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물의 보존'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7.07.09 :: 문화명령에 대한 메러디스 클라인의 관점
문화 2017. 7. 9. 18:14

문화명령에 대한 메리데스 클라인의 관점

Meredith Kline’s View of the Cultural Mandate
Charles Lee Irons, Ph.D.
10/28/2015

Lecture given at the 2015 Bahnsen Conference
Hosted by Branch of Hope OPC in Torrance, CA
Friday, October 23, 2015

 

역자: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역자 서문

 

메러디스 클라인의 문화명령에 대한 해석은 화란개혁주의와는 다소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고있다.

 

클라스 스킬더를 비롯한 대부분의 화란개혁주의 신학자들은, 다소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문화물의 천국보존을 전제로하여 문화명령을 해석한다.

 

이러한 문화명령에 대한 클라인의 해석은 화란개혁주의 개통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있다.

 

클라인은 이 땅에서의 문화를 메가폴리스Megapolis라는 속성에서, 그리고 새 창조에서의 문화를 메타폴리스Metapolis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메가폴리스와 메타폴리스의 다른 속성으로 인한 문화적 산물의 불연속성을 강조한다.

 

클라인은 타락과 더불어 문화적 산물의 연속성이 파괴되었다고 말하며, 타락 이전의 본래의 문화명령은 타락 이후에 하나님의 저주를 받고 변형되어졌으며 이는  문화명령을 새롭게 하는 “일반은총의 언약”으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한다.

 

메러디스 클라인Meredith G. Kline에 대하여

 

1922년 펜실베니아에서 태어난 메러디스 클라인Meredith G. Kline은 신학자이자 구약학자Old Testament scholar였다.

 

클라인은 개혁주의 전통에서의 언약 신학에 관한 영향력있는 저술가였다.

 

아마도 그는 기원전 2000년 경의 종주-봉신 조약Suzerain-Vassal treaties에 관한 분야에서 중요한 공헌을 한 사람으로 가장 잘 알려져있을 것이다.

 

또한 그는 창세기 1장의 창조 기사의 해석의 틀을 변론한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클라인은 고든대학교에서 B.A를, 1947년에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Philadelphia에서 Th.B., Th.M를, 1956년에는 드롭시대학Dropsie University에서 아시리아학과 이집트학Assyriology and Egyptology으로 Ph.D를 받았다.

 

그는 정통장로교회Orthodox Presbyterian Church 소속 목회자였으며, 오랫동안 다양한 신학교, 즉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Philadelphia 고든-콘웰 신학대학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그리고 켈리포니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에서 구약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연자 Charles Lee Irons


B.A. in Greek,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92)
M.Div., 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 (1996)
Ph.D.,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11)

 

다음은 클라인의 문화명령에 대하여 Charles Lee Irons가  2015 Bahnsen Conference에서 행한 연설의 원고를 연자의 허락을 받아 번역한 것이다.

 

서론

Introduction

 

나는 그리스도와 문화에 대한 메리데스 클라인의 관점을 발표해 달라고 부탁을 받았습니다.

I’ve been asked to present Meredith Kline’s view of Christ and Culture.

 

클라인은 문화명령에 관한 성경신학에 대하여 상당한 양의 논문들을 제공하고있습니다.

Kline gave a great deal of thought to the biblical theology of the cultural mandate.

 

그는 창세기의 처음 아홉장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문화명령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He examined the cultural mandate in the course of his interpretation of the first nine chapters of the Book of Genesis.

일단 시작하기 전에 먼저 클라인의 생애에 관한 약력을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Before I launch into that, however, let me give a brief sketch of Kline’s life.

 

그는 1922년에 태어나서 2007년에 84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He was born in 1922 and died in 2007 at the age of 84.

 

그는 성경의 권위와 무오를 가장 고수하였던 저명한 구약 학자였습니다.

He was a noted conservative Old Testament scholar who had the highest regard for the authority and inerrancy of Scripture.

 

그는, 문서 가설과 같이, 구약의 기원에 관한 고등 비평이론을 거절하였습니다.

He rejected the higher critical theories of the origin of the Old Testament, such as the documentary hypothesis.

클라인은 메사츠세츠에 있는 고든 대학에서 학부 생활을 하였습니다.

Kline did his undergraduate work at Gordon College in Massachusetts.

 

그가 개혁주의 신학에 입문하게 된 곳은 바로 이곳이었습니다.

It was there that he was introduced to Reformed theology.

 

저는 그가 자신의 급우가 칼빈주의의 다섯 가지 요점에 대하여 자신에게 설명해주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읍니다.

He told me the story that a classmate of his explained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to him.

 

그는 이것(칼빈주의의 다섯 가지 요점)에 대하여 이전에 들어본 적이 없었지만, 그들이 그에게 설명하자마자 즉시 칼빈주의가 참이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He had never heard them before, but as soon as they were explained to him he instantly thought Calvinism was true.

 

1944년 대학을 졸업한 후에, 그는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으로 가서 1947년 신학 학사와 석사로 졸업하였습니다.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n 1944, he went on to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 graduating in 1947 with a Bachelor’s and a Master’s of Theology.

1940년대에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 학생으로서 존 머레이와 코넬리우스 반틸에게서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As a student at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the 1940s, he sat at the feet of John Murray and Cornelius Van Til.

 

그는 언약 신학의 몇 가지 중요한 면에서 존 머레이에게 동의하지 않았지만, 반틸에 대하여는 항상 감탄하였으며 그의 생각을 최고로 여겼습니다.

He disagreed with John Murray on some important aspects of covenant theology, but he always admired Van Til and had the highest regard for his thought.

 

그가 반틸을 존경하였다는 것은 자신의 저서 [성경 권위의 구조]를 반틸에게 헌정하였다는 것이 증명해 주고있습니다.

The proof of his admiration for Van Til is that he dedicated his book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 to Van Til.

 

클라인은 반틸의 사람이었습니다.

Kline was a Van Tilian.

 

그는 하나님과 그의 말씀보다도 더 높은 권위는 없다고 믿었습니다.

He believed there is no authority higher than God and his Word.

 

이것은 그가 성경을 언약 문서들로 이해하는 데서 볼 수 있습니다.

This can be seen in his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as covenant documents.


하나님은 위대하신 왕이시며, 영주(領主)이십니다.

God is the Great King, the Suzerain.

 

우리는 하나님의 종이며, 하나님의 언약 대상들입니다.

We are God’s vassals, God’s covenant subjects.

 

성경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언약 문서입니다.

The Scriptures are the covenant document that gov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people.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우리는 우리가 아닌 하나님께서 의미하시는 언약에 복종할 의무와, 그의 언약의 말씀의 조항들에 대하여 순종 할 의무가 있습니다.

As God’s covenant people, we are obligated to submit to the covenant on God’s terms, not ours, and to obey the stipulations of his covenant Word.

클라인은 1948년 정통장로교회에서 복음 사역자로 임명을 받았으며 죽음을 맞이하기까지 정통장로교회에서 목사로서 제대로된 사역을 감당하였습니다.

Kline was ordained to the gospel ministry in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in 1948 and remained a minister in good standing in the OPC until his death.

그는 필라델피아에 있는 드롭시대학에서 아시리아학과 이집트학으로 자신의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56년 학위를 마치기까지 웨스트민스터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습니다.

He did his Ph.D. in Assyriology and Egyptology at Dropsie University in Philadelphia, completing his degree in 1956, while he was already teaching at Westminster.

 

드롭시에서 그는 우가리트어와 같은 고대 셈족 언어에 대하여 능통한 학자인 키루스 고든 밑에서 공부하였습니다.

At Dropsie he studied under Cyrus Gordon, the great scholar of ancient Semitic languages such as Ugaritic.

클라인은 주로 3개 대학, 즉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 대학과 고든 콘웰 신학교와 캘리포니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가르쳤습니다.

Kline taught at three main seminaries: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 Gordon Conwell Theological Seminary, and 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

 

나는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캘리포니아의 웨스트민스터에서 그를 나의 교수로 모실 수 있는 특혜를 누렸습니다.

I had the privilege of having him as my professor at Westminster California from 1992 to 1996.

그의 대작인 [하나님 나라의 서막]은 그가 오랜 강단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수없이 가르쳐왔던 구약의 성경신학 과정을 위한 강의 초록에서부터 시작된 것입니다.

His magnum opus is Kingdom Prologue, which began as a class syllabus for a course on the biblical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that he taught many times throughout his long academic career.

 

마지막 판은 그가 하나님께로 가기 전년도인 2006년에 출간되었습니다.

The final version was published in 2006, one year before he went to be with the Lord.

부제는 [언약적 세계관을 위한 창세기의 토대]입니다.

The subtitle is Genesis Foundations for a Covenantal Worldview.1

(1. 이하 Meredith G. Kline, Kingdom Prologue: Genesis Foundations for a Covenantal Worldview를 “KP”로 표시)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그가 단순히 성경 신학이나 언약 신학만을 한 것이 아니라, 그는 또한 창세기에 근거한 심도 깊은 세계관을 확립하려고하였는데, 이는 그가 (창세기를) 성경 전체와 모든 삶의 기초로 보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means that he’s not just doing biblical theology and covenant theology; he is also trying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worldview based on the book of Genesis, which he saw as foundational for the whole of the Scriptures and for all of life.

 

이것의 핵심 부분은 역사의 전개과정에서 문화명령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A key part of that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mandate in its historical unfolding.

그러므로 문화명령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으로 들어가봅시다.

So let’s dive into Kline’s view of the cultural mandate.

 

저는 역사의 전개를 3단계로 나누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I think it’s helpful to break it down into three modes as history unfolds:

1. 타락 이전에 본래부터 주어진 문화명령

1. The Cultural Mandate as Originally Given Before the Fall

 

2. 타락 후에 변형된 문화명령

2. The Cultural Mandate as Modified After the Fall

 

3.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된 문화명령

3. The Cultural Mandate as Fulfilled by Christ

1. 타락 이전에 본래부터 주어진 문화명령

1. The Cultural Mandate as Originally Given Before the Fall

하나님께서 아담과 이브에게 주신 문화명령의 핵심 본문인 창세기 1장 26-28절을 상기하면서 시작하도록 합시다.

Let’s begin by reminding ourselves of the key text where God gives the cultural mandate to Adam and Eve—Genesis 1:26–28:


26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들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27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28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26 Then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after our likeness. And let them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birds of the heavens and over the livestock and over all the earth and over every creeping thing that creeps on the earth.”
27 So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him;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28 And God blessed them. And God said to them,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fill the earth and subdue it, and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birds of the heavens and over every living thing that moves on the earth.”2
(2 Scripture quotations are from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copyright © 2001 by Crossway
Bibles, a division of Good News Publishers. Us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우리가 살펴볼 수 있는 첫 번째는 문화명령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의 정체성에 뿌리를 두고있다는 것입니다.

The first thing we observe is that the cultural mandate is rooted in man’s identity as the image of God.

 

하나님께서 창조주이신 것과 같이, 비록 창조적인 수준이지만 인간들도 창조자의 유형이라는 것입니다.

Just as God is the creator, so mankind is a creator of sorts, although on a creaturely level.

 

사람이 땅을 채우는 창조적인 행동은, 하나님께서 창조의 각 영역들- 즉 하늘과 바다와 마른 땅을 창조하시고서, 새들과 물고기와 땅의 동물들과 사람 자신을 각 영역에서 번성하고, 채우고, 통치하는 피조물을 창조하신 것과 유사한 방식입니다.

