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블리케이션 교리 2016. 1. 16. 22:24

클라인이 말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해설- 찰스 리 아이언

Kline on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An Exposition


Charles Lee Irons, Ph.D.

4/ 25/ 2015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 논문은 모세 언약의 주제에 관한 메리데스 클라인의 개관과 해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and exposition of Meredith G. Kline’s thought on the subject of the Mosaic covenant.


이것은 다음과 같이 3부로 구성되어있다:

It is structured in three parts:


1부: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의 개관

Part I: An Overview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2부: 클라인의 관점에 대한 5가지 오해에 대한 응답들

Part II: Responses to Five Misrepresentations of Kline’s View


3부: 왜 이 주제가 클라인에게 중요했었는지에 대한 5가지 이유들

Part III: Five Reasons Why This Issue Was Important to Kline


이것은 원래 내가 2015년 3월 22일부터 2015년 4월3일까지 블로그 게시글의 시리즈였었는데, 이 게시글들 모두를 이 문서에 합쳐 넣은 것이다.

This was originally a series of blog posts that I began on March 22, 2015 and completed on April 3, 2015.1 I have combined all of the posts into this document.


그것들은 약간 교정하여 다시 만든 것이다.

They are reproduced here with slight edits.


이 논문의 인용들은 클라인의 다음의 책들과 논문들에서 가져왔으며, 책들은 다음과 같은 약어를 사용하여 인용하였다.

The quotes in this paper are drawn from the following books and articles by Kline, and the books are cited using the abbreviations noted here:


By Oath Consigned (= BOC)

Glory in Our Midst (= GOM)

God, Heaven and Har Magedon (= GHHM)

Kingdom Prologue (= KP)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 (= SBA)

“Of Works and Grace”(1983) 2–Kline’s critical review of a book by Daniel Fuller “The Gospel until the Law: Rom 5: 13-14 and the Old Covenant”(1991) 3 “Covenant Theology Under Attack”(1994) 4


이 논문의 배경으로 한 가지 중요한 것은, 모세 경륜에 있어서의 행위 원리의 주제에 관하여 클라인이 핵심적으로 인용한 것들을  대부분 포함시켜서 함축해 놓은 17페이지의 문서다.

An important piece of background to this paper is a 17-page document that I compiled containing most of the key quotes by Kline on the topic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5


이글은 이러한 인용들을 기초로하여서,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을 나열하고서 설명하려는 나의 시도다.

This paper is my attempt to provide an exposition and explanation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based on those quotes.


나는 독자들에게 관련 자료들 내려받아서 그것을 먼저 읽을 것을 권하고자 한다.

I would encourage the reader to download that companion document and read it first.

( 여기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역자)


클라인 자신의 언어로 듣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o hear Kline in his own words.



1부: 모세 언약에 관한 클라인의 관점의 개관

Part I: An Overview of Kline’s View of the Mosaic Covenant


A. 클라인의 관점에 대한 간력한 진술

A. Brief Statement of Kline’s View


모세 경륜에 있어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클라인의 관점은 무엇인가?

What is Kline’s view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Kingdom Prologue로부터의 다음의 단락은 이를 매우 명료하게  진술해주고 있다.

This paragraph from Kingdom Prologue provides an excellent brief statement:


"모세 경륜은,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련이 있는 근원적인 수준에서는 은혜의 통치이면서, 동시에 임시적이고 유형학적인 나라의 수준에서는 공로의 원리에 근거하였다.

“The Mosaic economy, while an administration of grace on its fundamental level of concern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was at the same time on its temporary, typological kingdom level informed by the principle of works.

그러므로, 예를 들자면, 사도 바울은 로마서 10:4과 갈라디아서 3:10에서 율법의 옛 명령을 은혜와 믿음의 복음의 명령과 비교하면서, 옛 언약을 하나의 속박, 저주, 그리고 죽음으로 규정하고 있다(고후3:6-9; 갈4:24-36).

Thus, for example, the apostle Paul in Romans 10: 4ff. and Galatians 3: 10ff. (cf. Rom 9: 32) contrasts the old order of the law with the gospel order of grace and faith, identifying the old covenant as one of bondage, condemnation, and death (cf. 2 Cor 3: 6-9; Gal 4: 24-26).


