 그는 세대주의 경향의 사람들로부터 고소를 당하는 위험에 처했을 것이다"(“Gospel until the Law,”435). “What is truly remarkable is that Paul sounds often enough as though he too were reducing the Mosaic economy to one level –not, however, to the grace level but to the typological works level. If the apostle expressed himself so unguardedly today he would risk being accused of dispensationalist leanings”(“Gospel until the Law,”435).
다음 인용에서는 더욱 분명해진다:
Even clearer is this quote:
바울의 레위기 18:5에 대한 호소가 보여주고 있듯이(롬 10: 5; 갈 3: 12) 공로적 행위의 법적인 원리는 은혜의 복음 원리와는 반대로 토라에서 작용하고 있었다(GOM 239 n32).
“As Paul’s appeal to Lev 18: 5 shows (Rom 10: 5; Gal 3: 12), 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was operating in the Torah covenant opposite to the gospel principle of grace”(GOM 239 n32).
클라인에 의하면, 바울이 레위기 18: 5을 사용하는 것은 모세법이 어느 정도는 " 공로적 행위의 법적인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는 것이라는 사실에 주목해보라.
Note well, according to Kline, Paul’s use of Lev 18: 5 demonstrates that the Mosaic law contains in some way“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이것은 "법적인 원리"이다.
It is a “legal principle.”
달리 말하자면, 율법은, 비록 타락한 인간이 절대로 지킬 수는 없지만, 그것을 지키는 이에게는 생명을 가정적으로 제공해준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 law contains a hypothetical offer of life to those who keep it, although fallen humans can never keep it.
그러나 이것이 유형학적 가독성이라는 클라인의 개념과 어떻게 관계가 있다는 말인가?
But how does this relate to Kline’s notion of typological legibility?
나는 율법의 가정적 행위원리와 율법의 유형학적 행위 원리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I would argue that the law’s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and the law’s typological works principle go hand in hand.
나는 클라인이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에서 “intrusion"를 다루는데 있어서 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범주를 제공해 주리라고 믿는다.
I believe Kline gives us the conceptual categories to explain this in his treatment of “intrusion”in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
클라인은, 종말론적 실체의 원리와 능력이 역사의 한 가운데 투영됨으로서(이것이 intrusion의 개념이다), 그 안에 종말론적 핵을 내포하고 있는 외부의 껍질이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Kline argues that the principles and powers of the eschatological reality are projected into the midst of history( this is the concept of “intrusion”), creating an outer shell that contains within it an eschatological core.
마치 번개불이 땅을 통과하여 fulgurite(실리카가 녹음으로서 만들어지는 움푹 파인 유리)를 만들듯이, 종말론적 침투는 내부의 핵을 포함한 외부의 껍질을 만들어낸다.
Just as a bolt of lightning can penetrate the earth and form a fulgurite7 (a hollow glass tube formed by melting the silica), so the eschatological intrusion creates an outer shell with an inner core.
외부의 껍질은 종말론적 실체를 고대하는 형태이지만, 종말론적 실체는 어느 정도는 껍질 내부에 포함되어있다.
The outer shell is the type that looks forward to the eschatological reality, but the eschatological reality is to some extent contained within the shell.
통치의 전 과정을 거치는, 신약에서 좀 더 완전하지만 이미 구약에서 시작된, 구속 언약은 성령의 오심이며, 능력의 침투이며, 원리이며, 지연된 시기로 들어오는 극치의 실체이다.
“The Covenant of Redemption all along the line of its administration, more profoundly in the New Testament but already in the Old Testament, is a coming of the Spirit, an intrusion of the power, principles, and reality of the consummation into the period of delay.
무엇보다도 먼저는 구약의 시기에 침투해 들어오는데, 침투는 하나님의 역사의 섭리에 의한 세대, 혹은, 좀 더 특별하게는, 구속 언약의 신적인 통치에 의해서, 충족되고 종식되는 나중 세대를 위해서 준비되는 세대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Breaking through first of all in the Old Testament period, the Intrusion finds itself in an age which is by the divine disposition of history, or, more specifically, by the divine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Redemption, an age of preparation for a later age of fulfillment and finality.
그러므로, 이것은, 한때 제시되었지만 아직 베일에 가리워있는, 궁극적 영광의, 지상적 형태 한가운데 나타나는 것이다.
Its appearing, therefore, is amid earthly forms which at once suggest, yet veil, the ultimate glory.
애매하게 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이러한 침투라는 임시적 껍질 안에 영원한 핵이 있다는 사실이다.
Not to be obscured is the fact that within this temporary shell of the Intrusion there is a permanent core.
상황들의 반복은, 천상의 실체의 실제적 투영인 실현된 종말론을 지상적으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The pattern of things earthly embodies realized eschatology, an actual projection of the heavenly reality.
이것이 바로, 늦추어진 시간 속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자체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극치인 것이다.
It is the consummation which, intruding into the time of delay, anticipates itself ....
이러한 침투는 핵심에서는 종말론을 실현한 것이며, 동시에 상징적 외관(성례적인 면은 그것의 예외로서)에서는 아직 실현되지 않은 종말론의 유형적 그림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This Intrusion has realized eschatology as its core, while its symbolic surface (the sacramental aspect thereof excepted) forms a typical picture of eschatology not yet realized.
핵과 껍질의 참된 성격을 이해하는 것과, 그리고 핵이 항상 껍질 안에 존재해있다는 것을 좀 더 이해하는 것은, 많은 부분이 구약을 적절하게 이해하는데 달려있다”(SBA 156, 158).
In the recognition of the true character of core and shell and in the further recognition that the core is always present within the shell lies the proper understanding of much in the Old Testament”(SBA 156, 158).
모세법은 타락 후의 상태에 침투해 들어온 종말론적 행위 원리였었다.
The Mosaic law was an intrusion of the eschatological works principle into a post-fall situation.
이러한 원리가 이스라엘의 역사 속으로 번개불과 같이 들어왔을 때, 이것은 외부의 껍질(이 땅에 관계되는 유형학적 행위 원리에 지배를 받는 유형적 나라)을 형성시켰지만, 그 껍질 안에 담겨있는 것은 실현된 종말론(가정적인 행위 원리는 오직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부의 두 번째 아담과의 행위 언약, 즉 구속 계약의 의미를 따라서 충족된다)이라는 핵이었다.
When that principle entered like a lightning bolt into the history of Israel, it created an external shell (the typal kingdom governed by the typological works principle pertaining to the land) but contained within the shell was a core of realized eschatology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fulfilled only by Christ according to the terms of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second Adam, aka, the pactum salutis).
하나님께서 행위 원리를 유형학적 차원에서 재현시키신 핵심적 이유는, 율법의 종결자로서, 율법의 저주를 감당하셨고,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의 긍정적 요구들을 지키셨으며, 그럼으로서 자기 백성에게 천국을 얻게하신,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역사적인 맥락을 제공해주시기 위함이었다.
The very reason why God reenacted the works principle on the typological level was to provide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incarnation of Christ, the telosof the law, who endured the law’s curse and kept the law’s positive requirements in our place, thus earning heaven for his people.
"참된 이스라엘로서,율법 아래에 나셨고,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보편적으로 관계되는 역할로서의 예수의 특별한 역사적 정체성 사이의 동일함으로 인하여, 모든 세대의 선택된 자들을 위하여 행위 언약 안에서 검증적 책임을 완수하는 중대한 임무는 명백하게 표현된 것이고 쉽게 읽어낼 수 있는 것이다"(KP352).
“Because of the congruence between Jesus’ particular historical identity as the true Israel, born under the law, and his universally relevant role as the second Adam, the significance of his mission as the accomplishing of a probationary assignment in a works covenant in behalf of the elect of all ages was lucidly expressed and readily readable”(KP 352).
클라인은 구원 계약을 "천상의 [즉 하늘의] 행위 언약"이라고 부른다.
Kline calls the pactum salutis the “supernal [i.e., heavenly] works covenant.”
이것은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과 이스라엘이 땅에서 유지되는 것을 지배하는 유형적 행위 언약을 확립하는 것에 대한 최종적 원형이다.
It is the ultimate archetype for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ypological covenant of works governing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토라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 나심으로 알려지신 바와 같이(갈4:4), 그리스도께서는 이 땅에 삼위일체 안에 내재된 행위 언약 아래의 한 분으로 오셨다. 이는 그가 천상의 행위 언약의 검증을 충족 시킴으로 인하여 은혜 언약의 중재자가 되셨으며, 이 언약 안에서 그의 백성은 믿음으로 영원한 영광의 나라를 그들의 주와 같이 상속 받는 자가 되었다(히 9:14; 롬 8: 17)"(GOM 237)
“As a dvertised by his birth under the Torah covenant of works (Gal 4: 4), Christ came to earth as one under the intratrinitarian covenant of works. It was by fulfilling the probation of that supernal works covenant that he became the mediator of the Covenant of Grace, the covenant in which his people become by faith joint-heirs with their Lord of the eternal kingdom of glory (Heb 9: 14; Rom 8: 17)”(GOM 237).
바울 신학에 있어서, 그들이 약속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의 정체성으로 인하여, 조약과 허용이라는 언약 율법의 요구가 사람에게서 응하고 충족될 수 있었다"(BOC 23).
“In the theology of Paul the demands of covenant law both as stipulations and sanctions are met and satisfied for men in their faith identification with the Christ of promise”(BOC 23).
"그러므로 율법은 복음의 기초를 이룬다; 복음의 은혜는 율법 언약에 분명하게 명시된 바와 같이, 하나님의 의의 요구를 지킨다"(GOM 237)
“Law is thus foundational to gospel; gospel-grace honors the demands of divine justice as definitively expressed in law covenant”(GOM 237).
만약에 클라인이 모세 언약 안에 내재되어있는 가정적 행위 원리를 인식하지 못하였다면, 그는 그리스도를 완전하게 율법을 충족 시키신 분, 즉 " 모든 세대의 선택 받은 이들를 위하여 행위 언약 안에서 검증적 임무를 완성하신 분"이라는 말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If Kline did not recognize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imbedded in the Mosaic law, he would not be able to speak of Christ as perfectly fulfilling the law, “accomplishing a probationary assignment in a works covenant in behalf of the elect of all ages.”
그러나 알아야 할 것은, 이런 그리스도가 이루신 이러한 행위 언약은, 정확히 말하자면, 모세 언약이 아니고 "구원 계약"이다.
But note that he would say that this works covenant that Christ fulfills is not properly the Mosaic covenant but the pactum salutis.
모세 언약은, 타락 후의 역사적 상황 속으로, 실제적 행위 원리가 종말론적으로 침투해 들어옴으로서, 하나님의 의를 만족 시키시고, 또한 실제적 행위 원리를 충족시킴으로서, 우리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께서 순종하심과 죽으심을 통하여 이루신 것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게 끔, 유형학적인 상황을 만든 것이다.
The Mosaic covenant is the eschatological intrusion of the actual works principle into a post-Fall historical situation, thus creating the typological context tha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read”the accomplishment of Jesus Christ in his obedience and death as the satisfaction of divine justice and the fulfilling of the actual works principle.
클라인의 좀 더 전통적인 일부 비평에 대한 우려와는 반대로, 클라인은 레위기 18:5의 가정적 행위 원리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Contrary to the worries of some of Kline’s more traditional critics, Kline does not deny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of Lev 18: 5.
그의 생각의 이러한 면을 놓치기 쉬운 것이 당연한 이유는, 그가, 땅에서의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의 역사적 경험들에 관계되는, 행위 원리의 유형학적 기능을 설명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Granted, it is easy to miss this aspect of his thought because he spends so much time expounding the typological operation of the works principle as it pertained to national Israel’s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land.
그러나 이것은 그가, 바울이 레위기 18:5을 사용할 때 그가 유형학적 "껍데기"를 우회하여 바로 그 안에 담겨있는 종말론적 핵으로 들어갔다고, 인식함으로서, 그의 생각이 명백하게 드러난다.
But it is there in his thought, as evidenced by his recognition that when Paul employed Lev 18: 5 he bypassed the typological “shell”and penetrated right to the eschatological “core”c ontained within.
클라인은, 바울이 종말론적 침투의 개념 때문에 이렇게 한 것은 옳은 것이라고 이해한다.
Kline understands that Paul is right to do this because of the concept of eschatological intrusion.
레위기 18: 5의 원리(가정적 행위 원리)의 종말론적 실체는 하늘로부터 시내산에 내려와서, 역사의 한 가운데 개입함으로서, 모세 경륜의 상층에 놓여있는 행위 원리의 유형학적 표현으로서의 "껍질" 안에 참된 종말론적 "핵"을 심겨 넣은 것이다.
The eschatological reality of the Lev 18: 5 principle (the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came down out of heaven at Sinai, intruding into the midst of history and thereby imbedding a genuine eschatological “core”within the “shell”of the typological expression of the works principle at the top layer of the Mosaic economy.
이 모든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없이는 성육신에 필요한 합치로서의, 모세법과 구원 계약 사이에 "합치"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All this is vitally important, because without it there would be no “congruence”(KP 352) between the Mosaic law and pactum salutis, a congruence that is necessary for the incarnation.
오직 이 방법으로 만이, 모세법 아래서의 그리스도의 검증과 순종이, 구원 계약 아래서의 검증과 순종으로 즉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Only in this way can Christ’s probation and obedience under the one (the Mosaic law) be readily perceived as his probation and obedience under the other (the pactum salutis).
D. 클라인에 대한 네 번째 잘못된 설명
D. Fourth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모세 언약이 어떠한 의미에서든지 은혜 언약의 통치였다는 것을 부인할 정도로, 모세 언약의 행위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불연속성은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연속성은 축소하거나 부인하였다."
“Kline so emphasized the works aspect of the Mosaic covenant that he denied that it was in any sense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He overemphasized the discontinuity and downplayed or denied the continuity.”
사실이 아니다.
Not true.
클라인의 언약 개념의 논쟁적 내용이 그로 하여금 모세 언약의 행위적인 면을 강조하게 끔 한 것은 사실이다.
It is true that the polemical context of Kline’s covenant thought pushed him to emphasize the works aspect of the Mosaic covenant.
그가 존 머레이의 언약신학의 "재구성"에 대하여 응답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그(존 머레이)는 언약의 성경적인 개념을 "은혜와 약속의 주권적 통치"로 규정하였다.
He was responding to John Murray’s “recasting”of covenant theology in which he defined the biblical concept of covenant as “a sovereign administration of grace and promise.”8
물론, 이것은 모세 언약을 보장된 은혜의 언약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었으며, 이 언약의 약속들과 조건들은 원리에 있어서는, 우리가 아브라함 언약이나 새 언약에서 보았던 바와 같이, 은혜의 맥락 안에서, 순종의 요구와 다를 바 없이 이해되어야 했다.
