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85건
- 2015.05.07 :: 하노버 장로교회의 혁명 이후의 기록들
- 2015.05.02 :: 존 코튼과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
- 2015.04.26 :: 신앙과 국가의 통치
- 2015.04.20 :: 존 코튼과 두 왕국
- 2015.04.17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 2015.04.15 ::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과 국가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문제들
- 2015.04.06 ::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차이점
- 2015.04.01 :: 두 왕국의 성격과 속성
- 2015.03.18 :: 종교개혁 저항 학자들에서 볼 수 있는 자연법(Natural Law)의 특성
- 2015.03.12 :: 존 콜쿤(John Colquhoun)이 말하는 "율법과 복음"
The Post-Revolution Memorials of the Hanover Presbytery
-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240-244를 번역한 것이다.)
1785년까지 하노버 장로교회는 만장일치로 신앙의 자유에 대한 토머스 제퍼슨의 법령을 지지하였다.
By 1785, the Hanover Presbytery unanimously supported Thomas Jefferson’s Statute for Religious Freedom.
이러한 법령의 입법화에 있어서 장로교인들의 결정적 중요성과 버지니아에서의 연방정부 구성체의 첫 번째 법 개정이라는 사안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은 마땅히 신앙의 자유와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대한 새로운 미국민의 합의 안을 만드는데 주도적인 위치에 있기를 요구하였을 것이다.
Given the critical importance of the Presbyterians for the enactment of this statute and the importance of these events in Virginia for the articulation of the First Amendment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the Virginia Presbyterians may plausibly lay claim to being leaders in shaping the emerging American consensus on religious freedom and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이와 같은 요구는 물론 두 가지 미국의 전통에 관한 스투아르트 로빈슨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이었고 몇몇 다른 이들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논의를 하였다.
Such a claim of course concurs with Stuart Robinson’s thesis about the two American traditions, and some others have argued along these lines.
그러나 다른 많은 학자들은, 거의 10년 이상을 직면하여야 했던 매우 명확한 사건들에 대한 하노버 장로교회의 불분명한 태도와 내부 분열, 그리고 에매함등을 지적하면서, 상황을 이렇게 묘사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Many other scholars, however, have complicated this portrayal of things by noting the ambiguities, internal divisions, and waffling displayed by the Hanover Presbytery in response to the very concrete events that they faced over nearly a decade.
이러한 증거가 보여주는 것은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이 예상할 수 있는(혹은 바랄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몇 가지 중요한 신학적 교리들과 더불어, 상당할 정도로 사리사욕을 따라 움직였으며,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대한 현대적 생각에는 거의 미치지 못하는 것 만을 추구하였다.
This evidence suggests that the Virginia Presbyterians were not nearly as principled as might be suspected (or perhaps hoped) but operated, along with some significant theological doctrines, with a considerable degree of self-interest and sought something less than modern notions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1776년부터 1785년 사이에 장로회에서 주 의회에 보낸 일련의 기록들을 살펴보면 후자의 해석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된다. 나는 이제 이것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An examination of the series of memorials that the Presbytery sent to the state legislature between 1776 and 1785 seems to confirm the latter interpretation. I turn now to this examination.
살펴 보고자 하는 5가지 기록에 관하여 첫 번째로 주목해야 할 것은 그들이 모두 같은 특별한 문제에 대하여 위탁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항상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A first thing to notice about the five memorials under consideration is that they were not all addressing the same specific questions nor always taking the same position when they were.
1776년 10월 부터 시작된 첫 번째 논쟁은 새롭게 독립된 미국의 주에서 어떠한 형태의 신앙적 기관을 갖는 것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The first, from October, 1776, primarily argued against having any religious establishment in the newly independent American state.
1777년 4월의 장로회의 두 번째 기록에서는 주 의회로 하여금 신앙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의 일반 과세도 부과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것이었다.
In April, 1777, the Presbytery’s second memorial urged the legislature not to impose any general assessment, that is, a tax to support religious activity.
그러나 7년 후의 3번째 기록에서는 국가로 하여금 신앙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는 데는 관여하지 않고 오히려 주 의회가 감독 교회에 주어진 국가적 특혜를 제거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 비난을 하고 있었다.
Seven years later, however, the third memorial was not really concerned about getting the state out of religion but instead berated the legislature for failure to remove all civil preferences given to the Episcopalian church.
이러한 관심의 미묘한 변화는 1784년 10월의 기록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This subtle change in focus became more explicit in the fourth memorial, of October, 1784.
두 번째 기록에서는 일반 과세의 개념을 전적으로 거부했지만, 네 번째 문서에서는 모든 교단의 성직자 법인체 설립에 대한 요구를 거부한 반면에 공평을 기초로 하여 회중 교회를 따라서 이익을 약속하는 일반 과세에는 동의를 하고 있다.
Whereas the second memorial had rejected entirely the idea of a general assessment, the fourth rejected a call for the incorporation of clergy from all denominations but gave its approval to a general assessment that promised to benefit them along with the Episcopalians on an equitable basis.
그러나 1년도 안 지난 1785년 8월에는 여기에 대한 의견을 바꾸어서 다시 일반 과세를 거부하고 종교적 자유를 위한 법령을 채택할 것을 요구하였다.
Yet less than a year later, in August of 1785, the Presbytery changed its advice and again rejected the general assessment and called for adoption of the Statute for Religious Freedom.
이 10년 간의 일들을 간단히 요약하면,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은 처음에는 어떠한 국교로서의 교회도 요구하지 않았고 어떠한 교회에도 주 정부에서 도와줄 것을 요구하지 않았으나, 그 다음에는 태도를 바꾸어서 주 정부가 회중교회에 특혜를 주는 것을 불평하였고 자신들이 포함되는 조건으로 일반과세를 지지하게 되었으나, 그 다음에는 처음의 생각으로 다시 되돌아오게 되었다.
To put this decade-long drama in brief, the Virginia Presbyterians initially called for no established church and no state support for any church, then turned their attention to complain about state preference for the Episcopalians and to support a general assessment so long as they were included, and then reverted back to their original sentiments.
이것은 비록 그들이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였던 것에 대하여 절대로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버지니아 장로교인들은 마땅히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가 어떠하여야 하는지 분명하고 일관성있는 관점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This suggests that though they were certainly never shy about seeking their own interests, the Virginia Presbyterians lacked a clear and consistent view of what church-state relations ought to look like.
이것은 장로회가 입법부에 다양한 요구를 하는데 있어서 무슨 근거로 하는 지에 대한 질문을 가져오게 한다.
This raises the question as to what rationales the Presbytery presented to the legislature in making its various appeals.
그 대답으로는, 개혁주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신학적이고 교회학적인 논의로부터 시작해서 그 상황에서 자신들의 제안이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맞추는 실용적인 관심들에까지 상당히 많이 있다.
The answer is that it offered a great number of them, from theological and ecclesiological arguments grounded in the Reformed tradition to political and pragmatic concerns geared to win sympathy to their cause at the moment.
비록 그들의 추론하는 방식들이 다른 방법으로 잘 분류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나는 정치적이고 실용적으로는 최소한 6가지 종류로 분류 될 수 있고 신학적이고 교회학적으로는 최소 5가지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해본다.
Though their ways of reasoning might well be classified in different ways, I identify at least six distinct sorts of arguments that could be categorized as political or pragmatic and at least five as theological or ecclesiological.
내가 정치적이라고 확인한 3가지 종류의 논점들은 전통적 개혁주의 범주로부터 출발 된 것이 아니라 유럽 계몽주의의 수사학에 좀 더 신세를 지고 임을 주목해야 한다.
The three sorts of arguments that I identify as political are notable for owing more to the rhetoric of the European Enlightenment than to anything emanating from traditional Reformed circles.
사실 여러 경우에 활용이 된 한 가지는, 입법부로 하여금 자신들이 계몽주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시대적 과제들을 고려하는데 있어서 철학적이고 자유적인 통찰력을 실행하여야 함을 상기시킨다.
In fact, one sort, utilized on several occasions, reminded the legislature that they live in an “enlightened age” and should exercise “philosophic and liberal discernment” in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issues.
두 번째로 장로회는 법률 제정자들에게 모든 사람이 자신들의 양심에 따라 신앙을 실천하는 빼앗길 수 없는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할 것을 갑절로 요구하였다.
Second, the Presbytery twice called upon the lawmakers to recognize the “unalienable” right of all people to practice religion according to the dictates of their conscience.
세 번째로, 이들 장로교인들은 휘그당원들의 주된 논쟁들이 국가와 신앙의 자유 사이의 연계성의 필요에 관계 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즉 후자(신앙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은 전자(국가)를 뒷받침해주는 것이며, 버지니아의 혁명 정신은 양쪽 모두를 증진 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And third, these Presbyterians repeatedly asserted the popular Whig contention concerning the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civil and religious liberty: protecting the latter supports the former, and the revolutionary spirit of Virginia entails the promotion of both.
이 세 종류의 실용적인 논의들은, 예상 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필요의 절박함에 따라서 다른 입장을 지지한다.
The three sorts of pragmatic arguments support, as one might expect,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 need of the hour.
한편으로는, 첫 번째와 마지막 기록에서 국가로 하여금 교회와 교회의 일들에 관여하지 않도록 설득하고있는 것을 볼 때, 장로회에서는 입법부로 하여금 신앙의 국교화는 보편적인 선을 해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가르치고 있었다.
On the one hand, when seeking to persuade the state to get its hands off the church and its affairs in the first and last memorials, the Presbytery instructed the legislature that religious establishments tend to harm the common good.
다른 한편으로는, 일반 과세의 수익의 몫을 얻어내는 입장에 설 때는, 장로회에서는 국가가 교회와 동맹 할 것을 모색하여야 하며 국가의 관점에 협조할 것을 요청하여야 하는데, 이는 교회가 공공의 도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맹세한 것들이 더욱 진지하게 행하여지기를 북돋우고 있다는 것을 근거로 주장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positioning itself to get a share of the revenue from a general assessment, the Presbytery asserted that the state should “seek its [the churches’] alliance and solicit its aid in a civil view,” on the grounds that churches have a positive effect upon public morality and encourage oaths to be taken more seriously.
다른 방식으로는, 일종의 극단적인 논쟁을 통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입법부에게 필히 경고 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일단 그들이 하나의 신앙 단체를 지지하고 좋아할 수 있는 근거를 채택한다면, 같은 근거들이 그들이 원치 않는 모든 종류의 결과들을 정당화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In a different vein, it utilized what might be considered a kind of reductio ad absurdum argument, essentially warning the legislature that once they embraced rationales to support and favor one religious group those same rationales could serve to justify all sorts of results that they would never desire.
방향을 다른 곳으로 돌리면, 이것은 다음의 양쪽을 논하고 있는 것인데, 기독교의 국교화를 지지할 수 있는 논의는 이슬람의 국교화를 지지할 수 있는 논의가 될 수 있고, 국가로 하여금 기독교와 다른 종교들 간의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은 역시 기독교의 다른 형태들 사이에 판단 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이된다.
Moving in different directions, it argued both that any argument that coul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ity could als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Islam and that making the state competent to judge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would also make it competent to judge between different forms of Christianity.
장로회에서 사용하였던 많은 신학적이고 교회학적인 근거들이 자신들이 상속자인 개혁주의 두 왕국 전통을 보여주고있다.
Many of the theological and ecclesiological rationales utilized by the Presbytery reflect the Reformed two kingdoms tradition of which they were heirs.
첫 번째로, 그들은 그리스도의 나라의 영적인 특성에 호소하고 있다.
First, they appealed to the spiritual nature of Christ’s kingdom.
두 번째는 역으로, 그들은 입법부로 하여금 그(그리스도의 나라) 자체의 권위는 오직 국가와 세속에 있음을 상기토록 한다.
Conversely, and secondly, they also reminded the legislature that its own authority was only “civil” and “temporal.”
논의의 세 번째는 내가 이미 여러 초기 개혁주의 신학자들 사이의 부조화에 대하여 지적하였던 주제들에 관여 된 것이다.
A third sort of argument gets to an issue which I have noted as a point of incoherence among several earlier Reformed theologians.
코튼과 그의 많은 동료들이 (신학적 훈련을 받지 않은) 통치자가 신앙의 순수성을 보호하기 위한 자신들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정확한 신학적 판단을 수행하여야 할 것을 요구하였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하노버 장로 교회에서는 최소한 한 때는 국가의 통치자가 특혜를 받을 필요가 없는 다른 기독교회들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하여 불신임을 하였는데, 이렇게 신뢰의 권위를 세우지 못한다면 이는 우리를 다시 로마 교회로 되돌리는 것이다.
Whereas Cotton and many of his contemporaries required (non-theologically trained) magistrates to make rather precise theological judgments in order to carry out their duty to protect religious purity, the Hanover Presbytery on at least one occasion dismissed the civil magistrate as incompetent to judge which of the different Christian churches deserved preference, without, that is, “erecting a chair of infallibility, which would lead us back to the church of Rome.”
네 번째 신학적 논쟁은, 내가 초기 개혁주의 전통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던 것을 바로 잡고 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A fourth sort of theological argument is also noteworthy in that it too corrects a matter that I have identified as a point of seeming incoherence in the earlier Reformed tradition.
그들의 개혁주의 선조들은 신앙의 유혹자들로부터 성도를 보호하기 위하여 국가 통치자의 무력에 의존하였던 반면에,버지니아 장로교회는 대부분의 기록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교회와 복음은 하나님의 섭리와 약속들에 의존하고 있기에 하나님께서 지명하신 일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치자의 도움을 필요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Whereas their Reformed forebears had turned to the civil magistrate’s sword to protect the flock from religious seduction, the Virginia Presbyterians in almost all of their memorials asserted that the church and its gospel, resting on the providence and promises of God, did not need the magistrate’s assistance in order to accomplish its divinely appointed tasks.
마지막으로, 장로교회에서는 법인체 구성에 대한 제안이나, 특별히 법적인 승인을 해주어야 하는 일이나, 복음을 다스리는 일이나, 심지어는 모든 개신교 교파를 다스리는 일을 포함시켜야한다는 것에 대하여 격렬하게 반대하는 논쟁을 벌였다.
Finally, the Presbytery argued vigorously against a proposal to incorporate, or give special legal recognition to, ministers of the gospel, even if ministers of all Protestant denominations were included.
성직은 국가 정부에서 보다는 더 높은 근원으로부터 자신들의 권위가 유래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는 그들의 국가적 장점과는 전적으로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국가가 (세속이든 성직이든) 시민들 간의 구별을 하려는 힘을 부인한다.
Asserting that ministers derive their authority from a higher source than the civil government and are entrusted with the care of souls and other spiritual things, it denied to the state the power to make a distinction among citizens (laical and clerical) “on account of something entirely foreign from civil merit.”
요약하자면, 하노버 장로교회가 취하고 있는 논의들은 잘 선별 되지 않는다면 아무 것도 아닌 것처럼 보일 수가 있다.
In summary, the arguments employed by the Hanover Presbytery seem nothing if not eclectic.
그들은 개혁주의 두 왕국 전통에 근거한 고찰들을 하면서, 심지어 자신들이 적용하고 있는 것들이 그들의 많은 선조들보다도 더욱 명확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그리고 이것들을 유럽의 계몽주의 철학적 사고와 잠재적인 실천의 과정에서의 역효과를 실용적으로 변형 시킨 것에서 유래한 설득들을 서로 뒤섞어 사용하고 있다.
They take considerations drawn from the Reformed two kingdoms tradition, even seeing their application with greater clarity than many of their predecessors, and combine them with appeals drawn from philosophical notions of the European Enlightenment and from pragmatic hunches about the ill effects of potential courses of action.
가끔은 서로 다른 선상의 논의가 뒤에서는 서로 재미있게 뒤섞이고 있다.
Sometimes the different lines of argument are combined in ways that seem amusing in hindsight.
예를 들어서, 장로교회는 한 점에서는 성직자의 직책과 의무의 영적인 특성을 말하면서도- 부인 할 수 없는 신학적 주장으로서- 그러고 나서는 자신들이 이해하고 있는 논리를 통치자의 “철학적이고 자유적인 분별”에 의존하여 설득하고 있다.
For example, the Presbytery at one point spoke about the spiritual nature of the ministerial office and duties — an undeniably theological claim — and then appealed to the legislature’s “philosophical and liberal discernment” as reason why they should understand this.
비록 버지니아 장로교회가 자신들의 이전의 전통에서는 인식하지 못하였던 복잡한 관계들을 보기 시작하였다는데 대하여 분명한 논의가 있을 수 밖에 없지만, 그들은 최소한 어떤 다른 교파들이 받아보지 못하였던 특혜를 받음으로서 직접적으로 국가에서의 신앙의 환경이 개선 될 수 있는 복을 누릴 수 있었던 지독한 유혹의 과정들이 있었다는 사실도 설명하여야 할 것이다.
Though an argument can certainly be made that these Virginia Presbyterians began to see implications of the two kingdoms framework that their earlier tradition had not perceived, one must also account for the fact that they were at least sorely tempted throughout the process to bless direct civil promotion of religion on the condition that no other denomination was given preference over them
'두 왕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나라의 성격과 속성 (0) | 2017.08.15 |
---|---|
핫지와 돈웰이 말하는 교회 권위의 한계들 (0) | 2015.05.25 |
교회 권력과 구분되는 국가 권력의 5가지 특징점들 (0) | 2015.05.16 |
스투아르트 로빈슨이 말하는 교회의 속성과 권위 (0) | 2015.05.15 |
John Cotton and the Reformed Natural Law Tradition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존 코튼에게는 자연법의 주제를 다룬 자료가 충분하지 않기에 여기서 다루는 주제는 좀 짧을 것이다.
There is less extant material from John Cotton pertaining to the issue of natural law, and thus treatment of the issue here may be briefer.
약간의 명백한 반대적 증거에도 불구하고, 코튼의 많은 저술에서는, 모세의 재판법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그가 다수의 전통적 개혁주의와 광범위한 기독교인의 시각에서의 자연법에 대하여 제시하고있다.
Despite some apparent evidence to the contrary, a number of things in Cotton’s writings suggest that he held many traditional Reformed and broader Christian views on natural law, including its relation to the Mosaic judicial law.
(코튼은) 비록 자신의 많은 개혁주의 동료들보다도 자연법의 역할에 대하여 자신감을 덜 보이는 것이 분명하지만, 코튼은 이 주제에 관해서는 전반적으로 자신의 전통 가운데 머물러있었다.
Though surely less sanguine about the role of natural law than many of his Reformed contemporaries, Cotton on the whole remained within his own tradition on this issue.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은 성서를 철저히 지키는 이들로 알려져있으며 이들은 도덕이나 정치적 판단에 있어서 비성서적인 자료들에 대하여는 가능한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The New England Puritans are often viewed as biblicists whose interest in any non-Scriptural sources for moral and political guidance was minimal.
그들에게 성경이 중요하다는 것은 명백하지만, 최근에 다수의 학자들의 저술들은 자연법이, 영국의 일반법과 같은 다른 비성경적 자료들과같이, 초기 뉴잉글랜드의 윤리학과 법학의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While the importance of Scripture for them is obvious, a number of scholars writing in recent years have recognized that natural law, along with other non-biblical sources such as the English common law, played a role in early New England ethics and jurisprudence.
이러한 학자들의 몇 사람은 그 증거로 코튼을 예로 들고 있으며 실제로 그는 상당수의 내용들을 자연법에 의지하고있다.
Some of these scholars call upon Cotton for evidence, and indeed he drew upon the idea of natural law in a number of contexts.
현재의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코튼이 시민법의 기준이 되는 표준으로서 자연법에 호소한다는 것이다.
Most significantly for the present study, Cotton appealed to natural law as a normative standard for civil law.
이것의 몇 가지 예들이 앞의 단락에서 통치자의 신앙적 책임에 대한 논의에서 나타난다.
Some examples of this appeared in the previous subsection under discussion of the magistrate’s religious responsibilities.
코튼은 직접적으로 "자연의 빛"을 인용하면서 간접적으로는 자신의 입장을 변론하기 위하여 “profane Authors”와 “the Consent of all Nations”에 호소하기도 한다.
Cotton cited the “light of nature” directly and also indirectly through appeals to “profane Authors” and “the Consent of all Nations” in defending his position.
전통적으로 내려온, 시민법과는 전혀 다른 면에 있어서, 그는 전통적 유산은 "자연스럽게" 다른 세대로 내려가야 하며 장남에게는 두 배가 할당되어야 한다는 것을 "자연의 법"을 통해서 명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On a very different aspect of civil law, the law of inheritance, he also pointed explicitly to the “law of nature” as indicating that inheritances should “naturally” descend to the next of kin and that a double portion should be assigned to the eldest son.
세 번째 주제에 관하여, 제스퍼 로젠마이어는 코튼이 고리대금업에 대항하면서 광범위하게 다양한 자료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이성과 일반 정의와 평등에 대한 사고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전 작가와 동시대의 법적인 관례를 추가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In regard to a third issue, Jesper Rosenmeier argues that Cotton made use of a wide variety of sources to argue against usury, including reason and notions of common justice and equity, in addition to classical authors and contemporary legal practice.
이러한 예는 코튼이 광범위한 기독교 전통과 더불어서 자연법을 인용하는데 편안함을 느끼고 있으며 그는 이 (자연법)을 최소한 시민법의 기준이 되는 표준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Such examples indicate that Cotton, with the broader Christian tradition, felt comfortable citing natural law and that he viewed it as at least one normative standard for civil law.
그러나 코튼이 모세 재판법을 보는 관점과 이것의 자연법과의 관계에 관하여는 몇 가지 매우 어려운 문제들이 제기된다.
Some very difficult questions arise, however, regarding Cotton’s view of the Mosaic judicial law and its relation to natural law.
최소한 최근의 한 저자는 (자연법이 아닌) 모세의 재판법과 같은 것이 마땅히 현대 시민법의 표준이 되어야한다는 자신의 확신의 선례로서 코튼을 제시하고있다.
At least one recent writer has appealed to Cotton as precedent for his own conviction that the Mosaic judicial law as such (and not natural law) ought to be the standard for contemporary civil law.
모세법을 이렇게 보는 것은, 앞의 장에서 길게 논의한 바와 같이, 분명히 역사적 개혁주의의, 혹은 더 넓게는 그리스도인의, 입장이 아니며, 단지 한 사람이 이것이 코튼의 입장이라는 그럴듯한 사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며, 로젠마이어 같은 경우는, 코튼이 이 주제에 관하여는 칼빈으로부터 벗어났다고 주장한다.
Such a view of the Mosaic law is clearly not the historic Reformed — or broader Christian — position, as argued at length in previous chapters, but one can make a plausible case for this being Cotton’s position, and Rosenmeier, for one, claims that Cotton diverged from Calvin on this issue.
그러나 아래에서 볼 것이지만, 로젠마이어는 나타나는 모든 것에 대하여 설명을 하진 않았으며, 조지 하스킨의 결론을 정확하게 보인다.
But as will be seen below, Rosenmeier does not account for all of the evidence, and George Haskins’ conclusions seem accurate.
그는 초기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이, 비록 다양한 인물들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강조점이 있음을 보고 있지만, 개혁주의의 합의 안에 잘 자리를 잡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존 윈드롭과 같은 중요한 인물은 이러한 합의 안에 좀 더 한 가운데 있으며 코튼은 그 가장자리에 있음을 보고 있는데 이는 그가(코튼이) 모세의 재판법을 상당히 넓게 보면서 이를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He places the early New England Puritans well within the Reformed consensus though he sees different emphases among the various figures, finding an important figure such as John Winthrop more in the center of this consensus and Cotton on one fringe of it, due to the great extent of the Mosaic judicial law that he viewed as universally binding.
아마 코튼이 모세의 재판법과 자연법의 관계에 대한 초기 개혁주의의 생각의 주요 흐름 안에 속하여있다는 가장 큰 증거는 그가 전자(모세의 재판법)의 지속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표준 개혁 주의 평가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Perhaps the best evidence that Cotton falls within the mainstream of early Reformed thought on the relation of Mosaic judicial law and natural law is his utilization of the standard Reformed test for the continuing applicability of the former.
요컨데 그의 개혁주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그(코튼)는 도덕적 평등을 반영하고있는 모세의 재판법의 보편적 특성을 논하고 있는 것인데, 이 도덕적 평등의 뜻은 칼빈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에게는 자연법과 궁극적으로 동등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는 "자연적 사법은 도덕적 평등으로 모든 이들에게 구속력이 있다"고 기록하고있다.
In short, like his Reformed contemporaries, he argued for the universal character of those aspects of Mosaic judicial law that reflect “moral equity,” terminology used by Calvin and the Reformed orthodox as a virtual equivalent of natural law. He wrote, for example, that “Natural Judicials bind all; of moral equity.”
그는 윌리암스와의 논쟁에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체제가 모세법 가운데 "도덕적이고 영구한 평등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모든 재판법"에도 묶여있다는 것을 부인한다.
In his debate with Williams, furthermore, he denied that a Christian commonwealth was bound to “all the judicial Laws of Moses” rather than “only [to] those of Moral, and perpetual equity.”
그리스도는 "도덕적 평등을 나타내는 모세의 재판법"을 폐지한 것은 절대아니다.
Christ never abolished “the Judicial Laws of Moses, which were of Moral equity.”
다른 한편으로는, 그 사회 체제에서만 특별하면서, 동시에 특별한 교회이면서, 그 외에는 이 세상에 어느 곳에도 없으면서, 하늘 아래의 모든 사람들과는 동떨어진 이스라엘만의 구약의 재판법은 현대 시민법으로 강요 되어서는 안된다.
On the other hand, those Old Testament judicial laws that were “peculiar to that state” and concerned Israel “as they were a peculiar church & none besides them in the world & sequestered from all people under heaven” were not to be enforced in contemporary civil law.
이 모든 것들은 일반적으로 개혁 주의가 생각하고 있는 것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All of this reflects common Reformed conviction.
그러나 전통적인 개혁주의의 범주 안의 표준에 의해서 판단될 경우, 코튼의 관점은 최소한 2가지 면에서 좀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다.
Judged by the standard of traditional Reformed categories, however, Cotton’s views do appear somewhat deficient in at least two respects.
첫째로, 비록 코튼은 (도덕법과 의식법을 따르는) 재판법의 범주에서 작업을 했다고 할지라도, 이것은 그가 특정의 재판법을 아무런 부가 설명이 없이 도덕법이나 의식법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First, though Cotton obviously works with the category of judicial law (along with moral and ceremonial law), it seems that he viewed particular judicial laws as being either moral or ceremonial, without remainder.
달리 표현하자면, 그는 도덕법인 재판법에 대하여는 지속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그리고 의식법(이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사역에 의하여 완성되었음을 가리킨다.)인 재판법에 대하여는 폐지할 것에 대하여 논하고 있는데, 이는 마치 이들을 구분할 다른 영역이 없는 듯이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he argued for the continuing applicability of judicial laws that are moral and the expiration of judicial laws that are ceremonial (i.e., that pointed to and found their fulfillment in Christ and his work), as if there were no other category in which to place them.
비록 코튼 이전의 칼빈과 같은 인물이나 코튼 이후의 투레틴과 같은 인물은 이것을 의식적으로 명확히 강조하지는 않았지만, 이들은 모세의 재판법이 엄격하게 도덕법만도 아니고 엄격하게 의식법만도 아니며, 단순히 자신들의 유럽 사회와 같은 특별한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을 뿐이다.
Though figures such as Calvin before Cotton and Turretin shortly after him perhaps did not articulate this with conscious clarity, they seemed to recognize that certain Mosaic judicial laws were neither strictly moral nor strictly ceremonial, but were simply not appropriate for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their contemporary European societies.
두번째로는, 코튼에게서는 그의 많은 개혁주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모세의 재판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하는 일반적인 확신을 찾을 수가 없다.
Second, one does not find Cotton making the general affirmation that the Mosaic judicial law has expired, as do so many of his Reformed cohorts.
다른 이들은 일반적으로 재판법의 폐기를 말하고나서 이차적으로 도덕적 평등에 관계되는 부분에서 시대에 적용 가능성을 말하는 반면에, 코튼은 우선 재판법을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난 후에야 그 안에서 예외적으로 폐기되어야 할 면을 찾으려고 한다.
While others spoke generally of the abrogation of the judicial law and secondarily of its contemporary applicability when moral equity so indicates, Cotton seemed intent on finding the judicial law primarily of universal application and its expired aspects the exception.
이러한 움직임의 일부분은 의심할 여지 없이 그(코튼)가 윌리암스를 반박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였다는 문맥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Part of the dynamics here undoubtedly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 need to refute Williams.
코튼은 구약 이스라엘의 사회제도를 뉴잉글랜드의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보았는데, 특히 참된 신앙을 보호하는 일을 하였던 이스라엘 왕들의 역할에서 그러하였다.
Cotton saw the social arrangement of Old Testament Israel as key justification for the New England way, particularly in the role that Israel’s kings played in protecting true religion.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코튼은 구약의 율법에서의 유형학에 대한 매우 높은 장벽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모세법이 그리스도를 가리키면서 그리스도 안에서 다 성취되었기에 더 이상 그리스도인에게 적용할 수 없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ontext, Cotton set a very high bar for seeing typology in the Old Testament law, that is, for seeing aspects of the Mosaic law as inapplicable to Christians because they pointed to and were fulfilled by Christ.
이 모든 것에서 코튼은 구약과 신약이 연속적이라고 추정하고서 모세의 재판법은 오직 제한된 환경에서만 폐기되었음을 수용한다.
In all of this Cotton assumed continuity between Old and New Testaments and accepted that Mosaic judicial laws had expired only in limited circumstances.
코튼의 작품으로부터 얻은 두 가지 예를 보게 되면, 그가 앞의 단락에서 일반적으로 결론을 내린 이러한 주제들이 개혁주의의 합의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 지를 알아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증거가 될 것이다.
