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버 장로교회'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5.05.07 :: 하노버 장로교회의 혁명 이후의 기록들
두 왕국
2015. 5. 7. 13:19
하노버 장로교회의 혁명 이후의 기록들
The Post-Revolution Memorials of the Hanover Presbytery
The Post-Revolution Memorials of the Hanover Presbytery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240-244를 번역한 것이다.)
1785년까지 하노버 장로교회는 만장일치로 신앙의 자유에 대한 토머스 제퍼슨의 법령을 지지하였다.
By 1785, the Hanover Presbytery unanimously supported Thomas Jefferson’s Statute for Religious Freedom.
이러한 법령의 입법화에 있어서 장로교인들의 결정적 중요성과 버지니아에서의 연방정부 구성체의 첫 번째 법 개정이라는 사안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은 마땅히 신앙의 자유와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대한 새로운 미국민의 합의 안을 만드는데 주도적인 위치에 있기를 요구하였을 것이다.
Given the critical importance of the Presbyterians for the enactment of this statute and the importance of these events in Virginia for the articulation of the First Amendment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the Virginia Presbyterians may plausibly lay claim to being leaders in shaping the emerging American consensus on religious freedom and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이와 같은 요구는 물론 두 가지 미국의 전통에 관한 스투아르트 로빈슨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이었고 몇몇 다른 이들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논의를 하였다.
Such a claim of course concurs with Stuart Robinson’s thesis about the two American traditions, and some others have argued along these lines.
그러나 다른 많은 학자들은, 거의 10년 이상을 직면하여야 했던 매우 명확한 사건들에 대한 하노버 장로교회의 불분명한 태도와 내부 분열, 그리고 에매함등을 지적하면서, 상황을 이렇게 묘사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Many other scholars, however, have complicated this portrayal of things by noting the ambiguities, internal divisions, and waffling displayed by the Hanover Presbytery in response to the very concrete events that they faced over nearly a decade.
이러한 증거가 보여주는 것은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이 예상할 수 있는(혹은 바랄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몇 가지 중요한 신학적 교리들과 더불어, 상당할 정도로 사리사욕을 따라 움직였으며,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대한 현대적 생각에는 거의 미치지 못하는 것 만을 추구하였다.
This evidence suggests that the Virginia Presbyterians were not nearly as principled as might be suspected (or perhaps hoped) but operated, along with some significant theological doctrines, with a considerable degree of self-interest and sought something less than modern notions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1776년부터 1785년 사이에 장로회에서 주 의회에 보낸 일련의 기록들을 살펴보면 후자의 해석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된다. 나는 이제 이것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An examination of the series of memorials that the Presbytery sent to the state legislature between 1776 and 1785 seems to confirm the latter interpretation. I turn now to this examination.
살펴 보고자 하는 5가지 기록에 관하여 첫 번째로 주목해야 할 것은 그들이 모두 같은 특별한 문제에 대하여 위탁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항상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A first thing to notice about the five memorials under consideration is that they were not all addressing the same specific questions nor always taking the same position when they were.
1776년 10월 부터 시작된 첫 번째 논쟁은 새롭게 독립된 미국의 주에서 어떠한 형태의 신앙적 기관을 갖는 것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The first, from October, 1776, primarily argued against having any religious establishment in the newly independent American state.
1777년 4월의 장로회의 두 번째 기록에서는 주 의회로 하여금 신앙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의 일반 과세도 부과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것이었다.
In April, 1777, the Presbytery’s second memorial urged the legislature not to impose any general assessment, that is, a tax to support religious activity.
그러나 7년 후의 3번째 기록에서는 국가로 하여금 신앙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는 데는 관여하지 않고 오히려 주 의회가 감독 교회에 주어진 국가적 특혜를 제거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 비난을 하고 있었다.
Seven years later, however, the third memorial was not really concerned about getting the state out of religion but instead berated the legislature for failure to remove all civil preferences given to the Episcopalian church.
이러한 관심의 미묘한 변화는 1784년 10월의 기록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This subtle change in focus became more explicit in the fourth memorial, of October, 1784.
두 번째 기록에서는 일반 과세의 개념을 전적으로 거부했지만, 네 번째 문서에서는 모든 교단의 성직자 법인체 설립에 대한 요구를 거부한 반면에 공평을 기초로 하여 회중 교회를 따라서 이익을 약속하는 일반 과세에는 동의를 하고 있다.