옛 언약은 율법으로서, 은혜-믿음과 대립되는 것이며, 타락 후의 세상에서 이것은, 필요한 공로적 순종을 유지해야 하는데 있어서 죄악된 이스라엘이 실패한 결과에서와 같이, 저주의 통치로 드러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old covenant was law, the opposite of grace-faith, and in the postlapsarian world that meant it would turn out to be an administration of condemnation as a consequence of sinful Israel’s failure to maintain the necessary meritorious obedience.


옛 유형학적 나라가 그리스도 안에서 주권적 은혜로 보호되었다면,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국가적인 선택을 잃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Had the old typological kingdom been secured by sovereign grace in Christ, Israel would not have lost her national election.


이스라엘의 타락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제한적인 통치 원리로서 은혜가 아닌 공로가 요구된다.(KP109)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Israel’s fall demands works, not grace, 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KP 109).


클라인에게있어서, 모세 경륜은 두 층의 케익과 같다.

For Kline, the Mosaic economy is like a two-layer cake.


이것은 (1)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되는 기저층과 (2) 땅에서의 이스라엘의 존속과 관계되는 꼭대기 상층으로 구성되어있다.

It has (1) a foundational layer that has to do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and (2) a superimposed top layer that has to do with Israel’s retention of the land.


기저층은 은혜의 지배를 받으며, 상층은 공로의 지배를 받는다.

The foundational layer is governed by grace; the top layer is governed by works.


기저층은 창3:15에서 약속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은혜 언약에 의한 통치이며, 아브라함 언약으로 공식적으로 확립되었으며, 그리스도 안에서 새 언약으로 성취되었다.

The foundational layer is an administration of the one covenant of grace that begins as a promise in Gen 3: 15, is formally established in the Abrahamic covenant, and is fulfilled in the new covenant in Christ.


상부층은 유형학적인 나라와 관계가 있으며,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은 땅에서 성전 한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을 즐거워하였다.

The superimposed layer has to do with the typological kingdom that national Israel enjoyed with God dwelling in her midst in the temple in the land.


기저부는 개인적인 이스라엘 사람의 구원과 관계가 있었다.

The underlying level has to do with the salvation of the individual Israelite.


상부층은 국가로서, 협력체로서의 이스라엘과 관계가 있었다.

The superimposed layer has to do with Israel as a corporate whole, as a nation.


클라인의 생각에, 상부층이 행위 원리에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핵심적인 것 중의 하나는, 이스라엘이 모세법을 지키는 것에서 실패함으로서 땅에서 추방되었으며, 또한 자신의 국가적 선택을 상실하였다는 것, 즉 상부층을 상실하였다는 사실이다.

One of the key things , in Kline’s mind, that proves that the superimposed layer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is the fact that Israel failed to keep the Mosaic law, was exiled from the land, and lost her national election –i.e., lost the top layer.


(아담의 실패와 타락과 같이) 이스라엘의 실패와 타락을 설명하는 유일한 방법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이 (아담과 같이) 행위 언약 아래에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더 보면:

The only way to explain the failure and fall of Israel (like the failure and fall of Adam) is to recognize that Israel as a nation was under a covenant of works (like Adam). Again:


"옛 유형학적 나라가 그리스도 안에서 주권적 은혜로 보호되었다면,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국가적인 선택을 잃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스라엘의 타락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제한적인 통치 원리로서 은혜가 아닌 공로가 요구된다."

“Had the old typological kingdom been secured by sovereign grace in Christ, Israel would not have lost her national election.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Israel’s fall demands works, not grace, as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principle”(KP 109).


당신은 이것을 인정하여야만 하며, 이것은 매우 좋은 논의인 것이다!

You have to admit, that is a pretty good argument!


그리스도 안에서의 영원한 생명과 구원은 상실될 수 없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한 완전한 성취인, 그의 공로로 보증이 되었기 때문이다.

Eternal life and salvation in Christ can never be lost, because it is guaranteed by Christ’s perfect fulfillment of the law, his merit.


천국은 택함 받은 이들을 위하여 이루어졌으며, 이는 빼앗길 수 없으며, 그리스도 안에서 안전하며, 그리고 취소될 수 없는 것이다.

