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죄에 대한 도덕 통치적인 관점의 오류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The error of the Moral Government view of the atonement by Matt Slick(President and Founder of the Christian Apologetics and Research)
19세기 프린스턴신학교의 학장이었던 찰스 핫지는 속죄에 대한 개혁주의를 변론하였던 북미에서는 보기 드문 신학자이었는데 이는 조나단 에드워즈 이후에 "The New England Theology", 특히 "the New Haven Theology"가 개혁주의로부터 심각하게 벗어났었기 때문이다. 이 당시 조나단 에드워즈의 사람들에게서 시작되었던 "The New England Theology"는 속죄에 대한 도덕 지배적인 관점(governmental theology of atonement) 을 수용하고 있었다. 속죄에 대한 도덕 통치적인 관점 (governmental theology of atonement)은 18세기 후반에 New England에서 보편적으로 수용되었던 교리였는데 이는 부분적으로는 에드워즈의 후예들이나 New Divinity의 신학적 진보에서 비롯되었으며, 부분적으로는 칼비니즘이 하나님을 적대적이거나 독재적인 분으로 만드는 것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다.(The Law is not of Faith; p65)
특히 Jonathan Edward Jr.는 1785년일련의 설교에서” the governmental theology of atonemen”를 강조하기도하였다.
다음에서 살펴볼 "Moral Government view of the atonement"는 "the governmental theology of atonement"와 동일한 개념이다.
속죄에 대한 도덕 통치적인 관점은 휴고 그로티우스에 의하여 제기된 가르침이다.
The moral government view of the atonement is a teaching proposed by Hugo Grotius (1583-1645).)
이는 한편으로 개혁주의자들이 가지고 있는 속죄의 법적인 대속 개념을 부정하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스도의 희생이 사람들로 하여금 회개하게 함으로서 그리스도와 같이 살게하는 순종의 모본이라는 것이다.
On one hand, it is a denial of the Legal Substitutionary view of the atonement held by the Reformers. On the other hand, it is more than the Example Theory which said that the sacrifice of Christ was an example of the obedience that should move people to repent of their sins and live like Christ.
속죄에 대한 도덕 지배적인 관점에서는 하나님은 개인의 죄에 관하여 화가 나신 분이 아니시며, 개인의 죄에 대하여 빚을 청구하시는 분도 아니시며, 죄와 죽음을 동일시하시는 분도 아니시며, 빚과 죄가 서로 상호 관계가 있지 않다는 분이시다.
In the Moral Government view of the atonement, God is not an offended party regarding individual sins, nor is a debt owed to him due to individual sins, nor is there an equating of sin with death; a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debt and sin.
대신에 하나님은 적절한 도덕적 진리와 행함을 두루 살피셔서 십자가에서 그들의 법적인 빚을 갚지 않고도 사람들을 자신과 화해시키시는 도덕적 지배자이신 것이다.
Instead, God is a moral governor who oversees proper moral truth and action; and he reconciles people to himself without paying their legal debt on the cross.
그래서 십자가는 죄의 무서움을 보여주는 한 가지 예이며 하나님께서 죄에 대하여 얼마나 기뻐하시지 않으시는 지를 보여주면서 이를 인류에게 증명해주시는 것이다.
The cross, then, is an example of the horror of sin and a demonstration of its effect upon mankind as well as an exhibition of God’s displeasure with sin.
십자가는 (하나님께서 육적인 사람들에게 죄의 영향에 대한 무서움을 보여주심으로)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믿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죄인들로 하여금, 스스로의 자유 의지에 의하여, 하나님을 믿도록 하여 자신들의 죄를 회개 하도록하는 것이다.
The cross is to motivate people to believe in Christ (by seeing the horror of the effect of sin on God in flesh) and moves the sinner, by his free will, to choose to believe in God and repent of his sins.
속죄에 대한 도덕 통치적인 학설의 요점들
Elements of Moral Government Theory of the Atonement
1. 예수는 인류를 위하여 십자가에서 고통을 당하셨으나 이는 개인들의 죄를 감당하신 것이 아니다.
Jesus suffered on the cross on behalf of humanity but did not bear the sins of individuals.
2.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의 법을 어긴 사람들이 지은 죄로 인한 하나님에 대한 법적인 죄를 갚으신 것이 아니다.
Jesus did not pay the legal debt to God for the sins committed by anyone who has broken God's law.
3. 죄와 빚은 상호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다.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sin and debt.
4. 예수의 그리스도로서의 희생은 각 개인의 대속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공적인 희생인 것이다.
Jesus’ sacrifice of Christ was not substitutionary for any individual; rather, it was a corporate sacrifice.
5. 예수의 그리스도로서의 희생은 죄에 대한 하나님의 혐오를 증명해주는 것이다.
Jesus’ sacrifice of Christ was a demonstration of God’s displeasure with sin.
