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법과 모세법
Natural Law and the Mosaic Law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창조시에 사람의 마음 한가운데 새겨진 하나님의 법인 자연법은 이스라엘의 공동체에서는 모세법으로 구체적으로 표현되고있다.
모세법은 법의 성격에 따라서 도덕법(moral law), 의식법(ceremonial law), 시민법(civil law)으로 분류되며 이 가운데 도덕법이 자연법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모세법이 가지고있는 자연법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자연법이 어떠한 형태로 오늘날 이 시대에 적용되고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적용되었던 모세법의 중요성 못지않게 이 시대의 모든 이들에게 자연법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연법에 대한 객관적 고찰이 필요하다.
율법이 이스라엘의 내면의 죄를 드러내어 고발하였듯이 자연법도 모든 이들의 내면의 죄를 고발하고있다.
모세법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이끌어냄으로서 그들로하여금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였듯이, 자연법 또한 모든 이들을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이끌어냄으로서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한다.
반두르넨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반영되어있는 자연법을 체계적인 잘 정리해 줌으로서 자연법을 이 시대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할 지에 대한 답을 제공해준다.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166쪽 이하를 번역하여 정리한 것이다.
자연법과 모세법
Natural Law and the Mosaic Law
자연법과 모세법의 관계에 관해서는, 이미 앞의 장의 중세와 개혁주의 전통 안에서의 광범위한 합의 사항들에 관계하여 서술한 바 있다.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natural law and Mosaic law, the previous chapters have also described a broad consensus among medieval and Reformation traditions.
이곳에서는 모세법을 도덕법, 의식법, 시민법으로 분류하는데 합의하고서, 도덕법을 자연법과 동일하게 보았으며 (또한 이를 영속적인 의무로 보았으며), 자연법을 시민법이 지속적으로 적용가능한 것인지에 대하여 점검해보는 기준으로 삼았다.
This consensus classifies the Mosaic laws into moral, ceremonial, and civil, identifying the moral law with the natural law (and hence deeming it of perpetual obligation) and making natural law the test for the continuing applicability of the civil law.
여기서는, 자연법과 시민법에 관계된 질문들에 대해서, 개혁파 정통주의 신앙고백들과 신학자들이 합의한 이와같은 입장을 유지 발전시켜야 할지를 알아보고자한다.
As with the related question of natural law and civil law, the Reformed orthodox confessions and theologians examined here upheld and developed this consensus position.
첫 번째로,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모세법을 도덕법, 의식법, 시민법(혹은 법정적)으로 삼분 되어있다고 보는 것이 표준이라는 신학적 원칙을 지속적으로 고수해왔다.
First, Reformed orthodoxy continued to affirm the threefold division of the Mosaic law into moral, ceremonial, and civil (or judicial) as a standard theological axiom.
예를들어서 투레틴은 말하기를: "모세에게 주어진 율법은 흔히들 3가지 종류로 분류한다; 도덕법(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도덕과 영속적인 의무를 다룬다); 의식법(구약 성경 안에서 지켜져야 할 거룩한 것들에 대한 의식과 규례에 관한 것); 그리고 시민법으로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시민 정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Turretin, for example, writes: “The law given by Moses is usually distinguished into three species: moral (treating of morals or of perpetual duties towards God and our neighbor); ceremonial (of the ceremonies or rites about the sacred things to be observed under the Old Testament); and civil, constituting the civil government of the Israelite people.”
도덕법은 본질에 있어서 자연법과 동일하기에, 앞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영속적인 의무 사항으로 여겨지는데 반하여, 의식법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으로 말미암아서 폐지되었다고 보아왔으며, 시민법은 계속적인 적용을 위해서 좀 더 세밀한 분석이 필요했다.
While the moral law was substantively identified with the natural law and thus considered of perpetual obligation, as considered above, and the ceremonial law was viewed as abrogated through Christ’s redemptive work, the civil law’s continuing applicability required a more nuanced analysis.
