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왕국 2017. 8. 15. 22:08
두 나라의 성격과 속성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Two Kingdoms

김원호(dent4834@hanmail.net)

그리스도께서 다스리는 나라는 다스림의 성격과 속성에 따라서 두 가지 형태의 나라로 구분 할 수 있다.

그리스도는 창조주이시며 이 세상을 유지 보존하시는 분이시며, 동시에 그리스도는 믿는 자들에 대하여 구속 주이시다.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이 그리스도께 속하여 있지만 그렇다고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이 구속의 대상은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다스리시는 두 나라의 특성은 성과 속의 이원론적 개념과는 다르다.

그리스도께서 다스리시는 두 나라는 성과 속의 이원론적 구분 보다는 육적인 나라와 영적인 나라로 구분 할 수 있다.

나라에 대한 정확히 번역은 왕국Kingdom이며 두 나라 교리는 정확히는 두 왕국 교리라고 할 수 있다.

왕국에 대한 그릇된 오해로 인하여 다만 “나라”라는 용어를 사용할 뿐이다.

하나님 나라Kingdom of God는 구속주로서의 신자들을 중심으로한 하나님 나라와 창조주로서의 모든 피조물을 대상으로한 하나님 나라로 구분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하나님 나라는 구속주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스도가 구속주로 계시는 하나님 나라는 신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영적인 하나님 나라이다.

가장 흔한 오해 가운데 하나는 역사적 이스라엘이 하나님 나라인가에 대한 오해일 것이다.

역사적 이스라엘 백성들 가운데 오실 메시아로서의 그리스도를 믿는 이들은 하나님 나라 백성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스라엘 백성이라고 모두가 하나님 나라 백성은 아니다.

역사적 이스라엘은 참 하나님 나라인 참 이스라엘에 대한 유형학적typological 모형일 뿐이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예수 그리스도와 관계없이 역사적 이스라엘을 하나님 나라로 규정하고 있으며 신약의 교회를 확장된 이스라엘로서의 하나님 나라로 보고있다.

개혁주의에서 보는 하나님 나라의 근거는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통하여 거룩에 참여한 이들 가운데 임한 나라이다.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를 부정하고있으며, 또한 그리스도의 의를 의의 근거로 보지 않기에, 새관점이 말하는 하나님 나라는 참된 하나님 나라라고 할 수 없다.

최근의 하나님 나라 운동을 하는 이들 가운데에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정의를 모호하게 말하는 이들이 많을 뿐만이 아니라, 새관점과 같이 그리스도의 의와는 관계없는 하나님의 의(언약에 대한 신실하심)를 근거로한 운동을 하는 이들이 많다.

그리스도를 배제한 새관점과 달리, 반드루넨이 말하는 하나님의 두 나라는 창조주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와 구속주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를 말하는 것이다.

두 나라의 성격과 특성에 대한 제대로된 이해는 앞으로 논의하게 될 자연법의 속성과 적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정이다.

역사적 이스라엘에게 적용되었던 율법과 마찬가지로, 율법의 도덕법과 시민법의 성격을 가진 자연법은 모든 인류에게 적용될 법으로서 상당 부분 율법의 역할을 반복하게된다.

자연법은 율법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람의 죄를 고발하며 모든 사람에게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필요성을 제시해주며, 모든 사람으로하여금 하나님의 심판에 대하여 핑계하지 못하게 한다.

하나님의 두 나라 가운데 창조주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에 적용된 자연법을 니해허기 위해서는 반드루넨이 설명하는 두 나라 개념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반 두르넨은 이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투레틴과 러더포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두 나라 개념을 풀어나간다.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자연법과 두 나라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176쪽 이하를 번역한 것이다.

두 나라의 성격과 특성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Two Kingdoms

개혁파 정통주의 사상에서 두 나라 교리에 관하여 좀 더 세밀한 부분들에 대한 고려를 시작하면서, 우선 이 시대에 개혁주의 저자들이, 특히 한 나라를 다른 나라와 구분하는 의미들에 있어서, 어떻게 두 나라의 성격과 속성에 강조점을 둘 수 있었는지를 논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As we now begin a m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in Reformed orthodox thought, it seems helpful first to discuss how Reformed writers of this era articulated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two kingdoms, particularly in terms of one kingdom’s distinction from the other.

특성적인 면에서 볼 때, 투레틴은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과 비슷하게 그리스도의 왕권을 세밀하고 적절하게 논하고있기에 그의 논술은 이 세분화된 부분에서 유용한 역할을 하고있다.
Turretin, in characteristic fashion, offers a nuanced and relevant discussion of Christ’s kingship similar to that of other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and thus his treatment serves as a useful focus for this subsection.

투레틴은, 그리스도의 왕권에 관하여, 두 나라 교리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부수적 강조점의 모양을 확실히 구분지을 수 있게끔, 다음과 같은 논술로 시작한다: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는 그리스도께 속한 두 가지 속성의 나라를 구분하여야 하는데, 하나는 자연적이거나 필연적이며, 다른 하나는 중재적이고 경륜적이다."
Turretin begins his exposition of Christ’s kingship with a crucial distinction that shapes his subsequent articulation of matters pertaining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Before all things we must distinguish the twofold kingdom, belonging to Christ: one natural or essential; the other mediatorial and economical."

이러한 진술 뒤에 따라올 논의에서 분명히 지적하였던 것과 같이, 투레틴은 칼빈이 시민의 나라와 영적인 나라에 대하여 언급한 것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구분해 주고있다.
As clearly indicated in the discussion that follows this statement, Turretin is in effect identifying what Calvin referred to as the civil kingdom and the spiritual kingdom.

투레틴은 한 나라를 다른 나라과 구분하기 위하여 일련의 구분점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Turretin proceeds to make a series of distinctions in order to differentiate one kingdom from the other.

"자연적이거나 필연적인" 나라는 모든 창조물을 포함하는데 반하여 "중재적이고 경륜적인" 나라는 특별히 교회에서 종결이 된다.
The “natural or essential”kingdom is “over all creatures” while the “mediatorial and economical” kingdom is “terminated specially on the church.”

그리스도는 전자에 대해서는 영원한 아들(아버지와 성령에 따르는)로서 소유하시며, 후자에 대해서는 "하나님-사람이라는 독특한 방법"으로 다스리신다. 전자는 "섭리라는 강령 위에 근거를 두며" 후자는 "선택이라는 강령 위에" 근거를 둔다. 그리스도는 전자에 대하여는 "하나님이시고 말씀이시기에" 왕권을 행사하시고 후자에 대하여는 "하나님- 사람이시므로" 왕권을 행사하신다.
Christ possesses the former as the eternal Son (along with the Father and Holy Spirit) and administers the latter “in a peculiar manner as God-man.” The former “is founded on the decree of providence” and the latter “on the decree of election.” Christ exercises kingship over the former “inasmuch as he is God ... and the Logos”and over the latter “inasmuch as he is God-man”

요약하여 말하자면, 투레틴은 설명하기를: “ 이를 ‘그의 중재적이고 경륜적인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는 특별히 중재자에게 귀속되어있기 때문이며, 은혜의 섭리에 따른 그 분의 소유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나라는 자연적으로 그에게 귀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자연적'이라고 부른다.
In a summary statement, Turretin explains: “Hence it is called his ‘mediatorial and economical kingdom’ because it is a dominion peculiar to the Mediator and as it were his own according to the dispensation of grace. The other belongs to him by nature and is on that account called ‘natural.’”

이러한 자료 자체는,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종교개혁 두 나라 교리의 자취에 대해서 뿐만이 아니라, 두 나라 신학이 기독론이라는 좀 더 커다란 질문들에 부합되도록 제대로 정돈된 사상의 전개와 발전을 위해서도, 근원적인 증거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material alone provides substantial evidence not simply for remnants of a Reformation two kingdoms doctrine in Reformed orthodoxy, but for a well thought out and developed theology of the two kingdoms incorporated into larger questions of Christology.

여기서 잠시 머무르면서 투레틴의 주장을 조명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It is worth lingering for a moment and highlighting Turretin’s claims here.

그리스도는 영원하신 하나님으로서,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주체로서, 모든 피조물 위에 있는 하나의 나라를 다스리신다.
Christ rules the one kingdom as eternal God, as the agent of creation and providence, and over all creatures.

그리스도는, 성육신 하신 하나님-사람으로서, 구속의 주체로서, 모든 교회 위에있는 또 하나의 나라를 다스리신다.
Christ rules the other kingdom as the incarnate God-man, as the agent of redemption, and over the church.

후자의 나라는 구속적인데 반하여 전자는 구속적이지는 않다.
The latter kingdom is redemptive, the former is non-redemptive.

후자는 배타적인데 반하여 전자는 포괄적이다.
The latter is exclusive, the former is inclusive.

내가 아는 바로는, 칼빈은 이를 결코 이와같이 조직화하거나, 상세하고 세심하게 분류하지는 않았다.
To my knowledge, Calvin never put things in quite this organized, detailed, and nuanced a way.

그러나 투레틴의 논술은, 이미 3장에서 논의하였던 바와 같이, 칼빈이 강조하였던 개념들을 보다 광범위하게 표현한 것으로서, 이를 발전적이면서도 좀 더 신학적으로 통합된 형태를 취한 것이었다.
But Turretin’s exposition seems very much to express the ideas that Calvin articulated, as discussed in Chapter 3, but in a more developed and theologically integrated fashion.

