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첸'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9.03.26 :: 메이첸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 2019. 3. 26. 22:02

메이첸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메이첸은 임종시에 머레이에게 “나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에 너무나 감사합니다. 그것이 없었다면 내게는 아무런 희망이 없었을 것입니다"라는 말을 남겼다.


전가 교리는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이며, 전가의 내용에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현 시대에 대표적으로 전가 교리를 거부하는 이들은 새관점주의자들이며, 그 한 가운데에는 톰 라이트가 있다.


하지만 능동적 순종이라는 그리스도의 삶의 여정에 대한 특징적 개념이 정립되지 않는다면, 개혁주의 진영에 있다고하는 이들 조차도 새관점에 쉽게 동화될 수 있다.


개혁주의 신학에서 출발하였지만 행위 언약과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개념을 거부하는 패더럴 비전Federal Vision의 경우만 보더라도 결과적으로는 새관점과 유사한 형태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패더럴비전이 새관점과 차이가 있다면, 새관점은 전가 교리 자체를 부인하는 것과 달리, 페더럴비전은 오직 수동적 순종의 의만의 전가를 인정한다.


결핍된 능동적 순종의 의는 결과적으로 최종적 구원을 위해서 신자에게 순종의 행위가 요구된다.


처음 아담의 경우, 에덴에서 요구되었던 선악과 금령을 지키는 것만으로는 종말론적 축복에 이를 수 없었다.


처음 아담에게는 선악과 금령만이 아니라 창세기 1장 28절의 통치 명령이 요구되었었다.


율법의 저주가 아담의 범죄와 관련된 것이었다면, 율법의 요구는 선악과 금령에서의 행위 언약 뿐만이 아니라 통치 명령을 통한 이 땅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성취를 위한 것이었다.


능동적 순종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라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한다.


처음 아담은 창세기 1장 28절의 명령을 실행하지 못하였지만, 둘째 아담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능동적 순종을 통하여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임하게하셨다.


처음 아담과의 대비가 없는 하나님 나라는 둘째 아담이 없는 새관점의 하나님 나라와 같은 결론에 도달된다.


모든 인류의 죄는 처음 아담의 범죄 안에서 이해되어야 하지만, 둘째 아담의 개념이 제거된 새관점은 인간의 죄를 단지 가나안에서의 유대 이스라엘의 범죄로 국한시킨다.


둘째 아담이라는 개념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절대적이며, 그리스도의 수동적 순종과 능동적 순종의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대 개념이다.


하지만 새관점에서는 둘째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다.


새관점은 아담의 불의와는 관계없이 논리를 전개하지만, 능동적 순종의 개념은 전적으로 아담의 의와 불의라는 관점으로부터 논리가 전개된다.


메이첸은 그리스도의 순종을 아담의 불순종과 대비시키면서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에 대하여 설명하고있다.


메이첸이 예를 들어 설명하는 도덕 감화론은 오늘날 톰 라이트의 새관점에 그대로 적용해 볼 수 있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메이첸이 말하는 능동적 순종을 번역한 것이다.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The Active Obedience of Christ


그레샴 메이첸

J Gresham Machen


지난 주일 오후에,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법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그리스도의 사역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의 윤곽을 그리는데 있어서, 나는 이 사역의 한 가지 매우 중요한 부분에 대하여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LAST Sunday afternoon, in outlining the Biblical teaching about the work of Christ in satisfying for us the claims of God’s law, I said nothing about one very important part of that work.


저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대신해서 십자가에서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할  죄값으로 죽으셨음을 지적하였지만, 그가 우리를 위해서 하신 또 다른 것은 말하지는 않았습니다.

I pointed out that Christ by His death in our stead on the cross paid the just penalty of our sin, but I said nothing of another thing that He did for us.


저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서 자신이 행하신 하나님의 법에 대한 능동적 순종에 관하여 아무 것도 말하지 않았습니다.

I said nothing about what Christ did for us by His active obedience to God’s law.


우리가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전에 이 부분에 관한 윤곽을 그리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should fill out that part of the outline before we go one step further.

그리스도께서는 단지 지난 주 오후에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것에 대하여 우리들이 언급했던 것만을 행하셨다고 가정해보세요.
Suppose Christ had done for us merely what we said last Sunday afternoon that He did.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로 인하여 우리에게 주어졌던 율법의 마땅한 형벌만을 치루시고 그 이상의 어떠한 것도 행하지 않으셨다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어느 곳에 있어야하겠습니까?

Suppose He had merely paid the just penalty of the law that was resting upon us for our sin, and had done nothing more than that; where would we then be?


그렇다면 제가 말할 수 있는 것은 - 생각 속에서나마, 만약에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일의 한 부분을 나머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합당하다고 가정한다면- 만약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서 죄값만을 치르시고 그 이상의 것을 하시지 않으셨다면, 우리는 잘해봐야 아담 자신이 하나님께서 자신을 행위 언약 아래 두신 것을 알았던 상황에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Well, I think we can say — if indeed it is legitimate to separate one part of the work of Christ even in thought from the rest — that if Christ had merely paid the penalty of sin for us and had done nothing more we should be at best back in the situation in which Adam found himself when God placed him under the covenant of works.

이 행위 언약은 일정 기간의 검증이었습니다.
That covenant of works was a probation.


만약에 아담이 특정 기간동안 하나님의 법을 지켰다면, 그는 영생을 얻었을 것입니다.