종교 개혁과 중세의 전통에서와 같이, 개혁파 정통주의의 근본적 접근 방식에서는, 시민법이 그리스도의 오심과 더불어 폐지 되었다고 보고 있지만, 이와 동시에 모세의 시민법이 자연법을 반영하고 있는 한에는, 모세의 시민법이 각 시대의 시민법과 연관 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The basic approach of Reformed orthodoxy, like that of the Reformation and medieval traditions, was to proclaim the civil law generally abrogated following the coming of Christ, but also to acknowledge a relevance of the Mosaic civil law for contemporary civil law insofar as the former reflected the law of nature.
물론 이러한 관점은, 자연법이 각 시대의 시민법의 표준이라는 생각과 매우 일치하는 것이다.
This perspective, of course, corresponds closely to the idea that natural law is the standard for contemporary civil law.
알투시우스는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 가운데서 첫 번째로 이러한 접근 방식에 도움이 되는 예를 제공해준다.
Althusius provides a helpful first example of this approach among Reformed orthodox thinkers.
그는 환경이 비슷하다면, 시민법은 유대인들의 정책으로부터 떠나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He says that in similar circumstances civil law should not depart from the polity of the Jews.
그러나 중요한 점은 그가 이를 상황들에 적합화시킨다는 것이다.
But his qualification regarding circumstances is crucial.
나중에는 말하기를: "법정적 시민법은, 상황과 사람과 장소와 시간의 환경에 따라서,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정책 가운데 인간 사회를 성숙시키기 위하여, 두 돌판의 율법이나 혹은 보통 자연법을 준수하고 지키도록, 주지 되고 지시를 받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법률에서 도덕적인 것은 영속적인 것인데 반하여; 법정적인 것은 환경이 바뀜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것이다.”
Later he writes: “The forensic [civil] law was the means by which the Jews were informed and instructed to observe and obey both tables, or the common [natural] law, for the cultivation of human society among them in their polit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ings, persons, place, and time.... What is moral in such a law is perpetual; what is judicial can be changed by the change of circumstances.”
알투시우스는 설명하기를, 도덕적 평등의 원칙을 자연법에 연관시킨 후에, 통치자는 모든 일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일반(자연)법과 조화를 이루는, 구약의 법정적 율법을 따를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그(통치자)는 절대로, 일반(자연)법과 다른 유대인의 정책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진, 적절한 모세법에 따를 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Then, after associating moral equity with the natural law, Althusius explains that the magistrate “is required to conform to everything therein [the Old Testament judicial law] that is in harmony with common [natural] law. But he is by no means required to conform in those things in which the proper law of Moses, in order to be accommodated to the polity of the Jews, differs from the common [natural] law.”
좀 다른, 그리고 좀 더 강력한, 시각에서, 그는 "통치자가 자신의 체제에 모세법을 적절하게 강제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아주 심각한 죄를 짓게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유대의 율법이 적절하게 발효되는 특별한 상황과 고려사항들로 인하여, 자신의 체제에는 전혀 효력이 없기 때문이다"고 말한다.
From a somewhat different, and more forceful, angle, he concludes: “The magistrate who makes the proper law of Moses compulsory in his commonwealth sins grievously. For those particular circumstances and considerations because of which the Jewish proper law was promulgated should bear no weight in his commonwealth.”
17세기 중엽까지만 해도 이러한 사상들은 매우 명확한 형태로 나타났었다.
These thoughts had taken on very precise form by the middle of the seventeenth century.
투레틴의 논의는 개념적 명확성에 있어서 매우 놀랄만한 일이다.
Turretin’s discussion is striking for its conceptual clarity.
투레틴의 주장은, 구약의 법정적 율법이 모든 면에서 폐지되었다고 생각하는 이들과, 아직 효력이 있다고 믿는 이들 사이에서의 개혁파 정통주의의 중립적 입장을 취하고있다.
Turretin claims the middle ground for Reformed orthodoxy between those who think that the Old Testament judicial law was abrogated in every sense and those who believe it is still in force.
전문가들이 요약한 바에 의하면, 그(Turretin)는 유대인의 특별한 환경에서 볼 수 있는 시민법의 요소와 자연법에서 발견되는 요소 사이의 차이를 구분 하였으며, 후자(자연법의 요소들)가 아닌 전자(시민법의 요소들)는 폐지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With an artist’s precision, he distinguishes between those elements of the civil law that were founded upon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the Jews and those that were founded upon the natural law, and he argued that the former, but not the latter, were abrogated.