뒤따르는 논의에서 투레틴이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 가운데 한 가지는, 그리스도가 중재자이시고 구속자가 되시면서, 영적이고 천상의 성격을 나타내는 나라는, 이 땅의 세속적인 성격을 가진 자연적이고 필연적인 나라와는 구별되어야 하는데, 이는 칼빈에게 중요했던 주제를 반복 서술하려는 의도다.
One of the matters that Turretin is intent on emphasizing in his subsequent discussion is the spiritual and heavenly nature of Christ’s mediatorial, redemptive kingdom in distinction from the earthly and mundane nature of the natural, essential kingdom, thereby echoing an important theme for Calvin.

이러한 중재적인 나라의 방식에 관계하여 그가 제기하는 특별한 질문은 이것이 일상적이고 지상적이냐, 아니면 영적이고 천상적이냐이다.
The specific question that he poses “concerns the manner of that [mediatorial] kingdom —whether it should be mundane and earthly, or spiritual and heavenly.”

그는 "정통주의에서는 그의 나라가 현세적이거나 지상적인 것이 아니라 영적이고 천상적인 것으로 추정하고있다"고 대답한다.
His answer is that “the orthodox infer that his kingdom is not mundane and earthly, but spiritual and celestial.”

그는 이에 반대하는 의견을 유대주의와 동일시하면서, 지상의 것들에서 그리스도의 나라를 찾으려는 것은 "유대주의적 허망함"이라고 말한 칼빈의 의견을 반복하여 말한다.
He identifies the contrary opinion with the Jews, echoing Calvin’s sentiment that finding Christ’s kingdom in earthly things is a “Jewish vanity.”

투레틴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6가지의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근거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특별히 구약의 예언들과 유형들, 그리고 메시아와 그의 나라에 관한 신약성경의 가르침을 가리키고 있다.
Turretin proceeds to offer six biblical and theological reasons in support of this claim, pointing especially to Old Testament prophecies and types and to New Testament teaching about the Messiah and his kingdom.

이 논의에서 그는 왕, 보좌, 왕위, 국민, 통치 형태, 율법, 축복을 언급하면서 "나라에 속하여있는 이와같은 모든 것들은 영적인 것으로서, 현세적이거나 지상적인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고있다.
In this discussion he asserts that “all that pertains to this kingdom is spiritual, not mundane and earthly,” mentioning its king, throne, scepter, subjects, mode of administration, laws, and blessings.

이보다 몇 년 더 일찍, 러더포드와 길레스피 역시 이와같은 핵심 요지들의 많은 부분들을 받아들였다.
A few years earlier, Rutherford and Gillespie also embraced many of these key points.

투레틴과 마찬가지로 러더포드도, 창조주에 의하여 다스림을 받는 (그래서 임시적이고 현세적인) 나라와, 구속주에 의해서 다스림을 받는 (그래서 영적이고 천상적인) 나라를 구분하였다.
Like Turretin, Rutherford distinguished between one kingdom ruled by God as creator (and hence temporal and mundane) and the other kingdom ruled by God as redeemer (and hence spiritual and heavenly).

예를 들어, 이러한 국가와 교회로 이 두 나라가 제도적으로 표현된 것에 관하여 말하자면, 러더포드는 "이 두 가지 권력은, 영적인 것과 임시적인 것, 이 세상의 세속적인 것과 이 세상이 아닌 곳에서의 영적인 것이 같이 다른 것으로서, 한 국민은 궁극적으로 창조주로서의 하나님께 속하여있고 다른 하나는 궁극적으로 구속주로서의 하나님께 속하여있는 것이다."고 말한다.
For example, in speaking about the institutional expression of these two kingdoms in state and church, Rutherford says: “these two powers are so different, as spiritual and temporal, carnal of this world, spiritual not of this world, the one subject as supreme immediately to God creator, the other supreme immediately subject to God the redeemer.”

그러고나서 그는 바로 "그리스도의 나라"와 "군주의 나라"를 대비시키고나서, 전자의 영성으로 인하여, 군주의 나라는 그리스도의 나라의 일부분이 될 수 없다고 결론 내린다.
Shortly thereafter he contrasts “Christ’s kingdom”and “the magistrate’s kingdom” and, precisely because of the spirituality of the former, concludes that the magistrate’s kingdom “is not a part of his [Christ’s] kingdom.”

여기서 러더포드와 투레틴의 용어 사이의 유일한 명백한 차이는, 투레틴이 이 세상 나라를 하나님이신 그리스도께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다스린다고 말하는 것과는 달리, 러더포드는 이 나라가 창조주이신 하나님께서 다스리는 나라라고 단순하게 말한다.
The only evident difference between Rutherford’s and Turretin’s language here is that while Turretin speaks of the temporal kingdom as ruled by Christ as God, with the Father and Spirit, Rutherford simply speaks of this kingdom as ruled by God (the creator).

그러나 이와같은 신학자들에 의하여 표현되는 이러한 신학적 사고들은 본질에 있어서는 동일한 것이다.
But the theological idea expressed by these theologians is substantively identical.

길레스피는 투레틴과 좀 더 비슷한 용어로, 동일한 교리를 확언하기를 “예수 그리스도의 이중적인 나라에 있어서, 한 나라는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로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모든 것을 다스리시며, 또 다른 나라는 중재자이시면서 교회의 머리로서 다스리신다"고 기록하고 있다.
Gillespie affirms the same doctrine, writing, in language more similar to Turretin’s, of “a twofold kingdom of Jesus Christ: one, as he is the eternal Son of God, reigning together with the Father and the Holy Ghost over all things ...; another, as Mediator and Head of the church.”

영적이고 구속적인 그리스도의 나라를 논하는데 있어서, 투레틴은 집행과 운용이 주로, 교회의 소명과 집회, 교회의 보존과 통치, 교회의 보호와 방어, 그리고 교회의 가득한 영광의 네 가지로 구성 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In discussing the spiritual, redemptive kingdom of Christ, Turretin argues that its administration and exercise consist principally in four things: the calling and gathering of the church, the conservation and government of the church, the protection and defense of the church, and the full glorification of the church.

이번 연구에서 특별히 놀랄만한 한 가지는, 교회와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가 긴밀히 연관되어있다는 것이다.
One matter that is particularly striking for the present study is the close association of the church and Christ’s spiritual kingdom.

투레틴은 오직 교회만이 유일하게 하나님 나라가 집행되고 실행되는 장소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그가 교회를, 유일하게 본질적인 천상의 그리스도의 나라가 현실에서 제도적으로 표현되는 곳이라고 보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Turretin mentions only the church as the place where the kingdom is administered and exercised, which suggests that he viewed the church as the only present institutional expression of the essentially heavenly kingdom of Christ.

투레틴이 다른 곳에서 말하는 방식도 이러한 결론을 지지해 준다.
The way Turretin speaks elsewhere bolsters such a conclusion.

예를 들어 그는 "교회는 하늘에 속한 나라이며, 그리스도의 구속적, 중재적 왕권은 교회에서 종결되는 것이다"고 기록하고 있다.
He writes, for example, that “the church is the kingdom of heaven” and that Christ’s redemptive, mediatorial kingship is “terminated specially on the church.”

사실 그는, 중재자로서의 왕권은 그리스도에 속하여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그를 교회의 머리로 지명하셨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인다(시 2:6).
In fact, he adds that the mediatorial kingship belongs to Christ “because he [God] constituted him King over the church (Ps. 2:6).”

길레스피의 언어는 간결하고 분명하다: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는 오직 교회의 왕이시다."
Gillespie’s language is concise and unambiguous: “Christ, as Mediator, is King of the church only.”

이와같은 교회의 구속적이고 영적인 나라로서의 배타적인 정체성은 개혁주의 신학에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Such an exclusive identity of the redemptive, spiritual kingdom with the church was no novelty in Reformed theology.

3장에서 살펴보았던 바와 같이, 칼빈도 이와 같은 교리를 가르쳤으며, 이는 그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견과는 대립 되는 것이다.
As observed in Chapter 3, Calvin taught this same doctrine, contrary to commonly received opinion about him.

하인리히 헤페가 정통파 개혁주의의 일반적인 의견을 정리하면서 “개혁주의 교리에 의하면 그리스도의 왕권이 교회 밖의 (자연의) 영역에 까지 확대되는 것은 옳지 않다. 물론 그리스도께서 여기에 대하여 영향력을 가지고 계시지만 이는 오직 교회에 대한 중재자적 왕권을 행사하실 목적에 한한 경우이다” 고 기록한 것은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It is no surprise, then, that Heinrich Heppe writes, in summarizing the opinion of Reformed orthodoxy generally, that “it is not right, when it is said that according to Reformed doctrine the kingship of Christ also extends over the extra-Church sphere (of nature).
Of course Christ has power over this also, but only for the purpose of exercising his mediating Kingship over the Church."

두 나라 교리의 이러한 면은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의 고백적인 표현에서 볼 수 있다.
This aspect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found confessional expression in the Westminster Standards.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45에서는 우선적으로 교회의 의미로서 그리스도의 왕권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는 일단의 사람들을 세상으로부터 자기자신에게 불러내고, 그들에게 그가 유형적으로 그들을 통치하는 직임자와 법률과 징벌을 주심으로, 그의 선택자들에게 구원의 은총을 수여하며, 그들의 순종을 포상하고 그들이 범죄할 때 교정하며 모든 유혹과 고난에서 그들을 보존하고 지원하며 ....”
WLC 45 speaks primarily of Christ’s kingship in terms of the church: “Christ executeth the office of a king, in calling out of the world a people to himself, and giving them officers, laws, and censures, by which he visibly governs them; in bestowing saving grace upon his elect, rewarding their obedience, and correcting them for their sins, preserving and supporting them under all their temptations and sufferings....”