If Adam kept the law of God for a certain period, he was to have eternal life.


만약에 그가 불순종하였다면, 그는 죽어야만 했을 것입니다.

If he disobeyed he was to have death.


결국 그는 불순종했고, 죽음의 형벌은 그와 그의 후손에게 내려졌습니다.

Well, he disobeyed, and the penalty of death was inflicted upon him and his posterity.


그래서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께서 택하신 이들을 위해서,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이러한 형벌의 값을 치르셨습니다.

Then Christ by His death on the cross paid that penalty for those whom God had chosen.

정말 다행입니다.
Well and good.


만약에 이것이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서 행하신 전부라면, 우리는 아담이 범죄하기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가야만 한다는 것을 알지 못합니까?

But if that were all that Christ did for us, do you not see that we should be back in just the situation in which Adam was before he sinned?


아담의 범죄에 대한 형벌은, 그리스도께서 전부 치르셨기 때문에, 우리로부터 제거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The penalty of his sinning would have been removed from us because it had all been paid by Christ.


그러나 영생을 얻는 미래의 일은 하나님의 법에 대한 우리의 완전한 순종에 달려있는 것입니다.

But for the future the attainment of eternal life would have been dependent upon our perfect obedience to the law of God.


우리는 단지 다시 검증의 시간으로 돌아가야만 할 것입니다.

We should simply have been back in the probation again.

더군다나 우리는, 검증에 있어서, 처음 아담이 놓여있던 환경보다도 훨씬 희망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돌아가야만 할 것입니다.
Moreover, we should have been back in that probation in a very much less hopeful way than that in which Adam was originally placed in it.


아담은 검증을 받는데 있어서 모든 것이 아담에게 좋은 상태에 있었습니다.

Everything was in Adam’s favour when he was placed in the probation.


그는 지적이고 의롭고 거룩하게 창조되었습니다.

He had been created in knowledge, righteousness and holiness.


그는 분명히 선하게 창조되었습니다.

He had been created positively good.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타락했습니다.

Yet despite all that, he fell.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하신 모든 것이 단지 우리의 과거의 범죄를 제거하는 것이었으며, 하나님께서 완전한 순종을 근거로 선언하신 상급을 우리의 노력으로 얻도록 남겨두신다면, 우리는 타락할 수밖에 없을 뿐만이 아니라 확실하게 타락할 것입니다.

How much more likely would we be to fall — nay, how certain to fall — if all that Christ had done for us were merely to remove from us the guilt of past sin, leaving it then to our own efforts to win the reward which God has pronounced upon perfect obedience!

그러나 저는, 만약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서 그가 실제로하셨던 것보다도 덜하셨을 경우에 일어날 수 있었을 것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을 그만둘 수밖에 없습니다.

But I really must decline to speculate any further about what might have been if Christ had done something less for us than that which He has actually done.


실제에 있어서는, 그는 아담의 처음 범죄의 형벌과 우리 각자가 행한 죄들의 형벌을 감당하셨을 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영생을 위해서 분명한 공로가 되셨습니다.

As a matter of fact, He has not merely paid the penalty of Adam’s first sin, and the penalty of the sins which we individually have committed, but also He has positively merited for us eternal life.


달리 표현하자면, 그는 형벌을 갚으신 것과 검증을 받으신 것 모두에 있어서 우리의 대표가 되셨습니다.

He was, in other words, our representative both in penalty paying and in probation keeping.


그는 우리를 위해서 죄의 형벌을 치르셨으며, 또한 우리를 위해서 검증도 받으셨습니다.

He paid the penalty of sin for us, and He stood the probation for us.

이것이 바로 주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구원받은 자들이 타락 이전의 아담보다도 훨씬 더 축복받은 상태에 있는 이유입니다.
That is the reason why those who have been saved by the Lord Jesus Christ are in a far more blessed condition than was Adam before he fell.


타락 이전의 아담은 하나님께서 보시기에는 의로웠지만, 아직 불의하게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였습니다.

Adam before he fell was righteous in the sight of God, but he was still under the possibility of becoming unrighteous.


주 예수 그리스도로 인하여 구원을 받은 이들은 하나님이 보시기에 의로울 뿐만이 아니라 불의하게될 가능성은 넘어선 이들입니다.

Those who have been saved by the Lord Jesus Christ not only are righteous in the sight of God but they are beyond the possibility of becoming unrighteous.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검증은 끝난 것입니다.

In their case, the probation is over.


이는 그들이 성공적으로 설 수 있었기 때문에 끝난 것은 아닙니다.

It is not over because they have stood it successfully.


이는 그들이 하나님께서 완전한 순종을 조건으로 약속하신 보장된 축복의 상급을 얻었기 때문에 끝난 것은 아닙니다.

It is not over because they have themselves earned the reward of assured blessedness which God promised on condition of perfect obedience.


그러나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대신해서 감당하셨기 때문에 끝난 것이며,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위해서 하나님의 법에 대한 자신의 완전한 순종의 상급을 공로로 얻으셨기 때문입니다.

But it is over because Christ has stood it for them; it is over because Christ has merited for them the reward by His perfect obedience to God’s law.

나는 이를 하나님의 법과 은혜로 구원받은 죄인들 간의 대화를 상상함으로서  분명하게 설명해 드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I can make the matter plain if I imagine a dialogue between the law of God and a sinful man saved by grace.