6. 그리스도의 희생은 전체적으로 사회에 좋은 것에 대한 가르침의 예이며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선의를 증명해주는 것이다.
The sacrifice of Christ is a teaching example that is good for society as a whole and demonstrates God’s benevolence to mankind.
7. 그리스도의 희생은 우리의 죄의 값을 치루지 않고도 우리를 하나님과 화목케 하는 것이다.
The sacrifice of Christ reconciles us to God without paying our sin debt.
8. 즉 근원적인 죄를 부인함으로서 우리가 죄성을 가지고있지 않다는 것이다.
Denies Original Sin, that is, we do not have a sinful nature.
9. 예수의 죽음은 구원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사람이 자신의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을 믿는 자유 의지적 선택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Jesus died to make salvation possible and is dependent on man’s free will choice to repent of his sins and believe in God.
당신이 알아야 할 것은 도덕 지배적 신학의 모든 요소들을 이 진영에 속한 사람들이 다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지만 요약하자면, 속죄에 대한 도덕 지배적인 관점은 그리스도의 법적인 대속을 부인하고 있기에 잘못된 것이다.(톰 라이트의 새 관점도 동일하게 대속의 교리를 부인하고있다.)
You should know that not all elements of Moral Government Theology are held by everyone in that camp. But, in short, the Moral Government view of the Atonement is wrong since it denies the legal, substitutionary sacrifice of Christ.
빚과 죄
Debt and sin
빚과 죄 사이의 상호 관계가 성경에 나타나 있는가? 물론이다!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나타나 있는 예수의 기도에 관한 가르침을 보라.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debt and sin in the Bible? Absolutely! Consider the words of Christ in his instructions on how to pray, which are found in Matthew and Luke.
마태복음6:9-13, 9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10 나라가 임하시오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11 오늘 우리에게 일용 할 양식을 주시옵고 12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13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 다만 악에서 구하시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Matt. 6:9-13, "Our Father who is in heaven, Hallowed by your name. 10 Your kingdom come. You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11 Give us this day our daily bread. 12 And forgive us our debts (epheilo), as we also have forgiven our debtors. 13 And do not lead us into temptation, but deliver us from evil. [For yours is the kingdom, and the power, and the glory, forever. Amen.]"
누가복음11:2-4, 2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는 기도할 때에 이렇게 하라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가 임하시오며 3 우리에게 날마다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4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모든 사람을 용서하오니 우리 죄도 사하여 주시옵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소서 하라
Luke 11:2-4, "Father, hallowed be Your name. Your kingdom come. 3 Give us each day our daily bread. 4 And forgive us our sins (hamartia), for we ourselves also forgive everyone who is indebted (epheilo) to us. And lead us not into temptation.”
예수님께서는 마태복음6:12에서 우리의 죄 (our debts)를 용서해 달라고 말씀하시고 누가복음11:4에서도 우리의 죄 (our sins)를 용서해 달라고 말씀하시는 것에 주목해보자. 이것이 빚과 죄 사이의 상호관계를 증명해주는 것이다.
Notice that Jesus said forgive us our debts in Matt. 6:12 and forgive us our sins in Luke 11:4. This is proof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bt and sin.
더군다나 누가복음11:4에서는 우리가 다른 사람이 우리에게 지은 죄를 용서한 것과 같이 우리의 죄를 용서하여 달라고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시고 계신다. 죄와 빚이 다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Furthermore, in Luke 11:4 Jesus says forgive us our sins as we forgive those indebted to us. Sin and debt are again related.
마태복음6:12의 "죄(debt-빚)"와 누가복음11:4의 "죄 지은 (indebted)"은 히브리어 ὀφείλημα, opheilema에서 온 것이다.
ὀφείλημα, opheilema는 "빚지다"라는 뜻으로서 빚이라는 것은 분명히 마땅한 것이다.(롬4:4)
The word "debt” in Matt. 6:12 and Luke 11:4 (i.e., indebted) is from the Greek work ὀφείλημα, opheilema. It means . . .
ὀφείλημα opheílēma, to owe. Debt, that which is owed, which is strictly due (Rom. 4:4).
1. 또한 죄를 범한 것, 즉 반역은 보상을 요구하는 것이다. (마6:12)
Also an offense, a trespass which requires reparation (Matt. 6:12).”
2. ὀφείλημα (opheilēma)는 빚으로, 은혜의 크기로서 (롬4:4) 죄, 도덕적 죄를 말한다.
ὀφείλημα (opheilēma), debt, amount owed (Ro 4:4) . . . sin, moral debts (Mt 6:12+)
3. 이는 공정하고 법적인 권리로서 말할 때 범법과 죄를 뜻하는 빚(debt)이다.
“that which is justly or legally due, a debt. 2 metaph. offence, sin.