This, of course, meant that the Mosaic covenant had to be seen as a covenant of guaranteed grace, and the promises and conditions of that covenant had to be understood as no different in principle from the demand for obedience, within the context of grace, that we see in the Abrahamic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클라인이 걱정을 하였던 것은, 이러한 언약 신학의 수정은, 모든 언약을 단일한 성격으로 적합화 시킴으로서, 율법- 복음의 대조를 붕괴 시키며, (노먼 쉐퍼드와 페드럴 비전에서 사실로 증명된 바과 같이) 칭의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파급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Kline was concerned that this recasting of covenant theology, by making all covenants fit into a single mold, would destroy the law-gospel contrast and have ripple effects on one’s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as proved true with Norman Shepherd and the Federal Vision).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클라인은 모든 언약들을 단일한 성격으로 끼워 맞추려고 하지 않았으며, 일부 언약은 행위의 종류이며, 다른 언약들은 은혜의 종류라고 주장하려고 했던 것이다.
For this reason, Kline will not make all covenants fit into a single mold and will insist that some covenants are of the works variety and others of the grace variety.
다른 한편으로, 언약 신학에서 율법-복음의 구별을 지지하는 것을 주장하는데 있어서, 클라인은 다른 방식의 반발에 너무 조심함으로서, 한편으로는 모세 언약과 아브라함 언약과의 연속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새 언약과의 연속성을 완전히 붕괴 시키게 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ile insisting on upholding the law-gospel distinction in covenant theology, Kline was too careful to react the other way and completely rupture the continuity of the Mosaic covenant with the Abrahamic covenant on the one side and with the new covenant on the other side.
이것이 내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으로서- (그 내용은) 클라인이 율법-복음의 구분을 너무 심하게 함으로서, 그가 다양한 통치에서의 은혜 언약의 연속성을 부인하거나 축소하였다는 것이다.
That is what I want to address here–the perception that Kline took the law-gospel distinction so far that he denied or downplayed the continuity of the covenant of grace under its various administrations.
이것은, 클라인이, 모세 언약이 아담의 행위 언약의 재연이었다고 가르쳤다고 주장하는 두 번째 잘못된 해석과 관련이 있다.
This relates to the second misrepresentation in which it is claimed that Kline taught that the Mosaic covenant was a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만약에 모세 언약이 단순한 아담의 행위 언약의 재연이었다면, 어떻게 모세의 행위 언약이 처음부터 약속된 아브라함 언약과 연결될 수 있는 지를 알아낸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어려울 것이다.
If the Mosaic covenant were a simple republication of the Adamic covenant of works, it would be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see how the Mosaic covenant of works could be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Abrahamic covenant of promise.
그러나 클라인은, 모세 언약이, 분명히 은혜 언약에서 가장 중요한 구속적 계획을 진행 시킬 목적으로, 타락한 상황 가운데로 행위 원리가 침입한 것으로 인식하였었다.
But Kline recognized that the Mosaic covenant was an intrusion of the works principle into the midst of a fallen situation precisely for the purpose of advancing the overarching redemptive program of the covenant of grace.
유형학적이고 가정적인 행위 원리의 도래가 내재하는 아브라함 약속의 효력을 상실 시키지는 못했다.
The introduction of the typological and hypothetical works principle did not annul the underlying Abrahamic promise.
여기서 우리는 클라인 자신이 이 점을 거듭하여 강조하는 것과 같이 갈라디아서 3: 17을 인용하여야만 한다:"하나님께서 미리 정하신 언약을 사백삼십 년 후에 생긴 율법이 폐기하지 못하고 그 약속을 헛되게 하지 못하리라"
Here we must cite Gal 3: 17 as Kline himself does again and again to underscore the point: “The law, which came 430 years afterward, does not annul a covenant previously ratified by God, so as to make the promise void”(ESV).
참으로, 율법은 아브라함 약속을 무효화 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제에 있어서는 아브라함 약속을 성취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단계인 것이다.
Indeed, the law not only does not annul the Abrahamic promise, it is actually a crucial step in the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promise.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윗 층에 행위 원리를 자리 잡게 하신 것은, 기초적인 아브라함 약속을 성취하기 위하여, 율법의 행위 원리를 충족 시킬 자손의 도래를 위한 언약적 구도를 분명하게 마련하시기 위한 것이다.
For God put the works principle in place at the top layer precisely to provide the covenantal setting for the arrival of the Seed who fulfills the law’s works principle in order to fulfill the underlying Abrahamic promise.
바울이 두 절 뒤에 말한 바와 같이:"그런즉 율법은 무엇이냐 범법하므로 더하여진 것이라 약속하신 자손이 오시기까지 있을 것이라"(갈 3:19)
As Paul says two verses later: “Why, then, was the law given at all? It was added because of transgressions until the Seed to whom the promise referred had come”(Gal 3: 19 NIV).
여기에 클라인이 연속성 - 모세 언약과 그보다 앞선 아브라함 언약과의 연속성과 모세 언약과 그 뒤에 이어지는 새 언약과의 연속성 모두-를 인식하고있다는 몇가지 핵심적인 인용문들이 있다
Here are some key quotes where Kline recognizes the continuities –both the continuity between the Mosaic covenant and the prior Abrahamic covenant and the continuity between the Mosaic covenant and the subsequent new covenant.
그러면 모세 규례 전후로 이어지는 은혜 언약의 통치와의 연속성에 대하여 클라인이 일반적으로 진술한 것으로 시작하도록 하자
Let us begin with a general statement by Kline of the Mosaic order’s continuity with previous and subsequent administrations of the covenant of grace:
"전통적 언약주의는, 옛 모세 규례(기초 단계로서-즉, 그리스도 안에서의 개인적 구원 계획으로서)는 이전과 이후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은혜 언약의 통치와의 연속성에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Gospel until the Law,”434)
“Classic covenantalism recognizes that the old Mosaic order (at its foundation level –that is, as a program of individual salvation in Christ) was in continuity with previous and subsequent administrations of the overarching covenant of grace”(“Gospel until the Law,”434, emphasis added).
모세 경륜의 위층을 지배하는 모세 언약은 그 자체로 은혜 언약의 통치가 아니며, 이는 하나님의 "가장 중요한 은혜 언약"의 부분으로서 위층에 더하여진 것이다.
The Mosaic covenant governing the top layer of the Mosaic economy is not itself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but it is added at the top layer as part of God’s “overarching covenant of grace.”
다음으로, 우리는, 아브라함 언약에서 모세 언약의 체제로의 연속성을 확실히 하고 있는 클라인의 특별한
인용으로 넘어가자.
We move, next, to a quote by Kline affirming specifically the continuity from the Abraham covenant to the Mosaic covenant order:
"옛(모세) 언약 체제는, 비록 아브라함의 약속의 언약과 연속된다고 할지라도, 그리고 심지어는 하나님 나라의 약속의 초기 성취일지라도, 이 자체는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 것이다. (Kp 320)
“The old (Mosaic) covenant order, though in continuity with the Abrahamic covenant of promise and even an initial fulfillment of its kingdom promises, was nevertheless itself governed by a principle of works”(KP 320, emphasis added).
나는 이미 앞에서 클라인의 두 겹의 케이크를 설명하였기에, 이것으로 인해서 놀라서는 안된다.
I already explained Kline’s two-layer cake above, so this should not come as a surprise here.
모세 경륜의 아래 층은 은혜 언약인 것이다.
The bottom layer of the Mosaic economy is the covenant of grace.
"바울은 모세 언약이 좀 더 일찍 아브라함에게 준 약속된 계획을 무효화시키지 않았다고 단언하고있다(갈 3: 17).
“Paul affirmed that the Mosaic Covenant did not annul the promise arrangement given earlier to Abraham (Gal 3: 17).
이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옛 언약의 체계는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레위기 18: 5과 율법의 다른 곳에서 선언된 행위 원리는 오직 이들 가운데 하나, 즉 두 번째 층에만 적용되는 것이다.
The explanation for this is that the old covenant order was composed of two strata and the works principle enunciated in Leviticus 18: 5, and elsewhere in the law, applied only to one of these, a secondary stratum.
여기에는 구원이라는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개인적으로 얻는 것과 관계된 기초 층이 있으며, 이 근본적인 층은, 교회와 맺으신 하나님의 은혜 언약의 통치에 선행하거나 이어지는 모든 것과 관계되며, 은혜의 원리로 알려진 것이다(예로서 롬 4: 16을 비교하라).
There was a foundational stratum having to do with the personal attainment of the eternal kingdom of salvation and this underlying stratum, continuous with all preceding and succeeding administrations of the Lord’s Covenant of Grace with the church, was informed by the principle of grace (cf., e.g., Rom 4: 16).
약속된 아브라함 언약이 이러한 근본적인 단계에서 모세의 체제와 연속되어지는 것으로 발견된 것으로 인하여, 뒤의 것으로 폐기되지는 않는다.
Because the Abrahamic covenant of promise found continuity in the Mosaic order at this underlying level, it was not abrogated by the latter.
모세 체계에서의 행위 원리는, 기초적인 층 위에 놓여있는 두 번째 층으로 제시되었던, 모형적인 지상의 나라의 유형학적인 측면에 한정되었던 것이다"(KP 321)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order was confined to the typological sphere of the provisional earthly kingdom which was superimposed as a secondary overlay on the foundational stratum”(KP 321, emphasis added).
"이것은, 모세 경륜 안에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수용을 지배하는 은혜의 원리가 있는 기초적인 층이 동시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바울의] 이해로서, 이는 그로 하여금 모세 언약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것을 무효화하지 않았다는 확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었다(“Of Works and Grace,”86).
“It was [Paul’s] recognition of the simultaneous presence, within the Mosaic economy, of the underlying stratum with its principle of grace controlling the reception of the eternal kingdom that made it possible for him to affirm that the Mosaic Covenant had not annulled God’s promise to Abraham”(“Of Works and Grace,”86, emphasis added).
아브라함으로부터 모세까지의 연속성을 살펴보는 것을 마치고서, 이제 모세에서 새 언약으로의 연속성에 대한 클라인의 몇 가지 인용을 보고자 한다:
Having looked at the continuity from Abraham to Moses, here are some Kline quotes on the continuity from Moses to the new covenant:
"우리는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에는 연속성 뿐만이 아니라 현저한 차이점도 있다는 결론을 내려야만 한다. 영원한 구원과 하늘의 상속과 관련해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주권적 구원 은혜라는 연속성이 있다. 그러나 옛 언약에는 은혜-약속의 믿음 원리와는 정반대로 시작된 원리가 있는 두 번째, 유형학적인 영역이 포함되어있다는 차이점이 있다”(“Of Works and Grace,”87).
“We must conclude that between the old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there is contrast as well as continuum. There is a continuum of sovereign soteric grace in Christ with respect to eternal salvation and the inheritance of heaven. But there is a contrast in that the old covenant involved a secondary, typological sphere in which a principle was introduced quite the opposite of the grace-promise faith principle”(“Of Works and Grace,”87, emphasis added).
"새 언약은, 옛 것의 지속적인 유효성을 확인한다는 의미에서, 옛 언약의 갱신이 아니다. 만약에 우리가 새 언약을 옛 것의 갱신이라고 말하려고한다면, 이는 은혜 언약의 두 가지 통치로서 그들의 연속성이 표현되어야 하거나, 혹은 더욱 특별하게는, 새 언약이 옛 언약의 기초를 이루는, 근본적인 층인 그리스도 안에서 궁극적인 천상의 소망의 길로서의 복음-은혜의 기초층과의 연속성으로 표현되어야 한다.(KP 345)
“The new covenant is not a renewal of an older covenant in the sense of confirming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old. If we speak of the new covenant as a renewal of the old it must be to express their continuity as two administrations of the Covenant of Grace or, more specifically, the continuity of the new covenant with the underlying, foundational stratum of the old covenant, the substratum of gospel-grace as the way to the ultimate heavenly hope in Christ”(KP 345, emphasis added).
"무엇보다도 중요한 은혜 언약은...여러가지 메시아 오심 이전의 (노아, 아브라함, 모세 언약을 포함하는) 통치에서 전개되어야 하며, 새 언약에서 완전히 절정에 도달 되어 표현되어야 한다.(GHHM 75)
“The overarching Covenant of Grace ... was to unfold in several premessianic administrations (including the Noahic, Abrahamic, and Mosaic covenants) and have its full, culminating expression in the New Covenant”(GHHM 75, emphasis added).
마지막 인용문을 다시 읽어보자.
Read that last quote again.
클라인은, 은혜언약이 모세 언약을 포함하여 여러 통치들에서 나타나며, 이 중요한 은혜 언약은 새 언약에서 절정에 이른다고 말한다.
Kline says that the covenant of grace unfolded in several administrations, including the Mosaic covenant, and that this overarching covenant of grace reached its culmination in the new covenant.
"그들과 같이 아브라함 언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옛 언약과 새 언약 모두 다... 은혜 언약의 통치이다. 이러한 모든 언약 체계들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과 하늘의 상속을 위한 개인적 선택이라는 목적과 계획이다"(GHHM 96).
“Carrying forward the Abrahamic Covenant as they do, both the Old and New Covenants are ... administrations of the Covenant of Grace. Foundational to both these covenantal orders is the purpose and program of individual election in Christ unto salvation and the heavenly inheritance”(GHHM 96).
"율법 언약은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였으며, 장차 복음의 목적과 계획에 맞도록 고안되어있었다.(GHHM 128-29)
“The Law covenant was a sub-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designed to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GHHM 128-29, emphasis added).
또 한 가지 알아야만 할 것은, 위의 3개는 클라인이 생을 마감한 2007년 이전의 마지막 책인 "하나님 나라의 도래"(P&R개혁주의신학사)에서의 인용문으로서, 이 책은 "하나님 나라의 서막"(P&R개혁주의 신학사)과 함께 수 십년 간 성경 신학과 언약 신학을 가르치며 다듬어진 그의 가장 성숙된 생각들을 표현한 것이다.
It should also be pointed out that the three quotes above are from Kline’s last book before he died in 2007, "God, Heaven and Har Magedon" (published in 2006), which, along with Kingdom Prologue, represents his most mature thought honed over decades of teaching biblical theology and covenant theology.
게다가, 클라인은 (시내산에서 시작된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의 언약인) 모세 언약 자체가 은혜 언약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Again, Kline is not saying that the Mosaic covenant itself (the covenant between God and Israel that was inaugurated at Sinai) was a covenant of grace.
이(모세 언약)는 (은혜 언약이)아니다.
It was not.
이는 변형된 행위 언약이다.
It wa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
그러나 그는, 하나님께서 세우신 이러한 모세 행위 언약은 은혜 언약을 향하도록 고안된 것이므로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였던 것이라고 말한다.
But he is saying that God’s establishment of this Mosaic covenant of works was designed to advance the covenant of grace and that therefore it was a sub-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다른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말하였던 바와 같이, 이(모세언약)는 그 자체로 끝나도록 의도 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율법) 아래서 나셨고 그것을 충족시키심으로, 은혜 언약의 극치를 가져오게 하시는 오실 자손을 바라보도록 의도되었던 "부차적인 언약"이었던 것이다.