Whereas the second memorial had rejected entirely the idea of a general assessment, the fourth rejected a call for the incorporation of clergy from all denominations but gave its approval to a general assessment that promised to benefit them along with the Episcopalians on an equitable basis.
그러나 1년도 안 지난 1785년 8월에는 여기에 대한 의견을 바꾸어서 다시 일반 과세를 거부하고 종교적 자유를 위한 법령을 채택할 것을 요구하였다.
Yet less than a year later, in August of 1785, the Presbytery changed its advice and again rejected the general assessment and called for adoption of the Statute for Religious Freedom.
이 10년 간의 일들을 간단히 요약하면,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은 처음에는 어떠한 국교로서의 교회도 요구하지 않았고 어떠한 교회에도 주 정부에서 도와줄 것을 요구하지 않았으나, 그 다음에는 태도를 바꾸어서 주 정부가 회중교회에 특혜를 주는 것을 불평하였고 자신들이 포함되는 조건으로 일반과세를 지지하게 되었으나, 그 다음에는 처음의 생각으로 다시 되돌아오게 되었다.
To put this decade-long drama in brief, the Virginia Presbyterians initially called for no established church and no state support for any church, then turned their attention to complain about state preference for the Episcopalians and to support a general assessment so long as they were included, and then reverted back to their original sentiments.
이것은 비록 그들이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였던 것에 대하여 절대로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은 마땅히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가 어떠하여야 하는지 분명하고 일관성있는 관점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This suggests that though they were certainly never shy about seeking their own interests, the Virginia Presbyterians lacked a clear and consistent view of what church-state relations ought to look like.
이것은 장로회가 입법부에 다양한 요구를 하는데 있어서 무슨 근거로 하는 지에 대한 질문을 가져오게 한다.
This raises the question as to what rationales the Presbytery presented to the legislature in making its various appeals.
그 대답으로는, 개혁주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신학적이고 교회학적인 논의로부터 시작해서 그 상황에서 자신들의 제안이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맞추는 실용적인 관심들에까지 상당히 많이 있다.
The answer is that it offered a great number of them, from theological and ecclesiological arguments grounded in the Reformed tradition to political and pragmatic concerns geared to win sympathy to their cause at the moment.
비록 그들의 추론하는 방식들이 다른 방법으로 잘 분류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나는 정치적이고 실용적으로는 최소한 6가지 종류로 분류 될 수 있고 신학적이고 교회학적으로는 최소 5가지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해본다.
Though their ways of reasoning might well be classified in different ways, I identify at least six distinct sorts of arguments that could be categorized as political or pragmatic and at least five as theological or ecclesiological.
내가 정치적이라고 확인한 3가지 종류의 논점들은 전통적 개혁주의 범주로부터 출발 된 것이 아니라 유럽 계몽주의의 수사학에 좀 더 신세를 지고 임을 주목해야 한다.
The three sorts of arguments that I identify as political are notable for owing more to the rhetoric of the European Enlightenment than to anything emanating from traditional Reformed circles.
사실 여러 경우에 활용이 된 한 가지는, 입법부로 하여금 자신들이 계몽주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시대적 과제들을 고려하는데 있어서 철학적이고 자유적인 통찰력을 실행하여야 함을 상기시킨다.
In fact, one sort, utilized on several occasions, reminded the legislature that they live in an “enlightened age” and should exercise “philosophic and liberal discernment” in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issues.
두 번째로 장로회는 법률 제정자들에게 모든 사람이 자신들의 양심에 따라 신앙을 실천하는 빼앗길 수 없는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할 것을 갑절로 요구하였다.
Second, the Presbytery twice called upon the lawmakers to recognize the “unalienable” right of all people to practice religion according to the dictates of their conscience.
세 번째로, 이들 장로교인들은 휘그당원들의 주된 논쟁들이 국가와 신앙의 자유 사이의 연계성의 필요에 관계 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즉 후자(신앙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은 전자(국가)를 뒷받침해주는 것이며, 버지니아의 혁명 정신은 양쪽 모두를 증진 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And third, these Presbyterians repeatedly asserted the popular Whig contention concerning the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civil and religious liberty: protecting the latter supports the former, and the revolutionary spirit of Virginia entails the promotion of both.
이 세 종류의 실용적인 논의들은, 예상 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필요의 절박함에 따라서 다른 입장을 지지한다.