Man’s creaturely activity of filling the earth is an analogue of the way in which God created the various realms of creation—the sky, the sea, the dry land—and then created the creatures to populate, fill, and reign over each realm—the birds, the fish, the land animals and man himself.

 

사람이 땅을 정복하고 창조물의 하위 질서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포함한 피조물에 대하여 왕적 통치권을 행사하시는 것과 유사한 것입니다.

Man’s creaturely activity of subduing the earth and exercising dominion over the lower orders of creation is an analogue of God’s kingly rulership over all creation, including man.

 

그러므로 사람이 문화활동을 하는 이러한 모든 것은 하나님의 창조와 섭리의 일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So all of these cultural activities of man mirror God’s work of creation and providence.

사람의 문화 활동이 하나님의 창조 활동의 창조적인 유비라는 이러한 개념은 창세기 2장 2-3절에서 좀 더 발전되며, 여기서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안식의 규례를 정해주십니다.

This idea that man’s cultural activity is a creaturely analogue of God’s creative activity is further developed in Genesis 2:2–3, where God gives the Sabbath ordinance to man:

2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3  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 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2 On the seventh day God finished his work that he had done, and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 that he had done.

3 So God blessed the seventh day and made it holy, because on it God rested from all his work that he had done in creation.

 

클라인은 이와같은 타락 이전의 안식일의 규례를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으로 연결시키고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Kline sees this pre-Fall Sabbath ordinance as connected to his identity as the image of God.

 

하나님께서 6일간 일하시고 일곱째 날에 쉬신 것과 같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도  6일간의 문화 사역을 진행하고서는 일곱째 날에 쉬어야만 했습니다.

Just as God worked for six days and rested on the seventh, so man as God’s image must go about his cultural labors for six days and rest on the seventh.

 

그러나 사람의 매주 반복되는 안식일은 무한하거나 끝나지 않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But man’s weekly Sabbath cycle was not to be indefinite or never ending.

 

그보다는 이것은 행위 언약의 일부였기에, 매주의 안식일은 종말론적 약속을 담고 있습니다,

Rather, it was part of the covenant of works, and therefore the weekly Sabbath contained an eschatological promise.

 

매주의 안식일은, 아이를 낳고, 땅을 채우면서 정복하는 아담의 문화 활동이, 하나님의 안식일의 쉼에 들어가는 극치인, 극치에 도달한다는, (좀 더 정확히는) 도달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담에게 주어졌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The weekly sign of the Sabbath was a token to Adam that his cultural activity of procreating, filling the earth and subduing it would, or (more accurately) could, come to a consummation, the consummation of entering God’s Sabbath rest.

 

사람은, 하나님께서 창조 활동을 마무리하시고서 일곱째 날에 쉬심과 같이, 사람의 문화활동도 어느 날 마무리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와 그의 모든 자손들과, 창조 자체인 모든 것들이, 하나님 자신의 종말론적 안식의 쉼에 도달되도록 희망을 가졌어야했던 것입니다.

Man had the hope that, just as God’s creation activity came to a conclusion and God rested on the seventh day, so man’s cultural activity could one day be completed and he, together with all his progeny, and all of creation itself, would be ushered into the eschatological Sabbath rest of God himself.

그러나 이러한 영광스러운 결과는 보장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But this glorious outcome was not guaranteed.

 

행위언약은 조건적인 약속이었습니다.

The covenant of works was a conditional promise.

 

오직 사람이 순종하며 검증을 통과했어야지만 종말론적인 상을 받았을 것입니다.

Only if man obeyed and passed the probation, would he receive the eschatological reward.

 

만약에 사람이 불순종했다면, 그는 상을 잃어버릴 것이며 사실상 공로가 상실될 것입니다.

If man disobeyed, he would lose the reward and in fact merit death.

 

이것은 본문 자체에 암시되어 있습니다.

This is implied in the text itself.

 

다른 한편으로, 생명나무는 긍정적 허용의 표지였으며, 종말론적 진보에 관한 제안이었습니다.

On the one hand, the tree of life was a sign of the positive sanction, the offer of eschatological advancement.

 

다른 한편으로, 죽음의 위협이 또 하나의 나무, 즉 선과 악을 알게하는 나무에 부가되었습니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at of death was explicitly attached to the other tree,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핵심은 본래의 문화명령이 타락 이전의 행위언약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는 것입니다.

The point is that the original cultural mandate was an integral part of the pre-Fall covenant of works.

 

이것은 다음의 두 가지를 제시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첫 번째로는, 인류의 언약적 대표로서의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행위 언약이 깨어졌을 때, 문화명령은 아무 일이 없었던 것처럼 변화하지 않고 계속 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That’s important because it suggests two things: first, that when the covenant of works is broken by Adam’s transgression as the covenant or federal head of the human race, the cultural mandate doesn’t continue unchanged as if nothing happened.

 

이는 지속되지만 상당히 변형된 형태로 지속될 것입니다.

It does continue, but in a highly modified form.

 

두 번째로, 타락 전의 문화명령이 언약적이라면, 우리가 예상해야 하는 것은, 타락 후에 문화명령이 일반은총의 형태로 다시 제시될 때에는, 이도 마찬가지로 언약적이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Second, if the pre-Fall cultural mandate is covenantal, then we would expect that, when the cultural mandate is reissued after the Fall in the common grace mode, it would likewise be covenantal.

이제 클라인은 아담의 문화명령의 우선적 과제들을 두 가지 면, 즉 수직적인 면과 수평적인 면으로 세분화합니다.

Now Kline subdivides the primary tasks of Adam’s cultural mandate into two aspects: the vertical dimension and the horizontal.

 

수평적인 면은 사람이 땅을 경작하고 정복하는 자로서, 사람의 왕으로서의 직책과 관련이 있습니다.

The horizontal dimension has to do with man’s kingly office as one who cultivates the earth and subdues it.

 

그러나 제사장으로서의 아담의 역할에 관련되어있는 수직적인 면도 있습니다.

But there is also a vertical dimension that pertains to Adam’s role as a priest.

 

그는 자신의 문화적 수고의 결실들을 취하여서 이를 하나님께 드리거나 봉헌하여야만 했습니다.

He is to take of the fruits of his cultural labors and offer them or consecrate them to God.

 

클라인은 이러한 두 가지 면을 “예식”과 “문화”의 의미로 수용합니다.

These two dimensions Kline covers under the terms “cult” and “culture.”

 

클라인이 의미하는 종교적 의식으로서의 “예식”은 짐 존스나 여호와의 증인들과 같은 종교적 의식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By “cult,” Kline doesn’t mean religious cults like the Jim Jones cult or the Jehovah’s Witnesses.

 

여기서의 “예식”은 바로 특별히 거룩한 장소나 성전에서 하나님께 헌물을 드리는 제사장 직에 초점을 맞춘 “예배”를 의미합니다,를 말합

By “cult,” he just means “worship”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riestly work of offering tribute to God in a special holy place or temple.

클라인에게, 예식과 문화라는 이 두 가지 면들은 타락 전의 상태에서 구별되는 것이었으며, 이들은 최소한 타락 이전에는 신정의 원칙에 의하여 통합된 것이었습니다.

For Kline, these two aspects—cult and culture—are distinguishable in the pre-Fall situation, yet they are integrated by the theocratic principle, at least before the Fall.

 

신정 원칙은 문화가 예식에 종속된다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theocratic principle means that culture is subordinated to cult.

 

클라인은, 이렇게 예식과 문화 사이를 구분하는 것은 타락 이후에 거룩과 일반 사이를 구분하는 공식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Kline argues that this distinction between cult and culture lays the formal groundwork for the post-Fall distinction between the holy and the common.

 

그러나 타락 후의 상황에서는, 문화가 더 이상 예식에 종속되지는 않습니다.

However, in the post-Fall situation, culture is no longer subordinated to cult.

 

우리는 이것을 뒷부분에서 다룰 것입니다.

We’ll get to that later.

 

지금은 일단 타락 이전의 상태에 대하여 계속 살펴보고자합니다.

For now, let’s continue looking at the pre-Fall situation.

타락 이전의 문화명령은 역사 가운데 시행되어왔습니다.

The pre-Fall cultural mandate set in motion a history.

 

물론 이러한 역사는, 아담이 언약적 대표로서 행위언약을 어기고서 그와 이브가 동산으로부터 쫒겨나면서, 타락으로 인하여 짧막하게 끝이났습니다.

Of course, that history was cut short by the Fall, when Adam as the federal head broke the covenant of works and he and Eve were expelled from the garden.

 

성경은 만약에 아담이 죄를 짓지 않고 자신에게 주어진 검증을 통과하였다면 무슨 일이 일어났을 것인지에 대하여는 우리에게 명확하게 말해주지는 않습니다.

The Bible doesn’t explicitly tell us what would have happened if Adam had not sinned and had passed his probation.

 

그러나 충분한 성경의 증거들이, 문화명령의 역사가 어떠했으리라는 것을 우리가 추측 할 수 있도록 허락해주고 있습니다.

But we do have enough biblical evidence allowing us to infer what the history of the cultural mandate would have been.

 

클라인은 이것이 극치 이전의 단계와 극치의 단계의 두 단계로 펼쳐졌으리라고 생각합니다.

Kline thinks it would have unfolded in two stages: a pre-consummation stage and a consummation stage.

 

극치 이전의 단계는 아담과 그의 자손이 아직 영광의 몸을 가지지 못한 중간의 단계입니다.

The pre-consummation stage is an intermediate stage when Adam and his progeny do not yet have glorified bodies.

 

극치의 단계는 육체와 참으로 모든 피조물의 영화로 특징 지워집니다.

The consummation stage is marked by the glorification of the body, indeed, of all creation.

극치 이전의 단계는 창세기 2장15절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시고”로부터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The pre-consummation phase can be inferred from Genesis 2:15, “The LORD God took the man and put him in the garden of Eden to work it and keep it.”

 

이것이 암시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아담으로하여금 동산을 우주적 도시로 발전시키는 것을 원하셨다는 것입니다.

The implication is that God wanted Adam to develop the garden into a universal city.

클라인을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람이 문화관리직을 완수하는 것은 사람이 에덴에서 지배적인 관리자로서의 기능을 하는데서 시작이 되는 것이다.

Kline put it this way: “Fulfillment of man’s cultural stewardship would thus begin with man functioning as princely gardener in Eden.

 

그러나 왕국을 위임관리하는 목표는 최소한의 지엽적인 삶을 유지하는 체계가 아니라 최대한의 지구적 지배력을 갖는 것이다.

But the goal of his kingdom commission was not some minimal, local life support system. It was rather maximal, global mastery.

 

문화명령은 인간의 두뇌와 근력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도전함으로서 처음의 낙원인 처소를 우주적인 도시로 발전되도록 세상을 가치있게 만드는 것이다”(하나님 나라의 서막, 이하KP로 표기 70).

The cultural mandate put all the capacity of human brain and brawn to work in a challenging and rewarding world to develop the original paradise home into a universal city” (KP 70).

아담과 그의 자손은 클라인이 “메가폴리스”라고 부르는 것을 건설하였을 것입니다.

Adam and his progeny would be building what Kline calls “Megapolis.”

 

이는 두 가지 헬라어로 구성되었는데, 메가는 커다란 혹은 거대한을 의미하며, 폴리스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It is based on two Greek words, mega, which means big or great, and polis, which means city.

