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블리케이션 교리 2014. 12. 25. 01:45

R. Scott Clark가 말하는 (Mosaic covenant의)Republication의 7가지 핵심 요점들


(Seven Short Points About Republication by R. Scott Clark)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1. 모세(옛)언약은 은혜 언약으로 집행되어지는 것이다.

The Mosaic (old) covenant was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2. 아담은 타락 전의 행위 언약에 대한 순종으로 말미암아 영광에 들어 갈 수 있었지만 타락한 후에는 오직 그리스도만이 죄 없이 나셨기에 언약의 진정한 의미를 감당할 수 있으셨다.

Adam would have entered into glory by virtue of his obedience to the prelapsarian covenant of works but after the fall only Christ was born sinless and able to meet the terms of that covenant.


3. 도덕법은 신성을 반영하며 창조 시에 처음 주어졌으며 후에는 시내산에서 임시적으로, 유형학적으로, 신정 정치의 이스라엘의 의미로서 다시 언급된다.

The moral law reflects the divine nature and was first given in creation and later re-stated in temporary, typological, theocratic, Israelite, terms at Sinai.


4. 행위 언약은 시내산에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다시 공포된다.

The covenant of works was republished at Sinai in order to:


a. 이스라엘(우리도 마찬가지로)의 죄와 궁핍함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줌으로서 그들이(우리도) 구세주를 필요로 하게 함으로서 그들을(우리도)(몽학선생의 역할을 통하여)그리스도께 향하게 한다.


Teach the Israelites (and us) the greatness of their (and our) sin and misery and thereby to show them (and us) their (and our) need for the Savior and thus to point them (and us) to Christ (pedagogical use)



b. (모세언약은) 이스라엘의 시민 생활의 규범이되면서 또한 이스라엘의 신정 정치의 종료 후에도 규범적 시민 생활을 하게 끔 한다.

Serve, in both tables, as the norm for Israelite civil life and to serve, in the second table, a the norm civil life after the expiration of the Israelite theocracy (civil use).



c.도덕법의 요점이 되는 이상 이스라엘과 새 언약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에게 도덕적 규범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Serve, insofar as it is a summary of the moral law, as the moral norm for the Israelites and new covenant Christians (normative use)


5. 옛 언약은 법적인 의미로 표현이 된다. 말하자면 구약에서는 이스라엘이 땅에서 영속하는 것과 국가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율법에 순종하느냐에 달려있는 것이고 그들이 (가나안)땅에서 쫓겨나고 국가로서의 상태를 상실하게 되는 것은 율법에 순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오기도 전에 언약을 깨뜨렸고 하나님의 법을 반복적으로 거역하였음에도, 아직 땅에 남아 있으면서 국가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은혜에 의한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The old covenant was expressed in legal terms, to wit, there are places in the OT that say that Israelite tenure in the land and national status was conditioned upon their obedience to the law and that the reason for their expulsion from the land and loss of national status was disobedience to the law. Inasmuch, however, as Israel broke the covenant before Moses descended the mountain and disobeyed God’s law repeatedly and yet remained in the land and retained their national status for as long as they did, it must have been by grace.


6.  옛 언약에서는 유형학적인 것과 교육학적인 것, 두가지가 동시에 일어난다. 

유형학적으로는 행위 언약에 의한 법적인 (비록 엄격히 법적이지는 않지만) 통치 형태로 나타나고, 교육적인 면에서는 은혜 언약의 통치 형태로서 죄인이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만 의롭게 되고 구원을 얻는다는 것이다.

 In the old covenant two things were happening simultaneously: a typological, pedagogical, formally legal (but not strictly legal)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works (see #4 above) and an administration of the covenant of grace in which sinners were justified and saved by grace alone, through faith alone in Christ alone.


7. 새 언약으로서의 율법은, 이스라엘을 넘어서 또 다른  면에서 유형학적 형태로(예를 들어 땅에서의 영속이나 토요일의 안식과 같이) 영속적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규범이 된다.


In the new covenant that law, in both tables, stripped of its Israelite, typological features (e.g., land tenure, saturday sabbath), remains as a perpetual, universal norm for all humans.

