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더스'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4.09.26 :: 톰 라이트가 말하는 율법과 유대주의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언약적 율법주의
2014. 9. 26. 23:42
율법의 역할에 대한 해석에 따라서 성경 전체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있다.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바울에 관한 새관점(New Perspective on Paul:NPP)”은 바울이 서신서들을 통하여 (유대인들이 율법을 지킴으로 의를 얻으려고 한다는)율법주의 개념으로 유대인들을 책망하고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는 전통적 해석을 거부하고 유대인들은 이미 아브라함 언약을 통하여 하나님의 의(케제만이 말하는 하나님께서 언약에 신실하시다는 하나님의 의) 안에 거하고 있기 때문에 율법을 지킨다는 것은 단지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의로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주장한다.
톰 라이트는 "바울에 관한 새관점(New Perspective on Paul:NPP)을 주장하는 제임스 던의 바울 해석과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다음은 톰 라이트가 자신의 저서 “톰 라이트 바울의 복음을 말하다”에서 다음과 같이 율법과 유대주의에 대하여 전통 개혁주의와 다른 관점 즉 "바울에 관한 새관점(New Perspective on Paul:NPP)을 말하고있다.
1) 바울 시대의 유대주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율법적 행위로 의롭게되려고 하는 종교가 아니다.
만약 우리가 (전통적 개혁주의의 해석과 같이) 율법주의로서 율법을 해석한다면-그리고 바울이 율법주의 개념으로서 유대인을 책망하고있다고 생각하게되면 - 우리는 율법과 바울에 대하여 (잘못된 개념으로) 반항적으로 도전하는 것이 된다.
2) 대부분의 (정통 개혁주의) 개신교 신자들은 바울이 말하는 유대주의를 마치 유대주의가 오랜 이단적 펠라기우스주의라고 하면서 사람들이 자신들의 도적적 행위로 인하여 의롭게되고 구원을 얻으려 한다고 해석하고 있다고 톰 라이트는 주장한다.
3) 샌더스는 “유대주의 안에서 유대인들이 율법을 지키려는 것은 항상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함이라는) 언약적 그림 안에서 행하여지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4) 하나님께서는 이미 유대주의와 언약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 사역을) 시작하셨기에 하나님의 은혜는 사람들 특히 유대인들이 (율법적 행위로) 반응하는 모든 것을 앞선다.
5) 따라서 유대인들은 (정통 개혁주의가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감사하는 뜻에서 율법을 지키는 것이며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선택하여 구원 사역을 시작하셨다는) 은혜에 대한 적절한 반응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유대인들이 율법을 지키는 것은) 언약 백성이 되고자 (율법을 지키는) 것이 아니고 언약 안에 머무르고자 (율법을 지키는) 것이다.
유대인들이 처음부터 언약 안에 있을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선물이다.
Judaism in Paul’s day was not, as has regularly been supposed, a religion of legalistic works-righteousness. If we imagine that it was, and that Paul was attacking it as if it was, we will do great violence to it and to him. Most Protestant exegetes had read Paul and Judaism as if Judaism was a form of the old heresy Pelagianism, according to which humans must pull themselves up by their moral bootstraps and thereby earn justification, righteousness, and salvation. No, said Sanders. Keeping the law within Judaism always functioned within a covenantal scheme. God took the initiative, when he made a covenant with Judaism; God’s grace thus precedes everything that people (specifically, Jews) do in response. The Jew keeps the law out of gratitude, as the proper response to grace—not, in other words, in order to get into the covenant people, but to stay in. Being ‘in’ in the first place was God’s gift.
- N. T. Wright, What Saint Paul Really Said: Was Paul of Tarsus the Real Founder of Christianity? (Grand Rapids: Eerdmans, 1997), p. 19;
바울이 서신서들, 특히 로마서나 갈라디아서를 통하여 유대인들에게 대하여 책망하였던 내용이 톰 라이트의 주장처럼 행위를 통하여 의를 얻고자 하는 펠라기우스적 유대인에 대한 책망이 아니었다면 전통적 개혁주의는 물론 종교 개혁을 통하여 형성된 개신교는 이제껏 모두 루터의 잘못된(?) 성경 해석을 근거로 한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된다.