As other Reformed theologians have said, it was a “subservient covenant”9 intended not to be an end in itself but to look ahead to the coming Seed who would be born under it and fulfill it and thereby bring about the consumm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E. 클라인에 대한 다섯 번째 잘못된 설명
E. Fifth Misrepresentation of Kline
"클라인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이 땅에서 땅과 하나님의 축복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다고 가르쳤으며, 이는 죄인이 하나님께 어떠한 것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다는 어거스틴주의나 개혁주의의 기본 원칙에 위배된다."
“Kline taught that Israel as a nation merited the land and God’s blessings in the land, thus contradicting baseline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which says that sinners can never merit anything with God.”
사실이 아니다!
Not true!
행위 언약의 일종으로서의 모세 언약은 반드시 순종에 대한 대가로서의 상을 제안하는데, 이것은 이스라엘에게 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 the Mosaic covenant necessarily offered a reward on the ground of obedience, which means the Israelites were required to merit a reward.
그러므로 공로는 모세 경륜에서 원칙적으로 가능했던 것이다.
Hence merit was possible in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그러나 모세 경륜에서 공로의 원리를 인정하는데 있어서, 클라인은 이것이 오직 땅에서 이스라엘의 존속에만 적용되어야 하고, 이스라엘이 처음 땅을 받는 것에 적용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But while recognizing the principle of merit in the Mosaic economy, Kline thought that it applied only to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not to her initial reception of the land.
다음 인용들을 생각해보자:
Consider these quotes:
"만약에 이스라엘이 가나안을 보유한 근거가 그들의 언약에 대한 순종이었다면, 처음에 그들이 유형학적인 나라를 받도록 선택되었던 것은 단언컨대 그들의 어떠한 공로에 근거한 것도 아니었다"(신 9: 5, 6을 참조)(KP 323).
“If the ground of Israel’s tenure in Canaan was their covenant obedience, their election to receive the typological kingdom in the first place was emphatically not based on any merit of theirs (cf. Deut 9: 5, 6)”(KP 323).
"이스라엘의 땅으로의 회복은, 그들이 출애굽 후에 처음으로 받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은혜의 선물이었다"(GOM 39)
“Israel’s restoration to the land, like their original reception of it after the exodus, was a gift of grace”(GOM 39).
그들이 땅을 은혜의 선물로 얻은 것 뿐만이 아니라,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을 행위 원리 아래에서의 그리스도의 검증적 형태로 지명 하신 것도 그 자체로 은혜로운 특권이었다.
Not only did they obtain the land as a gift of grace, but God’s appointment of national Israel to be a type of Christ’s probation under the works principle was itself a privilege of grace.
"국가적인 택함으로 인하여 그들의 것이 된, 구약의 언약 체계는 최고의 역사적 특권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그리고 아브라함에게 부여되었던 하나님 나라와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유형학적인 나라의 축복을 분배하는데 있어서 모두 행위 원리는 유용하였던 반면, 전체적인 진행 방식은, 임시적으로 혹은 영구적으로 축복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는 진노의 자식들인, 아담의 타락한 자손들에게 은혜로운 선물이었던 것이다"(GHHM 128).
“The Old Covenant order, theirs by national election, was one of highest historical privilege. And while a works principle was operative both in the grant of the kingdom to Abraham and in the meting out of typological kingdom blessings to the nation of Israel, the arrangement as a whole was a gracious favor to fallen sons of Adam, children of wrath deserving no blessings, temporal or eternal”(GHHM 128, emphasis added).
우선 하나님께서 유형학적인 나라를 세우신 것이 은례로운 행하심이었을 뿐만이 아니라, 이는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셨다는 그의 은혜를 강조하고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 분명하였다.
Not only was it an act of grace for God to set up the typological kingdom in the first place, it was precisely in order to highlight and manifest his grace that God did so.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의 존재는 대립 되었던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될 하나님의 은혜의 계획을 돕기 위한 것이었다:
The presence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was not contrary to but actually subserved God’s plan of grace to be fulfilled in Christ:
"율법 언약은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였으며, 장차 올 복음의 목적과 계획에 맞도록 고안되었던 것이다"(GHHM 128).
“The Law covenant was a sub-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designed to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GHHM 128).
어떻게 율법이 "장차 올 복음의 목적과 계획"에 역할을 하겠는가?
How did the law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
클라인은 바울 자신이 갈 3: 21-24에서 답한 것을 반복하고있다.
Kline echoes Paul’s own answer in Gal 3: 21-24:
"에덴에서의 처음 검증에서 아담 안에서 그와 함께 타락했던 모든 인류의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행위 검증의 언약 아래에 있었던 이스라엘의 비극적 역사는 그들 모두의 죄악되고 희망이 없는 상태를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율법은 그들이 믿음으로 의롭게 되도록 사람들을 그리스도께로 이끌어내었다"(GHHM 128-9).
“By exhibiting dramatically the situation of all mankind, fallen in and with Adam in the original probation in Eden, the tragic history of Israel under its covenant-of-works probation served to convict all of their sinful, hopeless estate. The Law thus drove men to Christ that they might be justified by faith”(GHHM 128-29).
그러므로, 죄인들은 당연히 하나님께 어떠한 것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다는 어거스틴주의와 개혁파 정통주의의 기본에 위배되기보다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클라인의 이해는, 어거스틴주의와 개혁파 정통주의를 강력하게 지지하며, 자기 백성을 위하여 홀로 영원한 나라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그리스도께 모든 영광을 드리고있다.
Thus, rather than contradicting baseline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which says that sinners can never merit anything with God, Kline’s understanding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strongly supports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and gives all the glory to Christ who alone merited the eternal kingdom for his people.
(1) 공로의 원리
(1) A Principle of Merit
그러나 이제는, 그들이 땅을 받은 후에, 공로가 원리적으로 가능하다는 생각으로 돌아가보자.
But now let’s go back to this notion that merit was possible in principle, after they received the land.
혹시 이스라엘이 처음에 땅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다고 클라인이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할 수도 있겠지만, 계속해서 이스라엘의 땅에서의 존속을 지배하는 공로의 원리에 대한 생각에 관하여 의문을 가질 수 있다.
One may grant that Kline did not think Israel merited the land in the first place, but then continue to have questions about the notion that a principle of merit governed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여기에 그가 이것에 대하여 말한 두 개의 인용문이 있다:
Here are two quotes by Kline where he says this:
"바울이 레위기 18:5에 호소했다는 것은, 공로적 행위의 법적인 원리가 토라 언약에서 은혜의 복음 원리에 대립적으로 작용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GOM 239 n32).
“As Paul’s appeal to Lev 18: 5 shows (Rom 10: 5; Gal 3: 12), 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was operating in the Torah covenant opposite to the gospel principle of grace”(GOM 239 n32).
"모세 체제의 유형학적 층인 두 번째 단계에서, (이스라엘이) 하나님 나라의 축복을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그리스도의 공로적 성취를 근거로 하는 주권적 은혜에 의하여 보장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이스라엘이 율법에 순종하는 행위에 의하여 공로로 얻은 것이었다"(KP 322)
“At the level of the secondary, typological stratum of the Mosaic order, continuance in the election to kingdom blessings was not guaranteed by sovereign grace on the basis of Christ’s meritorious accomplishments. It was rather something to be merited by the Israelites’works of obedience to the law”(KP 322).
이것이 어거스틴주의나 개혁파 정통주의를 침해하는 것입니까?
Does this violate baseline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아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원리"를 인정하는 것이 누구든지 타락 후에 실제로 이를 충족시켜야 한다거나 혹은 그것을 충족 시킬 수 있다고 주장 하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다.
No, and the reason is that recognizing a “principle” is not the same thing as affirming that anyone after the Fall actually fulfilled it or could fulfill it.
이스라엘은, (땅에서의 장수, 비옥함, 등등) 모세 언약의 임시적 축복의 법적인 근거로 하나님에 대한 순종이 요구되었으나 이스라엘은 실제로 전혀 순종 하지 않았다.
Israel was required to obey God as the legal ground of the temporal blessings of the Mosaic covenant (long life in the land, fertility, etc.), but Israel never did obey in any real sense.
그리고 그들이 어느 정도 (순종)했던 것은, 그들의 언약의 수장들이, 그리스도의 유형으로서, 잠시 나마 율법을 준수했고 또한 하나님의 백성을 의로 인도했던 대표로서의 순종을 통해서 뿐이었다. (예, 다윗, 혹은 히스기야, 혹은 요시아)
And to the degree that they did, it was only through the representative obedience of their covenant heads who, as types of Christ, kept the law and led God’s people in righteousness, for a time (e.g., a David, or a Hezekiah, or a Josiah).
시간이 가면 갈수록, 이스라엘 백성은 반역과 죄로 인하여 땅을 잃을 위험에 처하게되었지만, 그래도 "나의 종 다윗을 위하여" 하나님께서 자비를 베푸신 것이다.(열상 11: 13, 32,34; 열하 19: 34; 20: 6; 사 37: 35).
Time and time again, the Israelites were in danger of losing the land because of their rebellion and sin, and yet God had mercy “for the sake of my servant David”(1 Kings 11: 13, 32,34; 2 Kings 19: 34; 20: 6; Isaiah 37: 35).
행위 원리는 이스라엘에 의하여 충족될 수 없었는데, 이는 이스라엘이 요구되었던 순종에 결코 순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he works principle was never fulfilled by Israel, because Israel never did yield the obedience required.
대신에, 행위 원리는 오직 이스라엘을 저주로 이끌 뿐이었다.
Instead, the works principle led only to Israel’s condemnation:
"옛 언약은 은혜-믿음에 상반되는 법률이었으며, 타락 후의 세상에서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죄악 된 이스라엘이 필수적인 공로적 순종을 유지하는데 실패함으로서 (이 옛 언약은) 저주의 통치라는 것이 밝혀졌다는 것이다"(KP 109).
“The old covenant was law, the opposite of grace -faith, and in the postlapsarian world that meant it would turn out to be an administration of condemnation as a consequence of sinful Israel’s failure to maintain the necessary meritorious obedience”(KP 109).
그러므로 땅에서의 임시적 축복은 원칙적으로 이스라엘의 순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공로에 의한"(KP 322) 것이었지만, 사실 우리는 이스라엘이 "필요한 공로적 순종을 유지하는데" 실패하였다는 것을 알고 있다.
Thus, temporal blessing in the land was something “to be merited”(KP 322) by Israel’s obedience in principle, but as a matter of fact we know that Israel failed “to maintain the necessary meritorious obedience.”
공로의 원리는 거기(이스라엘)에 있었지만, 이는 이스라엘에 의하여 결코 충족될 수 없었던 것이다.
The principle of merit was there, but it was never fulfilled by Israel.
(2) 그러나 어떻게 죄인이, 비록 가능성이라고 할지라도, 하나님으로부터 무엇 인가를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단 말인가?
(2) But How Could Sinners Merit Anything from God, Even Potentially?
그러므로 우리는 클라인이, 이스라엘이 처음에 공로가 아닌 은혜로 땅을 받은 것에 대하여 확실히 하고 있다는 것을 보았다.
So we have seen that Kline affirmed that Israel received the land initially by grace not merit.
우리는 클라인이, 이스라엘에 의하여 절대로 충족될 수 없는 공로의 원리에 대하여 확실히 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We have seen that Kline affirmed a principle of merit that was never fulfilled by Israel.
이것은 모두 옳고 맞는 말이며, 이것은 클라인이 어거스틴주의나 개혁파 정통주의의 기준선을 범하지 않았음을 보는데 확실히 도움이 된다.
That is all well and good, and it certainly helps to see that Kline does not violate baseline Augustinian and Reformed orthodoxy.
아직 당신은, 그가 이스라엘이 무엇인가를 받을 만한 바로 그 가능성을 인정하기까지 한다는 생각에,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것이다.
Yet you might still be troubled by the idea that he even granted the very possibility of Israel meriting anything.
이스라엘 민족은 타락한 죄인으로서,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고통을 당하고 있다.
The Israelites were fallen sinners, laboring under the guilt of Adam’s sin.
어떻게 땅에서 그들이, 어떠한 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다는 것이 가능하단 말인가?
How on earth could they possibly merit any reward?
그들의 순종이 불완전하지 않지 않은가?
Wouldn’t their obedience be imperfect?
진실로, 이스라엘이 드리는 어떠한 순종도, 그들 안에서의 행하시고 그들로 순종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결과였다고 할 수 있는 경우들이지 않은가?
Indeed, wouldn’t it be the case that any obedience that the Israelites offered would have been the result of God’s grace working in them and causing them to be obedient?
그들 이스라엘 민족이 자신들의 순종으로 받은 어떠한 상도, 완전한 공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은혜에 의하여 주어졌던 것이지 않은가?
Wouldn’t any rewards they the Israelites have received for their obedience have been given according to grace, not according to strict merit?
참으로 그렇다.
Indeed.
이 모든 것은 사실이다.
All of that is true.
사실, 이것은 모세 경륜을 지배하는 행위 언약의 종류에 모두 다 완전하게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In fact, it is all perfectly consistent with the sort of covenant of works that governed the Mosaic economy.
우리가 두 번째 잘못된 해석을 다룰 때 보았던 것과 같이, 이것은 실제적 행위 원리가 아니라 유형학적 행위 원리이며, 유형학적 층에서 작동하며, 유형학적 해석의 근거 위에서, 사람이 율법에 순종하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함으로서, 홀로 율법을 지킬 수 있으신 메시아의 도래를 준비하는 교사적 목적으로 주어진 것이다.
As we saw when dealing with the second misrepresentation, it was not the actual works principle but a typological works principle, operating at the typological layer, on the basis of typological legibility, given for pedagogical purposes to establish man’s inability to obey the law and to prepare for the advent of the Messiah who alone keeps the law.
그러므로, 상위층을 지배하고 있는 유형학적 행위 원리 아래에 있었던 국가적 이스라엘의 순종은, 아담이 할 수 있었던, 혹은 그리스도가 그리하였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서의 공로적인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Therefore, the obedience of national Israel under the typological covenant of works governing the top layer would not have been meritorious in the same way that Adam’s could have been or that Christ’s was.
그보다는, 이스라엘이 행하였던 어떠한 순종이든지 오직 유비적인 의미에서만 "공로"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Rather, any obedience that Israel did have would have been reckoned as having “merit”only in an analogical sense.
이것은 "옛 언약에 의하여 재연된 유형학적 단계와 관련된 유비적인 종류의 가치로서 하나님으로부터 허용되었을 것이다"(KP 325).
It would have been “accorded by God an analogous kind of value with respect to the typological stage represented by the old covenant”(KP 325).
우리가 앞의 인용문으로 돌아가서, 유형학적인 나라를 받아들이는 자체가 은혜의 선물임을 기억한다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makes sense when we go back to a quote earlier and remember that the very reception of the typological kingdom was a gift of grace.
"이러한 예정함은 전체적으로 타락한 아담의 자손에게 은혜로운 선물이었다"(GHHM 128)
“The arrangement as a whole was a gracious favor to fallen sons of Adam”(GHHM 128).
