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IANIZING THE WORLD? (5)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지혜가 없이 (허구인)하나님의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불가능한) 프로젝트를 거절하는 것은 재세례파와 같이 세상으로부터의 도피를 뜻하는 것입니다.
Rejection of the (impossible) project of Christianizing the world by a (fictitious) common grace of God in no wise implies an Anabaptistic flight from the world.
칼빈주의 강연에서의 아브라함 카이퍼보다는 성경에서의 하나님의 부르심에 귀를 기울이는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세계 안에 있는 인간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성령에 의하여,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갑니다.
The Reformed Christian who heeds God’s call in Scripture, rather than Abraham Kuyper’s in Lectures on Calvinism, lives a kingdom-life by the grace and Spirit of Jesus Christ in all the spheres of human life in God’s world.
이미 나는 이번 시리즈에서 선택 받은 개혁주의 신자의 마음 안에서 왕이신 그리스도의 통치를 확언하였으며, 하나님 나라가 교회, 가족,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자녀들에 대한 교육의 영역들로 확장되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Already in this series I have affirmed the reign of King Jesus in the heart of the elect, Reformed believer and described the extension of the kingdom into the spheres of the church, the family, and the education of kingdom children.
노동의 영역
The Sphere of Labor
우리가 이 땅에서 왕이신 예수의 깃발을 높이 들어야 할 또 하나의 영역은 노동의 영역이다.
Another sphere of earthly life in which we hold aloft the banner of King Jesus is labor.
칼빈주의 사업가와 금융업자는 자신의 사업을 정직하게 운영하여야 하며; 공평하게, 골고루 후하게 자신의 고용인에게 공급하며; 자신들이 축적한 부를 가지고
디모데전서 6:18의 예수의 사도의 권고인 "선을 행하고.. 선한 사업을 많이 행하고, 나누어주기를 좋아하며, 소통하려고 하라[즉, 필요를 공급해줘라]"는 말에 순종 하여야합니다.
Calvinist businessmen and financiers run their enterprises honestly; provide fairly, even liberally, for their employees; and with their well-gotten wealth “do good…[ and are] rich in good works, ready to distribute, willing to communicate [that is, give to the needy],” in obedience to the charge of the apostle of Christ in 1 Timothy 6: 18.
이것은 이들의 하나님 나라 행동 방식으로서, 이는 어떤 노동조합 때문도 아니며, 제5계명에 대한 불순종과, 고용인이 자신들의 고용주에게 복종하라는 신약의 교훈과, 그들로 하여금 그렇게 하도록 하는 압력들과, 혹은 시민의 부를 재분배하려고 권위를 강탈하는, 칼 막스의 영향을 받은, 시민 정부 때문도 아닙니다.
This is their kingdom-behavior, not because some labor union, in disobedience to the fifth commandment and to the New Testament precept that employees be subject to their employers, forces them to do so, or because a civil government, influenced by Karl Marx, usurps the authority to redistribute the wealth of the citizenry.
그러나 이것은 개혁주의 사업가의 노동의 영역에서의 행동 방식인데, 이는 그들이, 비록 그들 자신들의 창의적이고 힘든 일을 통하여 자신들의 회사를 설립하였을 지라도, 그들은 그 회사의 주가 아닌 것을 알고있기 때문입니다.
But this is the behavior in the sphere of labor of Reformed businessmen because they know that, although they did build their companies by their own creativity and hard work, they are not lords of their companies.
예수 그리스도는 사업과 금융에서의 주이십니다.
Jesus Christ is lord in business and finance .
노동의 영역에 있어서, 개혁주의 근로자는 주를 위하여, 근면하고 신뢰할만하며, 심술궂은 고용주라 할지라도 권위에 복종합니다.(베전2:18-25)
In the sphere of labor, the Reformed workingman is diligent and reliable, submitting to the authority even of a “froward” employer, for God’s sake (1 Pet. 2: 18– 25).
그는 비록 재정적 손실과 고통이 있을지라도, 노동조합의 혁명과 폭동을 거부합니다.
He repudiates the revolution and violence of the labor unions, even though this may mean financial loss and suffering.