이러한 점에서 그리스도의 왕권이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선포된다고 말하는데, 이는 헤페가 말하는 바와 같이 구속의 의미에서 행사하시는 것만이 아니라, 오직 자신의 백성을 위하는 것과 원수 갚음을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그들의 모든 적들을 억제하고 정복하며, 나아가 자기자신의 영광과 그들의 유익을 위하여 만물을 능력있게 정리하며, 하나님을 알려고 하지 않고 복음에 불순종하는 나머지에게 원수를 갚아 주심으로서 왕의 직분을 수행하신다.”
At this point it goes on to speak of his kingship over those outside of the church, not in redemptive terms but only, as Heppe says, for the sake of his people or for wreaking vengeance: “restraining and overcoming all their enemies, and powerfully ordering all things for his own glory, and their good; and also in taking vengeance on the rest, who know not God, and obey not the gospel.”

같은 맥락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5.2에서는 "보이는 교회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이다"라고 간단 명료하게 말한다.
Succinctly, but along the same lines, WCF 25.2 states that the visible church “is the kingdom of the Lord Jesus Christ.”

교회를 그리스도의 구속의 나라이면서 영적인 나라로 보는 개혁파 정통주의의 관점이, 교회 자체가 어떠한 외적인 통치체제를 가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Reformed orthodox views of the church as the redemptive kingdom of Christ and of this kingdom as spiritual did not mean that the church itself should have no external government.

이러한 점에서 개혁주의 전통은 전형적인 루터주의의 두 나라 신학과는 구별되는데, 교회의 영적인 특성이 외부인 통치 체제에 우선한다고 보는 루터주의의 두 나라 신학에서는 교회의 외적인 체제의 일들을 국가에 우선하여 다루어야한다고 주장했었다.
In this matter the Reformed tradition differed from typical Lutheran two kingdoms theology, which, in seeing the church’s spiritual character as precluding an external government, was content to hand external administrative matters of the church over to the state.

개혁주의의 본거지에 좀 더 가까운, 스위스의 의사이면서 하이델베르그 대학 교수인 토마스 에라스투스는 자주 이와 비슷한 관점에 연관된다.
Closer to home for the Reformed, Swiss physician and University of Heidelberg professor Thomas Erastus (1524-83) is often associated with similar views.

에라스투스는 교회의 추방할 권리를 부인함으로서, 에라스티안이란 의미가  국가가 교회를 다스려야 한다는 뜻을 연상하게 되었다.
Erastus denied the right of the church to excommunicate and the term “Erastian” came to connote the idea that the state should control the church.

칼빈은, 3장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영적이더라도 외적으로 조직화된 복음적 기관과 법규의 필요성에 대해서 확고히 했을 뿐만이 아니라, 그 후에도 개혁주의 신학과 예배 의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이러한 것들이 요구되었다.
Not only did Calvin affirm the necessity of a spiritual yet externally organized ecclesiastical government and discipline, as discussed in Chapter 3, but later Reformed theology and practice also typically called for such.

이것은 사실 투레틴이나 러더포드, 길레스피에게도 주요한 관심사였다.
This was in fact a major concern of Turretin, Rutherford, and Gillespie.

만약에 개혁주의 두 나라 교리가 무엇인가를 의미한다면, 이것은 교회의 외적인 체제나 규율이 국가 행정관에 맡겨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If the Reformed two kingdoms doctrine meant anything it meant that the external government and discipline of the church was not left to the civil magistrate.


투레틴과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지도자들이 강조하고있는 두 나라 사이를 분명하게 구분하는 것은, 그리스도가 시민의 나라( 좀 더 명확히 말하자면, 특히 지상의 나라들을 말한다)를 다스리는지 혹은, 어떻게 다스리는지에 관한 중요하지만 어려운 질문을 제기된다.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that Turretin and other Reformed orthodox luminaries articulated raises the important yet difficult question of just how, or even whether, Christ rules the civil kingdom (or, more concretely, particular earthly kingdoms).

투레틴은 자신이 하는 것을 분명하게하면서,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조건들을 부여하고있다.
Turretin makes clear that he does, yet makes several qualifications in explaining how.

이를 “부여된 조건들”이라고 부르기에는 망설여지지만, 의미를 보증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One hesitates to call them “qualifications,” but they seem important enough to warrant the term.

우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투레틴은 그리스도가, 세상 나라를,  성육신하신 중재자가 아닌 로고스로서,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로서, 그리고 구속자가 아닌 창조주이면서 유지자로서 다스리고 계신다는 것을 아주 분명히 하고있다.
First, as seen above, Turretin makes quite clear that Christ rules over the temporal kingdom not as the incarnate mediator but as the Logos, the eternal Son of God, and hence as creator and sustainer but not as redeemer.

그는 추가적인 논의를 통하여, 그리스도께서 분명히 구분되는 능력들로 통치하시는 서로 다른 방식들을 특화시킴으로서, 우리에게 질문에 대하여 정성을 들여 답하고있다.
Later in his discussion he elaborates on the question before us by specifying the different ways in which Christ reigns in these distinct capacities.

비록 그리스도께서 항상 세상적이 아닌 영적인 방법으로 통치를 하시더라도 “그는 진실로 경건한 이와 악한 이에 대하여 다르게 통치 하신다: 전자에 대해서는 머리로서, 성령의 따스하고 건강한 영향력으로, 후자에 대해서는 주권자로서 그 자신의 능력 있는 덕으로 통치 하신다”고 투레틴은 설명한다.
Though Christ reigns always in a “spiritual”and not an “earthly” way, Turretin explains: “Indeed he reigns differently in the pious and the wicked: in the former by the sweet and healthful influence of the Spirit, as head; in the latter, by his own powerful virtue as Lord.”

여기서 투레틴이 하는 설명은, 그가 이전에 제시한 두 나라 사이의 구분이, 바로 경건한 이들과 악한 이들 사이의 엄격한 구분이 아니라는 점에서,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소지가 있을 수 있다.
Turretin’s exposition here might be suspected of harboring some confusion, insofar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that he previously set forth is not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the “pious”and the “wicked.”

경건한 이들은 영적인 나라에서 뿐만이 아니라 시민으로서도 살아가고 있다(그리고 일부 악한 사람들도 교회에서 외적인 일원으로서의 신분을 유지하기도 한다).
The pious live in the civil as well as the spiritual kingdom (and some wicked people hold external membership in the church).

이와 같은 것이 영역에 있어서 약간의 혼동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여기서 말하는 투레틴의 의견들은 그가 이전에 언급들, 즉 창조자이시면서 유지자로서, 그리스도는 모든 것에 대한 주권적 주로서 현세적인 나라를 다스리시면서 또한 성육신 하신 구속자이시면서, 보호하시는 구원자로서, 영적인 나라를 통치하신다는 이전의 언급들을 논리적으로 확장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Despite what thus may be a brief confusion of categories, Turretin’s sentiments here seem a logical extension of his earlier comments: as creator and sustainer, Christ rules the temporal kingdom as the sovereign lord of all; as incarnate redeemer, Christ rules the spiritual kingdom as a tender savior.

그러므로 투레틴의 결론을 따르자면: "이와 같은 정치적인 통치자는 그리스도의 나라를 증진 시키기 위하여 적절하게 공식적으로 헌신하지는 않는다."
Hence would seem to follow Turretin’s conclusion elsewhere: “The political magistrate as such does not serve properly and formally in promoting the kingdom of Christ.”

길레스피도 투레틴과 같은 방식으로 자주 말하곤 하였다.
Gillespie frequently speaks in the same way as Turretin.

러더포드의 용어는 투레틴과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비슷하며, 이들의 본질적인 신학적 주장들은 같은 것이다.
Rutherford’s language is similar though not identical to Turretin’s, and their substantive theological claims are the same.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러더포드는 현세적 나라를 “창조주 하나님” 께 귀속시키고 영적인 나라를 “구속자이시며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께 귀속 시킨다.
As noted above, Rutherford put the temporal kingdom under “God the creator” and spiritual kingdom under “Christ the Redeemer and Head of the Church.”

전자에 대하여 좀 더 언급하면서, 그는 이것는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의 일부분이 아니며, 솔직하게 말해서 시민의 관료는 “교회의 중재자나 머리로서 귀속될 수 없다”고 말한다.
In speaking further about the former, he writes that it is “not a part” of Christ’s spiritual kingdom and thus states bluntly that the civil magistrate “is not subordinate to Christ as mediator and head of the church.”

비슷한 맥락에서, 그는 후에 “관료로서의 통치자”는 “그리스도의 대사”가 아니며 대신에 “질서의 하나님, 그리고 창조자이신 하나님의 대리인”이라고 말한다.
Along similar lines, he says later that “magistrates as magistrates” are not “the ambassadors of Christ” but “the deputy of God as the God of order, and as the creator.”

그 후에 그는 “통치자로서의 관료는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의 대리인이나 대리자도 아니며, 이와같이 통치 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중재적 나라의 대리 역할을 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추가하여 언급한다.
Still later he adds that “the magistrate as a magistrate is not the vicar nor deputy of Jesus Christ as mediator”and that “the magistrate as such is not a vicar of Christ’s mediatory kingdom.”