톰 라이트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말처럼 “우리가 이제껏 복음을 잘못 이해하였다"라고 주장하는 톰 라이트가 맞다면 (절대로 맞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맞다고 가정해보면) 개혁주의는 다음가 같은 몇 가지 교리의 변화를 수반하여야만 할 것이다.
1)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속죄의 의미가 아닌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톰 라이트가 말하는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십자가의 보혈에 의한 속죄의 개념에 있는 것이 아니고 예수님께서 세상 권세를 대표하는 로마에 대하여 어떻게 행하시는지 본을 보여주심으로서 즉 정치적 희생을 당하심으로서 앞으로 하나님의 백성이 이 세상에 대하여 어떠한 자세로 살아가야 할 지를 예수님께서 손수 본을 보여주셨다는 것이다.
이렇게 세상 정부에 대항하여 희생되셨던 예수님을 성부 하나님이 받아주시고 부활시켜주셔서 성부 하나님이 이 세상에 대하여 승리를 선포하셨다는 것이다.
복음은 예수님을 통하여 하나님의 승리로 이 세상에 하나님 나라가 선포되었으므로 이제 (십자가의 보혈로 속죄함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이 아닌 톰 라이트가 말하는)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된 사람들은 어떻게 예수님을 본받으면 살아가야할지를 전하는 것으로 내용이 바뀌게되는 것이다.
여기서 예수님의 위치는 더 이상 믿음의 대상이 아니라 따름의 대상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2)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보혈 즉 피흘림의 속죄개념이 아니라 단지 희생의 개념으로 바뀐다.
톰 라이트가 말하는 인류에 들어온 아담의 죄는 하나님의 아브라함과의 언약을 통하여 이미 정리가 되었다는 것이다.
아담의 죄가 아브라함과의 언약을 통하여 정리가 되었으므로 이 땅에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셨을 때 이미 이스라엘 백성들은 의로운 상태에 있는 것이고 하나님의 은혜는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이미 임하셨다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상태가 맞다면 이러한 상황은 더 이상의 속죄를 요구할 필요가 없는 것이 된다.
3)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공생애의 중심은 십자가보다는 유월절 만찬이다?
그러면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신 이유가 무엇인가?
톰 라이트는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신것은 이스라엘이 순종치 못함으로 인해서 실제적으로 바벨론 포로 생활을 하고 있는데 (톰 라이트는 예수님께서 이땅에 오셨을 때 이스라엘이 실질적으로 바벨론 포로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포로생활을 청산시키고자 오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포로생활의 청산은 바로 유월절 식사를 통하여 유월절을 기념하며 이스라엘이 애굽의 종살이를 청산하였던 것을 상기시키면서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바벨론 포로생활을 하고있는 이스라엘의 해방을 선포하셨다는 것이다.
톰 라이트는 예수님의 가장 중요한 공생애 사역이 바로 유월절 만찬을 통한 이스라엘의 포로생활의 청산이라고 말하고있다.
4) 구원의 대상이 달라진다.
새관점의 근거는 아브라함 언약이다.
모든 민족이 아브라함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된다는 전재 아래서 구원이 대상이 모든 사람들, 더 나아가 모든 피조계의 회복을 의미하게된다.
개혁주의 전통에서는 창세전에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으로 말미암아서 성부 하나님께서 성자 하나님께 보낸 자들을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구원에 이르게 하시는 삼위 하나님의 작정의 대상에 한하여 구원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톰 라이트가 말하는 새관점에서는 그리스도의 정치적 희생으로 이 세상이 하나님의 나라로 선포되었기에 이 세상에는 하나님 나라 바깥에 있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게 되는 것이다.(Universalism-만인구원론)
이는 이머징 처치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주장하는 내용과 일치되며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이머징 처치의 하나님 나라 개념의 기초가 되고있다.
5) 교회론이 달라진다.
전통적 개혁주의에서는 그리스도의 보혈로 인하여 죄 사함을 받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은 자들이 모인 회중적 교회를 하나님의 나라와 연계시키고있다.