Two examples from Cotton’s work that offer perhaps the best evidence that he stands outside of the Reformed consensus on these issues may serve to test the general conclusions drawn in the preceding paragraphs.
첫번째 예로는 메사추세츠 법을 본보기로 볼 수 있는데 그(코튼)는 비록 그(모세의 판결법) 자체를 법규화하지는 않았지만 식민지에 영향을 주게 끔 한 것을 볼 수 있다.
The first example is the model for Massachusetts law that he drew up which, though never itself enacted, became influential in the colony.
이 비교적 짧은 문서에서만 제안된 법을 뒷받침해주기 위해서 모세법으로부터 인용한 풍부한 본문을 포함하고 있을 뿐이며, 대부분은 결과적으로 성서에서 벗어난 규칙들을 인용하고 있었다.
This relatively brief document contains copious citation of texts from the Mosaic law to support the laws that it proposes and many sections virtually copy rules right out of Scripture.
이러한 상황 가운데 의식법이나 유형적 법이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다는 (코튼) 자신의 원칙에 어긋나는 놀랄 만한 예들이 있었으며, 국가의 상황에 적용된 것 가운데는 교회의 비난을 받아야만 했던 예들도 있었다.
In the midst of this, there are striking examples of violation of his own principle that ceremonial or typological laws are no longer applicable and examples of ecclesiastical censures applied to the civil context.
이러한 모든 것들은 코튼이 다른 곳에서 표현 한 것과 같이 아무런 섬세한 적합화의 과정이 없이 모세법을 뉴잉글랜드에 있는 그대로 바로 적용 시켜 버린 것이다.
All of this points to a quite straightforward thrusting of Mosaic law onto New England without even some of the nuanced qualifications that Cotton expresses elsewhere.
그러나 여기에서 조차도 서로를 상쇄 시키는 (모순되는) 증거들이 있다.
But even here there is countervailing evidence.
문서의 어떤 긴 부분은 모세법을 전혀 인용하지 않았으며 사실 구약의 이스라엘과는 관계없이 뉴잉글랜드의 특별한 관심사에 적합한 것이었다.
Some lengthy sections of the document do not cite Mosaic law at all and in fact pertain to things of particular concern to New England and irrelevant to Old Testament Israel.
예를 들어서 코튼은 수산물 거래를 보호하는 법이나 모든 사람이 교회 집회소에서 1마일 이내에 살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제안하였다.
For example, Cotton proposes laws protecting the fishing trade and requiring every person to live within a mile from the church meeting-place.
코튼은 역시 몇 개의 조항들을 합법화하기 위하여 자연법에 호소를 하였다.
Cotton also appeals to natural law to help to justify a couple of provisions.
다른 법들은 배심원 선출 규정과 같은 영국의 일반법 전통과 같은 일들을 다루고 있다.
Other laws deal with matters peculiar to the English common law tradition, such as the regulation of jury selection.
인디안에게 식민지 사람들을 공격하는데 사용 될만한 상품을 파는 것을 금지하는 것과 같은 몇 가지 법들은 단순히 일반적 통찰을 반영하고 있다.
And some laws, like the prohibition of selling to the Indians goods that might be used against the colonists, simply seem to reflect common sense.
이러한 문서에 대하여 교리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어렵지만 여러 증거들을 취합하여 살펴볼 때 이것은 다양한 자료들- 물론 그 중에는 모세법이 가장 두드러지지만-의 법들을 취합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make dogmatic conclusions about this document, but I suggest, based upon all of the evidence taken together, that this is an eclectic collection of laws derived from various sources, Mosaic law of course being particularly prominent.
그 조항들은 인간 사회의 보편적인 것들로부터 뉴잉글랜드 식민지의 필요라는 매우 특별한 것까지 광범위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The provisions deal with a variety of issues from those universal to human society to those quite particular to the needs of colonial New England.
약간의 예외는 있지만, 그 가운데는 위에서 윤곽을 그린 재판법과 자연법에 관계된 코튼의 신학적 입장에 근본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은 없다.
With a few exceptions, nothing in them is fundamentally inconsistent with Cotton’s theoretical position regarding judicial and natural law outlined above.
두 번째 검증 사례로는 코튼이 윌리암스에게 몇 가지 비판을 하는데 있어서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 안에 있었다는 것이다."보아라 하나님께서는 신약에서 분명하게 국가 통치자들에게 권위를 주셨다. 그러고는 그들에게 국가의 정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분명한 의의 법이나 규칙을 주시지는 않으셨다 그러므로 그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완전한 성서로부터 타락된) 법칙이 없이 행하거나 통치 하게 하셨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그들은 자신들의 의의 법칙을 모세의 율법이나 구약에 자세하게 설명된 예언자들에게서 가져오도록하였다."
The second test case for the claim that Cotton was within the Reformed natural law tradition comes from some comments that he makes to Williams: “Seeing he [God] hath expressly authorized civil Magistracy in the New-Testament, and hath given no express Laws or Rules of Righteousness for them to walk by in Administration of civil Justice, therefore either he leaveth them to act and rule without a Rule (which derogateth from the perfection of Scripture:) or else they must fetch their rules of Righteousness from the Law of Moses and from the Prophets, who have expounded him in the Old-Testament.”
통속적으로 말하자면, 코튼은 신약에서 국가의 법에 대하여 침묵하고 있기에 이것은 (신약에서 의도하는 국가 법은) 모세의 법일 수 있거나 아니면 아무 것도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To put it colloquially, Cotton seems to say that since the New Testament is silent on civil law, it is Moses or nothing.
모세법을 시민법의 표준으로 세우기를 거부하는 것은 어떠한 성경적 표준으로부터도 떠나는 것이며 성서의 완전함(즉 충분성)과 타협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나서, 그는 오직 성경이라는 교리가 시민법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By suggesting that refusal to make Moses the standard for civil law leaves no biblical standard and hence compromises the perfection of Scripture (i.e., its sufficiency), he implies that the doctrine of sola scriptura applies to the matter of civil law.
분명히 이것은 16세기와 17세기의 개혁주의의 관점은 아니었다.
Clearly this was not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Reformed view.
만약 여기에서 코튼의 말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면, 그는 개혁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If Cotton’s words here are taken at face-value, then he expresses a position out of Reformed bounds.
그러나 공정하게 말하자면 이러한 서술은 그가 저술한 다른 모든 것의 맥락 가운데 읽혀져야 하고, 이러한 제안은 그가 모세법이나 혹은 아무것도 아닌 것 바로 다음에 도덕적 평등에 관한 통상적인 적합화를 추가하였음을 반복한 사실을 통하여 좀 더 보강이 되었어야 하는 것이다.
But fairness suggests that this statement be read in the context of all else that he writes, and this suggestion is bolstered by the fact that when he repeats a short while later that it is Moses or nothing he then adds the usual qualifier about moral equity.
결론적으로, 코튼의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과의 관계는 그가 개혁주의 두 왕국 전통에 관계 한 것과 비슷하다.
In conclusion, Cotton’s relation to the Reformed natural law tradition is similar to his relation to the Reformed two kingdoms tradition.
그는 분명히 그의 시대에 일반적인 개혁주의의 영역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자신의 전집의 많은 부분에서 활용을 하고있었다.
He is clearly influenced by the common Reformed categories of his day and utilizes them in many places in his corpus.
뉴잉글랜드 사회에서 신앙적인 순수성이 강화되도록 하려는 그의 열심으로 인해서 그는 주제들에 대하여 일관성 있게 제대로 표현을 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하여 그는 자신의 생애 동안에 사회적 논쟁과의 변론에서 지속적인 긴장 관계를 가져왔던 것이다.
Yet his zeal to defend the New England way with its civil enforcement of religious purity produced a less than fully consistent presentation of the issues and resulted in lingering tensions in his discussions of the social controversies of his day.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법과 모세법 (0) | 2017.08.10 |
---|---|
도덕적 표준으로서의 자연법 (0) | 2017.08.08 |
신앙과 국가의 통치 (0) | 2015.04.26 |
존 코튼과 두 왕국 (0) | 2015.04.20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 2015.04.17 |
Religion and the Civil Magistrate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221-229를 번역한 것이며 이 부분은 초기 뉴잉글랜드 신정체제에서 존 코튼을 통하여 본 개혁주의의 두 왕국 관점과 이의 사회적 적용의 실패를 중심으로 정리된 것이다.
초기 뉴 잉글랜드 주가 시민의 신앙적인 일들에 상당히 집중되어있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That the early New England state was heavily invested in the religious affairs of its citizenry is a well-known fact of history.
선거일 강론에서의 가르침이나 코튼 자신의 시민법전의 초안을 작성하는 위원회에서의 봉사와 같이, 뉴 잉글랜드 교회가 국가의 일에 참여하는 것은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이 제기 될 수도 있지만, 우리가 이번 단락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신앙의 일에 대한 국가의 개입의 복잡성에 대한 것이다.
Although the involvement of New England churches in civil affairs, in matters such as the preaching of election day sermons and Cotton’s own service on committees to draft civil legal codes, could raise a similar set of questions, it is the state’s entanglement in religious affairs that will engage us in this subsection.
3장과 5장에서와 같이, 여기서도 통치자의 신앙적 책임은 초기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두 왕국 교리의 적용과 이에 대한 사회적 개념과의 일관성에 관하여 일련의 문제들을 제기하고 있다.
Here, as in Chapters 3 and 5, the magistrate’s religious responsibilities raise serious question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in early Reformed theology and the coherence of its social thought.
코튼은 자신의 Discourse about Civil Government에서 국가와 교회의 통치를 4가지로 구분을 한 후에, 그가 통치자와 신앙에 관하여 기록한 많은 것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Immediately after setting forth the fourfold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in his Discourse about Civil Government, Cotton makes a key move that is determinative for much else that he writes about magistrates and religion.
그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이방인 통치자에게 복종을 요구한 로마서 13장 1-7절의 말씀을, 바울이 이미 형성이 되어있는 세속의 질서에 대하여 조언을 한 것으로 해석을 한다.
He reads Romans 13:1-7, which requires Christians to submit to heathen magistrates, as Paul’s counsel to an already established civil order.
그러나 물론 그는 이것을 이미 새롭게 세속의 질서가 확립된 메사츠세츠 식민지의 입장과는 구분을 한다.
But he distinguishes this from a situation in which a new civil order is being established — the situation, of course, of the Massachusetts colonies.
코튼의 설명에 의하면, 바울이 후자의 내용으로 설교를 한 후에, 그는 통치자를 오직 교회의 회원에 한하여 선택하도록 달리 충고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Were Paul addressing the latter context, Cotton explains, he would have spoken differently and advised them to choose as magistrates only those who are members of the church.
코튼은, 그의 많은 독자들의 즉각적인 반응이 어떠할 지를 예상하면서, 그의 바울 해석이 도피적이고 불확실한 추측이라는 비난을 피하고자, 그 자신이 믿고 있는 즉, 그리스도인은 불신자보다는 다른 믿는 자에게 재판 받는 것을 선호하여야 한다는 바울의 다른 여러 구절들을 인용하고 있다.
Cotton, anticipating what must indeed be the immediate reaction of so many of his readers, seeks to deflect the charge that his reading of Paul is “a flight and uncertain conjecture” by quoting several other Pauline passages that he believes show that Christians should prefer being judged by other Christians than by unbelievers.
코튼은, 이미 새로운 세속의 체제가 확립되었고 대부분의 거주자가 그리스도인이 아닌 곳에서 이방인 통치자를 세우는 것은 충분히 선한 것이라고 분명히 하지만, 대부분이 그리스도를 고백하는 뉴 잉글랜드와 같은 상황에서는 바울이 하고자 한 충고, 즉 잠재적인 세속의 통치자들의 구성원은 교회의 일원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한다.
Cotton clarifies that where a new civil order is established and most residents are not Christians, then appointing heathen magistrates is “good enough,” but in their own New England context, where most profess Christ, they must heed the advice that Paul would have given: the pool of potential civil magistrates consists of members of the church.
이와 같이 로마서 13장의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구절을 처리한 후에, 코튼은 자신이 살고 있는 메사추세츠와 같이 새롭게 형성된 그리스도인의 체제에서는 일들이 어떻게 행하여져야 하는지 상세하게 설명하기 시작한다.
Having thus dismissed the potentially troublesome Romans 13 passage, Cotton turns to expounding how things ought to work in a newly established Christian commonwealth such as his own in Massachusetts.
이미 본 바와 같이, 코튼이 강조하는 한가지는, 오직 교회의 구성원만이 세속의 통치자로 섬길 수 있다는 것이다.
One point that Cotton emphasizes, as already seen, is that only members of the church should serve as civil magistrates.
그는 자신의 Discourse about Civil Government에서 이러한 입장을 뒷받침 하고자 6가지의 논점을 제시한다.
In his Discourse about Civil Government he lists six arguments in support of this position.
이 모두를 나열하는 것은 지루할 수 있지만, 그가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찾은 성경적 뒷받침에 대하여는 알아볼 만 할 것이다.
While it may be tedious to spell out all of these, it is interesting to note where he finds biblical support in making these arguments.
코튼에게 성경적 증거의 한 가지 핵심적인 맥락은 구약의 이스라엘이 신정국가이었기에 이것이 정부의 가장 좋은 형태라는 사실이다.
One key line of biblical evidence for Cotton is the fact that Old Testament Israel was a “theocracy” and thus is the best form of government.
그는 다른 구약에서도 지지 받을 근거를 발견하는데 시편 2장10-12에서는, 이 땅의 왕들에게 "아들에게 입을 맞추어라"는 요구를 하며, 이사야서 49장 23의 경우는 왕들이 양부가 되어야 하며 여왕들이 하나님의 백성을 기르는 엄마가 되어야 할 것을 말한다.
He finds other Old Testament support in places such as Psalm 2:10-12, which calls upon the kings of the earth to “kiss the Son,” and Isaiah 49:23, which speaks of kings being foster fathers and queens being nursing mothers for God’s people.
신약에 관하여는, 에베소서 1장21-22절과 골로세서 1장 15-19절에서 묘사된 바와같이, 국가의 통치자를 교회의 역할로부터 그려내는 것은 그리스도를 뛰어난 분으로 만드는 최상의 방법이라고 코튼은 주장한다.
Regarding the New Testament, Cotton claims that drawing civil magistrates from the rolls of the church best gives Christ his “due preeminence,” as prescribed in Ephesians 1:21-22 and Colossians 1:15-19, and best respects Paul’s injunction in 1 Corinthians 6:1-18 that believers ought to seek judgment from believers rather than unbelievers whenever possible.
코튼은 마치 케이크에 장식을 얹히듯이, 자신의 6가지 논의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즉 그는 자신의 사례에 증거가 될 수 있도록 "쉽게 ... 모든 나라의 동의를 덧붙일 수"있다는 것이다.
Cotton goes on to add, as a sort of icing on the cake of his six arguments, that he could “easily ... add the Consent of all Nations” as evidence for his case.
그는 독자들에게 "터키"나 "악마를 섬기는 인디안"들을 언급하면서, 통치자들에 대하여 신앙적인 심사를 거친 비기독교 국가는 물론 개신교나 로마 카톨릭의 나라들을 예를 들고 있다.
He gives examples from Protestant and Roman Catholic countries as well as examples from non-Christian nations that also have religious tests for their magistrates, referring his readers to “Turkey itself” and “these very Indians that Worship the Devil."
코튼이 강조하는 또 다른 것은, 자신이 속해있는 것과 같은 기독교 체제에서 국가의 통치자는 종교를 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Another matter that Cotton emphasizes is that, in a Christian commonwealth such as his own, the civil magistrate ought to have a care for religion.
한편으로 그는 국가로 하여금, 교리나 예배 그리고 예전의 의미에 있어서 참된 신앙을 확립하고 개혁하기 위해서는 무력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며, 심지어는 (천국의) 열쇠를 쥐고 있는 교회의 목회적 권력이 국가의 평화에 관계된 일들에 한하여는 마땅히 국가의 권력에 복종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기까지 한다.
In one place he calls on the state to exercise its power of the sword to establish and reform true religion in terms of doctrine, worship, and government, even asserting that the church’s ministerial power of the keys ought to submit to the civil sword in such matters insofar as they concern civil peace.
그 밖에도 그는 국가의 통치자가 하나님의 방식에서의 교회의 영적인 일에 간섭하는 것에 대하여 자신들이 직무의 범위를 넘어선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확신하고있다.
Elsewhere he assures civil magistrates that they need not fear that they have exceeded the bounds of their office if they “meddle with the spiritual affairs of the Church in God’s way.”
그리고 그가 오직 그리스도인만이 국가의 직책을 가질 수 있다는 원칙에 대하여 비기독교 국가를 예로 들었듯이, 코튼은 통치자가 신앙을 돌아보아야 하고 이교도들이 자신들의 우상에 대하여 하는 것보다도 참 된 하나님에 대하여 질투하듯한 열심을 덜 보여주는 그리스도인을 부끄럽게 하여야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자연의 빛"이나 "불경건한 저자"들에 호소하기도한다.
And just as he appealed to non-Christian lands for examples of the principle that only Christians should hold civil office, so Cotton also appealed to the “light of nature” and to “profane Authors” to show that magistrates should have a care for religion and to shame Christians who might exhibit less zeal for the true God than pagans for their idols.
마지막으로, 그리고 앞의 관점을 허물듯이, 코튼은 국가의 통치자가, 어떤 환경에서는, 잘못된 신앙 생활을 하는 이들을 무력으로 벌해야 할 권리와 의무를, 매우 고통스럽게 변론을 한다.
Finally, and building off the previous point, Cotton took great pains to defend the right and duty of the civil magistrate, in certain circumstances, to punish with the sword those who practice false religion.
이것은 우리를 그가 로저 윌리암스와 가진 대화 한가운데로 바로 끌어들인다.
This brings us most directly into the midst of his famous dialogue with Roger Williams (1603-1684).
윌리암스는 몇 가지 현안으로 인하여 메사추세츠 관리들과 충돌을 빚었고, 이는 그가 시민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신앙적인 맹세를 요구한 것에 대하여 반대함으로서 절정에 이르게 되었으며, 그는 1636-37년 겨울에 그 식민지에서 추방되었다.
Williams had clashed with the Massachusetts authorities on a number of issues, culminating in his opposition to requiring (religious) oaths as a condition for (civil) citizenship, and he was banished from the colony in the winter of 1636-37.
코튼의 이름은 윌리암스와 완전히 연결되어있지만, 코튼 자신은 윌리암스를 추방하는 결정에 연루되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부인한다, 그리고 다수의 현대 신학자들은 코튼이 그(윌리암스)에게 어느 정도는 동조하고 있었으며 그(윌리암스)와 그의 추방에 영향을 미치는 시민 법정 사이에 중재를 하려 했다고 논증하고있다.
Though Cotton’s name has become indelibly linked to Williams’, Cotton himself disavowed involvement in the decision to banish Williams, and several modern scholars have indeed argued that Cotton had some sympathy for him and tried to arbitrate between him and the civil court that effected his exile.
그럼에도 불구하고, 윌리암의 논쟁의 화살은 코튼을 향하여있었고, 코튼은 반격하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Nevertheless, it was Cotton at whom Williams aimed his polemical arrow, and Cotton was not timid about firing back.
그들의 대화들은 양심의 자유와 신앙을 확립하는데 명확한 도움을 주는 논쟁이었다.
Their exchanges are an illuminating debate on liberty of conscience and established religion.
양심의 자유에 관한 것은 이번 논쟁의 결정인 측면이었으며, 이 논제에 대한 코튼의 관점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나머지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The matter of liberty of conscience was a crucial aspect of this debate, and without understanding Cotton’s view of this issue one will not understand the rest.
코튼은 일반적으로 양심의 자유가 존중되어져야 한다는 것에 대하여 반박하지는 않지만, 그는 자신을 윌리암의 생각과 상당히 달리 놓게 하는 여러가지 구분 점들을 만들어낸다.
Cotton did not dispute in general that liberty of conscience must be respected, but he made several distinctions that landed him in a much different position from Williams’.
윌리암스의 양심의 자유에 대한 강력한 호소에 대하여, 코튼은 우선 교리와 예배의 일에 있어서 근본적인 것과 부수적이거나 덜 주된 것을 구분한다.
In response to Williams’ strong appeal to liberty of conscience, Cotton first distinguished between matters of doctrine and practice that are fundamental and those that are circumstantial or less principal.
후자에 관하여 그는 좀 더 구분을 하는데, 한 부류는 이러한 관점들을 온유하게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국가의 평화를 방해하는 방법으로 붙들고 있는 이들도 있다.
In regard to the latter he made a further distinction, between people holding such views meekly and those holding them in a way that disturbs civil peace.
코튼이 취한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올바른 정보에 의한 양심의 박해와 잘못된 정보나 맹목적인 양심의 박해를 구분하는 것이다.
Another important distinction that Cotton makes is between persecution of a conscience that is rightly informed and persecution of a conscience that is erroneous or blind.
당연히 그는, 올바른 지식을 근거한 양심을 가진 사람이나 올바른 관점을 가지고 실천하는 사람을 박해 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을 부인한다.
He denies, unsurprisingly, that he favors persecution of one whose conscience is rightly informed and who holds and practices correct views.
잘못된 맹목적의 양심을 가진 사람이나 근본적으로 심각한 일에서 실수를 범하는 사람은 즉각적으로 벌을 받아야 하지만, 그러나 처음에는 권고를 받아야 한다.
People who have erroneous or blind consciences and who err on fundamental, weighty matters must not be punished immediately, but must first be admonished.
그러고나서, 만약에 그들이 자신들의 잘못을 지속하거나 통치자에 의하여 징계를 받는다면, 그들은 사실 양심을 위해서 박해를 받는 것이 아니라 양심을 거역하는 자신들의 죄로 인한 것이다. (이는 이미 적절히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이다.)
Then, if they persist in their error and are punished by the magistrate, they are not in fact persecuted for conscience’s sake but for their sin against conscience (since it has now been properly informed).
그러므로 코튼이 주장하는 바와같이, 만약에 윌리암이 올바른 근거로 고통을 받는 것이 아니라면, 그는 "박해"를 받는 것이 아니다.
Thus, if Williams was not suffering for a righteous cause, as Cotton insisted he was not then he was not being “persecuted.”
마지막으로 코튼이 주장하는 것은, 좀 덜 중요한 일들에 있어서는 그들이 온유하게 행하고 국가의 평화를 방해하는 거만한 방법으로 하지 않는다면 이들은 마땅히 관용 되어야 할 것이다.
Finally, Cotton asserted that those erring in lesser, non-principal matters ought to be tolerated as long as they do so meekly and not in an arrogant way that disturbs the civil peace.
이러한 배경에 반하여 우리는 코튼이 윌리암스에 대항하면서 통치자가 잘못된 종교의 믿음이나 예배에 밀착되어있는 이들을 벌하는 것을 정당화하는데 사용한 몇 가지의 연관이 있는 이유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Against this background we may observe a number of related reasons that Cotton used against Williams to justify the civil magistrate’s punishment of those adhering to false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코튼이 가장 염려하는 것은 이러한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을 꾀어낼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One key consideration for Cotton was the danger that such people would seduce others.
코튼은 사람들이 믿도록 강요받을 수는 없지만, 그들이 대중을 꾀어내는 것은 제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인정한다.
Cotton admits that people cannot be constrained to believe, but they may be restrained from seducing the populace.
그러므로 그는 (복종하는 인디언을 포함하여) 잘못된 신앙을 유지하는 이들에게는 관용을 베풀지만, 만약 그들이 그리스도인을 꾀어내어 신앙을 버리게 하거나 자신들의 종교를 수용하게 한다면 관용을 베풀 수 없다는 것이다.
Thus, he permits toleration of those who hold to false religions (including submissive Indians), but not if they seduce Christians to apostatize or embrace their religions.
코튼은 치료가 되지 않으면서 전염성이 있는 사람을 동정하는 것은 비합리적이고 무자비한 것이며, 다른 이들을 용납함으로서 수 많은 혹은 수 백 명의 영혼이 감염되고 파괴 되도록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Cotton finds it absurd and merciless that one would pity those who are “incurably contagious” and not the “many scores or hundreds of the souls of such, as will be infected and destroyed by the toleration of the other"
코튼이 채택한 논의의 두 번째 노선은 국가의 질서의 필요성에 호소하는 것이다.
A second line of argument employed by Cotton is an appeal to the need for civil order.
코튼은 이러한 논의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그가 여기서 논리를 펴는 것은 전체적으로 ,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사회의 안정을 위하여 신앙적 이단에 대하여 국가적으로 억압하였던 것을 정당화하였던 칼빈과 닮아있다.
This argument took a variety of forms for Cotton, but on the whole his reasoning here resembles that of Calvin in justifying, at least in part, the civil suppression of religious heterodoxy for the sake of social peace.
이러한 논의 형태는 한층 더 강화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국가의 기관이 평화와 질서의 유지에 관한 것이기에 만약 이것이 상인들과 같은 사회의 안정에 관계된 것이라면, 교회에 관계된 것은 더욱 더 그러하지 않겠는가!
One form of this argument is a fortiori: since civil government is about keeping peace and order, if it is concerned about the peace of societies of merchants and the like, how much more about that of the church!
그는 체제의 안정은 "세속적이고 인간적"이기에 이러한 종류의 안정은 영적인 순수성과 안정이 어지럽혀질 때 파괴된다는 것을 인정한다.
He admits that the peace of the commonwealth is “Civil and humane,” yet this sort of peace is destroyed when spiritual purity and peace are disturbed.
그는 후에, 신앙적으로 "늑대"인 사람이 국가의 평화를 지킨다 거나 영적인 매춘이나 마법이 이것(국가의 평화)과 공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한다.
He explains later that it is impossible for one who is religiously a “wolf” to keep civil peace or for spiritual whoredom and witchcraft to coexist with it.
그 밖에도, 그는 신앙적으로 꾀이는 자들을 벌하여야 할 통치자의 의무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신앙이 국가의 최선이며, 사람들이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추구할 때 자신들의 외적인 지위가 향상된다고 설명한다.
Elsewhere, again to justify the magistrate’s duty to punish religious seducers, he states that religion is the best good of the city and that people prosper in their outward estate when pursuing God’s kingdom and righteousness.
그는 이러한 것들이, 공공의 평화를 떠 받쳐주는 한에는, 통치자들에게 무엇이 진정으로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인지 판단할 것을 요구 한다는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This requires, he recognizes, that magistrates make judgments about what is genuine godliness, as far as such tends to uphold the public peace.
여기서 코튼의 절박함을 알 수 있다. 신앙을 파괴하는 이는 국가체제를 "어지럽히는 자"이며, 하나님의 은혜를 경멸하거나 무시하는 국가는 "오랫동안 체제가 건강할 수 없으며", 참된 신앙을 보호하는 국가의 법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은 "하나님의 진노를 가져오는" 반면에, 미혹하는 이들을 처벌하는 것은 하나님의 축복을 가져오는 것이다.
One can sense Cotton’s urgency. Those who destroy religion are “disturbers” of the civil state;civil states that despise or neglect God’s grace “cannot long expect bodily health”; and not having civil laws protecting true religion “may bring the wrath of God,” while punishing seducers brings divine blessing.
이러한 다양한 논의에 더하여서 코튼은 더 이상 자신의 입장에 동의를 구하는 개인적인 호소를 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o all of these other arguments, Cotton is not above making personal appeals to win consent to his position.
그는 "확신 하건데, 만약에 모든 이들이 최선을 다하여 자신을 하나님의 일에 쏟아붓는다면, 국가 통치자도 자신들의 국가적 역량을, 그리스도의 믿음을 보호하는데 쏟아부을 것이다."고 기록한다.
“Surely,” he writes, “if everyone be bound to put forth himself to his utmost power in God’s Business, then civil Magistrates are bound to put forth their civil power, in defending the Faith of Jesus.”
칼빈과 개혁파 정통 주의에 관하여 앞 장에서 논의한 바로 볼 때, 코튼이 신앙적 일탈에 대한 국가의 징계를 열심히 변론 하는 것은 그의 두 왕국 신학과 그의 사회에 대한 견고한 관점이 일관성이 있는 지에 대하여 심각한 의문을 불러 일으킬 수 밖에 없다.
As with the discussions in previous chapters regarding Calvin and the Reformed orthodox, Cotton’s earnest defense of civil punishment of religious deviance raises serious questions about the coherence of his two kingdoms theology with his concrete social vision.
제3장과 5장에서 나는 이러한 사상가들의 생각이 뻔히 모순이 된다고 너무 빨리 배제해버리는 것에 대하여 먼저 경고를 하였으며,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In Chapters 3 and 5 I offered some initial caveats about too quickly dismissing these thinkers’ thought as blatantly inconsistent, and the same seems appropriate here too.
최소한 3가지 고려 사항들은 코튼이 자신의 두 왕국 교리에 대한 전체적 관점을 잃지 않았으며 심지어는 윌리암스에 대한 논쟁에서 조차도 그러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At least three considerations indicate that Cotton did not lose total sight of his two kingdoms doctrine even while polemicizing against Williams.
첫 째로 코튼은, 자신의 개혁주의 동료들이나 선배들과 마찬가지로, 통치자가 신앙적 범죄자에게 가하는 징계는 단순히 세속적이라는 것이다,
First, Cotton, like many of his Reformed contemporaries and predecessors, stated that the punishments that magistrates inflict upon religious offenders are “merely Civil.”
달리 말하자면, 그들은 영혼이나 양심을 건드리지 않고 단순히 외적인 상황 만을 다루는 것이자.
In other words, they do not touch the soul or conscience but merely the outward estate.
두 번째로, 코튼은 교회를 구성하는 그리스도 인의 행동들을 세속적 역량으로서의 그리스도 인의 행동들과 구분한다.
Second, Cotton distinguished the actions of Christians as they constitute the church from the actions of Christians in their civil capacities.