 

그러므로 메가폴리스는 “거대한 도시”입니다.

So Megapolis is “the Great City.”

 

두 번째 단계는 종말론적 극치의 단계입니다.

The second phase is the eschatological consummation phase.

 

이 단계에 대한 클라인의 용어는 “메타폴리스”입니다.

Kline’s term for this phase was “Metapolis.”

 

메타라는 단어는 저편에 혹은 이후에를 의미하는 헬라어 전치사입니다.

The word meta is a Greek preposition meaning beyond or after.

 

클라인은 극치 이후의 문화를 “메타컬처”라고 말하며, 이 후자의 단어에서 “영화롭게 된 인류의 신성한 문화로서 인간의 문화를 넘어서는 메타컬처" 즉 “메타폴리스”라는 용어를 추론합니다(KP 99).

Kline speaks of post-consummation culture as “metaculture,” and from that latter word he extrapolates the term “Metapolis.” “Glorified mankind is the divine culture, the metaculture beyond human culture” (KP 99).

 

달리 말하면, 이는 하나님의 영광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종말론적 도시에 해당되는, 하나님의 종말론적 우주적 성전으로 성질이 변하거나 변형후의 메가폴리스라는 것입니다.

In other words, it’s Megapolis after it has been metamorphosed or transformed by the glory of God into the eschatological cosmic temple of God, which is also the eschatological City of God.

 

이는 요한계시록 21장에서 분명히 하는 바와 같이, 성전이면서 또한 도시입니다.

It is both a temple and a city—as Revelation 21 makes clear.

그러나 우리는 메타폴리스를 메가폴리스의 자연스러운 발전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However, we should not think of Metapolis as the natural development of Megapolis.

 

“하늘은 인간의 성취물이 아니며, 인간 문화의 결과물도 아니다"(KP 98)라고 클라인은 말합니다.

As Kline said, “Heaven is not a human achievement; it is not the end-product of human culture” (KP 98).

 

달리 말하지면, 메타폴리스는 단순히 완성된 상태로서의 메가폴리스라고 생각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In other words, Metapolis shouldn’t be thought of as if it were simply Megapolis in its completed state.

 

메가폴리스는 현재적일 수 있지만 메타폴리스는 아직 도달 되지 않았습니다.

Megapolis may be in place, but Metapolis has not yet arrived.

메타폴리스가 시작되기 위해서 아직 무엇이 필요하겠습니까?

What would still need to happen to usher in Metapolis?

 

종말론적인 개입하심이라는 특별한 초자연적인 신적 행하심으로서, 다음의 3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야 할 것입니다.

A special supernatural divine act of eschatological intervention, in which three things would occur simultaneously:

 

(1) 인간의 외적인 문화, 즉 건축물, 의상, 예술, 기술 기타 등등의 인간이 만든 문화적 인공물들이 건물의 비계와 같이 사라질 것입니다(KP 99);

(1) mankind’s external culture—man-made cultural artifacts such as buildings, clothing, art, technology and so on—would drop away like scaffolding (KP 99);

 

 

 

(2) 하늘과 땅을 가르는 장막이 제껴짐으로서, 하나님과 그의 천사들이 거하는 하늘이 눈에 보이게끔 땅으로 침투될 것이며, 그리고

(2) the veil that separates heaven and earth would be lifted so that heaven, the dwelling of God and his angels, would visibly permeate earth; and

 

(3) 문화명령의 중심 산물인 인류 자체는 거룩해진 몸으로 거룩해진 피조물을 즐기도록 변형될 것입니다.

(3) mankind itself, the central product of the cultural mandate, would be transformed to enjoy the glorified creation in glorified bodies.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용어를 빌리자면, 아담의 가족이 하나님의 우주적 도시로서의 성전 안으로 함께 형성되어가는 “산돌들"이 될 것입니다.

To borrow the language from the fulfillment in Christ, the family of Adam would be “living stones” formed together into God’s cosmic city-temple.

메가폴리스는, 점진적 발전이 아니라 영화라는 초자연적 행동에 의해서 메타폴리스로 변형될 것입니다.

Megapolis must be transformed into Metapolis, not by a gradual evolution but by a supernatural act of glorification.

 

연속성은 하나님께서 신적인 능력과 영광으로 개입하셔서 단절될 것입니다.

The continuity is broken as God intervenes in divine power and glory.

 

현재의 피조물이 무로부터 존재하게 되었듯이 마찬가지로 새로운 창조도 “현현의 섬광”으로부터 나타날 것입니다.(KP 101).

Just as the present creation came into existence out of nothing, so the new creation will emerge from an “epiphanic flash” (KP 101).

 

이는 계시적인 사건입니다.

It is an apocalyptic event.

 

클라인은 이를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메타폴리스는 단순히 확대된 메가폴리스가 아니라 마지막되신 성령의 손에 종말론적으로 본질의 변화를 거친 메가폴리스다”(KP 100).

Kline puts it this way:
“Metapolis is not just an enlarged Megapolis, but a Megapolis that has undergone eschatological metamorphosis at the hands of the Omega-Spirit” (KP 100).

아마 성경적인 비유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Perhaps a biblical analogy would help.

 

솔로몬의 성전을 봅시다.

Consider Solomon’s temple.

 

성전 자체의 건설은 메가폴리스와 같습니다.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itself is like Megapolis.

 

그러나 이 시점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모든 것은 물리적 구조물입니다.

But at this point all you have is the physical structure.

 

이는 아직 극치의 상태가 아닙니다.

It is not yet consummated.

 

영광의 구름이 덮여서 성전 안에 머물러야만 합니다.

The Glory-Cloud must come and take up residence in the temple.

 

이러한 일이 일어날 때 성전은 하나님의 거처로 변형됩니다.

When that happens, the temple is transformed into the dwelling of God.

 

이것이 하나님께서 메가폴리스를 메타폴리스로 변형시켰을 때의 모습입니다.

That’s a picture of when God transforms Megapolis into Metapolis.

 

이는 “종말론적인 변형"이 될 것입니다.

It will be an “eschatological metamorphosis.”

 

솔로몬의 성전은 유비 이상의 것입니다.

Solomon’s temple is more than an analogy.

 

이는 실질적 유형입니다.

It is actually a type.

 

메타폴리스는 하나님의 도성일 뿐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이 가득하게 비추어진 우주로서의, 하나님의 우주적 성전입니다.

For Metapolis is not only the City of God but the cosmic Temple of God, the cosmos irradiated by and filled with the glory of God.

솔로몬의 성전은, 본래 아담에게 주어졌던 문화명령의 최종적 산물로서 상상되어진, 최종적 성전의 유형과 그림자에 불과할  뿐입니다.

Solomon’s temple was merely the type and shadow of the final temple envisioned from the beginning as the end-product of the cultural mandate as originally given to Adam.

할 수있는 말이 많이 있겠지만, 아담이 범죄하지 않았다면 이것이 문화명령의 역사에 대한 근본적 윤곽입니다.

There is much more that could be said, but that’s a basic outline of the history of the cultural mandate if Adam had not sinned.

이제 문화명령의 두 번째 단계로 가봅시다.

Now we come to the second mode of the cultural mandate.

2. 타락 후의 변형된 문화명령

2. The Cultural Mandate as Modified After the Fall

 

사람은 죄악으로 떨어졌으며 행위언약은 깨어졌습니다.
Man fell into sin and the covenant of works was broken.

 

클라인에 의하면  타락이 문화명령을 심각하게 변화시켰습니다.

For Kline the Fall changes the cultural mandate significantly.

 

여기서 클라인은 타락 후에 문화명령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보기 위해 창세기 3장 16-19절을 살펴보았습니다.

Here Kline turns to Genesis 3:16–19 to see what happened to the cultural mandate after the Fall.

 

그가 보았던 주된 것은, 인간의 죄악으로의 타락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심판과 죽음이라는 죄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살아서 어떤 문화 활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보존하셨다는 것입니다.

The main thing he sees is that in spite of man’s fall into sin and in spite of the consequences of sin—judgment and death—God preserves man alive to continue certain cultural activities.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정의에 의해서 즉각적으로 모든 것을 끝내실 수도 있으셨습니다.

God, in his justice, could have ended everything right there.

 

아담과 이브는 심판으로 파멸되었을 수도 있었으며, 그렇다면 이것이 인류와 역사의 끝이 되었을 것입니다.

Adam and Eve could have been destroyed in judgment, and that would have been the end of the human race and the end of history.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은혜스럽게도, 여자의 후손으로 오시는 중재자를 통한 놀라운 구원의 계획을 세우셨으며, 그럼으로서 그는 즉각적으로 죽음의 저주스러운 처벌을 실행하시지 않으셨고, 대신에 일반은총의 질서를 세우셨습니다.

But in his grace, God had in view the wonderful plan of salvation through the coming Mediator, the Seed of the woman, and therefore, he did not execute the curse sanction of death immediately, but instead set up the order of common grace.

클라인은 창세기 3장에서 일반은총과 일반저주 모두를 보았습니다.

Kline sees both common grace and common curse in Genesis 3.

 

일반은총이 명백한 것은 하나님께서 구원과 관계없는 은혜로 인류로 하여금, 하나님을 따르는 이들과 사단의 자손 모두에게,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일을 계속하도록 허락을 하셨기 때문입니다.

Common grace is evident, since God in his non-saving grace allows the human race, both the godly line and the seed of the serpent, to continue to marry, procreate, and labor.

 

하나님께서는 의로운 이들과 불의한 이들 동일하게 비와 햇볕을 지속적으로 보내실 것입니다.

God will continue to send his rain and sunshine upon the just and the unjust alike.

그러나 일반저주도 분명한 것은 저주가 의로운자들과 불의한 자들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But common curse is also evident, since the curse affects both the just and unjust.

 

아이를 낳을 때 고통을 느끼거나 땅이 가시와 엉겅퀴를 내는 저주는 불신자들 뿐만이 아니라 신자들에게도 동일합니다.

It is not only the ungodly line but also the godly line who will have pain in childbirth and a curse upon the ground that yields thorns and thistles.

 

이것은 창세기 5장에서 하나님의 사람의 계보가 “그리고 죽었더라”라는 반복구로 구두점을 찍는 것으로 볼 때 가장 명백히 나타납니다.

This is most evident in Genesis 5 when the genealogy of the godly line is punctuated with the refrain, “and he died.”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선택받은 자들과 선택받지 못한 자들 모두에게서 경험되어지기에 클라인은 이를 “일반은총와 일반저주”라고 부릅니다.

So Kline calls this, “common grace and common curse,” since both the good and the bad are experienced by both the elect and the non-elect.

클라인은 타락 전과 타락 후의 문화명령 사이에 연속성과 불연속성 모두를 보았습니다.

Kline sees bot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pre-Fall and the post-Fall cultural mandate.

 

타락 후에도 문화명령이 다시 나타나는 것 때문에 연속성이 있습니다.

There is continuity, because the cultural mandate is reissued after the Fall.

 

사람은 아직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땅을 채웁니다.

Man is still to marry and procreate and fill the earth.

 

그러나 문화명령은 클라인이 말하는 “굴절”을 겪게됩니다(KP 157).

But the cultural mandate undergoes what Kline calls “refraction” (KP 157).

 

주된 문화 과업과 기능들은 남아있지만, 명령 자체는 굴절되었거나 변형되었습니다.