4. 로마서4:4을 (이는 법적으로 마땅한 것이기에) 문자적으로 말하면 빚으로서의 죄를 비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속죄가 요구되는 것이기에 마태복음6:12에서와 같이 형벌의 방법으로 지불되어지는 것이다.
“literally, of that which is legally due, Rom. 4:4; (b) metaphorically, of sin as a debt, because it demands expiation, and thus payment by way of punishment, Matt. 6:12.”
5. 마태복음6:12에서만 죄가 빚과 동일하게 사용되고있다.
“only in Mt. 6:12 is sin specifically equated with debt.”
예수님 자신과 관계됨에 있어서 빚과 죄에 관하여 더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을까? 나는 누가 이를 부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할 수 없지만 사람들은 그렇게 하고 있는 것이다.
Can it be any more clearly stated that debt and sin are related by Christ himself? I cannot see how anyone could deny it, but people do.
죄를 하나님의 법을 어기는 것이다(요일3:4). 그러므로 누군가 하나님의 법을 어긴다는 것은 그 법을 모독하는 것이다. 그리고 법이 징벌이 없다면 무슨 법이겠느냐? 결코 그럴 수 없다.
Sin is breaking the Law of God (1 John 3:4). Therefore, when someone breaks God’s law, he has violated that law. And, what law is a law that has no punishment? There is none.
법을 어긴다는 것은 그 어김에 상응하는 벌칙에 대한 지불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만약 내가 속도위반 티켓을 받았다면 나는 법적으로 벌금을 지불하여야 한다. 만약 내가 은행을 강탈했다는 판결을 받으면 감옥에 가는 법적인 형벌을 받아야한다. 사람이 법을 어기면 치루어야 할 빚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부정한다면 이는 모순될 뿐만이 아니라 비성경적인 것이다.
Law breaking necessitates a payment--a penalty of some sort that corresponds to the breaking of that law. If I get a speeding ticket, I must legally pay a fine. If I get convicted of robbing a bank, I must pay the legal penalty of going to jail. There is a debt incurred when a person breaks the law. To deny this is unbiblical as well as illogical.
하나님의 법을 어긴 결과는 법적인 빚을 지는 것이며 이 빚은 그리스도에 의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갚아진 것이다. 다음의 구절을 생각해보자.
Breaking God’s law results in a legal debt--a debt which was paid by Christ to the Father. Consider the following verse.
예수는 우리의 빚을 없애셨다.
Jesus cancelled out our debt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불리한 조문들이 들어 있는 빚 문서를 지워 버리시고, 그것을 십자가에 못박으셔서, 우리 가운데서 제거해버리셨습니다."(골로새서 2:14 RNKSV)
“having canceled (exaleipho) out the certificate of debt (cheirographon) consisting of decrees (dogma) against us and which was hostile to us; and He has taken it out of the way, having nailed it to the cross.” (Col. 2:14, NASB).
이 구절에서 중요한 부분은 "우리에게 불리한 조문들이 들어 있는 빚 문서를 지워 버리시고,"이다.
The significant part of the verse is “having canceled out the certificate of debt consisting of decrees against us.”
이 구절에서 3가지 중요한 단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워버리다"(exaleipho); "빚 문서"(cheirographon); 그리고 "조문"(dogma)이다.
Let’s examine three important words in the verse: “canceled” (exaleipho); “certificate of debt” (cheirographon); and "decrees" (dogma).
1. exaleipho는 취소를 의미한다.즉 닦아서 없애버리는 것이다.
Exaleipho means to cancel, to wipe away.
2. Cheirographon은 법적인 빚에 대한 문서를 의미한다.
Cheirographon means a certificate of legal debt.
3. Dogma는 법적으로 요구되는 법령을 의미한다.
Dogma means decrees, legal demands, δόγμασιν from δόγμα, Noun, Dative, Plural, Neuter.
출처-http://carm.org/moral-government-atonement에서 부분발췌
(주)톰 라이트의 새 관점 가운데 나타난 "속죄 교리의 부정"과 "따름의 대상으로서의 예수님"에 대한 주장들이 종교개혁 직후에도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서 19세기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를 중심으로한 개혁주의자들에게 도전을 가하였던 "속죄에 대한 도덕 통치적인 관점"의 주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점이 톰 라이트의 새관점과 이머징미셔널 처치의 관점과 얼마나 유사 한지를 살펴보고자 일부를 번역 정리를 하여봅니다.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페스코가 말하는 존 오웬의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칭의(1부) (0) | 2019.10.07 |
---|---|
존 페스코가 말하는 존 오웬의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칭의(2부) (0) | 2019.10.07 |
존 오웬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의 전가 (2) | 2019.04.10 |
메이첸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0) | 2019.03.26 |
매튜 베이츠의 “오직 충성으로 받는 구원”에 대한 토마스 슈라이너의 비평 (0) | 2018.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