하나님의 법이 말씀하시기를 ‘사람아, 너는 나의 계명에 순종하였는가?’.
‘Man,’ says the law of God, ‘have you obeyed my commands?’

은혜로 구원받은 죄인을 대답하기를 “아니오”.
‘No,’ says the sinner saved by grace.


‘나는 나의 대표자로서의 처음 범죄한 아담 안에서 뿐만이 아니라, 나 자신이 생각에서, 그리고 말과 행동에서 범죄하여 하나님의 법에 불순종 하였습니다.’

‘I have disobeyed them, not only in the person of my representative Adam in his first sin, but also in that I myself have sinned in thought, word and deed.’

‘그렇다면, 죄인이여’ 하나님의 법이 말씀하시기를, ‘자네는 내가 불순종에 대하여 선언하였던 형벌을 치렀는가?’
‘Well, then, sinner,’ says the law of God, ‘have you paid the penalty which I pronounced upon disobedience?’

‘아닙니다’ 죄인이 대답하기를, ‘나는 나 자신이 형벌을 치르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나를 위해서 치르셨습니다. 그는 십자가에서 죽으셨을 때 나의 대표자였습니다. 그러므로, 형벌에 관해서 나는 결백합니다.’
‘No,’ says the sinner, ‘I have not paid the penalty myself; but Christ has paid it for me. He was my representative when He died there on the cross. Hence, so far as the penalty is concerned, I am clear.’

‘그렇다면, 죄인이여’ 하나님의 법이 말씀하시기를, ‘하나님께서 보장하신 축복을 얻기 위해서 선언하셨던 조건들에 대해서는 어떠하였는가?’
‘Well, then, sinner,’ says the law of God, ‘how about the conditions which God has pronounced for the attainment of assured blessedness?


시험은 통과하였는가?

Have you stood the test?


너는 검증의 기간 동안에 완전한 순종으로 영생을 얻을 공로를 쌓았는가?

Have you merited eternal life by perfect obedience during the period of probation?’

‘아니오’ 죄인은 말하기를, ‘나는 나 자신의 완전한 순종으로 영생을 얻을 공로를 쌓지 못했습니다.
‘No,’ says the sinner, ‘I have not merited eternal life by my own perfect obedience.


나 자신이 그리스도인이 된 이후에도 나는 생각과 말과 행동에서 범죄하였다는 것을 하나님은 아시고, 나 자신의 양심도 알고 있습니다.

God knows and my own conscience knows that even after I became a Christian I have sinned in thought, word and deed.


그러나 나 자신의 어떠한 순종도 영생을 얻기 위한 공로가 될 수 없었지만, 그리스도께서는 나를 위해서 자신의 완전한 순종으로 공로를 얻으셨습니다.

But although I have not merited eternal life by any obedience of my own, Christ has merited it for me by His perfect obedience.


그가 율법에 복종하신 것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He was not for Himself subject to the law.


그는 모든 것의 주가 되시기에, 그에게는 자신을 위한 어떠한 순종도 요구되지 않습니다.

No obedience was required of Him for Himself, since He was Lord of all.


그렇다면, 그가 이 땅에 계셨던 동안에 자신을 율법에 내어주신 순종은, 나를 대신하는 자로서 스스로 내어주신 것입니다.

That obedience, then, which He rendered to the law when He was on earth was rendered by Him as my representative.


비록 나에게는 나 자신의 의가 없지만, 오직 믿음으로 나에게 전가되어 받게된 그리스도의 완전한 의를 옷 입어서, 검증이 지켜졌던 것이 나에게 관계되어있다는 사실과, 그리스도께서 이와같이 나를 위해서 얻으신 영광스러운 상급이 나를 기다리고있다는 것에 대하여 하나님께서 진실하시다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I have no righteousness of my own, but clad in Christ’s perfect righteousness, imputed to me and received by faith alone, I can glory in the fact that so far as I am concerned the probation has been kept and as God is true there awaits me the glorious reward which Christ thus earned for me.’

이와같이,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그리스도인과 하나님의 법 간의 대화는 단순한 형태입니다.

Such, put in bald, simple form, is the dialogue between every Christian and the law of God.


우리를 위해서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구원이 얼마나 영광스럽고 완전한지요!

How gloriously complete is the salvation wrought for us by Christ!


그리스도께서는 형벌을 감당하셨고, 상급을 받을 공로를 이루셨습니다.

Christ paid the penalty, and He merited the reward.


이것이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서 하신 두 가지 위대한 것들입니다.

Those are the two great things that He has done for us.

신학자들은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의 이 두 부분을 구분하는데 익숙해져있는데, 하나는 그의 수동적 순종으로 불리우고, 다른 하나는 그의 능동적 순종으로 불리운다.
Theologians are accustomed to distinguish those two parts of the saving work of Christ by calling one of them His passive obedience and the other of them His active obedience.


우리를 대신해서 고난을 받으신 그의 수동적 순종으로, 그는 우리를 위해서 형벌을 치루셨고, 하나님의 법이 요구하는 것에 대한 그의 능동적 순종으로, 그는 우리를 위해서 상급에 대한 공로를 이루셨습니다.

By His passive obedience — that is, by suffering in our stead — He paid the penalty for us; by His active obedience — that is, by doing what the law of God required — He has merited for us the reward.

나는 이와같은 용어를 매우 좋아합니다.
I like that terminology well enough.


나는 이것이 그리스도의 사역의 두 가지 면이 인간의 언어로 잘 제시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 think it does set forth as well as can be done in human language the two aspects of Christ’s work.