이러한 주장에는 섬세한 부분과 단서 조건들이 있는데, 이 중에 몇 가지는 다음에 논의하기로 하자.
There are nuances and qualifications to these claims, some of which will be discussed below.

이러한 증거에 비추어 볼때, 나는 투레틴과 러더포드가 이러한 본문들에 대해서, 비록 어느 정도는 다른 각도에서 보고 있지만, 같은 교리를 가르치고 있다는 주장을 해본다.
In light of this evidence, I suggest that Turretin and Rutherford teach the same doctrine in these passages, though from somewhat different angles.

그리스도가 이 현세적 나라를 다스리시는가에 대한 질문에 투레틴은 그렇다라고 대답하는데, 이는 그리스도가 성부 성령과 함께 영원하신 하나님으로서, 그리고 창조하시고 유지하시는 분이라는 조건에서 대답하는 것이고; 러더포드는 같은 질문에 대하여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는데 이는 창조주 하나님께서 이러한 나라를 다스린다는 조건에서 대답하는 것이다.
Turretin answers Yes to the question whether Christ rules the temporal kingdom, but with qualifications (i.e., that he does so only as eternal God, with the Father and Holy Spirit, as creator/sustainer); Rutherford answer No to the same question, but with qualifications (i.e., that God the creator does rule this kingdom).

이러한 각각의 조건을 서로 비교해 볼 때, 같은 결과가 나온다
When the qualifications of each are compared to the other’s, the effect is the same.

이것을 가능한 좀 더 세밀히 살펴볼 때, 이들은 모두 하나님의 아들이 현세적 세상을 삼위 하나님의 영원하신 일원으로서 통치 하신다고 말하지만, 성육신 하신 중재자이면서 구속자로서의 역량에서 다스리시지는 않으신다고 가르친다.
To put it as precisely as possible, they both teach that the Son of God rules the temporal kingdom as an eternal member of the Divine Trinity but does not rule it in his capacity as the incarnate mediator /redeemer.

이러한 신학적 구분은 이 책에서 서술 될 이야기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This theological distinction is crucial for the story being narrated in this book.

3장에서는 칼빈의 소위 말하는 극단적 칼빈주의의 기독론에서는,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그리스도의 신적인 작업을, 성육신 하신 이후에도 하나님-사람의 중재자로서의 구속 사역과 구분하는 신학적 범주를 제공해준다고 기록하였다.
Chapter 3 noted that Calvin’s so-called extra Calvinisticum Christology gave him theological categories for distinguishing Christ’s divine work of creation and providence from his work of redemption as God-man and mediator, even after the incarnation.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도 역시 그리스도의 계속되는, 즉 창조하시고 유지하시는 분과 구속자로서의 구별된 정체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특별히 두 나라 교리에 묶어서, 이와같은 사상을 앞서 관찰한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also recognized Christ’s continuing distinct identities as creator/sustainer and as redeemer and developed this idea in the ways observed above, tying it specifically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이들은 자연법의 근거를 행위 언약에 두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연법을) 구속보다는 창조의 영역에 두고 있으므로, 이들은 세속의 나라의 기반을 구속보다는 창조의 영역에 두려고 한다.
As they grounded natural law in the covenant of works, and hence in creation rather than in redemption, so they also grounded the civil kingdom in creation rather than in redemption.


posted by Wonho Kim
:
리처드 미들턴 2015. 9. 2. 22:28



리처드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과 데이비드 반드루넨의 "하나님의 두 나라 국민으로 살기"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리처드 미들턴은 전통적 교인들 대부분이 플라톤적 이원론 사상으로 인하여 이 세상의 문화를 외면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는 단지 미들턴만의 주장이 아니라 (두 나라 two kingdom개념과 대립하는) 한 나라(one kingdom) 개념을 추구하는 신칼빈주의의 기독교 세계관과 톰 라이트의 새관점,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교회인 이머징 미셔널 처치 운동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있는 단골 메뉴이다.


카이퍼로부터 시작된 신칼빈주의의 문화 변혁 운동은 "새 하늘과 새 땅"의 문화가 이 땅의 문화의 발전과 회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주장과 더불어 시작된 것이며 미들턴이 말하는 "새 하늘과 새 땅"도 이러한 관점에서 쓰여진 것이다.


그러나 올바른 전통적 개혁주의는 플라톤적 이원론 사상을 수용하지도 않고 있으며 더군다나 미들턴이나 톰 라이트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이 땅의 모든 영역이 하나님 나라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지도 않다.


이 세상을 바라보는 올바른 개혁주의 관점은 "자연법과 두 나라(Natural Law and Two Kingdom)" 개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미들턴은 전통적 기독교의 플라톤적 이원론의 잘못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반론에서 출발하여 지상적 개념의 “새 하늘과 새 땅"을 그려내고 있지만 미들턴의 이러한 잘못된 전제는 그의 책 “새 하늘과 새 땅" 전체의 페러다임이 개혁주의와는 다른 그림을 그리게한다.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은 이러한 전제의 오류 외에도 신칼빈주의 기독교 세계관인 알버트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과 종교 개혁 신앙고백을 부정하는 톰 라이트의 “바울에 관한 새관점"을 접목시켜 개혁주의에서 한층 더 멀어진 지상적 개념의 "새 하늘과 새 땅"을 그려가고있다.


미들턴의 지상적 "새 하늘과 새 땅"의 특징적 주제 가운데 가장 핵심적 주제는 “ 문화명령과 문화의 구속"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미들턴은 그리스도인의 문화 활동의 근거를 창1:28의 문화 명령에 두고 있으며 아담이 실패한 문화 명령을 그리스도의 사역 위에서 다시 시작하여야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미들턴이 새 하늘과 새 땅에서 보존될 문화를 이루기 위한 문화 명령의 새로운 시작을 말하고 있지만,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요구하였던 문화 명령은 그리스도로 인하여 이미 충분히 충족 되었다.


창세기 1장 28절의 문화 명령(혹은 지배 명령)의 근본 목적은 이 땅에서 아담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형상의 구현이었다.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인간의 정체성은 이 땅에 대한 지배 명령을 실행 하는 것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하나님의 형상을 입었다는 것은 이 땅에 대한 하나님의 통치를 실행할 의무가 주어졌다는 것이다.


아담의 문화 명령에 대한 실패는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손상이었다.


아담에게 주어졌던 문화 명령은 아담에게 요구되었던 검증 기간에 한정된 것이었다.


하나님의 창조 활동과 아담의 피조물에 대한 통치에는 병행관계가 있다.


하나님의 창조 활동이 제 7일에 종결되었듯이 아담의 문화 명령을 통한 검증 기간도, 타락이 없었다면, 문화 명령의 완성을 통한 안식에 들어감으로서 종결되었을 것이다.


문화명령은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안식까지 주어진 기간 즉 검증기간에만 한정된 것이었다.


검증 기간에 주어진 문화 명령에는 사단에 대한 지배와 통치도 포함되어있다.


창 1:28절에서 다스림의 대상인 생물은 창 3:1절의 짐승과 같은 히브리어로서 아담에게 주어진 문화 명령의 실패는 다스려야할 사단에게 패배함으로서 실패로 귀결된다.


선악과 범죄는 다스려야할 사단에게 다스림을 받게된 역전패한 사건이었다.


문화 명령과 아담의 타락과 에덴에서의 추방은 시내산 언약과 이스라엘의 타락과 바벨론 유수를 통하여 재연된다.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한 순종은 아담에게 주어졌던 행위 언약으로서의 선악과 명령과 병행 관계에 있으며,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으심은 아담의 에덴에서의 추방과 이스라엘의 바벨론 유수와 병행 관계에 있다.


6일간의 창조 사역을 마치시고 안식을 취하신 하나님께서 마찬가지로 아담에게도 문화 명령을 통한 통치 사역을 마치고 안식을 주시고자하셨지만 문화 명령의 실패로 이루지 못한 안식은 마지막 아담이신 그리스도께서 다 이루심으로 안식에 들어가실 수가 있으셨다.


안식의 주인되신 그리스도는 십자가에서 첫 번째 아담이 실패한 문화 명령을 다 이루시고 마지막 아담으로서 안식에 들어가셨다.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아담에게 주어졌던 문화 명령이 그리스도의 안식과 더불어 종결된 것이다.


리처드 미들턴은 문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 그리스도의 대위임령보다 고차원적인 그리스도인의 사역이라고 말한다.


문화 명령을 다시 시작한다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이미 다 이루신 완전한 충족을 미완성으로 돌리는 것이며 안식의 주인이 되시는 그리스도의 충족의 부족함과 이 부족함으로 인하여 그리스도가 안식의 주인이 되실 수 없음을 말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 명령 개념은 톰라이트의 새관점이나 신칼빈주의 신학과 마찬가지로, 오직 은혜 언약만을 주장하는 단일언약론의 배경에서 또 다른 명령이 요구되기에, 이러한 논리는 은혜를 은혜답지 못하게하며 또 하나의 행위 언약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우리에게 문화 명령을 수행하라고 촉구하는 구절이 성경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기 힘듦에도 불구하고 미들턴은 지상에서 이루어질 새 하늘과 새 땅을 준비하기 위해 일관되게 문화 명령을 수행 할 것을 강조한다.


문화 명령과 은혜와 안식에 관한 혼란의 배경에는 모든 피조물의 구속과 그로 인한 이 땅의 모든 영역을 하나님의 나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미들턴은 구속의 범위에 피조물의 구속은 물론 문화의 구속도 포함 시키고 있다.