그는 "법정적인 시민법은 공식적으로 양면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유대인에게 적용되는 것(그러므로 폐지되었으며)이고, 또 하나는 실체에 있어서 자연법에 합치되는 범위 안에서 발견되는 것이다(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아직 남아있는 것이다)"고 기록하고 있다.
He writes: “The forensic [civil] law may be viewed either formally, as it was enacted for the Jews (and so is abrogated); or materially, inasmuch as it agrees with the natural law and is founded on it (and thus it still remains).
“그러므로 동시대의 통치자들은 시민법의 모양을 갖추는데 있어서 분별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시민법이 자연법으로부터 유래되는 한도 안에서였다: 법정적 율법이 다른 어떠한 법들보다도 긍정적인 면에서 보다는 부정적인 면에서 우수했는데, 이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 특정한 환경에서 결정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것이 인간의 법(단순히 인간으로서)보다 좋았던 이유는, 이것이 단지 자연법의 근거 위에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 근원이 하나님이시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로마법이 모세법을 선호했던 것은, 이들이 단순히 인간에 의하여 법규화 되었기에 좋아했기 때문이 아니라, 자연적이고 일반적인 권리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좀 더 이와같은 장소와 시간과 사람들에게 적합화 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erefore, contemporary magistrates have discretion in shaping civil law, so long as it is derived from natural law: The forensic law is better than other laws, not affirmatively, but negatively because it was determined to certain circumstances which do not now exist. Then again it is better than human laws (simply as human), but not inasmuch as they are founded upon the natural law, whose source is God. Therefore, when the Roman laws are preferred to the Mosaic, they are not preferred simply as enacted by men, but as derived from natural and common right they can be more suitable to places, times and persons.”
러더포드는 이러한 생각들을 다음과 같이 반복하여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법정적 개념으로서의 법정적 율법 전체가, 유대인의 체제에 관계되는 한에는, 이 전체에 대한 도덕적 공평이 폐지되지는 않았지만, 폐지되었다고 여긴다."
Rutherford echoes these sentiments: “But we conceive, the whole bulk of the judicial law, as judicial, as it concerned the republic of the Jews only, is abolished, though the moral equity of all those be not abolished.”
어떠한 형벌이 공정한 법으로서 오늘날에까지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러더포드가 결정하는 기준은, 이것들이 “도덕적이고 영속적인가”에 달린 것이다.
In determining which punishments set forth in the judicial law are binding today, Rutherford’s criterion is therefore whether they are “moral and perpetual.”
동시에 주목할 만한 것은, 이러한 주제에 관한 그(그리고 그의 동시대의 개혁주의자들)의 관점이 복잡하다는 것인데, 이유는 그들이 "특정한 유대법에 있어서 도덕적이고 영속적인 요소를 분별해 낼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It is worth noting, at the same time, that his views on this topic (and those of his Reformed contemporaries) are “complex,”for they demanded “discerning the moral and permanent element in particular judicial laws.”
혹시 동시대의 독자들에게는 놀랍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러더포드는 "국가적으로 언약을 맺는 일이나 참된 종교를 방어하기 위한 통치자의 의무들과 관련된 구약의 율법은 아직도 그리스도인에게도 적용된다"고 말한다.
For Rutherford, perhaps surprisingly to contemporary readers, “the Old Testament laws concerning national covenanting and the magistrate’s duty to defend true religion were still binding on Christians.”
그와 동시대의 많은 개혁주의자들도 비슷한 확신을 하고 있었다.
Many of his Reformed contemporaries held similar convictions.
나는 이러한 논점에 대해서는 이어질 두 왕국 논의에서 좀 더 다룰 것이다.
I will deal with this issue further in the discuss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below.
자연법과 모세의 시민법의 관계에 대한 개혁파 정통주의의 접근방식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9.4에 고백적으로 표현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The Reformed orthodox approach to the relation of natural law and Mosaic civil law found confessional expression in WCF 19.4.
