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기독교화 한다고?
CHRISTIANIZING THE WORLD?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데이비드 엥겔스마 교수)
By Professor David J. Engelsma
These writings originally appeared in Beacon Lights magazine. It was a six part series that ran from March 2013- August 2013.
이것이 교회의 소명입니까?
Is this the calling of the church?
이것이 개혁주의 젊은 남녀의 소명인가요?
Is this the calling of the Reformed young man or woman?
이것이 개혁주의 젊은 이들에 대한 기독교 교육, 특히 개혁주의 젊은 이들의 고등 교육의 목적이란 말입니까?
Is this the purpose of the Christian education of Reformed young people, especially of the higher education of Reformed young people?
만약에 우리가 기독교 개혁교회, 특히 그곳의 고등 학교와 칼빈, 트리니티, 도르트를 포함하는 대학교를 믿어야한다면, 그 대답은 당연히 “예”인 것입니다.
If we are to believe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especially its high schools and colleges, including Calvin, Trinity, and Dordt, the answer is an emphatic yes.
Protestant Reformed의 많은 젊은 이들이 Christian Reformed Church의 사람들과 만남을 갖고 일부 Protestant Reformed의 젊은 이들이 Christian Reformed의 학교에 다니고 있기에 이 세상의 기독교화가 Protestant Reformed 젊은 이들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Since many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are in contact with young people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and since some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attend the Christian Reformed colleges,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becomes an issue for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주 예수께서 우리에게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라는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라고 요구하십니까?
Does the Lord Jesus command us to engage in this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Protestant Reformed에서 이러한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에 대한 불순종을 나타내는 것입니까?
Does the Protestant Reformed refusal to take on this project constitute disobedience to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우리의 이러한 거절이 옛 재세례파의 기독교 생활을 악용하는 이 세상에 관여하지 않는 어리석고 사악함을 증명하는 것입니까?
Do we by this refusal manifest the folly and wickedness of world-flight—the perversion of the Christian life of the old Anabaptists?
Protestant Reformed의 젊은 이들은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는데 요구되는 면들에 대한 모든 종류의 열심에 참여하는 것이 결핍됨으로 인해서 죄 의식을 느껴야합니까?
Are Protestant Reformed young people to feel guilty because of their lack of involvement in all kinds of endeavors that claim to be aspects of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아니면 이 전체 기획이 사람의 환상적인 생각에 불과한 것입니까?
Or is the entire project nothing but a fanciful notion of men?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이 프로젝트가 중세의 십자군과 같이 어리석을 뿐만이 아니라 기만하는 것이며 엉뚱한 것입니다.
In this case, the project is not only foolish—a delusion and fantasy—like the crusades of the Middle Ages.
십자군은 예수를 위하여 예루살렘을 정복하는 사명에 있었습니다.
The crusaders were on a mission to conquer Jerusalem for Jesus.
우리 시대의 문화적인 칼빈주의자들은 예수를 위하여 이 세상을 정복하는 사명에 있습니다.
The cultural Calvinists of our day are on a mission to conquer the world for Jesus.
그러나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프로젝트는 "사람들의 계율인 교리를 가르치는" 매우 심각한 죄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입니다.
But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is also an instance of the very serious sin of “teaching for doctrines the commandments of men”(Matt. 15: 1–9).
세상을 기독교화 하자는 제창자들은 사람들, 특히 개혁주의 젊은 이들의, 양심에 세상을 기독교화하여야하는 의무가 하나님의 명령인 것 같이 짐을 지워주고있지만, 이는 사실 단순한 인간의 어리석은 꿈에 불과한 것입니다.
For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urden the consciences of people, especially Reformed young people, with the duty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s though this were a commandment of God, when in fact it is merely a fond dream of humans.
프로젝트의 근원
The Source of the Project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현대 십자군의 개혁주의 전통의 근원은 앞 세기의 두 사람의 화란 개혁주의 신학자로서,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입니다.
The source in the Reformed tradition of the modern crusade that tries to Christianize the world is two Dutch Reformed theologians of the previous century, Abraham Kuyper and Herman Bavinck.
이들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화란의 개혁 교회 동료입니다.
They were colleagues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이들은 자신들의 커다란 교단과 전 세계의 다른 많은 개혁 교회에 커다란 영향을 준 사람들입니다.