(출처)http://heidelblog.net/2014/08/seven-short-points-about-republication/

posted by Wonho Kim
:
유형학 2014. 12. 18. 12:01

유형학과 모세 언약(Typology and the Mosaic Covenant)


                                -Patrick's Pensees에서 발췌 번역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유형학은 하나님께서 시내산에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은혜와는 대립개념의) 행위 언약을 강조하고 방어하기 위하여 요즈음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도구들 가운데 한가지다.The Pocket Dictionary of Biblical Studies에 따르면 유형학(typology)은 “한 성경 시대의 사람과 사건, 물건과 제도등이 다른 시대, 특히 구약과 신약 사이에서 성경적으로 비교하고 연관을 시켜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Typolog is one of the tools employed today to articulate and defend the idea that God established a works (as opposed to a gracious) covenant with Israel at Mount Sinai.  The Pocket Dictionary of Biblical Studies defines typology as “Biblical comparisons and links made between persons, events, things and institutions of one biblical period and those of another, particularly between those of the OT and the NT.”)

비교와 연관이 이루어지는 두 가지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첫째로는 이스라엘과 그리스도 사이에서 볼 수 있다. 웨스트민스터신학교의 신임교수인  Iain M. Duguid는 자신의 소책자 " 구약에서의 예수?"에서 마태복음의 첫 장에서의 예수의 삶의 상세한 부분이 구약의 이스라엘의 역사와 몇 가지 유사한 점이 있다는 것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같이 예수는 요셉이라는 이름의 사람과 연관되어 애굽으로 내려간다. 이스라엘과 마찬가지로 예수는 모든 어린 아이를 죽이려는 적대적인 왕으로부터 살아 남는다. 홍해에서의 이스라엘과 같이 구원과 심판이 그리스도가 세례 받으시는 물과 연관되어있다. 이스라엘과 같이 예수는 광야에서 시간을 보내신다. 이스라엘과 같이 굶주림과 하나님을 시험함과 우상 숭배에 대하여 광야에서 시험을 받으신다.

There are two comparisons or links made in this case.  The first is between Israel and Christ.  WTS’s newest professor, Iain M. Duguid, argues this point in his little booklet Is Jesus in the Old Testament? by noting a number of similarities between the life of Christ as recounted in the opening chapters of Matthew and the history of Israel.  Like Israel, Jesus goes to Egypt in connection with a man named Joseph.  Like Israel, Jesus survives the attempts of a hostile king to slaughter all the infant boys.  Like Israel at the Red Sea, salvation and judgment is associated with water at Jesus’ baptism.  Like Israel, Jesus spent time in the wilderness.  And like Israel, Jesus was tempted in the wilderness with respect to hunger, putting God to the test and worship.

예수가 이스라엘의 역사를 재연하시는 것은 이스라엘이 그리스도의 형태이고, 예수는 새로운 이스라엘이시라는 것이다. Duguid교수에 의하면 이러한 유형학적 관계는 모세 언약의 특성으로 인하여 심오한 신학적 의미를 나을 수 밖에 없다. 그는 "(예수님께서) 이스라엘 역사를 이렇게  재연하시는 아주 중요한 이유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시내산에서 맺으신 언약이 축복이 순종에 달려있다는 (행위 언약이라는) 사실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진실로 "이스라엘과 같이 새로운 이스라엘로서의 예수님은 행위언약 아래에 계셨다. 예수님은 축복을 위하여 순종을 하셨다. " 우리의 언약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와 같니 예수는 시내산에서 주신 하나님의 요구 전체를 순종 할 수 있으셨기에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영원한 삶이라는 축복의 약속된 언약을 이룰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것(crucial significance)은 그리스도의 적극적 순종(the active obedience)이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의 적극적 순종이라는 좋은 소식(good news)을 가르쳐 주시기 위하여 이스라엘과 행위 언약을 맺으셨다는 것이다.

The fact that Jesus reenacts Israel’s history indicates that Israel is a type of Christ and that Jesus is the New Israel.  According to Duguid, this typological relationship is pregnant with theological meaning precisely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Mosaic Covenant. He writes, “The crucial significance of this reenactment of Israel’s history lies in the covenant that God had made with the Israelites at Sinai, which depended on their obedience for blessing.”  Like Israel, and as the New Israel, Jesus was under a works covenant.  He had to obey in order to be blessed.  Indeed, “as our covenant representative, he has obeyed the full scope of the demands of God’s law given at Sinai, thereby meriting the promised covenant blessing of life forever in God’s presence.”  Thus the “crucial significance” is the active obedience of Christ.  God established a works covenant with Israel in order to teach the “good news” of the active obedience of Christ.