이 부분에서 말하려는 것은, 구약의 이스라엘이, “육적인 것에 대한 정책으로서, 하나님께서 여러가지의 법정적 법을 주셨는데, 이는 백성의 상태와 더불어 끝이 났지만, 요구되는 일반적인 평등 이상의 어떠한 다른 법도 다시 의무로 지워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This section states that to Old Testament Israel, “as a body politic, he [God] gave sundry judicial laws, which expired together with the state of that people; not obliging any other now, further than the general equity thereof may require.”
비록 여기서 사용된 용어가 명확하지 않더라도, 의도와 목적들을 종합해 볼 때, "보편적 형평법"이 의미하는 바는 분명히 자연법에 대한 것이다.
Though the language here is not explicit, almost certainly the terminology of “general equity”is, for all intents and purposes, a reference to natural law.
이러한 것이 자연법을 표준으로 만듬으로서, 모세의 시민법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도 계속적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게하는 것이다.
This makes natural law the standard for the Mosaic civil law’s continuing applicability in the WCF.
나는 이러한 주장을 변론하기 위하여 두 가지 노선의 논의를 제안한다.
I suggest two lines of argument in defense of this claim.
두 노선 다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가 의견의 일치를 본 문서이므로 이 문서를 만든 신학자들(그들 가운데는 러더포드 자신이 눈에 띄는 일원이었으며)은 가능한 한 그 시대의 개혁주의 교회와 신학자들이 소중히 여길 수 있는 일반적이고 널리 수용되고 있는 관점을 찾았었다”는 사실 주위를 맴돌았다.
Both revolve around the fact that the Westminster Standards were consensus documents and therefore that the theologians who constructed them (of whom Rutherford himself was a prominent member) sought to enshrine, as far as possible, common and broadly-held views of Reformed churches and theologians of the day.
논의의 첫 번째 노선으로는, 알투시우스와 투레틴, 러더포드에 관계되어 앞의 단락에서 탐구 되었던 것으로서,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에서, 자연법이 모세 시민법을 현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척도가 되고 있다고 폭넓게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The first line of argument then, is the simple reminder that, as the previous paragraphs explored with regard to Althusius, Turretin, and Rutherford, Reformed orthodox theology widely affirmed that indeed natural law was the criterion for whether and how Mosaic civil laws ought to be applied in the present.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를 작성한 사람들은 새로운 과정에 대하여 실패한 시도를 했던 것은 아니었다.
The framers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surely were not attempting to strike out on a new course.
두 번째 논점으로는,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이 자연법의 개념과 평등의 개념을 언제나 매우 긴밀하게 연관시켰다는 것이다.
The second line of argument is that Reformed orthodox writers regularly associated the ideas of natural law and equity very closely.
최근에 웨스트민스터 19.4에 관한 일련의 논문들에서는 "보편적 형평법"의 의미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해석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A couple of articles in recent years on WCF 19.4 have provided generally helpful treatment of the meaning of “general equity.”
이들은 모두 다, 율법이라는 문자 뒤에 놓여있는 공평과 정의를 가리키고 있는, 평등 개념의 철학적이고 법정적인 배경에 관하여, 좋은 논의를 하고 있다.
Both contain good discussion of the philosophical and juridical background of the idea of equity as denoting the fairness or justice lying behind the letter of the law.
이들 논문 가운데 하나는, 영국의 법률 역사의 배경에 대항하였던 "보편적 형평법"에 대한 해석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One of these articles also presents helpful material on the interpretation of general equity against the background of English legal history.
여기서는, 영국의 법률 체계가 일반법을 적용하는 법정과 평등에 의한 법정으로 나뉘어져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후자의 경우는, 일반 법정에서 자신들의 처방에 대한 좁은 한계로 인하여, 공평한 결과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에, 정의에 대한 문제 해결책을 제공해주고 있음을 올바르게 지적해주고 있다.
It rightly points out that the English legal system was divided between courts of common law and courts of equity, the latter providing recourse to justice in cases where the common law courts, with their more narrow range of remedies, could not provide a fair outcome.
