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법 2015. 4. 17. 15:29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The Relation of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s in Reformed Orthodoxy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208-210을 번역한 것이다.)

이번 장을 결론짓기에 앞서서 간단하게나마 개혁파 정통주의 시대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성을 숙고해보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
Before concluding this chapter it seems appropriate to reflect briefly on the relationship of the natural law and two kingdoms doctrines in the age of Reformed orthodoxy.

나는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이 이러한 교리에 대하여 확신하고있었을 뿐 아니라 그것의 많은 결과물들을 보았고 이것을 좀 더 큰 교리와 예전의 조직을 비평하는 관점으로 구체화 시켰다는 것을 논했다.
I have argued that Reformed orthodox writers not only affirmed these doctrines but also saw many implications of them and incorporated them as critical aspects of their larger system of doctrine and practice.

그러나 이러한 교리의 한 가지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다른 것들도 확실하게 하는 것과 관련 될 수밖에 없지 않은가?
But was affirmation of one of these doctrines necessarily related to affirmation of the other?

3장에서 나는 이 두 가지 교리가 사실 칼빈과 절대적으로 관계되어 있다고 주장했었다.
In Chapter 3, I maintained that the two doctrines were in fact vitally related for Calvin.

여기서 내가 역시 논의하고자 하는 것은 이 두 가지 교리 (자연법과 두 왕국의 교리)가 많은 부분이 서로의 관계 성에서 볼 때 중요하다는 것이다.
Here I also argue that the two doctrines were important in large part in relation to each other.

개혁파 정통주의와 관련된 자연법과 두 왕국 교리에 관하여 첫번째 고려할 점은 자연법과 세속의 국가는 모두 다 하나님의 구속 사역이 아닌 창조 사역과 섭리에 근거를 두고있다는 것이다.
A first respect in which the natural law and two kingdoms doctrines were related in Reformed orthodoxy is that both natural law and the civil kingdom were grounded in God’s work of creation and providence rather than in his work of redemption.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혁파 정통 주의 저자들은 자연법이 처음부터 행위에 의한 창조 언약으로 주어졌으며 은혜에 의한 구속 언약으로부터 떠나 죄악 가운데 있는 인간들 가운데서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As considered above, the Reformed orthodox writers perceived natural law to be given originally in the creational covenant of works and sustained among sinful human beings even apart from the redemptive covenant of grace.

이와 비슷하게, 이들은 세속의 국가가 창조자로서의 3위 하나님에 의하여 세워지고 통치를 받지만 구속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하시는 그리스도에 의한 것은 아니라고 이해하고 있다.
Similarly, they understood the civil kingdom to be established and governed by the triune God as creator but not by Christ in his specific role as mediator of redemption.

개혁파 정통주의의 자연법과 두 왕국 교리 사이의 근본적인 관계성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한 배경이 된다: 자연법은 세속의 국가를 위한 우선적 표준으로 여겨지지만 영적인 나라를 위해서는 아니다, 이곳에서는 성서가 우선이 된다.
This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ed orthodox natural law and two kingdoms doctrines is important background for the next point: natural law was considered the primary standard for the civil kingdom but not for the spiritual kingdom, where Scripture was primary.

이미 제 1장에서 지적 하였듯이 알수시우스, 러더포드, 투레틴,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9조 4항에서 말하는 바는, 시민법은 자연법에 기초를 두어야 하며, 모세의 시민법을 현재에 적용할 수 있느냐는 그들의 자연법과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Earlier in this chapter I pointed to statements in Althusius, Rutherford, Turretin, and WCF 19.4 which asserted that civil law should be grounded in natural law, even to the point that the present applicability of Mosaic civil laws is determined by their relation to the law of nature.

이러한 점에서, 개혁파 정통주의는 종교개혁 시대와 이전의 중세의 전통 가운데 보편적이었던 주장을 한다.
In this, Reformed orthodoxy made a claim common to the Reformation and medieval traditions before it.

시민법이 자연법에 기초한다는 것은 두 왕국 교리와 관계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심지어 포함이 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투레틴이 세속의 권력과 교회의 권력을 구분하는 7가지의 구분에서도 명확하게 나타난다. 여기서 투레틴은 세속의 권력이 자연적 이성과 시민법 그리고 인간의 상황에 의하여 통제가 되는데 교회의 권력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으로만 통제가 된다고 대비시킨다.
That this grounding of civil law in natural law was closely related to and even incorporated into the two kingdoms doctrine is evident in Turretin’s sevenfold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power, in which he contrasts civil power as that which is regulated by “natural reason, civil laws and human statutes” and ecclesiastical power as that which is regulated by “the word of God alone.”