여기에는 이러한 구분이 우리로하여금 그리스도의 사역의 두 부분 가운데 한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하는 위험이 도사리고있습니다.

And yet a danger lurks in it if it leads us to think that one of the two parts of Christ’s work can be separated from the other.

우리가 어떻게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을 그의 수동적 순종으로부터 구분 할 수 있겠읍니까?
How shall we distinguish Christ’s active obedience from His passive obedience?


우리는 그가 자신의 능동적 순종을 자신의 삶으로 이루셨으며, 자신의 수동적 순종을 자신의 죽음으로서 이루셨다고 말해야만 합니까?

Shall we say that He accomplished His active obedience by His life and accomplished His passive obedience by His death?


아니요, 전혀 그렇지가 않습니다.

No, that will not do at all.


그리스도께서는 땅에서 사시는 모든 순간 동안에 자신의 수동적 순종에 관여하셨습니다.

During every moment of His life upon earth Christ was engaged in His passive obedience.


이것은 모두 그분에게는 굴욕이었읍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It was all for Him humiliation, was it not?


이것은 모두 고통이었습니다.

It was all suffering.


이것은 그분이 죄에 대한 형벌을 치르신 모든 것이었습니다.

It was all part of His payment of the penalty of sin.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그의 죽으심이 능동적 순종이 아닌 수동적 순종이었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On the other hand, we cannot say that His death was passive obedience and not active obedience.


이와는 반대로, 그의 죽으심은 그분의 능동적 순종의 왕관이었습니다.

On the contrary, His death was the crown of His active obedience.


이(죽으심)는 하나님의 법에 대한 순종의 왕관이었으며, 이로 인해서 그는 자신이 구원하게된 이들의 영생에 대한 공로가 되셨습니다.

It was the crown of that obedience to the law of God by which He merited eternal life for those whom He came to save.

그렇다면 이제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사역의 실상이 무엇인지 보이지 않습니까?
Do you not see, then, what the true state of the case is?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그의 수동적 순종은 그의 사역을 두 가지로 나누는 분기점이 아니며, 그의 지상에서의 삶 가운데 일부 일들은 그의 능동적 순종이 될 수 있으며, 그의 삶의 다른 일들은 그의 수동적 순종이 될 수 있지만; 그의 삶의 모든 일들이 능동적 순종이면서 동시에 수동적 순종이었습니다.

Christ’s active obedience and His passive obedience are not two divisions of His work, some of the events of His earthly life being His active obedience and other events of His life being His passive obedience; but every event of His life was both active obedience and passive obedience.


그의 삶의 모든 일들은 죄의 형벌에 대하여 치루시는 값의 일부분이며, 그의 삶에서의 모든 일들은, 자신의 백성을 위해서 영생의 상급을 얻으려고 하나님의 법을 영광스럽게 지키시는 일부분입니다.

Every event of His life was a part of His payment of the penalty of sin, and every event of His life was a part of that glorious keeping of the law of God by which He earned for His people the reward of eternal life.


달리 표현하자면, 그의 행위의 두 가지 면은 서로 불가피하게 뒤얽혀있다는 것입니다.

The two aspects of His work, in other words, are inextricably intertwined.


어떠한 것도 서로 분리되어서 실행되지는 않았습니다.

Neither was performed apart from the other.


이것들은 모두 우리의 구속자이신 그리스도에 의해서, 우리를 위해서 기록되어진 놀랍고 완전한 구원을 구성하고있습니다.

Together they constitute the wonderful, full salvation which was wrought for us by Christ our Redeemer.


우리가 간단 명료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법에 관해서 우리를 대신하시고 계시다는 것입니다.
We can put it briefly by saying that Christ took our place with respect to the law of God.


그는 우리를 위해서 율법의 형벌을 받으셨고, 그는 우리를 위해서 율법의 계명들에 순종하셨습니다.

He paid for us the law’s penalty, and He obeyed for us the law’s commands.


그는 우리를 지옥에서 구하셨으며, 그는 우리들이 천국에 들어갈 수 있는 자격을 대신 얻어주셨습니다.

He saved us from hell, and He earned for us our entrance into heaven.


그러므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은 그에게 빚진 것입니다.

All that we have, then, we owe unto Him.


우리가 이 세상에서나 다음 세상에서 그리스도께 감사하지 않아도 되는 축복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There is no blessing that we have in this world or the next for which we should not give Christ thanks.

제가 말한 바와 같이, 저는 제 언어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고있습니다.
As I say that, I am fully conscious of the inadequacy of my words.


나는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에 관하여 성경의 가르침을 요약하려고 하였지만; 성경 자체의 놀라운 풍성함과 따뜻함과 비교해 볼 때, 어떠한 단순한 인간의 요약도 - 제가 한 것보다도 더욱 좋다고 하더라도- 차갑고 메마를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I have tried to summarise the teaching of the Bible about the saving work of Christ; yet how cold and dry seems any mere human summary — even if it were far better than mine — in comparison with the marvellous richness and warmth of the Bible itself.


제가 다음 주일 오후에 저와 함께 들어가기를 부탁하려고하는 것은 성경 자체에 관한 것입니다.

It is to the Bible itself that I am going to ask you to turn with me next Sunday afternoon.