하지만 톰 라이트가 말하는 교회는 개인을 대상으로하는 회중적 교회가 아니라 모든 만물을 대상으로하는 우주적 교회를 말하는 것이다.
이 땅에는 하나님 나라 바깥에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주장하는 이머징 처치의 이론과 같이 결국 모든 이들이 하나님 나라 안에 있기에 톰 라이트가 말하는 하나님 나라 개념에서는 회중적 교회가 아닌 이머징 미셔널 처치에서 주장하는 우주적 교회론을 기초로하게되는 것이다.
6) 지옥의 개념이 없다.
모든 이들이 신앙고백과는 관계없이 하나님 나라 안에 있다는 새관점의 개념에서는 지옥은 실제하는 곳이 아니라 상징적 의미로 전락된다.
이머징 처치 운동을 하는 랍벨이 자신의 저서 “Love Wins”를 통하여 지옥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도 톰 라이트와 같은 개념을 가지고 있다.
톰 라이트는 오히려 카톨릭의 연옥의 개념을 부활시키고있다.
7) 믿음의 성격이 달라진다.
톰 라이트가 말하는 복음은 예수님께서 정치적 희생(?)으로 죽으셨는데 이를 부활시키심으로
이 땅의 권세를 하나님께서 자신의 발 아래 굴복 시킴으로 하나님께서 이 땅의 왕이 되셨다는 것이다.
새관점의 믿음은 예수님의 정치적 희생을 통하여 왕이 되신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선포되었다는 사실을 믿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믿음의 고백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되는 것과는 상관없는 것이 된다.
8) 세대주의적 발상이다.
전통적 개혁주의에서는 (역사적)이스라엘은 영적 이스라엘 즉 교회로 귀결되어야한다.
역사적 이스라엘은 실체가 되는 교회의 그림자인 것이다.
하지만 새관점의 해석대로라면 교회는 이스라엘 유대 공동체의 새로운 버전에 불과하다.
결국 유대 공동체가 교회의 원형이 되는 것이다.
"바울에 관한 새관점(New Perspective on Paul:NPP)”은 바울이 서신서들을 통하여 (유대인들이 율법을 지킴으로 의를 얻으려고 한다는)율법주의 개념으로 유대인들을 책망하고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는 전통적 해석을 거부하고 유대인들은 이미 아브라함 언약을 통하여 하나님의 의(케제만이 말하는 하나님께서 언약에 신실하시다는 하나님의 의) 안에 거하고 있기 때문에 율법을 지킨다는 것은 단지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의로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주장한다.
톰 라이트는 "바울에 관한 새관점(New Perspective on Paul:NPP)을 주장하는 제임스 던의 바울 해석과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다음은 톰 라이트가 자신의 저서 “톰 라이트 바울의 복음을 말하다”에서 다음과 같이 율법과 유대주의에 대하여 전통 개혁주의와 다른 관점 즉 "바울에 관한 새관점(New Perspective on Paul:NPP)을 말하고있다.
1) 바울 시대의 유대주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율법적 행위로 의롭게되려고 하는 종교가 아니다.
만약 우리가 (전통적 개혁주의의 해석과 같이) 율법주의로서 율법을 해석한다면-그리고 바울이 율법주의 개념으로서 유대인을 책망하고있다고 생각하게되면 - 우리는 율법과 바울에 대하여 (잘못된 개념으로) 반항적으로 도전하는 것이 된다.
2) 대부분의 (정통 개혁주의) 개신교 신자들은 바울이 말하는 유대주의를 마치 유대주의가 오랜 이단적 펠라기우스주의라고 하면서 사람들이 자신들의 도적적 행위로 인하여 의롭게되고 구원을 얻으려 한다고 해석하고 있다고 톰 라이트는 주장한다.
3) 샌더스는 “유대주의 안에서 유대인들이 율법을 지키려는 것은 항상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함이라는) 언약적 그림 안에서 행하여지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4) 하나님께서는 이미 유대주의와 언약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 사역을) 시작하셨기에 하나님의 은혜는 사람들 특히 유대인들이 (율법적 행위로) 반응하는 모든 것을 앞선다.