모든 것이
이스라엘이 우선적으로 하나님의 지명을 받은 상태에서 행위 원리에 의하여 지배 되는 이러한 거대한 유형적 나라에 참여하게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된 것은 은혜의 선물이었으며, 이러한 모든 것은 이를 충족 시키실 메시아의 도래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It was a gift of grace that Israel was even put in this position in the first place of being appointed by God to participate in this great typal kingdom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all for the purpose of setting the stage for the coming of the Messiah who will fulfill it.
클라인이 그 의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공로"는 순종과 상급 사이의 존재론적인 동등함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As Kline uses the term, “merit” does not imply ontological equality between the obedience and the reward.
클라인에게 있어서 공로는, 하나님께서 순종에 대한 근거로 상급을 주시는, 행위 언약의 종류가 있을 때는 언제나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For Kline “merit” can arise whenever there i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 in which God offers a reward on the ground of obedience.
공로는 "단순한 의"의 문제이다(KP 107).
Merit is a matter of “simple justice”(KP 107).
그렇다면, 이스라엘의 잠재적 공로를 주장하는 것은, 단지 그들이 "적절한 정도의 국가적 충성"(KP 322)을 유지한다면 그들이 땅에서의 존속이라는 상을 받을 만하다고 주장하는 것이며, 이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편에서 언약을 지키실 의무가 있으시기 때문이다.
Affirming the potential merit of Israel, then, is only affirming that if they had maintained “the appropriate measure of national fidelity”(KP 322) they would have merited the reward of continuance in the land, since God would have been obligated to keep his side of the covenant.
이것은 "공로"에 대한 특이한 정의일 수도 있겠지만, 클라인이 "공로"를 이러한 방식으로 정의한 이유는 그가 아담-이스라엘-그리스도 이야기의 형태가 이러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This may be an idiosyncratic definition of “merit,”but Kline defines “merit” this way because he feels the shape of the Adam-Israel-Christ narrative is pushing in that direction.
그는 이것이 정확히 세 가지 행위 언약의 종류-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 두 번째 아담과의 성부의 행위 언약, 그리고 아담의 재현으로서의 이스라엘과 맺으신 야훼의 행위 언약-에 관련된 "공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He uses it precisely in order to be able to use the term “merit” in reference to the three covenants of the works variety–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second Adam, and Yahweh’s covenant of works with Israel as a recapitulation of Adam.
(3) 모세 경륜에서 "공로"를 말하는 것에 대한 성경 신학적 논리 근거
(3) The Biblical Theological Rationale for Speaking of “Merit” in the Mosaic Economy
클라인이 모세 경륜과 관련된 잠재적 공로를 말하는 성경 신학적 논리 근거는, 그가 아담과 그리스도, 그리고 아담과 이스라엘 사이의 평행 관계로 인하여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음을 느꼈다는 것이다.
Kline’s biblical -theological rationale for speaking of potential merit in reference to the Mosaic economy is that he feels compelled to do so because of the parallels between Adam and Christ, and between Adam and Israel.
클라인이 "공로"를 현실적이거나 혹은 잠재적 현실@로 보는 곳은 세 군데가 있다: 첫 번째 아담과의 창조주의 행위 언약, 두 번째 아담과의 성부의 행위 언약 (구원 계약), 그리고 아담의 재현으로서의 이스라엘과 맺으신 야훼의 행위 언약 (모세 언약).
There are three places where Kline sees “merit” as present or potentially present: the Creato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irst Adam, the Father’s covenant of works with the second Adam (the pactum salutis), and Yahweh’s covenant of works with Israel as a recapitulation of Adam (the Mosaic covenant).
분명히, 아담과 이스라엘은 자신들 각각의 언약 아래에서 하나님께 순종하여 제공되는 상을 얻으리라 가정되었지만, 그렇게 하는데에는 실패하였다.
Obviously, Adam and Israel were supposed to obey God under their respective covenants and earn the offered reward, but failed to do so.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우리는 실제적인 상급을 얻는 순종을 볼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오직 그리스도만으로 공로가 실제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Only with Christ do we see obedience actually earning the reward, that is, only with Christ does merit actually accrue.
일부는 세 가지 모두(심지어 그리스도)에서 공로의 개념을 거부한다.
Some reject the concept of merit for all three (even Christ).
다른 이들은 그리스도의 신성으로 인하여(이것은 그의 순종을 상급과 존재론적으로 동일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그리스도)의 공로를 수용하지만, 아담과 이스라엘은 단순한 피조물들이기에 이들(아담과 이스라엘)이 어떠한 공로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한다.
Others accept the merit of Christ, because of his deity (which makes his obedience ontologically equal to the reward), but deny that Adam and Israel could have merited anything because they were mere creatures.
다른 이들은, 아담의 순종이, 바로 결과가 드러났듯시, 공로적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에는 동의하고있지만, 이스라엘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들이 궁극적으로 어떠한 것도 받을 만한 능력이 없는 죄인이었기에, 이(이스라엘이 공로적이었을 것이라는 생각)를 거절한다.
Others are on board with the notion that Adam’s obedience, had it been forthcoming, would have been meritorious, but reject it for Israel since they were sinners utterly incapable of meriting anything.
우리는 첫 번째 그룹(그리스도를 포함하여 모든 경우에 공로를 거절하는 이들)은 정도를 벗어난 것으로 무시할 수 있는데, 이는 그들이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도 논리적으로 부정하기 때문이다.
We can set aside the first group (those that reject merit in all cases including Christ) as outside the pale, since they would also logically deny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클라인은 이러한 그룹에 대하여 인내하지 못했다:
Kline has no patience with this group:
"만약에 그리스도의 순종이 공로적 가치를 가지고있지 않다면, 복음의 기초는 사라지게 된다. 만약에 예수의 수동적 순종이 공로를 가지고있지 않다면, 우리의 죄에 대한 충족은 생길 수 없다. 만약에 예수의 적극적 순종이 공로를 가지고있지 않다면, 우리에게 전가될 의의 충족이란 있을 수가 없다. 그렇게되면 우리가 믿음만으로 받게될 은혜의 선물인 칭의-영광이란 있을 수가 없다”(“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If the obedience of Jesus has no meritorious value, the foundation of the gospel is gone. If Jesus’ passive obedience has no merit, there has been no satisfaction made for our sins. If Jesus’active obedience has no merit, there is no righteous accomplishment to be imputed to us. There is then no justification-glorification for us to receive as a gift of grace by faith alone”(“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10
두 번째 (오직 그리스도의 공로만을 수용하는) 그룹에 관해서는, 클라인은 공로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중세의 존재론적 체계를 믿지 않는다.
With regard to the second group (who accept only the merit of Christ), Kline does not buy into the medieval ontological scheme for measuring merit.
(나는 이것에 관하여 클라인에게 헌정한 나의 논문 "공로를 재정의 함"에서 장문의 설명을 하였었다.)
(I have addressed this at length in my paper, “Redefining Merit” in the Kline Festschrift. 11)
그는 또한, 그리스도의 공로는 받아들이면서 아담의 공로에 대한 잠재적 능력을 거절하는 것에는 불일치가 수반된다는 점을 지적하려 했는데, 이는 바울이, 아담은 언약의 수장, 혹은 대표로서의 그의 역할에서 그리스도의 유형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롬 5: 14):
He would also point out the inconsistency involved in rejecting the potential for Adamic merit while accepting the merit of Christ, since Paul says that Adam in his role as a federal head or representative was a type of Christ (Rom 5: 14):
"두 아담 사이에 평행선이 존재한다고 성경이 말한다면, 이는 만약에 첫 번째 아담이 아무 것도 얻을 수가 없었다면, 두 번째 아담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라는 결론이 요구된다" (“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The parallel which Scripture tells us exists between the two Adams would require the conclusion that if the first Adam could not earn anything, neither could the second”(“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
그러나 세 번째 그룹, 즉 아담-그리스도의 평행 관계는 수용하지만 타락 후인 모세 경륜에서 공로의 개념이 적용 가능한지에 대하여는 의문을 표한다
But what about the third group –those who accept the Adam-Christ parallel but question whether the concept of merit is applicable in the Mosaic economy, which was post-Fall?
이 경우에 있어서, 클라인은, 땅에서의 이스라엘은 행위 언약 아래에 있던 동산에서의 아담의 범죄를 재현하는 것이라는, 아담-이스라엘 평행 관계에 다시 호소하려고 한다.
In this case, Kline would appeal again to the Adam-Israel parallel in which Israel in the land is a recapitulation of Adam’s probation in the garden under a covenant of works.
만약에 이스라엘이 행위 언약 아래 있었던 아담의 재현이라면, 이스라엘이 아담과 같이, 언약 안에서 제공되는 상- 이스라엘의 경우는 땅에서의 존속과 땅에서의 신성한 축복이라는 상-을 얻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설득력이 있다.
If Israel is a recapitulation of Adam under a covenant of works, then it stands to reason that Israel, like Adam, would have had the possibility of earning the reward offered in that covenant –in Israel’s case, the reward of continuance in the land and divine blessing in the land.
물론 이스라엘의 “공로”는 유형학적인 공로일 것인데, 이는 국가적 충실함과 유형학적 가독성이라는 기준에 따라서 측정되는 불완전한 순종일 것이기 때문이다.
Of course, the “merit” of Israel would have been typological merit, since it would have been imperfect obedience meas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national fidelity and typological legibility.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언약의 의미를 명예롭게 하며, 그들의 순종을 근거로 하여 상을 수여하는,
하나님께 대한 단순한 의의 문제였을 것이다.
Nevertheless, it would have been a matter of simple justice for God to honor the terms of the covenant and grant the reward on the ground of their obedience.
이것이 바로 클라인이, 이스라엘과 관련된 공로를 언급하는데 있어서의 성경 신학적 근거인 것이다.
This, then, is Kline’s biblical-theological rationale for speaking of merit in connection with Israel.
실상 그는 후방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추론하고 있다.
In effect, he reasons backwards and forwards.
그는 그리스도로부터 아담으로, 역으로 추론하기 시작한다: 우리가 알고 있기로는, 그리스도는 그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 상을 공로로 얻었다(구원 계약), 그리고 아담은 그리스도의 유형으로서 모두 다 언약의 대표이기에, 우리는 아담이 그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 상를 공로로 얻을 만했을 것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He begins by reasoning backwards, from Christ to Adam: we know that Christ merited the reward under his covenant of works (the pactum salutis), and since Adam was a type of Christ in that they were both federal heads, we can conclude that Adam would have merited the reward under his covenant of works.
그러고 나서 그는 아담으로부터 이스라엘로, 전방으로 추론을 한다: 만약에 이스라엘이 아담의 재연이라면, 모두 다 행위 언약의 유형 아래에 있기에, 이스라엘도 역시 그의 행위 언약 아래에서 상을 공로로 얻을 기회를 가지고 있었음에 틀림이 없다.
Then, he reasons forwards, from Adam to Israel: if Israel is a recapitulation of Adam, both being under covenants of the works variety, then Israel must have had the opportunity of meriting a reward under her covenant of works as well.
(4) 모세 경륜에서 "공로"를 말하는 해석학적 근거
(4) The Exegetical Rationale for Speaking of “Merit” in the Mosaic Economy
우리는 클라인이 성경 신학적 논의를 하는데 있어서 (아담으로부터 이스라엘로, 그리스도로), 공로를 존재론적인 의미가 아닌 단순한 의의 의미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을 보아왔다.
We have seen Kline’s biblical-theological argument (based on the pattern from Adam to Israel to Christ) for defining merit not in ontological terms, but in terms of simple justice.
행위 언약의 유형이 존재할 경우에는, 하나님께서는 언약의 조항에 순종 하는 것을 근거로 하여 상을 제공하시는 것이다.
When there is a covenant of the works variety, God is offering a reward on the ground of obedience to the stipulations of the covenant.
행위가 이러한 문맥에서 상의 근거로 작용할 때, 행위는 공로적이라고 정의되는 것이다.
When works operate in that context as the ground of the reward, the works are meritorious, by definition.
행위에 상을 주시지 않는다면 하나님은 불의 하실 것이다.
God would be unjust not reward the works.
공로는 하나님의 의라는 맥락에서 생겨난 것이다.
The merit arises in the context of God’s justice.
이제 당신은 클라인이 그럴듯한 성경 신학적 관계의 커다란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만약에 클라인이 틀렸다면 어쩌겠는가?
Now you might be thinking, Kline is making big-picture biblical-theological connections that seem plausible, but what if Kline is wrong?
만약에 우리가 본문에서 계속하여 좀 더 명확한 것을 얻을 수 있다면 참 좋을 것이다.
It would be nice if we could have something more explicit to go on in the text.
모세 언약과 연관되어있는 공로의 개념을 뒷받침해주는 어떠한 해석학적 증거는 있는가?
Is there any exegetical evidence that would support the notion of merit in connection with the Mosaic covenant?
이러한 점에서, 나는 클라인이 자신의 논의를 단순히 성경-신학적 패턴이 아닌, 해석학에 의지하고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At this point, I want to show that Kline did not rest his argument simply on the biblical-theological patterns, but on exegesis.
바울 자신은 공로적 행위의 원리가 모세법에서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을 로마서 4: 4에서 지적하고 있다.
It was Paul himself who made the point that a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was operative under the Mosaic law in Romans 4: 4.
돌아가서 본문을 살펴보자.
Let’s back up and look at the context.
바울은 로마서 3장 끝 부분과 4장 시작 부에서 이것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 여기서 그는 아브라함이 하나님 앞에서 자랑할 만한 어떠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Paul makes this quite clear at the end of Romans 3 and the beginning of chapter 4, when he denies that Abraham had any ground of boasting before God:
27 그런즉 자랑할 데가 어디냐 있을 수가 없느니라 무슨 법으로냐 행위로냐 아니라 오직 믿음의 법으로니라
28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
1 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인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
2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써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면 자랑할 것이 있으려니와 하나님 앞에서는 없느니라
3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 바 되었느니라
4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이 은혜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보수로 여겨지거니와
5 일을 아니할지라도 경건하지 아니한 자를 의롭다 하시는 이를 믿는 자에게는 그의 믿음을 의로 여기시나니
27 Then what becomes of our boasting? It is excluded. By what kind of law? By a law of works? No, but by the law of faith. 28 For we hold that one is justified by faith apart from works of the law .... What then shall we say was gained by Abraham, our forefather according to the flesh? 2 For if Abraham was justified by works, he has something to boast about, but not before God. 3 For what does the Scripture say?“Abraham believed God, and it was counted to him as righteousness.”4 Now to the one who works, his wages are not counted as a gift but as his due. 5 And to the one who does not work but believes in him who justifies the ungodly, his faith is counted as righteousness (Rom 3: 27-28; 4: 1-5 ESV).
본문에서 바울은, 그리스도를 믿지 않고는 아무도 (율법에 순종하는) 율법의 행위로는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여겨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In the context, Paul is proving that no one is counted righteous before God by means of the works of the law (obeying the law) but rather by faith in Christ.