우리가 성경의 각 부분을 다른 부분들과 적절한 관계 속에서 취하도록하기 위해서 성경의 가르침을 요약하려고하는데 있어서, 하나님 자신이 그분의 언어를 통해서 우리에게 하신 말씀으로, 모든 사람들의 요약과 우리의 요약을 점검하기 위해서, 저는 여러분이 다음 주일에 저와 함께 그 위대한 본문들 자체로 들어가기를 요청하려고합니다.

Having tried to summarise the Bible’s teaching in order that we may take each part of the Bible in proper relation to other parts, I am going to ask you next Sunday to turn with me to the great texts themselves, in order that we may test our summary, and every human summary, by what God Himself has told us in His Word.


우리가 이러한 일을 할 때 우리의 영혼이 얼마나 새롭게 회복되지는지 모르겠습니다!

Ah, when we do that, what refreshment it is to our souls!


이러한 가르침을 요약하려는 모든 인간의 시도들보다도 하나님의 말씀이 얼마나 월등하게 우수한지 모르겠습니다!

How infinitely superior is God’s Word to all human attempts to summarise its teaching!


이와같은 시도들은 필요하며; 우리는 이것이 없이 할 수가 없으며; 성경에 대하여 참으로 진실된 모든 사람은 이 일에 참여할 것입니다.

Those attempts are necessary; we could not do without them; everyone who is really true to the Bible will engage in them.


그러나 심령을 건드리는 것은 바로 성경의 말씀이기에, 우리가 성경을 요약하면서 말하는 모든 것들은 - 혹은 심지어 위대한 신학자들의 성경에 대한 자료에 있어서도- 성경 자체와 비교하면서 새롭게 되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But it is the very words of the Bible that touch the heart, and everything that we — or for the matter of that even the great theologians — say in summary of the Bible must be compared ever anew with the Bible itself.

그러나 오늘 오후에는, 다음 주일에 우리가 최대한 지적으로 가능한 방법으로 성경 탐구를 시작하기 위해서, 저와 함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하여 사람들이 가지고있는 한 두 가지 다른 관점들을 얼핏 살펴보도록 하고자합니다.

This afternoon, however, just in order that next Sunday we may begin our searching of the Scriptures in the most intelligent possible way, I am going to ask you to glance with me at one or two of the different views that men have held regarding the cross of Christ.

저는 이미 여러분에게 정통주의 관점을 요약해주었습니다.
I have already summarised for you the orthodox view.


이 관점에 의하면, 그리스도는 십자가에서, 우리가 마땅히 치러야 할 형벌을 우리를 대신해서 치르셨습니다.

According to that view, Christ took our place on the cross, paying the penalty of that we deserved to pay.


이러한 관점은 매우 단순한 언어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That view can be put in very simple language.


우리에게는 죄로 인해서 영원한 죽음이 마땅하지만;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우리를 대신해서 십자가에서 우리의 자리에서 죽으셨습니다.

We deserved eternal death because of sin; Jesus, because He loved us, took our place and died in our stead on the cross.


여러분들이 원한다면 이와같은 관점이 혐오스럽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Call that view repulsive if you will.


이는 실제로 자연인에게는 혐오스럽습니다.

It is indeed repulsive to the natural man.


그러나 이것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하지는 마십시오.

But do not call it difficult to understand.


어린 아이도 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자신의 영혼의 구원을 위해서 이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A little child can understand it, and can receive it to the salvation of his soul.

이와같은 대속적 관점을 거부하면서, 많은 이들이 다른 관점들로 나아갑니다.
Rejecting that substitutionary view, many men have advanced other views.


대다수가 속죄이론입니다.

Many are the theories of the atonement.


저는, 우리가 만약에 그들이 매우 소수의 일반적 분파들로 나뉘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게된다면, 그들의 갈피를 잡지 못하는 다양함들이 마치 질서와 같은 것들로 축소되고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Yet I do think that their bewildering variety may be reduced to something like order if we observe that they fall into a very few general divisions.


그들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으심이 단지 사람들에게 주는 도덕적 효과만을 가지고있다는 이론입니다.
Most common among them is the theory that Christ’s death upon the cross had merely a moral effect upon man.


이러한 관점을 옹호하는 이들은 말하기를, 인간은 원래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입니다.

Man is by nature a child of God, say the advocates of that view.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는 자신의 고귀한 특권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But unfortunately he is not making full use of his high privilege.


그래서 사람은 끔찍한 나락으로 추락하였으며, 끔찍한 나락으로 추락한 것으로 인해서 하나님과 멀어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He has fallen into terrible degradation, and having fallen into terrible degradation he has become estranged from God.


사람은 더 이상 마땅히 살아가야할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친밀한 관계로 살아가고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He no longer lives in that intimate relationship of sonship with God in which he ought to live.

사람과 하나님간의 이와같은 낯선 관계가 어떻게 제거될수 있겠으며; 사람이 어떻게 하나님과의 교제관계로 돌아갈 수 있겠습니까?
How shall this estrangement between man and God be removed; how shall man be brought back into fellowship with God?


우리가 지금 얘기하고있는 이러한 관점을 옹호하는 이들은, 단순히 사람을 자신의 악의 길에서 돌이키게해서, 하나님의 자녀로서 자신이 가지고있는 고귀한 특권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말합니다.

Why, say the advocates of the view of which we are now speaking, simply by inducing man to turn from his evil ways and make full use of his high privilege as a child of God.