5) 따라서 유대인들은 (정통 개혁주의가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감사하는 뜻에서 율법을 지키는 것이며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선택하여 구원 사역을 시작하셨다는) 은혜에 대한 적절한 반응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유대인들이 율법을 지키는 것은) 언약 백성이 되고자 (율법을 지키는) 것이 아니고 언약 안에 머무르고자 (율법을 지키는) 것이다.
유대인들이 처음부터 언약 안에 있을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선물이다.
Judaism in Paul’s day was not, as has regularly been supposed, a religion of legalistic works-righteousness. If we imagine that it was, and that Paul was attacking it as if it was, we will do great violence to it and to him. Most Protestant exegetes had read Paul and Judaism as if Judaism was a form of the old heresy Pelagianism, according to which humans must pull themselves up by their moral bootstraps and thereby earn justification, righteousness, and salvation. No, said Sanders. Keeping the law within Judaism always functioned within a covenantal scheme. God took the initiative, when he made a covenant with Judaism; God’s grace thus precedes everything that people (specifically, Jews) do in response. The Jew keeps the law out of gratitude, as the proper response to grace—not, in other words, in order to get into the covenant people, but to stay in. Being ‘in’ in the first place was God’s gift.
- N. T. Wright, What Saint Paul Really Said: Was Paul of Tarsus the Real Founder of Christianity? (Grand Rapids: Eerdmans, 1997), p. 19;
바울이 서신서들, 특히 로마서나 갈라디아서를 통하여 유대인들에게 대하여 책망하였던 내용이 톰 라이트의 주장처럼 행위를 통하여 의를 얻고자 하는 펠라기우스적 유대인에 대한 책망이 아니었다면 전통적 개혁주의는 물론 종교 개혁을 통하여 형성된 개신교는 이제껏 모두 루터의 잘못된(?) 성경 해석을 근거로 한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된다.
톰 라이트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말처럼 “우리가 이제껏 복음을 잘못 이해하였다"라고 주장하는 톰 라이트가 맞다면 (절대로 맞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맞다고 가정해보면) 개혁주의는 다음가 같은 몇 가지 교리의 변화를 수반하여야만 할 것이다.
1)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속죄의 의미가 아닌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톰 라이트가 말하는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십자가의 보혈에 의한 속죄의 개념에 있는 것이 아니고 예수님께서 세상 권세를 대표하는 로마에 대하여 어떻게 행하시는지 본을 보여주심으로서 즉 정치적 희생을 당하심으로서 앞으로 하나님의 백성이 이 세상에 대하여 어떠한 자세로 살아가야 할 지를 예수님께서 손수 본을 보여주셨다는 것이다.
이렇게 세상 정부에 대항하여 희생되셨던 예수님을 성부 하나님이 받아주시고 부활시켜주셔서 성부 하나님이 이 세상에 대하여 승리를 선포하셨다는 것이다.
복음은 예수님을 통하여 하나님의 승리로 이 세상에 하나님 나라가 선포되었으므로 이제 (십자가의 보혈로 속죄함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이 아닌 톰 라이트가 말하는)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된 사람들은 어떻게 예수님을 본받으면 살아가야할지를 전하는 것으로 내용이 바뀌게되는 것이다.
여기서 예수님의 위치는 더 이상 믿음의 대상이 아니라 따름의 대상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2)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보혈 즉 피흘림의 속죄개념이 아니라 단지 희생의 개념으로 바뀐다.
톰 라이트가 말하는 인류에 들어온 아담의 죄는 하나님의 아브라함과의 언약을 통하여 이미 정리가 되었다는 것이다.
아담의 죄가 아브라함과의 언약을 통하여 정리가 되었으므로 이 땅에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셨을 때 이미 이스라엘 백성들은 의로운 상태에 있는 것이고 하나님의 은혜는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이미 임하셨다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상태가 맞다면 이러한 상황은 더 이상의 속죄를 요구할 필요가 없는 것이 된다.
3)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공생애의 중심은 십자가보다는 유월절 만찬이다?
그러면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신 이유가 무엇인가?