이는 왕이신 예수가, 마음과 그로 인한 일터에서의 행동 방식을 포함한 그의 삶의 모두를, 다스리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The explanation is that King Jesus reigns in his heart and therefore over all his life, including his behavior at work.
나는 개혁주의 근로자의 하나님 나라 삶의 문제에 있어서 나 자신의 어버지를 예로 들겠습니다.
I instance the example of my own father in the matter of the kingdom-life of the Reformed workingman.
그는 Grand Rapids의 Keeler Brass 공장에서 40년 이상을 근면하고 신실하게 일했습니다.
He worked diligently and reliably for more than forty years in the Keeler Brass factory in Grand Rapids.
임금은 조합이 없는 공장에서 최상은 아니었습니다.
Wages were not the highest in this non-union plant.
그의 많은 동료 일꾼들은 끊임없이 불평하였으며, 언제나 공장의 소유주에게 비판적이었습니다.
Many of his fellow workers were constantly grumbling, always critical of the owners of the factory.
계속해서 그들은 작업장에 노동조합을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Again and again they tried to get a labor union into the shop.
항상 나의 어버지는 조합 결성을 못하게 하는데 앞장섰습니다.
Every time my father was a leader in keeping the union out.
그가 퇴임할 때에, 비록 그의 동료 일꾼들은 그의 (하나님 나라의 근본적인 진리인) 개혁주의 원칙에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그를 존경하는 이들이 송별회를 열어주었습니다.
At his retirement, his fellow workers, who respected him even though they disagreed with his Reformed principles (which were the basic truths of the kingdom of God), gave him a farewell party.
예상하지 않았는데 회사의 소유주인 Keeler씨가 모임에 나타났습니다.
Unexpectedly, Mr. Keeler, the owner of the company, appeared in the gathering.
나의 아버지는 자신이 준비한 고별사를 이렇게 낭독하였습니다:"내가 일로 인하여 Keeler씨에게 감사하는 것은, 일로 인하여 나는 나의 가족을 부양할 수 있었으며, 개신개혁교회를 지원하였으며, 그리고 나의 아이들을 기독교인 학교에 보내었습니다."
My father began his prepared farewell remarks this way: “I thank Mr. Keeler for work, so that I could support my family, support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 and send my children to the Christian schools.”
이것이 노동의 영역에서 왕이신 예수를 고백하는 것이었습니다.
This was the confession of King Jesus in the sphere of labor.
직업에서 이러한 행동과 이러한 말이 노동의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의 깃발을 흔들었던 것입니다.
That conduct on the job and that speech flew the banner of the kingdom of Jesus Christ in the realm of labor.
행정의 영역
The Sphere of Government
정치와 행정의 영역은 문화 칼빈주의자들이 매우 강조하는 영역입니다.
On the sphere of politics and government the cultural-Calvinists put heavy emphasis.
아브라함 카이퍼가 그러했습니다.
Abraham Kuyper did.
화란을 기독교화하는 그의 프로젝트에서 눈에 띄는 특징은 자신이 국가의 수상으로서의 직책에 활력을 줄 정치적 당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A prominent feature of his project to Christianize the Netherlands was the forming of a political party that would propel him into the office of prime minister of the nation.
이와 같은 특출한 사람에 의한 이러한 청치력의 달성은 오늘날 그의 제자들을 황홀하게 하였습니다.
This achievement of political power by that extraordinary man fascinates his disciples today.
그들은, 흔하지 않은 재능을 가진 칼빈주의자에 의한 이러한 종류의 눈길을 끄는 성취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They are impressed with that kind of showy accomplishment by a uniquely gifted Calvinist.
그들이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세상의 기독교화를 선언할 때에, 이러한 지상적 능력과 지상적 영광의 획득은 그들이 진정으로 따르는 것입니다,
This attainment of earthly power and earthly glory is what they are really after, when they proclaim the coming of the kingdom and the Christianizing of the world.
그러나 이것은 신약성서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복음의 메세지에 분명히 반대되는 것입니다.
But this is clean contrary to the message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in New Testament Scripture.