They were men of great influence, both in their own large denomination and in many other Reformed churches over all the world.
카이퍼와 바빙크는 개혁주의 신앙, 혹은 칼빈주의가, 성경에 대한 기독교 신앙의 순수한 형태로서, 모든 인간의 삶, 모든 창조물과 모든 역사를 통해서 하나님의 주권을 고백하고있다는 것을 보았읍니다.
Kuyper and Bavinck saw that the Reformed faith, or Calvinism, as the pure form of the Christian religion of the Bible, confesses God’s sovereignty over all of human life, indeed over all of creation and all of history.
그들은 칼빈주의가, 개혁주의 신자의 삶의 모두를, 예배와 기도 뿐만이 아니라, 가정 생활, 일과 사업, 교육, 과학, 예술, 그리고 정치에의 참여등 모두들 요구한다고 이해하였읍니다.
They understood also that Calvinism claims all of the life of the Reformed believer, not only worship and devotions, but also family life, work and business, education, science, the arts, and involvement in politics—all.
이러한 당연한 진리들로부터, 그들은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이 칼빈주의 그리스도인의 소명이라고 추론하게되었습니다.
From these axiomatic truths, they inferred that it is the calling of Calvinistic Christians to “Christianize the world.”
이러한 추론이 근본적인 원칙을 따르지 않은 것은 모두에게 명백한 것입니다.
It should be evident to all that the inference does not follow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s.
하나님께서 모든 피조물과 모든 역사를 주관하신다는 것이, 그분이 자신의 백성들에게 역사를 통하여 이 세상을 기독교화 할 것이라든지, 교회가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을 요구하신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닙니다.
That God is sovereign over all creation and over all of history does not imply that he wills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by his people in history, and that he calls the church to engage in the project.
그분은 차라리, 그리고 진실로 자신의 교회가 어둡고, 하나님이 없이, 기독교화 되지 않은 세상 한 가운데서 이들과 대조가 되어 빛을 비추기를 의도하고 계십니다.
He may rather, and indeed does purpose that his church shine as light in the midst of and in contrast to a dark, ungodly, and un-christianized world.
아마, 실제로 하늘과 땅의 전체 피조물이 예수님의 재림에 의하여 다시 새롭게 재창조 되는 것이 그분의 목적일 것입니다.(역사 속에서 성도에 의한 것이 아니고, 롬8:19-22)
It may be, and indeed is his purpose that the entire creation of the heaven and the earth be renewed and recreated (not: “Christianized”) by Jesus Christ at his second coming (not: by the saints within history, see Rom. 8: 19–22).
하나님께서는 지옥에 대하여도 주권자이시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지옥을 기독교화 해야 할 교회의 소명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God is also sovereign over hell, but this does not imply the church’s calling to Christianize hell.
마찬가지로, 칼빈주의가 개혁주의 신자에게 전체의 삶을 요구한다는 사실은 개혁주의 신자가 세상을, 혹은 심지어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를 기독교화 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Likewise, the truth that Calvinism claims the entire life of the Reformed believer does not imply that Reformed believers must Christianize the world, or even their own society.
이것은, 모든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모든 삶을 예수 그리스도의 주 되심에 복종 시키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자신의 전체 삶을 살아가도록 은혜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고전 10:31)
What it does imply is that every Reformed Christian is called by grace to bring his or her own entire life under subjection to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and to live his or her entire life to the glory of God (1 Cor. 10: 31).
만약에 나 자신이 이러한 잔인한 의미를 칼빈주의의 근본적인 원칙으로부터 건전한 추론을 기술하도록 강요를 받는다면, 건전한 추론은, 나는 우리가 이 세상에서 우리의 삶 전체를 "기독교화"하라는 부르심을 받았는데, 이는 예배와 기도 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일이나 역할, 우리의 연구들, 과학에서의 우리의 작업, 우리의 예술적인 노력들, 정치와 시민 정부에 대한 우리의 참여등, 모두에서 우리가 부르심을 받은 것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If I were compelled to use the barbarous term to describe the sound inference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alvinism, I would say that the sound inference is that we are called to “Christianize”the whole of our life in the world, not only worship and devotions, but also our work and play, our studies, our work in science, our artistic efforts, our involvement in politics and civil government—all.
