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학'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2.08 :: 율법과 복음의 혼동(Confusing Law and Gospel)

율법과 복음의 혼동(Confusing Law and Gospel)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patrick's pensees의 글을 요약 정리하면서 본인의 설명을 약간 추가한 글이다.

https://patrickspensees.wordpress.com/2010/02/11/confusing-law-and-gospel/

T. David Gordon은 모세 언약은 아브라함의 은혜 언약(Abrahamic covenant of grace)과는 종류에 있어서 다르다고 분명히 말한다. 또는 그는 모세 언약이 비록 다르게 경영(differently administered)되지만 은혜 언약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The most glaring example of this is T. David Gordon.  He explicitly states that the Mosaic Covenant differs in kind from the Abrahamic covenant of grace.  Yet he also says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part of the covenant of grace though differently administered.

(필자 Patrick은 모세 언약 가운데 은혜 언약이 포함되어있다는 T. David Gordon의 불분명한 논리에 대하여 마이클 호튼의 말을 예로 들면서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의 구별이 모세 언약에서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즉 모세 언약 자체는 행위 언약이지만 모세 언약에서 은혜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이유는, 모세 언약의 경영되는 목적이, 행위 언약을 모두 충족 시키신 분으로서 은혜의 근거가 되시는 그리스도께로 인도하는 율법의 기능이 있기에 율법 가운데 은혜의 속성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그리스도의 충족이 없다면 율법은 그 자체로 은혜가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이기에 은혜 언약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톰 라이트는 그리스도의 충족에 관계 없이 율법 자체에 은혜가 있다고 주장하기에 이에 대하여 마이클 호튼이 왜 톰 라이트가 성경을 잘못 해석 하였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마이클 호튼(Michael Horton)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내가 톰 라이트가 틀렸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가, 창세기 15장에서 아브라함과 맺어진 두가지 약속(현세에서의 땅과 국가적 유산)이 분명히 구별되는 두가지 언약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제대로 보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하나는 "이 모든 것을 우리가 행하리라"고 백성이 약속한 것과 같은 시내산 율법의 조건적 언약이고, 다른 하나는 참된 이스라엘, 즉 메시아이신 예수에 의하여 충족되어진 율법을 근거로한 은혜 언약이다.

where I think he [N.T. Wright] is wrong is on his failure to see how the two promises made to Abraham in Genesis 15 (earthly land and the inheritance of the nations) lead to two distinct covenants: the conditional covenant of law at Sinai, where the people swear, “All this we will do,” and the covenant of grace that is based on the fulfillment of the law by the True Israel, Jesus the Messiah


마이클 호튼에 의하면, 모세 언약은 은혜 언약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언약이라는 것이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WCF)을 지지하는 교수로서 모세 언약은 은혜 언약을 목적으로 운영(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the grace)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은 어떻게 행위/율법 언약이 은혜 언약과 구별될 수 있느냐이고, 또한 아브라함 언약에 대립적인 관계에 있으면서도 어떻게 은혜 언약을 목적으로 운영될 수 있느냐이다.

The question though is how a works/law covenant that is distinct from the covenant of grace and antithetical to the Abrahamic covenant can be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언약이 은혜 언약을 목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은혜, 즉 복음으로 운영되어야 하지 않는가?

In order for a covenant to be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does it not have to administer grace, that is, the gospel?

만약에 율법 언약이 은혜 언약을 목적으로 운영된다면 율법이 복음으로 향하여 운영되기에 율법을 복음이라고 말할 수는 없는가?

(율법이 복음이 될 수 없는 것은 율법이 은혜를 목적으로 운영되지만 그리스도의 은혜가 없이는 율법의 목적이 상실되기에 율법은 은혜에 이르기 위한 첫단추일 뿐이지 율법 자체가 복음 일 수는 없는 것이다.하지만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서는 율법이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한 은혜에 머물기 위한 수단 이기에 그리스도께 가지 않더라도 율법 안에서 은혜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So if the covenant of law is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wouldn’t that mean that law administers the gospel and thus law is the gospel?

나는(Patrick은) 유형과 그림자(땅은 새 하늘과 새 땅이 믿음으로 약속되고 상속 받는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드러내는 것과 같이)를 통하여 은혜로 향하게 하는 은혜스러운 언약이 은혜 언약을 위하여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 수 있다.

I understand how a gracious covenant that administers the gospel through types/shadows (land which is a type of the new heavens and new earth is promised and received by faith, etc.) can be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나는 또한 율법 언약이 죄를 드러냄으로서 어떻게 은혜 언약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알고 있다. 그러나 복음이 어떻게 행위/공로의 율법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다는 말인가?

어떻게 "이를 행하면 살리라?"가 "믿으라 그리하면 구원을 얻으리라"는 복음을 향하여 운영될 수 있단 말인가? 의심의 여지없이 대답은 유형학에 의해서다.

I can also see how a law covenant could serve (or be “subservient” to use an older term) the covenant of grace by exposing sin. But how can the gospel be administered by a law/works/meritorious covenant?)How does “do this and live” administer the gospel: “believe and you shall be saved”?  Undoubtedly, the answer will be by typology.

이 대답에 대한 문제는 율법 언약 자체가 언약 백성으로서의 은혜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율법은) 단순히 유형학적으로 어떻게 영생이 성취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율법은) 자체적으로 은혜를 향하여 운영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율법은 행위와 공로에 의한 언약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오직 은혜 언약만이 은혜로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roblem with this answer is that the law covenant itself does not administer grace to the covenant member. It simply demonstrates through typology how eternal life is achieved.  It is not itself an administration of grace.  After all, it is a law/works/meritorious covenant.  And only a gracious covenant can administer grace.  

행위 언약은 은혜로 운영될 수 없다. 그러므로 나(Patrick)에게는 율법 언약이 은혜 언약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이 신앙고백서의 언어를 잘못 사용한 것 같고 율법과 복음을 혼동한 것과 같이 느껴진다.

A works covenant cannot administer grace.  Hence, it seems to me that to call a law covenant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is to misuse the language of the Confession and to confuse law and gospel.

(주: 이 글에서 Patrick은 율법 자체는 행위 언약에 속하여있고 율법 자체가 은혜 언약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율법은 단지 유형학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질 때 복음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율법이 복음과 연계되어 질 때에만 비로소 율법이 은혜를 드러내게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율법의 역할에서 은혜로 administration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복음만이 은혜이고 율법 자체는 은혜가 아니며 율법은 복음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과정 가운데서만 은혜의 그림자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톰 라이트가 율법 자체에서 은혜를 찾고 있다는 것을 경계하며 마이클 호튼의 말을 덧붙이고있다.)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