예수 그리스도가 자신의 나라로 부르신 이들 가운데는
육체를 따라 난 지혜자가 많지 않으며, 능한 자가 많지 않으며, 아브라함 카이퍼의 사람들이 많지 않습니다,
Not many wise men after the flesh, not many mighty, not many noble, not many Abraham Kuypers, has Jesus Christ called into his kingdom.
차라리, 하나님께서는 어리석은 자, 약한 자, 멸시 받는 자, 없는 자들을 택하십니다, "이는 아무 육체도 하나님 앞에서 자랑하지 못하게 하려 하심이라"(고전1:26-29)
Rather, he has chosen the foolish, the weak, the base, and the nobodies, “that no flesh should glory in his presence”(1 Cor. 1: 26–29).
따라서 하나님 나라는, 대부분에 있어서 매우 일상적이고, 눈에 띄지 않으며, 명료하지 않는 방식으로, 삶의 모든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Accordingly, the kingdom is extended into every sphere of life, for the most part in very ordinary, unnoticed, obscure ways.
여기에선 나팔을 요란하게 불지도 않으며, 천정에서 풍선이 내려오지도 않으며, 행동을 녹화하는 텔레비전 카메라도 없습니다.
There are no trumpets blaring, no balloons dropping from the ceiling, no television cameras recording the action.
이것이 행정의 영역에서의 칼빈주의자들의 하나님 나라의 삶의 참된 특이점입니다.
This is true particularly of the kingdom-life of Calvinists in the sphere of government.
그리스도인은 국가 권력을 하나님께서 규정하신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단순히 통치자에게 복종하고, 자신의 세금을 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롬13:1-7)
It consists of simply submitting to the rulers and paying one’s taxes, because the Christian recognizes the civil powers as ordained of God (Rom. 13: 1–7).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이와같은 단순하고 일상적인 행동을 조롱합니다.
At such simple, ordinary behavior the cultural-Calvinists jeer.
그들은 영향력 있는 정치적 정당을 원합니다.
They want influential political parties.
그들은 높은 관직에 있는 뛰어난 남성들과 여성들을 원합니다.
They want illustrious men and women in high office.
명확한 입장과 매력적인 혁신을 많은 이들이 옹호하며 일부는 그렇게 하기도 합니다.
Many advocate, and some take part in high-profile, glamorous revolution.
남아프리카를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혁명을 선동하는 것이,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이들에 의해서, 일반은혜의 나라의 삶에 대한 영광스러운 표현이라고, 호평을 받습니다.
Traipsing off to South Africa to stir up revolution is acclaimed by the proponents of Christianizing the world as a glorious expression of the life of the kingdom of common grace.
자신을 혁명주의자로 구분하는 것은, 특히 흑인과 여성들을 위한 경우에는, 일반은혜 나라에서의 명예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Distinguishing oneself as a revolutionary, especially on behalf of blacks or women, is a badge of honor in the common grace kingdom.
하나님 나라에서, 왕이신 예수가 국가 권위에 대한 혁명을 금지한 것은 문화 칼빈주의자들에게는 관심사가 아닙니다.(롬13:1-7; 디3:1; 베전 2:13-17)
That in the kingdom of God, King Jesus forbids revolution against the civil authorities is of no concern to the cultural-Calvinists (Rom. 13: 1–7; Titus 3: 1; 1 Pet. 2: 13–17).
성경에서는, 복종하면서 세금을 내는 모든 세대와 모든 국가들 가운데, 거의 대다수의 그리스도들의, 행정의 영역에서 단순하고 일상적인 행동들에 대하여, 명예의 상징을 수여합니다.
Scripture bestows its badge of honor upon the simple, ordinary conduct in the sphere of government of the vast majority of Christians in all ages and among all nations of submitting and paying taxes.