그리스도인이 교회와 국가에서 그리스도의 근원을 추구하여야 할 의무가 있기에 이들의 한 쪽에서의 행동은 다른 쪽에서의 행동과 구별이 지속되어야 한다.
Hence Christians’ duty to promote the cause of Christ in both church and state was to retain a distinction between their action in one and action in the other.
세 번째 고려 사항은 앞의 장에서와 유사하게 반복된다.
The third consideration is again familiar from preceding chapters.
코튼은 통치자의 신앙적 책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성경 뿐만이 아니라 자연법에도 호소한다.
Cotton appeals not only to Scripture in support of magistrates’ religious responsibilities but also to natural law.
앞에서 본 바와 같이, 그는 "자연의 빛"을 가리키면서 자신의 입장을 변론한다. 그리고 그는 역시,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고찰해보겠지만, 모세법은 신성 모독을 하는 이들을 사형 하도록 명하고 있으며, 사람들을 우상 숭배하도록 유혹하는 이들은 영구적으로 구약의 법의 도덕적 평등에 묶이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As seen above, he defended his position by pointing to the “light of nature” and he also argued, as will be considered in more detail below, that the Mosaic legislation prescribing execution of blasphemers and those seducing people to idolatry is part of the permanently binding moral equity of the Old Testament law.
지속적으로 두 왕국 교리에 대한 세심함을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코튼은 자신의 초기 개혁 주의 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사고의 지속적인 갈등과 심지어 모순적이라는 의심에서 벗어 날 수가 없었다.
Despite these indications of a continuing sensitivity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Cotton, like his fellow early Reformed theologians, cannot escape suspicion of lingering tension and even inconsistency in his thought.
비록 다른 이들이 좀 더 추가한다고 하더라도, 나는 코튼의 신학과 사회적 적용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네 가지 점들을 제시하려고 한다.
Though others might be added, I suggest four points which remain unresolved in Cotton’s theology and social practice.
첫 번째는 앞에서 간단히 언급한 것이다.
The first involves a matter noted briefly above.
하나님이시면서 창조주이신 아들에 의하여 다스림을 받는 국가를 구속의 중재자로서의 하나님이시면서 사람이신 아들에 의하여 다스림을 받는 교회와 구분한 후에, 그는 더 나아가 국가가 성경의 법을 수용하게 된다면 이는 그리스도의 국가, 더 나아가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After differentiating the civil from the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in that the former is ruled by the Son as God and creator and the latter by the Son as God-Man and mediator of redemption, he proceeds to claim that a state that adopts biblical law becomes the kingdom of Christ “even as Mediator.”
이러한 내용과 그 밖의 것들을 보더라도 코튼이 국가와 교회의 통치에 대한 구분을 마무리하는 것을 원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아직 요한계시록 11장15절을 (의심스럽지만) 기초로 한 이와 같은 주장은, 코튼에게 통치자가 종교적 순수성을 강화하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분명히 중요한 것이다.
In this context and elsewhere it is clear that Cotton does not wish to extinguis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s, yet this claim, based (dubiously) on Revelation 11:15, is clearly important for Cotton’s justification of the magistrate’s enforcement of religious purity.
그러나 코튼은 기독교를 받아들인 국가가 어떻게 그 본질적 성격을 바꾸어야 할지 혹은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Cotton, however, does not explain if or how exactly a state’s embrace of Christianity changes its essential nature.
국가가 특별히 창조자로서의 하나님의 통치를 받을 것이지 아니면 국가가 이를 일방적으로 바꿀 것인지는 코튼 신학의 모호성을 남겨주는 것이다.
Whether the state continues to be ruled by God specifically as creator or a unilateral action of the state changes that remains an ambiguity in Cotton’s theology.
두번째로 코튼에게는 교회만의 권위를 행사하는 수단, 특히 말씀의 선포에 의한 힘에 대한 확신이 놀랄 만큼 결여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Second, Cotton exhibits a surprising lack of confidence in the power of the church’s appointed means of exercising its authority, particularly the preaching of the word.
예를 들어서,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비록 영적인 무기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맡기신 목적에 절대적으로 충분하다고 하더라도...: 아직 이단이 계속적으로 완고하다면, 그리고 지속적으로 꾀어내는 일을 한다면, 교회로 잠입하여 몰래 들어온다면, 사로잡은 어리석은 영혼들을 이끌어낸다면, 그리고 누군가의 믿음을 파괴한다면, ... 이러한 파괴된 부분들은 또 다른 무력으로 근절 시켜야 하며, 이것은 통치자의 손에 헛되게 있는 것이 아니다."
For example, he makes the following statement: “Though the Spiritual weapons be absolutely sufficient to the end for which God hath appointed them ...: yet if an Heretic still continue obstinate, and persist in seducing, creep into Houses, lead captive silly souls, and destroy the faith of some, ... such Gangrenes would be cut off by another Sword, which in the hand of the Magistrate is not borne in vain.”
그러면 사실 하나님께서 지명하여주신 영적인 무기의 목적이 무엇이란 말이가?
What in fact are the ends for which God has appointed the spiritual weapons?
코튼이 작성을 도울 수 있었으며,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참석에 대한 초대를 받아들일 수 있었던 문서로서의,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은 다음과 같은 서술을 통하여 그 시대의 통일된 개혁 주의 관점을 표현하고 있다. "하나님의 성신께서 말씀의 낭독,특별히 강설을 효력 있는 방도로 쓰셔서 죄인을 설복하고 회개시키며,거룩함과 위로로 그들을 세워서 믿음으로 구원에 이르게 합니다."(소요리문답89)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a document that Cotton could have helped to compose had he been able to accept the invitation to attend the Westminster Assembly, expresses the consensus Reformed view of the era in stating that “The Spirit of God maketh the reading, but especially the preaching of the Word, an effectual means of convincing and converting sinners, and of building them up in holiness and comfort, through faith, unto salvation” (Answer 89).
만약에 하나님의 말씀이 이러한 일에 대하여 진실로 "절대적으로 충분하다"면, 국가의 무력이 "분별력이 없는 영혼"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는, 여기서도 표현되었고 많은 다른 곳에서도 표현된, 코튼의 확신이 그의 생각과 모순되는 요소로 보일 수 밖에 없다.
If the spiritual word of God was indeed “absolutely sufficient” for such a task, then Cotton’s conviction, expressed here and so many other places, that the civil sword was also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silly souls” seems to be an inconsistent element in his thought.
(코튼의 해결되지 않은) 세번째 점은 그가 국가의 권력이 오직 외적이고 일시적인 것에만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영혼의 내적인 일에도 그러한지에 관하여 일관성이 없이 이야기한다는 것이다.
The third point is that he speaks inconsistently in regard to whether the state’s authority extends only to external, temporal things or also to internal matters of the soul.
내가 이미 앞 장에서도 제시 하였듯이, 두 왕국을 육체와 영혼 그리고 외부와 내부의 의미로만 구분하는 일반적인 개혁 주의의 적용은 구분의 핵심을 전체적으로 적절하게 잡아주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두 왕국 교리를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데 실패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In previous chapters I have suggested that the common Reformed practice of distinguishing the two kingdoms in terms of body/ soul and external/internal was not entirely felicitous for capturing the point of the distinction and that this may have contributed to failure to put the two kingdoms doctrine into consistent practice.
비슷한 관찰을 코튼에게 적용해본다.
Similar observations apply to Cotton.
그가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차이를 구분하는 전형적인 개혁주의의 네가지 방식을 보게 되면, 코튼은 "외향적인 사람"과 그의 "외적인 명예, 정의와 평화"를 국가 관료의 관할 하에 두고 있는 반면에 "내향적인 사람"과 "보존, 향상, 그리고 영혼의 구원"은 교회 기관의 관할 하에 둔다.
In his typically Reformed fourfold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Cotton puts the “outward man” and his “outward Honour, Justice and Peac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ivil administration, while he reserves the “Inward man" and the “Conservation, Edification, and Salvation of Souls” to the jurisdiction of the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윌리암스와의 논쟁에 있어서 그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통치자의 책임을 육체와 국민의 선에 제한하고서, 그들의 영혼을 돌보는 일에서 제외 시킨다면 그것은 세속적이고 세상적이며, 진실로 사악한 상상이다."
Yet in his debate with Williams he also claims that “It is a carnal and worldly, and indeed, an ungodly imagination, to confine the Magistrate’s charge, to the bodies, and goods of the Subject, and to exclude them from the care of their souls.”
이 두 가지 주장은 차라리 정면으로 모순이 되며, 심지어는 코튼이 자신의 저술을 통하여 정립한 다른 확신들에 대하여 결정적인 것처럼 보인다.
These two claims stand in rather forthright contradiction, yet both seem crucial for various other affirmations that Cotton makes throughout his writings. Here again, therefore, one finds inconsistent claims in Cotton’s thought.
마지막으로, 코튼의 생각은 국가의 통치자가 영적인 분별력이라는 커다란 짐을 져야 한다는 내적인 긴장감에 이르게 된다.
Finally, Cotton’s thought runs into internal tension in placing a great burden of spiritual discernment upon civil magistrates.
위에서 표현된 코튼의 사회적 시각에 대한 여러가지 면들을 고려해볼 때 분명한 것은, 통치자가 사람들이 신앙에서의 믿음과 예배로 인하여 벌을 받아야 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실제로 잘못된 관점을 고수하는지 그리고 그 잘못이 근본적인지 혹은 부차적인 것 인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When one considers the various aspects of Cotton’s social vision presented above, it is evident that magistrate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people should be punished for religious belief or practice, must determine whether a person does in fact hold an erroneous view and whether an error is fundamental or peripheral.
코튼이 윌리암스에 반하여 기록한 많은 부분이 사실 교회의 순수성과 그리스도인의 영국의 교회와 분리되어 가져야 할 의무들에 대한 것들이다.
Much of what Cotton wrote against Williams, in fact, concerned the purity of the church and what sort of obligation Christians had to separate from the Church of England.
그리고 윌리암스가 종교적 순수성에 대한 탐구에서 상당 부분 자신의 경우를 정립하였기에 이것은 그들의 논쟁에 필요한 것이다.
And this was necessary for their debate, since Williams built so much of his own case on his quest for religious purity.
그러나 이러한 신학적 논쟁을 다룰 가장 잘 훈련 받은 사람은, 목회자들로서, 바로 코튼이 국가적 직책에서 배제 시킨 사람들이다.
Yet the very people best trained to deal with such theological disputes, the ministers, were the very ones that Cotton excluded from holding civil office.
코튼이 신뢰하면서 일을 맡기려는 사람들은 수준 높은 신학 훈련을 받지도 못했으며 교회를 교리, 예배, 그리고 행정적으로 개혁 한다던지 그리고 심지어는 코튼과 윌리암스와 같은 훈련 받은 신학자들 사이의 논쟁을 판단하는 것과 같은 다른 영역에서의 능력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이다.
Cotton entrusted those not having advanced training in theology and possessing competence in other areas with tasks such as reforming the church in its doctrine, worship, and government and even in judging disputes between trained theologians such as Cotton and Williams.
그러므로 그의 많은 개혁 주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존 코튼은 자신의 두 왕국 교리와 신앙적 순수성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 통치자의 과업이라는 두 가지 주장으로부터 나온 상당 수의 신학적이고 실천적인 불일치를 보이면서 살았다.
Like so many of his Reformed contemporaries, therefore, John Cotton lived with a number of theological and practical inconsistencies stemming from his dual assert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and the task of the civil magistrate to guard religious purity.
비록 그는 교회와 국가간의 제도적 구분을 절대 포기하지 않고 이들의 기능의 차이를 옹호하지만, 결국에는 이러한 생각이, 윌리암스가 제기하는 위협에 대항하여 국가적 신앙을 변론하고자 하는 열정에 직면함으로 인해서, 퇴색 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결론을 피할 수가 없게 된다.
Though he never abandoned the institutional distinc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and advocated some differenti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end it is difficult to avoid the conclusion that these ideas tended to fade into the background in the face of his zeal to defend civil religion against the threat that Williams posed.
이러한 경향이 더욱 악화되면서 코튼은 강력한 후천년적 종말론을 받아들이면서, 구약의 이스라엘을 자신의 사회적 관점의 모델(현재의 그리스도인의 존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바벨론에 있는 이스라엘로 보는 어거스틴과 상당한 대조를 이룬다)로 보면서, 그리스도인의 삶을 자신의 참된 고향에서 떠나온 순례자적인 삶(심지어 칼빈을 포함하여 이 세상의 활력에 적합화 된 생각)으로서의 이해로 발전시키지 않았다.
To exacerbate these tendencies, Cotton embraced a strong postmillennial eschatology, readily looked to Old Testament Israel as a model for his social vision (in striking contrast to an Augustine who looked to Israel in Babylonian exile as the model for understanding present Christian existence), and did not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life as a pilgrimage away from one’s true home (an idea that tempered even Calvin’s this-worldly energy).
요약하면, 코튼의 저술들은 17세기 개혁주의 사고에서 두 왕국 교리가 계속적으로 현존하고 있었다는 것과 이러한 신학적 전통이 사회적 문제에 일관성 있게 적용되는 것이 종종 실패하였다는 것을 모두 보여주고 있다.
In short, Cotton’s writings evidence both the continuing presence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in seventeenth-century Reformed thought and the frequent failure of this theological tradition to apply it consistently in social matters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적 표준으로서의 자연법 (0) | 2017.08.08 |
---|---|
존 코튼과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 (0) | 2015.05.02 |
존 코튼과 두 왕국 (0) | 2015.04.20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 2015.04.17 |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과 국가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문제들 (0) | 2015.04.15 |
존 코튼과 두 왕국
Cotton and the Two Kingdoms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216-220을 번역한 것이다.
존 코튼은, 뉴잉글랜드 신정주의자로서 이해되고 있는 명성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대에 보편적이었던 개혁 주의의 두 왕국 신학을 반영하고 있는 많은 관점들을 지지하였다.
John Cotton, despite his understandable reputation as a New England theocrat, espoused many views reflecting the commonplace Reformed two kingdoms theology of his day.
이번 단락에서 나는 그의 저술들 가운데 이러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는 여러 곳들을 논할 것이다.
In this subsection, I discuss various places in his writings where he adopts this point of view.
이것이 완성된 후에는 그의 별로 알려지지 않은 통치자와 신앙에 대한 관점으로 돌아와서 그가 어떻게 이것들이 그의 두 왕국의 범주에 융화 되어 가는 지를 보여줄 것이다.
When this is accomplished I will turn to his infamous views on the magistrate and religion and reflect upon how they cohere with his two kingdoms categories.
코튼이 초기 개혁주의 전통에서의 두 왕국 가르침을 보여주는 한 가지 방법으로 교회를 그리스도의 나라가 이 땅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된 형태라고 보는 것이다.
One way in which Cotton reflected the two kingdoms teaching of the early Reformed tradition was by identifying the church as the earthly manifestation of the kingdom of Christ.
예를 들어서 하늘 나라의 본질을 논할 때, 그는 "하늘 나라가 여기 있다는 것은, 교회로서의 은혜의 나라와 최상의 하늘에 있는 영광의 나라, 모두를 의미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For example, when discussing the keys of the kingdom of heaven, he writes: “By the kingdom of heaven is here meant both the kingdom of grace, which is the church; and the kingdom of glory, which is in the highest heavens.”
코튼에 따르면, 이러한 교회는 "영적임"몸으로서 이는 세속적인 것에 관련하여 수행할 능력이 있는 국가로 부터 구별되어 존재하는 것이다.
This church, according to Cotton, is a “spiritual” body, and as such it stands in distinction from the state, whose competence concerns “civil” things.
그는, 유일하게 지혜로우신 하나님께서 2가지 종류, 즉 교회와 국가의 통치 형태에 맞도록 지정하셔서,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권력으로, 각각 인간의 내적 그리고 외적인 상태에 상응하도록 하셨다고 설명한다.
He explains that the “only wise God hath fitted and appointed two sorts of Administrations, Ecclesiastical and Civil,” corresponding to the inward and outward conditions of the human person, with each having power suitable to its character.
각각의 통치는 이러한 다른 상태에 대한 혼동이 없이 수행되어야한다.
Each administration must do its business “without confounding those two different states.”
코튼은 이것들을 구분하면서, 교회를 "거룩한 것의 거룩한 연합을 위하여 믿는 자에게 명하신 하나님의 제도"로, 그리고 국가를 "인간적인 것의 시민적 협력을 위하여 하나님에 의하여 사람에게 명하신 인간의 제도"라고 부른다.
Cotton goes on to differentiate them by calling the church “a Divine Order appointed to believers for holy communion of holy things” and the state a “Humane Order appointed by God to man for Civil Fellowship of humane things.”
티모디 홀이 기록한 것과 같이, 코튼과 같은 뉴 잉글랜드 청교도들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를 분명히 구분함으로서 이르 보는 현대의 독자들을 당황스럽게 할 뿐만이 아니라, 이들은 존 칼빈으로부터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와 국가의 관할 구역은 완전히 구별되는 것이라고 배운 듯이 보인다.
As Timothy Hall notes, it may seem baffling to modern readers to see New England Puritans such as Cotton distinguishing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so clearly, but they do seem to have “learned from John Calvin that ‘Christ’s spiritual kingdom and the civil jurisdiction are things completely distinct.’”
코튼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를 4가지의 특별한 차이점으로 구분을 하여 나아가는데, 이는 앞의 장에서 관찰한 바와 같이 투레틴이 20년 후에 제네바에서 하였던 구분과 매우 닮은 것이다.
Cotton proceeds to identify four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that closely resemble the distinctions that Turretin would make a couple of decades later in Geneva, as observed in the previous chapter.
코튼은, 그리스도만이 그 안에서 입법적인 힘을 가지고 있는 교회가 경륜적 힘 만을 가지고 있는데 반하여, 국가는 백성들에 대하여 군주적 힘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First, Cotton asserts that while the church has an economical” power only, with Christ alone possessing legislative power within it, the state has “lordly” power over its subjects.
그 밖에도 코튼은 이러한 구분에 대하여 좀 더 길게 풀어서 설명을 하면서, 교회의 경륜적 능력은 "목회적"이고 "관리적"이라고 규정한 후에, 교회의 법정은, 국가가 많은 재량을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무관한 것에 대하여 명령할 권한이 없으며, 그리스도가 ( 성서에서) 명령하고 위임한 것에 한정하여 요구를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Elsewhere Cotton unpacks this distinction at greater length, defining the economical power of the church also as “ministerial” and “stewardly,” meaning that church courts, in contrast to the wide discretion possessed by the state, have no authority to command things that are indifferent but are confined to enjoining those things for which Christ (in Scripture) has given “injunctions” and “commission.”
교회 권위를 성서에서 볼 수 있는 섬김에 제한하는 것은 신자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유에 관한 고전적인 개혁주의 사고를 근거로 하고 있는데, 이는 앞의 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자체가 두 왕국 교리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이다.
This limitation of church authority to ministering the things found in Scripture was grounded in classic Reformed notions of the Christian liberty of believers in regard to spiritual things, which was itself grounded in the two kingdoms doctrine, as also considered in previous chapters.
국가와 교회의 권위에 대한 코튼의 두 번째 구분은, 같은 사람이 이러한 두 권위에 대상이 되는 차별화된 방법과 관계가 있다.
Cotton’s second difference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concerns the distinct ways in which the same people are subjects under these two authorities.
국가의 대상은 "본성적으로 이성적이고 사회적인 피조물로서, 국가의 질서를 지킬 능력이 있다."
The subject of the state is “Man by Nature being a Reasonable and Sociable Creature, capable of Civil Order.”
다른 한편으로, 교회의 대상은, "은혜에 의하여 이 세상으로부터 그리스도와 교제하도록 부름을 받은 사람이다."
The subject of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is “Man by Grace called out of the world to fellowship with Jesus Christ.”
코튼에게 이것은, 모든 사람이 국가의 대상이 되는데 반하여 오직 그리스도인 만이 교회의 대상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for Cotton, that all people are subjects of the state but only Christians are subjects of the church
신자는 내적인 사람으로서 교회에 종속되는데 반하여 외적인 사람으로서는 보통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국가의 권력에 종속된다.
Believers are subject to the church in their “inward man” while in their “outward man” they are “subject to the Civil Power in common with other men.”
두번째 구분이 두 권위에 종속되는 사람에 관한 것이라면 세번째 구분은 특이한 방법들로서 이들 모두에 효력이 있으시며 저자가 되신 하나님에 관한 것이다.
While this second difference concerns the people who are subject to the two authorities, the third difference concerns God who is “the efficient and author of them both,” yet in distinct ways.
하나님은 이 세상의 창조자로서 그리고 통치자로서 국가의 통치를 제정하신 분이시지만 또한 그리스도 안에서 그 분의 백성과 언약을 통해서 교회 통치를 제정하신 분이시다
God is author of the civil administration “as the Creator and Governor of the world” but is author of the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as in Covenant with his People in Christ.”
코튼이 이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하는 것으로 인하여 연상되는 러더포드나 투레틴과 같은 인물들은 앞의 장에서 논한 것과 같이 그리스도의 창조주로서 그리고 구속주로서의 이중적 왕권을 연상시킨다.
Cotton further explains this distinction with words reminiscent of figures such as Rutherford and Turretin concerning Christ’s twofold kingship over creation and redemption, as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그는 그리스도의 존재를 말하면서 그가 이 세상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가장 중요하신 말씀이시면서 지혜이신 면에서는 국가 체제와 통치의 능력이시며 원천이시라고 말하고, 또한 그가 새 언약의 중재자이시며, 교회의 머리되신분으로서는 교회의 체제를 세우신 분이라고 말한다.
He speaks of Christ being “the Efficient and Fountain of Civil Order & Administrations” insofar as he is “the Essential Word and Wisdom of God creating and governing the World” and speaks of him establishing the ecclesiastical order insofar as he is “Mediator of the New Covenant, & Head of the Church.”
그러므로 코튼에게는,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과 같이, 아들 (예수 그리스도)이 하나님이시면서 창조주로서 국가를 다스리시고, 하나님이시면서 아들이신 구속자로서는 교회를 다스리신다.
Thus, for Cotton as for other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the Son rules the state as God and creator and rules the church as God-Man and redeemer.
코튼이 분류한 국가와 교회 통치의 네 번째 구분은 각각의 목적에 관계된 것들이다.
The fourth difference between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s that Cotton identifies concerns their respective ends.
비록 양쪽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이지만, 그것들의 부차적인 목적은 다르다.
Though the ultimate end of both is the glory of God, their penultimate ends differ.
국가 통치의 목적은 "외형적 체면을 위한 인간 사회의 보존, 정의 그리고 평화"인 반면에 교회 통치의 목적은 "보존, 의식 고양, 그리고 영혼들의 구원, 죄의 용서, 죄를 대적하는 능력, 하나님과의 화평등"이다.
The end of civil administration is the “Preservations of Humane Societies in outward Honor, Justice and Peace” while the end of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is the “Conservation, Edification, and Salvation of Souls, Pardon of Sins, Power against Sin, Peace with God, &c.”
그러므로 이 두가지 통치의 대상도 다르다, 세속의 권력은 "육체"와 "이 생의 것들"이며 교회의 권력은 "사람의 영혼과 양심, 교리와 하나님을 예배함, 성도의 교통"이다.
Hence, the objects of these two administrations also differ, the civil power having concern for “bodies” and “the things of this life” and the ecclesiastical power for “the Souls and Consciences of men, the Doctrine and Worship of God, the Communion of the Saints.”
이러한 근본적 구별에 더하여, 코튼은 그 밖에도 다른 핵심적 구분을 하고 있는데, 이도 역시 일반적인 개혁 주의의 생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교회와 국가에 속하여있는 다른 도구들이라는 것이다.
In addition to these basic distinctions, Cotton elsewhere notes another key distinction that also reflects common Reformed notions, that of the different weapons belonging to church and state.
코튼은 "무력"을 그것이 "육체적 삶과 죽음"을 다루는 한에서 국가의 권위와 연관 시킨다.
Cotton associates the “sword” with the civil authority, insofar as it deals with “bodily life and death.”
그는 교회가 무력을 사용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고서 대신에 "천국의 열쇠"로 "설교와 성례, 교회의 치리와 같은 예식을 그리스도가 교회에서 제정하셨음"을 인식시키고 있다.
He prohibits the church from wielding the sword, however, and instead recognizes the “keys of the kingdom of heaven” as the “ordinances which Christ hath instituted, to be administered in his church,” namely preaching, sacraments, and ecclesiastical censures.
이렇게 구분을 한 후에, 코튼은 두 가지 체제와 집행에 있어서 지켜져야 할 "결합된 조화"를 호소하고 있다.
Having made such distinctions, Cotton appeals for a “joint harmony” to be kept between the two orders and administrations.
그는 양 극단에 대하여 경고하고있다.
He warns against two extremes.
첫째로는 잘못된 적용으로서, "영적인 권력"을 국가 통치자에게, 혹은 "국가의 권력"을 교회의 성직자에게 적용하는 것으로서, "그는(성직자는) 오직 영적인 일에만 관여하도록 부르심을 받은 것"이며 "세속적인 얽힘으로 인하여 혼란스럽게 되서는 안되는 것이다."
The first is “confounding” them, such as by giving “Spiritual Power” to the civil magistrate (an error which he identifies as Erastian) or by giving “Civil Power” to the officers of the church, “who are called to attend only to Spiritual matters” and ought not “be distracted from them by Secular entanglements.”
여기서 그는 교회 성직자와 교회의 일원을 구분하고 있으며, 후자는 이 생에서 모든 "세상적인 국가적 사업을 수행"하는 일에 고용되었을 수 있는데 반하여 전자에게는 국가의 권력이 주어져서는 안된다.
Here he also distinguishes between church officers and church members, the latter of whom may be employed in the things of this life “to carry on all worldly and civil business” but the former of whom ought not to have civil power.
두 번째 극단은 국가와 교회의 체제를 서로 대립 되는 반대 편에 놓는 것이다.
The second extreme is that of setting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orders “in opposition as contraries.”
대신에, 그는 이들이 서로가 서로를 도우며 각자의 역량 안에서 서로가 서로에게 종속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Instead, he calls for them to provide mutual help for each other and to be subject to each other in their respective competencies.
그러므로 국가의 통치자는, 교회가 자신들이 국가 권위를 실행하는데 방해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영적인 일에 있어서는 교회의 권위를 존중해 주어야 한다.
Thus, civil magistrates must be submissive to church authority in spiritual things even while the church ought not to interfere with their exercise of civil authority.
코튼은 자신의 개혁주의 선배인 Franciscus Junius를 인용하면서 "그리스도인으로서" 통치자는 "그리스도의 거룩한 무리의 거룩한 양"이지만 "통치자로서" 그는 "공공의 질서의 보존자"임을 보여주고 있다.
Cotton quotes his Reformed forebear Franciscus Junius to show that “as a Christian” the magistrate is a “holy sheep of Christ’s holy flock” but that “as a Magistrate” he is a “preserver of public order.”
이 모든 일에 있어서 코튼은 일반적인 16-17세기의 개혁주의 두 왕국 의견을 제시한다.
In all of these matters, Cotton sets forth common sixteenth- and seventeenth-century Reformed two kingdoms sentiments.
그러나 이것은 코튼이 항상 완전히 명확하다는 것은 아니며, 심지어 그가 이러한 범주에서 사용하는 것들도 마찬가지다.
Yet it is not as if Cotton is always perfectly clear even in his use of these categories.
예를 들어서, 그가 로저 윌리암스와 주고 받은 대화에서 발견된 해석하기 어려운 구절 가운데, 코튼은 "교회와 국가는 아직 구별되는 나라들로서, 하나는 이 세상의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하늘의 것"이라고 확인하면서 "세속의 임시적인 이스라엘"이 오늘날 세워져야 한다는 것을 부인하고 있다.
For instance, in a difficult passage to interpret found in his exchanges with Roger Williams, Cotton affirms that “Church and Commonwealth are still distinct Kingdoms, the one of this world, the other of Heaven,” and denies that “a Civil and temporal Israel” is to be established today.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리스도가, 교회에서 뿐만이 아니라 이 땅의 모든 나라의 통치에서도 (중재자로서) 영원한 나라를 즐거워한다"고 주장한다.
Nevertheless, he also asserts that “Christ hath enjoyed (even as Mediator) an everlasting Kingdom, not only in the Church, but in the Government of all the Kingdoms of the earth.”
이러한 주장이 위에서 논의한 국가와 교회의 권위 사이의 세 번째와 네 번째의 근본적인 구분과 대립 되는 것과 같아 보이지만, 그는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변론 하는 진술을 한다. "이 땅의 나라들은 우리 주의 나라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자기들의 법을 하나님의 말씀의 법에 복종 시킬 때 그렇게 된다."
He defends this assertion, which seems to contradict the third of his four basic distinctions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discussed above, by stating that “the Kingdoms of the earth are then said to be the Kingdoms of our Lord, when they submit their laws to the laws of his word.”
비록 코튼은 여기서 성서 본문을 인용하고있지 않지만, 그는 "세상 나라가 우리 주와 그의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어"를 말하고 있는 요한 계시록 11장 15절을 언급하는 것 같다.
Though Cotton does not cite a Scripture text here, it is likely that he is referring to Revelation 11:15, which speaks of the kingdoms of the world becoming the kingdom of the Lord and of his Christ.
요한 계시록 11장 15절의 이러한 말씀은, 그리스도의 재림과 함께 역사의 마지막에 하나님 자신이 행하실 것을 가리키는 일곱 째 나팔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This declaration in Revelation 11:15, however, occurs in the context of the seventh trumpet, seemingly pointing to God’s own action at the end of history with the return of Christ.