전체 세상이 아니라, 전체 세상 안에서의 우리 자신의 삶입니다.
Not the whole world, but our own life in the whole world.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화란 사람은 자신의 동포와 모든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에게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라"는 거대한 과업을 요구합니다.
Nevertheless, the two Dutchmen called their countrymen and all Reformed Christians to this grandiose task: “Christianize the world!”
이들은 많은 강연회와 저술들에서 이러한 요구를 쟁점화하고 있습니다.
They issued the call in many speeches and writings.
특히 아직까지 계속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1898년 미국의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행한 칼빈주의에 대한 카이퍼의 강연들입니다.
Especially influential were and still are Kuyper’s lectures on Calvinism at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United States in 1898.
이 강연은 곧바로 "칼빈주의 강연"이라는 책으로 출간 되었습니다.
The lectures were soon published as a book, Lectures on Calvinism.
수년 간에 걸쳐서, 이 책은 사회와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개혁주의 옹호자의 경전이 되었읍니다.
Over the years, the book has been the bible of the Reformed advocates of the Christianizing of society and the world.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칼빈 신학교에서 하나 이상의 신앙과 신학 과정에서 교과서로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My own copy (Eerdmans, 1953) was the textbook in more than one religion and theology course at Calvin College.
비록 비그리스도인의 활동인 카드 놀이, 극장, 춤에 대한 카이퍼의 금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지라도 이것은 다른 과정들에도 호소력이 있었습니다.("이 세상의 사악한 영향," 73)
It was appealed to in other courses, although not in support of Kuyper’s banning of card-playing, theater, and dance as unchristian activities (“unhallowed influence of this world,”73).
"기독교화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What is Meant by “Christianizing”
카이퍼와 바빙크가 의미하는 이상하고, 비성경적이고, 비교리적인 의미인 "기독교화"는 이 세상이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What Kuyper and Bavinck meant by the odd, non-biblical, non-creedal term “Christianizing,”was not that the world becomes Christian.
세상이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모든 국가에서의 모든 삶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서, 국민의 마음으로부터 하나님을 사랑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법에 복종하여야 할 것을 의미합니다.
That the world becomes Christian would mean that all the life of all the nations would be obedience to the law of God, in love for God from the hearts of the citizens, because they believed in Jesus Christ.
이것은 모든 국가들의 국민들의 대다수가 예수 그리스도께로 돌아와서 구원을 받은 경우에만 해당될 수 있읍니다.
And this could only be the case because a majority of the citizens of all nations had been converted to Jesus Christ and saved.
카이퍼와 바빙크와 그의 동시대의 제자들은 "기독교화"라는 이것을 절대로 마음에 두지는 않았습니다.
“Christianizing”in the program of Kuyper, Bavinck, and their contemporary disciples does not have this in mind whatsoever.
그러나 이것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외적인 행동에 영향을 주도록 하는 기독교의 특정한 영향에 관한 것입니다.
But it refers to a certain influence of Christianity upon people, affecting their outward conduct.
이 세상의 거의 대다수의 사람들은 하나님 없는 불신자들로 남아있을 것입니다.
The vast majority of the people of the world remain ungodly and unbelieving.
그들은 예수가 메시아라는 것을 거부합니다.
They reject Jesus as the Messiah.
그들은 알라든지, 혹은 부처, 혹은 영화 스타들, 혹은 운동 선수들, 혹은 자신들의 돈이든지, 자신들의 우상을 섬깁니다.
They worship their idols, whether Allah, or Buddha, or some movie star, or some athlete, or their money.
그러나 기독교는 그들의 행동, 그리고 심지어는 그들의 사고를 더 나은 것으로 변화 시킵니다.
But Christianity changes their conduct, and perhaps even their thinking, for the better.
카이퍼 자신은 "기독교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말합니다: "그리스도인"["국가를 기독교화"한다는 구절에서]은 이러한 나라에서 거주민의 영적인 상태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아니고, 오직 공적인 의견, 일반적인 마음 가짐, 통치 개념, 도덕 규범, 기독교 신앙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히 드러나는 법률이나 관습들의 사실들에 대한 증거가 될 뿐입니다. (카이퍼의 일반은혜 199)
Kuyper himself described “Christianizing” this way: “Christian”[in the phrase, “Christianizing the nation”] says nothing about the spiritual state of the inhabitants of such a country but only witnesses to the fact that public opinion, the general mind-set, the ruling ideas, the moral norms, the laws and customs there clearly betoken the influence of the Christian faith (“Common Grace,”in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ed. James D. Bratt, Eerdmans, 1998, 199).