마틴 루터는, 하나님 나라의 특징적 삶을,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방식으로, 비천하고 하찮은 일상의 행동을 다음과 같이 확증하고 있습니다: 신실한 종인 소녀가, 비록 당나귀의 등에서 잠을 청한다고 하더라도, 자신들이 피 흘리는 순교자를 만들어내면서도, 죽을 때까지 밤 낮으로 노래를 하는 모든 사제와 수도사보다도, 좀 더 선을 행하고, 좀 더 성취하고, 그리고 훨씬 더 믿을 만합니다.(인용구:하단과 같음)
In his inimitable way, Martin Luther affirmed the ordinary behavior of the lowly and no-account as the characteristic life of the kingdom of God: A faithful servant girl does more good, accomplishes more, and is far more dependable—even if she only takes a sack from the back of an ass—than all the priests and monks who sing themselves to death day and night while making bloody martyrs of themselves (quoted in William H. Lazareth, Luther on the Christian Home: An Application of the Social Ethics of the Reformation, Philadelphia: Muhlenberg Press, 1960, 159).
여가의 영역
The Sphere of Leisure
성경에서는 인간의 삶의 중요한 영역들 가운데 여가의 영역에 대해서는 좀처럼 인정하지 않습니다.
The Bible hardly recognizes a sphere of leisure among the important spheres of human life.
그러나 서구의 국가들 사이에서는 여가가 매우 중요해졌기에 구별된 그리스도인의 행동에 대한 어떠한 처방이 고려되어야만 합니다.
But so prominent has leisure become among the nations of the West that any treatment of distinctively Christian behavior must take account of it.
성경에서는 여가를 격려하지는 않습니다.
Scripture does not encourage leisure.
성경에서는 인간들에게, 우리 모두에게 있어서의 삶의 짧은 시간에 일을 할 것을 요구합니다.
Scripture calls humans to work in the short time of the life of all of us.
두 가지 진리가, 우리가 여가를 즐기는 것을 절약할, 결정적 지배 요소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Two truths ought to govern our sparing enjoyment of leisure.
첫 번째로, 우리의 지상적 직업에 관하여서, 우리는 엿새 동안 일을 해야 하고 그리고 하나님이 쉬신 하루를 쉬어야 합니다.
First, regarding our earthly vocation, we are called to work six days and to rest one day the rest of God.
이것은 율법의 네 번째 계명의 참 뜻입니다:"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일곱 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출 20:9-10)
This is the force of the fourth commandment of the law: “six days shalt thou labor, and do all thy work: but the seventh day is the Sabbath of the LORD thy God”(Ex. 20: 9–10).
안식일의 휴식은 북미의 여가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The rest of the Sabbath is not the same as North American leisure.
이것은 영적인 수고를 포함하며, 그렇게 하여야만 하는 휴식입니다.
It is a rest involving, indeed requiring, spiritual labor.
우리는 근면하게 하나님의 교회에 출석하여야 합니다.
Diligently we attend the church of God.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면서 듣는 일을 하여야 합니다.
We work at preaching and hearing the word of God.
안식일을 기억하는 것은, 잠자거나,NFL Sunday를 시청하면서 우리 자신을 즐겁게 하면서 보내는 것이 아니며, 좋은 책을 읽고, 우리 가족들을 하나님 말씀으로 가르치며, 하나님의 것들을 묵상하면서 보내는 것입니다.
The remainder of the Sabbath is spent, not in “sacking out,”or in amusing ourselves by watching NFL Sunday, but in good reading, instructing our families in the word of God, and meditating on the things of God.
이것은 일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휴식은 단순한 레저가 줄 수 없는 영혼의 평안을 제공합니다.
This is work. But this rest affords peace to the soul that mere leisure cannot give.
두 번째로는, 우리가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일하는 것에 관해서는, 우리는 일하는데 마땅히 열심이어야 합니다. "때가 아직 낮이매 밤이 오리니 그 때는 아무도 일할 수 없느니라"(요9:4)
Second, with regard to our work in and on behalf of the kingdom of God, we ought to be diligent in working “while it is day: the night cometh, when no man can work”(John 9: 4).
우리의 주된 소명은 일하는 것입니다.
Our main calling is to work.
여가는, 우리 삶의 조그마한 부분에서, 우리의 일에 도움이 되어야하며,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Leisure, in the small place it has in our lives, must serve our working and not become an end in itself.