The main cultural tasks and functions remain, but the mandate itself
is refracted or modified.

 

우리는 사람이 이제 자신의 문화적 노력들에 대하여 좌절하는 것을 볼 때 이러한 굴절이나 수정을 보게됩니다.

We see this refraction or modification when we observe that man is now frustrated in his cultural efforts.

 

이러한 좌절의 주제는 본문에서 매우 두드러집니다.

This theme of frustration is quite prominent in the text.

 

이는 창세기 3장 16절에서 하나님께서 이브에게 말씀하신 것입니다.

This is what God says to Eve in Genesis 3:16: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네가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 것이며 너는 남편을 원하고 남편은 너를 다스릴 것이니라”

“I will surely multiply your pain in childbearing; in pain you shall bring forth children. Your desire shall be for your husband, and he shall rule over you.”

 

여자는 문화명령의 일부로서 아이들을 낳을 것이지만 커다란 고통 가운데 그러할 것입니다.
The woman will still bear children as part of the cultural mandate, but she will do so with great pain.

 

결혼 관계도 역시 무질서하게 될 것입니다.

The marital relationship will also become disordered.

 

여자의 욕망은 남편의 권위를 빼앗을 것이며, 남자는 강압적인 방법으로 여자를 다스릴 것입니다.

Her desire will be to usurp her husband’s authority, and he will rule over her in an oppressive manner.

 

당연히 기쁨이 되었어야 할 결혼과 출산은 고통과 죄의 왜곡된 영향들로 인하여 손상이 될 것입니다.

Marriage and childbearing, which ought to have been a delight, will be marred by pain and the distorting effects of sin.

창세기 3장 17-19절에서 하나님께서는 아담에게 말씀하십니다.

Here is what God says to Adam in Genesis 3:17–19: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 너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18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네가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
19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 네가 그것에서 취함을 입었음이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

“Cursed is the ground because of you; in pain you shall eat of it all the days of your life;
18 thorns and thistles it shall bring forth for you; and you shall eat the plants of the field.
19By the sweat of your face you shall eat bread, till you return to the ground,
for out of it you were taken; for you are dust, and to dust you shall return.”

아담이 타락 전에 명령을 받은 것과 같이 사람은 계속적으로 노동을 할 것이며, 땅을 개간함으로서 경작을 통하여 농작물이 생산되도록 할 것입니다.

The man will continue to labor and work the ground in order to cultivate it and produce crops, just as Adam was commanded before the Fall.

 

그러나 이제 사람의 수고는 심한 노역이 될 것이며, 땅은 열매를 맺을 것이지만 같은 정도는 아니며, 열매와 함께 가시와 엉겅퀴도 낼 것입니다.

But now his labor will be a hard toil and the earth will produce fruit, but not to the same degree, and with the fruit it will also produce thorns and thistles.

 

그리고 이 모든 것의 끝으로 사람은 자신이 왔던 땅의 먼지로 돌아갈 것입니다.

And at the end of it all, he will return to the dust of the ground from which he
came.

 

죽음은 인간 문화의 궁극적인 훼방과 절망입니다.

Death is the ultimate disruptor and frustrator of human culture.

그러므로 우리는 타락 전 문화명령과의 불연속성의 핵심을 “절망”이라는 의미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So we can summarize the main point of discontinuity with the pre-Fall cultural mandate under the term “frustration.”

 

타락 전에는, 사람이 자신의 문화적 수고들이 좋은 열매를 맺으리라는 종말론적 확신 가운데 일을 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사람은 모든 피조물을 성공적으로 지배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Before the Fall, man could labor in the eschatological confidence that his cultural labors would yield good fruit, that he would succeed in bringing all creation under subjection.

 

사람은 영화롭게될 가치가 있고 종말론적 극치로 인도하는 도시인 메가폴리스를 건설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He would be able to build Megapolis, a city worthy of being glorified and ushered into the eschatological consummation.

 

그러나 타락 후에는 사람의 수고가 허망하게 되었습니다.

But after the Fall, man labors in vain.

 

사람은 죽음의 그림자 밑에서 일을 합니다.

He labors under the shadow of death.

 

사람은 과도하게 수고를 하지만 그의 수고는 오직 가시와 엉겅퀴를 낼 뿐이며, 그 후에는 바로 죽게됩니다.

He toils excessively, but his toil only produces thorns and thistles, and he himself dies soon thereafter.

 

약속된 종말론적 극치는 없습니다.

There is no promise of eschatological consummation.

실제로 타락 후에는 사람의 문화적 수고가 천상의 도시인 메타폴리스에 들어가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들어갈 수도 없습니다.

Indeed, after the Fall, man’s cultural labors will not and cannot enter the heavenly city or Metapolis.

절망스러운 이야기에 더하여서, 클라인은 타락 후의 형태로서의 문화명령에서 종말론적 희망이 사라져버렸다는 것를 말해주는 한가지 증거를 제시합니다.

In addition to the frustration motif, Kline points to a telling piece of evidence that the cultural mandate in its post-Fall form has been stripped of eschatological hope.

 

클라인은 매주의 안식일 휴식 명령이 타락 이후에는 아담에게 새롭게 제시되지 않고있다는 것을 지적합니다.

Kline points out that the ordinance of the weekly Sabbath rest is not renewed with Adam after the Fall.

 

안식일이 새롭게 제시되지 않았다는 표시는 사람의 문화활동이 더 이상 종말론적 안식일의 약속을 각인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The non-renewal of the Sabbath sign shows that man’s cultural activity is no longer stamped with the eschatological Sabbath promise.

 

사람은 일을 하여야 하지만 손으로 한 수고가 지속적이거나 영구적 중요성을 가지리라는 확신이 없이 일을 하여야만 합니다,

Man must work, but he must work without the confidence that the works of his hands will have lasting, eternal significance.

일반은총의 문화는 어디에도 향하여있지 않습니다.

Common grace culture is not headed anywhere.

 

사실 이는 종료될 것입니다.

It is headed, in fact, for termination.

 

성경은 “이 세상의 외형은 지나감이니라”(고전 7:31), 그리고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이 왔으니”(베전 4:7), 그리고 “세상은 욕망을 쫓아 사라짐이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The Scriptures teach that “The present form of this world is passing away” (1 Cor 7:31), that “The end of all things is at hand” (1 Pet 4:7), and that, “The world is passing away along with its desires” (1 John 2:7).

 

그리고 요한계시록에서 하나님께서는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계 21:5)고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And in the book of Revelation, God says, “Behold, I am making all things
new” (Rev 21:5).

 

이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일반은총의 문화는 메가폴리스를 건설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Another way of putting it is this: common grace culture is not building Megapolis.

 

사람의 도시는 아무리 최선을 다한다고 할지라도 하나님의 도시도 아니고 절대로 그렇게 될 수가 없습니다.

The City of Man, even at its best, is not and never can become the City of God.

확신하건데, 사람의 도시는 합법적이지만 신성하지는 않습니다.

To be sure, the City of Man has legitimacy, but it does not have sanctity.

 

이는 거룩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것입니다.

It is not holy but common.

 

이는 개량되더라도 구속적인 기능을 하지는 않습니다.

It has an ameliorative but not a redemptive function.

 

일반은총은 죄를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Common grace functions as a restraint upon sin.

 

이는 타락한 사회가 하나님의 제어활동으로부터 분리될 만큼이나 사악하게 되지 않도록 지켜줍니다.

It keeps fallen society from becoming as wicked as it would be apart from God’s restraining activity.

클라인에게 또 다른 핵심점은 그가 문화명령의 일반은총 형태를 언약적 의미에서 보고있다는 것입니다.

Another key point for Kline is that he sees the common grace mode of the cultural mandate in covenantal terms.

 

그는 창세기 9장의 홍수 후의 노아언약을 타락 후에 즉시 이루어진 일반은총 상태의 언약적 형태가 재연된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He views the post-flood Noahic Covenant in Genesis 9 as the reiteration in covenantal form of the common grace order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Fall.

이는 제가 이전에 말하였던 점을 계속하는 것입니다.

This picks up the point I made earlier.

 

문화명령은 언약적입니다.

The cultural mandate is covenantal.

 

이는 언약의 일부입니다.

It is part of a covenant.

 

이는 행위 언약의 일부였던 타락 전의 상태에서는 사실이었습니다.

That was true in the pre-Fall context, when it was part of the covenant of works.

 

이는 문화명령이 창세기 9장에서의 일반은총의 언약의 일부로서 , 타락 후의 상태에서 다시 변형되고 굴절된 형태에서도  주제로 거론되고 있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It is just as true in the post-Fall context, when the cultural mandate is re-issued in modified, refracted form as part of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in Genesis 9.

 

우리는 특별히 이것이 언약임을 들었습니다:”내가 내 언약을 너희와 너희 후손과 너희와 함께 한 모든 생물에게 세우리니”(창 9:9)

We’re specifically told it is a covenant: “Behold, I establish my covenant with you and your offspring after you, and with every living creature that is with you” (Gen 9:9).

 

이는 약속된 끝날까지 오랜 세대를 거쳐 지속되는 언약을 의미하는 “영속된 언약”으로 불리웁니다.

It is called an “everlasting covenant” (v 16), meaning a covenant that is perpetual for long ages until the appointed end.

 

그리고 하나님의 언약적 약속은 언약의 표시로 더욱 강화됩니다: “내가 내 무지개를 구름 속에 두었나니 이것이 나와 세상 사이의 언약의 증거니라”(창9:13)

And God’s covenantal commitment is further reinforced with a covenant sign: “I have set my bow in the cloud, and it shall be a sign of the covenant between me and the earth” (Gen 9:13).

 

클라인은 이 언약을 “일반은총의 언약”이라고 부릅니다.

Kline calls this covenant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중요한 것은 일반은총의 언약이 문화명령을 새롭게 한다는 것입니다.
Importantly,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renews the cultural mandate.

 

창세기 9장 1절:

“하나님이 노아와 그 아들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Genesis 9:1:
“And God blessed Noah and his sons and said to them,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fill the earth’.”

 

여기서는 타락 이전의 명령의 언어를 거의 그대로 반복하고있지만 한가지 중요한 차이는 “정복하라”는 단어가 반복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This repeats almost verbatim the language of the pre-Fall mandate but with one important difference—the word “subdue” is not repeated.

 

이는 땅을 정복하는 것이 타락한 사람에게는 더 이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This is because subduing the earth is no longer possible for fallen man.

 

이러한 과업은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에게 옮겨졌습니다.

That task has been transferred to Christ as the second Adam.

 

그는 자신의 죽음과 부활로 원칙적으로 이 땅을 정복하였습니다.

He has in principle subdued the earth by his death and resurrection.

 

이것은 이미 일어난 일입니다.

That’s the already.

 

그리고 그는 모든 것을 자신의 발 아래에 복종시키시고서 새 창조로 인도하는 역사의 마지막에 이것을 최종적으로 정복할 것입니다.

And he will finally subdue it at the end of history when he brings all things into subjection under his feet and ushers in the new creation.

 

이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That’s the not-yet.

창세기 9장 1절에서 “정복”이 반복되지 않는 것은, 일반은총의 언약이 창조 질서의 단순한 재도입이 아니라  일반은총의 형태로의 수정이라는 클라인의 논지를 뒷받침 해주고있습니다(KP 251).

The non-repetition of the word “subdue” in Genesis 9:1 supports Kline’s thesis that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is “not a simple reinstituting of the creation ordinances, but a revision of them in the common grace mode” (KP 251).