Heaven has been earned for the elect as a non-forfeitable possession, secured in Christ, and irrevocable.


구원은 우리의 순종을 요구하지 않는다.

Salvation is not conditional on our obedience.


그러나 이스라엘의 땅의 소유는 빼앗길 수 있으며 취소될 수 있다.

Israel’s possession of the land, however, was forfeitable and revocable.


이것은 이스라엘의 순종을 요구한다.

It was conditional on Israel’s obedience.


그러므로 통제하는 통치 원리는 은혜가 아닌 행위임이 틀림없다.

Therefore, the controlling administrative principle must have been works, not grace.


B. 두 겹의 케이크

B. The Two-Layer Cake


클라인이 모세 경륜을 두 겹의 케이크로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Kline viewed the Mosaic economy as a two-layer cake.


하부 층(그는 이를 "기저부"라고 부른다)은 은혜의 통치로서 선택 받은 이스라엘 사람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가 있다.

The underlying layer (what he called “the substratum”) is an administration of grace having to do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elect Israelites.


상부 층은 그가 "유형적 나라"라고 부르는 것이다.

The overlying layer is what he called “the typal kingdom.”


유형적 나라는 이스라엘의 땅으로서, 영토는 하나님께 거룩하게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신정 국가로 기능을 하며, 하나님께서 머무시고 왕으로서 자기 백성들을 다스리시는 중앙의 성전에 집중되어있다.

The typal kingdom is the land of Israel, a territory completely set apart as holy unto God, functioning as a theocracy, focused on the central temple where God dwells and reigns as King over his people.


이것은 새 하늘과 새 땅이라는 종말론적 나라의 묘사이며 유형이다.

It is a picture or type of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새 하늘과 새 땅이 모든 악으로부터 벗어나서, "그 안에 의가 거하는" 새로운 피조물(베후3:13)이듯이, 이스라엘이라는 유형적 나라는 가나안 사람들과 우상 숭배자들을 제거되었어야만했다.

Just as the new heavens and new earth will be free from all evil, a new creation “in which righteousness dwells”(2 Pet 3: 13), so the typal kingdom of Israel was to be rid of Canaanites and idolaters.


종말론적인 나라가 깨끗케하는 심판으로 도래를 알리게 될 것인 것과같이, 유형적 나라는, 여호수아의 정복과 땅에서의 우상숭배하는 거민들을 파괴하는데 헌심함으로서, 도래를 알려 주었었다.

Just as the eschatological kingdom will be ushered in by purifying judgment, so the typal kingdom was ushered in by Joshua’s conquest and the devoting of the idolatrous inhabitants of the land to destruction.


당신은 혹시 클라인이 이러한 두 겹의 비유를 어디에서 가져왔는지 궁금해 할 수도 있다.

You might be wondering where Kline got this two-layer metaphor.


첫째는 클라인 자신이 만든 순수한 가시적 비유인 것 같다.

At first it looks like a neat visual metaphor that Kline just made up.


그는 매우 가시적이고 시적인 사색가였기에 이것은 그럴듯한 이론이다.

He was a very visual and poetic thinker, so it is a plausible theory.


그러나 클라인의 두 겹의 케이크 이론에는 해석학적인 근거와 성경신학적인 근거가 있다.

However, there is both an exegetical basis and a biblical-theological basis for Kline’s two-layer cake.


(1) 해석학적인 근거

(1) Its Exegetical Basis


클라인은 두 겹의 비유를 바울의 갈3:15-19에서 가져왔으며, 거기서 바울은 아브라함 언약이 모세법의 도래로 인하여 취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약속을 율법을 지키는 것에 의존하게 끔 만듬으로서 모세법이 아브라함 언약의 의미를 바꾸지도 않았음을 말하고있다.

Kline got the two-layer metaphor from Paul in Gal 3: 15-19, where he teaches that the Abrahamic covenant was not annulled by the coming of the Mosaic law, nor did the Mosaic law change the terms of the Abrahamic covenant by making the promise dependent on law-keeping.


그보다는, 율법이 아브라함 언약에서 약속된 씨가 오기까지 더하여지거나 덧붙여진(19절)것이다.