그러고 나서 그는 "자랑"이라는 핵심적 의미를 사용하여 행위와 믿음 간의 대비를 탐구하여 나간다.
He then explores the contrast between works and faith by using the key term “boasting”(3: 27; 4: 2).
만약에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행위로 의롭다고 여겨질 수 있다면, 우리는 자랑할 만한 근거들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If we could be counted righteous before God by works, then we would have grounds for boasting.
그러나 아무도 행위로는 의롭지 못하기에 (이는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죄에 대한 보편적인 묶임으로 인해서 실제로는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 타락 후에는 아무도 자랑할 만한 근거를 가지고 있지 못하게 된 것이다.
But since no one is righteous by works (not because it is impossible in theory, but because it is impossible in practice, due to universal bondage to sin), no one after the Fall has any grounds for boasting.
그러고서 바울은 아브라함의 예를 든다.
Paul then appeals to the example of Abraham.
아브라함의 경우는 어떠한가?
What about Abraham?
그는 자랑할 만한 근거를 가지고 있었는가?
Did he have grounds for boasting?
아니다, 그는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 의로여겨졌던 것이다.
No, for he was counted righteous by faith, not by works.
자랑할 만한 근거를 얻기 위함이었다면, 그는 하나님께 완전하게 순종했어야만 했을 것이다.
In order to have grounds for boasting, he would have had to be perfectly obedient to God.
바울이 정한 원칙은 다음과 같다: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ὁ μισθός)이 은혜(κατὰ χάριν)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보수(κατὰ ὀφείλημα)로 여겨지거니와"(롬4:4)
It is here that Paul lays down an axiom: “To the one who works, his wages (ὁ μισθός) are not counted as a gift (κατὰ χάριν) but as his due (κατὰ ὀφείλημα)”(Rom 4: 4).
그밖에 공로의 의미가 무엇이 있겠는가?
What else is that but a definition of merit?
공로는 은혜에 따른 것이 아니라, 빚진 것에 따라서 임금이 주어지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다.
Merit is when wages are bestowed, not according to grace, but according to what is owed.
그러나 여기서의 핵심은: 공로에 대한 정의는 분명하게, 죄인들이 하나님 앞에서 율법의 행위로 의로워질 수 있는 지에 대한 질문과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는 상황 속에서, 내려진 것이다.
But here’s the point: it is a definition of merit given in the context of dealing explicitly with the question whether sinners can be righteous before God by works of the law.
문맥상에서, "일하는 자(ὁ ἐργαζομένος)"는 "율법의 행위(ἔργα)를 행하는 자"를 의미한다.
In context, “to the one who works”(ὁ ἐργαζομένος) means “to the one who does the works (ἔργα) of the law.”
바울은, 모세법이 행위를 요구했으며, 은혜가 아닌 빚진 것에 따르는 이러한 행위들를 근거로 하여 상을 제공했다고, 가정적으로 이해를 하였다.
Paul understood that, hypothetically, the Mosaic law demanded works and offered a reward on the basis of those works, not according to grace but according to what is owed.
그러므로, 그는 공로가 모세법 아래에서 원칙적으로 가능했었다고 이해하고있다.
Ergo, he understood that merit was possible in principle under the Mosaic law.
요약하면, 모세 경륜에서의 잠재적 공로 개념은 단순히 (아담-이스라엘-그리스도 이야기의 구조를 보는) 큰 그림의 사고에 의존하지는 않는다.
In sum, the notion of potential merit in the Mosaic economy does not rest merely on big-picture thinking (seeing the Adam-Israel-Christ narrative structure).
바울 자신은 모세법에서 공로적 행위라는 법적인 원리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Paul himself explicitly recognized a legal principle of meritorious works in the Mosaic law: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이 은혜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보수로 여겨지거니와"(롬 4: 4)
“To the one who works, his wages are not counted as a gift but as his due”(Rom 4: 4).
확실한 것은, 이것은 그리스도 말고는 결코 실제로 실행되지 않았던 공로의 원리였다.
To be sure, it was a principle of merit that was never truly actualized except by Christ.
바울은,"한 분 외에는 아무도 의롭지 못한데" 이는 "율법의 행위로는 어떠한 인간도 그 분이 보시기에 의로울 수 없기"(롬 3: 9,20) 때문이며,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 내게 대하여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 "(롬 7:10)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As Paul makes clear,“none is righteous, no, not one,”for “by the works of the law no human being will be justified in his sight”(Rom 3: 9, 20 ESV), and “the very commandment that was intended to bring lifeactually brought death”(Rom 7: 10 NIV).
아직은 이것 중에 아무 것도 그곳에 원칙이 있다는 사실을 도려내지는 않는다.
Yet none of this undercuts the fact that the principle was there.
만약에 우리의 신학이 바울에 충실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역시 이것을 인식하여야만한다.
If our theology is to be faithful to Paul, then we ought to recognize it as well.
나는 클라인에 대한 다섯가지 일반적인 잘못된 설명에 대한 답변을 마쳤다.
I have finished answering five common misrepresentations of Kline’s view.
나는 다른 것들도 역시 있겠지만, 현재 부풀려져 있는 것들은 이 다섯 가지라고 확신한다.
I’m sure there are others too, but these are five that seem to be in the air at the moment.
다음 번에는, 나는 "왜 클라인이 이 주제에 관하여 그렇게 염려하는가?"에 대하여 묻기를 원한다.
Next, I want to ask, “Why was Kline so concerned about this issue?”
분명한 것은, 그가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라는 주제가, 성경 신학과 심지어는 교회 생활의 삶에 실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많은 주제들을 낳게 하는 중요한 신학적 주제라고 보고 있었다는 것이다,
It is clear that he saw the issue of works in the Mosaic economy as an important theological issue that had bearing on many issues in biblical theology and even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life of the church.
나는 이것이 클라인에게 중요한 다섯 가지 이유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I will spell out five reasons it was important to Kline.
___________
6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treaty_format.pdf
7 http:// en.wikipedia.org/ wiki/ Fulgurite
8 John Murray, The Covenant of Grace: A Biblico-Theological Study (London: Tyndale: 1954), 5, 29. http:// www.the-highway.com/ Covenant_Murray.html
9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subservient_cov.pdf
10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ct_under_attack.html 11“Redefining Merit: An Examination of Medieval Presuppositions in Covenant Theology,”in Creator, Redeemer, Consummator: A Festschrift for Meredith G. Kline (ed. Howard Griffith and John R. Muether; Jackson, MS: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and Greenville, SC: Reformed Academic Press, 2000), 253-269.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redefining_merit.pdf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3부 (0) | 2016.01.16 |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1부 (0) | 2016.01.16 |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osition)- 서론 (0) | 2016.01.16 |
R. Scott Clark가 말하는 (Mosaic covenant의)Republication의 7가지 핵심 요점들 (0) | 2014.12.25 |
찰스 핫지에게서 볼 수 있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 (0) | 2014.11.29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 찰스 리 아이언
Kline on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An Exposition
Charles Lee Irons, Ph.D.
4/ 25/ 2015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 논문은 모세 언약의 주제에 관한 메리데스 클라인의 개관과 해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and exposition of Meredith G. Kline’s thought on the subject of the Mosaic covenant.
이것은 다음과 같이 3부로 구성되어있다:
It is structured in three parts:
1부: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의 개관
Part I: An Overview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2부: 클라인의 관점에 대한 5가지 오해에 대한 응답들
Part II: Responses to Five Misrepresentations of Kline’s View
3부: 왜 이 주제가 클라인에게 중요했었는지에 대한 5가지 이유들
Part III: Five Reasons Why This Issue Was Important to Kline
이것은 원래 내가 2015년 3월 22일부터 2015년 4월3일까지 블로그 게시글의 시리즈였었는데, 이 게시글들 모두를 이 문서에 합쳐 넣은 것이다.
This was originally a series of blog posts that I began on March 22, 2015 and completed on April 3, 2015.1 I have combined all of the posts into this document.
그것들은 약간 교정하여 다시 만든 것이다.
They are reproduced here with slight edits.
이 논문의 인용들은 클라인의 다음의 책들과 논문들에서 가져왔으며, 책들은 다음과 같은 약어를 사용하여 인용하였다.
The quotes in this paper are drawn from the following books and articles by Kline, and the books are cited using the abbreviations noted here:
By Oath Consigned (= BOC)
Glory in Our Midst (= GOM)
God, Heaven and Har Magedon (= GHHM)
Kingdom Prologue (= KP)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 (= SBA)
“Of Works and Grace”(1983) 2–Kline’s critical review of a book by Daniel Fuller “The Gospel until the Law: Rom 5: 13-14 and the Old Covenant”(1991) 3 “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1994) 4
이 논문의 배경으로 한 가지 중요한 것은, 모세 경륜에 있어서의 행위 원리의 주제에 관하여 클라인이 핵심적으로 인용한 것들을 대부분 포함시켜서 함축해 놓은 17페이지의 문서다.
An important piece of background to this paper is a 17-page document that I compiled containing most of the key quotes by Kline on the topic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5
이글은 이러한 인용들을 기초로하여서,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을 나열하고서 설명하려는 나의 시도다.
This paper is my attempt to provide an exposition and explanation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based on those quotes.
나는 독자들에게 관련 자료들 내려받아서 그것을 먼저 읽을 것을 권하고자 한다.
I would encourage the reader to download that companion document and read it first.
( 여기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역자)
클라인 자신의 언어로 듣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o hear Kline in his own words.
1부: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의 개관
Part I: An Overview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A. 클라인의 관점에 대한 간력한 진술
A. Brief Statement of Kline’s View
모세 경륜에 있어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은 무엇인가?
What is Kline’s view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Kingdom Prologue로부터의 다음의 단락은 이를 매우 명료하게 진술해주고 있다.
This paragraph from Kingdom Prologue provides an excellent brief statement:
"모세 경륜은,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련이 있는 근원적인 수준에서는 은혜의 통치이면서, 동시에 임시적이고 유형학적인 나라의 수준에서는 공로의 원리에 근거하였다.
“The Mosaic economy, while an administration of grace on its fundamental level of concern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was at the same time on its temporary, typological kingdom level informed by the principle of works.
그러므로, 예를 들자면, 사도 바울은 로마서 10:4과 갈라디아서 3:10에서 율법의 옛 명령을 은혜와 믿음의 복음의 명령과 비교하면서, 옛 언약을 하나의 속박, 저주, 그리고 죽음으로 규정하고 있다(고후3:6-9; 갈4:24-36).
Thus, for example, the apostle Paul in Romans 10: 4ff. and Galatians 3: 10ff. (cf. Rom 9: 32) contrasts the old order of the law with the gospel order of grace and faith, identifying the old covenant as one of bondage, condemnation, and death (cf. 2 Cor 3: 6-9; Gal 4: 24-26).
옛 언약은 율법으로서, 은혜-믿음과 대립되는 것이며, 타락 후의 세상에서 이것은, 필요한 공로적 순종을 유지해야 하는데 있어서 죄악된 이스라엘이 실패한 결과에서와 같이, 저주의 통치로 드러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old covenant was law, the opposite of grace-faith, and in the postlapsarian world that meant it would turn out to be an administration of condemnation as a consequence of sinful Israel’s failure to maintain the necessary meritorious obedience.
옛 유형학적 나라가 그리스도 안에서 주권적 은혜로 보호되었다면,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국가적인 선택을 잃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Had the old typological kingdom been secured by sovereign grace in Christ, Israel would not have lost her national election.
이스라엘의 타락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제한적인 통치 원리로서 은혜가 아닌 공로가 요구된다.(KP109)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Israel’s fall demands works, not grace, 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KP 109).
클라인에게있어서, 모세 경륜은 두 층의 케익과 같다.
For Kline, the Mosaic economy is like a two-layer cake.
이것은 (1)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되는 기저층과 (2) 땅에서의 이스라엘의 존속과 관계되는 꼭대기 상층으로 구성되어있다.
It has (1) a foundational layer that has to do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and (2) a superimposed top layer that has to do with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기저층은 은혜의 지배를 받으며, 상층은 공로의 지배를 받는다.
The foundational layer is governed by grace; the top layer is governed by works.
기저층은 창3:15에서 약속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은혜 언약에 의한 통치이며, 아브라함 언약으로 공식적으로 확립되었으며, 그리스도 안에서 새 언약으로 성취되었다.
The foundational layer is an administration of the one covenant of grace that begins as a promise in Gen 3: 15, is formally established in the Abrahamic covenant, and is fulfilled in the new covenant in Christ.
상부층은 유형학적인 나라와 관계가 있으며,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땅에서 성전 한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을 즐거워하였다.
The superimposed layer has to do with the typological kingdom that national Israel enjoyed with God dwelling in her midst in the temple in the land.
기저부는 개인적인 이스라엘 사람의 구원과 관계가 있었다.
The underlying level has to do with the salvation of the individual Israelite.
상부층은 국가로서, 협력체로서의 이스라엘과 관계가 있었다.
The superimposed layer has to do with Israel as a corporate whole, as a nation.
클라인의 생각에, 상부층이 행위 원리에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핵심적인 것 중의 하나는, 이스라엘이 모세법을 지키는 것에서 실패함으로서 땅에서 추방되었으며, 또한 자신의 국가적 선택을 상실하였다는 것, 즉 상부층을 상실하였다는 사실이다.
One of the key things , in Kline’s mind, that proves that the superimposed layer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is the fact that Israel failed to keep the Mosaic law, was exiled from the land, and lost her national election –i.e., lost the top layer.
(아담의 실패와 타락과 같이) 이스라엘의 실패와 타락을 설명하는 유일한 방법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이 (아담과 같이) 행위 언약 아래에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더 보면:
The only way to explain the failure and fall of Israel (like the failure and fall of Adam) is to recognize that Israel as a nation was under a covenant of works (like Adam). Again:
"옛 유형학적 나라가 그리스도 안에서 주권적 은혜로 보호되었다면,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국가적인 선택을 잃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스라엘의 타락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제한적인 통치 원리로서 은혜가 아닌 공로가 요구된다."
“Had the old typological kingdom been secured by sovereign grace in Christ, Israel would not have lost her national election.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Israel’s fall demands works, not grace, 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principle”(KP 109).
당신은 이것을 인정하여야만 하며, 이것은 매우 좋은 논의인 것이다!
You have to admit, that is a pretty good argument!
그리스도 안에서의 영원한 생명과 구원은 상실될 수 없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한 완전한 성취인, 그의 공로로 보증이 되었기 때문이다.
Eternal life and salvation in Christ can never be lost, because it is guaranteed by Christ’s perfect fulfillment of the law, his merit.
천국은 택함 받은 이들을 위하여 이루어졌으며, 이는 빼앗길 수 없으며, 그리스도 안에서 안전하며, 그리고 취소될 수 없는 것이다.
Heaven has been earned for the elect as a non-forfeitable possession, secured in Christ, and irrevocable.
구원은 우리의 순종을 요구하지 않는다.