그러므로 코튼은 다른 곳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영적인 나라는 구속의 중재자이신 그리스도에 의하여 다스림 받고 세속의 국가는 창조주로서의 그리스도로 인하여 다스림 받음으로서, 이는 역사 속에서, 심지어 그 자신의 시대에서도, 세속의 나라를 하나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중재자이신 그리스도의 지배를 받는 나라로 변화를 시키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인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세속의 나라에서의 인간의 행동을 성서의 법에 복종 시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Cotton, therefore, while elsewhere claiming that the spiritual kingdom is ruled by Christ as mediator of redemption and that the civil kingdom is ruled by him as creator, has apparently moved into history — even into his own day — the transfer of civil kingdoms into a single, overarching kingdom ruled by Christ as mediator, accomplished not by the divine act of Christ’s return but by the human act of civil states submitting their laws to Scripture.
이 분야에서의 코튼의 생각의 틀을 좀 더 폭 넓게 그리기 위하여, 나는 그의 국가의 통치자와 그들의 종교적 책무에 대한 그의 관점과, 완전히 무효화 시키지는 못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국가와 교회의 권위에 대한 구분을 상대화 시키는 그의 관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order to trace the contours of Cotton’s thought more broadly in this area, I now turn to consider his view of civil magistrates and their religious responsibilities, a view that relativizes, though does not completely nullify, the distinctions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described above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코튼과 개혁주의 자연법 전통 (0) | 2015.05.02 |
---|---|
신앙과 국가의 통치 (0) | 2015.04.26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 2015.04.17 |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과 국가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문제들 (0) | 2015.04.15 |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차이점 (0) | 2015.04.06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The Relation of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s in Reformed Orthodoxy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이번 장을 결론짓기에 앞서서 간단하게나마 개혁파 정통주의 시대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성을 숙고해보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
Before concluding this chapter it seems appropriate to reflect briefly on the relationship of the natural law and two kingdoms doctrines in the age of Reformed orthodoxy.
나는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이 이러한 교리에 대하여 확신하고있었을 뿐 아니라 그것의 많은 결과물들을 보았고 이것을 좀 더 큰 교리와 예전의 조직을 비평하는 관점으로 구체화 시켰다는 것을 논했다.
I have argued that Reformed orthodox writers not only affirmed these doctrines but also saw many implications of them and incorporated them as critical aspects of their larger system of doctrine and practice.
그러나 이러한 교리의 한 가지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다른 것들도 확실하게 하는 것과 관련 될 수밖에 없지 않은가?
But was affirmation of one of these doctrines necessarily related to affirmation of the other?
3장에서 나는 이 두 가지 교리가 사실 칼빈과 절대적으로 관계되어 있다고 주장했었다.
In Chapter 3, I maintained that the two doctrines were in fact vitally related for Calvin.
여기서 내가 역시 논의하고자 하는 것은 이 두 가지 교리 (자연법과 두 왕국의 교리)가 많은 부분이 서로의 관계 성에서 볼 때 중요하다는 것이다.
Here I also argue that the two doctrines were important in large part in relation to each other.
개혁파 정통주의와 관련된 자연법과 두 왕국 교리에 관하여 첫번째 고려할 점은 자연법과 세속의 국가는 모두 다 하나님의 구속 사역이 아닌 창조 사역과 섭리에 근거를 두고있다는 것이다.
A first respect in which the natural law and two kingdoms doctrines were related in Reformed orthodoxy is that both natural law and the civil kingdom were grounded in God’s work of creation and providence rather than in his work of redemption.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혁파 정통 주의 저자들은 자연법이 처음부터 행위에 의한 창조 언약으로 주어졌으며 은혜에 의한 구속 언약으로부터 떠나 죄악 가운데 있는 인간들 가운데서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As considered above, the Reformed orthodox writers perceived natural law to be given originally in the creational covenant of works and sustained among sinful human beings even apart from the redemptive covenant of grace.
이와 비슷하게, 이들은 세속의 국가가 창조자로서의 3위 하나님에 의하여 세워지고 통치를 받지만 구속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하시는 그리스도에 의한 것은 아니라고 이해하고 있다.
Similarly, they understood the civil kingdom to be established and governed by the triune God as creator but not by Christ in his specific role as mediator of redemption.
개혁파 정통주의의 자연법과 두 왕국 교리 사이의 근본적인 관계성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한 배경이 된다: 자연법은 세속의 국가를 위한 우선적 표준으로 여겨지지만 영적인 나라를 위해서는 아니다, 이곳에서는 성서가 우선이 된다.
This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ed orthodox natural law and two kingdoms doctrines is important background for the next point: natural law was considered the primary standard for the civil kingdom but not for the spiritual kingdom, where Scripture was primary.
이미 제 1장에서 지적 하였듯이 알수시우스, 러더포드, 투레틴,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9조 4항에서 말하는 바는, 시민법은 자연법에 기초를 두어야 하며, 모세의 시민법을 현재에 적용할 수 있느냐는 그들의 자연법과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Earlier in this chapter I pointed to statements in Althusius, Rutherford, Turretin, and WCF 19.4 which asserted that civil law should be grounded in natural law, even to the point that the present applicability of Mosaic civil laws is determined by their relation to the law of nature.
이러한 점에서, 개혁파 정통주의는 종교개혁 시대와 이전의 중세의 전통 가운데 보편적이었던 주장을 한다.
In this, Reformed orthodoxy made a claim common to the Reformation and medieval traditions before it.
시민법이 자연법에 기초한다는 것은 두 왕국 교리와 관계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심지어 포함이 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투레틴이 세속의 권력과 교회의 권력을 구분하는 7가지의 구분에서도 명확하게 나타난다. 여기서 투레틴은 세속의 권력이 자연적 이성과 시민법 그리고 인간의 상황에 의하여 통제가 되는데 교회의 권력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으로만 통제가 된다고 대비시킨다.
That this grounding of civil law in natural law was closely related to and even incorporated into the two kingdoms doctrine is evident in Turretin’s sevenfold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power, in which he contrasts civil power as that which is regulated by “natural reason, civil laws and human statutes” and ecclesiastical power as that which is regulated by “the word of God alone.”
투레틴이나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에게 이러한 진술이, 성서가 세속의 국가 뿐만이 아니라 영적인 나라에서의 자연법과도 관계가 없다고 말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By such statements, Turretin and other Reformed orthodox writers did not mean to say that Scripture is irrelevant for the civil kingdom nor natural law for the spiritual kingdom.
앞에서 논한 바와 같이, 이들은 모세법이나 구약의 역사에서 세속의 관심사에 대한 서론을 이끌어낸다.
As discussed above, they drew instruction on civil concerns from the Mosaic law and Old Testament history.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러한 것들을 그 시대의 상황 가운데 적용하였는데, 이때는 그들이 최소한 이론적으로 숙고하였던 순간이었으며, 이때는 이들이 자연법에 뿌리를 두고서 획일적으로 모세의 신정 체제에 맞추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때에 한하였던 것이다.
Nevertheless, they applied these things to the contemporary situation, at least in their more theoretically reflective moments, when they believed that they were rooted in natural law and therefore generally applicable rather than uniquely suited to the Mosaic theocracy.
다른 한편으로, 그들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조 6항에 예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역시 자연법이 영적인 나라와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
On the other side, they also believed that natural law has relevance for the spiritual kingdom, as illustrated in WCF 1.6.
1조6항의 처음 부분은 종교개혁 교리의 충분하고 명료함을 분명히한다: "하나님 자신의 영광과 사람의 구원과 신앙과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에 관한 하나님의 전체적인 계획은 성경 안에 분명히 나타나 있으며, 선하고 필연적 결과에 의하여 그 계획을 성경에서 찾아내어질 수 있다. 이 성경에는 어느 때를 막론하고 성령의 새로운 계시나, 또는 인간의 전통에 의해서 그 어떤 것도 첨가되어질 수 없다." 이러한 오직 성서만, 혹은 성서만 홀로,라는 일반적인 확인은 즉시 다음과 같이 조건이 붙는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영의 내적 조명이 말씀에 계시된 그것들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임을 인정한다. 그리고 하나님을 예배함과 교회의 정치와 사람의 행동과 사회에 관한 여러가지 상황들이 있다는 것도 인정한다. 이러한 예배와 교회정치와 사람의 행동과 사회에 관한 여러 상황들은 항상 지켜야 하는 말씀의 일반적 규칙을 따라서 본성의 빛과 신자의 분별력을 통해서 정해져야 한다."
The first part of 1.6 affirms the Protestant doctrine of the sufficiency or perspicuity of Scripture: “The whole counsel of God concerning all things necessary for his own glory, man’s salvation, faith and life, is either expressly set down in Scripture, or by good and necessary consequence may be deduced from Scripture: unto which nothing at any time is to be added, whether by new revelations of the Spirit, or traditions of men.” This general affirmation of sola Scriptura, or Scripture alone, is immediately qualified: “Nevertheless, we acknowledge the inward illumination of the Spirit of God to be necessary for the saving understanding of such things as are revealed in the Word: and that there are some circumstances concerning the worship of God, and government of the church, common to human actions and societies, which are to be ordered by the light of nature, and Christian prud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rules of the Word, which are always to be observed.”
이렇게 조건을 나타내는 두 번째 부분은 (비록 부차적일지라도) 자연법의 영적인 나라에서 하는 역할을 입증해주고 있는 것이다.
The second part of this qualification demonstrates the (albeit subordinate) role that natural law plays in the spiritual kingdom.
비록 성서만이 예배의 요소와 교회 행정을 결정해야 하지만,성서에서 조정하지 않거나 할 필요가 없는 이것과 관련된 정황이나 일들이 있기도 한다.
Though Scripture alone is to determine the elements of worship (see the discussion of the RPW above) and church government, there are circumstances, or incidentals, related to such things that Scripture does not and need not regulate.
예를 들어서, 성서에서는 공동의 예배를 명령하지만 이것이 하루 중 어느 시간에 있어야 하는 지를 말하지는 않는다; 성서에서는 장로들의 교회 행정을 명령하지만 장로 회의를 조정하는 질서의 규칙을 제공해주지는 않는다.
For example, Scripture commands corporate worship but does not say at what time of day it should occur; Scripture commands Presbyterian church government but does not provide rules of order for moderating a presbytery meeting.
성서에서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는 것은 이러한 관심사들이 인간들의 행동과 사회에서의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Scripture does not need to do so because such concerns are “common to human actions and societies.”
이러한 것들은,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세속의 나라의 일들과 비그리스도인들과 관련되어있는 종류의 일이다.
They are, in other words, the sorts of matters that also concern civil kingdom affairs and non-Christians.
이러한 상황에서는 "조심스럽게" 이해되는 "자연의 빛"에 의하여 인도된다.
In such things, “the light of nature,” as understood through “prudence,” is the guide.
그러나 영적인 나라에서의 자연법은 언제나 부차적일 수 밖에 없고 "말씀의 일반적인 원칙"에 의하여 검증되기 마련이다.
But natural law in the spiritual kingdom is always subordinate, being tested by “the general rules of the Word.”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성과 관련된 또 다른 문제는 자연법이, 두 왕국의 렌즈로 볼 때, 비그리스도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선에 대하여 적절한 판단을 제공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One other matter pertaining to the relationship of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s in Reformed orthodoxy is the ability that natural law, when seen through two kingdoms lenses, provides for making relative judgments about the good achieved by non-Christians.
이미 3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칼빈은, 비그리스도인이 세속의 나라의 관점에서 볼 때는 자연의 빛에 의하여 상당한 일들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영적인 나라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연의 빛으로는 하나님으로부터 칭찬을 받을 능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In Chapter 3 I argued that Calvin viewed non-Christians as able to accomplish remarkable things by the light of nature when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ivil kingdom, but as unable to attain the slightest commendation from God by the light of nature when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iritual kingdom.
물론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비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의 천국에서 영원한 상급을 받을 만한 어떠한 것도 할 수 없다는 칼빈의 확신을 공유하고 있다.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of course shared Calvin’s conviction that non-Christians can do nothing that gains them everlasting reward in Christ’s heavenly kingdom.
그러나 그들은, 세속의 나라의 관점으로 볼 때 비그리스도인이 오직 자연의 빛에 의지하여서도 상당한 것을 이룰 수 있으며 심지어는 도덕적으로 옳바르다고 칭찬을 받을 수도 있다는 칼빈의 확신도 공유하고있다.
But they also shared Calvin’s conviction that,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ivil kingdom, unbelievers armed only with nature’s light could achieve marvelous things and even receive praise as morally upright.
그들이 세속의 통치자와 그들의 의무에 관한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종종 고전적 저자들을 인용하는 것은 이러한 주장에 대한 한 가지의 노선을 입증해 주고있는 것이다.
Their frequent citation of classical authors to support their claims about civil magistrates and their duties offer one line of proof for this claim.
그러나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도 역시 이러한 점을 명확하게 반영하고있다.
But Reformed orthodox writers also reflected explicitly on this point.
예를 들어, 알수시우스는 자연법이 어떻게 모세의 시민법으로서 현재에 적용될 수 있는가와 십계명에 요약되어있다는 것을 논의한 후에, 십계명의 행위는 믿음이 없이 행했을 지라도 하나님의 기쁨이 된다는 것이다.
Althusius, for instance, after discussing how natural law determines present applicability of the Mosaic civil law and is summarized in the Decalogue, says that the deeds of the Decalogue, when done out of faith, are pleasing to God.
그는 계속하기를, 그러나 만약에 그들이 신앙이 없이, 혹은 이방인으로서 사도 바울이 진정으로 자연적인 지식이라고 묘사했던 것이나 십계명을 향하여 있는 것을 행하였을 지라도, 이러한 행위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는 것이다.
But if, he continues, “they are performed by an infidel or heathen, to whom the Apostle Paul indeed ascribes a natural knowledge of and inclination towards the Decalogue, these works are not able to please God.
그러나 정치적인 삶에 있어서는 신앙이 없더라도 그것으로 인하여 의롭다거나, 결백하다거나, 올바르다고 여겨질 수 있는 것이다.
But in political life even an infidel may be called just, innocent, and upright because of them.”
그러고는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은 칼빈과 같이 자연법의 교리와 이것의 불신자 가운데서의 적용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두 왕국 교리에 의존하고있다.
Like Calvin, then, Reformed orthodox writers relied upon the two kingdoms doctrine to explicate the doctrine of natural law and its uses among unbelievers.
이렇게 함으로서 그들은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에서, 비록 후자에서는 불분명하지만, 디오게네스주의자들과 어거스틴주의자들이 확신하는 (영원한 것과 영적인 나라에서의) 대립과 (현세의 세속적인 나라에서의) 공존에 대하여 명확한 개혁주의적 강조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In doing so, they indeed provide a distinctive Reformed articulation of the Diognetian and Augustinian affirmation of both antithesis (in terms of eternal things and the spiritual kingdom) and commonality (in terms of temporal things and the civil kingdom)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even if often ambiguously on the latter prong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앙과 국가의 통치 (0) | 2015.04.26 |
---|---|
존 코튼과 두 왕국 (0) | 2015.04.20 |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과 국가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문제들 (0) | 2015.04.15 |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차이점 (0) | 2015.04.06 |
두 왕국의 성격과 속성 (0) | 2015.04.01 |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과 국가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문제들
The Relationship of Church and State and the Question of State Involvement in Religious Affairs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192-205를 번역한 것이다.)
이번 장에서는, 두 왕국 교리를 좀 더 연속적으로 완성 시키고자 먼저의 자료를 케이스로 제시하고, 또한 개혁파 정통주의의 시대에 칼빈으로부터의 교회와 국가에 대한 이해의 결과를 제시 하고자 한다.
Previous material in this section has put forward a case for the continuity and elaborat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and its implications for an understanding of church and state from Calvin through the age of Reformed orthodoxy.
내가 3장에서 어느 정도의 분량으로 다룬 바 있는 칼빈의 몇 개의 자료가 아직 이번 장에서는 아직 다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A couple of matters in Calvin upon which I reflected at some length in Chapter 3 have not yet been dealt with in this chapter, however.
특히 3장에서는, 국가의 관료에 대한 종교적 관여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는 칼빈의 공헌과, 교회와 국가의 상호 협력 관계에 대한 칼빈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Specifically, Chapter 3 considered Calvin’s views o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of church and state as well as his often troubling attributions of religious concern to civil magistrates.
이번에는 이러한 주제를 개혁파 정통주의 사고 안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It is time now to consider these subjects in Reformed orthodox thought.
이러한 점에서는 놀랄 일이 못되지만,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일반적으로 교회와 국가의 협력에 대한 칼빈의 관점과 그가 국가에 대하여 어느 정도 종교적 책임을 갖도록 한 그의 공헌을 인정하고 있다.
As should be of little surprise by this point, Reformed orthodoxy generally shared Calvin’s view of church-state collaboration and his attribution of certain qualified religious responsibilities to the state.
이를 다양한 각도에서 비추어볼 때, 그 시대의 몇몇 학자들은, 정부가 종교적인 일에 연루되는 것에 관하여 논의할 때 두 왕국과 자연법 교리를 옹호하는 이들 스스로도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In light of this, some scholars of the period have concluded, from various angles, that advocates of the two kingdoms and natural law doctrines were inconsistent with themselves when arguing for state involvement in religious affairs.
칼빈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러한 관점이 두 왕국 교리에 대하여 명백히 일치하지 않고 있다는, 재빠르고 경솔한 포기 움직임은 공정하지 못한 것이다.
As with Calvin, I suggest that quick and facile dismissal of such views as starkly inconsistent with a two kingdoms doctrine is unfair.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판단으로는, 정통주의 자료들은 그들이 두 왕국의 특징(그리고 자연법 교리)에 대하여 여러 점에서 완전히 한 생각으로 적용을 하고 있지 않다는 생각을 완전히 제거해 줄 수 없다고 생각된다.
Nevertheless, in my judgment, orthodox sources cannot completely eliminate the sense that they have not applied their two kingdoms distinction (and natural law doctrine) with entire consistency at every point.
칼빈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황에서는, 이는 이의를 제기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사안인 것이다.
As it was when considering Calvin, this is a very difficult issue to tackle.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은 현대 서구 사회와는 매우 다른 사회 환경에서 살았다.
The Reformed orthodox writers lived in vastly different social circumstances from that of the contemporary Western world.
중세 기독교 체제는 17세기까지 단일화된 기독교 사회 체제로 유지되었다고 추정된다.
The medieval Christendom assumptions about a unified Christian society lived on into the seventeenth century.
그 당시의 모든 왕들은 자신들을 그리스도인이라고 생각했으며 또한 교회의 일들에 대하여 관심이 있었다.
All kings of that day considered themselves Christians and were interested in the affairs of the church.
종교개혁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부분의 사법권에 있어서 오직 교회만이 합법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Despite the Reformation, in most jurisdictions there was only one church recognized as legitimate by most people.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은, 교회와 국가가 서로의 견고한 틀 속에서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관계에 있는 것과, 오직 임시적이고 이론적인 경우에 있어서 우리의 종교적 자유와 교회의 파문과 같은 내용들에 대하여 가르쳐주고 있다.
The Reformed orthodox writers gave instructions about the relationship of church and state geared toward their own concrete setting and considered contexts like our own of religious liberty and ecclesiastical disestablishment (if they did so at all) only in passing and theoretically.
더군다나 그 당시에 종교적 자유를 옹호하는 이들은 신학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요주의 인물로 여김을 받았으며 이것은 종교적 자유에 관하여 더욱 회피하게 하는 요인이 되어버렸다.
In addition, those people in their own day who did advocate religious liberty tended to be theologically and socially suspect, which made the cause of religious liberty all the less attractive.
이러한 것들은 이어지는 논의에서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하며, 그리고 나는 그들의 신학과 범주를 가능한 그들 자신의 의미에서 고려해보도록 할 것이다.
These things must be kept in mind in the following discussion, and I attempt to consider their theology and categories on their own terms as
far as possible.
국가의 관료와 종교에 대한 관계를 다루는데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우선 과제는 앞의 단락에서 논의한 국가와 교회의 영역을 분명하고 날카롭게 구분하는 것은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지 않고 교회와 국가가 서로에 대하여 완전히 독립하여 움직인 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An initial matter to consider touching the relationship of the civil magistrate to religion is that the clear and sharp distinctions between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realms discussed in the previous subsection were never meant to suggest that church and state were to operate in complete independence from one another, without acknowledgement of each other’s existence.
차라리, 칼빈과 같이, 교회와 국가를 보는 개혁파 정통주의의 관점은, 이 기관들이 자신들의 책임을 서로 조화롭고, 협력적이며, 그리고 상호 이익 관계 가운데 실행되도록 하고자 하는 강력한 갈망을 가지고 있었다.
Rather, Reformed orthodox views on church and state, like Calvin’s, contained a strong desire to see these institutions execute their responsibilities in a harmonious, collaborative, and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이러한 주제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기에 이는 이러한 주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만한 초점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had particular concern for this issue (though the crown was never impressed enough to embrace its conclusions) and thus it may serve as a helpful focus for treatment of this issue.
비록 이것이, 같은 사람이 일상에서 관료와 성직 양쪽의 직책을 겸하여 맡을 수 없다는, 두 왕국 신학의 표면적으로 신뢰할 만한 적용인, 일반적 개혁주의의 확신을 형성해주고 있지만, 이는 두 직책 사이의 우호적인 관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Though it made the common Reformed affirmation that the same person should not ordinarily hold the offices of both magistrate and minister (1.9), a seemingly prudent application of two kingdoms theology, it envisioned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offices.
이의 중요한 요건 중의 하나는 교회의 성직자와 국가의 관료는 각자의 재량에 관련된 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상호 복종하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One of its important claims is that the church’s ministers and the civil magistrates stand in a posture of mutual submission in matters of their respective competencies.
"성직자나 교회의 신분으로 있는 이들은 국가 관료에게 복종하여야 하며" "관료의 신분에 있는 사람은 교회에 영적으로, 그리고 교회 기관에 복종 하여야 한다."(1.9).
“The ministers and others of the ecclesiastical estate are subject to the civil magistrate”and “the person of the magistrate”is “subject to the kirk spiritually, and in ecclesiastical government”(1.9).
이것은 후에 좀 더 상세하게 다룰 것이다: " 성직자는, 외적인 일들에 있어서 자신들이 죄를 범하였으면, 심판과 벌을 받아야 하듯이; 관료들도 마땅히 양심과 종교의 일에 있어서 범죄 하였으면, 교회의 규율에 자신을 복종 시켜야만 한다."(1.15)
Later it adds in more detail: “As ministers are subject to the judgment and punishment of the magistrate in external things, if they offend; so ought the magistrates to submit themselves to the discipline of the kirk, if they transgress in matters of conscience and religion”(1.15).
관료의 복종에 관하여는, 성직자가 어떻게 자신들의 권위를 행사하여야 하는지, 알수시우스가 다음과 같이 좀 더 특별히 말하고 있다, "관료라 할지라도 영혼의 잘됨을 위하여 필요하다면, 경고와 견책과 다른 어떤 것에 존중하며 복종하여야 한다."
Regarding the magistrate’s submission, Althusius speaks somewhat more specifically about how ministers may exercise their authority by stating that, toward the eccclesiastical administration, “even the magistrate is subject with respect to warnings, censures, and other things necessary for the welfare of the soul.”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이러한 상호 복종에 더하여, 각각의 권위가 기능에 있어서 서로를 도와야 한다고 권한다:"관료는 교회의 권한을 도와주고, 유지하며, 강화 시켜야 한다.성직자는 그들의 군주를 모든 면에서 말씀에 적합하도록 도와야 하며, 그들이 국가의 일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자신들의 책임에 소홀하지 않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In addition to such mutual submission,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commends each authority to “assist”the other in its work: “The magistrate ought to assist, maintain, and fortify the jurisdiction of the kirk. The ministers should assist their princes in all things agreeable to the word, provided they neglect not their own charge by involving themselves in civil affairs”(1.15).
마지막으로, 각각의 기관은 서로에 대하여 자신의 직무를 적절히 행할 것을 요구하여야 한다: "국가의 권력은 영적인 일이 실행되며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자신들의 직무를 이행하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영적인 통치자는 기독교인 관리에게 정의를 실천하고 악을 벌하며, 자신의 관할 하에 있는 교회의 자유와 평온을 유지하여야 한다."(1.10)
Finally, each authority is to command the other to do its own work properly: “The civil power should command the spiritual to exercise and do their office according to the word of God. The spiritual rulers should require the Christian magistrate to minister justice and punish vice, and to maintain the liberty and quietness of the kirk within their bounds”(1.10).
이러한 진술은 마치 상호 조언하는 것 이상의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되며, 각각의 기관이 자신들의 일을 어떻게 하여야 할 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도록 나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statement reads as though little more than mutual exhortation were in mind, leaving each authority to make its own determinations about how it is to do its job.
그러나 나중에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이를 넘어서는 중요하고 결정적인 단계로 나아가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비록 성직자가 국가의 재판권을 행사하지는 않지만, 이들은 당연히 관료에게 말씀에 따라서 어떻게 행하여져야 하는 지를 가르쳐주어야 한다"(1.14)
Later, however,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seems to take a significant and striking step beyond this, adding that though “ministers exercise not the civil jurisdiction,”they ought to “teach the magistrate how it should be exercised according to the word”(1.14).
그렇다면, 교회는 관료에게 단순히 그들이 마땅히 행하여야 할 것을 상기 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자신들의 일을 하여야 하는 지를 실질적으로 가르쳐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church, then, is actually to teach magistrates how to do their own work, not simply to remind them that they ought to do it.
심각하게도, 이러한 교사적 책임은 오직 교회로부터 국가로 향하는, 한 방향으로만 흘러간다는 것이다,
Significantly, this pedagogical responsibility only runs in one direction, from the church toward the state.
이러한 사실은, 16세기 스코틀랜드에서 두 왕국 교리가 위장된 신정 체제라는 의심을 받게 되었던 주요 요인이었다.
This fact has been a leading cause for suspicion that the sixteenth-century Scottish two kingdoms doctrine was theocracy in disguise.
교회와 국가의 협력에 대하여 간단하게 언급할 만한 가치가 있는 또 하나의 적합한 사안은, 러더포드의 주장으로서, 어떤 사람이 교회의 부당한 판결에 대하여 관료들에게 불평을 할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One other matter pertinent to the collaboration of church and state worth mentioning briefly is Rutherford’s contention that a person may complain to magistrates about an unjust judgment of the church.
그러나 그(러더포드)는 이러한 사람이 관료에게 호소하는 것이, 하나의 재판에서 상급 재판으로 가는 것을 뜻할 수도 있기에, 이러한 일을 허용하지는 않는다.
Yet he does not permit such a person to make an appeal to the magistrate, as that would imply going from one judge to a higher judge.
두 왕국 교리에서 제시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서로가 같은 기준으로 비교 될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함으로서,이러한 기관들의 상호 관계를 확고히 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Here seems to be an attempt to affirm mutual relation while enunciating the incommensurability of these authorities, as the two kingdoms doctrine might suggest.
앞의 단락에서 서술한 실례는 개혁파 정통주의가 취하고 있는 두 왕국 교리와 일치하는 지에 대하여 몇 가지 적합한 질문을 제기한다.
The practices described in the previous paragraph do raise a couple of legitimate questions about the consistency with which Reformed orthodoxy held the two kingdoms doctrine.
국가 관료가 교회에 복종하고 협력하여야 한다는 요구는 주어진 사법 기관이 참된 교회인가에 대한 논쟁의 소지가 없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가능한 것이다.
The requirement that the civil magistrate submit to and assist the church is practically possible provided that there is no dispute in a given jurisdiction about which institution is the true church.
어떻게 국가 관료가 참된 교회를 잘못된 교회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숙련가와 권위자를 얻을 수 있는지, 특히 신학의 섬세한 부분까지도 주요 주제가 되어 심각한 이의가 생길 경우에,두 왕국 전제에 대한 심각한 이의도 우려할 수 있다.
Where there are competing claims, one might wonder, on two kingdoms premises, how the civil magistrate attains the expertise and authority to determine true church from false, especially if competing claims on finer points of theology are at stake.
더군다나, 영적인 기관이 국가 기관에게 자신의 일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를 말하여야 한다는 생각은 역시 두 왕국 교리와 조화를 이루기가 쉽지 않다.
Furthermore, the idea that the spiritual authority should tell the civil authority how to do its job also seems difficult to reconcile with the Reformed two kingdoms doctrine.
만약에 정책이, 알수시우스와 같은 사상가들이 확실하게 믿고 있는 바와 같이, 특별한 숙련과 신뢰가 요구되는 기술의 한 종류라면, 그리고 심지어 국가와 교회의 영역의 기관에서 각기 우선 되는 기준(각각 자연법과 성서)이 다르다면,그렇다면 주로 영적인 일에 훈련되어있는 성직자가 정치적인 문제에 유용하거나 심지어 권위적인 가르침을 제공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의심할 이유가 생길 수 있다.
If politics is a kind of art that requires particular skill and prudence, as a thinker such as Althusius so clearly believes, and if there are even different primary of authority in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realms (natural law and Scripture, respectively), then there seems to be reason to doubt that ministers, whose training lies in spiritual things, have the competence to offer useful and even authoritative instruction on political matters.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왕국 교리로, 일반적인 내용으로서, 교회와 국가, 성직자와 관료가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존재할 수 있는 체제를 강화 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가능한 듯이 보인다.
Nevertheless, the two kingdoms doctrine would seem reasonably able, as a general matter, to undergird a system in which church and state, minister and magistrate, coexist in relative harmony.
체계화 시키기가 더욱 어려운 것은 두 왕국에 대한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과 이에 상응하는 교회-국가의 구분을 국가가 종교적 일에 관여하는데 연계 시키는 것이다.
More difficult to systematize is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y of the two kingdoms and corresponding church-state distinctions with its support of state intervention on religious matters.
이러한 생각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 가능한지 혹은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을 하기 전에, 관료들과 종교에 대한 주제를 다룬 몇몇 대표적인 개혁파 정통주의의 저자들의 기록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Before we return to the question of whether and how these ideas might be harmonized, some description of what representative Reformed orthodox writers wrote on the subject of magistrates and religion is necessary.
우선 알수시우스는 "교회의 통치"라는 장에서 이러한 질문을 어느 정도의 분량으로 다루고 있다.