일반은총 언약의 또 다른 핵심적 특징은 이것이 우주적이라는 것입니다.

Another key characteristic of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is that it is universal.

 

이는 특별은총 언약이 했던 것과 같이 신자와 불신자, 내부자와 외부자 간의 구분을 하지는 않습니다.

It makes no distinction believers and unbelievers, between insiders and outsiders, as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does.

 

특별은총의 언약은 신자들과 그들의 자녀들과 맺어진 것입니다,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is made with believers and their children.

여기에는 거룩하고 구속적인 은혜 언약에 속한 이들을 표시하는 할례와 세례와 같은 특별한 징표들이 있습니다.

There are special tokens, such as circumcision or baptism, to mark out those who belong to the holy, redemptive covenant of grace.

물론 일반은총의 언약에도 무지개와 같은 표시가 있습니다.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has a sign as well—the rainbow.

 

그러나 이러한 표시는 모두에게 무차별적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But this sign is given to all indiscriminately.

 

이는 다시는 땅을 홍수로 멸하지 않으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의 표시입니다.

It is a sign of God’s promise to never again destroy the earth by a flood.

더 나아가 창세기 9장의 본문은 이 언약이 특별은총의 언약과는 다르게 모든 인류와 맺어졌음을 분명히 밝히고있습니다.

Further, the text of Genesis 9 makes clear that this covenant, unlike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is made with all mankind.

 

본문의 반복된 강조를 들어봅시다.

Listen to the repeated emphasis of the text.

 

언약은

“모든 육체와”(11, 15절)

“땅에 있는 모든 육체와”(17절)

“모든 살아있는 생물과”(10, 12절)

“모든 육체를 가진 모든 생물과”(15절)

“땅에 있는 모든 육체를 가진 모든 생물들과”(16절)

맺어졌습니다,

This covenant is made …
with “all flesh” (vv 11, 15)
with “all flesh that is on the earth” (v 17)
with “every living creature” (vv 10, 12)
with “every living creature of all flesh” (v 15)
with “every living creature of all flesh that is on the earth” (v 16)

 

일반은총의 언약은 약속된 시간까지 심판을 보류하고자하는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is God’s promise to keep judgment in abeyance until the appointed time.

 

하나님께서는 다시는 홍수에서와 같이 땅을 저주하시거나 모든 살아있는 생물들을 멸하시지는 않으실 것입니다(창 8:21)

Never again will God curse the ground or destroy all living creatures as he did in the flood (Gen 8:21).

 

그는 일반은총으로 인하여 땅이 있을 동안 자연의 질서를 보존하실 것입니다.

In his common grace, he will preserve the order of nature, “while the earth remains” (Gen 8:22).

그리고 이 약속은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과 뱀의 자손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입니다.

And this promise applies to all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God’s holy people and the seed of the serpent.

 

이것을 분명히 일반은총의 언약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선택받은 자와 선택받지 못한 자에게 보편적이기 때문입니다,

This is precisely what makes it a covenant of common grace, because it is common to the elect and the non-elect.

 

이는 특별한 구원의 은혜의 언약에 대한 경륜이 아닙니다.

It’s not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special saving grace.

 

3.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된 문화명령

3. The Cultural Mandate as Fulfilled by Christ

 

이와같이 우리는 타락 이전의 본래의 형태로서의 문화명령과 타락 이후에 일반은총 형태로 변형된 문화명령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을 살펴보았습니다.
So we’ve seen Kline’s view of the cultural mandate in its original pre-Fall form and in its modified common grace form after the Fall.

 

이제 우리는 문화명령이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되었다는 것에 대한 클라인의 이해를 다루고자합니다.

Now we come to Kline’s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mandate as fulfilled by Christ.

 

우리는 이를 간단하게 다룰 수도 있습니다.

We can only touch on this briefly.

 

처음 것과 성취된 문화명령 모두의 중요한 점은 이것들의 핵심이 종말론적, 즉 최종적 극치의 하나님 나라와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The key point is that both the original and the fulfilled cultural mandate are eschatological to their core, that is, they have to do with the final consummation of the kingdom of God.

 

본래의 문화명령의 종말론적인 목표는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표면적으로는 달성되지 못하고 연기된 상태로 남아있었습니다.

The eschatological goal of the original cultural mandate was left seemingly unachieved, suspended due to Adam’s sin.

 

그러나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가 이를 달성하였습니다.

But Christ as the second Adam achieves it.

 

그는 깨어진 행위언약의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일을 담당하셨습니다.

He undertakes to fulfill the terms of the broken covenant of works.

 

그러므로 문화명령의 일반은총 형태는 분명하게 이러한 점, 즉 종말론이라는 점에서는 처음과 성취된 형태와는 다른 것입니다.

The common grace form of the cultural mandate therefore differs from both the original and the fulfilled form precisely at this point, the point of eschatology.

 

일반은총의 문화에서 종말론적 극치는 없습니다.

There is no eschatological consummation for common grace culture.

 

이는 심판의 날에 끝나도록 운명지어졌습니다,

It is destined to be terminated at the day of judgment.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창조물을 마지막 지점, 즉 메타폴리스까지 가져가려는 자신의 처음의 종말론적인 목표를 포기하지 않으셨습니다
But God has not given up on his original eschatological goal of bringing creation to the omega point, Metapolis.

 

비록 본래의 문화명령의 종말론적인 목표가 타락한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서는 성취되어질 수 없었지만, 두 번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되었습니다(KP 156–57).

Although that original eschatological goal of the cultural mandate cannot be attained by the efforts of fallen man, it is attained by Christ as the second Adam (KP 156–57).

 

목표가 바뀐 것이 아니라 성취되는 수단만 바뀌었을 뿐입니다.

The goal has not changed, but the means of attaining has.

 

아담이 실패하였기에, 이는 사람의 문화적 수고로 성취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Because of Adam’s failure, it is not attainable by man’s cultural labors.

 

이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인 순종과, 이에 따른 모든 피조물의 주로서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그의 구속을 통하여서 얻어질 수 있습니다.

It is attained only through the redemption that is in Christ Jesus, by his active and passive obedience, and his consequent exaltation as Lord of all creation.

 

원래의 종말론적 목표가 구속의 계획에 의하여 성취되리라는 것을 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궁극적 목표가 처음부터 계획되었던 “거룩한 하나님 나라-성전”의 창조라는 것입니다.

One way we can see that the original eschatological goal is attained through the plan of redemption is that the ultimate goal of Christ’s redeeming work is the creation of “the holy kingdom-temple” (KP 156) that was envisioned from the beginning.

 

타락 이전의 행위언약 아래서 본래 사람의 번영과 희망이었던 종말론적 목표가 하늘에서 찬양 받으실 위치에 계신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된 것입니다.

That eschatological goal, originally man’s prospect and hope under the pre-Fall covenant of works, is being achieved by Christ from his exalted position in heaven.

 

이제 그는 복음의 선포를 통한 성령 사역에 의해서 하늘로부터 선택한 자를 효과적으로 부르십니다.

From heaven, he now effectually calls the elect, by his Spirit working through the preaching of the gospel.

 

그는 이들을 부르실 뿐만이 아니라 이들을 교회로 이끌어서 이들을 거룩한 성전으로 탈바꿈 시킵니다.

He not only calls them but he brings them into the church and fashions them into a holy temple.

 

교회 세대에서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성령을 통한 사역의 계획은 성전을 세우려는 것입니다.

The ministry of the risen Christ through the Spirit in the church age is a temple-building project.

 

성전은 성장하면서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에서 최종적으로  충만함이 극치에 이를 것입니다.

The temple is growing and will be finally consummated in its fullness in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God.

 

여기서 그리스도께서 손으로 짖지 않으시고 자신의 몸인 교회로서의 성전을 지으시겠다고 말씀하시는 신약성경의 모든 문구를 생각해보기로 합시다.

Just think here of all the New Testament passages where we are told that Christ is building a temple made without hands, the temple which is his own body, the church.

대제사장 앞에서의 그의 공판에서 증인들에 따르면, 예수는 “손으로 지은 이 성전을 내가 헐고 손으로 짓지 아니한 다른 성전을 사흘 동안에 지으리라 하더라”(막 14:58)고 말씀하셨습니다.

According to the witnesses at his trial before the high priest, Jesus said, “I will destroy this temple that is made with hands, and in three days I will build another, not made with hands” (Mark 14:58).

물론 우리는 요한복음으로부터, 우리가 그의 몸으로서의 성전에 관하여 말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Of course, we know from the Gospel of John, that we was speaking about the temple of his body (John 2:21).

그러나 이것은 그 자신의 육체로서의 몸 뿐만이 아니라 그와 연합된 전체 교회를 말하는 것입니다.

But it is not only his own physical body, but the entire church as united to him.

 

그리스도의 교회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워짐을 입었고

예수 그리스도 자신은 모퉁잇돌이 되셨으며, 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 가고 너희도 성령 안에서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가 되기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지어져”(엡 2:20-22; 비교, 고전 3:16; 베전 2:5)가고 있습니다.

We, as the church of Christ, are “built on the foundation of the apostles and prophets, Christ Jesus himself being the cornerstone,

21 in whom the whole structure, being joined together, grows into a holy temple in the Lord. 22 In him you also are being built together into a dwelling place for God by the Spirit” (Eph 2:20–22; cp. 1 Cor 3:16; 1 Pet 2:5).

찬양받으실 그리스도께서 현재 세워가시는 영적인 성전은, 부분적으로는 이 땅에서 부분적으로는 가시적인 교회의 형태로  땅에서 볼 수 있겠겠지만, 보이는 교회는 완전하지도 않고 참된 신자가 아닌 이들도 많이 포함하고있다는 사실로 볼 때 모호하다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The spiritual temple that the exalted Christ is currently building is partially visible on earth in the form of the visible church, but it is obscured by the fact that the visible church is not perfect and contains many who are not true members.

 

역시 거룩한 도시인 최종적 성전은 마지막 날에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니 그 준비한 것이 신부가 남편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더라”(계 21:2; 비교,엡 5:27)

The final temple, which is also the holy city, will be unveiled at the last day:
“And I saw the holy city, new Jerusalem, coming down out of heaven from
God, prepared as a bride adorned for her husband” (Rev 21:2; cp. Eph 5:27).

예식의 범위

The Cultic Boundary


이 거룩한 성전-도시는 그리스도가 취하여 취하여충족시키신 문화명령의 종말론적인 최종적 산물입니다.

This holy temple-city is the eschatological end-product of the cultural mandate as taken up and fulfilled by Christ.

 

이는 “손으로 지어지지 않은” 성전-도시입니다.

It is a temple-city “made without hands.”

 

이는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옵니다.”

It “comes down out of heaven from God.”

 

이와같이, 이는 일반은총의 문화와는 완전히 구별됩니다.

As such, it is totally distinct from common grace culture.

 

하나는 거룩하고; 다른 하나는 일반적입니다.

The one is holy; the other is common.

 

하나는 종말론적이고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에 극치가 될 것이며; 다른 하나는 임시적이며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에 종결될 것입니다.

The one is eschatological and will be consummated when Christ returns; the other is temporary and will be terminated when Christ returns.

 

이것은 클라인의 생각 가운데 가장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에 관계하며, 이것은 그가 “예식적 범주”라고 부르는 것을 우리가 존중하여야한다고 강조하는 것입니다.(KP 179).