바빙크는 "삶의 기독교화"를 기록한 후에 이러한 행동이 "전체 우주와 국가와 지역의 조직적이고 유기적인 개혁"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Bavinck wrote of “Christianizing life,”and then described this activity as “a methodic, organic reformation of the whole cosmos, of nation and country”(“The Catholicity of Christianity and the Church,”Calvin Theological Journal 27 [1992]: 243, 246).
그는 이러한 연결에서 "전체 세계의 정복"을 말합니다.
He spoke in this connection of “the conquest of the entire world”(“Calvin and Common Grace,”a booklet without publisher, place, or date, in my library, 127).
기독교화 된 세상은 여전히 우상과 불신앙과 불의의 어둠에 놓여있지만 이는 외적으로는 좀 더 고상하고 도덕적이며 질서가 있게 된 것이다.
A Christianized world is a world that still lies in the darkness of idolatry, unbelief, and unrighteousness, but that has become outwardly more decent, moral, and orderly.
기독교의 표면적인 것이 세상에 적용이 된 것이며; 이 세상이 "기독교화"되었다는 것입니다.
A veneer of Christianity has been applied to the world; the world has been “Christianized.”
프로젝트의 힘: 일반은혜
The Power of the Project: Common Grace
카이퍼, 바빙크, 그리고 그의 동시대 제자들이, 개혁 교회의 영역에서와 더 넓은 복음주의 기독교의 영역에서,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이 프로젝트의 기반으로 삼는 것은, 하나님께서 신자는 물론 불신자와, 그리스도인은 물론 이방의 모든 인류 가운데 일하시는 일반은혜인 것입니다.
Basic to this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for Kuyper, Bavinck, and their contemporary disciples, both in the sphere of the Reformed churches and in the broader sphere of evangelical Christianity, is a common grace of God working in all humans, godless as well as godly, pagans as well as Christians.
이것은 비록 죄인을 구원하지 않는 저항할 수 없는 은혜는 아닐지라도, 힘 있는 것입니다.
This is a mighty, though not irresistible grace of God that does not save sinners.
카이퍼가 자신의 강연에서 우리에게 충고하는, 일반은혜가 하는 것은:
What common grace does, Kuyper advises us in his Lectures:
하나님께서는 일반은혜로 세상의 생명을 유지 시키시며, 그 위에 놓여있는 저주를 늦추시며, 파멸의 과정을 붙잡으시며, 이렇게 하심으로서 우리의 삶의 자유로운 발전을 허락하심으로서 창조주로서의 자신에게 영광을 돌리게 하신다.(칼빈주의 강연, 30). 이러한 일반은혜로 "세상의 발전이 절정에 이르도록"하며, 궁극적으로 세상이 기독교화 되는 것이 하나님의 목적이다.(카이퍼, 일반은혜, 176)
There is… also a common grace by which God , maintaining the life of the world, relaxes the curse which rests upon it, arrests its process of corruption, and thus allows the untrammeled development of our life in which to glorify Himself as Creator (Lectures on Calvinism, 30). It is the purpose of God with this common grace to “consummate the world’s development,” ultimately in the world’s being Christianized (Kuyper, “Common Grace,” in Bratt, Abraham Kuyper, 176).
카이퍼는 자신의 프로젝트를 위하여 이와 같은 은혜가 매우 많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Kuyper very much needed such a grace for his project.
비교적 소수의 그리스도인 만이 이와 달리 세상보다도 훨씬 적게 자신들의 이웃에 영향을 주리라고 기대 될 수가 없었습니다.
The comparatively few Christians can otherwise not be expected to influence their neighborhoods, much less the world.