반드루넨은 구속은 성도 자체를 위하여 있는 것이지 문화 자체의 구속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반드루넨은 새 하늘과 새 땅이 창조물의 회복이 아닌 새로운 창조인 것을 말한다.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의 이러한 여러가지 특징들은 이 땅의 모든 영역을 구속의 영역으로 보고 있음에 기인한 것이다.


전통적 개혁주의에서는 이 땅의 모든 영역이 구속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통치 영역과 구속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카톨릭 철학자 폰 바더 (Von Baader)의 기독교 신지학 (Christian Theosophy)의 영향을 받아 정립된 카이퍼의 영역 주권론과 일반 은총은 이 땅의 모든 영역을 구속과 연관시킨다.


하지만 이 땅의 모든 영역이 하나님의 통치 영역이라고 모든 영역이 구속 영역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구속의 주 이신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가 되셨기에 구속은 교회와 연관되어야 할 것이다.


톰 라이트를 비롯한 새관점과 신칼빈주의의 이머징 미셔널 처치에서는 우주적 구속을 말하면서 우주적 교회론을 주장하지만 이러한 우주적 교회론은 종교개혁 신앙고백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종교 개혁 신앙고백에서는 일관되게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로 구성된 성도 중심의 교회를 말하고 있다.


그렇다고 교회 바깥의 영역을 모두 사단의 영역으로만 보고 있는 것은 아니다.


교회를 포함한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은 하나님의 일반 은총의 근거가 되는 자연법 아래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나라라고 볼 수 있는 성경법에 근거를 둔 교회와 자연법에 근거를 둔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의 두 나라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구속은 분명히 그리스도의 보혈이 근거가되기에 그리스도의 순종과 십자가의 보혈에 의해서만 거룩의 영역에 참여될 수 있는 것이지 신앙고백을 할 수 없는 피조계와 문화까지도 구속되는 것이 아니다.


미들턴의 "새 하늘과 새 땅"에서는 신앙고백을 할 수 없는 문화를 포함한 모든 피조계의 구속을 말할 뿐만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순종과 십자가의 보혈에 대한 개념도 정통 개혁주의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교수인 데이비드 반드루넨(David VanDrunen)의 "하나님의 두 나라 국민으로 살기 (Living in God's Two Kingdoms-부흥과 개혁사 역간)"는 하나님의 구속받은 자녀들이 이 세상에 대한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살아가야하는지 리처드 미들턴과는 전혀 다른 두 나라 (Two Kingdom) 개념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그의 책에 대한 다음의 서평은 반드루넨의 책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어 다음과 같이 번역하였다

(출처 http://opc.org/os.html?article_id=251)


문화 전쟁은 끝났다: 서평 글

The Culture War Is Over: A Review Article


Gregory Edward Reynolds



하나님의 두 나라 국민으로 살기: 기독교와 문화에 대한 성경적 통찰, 데이비드 반드루넨 저, (부흥과 개혁사 역간)

Living in God's Two Kingdoms: A Biblical Vision for Christianity and Culture, by David VanDrunen. Wheaton, IL: Crossway, 2010, 208 pages, $16.99.




나는 1974년에 자유 예술 교육 과정을 통합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을 돕기 위해 의도된 기독교 신앙의 철학이라는 제목으로 Covenant College에서 가르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그리스도와 문화에 대한 질문을 접하게 되었다.

In 1974, I was first exposed to the question of Christ and culture in a course taught at Covenant College, titled Philosophy of the Christian Faith, which was intended to assist students in integrat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거기서 나는 이러한 질문의 기준이 되는 표식으로 H. Richard Niebuhr의 그리스도와 문화를 읽게 되었다.

There I read H. Richard Niebuhr's landmark taxonomy of this question, Christ and Culture.[1]


이것은 최근에 동방 신비주의에 몰두해 있던 학생들에게는 성급한 소재였던 것이다,

It was heady stuff for a student who had recently been immersed in Eastern mysticism.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역사와 실체화된 존재에 대한 새로운 비평은 나를 카이퍼의 저작들로 유혹하고있었다.

My new appreciation for history and embodied existence lured me toward a Kuyperian account of the solution to this question.


그 이후로, 나는 30년 이상에 걸쳐서 이러한 질문에 관하여 도서관의 많은 책들을 쌓아 놓고서 무천년적 해석부터 시작하여 카이퍼의 개념들을 다시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Since then, over the last three decades, I have accumulated quite a library of books on this question and have been revisiting the Kuyperian idea from an amillennial hermeneutic.


이것은 결과적으로 나로 하여금 두 나라(이후로는 2k)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가지게 하였는데, 이 이전에는 그것에 대한 칭호를 가지고 있지 못했었다.

This in turn has moved me to a more distinctly two kingdom (hereafter 2k) position, although I did not early on have a label for it.


나 자신의 생각의 변화와 일치하고 있는 것은 종교 개혁 이후의 교리에 대하여 새롭게 평가한 개혁주의 아카데미 안에서의 발전이라는 것이다,

Coincident with my own change in thinking was the development within the Reformed academy of a renewed appreciation for post-Reformation dogmatics.


이 모든 것 위의 핵심은, 청교도들이 아직도 흔히 이러한 난제에 대한 콘스탄티누스의 설명에 사로 잡혀 있음에도 불구하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나라를 보이는 교회와 동일시하고있다는데에 인상적이었다.

On top of all this, I have been impressed that, despite the fact the Puritans were often still captive to a Constantinian account of this dilemma, the Westminster Confession equates the kingdom with the visible church.


"보이는 교회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이다"(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5.2)

"The visible church ... is the kingdom of the Lord Jesus Christ" (WCF 25.2).


두 나라 신학에 대한 반드루넨의 작품이 최근의 10년에 걸쳐서 나타난 것은 이렇게 새로워진 지적인 환경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It is from within this renewed intellectual climate that VanDrunen's work on the 2k theology has emerged over the last decade.



반드루넨은, 윤리학자로서, 10년 이상을 자연법 학문의 기초를 다져왔다.

As an ethicist, VanDrunen has been laying a foundation of natural law scholarship for more than a decade.


그의 첫 번째 진지한 탐구는 1999-2001의 그의 졸업 논문과 관련되어있다.

His first serious research was connected with his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rom 1999-2001.


2003년에는 발달 과정의 역사적 논술인 "자연법과 두 나라 (2010)"를 탐구하기 시작하였으며,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기초를 놓았던 것이다.

In 2003 he began research for his seminal historical account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s (2010),[2] laying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A Biblical Case for Natural Law (2006)"는 두 나라 교리에 대한 성경적 기초에 대하여 기대를 갖게 만드는 역할을 하였다.

A Biblical Case for Natural Law (2006)[3] served as an appetizer for the biblical foundation of the 2k doctrine.


2007년 후반에는 그는 자신의 계획의 건설적이고 성경 신학적인 부분에 관심을 돌리면서 "생명 윤리와 신앙생활(2009)"을 출간하게 되었으며, 서평을 하려는 현재의 책은 신앙 생활에 있어서 두 나라 교리의 실질적인 참 뜻을 증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In late 2007 he turned his attention to the constructive, biblical-theological part of his project, resulting in the publication of Bioethics and the Christian Life (2009),[4] and the present volume under review, demonstrat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2k doctrine for the Christian life.



반드루넨은 배심원들을 정면으로 대하는 변호사와 같이 자신의 주제에 접근하고있었으며, 전반에 걸쳐서 그들이 그의 주장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적대적인 상태로 법정에 나온 것을 깨닫고 있었다.

VanDrunen approaches his subject like a skilled lawyer facing a jury squarely, all the while realizing that they come to the courtroom largely hostile to his case.


이것은 그가 책의 전반에 걸쳐서 자신의 논의의 주요 견해를 반복하는 이유이다.

This is why he repeats the main tenets of his argument incessantly throughout the book.


만약 그의 초기의 책들이 문화 변혁주의자들이 고개 숙이는 것을 겨냥했다면, 이 책은 바로 정면으로 부딪히는 것이다.

If his earlier books were shots across the cultural transformationist bow, this book is a direct hit.


이 전투적 비유는 이 책의 본질에 관해서는 적절한 것이지만, 반드루넨이 논의하는 방식은 평화적이었는데, 선조가 말한 것을 예로 들면, 코르넬리스 벤틸이 좋아했던 것으로서:"방식에 있어서는 신사적이고, 진실이나 본질에 있어서는 강해야한다."

While this martial metaphor is appropriate regarding the substance of the book, in his mode of arguing VanDrunen is irenic, exemplifying the ancient saying, loved by Cornelius Van Til: "Suaviter in modo, fortiter in re" (gentle in manner, strong in deed or substance).


* * *



문화 명령과 이와 관련된 행위 언약은 두번째 아담에 의하여 충족되었다는 반드루넨의 탐구는 그리스도와 문화에 관한 논의에서 일관된 공헌을 하고있다.

VanDrunen's exploration of the cultural mandate, and the covenant of works associated with it, being fulfilled by the Second Adam makes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f Christ and culture.


그는 주장하기를 성경에서는 문화가 하나님에 의하여 구속되는 것이 아니라 두 번째 아담의 시민이 구속되고 열방으로부터 모이기 위하여 보존될 뿐이라고 말한다.