"보편적 형평법"이라는 말은 영국과 미국의 법조계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일치되는 기술적인 용어다.
“General equity,”then, is “a terminus technicu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in English and American jurisprudence.”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19.4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여기서의 두 논문이 상세하게 언급하고있지 않는 한 가지 문제는, 자연법과 보편적 형평법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One matter that these two articles do not address in great detail, however, is the relation of natural law and general equity in the interpretation of WCF 19.4.
칼빈에 의하여 형성된 사상의 맥락에서 본다면,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종종 평등과 자연법을 궁극적인 동의어로 여기고있다.
Following the line of thought indicated by Calvin, the Reformed orthodox often treated equity and natural law as virtual synonyms.
예를 들면 알투시우스는 "자연적이고 신성한 변치 않는 평등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시민법은 어떠한 형태로든 있을 수가 없다. 만약에 자연법과 하나님의 법의 판단으로부터 완전히 떠나 있다면...., 이는 더 이상 법이라고 부를 수 없으며.... 이름 값을 전혀 할 수가 없으며, 자연적이고 신성한 평등에 대항하는 어느 누구도 속박 할 수가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
Althusius, for example, writes: “There is no civil law, nor can there be any, in which something of natural and divine immutable equity has not been mixed. If it departs entirely from the judgment of natural and divine law ..., it is not to be called law.... It is entirely unworthy of this name, and can obligate no one against natural and divine equity.”
그는 뒤를 이어: "통치자는 국가를 다스리는데 있어서 도덕적 평등과 일반 자연법이 그 안에 적절하게 표현 되도록 모세법에 속박될 의무가 있다.”고 말한다.
His subsequent words are even more to the point: “The magistrate is obligat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monwealth to the proper law of Moses so far as moral equity or common [natural] law are expressed therein.”
투레틴은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짤막한 기록을 하고나서, 몇 년 후에는 이러한 생각들을 확실하게 연결시키기 시작한다.
Some years later, writing shortly after the Westminster Assembly, Turretin continues to associate these ideas tightly.
그는 평등이야말로 모든 법의 목적과 원칙과 결과일 뿐만 아니라 법률의 정신이라고 말한 후에, "역시 자연법이 (가장 공평하기에 다른 모든 법들의 원천으로서) 가장 위엄이 있다."고 말한다
After commenting that equity is the mind of the law as well as the aim, rule, and end of all law, he notes that “the law of nature (the fountain of all other laws, because it is the most equitable) is also the most majestic.”
이러한 증거에 비추어볼때, 나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9.4에 대한 가장 좋은 해석은 이번 장에서 공부한 개혁파 정통주의 학자들의 일반적인 정서들과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In light of this evidence, I suggest that the most plausible reading of WCF 19.4 concurs with the general sentiments of the Reformed orthodox writers being studied in this chapter.
비록 모세법의 시민법이나 재판법은 그리스도의 오심으로 폐지되었지만, 이것이 자연법을 드러내는 한에서는 지속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다.
The civil or judicial law of Moses has been abrogated with the coming of Christ, yet has continuing applicability insofar as it reflects the natural law.
개혁파 정통주의에 있어서는, 과거의 종교개혁과 중세의 전통에서와 같이, 국가의 통치자가 모세의 시민법을 동시대의 사회에 했던 것과 같이 강요할 수는 없을 것이다.
For Reformed orthodoxy, as for the Reformation and medieval traditions of the past, civil magistrates ought not impose the Mosaic civil law as such upon contemporary societies.
아직 때로는 이들이 모세의 시민법을 시행하려고도 하는데, 이는 이것들이 모세법이기 때문이 아니라, 현재의 환경에서도 자연법을 특별하게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이 있기 때문이다.
Yet at times they will implement Mosaic civil laws, not because they are Mosaic laws but because they are particular applications of the natural law still appropriate under present circumstances.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적 표준으로서의 자연법 (0) | 2017.08.08 |
---|---|
존 코튼과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 (0) | 2015.05.02 |
신앙과 국가의 통치 (0) | 2015.04.26 |
존 코튼과 두 왕국 (0) | 2015.04.20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 201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