Althusius, first, deals with this question at some length in his chapter on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공적 기능에 대한 통치에는 교회나 세속의 영역이 모두 포함된다고 설명한 후에 그는 양쪽이 모두 통치자에게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After explaining that the administration of the public functions of the realm is either ecclesiastical or secular, he asserts that “both are of concern to the magistrate.”
교회를 통치하는데 있어서 최고 통치자의 관심사는 자신의 통찰력과 변론, 보살핌, 그리고 교회의 일의 방향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의무는 하나님의 명령에 의하여 부과되며, 또한 이성적 논의에 의하여 지지를 받는다.
The supreme magistrate’s interest in the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consists in his inspection, defense, care, and direction of ecclesiastical matters,”duties “imposed upon the magistrate by the mandate of God”and also supported “by arguments from reason.”
이러한 의무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통치자는 정통 종교의 교리를 보급하고 이를 영역 안에서 실행하여야 하며 이것이 보존되고 다음 세대에 전해질 수 있도록 책임을 져야 한다.
In the execution of these duties, the magistrate ought to introduce “orthodox religious doctrine and practice in the realm”and ensure its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to the next generation.
이는 통치자에게 성직과 학부를 설립할 것을 요구한다.
This requires of the magistrate “the establishment of a sacred ministry and of schools.”
관계된 의무 가운데는 제대로 알지 못하고 하나님을 섬기는 자들을 벌하는 일이나, 정통 교리를 법으로 인정하는 일이나, 교회 공의회를 소집하는 일을 포함하고 있다.
Related duties include establishing penalties for those who do not properly acknowledge and worship God, validating orthodox doctrine by law, and calling ecclesiastical synods.
"이러한 것들을 통해서 볼 때 최고의 통치자는 믿음의 교리에 대한 지식과 분별력, 방향성, 정의, 그리고 보급과 관계된 판단에 책임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명백하다"고 그는 기록하고 있다.
He writes: “From these things it is apparent that the supreme magistrate has a responsibility to judge concerning the knowledge, discernment, direction, definition, and promulgation of the doctrine of faith.”
통치자는 관할 지역 안에서 교회의 기관과 감찰을 알리고 유치 하여야 하며, 다른 종교적 의무에 대하여 주최자로서 행하여야 한다.
The magistrate must “announce and hold ecclesiastical assemblies and visitations in every province of the realm”and execute a host of other religious duties.
비록 알수시우스는 참된 종교로부터 떠난 이들을 핍박하는 일을 제재할 것을 조언하였지만, 그는 통치자들에게, 관할 지역 안에서는 오직 참된 종교만을 확립하고 허용하며, 무신론자나 불경건하고, 완고한 사람들은 추방하도록 간곡히 권하였다.
Although Althusius counseled a certain restraint in the persecution of those deviating from the true religion, he exhorted magistrates to establish and permit only the true religion in the realm and to expel atheist, impious, and obstinate people.
러더포드의 관점도 비슷하다. 비록 교회의 뒤 이은 판단이 뒤 따라야 하지만, 종교적 일, 즉 이단이나 잘못된 교리를 분별하는 힘과 무력으로서 적절히 육체적인 벌을 집행하는 통치를, 그는 인정하고 있다.
Rutherford’s views were similar. He grants to magistrates “a care of matters of religion,”which includes “a power to examine heretics and false doctrine”and administer appropriate “bodily punishment with the sword,”though their judgment should be subsequent to the church’s judgment.
통치자도 역시, 목사로 하여금 설교를 할 것과 공의회와 장로로 하여금 말씀의 규칙을 따라서 그리스도의 나라의 키를 사용 할 것을 요구 할 수 있다.
The magistrate also “may command the pastor to preach, and the synod and presbytery to use the keys of Christ’s kingdom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word.”
비슷하게 러더포드도 통치자에게, 설교자나 설교를 하는 교회의 직분자들과, 성례의 집행과 기강에 대하여 분명히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Similarly, Rutherford elsewhere urges magistrates to be sure that there are preachers and other ecclesiastical office-bearers to preach, administer sacraments, and discipline.
더 나아가 이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섬기며, 복음을 고백하고, 신성모독에 대하여 징계하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Furthermore, they should command people to serve Christ and profess the gospel and should punish blasphemy.
투레틴의 관점도 마찬가지로 비슷하다. 통치자들에게 교회의 모든 권한을 주는 것과, 그들에게서 교회에 관한 돌봄을 모두 제거해버리는 양 극단을 거부하며, 투레틴은 "거룩한 것들에 관계되는 많은 권한들이 통치자에게 속하여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Turretin’s views are again similar. In rejecting the two extremes of giving magistrates all ecclesiastical power and removing all care of ecclesiastical things from them, Turretin claims that “a multiple right concerning sacred things belongs to the magistrate.”
도움이 되도록 요약하여 말하자면, 그는 통치자의 종교적 의무에, 성서에 따라서 거룩한 교리와 순수한 예배를 확립하고 유지하며, 교회를 보호하고, 이단을 제재 하며, 말씀의 사역을 보급하고 간직하며, 학교를 개설하고, 성직자가 자신의 의무를 하도록 확실히 하며, 교회 고백의 형태와 기관이 확립되고 보호되도록 근거가 되어주며, 교리나 강령이나 질서에 관한 일을 위한 기독교 회의를 구성해주는 일을 포함 시키고 있다.
In a helpful summary statement, he includes in the magistrate’s religious duties the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sacred doctrine and pure worship according to Scripture, protecting the church, restraining heretics, providing for and cherishing the ministry of the word, opening schools, ensuring that ministers do their duties, causing forms of church confession and government to be established and protected, and constituting ecclesiastical conventions for matters of doctrine, discipline, and order.
비록 투레틴은 통치자가 자신의 백성에게 신앙을 강요 한다거나 이단들을 다루는데 있어서 극단적으로 너무 심하게 혹은 너무 극단적으로 온유하게도 조언할 수 없다는 관점을 부인하지만, 그도 역시 통치자가 이단들을 억제하거나 감시를 하거나 억압을 하며, 심지어는 이단의 수장을 죽이기까지 할 수 있다고 가르치고 있다.
Although Turretin refutes the view that magistrates can compel faith of their subjects and counsels neither “an excessive severity or too great mildness”in dealing with heretics, he also teaches that magistrates can “restrain and check”and “coerce”heretics, and even kill arch-heretics.
이 시대 가운데 통치자가 종교적 일을 수행하는 것을 개혁주의적으로 옹호하는 가장 주목할 만한 예들로는 스코틀랜드 교회와 귀족에 의하여 1638년에 서명된 국민 서약과 1643년 스코틀랜드 교회와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국가 권위자들과 웨스터민스터 총회에 의하여 맺어진 엄숙동맹이 있다.
Among this era’s most noteworthy instances of Reformed advocacy of the magistrate’s involvement in religious affairs was the subscription of the National Covenant in 1638 by the Scottish church and nobility and of the Solemn League and Covenant in 1643 by the Scottish church, civil authorities in England and Scotland, and the Westminster Assembly.
국민 서약에서는 "스코틀랜드의 교회, 왕족, 그리고 이 지역의 3계층"이 개혁주의 기독교에 충성할 것과 "이와 대립되는 모든 종교와 교리, 특히 카톨릭 교리의 모든 종류를"거절하며 혐오할 것을 맹세하였다.
In the National Covenant, “the kirk of Scotland, the King’s Majesty, and the three estates of this realm”swore their allegiance to Reformed Christianity and the abhorring and detesting of “all contrary religion and doctrine, but chiefly all kind of Papistry.”
이들은 하나님의 진실과 그리스도인의 종교, 그리고 이의 순수성을 품었던 의회의 다양한 행동들을 상기시킨다.
They recall various acts of Parliament “conceived for maintenance of God’s true and Christian religion, and the purity thereof.”
한 가지 예가 이를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의 참된 종교의 근원과 그의 높으신 권위는 서로 연계되어있다는 것을 볼 때, 한쪽이 손상된다면 양쪽 다 마찬가지가 되는 것이다; 그러기에 아무도 우리 주권자이신 하나님 앞에서 귀하고 충성된 백성이라고 여겨질 수 없으며, 대적자로 벌을 받을 만하며, 이들은 신앙고백을 할 수 없으며 자신들이 말한 참된 종교에 대하여 진실을 말하도록 하여야 한다."
One example notes that “Seeing the cause of God’s true religion and his Highness’s authority are so joined, as the hurt of the one is common to both; that none shall be reputed as loyal and faithful subjects to our sovereign Lord, or his authority, but be punishable as rebellers and gainstanders of the same, who shall not give their confession, and make their profession of the said true religion.”
국민 서약에서는 이러한 약속을 하여야만 했던 두 가지 이유를 기록하고 있다, "참된 종교를 방어하기 위하여" 그리고 "왕권과 그의 사람들과 신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나님에 대한 참된 예배와 왕의 권위는 바로 직결되어있기에, 그들은 같은 친구들과 일반적인 적을 가지고 있으며, 함께 서고 넘어지는 것이다."
The National Covenant lists two reasons for entering into such a covenant, “for defending the true religion”and “for maintaining the King’s Majesty, his person and estate; the true worship of God and the King’s authority being so straitly joined, as that they had the same friends and common enemies, and did stand and fall together.”
이의 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엄숙하게 밝히고 있다. "우리의 온 마음으로 우리는 동의하며, 그리고 우리의 사는 날 동안 전술한 참된 종교에 충실하며, 방어할 것을 결심하며, 전술한 종교를 고백하고 순종하며; 그리고 우리들의 소명의식과 하나님께서 우리의 손에 넣어주신 힘을 다하여서, 우리의 모든 사는 날 동안 이를 보호하고, 대적하는 모든 잘못과 부패들에 대하여 저항할 것이다."
The signers thus solemnly declared “that with our whole heart we agree, and resolve all the days of our life constantly to adhere unto and to defend the foresaid true religion”and swore “to continue in the profession and obedience of the foresaid religion; and that we shall defend the same, and resist all these contrary errors and corruptions, according to our vocation, and to the uttermost of that power that God hath put in our hands, all the days of our life.”
엄숙 동맹은 좀 더 간결하게, 스코틀랜드의 교회에서 개혁주의 종교를 보존할 것을 모색할 것과, 교황주의와 고위 성직자 제도, ... 미신, 이단, 분파, 신성모독, 그리고 건전한 교리에 대립 된다고 여겨지는 것들을 근절 시키는데 온 힘을 다할 것과, 종교개혁을 가리우는 선동적이거나, 악의에 찬 것이나, 혹은 악한 도구를 발견하는데 온 힘을 쏟을 것이며, 이러한 동맹이나 약속에 들어오는 모두를 돕고 방어할 것을 맹세한다.
The Solemn League and Covenant, more concisely, swore to seek “the preservation of the reformed religion in the Church of Scotland,”to “endeavour the extirpation of Popery, Prelacy, ... superstition, heresy, schism, profaneness, and whatsoever shall be found to be contrary to sound doctrine,”to “endeavour the discovery of all such as have been or shall be incendiaries, malignants, or evil instruments, by hindering the reformation of religion,”and to “assist and defend all those that enter into this League and Covenant.”
국민과 통치자 사이의 언약이 당시의 개혁주의 사고에서는 처음이 아니라는 생각은 주목할 만하다.
It is worth noting that this idea of a covenant between the people and their rulers was nothing original to Reformed thought in this era.
이러한 생각은 위그노 저항 신학자인 테오도르 베자나 앞에 장에서 연구하였던 빈디치에의 저자나 알수시우스나 러더포드 같은 사상가에 의하여 발전되었다.
The idea was developed by Huguenot resistance theorists such as Theodore Beza and the author of the Vindiciae contra Tyrannos, examined in the preceding chapter, and by thinkers such as Althusius and Rutherford.
러더포드와 같은 스코틀랜드 언약자에 의하여 지지를 받는 중요한 생각 가운데는, 이러한 언약을 체결하는 것이 국가 통치자에게 이들이 이전에 가지지 않았던 종교적 의무를 지우게 끔 하는 것들도 있다는 것이다.
Among the important ideas espoused by a Scottish covenanter like Rutherford was that the making of such a covenant could put religious obligations upon civil magistrates that they did not have before.
어떻게 이러한 믿음이, 자연법은 국가법의 표준이라는 생각과 두 왕국 교리에 따르면 공적인 능력 안에서의 국가 관료가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의 종이 아니며 그리스도의 나라를 증진 시키지 않는다는 생각과 같은 앞의 장에서 살펴본 개혁파 정통주의의 확신과 일치하는가?
How do these beliefs square with the convictions of Reformed orthodoxy examined earlier in the chapter, such as the idea that natural law is the standard for civil law and that, according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civil magistrates in their official capacity are not servants of the mediator Jesus Christ and do not advance Christ’s kingdom?
간단히 답하면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은 이러한 점에서 단순히 일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The easy answer is that Reformed orthodox theology was simply inconsistent at this point.
결국 나는 일관성이 없다고 믿지만, 분명한 것은 국가의 통치자가 종교적 일에 관여하는 것을 지지하는 개혁주의자가 자기 모순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자신들의 자연법과 두 왕국 확신에 비추어 통치자의 종교적 의무를 강조하는 것에 대하여 사실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Though ultimately I believe that there was inconsistency, there are in fact clear indications that Reformed advocates of the civil magistrate’s involvement in religious affairs recognized the danger of self-contradiction and in fact took pains to articulate the magistrate’s religious duties in light of their natural law and two kingdoms convictions.
첫째로, 알수시우스나 러더포드, 그리고 투레틴과 같은 개혁파 정통주의 사상사들이, 두 왕국 교리가 제공하는 신학적 경계 안에서, 의식적으로 통치자가 종교적 의무를 다하여야 한다는 자신들의 관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많은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First, a fairly large amount of evidence suggests that Reformed orthodox thinkers such as Althusius, Rutherford, and Turretin tried consciously to articulate their views on the magistrate’s religious duties in light of the theological boundaries provided by the two kingdoms doctrine.
이들은 통치자의 종교적 책임이 실행되는 방법에 대하여 다양하게 이중적인 식별을 함으로서 이렇게 하고 있는 것이다.
They did so by making numerous twofold distinctions in the way that a magistrate’s religious responsibilities might be executed.
이러한 식별들 가운데는 종교적 일을 육체와 영혼에 대하여 각각 세속적으로 혹은 영적으로, 외적으로 혹은 내적으로 다루느냐에 대한 것이 있다.
Among these distinctions are between caring for religious affairs civilly or spiritually, externally or internally, with respect to the body or the soul.
반복하자면,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은 통치자가 종교를 돌보는 일에 허용되는 것은 오직 세속적이며, 외적이고 육체적인 방식이지 결코 영적이거나 내적이고 영혼에 대한 방식이 아니라는 것이다.
Repeatedly, Reformed orthodox writers permitted the magistrate care of religion only in a civil, external, bodily way, never in a spiritual, internal, or soulish way.
통치자가 법률을 공표하여야 하는데 있어서 거론된 장문의 종교적 일들을 지지하며 논의를 확대하는 가운데에서, 알수시우스는 일반적인 개혁파 정통주의의 접근을 보여주는 다음과 같은 움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정치적 통치자는 이러한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는 이 일을 자신이 직접 하지 않도록 매우 조심 하여야 하며 이를 성직자에게 위탁하여 일을 맡겨야한다.
In the midst of an extended discussion advocating a long list of religious matters on which the magistrate should promulgate law, Althusius makes a move illustrative of a common Reformed orthodox approach, writing: “But the political magistrate should be very careful in this activity not to apply his own hands to these matters, but commit and entrust them to the clergy.
그는 오직 사람들의 외적인 행동이 법률을 지킬 경우에 한해서 만 자신을 관여 시킬 수 있다.
He should concern himself only that the external actions of men conform to laws.”
바로 이어서 그는 통치자로 하여금 다음과 같은 것을 마음에 새기도록 하여 비슷한 점을 말하고 있다. "그들은 오직 영혼과 양심에만 존재하는 사람의 믿음과 신앙에 대한 지배를 요구해서는 안되며 자신을 하나님께서 주신 것, 즉 육체에 대한 지배 만을 보존해야한다."
Shortly thereafter he makes a similar point by reminding magistrates that they should “not claim imperium over faith and religion of men, which exist only in the soul and conscience”but should “reserve to himself what God has given him, namely, imperium over bodies.”
통치자가 신앙을 보호하는 외적인 성격에 관하여 러더포드는 알수시우스와 비슷한 용어를 사용한다.
Rutherford used similar language to Althusius in regard to the external character of the magistrate’s care for religion.
통치자가 그리스도인이 되었을 경우에 이들의 의무가 어떻게 바뀌는가에 대한 논의에서, 러더포드는
"이들은 그리스도의 중재적인 나라를 증진 시키거나 그리스도를 모독하는 이들을 벌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순종이나 신성 모독이 자신이 관할하는 곳에서,외적인 안정이나 번영, 그리고 시민 사회의 평화를 증진 시키거나, 혹은 그 사회의 근간을 와해 시키는 경우에 한하여 신성 모독을 벌 할 수 있다"고 말한다.
In a discussion of whether and how magistrates’duties change when they become Christians, Rutherford insists that they are not obliged to promote the mediatorial kingdom of Christ nor punish blasphemers of Christ as such, but can punish blasphemies “only as such obedience and such blasphemies, may promote the external safety, prosperity, and peace of the civil society, whereof he is head, or may dissolve the sinews and nerves of that society.”
바로 이어서 그는 "어느 때나 장소에서도 통치자의 무력은 중재적인 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없고, 다만 그들은 세속적 구성체를 이루는 나라의 외적인 사회에서의 평화를 이룩하기 위한 경우에 한하여 무력은 사용될 수 있다"고 덧붙인다.
Shortly thereafter he adds: “At no time, and in no state, has the magistrate’s sword any influence in the mediatory kingdom at all, but is so far as the sword may procure external peace to the society of that kingdom as they are a civil body.”
러더포드는 "실질"과 외형"사이에서 또 다른 적절한 구별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오직 전자만이 통치자 자신의 신앙적 의무에 속하여 있는 것이다.
Another relevant distinction that Rutherford makes is between the “material”and “formal,”only the former of which pertains to the magistrate in his religious duties.
그는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 말하고있다: "통치자는 그리스도를 그리스도로서 섬길 수 있는데 이는 자신의 힘을 실질적으로 초자연적인 목적을 이루어내는 것들에 공헌할 때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의 나라를 증진 시킨다거나 발전시킬 수 있다, 다만 그는 형식적으로는 이러한 목적을 이루어내는 데 아무 공헌을 하지 못하고 있다.
He writes, for example: “The magistrate may serve Christ as Christ, and promote and advance the kingdom of Jesus Christ as mediator, when he contributes his power to those things that materially conduce to a supernatural end, though he does not contribute any thing that formally conducts to such an end.”
후에 그는 비슷하게 말하고 있다: "비록 통치자의 무력의 실질적인 목적이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라고 할지라도, 아직 외형적 목적은 세속 사회와 같이 그 나라의 자연적이고 세속적 평화인 것이다.
Later he says similarly: “Though the material object of the magistrate’s sword be the spiritual kingdom of Christ, yet the formal object is the natural and civil peace of this kingdom, as a civil society.”
이렇게 실질/형식에 의한 구분은 투레틴도 역시 사용한 것이다.
This material/formal distinction is one that Turretin utilized as well.
같은 목적을 위해서 그에게 다양하게 다른 분별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세속의 통치자는 신앙적 일에 관하여 관리를 할 수 있지만 통치를 할 수 없으며; 그들은 이러한 일을 돌보는데 있어서 비본질적으로 (혹은 외적으로), 실질적으로, 간접적으로, 그리고 객관적으로 할 수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혹은 내부적으로), 형식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할 수 는 없는 것이고, 후자의 모든 것들은 교회의 일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Numerous other distinctions served the same purpose for him: civil magistrates have the “care,”but not the “administration,”of religious things; they look after such things “extrinsically”(or “externally”), “materially,”“indirectly,”and “objectively,”not “intrinsically”(or “internally”), “formally,”and “directly,”all of which latter things characterize the work of the church.
그는 즉각적으로 통치자가 신앙을 관리하는 일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러한 권리는 특정한 제한 안에서 한계가 그어져야 하기에 교회와 정치의 질서에 대한 의무가 혼돈되어서는 안되며 그 의무는 각각의 부분에 남아있어야 된다."고 말한다.
He is concerned, immediately upon raising the issue of the magistrate’s care of religion, to note that “this right should be circumscribed within certain limits that the duties of the ecclesiastical and political order be not confounded, but the due parts be left to each.”
이것은, 통치자들이, 그들의 일들이 외적이고 간접적이라는 특성을 고려해 볼 때, 믿음의 새로운 조항을 만들거나, 새롭게 예배를 드린다거나, 말씀을 가르친다거나, 성례를 집행 한다거나, 혹은 교회 훈련을 시행 한다거나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magistrates, in light of the external and indirect nature of their tasks, cannot make new articles of faith, enjoin new worship, preach the word, administer sacraments, or exercise church discipline.
심지어는 언약 문서들에서도, 예를 들자면, 서명자들이 교리와 교회를 자신들의 소명과 능력에 따라서 있는 위치와 직업에서 방어할 것을 서약하고 있는 것을 볼 때, 두 왕국 교리에서 요구되는 구분에 대하여 주의할 것을 보여주고 있다.
Even the covenanting documents give hints of attention to the distinctions required by the two kingdoms doctrine when, for instance, the subscribers pledge to defend doctrine and the church “according to our vocation and power”and “places and callings.”
앞에서 보여준 증거들은, 통치자의 신앙적 책임에 투영된 개혁파 정통주의가 특별히 두 왕국 교리를 보여주고 있다는 뚜렷한 증거를 보여주는 것이다.
The evidence offered above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Reformed orthodox reflection on magistrates’religious responsibilities took specific account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세속적 그리고 영적, 외적 그리고 내적의 의미로, 두 왕국을 구분하는데 사용된 같은 용어가 신앙적인 것에 대한 통치자와 성직자의 의무를 구분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The very same language used to distinguish the two kingdoms, in terms of civil and spiritual, external and internal,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magistrate’s from the minister’s duties toward religious things.
이들의 용어를 제한하는 것은 단순히 두 왕국에 대한 예민함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But it was not simply sensitivity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that constrained their language.
그들의 자연법 교리가 이러한 문제들을 표현하는 기준을 제공해주고 있고 이러한 개혁주의 사상가들이 통치자의 종교적 책임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가 자연법을 시민법의 표준이 된다고 보는 관점과 일치한다고 보는 사실을 지적하는 증거들도 있다.
There is also evidence that points to the fact that their doctrine of natural law provided guidance for their articulation of these matters and that these Reformed thinkers saw their understanding of magistrates’religious responsibilities as consistent with the view of natural law as the standard for civil law.
이러한 점을 뒷받침하는 한 가지 증거는 이러한 개혁파 정통주의 사상가들이, 앞의 장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십계명이 전체적으로 자연법의 요구들을 간결하게 요약하고았다는 것을 믿고 있다는 사실이다.
One piece of evidence that supports this point is the fact that these Reformed orthodox writers believed, as noted earlier in the chapter, that the Decalogue as a whole provides a concise summary of the demands of the natural law.
그러므로 자연법이 십계명의 두번째 돌판은 물론 첫번째 돌판을 가르치고 있기에, 통치자는 자신들의 이해의 범위 안에 첫번째 돌판의 관심들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논리적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refore, since natural law teaches the first as well as the second table of the Decalogue, and since natural law is the standard for civil law, a logical conclusion was that magistrates were to have concerns of the first table within their purview.
이번 장에서 살펴보고 있는 저자들은 명확하게 이러한 관점을 수용하고 있다.
The writers under consideration in this chapter clearly adopted this view.
이에 비추어볼 때, 첫번째 4계명의 요구와 관련이 있는 무신론, 우상숭배, 신성 모독, 그리고 숭배와 관계된 법을 통치자가 확립하고 강화하도록 위탁을 할 때, 이들은 자연법이 기초가 되도록 (통치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In light of this, they could claim to have a natural law basis for entrusting the magistrate with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laws concerning atheism, idolatry, blasphemy, and worship, which relate to the demands of the first four commandments.
이러한 근본적인 점에 추가하여, 개혁파 정통주의 사상가들은 알수시우스가 "이성으로의 논쟁"이라고 언급한 것을 통치자의 신앙적 책임에 제안하고자 노력을 하였다.
In addition to this basic point, these Reformed orthodox thinkers also made the effort to offer what Althusius refers to as “arguments from reason”for magistrates’religious responsibilities.
알수시우스는 이러한 논의를 "심각하고 중요한 것"이라고 불럿다.
Althusius calls such arguments “weighty and significant."
그의 관점에서, 이성은 통치자엑 종교에 대한 관심을 요구하는데, 이는 이러한 관심이 사회의 일반적인 복지를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In his sight, reason commends the magistrate’s concern for religion because such concern promotes the general well-being of society.
그는 기록하기를: "사회 체제 안에서 건전한 예배와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것은 사적이나 공적인 행복의 근거이고 시작이며 원천이다. 다른 한편, 하나님을 멸시하며, 그리고 신성한 예배를 개을리하는 것은 모든 악과 불행의 원인이다... [ 건전한 신앙은] 평화와 화합을 제공해주며, 모든 추문을 인정하지 않으며, 그리고 사람들을 경건하고 정의롭게 만든다."
He writes: “For a sound worship and fear of God in the commonwealth is the cause, origin, and fountain of private and public happiness. On the other hand, the contempt of God, and the neglect of divine worship, are the cause of all evil and misfortune.... [Sound religion] nourishes peace and concord, disapproves all scandals, and makes men pious and just.”
그는 말하기를 사실 "정통주의 신앙을 고백하고 실천하는 것은 모든 공적이고 그리고 사적인 행복의 근원이다."
In fact, he says, “the profession and practice of orthodox religion are the cause of all public and private happiness.”
투레틴은 일종의 자연법에 호소하는 이성으로부터, 비슷한 논의를 이끌어낸다.
Turretin presents a similar argument from reason, a kind of natural law appeal.
통치자가 신앙적인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그의 가정을 증명하기 위한 한 가지로 그는 통치자가 사회와 그 안에 포함된 모든 것의 안전을 위탁 받아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As one line of proof for his thesis that magistrates should have a concern for religious things, he notes that magistrates are entrusted with the safety of society and of all things that pertain to it.
그는 계속하기를, 신앙이라는 것은 사실 여기에 속하여있는 것들 중의 하나이고, 그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비기독교인과 고전 자료들을 (아리스토틀, 플라토, 키케로) 인용하고 있다.
Religion, he continues, is in fact one of the things pertaining to it, and he cites non-Christian, classical sources (Aristotle, Plato, and Cicero) for support.
심지어 이교도 작가들도 이성과 자연법으로만 작업을 하면서, 공공의 복지에 대한 신앙의 영향력 때문에, 통치자들도 자신들이 신앙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고 논의를 하고 있다.
Even pagan writers, the argument seems to be, working only from reason and natural law, recognized the need for magistrates to concern themselves with religion because of religion’s effect on the public well-being.
또한 재미있는 것은 알수시우스가 통치자들에게, 종교적 박해도 사실상 공공의 평화에 해를 끼칠 경우에는, 자제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Also interesting is that Althusius counsels magistrates to refrain from religious persecution when it would in fact harm the public peace.
이것이 제시하는 바는 참된 종교의 외적인 형태를 강화하여야 할 통치자의 의무는, 공공의 복지를 추구하기 위한 더 높고 일반적인 자연법의 요구에 종속되면서 또한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This suggests that magistrates’duty to enforce the external practice of the true religion is subordinate to and contingent upon the higher, general natural law requirement that they promote the public welfare.
이것은 제3장에서 살펴본 칼빈의 생각과 비슷한 움직임이다.
This is a similar dynamic to that observed in Calvin’s thought in Chapter 3.
마지막 증거물들이 보여주고 있는 것은, 개혁파 정통주의에서 통치자의 종교적 의무를 자연법의 요구로 보려고 한다는 사실은, 이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견고히하기 위해서 성서에 호소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는 데서 알 수 있는 것이다.
A final piece of evidence indicating that Reformed orthodoxy tried to see magistrates’ religious duties as a requirement of natural law is found in the way in which they appealed to Scripture to support their position.
이들의 주장이 처음에는 반직관적인듯 하였는데, 이는 그들이 (자신들의 주장의 정당성을) 성경의 예(를 근거로)에 호소하려고 한 것이 사실은, 자연법은 시민법의 표준이라는 주장과 긴장 관계에 놓일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This may be initially counter-intuitive, since their appeals to biblical examples seem in fact to lie in tension with their assertions that natural law is the standard for civil law.
이러한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이 사실상 이러한 비평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었기에, 그들은 이것이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서 이러한 관심에 대하여 설득을 하는 단계까지 나아간다.
While these Reformed orthodox writers cannot in fact escape this criticism entirely, once again they were sensitive to this as potentially problematic and took steps to address the concern.
이러한 작가들은 통치자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자신들의 주장이 분명하여지도록 성경에서 예- 자신들의 입장을 뒷받침해 줄 자료가 신약에는 매우 부족하기에, 특별히 구약의 예들을-를 들고 있다.
That these writers looked to biblical examples —especially Old Testament examples, given the paucity of New Testament material supporting their position —to bolster their case for the magistrate’s involvement in religious affairs is very clear.
그러나 이러한 호소는 그들의 주장- 즉 구약의 율법은, 그들이 이러한 구약의 법과 선례들을 이스라엘의 신정체제의 특수성에서가 아니라 좀 더 일반적인 타당성을 가진 자연법의 적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신약의 그리스도인이나 현대의 국가에게 묶이지 않는다는 주장-과 신학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But such appeals could be theologically consistent with their assertions that the Old Testament law is not binding upon New Testament Christians nor the contemporary civil state, provided that they took these Old Testament rules and precedents as not specific to the Israelite theocracy but as applications of the natural law with a more general relevance.