그러므로 개혁주의 그리스도인은 여가가 제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The Reformed Christian therefore must keep leisure in its place.
남자와 여자의 매일의 의무가 허락되는 한에서, 개혁주의 남자와 여자는 하나님 나라를 진척 시키는 활동을 찾아서 이를 수용하여야 합니다: 남자에게는, 교회 회의와 학교 위원회의 일원으로; 남녀 모두에게는, 가난하든지, 아프든지, 혹은 곤궁하든지, 빈곤한 이를 도우며; 하나님의 말씀을 부지런히 탐구하여 하나님 나라의 삶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As much as the everyday duties of his or her life permit, the Reformed man or woman ought to seek or accept activities that promote the kingdom of God: for men, membership in the consistory and school boards; for both men and women, help of the needy, whether poor, or sick, or otherwise distressed; involvement in various projects of church and school; and diligent study of the word of God, so as to develop in the life of the kingdom.
우리의 여가를 지배하려고 밀치고 들어오는 오락에 관해서, 하나님 나라의 제일 우선 되는 원칙인 하나님 나라의 시민으로서 맞지 않는: 춤; 관능을 자극하거나 폭력을 즐기는 영화들; 도박등과 같은 오락을 거절하여야 합니다.
With regard to the entertainments that jostle to dominate our leisure, the very first rule of the kingdom of God is that we refuse those entertainments that are unfitting for a citizen of the kingdom of God: the dance; movies that entice with sensuality or amuse with violence; gambling.
춤
Dancing
일반은혜 이론이, 세상을 기독교화 하기 보다는, 추종자를 세계적으로 만들려는 경향은, 일반은혜 지지자들이 세상 기관의 가장 나쁜 것들과 부정한 생산물들에 대한 비난과 거절을 할 수 없다는 데서 명백히 드러납니다.
The tendency of the theory of common grace to make its adherents worldly, rather than to Christianize the world, is evident in the inability of the proponents of common grace to condemn and repudiate even the worst of the world’s organizations and most corrupt productions.
반면에 한 때 기독개혁교회와 소속 대학들이 세상적이라고 비난하였던 춤을 (이것은 우상숭배의 전주곡으로서), 이제는 그들이 받아들이면서, 그것을 예술 형태라고 칭찬을 하면서, 그것을 행합니다.
Whereas once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and its colleges condemned dancing as worldly (which it is— a prelude to fornication), now they embrace it, extol it as an art form, and practice it.
그들은 그것을 구속 시킵니다.
They have “redeemed” it.
그러나 그 "구속된" 형태는 구속되지 않은 원래의 형태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But its “redeemed” form differs in no respect from its unredeemed form.
이것은, 자극적인 음악에 맞추어, 결혼하지 않은 여성과 뺨에 키스를 하는 남성의 호색적인 움직임으로 존속됩니다.
It remains lascivious movements of males cheek to jowl (and not only these body parts) with females to whom they are not married, to the accompaniment of arousing music.
춤의 구속을 말하는 것은 구속의 영광스러운 기독교적 개념을 손상 시키는 것입니다.
To speak of the redemption of dancing is to demean the glorious Christian concept of redemption.
대학생들 가운데 춤을 장려하는 것은 욕망의 불꽃에 가스를 붓는 것입니다.
To encourage dancing among college students is to pour gas on the flame of lust.
영화 관람
Movie Attendance
내가 이 논문을 쓰고 있을 때, The Calvin Spark의 2012 겨울 주제가 나의 우편함에 도착했습니다.
As I write this article, the Winter 2012 issue of The Calvin Spark arrives in my mailbox.
이는 미시간 그랜드 레피즈에 있는 칼빈 신학교 교우들의 잡지입니다.
This is the magazine for the alumni of Calvin College in Grand Rapids, Michigan.
잡지에서 눈에 띄는 것은-대학 교수인 William Romanowski의 책에 대한 호의적인 서평인-헐리우드를 개혁하자는 전면 제목입니다.
Prominent in the magazine is a full-page, favorable review of a book by a professor at the college—William Romanowski—titled "Reforming Hollywood" (15).
