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 언약의 성경적 근거는 무엇인가?
Is there a biblical basis for the Covenant of Grace?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 (WSCal)의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저술된 " The Law is not of Faith"는 종교개혁 이후에 개혁주의 신학의 중요한 교리로 정립되었다가 현대에 와서는 신학자들의 관심에서 사라지고있는 " Republication doctrine"과 모세법에서의 "행위 언약 (covenant of works)"의 개념을 이 시대의 신학계에, 다시 중요한 교리로 부각 시키고 있다.
하지만 종교개혁과 더불어 중요한 교리로 자리를 잡았던 행위 언약(covenant of works)의 교리가 계몽주의, 조나단 에드워즈의 후예들에 의하여 형성되었던 뉴잉글랜드 신학, 그리고 칼 바르트의 영향을 받은 화란자유대학의 베르까우워(G. C. berkouwer)와 신정통주의자들의 영향으로 현대에 와서는 언약 신학에서 "행위 언약"의 개념이 상실된 "단일한 은혜 언약"의 개념이 보편화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은 어느 시대보다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이에 대한 도움이 되는 글을 monergism.com에서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번역 정리하였다.
비록 "은혜 언약(Covenant of Grace)"이라는 말은 성경적 용어가 아니지만 개념에 있어서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이름을 위하여 백성들을 구원하시겠다는 언약적 약속에 통일성을 가지고 긴밀히 연관되어있기에 거의 확실하게 성경적이라고 할 수 있다.
Although the term “Covenant of Grace” is not a biblical designation, the concept, emphasizing the unity and coherence of God's covenanted promise to redeem a people for the sake of his name, is most certainly biblical.
하나의 통일된 은혜 언약(one unified Covenant of Grace)의 존재는 하나님께서 창세기 3장15절을 통하여 약속하신 첫번째 복음 (God's first gospel), 즉 여자의 씨에서 나실 구속자를 보내실 약속의 성격에 나타나 있다.
The existence of one unified Covenant of Grace is indicated by the nature of God's first gospel-promise in Genesis 3:15, which promises a coming Redeemer that will be born of the woman's seed.
성경의 나머지 부분들은 이러한 (처음의) 약속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좀 더 명확하고 특별하게 길이 열리도록 전개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들과 맺으시는 연속적인 각각의 언약들은 처음에 약속하신 언약(original covenant promise)을 충족 시키기 위한 또 다른 단계들이다.
The rest of the bible unfolds and makes ever more clear and specific the way in which this promise will come to fruition; and each successive covenant that God makes with his people is another step taken toward the fulfillment of that original covenant promise.
그러므로 역사 속의 언약들은 타락 후에 아담과 맺으신 첫번째 언약을 교체하거나 무효화하지 않고 오히려 첫번째 언약을 세우고 보존하는 것이다.
The covenants in history, therefore, do not replace or abrogate the first covenant made with Adam after the Fall, but build upon and preserve it.
바울이 단호히 말한 바와 같이, 시내산에서 맺어진 언약(the Covenant made on Mount Sinai)이 아브라함과의 약속(Abrahamic Promise)을 폐지 할 수 없는 것과 같이(갈3:15-24) 어떻게 나중의 언약(later covenant)이 아담과 맺은 처음의 복음의 약속(the first gospel promise made to Adam)을 폐지 할 수 있단 말인가?
If, as Paul so adamantly argued, the Covenant made on Mount Sinai could not abrogate the Abrahamic Promise (Gal. 3:15-24), then how could any later covenant abrogate the first gospel promise made to Adam?
비록 어떤 이들은 창세기 3장 15절에 약속된 복음을 언약으로 칭하는데 주저할 수도 있지만, 희생적 보혈을 흘림을 근거로하는, 약속된 은혜에 부합된 주권적 통치(a sovereignly administered bond of promised grace)의 특성을 고려해본다면, 언약이라는 용어는 분명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lthough someone might balk at the gospel promise of Genesis 3:15's being called a covenant, its nature as a sovereignly administered bond of promised grace, ratified over the shedding of sacrificial blood (Gen. 3:21), is clearly cast in covenantal terms.
더군다나 "언약 (covenant)"이라는 용어가 성경에 처음 나타나는 노아의 때에 하나님께서 노아에게 "내가 제정한다 (I will establish)"거나 "확증한다 (conform)"(새긴다거나 시작한다는 뜻이 아니고), "너와 함께하는 내 언약 (my covenant with you)"등을 말씀하시는데 이는 노아가 이미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오실 때 이미 언약을 분명히 알고 있었고 이는 바로 아담에게 하신 약속 그 자체인 것이다.
Furthermore, the first time the term “covenant” appears in the bible, in the days of Noah, God tells Noah, “I will establish,” or “confirm” (not “cut,” or “inaugurate”), “my covenant with you”; which indicates the Noah was aware of a covenant already in force when God came to him, which could be nothing other than the promise given to Adam.
우리는 하나님께서 사람들에게 여러 차례에 걸쳐서 즉 노아, 아브라함, 시나이(Sinaitic), 다윗, 그리고 이 모든 언약을 충족 시켜준 새 언약(New Covenant) 등을 포함하여, 인간에게 새겨 넣은 특별한 역사적 언약들을 최소화 하지 않도록 조심 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 모든 하나님의 통일된 구속의 계획이 약속된 그리스도께서 마지막으로 오셔서 이 모든 것을 완벽하게 열매 맺으실 때까지 이들의 유기적인 연결과 통일성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We must take care not to minimize the specific, historical covenants that God cut with men at different times, including the Noahic, Abrahamic, Sinaitic, Davidic, and the New Covenant which brings all others to fulfillment; but neither must we miss the organic connection and unity between them all, as they unfold God's unified plan of redemption one step at a time, until the promised Christ finally comes and brings them all to perfect fruition.
Monergism Copyright © 2008
'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비드 딕슨의 구속 언약 (0) | 2022.10.22 |
---|---|
존 머레이의 단일 언약론과 리처드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 (0) | 2015.08.27 |
칼빈의 모세 언약에서의 구원론2 (0) | 2014.12.14 |
칼빈의 모세 언약에서의 구원론 1 (0) | 201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