개혁파 정통주의 저자들은 구약으로부터 통치자의 종교적 책임을 변론할 때 신학적으로 자명한 이러한 원리들을 고려하였다는 증거가있다.
There is evidence that Reformed orthodox writers took this theological axiom into consideration when defending magistrates’religious responsibilities from the Old Testament.
예를 들어서 알수시우스는 국민과 통치자 사이의 신앙적 약속을 옹호하기 위하여 구약의 본문을 근거로 호소를 하는 가운데에서도, 그는 거부하여야 할 것도 말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midst of Althusius’s appeals to Old Testament texts in order to advocate religious covenants among the people and their rulers, he addresses an objection.
이러한 종교적 언약은 오직 이스라엘의 역사라는 특정한 비일상적인 시간드에 형성된 것이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대자들에 대하여, 알수시우스는 이러한 언약이 그렇지 않은 이스라엘의 역사 가운데 일상에서 일어난 일일 뿐이라고 반박할 뿐만이 아니라,그는 자신이 인용하는 본문이, 협약의 성격과 목적이 어떠한 형태의 체제에서나 유용하고 필요한 것임을 증명하고 있다고 주장하고있다.
Over against the objector who claimed that such religious covenants were made only during certain unordinary times of Israelite history and were therefore not generally applicable, Althusius not only counters by saying that these covenants occurred during other, ordinary times of Israelite history but also by claiming that the texts he cites “demonstrate that the nature and purpose of this compact is such that it is useful and necessary in any type of commonwealth.”
여기에는 자연법에 특별히 호소한다거나, 일반적인 평등과 같이 이와 관련된 개념이 없으므로, 이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Granted, there is no specific appeal here to natural law or a related concept such as general equity, but the reasoning seems to presuppose it.
아마 추론을 하면 좀 더 나아질지 모르겠지만, 투레틴에게서도 또 다른 예를 볼 수 있다.
Another example, perhaps better though it also requires some inference, comes from Turretin.
그는 통치자가 이단을 벌하여야 할 책임에 대하여 변론하면서, 오직 구약의 소재만을 인용한다.
In his defense of the magistrate’s responsibility to punish heretics, he cites Old Testament material exclusively.
이전의 구약으로는 그의 (투레틴의) 입장을 증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이의에 동의하면서, 그는 (투레틴은)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한다.: "자 우리가 비록 이러한 것들이 모세의 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특별하다는 것(이는 완화된 섭리 가운데 사는 우리에게 속하여있는 것이 아니다.)이라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이것들이 아직도 우리들 가운데 보편적으로 유효하다는 것이고, 이로서 다음 2가지를 종합해 볼 수 있다. 첫째는, 배교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여 만들어진 신앙으로부터 떠나는 것이고, 배교 하도록 설득하는 행위은 국가의 통치자에 의하여 징계를 받아야 하며, 이와같은 범죄들도 마찬가지로 그대로 놔두면 안되고 역시 벌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주권과 교회와 국가의 안정이 이전의 유대인들 가운데서의 상태보다도 중요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가 없기에..., 그리스도인이 참된 신앙을 경멸 한다거나 이러한 일에 대하여 유대인들보다도 질투하지 않으면서 변론한다는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Sympathetic to the objection that Old Testament precedent is not itself sufficient proof for his position, he comments: “Now although we do not deny that these had something peculiar by reason of the more rigid Mosaic polity (which does not belong to us living under a milder economy), still it is certain that they have also their use in general among us and two things can rightly be gathered thence. First, since defection from religio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word of God, and persuasion to defection are punished by the civil magistrate, the same crimes ought not to remain unpunished, but ought to be punished now also.
Again, since no reason can be given why the majesty of God and the safety of the church and state should be of less weight with us than it was formerly among the Jews ..., Christians can have less excuse if they despise the true religion or defend it with less zeal than the Jews.”
혹시 어떤 사람은 이러한 구약의 예가 모세의 단일한 신정체제에만 제한된 특별한 의무라기 보다는 일반적인 도덕적, 사회적 의무를 나타낸다고하면서 이러한 결론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
One might plausibly disagree with the conclusion that these Old Testament examples represent general moral and social obligations rather than specific obligations restricted to the unique Mosaic theocracy.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러한 개혁주의 저자들이 이와 같은 논의에서 자연법과 시민법에 관한 그들의 일반 원칙을 손상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What seems clear, however, is that these Reformed writers did not violate their general principles about natural and civil law in such discussions.
그들은 최소한, 자신들이 좀 더 이를 반영하려는 순간이라도, 모세법 자체를, 모세법 그대로, 법적 구속력이 있게 끔 하지는 않았다; 즉 구약에서 통치자들에게 신앙적인 일에 관여하도록 하는 명령이 현재에 그대로 실행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다.
They did not, at least in their more reflective moments, take Mosaic law per se, as Mosaic law, to be binding; the mere fact that the Old Testament commended magistrates’concern for religious affairs did not itself establish the same practice in the present.
대신에, 그들은 이러한 구약의 율법과 예들을 좀 더 일반적인 도덕적 의무와, 그리고 자연법과 연관 시켜야 한다는 신학적 필요를 인식하게 되었다.
Instead, they recognized their theological need to connect these Old Testament laws and examples with more general moral duties, and therefore with the natural law.
이번 단락에서 제기된 고찰들은, 자연법과 두 왕국에 대한 개혁파 정통주의의 관점과 통치자의 신앙적 의무에 관한 관점 사이에 불일치가 나타나고 있다고 쉽게 말해서는 안되는 분명한 이유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The considerations raised in this subsection offer strong reason, I believe, not to speak too quickly of the dissonance between Reformed orthodoxy’s view of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s and its view of magistrates’religious duties.
후자는 전자로 인하여 더욱 확고해진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The latter position was affirmed with the former in mind.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판단으로는, 어떤 긴장이나 심지어 불일치가 남아있는데, 이는 아무리 동정적으로 읽는다 하더라도 완전히 극복할 수는 없는 것이다.
In my judgment, nevertheless, certain tensions or even inconsistencies remain, which even the most sympathetic readings cannot entirely overcome.
나는 여기서 두 가지 간단한 예를 들려고 한다. 첫번째는, 정통주의 저자들이 통치자의 신앙적인 의무를 두 왕국의 경계에 한정하는데 있어서 자주 외적/내적인 구분을 사용하였지만, 이들이 항상 이렇게 하였는지에 대하여 의심해보는 것은 일리가 있는 것이다.
I offer here two brief examples.First, though Reformed orthodox writers often used the external/internal distinction to confine magistrates’religious duties within two kingdoms bounds, there is reason to wonder whether they always did so coherently.
알수시우스의 Politica에서 한 예를 볼 수있다.
Althusius’s Politica provides an example.
알수시우스는 교회의 친교와 교회의 기능은 그리스도의 나라와 신앙의 일들, 경건, 영혼, 그리고 율법의 첫번째 돌판과 관련이 되어 있다고 분명히 하고 있다.
Althusius makes clear that the ecclesiastical communion and ecclesiastical functions concern the kingdom of Christ and matters of religion, piety, the soul, and the first table of the law.
그는 또한 말하기를 교회의 통치는 (교회의 기능이 집행되는 과정) 영혼의 잘됨에 필요한 것들에 관련되어있고, 이는 육체적인 것들과, 이 땅의 삶, 정의, 그리고 율법의 두 번째 돌판과 관련된 세속적 명령과 구별되는 것이다.
He also says that the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the process by which ecclesiastical functions are administered)concerns things necessary for the welfare of the soul, in distinction from the secular order that has to do with things of the body, this life, justice, and the second table of the law.
그는, 교회의 것들은 세속의 통치자에게 속하여있는 것이 아니고 교회의 장로들에게 속하여 있다고 주장한다.
Ecclesiastical things, he claims, do not belong to the secular magistrate but to the church’s presbyters.
그는 이러한 작업의 후반에 교회의 통치 자체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데, 이 중 한 가지는 외적인 것에 관련되어있고 이는 통치자에게 위임 되는 것이다.
Yet later in this work he divides the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itself into two parts, one of which concerns external things and is entrusted to the magistrate.
그런 다음, 알수시우스는 이미 외적/내적, 육체/영혼 등의 의미로 명확하게 구분한 세속과 교회의 영역을, 계속해서 교회 자체를 명확하게 같은 의미로 구별하여 나아간다.
Althusius, then, having already distinguished the secular and ecclesiastical realms precisely in terms of external/ internal, body/soul distinctions, proceeds to distinguish the ecclesiastical itself in precisely the same terms.
이러한 종류의 움직임은, 오직 하나님만이 그의 나라를 말씀의 사역을 통하여 다스리신다는 주장이 통치자가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 보존한다는 주장과 화해하기 힘들다는 것과 같은 다른 내용들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다.
This sort of move seems to underlie other contentions that are difficult to reconcile, such as the claim that God only administers his kingdom through ministers of the word compared with the claim that the magistrate can raise up and preserve the kingdom of God.
간단하게 질문을 해본다면, 세속과 교회를 구분을 한다( 그럼으로서 어느 곳이 그리스도의 나라이고 아니고를 분명히 하고서)는 것이 결과적으로 교회의 영역 자체를 구분한 후에 통치자가 참여할 수 있는 면에 대하여 충분히 열어 놓으려는 것인가?
To put the question briefly, is it coherent to differentiate secular and ecclesiastical (and thereby identify where the kingdom of Christ is and is not) by means of a distinction that in turn differentiates aspects of the ecclesiastical realm itself and opens a fairly wide door for magistrates’involvement?
이러한 고려 사항에 관계된 것은 이러한 저자들이 나라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의 구분과 육체적인 것과 영적인 것의 구분을 사용하였느냐는 것이다.
Related to this consideration is a question about these writers’very use of the distinctions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and between body and soul as a way to differentiate the kingdoms.
이러한 구분이 도움은 되었는지 그리고 그들은, 개혁주의 신학이 두 왕국 교리를 통하여 얻어내려고 하였던 결과물은 얻었는가?
Are such distinctions helpful and do they in fact capture what Reformed orthodox theology was seeking to capture by its two kingdoms doctrine?
분명한 것은 이러한 저자들이,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는 외적이고 육체적인 것과는 관계가 없다고 말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교회의 기관과, 교회의 말씀을 통한 사역과, 그리고 성례의 집전에 관하여 오랫동안 말하여왔기 때문이다.
Clearly these writers did not wish to say that the spiritual kingdom of Christ had nothing to do with external, bodily things, for they talked at length about the church’s government, its ministry of the word, and its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칼빈의 경우와 같이, 한상 같은 방법으로 외적/내적, 육적/영적 구분을 적용 할 수 없었던 것은 아마 놀랄 일이 아닐 것이다.
As with Calvin, it is perhaps not surprising that they were unable to carry through their external /internal and body/soul distinctions in a consistent manner.
쉽게 해결되지 않는 오랫동안 끄는 긴장 상태의 또 다른 예는 통치자의 신앙적인 일에 대한 책임에 대하여 판단하여야 할 짐이다.
One other example of a lingering tension not easily resolved is the burden of judgment placed upon magistrates by their responsibilities in religious affairs.
앞에서 열거한 통치자의 신앙적 의무에 대한 투레틴의 목록은 독자로 하여금 최소한, 어떻게 통치자가 이렇게 요구되는 의무들을 위하여 필요한 판단의 능력을 어떻게 얻느냐에 대하여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Turretin’s list of magistrates’religious duties recounted above surely must make a reader wonder at the very least how magistrates attain the competence to make the necessary judgments these duties require.
건강한 교리, 순수한 예배, 적절히 기능하는 목회, 그리고 다른 이와 같은 것들을 유지하는데는 어떠한 것들이 이와같이 신앙적인 일들을 건강하고, 순수하게, 그리고 적절히 기능하도록 만드는지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상당한 신학적 통찰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Maintaining sound doctrine, pure worship, a properly functioning ministry, and other such things certainly demand considerable theological acumen in order to ascertain precisely what makes such religious affairs sound, pure, and properly functioning.
만약에 특정한 관할구에 있는 기독교인들의 교회가 성직자들과 장로들에게 완벽하게 연합하는 어떤 이상적인 상태가 지속된다면, 추정컨데 통치자는 단지 교회의 조언을 다름으로 이러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므로 그들에게 특별한 신학적 능력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다.
As long as some ideal situation persists in which the Christian church in a particular jurisdiction is perfectly united among its ministers and elders, presumably magistrates could make such judgments by simply following the counsel of the church, thus presuming no special theological competence on their part.
물론 이와 같은 이상적인 상태는, 설령 잠깐이라도 실제로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분명히 한 순간일 것이다.
Of course, such an ideal situation, if ever actually attained for a moment, is certainly ephemeral.
그보다 더한 것은, 통치자가 외적으로 올바른 교리와 예배, 그리고 목회의 기능을 강화 시킬 것을 요청 받으면서, 믿음과 실천에서 의견을 달리하는 항상 존재하는 위협을 추측해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What is more, the very fact that the magistrate is called upon to enforce externally right doctrine, worship, and ministerial function seems to presume the ever-present threat of dissenting belief and practice.
신학적으로 훈련을 받은 성직자 자신들도 이러한 현안에 대하여 나뉘어진다거나, 심지어는 교회 안에서의 분열이 현안이 된다면, 특별한 신학적 훈련을 받지 않은 통치자가 어떻게 이러한 분쟁에 대하여 판결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을 할 수 있는가?
When theologically trained ministers are themselves divided on an issue, even to the point of division in the church, how is a magistrate without special theological training to be expected to adjudicate the dispute?
지식과 기술이 정치적 지도력에 집중되어있는 통치자에게, 어느 때에 성직자가 자신들의 일을 자신들 자체보다도 더 잘 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는가?
Why should one expect a magistrate, whose knowledge and skills are devoted to political leadership, to determine when ministers are doing their job properly better than ministers themselves?
국민 서약은 왕으로 하여금 참된 교회에 의하여 정죄 된 모든 이단들을 제거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The National Covenant calls upon the king to root out all heretics who shall be convicted by the true church.
다시 말하자면, 이것은 일시적으로는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제기하는 것이지만, 참된 교회를 거짓 교회로부터 구분하는 일은 교회 역사 가운데 항상 현안이 되어왔었고, 최소한 종교개혁에 비추어 보더라도, 결정적인 신학적 판단이 요구되는 것이다.
Again, this satisfactorily addresses the question for a moment, but determining true church from false has frequently been an issue in ecclesiastical history and, at least by Reformed lights, requires theological judgment to decide.
왜 사람들은 국가의 통치지가 특별한 신학적 기술을 가지고서 이러한 논쟁에 대하여 심판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일에 대하여 불가피하게 결정적인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기대하는가?
Why should one expect the civil magistrate to have the special theological skill to referee such a dispute and make what would inevitably be a decisive judgment on the matter?
통치자가 자연법을 기초로하여 매우 일반적인 수준에서 무신론, 우상 숭배, 그리고 신성 모독에 대하여 적절히 관심을 갖는 것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One can imagine a magistrate’s proper concern, on a natural law basis, for atheism, idolatry, and blasphemy on a very general level.
그러나, 특별히 그리스도인과 좁게는 개혁주의에서 교회와 교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통치자로 하여금 자연법의 기준으로 구속적이지 않은 관료로서의 권위를 유지하면서 (신앙의 일에 대한) 책임을 실천해나가도록 실행해보는 것은 어떻겠는가?
But how does enforcement of a specifically Christian and even narrowly Reformed understanding of church and doctrine comport with the responsibilities of a magistrate who operates with a natural law standard and holds authority as an officer of a non-redemptive, creation-order civil kingdom?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코튼과 두 왕국 (0) | 2015.04.20 |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 2015.04.17 |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차이점 (0) | 2015.04.06 |
두 왕국의 성격과 속성 (0) | 2015.04.01 |
종교개혁 저항 학자들에서 볼 수 있는 자연법(Natural Law)의 특성 (0) | 2015.03.18 |
국가와 교회 권위의 특징들
The Distinctions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al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182-189를 번역한 것이다. civil의 용어를 번역하는데 있어서 필요에 따라 국가 혹은 시민이라는 용어를 번갈아 사용하였지만 같은 뜻으로 번역하였다.)
때에 맞추어 적절하게, 교회와 국가의 견고한 관계에 관하여 관심을 기울이면서,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규례 아래에서 고찰 해보기로 한다.
At this point attention appropriately turns to the concrete relationship of church and state, considered especially under the rubric of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앞의 단락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많은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두 왕국이 현재의 제도에서는 교회와 국가의 형태로 표현되었다고 믿고 있다.
As considered in the previous subsection, many prominent Reformed orthodox writers believed that the two kingdoms find present institutional expression in church and state.
비록 칼빈은 자신도 사회와 문화의 폭넓은 영역을 시민 국가의 한계 안에 포함 시키고 있지만,(앞에서 정리한 두 왕국 개념과 맥락을 같이하는) 비슷한 기록을 하고 있다.
Calvin wrote similarly, though he also saw a broad range of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as falling within the purview of the civil kingdom.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시민 국가가 넓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지만, 이들이 강조하고 있는 것들은 결국 국가로 몫이 될 수 밖에 없다.
The Reformed orthodox did not deny that the civil kingdom has a broader scope, but their emphasis certainly fell upon the state.
이번 단락에서는, 교회와 국가의 특징들을 개혁파 정통주의에서는 어떻게 두 왕국 사이의 신학적 특징들을 적용하며 강조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In this subsection, I discuss how Reformed orthodoxy articulated distinctions between the institutions of church and state as an application of the theological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일반적으로 교회와 국가를 구별하는데 있어서, 투레틴은 "교회와 정치 질서에 대한 의무들이 혼돈되어서는 안되며 각각은 정당한 영역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경고하면서 일반적인 개혁파 정통주의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In regard to the distinc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generally, Turretin expresses common Reformed orthodox sentiment in warning that “the duties of the ecclesiastical and political order be not confounded, but the due parts be left to each.”
이러한 관계를 이해하는 근거로는, 교회와 국가라는 두 왕국을, 이 기관들이 각각 보여주는 분명히 다른 영적인 것과 세속적인 성격과 연계 시키는 것이다.
Foundational for understanding this concern is the associ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the two kingdoms and therefore with the starkly different natures —spiritual and carnal —that these institutions respectively exhibit.
러더포드는 행정장관과 교회에 대한 언급을 하면서 "전자는 세속적이며, 이 세상 나라에 속하여있는데 반하여 후자는 영적이며 그리스도의 다른 나라이며, 이 세상의 것이 아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Speaking of the magistrate and church, Rutherford writes: “The former is carnal, and of the kingdom of this world; the latter spiritual and of Christ’s other kingdom, that is not of this world.”
이러한 러더포드의 특징적인 관심은 "장로교회가 시민의 일에 간섭하는 것은 욕먹을 일이다. 이들이 공적인 추문에 간섭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나라를 범하는 것이다."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Hence Rutherford’s characteristic concern: “That presbyteries meddle with civil business, is a slander. They meddle with public scandals that offendeth in Christ’s kingdom.”
투레틴은 이러한 일반적 관심들을, 교회와 정부의 권위가 어떻게 다른지 특별히 7가지 방식으로 확인하여 설명하고있다.
Turretin unpacks these general concerns more specifically by identifying seven ways in which ecclesiastical and civil authorities differ.
여기서 고려하는 다른 저자들도 이러한 점들 대부분에 비슷한 논평을 하고 있으며, 나는 투레틴의 조직적인 해법에 맞추어서 이들을 비교할 것이다.
The other writers under consideration here offer similar sentiments on most of these points, and I will compare them along the way as we consider Turretin’s organized treatment.
첫째로, 투레틴은 교회와 국가의 권위가 기원에서 부터 다르다고 말한다.
First, Turretin asserts that ecclesiastical and civil authorities differ as to origin.
간단히 말하면, 국가의 권위는 창조자이신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되었고 교회의 권위는 중재자이신 그리스도로부터 시작되었다.
In short, civil authority originates in God the Creator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n Christ the Mediator.
그의 언어는 앞에서 고찰하였던 것을 연상시키며 교회와 국가를 영적인 나라와 시민의 국가 즉 "정치적 힘은 창조자이시고 이 세상 최고의 통치자이신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것이지만; 교회의 힘은 교회의 머리되시고 주되시며 통치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제정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관료는 그리스도의 나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적절하게 공식적인 역할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방 관료에게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신의 관료에게 자신의 이름을 부여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성직자는 그리스도에 의하여 자신의 나라를 세우고 자신의 이름으로 행하라고 보냄받은 것이다."라는 긴밀한 연관성을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
His language here is reminiscent of that observed above and serves further to demonstrate the intimate associ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the spiritual and civil kingdoms: “Political power was instituted by God, the Creator, and supreme ruler of the world; but ecclesiastical power was instituted by Jesus Christ, the supreme head of the church and its Lord and governor. The political magistrate as such does not serve properly and formally in promoting the kingdom of Christ, nor does he discharge his office in his name, as appears in the heathen magistrate; but ministers are sent by Christ for the establishing of his kingdom and act in his name"
러더포드도 비슷한 말을 하고 있다: "두 가지의 힘은 영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 만큼 다르다. 이는 이 세상의 세속적인 힘과 이 세상의 것이 아닌 영적인 것의 차이와 같고, 양쪽 다 모두 하나는 창조자이신 하나님께, 다른 하나는 구속자이시고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께 종속되어있다."
Rutherford speaks similarly: “Two powers so different as spiritual and temporal: 2. As power carnal of this world, and spiritual not of this world: And 3. Both immediately subject, the one to God the creator, the other to Christ the Redeemer and Head of the Church.”
길레스피는 그리스도의 "이중적 나라"에 관하여 기록한다. "그는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이므로 "관료는 그의 대리자이며 그의 직무를 그리스도 안에서 유지"하고 있지만, 그는 역시 "중재자이시며 교회의 머리"로서 관료는 이러한 능력 안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대리자로서 자신의 직책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다."
Gillespie writes, concerning Christ’s “twofold kingdom,”that “as he is the eternal Son of God”so “the magistrate is his vicegerent, and holds his office of and under him,”but that he is also “Mediator and Head of the church,”in which capacity “the magistrate doth not hold his office of and under Christ as his vicegerent.”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교회의 정책이 시민의 정책과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하는데 있어서 이와 같은 입장을 표명하고있다.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expressed this same position in defining the church’s “policy”and its difference from “civil policy.”
여기서는 "이러한 교회의 능력은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중재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온 권위"(1.2)임을 분명히 하며, 후에는 "이러한 교회의 능력이 하나님과 중재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즉각적으로 흘러나오는 것이다"라고 덧붙이고 있다.
It affirms that “this power ecclesiastical is an authority granted by God the Father, through the Mediator Jesus Christ”(1.2) and later adds that “this ecclesiastical power flows immediately from God, and the Mediator Jesus Christ”(1.5).
두번째로 투레틴은 국가와 교회의 힘이 그들의 대상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을 설명하고있다.
Second, Turretin explains that civil and ecclesiastical powers differ in regard to their subject.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어떠한 종류의 사람이 이와 같은 각각의 영역에서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지에 관하여 다른 기준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different criteria exist for what sort of people can exercise authority in these respective realms.
그가 언급한 첫번째는 교회와 국가에 대한 정체성에 대해서는 필연적으로 두 왕국으로 귀결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치적인 힘은 언약에 대하여 이방인이나 외인의 손에 있을 수 있지만 교회에서는 그렇지 않다"
The first thing he mentions seems a logical consequence of his identific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the two kingdoms: “Political power can be in the hands of heathen and strangers to the covenant, but not ecclesiastical.”
흥미스럽게도, 그는 교회의 영적인 상태가 종종 관료가 그리스도인이 아닐 때 더 좋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 시키고 있다.
Interestingly, he acknowledges that the spiritual state of the church may sometimes be better when the magistrate is not a Christian.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자료들도, 기독교인의 믿음이 정치적 권위를 유지하기 위한 요구 사항이 아니라는데 동의하며, William of Ockham이 오래 전에 교황의 요구 조건에 반대하며 강조한 입장이기도 하다.
Other Reformed orthodox sources agree that Christian faith is not a requirement for holding political authority, a position emphasized by William of Ockham against papal pretensions many years before.
투래틴이 언급한 두 번째 것은 논리적으로 명확하지 않다:"전자는 여성에 의하여 실행될 수가 있지만 후자는 아니다."
The second thing that Turretin mentions is not as obvious logically: “The former can be exercised by women; the latter not.”
그는 여기에 대하여 설명하거나 변론 하지 않는다(존 녹스에게도 변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아마 두 왕국의 구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여자가 교회의 직책을 가지려는 것에 대한 성경적 금지에서 근거하는 것이며, 정치적 직책에 관하여는 상관없는 금지 사항인 것이다.
He offers no explanation or defense of this (and no apology to John Knox), but it probably rests not in the two kingdoms distinction itself but in biblical prohibitions of women holding ecclesiastical office, prohibitions lacking in regard to political office.
세번째로 투레틴이 구분하고자 하는 국가와 교회의 힘의 차이는 형태에 관한 것이다: "정치적 힘은 통제되며... 그리고 절대적이며..., 이는 지배력과 통치력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회는 성직으로서... 경륜적이며... 그리고 헌신적이며..., 이는 소위 말하는 통치나 지배 없이 오직 봉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The third difference that Turretin identifies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power regards their form: “Political power is controlling ... and absolute ..., which implies dominion and sway. But ecclesiastical is ministerial ... and economical ... and serving ..., which consists in service alone without any sway and dominion properly so called.”
투레틴이 계속 설명을 하면서 결정적인 것은, 관료의 "법을 만드는 힘"으로서 이로서, 그는 필요에 따라서 법을 만들고, 개선 시키고, 변경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Crucial here, as Turretin goes on to explain, is the magistrate’s “lawmaking power,”by which he can make, improve, and change laws as necessary.
그러나 성직자는 교회에서 그러한 힘을 가지지 않는다:"이들은 그리스도의 법을 선포할 수 있으며 또 그렇게 하여야 하며 특정한 경우에는 이를 적용 시켜야 한다. 이들은 좋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회법을 만들 수 있지만...; 그러나 이들은 소위 말하는 적절한 법을 만들 수 없다. 오직 그리스도만이 법을 만드실 수 있으시며, 그의 법은 성직자에 의하여 바뀔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변경 될 수도 없다."
But ministers in the church have no such power: “They can and ought to promulgate the laws of Christ and to apply them to certain cases. They can make canons for the preservation of good order ...; but they can make no laws properly so called. Christ alone is the legislator, whose laws can neither be changed nor remodeled by ministers.”
이것은 초기 개혁주의 전통에서 상당히 실질적으로 중요한 신학적 주장였으며, 3장에서 보았던 바와 같이 이미 칼빈에게서도 명확했던 주장이었다.
This was a theological claim of considerable practical significance in the early Reformed tradition, a claim already evident in Calvin, as seen in Chapter 3.
이것은 역시 다음 장에서 논의될 어떤 미국 장로교 논쟁에서 매우 중요한 생각이었음을 증명할 것이다.
It would also prove to be a crucial idea for certain American Presbyterian debates to be considered in the next chapter.
국가의 관료는 교회의 성직자가 단순히 가질 수 없는 사법적 분별권을 가지고있다.
Civil magistrates have a legislative discretion that officers of the church simply do not have.
후자(성직자)는 오직 성경의 그리스도에 의하여 이미 주어진 법을 선포하고 적용하여야 한다. 이를 넘어서는 더 나아갈 수 없는 것이다.
The latter may only enunciate and apply laws that are already given, by Christ in Scripture. Beyond this they may not go.
후에 투레틴은 이러한 같은 점을 국가와 교회의 힘으로 비교하면서 통치와 사역의 의미로 구분하였다.
Later Turretin makes this same point by contrasting the power of state and church in terms of “dominion”and “ministry.”
러더포드는, 이러한 주제가 매우 중요했던 스코틀랜드 장로교인으로서 이야기하면서, 같은 의견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기를 원한다. 우리는 국가로서의 왕과 의회에 필수적인 법률을 만드는데 있어서 중재하는 행동이 바로 왕과 의회와 공의회에 일치된다; 그리스도는 목사로 하여금 왕 밑에서 도덕적으로 하나님의 법정에 양심을 순종 시키는 법을 만들도록 하지 않았고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의 손으로 만드시지도 않았다"
Rutherford, speaking as a Scottish Presbyterian for whom such issues were of great importance, expresses the same sentiment: “But we desire to know, what mediate acts of law-giving which is essential to kings and parliaments in civil things, does agree to kings, parliaments, and synods; Christ has not made pastors under-kings to create any laws morally obliging the conscience to obedience in the court of God, which God has not made to their hand.”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견고한 형태로 이러한 생각을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 왕과 왕자와 관료는 국민을 지배하는, 국민 위에 군림하는 주나 통치자로 불려지는 것이 적절하지만, 그리스도는 교회를 영적으로 통치 하시는 주나 주제로만 불려지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그 안에서 직책을 얻은 모든 외인들은 그 안에서 지배력을 쟁취해서도 안되며, 주라고 불려져도 안되고 오직 목회자, 제자들, 종들로 불려져야만 한다.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sought to express this idea in concrete polity by asserting that “It is proper to kings, princes, and magistrates to be called lords and dominators over their subjects, whom they govern civilly, but it is proper to Christ only to be called Lord and Master in the spiritual government of the kirk; and all others that bear office therein ought not to usurp dominion therein, nor be called lords, but only ministers, disciples, and servants”(1.8).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20.2에서는 이러한 점에 대하여 직접 말하고 있으며, 이는 다음에 논의될 것이다.
WCF 20.2 also speaks directly to this point, as will be discussed below.
네번째로, 투레틴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가 그 결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Fourth, Turretin says that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differ as to their end.
다시 여기서의 그의 논술은 놀랍지않게 그의 두 왕국에 대한 신학을 따르며 이러한 왕국을 국가와 교회의 영역과 연계시키고 있다.