투레틴이나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에게 이러한 진술이, 성서가 세속의 국가 뿐만이 아니라 영적인 나라에서의 자연법과도 관계가 없다고 말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By such statements, Turretin and other Reformed orthodox writers did not mean to say that Scripture is irrelevant for the civil kingdom nor natural law for the spiritual kingdom.

앞에서 논한 바와 같이, 이들은 모세법이나 구약의 역사에서 세속의 관심사에 대한 서론을 이끌어낸다.
As discussed above, they drew instruction on civil concerns from the Mosaic law and Old Testament history.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러한 것들을 그 시대의 상황 가운데 적용하였는데, 이때는 그들이 최소한 이론적으로 숙고하였던 순간이었으며, 이때는 이들이 자연법에 뿌리를 두고서 획일적으로 모세의 신정 체제에 맞추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때에 한하였던 것이다.
Nevertheless, they applied these things to the contemporary situation, at least in their more theoretically reflective moments, when they believed that they were rooted in natural law and therefore generally applicable rather than uniquely suited to the Mosaic theocracy.

다른 한편으로, 그들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조 6항에 예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역시 자연법이 영적인 나라와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
On the other side, they also believed that natural law has relevance for the spiritual kingdom, as illustrated in WCF 1.6.

1조6항의 처음 부분은 종교개혁 교리의 충분하고 명료함을 분명히한다: "하나님 자신의 영광과 사람의 구원과 신앙과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에 관한 하나님의 전체적인 계획은 성경 안에 분명히 나타나 있으며, 선하고 필연적 결과에 의하여 그 계획을 성경에서 찾아내어질 수 있다. 이 성경에는 어느 때를 막론하고 성령의 새로운 계시나, 또는 인간의 전통에 의해서 그 어떤 것도 첨가되어질 수 없다." 이러한 오직 성서만, 혹은 성서만 홀로,라는 일반적인 확인은 즉시 다음과 같이 조건이 붙는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영의 내적 조명이 말씀에 계시된 그것들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임을 인정한다. 그리고 하나님을 예배함과 교회의 정치와 사람의 행동과 사회에 관한 여러가지 상황들이 있다는 것도 인정한다. 이러한 예배와 교회정치와 사람의 행동과 사회에 관한 여러 상황들은 항상 지켜야 하는 말씀의 일반적 규칙을 따라서 본성의 빛과 신자의 분별력을 통해서 정해져야 한다."
The first part of 1.6 affirms the Protestant doctrine of the sufficiency or perspicuity of Scripture: “The whole counsel of God concerning all things necessary for his own glory, man’s salvation, faith and life, is either expressly set down in Scripture, or by good and necessary consequence may be deduced from Scripture: unto which nothing at any time is to be added, whether by new revelations of the Spirit, or traditions of men.” This general affirmation of sola Scriptura, or Scripture alone, is immediately qualified: “Nevertheless, we acknowledge the inward illumination of the Spirit of God to be necessary for the saving understanding of such things as are revealed in the Word: and that there are some circumstances concerning the worship of God, and government of the church, common to human actions and societies, which are to be ordered by the light of nature, and Christian prud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rules of the Word, which are always to be observed.”

이렇게 조건을 나타내는 두 번째 부분은 (비록 부차적일지라도) 자연법의 영적인 나라에서 하는 역할을 입증해주고 있는 것이다.
The second part of this qualification demonstrates the (albeit subordinate) role that natural law plays in the spiritual kingdom.

비록 성서만이 예배의 요소와 교회 행정을 결정해야 하지만,성서에서 조정하지 않거나 할 필요가 없는 이것과 관련된 정황이나 일들이 있기도 한다.
Though Scripture alone is to determine the elements of worship (see the discussion of the RPW above) and church government, there are circumstances, or incidentals, related to such things that Scripture does not and need not regulate.

예를 들어서, 성서에서는 공동의 예배를 명령하지만 이것이 하루 중 어느 시간에 있어야 하는 지를 말하지는 않는다; 성서에서는 장로들의 교회 행정을 명령하지만 장로 회의를 조정하는 질서의 규칙을 제공해주지는 않는다.
For example, Scripture commands corporate worship but does not say at what time of day it should occur; Scripture commands Presbyterian church government but does not provide rules of order for moderating a presbytery meeting.

성서에서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는 것은 이러한 관심사들이 인간들의 행동과 사회에서의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Scripture does not need to do so because such concerns are “common to human actions and societies.”

이러한 것들은,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세속의 나라의 일들과 비그리스도인들과 관련되어있는 종류의 일이다.
They are, in other words, the sorts of matters that also concern civil kingdom affairs and non-Christians.