Rather, the law was “added”or “superimposed”(v 19) until the coming of the Seed promised in the Abrahamic covenant.


여기에 그 구절이 있다.

Here is the paragraph:


15  형제들아 내가 사람의 예대로 말하노니 사람의 언약이라도 정한 후에는 아무도 폐하거나 더하거나 하지 못하느니라 16  이 약속들은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말씀하신 것인데 여럿을 가리켜 그 자손들이라 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한 사람을 가리켜 네 자손이라 하셨으니 곧 그리스도라 17  내가 이것을 말하노니 하나님께서 미리 정하신 언약을 사백삼십 년 후에 생긴 율법이 폐기하지 못하고 그 약속을 헛되게 하지 못하리라 18  만일 그 유업이 율법에서 난 것이면 약속에서 난 것이 아니리라 그러나 하나님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아브라함에게 주신 것이라 19  그런즉 율법은 무엇이냐 범법하므로 더하여진 것이라 천사들을 통하여 한 중보자의 손으로 베푸신 것인데 약속하신 자손이 오시기까지 있을 것이라

15 To give a human example, brothers: even with a man-made covenant, no one annuls it or adds to it (ἐπιδιατάσσεται) once it has been ratified. 16 Now the promises were made to Abraham and to his offspring. It does not say, “And to offsprings,”referring to many, but referring to one,“And to your offspring,”who is Christ. 17 This is what I mean: the law, which came 430 years afterward, does not annul a covenant previously ratified by God, so as to make the promise void. 18 For if the inheritance comes by the law, it no longer comes by promise; but God gave it to Abraham by a promise. 19 Why then the law? It was added (προσετέθη) because of transgressions, until the offspring should come to whom the promise had been made. (ESV)


18절이 중요하다:" 만일 그 유업이 율법에서 난 것이면 약속에서 난 것이 아니리라 그러나 하나님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아브라함에게 주신 것이라" 이 구절에서는 바울에게 있어서 "율법"과 "약속"이 서로 상반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있다.

Verse 18 is critical: “For if the inheritance comes by the law, it no longer comes by promise; but God gave it to Abraham by a promise.”This verse makes clear that for Paul “the law”and “the promise”are opposed to one another.


하나는 행위에 의한 유업이며, 다른 하나는 은혜에 의한 것이다.

In the one, the inheritance is by works; in the other, it is by grace.


그리고 아직은 아무튼 두가지 원리가, 비록 모세 시대에 공존하였었지만, 궁극적으로 충돌되는 것은 아니다.

And yet somehow the two principles, though coexisting in the Mosaic era, are not ultimately in conflict.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How can this be?


알아야 할 핵심은 두개의 다른 헬라어가 "더 하다(add to)"와 "덧붙이다(add)"와 같이 영어로 비슷하게 번역되었다는 것이다.

The key is to note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Greek verbs translated similarly in English as “add to”and “add.”


ESV에서 "더 하다(add to)"로 번역된 첫 번째 동사,ἐπιδιατάσσομαι (v 15)는, 언약(혹은 의도)에 후에 추가되어 더하여진 기술적인 의미이며 이는 언약(혹은 의도)의 의미를 바꾸어 버린다.

The first verb, ἐπιδιατάσσομαι (v 15), rendered by the ESV as “add to,”is a technical term for adding a later codicil to a covenant (or will) that changes the terms of the covenant (or will).


NASB의 번역, "그것에 조건을 더한다",가 좀 더 정확하다.

The NASB’s rendering, “adds conditions to it,”is more precise.


두 번째 동사, προστίθημι (v 19)는 ESV에서 "더하다 (add)"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다른 느낌을 가지고 있다.

The second verb, προστίθημι (v 19), rendered by the ESV as “add,”has a different nuance.


이 문맥에서 이는 임시적이고 제거 가능한 웃덮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율법이 밑바탕의 아브라함 언약을 제거하거나 변형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더하여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In this context it has the sense of a temporary, removable overlay, since it is clear that the law was “added”in such a way that it did not annul or modify the underlying Abrahamic covenant.


이것은 "씨가 반드시 올 때까지"라는 관점의 한계에서 주어진 것이다.