하나님 쪽에서는 확실하게 장벽이 없으며, 오직 사람의 어리석고 사악한 마음에만 있을 뿐이다(고 이들은 말합니다).

There is certainly no barrier on God’s side; the only barrier lies in man’s foolish and wicked heart.


일단 이러한 장벽을 극복하기만하면 모든 것이 잘될 것이다(고 이들은 말합니다).

Once overcome that barrier and all will be well.


(이들은) 일단 사람의 딱딱한 마음을 어루만져서 다시금 하나님이 아버지이심을 볼수 있도록하고,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사람이 용서받은 것보다도 더 용서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인도하고나서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진실된 관계는 단번에  회복될 수 있으며, 사람이 거룩한 삶 가운데 열심으로, 자신이 하늘의 아버지로부터 사랑 받는 자녀로서 갖고 있는 고귀한 특권을 사용하도록 하여야한다(고 주장합니다).

Once touch man’s stony heart so that he will come to see again that God is his Father, once lead him also to overcome any fear of God as though God were not always more ready to forgive than man is to be forgiven; and at once the tru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can be restored and man can go forward joyously to the use, in holy living, of his high privilege as a child of the loving heavenly Father.

그러나 어떻게 사람의 마음이 다스려질 수 있을 것이며, 자신의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도록 인도받을 수 있을 것이며, 하나님의 아들에 합당한 삶을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But how can man’s heart be touched, that he may be led to return to his Father’s house and live as befits a son of God?


지금 우리가 언급하고있는 관점을 옹호하고있는 이들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묵상함으로서 그렇게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By the contemplation of the cross of Christ, say the advocates of the view that we are now presenting.


예수 그리스도는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Jesus Christ was truly a son of God.


진실로 그는 하나님의 아들로서, 이와같은 독특한 방식에서는 어느 정도는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리워질 수도 있습니다.

Indeed, He was a son of God in such a unique way that He may be called in some sort the Son of God.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십자가에서 죽게 내어주시고, 그리스도도 기꺼이 죽음에 자신을 내어주는 것은, 하나님께서 죄를 짓고 잘못되어진 인간을 사랑하신다는 놀라운 증거가 될 수는 있습니다.

When therefore God gave Him to die upon the cross and when He willingly gave Himself to die, that was a wonderful manifestation of God’s love for sinning, erring humanity.


이와같은 사랑 앞에서는 사람의 마음에 있는 모든 적대감이 무너져야만 합니다.

In the presence of that love all opposition in man’s heart should be broken down.


이러한 이는 결국 하나님이 진실로 자신의 아버지이시라는 사실을 인식하여야만 하며, 결국에는 자신이 하나님의 자녀에 합당한 삶을 살아야하는 고귀한 특권을 사용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만 합니다.

He should recognise at last the fact that God is indeed his Father, and recognising that, he should make use of his high privilege of living the life that befits a child of God.

이와같은 것을 소위 말하는 속죄에 대한 ‘도덕 감화론’이라고 부릅니다.
Such is the so-called ‘moral-influence theory’ of the atonement.


이는 일천가지의 다양한 형태들을 취하고있으며, 자신들이 붙들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조그마한 지식도 가지고있지 않은 수천의 사람들에 의해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It is held in a thousand different forms, and it is held by thousands of people who have not the slightest notion that they are holding it.

이를 받아들이고 있는 이들 가운데 일부는, 이것을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실제적 믿음과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하려고 하고있습니다.
Some of those who have held it have tried to maintain with it something like a real belief in the deity of Christ.


만약에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참된 영원하신 아들이셨다면, 그분이 십자가에서 주신 선물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가장 위대한 증거가 될 것입니다.

If Christ was really the eternal Son of God, then the gift of Him on the cross becomes all the greater evidence of the love of God.


그러나 속죄에 관한 도덕 감화적 관점을 고수하는 거의 대다수가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고있다는 것입니다.

But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ose who hold the moral-influence view of the atonement have given up all real belief in the deity of Christ.


이러한 사람들은 단순히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우리들에게 자기 희생이라는 최상의 본보기를 제시한 것이라는 생각을 고수하고있습니다.

These persons hold simply that Jesus on the cross gave us a supreme example of self-sacrifice.


이와같은 본보기에 의해서 우리는 그와같이 행동할 영감을 얻게됩니다.

By that example we are inspired to do likewise.


우리는 어떤 거룩한 동기로 인한 실제적 순교로서나 혹은 희생적 헌신으로, 우리의 삶을 희생하는 영감을 얻을 것이다.

We are inspired to sacrifice our lives, either in actual martyrdom in some holy cause or in sacrificial service.


이와같이 자신의 삶을 희생함으로서, 우리는 자신이 이로 인하여 이전보다도 더 고귀한 삶을 성취했다는 것을 발견하게된다.

Sacrificing thus our lives, we discover that we have thereby attained a higher life than ever before.


이와같이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우리로하여금 도덕적 절정에 이르게하는 길이 되었습니다.

Thus the cross of Christ has been the pathway that leads us to moral heights.

오늘날 인기있는 대부분의 종교 서적을 읽어보세요, 그리고 여러분들은 그들이 의미하는 것이 그 밑바탕에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있지는 않은지 저에게 말씀해주십시오.
Read most of the popular books on religion of the present day, and then tell me whether you do not think that that is at bottom what they mean.


그들 가운데 일부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Some of them speak about the cross of Christ.


그들 가운데 일부는 그리스도의 고난이 구속적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Some of them say that Christ’s sufferings were redemptive.