This leads to one of the primary practical implications of Kline’s thought, and that is his insistence that we must respect what he calls “the cultic boundary” (KP 179).

 

타락 이전에는 예식과 문화가 하나님의 지배적 주권 하에서 통합되었었습니다.

Before the Fall, cult and culture were integrated under the sovereign lordship of God.

 

문화는 성별되어 있었으며 예식의 일부와 마찬가지로 거룩하게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Culture was to be consecrated and set apart as holy as part of the cult.

아담은 왕이면서 제사장이었으며, 문화에 관련된 그의 왕으로서의 의무는 예식에 관련된 그의 제사장으로서의 의무에 종속되도록 움직여졌습니다.

Adam was both a king and a priest, and his kingly duties with regard to culture were to be conducted in subordination to his priestly duties with regard to the cult.

 

그는 문화를 거룩하게 만들었어야만 했으며, 자신이 문화적으로 수고한 모든 것을 성전으로 가지고 와서 하나님께 성별 되게 드려야만 했습니다.

He was to make culture holy, to bring all of his cultural labors into the temple and consecrate them to God.

 

그러나 타락 이후에는 예식과 문화가 하나님 자신에 의하여 분리되었습니다.
But after the Fall, cult and culture have been separated by God himself.

 

일반은총의 언약은 거룩하지 않은, 즉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서 종말론적인 극치에 묶여있지 않은 문화적 영역을 이루고 있습니다.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establishes a cultural realm that is not holy, that is, not bound for eschatological consummation in the eternal kingdom of God.

 

예식은 거룩한 상태로 남아있지만 문화는 현재 일반적입니다.

Cult remains holy, but culture is now common.

일반적이라는 말은 위험하다거나 혹은 본질적으로 죄악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거룩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Saying it is common does not mean it is unholy or inherently sinful, but it is non-holy.

 

이것이 의미하는 전부는 타락 후의 문화가 종말론적인 새 창조의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도록 운명되어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All that means is that post-Fall culture is not destined to enter into the eschatological new creation, the kingdom of God.

 

타락 후의 문화는 심판 날에 끝이 날 것입니다.

Post-Fall culture will end at the day of judgment.

 

이는 임시적이며 비종말론적입니다.

It is temporary and non-eschatological.

 

그러므로 극치 이전인 현재의 세대에서 우리는 거룩한 것과 일반적인 것 사이의 예식의 경계를 고려해야만 합니다.

Therefore, in this present age, prior to the consummation, we must respect the cultic boundary between the holy and the common.

 

이는 다음의 3가지를 의미합니다.

That means three things.

첫 번째로는, 특별은총 언약의 일원이면서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의 상속자들인 신자로서의 우리는 국가나 시민정부와 같은 일반은총의 영역이나 그 안의 어떠한 기관에게 참된 신앙을 고백하게하거나 이를 추진하려고해서는 안됩니다.

First, it means we as believers, who are members of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and heirs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should not try to get the common grace realm or any institution within it, such as the state or civil government, to confess or promote the true religion.

더군다나 우리는 교회의 문화활동이나 사람의 도시에서의 정치적 논쟁이 하나님의 거룩한 나라의 프로그램의 통합된 부분인 것과 같이 이러한 활동이나 논쟁에 교회를 끌여들여서는 안됩니다.

Nor should we drag the church into the cultural activities and political debates of the City of Man, as if these activities and debates were an integral part of God’s holy kingdom program.

 

우리는 교회의 영성을 예식 범주의 필연적 결과로 인정하여야만 합니다,

We must uphold the spirituality of the church as a corollary of the cultic boundary.

두 번째로,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우리 신자들은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의 일원으로서 일반은총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또한 그렇게 하여야만합니다, 그러나 그렇게 할 때에는 그것이 하나님께서 일반은총 언약의 부분으로 정하신 임시적이고 거룩하지 않은 기능이라는 것을 고려하여야합니다,

Second, it means we as believers, members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can and should be actively engaged in the common grace realm, but doing so in a way that respects its temporary, non-holy function ordained by God as part of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우리는 이세상에서 임시적이고 거룩하지 않으며 구속적이지 않은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불신자들과 실용적으로 협력할 수 있습니다.

We can engage in pragmatic cooperation with unbelievers for the purposes of achieving temporal, non-holy, non-redemptive ends in this world.

 

하나님께서 시민 정부와 같은 일반은총의 사회기관을 정하셨으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타락한 세상에 임하는 일반저주의 가장 극단적인 충격을 경감시키기는 것을 모색하기 위해서 비기독교인들과 함께 일해도됩니다.

Since God has ordained common grace social institutions such as civil government, we as Christians may work together with non-Christians in order to seek to alleviate the most extreme impacts of common curse in this fallen world.

일반저주와 타락의 영향들은 종말까지 전복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Common curse and the effects of the Fall will not be overturned until the eschaton.

 

그러나 현재 이 세대에서는 일반은총으로 이런 것들이 어느 정도는 개선되거나 상쇄될 수 있으며, 그리스도인인 우리는 이러한 한계와 거룩하지 않음과, 비종말론적인 목표들을 모색하기 위해서 불신자들과 협력할 수 있습니다.

But in this present age, by common grace, they can be ameliorated and off-set to some extent, and we as Christians can work together with unbelievers to seek those limited, non-holy, non-eschatological goals.

세 번째로, 예식의 범주는 해석학적 기능을 가지고있습니다.

Third, the cultic boundary has a hermeneutical function.

 

이는 우리가 성경을 사용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며 이로서 일반은총 영역을 감당하도록 해줍니다.

It affects the way we use Scripture and bring it to bear on the common grace realm.

 

예식의 범주가 의미하는 것은 우리로하여금 고대 이스라엘과 이의 국가법과 같은 성경의 예를 일반은총 통치의 모델로 삼으려고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The cultic boundary means we ought not to misapply Scripture by, for example, treating ancient Israel and its civil law as a model for common grace governments.

 

클라인은, 우로는 신정체제의 해석학으로, 좌로는 사회정의 해석학으로, 이러한 잘못된 적용을 본 것입니다.

Kline sees this misapplication in the theonomic hermeneutics on
the right, and in the social justice hermeneutics on the left.

 

양쪽 모두 이스라엘을 이 땅의 국가들의 모델로 보았던 것입니다.

In both, Israel is viewed as a model for the nations of the earth.

 

그러나 이스라엘이라는 국가는 일반은총에 의한 국가기관이 아니었습니다.

But the nation of Israel was not a common grace civil government.

 

이는 새 창조에서의 종말론적인 하나님나라의 유형학적인 예견이나 발현이었습니다.

It was a typological anticipation or intrusion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the new creation.

 

이스라엘은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와 같이 예식과 문화가 제도적으로 통합된 신정체제였습니다.
Israel, like the eschatological kingdom, was a theocracy in which cult and culture were institutionally integrated.

 

이스라엘의 문화는 일반은총 문화의 일부가 아니었습니다.

The culture of Israel was not part of common grace culture.

 

이는 안식일의 표지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예식의 초점으로서의 성전과 함께 하나님께 거룩하게 성별되어진 바와 같이, 예식에서 출발된 문화였다.

It was cultically-oriented culture, marked with the Sabbath sign, and set apart as holy unto God and with the temple as its cultic focal point.

 

그러므로 이스라엘의 신정체제를 지배하는 국가의 법을 이 땅의 일반은총의 나라들의 국가 입법의 모델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한 것입니다(KP 157–59).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to use the civil laws governing the Israelite theocracy as a model for civil legislation of the common grace nations of the earth (KP 157–59).3

 

____________________

3For Kline’s critique of theonomy, see his review article on Theonomy in Christian Ethics by Greg L. Bahnsen,
“Comments on an Old-New Error,” WTJ 41.1 (1978): 172–189. See also my paper, “The Reformed Theocrats: A
Biblical Theological Response,” http://www.upper-register.com/papers/reformed_theocrats.pdf.

 

“중립 없음”에 대한 이의

The “No Neutrality” Objection

 

이제 아마도 당신은 마음 속에서 거부감이 일어날 것입니다.
Now perhaps you’re forming an objection in your mind.

 

아마도 이것은 전통적 반틸의 사람에 대한 거부일 것입니다: “클라인, 당신은 광범위한 영역의 바깥에 중립적인 영역이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 같군요. 당신은 이것을 거룩하거나 불경스러운 것이 아닌 일반적인 것이라고 보고 있군요. 그러나 중립은 없습니다. 모든 이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문화활동을 하거나 아니면 하나님께 반역하고 있답니다” 클라인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Perhaps it is the classic Van Tilian objection: “Kline, you make it sound like there is this vast realm out there that is neutral. You don’t see it as either holy or unholy, but as common. But there is no neutrality. Everyone is either doing cultural activity for God’s glory or in rebellion against God.” How would Kline respond?

 

아마 그는 중립이 없다는 것이 절대적인 사실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He would say it is absolutely true that there is no neutrality.

 

클라인이 열성적인 반틸의 사람이었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Remember, Kline was a committed Van Tilian.

 

이것은 클라인이 삶의 모든 것이 신앙적이라고 인정하는 이유입니다(KP 159–60).

That is why Kline acknowledges that all of life is religious (KP 159–60).

우리는, 신자로서, 일반은총의 형태로 문화명령에 참여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일반은총의 문화를 정하셨고, 우리에게 신자로서 그것에 참여하라고 하신 하나님께 순종하는 가운데 그렇게 합니다.

As believers, we engage in the cultural mandate in its common grace mode, and we do so in obedience to God, who has ordained this common grace culture and who commands us as believers to be involved in it.

 

우리가 하나님께 순종하는 가운데 이렇게 한다는 사실은 “사람의 삶이 신앙적이거나 비신앙적인 분야로 양극화되는 것들을 막아줍니다”(KP 67).

The fact that we do so in obedience to God “prohibits any dichotomizing of man’s life into religious and nonreligious areas” (KP 67).

 

우리 신자들이 하는 모든 것들은, 그것이 우리의 예식과 문화적 활동 모두에 관계되는 것과 같이, 신앙적입니다. 바울 자신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또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고 그를 힘입어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라”(골 3:17)
All that we as believers do, as it relates to both our cultic and our cultural activities, is religious, as Paul himself said: “And whatever you do, in word or deed, do everything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giving thanks to God the Father through him” (Colossians 3:17, quoted by Kline, KP 160).

그러나 이것은 클라인이, 객관적인 것과는 구분되는, 주관적인 문화의 성화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But this is what Kline refers to as the subjective, as distinct from the o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다음은 클라인이 차이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보여줍니다:

This is how Kline explains the distinction:

“긍정적으로는, 하나님의 백성의 전체의 삶은 자신들의 제사장적인 정체성의 전례적 형태로 덮여져야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합니다.

“Positively,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whole life of God’s people is covered by the liturgical model of their priestly identity.

 

그들이 하는 모든 것은 하나님께 드려지는 섬김으로서 행해져야 합니다.

All that they do is done as a service rendered unto God.

세속 도시의 영역에서의 그들의 모든 문화 활동은 하나님의 영광으로 드려져야 하는 것입니다.

All their cultural activity in the sphere of the city of man they are to dedicate to the glory of God.

이러한 문화의 성화는 주관적인 것으로서 이는 성도의 영혼 안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This sanctification of culture is subjective; it transpires within the spirit of the saints.