It was given with a terminus in view,“until the Seed should come.”


혹은, 바울이 몇 구절 뒤에 설명하려는 바와같이, 율법은 "아버지께서 정하신 날까지" 이스라엘의 미성년기의 안내자 혹은 교사였다.

Or, as Paul will explain a few verses later, the law was a guardian or pedagogue for Israel in her minority “until the date set by the father”(Gal 3: 24; 4: 2).


시간이 다 채워졌을 때,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아들을 보내셔서, 여자에게서 나게 하셨으며, 율법 아래 나게 하셨으며, 그럼으로서 그들과 항상 함께 있었던 아브라함과의 약속이 성취될 수가 있었으며, 그럼으로서 하나님의 백성이 종들로서가 아니라 아들들로서 유업을 이어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갈4:1-7)

In the fullness of time, God sent forth his Son, born of a woman, born under the law, so that the Abrahamic promise, which was there all along, might be brought to fulfillment and the people of God might take up the inheritance no longer as slaves but as sons (Gal 4: 1-7).


이렇게 율법에 의한 유업의 원리와 은혜에 의한 유업의 원리가, 율법이 약속을 취소시키거나 무효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모세 시대에 공존하였는데, 이는 율법이 아브라함 언약의 의미를 변경시키는 부록으로서가 아니라 임시적 덧입힘으로 더하여졌기 때문이다.

So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law and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grace coexisted in the Mosaic era, without the law canceling or annulling the promise, because the law was “added”as a temporary overlay but not as a codicil that modified the terms of the Abrahamic covenant.


클라인은 자신의 저술들에서 반복적으로 이 핵심 구절(갈3:15-19)을 말하고 있다.예를 들어서:

Kline appeals to this key passage (Gal 3: 15-19) again and again in his writings. For example:


"고전적 언약 이해에 있어서, 430년 후에 온 율법이 약속을 무효화 시키지 않은 것은 (갈3:17)- 옛 언약이 실제로 영향력 있는 행위 원리를 창출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고, 행위와 믿음이 모세 경륜에서 두 가지 다른 수준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Gospel until the Law,”436)

“On the classic covenantal understanding, the law that came 430 years later did not disannul the promise (Gal 3: 17) –not because the old covenant did not really introduce an operative works principle, but because works and faith were operating on two different levels in the Mosaic economy”(“Gospel until the Law,”436).


(2) 성경-신학적 근거

(2) Its Biblical-Theological Basis


클라인은 두 겹의 비유를 바울의 갈 3: 15-19로부터 이끌어내었을 뿐만이 아니라, 그는 더 나아가 아브라함 언약 자체를 성경-신학적으로 자신이 분석한 비유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Not only did Kline derive the two-layer metaphor from Paul in Gal 3: 15-19, but he further developed the metaphor by his biblical-theological analysis of the Abrahamic covenant itself.


아브라함 언약은 씨와 땅에 관련된 하나님의 약속이었다.

The Abrahamic covenant was God’s promise concerning the seed and the land.


모든 이들이 이것을 알고있다.

Everyone knows that.


그러나 가장 실수하는 것은 (특히 세대주의자들) 아브라함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은 두 단계로 성취되었다는 것이다.

However, what most miss (especially dispensationalists) is that God’s promise to Abraham was fulfilled in two stages.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민족(씨)의 형성과 이 민족을 약속의 땅으로 데리고 옴으로서 역사 가운데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The first-level fulfillment was unfolded historically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 (the seed) and the bringing of the nation into the promised land.


아브라함 약속의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실제적으로 긴 과정으로서, 출애굽으로부터 시작하여, 가나안의 정복으로 이어지고, 많은 세대들에 걸쳐서 가나안 족속을 하나님의 거룩한 영역으로부터 쫓아내며, 성전이 완성되었을때인 솔로몬에서 절정에 이른다.

This first-level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promise is actually a long process that begins with the exodus, continues in the conquest of Canaan, takes many generations to drive out the Canaanites from God’s holy realm, and culminates under Solomon when the temple is finished.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께서 거룩한 땅에서, 그의 백성 가운데, 그의 거룩하신 성전에서, 다윗의 기름부음 받은  아들인 그가 지명하신 혈족의 왕을 통하여 그의 권위가 실행되어짐으로서, 최종적으로 도달 되는 것이다.