그러나 이제 불신자 자신들은, 자신들의 완전한 부패에서 벗어나서 하나님의 저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워지면서, 자신들이 진실로 선한 문화와 사회- 최소한 외적으로는 그리스도께 순응하는 삶의 방법으로-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But now the ungodly themselves, delivered from their total depravity and freed somewhat from God’s curse, can exert themselves to realize a truly good culture and society— a way of life that at least outwardly conforms to Christ.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이 공유하는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 덕분에, 그리스도인은 자신들의 사회와, 자신들의 국가와,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중요한 작업에, 불신자인 이웃과 믿지 않는 지역 사람들과 협력하고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By virtue of this grace of God, which is shared by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Christians may and can cooperate with their ungodly neighbors and unbelieving countrymen in the important work of Christianizing their society, their nation, and finally, the world.
이러한 작업에 있어서, 그리스도인은 자신들만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특별한 은혜의 영향을 추가하였습니다.
In this work, Christians add the influence of the particular grace that is their peculiar possession.
세상을 기독교화 하고자 하는데 이것(일반은혜)이 없이는 이러한 생각은 깨어났을 때 사라지는 꿈과 같이 희미하게 사라질 것이며, 전체 프로젝트는 구멍 난 기구와 같이 붕괴되는 것과 같이 일반은혜는 그만큼 중요한 것입니다.
So important is common grace to th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at without it the notion fades away like a hazy dream upon one’s awakening, and the entire project collapses like a pierced balloon.
이것이, 기독교개혁교회(CRC)가 1924년에 헤르만 훅세마에 반대하며 일반은혜 교리를 변론하면서, 죄인을 가두지 못한 이유의 일부입니다.
This is in part the reason that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1924 took no prisoners in its defense of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against Herman Hoeksema.
기독교개혁교회(CRC)는 마음과 영혼으로, 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카이퍼의 십자군에 동참하였읍니다.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was committed, heart and soul, to Kuyper’s crusade of Christianizing the world.
이 교단의 정신은, 그 이후에 점진적으로,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보다는, 문화적인 칼빈주의가 되었습니다.
The spirit of that denomination was then, and has increasingly become cultural Calvinism, rather than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m.
성경을 공부하는 많은 학생들이 그렇지는 못했지만, 이러한 이론이 성경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는 이론이라는 것을 인식하였습니다.
Every student of Scripture cannot but notice how this theory turns the Bible on its head.
그리스도인이 선을 위하여 세상에 영향을 주어야 하는 것은 성경에서의 주요한 충고가 아닙니다.
It is not a prominent admonition in the Bible that Christians must influence the world for good.
그러나 참된 교회와 하나님의 거룩한 자녀는, 세상이 자신들에게 줄 영향에 대하여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자신들을 보호해야 하는 것이 성경의 거의 모든 곳에서 의 경고입니다.
But it is a warning on almost every page of Holy Scripture that the true Church and the holy child of God must be vigilant in guarding against the world’s influencing them (James 1: 27; James 4: 4; Rom. 12: 2; Gal. 1: 4).
예수 그리스도가 계시지 않는 하나님의 나라
The Kingdom of God without Jesus Christ
회의론자가 세상을 기독교화 하자는 이러한 황당한 캠페인에 대한 성경적 증거를 요구할 때, 문화 기독교에 열광하는 이들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말하는 성경의 본문에 호소합니다.
When the skeptic requests biblical proof for this quixotic campaign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he enthusiasts for cultural Christianity appeal to the biblical texts that speak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그러므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는 것과 하나님의 나라는 동일시됩니다.
Thus, a Christianized world is identified with the kingdom of God.
기독교화에 헌신하는 이들이 즐겨 사용하는 함의는, 이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이들, 주로 개신개혁교회(PRC)들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이 없으며, 진실로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찾는 것도 추구하는 것도 실패했다는 것입니다.
The implication, which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are happy to draw, is that those—chiefly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who reject the project are without a kingdom-vision, indeed fail to seek and promote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중상모략입니다!
A slander!
다음 회에서 나는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생각과 프로젝트를 비평하려고 합니다.
I intend to subject the notion and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to criticism in my next installment.
그러나 독자들로 하여금 일반은혜의 나라가 어떠한 모양이나 형태든지 간에 성경에서 계시 된 하나님의 나라는 아니라는 것을 주의 깊게 관찰하도록 해야 합니다.
But let the readers observe carefully that the kingdom of common grace is not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e Bible in any shape or form.