He insists that Scripture teaches that culture is not being redeemed by God but is rather being preserved in order for the citizens of the second Adam to be redeemed and gathered from among the nations.


이러한 새 창조의 시민들은 하나님의 구속 활동의 주제이지만 문화는 아닌 것이다.

These citizens of the new creation are the subject of God's redeeming activity, while culture is not (15).



서문에서는, 신칼빈주의에서 이머징 처치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인들이 문화를 회복하거나 변혁해야하는 소명을 받았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잘 요약해주고있다.

The introduction gives a nice summary of the proponents of the idea that Christians are called to redeem or transform culture, from neo-Calvinists to the emerging church (16-24).


반드루넨은 변혁적 관점이 흔히 세상을 부인하는 경건주의자들에 대한 유일한 대안으로 표현된다고 말한다.

VanDrunen maintains that the transformational view is usually presented as the only alternative to a world-denying pietism (25).


특히 20세기 칼빈주의는 대부분 자연법과 두 나라 교리를 선택하는 것을 외면하는데, 이(교리)는 종교개혁 이후의 교리에서 거의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Twentieth-century Calvinism in particular has largely ignored the doctrine of the natural law/2k alternative, once almost universally present in post-Reformation dogmatics.


반드루넨에 따르면, 두 나라 교리에서는 구속이 "창조가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재창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정하고있다; 반면에 "하나님께서 명하신 일반 나라는... 합법적이지 거룩한 것이 아니다"고 말한다.

The 2k doctrine, according to VanDrunen, posits redemption not as " 'creation regained' but 're-creation gained' "; while the "divinely ordained common kingdom ... is legitimate but not holy" (26).



가장 놀랄만한 결론은,- 이 책의 1부에서 이미 말한 바와 같이("First Things and Last Things," pages 33-71:John Fesko의 저술)- 반드루넨이 직접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진 않았지만, 문화 전쟁은 끝났다는 것이다.

The most eye-popping conclusion that VanDrunen comes to—he does so early in Part 1 ("First Things and Last Things," pages 33-71) of the book—is that the culture war is over, although he doesn't use these terms.


어떻게? 두번째 아담이 첫번째 아담이 실패한 것을 하심으로, 문화 명령이 충족됨으로서 자신의 백성에게 생명 나무로 표현되는 영광을 상속받게 한 것이다.

How so? Fulfilling the cultural mandate, the second Adam has done what the first Adam failed to do, thus inheriting the glory represented in the Tree of Life for his people.


그의 순종의 삶과 희생적 죽으심과 영광스러운 부활로 인하여 그는 천상의 장소에서 안식에 들어가셨는데, 이곳은 삼위 하나님께서 자신의 창조 사역을 완성하신 후에 제 7일에 들어가신 곳이다.

Through his obedient life, sacrificial death, and glorious resurrection, he has entered into the Sabbath rest in the heavenly places, which the triune God entered on the seventh day upon completing his creation (40-41).


주 예수는 첫 번째 아담이 실패한 검증을 통과하심으로서 자신의 언약 백성이 새 하늘과 새 땅에서 영광을 상속할 수 있도록 행위 언약을 충족 시키신 것이다.

The Lord Jesus passed the probation that the first Adam failed, thus fulfilling the covenant of works on behalf of his covenant people in order that they might inherit glory in the new heavens and the new earth (42-43).


아담의 후손의 실패한 통치는 나라의 왕위 상속, 즉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렸는데, 그는 이미 찬양 받으시는 왕으로 계신 곳에서 완성된 영광 가운데서 하나님의 선택을 위한 통치를 얻으신 분이시다.

The failed dominion of Adam's progeny awaited the appearance of the royal heir of the kingdom, Jesus Christ, who would win dominion for God's elect in his consummation glory that he already inhabits as the exalted king (44-47).


이 부분은 언약 신학에서 걸작으로서 일반인이 소화 시킬 수 있도록 잘 분석해 놓았다.

This section is a tour de force of covenant theology, nicely parsed for popular consumption.



반드루넨은 설명하기를, 그러므로 신자는 자신의 참된 운명을 그리스도 안에서 찾아야한다고 말한다.

So then, in Christ, explains VanDrunen, the believer finds his true destiny.



그리스도인은 삶의 원래의 운명을 다가올 세상에서 얻게 될 것이지만, 이는 아담이 남겨 놓은 곳에서 과제를 취합으로서 그렇게하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과제를 완벽하게 성취하신 마지막 아담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공적에 의지하는 것이다.

Christians will attain the original destiny of life in the world-to-come, but we do so not by picking up the task where Adam left off but by resting entirely on the work of Jesus Christ, the last Adam, who accomplished the task perfectly. (50)



앞으로 사라질 현재의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인의 과업은,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성취에 대한 감사의 반응에서 나온 것이다.

The Christian's task in the present world, which is passing away, is a "grateful response" (51) to the perfect accomplishment of Jesus Christ.


그러고나서 반드루넨은 두 나라 즉 하나의 영원한 나라와 다른 하나의 임시적인 나라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설득력있게 증명하기 위하여 로마서5장, 고린도전서 15장, 그리고 히브리서의 부분들을 해석하고있다.

VanDrunen then unpacks Romans 5, 1 Corinthians 15, and sections of Hebrews to convincingly prove his point that there are two kingdoms, one eternal and the other temporary (51-60).


"아담에게 주어진 처음의 문화 명령의 목적은 성취되었으며" 주 예수는 그 상을 향유하기 위하여 부활하셨다.

"The goal of Adam's original cultural commission has been achieved," and the Lord Jesus has been resurrected to enjoy the reward (53).


그는 이것을 자신 혼자만을 위하여 하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창조의 중개자로서 하신 것이다.

He has not done this for himself alone, but as the mediator of a new creation (56).


"우리가 문화 활동을 하는 것은 새로운 창조가 이미 성취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반응이지 그것(새로운 창조)의 성취를 위한 것이 아닌 것이다.

"We pursue cultural activities in response to the fact that the new creation has already been achieved, not in order to contribute to its achievement" (57).


이것은 믿음에 의한 칭의의 교리에 근거한 직접적인 반응으로서, 종교 개혁 칭의 교리는 궁극적으로 신칼빈주의나 바울에 관한 새관점, 혹은 이머징 처치의 노선을 따르는 문화에 대한 구속적 변혁주의 관점과 양립 될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has direct bearing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because a Protestant doctrine of justification is ultimately incompatible with a redemptive transformationist view of culture along the lines of neo-Calvinism, the New Perspective on Paul, or the emergent church. (58)



그리스도 안에서의 구속의 목표는 현재의 질서를 새롭게 한다거나 처음의 창조를 회복하는 것이 아니다.

The goal of redemption in Christ is not the renovation of this present order,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creation (62).


그리스도는 부활하심으로 이 세상에 생명이 소생되신 것이 아니라 오늘 세상에서의 삶으로 올라가신 것이다.

"In his resurrection Christ was not resuscitated to life in this world but raised up to life in the world-to-come."


이것이 히브리서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이 세상에 대한 현재의 우리의 접근 방식이다.

It is our present access to this world that Hebrews emphasizes (59).


우리의 주님이 다시 오실 때에는 모든 인간 문화의 산물들이 자연 질서와 마찬가지로 붕괴될 것이다.

In the second coming of our Lord all the "products of human culture will perish along with the natural order" (64).


반드루넨은 이것이 이 세상과 오는 세상 사이에 연속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바로 지적한다.

VanDrunen is quick to point out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will be no continuity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66).


예를 들면, 우리는 인식을 할 수 있겠지만 우리의 부활하신 구세주와 같이 영광의 몸을 가질 것인데 이는 천상적인 것이며 지상적인 것과는 대립 되는 것이다.(고전15:40)

For example, we will have recognizable, but glorified bodies just like our risen Savior—that is heavenly, as opposed to earthly (1 Cor. 15:40).


더군다나 이것은 현재의 문화 활동이 선이나 가치가 없다는 것이 아니고, 이것들이 구속의 대상물들이 아니며 임시적일 뿐이라는 것이다.

Nor does this mean that present cultural activities have no goodness or value, only that they are not the objects of redemption and are temporary (68-69).



두 나라에 대한 해석학적이고 신학적인 기반을 놓으면서 반드루넨은 삶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 구약과 신약의 체류자(73-128); 그리고 교회와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인의 삶(129-205)의 두 부분으로 전개한다.

Having laid the exegetical and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two kingdoms, VanDrunen proceeds to its implications for living in two parts: Old and New Testament sojourners (73-128); and Christian living in the church and the world (129-205).


후자는 교육과 소명과 정치로 나뉘어진다.

The latter is divided into education, vocation, and politics.



두 나라에 대한 일반적인 불평은 그리스도인과 세상 사이의 대립적 관계에 대하여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A common complaint about the 2k idea is that it blunts the antithesis between the Christian and the world.


반드루넨은 “영적인 반립"과 “문화적 공유성"의 조화를 증명함으로서 이러한 불평을 잠재운다.

VanDrunen puts this complaint to rest by demonstrating the compatibility of "spiritual antithesis" and "cultural commonality."


결국, 두 나라는 두 언약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하나는 아브라함과의 구속적 언약이고, 다른 하나는 노아와의 일반적, 문화적 언약인 것이다.

In turn, the two kingdoms are founded by two covenants, one redemptive covenant with Abraham and the other common, cultural covenant with Noah (75-76).