The kingdom of God finally arrived when God was dwelling in the midst of his people, in his holy temple, in the holy land, and exercising his authority through his appointed vassal king, the anointed son of David.


그러나 이러한 첫 번째 단계의 성취는 참된 성취가 아니었다.

But this first-level fulfillment was not the true fulfillment.


이것은 앞서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종말론적 완성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유형적인 나라"일 뿐이었다.

It was only a “typal kingdom”pointing ahead to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in Christ.


그리스도는 약속이 언급하고 있는 참된 "씨"이며(갈3:16), 그리스도께 속하여있는 모두는 종합적인 의미에서 아브라함의 자녀인 것이다(갈 3:29).

Christ is really “the Seed”that the promise referred to (Gal 3: 16), and all who belong to Christ are Abraham’s offspring in the collective sense (Gal 3: 29).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즉 하나님께서 거룩한 나라로서 그 안에 거하실 땅은, 어떤 이 지상의 실제적 유산이 아니라 새 하늘과 새 땅인 것이다(히브리서11장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다).

And the land that God promised Abraham, with God dwelling in it as a holy kingdom, was not some earthly real estate but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as Hebrews 11 makes clear).


그리고 이미, 첫 번째 단계가 성취되는 시간 모두에서, 경건한 개인적인 이스라엘 세대들은 유형과 그림자를 통해서, 특히 희생 제도 안에서, 오는 씨를 볼 수가 있었고, 그럼으로서 그들은 구함을 받았고, 용서를 받았으며, 그리고 오실 메시아를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다.

And yet, all during the time of the first-level fulfillment, generations of godly individual Israelites were able to see in and through the types and shadows, especially in the sacrificial system, the coming Seed and his atoning sacrifice, so that they were saved, forgiven, and justified by faith in the Messiah to come.


"모세 경륜은 개인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되는 근본적인 단계에 있어서는 은혜의 통치였었다"(KP 109).

“The Mosaic economy [was] an administration of grace on its fundamental level of concern with the eternal salvation of the individual” (KP 109).


바울은, 모세법 경륜 안에서의 행위 원리를 인식하고서, 이것 (모세법)이 몇 세기 앞서서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주어진 은혜의 약속들을 폐기하는 것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장할 수 있었는데(갈3:17), 이는 분명히 행위 원리가 가나안에 있는 유형학적 나라에만 적용되는 것이었고, 이는 아브라함에게 은혜의 선물로 약속하신 영원한 나라-도성의 유업과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아브라함과 그의 모든 씨와, 유대인과 이방인이 받을 것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었다.(KP 237)

“Paul, perceiv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law economy, was able to insist that this did not entail an abrogation of the promises of grace given to Abraham, Isaac, and Jacob centuries earlier (Gal 3: 17), precisely because the works principle applied only to the typological kingdom in Canaan and not to the inheritance of the eternal kingdom-city promised to Abraham as a gift of grace and at last to be received by Abraham and all his seed, Jew and Gentile, through faith in Christ Jesus” (KP 237).


하나님께서는, 개인적으로 선택된 이스라엘 사람이 구해지는 수단이 되는 행위 원리로, 모세법을 주시지 않으셨다.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with its works principle to be the means by which the individual elect Israelite would be saved.


개인적 구원은, 모세 시대를 포함하여, 약속을 통하여, 즉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시고"(창 15: 6)라는 아브라함 자신의 구원론적 경험의 패러다임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아브라함의 은혜의 언약을 통하여, 항상 집행되었었다.

Personal salvation was always administered, in every epoch of redemptive history, including the Mosaic epoch, through the promise, that is, through the Abrahamic covenant of grace, founded as it was on the paradigm of Abraham’s own soteriological experience, “Abraham believed God and it was counted to him as righteousness” (Gen 15: 6).