이것은, 최선을 다한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기독교 신앙의 어떤 면에 외적으로 순응 된 나라로서, 거듭난 마음에서 우러난 하나님에 대한 어떠한 사랑과 열심이 없는 것입니다.
It is a kingdom, at best, of merely external conformity to some aspects of the Christian religion, without any love of and zeal for God in regenerated hearts.
이는 국민들의 나라로서, 그들 대부분이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미워하며- 그 결과 참된 교회와 진실 된 신자들은- 우상을 숭배하고 불신앙 가운데 완고하게 살아가게 됩니다.
It is a kingdom of citizens most of whom hate God and his Christ—and therefore the true church and genuine believers—worshipping idols and living impenitently in unbelief.
이러한 나라에서 가장 저주스러운 것은, 십자가에 달리시고 일어나신 주 예수께서 그 가운데 왕으로 통치 하시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What is most damning about this kingdom is that the crucified and risen Lord Jesus does not reign in it as king.
적그리스도를 양산하는 일반은혜
Common Grace Produces Antichrist
나는 일반은혜의 나라, 즉 카이퍼, 바빙크, 그리고 현대 문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개념이 형성된, 기독교화된 세상에서의 국민의 한 사람이 아닙니다.
I for one am not a citizen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that is, of a Christianized world as conceived by Kuyper, Bavinck, and the modern cultural Calvinists.
나는 나의 영혼 구원의 위험으로 인하여, 이러한 나라를 세우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물론, 시민권도 포기합니다.
I renounce citizenship in this kingdom, as well a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of building it, on peril of my soul’s salvation.
일반은혜의 나라의 이상함에 더할 것은, 카이퍼 자신에 따르면, 그것의 마지막 형태와 발전 안에서, 일반은혜에 의하여 기독교화 된 세상 나라의 건축은 적그리스도의 나라가 된다는 것을 증명 할 것입니다.
For adding to the peculiarity of the common grace kingdom is that in its final form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Kuyper himself, the architect of the kingdom of a world Christianized by common grace will prove to be the kingdom of Antichrist.
일반은혜라는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은 오직 죄인이 무대에 출연함으로서 연출 될 수 있으며...일반은혜는...죄에 대하여 역사상 가장 강력한 증거가 되며...바빌론은...부와 광채를 가장 웅장하게 드러내는, 가장 정교한 형태를 보여 줄 것이며,삶을 눈부시고 영광스럽게 만드는 모든 것의 가득한 찬란함일 것입니다.이것으로부터 우리는 "일반은혜"가 끝까지 기능을 계속하리라는 것을 알게 된다. 오직 일반은혜가 인간의 삶 가운데서 유래하는 모든 힘의 완전한 출연을 자극했을 때 "죄 가운데 있는 인간"은 이러한 힘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평평한 지형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일반은혜" 아브라함 카이퍼,180,181)
The closing scene in the drama of common grace can be enacted only through the appearance on stage of the man of sin…Common grace…leads to the most powerful manifestation of sin in history…Babylon…will display the most refined forms, the most magnificent unfolding of wealth and splendor, the fullest brilliance of all that makes life dazzling and glorious. From this we know that “common grace”will continue to function to the end. Only when common grace has spurred the full emergence of all the powers inherent in human life will “the man of sin”find the level terrain needed to expand this power (“Common Grace,”in Bratt, Abraham Kuyper: A Centennial Reader, 180, 181).
사람들은 이러한 것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려는 문화 칼빈주의자들의 열정을 수그러뜨리리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One would think that this would dampen the enthusiasm of the cultural Calvinists for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그들은 실제에 있어서는, 의심스러운 프로젝트인, 세상의 적그리스도화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y are, in reality, working at the Anti- christianizing of the world—a dubious project'화란개혁주의 > 카이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엥겔스마의 비평3- CHRISTIANIZING THE WORLD?(3) (0) | 2015.12.13 |
---|---|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엥겔스마의 비평2- CHRISTIANIZING THE WORLD?(2) (0) | 2015.12.13 |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엥겔스마의 비평- CHRISTIANIZING THE WORLD?(서론) (2) | 2015.12.13 |
코르넬리스 프롱크 목사가 말하는 카이퍼의 신칼빈주의 (0) | 2015.06.14 |
카이퍼의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0) | 201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