Salvation is not conditional on our obedience.
그러나 이스라엘의 땅의 소유는 빼앗길 수 있으며 취소될 수 있다.
Israel’s possession of the land, however, was forfeitable and revocable.
이것은 이스라엘의 순종을 요구한다.
It was conditional on Israel’s obedience.
그러므로 통제하는 통치 원리는 은혜가 아닌 행위임이 틀림없다.
Therefore,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 must have been works, not grace.
B. 두 겹의 케이크
B. The Two-Layer Cake
클라인이 모세 경륜을 두 겹의 케이크로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Kline viewed the Mosaic economy as a two-layer cake.
하부 층(그는 이를 "기저부"라고 부른다)은 은혜의 통치로서 선택 받은 이스라엘 사람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가 있다.
The underlying layer (what he called “the substratum”) is an administration of grace having to do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elect Israelites.
상부 층은 그가 "유형적 나라"라고 부르는 것이다.
The overlying layer is what he called “the typal kingdom.”
유형적 나라는 이스라엘의 땅으로서, 영토는 하나님께 거룩하게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신정 국가로 기능을 하며, 하나님께서 머무시고 왕으로서 자기 백성들을 다스리시는 중앙의 성전에 집중되어있다.
The typal kingdom is the land of Israel, a territory completely set apart as holy unto God, functioning as a theocracy, focused on the central temple where God dwells and reigns as King over his people.
이것은 새 하늘과 새 땅이라는 종말론적 나라의 묘사이며 유형이다.
It is a picture or type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새 하늘과 새 땅이 모든 악으로부터 벗어나서, "그 안에 의가 거하는" 새로운 피조물(베후3:13)이듯이, 이스라엘이라는 유형적 나라는 가나안 사람들과 우상 숭배자들을 제거되었어야만했다.
Just as the new heavens and new earth will be free from all evil, a new creation “in which righteousness dwells”(2 Pet 3: 13), so the typal kingdom of Israel was to be rid of Canaanites and idolaters.
종말론적인 나라가 깨끗케하는 심판으로 도래를 알리게 될 것인 것과같이, 유형적 나라는, 여호수아의 정복과 땅에서의 우상숭배하는 거민들을 파괴하는데 헌심함으로서, 도래를 알려 주었었다.
Just as the eschatological kingdom will be ushered in by purifying judgment, so the typal kingdom was ushered in by Joshua’s conquest and the devoting of the idolatrous inhabitants of the land to destruction.
당신은 혹시 클라인이 이러한 두 겹의 비유를 어디에서 가져왔는지 궁금해 할 수도 있다.
You might be wondering where Kline got this two-layer metaphor.
첫째는 클라인 자신이 만든 순수한 가시적 비유인 것 같다.
At first it looks like a neat visual metaphor that Kline just made up.
그는 매우 가시적이고 시적인 사색가였기에 이것은 그럴듯한 이론이다.
He was a very visual and poetic thinker, so it is a plausible theory.
그러나 클라인의 두 겹의 케이크 이론에는 해석학적인 근거와 성경신학적인 근거가 있다.
However, there is both an exegetical basis and a biblical-theological basis for Kline’s two-layer cake.
(1) 해석학적인 근거
(1) Its Exegetical Basis
클라인은 두 겹의 비유를 바울의 갈3:15-19에서 가져왔으며, 거기서 바울은 아브라함 언약이 모세법의 도래로 인하여 취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약속을 율법을 지키는 것에 의존하게 끔 만듬으로서 모세법이 아브라함 언약의 의미를 바꾸지도 않았음을 말하고있다.
Kline got the two-layer metaphor from Paul in Gal 3: 15-19, where he teaches that the Abrahamic covenant was not annulled by the coming of the Mosaic law, nor did the Mosaic law change the terms of the Abrahamic covenant by making the promise dependent on law-keeping.
그보다는, 율법이 아브라함 언약에서 약속된 씨가 오기까지 더하여지거나 덧붙여진(19절)것이다.
Rather, the law was “added”or “superimposed”(v 19) until the coming of the Seed promised in the Abrahamic covenant.
여기에 그 구절이 있다.
Here is the paragraph:
15 형제들아 내가 사람의 예대로 말하노니 사람의 언약이라도 정한 후에는 아무도 폐하거나 더하거나 하지 못하느니라 16 이 약속들은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말씀하신 것인데 여럿을 가리켜 그 자손들이라 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한 사람을 가리켜 네 자손이라 하셨으니 곧 그리스도라 17 내가 이것을 말하노니 하나님께서 미리 정하신 언약을 사백삼십 년 후에 생긴 율법이 폐기하지 못하고 그 약속을 헛되게 하지 못하리라 18 만일 그 유업이 율법에서 난 것이면 약속에서 난 것이 아니리라 그러나 하나님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아브라함에게 주신 것이라 19 그런즉 율법은 무엇이냐 범법하므로 더하여진 것이라 천사들을 통하여 한 중보자의 손으로 베푸신 것인데 약속하신 자손이 오시기까지 있을 것이라
15 To give a human example, brothers: even with a man-made covenant, no one annuls it or adds to it (ἐπιδιατάσσεται) once it has been ratified. 16 Now the promises were made to Abraham and to his offspring. It does not say, “And to offsprings,”referring to many, but referring to one,“And to your offspring,”who is Christ. 17 This is what I mean: the law, which came 430 years afterward, does not annul a covenant previously ratified by God, so as to make the promise void. 18 For if the inheritance comes by the law, it no longer comes by promise; but God gave it to Abraham by a promise. 19 Why then the law? It was added (προσετέθη) because of transgressions, until the offspring should come to whom the promise had been made. (ESV)
18절이 중요하다:" 만일 그 유업이 율법에서 난 것이면 약속에서 난 것이 아니리라 그러나 하나님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아브라함에게 주신 것이라" 이 구절에서는 바울에게 있어서 "율법"과 "약속"이 서로 상반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있다.
Verse 18 is critical: “For if the inheritance comes by the law, it no longer comes by promise; but God gave it to Abraham by a promise.”This verse makes clear that for Paul “the law”and “the promise”are opposed to one another.
하나는 행위에 의한 유업이며, 다른 하나는 은혜에 의한 것이다.
In the one, the inheritance is by works; in the other, it is by grace.
그리고 아직은 아무튼 두가지 원리가, 비록 모세 시대에 공존하였었지만, 궁극적으로 충돌되는 것은 아니다.
And yet somehow the two principles, though coexisting in the Mosaic era, are not ultimately in conflict.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How can this be?
알아야 할 핵심은 두개의 다른 헬라어가 "더 하다(add to)"와 "덧붙이다(add)"와 같이 영어로 비슷하게 번역되었다는 것이다.
The key is to note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Greek verbs translated similarly in English as “add to”and “add.”
ESV에서 "더 하다(add to)"로 번역된 첫 번째 동사,ἐπιδιατάσσομαι (v 15)는, 언약(혹은 의도)에 후에 추가되어 더하여진 기술적인 의미이며 이는 언약(혹은 의도)의 의미를 바꾸어 버린다.
The first verb, ἐπιδιατάσσομαι (v 15), rendered by the ESV as “add to,”is a technical term for adding a later codicil to a covenant (or will) that changes the terms of the covenant (or will).
NASB의 번역, "그것에 조건을 더한다",가 좀 더 정확하다.
The NASB’s rendering, “adds conditions to it,”is more precise.
두 번째 동사, προστίθημι (v 19)는 ESV에서 "더하다 (add)"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다른 느낌을 가지고 있다.
The second verb, προστίθημι (v 19), rendered by the ESV as “add,”has a different nuance.
이 문맥에서 이는 임시적이고 제거 가능한 웃덮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율법이 밑바탕의 아브라함 언약을 제거하거나 변형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더하여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In this context it has the sense of a temporary, removable overlay, since it is clear that the law was “added”in such a way that it did not annul or modify the underlying Abrahamic covenant.
이것은 "씨가 반드시 올 때까지"라는 관점의 한계에서 주어진 것이다.
It was given with a terminus in view,“until the Seed should come.”
혹은, 바울이 몇 구절 뒤에 설명하려는 바와같이, 율법은 "아버지께서 정하신 날까지" 이스라엘의 미성년기의 안내자 혹은 교사였다.
Or, as Paul will explain a few verses later, the law was a guardian or pedagogue for Israel in her minority “until the date set by the father”(Gal 3: 24; 4: 2).
시간이 다 채워졌을 때,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아들을 보내셔서, 여자에게서 나게 하셨으며, 율법 아래 나게 하셨으며, 그럼으로서 그들과 항상 함께 있었던 아브라함과의 약속이 성취될 수가 있었으며, 그럼으로서 하나님의 백성이 종들로서가 아니라 아들들로서 유업을 이어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갈4:1-7)
In the fullness of time, God sent forth his Son,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so that the Abrahamic promise, which was there all along, might be brought to fulfillment and the people of God might take up the inheritance no longer as slaves but as sons (Gal 4: 1-7).
이렇게 율법에 의한 유업의 원리와 은혜에 의한 유업의 원리가, 율법이 약속을 취소시키거나 무효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모세 시대에 공존하였는데, 이는 율법이 아브라함 언약의 의미를 변경시키는 부록으로서가 아니라 임시적 덧입힘으로 더하여졌기 때문이다.
So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law and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grace coexisted in the Mosaic era, without the law canceling or annulling the promise, because the law was “added”as a temporary overlay but not as a codicil that modified the terms of the Abrahamic covenant.
클라인은 자신의 저술들에서 반복적으로 이 핵심 구절(갈3:15-19)을 말하고 있다.예를 들어서:
Kline appeals to this key passage (Gal 3: 15-19) again and again in his writings. For example:
"고전적 언약 이해에 있어서, 430년 후에 온 율법이 약속을 무효화 시키지 않은 것은 (갈3:17)- 옛 언약이 실제로 영향력 있는 행위 원리를 창출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고, 행위와 믿음이 모세 경륜에서 두 가지 다른 수준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Gospel until the Law,”436)
“On the classic covenantal understanding, the law that came 430 years later did not disannul the promise (Gal 3: 17) –not because the old covenant did not really introduce an operative works principle, but because works and faith were operating on two different levels in the Mosaic economy”(“Gospel until the Law,”436).
(2) 성경-신학적 근거
(2) Its Biblical-Theological Basis
클라인은 두 겹의 비유를 바울의 갈 3: 15-19로부터 이끌어내었을 뿐만이 아니라, 그는 더 나아가 아브라함 언약 자체를 성경-신학적으로 자신이 분석한 비유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Not only did Kline derive the two-layer metaphor from Paul in Gal 3: 15-19, but he further developed the metaphor by his biblical-theological analysis of the Abrahamic covenant itself.
아브라함 언약은 씨와 땅에 관련된 하나님의 약속이었다.
The Abrahamic covenant was God’s promise concerning the seed and the land.
모든 이들이 이것을 알고있다.
Everyone knows that.
그러나 가장 실수하는 것은 (특히 세대주의자들) 아브라함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은 두 단계로 성취되었다는 것이다.
However, what most miss (especially dispensationalists) is that God’s promise to Abraham was fulfilled in two stages.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민족(씨)의 형성과 이 민족을 약속의 땅으로 데리고 옴으로서 역사 가운데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The first-level fulfillment was unfolded historically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 (the seed) and the bringing of the nation into the promised land.
아브라함 약속의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실제적으로 긴 과정으로서, 출애굽으로부터 시작하여, 가나안의 정복으로 이어지고, 많은 세대들에 걸쳐서 가나안 족속을 하나님의 거룩한 영역으로부터 쫓아내며, 성전이 완성되었을때인 솔로몬에서 절정에 이른다.
This first-level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promise is actually a long process that begins with the exodus, continues in the conquest of Canaan, takes many generations to drive out the Canaanites from God’s holy realm, and culminates under Solomon when the temple is finished.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께서 거룩한 땅에서, 그의 백성 가운데, 그의 거룩하신 성전에서, 다윗의 기름부음 받은 아들인 그가 지명하신 혈족의 왕을 통하여 그의 권위가 실행되어짐으로서, 최종적으로 도달 되는 것이다.
The kingdom of God finally arrived when God was dwelling in the midst of his people, in his holy temple, in the holy land, and exercising his authority through his appointed vassal king, the anointed son of David.
그러나 이러한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참된 성취가 아니었다.
But this first-level fulfillment was not the true fulfillment.
이것은 앞서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종말론적 완성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유형적인 나라"일 뿐이었다.
It was only a “typal kingdom”pointing ahead to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in Christ.
그리스도는 약속이 언급하고 있는 참된 "씨"이며(갈3:16), 그리스도께 속하여있는 모두는 종합적인 의미에서 아브라함의 자녀인 것이다(갈 3:29).
Christ is really “the Seed”that the promise referred to (Gal 3: 16), and all who belong to Christ are Abraham’s offspring in the collective sense (Gal 3: 29).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즉 하나님께서 거룩한 나라로서 그 안에 거하실 땅은, 어떤 이 지상의 실제적 유산이 아니라 새 하늘과 새 땅인 것이다(히브리서11장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다).
And the land that God promised Abraham, with God dwelling in it as a holy kingdom, was not some earthly real estate but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as Hebrews 11 makes clear).
그리고 이미, 첫 번째 단계가 성취되는 시간 모두에서, 경건한 개인적인 이스라엘 세대들은 유형과 그림자를 통해서, 특히 희생 제도 안에서, 오는 씨를 볼 수가 있었고, 그럼으로서 그들은 구함을 받았고, 용서를 받았으며, 그리고 오실 메시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다.
And yet, all during the time of the first-level fulfillment, generations of godly individual Israelites were able to see in and through the types and shadows, especially in the sacrificial system, the coming Seed and his atoning sacrifice, so that they were saved, forgiven, and justified by faith in the Messiah to come.
"모세 경륜은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되는 근본적인 단계에 있어서는 은혜의 통치였었다"(KP 109).
“The Mosaic economy [was] an administration of grace on its fundamental level of concern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KP 109).
바울은, 모세법 경륜 안에서의 행위 원리를 인식하고서, 이것 (모세법)이 몇 세기 앞서서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주어진 은혜의 약속들을 폐기하는 것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장할 수 있었는데(갈3:17), 이는 분명히 행위 원리가 가나안에 있는 유형학적 나라에만 적용되는 것이었고, 이는 아브라함에게 은혜의 선물로 약속하신 영원한 나라-도성의 유업과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아브라함과 그의 모든 씨와, 유대인과 이방인이 받을 것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었다.(KP 237)
“Paul, perceiv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economy, was able to insist that this did not entail an abrogation of the promises of grace given to Abraham, Isaac, and Jacob centuries earlier (Gal 3: 17), precisely because the works principle applied only to the typological kingdom in Canaan and not to the inheritance of the eternal kingdom-city promised to Abraham as a gift of grace and at last to be received by Abraham and all his seed, Jew and Gentile, through faith in Christ Jesus” (KP 237).