신자들과 불신자들은 일반 나라에서의 활동을 공유하고있지만, 오직 신자들만이 참여하는 영적인 나라에서는 그들의 충성이 불신자들의 헌신과는 대립 관계에 있는 것이다.

Believers and unbelievers share the activities of the common kingdom, while only believers participate in the spiritual kingdom in which their allegiance stands in antithesis to the loyalties of unbelievers.


반정립에 대한 관심과 관계된 또 하나의 일반적인 불만은 두 나라 개념이 필연적으로 도덕률 폐기론 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Another common complaint, related to concern for the antithesis, is that the 2k idea is essentially antinomian.


반드루넨은 달리 주장한다:

VanDrunen asserts otherwise:



하나님 자신이 일반 나라를 세우셨고 통치하신다. 이는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 하나님의 통치에 의하여 존재한다. 일반 나라는 어떠한 의미에서 도덕적 중립성이나 인간의 자율성의 영역이 아닌 것이다.

God himself established and rules the common kingdom. It exists under the Lordship of the triune God—Father, Son, and Holy Spirit. The common kingdom is not in any sense a realm of moral neutrality or human autonomy. (81)


일반 나라의 한 가운데서의 구속의 나라의 시민으로서의 신자들의 간결한 초상은 그들을 유배자와 순례자로서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A brief portrait of believers as citizens of the redemptive kingdom in the midst of the common kingdom focuses on their identity as exiles and sojourners (82-88).


그러고 나서 반드루넨은 이것을 모세 언약 아래 있는 하나님의 백성의 특수한 입장과 비교를 한다.

VanDrunen then contrasts this with the unique situation of God's people under the Mosaic covenant (88-97).


이 언약 안에서 구속과 문화는 임시적으로 나타난다.

In this covenant, redemption and culture are temporarily merged.


그러나 문화를 구속하는 것에 대한 기술과는 달리,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 즉 도래할 세상의 나라의 모습을 표현하는 것이다.

But, far from being a prescription for redeeming culture, it presents a picture of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the kingdom of the world-to-come.


부차적인 유배는 나라가 아직 임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하게 해준다.

The subsequent exile reminds us that the kingdom had not yet come.


그러나 나라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왔을 때에 우리는 유배가 끝났다고 생각을 다듬어야 할 것이다.

But then, when it does come in Jesus the Christ, we may be tempted to think that exile is over.


아직도 신약의 언어는 신자들이 아직까지 유배자이면서 순례자임을 분명히하고 있다.(베전1:1, 17: 2:11,)

Yet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makes it clear that believers are still exiles and sojourners (1 Pet. 1:1, 17; 2:11, p. 99).


이 책의 나머지 부분은 현 시대에 있어서 교회의 위치를 기술하고, 분명하게 두 나라를 구분하면서 각각에서 신자의 적절한 활동을 기술하고 있다.

The remainder of the book describes the situation of the church in this present age, clearly distinguishing the two kingdoms and describing the proper activity of the believer in each.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의 하나님 나라와 보이는 교회의 동일시함을 유지하면서, 반드루넨은 "교회가 현세에 있어서 그리스도에 의하여 선언되는 나라로 확인 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면서 공동체다"라고 주장한다.

In keeping with the Westminster Confession's identification of the kingdom of God with the visible church, VanDrunen asserts, "the church is the only institution or community in the present world that can be identified with the kingdom proclaimed by Christ" (101).


그는 신약 성경으로부터, 교회와 구속의 나라가 동일하다는 것과, 교회는 아브라함 언약의 형태를 따르고 있음을, 현재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적 성취라는 복음을 열방에 전하는 과업을 예외로하고는, 계속적으로 증명하고있다.

He goes on to demonstrate from the New Testament that the church and the redemptive kingdom are identical, and that the church follows the pattern of the Abrahamic covenant, except now it is tasked with spreading the good news of the redemptive accomplishment of Jesus Christ to all nations (102-6).


이러한 점에서 반드루넨은 마태복음 5:17-21에 대하여 신정체제로서의 해석을 하고있다.

At this point VanDrunen takes on the theonomic exegesis of Matthew 5:17-21.


그는 아주 섬세하게 이러한 해석을 하면서 묘하게도 Greg Bahnsen을 언급하지 않고 있는데, 그는 내가 알고 있기로는 이 문장에 대하여 신정체제적인 해석을 한 주요 인물인데,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윤리적 체계로서의 신정체제에 대하여 해석학적 급소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He does so with great finesse and yet oddly without mentioning Greg Bahnsen, who, as far as I know is the major theonomic exegete of this passage, which many believe to be the interpretive linchpin of theonomy as an ethical system (108-12).


그는 새 언약에서의 윤리의 유일함이, 천상의 나라의 일원으로서 아직 이 세상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에게는 적용되지만 이 세상이나 통치 기관에는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고있다.

He demonstrates the uniqueness of the ethics of the new covenant as they apply to the Christian as a member of the kingdom of heaven still living in this world, and not to the world or its governments.


따라서, "교회는 (하나님)나라의 시민들의 공동체이며... 천상의 나라는 더 넓은 세상에서의 사회적 정치적 공동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Consequently, "the church is the community of the citizens of the kingdom.... the kingdom of heaven is not to be found in the social-political communities of the broader world" (114).


산상 설교의 윤리는 오직 새 창조의 시민들에게만 가능한 것이며, 이것은 분명히 그들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The ethics of the Sermon on the Mount are only possible for citizens of the new creation, to whom it is clearly directed (115).


반드루넨은 구속의 나라와 일반 나라 사이에서 얼마간 집합체의 제도가 겹쳐지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VanDrunen does admit to a kind of overlap in the institution of the family between the redemptive and the common kingdoms (119, 121).


이것은 좀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한 제도이다.

This is an institution about which much more discussion is needed.



특히 이 장에서 도움이 되는 것은 일반 나라와 그의 시민들과 활동들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자세에 대한 반드루넨의 논의이다.

Especially helpful in this chapter is VanDrunen's discussion of the Christian's attitude toward the common kingdom, its citizens and activities (123-28).


전도서의 관점은 신자로하여금 하나님의 선물로서의 일반 문화의 축복을 즐기는데 참여하라는 것이며, 단순히 의심스러운 적대적 영역으로 대하지 말라는 것이다.

The perspective of Ecclesiastes enjoins the believer to enjoy the blessings of common culture as God's gifts, not simply hostile territory of which to be suspicious.


그러나 반드루넨은 문화 활동이 신약 성서의 핵심이 아님을 주의 시킨다.

However, VanDrunen cautions that cultural activities are not the focus of the New Testament (124).


이러한 통찰은 여러가지 필연적인 결과들을 수반한다.

This insight implies several corollaries.


그러므로 우리의 믿지 않는 이웃을 우리의 대적자로 보기보다는, 우리는 문화를 정복할 것을 모색하는 문화의 전사가 되는 대신에, 우리가 문화에 참여함으로서 그들을 사랑하고 그들에게 축복이 될 수 있기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So, rather than viewing our unbelieving neighbors as our opponents we should seek to love and be a blessing to them in our cultural involvement, instead of being culture warriors seeking to conquer culture (124-26).


다른 한편으로, 문화에 참여한다는 것은 대립 관계를 부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cultural participation is not meant to deny the antithesis.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하며 타락한 문화 가운데 있는 우상 숭배적 경향과, 이것이 우리들이 순례자로서 다가 올 세상을 고대하는 것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So, Christians must be vigilant and beware of the idolatrous tendencies within all fallen culture, which may undermine our longing for the world to come as pilgrims (126-28).



3부에서는 두 나라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참여에 대하여 특별히 관심 있게 다룬다.

Part 3 gets down to the specifics of Christian involvement in the two kingdoms.


이 부분을 정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order of this section is very important.


교회가 먼저 다루어지는데 이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중심되는 기관이기 때문이다.

The church comes first, because it is the central institution in the Christian life (131-60).


교회와 예배와 생활에 대하여 우수한 책들이 많이 있지만 반드루넨은 교회의 중요성과 중심성을 소개하면서 그리스도와 문화 논쟁에 일관되게 관여를 한다.

While there are many excellent books on the church and its worship and life, VanDrunen makes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Christ and culture debate by introducing the importance and centrality of the church.


오직 교회만이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이라는 사실 안에 양육 되는 곳이다.

The church alone is the place where people are nurtured in the realities of the new creation in Christ.


아무도 교회 교리에 대한 하나님 중심의 해석과, 교회 윤리의 차별성과, 교회의 영적인 열매의 풍부함과 교회 영성의 순수함 이상을 (교회 밖에서는) 찾지 못할 것이다.

One will not find a more theocentric explication of the doctrine of the church, the distinctiveness of her ethics, the abundance of her spiritual fruits, and the purity of her spirituality.


그러므로 "교회를 일반 나라의 어떠한 기관이나 연합체와 동일시하는 것은 전적으로 적절치 못한 것이다"

Thus, "it is entirely inappropriate to identify the church with any institution or community of the common kingdom" (148).


교회는 새 언약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선교에 붙들려야만 한다.

The church must stick to the mission given her in the New Covenant.



마지막 장에서는 논쟁이 뜨겁게 달아오른 교육과 성직과 정치의 3가지 영역에서 두 나라 교리가 해야 할 역할의 방법들에 관하여 탐구를 하고 있다.

The final chapter (7) explores ways in which the 2k doctrine plays out in the three hotly debated arenas of education, vocation, and politics.