비교와 연관(the second comparison)에 대한 두 번째 예는 이스라엘과 아담이다.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교수인 데이빗 반두르넨(David VanDrunen)은 그의 최근의 저서인 Divine Covenants and Moral Order에서 이 점을 언급하고있다. 이스라엘은 세가지 면에서 아담의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이다.

The second comparison or link is between Israel and Adam.  WSC professor David VanDrunen makes this point in his recent book Divine Covenants and Moral Order.  Israel relives Adam’s life in three ways.

1. "하나님께서는 아담을 처음의 수면의 혼돈(창1:2)으로부터 에덴 동산(창2:8)으로 데리고 오셨듯이 이스라엘을 좋은 풍요의 땅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먼저 이스라엘로 하여금 물을 통과하게 하셨다.

  1. “God brought forth Israel through the waters in order to bring them to a good and prosperous land, as he had brought forth Adam from the original watery chaos (Gen. 1:2) and placed him in the Garden of Eden (Gen. 2:8).”

2."하나님께서 이스라엘로 하여금 반응에 따르는 약속과 위협을 주는 법을 주셔서 시험을 거치도록 하였듯이  아담에게도 법적인 요구를 주셔서 그의 반응에 따른 삶과 죽음이 이루어지는 시험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셨다.

  1. “God put Israel on probation, giving them his law, with promises and threats attached to their response, as he had put Adam on probation, giving him legal commands and hinging life or death upon his response (Gen. 1:27-28; 2:16-17).”

3.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율법에 대한 불순종으로 인하여 가나안에서 추방하셨듯이 아담을 불순종으로 인하여 에덴에서 추방하셨다.(창3:22-24)

  1. “God exiled Israel from Canaan because of their disobedience to his law, as he had banished Adam from Eden for his rebellion (Gen. 3:22-24).”

세번째 관점에 관해서는 반드시 생각하여야 할 두 가지 중요한 점이 있다. 아담과 이브는 한가지 범죄로 인하여 쫒겨 났는데 반하여 이스라엘과 유다는 "수세기 동안의 반역과 하나님의 오랜 고통스러운 인내심"이 있으셨다는 것이다. 또한 아담과 달리 이스라엘은 천성적 죄인(sinful creatures)의 상태로 시험을 거칠 수 밖에 없었기에 그들은 실패 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 두르넨은 계명을 지켜야 하는 시험(probation)의 의미와 계명에 대한 불순종으로 말미암은 추방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아주 비슷하다고 말한다.

There are two important qualifications with respect to the third point.  Adam and Eve were banished after one sin while Israel and Judah were exiled “after centuries of rebellion and God’s longsuffering forbearance.”  Also, unlike Adam, Israel began their probationary period as sinful creatures and so were doomed to fail.  Nevertheless, VanDrunen points out that the terms of their probations—obedience to the commands—and the rationale for their exiles—disobedience to the commands—are “remarkably similar.”

이러한 재연(reenactment)의 신학적 중요성은 율법 아래에 있는 죄인의 삶이 어떠한가를 묘사해주는데 있다."아담의 이야기를 요약 정리함으로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 있는 타락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과 행위 언약을 맺으심으로서 죄악된 인간에서 안 좋은 소식이 무엇 인지를 가르쳐 주시고 있다.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is reenactment was to depict what life is like for sinners under the law.  “By recapitulating the story of Adam, Israel showcased the plight of the fallen human race under the judgment of God.”  Thus, God established a works covenant with Israel in order to teach the “bad news” about sinful humanity.

(주) 칼 바르트는 성경에서의 모든 언약을 행위 언약이 아닌 은혜 언약으로 보고 있으며 튀빙겐을 중심으로 한 대부분의 현대신학들과 특히 톰 라이트의 새관점은 모세 언약을 은혜 언약으로 봄으로서 구원의 근거를 예수의 "순종의 의"에서 찾지 않고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이라는 케제만이 말하는 "하나님의 의"에서 찾음으로서 우주적 교회론과 보편 구원론의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모세 언약을 유형학적으로 접근해보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모세 언약을 은혜 언약으로 해석함으로서 그리스도의 순종의 의를 통한 구원보다는 하나님의 의, 즉 하나님의 언약에 신실하심이라는 케제만의 의를 근거로 구원론을 전개하는 현대신학의 흐름에 대하여 우려하는 입장에서 모세 언약이 왜 행위 언약인가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학적 접근법은  Republication doctrine의 근거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