아브라함 약속의 두 단계 성취(첫 번째 단계는 땅에서의 유형학적 성취이며, 그리고 두 번째는 그리스도와 종말에 반대 모양으로의 성취이다)에서 발견된다는 클라인의 분석은,

구약에서 개인적으로 믿는 이들이, 유형을 통하여 앞서서 반대 모양을 봄으로서, 믿음으로 구원 받는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혼합되어있는 것은, 두 겹의 케이크의 개념을 더욱 지지해주고 있는 것이다.

Kline’s analysis of the Abrahamic promise as finding fulfillment in two stages (the first -level typological fulfillment in the land, and the second-level antitypical fulfillment in Christ and the eschaton), combined with a recognition that individual Old Testament believers were saved by faith as they looked ahead to the antitype through the type,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the concept of the two-layer cake.


다음으로 나는 다음의 질문에 답할 것이다: 만약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모세법과 그것의 행위 원리를 개인이 구원을 받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는 수단으로 주시지 않으셨다면, 왜 하나님께서는 모세법을 주셨고 이것을 두 번째 유형학적 단계로 세우셨는가?

Next, I’ll answer the question: If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and its works principle to Israel to be a means for individuals to be saved and attain eternal life, why did God give the Mosaic law and establish this second typological layer?


C. 왜 하나님께서는 모세법을 주셨는가?

C. Why did God Give the Mosaic Law?


하나님께서는 행위 원리로서의 모세법을 이스라엘에게 그들의 구원의 수단이 되도록 주시지 않으셨다.

God did not give the Mosaic law with its works principle to the Israelites to be a means of their salvation.


그러나 만약에 이것이 구원의 수단이 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며, 왜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유형학적인 나라가 행위 원리에 의하여 인지 되도록 세우셨는가?

But if it wasn’t intended to be a means of salvation, why did God set up this typological kingdom informed by the principle of works?


비록 이것이 구원의 수단이 되도록 주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이것은 구원의 계획을 진전시키기 위하여 주어졌던 것이다.

Even though it was not given to be a means of salvation, it was given in order to advance the plan of salvation.


이것은 두 가지 방식, 율법의 교사로서의 기능과 율법의 기독론적 기능에서 그러하다.

It does so in two ways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and the Christological function of the law.


첫 째로, 이것은 이스라엘(그리고 넓게는 모든 인류)에게 그들의 필요를 보여주고서 그들을 그리스도께로 몰아가는 것(율법의 교사로서의 기능)이다:

First, it shows Israel (and by extension all humanity) their need and drives them to Christ (the pedagogical function of the law):


"율법 언약은 은혜 언약의 하부 통치로서 복음의 목적과 계획으로 나아가도록 설계되어있다. 아담이 에덴의 처음 검증에서 범죄하였을 때 타락한 모든 인류의 상태를 극적으로 보여줌으로서, 이러한 행위 언약의 검증 아래 있는 이스라엘의 비극적 역사가 그들 모두의 죄악되고 희망이 없는 상태를 확신시키는 일을 한다. 그러므로 율법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하여 그들이 믿음으로 의롭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이들이 불순종으로 인하여 입을 다뭄으로서 하나님께서 모두에게 자비를 베푸시도록 한다.(롬 11: 28-36)(GHHM 128-29)

“The Law covenant was a sub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designed to further the purpose and program of the gospel. By exhibiting dramatically the situation of all mankind, fallen in and with Adam in the original probation in Eden, the tragic history of Israel under its covenant-of-works probation served to convict all of their sinful, hopeless estate. The Law thus drove men to Christ that they might be justified by faith. All were shut up in disobedience that God might have mercy on all (Rom 11: 28-36)”(GHHM 128-29).


두 번째로, 이는 역사적 상황을 성육신에 향하게끔 한다(율법의 기독론적 기능):

Second, it sets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incarnation (the Christological function of the law):


아버지와 맺으신 행위 언약의 의미들에 따라서, 그는 대표적인 검증을 겪어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두 번째 아담으로 오셨고, 그의 순종하심과 승리하심으로 인하여 자신의 백성이 영원한 구원의 나라를 수여 받을 하나님의 언약의 법적인 근거를 확립하셨다. 그러므로 이는, 필요하지 않을지라도, 그리스도께서, 첫 번째 아담에서의 언약과 같이, 행위 원리의 지배를 받는  언약의 체계 안에 오신 것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his covenant of works with the Father he was to come as the second Adam in order to undergo a representative probation and by his obedient and triumphant accomplishment thereof to establish the legal ground for God’s covenanted bestowal of the eternal kingdom of salvation on his people. It was therefore expedient, if not necessary, that Christ appear within a covenant order which, like the covenant with the first Adam, was governed by the works principle (cf. Gal 4: 4)”(KP 352).