톰 라이트는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신것은 이스라엘이 순종치 못함으로 인해서 실제적으로 바벨론 포로 생활을 하고 있는데 (톰 라이트는 예수님께서 이땅에 오셨을 때 이스라엘이 실질적으로 바벨론 포로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포로생활을 청산시키고자 오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포로생활의 청산은 바로 유월절 식사를 통하여 유월절을 기념하며 이스라엘이 애굽의 종살이를 청산하였던 것을 상기시키면서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바벨론 포로생활을 하고있는 이스라엘의 해방을 선포하셨다는 것이다.
톰 라이트는 예수님의 가장 중요한 공생애 사역이 바로 유월절 만찬을 통한 이스라엘의 포로생활의 청산이라고 말하고있다.
4) 구원의 대상이 달라진다.
새관점의 근거는 아브라함 언약이다.
모든 민족이 아브라함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된다는 전재 아래서 구원이 대상이 모든 사람들, 더 나아가 모든 피조계의 회복을 의미하게된다.
개혁주의 전통에서는 창세전에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으로 말미암아서 성부 하나님께서 성자 하나님께 보낸 자들을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구원에 이르게 하시는 삼위 하나님의 작정의 대상에 한하여 구원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톰 라이트가 말하는 새관점에서는 그리스도의 정치적 희생으로 이 세상이 하나님의 나라로 선포되었기에 이 세상에는 하나님 나라 바깥에 있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게 되는 것이다.(Universalism-만인구원론)
이는 이머징 처치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주장하는 내용과 일치되며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이머징 처치의 하나님 나라 개념의 기초가 되고있다.
5) 교회론이 달라진다.
전통적 개혁주의에서는 그리스도의 보혈로 인하여 죄 사함을 받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은 자들이 모인 회중적 교회를 하나님의 나라와 연계시키고있다.
하지만 톰 라이트가 말하는 교회는 개인을 대상으로하는 회중적 교회가 아니라 모든 만물을 대상으로하는 우주적 교회를 말하는 것이다.
이 땅에는 하나님 나라 바깥에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주장하는 이머징 처치의 이론과 같이 결국 모든 이들이 하나님 나라 안에 있기에 톰 라이트가 말하는 하나님 나라 개념에서는 회중적 교회가 아닌 이머징 미셔널 처치에서 주장하는 우주적 교회론을 기초로하게되는 것이다.
6) 지옥의 개념이 없다.
모든 이들이 신앙고백과는 관계없이 하나님 나라 안에 있다는 새관점의 개념에서는 지옥은 실제하는 곳이 아니라 상징적 의미로 전락된다.
이머징 처치 운동을 하는 랍벨이 자신의 저서 “Love Wins”를 통하여 지옥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도 톰 라이트와 같은 개념을 가지고 있다.
톰 라이트는 오히려 카톨릭의 연옥의 개념을 부활시키고있다.
7) 믿음의 성격이 달라진다.
톰 라이트가 말하는 복음은 예수님께서 정치적 희생(?)으로 죽으셨는데 이를 부활시키심으로
이 땅의 권세를 하나님께서 자신의 발 아래 굴복 시킴으로 하나님께서 이 땅의 왕이 되셨다는 것이다.
새관점의 믿음은 예수님의 정치적 희생을 통하여 왕이 되신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선포되었다는 사실을 믿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믿음의 고백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되는 것과는 상관없는 것이 된다.
8) 세대주의적 발상이다.
전통적 개혁주의에서는 (역사적)이스라엘은 영적 이스라엘 즉 교회로 귀결되어야한다.
역사적 이스라엘은 실체가 되는 교회의 그림자인 것이다.
하지만 새관점의 해석대로라면 교회는 이스라엘 유대 공동체의 새로운 버전에 불과하다.
결국 유대 공동체가 교회의 원형이 되는 것이다.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 > 언약적 율법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법과 복음의 혼동(Confusing Law and Gospel) (0) | 2015.02.08 |
---|---|
톰 라이트의 새관점이 말하는 율법의 요구 (0) | 2014.09.26 |
언약적 율법주의(언약적 신율주의)란 무엇인가. (0) | 2014.09.26 |
마이클 호튼이 말하는 바울과 언약적 율법주의 (0) | 2014.09.26 |
새관점에서 보는 율법은 완전한 순종을 요구하는가? (0) | 201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