하나님께서는, 개인적으로 선택된 이스라엘 사람이 구해지는 수단이 되는 행위 원리로, 모세법을 주시지 않으셨다.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with its works principle to be the means by which the individual elect Israelite would be saved.
개인적 구원은, 모세 시대를 포함하여, 약속을 통하여, 즉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시고"(창 15: 6)라는 아브라함 자신의 구원론적 경험의 패러다임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아브라함의 은혜의 언약을 통하여, 항상 집행되었었다.
Personal salvation was always administered, in every epoch of redemptive history, including the Mosaic epoch, through the promise, that is, through the Abrahamic covenant of grace, founded as it was on the paradigm of Abraham’s own soteriological experience, “Abraham believed God and it was counted to him as righteousness” (Gen 15: 6).
아브라함 약속의 두 단계 성취(첫 번째 단계는 땅에서의 유형학적 성취이며, 그리고 두 번째는 그리스도와 종말에 반대 모양으로의 성취이다)에서 발견된다는 클라인의 분석은,
구약에서 개인적으로 믿는 이들이, 유형을 통하여 앞서서 반대 모양을 봄으로서, 믿음으로 구원 받는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혼합되어있는 것은, 두 겹의 케이크의 개념을 더욱 지지해주고 있는 것이다.
Kline’s analysis of the Abrahamic promise as finding fulfillment in two stages (the first -level typological fulfillment in the land, and the second-level antitypical fulfillment in Christ and the eschaton), combined with a recognition that individual Old Testament believers were saved by faith as they looked ahead to the antitype through the type,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the concept of the two-layer cake.
다음으로 나는 다음의 질문에 답할 것이다: 만약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모세법과 그것의 행위 원리를 개인이 구원을 받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는 수단으로 주시지 않으셨다면, 왜 하나님께서는 모세법을 주셨고 이것을 두 번째 유형학적 단계로 세우셨는가?
Next, I’ll answer the question: If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and its works principle to Israel to be a means for individuals to be saved and attain eternal life, why did God give the Mosaic law and establish this second typological layer?
C. 왜 하나님께서는 모세법을 주셨는가?
C. Why did God Give the Mosaic Law?
하나님께서는 행위 원리로서의 모세법을 이스라엘에게 그들의 구원의 수단이 되도록 주시지 않으셨다.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with its works principle to the Israelites to be a means of their salvation.
그러나 만약에 이것이 구원의 수단이 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며, 왜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유형학적인 나라가 행위 원리에 의하여 인지 되도록 세우셨는가?
But if it wasn’t intended to be a means of salvation, why did God set up this typological kingdom informed by the principle of works?
비록 이것이 구원의 수단이 되도록 주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이것은 구원의 계획을 진전시키기 위하여 주어졌던 것이다.
Even though it was not given to be a means of salvation, it was given in order to advance the plan of salvation.
이것은 두 가지 방식, 율법의 교사로서의 기능과 율법의 기독론적 기능에서 그러하다.
It does so in two ways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and the Christological function of the law.
첫 째로, 이것은 이스라엘(그리고 넓게는 모든 인류)에게 그들의 필요를 보여주고서 그들을 그리스도께로 몰아가는 것(율법의 교사로서의 기능)이다:
First, it shows Israel (and by extension all humanity) their need and drives them to Christ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율법 언약은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로서 복음의 목적과 계획으로 나아가도록 설계되어있다. 아담이 에덴의 처음 검증에서 범죄하였을 때 타락한 모든 인류의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줌으로서, 이러한 행위 언약의 검증 아래 있는 이스라엘의 비극적 역사가 그들 모두의 죄악되고 희망이 없는 상태를 확신시키는 일을 한다. 그러므로 율법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하여 그들이 믿음으로 의롭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이들이 불순종으로 인하여 입을 다뭄으로서 하나님께서 모두에게 자비를 베푸시도록 한다.(롬 11: 28-36)(GHHM 128-29)
“The Law covenant was a sub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designed to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 By exhibiting dramatically the situation of all mankind, fallen in and with Adam in the original probation in Eden, the tragic history of Israel under its covenant-of-works probation served to convict all of their sinful, hopeless estate. The Law thus drove men to Christ that they might be justified by faith. All were shut up in disobedience that God might have mercy on all (Rom 11: 28-36)”(GHHM 128-29).
두 번째로, 이는 역사적 상황을 성육신에 향하게끔 한다(율법의 기독론적 기능):
Second, it sets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incarnation (the Christological function of the law):
아버지와 맺으신 행위 언약의 의미들에 따라서, 그는 대표적인 검증을 겪어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두 번째 아담으로 오셨고, 그의 순종하심과 승리하심으로 인하여 자신의 백성이 영원한 구원의 나라를 수여 받을 하나님의 언약의 법적인 근거를 확립하셨다. 그러므로 이는, 필요하지 않을지라도, 그리스도께서, 첫 번째 아담에서의 언약과 같이, 행위 원리의 지배를 받는 언약의 체계 안에 오신 것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hi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ather he was to come as the second Adam in order to undergo a representative probation and by his obedient and triumphant accomplishment thereof to establish the legal ground for God’s covenanted bestowal of the eternal kingdom of salvation on his people. It was therefore expedient, if not necessary, that Christ appear within a covenant order which, like the covenant with the first Adam,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cf. Gal 4: 4)”(KP 352).
율법의 교사적이고 기독론적인 기능 모두의 결과로 인하여, 행위 원리가 복음의 기초임이 분명해졌으며,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것이 아닌, 그리스도의 완벽한 순종으로 인하여 구원을 받은 것이다.
As a result of both the pedagogical and Christological functions of the law, it becomes clear that the works principle is the foundation of the gospel, since we are saved by perfect obedience–not ours, but Christ’s.
"그러므로 율법은 복음의 기초가 된다; 복음-은혜는 율법 언약에 명백하게 표현된 것과 같이 하나님의 칭의의 요구를 명예롭게 한다. 롬 3:31에서 바울은 이러한 점을 분명히 하고있다: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비록 그는 우리가 행위가 아니라 믿음에 의한 은혜로 의롭게 되는 것을 논한다 할지라도, [바울은] 복음의 체계에서 행위 원리가 기초가 되는 것에 대한 계속적인 유용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것은 한 사람의 순종함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의롭게 된 것이다.(롬 5:19)(GOM 237).
“Law is thus foundational to gospel; gospel -grace honors the demands of divine justice as definitively expressed in law covenant. In Rom 3: 31 Paul makes this point forcefully: ‘Do we then make the law of none effect through faith? God forbid; nay we establish the law.’... Even though he is arguing that we are justified not by works but by grace through faith, [Paul]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It is by the obedience of the one that the many are made righteous (Rom 5: 19)”(GOM 237).
이는 그것보다도 더욱 분명히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모두, 두 번째 아담의 율법을 충족 시킨 행위에 의한, 값없는 은혜의 복음에 관한 것이다.
It doesn’t get much clearer than that! It is all about the gospel of free grace, through the lawfulfilling work of the second Adam.
모세 경륜 안에서 행위 원리를 이해하게 되면, 의와 자비에 대한 요구들을 충분히 충족시킨 그의 순종하는 아들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이루신 놀라운 구원을 감사하게 되는 새로운 조망이 열리게 된다.
Understand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opens up new vistas in our appreciation of the wonderful salvation that God had accomplished for us through his obedient Son in whom the demands of justice and mercy are fully met.
이것이 클라인의 핵심이었고, 그리고 이것이 그를 귀하게 만들었던 이해인 것이다.
That was Kline’s heartbeat, and that is what made this understanding precious to him.
클라인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이해는 이쯤에서 마치고자 한다.
So much for my brief overview of Kline’s understanding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두 겹의 비유가 핵심이며, 윗 층에는 "유형적 나라"의 개념이 있다.
The key is the twolayer metaphor and the concept of “the typal kingdom”at the top layer.
만약에 당신이 클라인의 두 겹 사이의 구별을 파악하지 못한다면, 클라인이 모세 언약에 관하여 말한 어떠한 것에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If you don’t grasp Kline’s distinction between the two layers, then nothing Kline says about the Mosaic covenant will make sense.
다음에서 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에 대한 클라인의 이해에 대하여 비평하는 이들 가운데서의 일부 일반적인 오해를 이야기 할 것이다.
Next, I want to address some common misrepresentations on the part of those who are critical of Kline’s understanding of works in the Mosaic economy.
_______
1 http:// upper-register.typepad.com/ blog2 http:// www.meredithkline.com/ klines-works/ articles-and-essays/ of-works-and-grace 3 http:// www.etsjets.org/ files/ JETS-PDFs/ 34/ 34-4/ 34-4-pp433-446_JETS.pdf4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ct_under_attack.html 5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works-principle-mosaic-economy.pdf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pdf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3부 (0) | 2016.01.16 |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2부 (0) | 2016.01.16 |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osition)- 서론 (0) | 2016.01.16 |
R. Scott Clark가 말하는 (Mosaic covenant의)Republication의 7가지 핵심 요점들 (0) | 2014.12.25 |
찰스 핫지에게서 볼 수 있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 (0) | 2014.11.29 |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xposition)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3부로 구성된 Charles Lee Irons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xposition)은 2013년에 출간된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 A Critique of the Klinean Doctrine of Republication, by Andrew M. Elam, Robert C. Van Kooten, and Randall A. Bergquist)의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 쓰여진 것이다.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서의 공로에 대한 소책자"(Booklet on Merit in the Doctrine of Republication)라는 이름으로 2013년에 정통장로교회의 북서장로회 (Presbytery of the Northwest of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OPC) 에서 republication이라는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총회(General Assembly)에 제출하기 위하여 발간된 책이었다.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의 저자 중에 두 사람은 이 글의 저자인 Charles Lee Irons과 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 (WSC)에서 같이 Kline 밑에서 공부를 하였던 학급 동료들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클라인의 언약 신학에 대한 특정한 논술이 OPC가 고백하는 신앙고백의 표준을 벗어났다고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를 통하여 주장하고 있다.
Charles Lee Irons이 이 글을 쓰게 된 첫 번째 동기는 Merit and Moses의 저자들의 클라인에 대한 잘못된 관점에서의 비난과 잘못된 해석이 심각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공로와 모세"(Merit and Moses)의 저자들은 클라인의 언약 신학이 정통교리 시스템에 재앙적인 변형(catastrophic alterations)을 초래하면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의 언약 신학에 대한 심각한 손실을 초래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MM 65).
이들은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republication doctrine)가 어거스틴주의나 개혁주의의 기초에 도전하는 것이며 "타락한 죄인이 하나님으로부터 공로를 취할 수 있다"고까지 주장하면서(MM39)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왜곡이 정도를 벗어난 심각한 지경에 까지 되었다고 주장한다.
심지어는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가 "그리스도의 공로적 순종의 단일한 영광을 손상"시킨다는 주장까지도 한다.(MM 116)
Charles Lee Irons은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 대한 이러한 왜곡된 비난에 대하여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Charles Lee Irons 이 글을 쓰게 된 두 번째 이유로는 Merit and Moses가 출간되고 OPC내에서 리퍼블리케이션 연구 위원회가 형성이 되면서 이들이 중심이 되어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에 대한 비난의 견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가운데는 개혁주의에서 존경 받는 몇몇 교수들이 포함되어있는데, 예를 들면 Robert Strimple(WSC), Cornelis Venema, 그리고 Richard Gaffin등이 있다. OPC 목사인 William Shishko는 서문을 썼으며, antinomianism의 저자인 미국장로교회(PCA)의 Mark Jones도 이 책을 추천을 하였다.
Charles Lee Irons은 이들이 말하는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가 정통으로부터 파멸적으로 이탈 되었다"(Kline’s republication doctrine is a “catastrophic” departure from orthodoxy)는 주장에 대하여 이러한 주장들이 얼마나 왜곡된 것인지 이번 글을 통하여 분명히 집고 넘어가려고 한다.
이번 글을 번역하고자 한 역자의 동기는 최근의 현대 신학이 모세 언약에서 행위 언약의 개념을 배제 시키려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비롯하여, 최근 이단 논란에 휩싸인 페더럴 비젼(Federal Vision) 뿐만이 아니라, 이들과 자연스럽게 합류하고있는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에서도 모세 언약에서 행위 언약의 개념이 사라지고있다는 것이다.
2005년에 개정된 알버트 월터스(Albert Wolters)의 "창조 타락 구속"(Creation Regained)에서는 미셔널 처치 운동을 하는 칼빈신학교의 마이클 고힌(Michael Goheen)과 함께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정식으로 수용하면서 이에 적합하도록 개정판을 내었으며, 그의 제자였던 리처드 미들턴(Richard Middleton)은 더 나아가 자신의 저서 "새 하늘과 새 땅"을 톰 라이트의 새관점 위에 기술함으로서 신칼빈주의를 새관점에 접목시킨 새관점의 “기독교 세계관"이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게된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로부터 시작된 신칼빈주의가 결국에는 톰 라이트의 새관점과 손을 잡을 수밖에 없게 된 핵심적인 이유 가운데 하나는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 언약을 배제시킨 오직 은혜 언약만을 인정하는 단일 언약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오직 은혜 언약 만을 주장하는 것이 심각할 정도로 위험한 이유는,행위 언약의 개념이 없이는 그리스도의 공로의 개념이 상실될 수 밖에 없으며, 공로 개념이 상실된 가운데서는 그리스도의 순종 개념이 없는"의의 전가"를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오직 믿음"만을 외쳤던 루터의 종교개혁을 무력화 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고, 다시 카톨릭으로 돌아가는 것을 넘어서, 유대교를 언약적 율법주의로 재해석하며, 기독교와 유대교의 연합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모세 언약 가운데 담겨진 행위 언약 개념을 지키고 보존하는 것은 바로 개혁주의를 견고히 하는 가장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으며, 만약 이러한 행위 언약의 개념이 상실하게 되면 결국 종교개혁은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게되는 것이다.
Charles Lee Irons의 이번 글을 통하여 모세 언약에서의 행위 언약 개념이 얼마나 양보할 수 없는 개혁주의의 핵심 교리인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자 하며, 그 전에 잠깐 새관점의 언약 개념을 간단히 정리해 봄으로서,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앞으로 전개될 클라인의 개혁주의 언약 개념과 비교해보고, 새관점의 언약 개념이 얼마나 개혁주의에서 떠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서 말하는 언약 사상
1. 톰 라이트가 말하는 언약의 의미와 목적
새관점에서의 언약은, 처음부터 전 세계를 아우르는 한 가족을 부르는 것으로서, 하나님은 그 가족을 통하여 세상을 구원하려는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시려는 것이라고 말한다(톰 라이트 칭의를 말하다. 15).
여기서 톰라이트가 말하는 언약은 아브라함 언약을 지칭하는 것이며, 모세 언약을 아브라함 언약이 이 땅에서 실현된 것으로 보고 있다.
톰 라이트가 말하는 세상의 구원은 이미 출애굽과 모세 언약을 통하여 이 땅에서 실현된 것이며, 율법으로서의 모세 언약은 이 땅에 실현된 하나님의 부르심, 즉 가족으로의 부르심에 부응하는 머무름에 대한 요구 조건인 것이다.