 

부정적으로는, 문화를 객관적으로 고려해볼 때, 이러한 문화의 주관적인 성화가 일반적인 상태에서 거룩한 상태로 변화되는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합니다.

Negatively, it must be insisted that this su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does not result in a change from common to holy status in culture objectively considered.

 

일반적인 세속 도시는, 발전에 있어서, 문화를 성화시키는 성도의 참여를 통하여 어떠한 형태로나 어느 정도 하나님의 거룩한 도시로 되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The common city of man does not in any fashion or to any degree become the holy kingdom of Go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culture-sanctifying saints in its development.

 

생산품이나, 영향들, 제도적 정황들, 기타등등의 의미들에서 보았을 때 하나님의 사람들의 문화 활동은 일반은총의 활동들입니다.

Viewed in terms of its products, effects, institutional context, etc., the cultural activity of God’s people is common grace activity.

 

그들의 세속도시의 활동은 ‘하나님 나라’의 활동이 아닙니다.

Their city of man activity is not ‘kingdom (of God)’ activity.

 

비록 이것이 그들의 삶에서의 하나님의 통치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이것은 제도나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것이 아닙니다.

Though it is an expression of the reign of God in their lives, it is not a building of the kingdom of God as institution or realm.

 

일반 세속도시는 거룩한 하나님 나라의 영역이 아닐 뿐만이 아니라, 점진적이든 갑자기든, 결코 하나님의 거룩한 도시가 되지는 않습니다,

For the common city of man is not the holy kingdom realm, nor does it ever become the holy city of God, whether gradually or suddenly.

 

그보다는 새창조로서의 천상의 도시에 도달하는 길을 만드는 것을 잘 분별하여 제거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Rather, it must be removed in judgment to make way for the heavenly city as a new creation” (KP 201).

클라인은 문화의 객관적인 성화는 거절하지만 문화의 주관적인 성화에 대해서는 확신하고 있습니다.

Kline rejects the o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but he affirms the su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우리는 문화나 어떠한 문화적 산물들도 그 자체로 거룩하게 만들 수는 없지만, 우리는 문화 활동을 거룩한 동기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We can’t make culture or any cultural product holy in itself, but we can engage in cultural activity with a holy motive.

예를 통하여서 이를 구체화시켜봅시다.

Let’s make this concrete by looking at an example.

 

창세기 4장에서 가인은 첫 번째 도시의 건설에 전념하였으며(창 4:17) 그의 후손들은 방랑하는 유목생활, 음악, 그리고 야금술을 발명하였습니다(20-22절)

In Genesis 4, Cain is credited with building the first city (Gen 4:17) and his descendants invented nomadic pastoralism, music, and metallurgy (vv 20–22).

 

흥미롭게도, 하나님을 경외하는 이들은 이러한 것들을 삼가지는 않았습니다.

Interestingly, the godly line did not refrain from these things.

 

예를 들면, 아벨은 양을 치는 자였습니다(2절).

For example, Abel was a keeper of sheep (v 2).

 

하나님의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거룩한 텐트, 거룩한 음악 도구들, 그리고 거룩한 금속 작품들을 만들지는 않았습니다.

The godly line didn’t create their own holy tents, holy musical instruments, and holy metal works.

 

셋 계열의 사람들은 가인 계열의 사람들과 같은 텐트와 같은 음악 도구들, 그리고 같은 금속 작품들을 사용하였습니다,

The line of Seth used the same tents, the sam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same metal works as the line of Cain.

 

이것들은 모두 일반은총 문화의 일부분이었습니다.

They were all part of common grace culture.

 

그러나 그들은 다른 동기를 가지고 이와 같은 문화적 활동들에 참여하였습니다.

But they engaged in these cultural activities with a different motive.

저는 여러분이 이것을 이해하는 것이 힘들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I know this can be tough to wrap your mind around.

 

우리는 일반은총의 개념이 좀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The concept of common grace makes us a tad uncomfortable.

 

우리는 본능적으로 우리가 그리스도의 주권 아래서 자신만이 문화에 반대하고 있다고 간주된다고 느낍니다.

We instinctively feel we’re supposed to have our own counter culture under the Lordship of Christ.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은 거룩하고 특별하며, 세상과 분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Everything we do is supposed to be holy and special and set apart from the world.

 

그러나 제 생각에는 클라인에게 있어서 일반은총의 나라나 영역은 본래적으로 죄가 되거나 악하지는 않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But I think it might help to recognize that, for Kline, the common grace kingdom or realm is not inherently sinful or evil.

 

이는 거룩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불경스럽지는 않습니다.

It’s not holy, but neither is it unholy.

 

만약에 이것이 불경스럽거나 죄악이라면, 이는 오직 하나님의 축복이 아니라 하나님의 허락으로 존재할 따름입니다.

If it were unholy or sinful, then it would only exist by God’s permission but not by his blessing.

 

그러나 이는 최소한 하나님의 구원과 관계없는 축복인, 축복하심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But it does exist with his blessing, at least his non-saving blessing.

 

이러한 거룩하지 않은 일반은총의 영역은, 처음에는 창세기 3장에서 타락 후에 비공식적으로, 그 다음에는 창세기 9장에서 홍수 이후에 일반은총의 언약 안에서 좀 더 공식적으로, 하나님 자신에 의하여 확립되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하겠습니다.

Let’s not forget that this non-holy,common grace realm was established by God himself, first informally after the Fall in Genesis 3, then more formally in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after the flood in Genesis 9.

 

창세기 9장에서 이는 특별히 언약이라고 불리우게 되었습니다.

In Genesis 9, it is specifically called a covenant.

 

이는 신적인 명령입니다.

It is a divine ordinance.

 

일반은총 영역은 죄가 그러했던 것처럼 간신히 허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The common grace realm does not exist by a bare permission—the way sin does.

 

불륜과 같은 어떤 죄에 대하여 말해봅시다.

Take any sin—like adultery.

 

불륜은 하나님의 교훈적인 뜻을 침해하는 것입니다.

Adultery is a violation of God’s preceptive will.

 

하나님께서는 이를 인정하지도 않으셨으며 이것이 일어나기를 원하지도 않으셨습니다,

He doesn’t approve of it and doesn’t want it to happen.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자신이 작정하신 뜻의 신비에 의하여 이것이 일어나는 것을 허락하셨습니다.

Nevertheless, God in the mystery of his decretive will does allow it to happen.

 

그러나 일반은총의 영역은, 교훈적으로는 금하지만 작정에 의하여 허락하신 것과 같지는 않습니다.

But the common grace realm isn’t like that—preceptively forbidden, but decretively permitted.

 

아닙니다, 일반은총의 영역은 하나님의 긍정적인 규례입니다.

No, the common grace realm is a positive ordinance of God.

 

예식과 문화 사이의 예식적 경계는 하나님 자신이 세우셨으며, 인간의 문화는, 특별은총의 언약에서의 자신의 구원 계획을 펼치는데 배경이 되도록,  선택받은 자와 선택받지 않은 자 모두를 위한 일반 영역으로 분리하셨습니다.

God himself erected the cultic boundary between cult and culture and
set human culture apart as a common realm for both the elect and the non-elect as the backdrop for the unfolding of his plan of salvation in the covenant of special grace.

 

이것이 바로 창세기 9장에서 공식적으로 언약이 세워졌다고 클라인이 강조한 이유입니다.

That’s why Kline emphasizes that it was established by a formal covenant in Genesis 9.

그래서 저는 클라인이 반틸의 “중립없음”에 대한 이의를 취하고 이를 주제로 삼기를 원했었다고 생각합니다.

So I think Kline would want to take the Van Tilian “no neutrality” objection and turn it on its head.

 

클라인은, 괜찮은 반틸의 사람으로서, 우리가 자신의 자율적인 생각을 성경에 계시된대로 하나님의 주권적 권위에 복종시켜야만 한다는 것을 주장하려는 것입니다.

As a good Van Tilian, Kline would insist that we must submit our autonomous thought to God’s sovereign authority as revealed in Scripture.

 

성경은 창세기 9장에서, 하나님 자신이 이러한 임시적이고, 적법한, 그러나 거룩하지는 않은 일반은총의 문화 영역을 세우셨음을 밝히고있습니다.

Scripture reveals in Genesis 9 that God himself has established this temporary, legitimate but non-holy common grace cultural realm.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생각을 하나님의 언약의 말씀에 복종시켜야만 합니다.

So we must submit our thinking to God’s covenant word.

만약에 누군가가 일반은총의 문화가 하나님을 믿지 않는, 혹은 하나님과 관계없는 중립적인 영역을 세우는 것이라고 말한다면, 반틸의 사람인 클라인은 이에 저항할 것입니다.

As a Van Tilian, Kline would protest if someone said that common grace culture sets up a neutral realm that is somehow godless or unrelated to God.

 

일반은총의 영역은 하나님 자신에 의하여 세워졌기에 중립이 될 수가 없습니다.

The common grace realm can’t be neutral, because it has been established by God himself.

 

이는 주권적 주로서, 혹은 모든 창조물의 종주로서의 그분의 언약적 권위에 근거하여 존재합니다.

It exists on the basis of his covenantal authority as the sovereign Lord or suzerain of all creation.

 

창세기 9장에서 반복적으로 언급하면서 분명하게 밝히듯이, 하나님은 종주이시며 모든 살아있는 피조물은 하나님과의 이러한 일반은총의 언약 안에서 봉신입니다.

As Genesis 9 makes so clear with its repeated statements, God is the suzerain and all living creatures are the vassals in this common grace covenant with God.

더군다나 모든 죄악된 인간 존재의 문화 활동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든,  혹은 하나님께 반역을 하든, 종교적 동기로 인한 것입니다,

Furthermore, the cultural activity of every sinful human being is religiously motivated—either for God’s glory or in rebellion against God.

 

반립은 실제합니다.

The antithesis is real.

 

일반은총의 장의 한 가운데로 바로 가는 길이 있는데 이것이 반립입니다.

There is a line going right down the middle of the common grace arena, an antithesis.

 

그러나 우리는 성경이 제시하는 선에서,  문화 자체의 객관적인 차원이 아니라, 주관적 차원의 문화를 그려나아가야합니다.

But we should draw the line where the Bible draws it—not at the objective level of culture itself, but at the subjective level.

 

이것은 그리스도인이 농사나 제약, 기타 등등을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It is not as if Christians have a fundamentally different way of doing agriculture or medicine, and so on.

 

대신에 신앙인은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구별된 동기를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Instead, the believer has a different motive for engaging in cultural activity—the glory of God.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How Should We Then Live?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 모두는, 교회에서의 현재적으로 표현되고있는, 종말론적 문화로서의 거룩한 하나님 나라에 우선적으로 우리의 역량을 집중하여 합니다.
First of all, we should focus our primary energies on the holy kingdom of God, the eschatological culture, which finds is present expression in the church.

 

그리고 우리는 그렇게함으로서, 교회의 관심사와 흥미들이 임시적이거나 문화적인 것이 아니라, 종말론적이라는 생각을 갖고서 교회의 영성을 견고히 해 나아가야 합니다.

And as we do so, we should uphold the spirituality of the church—that is, the idea that the church’s concerns and interests are eschatological and not temporal and cultural.

 

일반은총의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께서 기관으로서의 교회에 맡기신 과제 가운데 하나는 아닙니다.

Engaging in common grace cultural activities is not one of the tasks that Christ as Head of the Church has entrusted to the church as an institution.

 

교회의 명령과 사명은 천상적이며, 영적이며, 종말론적입니다.