The three sorts of pragmatic arguments support, as one might expect,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 need of the hour.
한편으로는, 첫 번째와 마지막 기록에서 국가로 하여금 교회와 교회의 일들에 관여하지 않도록 설득하고있는 것을 볼 때, 장로회에서는 입법부로 하여금 신앙의 국교화는 보편적인 선을 해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가르치고 있었다.
On the one hand, when seeking to persuade the state to get its hands off the church and its affairs in the first and last memorials, the Presbytery instructed the legislature that religious establishments tend to harm the common good.
다른 한편으로는, 일반 과세의 수익의 몫을 얻어내는 입장에 설 때는, 장로회에서는 국가가 교회와 동맹 할 것을 모색하여야 하며 국가의 관점에 협조할 것을 요청하여야 하는데, 이는 교회가 공공의 도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맹세한 것들이 더욱 진지하게 행하여지기를 북돋우고 있다는 것을 근거로 주장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positioning itself to get a share of the revenue from a general assessment, the Presbytery asserted that the state should “seek its [the churches’] alliance and solicit its aid in a civil view,” on the grounds that churches have a positive effect upon public morality and encourage oaths to be taken more seriously.
다른 방식으로는, 일종의 극단적인 논쟁을 통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입법부에게 필히 경고 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일단 그들이 하나의 신앙 단체를 지지하고 좋아할 수 있는 근거를 채택한다면, 같은 근거들이 그들이 원치 않는 모든 종류의 결과들을 정당화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In a different vein, it utilized what might be considered a kind of reductio ad absurdum argument, essentially warning the legislature that once they embraced rationales to support and favor one religious group those same rationales could serve to justify all sorts of results that they would never desire.
방향을 다른 곳으로 돌리면, 이것은 다음의 양쪽을 논하고 있는 것인데, 기독교의 국교화를 지지할 수 있는 논의는 이슬람의 국교화를 지지할 수 있는 논의가 될 수 있고, 국가로 하여금 기독교와 다른 종교들 간의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은 역시 기독교의 다른 형태들 사이에 판단 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이된다.
Moving in different directions, it argued both that any argument that coul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ity could als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Islam and that making the state competent to judge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would also make it competent to judge between different forms of Christianity.
장로회에서 사용하였던 많은 신학적이고 교회학적인 근거들이 자신들이 상속자인 개혁주의 두 왕국 전통을 보여주고있다.
Many of the theological and ecclesiological rationales utilized by the Presbytery reflect the Reformed two kingdoms tradition of which they were heirs.
첫 번째로, 그들은 그리스도의 나라의 영적인 특성에 호소하고 있다.
First, they appealed to the spiritual nature of Christ’s kingdom.
두 번째는 역으로, 그들은 입법부로 하여금 그(그리스도의 나라) 자체의 권위는 오직 국가와 세속에 있음을 상기토록 한다.
Conversely, and secondly, they also reminded the legislature that its own authority was only “civil” and “temporal.”
논의의 세 번째는 내가 이미 여러 초기 개혁주의 신학자들 사이의 부조화에 대하여 지적하였던 주제들에 관여 된 것이다.
A third sort of argument gets to an issue which I have noted as a point of incoherence among several earlier Reformed theologians.
코튼과 그의 많은 동료들이 (신학적 훈련을 받지 않은) 통치자가 신앙의 순수성을 보호하기 위한 자신들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정확한 신학적 판단을 수행하여야 할 것을 요구하였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하노버 장로 교회에서는 최소한 한 때는 국가의 통치자가 특혜를 받을 필요가 없는 다른 기독교회들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하여 불신임을 하였는데, 이렇게 신뢰의 권위를 세우지 못한다면 이는 우리를 다시 로마 교회로 되돌리는 것이다.
Whereas Cotton and many of his contemporaries required (non-theologically trained) magistrates to make rather precise theological judgments in order to carry out their duty to protect religious purity, the Hanover Presbytery on at least one occasion dismissed the civil magistrate as incompetent to judge which of the different Christian churches deserved preference, without, that is, “erecting a chair of infallibility, which would lead us back to the church of Rome.”
네 번째 신학적 논쟁은, 내가 초기 개혁주의 전통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던 것을 바로 잡고 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A fourth sort of theological argument is also noteworthy in that it too corrects a matter that I have identified as a point of seeming incoherence in the earlier Reformed tradition.