이러한 부르심에 요구되는 것은 믿음이 아니라 행함이며, 이미 출애굽과 더불어 공동체적으로 이루어진 구원에 머무르기 위한 조건으로 행함을 요구하는 율법이 주어졌다는 것이다.
이는 믿음을 통한 개인적 구원을 말하는 개혁주의 사상과는 전혀 다른 것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통한 지상 사역 이전에 이미 이 땅에서 구원이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의미와 역할을 축소, 내지는 왜곡 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2. 행위를 요구하는 새관점의 은혜 언약
새관점에서 말하는 율법은, 아브라함과의 약속의 결과로서, 이미 출애굽을 통하여 이 땅에 실현된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에 머무르기 위하여 주어진 규범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관점에서 말하는 율법의 요구는 이 땅에서 아브라함에게 약속된 구원의 은혜에 머무르기 위함이며, 이를 실행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회개와 성전 제사를 통하여서 다시 언약 공동체 안에 들어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구조는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끊임없는 행위를 요구하는 것이기에 진정한 의미의 은혜 언약이라고 말 할 수 없다.
새관점은 칼빈주의의 핵심 사상인 인간의 전적인 무능력과 부패를 인정하지 않는 대신에 인간의 능력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로마 카톨릭의 반펠라기우스적 사고에 가까운 개념이다.
김세윤 교수도 자신의 저서 “칭의와 성화”(16)에서 “새관점에서는 율법의 은혜만을 강조하지만 새관점이 구원론과 언약의 조건성에 있어서 반펠라기우스적 성향을 가지고있다”고 말하고있다.
3. 또 하나의 율법- 예수님의 행동 방식
새관점에서는 옛 언약 즉 모세 언약을 통하여 이 땅에 존재하였던 성전이 새 언약에서는 예수님의 행동으로 실제로 제공된 것으로 보고 있다(톰 라이트, 예수의 도전 162)
예수님 자체를 성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행동 방식을 성전과 연계 시킴으로서 예수님의 행동 방식을 새 언약의 새로운 율법 즉, 새로운 윤리 규정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행함을 요구하는 새관점주의자들에게 예수님은 믿음의 대상이기보다는 따름의 대상이 되기에, 그들이 말하는 새 언약은 또 다른 율법인 예수님의 행동을 따르는 신앙방식이 요구하게되는 것이다.
새관점의 이러한 사고는, 여자에게서 나셨고 율법 아래에 나심으로서(갈 4: 4) 두 번째 아담으로 오셔서 율법의 요구를 충족시키셨던 예수님의 성육신의 의미를 무력화시키는 개념인 것이다.
4. 언약의 공동체성
새관점에서 말하는 언약은 개인적 차원이 아니라 공동체적인 차원에서 하나님 중심의 언약을 설명하고있기에 개인이 수행하여야할 행위 언약에 대한 개념을 축소시키고있다.
새관점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조건은 하나님과의 관계성 회복보다는 공동체와의 관계성 회복이라는 성격을 띄고 있다.
이는 중세 로마 카톨릭이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고 말하였던 것과 같은 맥락으로서, 이를 적용할 경우 구원의 조건은 믿음이 아니라 공동체에 머무르는 행위가 요구되는 것이다.
새 언약에서의 공동체성은, 행위가 아닌 믿음의 고백을 근거로 하는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에 참여 됨을 통하여, 이 땅에 이미 실현되어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가시적 교회의 일원이 전부 다 구원을 받는 것은 아니다. 가시적 교회 안에 섞여 있는 알곡과 가라지는 개별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앞에서 그리스도의 믿음을 통한 구원의 은혜에 참여 되는 것이다.
5. 새관점의 단일 언약론
이번 Charles Lee Irons의 글에서 언급하는 언약에는 새관점에 대한 것보다는 존 머레이(John Murrey)와 그의 후계자인 노먼 쉐퍼드(Norman Shepherd), 그리고 그의 제자들이 중심이 된 페더럴 비젼(Federal Vision)의 언약론에 대한 많은 언급이 있다.
이들의 언약론의 공통적 특징은 모세 언약에서 행위 언약이 배제된 오직 은혜만의 단일 언약을 주장하고 있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서도 마찬가지로 행위 언약 개념을 배제한 언약적 율법주의로서의 단일 언약론을 주장하고있다(박동근, 칭의의 복음, 16).
하지만 새관점에서 말하는 단일 언약 개념은 존 머레이가 말하는 단일 언약 개념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존 머레이는 “언약의 요구”라는 관점에서 볼 때 모세 언약과 새 언약 사이에 연속성이 있다고 보았다.
존 머레이의 이러한 이해는 처음부터 어원적인 구분(terminological distinction)과 방법론적인 접근(methodological commitment)으로 인하여 생긴 결과물이었다(Bryan D. Estelle. The Law is not of Faith. 16).
이와는 달리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역사적 예수 연구”라는 방법을 통하여 1세기 제2성전 유대교에서 유대인이지켰던 율법이 율법주의 개념이 아닌 은혜에 머물기 위한 수단이었다는 전혀 다른 해석을 함으로서 존 머레이가 보았던 율법에 대한 관점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톰 라이트는 개혁주의에서 율법에 대하여 생각하는 시내산 율법의 조건적 언약을 인정하지 않으며, 동시에 참된 이스라엘, 즉 메시아이신 예수에 의하여 충족되어진 율법을 근거로 한 은혜 언약도 인정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 두 가지를 언약적 율법주의라는 은혜 개념의 율법주의로 묶어 버림으로서 존 머레이가 주장하는 단일언약론과 같지만 다른 성격의 단일 언약론의 개념을 취하고 있다.
이제 Charles Lee Irons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xposition)을 통하여 클라인의 “리퍼블리케이션 교리"의 진정성을 살펴봄으로서 톰 라이트의 새관점을 비롯한 신칼빈주의 기독교 세계관의 언약 개념이 전통적 개혁주의와 얼마나 다른 지를 살펴보고자한다.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3부 (0) | 2016.01.16 |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2부 (0) | 2016.01.16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1부 (0) | 2016.01.16 |
R. Scott Clark가 말하는 (Mosaic covenant의)Republication의 7가지 핵심 요점들 (0) | 2014.12.25 |
찰스 핫지에게서 볼 수 있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 (0) | 2014.11.29 |
R. Scott Clark가 말하는 (Mosaic covenant의)Republication의 7가지 핵심 요점들
(Seven Short Points About Republication by R. Scott Clark)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1. 모세(옛)언약은 은혜 언약으로 집행되어지는 것이다.
The Mosaic (old) covenant was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2. 아담은 타락 전의 행위 언약에 대한 순종으로 말미암아 영광에 들어 갈 수 있었지만 타락한 후에는 오직 그리스도만이 죄 없이 나셨기에 언약의 진정한 의미를 감당할 수 있으셨다.
Adam would have entered into glory by virtue of his obedience to the prelapsarian covenant of works but after the fall only Christ was born sinless and able to meet the terms of that covenant.
3. 도덕법은 신성을 반영하며 창조 시에 처음 주어졌으며 후에는 시내산에서 임시적으로, 유형학적으로, 신정 정치의 이스라엘의 의미로서 다시 언급된다.
The moral law reflects the divine nature and was first given in creation and later re-stated in temporary, typological, theocratic, Israelite, terms at Sinai.
4. 행위 언약은 시내산에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다시 공포된다.
The covenant of works was republished at Sinai in order to:
a. 이스라엘(우리도 마찬가지로)의 죄와 궁핍함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줌으로서 그들이(우리도) 구세주를 필요로 하게 함으로서 그들을(우리도)(몽학선생의 역할을 통하여)그리스도께 향하게 한다.
Teach the Israelites (and us) the greatness of their (and our) sin and misery and thereby to show them (and us) their (and our) need for the Savior and thus to point them (and us) to Christ (pedagogical use)
b. (모세언약은) 이스라엘의 시민 생활의 규범이되면서 또한 이스라엘의 신정 정치의 종료 후에도 규범적 시민 생활을 하게 끔 한다.
Serve, in both tables, as the norm for Israelite civil life and to serve, in the second table, a the norm civil life after the expiration of the Israelite theocracy (civil use).
c.도덕법의 요점이 되는 이상 이스라엘과 새 언약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에게 도덕적 규범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Serve, insofar as it is a summary of the moral law, as the moral norm for the Israelites and new covenant Christians (normative use)
5. 옛 언약은 법적인 의미로 표현이 된다. 말하자면 구약에서는 이스라엘이 땅에서 영속하는 것과 국가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율법에 순종하느냐에 달려있는 것이고 그들이 (가나안)땅에서 쫓겨나고 국가로서의 상태를 상실하게 되는 것은 율법에 순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오기도 전에 언약을 깨뜨렸고 하나님의 법을 반복적으로 거역하였음에도, 아직 땅에 남아 있으면서 국가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은혜에 의한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The old covenant was expressed in legal terms, to wit, there are places in the OT that say that Israelite tenure in the land and national status was conditioned upon their obedience to the law and that the reason for their expulsion from the land and loss of national status was disobedience to the law. Inasmuch, however, as Israel broke the covenant before Moses descended the mountain and disobeyed God’s law repeatedly and yet remained in the land and retained their national status for as long as they did, it must have been by grace.
6. 옛 언약에서는 유형학적인 것과 교육학적인 것, 두가지가 동시에 일어난다.
유형학적으로는 행위 언약에 의한 법적인 (비록 엄격히 법적이지는 않지만) 통치 형태로 나타나고, 교육적인 면에서는 은혜 언약의 통치 형태로서 죄인이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만 의롭게 되고 구원을 얻는다는 것이다.
In the old covenant two things were happening simultaneously: a typological, pedagogical, formally legal (but not strictly legal)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works (see #4 above) and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in which sinners were justified and saved by grace alone, through faith alone in Christ alone.
7. 새 언약으로서의 율법은, 이스라엘을 넘어서 또 다른 면에서 유형학적 형태로(예를 들어 땅에서의 영속이나 토요일의 안식과 같이) 영속적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규범이 된다.
In the new covenant that law, in both tables, stripped of its Israelite, typological features (e.g., land tenure, saturday sabbath), remains as a perpetual, universal norm for all humans.
(출처)http://heidelblog.net/2014/08/seven-short-points-about-republication/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3부 (0) | 2016.01.16 |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2부 (0) | 2016.01.16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1부 (0) | 2016.01.16 |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osition)- 서론 (0) | 2016.01.16 |
찰스 핫지에게서 볼 수 있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 (0) | 2014.11.29 |
찰스 핫지에게서 볼 수 있는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
(The Law is not of Faith- Bryan D. Estelle외 2인-12쪽에서 발췌)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의 신학에서도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의 한 형태를 볼 수 있다.
핫지는 고린도전후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신약성경을 읽는 이 모두는 사도가 모세 언약을 언급할 때는 - 완전한 순종의 조건에서 생명을 약속하는- 행위 언약으로 간주되는 도덕법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는 사실을 직시하여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계속 말하기를 이는 명백히-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복음과 대립되는 개념임을 분명히 하면서 또한 “바울이 말하는 행위 언약으로서의 도덕법은 복음에 대립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다음의 3가지 핫지의 요약은 리퍼블리케이션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가 모세법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 모세의 법은 첫 번째로 나타나는 행위 언약의 재연(a re-enactment of covenant of works)이다. 언약은 조건에 묶여있는 약속일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행위 언약은 완전한 순종이라는 조건에서만 생명이 약속되는 것이다.(행위 언약의 재연이란 모세의 언약이 아담이 에덴에서 받았던 행위 언약이 다시 반복되고있다는 뜻이다.)
2. 모세법의 섭리(The Mosaic economy)는 국가적인 순종의 상태에서 국가적으로 약속되는 국가적인 언약(a national covenant)이다. 이러한 면에서는 (Mosaic economy는) 순수하게 법적(legal)인 것이다.
3. 복음은 율법의 새로운 계시(renewed revelation of the law)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모세의 율법은 복음의 계시(a revelation of gospel)를 포함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계시는 사제직(priesthood)과 희생(sacrifices)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을 드러내며 구세주로서의 값 없이 주시는 구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필연적으로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서 구원에 이르는 조건이다.
이상에서 핫지는 국가적인 행위 언약(a national covenant of works)을 제기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독생자(God,s only begotten Son)를 드러내는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이스라엘(Isreal as God’s son)이 구원 받는 커다란 구도(grand narrative of redemptive history)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주: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는 모세 언약의 속성을 아담 언약에 비추어 재조명해 볼 수 있는 교리로서 모세 언약 속에 담겨있는 행위 언약과 이를 통하여 하나님의 구원 계획 가운데 내포되어있는 은혜 언약의 잠재성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 이는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TS)교수였던 John Murray의 모세 언약에 대한 은혜 언약으로서의 해석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는 교리로서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SC, WTS)내에서 뿐만이 아니라 미국 정통장로교단(OPC)내에서도 치열한 격론을 불러일으키고있는 주제이다.
이 글을 정리하면서 몇 가지를 생각해보다.
1.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는 아담과 이스라엘과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같은 위치에서 그려냄으로서 성전으로서의 에덴과 약속의 땅과 예수 그리스도를 대비시키고 있다.
2.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Doctrine of Republication)의 중요성은 약속의 땅에 있는 이스라엘의 상태가 아직 은혜를 기다리는 곳이지 결코 새관점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언약의 은혜 안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모세의 율법 아래 있는 이스라엘은 선악과에 대한 순종을 요구 받은 에덴의 아담과 같은 행위 언약 아래에 있으며 아담이 명령을 어기고 죽을 수 밖에 없었던 것과 같이 이스라엘도 행위언약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율법의 요구를 수행 할 수 밖에 없기에 아담의 에덴에서의 추방이라는 사형 선고와 같이 바벨론의 포로가 되는 멸망(exile)에 이를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율법 아래있는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상태로서 새관점에서 주장하는 아브라함의 은혜 언약 아래 있는 것이 아니라 모세의 행위 언약 아래 놓여 있는 상태인 것이다.
3.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은 개혁주의 신앙고백에서도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개념으로서 율법이 새관점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은혜 안에 머무르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완전한 순종을 요구하는 조건인 것이다.
4. 리퍼블리케이션 교리(Doctrine of Republication) 에 의한 예수님은 죽음을 가져온 통로로서의 아담과 대비되는, 생명을 가져 오시는 두번째 아담으로서의 예수님이신 것이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서는 예수님을 아담과 대비시키지 않고 있기에Republication Doctrine 을 부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리퍼블리케이션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3부 (0) | 2016.01.16 |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2부 (0) | 2016.01.16 |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1부 (0) | 2016.01.16 |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works- principle-mosaic-economy-eosition)- 서론 (0) | 2016.01.16 |
R. Scott Clark가 말하는 (Mosaic covenant의)Republication의 7가지 핵심 요점들 (0) | 201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