율법의 교사적이고 기독론적인 기능 모두의 결과로 인하여, 행위 원리가 복음의 기초임이 분명해졌으며,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것이 아닌, 그리스도의 완벽한 순종으로 인하여 구원을 받은 것이다.

As a result of both the pedagogical and Christological functions of the law, it becomes clear that the works principle is the foundation of the gospel, since we are saved by perfect obedience–not ours, but Christ’s.


"그러므로 율법은 복음의 기초가 된다; 복음-은혜는 율법 언약에 명백하게 표현된 것과 같이 하나님의 칭의의 요구를 명예롭게 한다. 롬 3:31에서 바울은 이러한 점을 분명히 하고있다: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비록 그는 우리가 행위가 아니라 믿음에 의한 은혜로 의롭게 되는 것을 논한다 할지라도, [바울은] 복음의 체계에서 행위 원리가 기초가 되는 것에 대한 계속적인 유용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것은 한 사람의 순종함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의롭게 된 것이다.(롬 5:19)(GOM 237).

“Law is thus foundational to gospel; gospel -grace honors the demands of divine justice as definitively expressed in law covenant. In Rom 3: 31 Paul makes this point forcefully: ‘Do we then make the law of none effect through faith? God forbid; nay we establish the law.’... Even though he is arguing that we are justified not by works but by grace through faith, [Paul] insists emphatically on the continuing validity of the works principle as foundational to the gospel order. It is by the obedience of the one that the many are made righteous (Rom 5: 19)”(GOM 237).


이는 그것보다도 더욱 분명히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모두, 두 번째 아담의 율법을 충족 시킨 행위에 의한, 값없는 은혜의 복음에 관한 것이다.

It doesn’t get much clearer than that! It is all about the gospel of free grace, through the lawfulfilling work of the second Adam.


모세 경륜 안에서 행위 원리를 이해하게 되면, 의와 자비에 대한 요구들을 충분히 충족시킨 그의 순종하는 아들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이루신 놀라운 구원을 감사하게 되는 새로운 조망이 열리게 된다.

Understanding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opens up new vistas in our appreciation of the wonderful salvation that God had accomplished for us through his obedient Son in whom the demands of justice and mercy are fully met.


이것이 클라인의 핵심이었고, 그리고 이것이 그를 귀하게 만들었던 이해인 것이다.

That was Kline’s heartbeat, and that is what made this understanding precious to him.


클라인의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에 대한 이해는 이쯤에서 마치고자 한다.

So much for my brief overview of Kline’s understanding of the works principle in the Mosaic economy.


두 겹의 비유가 핵심이며, 윗 층에는 "유형적 나라"의 개념이 있다.

The key is the twolayer metaphor and the concept of “the typal kingdom”at the top layer.


만약에 당신이 클라인의 두 겹 사이의 구별을 파악하지 못한다면, 클라인이 모세 언약에 관하여 말한 어떠한 것에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If you don’t grasp Kline’s distinction between the two layers, then nothing Kline says about the Mosaic covenant will make sense.


다음에서 나는,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에 대한 클라인의 이해에 대하여 비평하는 이들 가운데서의 일부 일반적인 오해를 이야기 할 것이다.

Next, I want to address some common misrepresentations on the part of those who are critical of Kline’s understanding of works in the Mosaic economy.

_______

1 http:// upper-register.typepad.com/ blog2 http:// www.meredithkline.com/ klines-works/ articles-and-essays/ of-works-and-grace 3 http:// www.etsjets.org/ files/ JETS-PDFs/ 34/ 34-4/ 34-4-pp433-446_JETS.pdf4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ct_under_attack.html 5 http:// www.upper-register.com/ papers/ works-principle-mosaic-economy.pdf

모세 경륜에서의 행위 원리 해설.pdf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