영적이고 교리적인 칼빈주의자의 첫 번째 반응은 믿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The first reaction of a spiritual and doctrinal Calvinist is incredulity.
이 세상에 헐리우드를 개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저자 말고 누가 있겠습니까?
Is there another human in the world besides the author who thinks that reforming Hollywood is a possibility?
정말로, 저자 자신은 실제 그렇게 생각하는 것입니까?
Indeed, does the author himself really think so?
두 번째 반응은 좀 더 근본적입니다:
The second reaction is more substantial:
기독교는 도덕적으로 더러운 곳을 개혁하려는 생각이나 글을 쓰지는 않는데 이곳이 바로, 외설, 폭력, 그리고 영화가 완전히 부도덕하며, 음란하며, 그렇지 않다면 도덕 관념이 없는 남녀 배우들이며, 그리고 적그리스도 제작자들이 있는 헐리우드입니다.
Christianity does not think or write of reforming the moral cesspool that is the Hollywood of the filth, violence, and sheer ungodliness of the movies, of the immoral, if not amoral actors and actresses, and of the antichristian producers.
기독교는 헐리우드라고 불리우는 땅으로 지옥이 열려서 이것이 완전히 파괴되기를 기도합니다.
Christianity thinks and writes of as well as prays for the utter destruction of that opening of hell into the earth called Hollywood.
칼빈(신학교) 교수의 책인 the Calvin Spark 의 서평에서, 저자가 The Graduate 영화를, "예술적 장점은 물론이고 도덕적이고 신앙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James Wall의 추천에 만족하면서 동의하는 것에 주목하십쇼.
In the review of the Calvin professor’s book, the Calvin Spark notes approvingly the author’s evident agreement with the liberal James Wall’s commendation of the movie The Graduate as having “moral and religious significance, as well as artistic merit.”
내가 확실히 기억하고 있는 것은 (Dustin Hoffman과 Anne Bancroft 가 불행하게도 내 기억에 박혀있습니다), 일반 신문에 이 영화가 소개되고 예술적으로 광고 되는데 있어서, 이 영화를 간음과 음란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진실로 현대인의 삶에 바람직한 방식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I distinctly recall (the names Dustin Hoffman and Anne Bancroft unfortunately stick in my memory) that the reviews and graphic advertisement of this movie in the public press promoted the movie as featuring fornication and adultery as an acceptable, indeed desirable way of life for moderns.
나는 칼빈신학교의 문화 칼빈주의를 후원하는 성도들이 (칼빈신학교가) 헐리우드나 그곳의 영화를 옹호하는 것을 꾸짖을 것을 촉구합니다.
I let the patron saint of the cultural-Calvinists at Calvin College rebuke their advocacy of Hollywood and its movies.
아브라함 카이퍼는 자신의 "칼빈주의 강연"에서 극장에 가는 것에 반대하는 글을 기록하였습니다.
In his "Lectures on Calvinism", Abraham Kuyper wrote this against theater-going.
회심하지 않는 세상과 긴밀하게 관계하는 모든 것이 칼빈주의에 의하여 합법화될 수 없는 것은, 극장과 같은 것에 대하여 명백한 거부를 표시함으로서 이 세상의 너무 사악한 영향에 대한 경계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Not every intimate intercourse with the unconverted world is deemed lawful by Calvinism, for it placed a barrier against the too unhallowed influence of this world by putting a distinct “veto”upon…theatres…
이것은 우리의 선조들을 범죄하게 한 것으로서...대중을 흥겹게 하기 위하여, 남녀 배우들에게 당연히 요구되었던 도덕적 희생이었습니다.
That which offended our ancestors was…the moral sacrifice which as a rule was demanded of actors and actresses for the amusement of the public.
극장의 단원[오늘날은 남녀 배우들의 무리]은... 도덕적으로 좀 낮은 수준[오늘날에는 말도 안되게 절제 되어있는]에 있습니다...
A theatrical troop [today, the set of actors and actresses—DJE]…stood, morally, rather low [today, ridiculous understatement—DJE].