이러한 상황에서는 "조심스럽게" 이해되는 "자연의 빛"에 의하여 인도된다.
In such things, “the light of nature,” as understood through “prudence,” is the guide.

그러나 영적인 나라에서의 자연법은 언제나 부차적일 수 밖에 없고 "말씀의 일반적인 원칙"에 의하여 검증되기 마련이다.
But natural law in the spiritual kingdom is always subordinate, being tested by “the general rules of the Word.”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성과 관련된 또 다른 문제는 자연법이, 두 왕국의 렌즈로 볼 때, 비그리스도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선에 대하여 적절한 판단을 제공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One other matter pertaining to the relationship of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s in Reformed orthodoxy is the ability that natural law, when seen through two kingdoms lenses, provides for making relative judgments about the good achieved by non-Christians.

이미 3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칼빈은, 비그리스도인이 세속의 나라의 관점에서 볼 때는 자연의 빛에 의하여 상당한 일들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영적인 나라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연의 빛으로는 하나님으로부터 칭찬을 받을 능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In Chapter 3 I argued that Calvin viewed non-Christians as able to accomplish remarkable things by the light of nature when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ivil kingdom, but as unable to attain the slightest commendation from God by the light of nature when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iritual kingdom.

물론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비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의 천국에서 영원한 상급을 받을 만한 어떠한 것도 할 수 없다는 칼빈의 확신을 공유하고 있다.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of course shared Calvin’s conviction that non-Christians can do nothing that gains them everlasting reward in Christ’s heavenly kingdom.

그러나 그들은, 세속의 나라의 관점으로 볼 때 비그리스도인이 오직 자연의 빛에 의지하여서도 상당한 것을 이룰 수 있으며 심지어는 도덕적으로 옳바르다고 칭찬을 받을 수도 있다는 칼빈의 확신도 공유하고있다.
But they also shared Calvin’s conviction that,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ivil kingdom, unbelievers armed only with nature’s light could achieve marvelous things and even receive praise as morally upright.

그들이 세속의 통치자와 그들의 의무에 관한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종종 고전적 저자들을 인용하는 것은 이러한 주장에 대한 한 가지의 노선을 입증해 주고있는 것이다.
Their frequent citation of classical authors to support their claims about civil magistrates and their duties offer one line of proof for this claim.

그러나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도 역시 이러한 점을 명확하게 반영하고있다.
But Reformed orthodox writers also reflected explicitly on this point.

예를 들어, 알수시우스는 자연법이 어떻게 모세의 시민법으로서 현재에 적용될 수 있는가와 십계명에 요약되어있다는 것을 논의한 후에, 십계명의 행위는 믿음이 없이 행했을 지라도 하나님의 기쁨이 된다는 것이다.
Althusius, for instance, after discussing how natural law determines present applicability of the Mosaic civil law and is summarized in the Decalogue, says that the deeds of the Decalogue, when done out of faith, are pleasing to God.

그는 계속하기를, 그러나 만약에 그들이 신앙이 없이, 혹은 이방인으로서 사도 바울이 진정으로 자연적인 지식이라고 묘사했던 것이나 십계명을 향하여 있는 것을 행하였을 지라도, 이러한 행위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는 것이다.
But if, he continues, “they are performed by an infidel or heathen, to whom the Apostle Paul indeed ascribes a natural knowledge of and inclination towards the Decalogue, these works are not able to please God.

그러나 정치적인 삶에 있어서는 신앙이 없더라도 그것으로 인하여 의롭다거나, 결백하다거나, 올바르다고 여겨질 수 있는 것이다.
But in political life even an infidel may be called just, innocent, and upright because of them.”

그러고는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은 칼빈과 같이 자연법의 교리와 이것의 불신자 가운데서의 적용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두 왕국 교리에 의존하고있다.
Like Calvin, then, Reformed orthodox writers relied upon the two kingdoms doctrine to explicate the doctrine of natural law and its uses among unbelievers.

이렇게 함으로서 그들은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에서, 비록 후자에서는 불분명하지만, 디오게네스주의자들과 어거스틴주의자들이 확신하는 (영원한 것과 영적인 나라에서의) 대립과 (현세의 세속적인 나라에서의) 공존에 대하여 명확한 개혁주의적 강조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In doing so, they indeed provide a distinctive Reformed articulation of the Diognetian and Augustinian affirmation of both antithesis (in terms of eternal things and the spiritual kingdom) and commonality (in terms of temporal things and the civil kingdom)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even if often ambiguously on the latter prong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