Again, his comments here follow unsurprisingly from his theology of the two kingdoms and his association of these kingdoms with the civil and ecclesiastical realms.
이와같은 국가의 관료의 궁극적 목적은, 국가의 관료로서의 능력에 있어서, "창조자로서, 인류를 보존하시는 분으로서, 이 세상의 통치자로서의 하나님의 영광이다."
The supreme end of the civil magistrate “as such,”that is, in his capacity as civil magistrate, is “the glory of God, the Creator, conservator of the human race, and the ruler of the world.”
관료의 부차적인 목적은 "공공의 평화와 평온함, 국가의 외적이며 임시적인 선"에 있다.
The magistrate’s subordinate end is “the public peace and tranquility, the external and temporal good of the state.”
관료로서 그는 (비록 그가 그리스도인으로서 그렇게 할지라도) 그리스도의 나라를 전진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As a magistrate,”he ought not “advance the kingdom of Christ”(though he should “as a Christian”).
다른 한편으로는, 교회 사역의 궁극적인 목적은 "창조자의 영광 뿐만이 아니라 중재자로서, 그리고 왕이시고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영광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end of the church’s ministry is “not only the glory of the Creator, but also the glory of Christ, the Mediator, and the King and head of the church.”
이의 부차적인 목적은 "교회의 평화와 안정이며, 그리스도의 중재적인 나라의 보존과 번영이다."
Its subordinate end is “the peace and safety of the church, the preservation and propagation of the mediatorial kingdom of Christ.”
다시, 투레틴의 개혁주의 동료들은 비슷한 생각들을 전달하고있다.
Again, Turretin’s Reformed cohorts conveyed similar ideas.
알수시우스는 "영역에서의 교회연합을 (세속과 구분하는 의미에서) 그리스도의 왕국을 공적으로 조직화하고 보존하는 의미에서의 과정으로서 그 분의 의지에 따라 설립되고 보증되며 전달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Althusius speaks of the “ecclesiastical communion of the realm”(in distinction from the “secular”) as “the process by which those means that pertain to the public organizing and conserving of the kingdom of Christ ... are established, undertaken, and communicated according to his will.”
후에 그는 세속과 구분되는 교회의 기능을 "하나님의 나라가... 사회에 소개되고 추진되며, 보살피며, 보존되는 수단이다"고 설명한다.
Later he explains that ecclesiastical, in distinction from secular, functions are “the means whereby the kingdom of God ... is introduced, promoted, cared for, and conserved in the commonwealth.”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의 나라가 아닌 자신의 나라를, 관료를 통해서가 아니라, 말씀의 사역자를 통해서 다스리신다.
God “administers his kingdom, which is not of this world, through his ministers of the Word,”not through magistrates.
러더포드는 국가의 관료에 대하여 "관료는 자신들을 그리스도의 대사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질서의 하나님, 창조자로서의 하나님의 대리인이 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Rutherford, in speaking about civil magistrates “as magistrates,”makes them not “ambassadors of Christ”but “deput[ies] of God as the God of order, and as the creator.”
다섯번째로 투레텐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를 대상에 관계하여 구분한다.
Fifth, Turretin differentiated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n regard to object.
여기서 그는 영혼의 외적인 문제와 내적인 문제를 분별하는 사법권과 관계하여 칼빈의 의견을 반복하고 있다.
Here he again echoes opinions of Calvin concerning their distinctive jurisdictions on external matters and internal matters of the soul.
투레틴은 기록하기를: "국가의 권력이 상대하는 대상으로서의 행함과 사람은, 동물적인 삶과 공공의 동료의식이나 외적인 사람과 관련되어있는 만큼이지만; 교권은 거룩한 것을 대상으로 하며 사람과 행함을 앞의 공식적으로 반복을 해보면,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외적인 구원으로 하나님과 연합하거나, 연합 될 수 있도록 임명을 받는 범위 안에서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
Turretin writes: “Civil power has for its object things, actions and persons which and inasmuch as they pertain to the animal life and public companionship or the external man; but ecclesiastical power has for its object sacred things, persons and actions as such, under this formal reduplication, inasmuch as they are both ordained and can be ordained to union with God in Christ and to eternal salvation.”
알수시우스가 교회와 국가의 권위와 책임을 분류하는데 있어서도, 그는 다양한 상황에서도 비슷한 관점을 적용하고있다.
In Althusius’s detailed taxonomy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in church and state, he reflects such views in a variety of contexts.
예를 들자면, "교회의 상황과 기능들에 대한 돌봄과 관리는 세속의 관료에 속하여있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장로들의 교회공동체에 속하여있는 것"이라 주장한 후에 이러한 교회의 다스림은 "영혼의 잘됨에 대한 필요한 상황"에 관한 것이라고 기록한다.
For example, after asserting that “the care and administration of ecclesiastical things and functions belong not to the secular magistrate, but to the collegium of these presbyters,”he writes that this ecclesiastical administration concerns “things necessary for the welfare of the soul.”
이와는 달리, 세속의 체재는 "몸, 음식, 옷, 그리고 이러한 삶에 속하여있는 다른 것들"에 관한 것이다.
“The secular order,”in distinction, concerns “the body, food, clothing, and other things that pertain to this life.”
후에 그는, 영혼의 잘됨과 영생에 관련된 종교와 경건을 교회 공동체에 맡기는 것과, 육체와 여기서의 삶의 용도에 관련된 정의를 세속의 공동체에 맡기는 것에 대한, 비슷한 구별을 하고 있다.
Later he makes a similar distinction, entrusting “religion and piety, which pertain to the welfare and eternal life of the soul,”to the ecclesiastical communion and “justice, which concerns the use of the body and of this life,”to the secular communion.
교회의 체제에서는 경건하고, 학식이 있으며, 지혜로우며, 선한 사람을 배출하는데 반하여, 정치적이며 세속적인 체제에서는 강하고, 군사적이며, 용감한 사람을 배출하므로 그의 주장은 이해할만하다.
Hence his claim is understandable that while the ecclesiastical order produces pious, learned, wise, and good people, the political or secular order produces strong, militant, and brave people.
비슷하게 러더포드도, 국가와 교회에게 각각 "모든 국가적 상황"과 "영적인 일"에 대하여 책임을 부여한다.
Similarly, Rutherford assigns to state and church, respectively, responsibility for “all civil things”and “soul matters.”
이와 같은 종류의 구분이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도 나타난다. 여기서 스코틀랜드 교회는 다음과 같이 확고히한다:"관료는 국민에게 외적인 평화와 평온을 위하여 외적인 상황들을 요구한다; 성직자는 오직 양심에 의할 때만 외적인 상황에 관여할 수 있다.... 관료는 오직 외적인 상황에 관여할 수 있으며 사람들 앞에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영적인 통치자는 내적인 영향력과 외적인 행동 양쪽 모두를 양심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여 판단한다."
This same sort of distinction was captured in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where the Scottish church affirmed: “The magistrate commands external things for external peace and quietness amongst the subjects; the minister handles external things only for conscience cause.... The magistrate handles external things only, and actions done before men; but the spiritual ruler judges both inward affections and external actions, in respect of conscience, by the word of God”(1.11-12).
내가 간단히 요약하자면, 투레틴은 자신이 이러한 일을 논하면서, 국가의 권력은 "거룩한 교회의 상황"에 특별히 관여하고 있는데 이러한 판단은 알수시우스와 러더포드하고도 공유되는 것이다.
I note briefly that Turretin, in his discussion of this matter, goes on to mention that civil power has a certain concern for “sacred and ecclesiastical things,”a judgment shared by Althusius and Rutherford.
이번 장 뒤에서 나는 그들이 이것으로 무엇을 의미하며, 그들이 만든 제한적 조건과, 어떻게 이것이 그들의 광범위한 논의에 적합한지 논의할 것이다.
Later in this chapter I discuss what they meant by this, the qualifications they made, and how it fit into their broader discussions.
투레틴은 국가와 교회의 권위를 구분하는 6번째로 결과에 관계하여 간단히 다룬다.
Turretin treats briefly his sixth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that concerning effects.
그는 말하기를, 관료는 상황을 정치적으로 그리고 정치적 목적을 위해 대처하는데 있어서 항상 일관성있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이 가운데는 정치나 시민의 법, 시민에 대한 형법과 벌금 그리고 이로 인한 평화와 평온등을 포함한다.
The magistrate, he says, in dealing with things politically and for political ends, has “homogeneous effects,”among which he includes “political and civil laws, civil punishments and fines and by these means civil peace and tranquility.”
그는 계속하여 말하기를, 다른 한편으로는, 영적인 방법과 영적인 목적을 위하여 영적인 대상으로 가득 채워진 교회의 권력은 역시 영적인 결과를 가져오는데, 그는 이러한 영적인 결과가 무엇인지는 세분화하고 있지 않다.
On the other hand, he goes on, “the ecclesiastical power as it is occupied with a spiritual object in a spiritual manner and for a spiritual end, also has spiritual effects,”though he does not specify what these spiritual effects are.
"국가의 평화와 평온"에 관해서는 "일반 평화와 안정"이 관료들의 "유일한 과제"가 되어야 한다는 칼빈이 강조하였던 것에 관하여 3장에서 논의하였던 자료에 비추어 볼 때 주목할 만하다.
The reference to “civil peace and tranquility”is noteworthy in light of the material discussed in Chapter 3 regarding Calvin’s strong statements on “common peace and safety”being the magistrate’s “only study.”
알수시우스 역시 이와같은 관심사에 칼빈을 닮았다.
Althusius also resembled Calvin in such concerns.
국가의 관료들이 국가의 기능에 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할 "세속의 다스림"에 대하여 논의를 할 때 알수시우스가 이러한 일에 대하여 특별히 강조하는 것은 "선한 질서" "정의, 평화, 평온, 그리고 기강을 보존"하며 "건강치 못함"과 같은 "국가적 혼란"에 대처하는 동안 "화합"을 지켜내는 것이다.
When discussing the “secular administration”by which civil magistrates attend to civil functions, Althusius puts special emphasis upon matters such as “good order,”“conserving justice, peace, tranquility, and discipline,”and the preservation of “concord,”while treating “civil disturbances”as a “sickness.”
투레틴이 국가와 교회의 권위에 관하여 마지막으로 구분하는 것은 형태에 관한 것이다.
Turretin’s seventh and final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s that of mode.
이 두 권위 사이의 외적인 그리고 내적인 일에 관한 차이를 반복하여 구분한 후에, 그는 이 둘이 통치하기 위한 구별되는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들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구별되는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After reiter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uthorities in terms of external and internal matters, he explains that these two therefore have distinctive standards governing them and distinctive weapons for accomplishing their purposes.
그는 기록하기를: "후자 (교회의 권력) 는 자연의 이성이나, 시민법과 국가를 지배하는 인간의 지위 등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에 의하여 기록된 정경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이는 정치적으로나 세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천국의 열쇠와 성령의 검과 다른 비슷한 수단에 의하여 영적이고 신비적인 방법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세속적이지 않으며... 성례를 집행하며, 이는 감추어진 것이며, 어떠한 지상적인 그리고 시민의 이권을 위한 것이 아니며, 그리스도와의 신비적 연합을 위하며 그의 영적인 유익을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을 개선 시키며, 그의 나라를 세우면서 죄인의 구원을 위한 것 말고는 어떠한 다른 목적을 위한 것도 아니다."
He writes: “The latter [ecclesiastical power] is not regulated by natural reason, civil laws and human statutes, by which states are governed; but by the word of God alone and the canon of the Scriptures dictated by the Holy Spirit. It is not exercised in a political and worldly, but in a spiritual and mystical manner by the keys of the kingdom of heaven and by the sword of the Spirit and other similar weapons; not carnal.... It administers the sacraments, which are seals, not of any earthly and civil privilege, but of mystical union with Christ and of his spiritual benefits. Nor does it regard any other end than the edification of the body of Christ, the establishment of his kingdom and the salvation of sinners.”
여기서 다수의 중요한 문제가 제기되며, 이중 몇가지는 아래에서 다시 고려해볼 것이다.
A number of important matters are raised here, some of which we will consider again below.
국가는 자연적 이성과 시민법을 고려하게 되지만, 교회는 오직 성경 만을 고려하게 된다.
The state looks to natural reason and civil laws, the church looks to Scripture alone.
국가는 검과 같은 세속적 무기를 취하게되지만 교회는 왕국의 열쇠로서의 영적이고 신비적인 무기를 취하게된다.
The state takes up carnal weapons, such as the sword, while the church has spiritual and mystical weapons, the keys of the kingdom.
이것들은 실행되었을 때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These are certainly differences with far-reaching implications if put into practice.
다시 한번 말하면,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집단에서도 비슷한 생각들이 나오고있다.
Once again, similar ideas emanated from other Reformed orthodox circles.
예를 들어, second Book of Discipline에서는 교권은 성경에 기초하고 있다고 가르친다.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for example, teaches that the ecclesiastical power is grounded (only) in Scripture (1.2, 7).
더군다나 여기서는 "국가의 권력은 칼의 힘이라고 불려지고, 다른 것은 열쇠의 힘이라고 불려진다; 그리고 " 국가의 관료는 칼이나 다른 외적인 수단에 의해서 순종을 요구하거나 취하는데 반하여 성직자는 영적인 검과 영적인 수단으로 그렇게 한다"고 진술하고 있다.
Furthermore, it states: “The civil power is called the power of the sword, and the other the power of the keys”(1.9); and “The civil magistrate craves and gets obedience by the sword and other external means, but the ministry by the spiritual sword and spiritual means”(1.13).
다른 각도에서 보면, "관료는 설교를 하거나 성례 만이 아니라 교회를 추방하는 일을 실행해서도 안되며, 또한 어떻게 행하여져야 하는지 어떠한 규칙도 규정하여서는 안되며.... 성직자는 국가의 사법권을 실행하여서는 안된다."
From a different angle, “The magistrate neither ought to preach, minister the sacraments, nor execute the censures of the kirk, nor yet prescribe any rule how it should be done.... The ministers exercise not the civil jurisdiction”(1.14).
길레스피는 자연법에 의한 통치를 국가에는 연관시키지만 교회에는 그렇지 않다: "정부와 권위는 자연과 국가의 법을 기반으로 할 수 있지만...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에 종속되거나 그 아래에서 관리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관료나 국가 정부는 자연이나 국가의 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Gillespie associates the rule of natural law with the state but not the church: “Government and authority which hath a foundation in the law of nature and nations ... cannot be held of, and under, and managed for Christ, as he is Mediator. But magistracy or civil government hath a foundation in the law of nature and nations.”
러더포드는 역시 성서를 교회의 표준으로 가리키면서 말하기를, 예를 들자면, 성서 안에서 교회는 교회 정치를 위한 "완전한 근거"를 가진다.
Rutherford too points to Scripture as the church’s standard, saying, for example, that in Scripture the church has a “perfect platform”for church government.
국가의 권위에 관하여는, 그는 관료가 "그리스도의 나라나 이를 근거로하는 기관에서의 일에 관한 권력"이라는 것을 부인하며 "관료로서의 관료는 칼에 의해서 죄를 벌하지만... 그러나 죄를 사하거나, 이 땅이나 하늘에서 묶거나 푸는 것도 아니며, 어떠한 영적인 힘을 행사하는 것도 아니며, 사람들의 양심을 다루는 것도 아니다"고 설명한다.
In regard to civil authority, he denies the magistrate “power in matters of Christ’s kingdom or the government thereof”and explains that “magistrates as magistrates do punish sins with the sword ... but not forgive sin, nor bind and loose in earth or heaven, nor exercise any spiritual power, nor deal with the consciences of men.”
관료의 나라의 가장 핵심은 칼을 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그의 직책은 그리스도의 나라의 한 부분이 아니며 또한 교회의 머리가 될 수 없다.
The very essence of the magistrate’s kingdom is bearing the sword, and hence his office is not a part of the kingdom of Christ nor can he be head of the church.
이번 단락에서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한편으론 국가 권위와, 다른 한편으론 교회의 권위 사이의 다양한 성격과, 기능, 그리고 목적의 상호 차이에 관하여 정리를 하였다.
As this subsection has laid out in considerable detail, Reformed orthodox writers made numerous, interrelated distinctions between the character, functions, and goals of civil authority on the one hand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on the other.
이러한 차이점을 드러내면서, 이들 저자들은 두 왕국의 차이점과 이들 두 왕국 특히 교회와 국가의 정체성이 실제로 얼마나 중요한지를 증명해 주었다.
In expositing such distinctions, these writers demonstrat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ir two kingdoms distinction and of their identification of these two kingdoms particularly with church and state.
이 자료를 3장에서 관련된 논의와 비교하는 것은 칼빈과 그의 신학적 후계자들이 이 두 제도들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Comparison of this material with the related discussion in Chapter 3 should manifest the great concurrence between Calvin and his theological heirs in articul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institutions.
투레틴은 자신의 7가지 특징을 열거하고 나서 바로 이번 단락에 마지막에 적합한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려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교회의 권력은 영적이며 정치와는 많이 다르기에, 이는 공식적으로나 특별하게 국가나 세속이 아니며, 체제자체부터 이것과 구별되는 것이다."
Immediately following the enumeration of his seven distinctions, Turretin offers a conclusion that seems a fitting finale to this subsection: “Therefore, since this ecclesiastical power is spiritual and differs in so many ways from the political, it follows that it is not formally and specifically civil and secular, but distinct from it in species.”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코튼과 두 왕국 (0) | 2015.04.20 |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 2015.04.17 |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과 국가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문제들 (0) | 2015.04.15 |
두 왕국의 성격과 속성 (0) | 2015.04.01 |
종교개혁 저항 학자들에서 볼 수 있는 자연법(Natural Law)의 특성 (0) | 2015.03.18 |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Two Kingdoms
(다음 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WSC의 조직신학 교수인 David M.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의 p176-182을 번역한 것이다. 번역에 있어서 kingdom을 나라 혹은 왕국으로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개혁파 정통주의 관점에서 두 왕국 교리에 관하여 좀 더 세밀한 부분들에 대한 고려를 시작하면서, 이 시대에 개혁주의 저자들이, 특히 한 왕국를 다른 왕국와 구분하는 의미들에 있어서, 우선 어떻게 두 왕국의 성격과 속성에 강조점을 둘 수 있었는지를 논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As we now begin a m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in Reformed orthodox thought, it seems helpful first to discuss how Reformed writers of this era articulated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two kingdoms, particularly in terms of one kingdom’s distinction from the other.
특성적인 면에서 볼 때, 투레틴은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과 비슷하게 그리스도의 왕권을 세밀하고 적절하게 논하고있기 그의 논술은 이 세분화된 부분에서 유용한 역할을 하고있다.
Turretin, in characteristic fashion, offers a nuanced and relevant discussion of Christ’s kingship similar to that of other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and thus his treatment serves as a useful focus for this subsection.
투레틴은, 두 왕국 교리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부수적 강조점의 모양을 갖춘, 그리스도의 왕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논술을 시작한다: "모든 것에 앞서 우리는 그리스도께 속한 나라의 두 가지 속성을 구분하여야 하는데, 하나는 자연적이고 필연적이며, 다른 하나는 중재적이고 경륜적이다."
Turretin begins his exposition of Christ’s kingship with a crucial distinction that shapes his subsequent articulation of matters pertaining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Before all things we must distinguish the twofold kingdom, belonging to Christ: one natural or essential; the other mediatorial and economical."
이러한 진술 뒤에 따르게 될 논의에서 분명히 말하게 될 것과 같이, 투레틴은 칼빈이 시민의 나라와 영적인 나라에 대하여 언급한 것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확인 해 주고있다.
As clearly indicated in the discussion that follows this statement, Turretin is in effect identifying what Calvin referred to as the civil kingdom and the spiritual kingdom.
투레틴은 한 왕국를 다른 왕국와 구분하기 위하여 일련의 구분점을 만들어가고 있다.
Turretin proceeds to make a series of distinctions in order to differentiate one kingdom from the other.
"자연적이고 근원적인"나라는 모든 창조물을 포함하는데 반하여 "중재적이고 경륜적인"나라는 특히 교회에서 한계를 이룬다.
The “natural or essential”kingdom is “over all creatures”while the “mediatorial and economical”kingdom is “terminated specially on the church.”
그리스도는 전자를 영원한 아들(아버지와 성령에 따르는)로 소유하시며, 후자는 "하나님-아들이라는 특별한 방법"으로 다스리신다. 전자는 "섭리라는 뜻 위에 세워지며" 후자는 "선택의 뜻 위에" 세워진다. 그리스도는 전자에 대하여는 "하나님이심으로서 그리고 말씀이심이기에" 다스리시고 후자에 대하여는 "하나님- 아들이시므로"다스리신다.
Christ possesses the former as the eternal Son (along with the Father and Holy Spirit) and administers the latter “in a peculiar manner as God-man.” The former “is founded on the decree of providence”and the latter “on the decree of election.” Christ exercises kingship over the former “inasmuch as he is God ... and the Logos”and over the latter “inasmuch as he is God-man”
투레틴의 설명에 따라서 요약하여 말하자면, 이는 그의 중재적이고 경륜적인 나라인데 이유는 중재자의 지배하에 있으며, 은혜의 섭리에 의한 그 분의 소유이기 때문이다. 또 한 나라는 자연적으로 그에게 속하여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자연적'이라고 부른다.
In a summary statement, Turretin explains: “Hence it is called his ‘mediatorial and economical kingdom’because it is a dominion peculiar to the Mediator and as it were his own according to the dispensation of grace. The other belongs to him by nature and is on that account called ‘natural.’”
이 자료는 자체만으로도, 개혁파 정통주의에서 종교개혁의 두 왕국 교리의 부산물에 대해서 뿐만이 아니라, 두 왕국에 관하여 좀 더 큰 기독론에 적합되도록 생각이 잘 정리되고 발전되는 신학이 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근원적인 증거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material alone provides substantial evidence not simply for remnants of a Reformation two kingdoms doctrine in Reformed orthodoxy, but for a well thought out and developed theology of the two kingdoms incorporated into larger questions of Christology.
여기서 잠시 머무르며 투레틴의 주장을 조명해볼 가치가 있다.
It is worth lingering for a moment and highlighting Turretin’s claims here.
그리스도는 하나의 나라를 영원하신 하나님으로서,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분으로서, 피조물들을 다스리신다. 그리스도는 또 하나의 나라를, 성육신 하신 하나님-사람으로서, 구속하시는 분으로서, 교회를 다스리신다.
Christ rules the one kingdom as eternal God, as the agent of creation and providence, and over all creatures. Christ rules the other kingdom as the incarnate God-man, as the agent of redemption, and over the church.
후자의 나라는 구속적인데 반하여 전자는 구속과 관계없으며, 후자는 배타적인데 반하여 전자는 포괄적이다.
The latter kingdom is redemptive, the former is non-redemptive. The latter is exclusive, the former is inclusive.
내가 아는 바로는 칼빈은 절대로 이를 이와같이 조직화하고, 상세하고 세심하게 분류를 하지 않았다.
To my knowledge, Calvin never put things in quite this organized, detailed, and nuanced a way.
그러나 투레틴의 논술은 칼빈이 강조하였던 생각들을 광범위하게 표현한 것으로서,이미 3장에서 논의하였던 바와 같이, 좀 더 발전적이고 신학적으로 통합된 형태를 취하였다.
But Turretin’s exposition seems very much to express the ideas that Calvin articulated, as discussed in Chapter 3, but in a more developed and theologically integrated fashion.
투레틴이 뒤따르는 논의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의향 중의 하나는, 그리스도가 중재자이시고 구속자가 되시어 영적이고 천상의 성격을 나타내는 나라는, 자연적이고 필수적인 이 땅의 세속적인 성격을 가진 나라와는 구별되어야 하며, 이로서 칼빈에게 중요했던 주제를 반복 서술하려는 것이다.
One of the matters that Turretin is intent on emphasizing in his subsequent discussion is the spiritual and heavenly nature of Christ’s mediatorial, redemptive kingdom in distinction from the earthly and mundane nature of the natural, essential kingdom, thereby echoing an important theme for Calvin.
중재적인 나라에 관계 하여 그가 제기하는 특별한 질문 즉, 현세적이고 지상적이냐, 아니면 영적이고 천상적인가에 관하여 그는 "정통주의에서는 그의 나라가 현세적이거나 지상적인 것이 아니라 영적이고 천상적인 것으로 추정하고있다"고 대답한다.
The specific question that he poses “concerns the manner of that [mediatorial] kingdom —whether it should be mundane and earthly, or spiritual and heavenly.”His answer is that “the orthodox infer that his kingdom is not mundane and earthly, but spiritual and celestial.”
그는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을 유대주의와 동일시하며, 지상의 것들에서 그리스도의 나라를 찾으려는 것은 "유대주의적 허망함"이라고 말한 칼빈의 의견을 반복하여 말한다.
He identifies the contrary opinion with the Jews, echoing Calvin’s sentiment that finding Christ’s kingdom in earthly things is a “Jewish vanity.”
투레틴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6가지의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이유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특별히 구약의 예언들과 유형들 그리고 메시아와 그의 나라에 관한 신약성경의 가르침을 가리키고 있다.
Turretin proceeds to offer six biblical and theological reasons in support of this claim, pointing especially to Old Testament prophecies and types and to New Testament teaching about the Messiah and his kingdom.
이 논의에서 그는 "이러한 나라에 속하여있는 모든 것들은 영적인 것으로서, 현세적이거나 지상적인 것은 아니며, 왕, 보좌, 왕위, 국민, 통치 형태, 율법, 축복을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In this discussion he asserts that “all that pertains to this kingdom is spiritual, not mundane and earthly,”mentioning its king, throne, scepter, subjects, mode of administration, laws, and blessings.
이보다 몇 년 일찍, 러더포드와 길레스피 역시 이러한 핵심 점들의 많은 부분들을 받아들였다.
A few years earlier, Rutherford and Gillespie also embraced many of these key points.
러더포드는 투레틴과 같이, 창조주에 의하여 다스림을 받는, 그래서 임시적이고 현세적인 나라와, 구속주에 의해서 다스림을 받는, 그래서 영적이고 천상적인 나라를 구분하였다.
Like Turretin, Rutherford distinguished between one kingdom ruled by God as creator (and hence temporal and mundane) and the other kingdom ruled by God as redeemer (and hence spiritual and heavenly).
예를 들어서, 이러한 국가와 교회에서의 두 나라가 제도적으로 표현된 것에 관하여 말하자면, 러더포드는 "이 두 가지 권력은, 영적인 것과 임시적인 것, 이 세상의 세속적인 것과 이 세상이 아닌 곳에서의 영적인 것과 같이 다른 것으로서, 한 국민은 궁극적으로 창조 주 하나님께 속해있고 다른 하나는 궁극적으로 구속 주 하나님께 속하여있는 것이다."고 말한다.
For example, in speaking about the institutional expression of these two kingdoms in state and church, Rutherford says: “these two powers are so different, as spiritual and temporal, carnal of this world, spiritual not of this world, the one subject as supreme immediately to God creator, the other supreme immediately subject to God the redeemer.”
그리고 나서 그는 바로 "그리스도의 나라"와 "군주의 나라"를 대비시키면서, 전자의 영성으로 인하여 군주의 나라는 그리스도의 나라의 일부분이 될 수 없다고 결론 내린다.
Shortly thereafter he contrasts “Christ’s kingdom”and “the magistrate’s kingdom”and, precisely because of the spirituality of the former, concludes that the magistrate’s kingdom “is not a part of his [Christ’s] kingdom.”
여기서 러더포드와 투레틴의 용어 사이의 분명한 차이점은, 투레틴이 이 세상 나라를 그리스도가 하나님으로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다스린다고 말하는 것과는 달리, 러더포드는 단순하게 창조주 하나님에 의하여 다스리는 나라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신학자들에 의하여 표현되는 신학적 사고들은 본질에 있어서는 동일한 것이다.
The only evident difference between Rutherford’s and Turretin’s language here is that while Turretin speaks of the temporal kingdom as ruled by Christ as God, with the Father and Spirit, Rutherford simply speaks of this kingdom as ruled by God (the creator). But the theological idea expressed by these theologians is substantively identical.
길레스피는 투레틴과 좀 더 비슷한 용어로, 같은 교리를 확언하고 있는데,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두 가지 나라에 있어서, 하나는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로서 모든 것에 대하여 성부와 성령과 함께 다스리시며, 다른 하나는 중재자로서 그리고 교회의 머리로서 다스리신다"고 기록하고 있다.
Gillespie affirms the same doctrine, writing, in language more similar to Turretin’s,of “a twofold kingdom of Jesus Christ: one, as he is the eternal Son of God, reigning together with the Father and the Holy Ghost over all things ...; another, as Mediator and Head of the church.”
그리스도의 영적이고 구속적인 나라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투레틴은 이러한 통치와 실행이 주로, 교회로의 부르심과 모임, 교회의 보존과 통치, 교회의 보호와 방어, 그리고 교회의 가득한 영광의 네 가지로 구성 되어 있다고 논리를 펴고 있다.
In discussing the spiritual, redemptive kingdom of Christ, Turretin argues that its administration and exercise consist principally in four things: the calling and gathering of the church, the conservation and government of the church, the protection and defense of the church, and the full glorification of the church.
이번 연구에서 특히 눈에 띄는 한 가지는 교회와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를 밀접하게 연관 시키는 것이다,
One matter that is particularly striking for the present study is the close association of the church and Christ’s spiritual kingdom.
투레틴은 교회만이 나라가 집행되고 실행되는 장소라고 언급하고있는데, 이는 그가 교회를 유일하게, 필수적인 천상의 그리스도의 나라가 제도적으로 표현되는 곳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Turretin mentions only the church as the place where the kingdom is administered and exercised, which suggests that he viewed the church as the only present institutional expression of the essentially heavenly kingdom of Christ.