이러한 낮은 도덕 수준은, 부분적으로, 끊임없이 다른 사람의 성격을 표현해야한다는 사실로부터 온 결과로서, 이는 궁극적으로 당신의 개인적 성격을 형성하는데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며; 또 부분적으로는 우리의 현대 극장들이...여성의 존재를 무대에 소개하면서,너무 자주 여성이 하나님께서 그녀에게 맡기신 가장 성스러운 보물과, 그녀의 흠 없는 이름과, 나무랄게 없는 행동을 위태롭게 하는 정도에 따라서, 극장의 번영이 측정 되기 때문입니다.
This low moral standard resulted partly from the fact that the constant and everchanging presentation of the character of another person finally hampers the moulding of your personal character; and partly because our modern Theaters…have introduced the presence of women on the stage, the prosperity of the Theater being too often gauged by the measure in which a woman jeopardizes the most sacred treasures God entrusts to her, her stainless name, and irreproachable conduct…
세상을 다 인수한다고 하더라도 남게 되는 실제 사실은, 극장의 번영은 흔하게 배우의 도덕적 타락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The actual fact remains that, taking all the world over, the prosperity of a Theater ofte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moral degradation of the actors.
그러므로 너무 자주... 극장의 번영은 남성들의 인격과 여성들의 순결의 대가를 치르고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Too often therefore…the prosperity of Theaters is purchased at the cost of manly character, and of female purity.
이와같은 도덕적 희생을 치루고서 귀와 눈의 쾌락을 구매하는 것은, 인격이 어떠한 사람이었던 간에 하나님을 위하여 영광을 드려야 할 칼빈주의자들이면 (이를) 비난 할 수밖에 없습니다(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3-75).
And the purchase of delight for the ear and the eye at the price of such a moral hecatomb, the Calvinist, who honored whatever was human in man for the sake of God, could not but condemn (Lectures on Calvinism, Eerdmans, 1953, 73-75).
카이퍼는 극장에 가는 것이 "참된 칼빈주의자라면 자신의 진정을 위험스러운 환희에 희생시키는 것과 자주 흠 없는 기쁨으로부터 멀어진다는 주에 대한 두려움이 없이는 건널 수 없는 루비콘"(75, 76)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Kuyper concluded that attending the movies is a “Rubicon which no true Calvinist could cross without sacrificing his earnestness to dangerous mirth, and the fear of the Lord to often far from spotless pleasures”(75, 76).
문화 칼빈주의자들은 오래 전부터 이 루비콘을 건넜습니다.
The cultural-Calvinists have long since crossed this Rubicon.
그리고 카이퍼 자신의 하나님의 일반은혜 교리와 이 일반은혜로 세상을 기독교화하려는 그의 소명은 책임을 져야합니다.
And Kuyper himself with his doctrine of a common grace of God and his call to Christianize the world by this common grace is to blame.
교회의 신학자들의 충고와 공식적인 교회의 강령으로 인하여 (1924년에 일반은혜 이론을 채택한 기독개혁교회의 결정에서와 같이) 현재의 이 세상에 유사한 괴물이 교회 안에서 고삐가 풀리면서, 이 괴물이 교회의 구성원들의 모든 삶을 삼키기까지, 흔히 젊은 이들 가운데서 시작하여, 멈춤이 없을 것입니다.
Once the monster of conformity to this present world is unleashed in the church, on the advice of the church’s theologians and by official church decree (as was the decision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its adoption of the theory of common grace in 1924), there is no stopping the monster until it has devoured all the life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beginning usually with the young people.
'화란개혁주의 > 카이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엥겔스마의 비평6- CHRISTIANIZING THE WORLD?(6) (0) | 2015.12.13 |
---|---|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엥겔스마의 비평4- CHRISTIANIZING THE WORLD?(4) (0) | 2015.12.13 |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엥겔스마의 비평3- CHRISTIANIZING THE WORLD?(3) (0) | 2015.12.13 |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엥겔스마의 비평2- CHRISTIANIZING THE WORLD?(2) (0) | 2015.12.13 |
카이퍼의 일반은혜에 대한 엥겔스마의 비평1- CHRISTIANIZING THE WORLD?(1) (0) | 2015.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