그들의 개혁주의 선조들은 신앙의 유혹자들로부터 성도를 보호하기 위하여 국가 통치자의 무력에 의존하였던 반면에,버지니아 장로교회는 대부분의 기록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교회와 복음은 하나님의 섭리와 약속들에 의존하고 있기에 하나님께서 지명하신 일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치자의 도움을 필요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Whereas their Reformed forebears had turned to the civil magistrate’s sword to protect the flock from religious seduction, the Virginia Presbyterians in almost all of their memorials asserted that the church and its gospel, resting on the providence and promises of God, did not need the magistrate’s assistance in order to accomplish its divinely appointed tasks.
마지막으로, 장로교회에서는 법인체 구성에 대한 제안이나, 특별히 법적인 승인을 해주어야 하는 일이나, 복음을 다스리는 일이나, 심지어는 모든 개신교 교파를 다스리는 일을 포함시켜야한다는 것에 대하여 격렬하게 반대하는 논쟁을 벌였다.
Finally, the Presbytery argued vigorously against a proposal to incorporate, or give special legal recognition to, ministers of the gospel, even if ministers of all Protestant denominations were included.
성직은 국가 정부에서 보다는 더 높은 근원으로부터 자신들의 권위가 유래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는 그들의 국가적 장점과는 전적으로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국가가 (세속이든 성직이든) 시민들 간의 구별을 하려는 힘을 부인한다.
Asserting that ministers derive their authority from a higher source than the civil government and are entrusted with the care of souls and other spiritual things, it denied to the state the power to make a distinction among citizens (laical and clerical) “on account of something entirely foreign from civil merit.”
요약하자면, 하노버 장로교회가 취하고 있는 논의들은 잘 선별 되지 않는다면 아무 것도 아닌 것처럼 보일 수가 있다.
In summary, the arguments employed by the Hanover Presbytery seem nothing if not eclectic.
그들은 개혁주의 두 왕국 전통에 근거한 고찰들을 하면서, 심지어 자신들이 적용하고 있는 것들이 그들의 많은 선조들보다도 더욱 명확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그리고 이것들을 유럽의 계몽주의 철학적 사고와 잠재적인 실천의 과정에서의 역효과를 실용적으로 변형 시킨 것에서 유래한 설득들을 서로 뒤섞어 사용하고 있다.
They take considerations drawn from the Reformed two kingdoms tradition, even seeing their application with greater clarity than many of their predecessors, and combine them with appeals drawn from philosophical notions of the European Enlightenment and from pragmatic hunches about the ill effects of potential courses of action.
가끔은 서로 다른 선상의 논의가 뒤에서는 서로 재미있게 뒤섞이고 있다.
Sometimes the different lines of argument are combined in ways that seem amusing in hindsight.
예를 들어서, 장로교회는 한 점에서는 성직자의 직책과 의무의 영적인 특성을 말하면서도- 부인 할 수 없는 신학적 주장으로서- 그러고 나서는 자신들이 이해하고 있는 논리를 통치자의 “철학적이고 자유적인 분별”에 의존하여 설득하고 있다.
For example, the Presbytery at one point spoke about the spiritual nature of the ministerial office and duties — an undeniably theological claim — and then appealed to the legislature’s “philosophical and liberal discernment” as reason why they should understand this.
비록 버지니아 장로교회가 자신들의 이전의 전통에서는 인식하지 못하였던 복잡한 관계들을 보기 시작하였다는데 대하여 분명한 논의가 있을 수 밖에 없지만, 그들은 최소한 어떤 다른 교파들이 받아보지 못하였던 특혜를 받음으로서 직접적으로 국가에서의 신앙의 환경이 개선 될 수 있는 복을 누릴 수 있었던 지독한 유혹의 과정들이 있었다는 사실도 설명하여야 할 것이다.
Though an argument can certainly be made that these Virginia Presbyterians began to see implications of the two kingdoms framework that their earlier tradition had not perceived, one must also account for the fact that they were at least sorely tempted throughout the process to bless direct civil promotion of religion on the condition that no other denomination was given preference over them
'두 왕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나라의 성격과 속성 (0) | 2017.08.15 |
---|---|
핫지와 돈웰이 말하는 교회 권위의 한계들 (0) | 2015.05.25 |
교회 권력과 구분되는 국가 권력의 5가지 특징점들 (0) | 2015.05.16 |
스투아르트 로빈슨이 말하는 교회의 속성과 권위 (0) | 201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