투레틴이 다른 곳에서 말하는 방법은 이러한 결론을 지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그는 "교회는 하늘의 나라이고 그리스도의 구속적, 중재적 왕권은 교회에서 종결되는 것이다"고 기록하고 있다.
The way Turretin speaks elsewhere bolsters such a conclusion. He writes, for example, that “the church is the kingdom of heaven”and that Christ’s redemptive, mediatorial kingship is “terminated specially on the church.”
사실 그는, 중재자로서의 왕권은 그리스도에 속하여있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그를 교회의 머리로 지명하셨기 때문이라고 덧붙인다.
In fact, he adds that the mediatorial kingship belongs to Christ “because he [God] constituted him King over the church (Ps. 2:6).”
길레스피의 언어는 간결하고 분명하다: " 그리스도는 중재자로서 오직 교회의 머리이시다." 이러한 교회의 구속적이고 영적인 나라의 배타적 성격은 개혁주의 신학에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Gillespie’s language is concise and unambiguous: “Christ, as Mediator, is King of the church only.” Such an exclusive identity of the redemptive, spiritual kingdom with the church was no novelty in Reformed theology.
3장에서 관찰하였던 바와 같이, 칼빈도 이와 같은 교리를 가르쳤으며 이는 그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의견과는 대립 되는 것이다.
As observed in Chapter 3, Calvin taught this same doctrine, contrary to commonly received opinion about him. Likewise, the Scottish ecclesiastics of 1559, after referring to the “spirituall and hevinlie kingdome,”clarified by adding: “the kirk of God we mein.”
하인리히 헤페가 정통파 개혁주의의 의견을 일반적으로 정리하면서 " 개혁주의 교리에 따르면 그리스도의 왕권이 교회 밖의 (자연의) 영역에 까지 확대되는 것은 옳지 않다. 물론 그리스도께서 여기에 대하여 영향력을 가지고 계시지만 그러나 오직 교회에 대한 중재자적 왕권을 행사하실 목적에 한한 경우만 그렇다."고 기록한 것은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It is no surprise, then, that Heinrich Heppe writes, in summarizing the opinion of Reformed orthodoxy generally, that “it is not right, when it is said that according to Reformed doctrine the kingship of Christ also extends over the extra-Church sphere (of nature).
Of course Christ has power over this also, but only for the purpose of exercising his mediating Kingship over the Church."
두 왕국 교리의 이러한 면은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서 고백적인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45에서는 우선 교회의 의미에서 그리스도의 왕권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는 일단의 사람들을 세상으로부터 지기자신에게 불러내고 그들에게 그가 유형적으로 그들을 통치하는 직임자와 법률과 징벌을 주심으로, 그의 선택자들에게 구원의 은총을 수여하며 그들의 순종을 포상하고 그들이 범죄할 때 교정하며 모든 유혹과 고난에서 그들을 보존하고 지원하며 ...."
This aspect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found confessional expression in the Westminster Standards. WLC 45 speaks primarily of Christ’s kingship in terms of the church: “Christ executeth the office of a king, in calling out of the world a people to himself, and giving them officers, laws, and censures, by which he visibly governs them; in bestowing saving grace upon his elect, rewarding their obedience, and correcting them for their sins, preserving and supporting them under all their temptations and sufferings....”
이러한 점에서 그의 왕권을 교회 밖의 사람들에게도 선포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헤페가 말하는 바와 같이 구속의 의미에서 행하시는 것만이 아니라 오직 자신의 백성을 위하며 원수 갚음을 위함이다: "그들의 모든 적들을 억제하고 정복하며, 나아가 자기자신의 영광과 그들의 유익을 위하여 만물을 능력있게 정리함으로, 그리고 또한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복음을 불순종하는 나머지에게 복수함으로 왕의 직분을 수행한다."
At this point it goes on to speak of his kingship over those outside of the church, not in redemptive terms but only, as Heppe says, for the sake of his people or for wreaking vengeance: “restraining and overcoming all their enemies, and powerfully ordering all things for his own glory, and their good; and also in taking vengeance on the rest, who know not God, and obey not the gospel.”
같은 노선을 따라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5.2에서는 "보이는 교회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이다"라고 간단 명료하게 말한다.
Succinctly, but along the same lines, WCF 25.2 states that the visible church “is the kingdom of the Lord Jesus Christ.”
교회는 그리스도의 구속적 나라이면서 이 나라를 영적으로 보는 개혁파 정통주의의 관점이, 교회 자체가 어떠한 외부의 정부를 가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Reformed orthodox views of the church as the redemptive kingdom of Christ and of this kingdom as spiritual did not mean that the church itself should have no external government.
이러한 점에서 개혁주의 전통은 전형적인 루터의 두 나라 교리와는 구별되는데, 이(루터주의)는 교회의 영적인 성격상 외부의 정부를 배척하며, 교회를 통치하는 외부의 일들은 국가보다 우선하여 다루도록 하고 있다.
In this matter the Reformed tradition differed from typical Lutheran two kingdoms theology, which, in seeing the church’s spiritual character as precluding an external government, was content to hand external administrative matters of the church over to the state.
좀 더 본론적을 말하자면 스위스의 의사이면서 하이델베르그 대학 교수인 토마스 에라스투스는 종종 이와 비슷한 관점을 보여주고있다.
Closer to home for the Reformed, Swiss physician and University of Heidelberg professor Thomas Erastus (1524-83) is often associated with similar views.
에라스투스는 교회가 추방할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한다.그리고 에라스티안이란 국가가 교회를 다스려야 한다는 뜻을 의미하게 되었다.
Erastus denied the right of the church to excommunicate and the term “Erastian”came to connote the idea that the state should control the church.
칼빈은, 3장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영적이지만 외적으로 조직된 기관과 훈련의 필요성에 대하여 확고히 했을 뿐만이 아니라, 그 후에도 개혁주의 신학과 예배 의식에 있어서도 역시 상징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요구하였다. 이것은 사실 투레틴이나 러더포드, 길레스피에게도 주요 관심사였다.
Not only did Calvin affirm the necessity of a spiritual yet externally organized ecclesiastical government and discipline, as discussed in Chapter 3, but later Reformed theology and practice also typically called for such.This was in fact a major concern of Turretin, Rutherford, and Gillespie.
만약에 개혁주의 두 왕국 교리가 무엇인가를 의미한다면, 이는 교회의 외부 기관이나 훈련이 시민의 행정으로부터 떠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If the Reformed two kingdoms doctrine meant anything it meant that the external government and discipline of the church was not left to the civil magistrate.
현재의 세분화된 섹션에서 마지막으로 다루어야 할 한 가지 과제가 남아있다.
One final matter remains for the present subsection.
투레틴과 다른 개혁파 정통주의 지도자들이 강조하는 두 왕국 사이의 명확한 구분에 있어서 제기되는, 중요하지만 어려운 질문은, 그리스도가 시민의 왕국( 좀더 정확히는 특히 지상의 왕국을 말한다.)을 다스리는지 혹은, 어떻게 다스리는가 에 관한 것이다.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that Turretin and other Reformed orthodox luminaries articulated raises the important yet difficult question of just how, or even whether, Christ rules the civil kingdom (or, more concretely, particular earthly kingdoms).
투레틴은 그가 다스리신다고 명확히 말하면서 어떻게 다스리시는지 설명하기 위하여 여러가지를 수정하여 적합화 시키고있다.
Turretin makes clear that he does, yet makes several qualifications in explaining how.
이를 적합화라고 부르는 것이 망설여질지 모르겠지만 의미를 보증하기에는 충분히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One hesitates to call them “qualifications,”but they seem important enough to warrant the term.
위에서 본 것과 같이, 우선 투레틴은 그리스도가 성육신하신 중재자가 아닌 로고스로서,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로서, 그리고 구속자가 아닌 창조주로서, 유지자로서 현세의 나라를 다스리신다는 것을 아주 분명히 한다.
First, as seen above, Turretin makes quite clear that Christ rules over the temporal kingdom not as the incarnate mediator but as the Logos, the eternal Son of God, and hence as creator and sustainer but not as redeemer.
후에 그는 자신의 논의를 통하여, 그리스도께서 이 분명히 구분되는 수용대상에 대한 통치의 방법을 특화시킴으로서, 우리에게 질문에 대하여 정성을 들여 답하고있다.
Later in his discussion he elaborates on the question before us by specifying the different ways in which Christ reigns in these distinct capacities.
비록 그리스도께서 항상 세상적이 아닌 영적인 방법으로 통치를 하시더라도 "그는 진실로 경건한 이와 악한 이에 대하여 다른 방법으로 통치 하신다: 전자에 있어서는 머리로서, 성령의 따스하고 건강한 영향력으로, 후자에 있어서는 주권자로서 그 자신의 능력 있는 덕으로 통치 하신다"고 투레틴은 설명한다.
Though Christ reigns always in a “spiritual”and not an “earthly”way, Turretin explains: “Indeed he reigns differently in the pious and the wicked: in the former by the sweet and healthful influence of the Spirit, as head; in the latter, by his own powerful virtue as Lord.”
여기서의 투레틴의 해설은, 그가 이전에 정립한 두 왕국 사이의 구분이, 바로 경건한 이들과 악한 이들 사이의 구분이 아니라는 점에서,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소지가 있을 수 있다.
Turretin’s exposition here might be suspected of harboring some confusion, insofar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ingdoms that he previously set forth is not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the “pious”and the “wicked.”
경건한 이들은 영적인 나라에서 뿐만이 아니라 시민으로서도 살아가고 있다.(그리고 일부 악한 사람들도 교회에서 외적인 일원으로서의 신분을 유지하기도 한다.)
The pious live in the civil as well as the spiritual kingdom (and some wicked people hold external membership in the church).
영역에 있어서 약간의 혼동이 있다고 하더라도, 여기서 말하는 투레틴의 의견은 그가 이전에 언급한, 즉 창조자로서 그리고 유지자로서 그리스도는 모든 것에 대한 주권적 주로서 현세적인 나라를 다스리시고, 성육신 하신 구속자로서 그리스도는 보호하시는 구원자로서 영적인 나라를 통치하신다는 투레틴의 이전의 설명을 논리적으로 확장 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Despite what thus may be a brief confusion of categories, Turretin’s sentiments here seem a logical extension of his earlier comments: as creator and sustainer, Christ rules the temporal kingdom as the sovereign lord of all; as incarnate redeemer, Christ rules the spiritual kingdom as a tender savior.
그러므로 그밖의 투레틴의 결론을 따르자면: "이와 같은 정치적 통치자는 그리스도의 나라를 증진 시키기 위하여 적절하게 공식적으로 헌신하지는 않는다." 길레스피도 투레틴과 같은 방법으로 자주 말하곤 하였다.
Hence would seem to follow Turretin’s conclusion elsewhere: “The political magistrate as such does not serve properly and formally in promoting the kingdom of Christ.” Gillespie frequently speaks in the same way as Turretin.
러더포드의 용어는 투레틴과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비슷하며, 이들의 본질적인 신학적 주장들은 다 같은 것이다.
Rutherford’s language is similar though not identical to Turretin’s, and their substantive theological claims are the same.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러더포드는 현세적 나라를 "창조주 하나님"께 귀속시키고 영적인 나라를 구속자이시며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께 귀속 시킨다.
As noted above, Rutherford put the temporal kingdom under “God the creator”and spiritual kingdom under “Christ the Redeemer and Head of the Church.”
전자에 대하여 좀 더 언급한다면, 이는 그리스도의 영적인 나라의 일부분이 아니며 솔직하게 말해서 시민의 관료는 "교회의 중재자나 머리로서 귀속될 수 없는 것이다."
In speaking further about the former, he writes that it is “not a part”of Christ’s spiritual kingdom and thus states bluntly that the civil magistrate “is not subordinate to Christ as mediator and head of the church."
비슷한 맥락에서, 그는 후에 "관료로서의 통치자는 그리스도의 대사가 아니며 질서의 하나님, 그리고 창조자로서의 하나님의 대리인이 아니다."고 말한다.
Along similar lines, he says later that “magistrates as magistrates”are not “the ambassadors of Christ”but “the deputy of God as the God of order, and as the creator.”
그 후에 그는 "통치자로서의 관료자는 중재자로서의 그리스도의 대리인이나 대리자도 아니며, 이와같이 통치 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중재적 나라의 대리 역할을 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추가하여 언급한다.
Still later he adds that “the magistrate as a magistrate is not the vicar nor deputy of Jesus Christ as mediator”and that “the magistrate as such is not a vicar of Christ’s mediatory kingdom.”
이러한 주장에는 섬세한 부분과 단서 조건들이 있는데, 이 중에 몇 가지는 다음에 논의하기로 하자.
There are nuances and qualifications to these claims, some of which will be discussed below.
이러한 증거에 비추어 볼때, 나는 투레틴과 러더포드가 비록 어느 정도 다른 시각에서 보고 있지만, 이들은 여기에서 같은 교리를 가르치고 있다고 제안을 해본다.
In light of this evidence, I suggest that Turretin and Rutherford teach the same doctrine in these passages, though from somewhat different angles.
그리스도가 이 현세적 나라를 다스리시는가에 대한 질문에 투레틴은 그렇다라고 대답하는데, 이는 그가 성부 성령과 함께 영원하신 하나님으로서, 그리고 창조하시고 유지하시는 분이라는 조건에서 대답하는 것이고; 러더포드는 같은 질문에 대하여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는데 이는 창조주 하나님이 이러한 나라를 다스린다는 조건에서 대답하는 것이다.
Turretin answers Yes to the question whether Christ rules the temporal kingdom, but with qualifications (i.e., that he does so only as eternal God, with the Father and Holy Spirit, as creator/sustainer); Rutherford answer No to the same question, but with qualifications (i.e., that God the creator does rule this kingdom).
이러한 각각의 조건을 다른 것과 비교해 볼 때 같은 결과가 나온다
When the qualifications of each are compared to the other’s, the effect is the same.
이것을 가능한 좀 더 세밀히 살펴볼 때, 이들은 모두 하나님의 아들이 현세적 세상을 삼위 하나님의 영원하신 한 분으로서 통치 하신다고 말하지만, 성육신 하신 중재자이면서 구속자로 자신의 영역을 다스리시지는 않으신다고 가르친다.
To put it as precisely as possible, they both teach that the Son of God rules the temporal kingdom as an eternal member of the Divine Trinity but does not rule it in his capacity as the incarnate mediator /redeemer.
이러한 신학적 구분은 이 책에서 서술 될 이야기에는 매우 결정적인 것이다.
This theological distinction is crucial for the story being narrated in this book.
3장에서는 칼빈의 소위 말하는 극단적 칼빈주의의 기독론은,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그리스도의 신적인 작업을, 성육신 하신 이후에도 하나님-사람과 중재자로서의 구속 사역과 구분하는 신학적 범주를 제공해준다고 기록하고 있다.
Chapter 3 noted that Calvin’s so-called extra Calvinisticum Christology gave him theological categories for distinguishing Christ’s divine work of creation and providence from his work of redemption as God-man and mediator, even after the incarnation.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도 역시 그리스도의 계속되는, 즉 창조하시고 유지하시는 분과 구속자로서의 구별된 정체성을 인식하고 있고, 이러한 생각을 위에서 관찰한 바와 같이 발전시키며, 이를 특별히 두 왕국 교리에 접목 시키고 있다.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also recognized Christ’s continuing distinct identities as creator/sustainer and as redeemer and developed this idea in the ways observed above, tying it specifically to the two kingdoms doctrine.
이들은 자연법의 근거를 행위 언약에 두고 있고 또한 구속보다는 창조에 두고 있으므로, 이들은 시민의 나라를 구속보다는 창조에 근거를 두려고 한다.
As they grounded natural law in the covenant of works, and hence in creation rather than in redemption, so they also grounded the civil kingdom in creation rather than in redemption.
다음 장에서는 어떻게 후기의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그리스도의 창조하시고 유지하시는 행위와 구속하시는 일을 구분함으로서 두 왕국 교리를 유지 할 수 있었는지 탐구할 것이며,또한 그 다음 장은 역시 이러한 구분을 두 왕국 교리를 버림으로서 최근의 개혁주의의 주된 요소에서 어떻게 제외 시켰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Subsequent chapters will explore how later Reformed theologians continued to distinguish between Christ’s creating/sustaining work and his redeeming work and retained a two kingdoms doctrine by doing so, but later chapters will also identify rejection of this distinction as a major factor in the recent Reformed abandonment of the two kingdoms doctrine.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코튼과 두 왕국 (0) | 2015.04.20 |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 2015.04.17 |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과 국가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문제들 (0) | 2015.04.15 |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차이점 (0) | 2015.04.06 |
종교개혁 저항 학자들에서 볼 수 있는 자연법(Natural Law)의 특성 (0) | 2015.03.18 |
종교개혁 저항 학자들에서 볼 수 있는 자연법(Natural Law)의 특성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David VanDrunen의 “Natural Law and the Two Kingdom” 133쪽 이하를 정리한 것으로 종교 개혁과 더불어 시작된 세속 정부의 박해에 대항하여 활동하였던 몇 사람의 저항 학자들의 문헌을 통하여 “자연법(natural law)”의 개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이러한 적용의 예를 통하여 지금 이 시대에 세상 정부나 조직에 대하여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자연법적으로 적용을 하여야 하는지를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세상 정부와 기관에 대한 자연법적 적용 방식은 “화란 개혁주의의 기독교 세계관”1)과 대비되는 접근 방식으로서 이 세상에 대한 두 왕국 교리(two kingdom doctrine)가 전제되어 있다.
1.사람의 마음에 새겨진 자연법의 두가지 중요한 점들
1) 자연법은 자동적이거나 자연적인 현상(some sort of autonomous or naturalistic phenomenon)으로 생긴 것이 아니다.
자연법은 신성으로 정해져서 심겨진(divinely ordained and implanted)것이다.
포넷(John Ponet;1514-1556)은 "자연법은 사람이 만든 것이 아니고 하나님께서 정하신 것"이라고 분명히 말한다.
2) 인간의 이성 자체는 심각하게 손상되어있다. 비록 이성이 성격에 있어서는 인간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법에 노출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지만, 인간의 능력으로서의 이성은 본래적으로 전혀 신뢰할 만한 상태가 아니다.
이러한 이성에 대한 개념은 종교개혁 초기의 저항 신학자들이 자신들의 개혁주의적 관점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실 포넷(Ponet)은 자신의 논문 앞부분에서 "인간이 타락 되었다는 말은 사람이 이성으로 자기 자신을 다스릴 수 없기에 공공의 복지가 인간의 이성의 산물이라고 말하는 것은 옳지가 않다"고 말한다.
2. 존 포넷(John Ponet)가 말하는 자연법(natural law)
종교 개혁기의 영국의 여왕 메리1세의 핍박으로 망명 생활을 하였던 존 포넷(John Ponet)은 자연법에 대한 개혁주의적 입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자연법은 원래 인간의 마음에 심겨진 것(originally planted and grafted onely in the human mind)인데 이는 십계명(the ten commandment)의 형태로 구체화되어 나타나게 된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께서 모세법을 요약하신 것을 통하여서도 자연법의 내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자연법의 요약(written summery of the natural law)으로 쓰여진 십계명 (the Decalogue)은 그 자체가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 소위 황금율(so-called Golden Rule)이라고 불리우는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눅6:31)는 말씀으로 요약 될 수 있다고 포넷(John Ponet)은 말한다.2)
3.빈디치에(Vindiciae)에 나타난 자연법
빈디치에(Vindiciae contra tyrannos)에서는 여러 곳에서 자연법을 자기 보존의 원리(a principle of self-preservation)로 가르치고 있다.
"자연은 우리에게 우리의 생명과 자유를 방어(defend our lives and our liberty)하여야 할 것을 가르치고 있는데, 이는 이러한 방어가 없이는 생명이 생명되지 못하지(life is hardly life at all) 때문이다"
4.자연법 가운데 나타난 정의의 기본 원칙(basic principles of justice)
메리 여왕의 박해 가운데 있었던 청교도나 프랑스의 위그노등 종교 개혁 저항 작가(resistance writers)들은 정의에 대한 근본 원칙들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자연법의 내용들이 가지고 있는 일반 의미들을 적용하곤 하였다.
이들은 자연법을 기초로한 시민법을 만들면서 칼빈이나 그 이전의 신학적 전통과 연속성을 가지는 중요한 면을 보여주고있다.
a. 베자(Theodore Beza:1519-1605)의 예;
베자는 모든 국가에 일반적인 자연법(natural law common to all nations)과 특정한 지역의 공적인 법(public law of particular place)을 구분하였다.
b. 빈디치에(Vindiciae) 저자의 예;
인간의 본성에는 두 가지 중요한 정의의 원칙(two main principles of justice)이 있다. 하나는 아무도 해를 받지 말아야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모든 사람의 관심사(interests of all people)는 가능한 발전되어야 하는 것이다.
c. 포넷(John ponet)의 예;
자연법은 성서에 요약이 되어있듯이 "모든 정의는 모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함이며 모든 사람은 이를 분별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 열거한 종교개혁 저항가(Reformed resistance theorists)들은 자연법이 좀 더 특별한 도덕적 이슈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데, 특히 정치적 법규의 성격(the nature of political rule)과 독재자에 대한 저항의 권리(the right to resist tyranny)에 대한 것이다.
어떻게 자연법이 왕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지(how natural law prescribed the duty of kings)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a. 베자(Theodore Beza)의 예;
"예전의 법률 제정가들의 많은 의미있는 격언(many weighty maxims)들이 자연법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말하면서 “군주는 자신이 스스로 자연법에 묶여 있어야 된다”고 말한다.
마음에 새겨야 할 격언 중의 하나는 "법률 제정가는 법에 묶여있음으로 인해서, 모든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 대하여 지켜야 할 강령이 무엇인지 살피게 되고, 왕도 법에 복종함으로서 통치력을 발휘할 힘을 얻게 되며, 통치자도 법에 복종할 것을 고백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통치자는 국민의 복지를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이 반대는 성립될 수 없다"고 말한다.
b. 빈디치에(Vindiciae) 저자의 예;
빈디치에의 저자는 자연법에서 유래된 격언을 다음과 같이 스스로에게 적용시키고 있다.
"이성은 독재자에 대한 미움은 선한 왕으로 바꾸어준다. (Reason infuses a hatred of tyranny into good king)"3)
비슷한 뜻에서 "공적인 체제를 파괴하기보다는 왕에게 통치권을 부여해주는데 이유에 있어서 자연법이 이를 증거해 주고 있다"고 말한다.
만약에 왕이 자연법에 대한 책무를 따르지 않는다면 이러한 독재자에 대하여 자연법으로 돌아갈 것을 처방(turn to natural law for remedies against tyranny)하고 있다.
빈디치에에서는 "국민은 왕보다 앞서서 존재하며 왕은 원래 국민에 의하여 세워진다"고 말한다. 이로서 "어느 누구도 왕으로 태어나거나, 자신 스스로가 본성적으로 왕인 사람은 없으며, 왕은 국민이 없이는 통치를 할 수 없는 것이다"고 결론 내린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화란 개혁주의 기독교 세계관은 알버트 월터스(Alvert Wolters)의 “창조 타락 구속"에 잘 나타나있으며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은 본인의 불로그에 게시 되어있다.
여기에서 자연법이 모세법, 더 나아가 예수님의 산상 수훈과도 연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 반두르넨이 말하고자하는 자연법은 모세법과 연결 시킬 수 있다. 모세법의 중요한 역할은 죄인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몽학 선생, 교사로서의 역할이다. 자연법 아래에 있는 세상의 조직에 속해 있는 사람들은 자연법을 통하여 그리스도께로 인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왕국 개념을 주장하는 반두르넨이 자연법을 언급하고있는 목적은 세상 정부와 조직에 대한 기독교인의 접근 방식이 화란개혁주의의 문화 변혁적 접근 방식이 아니라, 그리스도께 인도되기 위하여 모세법 아래 있었던 유대인들과 같이 그리스도께 인도되기 위하여 자연법 아래 있는 일반인의 개념으로 접근되어야한다는 것이다.
- 해석이 어려운 문장이지만 문맥상으로 해석해보면 자연법의 기초가 되는 이성을 기초로 생각해 볼 때 독재자의 통치에 대한 불만이 있을 수 있지만 그의 통치권의 의미를 생각해 볼 때 통치력이 존종 되어져야 하는 선한 왕으로 생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코튼과 두 왕국 (0) | 2015.04.20 |
---|---|
개혁파 정통주의에서의 자연법과 두 왕국의 관계 (0) | 2015.04.17 |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과 국가의 신앙적 일의 관여에 대한 문제들 (0) | 2015.04.15 |
국가와 교회의 권위의 차이점 (0) | 2015.04.06 |
두 왕국의 성격과 속성 (0) | 2015.04.01 |
존 콜쿤이 말하는 "율법과 복음"
"The Law and The Gospel" by John Colquhoun(1748-1827)of Leith
출처:The Marrow Controversy
By Dr. Sinclair B. Ferguson
Preached on: Tuesday, February 3, 2004 Greenville Seminary & Mt. Olive 200 E. Main St Taylors, SC 29687 )
by 김원호(dent4834@hanmail.net)
다음 글은 싱클레어 퍼거슨(Dr. Sinclair B. Ferguson)이 2004년 Marrow Controversy에 대한 강연 중에서 언급된 존 콜쿤 (John Colquhounof Leith:1748-1827) 의 "율법과 복음"에 대한 글을 번역한 것이다.
자신의 순종이 완전하다고 말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순종에 의지하는 삶을 바탕으로 살아간다면 그는 율법주의자이거나 자기 의를 말하는 자라고 여겨져야 할 것이다.
A man is to be counted a legalist or self righteous if, while he does not pretend that his obedience is perfect, he yet relies on it for a title to life.
자기 의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모든 세대에 걸쳐서,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요구하신 행위 언약의 상태를, 자신들이 완전히 충족 시킬 수 없다고 말하면서도, 자신들을 위하여 이러한 언약의 다양한 모형들을 만들고 있지만, 이는 하나님께서 만드신 것과는 거리감이 있을 수 밖에 없고, 완전한 순종의 의미보다는 하위의 것이라 하더라도 여전히 행위 언약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Self-righteous men have in all ages set aside as impossible to be fulfilled by them, that condition of the covenant of works which God had imposed on Adam; and have framed for themselves various models of that covenant, which, though they are far from being institutions of God, and stand upon terms lower than perfect obedience, yet are of the nature of a covenant of works.
율법의 행위로서 의를 찾으려는 믿지 않는 유대인들은, 완벽한 순종을 가장하려는 것에 대하여 그렇게 무지하거나 주제 넘지는 않는다.
The unbelieving Jews who sought righteousness by the works of the Law were not so very ignorant or presumptuous as to pretend to perfect obedience.
율법 아래 있으면서 율법에 의하여 의로워지기 원하는, 사도들에 의하여 은혜에서 멀어졌다고 증명이 된, 갈라디아의 공공연한 그리스도인들 조차도 자신들이 완전한 순종을 할 수 있기를 원한다는 가정 조차 하지 않는다.
Neither did those professed Christians in Galatia, who desired to be under the Law and to be justified by the Law, of whom the Apostle therefore testified that they had fallen from grace, presume to plead that they could yield perfect obedience.
반면에 그들의 공적인 고백을 보면, 그들 자신들이 그리스도의 의의 필요성에 대하여 의식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들의 큰 잘못은 다음과 같다: 그들은 오직 그리스도의 의만을 가지고는 삶이 의롭다고 하기에는 충분하다고 믿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칭의를 위하여 부분적으로 그들 자신의 도덕법과 의식법에 대한 순종에 의지하는 것이다. 이들이 행위의 법에 집착하는 것과 이러한 율법의 행위를 통하여 의로워지려는 것을 비난할 때 가졌던 사도들의 관점은, 바로 이러한 것들에 대한 것이고, 완전한 순종을 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다.
On the contrary, their public profession showed that they had some sense of their need of Christ’s righteousness; but their great error was this: they did not believe that the righteousness of Jesus Christ alone was sufficient to entitle them to the justification of life. And, therefore, they depended for justification partly upon their own obedience to the moral and the ceremonial law. It was this, and not their pretensions to perfect obedience, that the Apostle had in view when he blamed them for cleaving to the law of works, and for expecting justification by the works of the Law.
사도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의로워지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도덕법과 의식법에 순종하는 행위에 의존하는 것은 은혜와는 관계 없는 것이다. 그리스도는 이들에게 아무 효력이 없으며, 이들은 율법 전체에 대하여 빚진자가 되는 것이다.
By relying for justification partly on their own works of obedience to the moral and ceremonial laws, they, as the apostle informed them, were fallen from grace. Christ was become of no effect to them, and they were debtors to the whole law.
이로서 이들은 자신들이 행위와 은혜를 결합시킨 것을 제대로 볼 수 없었기에 그들의 위치에 대한 논리적 결론을 내리게 끔 했음을 알 수 있다.
You see he pushes them to the logical conclusion of their position, which they failed to see in their joining of works and grace.
그들은 의로워지기 위하여, 부분적으로는 율법에 대한 자신들의 불완전한 순종에 의지함으로서, 이들은 율법을 행위 언약으로 만들고서, 이러한 행위 언약이 완전한 순종 대신에 불완전한 순종을 허락하게 끔 만들어 버린 것이다.
By depending for justification partly on their imperfect obedience to the law, they framed the law into a covenant of works, and such a covenant of works too as could admit of imperfect instead of perfect obedience.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의에 의존함으로서 이들은 칭의를 위하여, 율법을 복음과, 행위를 믿음과 섞어버린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이들은 율법과 복음 모두를 손상 시켜버리게 된 것이다. 그리고 자신들을 위하여 잡다한 모양의 행위 언약을 만들게 된 것이다
And by relying partly on the righteousness of Christ, they mingled the law with the gospel, and works with faith, in the affair of justification. Thus, they perverted both the law and the gospel. And formed for themselves a motley covenant of works.
by Wonho Kim