문화 명령과 행위 언약과 그리스도의 성취의 의미에서 문화 전쟁이 끝났다고 말하는 것은 여하튼 간에 영적 전쟁이 끝났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To say that the culture war is over in terms of the cultural mandate, the covenant of works, and the accomplishment of Christ, is not in any way to imply that spiritual warfare is over.


아니다, 사실 이 책의 지금 단락은 우리의 전쟁의 무기가 일반 나라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영적인 나라에서 오는 것임을 상기시켜주고 있다.

No, in fact, this section of the book is a reminder that the weapons of our warfare are not from the common kingdom, but from the spiritual.


그러므로, 반드루넨은 그리스도인이 문화 활동에 기쁘고, 사심이 없고, 순수하게 참여하도록 적절히 권한다.

So, appropriately VanDrunen enjoins Christian cultural activity to be joyful, detached, and modest (163ff.).


비록 그리스도인은 원래의 문화 명령을 수행하라고 부름을 받지는 않았지만, 문화 제도들은 하나님의 임시적인 축복으로서 신자들에 의해서 유지되고 참여되어야만 한다.

Although Christians are not called to take up the original cultural mandate, cultural institutions are God's temporary blessing and must be supported by and participated in by believers (164-65).



우리는 흔히 그리스도인이 자신들이 다양한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그들의 참여가 활동 자체를 독특하게 하거나 아니면 독특한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자주 듣는다.

We often hear Christians speak of their involvement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s if their participation makes the activity itself unique, or uniquely Christian.


반드루넨은 이러한 잘못된 생각을 (다음과 같이) 바로잡는다

VanDrunen corrects this as a mistaken notion:


문화 활동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표준은 일반적으로 그리스도인의 것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문화 활동의 우수성의 표준들은 일반적으로 신자와 불신자에게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이 이러한 활동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가능한 방법들은 흔하게 널려 있다.

The normative standards for cultural activities are, in general, not distinctively Christian.... The standards of excellence for cultural work are generally the same for believers and unbelievers.... And there are usually many possible ways in which Christians could pursue such activities. (168-72)


그러므로 "'변혁'이나 특히 '회복'에 관한 친숙한 주문들을 폐기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성경에는 어느 곳에서도 우리를 이러한 거대한 과업으로 부른 곳이 없다"

It would, therefore, be wise to "discard familiar mantras about 'transformation' and especially 'redemption.' Nowhere does Scripture call us to such grandiose tasks" (171).



반드루넨에 의하면, 교육은 다른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두 나라 이론이 모든 답들이 있어야 함을 요구 하지 않는 영역이다.

Education is, according to VanDrunen, an area, like all others, where 2k theory does not claim to have all the answers.


그러나 이것(교육)은 도움이 될 만한 지침을 제시해줌으로서 과제들의 많은 면들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이 된다.

But it helps to clarify many aspects of the task by suggesting helpful guidelines.


특별한 계시를 해석하는 신학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학습- 인간성, 사회 과학, 혹은 자연 과학이든 간에- 의 우선적 관심은 자연의 계시를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는 진리가, 노아 언약을 통하여 하나님에 의하여 유지되고 통치 됨으로서, 창조물 가운데 나타나는 것이다. (시19:1-6; 롬1:19-20; 2:14-15)

Except for theology, which interprets special revelation, the primary concern of all other disciplines—whether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or natural sciences—is to interpret and explain natural revelation, that is, the truth revealed in creation, as upheld and governed by God through the Noahic covenant (Ps. 19:1-6; Rom. 1:19-20; 2:14-15)....


이러한 고찰들이 제시해주고있는 것은, 성경은 모든 학술적 학문의 커다란 그림에 관하여 결정적인 것들을 말하고 있는 반면에 (신학을 제외하곤) 이러한 학문들의 세밀하고 기술적인 상세한 것들에 관하여는 거의 침묵한다는 것이다.

These considerations suggest that Scripture says crucial things about the big picture of all the academic disciplines, while it is silent about nearly all the narrower, technical details of these disciplines (except theology). (174-75)



그러므로, 부모들은 자신들의 자녀들의 교육에 관하여 우선적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공립 학교들을 포함한 일정 수의 교육 기관들 가운데 선택 할 자유가 있다는 것이다.

Thus, parents have primary authority over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are free to choose among any numbe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public schools.


그러나 그리스도는 나라의 열쇠를 교회에 맡기셨기에, 목사들과 교사들은 신학을 가르칠 우선적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But, because Christ has entrusted the keys of the kingdom to the church, pastors and teachers have the primary authority over instruction in theology.


모든 학문에 있어서 그리스도인은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이 절대 종교적으로 중립일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In every discipline the Christian must remember that "study and teaching are never religiously neutral" (179).


그러나 "불신자들이 이루어 놓은 것과 공헌들을 과도하게 제외 시킨다면 우리는 우리의 자녀들을 교육에 있어서는 빈곤하게 만들 것이다"

However, "we impoverish our children educationally if we unduly cut them off from the accomplishments and contributions of unbelievers" (184).


반드루넨은 소명에 대하여 숙고하면서 비슷하게 현명한 충고를 하고 있으며, 우리들로하여금 일반 문화에서 각자의 세상적인 소명을 위하여 발달된 교육을 존중하면서도, 이러한 것들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그리스도인의 소명에 충실하여야 할 것을 경고한다.

VanDrunen applies similarly sage advice in his consideration of vocation, warning us to respect the disciplines developed for each earthly calling in common culture, while being faithful to our Christian calling in the pursuit of these (187-94).



마지막으로, "정치는 일반 나라의 문제이다"

Finally, "politics is a matter of the common kingdom" (194).


반드루넨은 정치에 관한 두 나라 관점을 명료하게 요약한다:

VanDrunen succinctly sums up the 2k perspective on politics:


그리스도인은 정치의 중요성을 부인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왜냐하면 정치는 이 세상에서 정의, 평화, 그리고 번영의 충분한 결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정치를 천상의 구속적 나라를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찬양해서도 안된다.

Christians must strive neither to deny the importance of politics—since it has great bearing on the justice, peace, and prosperity of this world—nor to exalt politics as a means of ushering in the redemptive kingdom of heaven. (194-95)


국가 정부가 제공하는 정의와 질서가 임시적이고 잠정적이기에- 불완전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그리스도인은 적절한 기대를 가지고 참여하여야 하며, 하나님의 기관으로서의 "국가의 복지를 모색"하는 제한적이지만 중요한 목표들을 도울 것을 모색하여야 한다.

Because the justice and order that civil government provides is temporary and provisional—not to mention imperfect—Christians should participate with modest expectations and seek to assist in the limited but important goals of God's institution, "seeking the welfare of the city" (Jer. 29:7, p. 199).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인은 정책적 위치에서 윤리적 절대성을 산출하지 않는 것과 성경이 침묵하지만 자신들이 선호하는 것들을 지원하는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Most important of all, Christians need to be careful not to make ethical absolutes out of policy positions and candidates that they favor where Scripture is silent on these things (198-203).



희망해 볼 수 있는 것은 반드루넨이 이러한 것들과 일반적 관심사의 다른 부분들을 분리하여 책을 쓰는 것이다.

One can only hope that VanDrunen will write separate books on each of these and other areas of common concern.


책 전체를 통해서 반드루넨은 그리스도와 문화에 관한 주제에 대하여 상당히 많은 다른 저자들을 도움이 되는 공정한 방법으로 상호 작용되도록 하고있다.

Throughout the book VanDrunen interacts in helpful and fair ways with numerous other writers on the subject of Christ and culture.


그러므로 주제-저자의 색인이 없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Thus, it is a shame that there is no subject-author index.


이 책은 우리들의 교회에서 어른들을 교육하는데 주된 것이 되어야 한다.

This book should become a staple in the adult education programs of our churches.


이 책은 내용을 꼭 널리 들려줄 필요가 있는 훌륭한 책이다.

It is a splendid little book whose message is in desperate need of a wide hearing.



책 전체는 게할더스 보스와 메리디스 클라인의 신학을 생각나게해준다.

The entire book is redolent of the theology of Geerhardus Vos and Meredith G. Kline.


신학적 연결과 반드루넨의 두 나라 입장을 강조하는 것은 일부의 분노를 일으킬 것이지만, 나의 그의 작품이 가치가 있다는 사려 깊은 주목을 받기를 희망한다.

While that theological connection and VanDrunen's articulate 2k position will raise the ire of some, I hope that his work will receive the thoughtful attention it deserves.


두 나라 교리에서 벗어나서 이 세상에서 교회의 역할을 정립하는 어떠한 시도나 혹은 문화에서의 그리스도인의 과업은, 우리가 부름을 받은 대사로서의 역할에 필요한 힘을 낭비시키려 할 것이다.

Any construction of the church's role in the world or the Christian's task in culture that strays far from the 2k doctrine will tend to dissipate the energies needed to be the ambassadors we have been called to be.


Endnotes


[1] H. Richard Niebuhr, Christ and Culture (New York: Harper, 1951).


[2] David VanDrunen,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s (Grand Rapids: Eerdmans, 2010).


[3] David VanDrunen, A Biblical Case for Natural Law (Grand Rapids: Acton Institute, 2006).


[4] David VanDrunen, Bioethics and the Christian Life: A Guide to Making Ethical Decisions (Wheaton: Crossway, 2009).


Gregory E. Reynolds serves as the pastor of Amoskeag Presbyterian Church (OPC) in Manchester, New Hampshire, and is the editor of Ordained Servant. Ordained Servant Online, April 2011.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