Her mandate, her mission, is heavenly, spiritual, and soteriological.

 

교회가 나아가라는 명령은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겠습니까?

Where do we find the church’s marching orders?

 

대위임령에서입니다.

In the Great Commission.

 

부활하신 주님께서는 자신의 교회에게 복음을 전파하고, 제자를 삼으라고 명령하셨지, 문화를 변혁시키라고 명령하시지는 않으셨습니다.

The risen Lord commands his church to preach the gospel and make disciples, not to transform the culture.

 

우리는 항상 마이클 호튼이 “미션 크립"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하여 경계를 하여야 합니다.

We must always be on watch against what Michael Horton calls “mission creep.”4

_________________
4 Michael Horton, The Gospel Commission: Recovering God’s Strategy for Making Disciples (Grand Rapids:
Baker, 2011), 7–8, 161, 247–48.

 

우리는 이것을 이 시대에 “선교적 운동"에서 볼 수 있는데, 이(선교적 운동에서)는 교회로서의 교회가 사회정의 구현에 참여하길 원하는 것입니다.

You see this in the contemporary “missional movement,” where churches as churches want to get involved in social justice activism.

(역자 주; 선교적 교회 운동은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교를 기반으로 사회 정의 구현을 위한 흩어지는 교회 운동이며 이는 모이는 교회로서의 전통적  교회와 신학적 기반를 달리하고있다.)

 

우리는 노숙자 쉼터라든가, 아이들을 위한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빈곤과 인종 차별에 대한 투쟁등을 하는 “도시를 섬김"이라는 깃발 아래에 많은 종류의 프로그램을 행할 수 있습니다.

We have all kinds of programs that go under the banner of “serving the city,” whether that be homeless shelters, or after school programs for kids, or fighting poverty and racism.

 

동기들은 선합니다.

The motives are good.

 

우리는 복음을 전할 기회를 얻기 위해서 선한 일을 하길 원합니다.

We want to do good works in order to gain a hearing for the gospel.

 

클라인은 이러한 선행을 반대하지는 않았습니다.

Kline was not opposed to these good works.

 

그러나 우리는 개인적인 그리스도인으로서 이러한 일을 행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여야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한다고 그는 말하려고 합니다.

But he would say we have to be careful to make clear that we are doing these things as individual Christians.

 

이러한 활동들은 기관으로서의 교회의 사명의 일부는 아닙니다.

These activities are not part of the mission of the church as an institution.

두 번째로, 우리는 개인적 그리스도인으로서 일반은총 문화에 어느 정도는 참여하여야 하겠지만, 우리가 일반은총 문화를 거룩하게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있어야만 합니다.

But, second, to the extent we do engage common grace culture as individual Christians, we should recognize that we can’t make common grace culture holy.

 

만약에 우리가 일반은총 문화를 객관적으로거룩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면, 이는 더 이상 일반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If we succeeded in making common grace culture objectively holy, it would cease to be common.

 

그러나 우리는 문화의 주관적인 성화에는 참여 할 수 있고, 참여 해야만 합니다.

However, we can and ought to engage in the su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이는 우리의 동기들과 관련되어있습니다.

This has to do with our motives.

 

우리는 모든 것을 기도하면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하여야합니다.

We should do all things prayerfully and to the glory of God.

 

문화의 주관적인 성화에 관해서, 우리는 성경의 계시에 비추어서 하나님에 관하여 해석하였던 것과 같이, 창조와 양심 안에서 계시되는 하나님의 창조 규율에 따라서, 창조의 선함과 아름다움을 도출해내야만 합니다.

As far as the subjective sanctification of culture goes, we should bring out the goodness and beauty of creation according to God’s creation norms as revealed in creation and conscience as interpreted in the light of Scriptural revelation about God.

 

이것이 신자가 일반은총 문화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구별되는 면입니다.

This is the distinctive aspect of the believer’s involvement in common grace culture.

 

그러나, 우리는 그리스도와 연합한 것과 관련된 단일한 윤리나, 하나님의 구속 사역에서 발견되는 것보다는, 하나님의 일반 계시 가운데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창조 규범을 따르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입니다.

However, the focus ought to be on following God’s creation norms as revealed in God’s general revelation, rather than on the unique ethics associated with our union with Christ and founded on God’s work of redemption.

세 번째로, 우리는 우리의 희망을 일반은총 문화에 두거나, 혹은 일반 은총 문화가 점 점 더 나아져서 더 많은 그리스도인이 생기게하는데 희망을 두어서는 안됩니다.

Third, we shouldn’t put our hope in common grace culture, or in common grace culture getting better and better and more Christian.

 

이는 하나님의 나라가 아닙니다.

It is not the kingdom of God.

 

일반은총 활동은 영원하거나 영속적은 아닙니다.

Common grace activity is not eternal, not lasting.

 

하나님께서는 이를 종말론적 극치의 발판으로 인정하지는 않으셨습니다.

God has not stamped it as bound for eschatological consummation.

 

하나님께서는 이 위에 안식을 승인하시지도 않으셨습니다.

He has not put the sign of the Sabbath upon it.

 

우리의 문화적 수고들과 산물들이 새 창조에 들어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Our cultural labors and products won’t enter the new creation.

 

기독교인 컴퓨터 기술자도 새 창조에서 자신의 코드를 보지는 못할 것입니다.

The Christian computer engineer won’t see his code in the new
creation.

 

기독교인 영화제작자도 새 창조에서 자신의 영화를 보지는 못할 것입니다.

The Christian cinematographer won’t see his films in the new creation.

네 번째로, 비록 일반은총 문화가 종말론적 극치의 기반이 되지는 못한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부분적으로는 그리스도를 증거하는자로서 일반은총 문화활동에 참여하여야만합니다.

Fourth, although common grace culture is not bound for eschatological consummation, we should nevertheless engage in common grace cultural activity as part of our Christian witness.

 

우리가, 창조 안에서 계시되어지는 하나님의 창조 규범과 성경에 비추어 해석되어지는 양심을 따라서, 창조의 선함과 아름다움을 도출해내려는 이들과 같이,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의 문화적 활동을 행할때, 우리는 어둠 가운데 빛과 같이 빛날 것입니다.

When we do our cultural activities as Christians, as those who seek to bring out the goodness and beauty of creation according to God’s creation norms as revealed in creation and conscienc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Scripture, we shine as lights in the darkness.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가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 방법은, 참 창조주 한 분 하나님께 드리는 우리의 구별된 책무라는 관점으로부터, 우리의 가치와 우리의 세계관적 책무를 세상에 전하는 것입니다.

The way we as Christians engage in cultural activity, from the standpoint of our distinctive commitments to the one true creator God, communicates to the world our values and our worldview commitments.

 

이러한 의미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문화적 활동은 영원한 중요성을 갖는 것입니다.

In that sense, our cultural activities as Christians do have eternal significance.

 

마지막으로, 우리는 일반은총 문화의 움직이는 방향성에 대하여 걱정하거나 두려워 할 필요가 없습니다.
Finally, we need not be anxious and fearful about the trajectory of common grace culture.

 

만약에 어느 순간에, 내리막으로 치닫는 것과 같더라도, 우리는 그리스도가 오시기 전에 그것이 결국 소멸되리라고 두려워해서는 안됩니다.

If at the moment, it seems to be on a downward slope, we should not fearfully extrapolate its ultimate demise before the coming of Christ.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일반은총으로 인간의 문화가 타락의 심연으로 침몰될  것과 같은 상황을 막아주시는 분이십니다.

God in his common grace is the one who keeps human culture from sinking to the depths of depravity that it is capable of.

 

문화가 개선될 때도 있을 것이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절대로 하나님의 거룩한 나라가 되지는 않습니다.

There will be times when the culture is getting better, but it will never become the holy kingdom of God.

 

문화가 악화될 때도 있을 것이지만, 아마 심판을 바로 앞둔 최후의 위기 시기를 제외하고는, 전적으로 악마적이 되지는 않습니다.

There will be times when it is getting worse, but it will not become totally demonic, except perhaps at the final crisis point just prior to the day of judgment.

 

우리는 이를 확신할 수 있습니다.

You can count on it.

 

이는 노아와 모든 피조물과 일반은총의 언약으로 맺으신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That is the promise of God in the covenant of common grace made with Noah and all creation.

 

아마 당신은 “우리는 죽어가는 문화 한 가운데서 살고있다”라는 말을 들었을 것입니다,
Perhaps you’ve heard the statement, “We live in the midst of a dying culture.”

 

이는 확실히 사실입니다.

That is certainly true.

 

그러나 우리의 문화가 단지 최근에 죽어가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오해입니다.

But it is misleading if we think the culture only began to die recently.

 

실제로, 하나님의 백성은 타락 이후로 항상 죽어가는 문화의 한 가운데서 살아왔습니다.

The reality is, God’s people have been living in the midst of a dying culture ever since the Fall.

 

인간의 문화가 전적으로 악화되지 않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일반은총으로 보존하시기 때문입니다.

The reason human culture has not become totally wicked is because God preserves it in his common grace.

일반은총으로 인하여, 인간 문화는,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흥하기도하였고 쇠하기도하였으나, 더욱 악화되었던 순간들과, 시민의 의가 더욱 개선되었던 순간들과 이 둘이 혼합된 순간들이 있어왔습니다.

Because of common grace, human culture has its ups and downs, moments of greater wickedness, moments of greater civil righteousness, and mixtures of both, at different times and places.

 

일반은총 문화를 객관적으로 거룩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의 과업이 아닙니다.

It is not our task to make common grace culture objectively holy.

결론

Conclusion

 

그리스도와 문화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에 대하여 할 이야기가 많이 있겠지만,  나는 전체적 윤곽을 잘 전달하였다고 생각합니다.
There is much more that could be said about Kline’s view of Christ and culture, but I think I have provided a good overall sketch.

 

그의 사상은 성경에 깊게 뿌리를 내리고있으며, 성경 신학과 언약 신학으로 다듬어졌으며, 종말론에 주도되어있습니다,

His thought was deeply rooted in Scripture, shaped by biblical theology and covenant theology, and driven by eschatology.

궁극적으로, 이것은 우리들의 우선적 질문입니다.

Ultimately, it is a question of our priorities.

 

일반은총 문화 한가운데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우리는 우선적으로 그리스도 복음의 증인이 되는 것입니다.

Our priority as God’s people in the midst of common grace culture is to be witnesses to the gospel of Christ.

 

문화 활동과 구별되는, 복음은 구원에 이르는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롬 1:16)

The gospel, not cultural activity,is the power of God unto salvation (Rom 1:16).

 

복음은 세속 도시의 흥망성쇠와 관계없이, 절대로 실패하지 않습니다.

The gospel will never fail, regardless of the ups and downs of the City of Man.

 

세속도시의 문화는 역사를 통하여 성쇠를 되풀이 할 것입니다.

The culture of the City of Man will ebb and flow throughout history.

 

그러나 복음 전파를 통하여 성도를 모으고 완전하게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은 변함이 없을 것입니다.

But God’s plan of gathering and perfecting the saints through the preaching of the gospel remains unchanging.

 

다가올 세대의 문화를 세우는 것은 복음을 통해서입니다.

It is through the gospel that he is building the culture of the age to come.

© 2015 Charles Lee Irons

 

20170316_181642.jpg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레샴 메이첸의 "기독교와 문화"  (0) 2015.11.08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