그러나 문제는 그들이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그리스도 자신의 십자가일 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십자가이며; 그리스도의 고난이 구속적일 때 우리의 고난도 구속적이라는 것을 고수하고있다는 것입니다.

But the trouble is they hold that the cross of Christ is not merely Christ’s cross but our cross; and that while Christ’s sufferings were redemptive our sufferings are redemptive too.


그들이 실제로 의미하는 것 전부는 갈보리의 그리스도가 우리가 따라야 할 길을 가리키고있다는 것입니다.

All they really mean is that Christ on Calvary pointed out a way that we follow.


그는 자기 희생의 길을 신성화하고 있습니다.

He hallowed the pathway of self-sacrifice.


우리는 이 길을 따라야하며, 그렇게함으로서 우리 영혼에 더 고귀한 삶을 얻어야한다는 것입니다.

We follow in that path and thus we obtain a higher life for our souls.

이것이 바로 십자가를 다루고있는 대부분의 현대 서적들의 가장 핵심적이고 널리 퍼져있는 악입니다.
That is the great central and all-pervading vice of most modern books that deal with the cross.


이들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단순히 자아 희생이라는 일반적 원리의 한가지 예로 만들고 있습니다.

They make the cross of Christ merely an example of a general principle of self-sacrifice.


그리고 만약에 그들이 여전히 구원에 관하여 말하고있다면, 그들은 우리가 십자가의 길을 걸음으로서 구원을 받는다고 말합니다.

And if they talk still of salvation, they tell us that we are saved by walking in the way of the cross.


이러한 관점으로는, 우리를 구원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아니라 우리의 십자가가 되는 것입니다.

It is thus, according to this view, not Christ’s cross but our cross that saves us.


십자가의 길이 우리를 하나님께 인도하는 것이 됩니다.

The way of the cross leads us to God.


그리스도는 우리로하여금 자아 희생의 길인, 십자가의 길로 걸어가게끔 인도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여기서 실제로 우리를 구원해주는 것은 그 안에서의 우리의 걸음이지, 그리스도의 걸음이 아닙니다.

Christ may have a great influence in leading us to walk in that way of the cross, that way of self-sacrifice; but it is our walking in it and not Christ’s walking in it which really saves us.


그러므로 결과적으로는 우리는 우리 자신의 노력으로 구원을 받는 것이지 그리스도의 피로서 구원을 받게되는 것이 아닙니다.

Thus we are saved by our own efforts, not by Christ’s blood after all.


이것은 죄인이 자신을 구원할 수 있다는 옛 개념과 같은 것입니다.

It is the same old notion that sinful man can save himself.


이는 새 옷가게의 간판을 걸어놓고서 기독교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It is that notion just decked out in new garments and making use of Christian terminology.

이와같은 것이 속죄에 관한 도덕감화론입니다.
Such is the moral-influence theory of the atonement.


여기에 더해서 우리는 종종 통치론이라 불리우는 것을 보게됩니다.

In addition to it, we find what is sometimes called the governmental theory.


통치론은 확신하건데 얼마나 낯설고 낯 뜨겁고 왜곡된 것인지요!

What a strange, compromising, tortuous thing that governmental theory is, to be sure!

통치적 관점에서 본다면, 신성에 근거하고있는 어떠한 영원한 하나님의 정의가 충족되기 위해서 그리스도의 죽으심이 필요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 view, the death of Christ was not necessary in order that any eternal justice of God, rooted in the divine nature, might be satisfied.


이제까지 통치적 관점은 도덕 감화론을 지지하는 이들과 함께 하였습니다.

So far the governmental view goes with the advocates of the moral-influence theory.


그러나 이 이론은 세상에서 선한 제자도가 유지되기 위한 목적으로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필요성을 고수하고있습니다.

But, it holds, the death of Christ was necessary in order that good discipline might be maintained in the world.


만약에 죄인들에게 죄가 모두 다 형벌을 받지 않게 될 수 있다는 생각이 허용이 된다면, 죄에 대한 적절한 방지책은 없을 것이라는 겁니다.

If sinners were allowed to get the notion that sin could go altogether unpunished, there would be no adequate deterrent from sin.


이와같이 죄에 대해서 대책이 없어진다면, 사람들은 계속적으로 죄를 지을 것이며, 세상은 혼란 속에 빠져들 것이라는 겁니다.

Being thus undeterred from sin, men would go on sinning and the world would be thrown into confusion.


그러나 만약에 세상이 이와같이 도덕적 혼란에 빠져든다면, 이는 대다수의 가장 좋은 관심사가 되지는 못할 것입니다.

But if the world were thus thrown into moral confusion that would not be for the best interests of the greatest number.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십자가에서 그리스도의 죽으심으로 죄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를 보여주심으로서, 사람들로하여금 죄를 짓는 것에서 멀어지게하고, 세상에서의 질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신다는 것입니다.

Therefore God held up the death of Christ on the cross as an indication of how serious a thing sin is, so that men may be deterred from sinning and so order in the world may be preserved.

도덕 감화론에서 그러했던 것과 같이, 이렇게 하는 것은, 죄가 얼마나 심각한 것이지를 보여주심으로서, 하나님께서는 원래 제공해주시려던 것들보다도 좀 더 쉬운 조건으로 구원을 베푸시는 과정을 진행하신다는 것입니다.
Having thus indicated — so the governmental theory runs — how serious a thing sin is, God proceeded to offer salvation to men on easier terms than those on which He had originally offered it.


하나님께서는 원래 완전한 순종을 근거로 이를 제공해주셨다는 것입니다.

He had originally offered it on the basis of perfect obedience.


그러나 지금은 믿음을 근거로 제공해주신다는 것입니다.

Now He offered it on the basis of faith.


그는 이것을 이와같은 좀 더 쉬운 조건으로 안전하게 제공해줄 수 있었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끔찍한 광경을 통해서, 그는 사람들에게 죄가 심각한 범행이라는 것과, 무엇인가를 범한다면 온 세상의 선한 질서가 보존되기 위해서 이 일에 대하여 다른 것이 치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충분히 보여주었기 때문에, 죄에 대하여 원래 선언되었던 형벌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He could safely offer it on those easier terms, and He could safely remit the penalty originally pronounced upon sin, because in the awful spectacle of the cross of Christ He had sufficiently indicated to men that sin is a serious offence and that if it is committed something or other has to be done about the matter in order that the good order of the universe may be conserved.

이러한 것이 통치론입니다.
Such is the governmental theory.


그러나 여러분은 실제로 그 밑바닥에 있는 것이 바로 도덕 감화론의 형태라는 것이 보이지 않습니까?

But do you not see that really at bottom it is just a form of the moral-influence theory?


통치론은 도덕 감화론과 마찬가지로, 사람과 하나님의 교제 사이에 있는 유일한 장애물은 사람의 의지에 있다는 것을 고수하고있습니다.

Like the moral-influence theory, it holds that the only obstacle to fellowship between man and God is found in man’s will.


도덕 감화론과 마찬가지로 통치론은 하나님의 존재하심에 근거한 어떠한 하나님의 영원한 정의가 있다는 것을 거부하며, 하나님의 영원한 정의가 죄에 대한 형벌을 요구한다는 것을 거부합니다.

Like the moral-influence theory it denies that there is any eternal justice of God, rooted in His being, and it denies that the eternal justice of God demands the punishment of sin.


도덕 감화론과 마찬가지로 이는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경솔히 여기고있으며, 여기에 더한다면, 도덕 감화론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사랑의 진정한 깊이를 보지 못하고있습니다.

Like the moral-influence theory it plays fast and loose with God’s holiness, and like the moral-influence theory, we may add, it loses sight of the real depths of God’s love.


사람이 만든 이러한 이론에 포함되어있는 죄에 대한 가벼운 관점을 가지고있는 이들은,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이 저주받은 나무에서 우리를 대신하셨을 때 치르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금도 알 수가 없는 것이다.

No man who holds the light view of sin that is involved in these man-made theories has the slightest notion of what it cost when the eternal Son of God took our place upon the accursed tree.

실제로 사람들은 종종 우리가 속죄에 관하여 어떠한 이론을 취하던지 간에 거의 차이가 없다고 말합니다.
People sometimes say, indeed, that it makes little difference what theory of the atonement we may hold.


친구들이여, 이는 세상에서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옵니다.

Ah, my friends, it makes all the difference in the world.


여러분이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묵상할 때, 여러분은 현대신학자들과 같이, ‘얼마나 고귀한 자기 희생의 본보기인가; 그분은 물론 나도 나 자신을 희생시켜서 하나님과의 화목을 얻어야하겠다’라고 말하겠습니까?

When you contemplate the cross of Christ, do you say merely, with modern theorists, ‘What a noble example of self-sacrifice; I am going to attain favour with God by sacrificing myself as well as He.’


혹은 성경에서와 같이, ‘그는 나를 사랑하셔서 나를 위해서 자신을 주셨으며; 그는 나를 대신하셨으며; 그는 나의 저주를 담당하셨으며; 그는 자신의 가장 고귀한 보혈로 나를 사셨습니다’라고 말하겠습니까?

Or do you say with the Bible, ‘He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He took my place; He bore my curse; He bought me with His own most precious blood.’


이것이 바로 어느 누구의 마음에나 다가올 수 있는 가장 중대한 질문입니다.

That is the most momentous question that can come to any human soul.


나는 여러분이 이러한 질문에 대한 올바른 대답을 할 수 있도록 모두가 다음 주일 오후에 저와 함께 하나님의 말씀으로 다가 갈수있기를 원합니다.

I want you all to turn with me next Sunday afternoon to the Word of God in order that we may answer that question aright.


저자

Author

존 그레샴 메이첸은 그의 시대에 가장 흥미진진하고 논란이 많았던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었으며, 이삼십 개국의 복음주의 세계에서 어떠한 종교 지도자도 이보다 더 꾸준한 조명을 받을 수 있었던 사람은 없었다.
John Gresham Machen was one of the most colorful and controversial figures of his time, and it is doubtful that in the ecclesiastical world of the twenties and thirties any religious teacher was more constantly in the limelight.


메이첸은 학자였으며, 프린스턴과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교수였으며, 교회 지도자, 성경적 기독교의 변증가, 그리고 20세기의 가장 유창한 신앙의 변론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Machen was a scholar, Professor at Princeton and Westminster Seminaries, church leader, apologist for biblical Christianity, and one of the most eloquent defenders of the faith in the twentieth century.


그는 1937년 1월에 주님의 품으로 떠나갔다.

He went home to be with the Lord on January 1, 1937.


출처

https://www.the-highway.com/atone2_Machen.html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